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27)

산림기사
(2008-07-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다음 수종 중 토양의 수분요구도가 가장 높은 수종은?

  1. 잣나무
  2. 낙엽송(일본잎갈나무)
  3. 삼나무
  4. 소나무
(정답률: 46%)
  • 정답은 "삼나무"입니다. 삼나무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분 요구도가 높습니다. 또한 삼나무는 대부분 산림지역에서 자라는데, 산림지역은 기온과 습도 등의 환경 조건이 불안정하여 수분 요구도가 높은 나무들이 많이 자라기 때문에 삼나무가 수분 요구도가 가장 높은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벌작업(除伐作業)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1. 목적 이외의 수종이나 형질이 불량한 임목을 제거하는 것이다.
  2. 조림 후 임목이 성장하여 밀식된 임목 을 벌채하는 것이다.
  3. 조림 후 병해충의 피해를 받은 임목만 벌채하는 것이다.
  4. 맹아력이 강한 수종만을 골라 벌채하 는 것이다.
(정답률: 70%)
  • 제벌작업은 목적 이외의 수종이나 형질이 불량한 임목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필요한 수종만 남기고 그 외에는 제거하여 숲의 건강을 유지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우리나라 조림 수종 중 도입 수종은?

  1. 잎갈나무
  2. 잣나무
  3. 소나무
  4. 사방오리나무
(정답률: 59%)
  • 사방오리나무는 우리나라 원산 수종이 아니며, 중국에서 유래한 수종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도입 수종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잎갈나무, 잣나무, 소나무는 우리나라 원산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밑깎기 작업은 보통 어느 시기에 실시하 는가?

  1. 12 ~ 1월
  2. 3 ~ 4월
  3. 6 ~ 8월
  4. 9 ~ 10월
(정답률: 63%)
  • 밑깎기 작업은 나무가 잎을 떨어뜨리고 가지가 말라들기 시작하는 가을과 겨울에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6 ~ 8월"은 밑깎기 작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시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잣나무를 폭 2m, 열 2m 간격으로 5ha 를 정방형으로 조림하고자 할 때 필요한 묘목 본수는?

  1. 7,500본
  2. 10,000본
  3. 12,500본
  4. 15,000본
(정답률: 77%)
  • 5ha는 50,000m²이다. 이를 잣나무를 심을 간격으로 나누면 25,000그루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잣나무가 서로 겹치지 않는 경우이므로, 실제 필요한 묘목 본수는 이보다 더 많아진다. 이를 고려하여 보통 2~3배 정도를 더 심는다고 하니, 25,000 x 2 = 50,000본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2,500본"이 아닌 "15,000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림토양이 산성화됨에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소이온이 뿌리에 흡수되어 단백질이 응고되거나, 효소의 작용을 방해한다.
  2. 토양용액 중에 활성 알루미늄의 농도 가 높아져 묘목생장에 장애가 된다.
  3. 토양에서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이 용탈된다.
  4. 토양의 입단구조가 발달하여 토양미생 물의 생육에 유리하게 된다.
(정답률: 65%)
  • 정답은 "토양의 입단구조가 발달하여 토양미생 물의 생육에 유리하게 된다."가 아닙니다.

    산림토양이 산성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소이온이 뿌리에 흡수되어 단백질이 응고되거나, 효소의 작용을 방해한다.
    - 토양용액 중에 활성 알루미늄의 농도가 높아져 묘목 생장에 장애가 된다.
    - 토양에서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이 용탈된다.

    산림토양이 산성화되면 토양의 pH가 낮아지기 때문에, 양이온들이 토양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입단구조가 발달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토양미생물의 생육에 유리해지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산성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발아시험에서 일정 기간내의 발아립수를 시험에 사용한 전체립수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은?

  1. 순량율
  2. 발아력
  3. 효율
  4. 용적중
(정답률: 57%)
  • 발아시험에서는 일정 기간내에 발아한 씨앗의 수를 시험에 사용한 전체 씨앗의 수로 나눈 백분율을 계산하여 발아력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씨앗이 발아하기 쉬운지, 발아력이 높은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아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묘 포지를 경운(밭갈이)작업할 때 나타 나는 효과로 맞는 것은?

  1. 토양 내 산소량이 감소한다.
  2. 토양의 보수력을 감소시킨다.
  3. 토양의 풍화작용을 촉진시킨다.
  4. 토양 내 탄산가스량은 영향이 없다.
(정답률: 72%)
  • 묘 포지를 경운작업할 때는 토양이 깨어져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토양 내 산소량이 증가하고, 이는 토양의 풍화작용을 촉진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양의 풍화작용을 촉진시킨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갱신의 방법에서 인공조림에 의한 방법 이 아닌 것은?

  1. 파종 조림
  2. 식수 조림
  3. 삽목 조림
  4. 맹아 갱신
(정답률: 73%)
  • 맹아 갱신은 인공조림이 아닌 자연적인 갱신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산불, 산사태, 해일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산림이 파괴된 후, 새로운 식물이 자연적으로 자라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인공적인 조작 없이 자연적인 과정으로 갱신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큰 수종을 이식할 때 뿌리돌림을 해서 근주 부근에 세근을 발달시키고 뒤에 근분을 떠서 활착을 돕고자 할 때 수종과 뿌리돌림의 시기가 적합하게 짝지어 진 것은?

  1. 낙엽수종: 11~2월 상순, 혹은 2~3월 상순
  2. 상록 침엽수종: 7~8월 상순
  3. 상록 활엽수종: 한겨울
  4. 수종마다 큰 차이가 없고 년 중 어느 때든지 적합하다.
(정답률: 46%)
  • 뿌리돌림을 하기 위해서는 수종이 휴면 상태여야 하고, 이식 후 뿌리가 잘 발달하기 위해서는 생장이 시작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낙엽수종은 겨울철에 휴면 상태에 있으며, 생장이 시작되기 전인 2월 상순까지 이식과 뿌리돌림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또한, 11월부터 2월 상순까지도 가능한 이유는 겨울철에는 수분이 적어 뿌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뿌리돌림을 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임지의 잠재생산능력 급수가 Ⅴ급인 곳 에 조림해야 할 수종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오리나무
  2. 낙엽송
  3. 곰솔
  4. 현사시나무
(정답률: 25%)
  • 임지의 잠재생산능력이 Ⅴ급인 곳은 토양이 수분과 영양분을 잘 보유하고 있으며, 적당한 햇빛과 바람이 불어오는 곳입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낙엽송이 적합한 수종입니다. 낙엽송은 수분과 영양분을 잘 흡수하며, 적당한 햇빛과 바람을 좋아합니다. 또한 잎사귀가 떨어지는 가을철에는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다른 식물들이 성장하기에 좋은 환경을 조성합니다. 따라서 낙엽송이 잠재생산능력이 Ⅴ급인 임지에 조림해야 할 수종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생가지치기를 하여도 상구(傷口) 부후 의 위험성이 거의 없는 수종으로 짝지 어진 것은?

