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20)

산림기사
(2011-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주로 접목에 의한 번식방법을 이요하는 수종은?

  1. 오동나무
  2. 무화과
  3. 개나리
  4. 복숭아나무
(정답률: 70%)
  • 복숭아나무는 주로 접목에 의한 번식방법을 이용하는 수종입니다. 이는 복숭아나무의 뿌리와 줄기를 다른 나무의 뿌리와 줄기에 접목하여 번식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통해 더욱 강건한 나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오동나무, 무화과, 개나리는 주로 씨앗 번식을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나무류(HardㆍPine)와 잣나무류(Soft Pine)의 식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잣나무류는 잎이 3~5개이고 소나무류는 2~3개다.
  2. 잣나무류의 실편(實片)은 끝이 얇고 가시가 없으며, 소나무류는 실편은 끝이 두껍고 가시가 있다.
  3. 잣나무류는 가지에 침엽이 달렸던 자리가 도드라졌고 소나무류는 밋밋하다.
  4. 잣나무류의 유관속은 1개이고 소나무류는 2개다.
(정답률: 76%)
  • "잣나무류는 가지에 침엽이 달렸던 자리가 도드라졌고 소나무류는 밋밋하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 설명은 소나무류와 잣나무류를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소나무류는 가지에 침엽이 달렸던 자리가 도드라지지 않고, 잣나무류는 도드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분부족으로 스트레스를 맏은 수목의 일반적인 현상이 아닌것은?

  1. 생화학적인 반응을 감소시켜 효소의 활동을 둔화시킨다.
  2. 체내의 수분이 부족하여 팽압이 감소한다.
  3. 춘재의 비율이 추재의 비율보다 일반적으로 더 많아진다.
  4. abscisic acid를 생산하기 시작해서 기공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80%)
  • 정답은 "춘재의 비율이 추재의 비율보다 일반적으로 더 많아진다." 이유는 수분부족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된 수목들은 물을 보존하기 위해 기공을 닫아두는데, 이때 추재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기능이 저하된 수목들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재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수분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맏은 수목들의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봄에 종자를 뿌려도 그 해 중으로 싹이 트지 못하고 그 다음해에 나오는 종자의 발아휴면성과 관계가 가장 먼것은?

  1. 이중휴면성
  2. 종피불투수성
  3. 종자의 지나친 성숙
  4. 생장억제물질의 존재
(정답률: 81%)
  • 종자의 지나친 성숙은 종자가 너무 성장하여 발아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봄에 뿌린 종자는 그 해 중으로는 발아하지 못하고, 다음해에야 발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종자의 발아휴면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중휴면성은 냉동, 건조 등의 환경에서 발아가 어려운 종자의 특성을 말하며, 종피불투수성은 종자의 겉 껍질이 불투과성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생장억제물질의 존재는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물질이 종자에 존재하여 발아를 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수종의 종자들 중에서 발아력 검정에 소요되는 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1. 주목
  2. 사시나무
  3. 전나무
  4. 느티나무
(정답률: 61%)
  • 사시나무의 종자는 발아력이 매우 높고, 발아에 소요되는 기간이 가장 짧은 편입니다. 따라서, 주목, 전나무, 느티나무보다 사시나무의 종자가 발아하기 쉽고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소나무 종자의 용적중이 500g/L, 실중이 10g 순량률이 90%, 발아율이 90%일 경우에 이 종자의 효율은?

  1. 81%
  2. 90%
  3. 51%
  4. 100%
(정답률: 85%)
  • 종자의 용적중이 500g/L 이므로 1L의 종자 중에는 500g이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실중이 10g이라고 했으므로, 1L의 종자 중에서는 10g/500g = 0.02L = 20mL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순량률이 90%이므로, 이 20mL의 종자 중에서는 18mL이 순수한 종자이고, 나머지 2mL은 불순물입니다.

