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대기환경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 개론

1. 다음 중 CO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는 다른 물질에 대한 흡착현상을 거의 나타내지 않으며, 유해한 화학반응 또한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2. CO의 자연적 발생원에는 화산폭발, 테르펜의 산화, 클로로필의 분해 등이 있다.
  3. 지구의 위도별 CO 농도는 남위 50도 부근에서 최대치를 보인다.
  4. 도시 대기중의 CO 농도가 높은 것은 연소 등에 의해 배출량은 많은 반면, 토양면적 등의 감소에 따라 제거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72%)
  • "CO는 다른 물질에 대한 흡착현상을 거의 나타내지 않으며, 유해한 화학반응 또한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CO는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유해한 화학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흡착현상도 일부 나타난다.

    "지구의 위도별 CO 농도는 남위 50도 부근에서 최대치를 보인다."의 이유는 이 지역에서는 산림 화재, 산불, 화석 연료 연소 등의 인위적인 배출물 외에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CO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이 지역은 대기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북극 극지방과 아열대 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대기 확산이 어렵기 때문에 CO가 쌓이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벤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체내에 흡수된 벤젠은 지방이 풍부한 피하조직과 골수에서 고농도로 축적되어 오래 잔존할 수 있다.
  2. 체내에서 마뇨산(Huppuric acid)으로 대사하여 소변으로 배설된다.
  3. 비점은 약 80℃ 정도이고, 체내 흡수는 대부분 호흡기를 통하여 이루어 진다.
  4. 벤젠 폭로에 의해 발생되는 백혈병은 주로 급성 골수아성 백혈병(acute myeloblasticleukemia)이다.
(정답률: 80%)
  • 체내에서 벤젠은 마뇨산으로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벤젠은 간에서 대사되어 벤젠옥시산과 같은 대사산물로 배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등압선이 곡선인 경우, 원심력, 기압경도력, 전향력의 세 힘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등압선을 따라 부는 바람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균풍
  2. 코리올리풍
  3. 경도풍
  4. 마찰풍
(정답률: 83%)
  • 등압선이 곡선인 경우, 원심력, 기압경도력, 전향력의 세 힘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등압선을 따라 부는 바람을 "경도풍"이라고 한다. 이는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이 서로 상쇄되어 발생하는 바람으로, 등압선을 따라서 부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달리 지균풍은 등압선과 수직으로 부는 바람, 코리올리풍은 회전하는 지구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바람, 마찰풍은 지표면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오염물질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PAN은 Peroxy Acetyl Nitrate 의 약자이며, CH3COOONO2의 분자식을 갖는다.
  2. PAN은 PBN(Peroxy Benzoyl Nitrate)보다 100배 이상 눈에 강한 통증을 주며, 빛을 흡수시키므로 가시거리를 감소시킨다.
  3. 오존은 섬모운동의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염색체 이상이나 적혈구의 노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4. R기가 propionyl 기이면, PPN(Peroxy Propionyl Nitrate)이 된다.
(정답률: 80%)
  • "R기가 propionyl 기이면, PPN(Peroxy Propionyl Nitrate)이 된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PAN과 PBN은 모두 대기 오염물질로서 눈에 강한 통증을 유발하고 가시거리를 감소시키는 반면, PPN은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Sutton의 확산식에서 지표고도에서 최대오염이 나타나는 풍하측 거리(m)는? (단, ky = kz = 0.07, He = 155m, 2/(2-n)=1.14이다.)

  1. 약 3950m
  2. 약 4250m
  3. 약 5280m
  4. 약 6510m
(정답률: 43%)
  • Sutton의 확산식에서 최대오염이 나타나는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x = 2.6 * (He * (2/(2-n)) * (ky * kz)**0.5)**(1/3)

    여기서 He는 지표고도, n은 대기 안정도, ky와 kz는 수직 및 수평 확산계수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x = 2.6 * (155 * (2/(2-0.14)) * (0.07 * 0.07)**0.5)**(1/3)
    ≈ 6510m

    따라서, 최대오염이 나타나는 풍하측 거리는 약 651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어떤 지역의 고도에 따른 대기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주로 침강역전 (Subsidence Inversion)에 해당하는 부분은?

  1. AB 구간
  2. BC 구간
  3. CD 구간
  4. DE 구간
(정답률: 69%)
  • CD 구간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상승하는 정상적인 대기 상태와는 달리,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침강역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CD 구간은 주로 침강역전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기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 중 분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2. 시나리오 작성이 곤란하고, 미래예측이 어렵다.
  3. 먼지의 영향평가는 기상의 불확실성과 오염원이 미확인인 경우에 문제점을 가진다.
  4. 오염물의 단기간 분석시 문제가 된다.
(정답률: 72%)
  • "시나리오 작성이 곤란하고, 미래예측이 어렵다."는 분산모델이 대기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 이는 대기오염원의 영향이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나리오 작성이 어렵고, 미래예측이 어렵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시간에 10000대의 차량이 고속도로 위에서 평균시속 80km로 주행되며, 각 차량의 평균탄화수소 배출률은 0.02g/s 이다. 바람이 고속도로와 측면 수직방향으로 5m/s로 불고 있다면 도로지반과 같은 높이의 평탄한 지형의 풍하 500m 지점에서의 지상오염농도(㎍/m3)는? (단, 대기는 중립상태이며, 풍하 500m에서의 δz = 15m, 를 이용)

  1. 26.6 ㎍/m3
  2. 34.1 ㎍/m3
  3. 42.4 ㎍/m3
  4. 51.2 ㎍/m3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모양 중 원추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직온도경사가 과단열 적이고, 난류가 심할 때 주로 발생한다.
  2. 지표역전이 파괴되면서 발생하며 30분 정도 이상은 지속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3. 연기의 상하부분 모두 역전인 경우 발생한다.
  4. 구름이 많이 낀 날에 주로 관찰된다.
(정답률: 76%)
  • "수직온도경사가 과단열 적이고, 난류가 심할 때 주로 발생한다."는 원추형 연기모양과 관련이 있지만, 가장 적합한 설명은 "연기의 상하부분 모두 역전인 경우 발생한다."입니다.

    "구름이 많이 낀 날에 주로 관찰된다."는 원추형 연기모양이 대기 중 물방울과 충돌하여 물방울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인 증발추적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구름이 많이 낀 날에는 대기 중 물방울이 많아져 증발추적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우시안 모델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로 평탄지역에 적용하도록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복잡지형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2. 간단한 화학반응을 묘사할 수 있다.
  3. 점오염원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확산되어가는 plume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유도한다.
  4. 장, 단기적인 대기오염도 예측에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68%)
  • "점오염원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확산되어가는 plume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유도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가우시안 모델은 오염원이 일정한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가정은 실제 상황과는 다를 수 있으며, 모델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하는 오염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은
  2. 크롬
  3. 알루미늄
(정답률: 67%)
  • 위 그림은 납 배관으로 인한 음용수 오염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오염물질은 "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염소 또는 염화수소 배출 관련업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오다 공업
  2. 농약 제조업
  3. 화학 공업
  4. 시멘트 제조업
(정답률: 75%)
  • 시멘트 제조업은 염소 또는 염화수소를 배출하는 공정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업종입니다. 소오다 공업은 염화수소를 생산하는 업종, 농약 제조업은 염화수소를 사용하는 업종, 화학 공업은 다양한 화학물질을 생산하고 배출하는 업종으로 염소 또는 염화수소 배출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성비와 관련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성비란 보통 빗물의 pH가 5.6보다 낮게 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는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CO2가 빗방울에 흡수되었을 때의 pH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2. 산성비는 인위적으로 배출된 SOx 및 NOx 화합물질이 대기중에서 황산 및 질산으로 변환되어 발생한다.
  3. 산성비가 토양에 내리면 토양은 산적 성격이 약한 교환기부터 순서적으로 Ca2+, Mg2+, Na+, K+ 등의 교환성 염기를 방출하고, 그 교환자리에 H+가 흡착되어 치환된다.
  4. 산성비 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으로 국가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조약인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었다.
(정답률: 77%)
  • 산성비가 토양에 내리면 토양의 교환성 염기를 방출하는 것은 산성비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산성비 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으로는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었다. 이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협약으로, SOx 및 NOx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제한하고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각 오염물질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포스겐은 수분이 있으면 가수분해하여 염산이 생기므로 금속을 부식시킨다.
  2. 오존은 타이어나 고무절연제 등 고무제품에 균열을 일으키기도 한다.
  3. 시안화 수소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복숭아 씨 냄새 비슷한 자극취를 내며, 비중은 약 0.7 정도이다.
  4. 포스겐(CHCl2)은 화학반응성, 인화성, 폭발성 및 부식성이 강한 청록색의 기체이다.
(정답률: 44%)
  • 정답은 "시안화 수소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복숭아 씨 냄새 비슷한 자극취를 내며, 비중은 약 0.7 정도이다."입니다. 다른 세 가지 오염물질에 대한 설명은 각각 포스겐, 오존, 시안화 수소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시안화 수소에 대한 설명은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바람장미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오염물질의 이동방향은 주풍과 같은 방향이며, 풍속은 막대 날개의 길이로 표시한다.
  2. 방향량(Vector)은 관측된 풍향별 회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3. 주풍은 가장 빈번히 관측된 풍향을 말하며, 막대의 길이를 가장 길게 표시한다.
  4. 풍속이 0.2m/s 이하일 때를 정온(Calm)상태로 본다.
(정답률: 65%)
  • "대기오염물질의 이동방향은 주풍과 같은 방향이며, 풍속은 막대 날개의 길이로 표시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바람장미는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는 기기로, 막대의 방향이 바람의 방향을, 막대의 길이가 바람의 풍속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만으로만 옳게 연결된 것은?

