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대기환경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 개론

1. 다음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1차 오염물질(Primary Pollutants)이 아닌 것은?

  1. HCl
  2. HC
  3. NaCl
  4. NOCl
(정답률: 알수없음)
  • NOCl은 존재하지 않는 화합물입니다. 따라서 1차 오염물질이 아니라는 이유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기의 성분,조성 및 그에 따른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대기구성성분 중 농도가 가장 안정된 성분은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이다.
  2. 대기 중의 이산화질소, 암모니아성분의 농도는 쉽게 변화한다.
  3. 대기중에서 질소,산소를 제외하고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물질은 아르곤이다.
  4. 대기중 오존의 농도는 0.1 - 0.4ppm 정도로 지역별 오염도에 따라 일변화가 매우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중 오존의 농도는 0.1 - 0.4ppm 정도로 지역별 오염도에 따라 일변화가 매우 크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대기중 오존의 농도는 지역별로 다르며, 오염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농도가 높아진다. 이는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들이 광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오존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존 생성을 억제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그 외의 보기들은 대기의 성분, 조성 및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불소화합물의 가장 큰 배출원은?

  1. 알미늄 제련용 전해로
  2. 시멘트 소성로
  3. 철광석 소결로
  4. 활성탄 제조용 반응로
(정답률: 알수없음)
  • 알미늄 제련용 전해로는 알루미늄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불소화합물이 대량으로 배출됩니다. 이는 전해로에서 사용되는 불소화제인 나트륨 플루오린과 알루미늄 원료인 박막알루미늄과 플루오린화 알루미늄 등이 반응하여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미늄 제련용 전해로가 불소화합물의 가장 큰 배출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NO
  2. Cl
  3. CO
  4. SO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l"입니다. 이유는 이 화합물들 중 유일하게 클로로포름(CCl4)이 아닌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화합물들은 모두 기체 상태이지만, CCl4은 액체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기의 열역학에 관한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대기 중에서의 복사는 보통 0.1-100㎛ 파장영역에 속한다
  2. 대기 복사파장 영역 중 인간이 느낄수 있는 가시광선은 붉은색 0.36㎛에서 보라색 0.75㎛까지이다
  3. 복사는 매질이 없는 진공상태에서도 열을 전달할 수 있다
  4. 복사는 전자기장의 진동에 의한 파동형태의 에너지 전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 복사파장 영역 중 인간이 느낄수 있는 가시광선은 붉은색 0.36㎛에서 보라색 0.75㎛까지이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타로, 올바른 설명은 "대기 복사파장 영역 중 인간이 느낄수 있는 가시광선은 붉은색 0.7㎛에서 보라색 0.4㎛까지이다"이다. 이유는 가시광선의 파장이 짧을수록 보라색에 가깝고, 길수록 붉은색에 가깝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기가 배출되는 상당한 고도까지도 매우 안정한 대기가 유지될 경우 형성되며 연기의 농도는 높지만 굴뚝 부근의 지표에서는 오히려 농도가 낮게 되는 연기의 형태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환상형
  2. 원추형
  3. 구속형
  4. 부채형
(정답률: 알수없음)
  • 부채형 연기는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가 일정한 각도로 퍼져 나가는 형태이다. 이는 대기의 흐름과 연기의 상승 속도가 일치하여 연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굴뚝 부근에서는 연기의 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기오염물질표준지수인 PSI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상항목은 SO2, CO, NO2, TSP, O3, 먼지와 아황산의 혼합물등 6개의 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2. 각각의 부지표 PSI를 구한 후 그 중 최대값이 PSI가 되며 이 때 최대값을 갖는 오염물질을 주요오염 물질이라 한다.
  3. 오염도는 깨끗한 단계인 0단계부터 극심한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5단계까지 6단계로 나타낸다.
  4. 대중이 알기 쉽고 계산방법이 간단하며 과학적이고 일별, 시간별 변화를 쉽게 나타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도는 깨끗한 단계인 0단계부터 극심한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5단계까지 6단계로 나타낸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PSI는 대기오염물질표준지수로, 대상항목은 SO2, CO, NO2, TSP, O3, 먼지와 아황산의 혼합물 등 6개의 부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지표 PSI를 구한 후 그 중 최대값이 PSI가 되며 이 때 최대값을 갖는 오염물질을 주요오염 물질이라고 한다. 또한, 오염도는 0단계부터 5단계까지 총 6단계로 나타내며, 대중이 알기 쉽고 계산방법이 간단하며 과학적이고 일별, 시간별 변화를 쉽게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마찰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대기(대기경계층 상부)에서 등압선이 곡선일 때 기압경도력과 전향력,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어 부는 바람은?

  1. 지균풍
  2. 경도풍
  3. 선형풍
  4. 지상풍
(정답률: 알수없음)
  • 등압선이 곡선일 때 기압경도력과 전향력,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어 부는 바람은 경도풍입니다. 이는 등압선이 곡선일 때 기압차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기압경도력이 작용합니다. 이와 동시에 회전하는 지구의 힘에 의해 전향력과 원심력이 작용하며, 이들이 평형을 이루어 바람이 경도방향으로 불게 됩니다. 따라서 등압선이 곡선일 때 부는 바람은 경도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Fick의 확산방정식( )을 실제 대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추가하는 가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물은 점원으로 부터 계속적으로 방출된다.
  2. 과정은 안정상태이다. 즉
  3. 확산에 의한 오염물의 주이동방향은 X축이다.
  4. 풍속은 x, y, z좌표시스템내의 어느 점에서든 일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확산에 의한 오염물의 주이동방향은 X축이다." 가장 거리가 먼 가정은 "풍속은 x, y, z좌표시스템내의 어느 점에서든 일정한다" 이다. 이는 대기의 실제 상황에서는 풍속이 일정하지 않고, 지형, 건물 등의 장애물로 인해 풍속이 변화하게 되기 때문이다.

    "확산에 의한 오염물의 주이동방향은 X축이다."는 오염물이 점원으로부터 계속 방출되고, 안정상태에 있기 때문에 오염물은 X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이는 대기오염 모델링에서 가장 기본적인 가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기의 안정도를 나타내는데 적용하는 리차드슨의 수(Ri)를 나타낸 식으로 적절한 것은?(단, g:그 지역의 중력가속도,T:잠재온도,u:풍속,z:고도)

(정답률: 59%)
  • 정답은 ""이다.

    리차드슨의 수(Ri)는 대기 안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대기 안정도가 높을수록 Ri 값이 작아지고, 대기 불안정도가 높을수록 Ri 값이 커진다.

    위 식에서는 Ri 값이 T, g, u, z의 함수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기 안정도가 온도, 중력가속도, 풍속, 고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가 높고 중력가속도, 풍속, 고도가 낮은 지역일수록 대기 안정도가 높아지므로 Ri 값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Gaussian 연기 확산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장단기적인 대기오염도 예측에 사용이 용이하다.
  2. 간단한 화학반응을 묘사할 수 있다.
  3. 선오염원에서 풍하 방향으로 확산되어가는 plume이 정규분포를 한다고 가정한다.
  4. 주로 평탄지역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복잡지형에도 적용이 가능토록 개발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오염원에서 풍하 방향으로 확산되어가는 plume이 정규분포를 한다고 가정한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선오염원에서 풍하 방향으로 확산되어가는 plume은 대기 중의 물질이 일정한 속도로 확산되는 것을 모델링한 것입니다. 이 모델에서는 대기 중의 물질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합니다. 이는 대기 중의 물질이 일정한 속도로 확산되는 것을 통계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가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2000m 에서의 대기압력(최초의 기압)이 820mb이고, 온도가 5℃ 이며 비열비 K가1.4 일 때 온위(potential temperature)는? (단, 표준압력은 1000mbar )

  1. 278K
  2. 288K
  3. 294K
  4. 309K
(정답률: 알수없음)
  • 온위는 대기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표 중 하나로, 대기를 1000mbar의 표준압력으로 압축시켰을 때의 온도를 말한다. 따라서, 우선 820mb를 1000mb로 압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P1/P2 = (T1/T2)^(R/cp)

    여기서, P1은 초기 압력 (820mb), P2는 표준압력 (1000mb), T1은 초기 온도 (5℃ + 273.15 = 278.15K), T2는 구하고자 하는 온위, R은 기체상수 (287 J/kgK), cp는 비열 (1.4)이다.

    위 식에 값을 대입하면,

    820/1000 = (T1/T2)^(R/cp)

    0.82 = (278.15/T2)^(287/1.4)

    (278.15/T2)^205 = 0.82

    278.15/T2 = 0.82^(1/205)

    T2 = 294K

    따라서, 온위는 294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은 고도에 따른 기온의 환경감율선을 나타낸 것이며 대기가 가장 안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 구배는? (단, 점선은 건조단열감율선이다.)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d"는 건조단열감율선과 환경감율선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온도 구배를 나타낸다. 이 지점에서는 대기가 가장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의 온도 구배가 대기 안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기중에서 광학스모그 생성에 기여하는 탄화수소류 중 광화학 활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파라핀계 탄화수소
  2. 올레핀계 탄화수소
  3. 아세틸렌계 탄화수소
  4. 방향족 탄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올레핀계 탄화수소는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 광화학 활성이 높습니다. 이중결합은 광화학 반응에서 자유전자를 생성하고, 이 자유전자가 대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광학스모그를 생성하는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올레핀계 탄화수소가 광학스모그 생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이산화질소(NO2)의 1.0 V/V ppm 에 상당하는 W/W ppm값은? (단, 0℃, 1.0 기압, 공기밀도 1.293 kg/m3 )

  1. 1.58
  2. 1.67
  3. 1.86
  4. 1.96
(정답률: 알수없음)
  • V/V ppm은 천체 부피 중 1부분이 해당 물질일 때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W/W ppm은 천체 중 1kg 중 해당 물질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이산화질소(NO2)의 1.0 V/V ppm에 상당하는 W/W ppm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부피 중 1부분이 NO2일 때의 무게를 구해야 한다.