    발아율이 90%이므로, 18mL의 순수한 종자 중에서는 16.2mL이 발아가 되고, 나머지 1.8mL은 발아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1L의 종자 중에서는 16.2mL이 발아가 되었으므로, 발아율은 16.2/20 = 0.81 = 81%가 됩니다.

    따라서, 이 종자의 효율은 8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령림 비배의 시비법 중 식재 전에 시비하는 방법은?

  1. 표층시비
  2. 측방시비
  3. 식혈(植穴)토양하부시비
  4. 원주상 또는 반원주상 시비
(정답률: 79%)
  • 식재 전에 시비하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식재할 위치에 구멍을 파고 거기에 비료를 넣어주는 "식혈(植穴)토양하부시비"입니다. 이 방법은 비료가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표층시비", "측방시비", "원주상 또는 반원주상 시비"보다 더욱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림갱신과 관련된 용어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나무처럼 가벼운 종자는 성숙한 뒤 바람에 날려 떨어지는데 이것을 상방천연하종이라고 한다.
  2. 벌구는 일시 또는 일정기간 안에 갱신하고자 하는 구역을 말한다.
  3. 임형은 벌채방식과 목적에 따라 개벌림, 산벌림, 택벌림으로 구분된다.
  4. 산벌은 주벌과 간벌의 구별 없이 3번의 벌채로 수행되기 때문에 3벌(伐)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정답률: 52%)
  • 벌구는 일정 기간 안에 갱신하고자 하는 구역을 말한다. 이는 산림갱신 작업 중 하나로, 일정 기간마다 일부 혹은 전체를 벌채하여 새로운 나무를 심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산림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묘목의 연령표시법 중 실생묘 표시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묘 : 판갈이를 하지 않은 1년이 경과한 실생묘목
  2. 1-1묘 : 파종상에서 1년, 판갈이하여 1년이 경과된 만 2년생 묘목
  3. 1/2묘 : 뿌리는 2년, 줄기는 1년 된 묘, 1년생 실생묘를 대절하여 1년이 경과된 묘목
  4. 2-1-1묘 : 파종상에서 2년 판갈이하여 1년, 다시 판갈이하여 1년을 지낸 만 4년생 묘목
(정답률: 85%)
  • 틀린 것은 "1/2묘 : 뿌리는 2년, 줄기는 1년 된 묘, 1년생 실생묘를 대절하여 1년이 경과된 묘목"이다. 이는 1년생 실생묘를 대절하여 1년이 경과된 묘목으로, 뿌리는 1년, 줄기는 1년 된 묘목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 그림은 융육(隆肉)이 발달한 가지의 모식도이다. 활엽수를 가지치기를 할 때 가장 양호한 절단 위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8%)
  • 가지의 모양을 보면 3번 위치에서 가지가 뻗치기 때문에, 이 위치에서 가지를 자르면 더 많은 가지가 발달할 수 있고, 또한 가지의 무게를 분산시켜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3번 위치가 가장 양호한 절단 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림의 종류 중에서 순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경제적으로 유리한 수종만으로 임분을 구성할 수 있다.
  2. 산림작업과 경영이 간편하여 경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3. 임목의 벌채비용과 시장성이 유리하다.
  4. 유기물의 분해가 빨라져 무기양료의 순환이 더 잘된다.
(정답률: 87%)
  • "유기물의 분해가 빨라져 무기양료의 순환이 더 잘된다."는 순림의 장점이 아니라 효과이다. 순림의 장점은 "경제적으로 유리한 수종만으로 임분을 구성할 수 있다.", "산림작업과 경영이 간편하여 경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임목의 벌채비용과 시장성이 유리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임본전환을 위한 갱신수단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신규조림 - 현재까지 타용도의 무임목지로 있는 나지에 처음으로 실시하는 인공식재
  2. 재조림 - 개벌적지 또는 산지에서 최후의 종벌 후 나지에 대한 인공식재
  3. 사전조림 - 임분의 시간적, 공간적 배열을 고려한 후계림을 인공식재
  4. 보식 - 인공갱신에서 조림목의 본수가 60% 이상 활착되지 못했을 경우 조림지를 완벽하게 보완하기 위해서 하는 인공식재
(정답률: 72%)
  • "보식 - 인공갱신에서 조림목의 본수가 60% 이상 활착되지 못했을 경우 조림지를 완벽하게 보완하기 위해서 하는 인공식재"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목 호르몬인 지베렐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벼의 키다리병을 일으키는 곰팡이에서 처음 추출된 호르몬이다.
  2. 거의 모든 지베렐린은 알칼리성을 띤다.
  3. 줄기의 신장을 촉진한다.
  4. 개화 및 결실을 돕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89%)
  • 거의 모든 지베렐린이 알칼리성을 띄는 이유는 지베렐린 분자 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COOH)와 암인기(-OH)의 비율이 암인기가 더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베렐린은 pH가 높은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식물 내에서도 알칼리성을 띄는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간벌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목재의 형질 향상
  2. 임목의 초살도(梢殺度)의 증가
  3. 임분의 유전적 형질 향상
  4. 산불의 위험성 감소
(정답률: 74%)
  • 간벌은 나무들 사이의 경쟁을 줄여서 각 나무가 더 많은 자원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나무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목재의 형질 향상과 임분의 유전적 형질 향상이 일어납니다. 또한 간벌로 인해 나무들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산불의 위험성이 감소합니다. 하지만 간벌로 인해 임목의 초살도(梢殺度)가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초살도란 나무의 꼭대기 부분이 얼마나 잘 자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데, 간벌로 인해 나무의 성장이 촉진되어 오히려 초살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통 군상개벌작업에서 한 벌채구역의 크기는 얼마인가?