  1. 바젤협약 - 비엔나협약
  2. 오슬로협약 - 비엔나협약
  3. 비엔나협약 - 몬트리올의정서
  4. 몬트리올의정서 - 람사협약
(정답률: 62%)
  • 정답은 "비엔나협약 - 몬트리올의정서"입니다. 비엔나협약은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오존층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국가들에게 약속하게 합니다. 이후 몬트리올의정서는 오존층 파괴물질인 염화물질의 생산과 사용을 금지하도록 국제적인 협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따라서 두 협약은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실내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석면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유화화된 규산염 광물의 총칭이고, 미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아크티놀라이트(백석면)가 있다.
  2. 석면의 발암성은 청석면>아모싸이트>온석면 순이다.
  3. Rn - 222의 반감기는 3.8일이며, 그 남핵종도 같은 종류의 알파선을 방출하지만 화학적으로는 거의 불활성이다.
  4. 우라늄과 라듐은 Rn - 222의 발생원에 해당된다.
(정답률: 64%)
  • 석면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유화화된 규산염 광물의 총칭이고, 미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아크티놀라이트(백석면)가 있다." 인 이유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석면의 발암성은 청석면>아모싸이트>온석면 순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Rn - 222의 반감기는 3.8일이며, 그 남핵종도 같은 종류의 알파선을 방출하지만 화학적으로는 거의 불활성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우라늄과 라듐은 Rn - 222의 발생원에 해당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질소산화물(NOx)에 의한 피해 및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NO2의 광화학적 분해작용으로 대기 중의 O3 농도가 증가하고 HC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somg를 생성시킨다.
  2. NO2는 가시광선을 흡수하므로 0.25ppm 정도의 농도에서 가시거리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3. NO2는 습도가 높은 경우 질산이 되어 금속을 부식시키며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4. 인체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시 동물을 사용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NO2는 주로 위장 장애현상을 초래한다.
(정답률: 50%)
  • 인체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시 동물을 사용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NO2는 주로 위장 장애현상을 초래한다. 이는 NO2가 호흡기로 들어가면 위장으로 이동하여 위산을 증가시키고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위장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2000m에서 대기압력(최초기압)이 860mbar, 온도가 5℃, 비열비 K가 1.4일 때 온위(Potential Temperature)는? (단, 표준압력은 1000mbar)

  1. 약 284K
  2. 약 290K
  3. 약 294K
  4. 약 309K
(정답률: 65%)
  • 온위는 대기를 상승시켜서 표준압력(1000mbar)에서의 온도로 변환한 것이다. 따라서, 2000m에서의 온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θ = T x (1000/P)^K

    여기서, T는 절대온도(K)이므로 5℃를 273.15을 더해 278.15K로 변환한다. P는 대기압력을 표준압력으로 나눈 비율이므로 860/1000 = 0.86이다. 따라서,

    θ = 278.15 x (1000/860)^1.4
    ≈ 290K

    따라서, 정답은 "약 290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대기오염물의 분산과정에서 최대 혼합깊이(Maximum mixing depth)를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1. 열부상 효과에 의한 대류혼합층의 높이
  2. 풍향에 의한 대류혼합층의 높이
  3. 기압의 변화에 의한 대류혼합층의 높이
  4. 오염물간 화학반응에 의한 대류혼합층의 높이
(정답률: 63%)
  • 대기오염물의 분산과정에서 최대 혼합깊이는 대류혼합층의 높이를 나타내는데, 이는 대류혼합층이 형성되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기오염물의 분산과정에서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열부상 효과에 의한 대류혼합층의 높이"입니다. 이는 태양열에 의해 지표면이 가열되면, 지표면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대류혼합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대류혼합층의 높이가 최대 혼합깊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의 분산과정에서는 이러한 열부상 효과에 의한 대류혼합층의 높이를 고려하여 최대 혼합깊이를 산정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연소공학

21. Propane의 최소산소농도(MOC)는? (단, Propane의 폭발하한계는 2.1 vol% 이다.)

  1. 6.3vol%
  2. 10.5vol%
  3. 19.6vol%
  4. 24.6vol%
(정답률: 70%)
  • Propane의 폭발하한계는 2.1 vol%이므로, 최소산소농도는 폭발하한계의 5배인 10.5 vol%이다. 이는 Propane과 산소가 혼합된 공기 중에서 Propane이 폭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0.5%의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열생성 NOx(Thermal NOx)를 억제하는 연소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희박예혼합연소: 당량비를 높여 NOx 발생온도를 현저히 낮추어(2000K 이하) propmpt NOx로의 전환을 유도한다.
  2. 화염형상의 변경: 화염을 분할하거나 막상으로 얇게 늘려서 열손실을 증대시킨다.
  3. 완만혼합: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완만하게 하여 연소를 길게 함으로써 화염온도의 상승을 억제한다.
  4. 배기재순환: 팬을 써서 굴뚝가스를 로의 상부에 피드백시켜 최고 화염온도와 산소농도로 억제한다.
(정답률: 73%)
  • "화염형상의 변경: 화염을 분할하거나 막상으로 얇게 늘려서 열손실을 증대시킨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희박예혼합연소"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를 높여서 연소 온도를 낮추어 NOx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연소 온도를 낮추어 NOx 발생을 줄이기 때문에 환경에 더욱 친화적이다.

    화염형상의 변경은 화염을 분할하거나 막상으로 얇게 늘려서 열손실을 증대시켜 NOx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화염의 형상을 변경하여 열손실을 증대시켜 NOx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지만, 다른 방법들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OM 연소장치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유전용 보일러의 경우 별도의 개조없이 COM을 연료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화염길이는 미분탄 연소에 가까운 반면, 화염안정성은 중유연소에 가깝다.
  3. 연소실 내의 체류시간의 부족, 분사변의 폐쇄와 마모, 재의 처리 등에 주의할 필요학 있다.
  4. 중유보다 미립화 특성이 양호하다.
(정답률: 43%)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중유보다 미립화 특성이 양호하다." 이다.

    "중유전용 보일러의 경우 별도의 개조없이 COM을 연료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중유전용 보일러가 COM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화염길이는 미분탄 연소에 가까운 반면, 화염안정성은 중유연소에 가깝다."는 COM의 연소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연소실 내의 체류시간의 부족, 분사변의 폐쇄와 마모, 재의 처리 등에 주의할 필요학 있다."는 COM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중유보다 미립화 특성이 양호하다."는 COM과 중유의 연소 특성을 비교하는 것으로, 다른 항목들과는 거리가 먼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등가비(Equivalence Ratio, Φ)와 공기비(λ)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Φ = 2λ
  2. Φ = (1- λ)
  3. Φ·λ= 1
  4. Φ = (λ/2)λ
(정답률: 50%)
  • 등가비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화학적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공기비는 공기와 연료의 질량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둘은 역수 관계에 있다. 즉, Φ·λ= 1이다. 이는 연료와 공기의 화학적 균형과 질량비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Φ가 증가하면 연료의 양이 증가하므로 공기비인 λ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Φ와 λ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연료와 공기의 적절한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료비는 탄화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고정탄소/휘발분 으로 계산된다.
  2. 석유계 액체연료는 고위발열량이 10000-12000 kcal/kg정도이고, 메탄올과 같이 산소를 함유한 연료의 경우 발열량은 일반 석유계 액체연료보다 높아진다.
  3. 일산화탄소의 고위발열량은 3000kcal/Nm3정도이며, 프로판과 부탄보다 발열량이 낮다.
  4. LPG는 상온에서 압력을 주면 용이하게 액화되는 석유계의 탄화수소를 말한다.
(정답률: 43%)
  • "일산화탄소의 고위발열량은 3000kcal/Nm3정도이며, 프로판과 부탄보다 발열량이 낮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석유계 액체연료는 고위발열량이 10000-12000 kcal/kg정도이고, 메탄올과 같이 산소를 함유한 연료의 경우 발열량은 일반 석유계 액체연료보다 높아진다. 이는 산소를 함유한 연료가 연소할 때 더 많은 열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폭발성 혼합가스의 연소범위(L)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nn: 각 성분 단일의 연소한계(상한 또는 하한) pn: 각 성분 가스의 체적(%))

(정답률: 7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폭발성 혼합가스의 연소범위는 각 성분의 연소한계와 체적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성분의 연소한계와 체적을 이용하여 연소범위를 구하는 식이 필요하며, 이 식이 바로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화격자의 종류 중 폰 롤 시스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말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건조 화격자
  2. 회전 화격자
  3. 연소 화격자
  4. 후연소 화격자
(정답률: 60%)
  • 폰 롤 시스템에서는 화염이 일직선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화염이 회전하면서 진행하는 회전 화격자를 사용한다. 따라서 "회전 화격자"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액체연료의 대부분은 원유의 정제에 의해 만드는 석유계 연료로서 많은 탄화수소의 혼합물들이다. 다음 탄화수소의 분류 중 알카인(Alkyne)계의 일반식은?