  1. 자작나무류, 단풍나무류
  2. 삼나무, 물푸레나무
  3. 벚나무류, 느릅나무류
  4. 편백, 포플러류
(정답률: 63%)
  • 편백과 포플러류는 생가지치기를 하여도 상구 부후의 위험이 거의 없는 수종으로, 그 이유는 그들의 나무 껍질이 매우 단단하고 튼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가지치기를 할 때에도 나무 껍질이 손상되지 않아 상구 부후의 위험이 적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나무 껍질이 상대적으로 얇고 연약하기 때문에 생가지치기를 하면 상구 부후의 위험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생식물의 일반적인 형태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각피층이 얇다.
  2. 잎의 크기가 작거나, 경엽(硬葉)을 가 지고 있다.
  3. 세포간극이 축소된다.
  4. 표면에 왁스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정답률: 52%)
  • 정답은 "각피층이 얇다." 이다. 일반적으로 건생식물은 각피층이 두꺼워 수분과 기체 교환이 어렵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적응하고 있다. 따라서 각피층이 얇은 것은 건생식물의 일반적인 형태적 특성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년생 묘목을 상체하는데 적합하지 않 는 수종은?

  1. 편백
  2. 삼나무
  3. 소나무류
  4. 참나무류
(정답률: 43%)
  • 참나무류는 빠른 성장속도와 큰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1년생 묘목을 상체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참나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우리나라 한 대림에서 관찰할 수 없는 수종은?

  1. 가문비나무
  2. 주목
  3. 단풍나무
  4. 잣나무
(정답률: 68%)
  • 단풍나무는 일본, 중국, 북미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수종으로, 우리나라 대림에서는 자연적으로 자라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한 대림에서는 단풍나무를 관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관다발 형성층의 시원세포가 수피 방향 으로 분열하여 형성되며, 사부유 조직, 사부섬유, 반세포 등의 복합조직으로 구성되는 것은?

  1. 체관부
  2. 물관부
  3. 수피층
  4. 측아
(정답률: 75%)
  • 체관부는 식물의 기본적인 구조 중 하나로, 수분과 영양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물관부와 함께 형성됩니다. 이 중에서도 관다발 형성층의 시원세포가 수피 방향으로 분열하여 형성되는 것이 체관부입니다. 이러한 체관부는 사부유 조직, 사부섬유, 반세포 등의 복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체관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순림에 관한 특징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숲의 구성이 단조로워서 병충해, 풍해 의 저항력이 강하다.
  2. 침엽수로만 형성된 순림에서는 임지의 악화가 초래되는 일이 없다.
  3. 경제적으로 가치있는 나무를 대량 생 산할 수 있다.
  4. 입지(立地)를 완전하게 이용할 수 있 다.
(정답률: 79%)
  • 순림은 침엽수로만 형성되어 있어서 임지의 악화가 없으며, 구성이 단조로워서 병충해나 풍해에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경제적으로 가치있는 나무인 소나무를 대량 생산할 수 있어서 나무산업에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순림은 입지를 완전하게 이용할 수 있고, 경제적인 가치도 높은 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의 생리적 휴면을 유지시키는 호르 몬은?

  1. 옥신(auxin)
  2. 지베렐린(gibberellin)
  3. 사이토키닌(sytokinin)
  4.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정답률: 72%)
  • 아브시스산은 식물의 생리적 휴면을 유지시키는 호르몬으로, 건조한 환경에서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고 생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아브시스산은 건조한 환경에서 식물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종자의 생리적 휴면을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개화한 해에는 종실의 거의 자라지 않 고, 다음해 가을에 빨리 자라서 성숙하는 나무는?

  1. 떡갈나무
  2. 상수리나무
  3. 신갈나무
  4. 졸참나무
(정답률: 58%)
  • 상수리나무는 종실이 자라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고, 다음해 가을에 빨리 자라서 성숙하기 때문에 개화한 해에는 거의 자라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상수리나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총광합성량은 A, 호흡량을 R, 물질 순 생산량을 N 이라고 할 때, 이들 간의 관계식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A + B = N
  2. A + B = R
  3. R × A = N
  4. A - R = N
(정답률: 69%)
  • 정답: A - R = N

    총광합성량(A)은 광합성 과정에서 탄소발원체(CO2)를 흡수하여 산소(O2)와 유기물(당분 등)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산소의 양을 말합니다. 호흡량(R)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 말합니다. 물질 순 생산량(N)은 광합성과 호흡이 일어나는 전체 생태계에서 생산되는 유기물의 양을 말합니다.

    따라서, 광합성과 호흡은 서로 역방향의 반응이므로 A - R = N이 성립합니다. 이 식은 광합성과 호흡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경우, 생태계에서 생산되는 유기물의 양이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방제 방법으로 거 리가 먼 것은?

  1. 동해 및 상해에 주의한다.
  2. 줄기를 침해하는 해충을 구제한다.
  3. 중간기주 식물을 제거한다.
  4. 저항성 품종을 심는다.
(정답률: 67%)
  • 밤나무 줄기마름병은 중간기주 식물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중간기주 식물을 제거하는 것이 방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불의 발생형태 중 비화(spot fire)하 기 쉽고, 한번 일어나면 불 끄기가 힘들어 큰 손신을 가져 오는 것은?

  1. 지중화
  2. 지표화
  3. 수간화
  4. 수관화
(정답률: 70%)
  • 수관화는 불이 번지는 과정에서 불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비화 중 가장 위험한 형태입니다. 불이 떨어져 나온 곳에서 새로운 불길이 발생하며, 이러한 비화는 바람에 휘날려 불길을 더욱 심하게 번지게 만듭니다. 또한, 수관화는 불을 직접적으로 진압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낙엽채취가 삼림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낙엽채취는 생태계내의 균형을 깨트린 다.
  2. 낙엽채취는 토양의 양료를 박탈한다.
  3. 낙엽채취는 회복하기 어려운 삼림의 황폐를 초래한다.
  4. 낙엽채취는 임내 청소를 깨끗이 하므 로 삼림에 좋다.
(정답률: 79%)
  • 정답: "낙엽채취는 임내 청소를 깨끗이 하므로 삼림에 좋다."

    낙엽채취는 삼림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 중 하나이며, 적절한 양에서는 삼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낙엽채취는 삼림 내부의 쓰레기와 죽은 잎사귀를 청소하여 산불 등의 위험을 줄이고, 햇빛과 공기를 유입하여 삼림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낙엽채취는 임내 청소를 깨끗이 하므로 삼림에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해 매개 전염되는 수병은?

  1. 대추나무 빗자루병
  2. 오동나무 빗자루병
  3. 뽕나무 오갈병
  4. 벚나무 빗자루병
(정답률: 70%)
  • 담배장님노린재는 오동나무를 감염시키며, 이로 인해 오동나무 빗자루병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매개 전염되는 수병은 오동나무 빗자루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병에 대한 기주와 중간기주가 모두 옳은 것은?

  1. 소나무 잎녹병: 소나무와 참나무
  2. 잣나무 털녹병: 잣나무와 낙엽송
  3. 포플러 잎녹병: 포플러와 까치밥나무
  4. 향나무 녹병: 향나무와 배나무
(정답률: 68%)
  • 기주와 중간기주가 모두 옳은 것은 "향나무 녹병: 향나무와 배나무"이다. 이는 향나무와 배나무가 서로 근엽목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소나무와 참나무, 잣나무와 낙엽송, 포플러와 까치밥나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나무이기 때문에 기주와 중간기주 중 하나만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식물 바이러스의 전염에 큰 역할을 하 는 곤충의 종류 중 가장 많은 종류는 다음의 어느 과(科)의 곤충인가?

  1. 진딧물과
  2. 가루깍지벌레과
  3. 노린재과
  4. 메뚜기과
(정답률: 50%)
  • 진딧물과의 곤충들은 식물을 먹거나 식물의 분비물을 먹는데, 이 때 식물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식물 바이러스의 전염에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곤충 종류는 진딧물과의 곤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성충으로 월동하는 곤충은?