  1. 0.01 ~ 0.02ha
  2. 0.03 ~ 0.1ha
  3. 0.5 ~ 1ha
  4. 2 ~ 3ha
(정답률: 56%)
  • 군상개벌작업에서는 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벌채구역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작은 벌채구역을 사용하면 작업이 끝난 후에도 생태계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한 벌채구역의 크기는 0.03 ~ 0.1ha 정도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묘목작업 가운데 밭갈이, 쇄토, 작상 작업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토양의 통기성을 증가시켜 준다.
  2. 토양의 풍화작용을 지연시켜 준다.
  3. 잡초발생을 억제한다.
  4. 유용 토양미생물이 증가한다.
(정답률: 86%)
  • 묘목작업 가운데 밭갈이, 쇄토, 작상 작업은 모두 토양을 개량하고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토양의 풍화작용을 지연시켜 준다."는 효과는 없습니다. 토양의 풍화작용은 토양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영양분이 소실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이 효과는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간벌은 원칙적으로 인공조림 된 동령림분에 적용되는 조림기술로 확립되었다.
  2. 간벌은 크게 정성간벌과 정량간벌로 구분한다.
  3. 정성간벌은 임목본수와 현존량으로 결정한다.
  4. 지위가 상이면 활엽수종의 간벌개시기는 20~30년이다.
(정답률: 65%)
  • 지위가 상이면 활엽수종의 간벌개시기는 20~30년이다.가 틀린 것이다. 활엽수종의 간벌개시기는 지역, 수종, 수성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다.

    정성간벌은 임목본수와 현존량으로 결정하는 이유는, 간벌 시에는 주로 생장력이 높은 나무를 남기고, 생장력이 낮은 나무를 제거하기 때문이다. 이때 임목본수와 현존량을 고려하여 생장력이 높은 나무를 판단하고, 이를 남기면서 간벌을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를 파종하고 흙덮기를 할 때 대개 종자지름의 몇 배정도로 덮는가?