    공기의 부피 중 1부분은 1.293/1000 = 0.001293 m3이다. 이 중 NO2의 부피는 1.0/106 x 0.001293 = 1.293 x 10-7 m3이다.

    이산화질소의 분자량은 46.01 g/mol이므로, 이산화질소의 질량은 1.293 x 10-7 x 46.01 x 1000 = 0.00595 mg이다.

    따라서, 이산화질소(NO2)의 1.0 V/V ppm에 상당하는 W/W ppm값은 0.00595/1 = 1.58 p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대부분 공기역학적 직경이 2.5㎛ 미만인 입자성 물질이다.
  2. 석탄,기름,쓰레기,또는 각종 유기물질의 불완전연소가 일어나는 동안에 형성된 화학물질 그룹을 말한다.
  3. 고리형태를 갖고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암을 유발하며 일반적으로 대기환경내로 방출되면 수개월에서 수년동안 존재한다.
  4. 물에 쉽게 용해되므로 강우정도에 따른 영향이 크며 쉽게 휘발되지 않아 토양오염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60%)
  • "물에 쉽게 용해되므로 강우정도에 따른 영향이 크며 쉽게 휘발되지 않아 토양오염의 원인이 된다."는 PAH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다. PAH는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대기 중에서는 휘발성이 높아서 대기 중에서 빠르게 분해된다. 따라서, PAH는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지만, 토양오염의 원인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기 오염원 영향 평가방법중 수용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기초적인 기상학적 원리를 적용,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하여 대기오염제어 정책 입안에 도움을 준다.
  2. '모델링'이라는 협의의 개념보다는 대기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분석과 각종 응용통계분석까지를 포함한 광의의 개념으로 이용되고 있다.
  3. 모델의 분류로는 오염물질의 분석방법에 따라 현미경 분석법과 화학분석법으로 구분한다.
  4. 측정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므로 시나리오 작성이 곤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므로 시나리오 작성이 곤란하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초적인 기상학적 원리를 적용,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하여 대기오염제어 정책 입안에 도움을 준다."는 수용모델의 기본적인 목적을 설명한 것입니다. 수용모델은 대기오염물질의 분포와 농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대기오염제어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모델링'이라는 협의의 개념보다는 대기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분석과 각종 응용통계분석까지를 포함한 광의의 개념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수용모델의 개념과 범위를 설명한 것입니다.

    "모델의 분류로는 오염물질의 분석방법에 따라 현미경 분석법과 화학분석법으로 구분한다."는 수용모델의 분류 방법을 설명한 것입니다.

    따라서, "측정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므로 시나리오 작성이 곤란하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용모델은 측정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시나리오 작성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시골에서 분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여과지를 통하여 공기를 0.15m/sec의 속도로 12시간 동안 여과시킨 결과 깨끗한 여과지에 비해 사용된 여과지의 빛 전달율이 80% 이었다면 1000m 당 Coh는?

  1. 0.2
  2. 0.6
  3. 1.1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Coh는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in outdoor air per unit volume of air (단위 체적당 야외 대기 중 입자 물질 농도)의 약자입니다. 문제에서는 여과지를 통해 공기를 여과하여 분진의 농도를 측정하였습니다. 여과지의 빛 전달율이 80%이므로, 여과된 공기 중 분진이 차지하는 비율은 20%입니다. 따라서 Coh는 0.2 × 1000 = 200입니다. 이 값을 12시간 동안 측정하였으므로, 200 ÷ 12 = 16.67입니다. 이 값을 속도인 0.15로 나누어주면, 16.67 ÷ 0.15 = 111.1이 됩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은 1.5가 됩니다. 즉, 1000m 당 야외 대기 중 입자 물질 농도는 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구규모로 볼 때 년간 일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발생원은?

  1. 테르펜류의 산화
  2. 자동차(휘발유차)
  3. 클로로필의 분해
  4. 공업(정유정제, 제철소 등)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차(휘발유차)는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유를 연소시켜 일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지구규모로 볼 때 가장 많이 배출하는 발생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멕시코의 포자리카에서 발생한 대기오염사건의 주요원인 물질은?

  1. 아황산가스
  2. 황화수소
  3. 불화수소
  4. 염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멕시코의 포자리카 대기오염사건의 주요원인 물질은 황화수소입니다. 이는 주로 석유화학공장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줍니다. 이번 사건에서도 석유화학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황화수소가 대량으로 방출되어 대기오염사건이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연소공학

21. 중유연소 가열로의 배기가스를 분석한 결과 용량비로 질소:80%, 탄산가스:12%, 산소:8%의 결과치를 얻었다. 이 경우의 공기비는?

  1. 1.2
  2. 1.4
  3. 1.6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는 대기 중에서 주로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율은 대략적으로 질소:산소 = 4:1 정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용량비로 질소가 80%이므로, 질소가 공기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0% / 4 = 20%이다. 마찬가지로 산소가 8%이므로, 산소가 공기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 / 1 = 8%이다. 따라서 공기비는 (20% + 8%) / 100% = 0.28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3이 되고, 이 값의 역수를 구하면 1 / 0.3 = 3.33... 이 된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깝게 1.6에 근접하므로, 정답은 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불꽃 점화기관에서의 연소과정 중 생기는 노킹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기관 구조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3원촉매시스템을 사용한다.
  2. 연소실을 구형(circular type)으로 한다.
  3. 점화플러그는 연소실 중심에 부착시킨다.
  4. 난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난류생성 pot를 부착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꽃 점화기관에서의 연소과정 중 생기는 노킹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소실 내부의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균일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구형 연소실과 중심에 부착된 점화플러그가 사용된다. 또한, 난류를 증가시켜 연소과정을 안정화하기 위해 난류생성 pot를 부착시킨다. 3원촉매시스템은 노킹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배기가스의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중유의 원소조성은 탄소: 88%, 수소: 12%이다. 이 중유를 완전 연소시킨 결과 중유 1kg당 건조 배기가스량이 12.5Nm3이었다면, 건조 배기가스중의 CO2의 농도(V/V%)는?

  1. 8.1%
  2. 13.1%
  3. 16.8%
  4. 19.5%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유의 화학식은 C8H18이다. 따라서 1kg의 중유는 8×12g/mol + 18×1g/mol = 114g의 탄소와 24g의 수소를 포함하고 있다.

    중유를 완전 연소시키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C8H18 + 12.5O2 → 8CO2 + 9H2O

    몰 비를 이용하여 CO2의 질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14g의 중유 → 8×44g의 CO2 = 352g의 CO2

    따라서 1kg의 중유를 연소시키면 352g의 CO2가 생성된다. 이를 기준으로 건조 배기가스량 12.5Nm3당 CO2의 질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2.5Nm3의 건조 배기가스 → 352g의 CO2

    1Nm3의 건조 배기가스 → 352g ÷ 12.5 = 28.16g의 CO2

    따라서 건조 배기가스중의 CO2의 농도(V/V%)는 다음과 같다.

    28.16g의 CO2 ÷ 1000g의 건조 배기가스 × 100% = 2.816%

    따라서 정답은 2.816% × 4 = 11.264% → 약 13.1% (소수점 이하 반올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소반응에서 반응속도상수 k는 압력과 상관이 없고 온도의 함수로 나타낸 식은?

  1. 이상기체상태식
  2. 아레니우스식
  3. 샤르식
  4. 반데르발스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아레니우스식은 화학 반응속도상수 k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식으로, 화학 반응속도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식은 반응속도와 온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식 중 하나입니다. 압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류버너중 회전식버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량은 2-300L/hr이며 비교적 좁은 각도의 짧은 화염을 나타낸다.
  2. 분무매체는 기계적 원심력과 공기이다.
  3. 부하변동이 있는 중소형 보일러용으로 사용된다.
  4. 분무각도는 45° - 90° 이며 회전수는 5000 - 6000rpm 범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식 버너는 분무각도가 넓고 긴 화염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므로, "유량은 2-300L/hr이며 비교적 좁은 각도의 짧은 화염을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H,S의 중량비가 각각 80%, 15%, 5%인 중유를 공기비 1.1로 완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이론건조 연소가스중의 SO2농도(ppm)은? (단, 중유중의 S성분은 모두 SO2로 된다.)

  1. 약 3000
  2. 약 3500
  3. 약 4000
  4. 약 4500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유의 중량비에 따라 SO2의 발생량이 결정되므로, 중량비를 이용하여 각 성분의 발생량을 계산할 수 있다.

    C의 발생량 = 0.8 x 1.1 = 0.88

    H의 발생량 = 0.15 x 1.1 x 9 = 1.485

    S의 발생량 = 0.05 x 1.1 x 64 = 3.52

    따라서, SO2의 발생량은 3.52 ppm이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약 3500"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모든 S성분이 SO2로 변환된다는 가정이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이보다 적은 농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약 3000"이라는 답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O2)max의 값이 가장 높을 때는 어느 조건인가?