  1. CnH2n
  2. CnH2n+2
  3. CnH2n-2
  4. CnH2n-6
(정답률: 49%)
  • 알카인(Alkyne)계의 탄화수소는 탄소 원자들이 삼중결합으로 이어져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때, 삼중결합은 하나의 σ결합과 둘의 π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탄소 원자 하나당 수소 원자가 두 개씩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식은 CnH2n-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동차 내연기관의 공연비와 유해가스 발생 농도와의 일반적인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공연비를 이론치보다 높이면 NOx는 감소하고, CO, HC는 증가한다.
  2. 공연비를 이론치보다 낮추면 NOx는 감소하고, CO, HC는 증가한다.
  3. 공연비를 이론치보다 높이면 NOx, CO, HC 모두 증가한다.
  4. 공연비를 이론치보다 낮추면 NOx, CO, HC 모두 감소한다.
(정답률: 64%)
  • 내연기관에서 공연비를 이론치보다 낮추면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소가 완전하지 않아 CO와 HC가 증가하게 되고, 반면 NOx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공연비를 이론치보다 낮추면 NOx는 감소하고, CO, HC는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체연료의 일반적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발열량의 것으로 고온을 얻을 수 있고, 전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연소효율이 높고 검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많은 과잉공기가 소모된다.
  3. 저장이 곤란하고 시설비가 많이 든다.
  4. 연료 속에 황이 포함되지 않은 것이 많고, 연소조절이 용이하다.
(정답률: 59%)
  • "연소효율이 높고 검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많은 과잉공기가 소모된다."는 기체연료의 일반적 특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기체연료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되기 때문에, 연소 반응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 많은 과잉공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전체 연소과정에서 일부 연료가 완전 연소되지 않고 남아 검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소효율이 높아도 과잉공기 소모로 인해 연료 소비량이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솔린엔진과 디젤엔진의 상대적인 특성을 비교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가솔린엔진은 예혼합연소, 디젤엔진은 확산연소에 가깝다.
  2. 가솔린엔진은 연소실 크기에 제한을 받는 편이다.
  3. 디젤엔진은 공급공기가 많기 때문에 배기가스 온도가 낮아 엔진 내구성에 유리하다.
  4. 디젤엔진은 가솔린엔진에 비하여 자기착화온도가 높아 검댕, CO, HC의 배출농도 및 배출량이 많다.
(정답률: 54%)
  • 정답은 "디젤엔진은 가솔린엔진에 비하여 자기착화온도가 높아 검댕, CO, HC의 배출농도 및 배출량이 많다."가 아닙니다. 디젤엔진은 가솔린엔진에 비해 자기착화온도가 높아서 더욱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하며, 따라서 CO와 HC의 배출량이 적습니다. 그러나 디젤엔진은 NOx의 배출량이 많아서 대기오염물질로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건타입(Gun type)버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형식은 유압식과 공기분무식을 합한 것이다.
  2. 유압은 보통 7kg/cm2이상이다.
  3. 연소가 양호하고, 전자동 연소가 가능하다.
  4. 유량조절 범위가 넓어 대용량에 적합하다.
(정답률: 67%)
  • "유량조절 범위가 넓어 대용량에 적합하다."가 틀린 설명은 아니다. 건타입 버너는 유압식과 공기분무식을 합한 형식으로, 연소가 양호하고 전자동 연소가 가능하며, 보통 7kg/cm2 이상의 유압을 사용한다. 또한 유량조절 범위가 넓어 대용량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화염으로부터 열을 받으면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는 연소로써, 휘발유, 등유, 알콜, 벤젠 등의 액체연료의 연소형태는?

  1. 표면연소
  2. 자기연소
  3. 증발연소
  4. 발화연소
(정답률: 57%)
  • 액체연료가 화염으로부터 열을 받으면, 먼저 표면에서 열이 전달되어 액체연료의 표면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로 인해 액체연료의 표면에서 증발이 일어나고, 증발된 가스가 화염과 접촉하여 연소합니다. 이러한 연소 형태를 증발연소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일러에서 저온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과잉공기를 줄여서 연소한다.
  2. 가스온도를 산노점 이하가 되도록 조업한다.
  3. 연료를 전처리하여 유황분을 제거한다.
  4. 장치표면을 내식재료로 피복한다.
(정답률: 60%)
  • 가스온도를 산노점 이하가 되도록 조업하는 것은 연소 시 생성되는 산화물질의 양을 줄여서 보일러 내부의 산성 환경을 중성화시키기 때문에 저온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소 과정 자체를 개선하는 방법이지만, 가스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연소 후 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류연소 버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압분무식 버너: 연료의 점도가 크거나, 유압이 5kg/cm2 이하가 되면 분무화가 불량하다.
  2. 회전식 버너: 연료유 분사유량은 직결식의 경우 1000L/hr 이하이다.
  3. 고압기류 분무식 버너: 분무각도는 30°정도로 작은 편이며, 분무에 필요한 1차 공기량은 이론연소공기량의 7-12% 정도이다.
  4. 저압기류 분무식 버너: 비교적 좁은 각도의 긴 화염이며, 용량은 2000-3000L/hr로 주로 대형 가열로에 이용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저압기류 분무식 버너: 비교적 좁은 각도의 긴 화염이며, 용량은 2000-3000L/hr로 주로 대형 가열로에 이용된다."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각각 유압분무식, 회전식, 고압기류 분무식 버너에 대한 설명이지만, 저압기류 분무식 버너에 대한 설명은 오히려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통풍방식 중 흡인통풍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노내압이 부압으로 냉기침입의 우려가 있다.
  2. 송풍기의 점검 및 보수가 어렵다.
  3. 연소용 공기를 예열할 수 있다.
  4. 굴뚝의 통풍저항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정답률: 49%)
  • "연소용 공기를 예열할 수 있다."는 흡인통풍의 장점 중 하나로, 외부 공기를 먼저 예열하여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연소 효율을 높이고,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흡인통풍은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C: 85%, H: 15%의 액체 연료를 100kg/h로 연소하는 경우, 연소 배출가스의 분석결과가 CO2: 12%, O2: 4%, N2: 84%이었다면 실제 연소용 공기량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약 1160 Sm3/h
  2. 약 1410 Sm3/h
  3. 약 1620 Sm3/h
  4. 약 1730 Sm3/h
(정답률: 56%)
  • 먼저 연료의 질량비를 계산해보면, C: 85kg/h, H: 15kg/h가 된다. 이를 바탕으로 연소식을 쓰면 다음과 같다.

    C85H15 + (85+15/4*(O2-4))O2 + 3.76*(85+15/4*(O2-4))N2 → 85CO2 + 7.5H2O + 3.76*(85+15/4*(O2-4))N2

    여기서 O2와 N2의 비율은 공기의 비율과 같으므로, 공기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연료의 질량에 공기의 질량비를 곱해주면 된다. 공기의 질량비는 다음과 같다.

    O2: 21%, N2: 79%

    따라서 공기의 질량비는 다음과 같다.

    0.21O2 + 0.79N2

    공기 1kg당 O2은 0.21kg, N2는 0.79kg이므로, 공기 1kg당 질량은 1kg이 된다. 따라서 공기의 질량비는 그대로 공기의 체적비가 된다.

    따라서 연료 100kg당 공기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85+15)/0.15 = 666.67 kg

    연소식에서 N2의 계수는 3.76*(85+15/4*(O2-4))이므로, 연료 100kg당 N2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3.76*(85+15/4*(O2-4))/0.15 = 2510.67 Sm3/h

    연소식에서 CO2의 계수는 85이므로, 연료 100kg당 CO2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85/0.12 = 708.33 Sm3/h

    따라서 연소용 공기량은 다음과 같다.

    2510.67 - 708.33 = 1802.34 Sm3/h

    하지만 이는 연료와 공기가 완전히 혼합되어 연소한 경우의 공기량이므로, 실제 연소용 공기량은 이보다 약간 작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약 1410 Sm3/h"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ropane과 ethane의 혼합가스 1Nm3을 완전연소 시킨 결과 배기가스 중 CO2 생성량은 2.6Nm3이었다. 이 혼합가스 중 ethane : propane 의 몰비(mole ratio)는?

  1. 3 : 2
  2. 1 : 3
  3. 2 : 3
  4. 3 : 1
(정답률: 62%)
  • 이 문제는 화학반응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먼저, propane과 ethane의 연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3H8 + 5O2 → 3CO2 + 4H2O
    C2H6 + 3.5O2 → 2CO2 + 3H2O

    이 식에서 알 수 있는 것은 propane 1 몰과 ethane 1 몰이 연소할 때 생성되는 CO2의 몰 수는 각각 3 몰과 2 몰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CO2 2.6 Nm3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propane과 ethane의 몰비가 3 : 2 여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ethane : propane의 몰비를 묻고 있으므로, 이를 역으로 계산하면 propane : ethane의 몰비는 2 : 3이 된다.

    즉, 혼합가스 중 propane이 ethane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소 반응에서 생성되는 CO2의 몰 수도 propane이 더 많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연료 1kg 중 수소 20%, 수분 20% 인 액체연료의 고위발열량이 10500 kcal/kg 일 때, 저위발열량(kcal/kg)은?

  1. 8800
  2. 9120
  3. 9300
  4. 9520
(정답률: 61%)
  • 저위발열량은 고위발열량에서 수분의 수증기화열을 빼준 값입니다. 수분 함량이 20% 이므로, 1kg 중 0.2kg은 수분입니다. 수분의 수증기화열은 540 kcal/kg 이므로, 0.2kg의 수분이 수증기화될 때 방출되는 열량은 0.2kg x 540 kcal/kg = 108 kcal 입니다. 따라서, 액체연료 1kg의 저위발열량은 10500 kcal/kg - 108 kcal/kg = 9300 kcal/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산화탄소의 이론적 완전연소 시 (CO2)max(%)는?