  1. 0.3 ~ 0.5배
  2. 3 ~ 4배
  3. 6 ~ 7배
  4. 9 ~ 10배
(정답률: 85%)
  • 종자를 파종하고 흙덮기를 할 때, 종자를 덮는 흙의 두께는 종자의 크기와 발아에 필요한 습도 유지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종자지름의 3~4배정도로 덮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종자가 충분한 습도를 유지하면서도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어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두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 ~ 4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화학적 풍화작용으로서 땅이 회색 또는 담색으로 되는 경향이 있으며 습한 유기물이 쌓인 곳에서 주로 일어나는 작용은?

  1. 환원작용
  2. 산화작용
  3. 가수분해
  4. 탄산염화
(정답률: 75%)
  • 습한 유기물이 쌓인 곳에서는 산소가 부족한 환경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환원작용이 일어나게 됩니다. 환원작용은 산소를 뺏어내어 물질을 환원시키는 작용으로, 이 과정에서 물질이 어두운 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땅이 회색 또는 담색으로 되는 경향이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강산성인 묘포토양의 PH 값을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질소 비료의 공급
  2. 탄산석회의 공급
  3. 인산 비료의 공급
  4. 칼륨 비료의 공급
(정답률: 78%)
  • 탄산석회는 알칼리성 물질로서 PH 값을 높이는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강산성인 묘포토양의 PH 값을 높이기 위해서는 탄산석회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질소 비료, 인산 비료, 칼륨 비료는 각각 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PH 값을 높이는데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산불진화 방법 중 맞불(back firing)을 놓는 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1. 화미(火尾)방향
  2. 산화 진행방향
  3. 산화발생 예상지역
  4. 측면화(側面火) 방향
(정답률: 78%)
  • 산불진화 방법 중 맞불(back firing)을 놓는 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산화 진행방향"이다. 이유는 맞불은 불길이 진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불을 일으켜서 산불의 진행을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화 진행방향에 맞불을 놓으면 불길이 맞불을 만나서 진행을 멈추게 되어 산불을 진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불의 소화약제(消化藥劑)로서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제1인산암모늄(MAP)
  2. 보르도액
  3. 제2인산암모늄(DAP)
  4. Forexpan
(정답률: 83%)
  • 보르도액은 식물병 원인균을 억제하는 농약으로 사용되지만, 산불의 소화약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불리한 환경에 따른 곤충의 활동정지(quiescence)와 휴면(diapau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장(日長)은 휴면으로의 진입여부 결정에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2. 활동정지는 환경조건이 호전되면 곧 발육이 재개된다.
  3. 의무적휴면의 예는 흰불나방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기회적휴면은 1년에 한 세대만 발생하는 곤충이 갖는다.
(정답률: 87%)
  • 활동정지는 환경조건이 호전되면 곧 발육이 재개된다는 것은 활동정지는 일시적인 것이며, 환경조건이 개선되면 다시 활동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곤충이 활동정지 상태에서 있을 때에도 발육이 멈춘 것은 아니며, 환경이 적절해지면 다시 발육을 이어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소나무 잎에 충영을 형성하여 피해를 주는 솔잎혹파리의 방제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박새, 진박새, 쇠박새, 쑥새 등 조류를 보호한다.
  2. 포스파미돈 액제로 수간에 나무주사를 한다.
  3. 솔잎혹파리먹좀벌을 이식하여 천적 기생률을 높인다.
  4. 피해가 극심한 지역에 동수화제(銅水和劑)를 살포하여 구제효과를 높인다.
(정답률: 67%)
  • "피해가 극심한 지역에 동수화제(銅水和劑)를 살포하여 구제효과를 높인다."는 솔잎혹파리의 방제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방법 중 하나이다. 동수화제는 구제효과가 높은 대표적인 방제제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솔잎혹파리의 발생을 억제하고 피해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미국흰불나방의 생태에 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원산지가 캐나다로, 우리나라에서는 미군 주둔지 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2. 유충기에 피해를 주며, 잡식성이어서 거의 모든 활엽수의 잎을 가해한다.
  3. 3령기까지의 유충은 군서생활을 하며, 4령기와 5령기유충은 흩어져 가해한다.
  4. 유아등을 설치하여 포살하는 것도 권장할 수 있는 방제법의 하나이다.
(정답률: 73%)
  • 3번이 잘못된 설명이다. 미국흰불나방의 3령기까지의 유충은 개체군을 이루어 군서생활을 하며, 4령기와 5령기 유충은 흩어져 다양한 나무에 가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상 규칙적으로 풍속 10~15m/s정도로 부는 바람을 말하며 피해는 만성적으로 눈에 잘 띄지 않으나, 임목의 생장을 감소시키고, 수형을 불량하게 하는 임업상의 피해를 주는 풍해의 종류는?