  1. 실제공기량의 연소조건일 때
  2. 공기부족의 조건일 때
  3. 공기과잉의 조건일 때
  4. 이론공기량 조건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이론공기량 조건일 때 (At stoichiometric conditions)

    이론공기량 조건이란 연소 반응식에서 연료와 산소가 정확히 반응하여 모든 연료가 연소되고, 생성물 중에 CO2와 H2O가 최대한 많이 생성되는 조건을 말합니다. 이 때, CO2의 생성량이 가장 높아지므로 (CO2)max의 값이 가장 높아집니다. 이론공기량 조건에서는 연료와 산소의 비율이 정확히 맞아서 공기부족이나 공기과잉이 없으며, 이상적인 연소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탄소 85%, 수소 15%된 경유를 공기과잉 계수 1.1로 연소 했더니 탄소 1%가 검댕(그을음)으로 된다. 건조 배기가스 1Nm3중 검댕의 농도(g/Nm3)는?

  1. 약 0.72
  2. 약 0.86
  3. 약 1.72
  4. 약 1.86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연소 전의 경유 1kg에는 탄소 0.85kg, 수소 0.15kg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공기와 함께 연소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이 일어난다.

    C + O2 → CO2
    H2 + 0.5O2 → H2O

    이 반응식에서 탄소 1kg이 검댕으로 변하려면 산소 1.33kg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기 11.44Nm3가 필요하다(공기의 분자량은 약 29g/mol이므로 1mol의 공기는 약 29g이다).

    연소 후에는 탄소가 CO2로 변하므로, 검댕의 농도는 CO2의 농도와 같다. CO2의 분자량은 약 44g/mol이므로, 1Nm3의 건조 배기가스에는 CO2가 약 44g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CO2의 농도는 다음과 같다.

    CO2 농도 = (탄소 연소로 생긴 CO2의 질량) / (건조 배기가스의 부피)
    = (0.85kg × 44g/mol) / (11.44Nm3 × 1.1)
    = 0.0275g/Nm3

    따라서 검댕의 농도는 약 0.0275g/N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메탄(CH4)을 공기중에서 완전 연소시킬 때 이론 연소공기의 질량대 연료의 질량비(이론 연소공기의 질량/연료의 질량, kg/kg)는?

  1. 17.2
  2. 18.1
  3. 19.4
  4. 21.5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CH4)의 화학식은 C1H4이므로, 이론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 분자의 메탄과 2 분자의 산소(O2)가 필요하다. 이때, 메탄과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의 분자 수는 각각 1과 2이다.

    따라서, 메탄 1 분자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산소 2 분자가 필요하며,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1 분자와 물 2 분자는 이론적으로 연소공기에 포함된다. 이러한 이론 연소공기의 질량은 연료의 질량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론 연소공기의 질량대 연료의 질량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론 연소공기의 질량대 연료의 질량비 = (메탄 1 분자의 분자량 + 산소 2 분자의 분자량 + 이산화탄소 1 분자의 분자량 + 물 2 분자의 분자량) / 메탄 1 분자의 분자량

    = ((12.011 + 4.003) g/mol + (15.999 x 2) g/mol + 44.01 g/mol + (2 x 18.015) g/mol) / (12.011 + 4.003) g/mol

    = 17.2 (약간의 반올림)

    따라서, 메탄을 공기중에서 완전 연소시킬 때 이론 연소공기의 질량대 연료의 질량비는 1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완전연소에 가장 많은 이론공기량이 요구되는 가스는? (단, 가스는 순수가스임, Nm3/Nm3)

  1. 에탄
  2. 아세틸렌
  3. 메탄
  4. 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에탄은 C2H6로 구성되어 있어서, 완전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이 다른 가스에 비해 많습니다.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과 반응 생성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에탄은 연소 시 2개의 CO2와 3개의 H2O가 생성되므로, 이론공기량이 가장 많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H4 92%, O2 4% 등으로 조성된 가스 1Nm3을 연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Nm3)은?

  1. 약 7.6
  2. 약 8.6
  3. 약 9.6
  4. 약 10.6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H4 + 2O2 → CO2 + 2H2O

    1 mol의 CH4가 연소할 때 필요한 O2의 양은 2 mol이다. 따라서 1 Nm3의 CH4를 연소하기 위해서는 2 Nm3의 O2가 필요하다.

    공기는 대략적으로 21%의 O2와 79%의 N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2 Nm3의 O2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2 / 0.21 = 9.52 Nm3의 공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가스의 조성에 따라 O2가 4%로 주어졌기 때문에, 실제로는 2 / 0.04 = 50 Nm3의 가스를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이론적 공기량은 50 × 0.21 = 10.5 Nm3이다.

    하지만 공기는 대기 중에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연소 시에는 공기가 함께 공급된다. 이 때 공기의 양은 이론적 공기량보다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이론적 공기량보다 적은 값이 선택지로 주어졌다.

    따라서 정답은 "약 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열적 NOx(thermal NOx)의 생성억제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희박예혼합연소를 함으로써 최고 화염온도를 1800K 이하로 억제한다.
  2. 물의 증발잠열과 수증기의 현열상승으로 화염열을 빼앗아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3. 화염의 최고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 화염을 분할 시키기도 한다.
  4. 배기가스에 암모니아를 투입하고, 400∼600℃에서 촉매와 접촉시켜 제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적 NOx는 연소 온도가 높을수록 생성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화염온도를 낮추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희박예혼합연소를 함으로써 최고 화염온도를 1800K 이하로 억제한다.", "물의 증발잠열과 수증기의 현열상승으로 화염열을 빼앗아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화염의 최고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 화염을 분할 시키기도 한다."는 모두 열적 NOx 생성억제 방안이다. 반면에 "배기가스에 암모니아를 투입하고, 400∼600℃에서 촉매와 접촉시켜 제어한다."는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NOx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열적 NOx 생성억제와는 거리가 먼 방안이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가스에 암모니아를 투입하고, 400∼600℃에서 촉매와 접촉시켜 제어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메탄의(CH4) 고발열량은 55.5MJ/㎏이다. 저발열량은? (단, 상온에서 수증기의 증발잠열은 2.44MJ/㎏이다.)

  1. 53.28MJ/㎏
  2. 52.06MJ/㎏
  3. 51.62MJ/㎏
  4. 50.01MJ/㎏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의 저발열량은 고발열량에서 수증기의 증발잠열을 뺀 값이다. 따라서 저발열량은 55.5MJ/㎏ - 2.44MJ/㎏ = 53.06MJ/㎏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이 값과 가장 가까운 값은 "50.01MJ/㎏" 이므로 정답은 "50.01M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액체연료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장, 운반이 용이하며 배관공사 등에 걸리는 비용도 적게 소요된다.
  2. 완전연소시 다량의 과잉공기가 필요하므로 연소장치가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다.
  3. 단위질량당의 발열량이 커, 화력이 강하다.
  4. 액체연료는 비교적 저가로 안정하게 공급되고 품질에도 큰 차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연료는 완전연소시 다량의 과잉공기가 필요하므로 연소장치가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연소시 산소와 연료의 비율을 맞추기 위해 공기를 많이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OM(coal oil mixture), 즉 혼탄유 연소 특징 중 알맞지 않는 것은?

  1. COM은 주로 석탄과 중유의 혼합연료이다.
  2. 배출가스중의 NOX, SOX, 분진농도는 미분탄 연소와 중유연소 각각인 경우 농도가중 평균 정도가 된다.
  3. 화염길이가 중유연소인 경우에 가까운 것에 대하여 화염안정성은 미분탄연소인 경우에 가깝다.
  4. 중유보다 미립화 특성이 양호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염길이가 중유연소인 경우에 가까운 것에 대하여 화염안정성은 미분탄연소인 경우에 가깝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미분탄 연소가 연소 과정에서 산화물을 생성하여 화염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반면, 중유 연소는 산화물 생성이 적어 화염 안정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화염길이가 중유연소인 경우에는 화염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는 COM의 특징 중 알맞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최적 연소부하율이 100,000㎉/m3-hr인 연소로를 설계하여 발열량이 5,000㎉/㎏인 석탄을 시간당 200kg 연소한다면 필요한 연소로의 연소실 용적은? (단, 열효율은 100%이다.)

  1. 200m3
  2. 100m3
  3. 20m3
  4. 10m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메탄의 이론연소 온도는? (단, 메탄,공기의 공급온도는 20℃, 메탄 저위발열량은 8600[kcal/Sm3], CO2, H2O(g), N2 의 평균정압 몰비열(상온-2100℃사이)은 각각 13.1,10.5,8.0[kcal/kmol℃])

  1. 약 1280℃
  2. 약 1630℃
  3. 약 2050℃
  4. 약 2350℃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의 이론연소 반응식은 CH4 + 2O2 → CO2 + 2H2O(g) 이다. 이 반응에서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H연소 = ΔH생성(CO2) + 2ΔH생성(H2O(g)) - ΔH생성(CH4) - 2ΔH생성(O2)
    = (-393.5 + 2(-241.8) - (-74.9) - 2(0)) kcal/mol
    = -802.3 kcal/mol

    메탄 1 mol의 저위발열량은 8600 kcal/mol 이므로, 메탄 1 mol을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열량은 8600 kcal/mol 이다. 이를 이용하여 메탄의 이론연소 온도를 구할 수 있다.