  1. 밤나무순혹벌
  2. 소나무좀
  3. 독나방
  4. 솔잎혹파리
(정답률: 65%)
  • 소나무좀은 소나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소나무에서 월동을 한다. 따라서 성충으로 월동하는 곤충은 소나무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토양 전염을 하지 않는 것은?

  1. 뿌리혹병
  2. 모잘록병
  3. 오동나무 탄저병
  4. 자주빛날개무늬병
(정답률: 59%)
  • 오동나무 탄저병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토양 전염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감염된 나무와 직접 접촉하거나 벌레를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뿌리혹병, 모잘록병, 자주빛날개무늬병은 모두 토양 전염을 하기 때문에 오동나무 탄저병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각종 해충의 생물적 방제에 이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기생곤충
  2. 훈증제
  3. 포충동물
  4. 병원미생물
(정답률: 83%)
  • 기생곤충, 포충동물, 병원미생물은 모두 해충이나 병원체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물적 방제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하지만 훈증제는 해충이나 병원체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거나 품질을 개선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훈증제는 생물적 방제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1. 소나무순명나방
  2. 매미나방
  3. 복숭아명나방
  4. 소나무좀
(정답률: 83%)
  •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복숭아명나방입니다. 이는 복숭아나 복숭아와 관련된 작물의 열매에 알을 낳고, 애벌레가 열매 내부로 침입하여 종실을 먹어치우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나무나 매미와 관련된 것으로, 종실을 가해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오염원으로부터 직접배출되는 1차 대기 오염물질이 아닌 것은?

  1. 황산화물
  2. 질소산화물
  3. 분진
  4. 오존
(정답률: 82%)
  • 오존은 직접배출되는 1차 대기 오염물질이 아닙니다. 대기 중의 일산화질소와 태양광선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2차 대기 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미국흰불나방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피해를 나타낸 시기는?

  1. 1948년 전후
  2. 1958년 전후
  3. 1968년 전후
  4. 1978년 전후
(정답률: 66%)
  • 미국흰불나방은 1910년대에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1950년대에는 북아메리카에서 대규모 발생이 일어났습니다. 이후 1958년 전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958년 전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목에 발생하는 병의 일반적인 표징이 아닌 것은?

  1. 그을음병의 그을음
  2. 위축
  3. 버섯
  4. 균사체
(정답률: 56%)
  • 위축은 병이 아닌 나무의 생리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무가 건강하지 않거나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물 부족 등의 이유로 나무가 위축되면 잎이 작아지고 색이 바래며 가지가 부러지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위축은 병의 일반적인 표징이 아니라 나무의 생리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임목이 작물에 미치는 알렐로파시 (allelopathy, 타감) 효과가 적은 나무는?

  1. 흑호두나무
  2. 소나무
  3. 참나무류
  4. 단풍나무
(정답률: 24%)
  • 단풍나무는 다른 작물에 대한 알렐로파시 효과가 적은 나무입니다. 이는 단풍나무가 뿌리에서 분비하는 화학물질이 다른 작물의 성장을 억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풍나무 주변에 다른 작물을 심어도 성장에 지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으로 액체보다 가루약을 주입하 며, 살균제나 살충제보다 영양제 및 미량원소를 주입하는 데 가장 좋은 수간주사 방법은?

  1. 중력식 수간주입법
  2. 미세압력식 수간주입법
  3. 삽입식 수간주입법
  4. 흡수식 수간주입법
(정답률: 57%)
  • 삽입식 수간주입법은 주사침을 근육 내부에 삽입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액체보다 가루약을 주입하는 데 적합하며, 약물의 흡수가 빠르고 안정적이며, 영양제나 미량원소를 주입하는 데도 적합합니다. 또한 살균제나 살충제와 같은 약물을 주입할 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 중 천연기념물이 아닌 것은?

  1. 수달
  2. 늑대
  3. 물범
  4. 산양
(정답률: 76%)
  • 늑대는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 중 천연기념물이 아닙니다. 이는 늑대가 우리나라에 원래 서식하던 동물이 아니라,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서식하게 된 상대적으로 최근에 들어온 종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수달, 물범, 산양은 우리나라에 원래 서식하던 동물로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미국흰불나방
  2. 잣나무넓적잎벌
  3. 박쥐나방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75%)
  • 박쥐나방은 식물을 먹지 않고 동물의 혈액을 먹는 동물이기 때문에 식엽성 해충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식물을 먹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기오염에 의한 수목피해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높은 온도에서 피해가 더욱 크다.
  2. 높은 광도에서 피해가 더욱 크다.
  3. 높은 상대습도에서 피해가 더욱 크다.
  4. 영양원이 많을 때 피해가 더욱 크다.
(정답률: 75%)
  • 영양원이 많을 때 피해가 더욱 크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대기오염으로 인해 나무가 피해를 받을 때는 오히려 영양원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생존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따라서 영양원이 많을 때 피해가 더욱 크다는 설명은 오히려 반대되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목의 경제적인 피해를 초래하는 해충 의 최고밀도를 나타내는 경제적 가해수준이 가장 낮은 해충은?

  1. 측백나무하늘소
  2. 흰불나방
  3. 솔잎혹파리
  4. 밤바구미
(정답률: 64%)
  • 측백나무하늘소는 수목의 경제적인 피해를 초래하는 해충 중에서 최고밀도를 나타내는 경제적 가해수준이 가장 낮은 이유는 그 피해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측백나무하늘소는 주로 나무의 껍질을 먹어서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만, 나무가 죽는 정도까지는 아니기 때문에 경제적인 피해가 크지 않습니다. 반면에 다른 해충들은 나무를 죽이는 등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가해수준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야생동물 중 식충목(食蟲目)에 해 당하는 것은?

  1. 멧돼지
  2. 사슴
  3. 두더지
(정답률: 75%)
  • 두더지는 식충목에 속하는 동물로, 주로 벌레나 곤충 등을 먹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곰, 멧돼지, 사슴은 식물이나 작은 동물을 먹는 식물성 동물이므로 식충목에 해 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윤벌기란 보속작업에 있어서 한 작업 급 내의 모든 임분을 1순벌하는데 필 요한 기간이다.
  2. 회귀년이란 택벌작업에 있어서 일단 택벌된 벌구가 또다시 택벌될 때 까지 의 기간이다.
  3. 벌기령과 벌채령은 일치 할 수도 있다.
  4. 회귀년이 길때는 단위면적에서 벌채될 재적이 적다.
(정답률: 71%)
  • "회귀년이 길때는 단위면적에서 벌채될 재적이 적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회귀년이 길 때는 택벌된 벌구가 다시 택벌될 때까지의 기간이므로, 이 기간 동안에는 새로운 벌구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단위면적에서 벌채될 재적이 적어진다. 따라서 회귀년이 길수록 벌채량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매년 240만원씩 순수익을 얻을 수 있 는 산림을 3,600만원에 구입하였을 때 의 년간 손익은? (단, 년 이율은 6%이다.)

  1. 손해 24만원
  2. 이익 24만원
  3. 손해 400만원
  4. 이익 400만원
(정답률: 37%)
  • 산림을 3,600만원에 구입하였으므로, 매년 240만원의 순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연 이율 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따라서, 연간 이자는 3,600만원 x 6% = 216만원이다. 이에 매년 얻을 수 있는 순수익 240만원을 더하면, 총 수입은 456만원이 된다. 이에 구입 비용인 3,600만원을 나누면, 수익률은 12.67%가 된다. 따라서, 이 산림을 구입하면 매년 456만원의 수입이 발생하므로, 이익은 24만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간석해 시 계산되지 않는 것은?