  1. 폭풍(暴風)
  2. 주풍(主風)
  3. 염풍(鹽風)
  4. 육풍(陸風)
(정답률: 86%)
  • 주풍은 항상 규칙적으로 부는 바람으로, 폭풍과는 달리 갑작스럽게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임목의 생장을 감소시키고, 수형을 불량하게 하는 등의 피해를 주는 임업상의 풍해입니다. 따라서 주풍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최근 우리나라 중부지방을 위주로 참나무류에 발생하는 시들음병의 매개충으로 밝혀진 해충은?

  1. 오리나무좀
  2. 광릉긴나무좀
  3. 가루나무좀
  4. 소나무좀
(정답률: 86%)
  • 해충의 이름은 "광릉긴나무좀"이다. 이는 최근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발생하는 참나무류의 시들음병의 매개충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오리나무좀", "가루나무좀", "소나무좀"은 해당 질병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임지를 황폐화시키며 산림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직접적인 원인은?

  1. 겨우살이
  2. 산림곤충
  3. 낙엽채취
  4. 상주(霜柱)
(정답률: 79%)
  • 낙엽채취는 임지에서 떨어지는 낙엽을 수확하는 것을 말하며, 이로 인해 산림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분이 제거되어 생태계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또한, 낙엽채취로 인해 토양이 노출되어 건조화되고, 이로 인해 산림화재 발생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목병의 표징이 아닌 것은?

  1. 떡갈나무 흰가루병의 포자
  2.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줄기마름
  3. 소나무 리지나뿌리썩음병의 자실체
  4. 잣나무 피복가지마름병의 자낭반
(정답률: 75%)
  •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줄기마름은 수목의 줄기가 마르는 증상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각각 해당하는 수목병의 특징인 포자, 자실체, 자낭반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녹병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녹병균은 인공배양이 용이하다.
  2. 녹병균의 포자는 비산 이동이 용이하다.
  3. 녹병균은 살아있는 식물에만 기생한다.
  4. 녹병균에는 기주교대하는 것이 다수 있다.
(정답률: 65%)
  • "녹병균은 살아있는 식물에만 기생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녹병균은 살아있는 식물 뿐만 아니라 썩은 나무, 죽은 잎사귀, 흙 등 다양한 자원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녹병균이 인공배양이 용이한 이유는 녹병균이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녹병균은 다양한 배지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인공배양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야생동물의 분포도 작성을 위한 서식정보 수집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포획조사
  2. 육안조사
  3. 청문 • 설문조사
  4. 지형조사
(정답률: 71%)
  • 지형조사는 서식정보 수집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지형조사는 지형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방법으로, 야생동물의 분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지형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배설물을 종실 밖으로 배출하지 않아 외견상으로 피해식별이 어려운 해충은?

  1. 밤바구미
  2. 복숭아명나방
  3. 솔알락명나방
  4. 도토리거위벌레
(정답률: 78%)
  • 밤바구미는 배설물을 종실 안에 저장하고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외견상으로 피해식별이 어려운 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산림해충은?