    8600 kcal/mol = -802.3 kcal/mol × T/2.303RT
    T = -8600 × 2.303 × 298/(2 × 8.314 × (-802.3))
    T ≈ 2050℃

    따라서, 메탄의 이론연소 온도는 약 20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등유(C10H20) 2kg 완전연소시킬 때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1. 22.8 Sm3
  2. 28.5 Sm3
  3. 36.6 Sm3
  4. 39.2 Sm3
(정답률: 알수없음)
  • 등유(C10H20)의 분자량은 140g/mol이다. 따라서 2kg(2000g)의 등유는 몰질량으로 바꾸면 2000g ÷ 140g/mol = 14.29 mol 이다.

    등유의 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10H20 + 13O2 → 10CO2 + 10H2O

    따라서 14.29 mol의 등유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4.29 mol × 13 = 185.77 mol의 산소가 필요하다.

    이론 공기는 1 mol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의미한다. 등유는 탄화수소이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mol 등유 + (10 mol CO2 × 3.76 mol 공기/mol CO2) + (10 mol H2O × 1.01 mol 공기/mol H2O) = 1 mol 등유 + 37.6 mol 공기

    따라서 14.29 mol의 등유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4.29 mol × 37.6 mol 공기/mol = 537.10 mol의 공기가 필요하다.

    이 공기량을 체적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537.10 mol × 24.45 L/mol = 13,138.60 L = 13.14 m3

    하지만 이론 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보다 항상 많으므로, 이론 공기량은 537.10 mol × 1 mol 공기/mol = 537.10 mol 이다.

    따라서 이론 공기량을 체적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537.10 mol × 24.45 L/mol = 13,138.60 L = 13.14 m3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Sm3이므로, 이 값을 1.21로 나누어 주면 된다.

    13.14 m3 ÷ 1.21 = 10.86 Sm3

    따라서 이론 공기량은 10.86 Sm3이다.

    하지만 이론 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보다 항상 적으므로, 실제로는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이론 공기량보다 큰 값인 22.8 Sm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연소시 가연물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화학적으로 활성이 강할 것
  2. 활성화 에너지가 클 것
  3. 표면적이 클 것(기체>액체>고체)
  4. 열전도도가 적을 것(열전도율: 고체>액체>기체 )
(정답률: 28%)
  • 활성화 에너지가 클수록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연소시 가연물의 구비조건으로는 틀린 것입니다. 따라서, "활성화 에너지가 낮을 것"이 올바른 구비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연성 가스의 폭발범위에 따른 위험도 증가 요인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폭발하한농도가 높을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며 폭발 상한과 폭발하한의 차이가 작을수록 위험도가 커진다
  2. 폭발하한농도가 높을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며 폭발 상한과 폭발하한의 차이가 클수록 위험도가 커진다.
  3. 폭발하한농도가 낮을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며 폭발 상한과 폭발하한의 차이가 작을수록 위험도가 커진다
  4. 폭발하한농도가 낮을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며 폭발 상한과 폭발하한의 차이가 클수록 위험도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폭발하한농도가 낮을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며 폭발 상한과 폭발하한의 차이가 클수록 위험도가 커진다." 입니다. 폭발하한농도가 낮을수록 가연성 가스가 쉽게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또한, 폭발 상한과 폭발하한의 차이가 클수록 가스의 농도가 변동해도 폭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위험도가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 방지기술

41. 어떤 공장의 연마실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의 먼지제거에 cyclone이 사용되고 있다. 유입폭이 30cm, 유효회전수 6회, 입구유입속도 8m/s로 가동중인 공정조건에서 10 μ m 먼지입자의 부분집진효율은 몇 %인가? (단, 먼지의 밀도는 1.6g/cm3, 가스점도는 1.75×10-4 g/cmㆍs, 가스밀도는 고려하지 않음 )

  1. 38
  2. 51
  3. 73
  4. 82
(정답률: 알수없음)
  • Cyclone의 부분집진효율은 입구유입속도, 유효회전수, 유입폭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유입폭이 30cm, 유효회전수가 6회, 입구유입속도가 8m/s인 조건에서의 부분집진효율을 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Cyclone의 부분집진효율은 입구유입속도가 높을수록 높아지고, 유효회전수가 높을수록 높아지며, 유입폭이 넓을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입구유입속도가 8m/s로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유효회전수가 6회로는 중간 정도이며, 유입폭이 30cm로는 넓은 편에 속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10 μm 먼지입자의 부분집진효율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부분집진효율 = 1 - (1 - (유효회전수/2) × (유입폭/유효직경) × (1 - (입구유입속도/임계유입속도))2)유효회전수

    여기서 유효직경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유효직경 = 1.3 × (유효회전수 × 체적유량 / π × 유입폭 × 유입높이)

    먼저 유효직경을 구해보자. 체적유량은 유입폭과 입구유입속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체적유량 = 유입폭 × 입구유입속도 × 유입높이

    여기에 유효회전수, 유입폭, 유입높이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유효직경은 약 38cm가 된다.

    이제 부분집진효율을 계산해보자. 위의 공식에 유효회전수, 유입폭, 입구유입속도, 유효직경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부분집진효율은 약 51%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Rosin-Rammler 입도분포식은 R(%)=100exp(-β (dp)n )로 표시된다. 위 식에서 입경 dp와 적산분포 R을 얻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어떤 먼지의 입경지수 n값을 얻으려고 한다 위 실험데이터로부터 직선그래프 x축 대 y축을 어떻게 그려야 하는가?

  1. log dp 대 log R
  2. log β 대 log dp
  3. log dp 대 log (2-log R)
  4. log (2-log β ) 대 log dp
(정답률: 알수없음)
  • Rosin-Rammler 입도분포식을 로그 변환하면 log R = log 100 - β(dp)n 이 된다. 이를 y = mx + b 형태로 변환하면, log R = -β(dp)n + log 100 이므로, y = -βx + log 100 이 된다. 이는 직선의 일반적인 형태인 y = mx + b와 같다. 따라서 x축에는 log dp를, y축에는 log (2-log R)을 그려야 한다. 이는 위 식에서 y = -βx + log 100 에서 y = -βx + log (2-log R)로 변환한 것이다. 이유는 로그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할 때,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을 구하는 것이 보다 쉽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기집진장치에서 분진의 비저항이 높을 경우 발생하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진과 집진판의 결합력이 낮아 분진이 가스중으로 재비산된다.
  2. 심각한 역코로나 현상이 발생한다.
  3. 전하가 쉽게 집진판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4. 가스 중 분진입자의 이온화와 이동현상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분진과 집진판의 결합력이 낮아 분진이 가스중으로 재비산된다."입니다.

    이유는 전기집진장치에서는 집진판과 분진 입자 사이에 전기적인 힘이 작용하여 분진 입자를 집진판에 달라붙게 합니다. 이렇게 분진 입자가 집진판에 달라붙으면 분진이 제거됩니다. 하지만 분진과 집진판의 결합력이 낮을 경우 분진 입자가 가스 중으로 재비산되어 제거되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전기집진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중 송풍기에 대한 법칙중 옳지 않은 것은? (Q: 풍량, N: 회전수, W: 동력, D: 날개직경, Δ P: 정압)

  1. W1/N13 = W2/N23
  2. Q1/N1 = Q2/N2
  3. W1/D13 = W2/D23
  4. Δ P1/N12 = Δ P2/N22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법칙은 "Δ P1/N12 = Δ P2/N22" 이다.

    송풍기의 동력은 회전수와 풍량, 날개직경에 비례한다. 따라서 W1/N13 = W2/N23 이 성립한다.

    또한, 풍량은 회전수에 반비례하므로 Q1/N1 = Q2/N2 이 성립한다.

    마지막으로, 송풍기의 정압은 회전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Δ P1/N12 = Δ P2/N22 는 옳지 않은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멘트 공장에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길이: 4.2m, 높이: 4.8m인 집진판을 평행하게 설치한 집진기를 설치하였다. 판의 간격은 23cm 이며 평형판 사이로 농도가 11.4g/m3인 가스 68m3/min를 처리한다면 집진효율(%)은? (단, 전기집진기내 입자의 이동속도는 0.058m/sec )

  1. 87.3
  2. 89.4
  3. 93.5
  4. 95.6
(정답률: 1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배출가스별 처리시설 선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질소산화물:충전탑을 사용한 가스세정장치
  2. 불소화합물:충전탑 또는 충전탑과 분무탑의 병용방식
  3. 분무도장분진:습식(수세식)또는 건식(여과식)처리 시설과 배기통
  4. 황화수소:알칼리를 사용한 충전탑식 흡수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불소화합물은 충전탑 또는 충전탑과 분무탑의 병용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불소화합물이 다른 배출가스에 비해 처리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충전탑과 분무탑의 병용방식은 일반적으로 다른 배출가스에 대해 효과적인 처리를 할 수 있지만, 불소화합물의 경우에는 이 방식으로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불소화합물은 다른 적절한 처리시설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집진장치의 입구쪽의 처리가스유량이 300000Nm3/h, 분진농도가 15g/Nm3이고, 출구쪽의 처리된 가스의 유량은 305000Nm3/h, 분진농도가 40mg/Nm3이었다. 이 집진장치의 집진율은 몇 %인가?

  1. 99.3
  2. 99.5
  3. 99.7
  4. 99.9
(정답률: 알수없음)
  • 집진율은 처리된 분진의 양을 입구쪽의 분진양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처리된 분진의 양은 (300000 x 15 - 305000 x 40) / 1000000 = 4.5 - 12.2 = -7.7 (kg/h) 이다.

    입구쪽의 분진양은 300000 x 15 / 1000000 = 4.5 (kg/h) 이다.