  1. 재적
  2. 평균성장량
  3. 연년성장량
  4. 영급별 중량
(정답률: 59%)
  • 수간석해 시에는 재적, 평균성장량, 연년성장량이 모두 계산되지만, 영급별 중량은 계산되지 않습니다. 이는 영급별 중량이란 개념이 수간석해 시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간석해 시는 주로 재적과 성장량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영급별 중량은 다른 분석 방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이령임분의 임령을 표시하는 방법이 일 때 분자부분의 '35'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임분 내의 임령범위
  2. 최대의 임령
  3. 추정의 평균임령
  4. 현재의 측정임령
(정답률: 61%)
  • 분자부분의 '35'는 해당 이령임분이 대상으로 하는 연령대의 중앙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령임분의 임령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분자부분의 '35'는 추정의 평균임령을 나타낸다. 이는 해당 연령대의 대표적인 임령으로, 이를 기준으로 임령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추정의 평균임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지황조사의 항목이 아닌 것은?

  1. 기후
  2. 지세(地勢)
  3. 입목도
  4. 지위(地位)
(정답률: 44%)
  • 입목도는 지형적인 요소가 아닌 식물상의 요소이기 때문에 지황조사의 항목이 아니다. 지황조사는 지역의 지형, 기후, 지세, 지위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연휴양림의 수림 공간 형성 특성 중 레크레이션 이용밀도 및 활동 자유도가 낮은 형은?

  1. 열개림형
  2. 소생림형
  3. 산개림형
  4. 밀생림형
(정답률: 63%)
  • 밀생림형은 나무들이 서로 밀접하게 자라서 밀도가 높은 형태이며, 이로 인해 레크레이션 이용밀도 및 활동 자유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자연휴양림에서는 밀생림형을 조성하지 않고 다른 형태의 수림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산림의 휴양기능으로 가장 거 리가 먼 것은?

  1. 국민의 보건 휴양 증진
  2. 정서함양
  3. 레크레이션적 가치 창출
  4. 수원함양
(정답률: 71%)
  • 정답은 "수원함양"입니다.

    "국민의 보건 휴양 증진"은 산림이 인체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한 것이며, "정서함양"은 산림이 인간의 정서적 안정과 안락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강조한 것입니다. "레크레이션적 가치 창출"은 산림이 레크레이션 활동을 위한 장소로서의 가치를 강조한 것입니다.

    반면에 "수원함양"은 산림이 인간의 수면 질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등의 휴식과 회복 기능을 강조한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기능에 비해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여 산림에서의 휴양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유림을 소유규모에 따라 농가임업, 부업적 임업, 겸업적임업, 주업적 임업등으로 나눌 수 있다. 경영대상인 산림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리나라 사유림의 핵심을 이루는 경영형태는?

  1. 농가임업과 부업적 임업
  2. 부업적 임업과 겸업적 임업
  3. 겸업적 임업과 주업적 임업
  4. 농가임업과 주업적 임업
(정답률: 42%)
  • 우리나라 사유림의 핵심 경영형태는 부업적 임업과 겸업적 임업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사유림이 소규모 농가나 농업인의 부업이나 겸업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주로 농사나 축산업 등 다른 직업을 병행하면서 사유림을 경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수입을 얻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업적 임업과 겸업적 임업이 우리나라 사유림 경영의 핵심 형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의 개념을 임업 에 도입할 때 자본장비도에 해당하는 것은?

  1. 입목축적
  2. 생장률
  3. 소득
  4. 노동
(정답률: 66%)
  • 임업에서 자본장비도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투입되는 자본 장비와 생산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입목축적"이 자본장비도에 해당합니다. 이는 임업에서 나무를 심을 때, 나무를 심는 간격이 너무 멀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너무 가까우면 경쟁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으로 나무를 심는 것이 생산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임지의 평가에서 똑같은 산림경영패턴 이 영구히 반복된다는 것을 가정한 평가법은?

  1. 임지비용가법
  2. 임지기망가법
  3. 임지예상가법
  4. 임지매매가법
(정답률: 66%)
  • 임지기망가법은 산림경영에서 임지의 가치를 평가할 때, 해당 임지에서 똑같은 패턴으로 산림경영을 지속했을 때 발생하는 기망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임지의 장기적인 가치를 고려하며, 임지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평가 방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임지의 평가에서 똑같은 산림경영패턴이 영구히 반복된다는 것을 가정한 평가법이 임지기망가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작업종 중 경관 및 생태계 보존에 가장 유리한 작업종은?

  1. 골라베기 작업
  2. 모두베기 작업
  3. 왜림작업
  4. 모수작업
(정답률: 72%)
  • 정답: "골라베기 작업"

    이유: 골라베기 작업은 필요한 나무만을 선택적으로 베어내는 작업으로, 다른 작업종들과는 달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이에 따라 생태계 보존에 가장 유리한 작업종으로 평가됩니다. 모두베기 작업은 모든 나무를 베어내는 작업으로 생태계 파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왜림작업은 주로 상업적 목적으로 식재된 나무를 베어내는 작업으로, 생태계 보존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모수작업은 일부 나무를 베어내는 작업으로, 골라베기 작업과 유사하지만 베어내는 나무의 비율이 높아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야영참가인이 4,000명, 야영 참가 가구 수가 1,000가구, 야영횟수가 3회, 그리 고 평균 숙박일수가 3일인 경우에 야영 수요는?

  1. 3000인
  2. 9,000인
  3. 12,000인
  4. 36,000인
(정답률: 28%)
  • 야영 참가인 1명이 3회 야영을 하면 총 숙박일수는 9일이 됩니다. 따라서 4,000명의 야영 참가인이 3회 야영을 하면 총 숙박일수는 4,000명 x 9일 = 36,000일이 됩니다. 이는 야영 참가 가구 수나 평균 숙박일수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6,000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휴양지의 시설적 수용력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영향인자는?

  1. 동식물의 개체수
  2. 프라이버시의 보장
  3. 이용자간 조우 횟수
  4. 야영장을 이용하는 사람수
(정답률: 50%)
  • 휴양지의 시설적 수용력은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프라, 시설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시 되는 영향인자는 야영장을 이용하는 사람수입니다.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직접적으로 시설의 이용 가능 인원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야영장을 이용하는 사람수가 많을수록 시설의 수용력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이용자들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휴양지에서는 야영장을 이용하는 사람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시설적 수용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임지를 취득한 후 조림 등 임목 육성에 알맞은 상태로 개량하는데 소요되는 모 든 비용의 후가에서 그 동안 수입의 후가를 공제한 가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임지비용가
  2. 임지기망가
  3. 임목기망가
  4. 임지매매가
(정답률: 69%)
  • "임지비용가"는 임지를 개량하는데 필요한 모든 비용을 포함한 가격으로, 이 가격은 수입의 후가를 공제한 후에 계산됩니다. 즉, 임지를 개량하는데 필요한 모든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된 최종 가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지비용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용객의 안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리 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모든 이용객의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인식하도록 할 것
  2. 모든 이용객이 규칙과 규율을 지키도 록 할 것
  3. 이용객에게 응급사항에 대한 대처방 안을 강구하도록 안전교육을 실시 할 것
  4. 발생한 사고에 대한 철저한 검토와 분석을 통해 재발을 방지 할 것
(정답률: 54%)
  • "모든 이용객의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인식하도록 할 것"은 관리자가 수행해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이용객 개개인의 책임이며, 관리자가 모든 이용객의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용객에게 안전한 이용 방법과 규칙을 제공하고, 응급사항 대처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더욱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국유림경영계획에서는 산림을 6가지 기 능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다음 중 생태ㆍ 문화 및 학술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자연 및 산림을 보호ㆍ보전하기 위한 산림의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연환경보전기능
  2. 생활환경보전기능
  3. 수원함양기능
  4. 산지재해방지기능
(정답률: 61%)
  • 정답: "자연환경보전기능"