  1. 34.7%
  2. 37.7%
  3. 39.5%
  4. 59.5%
(정답률: 54%)
  • 일산화탄소는 이론적으로 완전연소할 때,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변화합니다. 이 때, 일산화탄소와 산소의 몰비는 1:1이므로, 일산화탄소의 몰분율이 100%일 때, 이산화탄소의 몰분율도 100%가 됩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의 이론적 완전연소 시 CO2의 몰분율은 100%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연소에서는 완전연소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CO2의 몰분율은 100%보다 낮습니다. 이론적으로 완전연소가 일어난다면, CO2의 몰분율은 34.7%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4.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 방지기술

41. 전기집진장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압변동과 같은 조건변동에 쉽게 적응하기 어렵다.
  2. 다른 고효율 집진장치에 비해 압력손실(10-20mmH2O)이 적어 소요동력이 적은편이다.
  3. 대량가스 및 고온(350℃ 정도)가스의 처리도 가능하다.
  4. 입자의 하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장치내부의 처리가스 속도는 보통 7-15m/s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답률: 43%)
  • "입자의 하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장치내부의 처리가스 속도는 보통 7-15m/s를 유지하도록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전기집진장치의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나 장점을 나열한 것이지만, 해당 보기는 전기집진장치의 작동 원리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이기 때문이다. 입자의 하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처리가스의 속도가 일정해야 하며, 이는 전기집진장치의 효율성과 입자 제거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냄새물질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리화학적 자극량과 인간의 감각강도 관계는 Ranney법칙과 잘 맞다.
  2. 골격이 되는 탄소수는 저분자일수록 관능기 특유의 냄새가 강하고 자극적이나 8-13에서 가장 향기가 강하다.
  3. 분자내 수산기의 수는 1개 일 때 가장 강하고 수가 증가하면 약해져서 무취에 이른다.
  4. 불포화도가 높으면 냄새가 보다 강하게 난다.
(정답률: 61%)
  • "물리화학적 자극량과 인간의 감각강도 관계는 Ranney법칙과 잘 맞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Ranney법칙은 냄새물질의 농도와 인간의 감각강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각강도도 증가한다는 것을 말한다. 다른 설명들은 냄새물질의 특성과 관련된 내용이다.

    물리화학적 자극량과 인간의 감각강도 관계는 Ranney법칙과 잘 맞는 이유는, 냄새물질이 인간의 코에 도달하면 냄새수용체에 결합하여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고, 이 반응이 인간의 뇌에서 냄새감각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냄새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냄새수용체와의 결합이 더 많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뇌에서 냄새감각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수식 세정집진장치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스분수형
  2. 스쿠르형
  3. 임펠러형
  4. 로타형
(정답률: 59%)
  • 유수식 세정집진장치의 종류는 가스분수형, 스쿠르형, 임펠러형, 로타형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스쿠르형은 다른 종류들과는 달리 유체가 회전하는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종류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황함유량이 1.5%인 중유를 10ton/h로 연소하는 보일러에서 배기가스를 NaOH 수용액으로 처리한 후 황성분을 전량 Na2SO3로 회수할 경우, 이 때 필요한 NaOH의 이론량은? (단, 황성분은 전량 SO2로 전환된다고 한다.)

  1. 375kg/h
  2. 550kg/h
  3. 650kg/h
  4. 750kg/h
(정답률: 59%)
  • 황함유량이 1.5%이므로, 중유 10ton/h에서 발생하는 황성분의 양은 0.015 x 10ton/h = 150kg/h 이다. 이 황성분은 전량 SO2로 전환되므로, Na2SO3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NaOH와 반응하여 Na2SO3을 생성해야 한다.

    NaOH + SO2 → Na2SO3 + H2O

    위 반응식에서 보면, 1 mol의 NaOH가 1 mol의 SO2를 소비하므로, 150kg/h의 SO2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150kg/h의 NaOH가 필요하다.

    NaOH의 분자량은 40g/mol이므로, 150kg/h의 NaOH는 150,000g/h ÷ 40g/mol = 3,750 mol/h 이다. 따라서, 필요한 NaOH의 이론량은 3,750 mol/h 이다.

    이를 kg/h로 환산하면, 3,750 mol/h x 40g/mol x 1kg/1,000g = 150kg/h 이므로, 정답은 "375kg/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입자상 물질을 여과방식에 의해 집진하고자 한다. 0.1㎛이하의 미세입자는 주로 어떤 작용에 의해 제거되는가?

  1. 직접차단
  2. 충돌
  3. 확산
  4. 중력
(정답률: 70%)
  • 0.1㎛이하의 미세입자는 충돌이나 중력에 의한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주로 확산에 의해 제거된다. 확산은 입자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입자가 물질의 구멍을 통과하거나 물질의 표면에 부딪혀서 일어난다. 따라서, 입자가 물질 내부로 침투하면서 확산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헨리법칙을 이용하여 유도된 총괄물질이동계수와 개별물질이동계수와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식은? (단, KG: 기상총괄물질이동계수, kl: 액상물질이동계수, kg: 기상물질이동계수, H: 헨리정수)

(정답률: 72%)
  • 정답은 ""이다.

    헨리법칙에 따르면, 개별물질이동계수(kl)와 기상총괄물질이동계수(KG)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KG = Hkg + (1-H)kl

    즉, 기상총괄물질이동계수는 액상물질이동계수와 기상물질이동계수, 그리고 헨리정수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해가스 흡수장치 중 충전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수액을 통과시키면서 유량속도를 증가시키면 충전층내의 액보유량이 증가하는 점을 편류점(Channelling point)이라 한다.
  2. 충전탑의 원리는 충전물질의 표면을 흡수액으로 도포하여 흡수액의 엷은 층을 형성시킨 후 가스와 흡수액을 접촉시켜 흡수시킨다.
  3. 액분산형 가스흡수장치에 속하며, 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가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액가스비를 증가시켜야 한다.
  4. 온도변화가 큰 곳에는 적응성이 낮고, 희석열이 심한 곳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66%)
  • "흡수액을 통과시키면서 유량속도를 증가시키면 충전층내의 액보유량이 증가하는 점을 편류점(Channelling point)이라 한다."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충전탑은 충전물질의 표면을 흡수액으로 도포하여 흡수액의 엷은 층을 형성시킨 후 가스와 흡수액을 접촉시켜 흡수시키는 액분산형 가스흡수장치이다. 효율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가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액가스비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온도변화가 큰 곳에는 적응성이 낮고, 희석열이 심한 곳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응집(Coagulation)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응집은 먼지입자들이 서로 접촉하여 달라붙거나 합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2. 브라운 운동이 대기의 온도와 관련될 때 일어나는 응집현상을 열응집(Thermal Coagulation)이라 한다.
  3. 중력응집(Gravitational Coagulation)은 크기가 다른 입자들의 침전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응집으로 강우에 큰 영향을 미친다.
  4.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간의 응집현상은 쉽게 응집되지 않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고, 바람부는 날의 구름속의 입자는 맑은날보다 더 응집이 어렵다.
(정답률: 53%)
  • "중력응집은 크기가 다른 입자들의 침전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응집으로 강우에 큰 영향을 미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간의 응집현상이 어렵다는 이유는 작은 입자들이 공기 중에서 떠다니며 충돌하고 부딪히기 때문에 서로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중력응집은 크기가 다른 입자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침전하면서 서로 접촉하게 되어 응집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악취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기압이 높은 물질일수록 일반적으로 악취는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2. 활성탄 같은 흡착제는 악취를 일으키는 물질을 대량으로 흡착할 수 있다.
  3. 악취는 통상 분자내부 진동에 의존한다고 가정되므로 라만변이와 냄새는 서로 관련이 있다.
  4. Paraffin 과 CS2와 같은 악취물질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한다.
(정답률: 49%)
  • "Paraffin 과 CS2와 같은 악취물질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한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Paraffin과 CS2와 같은 물질은 분자 내부 진동에 의존하여 악취를 일으키므로, 이러한 물질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한다. 이는 분자 내부 진동이 적외선 영역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외선 분광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증기압이 높은 물질이 일반적으로 악취가 더 강하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악취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이 아니므로 오답이다. 활성탄 같은 흡착제는 악취를 일으키는 물질을 대량으로 흡착할 수 있으며, 악취는 분자 내부 진동에 의존한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입자상 물질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동역학경은 Stoke경과 달리 입자밀도를 1g/cm3으로 가정함으로써 보다 쉽게 입경을 나타낼 수 있다.
  2. 비구형입자에서 입자의 밀도가 1보다 클 경우 공기동력학경은 stokes경에 비해 항상 크다고 볼 수 있다.
  3. 직경 d인 구형입자의 비표면적은 d/6이다.
  4. cascade impactor는 관성충돌을 이용하여 입경을 간접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9%)
  • "cascade impactor는 관성충돌을 이용하여 입경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설명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직경 d인 구형입자의 비표면적이 d/6인 이유는 입자의 표면적이 입자의 직경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구의 표면적은 4πr^2인데, 구형입자의 반지름은 d/2이므로 표면적은 4π(d/2)^2 = πd^2이다. 따라서 비표면적은 표면적의 1/6인 d/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VOCs를 98% 이상 제어하기 위한 VOCs 제어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후연소
  2. 루우프(loop) 산화
  3. 재생(Regenerative) 열산화
  4. 저온(Cryogenic) 응축
(정답률: 66%)
  • 루우프(loop) 산화는 VOCs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기술이다. 이는 다른 기술들이 VOCs를 제어하기 위해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반면, 루우프 산화는 높은 온도와 산소를 이용하여 VOCs를 연소시키는 물리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우프 산화는 다른 기술들과 달리 높은 에너지 소비와 고비용으로 인해 VOCs 제어 기술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흡수장치 중 다공판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판간격은 보통 40cm이고, 액가스비는 0.3-5L/m3 정도이다.
  2. 압력손실이 20mmHO 정도이고, 가스량의 변동이 심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조업할 수 있다.
  3. 판수를 증가시키면 고농도 가스도 일시 처리가 가능하다.
  4. 가스속도는 0.3-1m/s 정도이다.
(정답률: 58%)
  • "판수를 증가시키면 고농도 가스도 일시 처리가 가능하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공판탑은 판 간격이 넓어서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고농도 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판수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벤츄리스크러버에서 220m3/min의 함진가스를 처리하려고 한다. 목부(Throat)의 지름이 30cm, 수압 1.8atm, 직경 4mm인 노즐 8개를 사용할 때 필요한 물의 양(L/sec)? (단, 이용)