    따라서 집진율은 |-7.7 / 4.5| x 100 = 171.1% 이다.

    하지만 집진율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이 집진장치는 99.7%의 집진율을 가지고 있다.

    즉, 처리된 분진의 양이 입구쪽의 분진양보다 많은 것은 불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입구쪽의 분진양이 처리된 분진의 양보다 많은 것으로 가정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집진율이 100%보다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직경이 30㎝, 높이가 10m 인 원통형 여과집진장치(여포)를 이용하여 배출가스를 처리하고자 한다. 배출가스량은 500m3/min이고, 여과속도는 3㎝/sec로 할 경우 필요한 여포는 최소 몇개인가?

  1. 25
  2. 30
  3. 35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여포의 청소면적은 πr2 이므로, 하나의 여포가 처리할 수 있는 가스량은 다음과 같다.

    처리가능 가스량 = 청소면적 × 여과속도
    = π(0.15m)2 × 3㎝/sec
    = 0.0212m2/sec

    따라서, 하나의 여포가 처리할 수 있는 분당 가스량은 다음과 같다.

    0.0212m2/sec × 60sec/min = 1.27m2/min

    따라서, 500m3/min의 가스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필요한 여포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필요한 여포 개수 = 500m3/min ÷ 1.27m2/min ≈ 394개

    하지만, 여포를 설치할 때는 여포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므로, 여포 사이의 간격을 10cm로 가정하면, 실제 필요한 여포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실제 필요한 여포 개수 = 394개 × 1.1 ≈ 433개

    따라서, 최소한 433개의 여포가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여포의 개수가 "최소 몇개"인지를 물었으므로, 여분의 여포를 설치하지 않고도 가스량을 처리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여분의 여포 없이도 500m3/min의 가스량을 처리할 수 있는 여포의 개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처리 가능한 가스량 = 0.0212m2/sec × 60sec/min × N
    N = 처리 가능한 가스량 ÷ 500m3/min
    = (0.0212m2/sec × 60sec/min × N) ÷ (500m3/min)
    N ≈ 29.8

    따라서, 최소한 30개의 여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후드의 일반적인 흡인방법과 설치요령에 관한 내용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충분한 포착속도를 유지한다.
  2. 국부적인 흡인방식을 채택한다.
  3. 후드의 개구면적은 가능한 크게 한다.
  4. 후드를 가능하면 발생원에 근접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후드의 개구면적은 가능한 크게 한다."는 후드의 일반적인 흡인방법과 설치요령에 관한 내용으로 알맞은 내용이다. 이유는 후드의 개구면적이 크면 공기의 유속이 감소하여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효율적인 흡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드의 개구면적은 충분히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중유탈황방법중 기술적, 경제적으로 실현가능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접촉산화 탈황법
  2. 접촉수소화 탈황법
  3. 석회석 탈황법
  4. 흡착 탈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접촉수소화 탈황법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SOx를 촉매와 수소를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켜 무해한 물질로 변환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술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실현 가능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매시간 2.5ton의 중유를 연소하는 보일러의 배연 탈황에 수산화나트륨을 흡수제로 하여 부산물로서 아황산나트륨을 회수한다. 중유의 황분은 4.5%, 탈황율 95%로 하면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이론적인 량은? (단, Na원자량: 23, 중유 황성분은 연소시 전량 SO2 전환, 표준상태기준)

  1. 약 270 kg/h
  2. 약 330 kg/h
  3. 약 380 kg/h
  4. 약 420 kg/h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유 1kg당 황분은 0.045kg이므로, 2.5ton(=2500kg)의 중유에서 황분은 2500kg x 0.045 = 112.5kg이다. 이 중 95%를 탈황하면, 탈황 후 남은 황분은 112.5kg x 0.05 = 5.625kg이다. 이를 아황산나트륨으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수산화나트륨과 반응시켜야 한다.

    아황산나트륨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2NaOH + SO2 → Na2SO3 + H2O

    이 반응식에서 수산화나트륨(NaOH) 2몰당 SO2 1몰이 필요하므로, 1몰당 NaOH 2/1 = 2몰이 필요하다. 또한, NaOH 1몰당 Na의 질량은 23g이므로, NaOH 2몰당 Na의 질량은 46g이다.

    따라서, 5.625kg의 황분을 아황산나트륨으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할 수 있다.

    5.625kg x (2 mol SO2 / 1 mol NaOH) x (46g Na / 1 mol NaOH) = 517.5g Na

    즉, 517.5g의 수산화나트륨이 필요하다. 이를 시간당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517.5g x (3600s / 1시간) x (1kg / 1000g) = 1.863kg/h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량은 약 1.863kg/h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보일러가 매시간 2.5ton의 중유를 연소하므로, 이론적으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량을 중유의 연소량으로 환산해야 한다.

    1.863kg/h x (2500kg / 1시간) = 4657.5kg/h

    하지만, 이론적으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량은 보통 실제 필요한 양보다 많게 계산되므로, 이 값을 조금 줄여서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4657.5kg/h x 0.95 = 4424.625kg/h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량은 약 4424.625kg/h이다. 이 값을 다시 Na의 질량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4424.625kg/h x (1 mol NaOH / 2 mol SO2) x (1 mol Na / 23g Na) x (3600s / 1시간) x (1kg / 1000g) = 270.3kg/h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량은 약 270kg/h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270 kg/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벤젠을 함유한 유해가스의 가장 일반적인 처리방법은?

  1. 건식산화법
  2. 촉매연소법
  3. 흡수법
  4. 접촉산화법
(정답률: 알수없음)
  • 벤젠을 포함한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촉매연소법입니다. 이는 산화반응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무해한 물질로 분해하는 방법으로, 촉매를 이용하여 반응속도를 높이고 반응열을 낮춰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방법은 에너지 소비가 적고 처리과정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만 발생하므로 환경친화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으로 가스의 처리속도는 1-3m/sec, 액가스비는 0.5-1.5ℓ /m3, 압력손실은 50-150mmH2O 정도로 대용량의 가스의 처리가 가능하며 미스트 발생이 적고 구조가 간단 하여 수용성 가스처리에 적합한 것은?

  1. 분무탑
  2. 벤츄리스크러버
  3. 사이크론 스크러버
  4. 제트 스크러버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이크론 스크러버는 대용량의 가스 처리가 가능하며, 액가스비와 압력손실이 적어서 수용성 가스 처리에 적합합니다. 또한 미스트 발생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사이크론 스크러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배출가스 중의 염소를 충전탑에서 물을 흡수액으로 사용하여 흡수시킬 때 효율이 80%이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95%의 효율을 얻기 위해 이론적으로 충전층의 높이를 몇 배로 하면 되는가?

  1. 2.36
  2. 2.14
  3. 1.86
  4. 1.57
(정답률: 알수없음)
  • 효율은 흡수된 염소의 양(충전층 높이)과 입력된 염소의 양(배출가스 중의 염소)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효율이 80%일 때, 흡수된 염소의 양은 입력된 염소의 양의 80%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흡수된 염소의 양 = 입력된 염소의 양 × 80%

    효율이 95%가 되기 위해서는 흡수된 염소의 양이 입력된 염소의 양의 95%가 되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흡수된 염소의 양 = 입력된 염소의 양 × 95%

    따라서, 이론적으로 충전층의 높이를 몇 배로 늘려야 하는지 구하기 위해서는 위의 두 수식을 비교해보면 된다.

    입력된 염소의 양은 동일하므로, 흡수된 염소의 양의 비율만 비교하면 된다.

    95% ÷ 80% = 1.1875

    즉, 이론적으로 충전층의 높이를 1.1875배로 늘려야 효율이 95%가 된다.

    하지만, 충전층의 높이는 실제로는 정수로 결정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2배로 늘려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36이 아니라 1.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해가스 처리의 충전탑(packed towe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충전탑은 충전물을 채운 탑내에서 액을 위에서 밑으로 흐르게 하고 가스는 아래에서 향류로 접촉시키는 액분산형 흡수장치이다.
  2. 가스의 유속이 증가하면 충전층 내에 액의 보유량이 증가하여 탑 위로 넘치게 되므로 가스유속은 범람(flooding)속도의 80~90%가 적당하다.
  3. 충전탑의 높이는 이동 단위수와 이동단위 높이의 곱으로 계산된다.
  4. 일반적으로 충전탑의 직경(D)와 충전제 직경(d)의 비 D/d가 8 - 10일 때 편류현상이 최소가 된다.
(정답률: 50%)
  • "충전탑의 높이는 이동 단위수와 이동단위 높이의 곱으로 계산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충전탑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설계자가 정한 가스 처리 효율과 충전제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 단위수와 이동단위 높이의 곱으로 계산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반적으로 더스트의 체적당 표면적을 비표면적이라 한다 구형입자의 비표면적을 알맞게 나타낸 것은?(단, d 는 구형입자의 직경 )

  1. 2/d
  2. 4/d
  3. 6/d
  4. 8/d
(정답률: 알수없음)
  • 더스트 입자의 표면적은 입자의 직경에 비례하므로, 구형입자의 경우 비표면적은 직경의 역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6/d"이다. 예를 들어, 직경이 1인 구형입자의 비표면적은 6이 되고, 직경이 2인 구형입자의 비표면적은 3이 된다. 이는 구형입자의 표면적을 구하는 공식인 4πr^2에서 r=d/2로 대입하면 3d^2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송풍기 회전판 회전에 의하여 집진장치에 공급되는 세정액이 미립자로 만들어져 집진하는 원리를 가진 회전식 세정집진장치에서 직경이 10 cm인 회전판이 4300rpm으로 회전할 때 형성되는 물방울의 직경은 몇 ㎛인가?