    자연환경보전기능은 생태계의 보전과 생물다양성 유지, 토양과 수질 보호 등을 통해 자연환경을 보전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생태ㆍ문화 및 학술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자연 및 산림을 보호ㆍ보전하기 위한 산림의 기능은 자연환경보전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임목의 가격을 사정하기 위해 (주벌수확의 경우)직접 조사해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 총재적의 재종별 재적
  2. 조재율 또는 이용율
  3. 재종별 시장가격
  4. 임지현황
(정답률: 57%)
  • 임지현황은 임목의 가격을 사정하기 위해 직접 조사해야 할 항목이 아닙니다. 임지현황은 단순히 임지의 위치, 면적, 지형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임목의 가격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재종별 재적, 조재율 또는 이용율, 재종별 시장가격 등을 조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임업조수익에 해당하는 것은?

  1. 임업현금지출
  2. 감가상각액
  3. 미처분 임산물 증강액
  4. 임업생산 자재 재고 감소액
(정답률: 63%)
  • 임업조수익은 임산물 판매로 인한 수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미처분 임산물 증강액"이 임업조수익에 해당합니다. 이는 생산한 임산물 중 아직 판매하지 않은 임산물의 가치 증가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임업회사가 생산한 나무를 판매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을 때, 나무의 가치가 상승하면 그 차이를 미처분 임산물 증강액으로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임가(林家)의 소비경제가 임업에 의하 여 지탱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은?

  1. 임업순수익
  2. 임업의존도
  3. 임업소득률
  4. 임업소득가계충족률
(정답률: 47%)
  • "임가(林家)의 소비경제가 임업에 의하 여 지탱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임업소득가계충족률입니다. 이는 임업으로 얻은 소득이 가계의 소비를 충족시키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임업이 가계의 생활을 지탱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임업의 수익, 의존도, 소득률 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가계의 소비를 충족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임업소득가계충족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나무림 40년생의 임목 재적100m3를 매각하려고 한다. 소나무 임목 이용율은 70%로, 1m3당 평균원목시장가격은 60,000원, 조재비는 10,000원, 집재ㆍ운재비가 20,000원이고 이율이 4%, 자본회수 기간이 4개월일 때 소나무림의 임목가는 얼마인가?

  1. 약 154만원
  2. 약 153만원
  3. 약 152만원
  4. 약 151만원
(정답률: 42%)
  • 임목의 재적은 100m3이고, 이용율이 70%이므로 실제 이용 가능한 임목은 70m3이다.

    조재비와 집재ㆍ운재비를 고려하여 1m3당 원목 생산비용은 30,000원이 된다.

    따라서 70m3의 생산비용은 2,100,000원이 된다.

    자본회수 기간이 4개월이므로 이자율 4%를 적용하여 현재가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PV = FV / (1 + r)n

    PV = 2,100,000 / (1 + 0.04)4/12

    PV = 2,100,000 / 1.0133

    PV = 2,073,000

    따라서, 소나무림의 임목가는 2,073,000원이 된다.

    정답은 "약 152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도공학

61. 임도망 계획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신속한 운재와 비용을 줄인다.
  2. 임목 벌채량을 적게 한다.
  3. 운반량의 탄력성이 있도록 한다.
  4. 목재운반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73%)
  • 임도망 계획에서는 임목 벌채량을 적게 하는 것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임도망 계획에서는 주로 목재운반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목 벌채량은 다른 요소들과는 별개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임도를 설계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해 야 할 일은?

  1. 예측
  2. 답사
  3. 설계서 작성
  4. 예비조사
(정답률: 86%)
  • 임도를 설계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예비조사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지형, 기후, 인구 밀도, 교통 등을 조사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설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측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므로 설계 이전에는 불가능합니다. 답사는 이미 존재하는 임도를 조사하는 것이므로 설계 이전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설계서 작성은 예비조사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작업이므로 예비조사 이전에는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임도노선의 곡선설정시 사용되는 방법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출법
  2. 진출법
  3. 교각법
  4. 편각법
(정답률: 74%)
  • 임도노선의 곡선설정시 사용되는 방법 중 "사출법"은 해당되지 않는다. 사출법은 길이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곡선설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진출법은 곡선의 끝점에서 나가는 방법, 교각법은 곡선의 중심에서 교각을 설치하는 방법, 편각법은 곡선의 각도를 측정하여 설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임도 노선을 도상에 배치할 때 노선 통 과에 유리한 지점과 불리한 지점을 도면에 미리 표시해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 중 노선배치 시 불리한 지점(negative point)으로 볼 수 없는 곳은?

  1. 늪지대
  2. 암석지
  3. 여울목
  4. 소유경계
(정답률: 40%)
  • 여울목은 노선 통과에 큰 지장이 없는 지점으로, 불리한 지점으로 볼 수 없다. 다만, 다른 보기들인 늪지대, 암석지, 소유경계는 각각 노선 통과에 불리한 지점으로 볼 수 있다. 늪지대는 노선이 침수될 가능성이 있고, 암석지는 노선이 막힐 가능성이 있으며, 소유경계는 노선이 건설되기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견고한 지반 위에 기초콘크리트를 직접 시공하고 이 기초콘크리트에 하중이 작 용하도록 만든 기초로서 직접(直接)기초라고도 불리는 것은?

  1. 얕은기초
  2. 확대기초
  3. 말뚝기초
  4. 깊은기초
(정답률: 38%)
  • 얕은기초는 지반의 상부에 직접 시공되는 기초로, 지반의 견고한 부분에 바로 연결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지반의 상부가 충분히 견고하고 안정적일 때 적합한 기초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산악지 임도에서 종단물매 10%의 구간 에 곡선부의 외쪽물매를 8%로 설치하고자 할 때 합성물매의 값은?

  1. 9.6%
  2. 12.8%
  3. 18.0%
  4. 24.8%
(정답률: 63%)
  • 산악지 임도에서 종단물매 10%의 구간에서 외쪽물매를 8%로 설치하면, 그 구간에서의 오른쪽물매는 12%가 됩니다. 이는 외쪽물매와 종단물매의 합이 20%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의 합성물매는 (8% + 12%) / 2 = 10%가 됩니다.

    전체 구간에서의 합성물매는 종단물매와 같은 10%이므로, 정답은 "10%"이 아니라, 구간에서의 합성물매인 "12.8%"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공재로로 쓰이는 토양에 관한 설명으 로 틀린 것은?

  1. 세립토는 대체로 배수가 양호하여 흙 쌓기 재료로서 안성마춤이다.
  2. 세림토는 실트, 점토, 점성토를 말한 다.
  3. 조립토는 흙쌓기(성토부) 심부에선 전 단강도도 크고 배수가 양호하여 활동의 위험이 없다.
  4. 조립토는 자갈과 모래가 주성분이어서 점착성이 없는 토양이다.
(정답률: 62%)
  • 정답은 "조립토는 자갈과 모래가 주성분이어서 점착성이 없는 토양이다."이다.