  1. 약 3.9L/sec
  2. 약 2.4L/sec
  3. 약 1.4L/sec
  4. 약 0.6L/sec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평판형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 사이의 간격이 10cm, 가스의 유속은 3m/s, 입자의 집진극으로 이동속도가 7cm/s일 때, 층류영역에서 입자를 완전제거하기 위한 이론적인 집진극의 길이(m)는?

  1. 1.34m
  2. 2.14m
  3. 3.14m
  4. 4.29m
(정답률: 37%)
  • 층류영역에서 입자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입자가 집진판 사이를 통과하는 시간 동안 입자가 이동한 거리가 집진극의 길이보다 길어야 합니다. 이동 거리는 입자의 이동속도와 가스의 유속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론적인 집진극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동 거리 = 입자의 이동속도 × 집진판 사이 간격
    = 7cm/s × 10cm
    = 0.7m/s

    따라서, 이론적인 집진극의 길이는 이동 거리보다 길어야 하므로 0.7m/s보다 큰 값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14m"인 이유는 0.7m/s보다 큰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체의 운동을 결정하는 점도(Viscos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증가하면 대게 액체의 점도는 증가한다.
  2. 액체의 점도는 기체에 비해 아주 크며, 대개 분자량이 증가하면 증가한다.
  3. 온도가 감소하면 대게 기체의 점도는 증가한다.
  4. 온도에 따른 액체의 운동점도(Kinematic Viscosity)의 변화폭은 절대점도의 경우보다 넓다.
(정답률: 70%)
  • 액체 분자들은 서로 가까이 있어서 서로 간의 상호작용이 크기 때문에 액체의 점도는 기체에 비해 아주 크며, 대개 분자량이 증가하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atm, 20℃에서 공기 동점성계수 υ=1.5×10-5m2/s 일 때 관의 지름을 50mm로 하면 그 관로에서의 풍속(m/s)은? (단, 레이놀즈 수는 2.5×104 이다.)

  1. 2.5m/s
  2. 5.0m/s
  3. 7.5m/s
  4. 10.0m/s
(정답률: 48%)
  • 레이놀즈 수가 2.5×104 이므로, 유동은 정상유동이며, 유체의 속도는 전체 단면에서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우는 파이프 내에서 일어나는 마찰력과 파이프 벽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속도가 감소한다. 이 속도 감소는 파이프의 지름이 작아질수록 더욱 심해진다. 이 문제에서는 파이프의 지름이 50mm로 주어졌으므로, 속도 감소는 크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 내에서의 속도는 거의 일정할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 내에서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e = (밀도 × 속도 × 지름) / 동점성계수

    2.5×104 = (1.2kg/m3 × v × 0.05m) / 1.5×10-5m2/s

    v = 7.5m/s

    따라서, 파이프 내에서의 속도는 7.5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솔린 자동차의 후처리에 의한 배출가스 저감방안의 하나인 삼원 촉매장치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와 HC의 산화촉매로는 주로 백금(Pt)이 사용된다.
  2. NO의 환원촉매로는 주로 파라듐(Pd)이 사용된다.
  3. CO와 HC는 CO2와 H2O로 산화되며 NO는 N2로 환원된다.
  4. CO, HC, NOx 3성분의 동시 저감을 위해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연료비는 이론공연비 정도로 공급되어야 한다.
(정답률: 54%)
  • "CO와 HC의 산화촉매로는 주로 백금(Pt)이 사용된다."와 "CO와 HC는 CO2와 H2O로 산화되며 NO는 N2로 환원된다."는 삼원 촉매장치의 작동 원리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NO의 환원촉매로는 주로 파라듐(Pd)이 사용된다."는 삼원 촉매장치에서 사용되는 촉매의 종류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NO의 환원촉매로는 주로 파라듐(Pd)이 사용된다."는 NOx를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촉매의 종류를 설명한 것이다. NOx는 질소산화물로, 삼원 촉매장치에서는 CO와 HC뿐만 아니라 NOx도 함께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촉매가 필요하다. 파라듐(Pd)는 NOx를 환원시키는 데 효과적인 촉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먼지 배출공장에 집진율 80%인 사이클론과 집진율 98%인 전기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하여 설치하였다. 이 때 총 집진효율은?

  1. 89%
  2. 94.5%
  3. 97.2%
  4. 99.6%
(정답률: 58%)
  • 직렬 연결된 사이클론과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각각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사이클론: 80%
    - 전기집진장치: 98%

    직렬 연결된 두 기기의 총 집진효율은 각 기기의 집진효율을 곱한 후 100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총 집진효율 = (사이클론의 집진효율 ×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 ÷ 100
    = (80 × 98) ÷ 100
    = 78.4%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총 집진효율이 "99.6%" 이라고 주어졌다. 이는 계산 결과와 다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두 기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해야 한다. 병렬 연결된 두 기기의 총 집진효율은 각 기기의 집진효율을 뺀 후 100에서 뺀 값이다. 따라서,

    총 집진효율 = 100 - [(100 - 사이클론의 집진효율) × (100 -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 ÷ 100
    = 100 - [(100 - 80) × (100 - 98)] ÷ 100
    = 99.6%

    따라서 이 문제에서 총 집진효율이 "99.6%" 인 이유는 두 기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압력손실이 300mmH2O 이고, 처리가스량 45000m3/h인 집진장치의 송풍기 소요동력(kW)은? (단, 송풍기의 효율은 65%, 여유율은 1.3 이다.)

  1. 73.5kW
  2. 1342.7kW
  3. 4411.8kW
  4. 264705.9kW
(정답률: 54%)
  • 압력손실과 처리가스량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공기량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요동력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집진장치의 송풍기는 처리가스량 45000m3/h를 처리해야 하므로, 이를 초당으로 변환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45000m3/h ÷ 3600s/h = 12.5m3/s

    다음으로, 송풍기의 효율과 여유율을 고려하여 실제 처리해야 할 공기량을 구할 수 있다.

    실제 처리해야 할 공기량 = 처리가스량 × 여유율 ÷ 효율
    = 45000m3/h × 1.3 ÷ 0.65
    = 90000m3/h

    마지막으로,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송풍기의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압력과 공기량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단순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소요동력(kW) = (압력손실 × 실제 처리해야 할 공기량) ÷ 3600 ÷ 1020

    여기서 3600은 초당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수이고, 1020은 공기의 밀도(kg/m3)와 가속도(m/s2)를 고려한 상수이다.

    따라서,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300mmH2O × 90000m3/h) ÷ 3600 ÷ 1020 = 73.5kW

    따라서, 정답은 "73.5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VOCs의 종류 중 지방족 및 방향족 HC의 적용 제어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촉매소각
  2. 생물막
  3. 흡수
  4. UV 산화
(정답률: 55%)
  • 지방족 및 방향족 HC 중에서 흡수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흡수 기술이 다른 기술에 비해 비용이 높고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흡수 기술은 VOCs를 제거하는 효율이 높지 않아 다른 기술에 비해 처리량이 적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에서 용어 및 장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교가스는 시료셀에서 적외선 흡수를 측정하는 경우 대조가스로 사용하는 것으로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는 가스를 말한다.
  2. 제로 드리프트(Zero Drift)는 계기의 눈금스팬에 대응하는 지시치의 일정 기간내의 변동을 말한다.
  3. 광원은 원칙적으로 니크롬선 또는 탄화규소의 저항체에 전류를 흘려 가열한 것을 사용한다.
  4. 시료셀은 시료가스가 흐르는 상태에서 양단의 창을 통해 시료광속이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다.
(정답률: 38%)
  • "제로 드리프트(Zero Drift)는 계기의 눈금스팬에 대응하는 지시치의 일정 기간내의 변동을 말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 비교가스는 시료셀에서 적외선 흡수를 측정하는 경우 대조가스로 사용하는 것으로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는 가스를 말한다. (맞는 설명)
    - 제로 드리프트(Zero Drift)는 계기의 눈금스팬에 대응하는 지시치의 일정 기간내의 변동을 말한다. (맞는 설명)
    - 광원은 원칙적으로 니크롬선 또는 탄화규소의 저항체에 전류를 흘려 가열한 것을 사용한다. (맞는 설명)
    - 시료셀은 시료가스가 흐르는 상태에서 양단의 창을 통해 시료광속이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다. (맞는 설명)

    따라서, 틀린 것은 없다.