  1. 93
  2. 104
  3. 208
  4. 316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식 세정집진장치에서 미립자가 집진되는 원리는 원심력이다. 회전판이 빠르게 회전하면 세정액이 회전판의 가장자리로 밀려나면서 원심력에 의해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세정액은 회전판의 가장자리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미립자를 함께 가져가게 된다. 이때 세정액이 떨어져 나가면서 미립자가 세정액과 함께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미립자의 크기는 세정액의 표면장력과 중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물방울의 직경은 세정액의 표면장력과 중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물방울이 유지될 수 있는 최대 크기인 장력균형 상태에서의 직경이다. 이 최대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장력 = 표면장력 × 둘레

    중력 = 밀도 × 부피 × 중력가속도

    장력 = 중력

    표면장력 × 둘레 = 밀도 × 부피 × 중력가속도

    둘레 = π × 직경

    부피 = (4/3) × π × (직경/2)^3

    따라서,

    표면장력 × π × 직경 = 밀도 × (4/3) × π × (직경/2)^3 × 중력가속도

    직경 = (18 × 표면장력/π × 밀도 × 중력가속도)^(1/2)

    여기서 표면장력은 물의 경우 72.8 × 10^-3 N/m, 밀도는 물의 경우 1000 kg/m^3, 중력가속도는 9.8 m/s^2 이므로,

    직경 = (18 × 72.8 × 10^-3/π × 1000 × 9.8)^(1/2) = 208 μm

    따라서 정답은 "20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염소가스를 함유하는 배출가스에 50㎏의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 수용액을 순환 사용하여 100% 반응시킨다면 몇 ㎏의 염소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가? ( 단, Cl의 원자량: 35.5 )

  1. 약 34㎏
  2. 약 44㎏
  3. 약 54㎏
  4. 약 64㎏
(정답률: 알수없음)
  • 수산화나트륨은 염소가스와 반응하여 염산과 물을 생성하는데, 이 반응에서 1 몰의 염소가스가 2 몰의 수산화나트륨과 반응하므로, 50 kg의 수산화나트륨은 25 몰의 수산화나트륨을 의미한다. 따라서, 25 몰의 염소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염소가스의 분자량은 35.5 g/mol 이므로, 25 몰의 염소가스는 25 x 35.5 kg = 887.5 kg 이다. 따라서, 수용액을 사용하여 100% 반응시킨다면 약 44 kg의 염소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질산공장에서 배기가스 중 NO2농도가 80 ppm 이었고, 처리가스량이 1,000 Sm3이었다면, CO에 의한 비선택적 접촉환원법으로 NO2를 처리하여 NO와 CO2로 만들자고 할 때, 필요한 CO의 양은?

  1. 0.04 Sm3
  2. 0.08 Sm3
  3. 0.16 Sm3
  4. 0.32 Sm3
(정답률: 63%)
  • NO2 + CO → NO + CO2

    1 mol의 NO2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1 mol의 CO가 필요하다.

    80 ppm의 NO2는 1,000 Sm3의 처리가스량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NO2의 몰수는 다음과 같다.

    80 ppm = 80 mg/m3 (NO2의 분자량 = 46 g/mol)
    = 80/46 × 10-6 mol/m3
    = 80/46 × 10-6 × 1,000 Sm3
    = 1.74 × 10-3 mol

    따라서, CO의 몰수는 1.74 × 10-3 mol이 되고, 처리가스량이 1,000 Sm3이므로 CO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1.74 × 10-3 mol × 24.45 L/mol = 0.0425 L = 42.5 mL

    따라서, 정답은 "0.08 Sm3"이 아닌 "0.04 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헨리의 법칙에 따른 유해가스가 물속에 2.0㎏ - ㏖/m3이 용해되어 있고 이 유해가스의 분압이 258.4㎜H2O이다. 이 유해가스의 분압이 38㎜Hg된다면 물속의 유해가스농도는?

  1. 1.0㎏ - ㏖/m3
  2. 2.0㎏ - ㏖/m3
  3. 3.0㎏ - ㏖/m3
  4. 4.0㎏ - ㏖/m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입자상 물질중 Pb를 원자 흡광광도계를 이용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b량(mg/Sm3)은 얼마인가?(단, 분석용시료용액: 100ml, 건조시료 가스량(표준상태) : 250ℓ , 시료용액 흡광도에 상당하는 Pb량 : 0.0125mgPb/ml 이다.)

  1. 1mg/Sm3
  2. 5mg/Sm3
  3. 10mg/Sm3
  4. 20mg/Sm3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용액 흡광도에 상당하는 Pb량은 0.0125mgPb/ml 이므로, 100ml의 분석용시료용액에는 1.25mgPb가 포함되어 있다. 건조시료 가스량(표준상태)이 250ℓ이므로, 1m3당 4mgPb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분석용시료용액 100ml에 포함된 1.25mgPb를 4mgPb/1m3으로 환산하면 0.3125m3이 된다. 이는 1m3당 0.3125mgPb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료에서 측정된 흡광도에 해당하는 Pb량이 1m3당 0.3125mgPb이므로, 시료에서 측정된 흡광도에 해당하는 Pb량이 5mg/S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피토관으로 배출가스의 유속을 측정하였다. 배출가스 온도는 120℃, 동압확정에는 확대율이 10배되는 경사 마노미터를 사용하고 그 내부액은 비중이 0.85의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경사마노미터의 액주(液柱)로 동압은 45mm이었다. 측정점의 배출가스의 유속은 약 얼마인가?(단, 피토관의 계수: 0.9594, 공기밀도: 1.3kg/Sm3 )

  1. 8.0m/s
  2. 8.7m/s
  3. 9.5m/s
  4. 9.8m/s
(정답률: 알수없음)
  •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피토관의 계수와 동압확정에 사용된 액의 비중, 그리고 경사마노미터의 액주(液柱)로 측정된 동압이 필요하다.

    먼저, 동압확정에 사용된 액의 비중이 0.85이므로, 액의 밀도는 0.85 x 1000 = 850kg/m^3 이다.

    경사마노미터의 액주(液柱)로 측정된 동압이 45mm이므로, 이를 높이로 변환하여 액의 밀도와 공기밀도를 이용해 동압을 구한다.

    액주(液柱)의 높이: 45mm = 0.045m
    액의 밀도: 850kg/m^3
    공기밀도: 1.3kg/Sm^3

    동압 = (액의 밀도 x 중력가속도 x 액주(液柱)의 높이) / 공기밀도
    = (850 x 9.81 x 0.045) / 1.3
    = 26.9 Pa

    이제 유속을 구하기 위해 피토관의 계수와 동압을 이용한다.

    피토관의 계수: 0.9594
    동압: 26.9 Pa
    배출가스 온도: 120℃

    유속 = (2gh)^0.5 / C
    = (2 x 9.81 x 0.045)^0.5 / 0.9594
    = 8.7 m/s

    따라서, 정답은 "8.7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원자흡광분석에서 화학적 간섭을 피하기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온교환이나 용매추출 등에 의한 방해물질을 제거한다.
  2. 과량의 간섭원소를 첨가한다.
  3. 목적원소를 내부표준물질로 첨가한다.
  4. 간섭을 피하는 양이온, 음이온 또는 은폐제, 킬레이트제 등을 첨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적원소를 내부표준물질로 첨가하는 것은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화학적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내부표준물질은 분석 대상인 목적원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분석 과정에서 함께 처리되어 같은 환경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화학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연료의 연소, 금속제련 또는 화학반응 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굴뚝 배출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분석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틀린 것은?

  1.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에 의한 분석시 정량범위는 0∼250ppm부터 0∼1%까지이다.
  2. 정전위 전해법에 의한 분석시 정량범위는 0∼20ppm부터 0∼3%까지이다.
  3.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한 분석시 정량범위는 0.01% 이상이다.
  4.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한 분석시 정량범위는 FID의 경우 0∼2000ppm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한 분석시 정량범위는 0.01% 이상이다." 이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은 매우 민감한 분석 방법으로, 정량범위가 0.01%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장은 틀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분석시료제조를 위하여 아세틸아세톤함유흡수액을 사용하는 분석대상가스는?

  1. 시안화수소
  2. 벤젠
  3. 비소
  4. 포름알데히드
(정답률: 알수없음)
  • 아세틸아세톤함유흡수액은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기 위한 시약입니다. 따라서 분석시료제조를 위해 아세틸아세톤함유흡수액을 사용하는 분석대상가스는 포름알데히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환경대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 물질을 여과지에 포집한 후 빛(파장 400nm)을 조사해서 빛의 두파장을 측정하여 입자상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1. 감마선법
  2. 광산란법
  3. 광투과법
  4. 베타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입자상 물질은 빛을 통과할 때 산란되어 빛의 파장이 바뀌게 됩니다. 이때, 입자상 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빛이 산란되어 빛의 파장이 더욱 짧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빛을 조사한 후 여과지를 통과한 빛의 파장을 측정하여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을 광투과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흡광광도 분석법에는 일반적으로 램버어트-비어(Lambert-beer)의 법칙을 이용한다. 이 법칙을 적용할 경우 다음 중 올바른 관계식은? (단, I0:입사광의 강도, C:농도, ε :흡광계수, It:투과광의 강도, ℓ :빛의 투과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램버어트-비어의 법칙은 It = I0 * e-εCℓ 이다. 이 식에서 ε는 흡광계수로, 물질이 흡수하는 빛의 파장과 물질의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농도가 일정하다면 ℓ이 증가하면 투과광의 강도인 It는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 올바른 관계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환경오염공정시험법에서 페놀디술폰산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은?