    세립토는 대체로 배수가 양호하여 흙 쌓기 재료로서 안성마춤이다. 세림토는 실트, 점토, 점성토를 말하며, 조립토는 흙쌓기(성토부) 심부에선 전 단강도도 크고 배수가 양호하여 활동의 위험이 없다는 것이 맞다. 하지만 조립토는 자갈과 모래가 주성분이어서 점착성이 없는 토양이 아니라, 다양한 입자 크기와 함량을 가진 토양으로, 점착성이 있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임도상에 설치하는 대피소의 설치기준 중 유효길이는 몇 미터 이상으로 하는가?

  1. 5m 이상
  2. 15m 이상
  3. 25m 이상
  4. 35m 이상
(정답률: 74%)
  • 임도상에 설치하는 대피소는 화재 등 비상상황에서 대기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로서, 대피 인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유효길이가 15m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는 대피소가 화재 등 비상상황에서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며, 대피 인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과이다. 따라서, 대피소의 설치기준 중 유효길이는 15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돌쌓기 공법 중 직고가 약 1.5m의 성 토 시 메쌓기 구조물의 표준 물매는?

  1. 1: 0.3
  2. 1: 0.5
  3. 1: 0.6
  4. 1: 0.8
(정답률: 64%)
  • 돌쌓기 공법에서 표준 물매는 돌을 쌓을 때 사용하는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을 말합니다. "1: 0.3"은 시멘트 1부에 모래 0.3부를 섞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구조물은 성 토 시 메쌓기 구조물로 높이가 1.5m이므로, 안정성을 위해 시멘트 비율을 높게 가져가야 합니다. 따라서 "1: 0.3"이 적합한 표준 물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교각(θ) = 80°, 곡선반지름(R) = 20m 일 때 안전시거는 약 얼마인가?

  1. 28m
  2. 38m
  3. 25m
  4. 35m
(정답률: 38%)
  • 주어진 정보로부터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안전거리를 구할 수 있다.

    먼저, 교각의 중심각을 이용하여 호의 길이를 구한다.

    호의 길이 = (중심각 / 360) × 2πR
    = (80 / 360) × 2π × 20
    = 8.85m

    다음으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안전거리를 구한다.

    tan(θ/2) = (반지름(R) - 안전거리) / 호의 길이
    안전거리 = R - (tan(θ/2) × 호의 길이)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안전거리 = 20 - (tan(80/2) × 8.85)
    ≈ 28m

    따라서, 정답은 "2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 에 따른 임도의 곡선반경이 13m 이상 ~ 14m 미만일 때 곡선부 너비의 확대 기준은?

  1. 2.25m 이상
  2. 2.00m 이상
  3. 1.75m 이상
  4. 1.50m 이상
(정답률: 55%)
  •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 따르면, 임도의 곡선반경이 13m 이상 ~ 14m 미만일 때 곡선부 너비는 최소 2.00m 이상으로 확대되어야 합니다. 이는 차량이나 기계 등이 곡선부를 지나갈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00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식생 군락 등의 대상물 판별에 가장 중요한 것은?

  1. 색조
  2. 음영
  3. 질감
  4. 형상
(정답률: 53%)
  • 식생 군락 등의 대상물 판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색조입니다. 이는 대상물의 색깔이나 색의 진하기, 밝기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색조를 통해 대상물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초록색의 식물군락과 갈색의 돌덩이들은 색조가 다르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임업토목시공용 전압기계 중 로드롤러 (road roller)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머캐덤롤러
  2. 탠덤롤러
  3. 탬핑롤러
  4. 진동롤러
(정답률: 30%)
  • 로드롤러는 도로 건설 및 유지보수 작업에서 사용되는 기계로, 지면을 평탄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머캐덤롤러", "탠덤롤러", "탬핑롤러"는 모두 로드롤러의 종류이며, 지면을 압축하거나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진동롤러"는 진동력을 이용하여 지면을 더욱 효과적으로 압축하고 평탄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진동롤러"는 로드롤러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반출할 목재의 길이가 20m인 전간목을 너비가 4m인 도로에서 트레일러로 운 반 할 때 최소곡선반지름은 몇 m로 하 여야 하는가?

  1. 20m
  2. 25m
  3. 30m
  4. 35m
(정답률: 66%)
  • 최소곡선반지름은 운반하는 목재의 길이와 도로의 너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전간목의 길이가 20m이고 도로의 너비가 4m이므로, 최소곡선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곡선반지름 = (운반하는 목재의 길이^2 + 4^2) / (8 × 20)
    = (20^2 + 4^2) / (8 × 20)
    = 25m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소곡선반지름이 25m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임도에서 콘크리트옹벽의 제작 과정 순 서로 바른 것은?

  1. ④ → ② → ③ → ①
  2. ① → ③ → ② → ④
  3. ① → ② → ③ → ④
  4. ② → ③ → ④ → ①
(정답률: 74%)
  • 콘크리트 옹벽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철근을 설치하고 철근을 묶어서 기본적인 형태를 만듭니다.
    ② 몰탈을 형태에 맞게 채워 넣습니다.
    ③ 몰탈이 건조되면 표면을 깎아서 평평하게 만듭니다.
    ④ 마무리 작업으로 표면을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④ → ② → ③ → ①"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임도시공상의 안전관리와 관계가 적은 것은?

  1. 공사비 및 공사기간에 대하여 무리가 없도록 한다.
  2. 광사관리는 적절하고, 철저하게 하여야 하며, 정확한 지도감독이 필요하다.
  3. 기계의 점검 및 정비를 철저히 하고, 취급자 이외에는 접촉을 금지한다.
  4. 공사 중 안전책임자는 작업자 중 가장 현장경험이 풍부한 자에 한하며, 산림 청장이 임명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공사 중 안전책임자는 작업자 중 가장 현장경험이 풍부한 자에 한하며, 산림 청장이 임명한다." 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공사의 안전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보기는 안전관리와 관계가 적은 내용이다. 이유는 이 보기는 안전책임자의 선출 방법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사리도의 유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 은 것은?

  1. 횡단배수구의 물매는 5~6%를 유지하 도록 한다.
  2. 비가 온 후 습윤한 상태에서 노면 정 지작업은 하지 않는다.
  3. 방진처리에 염화칼슘, 폐유 및 타르는 사용하지 않는다.
  4. 노면의 제초나 예불은 1년에 한번만 한다.
(정답률: 60%)
  • 횡단배수구의 물매를 5~6%로 유지하는 이유는 비가 내리면 노면의 경사를 따라 물이 흐르면서 배수구로 빠르게 유입되어 물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습윤한 상태에서 노면 정지작업을 하지 않는 이유는 노면이 습기를 흡수하여 노면의 강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입니다. 방진처리에 염화칼슘, 폐유 및 타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노면의 제초나 예불은 1년에 한번만 하는 이유는 노면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수준 측량 기고식 야장기입에서 지반고 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기계고(I.H) + 후시(B.S)
  2. 기계고(I.H) - 후시(B.S)
  3. 기계고(I.H) - 전시(F.S)
  4. 기계고(I.H) + 전시(F.S)
(정답률: 73%)
  • 수준 측량 기계식 야장기입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지반고를 구합니다.

    지반고 = 기계고(I.H) - 전시(F.S)

    이는 기계고에서 전시를 뺀 값이 지반고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계고는 측정된 높이값이며, 전시는 측정된 기둥의 상부가 지면과 만나는 지점의 높이값입니다. 따라서 기계고에서 전시를 뺀 값은 기둥의 전체 높이가 아닌, 기둥의 일부인 지반의 높이를 나타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떤 측점에서부터 차례로 측량을 하여 최후에 다시 출발한 측점으로 되돌아오 는 측량방법으로 소규모의 단독적인 측량 때 많이 이용되는 트래버스법은?