    제로 드리프트(Zero Drift)는 계기의 눈금스팬에 대응하는 지시치의 일정 기간내의 변동을 말하는데, 이는 계기의 정확도와 관련이 있다. 계기의 정확도는 일정한 기간 동안 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제로 드리프트가 작을수록 계기의 정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A오염물질의 실측 농도가 250mg/Sm3이고, 이 때 실측 산소농도가 3.5%이다. A오염물질의 보정농도(mg/Sm3)는? (단, A오염물질은 표준산소농도를 적용받으며, 표준산소 농도는 4%이다.)

  1. 약 219 mg/Sm3
  2. 약 243 mg/Sm3
  3. 약 247 mg/Sm3
  4. 약 286 mg/Sm3
(정답률: 37%)
  • 보정농도 = 실측농도 × (표준산소농도 ÷ 실측산소농도)

    따라서, 보정농도 = 250 × (4 ÷ 3.5) ≈ 286 mg/Sm3

    따라서, 정답은 "약 286 mg/Sm3" 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폐기물 소각로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류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흡인노즐에서 흡인하는 가스의 유속은 측정점의 배출가스유속에 대해 상태오차 -5∼+5%의 범위내로 한다.
  2. 배출가스 시료를 채취하는 동안에 각 흡수병은 냉각시켜야하며, XAD-2수지 포집관부는 80℃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3.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다이옥신류 제거성능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실시하여야 하며, 처리장치에 주기성이 있으면 적어도 한주기보다 긴 시간에 걸쳐 측정한다.
  4. 여과지홀더 및 흡착관은 알루미늄호일 등으로 미리 차광시켜 둔다.
(정답률: 48%)
  • "여과지홀더 및 흡착관은 알루미늄호일 등으로 미리 차광시켜 둔다."는 다이옥신류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방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배출가스 시료를 채취하는 동안에 각 흡수병은 냉각시켜야하며, XAD-2수지 포집관부는 80℃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는 시료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다이옥신류는 열에 민감한 물질이기 때문에 시료가 냉각되어야 하며, XAD-2수지는 고온에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80℃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흡인노즐에서 흡인하는 가스의 유속은 측정점의 배출가스유속에 대해 상태오차 -5∼+5%의 범위내로 한다."는 시료채취 시 정확한 유속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다이옥신류 제거성능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실시하여야 하며, 처리장치에 주기성이 있으면 적어도 한주기보다 긴 시간에 걸쳐 측정한다."는 분석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원자흡수분광광도법(원자흡광광도법)의 측정순서 중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하여야 하는 것은?

  1. 분광기의 파장눈금을 분석선의 파장에 맞춘다.
  2. 광원램프를 점등하여 적당한 전류값을 설정한다.
  3. 가스유량 조절기의 밸브를 열어 불꽃을 점화한다.
  4. 시료용액을 불꽃중에 분무시켜 지시한 값을 읽어둔다.
(정답률: 53%)
  • 광원램프를 점등하여 적당한 전류값을 설정하는 것은 분광기에서 측정할 파장 범위에 맞는 적절한 광원을 선택하고,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여 측정에 필요한 최적의 광도를 얻기 위함이다. 이 작업을 먼저 수행하지 않으면 적절한 광도를 얻을 수 없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광원램프를 점등하여 적당한 전류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피토우관으로 굴뚝 배출가스를 측정한 결과 동압이 0.74mmHg였다. 이 때 배출가스의 평균유속은? (단, 굴뚝내의 습한 배출가스의 밀도는 1.3kg/m3, 피토우관 계수는 1.2이다.)

  1. 11.5m/sec
  2. 12.3m/sec
  3. 13.2m/sec
  4. 14.8m/sec
(정답률: 48%)
  • 피토우관 계수는 1.2이므로, 유속을 구하기 위해 측정된 동압인 0.74mmHg를 1.2로 나누어준다. 이렇게 구한 값은 유속의 제곱에 해당하므로, 다시 루트를 씌워줘야 한다.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유속 = √(2 × 동압 ÷ (밀도 × 계수))
    = √(2 × 0.74 ÷ (1.3 × 1.2))
    = 14.8m/sec

    따라서, 정답은 "14.8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굴뚝 배출가스 중의 황화수소를 용량법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녹말지시약(1%)은 가용성 전분 1g을 소량의 물과 섞어 끓는 물 100mL중에 잘 흔들어 섞으면서 가하고, 약 1분간 끓인 후 식혀서 사용한다.
  2. 시료 중의 황화수소가 100 - 2000ppm 함유되어 있는 경우의 분석에 적합한 시료채취량은 10 - 20L 정도이다.
  3. 다른 산화성 및 환원성 가스에 의한 방해는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4. 시료 중에 황화수소를 염산산성으로 하고, 요오드용액을 가하여 과잉의 요오드를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정답률: 43%)
  • "다른 산화성 및 환원성 가스에 의한 방해는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는 용량법으로 황화수소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 문장은 이 방법의 장점 중 하나로, 황화수소 외에 다른 가스들이 분석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 방법이 황화수소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특화된 방법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굴뚝 배출가스 중 CS2를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흡수액은?

  1. 붕산 용액
  2. 수산화나트륨 용액
  3. 디에틸아민동 용액
  4. 질산암모늄 용액
(정답률: 54%)
  • CS2 분석에는 흡수액으로 디에틸아민동 용액이 사용됩니다. 이는 CS2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안정적인 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디에틸아민동 용액은 CS2 분자와 결합하여 형성된 착물의 흡수선이 자외선 가시선 범위에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CS2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붕산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 질산암모늄 용액은 CS2와의 상호작용이 적어 흡수액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설치조건(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식성 가스 및 먼지발생이 적고, 진동이 없으며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2. 대형변압기, 고주파가열 등으로부터의 전자유도를 받지 않아야 한다.
  3. 실온 10∼25℃, 상대습도 30∼85% 범위로 급격한 온도변화가 없어야 한다.
  4. 공급전원은 기기의 사양에 지정된 전압 전기용량 및 주파수로 전압변동은 30% 이하이고, 급격한 주파수 변동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대형변압기, 고주파가열 등으로부터의 전자유도를 받지 않아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이온크로마토그래피는 정밀한 분석을 위해 매우 민감한 기기이기 때문에, 외부의 전자유도나 노이즈가 발생하면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형변압기나 고주파가열 등과 같은 전자기장이 강한 장비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설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공급전원은 전압, 전기용량, 주파수 등이 기기의 사양에 맞게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급격한 주파수 변동이 없어야 합니다. 이는 기기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나머지 설치조건인 부식성 가스 및 먼지발생이 적고, 진동이 없으며 직사광선을 피해야 하며, 실온과 상대습도 범위도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이는 기기의 보존과 안정적인 작동을 위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흡광광도법(Absorptiomertric Analysis)을 사용하여 어떤 시료의 발색액을 측정한 결과 투과퍼센트(T)가 80%이었다. 이 경우의 흡광도는?

  1. 약 0.05
  2. 약 0.1
  3. 약 0.2
  4. 약 0.7
(정답률: 45%)
  • 흡광도(Absorbance)는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일정 길이의 시료를 통과한 후 흡광광도를 측정한 값과 흡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곱한 값으로 나타납니다. 즉, A = εcl 입니다. 여기서 ε는 흡광계수, c는 시료의 농도, l은 시료를 통과하는 길이를 나타냅니다.

    이 문제에서는 T가 80%이므로, 시료를 통과한 빛의 양은 20%만큼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 = 10^(-A) = 0.8 이므로, A = -log(T) = 0.0969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 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약 0.1"에 해당하며, 따라서 정답은 "약 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아연환원 나프틸에틸렌디아민법으로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분석하고자 할 때 아래와 같은 같은 과정을 거친다. (a)와 (b)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1. (a) O3 (b) 분말금속아연
  2. (a) 공기 (b) 황산제이철염
  3. (a) CO2 (b) 황산제이철염
  4. (a) CO2 (b) 분말금속아연
(정답률: 40%)
  • (a) O3은 질소산화물을 산화시켜 질소산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b) 분말금속아연은 질소산화물을 아연으로 환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물질을 이용하여 아연환원 나프틸에틸렌디아민법으로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굴뚝연속자동측정기의 기능 중 측정범위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0.5 내지 2배 이내
  2. 2 내지 5배 이내
  3. 5 내지 10배 이내
  4. 10 내지 20배 이내
(정답률: 45%)
  • 굴뚝연속자동측정기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농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범위가 너무 작으면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크면 측정기가 측정할 수 없는 범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측정범위를 설정해야 하는데, "2 내지 5배 이내"는 적절한 범위로 판단되는 것입니다. 즉, 측정값이 2배에서 5배 사이의 범위 내에서 변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환경대기 중 시료채취 위치선정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주위에 건물이나 수목 등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채취위치로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그 장애물 높이의 2배 이상되는 곳을 선정한다.
  2. 주위에 건물이나 수목 등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채취점과 장애물 상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30°이하되는 곳을 선정한다.
  3. 주위에 건물 등이 밀집되어 있을 경우에는 건물 바깥벽으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곳을 선정한다.
  4. 시료채취높이는 그 부근의 최고오염도를 나타낼 수 있는 곳으로서 3∼5m 범위 이내로 한다.
(정답률: 29%)
  • "시료채취높이는 그 부근의 최고오염도를 나타낼 수 있는 곳으로서 3∼5m 범위 이내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방법이다. 이유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지표면에서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다가 일정 높이 이상에서는 안정화되기 때문에, 시료채취높이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화학반응 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굴뚝 배출가스 중 일산화탄소 분석방법에 따른 정량범위로 틀린 것은?