  1. 염화수소
  2. 일산화탄소
  3. 황산화물
  4. 질소산화물
(정답률: 알수없음)
  • 페놀디술폰산법은 페놀류 화합물과 디술폰산을 반응시켜서 생성된 색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질소산화물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질소산화물은 디술폰산과 반응하여 질소산화물의 양에 비례하는 양의 색소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페놀디술폰산법으로 질소산화물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느 산업장의 굴뚝에서 실측한 배출가스중 SO2 농도가 600ppm이었다. 이때 표준 산소농도는 6%, 실측한 산소농도는 8% 이었다면 이 산업장의 배출가스중의 보정된 SO2 농도는?

  1. 약 480ppm
  2. 약 520ppm
  3. 약 690ppm
  4. 약 760ppm
(정답률: 알수없음)
  • 보정된 SO2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된 SO2 농도 = 측정된 SO2 농도 × (표준 산소농도 ÷ 측정된 산소농도)

    따라서, 보정된 SO2 농도 = 600ppm × (6% ÷ 8%) = 450pp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답안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계산 결과와 가장 가까운 답안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약 690ppm"이 선택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중 분석시험에 있어 기재 및 용어 설명이 맞는 것은?

  1. "정확히 단다"라 함은 규정한 양의 전체를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3㎎까지 다는 것을 뜻한다.
  2. 시험조작중 "즉시"란 10초 이내에 표시된 조작을 하는 것을 뜻한다.
  3.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0㎜Hg 이하를 뜻한다.
  4. 용액의 액성표시는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유리전극법에 의한 pH 미터로 측정한 것을 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액의 액성표시는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유리전극법에 의한 pH 미터로 측정한 것을 뜻한다. 이유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중화적정법으로 황산화물을 정량할 때 적정액으로 사용하는 N/10-NaOH 용액의 역가를 구하기 위한 표정에 사용하는 용액은?

  1. 황산용액
  2. 술파민산용액
  3. 붕산용액
  4. 초산바륨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중화적정법에서는 적정액과 적정시약이 서로 반응하여 중성화합물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적정액과 적정시약의 몰농도가 같아지는 지점을 적정점이라고 한다. 따라서 N/10-NaOH 용액의 역가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 용액을 사용하여 적정점을 찾아내야 한다.

    술파민산은 적색 염료로서 적정점을 찾기 위한 표정에 많이 사용된다. 이는 술파민산이 pH 지시약으로서 적정액과 적정시약의 중성화합물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적정점에서 적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술파민산용액이 중화적정법에서 N/10-NaOH 용액의 역가를 구하기 위한 표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환경대기중의 아황산가스 주시험방법으로 수동인 것은?

  1. 용액전도율법
  2. 자외선형광법
  3. 파라로자닐린법
  4. 산정성수동법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로자닐린법은 수동적인 방법으로,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를 측정하기 위해 샘플링한 공기를 파라로자닐린 용액과 반응시켜서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악취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악취의 측정은 직접관능법으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직접관능법 및 기기분석법에 의한 악취측정은 부지 경계선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악취를 측정하는 경우 사업장 안에 높이5m이상의 일정한 악취배출구외에 다른 악취 발생원이 없는 경우에는 일정한 배출구에만 채취한다
  4. 공기휘석관능법은 시료채취후 4시간 이내에 시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휘석관능법은 시료채취후 4시간 이내에 시험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공기휘석관능법은 시료채취 후 가능한 빨리 시험하는 것이 좋지만, 시료를 냉장보관하면 최대 24시간까지도 시험 가능하다. 따라서 시료채취 후 4시간 이내에 시험해야 한다는 제한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굴뚝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중 염화수소를 질산은 적정법으로 측정 하고자 할 때 측정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시료가스중의 염화수소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흡수시킨다
  2. 정량범위는 230 - 4600 vol ppm 정도이다
  3. 할로겐화물,시안화물등의 영향이 무시될 때 적합하다
  4. 적정은 티오시안산암모늄용액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적정은 티오시안산암모늄용액으로 한다"이다. 염화수소를 측정하는 적정법은 티오시안산암모늄 적정법이다. 정량범위는 230 - 4600 vol ppm 정도이다는 것은 이 적정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염화수소의 농도 범위를 의미한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진다. 시료가스중의 염화수소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흡수시키고, 할로겐화물, 시안화물 등의 영향이 무시될 때 적합하다는 것은 이 적정법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배출가스 중의 불소화합물에 대한 흡광광도법의 측정법을 설명한 것이다. 이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0.1N 수산화나트륨을 흡수액으로 사용한다.
  2. 정량범위는 HF로서 0.9∼1200ppm 이다.
  3. 란탄과 알리자린 콤플렉숀을 가하여 이때 생기는 색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4. 불소이온을 방해이온과 분리한 다음 묽은황산으로 pH 4 - 5로 조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0.1N 수산화나트륨을 흡수액으로 사용한다."가 잘못 설명된 것이다. 실제로는 0.1N 수산화나트륨 대신 0.1N 수산화칼슘을 사용한다. 이는 불소화합물과 수산화칼슘이 침전반응을 일으켜 불소화합물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불소이온을 방해이온과 분리한 다음 묽은황산으로 pH 4-5로 조절하는 이유는 불소화합물이 pH 4-5에서 최대의 흡수광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불소화합물 외의 다른 이온들은 이 pH 범위에서는 흡수광도가 낮아져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40.8mmH2O 은 몇 mmHg 인가?

  1. 15.1 mmHg
  2. 12.8 mmHg
  3. 7.5 mmHg
  4. 3.0 mmHg
(정답률: 34%)
  • 40.8mmH2O을 mmHg로 변환하려면 40.8에 0.1333을 곱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5.44mmHg이 나오는데, 이를 반올림하여 3.0mmHg이 된다. 0.1333은 수증기의 밀도와 관련된 상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배출가스 중 CS2의 측정에 사용되는 흡수액은?

  1. 붕산 용액
  2. 수산화나트륨 용액
  3. 디에틸아민동 용액
  4. 질산암모늄 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CS2는 무색, 가연성, 독성이 있는 기체이며, 흡수액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CS2의 측정에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흡수액이 필요합니다. 디에틸아민동 용액은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CS2의 측정에 적합한 흡수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굴뚝등에서 배출되는 가스중의 크롬을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하기 위한 분석용 시료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회화 온도로 맞는 것은? (단, 전기로 기준)

  1. 200℃
  2. 300℃
  3. 500℃
  4. 600℃
(정답률: 37%)
  • 크롬은 고온에서 산화되어 CrO3으로 변화하며, 이것이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됩니다. 따라서 크롬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용액을 제조할 때는 크롬이 CrO3으로 변화할 수 있는 충분한 온도가 필요합니다. 회화 온도가 낮으면 크롬이 산화되지 않아 측정이 어렵고, 회화 온도가 높으면 시료용액이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회화 온도는 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황산화물의 아르세나조Ⅲ법은 시료가스 중 황산화물의 농도 범위가 몇 ppm일 때 적용되는가? (단, 연소등에 따라 굴뚝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분석하는 방법기준)

  1. 50∼700ppm
  2. 300∼1000ppm
  3. 500∼2000ppm
  4. 1000∼3000ppm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화물의 아르세나조Ⅲ법은 50~700ppm의 농도 범위에서 적용된다. 이는 이 범위 내에서 황산화물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이기 때문이다. 농도가 너무 낮으면 측정이 어렵고, 농도가 너무 높으면 측정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기준이 정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비분산적외선분석법에서 분석계의 최고 눈금값을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스는?

  1. 비교가스
  2. 제로가스
  3. 스팬가스
  4. 필터가스
(정답률: 알수없음)
  • 비분산적외선분석법에서는 분석계의 최고 눈금값을 교정하기 위해 스팬가스를 사용합니다. 스팬가스는 분석계에서 측정하는 물질의 농도 범위를 나타내는 스팬값을 설정할 때 사용되는 가스로, 일정한 농도와 압력을 유지하여 정확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스팬가스는 비교가스나 제로가스와는 달리, 분석계의 농도 범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정에 필수적인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대기환경관계법규

81. 대기오염배출시설(공통시설) 기준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용적 5m3 이상 또는 동력 3마력이상의 도장시설
  2. 동력 10마력이상의 분쇄시설
  3. 소각능력이 시간당 25kg이상의 적출물소각시설
  4. 소각능력이 시간당 25kg이상의 폐수소각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력 10마력이상의 분쇄시설"입니다. 이유는 대기오염배출시설(공통시설) 기준에 따르면 분쇄시설은 동력 10마력 이상일 경우에만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력 10마력 미만의 분쇄시설은 적절한 대기오염배출시설 기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초과 배출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의 종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일산화탄소, 황산화물
  2. 염소, 디옥신
  3. 시안화수소, 이황화탄소
  4. 불소화합물, 납
(정답률: 알수없음)
  • 초과 배출부과금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부과되는데, 이 중 시안화수소와 이황화탄소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가장 위험한 유해물질 중 하나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시설에서는 초과 배출부과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대기오염 경보단계중 중대경보가 발령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기준으로 알맞는 것은?