  1. 폐합트래버스
  2. 결합 트래버스
  3. 개방 트래버스
  4. 다각형 트래버스
(정답률: 76%)
  • 트래버스법은 측량을 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어떤 측점에서부터 차례로 측량을 하여 최후에 다시 출발한 측점으로 되돌아오는 방법입니다. 이 중 "폐합트래버스"는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폐합형태의 측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시작점과 끝점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고, 측량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소규모의 단독적인 측량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AB 측선의 거리가 100m, 방위각이 135° 일 때 위거 및 경거는?

  1. 위거 = -70.71m, 경거 = 70.71m
  2. 위거 = 70.71m, 경거 = -70.71m
  3. 위거 = -86.60m, 경거 = 86.60m
  4. 위거 = 86.60m, 경거 = -86.60m
(정답률: 45%)
  • AB 측선의 방위각이 135° 이므로, AB 측선은 북서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때, 위거는 AB 측선에서 북쪽으로 떨어진 거리를 의미하며, 경거는 AB 측선에서 서쪽으로 떨어진 거리를 의미합니다.

    AB 측선에서 북쪽으로 떨어진 거리를 음수로 나타내면, 위거는 -70.71m 이 됩니다. 이는 AB 측선에서 남쪽으로 70.71m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B 측선에서 서쪽으로 떨어진 거리를 양수로 나타내면, 경거는 70.71m 이 됩니다. 이는 AB 측선에서 동쪽으로 70.71m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거 = -70.71m, 경거 = 70.71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방공학

81. 암석산지나 노출된 암벽의 녹화용 방법 으로 사용되는 새집공법(巢箱工)에 사용하기 가장 부적합한 수종은?

  1. 병꽃나무
  2. 눈향나무
  3. 굴참나무
  4. 담쟁이덩굴
(정답률: 80%)
  • 굴참나무는 빠른 성장과 큰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암석산지나 암벽에서는 자리를 차지하고 다른 식물들이 자라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집공법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일반적으로 돌골막이 돌쌓기 높이는 얼 마 이내로 하는가?

  1. 1m 이내
  2. 2m 이내
  3. 3m 이내
  4. 5m 이내
(정답률: 59%)
  • 돌골막이는 보통 인간의 눈높이인 2m 이내로 만들어진다. 이는 안전성과 시각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높이이기 때문이다. 높이가 너무 낮으면 차량 등이 충돌할 위험이 있고, 너무 높으면 시야를 가리거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돌골막이의 높이는 2m 이내로 만들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구곡막이(골막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 린 것은?

  1. 시공목적은 사방댐과 유사하다.
  2. 대수측과 반수측을 모두 축설한다.
  3. 사방댐에 비해 계류상에서 시공위치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4. 골막이의 양쪽귀는 견고한 지반까지 파내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78%)
  • "대수측과 반수측을 모두 축설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구곡막이(골막이)는 대수측과 반수측을 모두 축설하여 지반을 강화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야계사방에서 유량(m3/sec)을 계산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단, C는 유출계수, I는 강우강도, A는 유역면적이다.)

  1. 0.2778 C ㆍ I ㆍ A
  2. 0.02778 C ㆍ I ㆍ A
  3. 0.002778 C ㆍ I ㆍ A
  4. 0.0002778 C ㆍ I ㆍ A
(정답률: 71%)
  • 답은 "0.002778 C ㆍ I ㆍ A"이다.

    이유는 유량은 유출계수(C)와 강우강도(I), 유역면적(A)의 곱으로 계산되는데, 단위가 m3/sec이므로, 각 단위를 맞춰주어야 한다.

    C의 단위는 m/sec1/3, I의 단위는 mm/hr, A의 단위는 km2이다.

    따라서, C ㆍ I ㆍ A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단위 변환을 해주어야 한다.

    - C: m/sec1/3 → m/sec
    - I: mm/hr → m/sec
    - A: km2 → m2

    C의 단위를 m/sec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3제곱을 해주어야 하므로, C3을 곱해준다.

    I의 단위를 m/sec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3600으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1시간 = 3600초)

    A의 단위를 m2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1,000,000을 곱해준다. (1km2 = 1,000,000m2)

    따라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유량 = C3 ㆍ (I / 3600) ㆍ (A ㆍ 1,000,000)

    = 0.002778 C ㆍ I ㆍ 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산림의 물수지(水收支)를 계산 할 때 필요하지 않은 인자는?

  1. 유출
  2. 포화
  3. 강수
  4. 증발
(정답률: 63%)
  • 산림의 물수지를 계산할 때 포화는 필요하지 않은 인자입니다. 포화는 이미 땅속에 있는 토양의 물이 최대한 흡수되어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산림의 물수지를 계산할 때 포화는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유출은 지하수와 지표수의 유출량을 의미하며, 강수는 비와 눈의 양을 나타냅니다. 증발은 땅속에서 물이 증발하는 양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산복사방에서 비탈다듬기로 생긴 토사 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누구막이
  2. 선떼붙이기
  3. 땅속흙막이공작물
  4. 사방댐
(정답률: 80%)
  • 산복사방에서 비탈다듬기로 인해 생긴 토사는 땅속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땅속흙막이공작물을 설치합니다. 이 공작물은 땅속에 깊이 박혀 있어서 토사가 흘러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복사방에서 땅속흙막이공작물을 설치하면 토사로 인한 활동 방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산지비탈면에 수평으로 연속적인 계단 을 만들고 떼를 세워 붙이는 선떼붙이기 시공을 하려고 한다. 선떼붙이기 시공표준에서 떼사용매수(매수/m)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단, 1m를 기준으로 떼 크기는 40cm × 25cm 이다.)

  1. 1급: 3.75
  2. 3급: 6.25
  3. 5급: 7.5
  4. 8급: 12.5
(정답률: 80%)
  • 떼 크기가 40cm × 25cm 이므로, 1m에는 4 × 2 = 8개의 떼가 들어간다. 따라서, 떼사용매수는 1m 당 사용되는 떼의 개수를 의미한다.

    5급에서 떼사용매수가 7.5인 이유는, 1m에 8개의 떼가 들어가는데, 이를 7.5개로 나누면 1개의 떼를 만들기 위해 1.0667m의 떼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5급에서는 1m 당 약 1.0667m의 떼가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토목재료로서의 목재의 성질이 아닌 것 은?

  1. 함수량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생기기 쉽다.
  2. 가볍고 가공성이 좋다.
  3. 중량에 비해 강도가 크다.
  4. 열전도율이 높다.
(정답률: 75%)
  • 목재의 열전도율은 낮은 편에 속하며, 따라서 이 보기에서 "열전도율이 높다."는 목재의 성질이 아닙니다. 목재는 함수량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생기기 쉽고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중량에 비해 강도가 큰 토목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사방댐의 설계에서 시공적지로 부적합 한 곳은?