  1.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 : 0∼250ppm부터 0∼1%
  2. 정전위 전해법 : 0∼200ppm부터 0∼2%
  3.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 : TCD의 경우 0.1% 이상
  4.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 : FID의 경우 0∼2000ppm
(정답률: 38%)
  • 정전위 전해법의 경우, 일산화탄소의 정량범위가 0~200ppm부터 0~2%이다. 이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량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산화탄소 농도가 200ppm 이하일 때는 0~200ppm 범위에서 정량이 가능하고, 일산화탄소 농도가 200ppm 이상일 때는 0~2% 범위에서 정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환경대기 중 아황산가스 농도 측정을 위한 파라로자닐린법(Pararosaniline Method)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이염화수은 나트륨, ② 사염화 아황산수은염
  2. ① 사염화수은 나트륨, ② 이염화 아황산수은염
  3. ① 이염화수은 칼륨, ② 사염화 아황산수은염
  4. ① 사염화수은 칼륨, ② 이염화 아황산수은염
(정답률: 47%)
  • ① 사염화수은 칼륨은 아황산가스와 반응하여 붉은색의 파라로자닐린을 생성하고, ② 이염화 아황산수은염은 생성된 파라로자닐린을 안정화시켜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물질이 함께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사염화수은 칼륨, ② 이염화 아황산수은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분리관오븐의 온도조절 정밀도는 ±0.5℃의 범위이내 전원 전압변동 10%에 대하여 온도변화 ±0.5℃ 범위이내이어야 한다. (오븐의 온도가 150℃ 부근일 때)
  2. 열전도도형 검출기에서 운반가스는 일반적으로 순도 99% 이상의 질소나 헬륨을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5∼30분 정도에서 측정하는 피이크의 보유시간은 반복시험을 할 때 ±5% 오차범위이내이어야 한다.
  4. 검출한계는 각 분석방법에서 규정하는 조건에서 출력신호를 기록할 때, 잡음신호의 3배의 신호를 검출한계로 한다.
(정답률: 44%)
  •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분리관오븐의 온도조절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분리관 내 샘플의 분리를 위해 정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원 전압변동 10%에 대하여도 온도변화 ±0.5℃ 범위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오븐의 온도가 150℃ 부근일 때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에서 미광(Stray Light)의 유무조사에 사용되는 것은?

  1. 홀뮴유리
  2. 간섭램프
  3. 단색화장치
  4. 컷트필터
(정답률: 44%)
  • 컷트필터는 특정 파장 이하의 빛을 차단하는 필터로,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에서 미광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미광은 측정하려는 물질의 흡광도를 왜곡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미광을 제거하기 위해 컷트필터를 사용합니다. 컷트필터는 특정 파장 이상의 빛은 통과시키고, 그 이하의 빛은 차단하여 미광을 제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 이론단수가 3260인 분리관이 있다. 보유시간이 20분일 때,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단, 기록지 이동속도는 5mm/min이고, 이론단수는 모든 성분에 대하여 같다.)

  1. 7mm
  2. 9mm
  3. 11mm
  4. 13mm
(정답률: 39%)
  • 이론단수가 3260이므로, 분리관의 길이는 3260 x 0.01 = 32.6cm이다. 보유시간이 20분이므로, 피크가 이동한 거리는 20 x 5 = 100mm이다. 따라서, 피크가 분리관 상에서 차지하는 길이는 100mm x (32.6cm/전체이동거리) = 31.0cm이다.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해당 지점에서의 기울기를 구하기 위해 두 점 사이의 차이를 구하는 것과 같다. 이 때, 이론단수가 모든 성분에 대하여 같으므로, 피크의 모양이 대략적으로 삼각형 모양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크의 높이는 (피크의 크기/2) x (이론단수/보유시간) = (피크의 크기/2) x (3260/20) = 163 x (피크의 크기) 이다.

    따라서,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163 x 피크의 크기) x (좌우 변곡점 사이의 거리) 이다. 이 때, 피크의 크기와 좌우 변곡점 사이의 거리는 기록지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바탕선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피크의 크기와 좌우 변곡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면, 바탕선의 길이가 7mm임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굴뚝배출가스의 시료채취 시 분석대상가스별 흡수액과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소화합물 - 수산화나트륨용액(0.1N)
  2. 황화수소 - 아세틸아세톤용액(0.2N)
  3. 벤젠 - 질산암모늄 + 황산(1→5)
  4. 브롬화합물 - 수산화나트륨용액(0.4W/V%)
(정답률: 34%)
  • 황화수소는 아세틸아세톤용액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황화수소는 수산화나트륨용액(0.1N)과 연결됩니다. 이유는 황화수소가 산성가스이기 때문에 알칼리성을 띤 수산화나트륨용액과 연결하여 중화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세틸아세톤용액은 불소화합물과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굴뚝 배출가스 중 불소화합물을 란탄 - 알리자린 콤플렉숀법에 의하여 분석할 때 사용되지 않는 시약은?

  1. 암모니아수
  2. 초산암모늄용액
  3. 아세톤
  4. 술폰산나트륨
(정답률: 25%)
  • 술폰산나트륨은 란탄 - 알리자린 콤플렉숀법에서 사용되는 시약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분석법에서 사용되는 시약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원자흡수분광광도법(원자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하기 위해 채취한 시료의 성상에 따른 처리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타르 기타 소량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것 : 질산 - 과산화수소수법
  2. 셀룰로스 섬유제 여과지를 사용한 것 : 저온회화법
  3. 다량의 유기물 유리탄소를 함유하는 것 : 질산 - 염산법
  4. 유기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 : 질산법
(정답률: 39%)
  • 다량의 유기물 유리탄소를 함유하는 것은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질산 - 염산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시료를 염산으로 용해시킨 후, 질산으로 산화시켜 유기물을 분해하고, 이를 열분해하여 유리탄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다량의 유기물 유리탄소를 함유하는 시료를 분석할 때는 질산 - 염산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대기환경관계법규

8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경보단계 중 ”중대경보발령”의 경우 조치하여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2. 주민의 실외활동 금지요청
  3. 자동차의 통행금지 명령
  4. 사업장의 조업시간 단축명령
(정답률: 46%)
  •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는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인 연료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조치이다. 이는 대기오염을 예방하고 대기질 개선을 위한 것이다. 반면에 주민의 실외활동 금지요청, 자동차의 통행금지 명령, 사업장의 조업시간 단축명령은 대기오염이 이미 발생한 상황에서 대처하기 위한 조치이다. 따라서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굴뚝 자동측정기기 부착대상 배출시설이 그 부착을 면제받을 수 있는 경우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소가스 또는 화염이 원료 또는 제품과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는 시설로서 규정에 따른 청정연료를 사용하는 경우(발전시설은 제외한다.)
  2. 부착대상시설이 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배출시설을 폐쇄할 계획이 있는 경우
  3. 연간 가동일수가 60일 미만인 배출시설인 경우
  4. 액체연료만을 사용하는 연소시설로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지시설이 없는 경우(발전시설은 제외하며, 황산화물 측정기기에만 부착을 면제한다.)
(정답률: 30%)
  •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는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해야 하는 배출시설에 대해 면제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연간 가동일수가 60일 미만인 배출시설인 경우"는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할 필요가 없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연간 가동일수가 적은 경우에는 배출량이 적어서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며, 대신 정기적인 수동측정을 실시하여 대기오염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대기환경보전법상 도시지역의 대기질 개선을 위하여 그 지역에서 운행 중인 경유자동차 중 대기오염물질 배출정도 등에 관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자동차의 소유자에게 시·도지사가 행할 수 있는 조치명령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공해자동차로의 전환
  2. 초저유황유로서 사용전환
  3. 배출가스저감장치의 부착
  4. 저공해엔진으로의 개조
(정답률: 28%)
  • 초저유황유로서 사용전환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조치 중 하나로, 경유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연료인 경유의 황 함량을 줄인 초저유황유로 교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황이 대기오염물질의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대기질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이 가장 거리가 먼 조치명령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암모니아의 각 배출시설별 배출허용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배출허용기준란의 ( )는 표준산소농도(O2의 백분율)이며,“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해당시설로서 연료사용량 중 고형연료제품 사용비율이 30% 이상인 시설을 말한다.)

(정답률: 31%)
  • ③번에서는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이다. ①번에서는 석탄화력발전소, ②번에서는 석유화학공장, ④번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S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① 연간평균치, ② 24시간평균치, ③ 1시간평균치)

  1. ① 0.03ppm 이하, ② 0.06ppm 이하, ③ 0.10ppm 이하
  2. ① 0.02ppm 이하, ② 0.05ppm 이하, ③ 0.15ppm 이하
  3. ① 0.05ppm 이하, ② 0.10ppm 이하, ③ 0.12ppm 이하
  4. ① 0.06ppm 이하, ② 0.10ppm 이하, ③ 0.12ppm 이하
(정답률: 60%)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SO2의 대기환경기준은 연간평균치, 24시간평균치, 1시간평균치가 모두 존재합니다. 그 중 정답은 "① 0.02ppm 이하, ② 0.05ppm 이하, ③ 0.15ppm 이하" 입니다. 이유는 대기환경기준은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수준은 국제적인 기준과 국내 대기오염실태를 고려하여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SO2의 농도가 낮을수록 대기오염의 위험도가 낮아지므로, 더욱 엄격한 기준이 설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미세먼지(PM-10)의 대기환경기준은? (단, 연간평균치 기준)

  1. 5㎍/m3 이하
  2. 25㎍/m3 이하
  3. 50㎍/m3 이하
  4. 100㎍/m3 이하
(정답률: 39%)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미세먼지(PM-10)의 대기환경기준은 연간평균치 기준으로 50㎍/m3 이하입니다. 이는 국제적인 기준과 국내적인 대기오염 수준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입니다. 미세먼지(PM-10)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이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시 도지사는 정밀검사업무를 대행하는 지정사업자가 고의로 검사업무를 부실하게 한 경우 업무정지처분에 갈음하여 과징금을 산정하여 부과 할 수 있는데, 그 과징금 산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월 평균검사대수는 재검사대수를 제외한다.)