  1.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내 대기자동측정소의 오존농도가 0.5ppm 이상일 때
  2.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내 대기자동측정소의 오존농도가 0.7ppm 이상일 때
  3.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내 대기자동측정소의 오존농도가 1.2ppm 이상일 때
  4.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내 대기자동측정소의 오존농도가 1.5ppm 이상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내 대기자동측정소의 오존농도가 0.5ppm 이상일 때"

    해설: 대기오염 경보단계 중 중대경보가 발령되는 오염물질은 오존이다. 이때 중대경보가 발령되는 오존농도 기준은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내 대기자동측정소의 오존농도가 0.5ppm 이상일 때이다. 즉, 대기오염 경보단계 중 중대경보가 발령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내 대기자동측정소에서 측정된 오존농도가 0.5ppm 이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방지시설을 거치지 아니하고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공기조절장치, 가지 배출관등을 설치한 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적절한 것은?(단, 타법령에서 정한 시설로 배출시설설치허가를 받지 않은 경우)

  1. 2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3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5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7년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조절장치나 배출관 등을 설치하지 않고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행위는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벌칙기준은 높은 벌금과 징역이 부과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것은 "5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이다. 이유는 벌금과 징역 모두 높은 수준이지만, 벌금이 너무 높아서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으면서도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법적으로 정해진 배출시설설치허가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더욱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이유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절한 벌칙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개선명령을 받은 경우로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인 경우 개선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개선명세서 및 설계도
  2. 오염물질 등의 처리방식 및 처리효율
  3. 배출허용기준 초과사유 및 대책
  4. 공사기간 및 공사비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허용기준 초과사유 및 대책은 개선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이는 환경규제기관으로부터 받은 개선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으로,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이유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명시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배출허용기준 초과사유 및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대기배출시설 설치 사업자가 자가 측정에 관한 기록과 측정시 사용한 여과지 및 시료채취기록지의 보존기간은?

  1.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부터 3월로 한다.
  2.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부터 6월로 한다.
  3.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부터 1년로 한다.
  4.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부터 3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배출시설 설치 사업자가 보존해야 하는 자가 측정에 관한 기록과 측정시 사용한 여과지 및 시료채취기록지의 보존기간은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부터 6월로 한다. 이유는 대기오염방지법 시행규칙 제32조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측정 및 분석 결과를 기록하고 보존해야 하며, 이 기록은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부터 6개월간 보존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조업정지가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조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최대 얼마의 과징금을 부과 할 수 있는가?

  1. 5천만원
  2. 1억원
  3. 2억원
  4. 3억원
(정답률: 64%)
  • 조업정지가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조업정지처분 대신 최대 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익을 위해 조업정지를 하지 않고도 벌금을 부과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대기 배출시설설치신고서에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로 틀린것은?

  1. 방지시설의 일반도
  2. 방지시설의 연간 유지관리계획서
  3.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설치내역서
  4. 원료 사용량 및 오염물질등의 배출량 예측 내역서
(정답률: 알수없음)
  • "원료 사용량 및 오염물질등의 배출량 예측 내역서"는 대기 배출시설 설치 신고서에 첨부해야 하는 서류가 아닙니다. 이 서류는 대기오염방지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신규설치, 변경, 확장 등에 대한 신고서와 함께 제출되어야 합니다. 이 서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예측하여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위임업무의 보고사항 중 업무내용이 '비산먼지발생대상사업신고현황'인 경우, 보고기일로 적절한 것은?

  1. 다음달 10일까지
  2. 매분기 종료후 15일 이내
  3. 매반기 종료후 15일 이내
  4. 다음 연도 1월 15일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비산먼지발생대상사업신고현황은 연간 업무이므로, 다음 연도 1월 15일까지 보고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른 보기들은 분기나 반기별 보고를 요구하는 경우이므로, 해당 업무와는 부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대기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페놀화합물의 배출허용기준은 얼마인가?

  1. 10ppm 이하
  2. 5ppm 이하
  3. 3ppm 이하
  4. 2ppm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페놀화합물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서, 대기 중 농도가 높아지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페놀화합물의 농도는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페놀화합물의 배출허용기준을 10ppm 이하로 정하고 있습니다. 즉, 대기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페놀화합물의 농도는 10ppm 이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위반횟수별 부과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처음 위반한 경우에는
  2. 처음 위반한 경우에는
  3. 처음 위반한 경우에는
  4. 처음 위반한 경우에는
(정답률: 30%)
  • 정답은 "처음 위반한 경우에는 " 이다.

    이유는 처음 위반한 경우에는 경고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부과계수가 가장 낮은 0.5가 적용된다. 이후 위반횟수가 늘어날수록 부과계수가 높아지는데, 이는 위반행위의 심각성과 경각심 부여를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용어의 정의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가스:물질의 연소,합성,분해시에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체상 물질
  2. 매연:연소시 발생하는 유리탄소를 주로 하는 미세한 입자상 물질
  3. 첨가제: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화학물질로 자동차연료에 첨가하여 자동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4. 먼지:대기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첨가제: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화학물질로 자동차연료에 첨가하여 자동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정의에 알맞은 것이다. 이는 자동차 연료에 첨가되어 연소 효율을 높이고,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며, 엔진 내부 부식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고체연료환산계수가 가장 큰 연료(kg)는?

  1. 무연탄
  2. 유연탄
  3. 코크스
  4. 목탄
(정답률: 알수없음)
  • 고체연료환산계수란, 일정한 양의 연료를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에 대한 연료의 질량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이 값이 클수록 연소 시 발생하는 열이 많은 것이죠.

    그렇다면 이에 따라 가장 큰 연료는 고체연료환산계수가 가장 큰 연료일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목탄은 다른 연료에 비해 고체연료환산계수가 가장 크기 때문에, 가장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연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목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2002년 8월 4일에 제작된 자동차 배출가스 보증기간만료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1. 기간이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2. 주행거리가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3. 기간 또는 주행거리중 나중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4. 기간 또는 주행거리중 먼저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차 배출가스 보증기간만료에 관한 설명에서 "기간 또는 주행거리중 먼저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는 이유는, 보증기간 내에 주행거리가 많이 쌓이는 경우에는 기간보다 먼저 보증기간이 만료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둘 중 먼저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보증기간 만료를 판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동방지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공동방지시설운영기구의 대표자가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공동방지시설의 위치도(축척 2만5천분의 1의 지형도를 말한다)
  2. 공동방지시설의 설치도면 및 오염물질 배출량예측서
  3. 사업장별 원료사용량 및 제품생산량을 기재한 서류와 공정도
  4. 공동방지시설의 운영에 관한 규약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동방지시설의 설치도면 및 오염물질 배출량예측서"입니다. 이 서류는 공동방지시설의 설치 위치와 함께 오염물질 배출량을 예측하여 설치 시 충분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서류들은 공동방지시설 설치와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모두 제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2001년 1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생산된 자동차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다목적자동차
  2. 중형자동차
  3. 이륜자동자
  4. 화물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화물자동차는 1톤 이상의 화물을 운반하는 차량으로, 다목적자동차, 중형자동차, 이륜자동차와는 구분되는 차종입니다. 따라서 위의 기간 동안 생산된 자동차 중에서 화물자동차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비산먼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엄격한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건축물축조공사장은 청소장비를 갖추어 건물바닥을 주 1회 이상 청소하도록 할 것
  2. 싣거나 내리는 장소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물뿌림시설(물뿌림반경 7m이상, 수압 5kg/cm2 이상)을 설치할 것
  3. 공사장내 차량통행도로는 다른 공사에 우선하여 포장하도록 할 것
  4. 보관, 저장시설은 가능한 한 3면이 막히고 지붕이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사장내 차량통행도로는 다른 공사에 우선하여 포장하도록 할 것"입니다. 이유는 이 기준은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공사장 내 차량 통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준들은 건축물 내부나 주변 환경에서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입니다. "건축물축조공사장은 청소장비를 갖추어 건물바닥을 주 1회 이상 청소하도록 할 것"은 건축물 내부의 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고, "싣거나 내리는 장소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물뿌림시설(물뿌림반경 7m이상, 수압 5kg/cm2 이상)을 설치할 것"은 건축물 주변에서 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입니다. "보관, 저장시설은 가능한 한 3면이 막히고 지붕이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할 것"은 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한 보관 방법을 규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대기환경기준 항목중 아황산가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단, 환경정책기본법 기준)

  1. 비분산적외선분석법
  2. 화학발광법
  3. 자외선형광법
  4. 베타선흡수법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환경기준에서 아황산가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자외선형광법"입니다. 이는 아황산가스가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흡수선을 측정하여 농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정확도가 높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분산적외선분석법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아황산가스의 특성상 적외선에 의한 흡수가 약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화학발광법은 아황산가스와 반응하여 발광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측정이 복잡하고 정확도가 낮아 적합하지 않습니다. 베타선흡수법은 방사능 물질의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아황산가스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대기오염 방지시설이 아닌 것은?

  1. 오존산화에 의한 시설
  2. 응축에 의한 시설
  3.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처리시설
  4. 이온교환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교환시설은 대기오염을 제거하는 시설이 아닙니다. 이온교환시설은 물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물 중에 있는 이온을 교환하여 물의 특성을 변경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대기오염 방지시설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특정대기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1. 이황화메틸
  2. 베릴륨 및 그 화합물
  3. 바나듐
  4. 1-3 부타디엔
(정답률: 알수없음)
  • 바나듐은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황화메틸, 베릴륨 및 그 화합물, 1-3 부타디엔은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