  1. 상류부가 넓고 댐자리는 좁은곳
  2. 계상 및 양안에 암반이 존재하는 곳
  3. 지류의 합류점 부근에서는 합류점의 상류부
  4. 붕괴지의 하부 또는 다량의 계상퇴적 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직하류부
(정답률: 52%)
  • 지류의 합류점 부근에서는 합류점의 상류부가 시공적으로 부적합한 곳이다. 이는 지류가 합류되는 지점에서 물의 유속이 빨라지고, 물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상류부가 넓어지고 댐자리는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댐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취약해진다. 따라서 이 지역은 댐 설계 및 시공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비탈파종공법에서 한 종류의 발생기대 본수는 총 발생기대본수의 몇 %로 이하가 되지 않도록 파종량을 산정해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3%)
  • 비탈파종공법에서는 발생기대본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파종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10% 이상의 발생기대본수를 보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사방용 수종(樹種)의 특성이 아닌 것 은?

  1. 생장력이 왕성하며 쉽게 번무할 것
  2. 뿌리의 자람이 좋을 것
  3. 척악지의 조건에 적응성이 강할 것
  4. 토양 수분 요구도가 높을 것
(정답률: 80%)
  • "토양 수분 요구도가 높을 것"은 사방용 수종의 특성이 아닙니다. 이유는 사방용 수종은 대부분 건조한 환경에서도 적응력이 뛰어나며,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 수분 요구도가 높은 것은 사방용 수종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사방댐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방댐은 토사력을 주로 저사(貯砂)한 다.
  2.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중력식 콘크 리트 사방댐이다.
  3. 사방댐은 계상물매를 완화하여 계류의 침식을 방지한다.
  4. 한 개의 높은 사방댐의 대용으로 낮은 사방댐을 연속적으로 만들 수 없다.
(정답률: 75%)
  • "한 개의 높은 사방댐의 대용으로 낮은 사방댐을 연속적으로 만들 수 없다."는 사방댐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정답이다. 이유는 높은 사방댐은 큰 양의 물을 저수할 수 있지만, 낮은 사방댐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만들어도 대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절토사면 중 토질이 모래층인 사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토공사 직후에는 단단한 편이나 건 조하면 푸석푸석해지고 붕락되기 쉽다.
  2. 침식에 대단히 약하여 식생이 착근(着根)하기 전에 유실될 가능성이 높다.
  3. 토양유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보통흙으 로 전면적 객토를 해주어야 한다.
  4. 적용 공법은 새집붙이기 공법이 가장 적절하다.
(정답률: 75%)
  • "적용 공법은 새집붙이기 공법이 가장 적절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 토질이 모래층인 사면은 지반 안정성이 낮아서 새집붙이기 공법보다는 기존의 지반을 강화하는 방법이 더 적절하다. 예를 들어, 지반에 철근을 묻어서 강화하는 철근술을 사용하거나, 지반을 굳혀주는 콘크리트 주입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사방댐의 방수로 크기를 결정하는데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것은?

  1. 암반상태
  2. 집수면적
  3. 황폐상황
  4. 강수량
(정답률: 46%)
  • 암반상태는 사방댐의 방수로 크기를 결정하는데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습니다. 사방댐의 방수로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집수면적, 황폐상황, 강수량 등입니다. 암반상태는 사방댐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지만, 크기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유역면적이 50km2이고, 비유량(比流量) 이 12(m3/sec)/km2일때 최대홍수유량은?

  1. 300 m3/sec
  2. 600 m3/sec
  3. 900 m3/sec
  4. 1200 m3/sec
(정답률: 71%)
  • 최대홍수유량은 비유량과 유역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홍수유량은 50km2 x 12(m3/sec)/km2 = 600 m3/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전사구의 후방 모래를 고정하여 그 표 면을 안정시키고, 식재목이 잘 생육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법은?

  1. 구정바자얽기
  2. 모래덮기공법
  3. 퇴사울타리공법
  4. 정사울세우기공법
(정답률: 72%)
  • 전사구의 후방 모래를 고정하여 그 표면을 안정시키고, 식재목이 잘 생육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공법은 "정사울세우기공법"입니다. 이는 모래를 적당한 간격으로 높이 1~2m의 사각형으로 쌓은 후, 그 안에 나무 기둥을 세워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모래의 안정성을 높이고, 식재목이 안정적으로 자라도록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산사태 및 산붕과 비교한 땅밀림 침식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0° 이상의 급경사지에서 발생한다.
  2. 침식의 이동속도가 10m/day 이상으로 빠르다.
  3. 침식의 규모가 1ha 이하로 작다.
  4. 토괴의 흐트러짐이 적고 원형을 보존 하며 이동한다.
(정답률: 64%)
  • 산사태와 산붕은 산에서 발생하는 지형재해로서 대규모의 토사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반면, 땅밀림 침식은 지형적으로 경사가 급한 지역에서 토양이 침식되면서 발생합니다. 이때, 토괴의 흐트러짐이 적고 원형을 보존하며 이동하는 이유는, 땅밀림 침식이 발생하는 지역이 경사가 급한 지역이기 때문에 토양이 빠르게 이동하면서 형태가 변형되기보다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괴의 흐트러짐이 적고 원형을 보존 하며 이동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산림환경보전공사용 재료의 설명이 아 닌 것은?

  1. 산지에 버드나무류, 주목 등을 식생하 면 잘 생육한다.
  2. 토목재료는 내구성, 내마모성이 커야한 다.
  3. 석재 중 가격이 고가이나 미관을 요하 는 석축의 메쌓기에는 마름돌을 사용 한다.
  4. 아까시나무, 싸리나무 등은 종자로 파 종한다.
(정답률: 65%)
  • "아까시나무, 싸리나무 등은 종자로 파 종한다."는 산림환경보전공사용 재료의 설명이 아닙니다.

    "산지에 버드나무류, 주목 등을 식생하면 잘 생육한다."는 산림환경보전공사에서 사용하는 식재료 중 하나로, 이러한 식재료를 식생하면 산림생태계를 유지하고 보전할 수 있습니다.

    "토목재료는 내구성, 내마모성이 커야한다."는 산림환경보전공사에서 사용하는 토목재료의 조건 중 하나로,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높아야 지속적인 보전이 가능합니다.

    "석재 중 가격이 고가이나 미관을 요하는 석축의 메쌓기에는 마름돌을 사용한다."는 산림환경보전공사에서 사용하는 석재 중 하나로, 미관을 요하는 곳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황폐 계천 사방공작물 중 토사유과구역 에 주로 시공하는 공작물은?

  1. 모래막이
  2. 사방댐
  3. 흙막이
  4. 바자얽기
(정답률: 35%)
  • 토사유과구역은 황폐 지역 중에서도 토양이 존재하는 지역으로, 이 지역에는 강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를 막기 위해 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사방댐이 이 지역에서 주로 시공되는 공작물입니다. 모래막이는 모래를 이용하여 지면을 덮는 공작물이며, 흙막이는 흙을 이용하여 지면을 덮는 공작물입니다. 바자얽기는 바위를 이용하여 지면을 덮는 공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트랙터의 발진시 뒷바퀴 중 한 쪽 바퀴가 미끄러운 곳에 빠지면 그 바퀴는 공회전으로 탈출할 수가 없게 된다. 다음 중 어는 부속품의 작용 때문인가?

  1. 트렌스밋션
  2. 클러치
  3. 차축
  4. 디퍼렌셜 기어
(정답률: 42%)
  • 디퍼렌셜 기어는 트랙터의 뒷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속품이다. 만약 미끄러운 곳에 한 쪽 바퀴가 빠지면, 그 바퀴는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이때 디퍼렌셜 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다른 바퀴도 회전력을 받지 못하고 멈추게 되어 트랙터가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디퍼렌셜 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한 쪽 바퀴가 멈추더라도 다른 쪽 바퀴는 회전력을 받아서 트랙터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