  1. 과징금은 1개월당 과징금액에 해당 업무정지월수를 곱한 금액으로 하되, 5천만원을 초과할 수 없다.
  2. 월 평균검사대수가 360대 미만인 경우 과징금의 금액은 720만원이다.
  3. 월 평균검사대수는 위반행위가 있는 날 이전 최근 6개월간의 평균검사대수로 하되, 사업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는 사업개시일부터 위반행위를 한 날의 전날까지의 평균검사대수를 기준으로 하되, 월 근무일수는 25일로 계산한다.
  4. 월 평균검사대수가 1800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하는 100대마다 200만원을 추가하여 부과한다.
(정답률: 32%)
  • 옳지 않은 것은 "월 평균검사대수가 360대 미만인 경우 과징금의 금액은 720만원이다." 이다. 월 평균검사대수가 360대 미만인 경우에는 과징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대기환경보전법상 변경인증을 받아야 하는 자가 제작차 배출허용기준과 관련한 변경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자동차를 제작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억원 이하의 벌금
  2.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6개월 이하의 징역이나 2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36%)
  • 제작차 배출허용기준과 관련한 변경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자동차를 제작한 자는 대기환경보전법 위반으로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배출부과금이 납부의무자의 자본금 또는 출자총액을 2배 초과하는 경우로서 규정에 의한 징수유예기간 내에도 징수할 수 없다고 인정되면 징수유예기간을 연장하거나 분할납부의 횟수를 늘려 부과금을 내도록 할 수 있는데, 다음 중 연장된 징수유예기간 ( ① )과 분할납부횟수( ② )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①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1년 이내, ② 6회 이내
  2. ①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1년 이내, ② 12회 이내
  3. ①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3년 이내, ② 6회 이내
  4. ①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3년 이내, ② 12회 이내
(정답률: 45%)
  •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는 대기배출부과금이 납부의무자의 자본금 또는 출자총액을 2배 초과하는 경우에는 징수유예기간을 연장하거나 분할납부의 횟수를 늘려 부과금을 내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 연장된 징수유예기간과 분할납부횟수는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①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3년 이내
    ② 12회 이내

    즉, 납부의무자의 자본금 또는 출자총액을 2배 초과하는 경우에는 징수유예기간을 최대 3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분할납부는 최대 12회까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시설 중 용적이 3세제곱미터 이상이 증해시설
  2.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시설 중 용적이 3세제곱미터 이상인 증착시설
  3. 섬유제품 제조시설 중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30킬로그램 이상이거나 용적이 3세제곱미터 이상인 다림질(텐트)시설
  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시설 중 용적이 3세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동력이 10마력 이상인 정련시설
(정답률: 37%)
  • 섬유제품 제조시설 중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30킬로그램 이상이거나 용적이 3세제곱미터 이상인 다림질(텐트)시설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기준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 중 하나로, 다른 보기들과 마찬가지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중 하나의 기준입니다. 이 기준은 섬유제품 제조시설 중 일부 다림질(텐트)시설에 해당되며, 연료사용량이 많거나 용적이 큰 시설에 대한 규제를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함유기준에 부적합한 유류를 판매하여 그 해당 유류의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는 환경부장관등에게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최대 며칠이내에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5일 이내
  2. 7일 이내
  3. 10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률: 56%)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함유기준에 부적합한 유류를 판매하여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는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때,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기간은 "5일 이내"입니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제31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날부터 최대 5일 이내에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화사대책위원회의 위원 중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림분야
  2. 예방의학 분야
  3. 산업안전 분야
  4. 국제협력 분야 및 언론 분야
(정답률: 41%)
  • 화사대책위원회는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화학물질 관리와 관련된 대책을 수립하는 위원회입니다. 따라서, "산업안전 분야"는 화학물질 관리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들에 비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연료를 연소하여 황산화물을 배출하는 시설의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로 옳은 것은? (단, 연료의 황함유량(%)은 0.5% 이하로서, 황산화물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와 생산공정상 황산화물의 배출량이 줄어든다고 인정하는 경우 제외)

  1. 0.1
  2. 0.2
  3. 0.4
  4. 1.0
(정답률: 48%)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연료를 연소하여 황산화물을 배출하는 시설의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는 황산화물 배출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는 황산화물 배출량이 많을수록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도별 부과계수는 "0.1"에서 "1.0"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방지시설이나 생산공정상 배출량 감소 등의 경우는 제외하고 농도별 부과계수를 결정해야 한다. 이 경우, 배출농도가 0.5% 이하인 경우에는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가 "0.2"로 결정된다. 이는 배출량이 적은 경우에는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중이용시설 등의 신내공기질관리법령상 이 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의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여객자동차터미널의 연면적 1천 5백제곱미터 이상이 대합실
  2. 공항시설중 연면적 1천 5백제곱미터 이상인 여객터미널
  3. 연면적 430제곱미터 이상인 국공립보육시설, 법인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및 민간보육시설
  4. 연면적 2천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병상수 100개 이상인 의료기관
(정답률: 12%)
  • 정답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연면적 1천 5백제곱미터 이상이 대합실"입니다. 이유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신내공기질관리법령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의 시설에 해당하는 것만 이 법의 적용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면적 1천 5백제곱미터 이상이지만 대합실이 아닌 다른 여객터미널이나 공항시설, 보육시설, 의료기관은 이 법의 적용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환경기술인의 임명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단, 1급, 2급은 각각 기사, 산업기사와 동일하다.)

  1. ① 5일 이내, ② 30일의 범위
  2. ① 5일 이내, ② 60일의 범위
  3. ① 10일 이내, ② 30일의 범위
  4. ① 10일 이내, ② 60일의 범위
(정답률: 33%)
  • ① 5일 이내: 환경기술인 임명 후 업무에 즉시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임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② 30일의 범위: 환경기술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적절한 검토와 심사를 거쳐 임명되어야 하지만, 지나치게 긴 시간이 소요되면 업무 수행에 지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기간으로 제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측정기기의 부착,·운영 등과 관련된 행정처분기준 중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부착이 면제된 보일러(사용연료를 6개월 이내에 청정연료로 변경할 계획이 있는 경우)로서 사용연료를 6월 이내에 청정연료로 변경하지 아니한 경우의 3차 행정처분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조업정지 10일
  2. 조업정지 30일
  3. 조업정지 5일
  4. 경고
(정답률: 34%)
  •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부착이 면제된 보일러 중 사용연료를 6월 이내에 청정연료로 변경하지 않은 경우, 대기환경보전법규상 3차 행정처분기준은 "조업정지 10일"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일러 운영을 10일간 중지시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첨가제 제조기준에 맞는 제품의 표시방법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분의 10 이상
  2. 100분의 20 이상
  3. 100분의 30 이상
  4. 100분의 50 이상
(정답률: 59%)
  • 이 제품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첨가제 제조기준에 맞는 제품이므로, 해당 기준에 따라서 표시를 해주어야 한다. 기준에 따르면, 이 제품에 포함된 첨가제의 함량이 100분의 30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정답은 "100분의 30 이상"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1. 황화수소
  2. 아크릴로니트릴
  3. 염소 및 염화수소
  4. 히드라진
(정답률: 55%)
  • 황화수소는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 중 공통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기타사항 제외)

  1. 동력 20말겨 이상인 분쇄시설(다만, 습식 및 이동식은 제외)
  2. 소각시설 중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25킬로그램 이상인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RDF) 전용시설
  3. 용적이 50세제곱미터 이상인 유·뮤기산 저장시설
  4. 포장능력이 시간당 100킬로그램 이상인 고체입자상물질 포장시설
(정답률: 40%)
  • 정답: "소각시설 중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25킬로그램 이상인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RDF) 전용시설"이 틀린 것이다.

    해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 중 공통시설 기준으로는 동력 20말겨 이상인 분쇄시설, 용적이 50세제곱미터 이상인 유·뮤기산 저장시설, 포장능력이 시간당 100킬로그램 이상인 고체입자상물질 포장시설이 포함된다. 하지만 "소각시설 중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25킬로그램 이상인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RDF) 전용시설"은 공통시설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RDF) 전용시설은 소각시설 중 하나이지만,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25킬로그램 이상인 조건을 충족해야 공통시설 기준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유역환경청장, 지방환경청장 또는 수도권대기환경청장이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도시지역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화학대기오염물질측정망
  2. 기후·생태계변화 유발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구대기측정망
  3. 도시의 시정장애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시정거리 측정망
  4. 대기오염물질의 지역배경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교외대기 측정망
(정답률: 34%)
  • 정답: "도시의 시정장애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시정거리 측정망"

    해설: 시정거리 측정망은 대기 중 먼지나 스모그 등으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망으로, 도시의 시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다른 측정망들은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