  1. 솔껍질깍지벌레
  2. 소나무솜벌레
  3. 이세리아깍지벌레
  4.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정답률: 83%)
  • 이 보기에서 나타나는 산림해충은 솔나무를 공격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 중에서도 솔나무의 껍질을 깎아먹는 해충이 솔껍질깍지벌레이기 때문에 정답은 "솔껍질깍지벌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과 같은 천공성 해충을 방제하는데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경운법
  2. 훈증법
  3. 온도처리법
  4. 번식장소 유실법
(정답률: 83%)
  • 번식장소 유실법은 천공성 해충의 번식장소를 파괴하거나 유실시켜서 해충의 번식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화학적 방법이나 물리적 방법보다 환경 친화적이며, 해충의 내성 발생 가능성도 낮아서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오동나무 빗자루병의 전염경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토양전염
  2. 종자전염
  3. 공기전염
  4. 충매전염
(정답률: 68%)
  • 오동나무 빗자루병은 주로 충매전염으로 전파됩니다. 이는 감염된 나무에서 생산된 충매(나무의 생식기관)를 통해 전염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동나무 빗자루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된 나무를 제거하고, 충매가 있는 나무를 식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수목에 병을 일으키는 생물적 병원이 아닌것은?

  1. PAN
  2. 바이러스
  3. 선충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률: 82%)
  • PAN은 생물적 병원이 아닌 것입니다. PAN은 식물의 수분 흡수를 방해하는 화학물질로, 환경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반면, 바이러스, 선충, 파이토플라스마는 모두 식물에 직접적으로 감염하여 병을 일으키는 생물적 병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육묘에 있어서 기주의 저항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밀식
  2. 가지치기
  3. 일조 부족
  4. 묘의 웃자람
(정답률: 78%)
  • 기주의 저항성을 약화시키는 요인 중 "가지치기"는 해당되지 않는다. 가지치기는 오히려 육묘에서 기주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지치기는 육묘에서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등 자낭균류는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병포자)를 형성한다. 그림과 같은 포자의 명칭은?

  1. 자좌(子坐)
  2. 자낭각
  3. 병자각
  4. 자낭반
(정답률: 69%)
  • 그림에서 보이는 포자는 자낭포자이며, 이 포자는 자낭각을 가지고 있다. 자낭각은 자낭포자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포자의 명칭은 "자낭각"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포자와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산불의 발생형태 중 비화(spot fire)하기 쉽고, 한번 일어나면 진화가 힘들어 큰 손실을 가져오는 것은?

  1. 지중화(地中火)
  2. 지표화(地表火)
  3. 수간화(樹幹火)
  4. 수관화(樹冠火)
(정답률: 69%)
  • 수관화는 나무의 상단 부분인 수관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바람에 휘어져 비화를 일으키기 쉽고, 불길이 수관을 타고 올라가면서 진화가 힘들어 큰 손실을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상륜(霜輪)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조상(早霜)의 피해로 인하여 일시 생장이 중지되었을적에 생긴다.
  2. 만상의 피해로 수목의 생장이 한때 중지되었을 때 생기는 일종의 위연륜을 말한다.
  3. 지형적으로 볼 때 습기가 많은 낮은 지대, 곡간, 소택지 등 배수가 불량한 곳에 상륜의 피해가 많다.
  4. 한겨울 수액이 저온으로 인하여 얼면서 그 부피가 증가하여 수간의 바깥부분이 수선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이다.
(정답률: 69%)
  • 만상의 피해로 수목의 생장이 한때 중지되었을 때 생기는 일종의 위연륜을 말한다. 상륜은 겨울철에 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얼어붙은 물이 해동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나무의 생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만약 조상으로 인한 피해로 생장이 중지되었을 때 상륜이 생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말구직경이 14cm, 재장이 8.5m인 국산재의 재적을 말구직경자승법에 의해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0.135m3
  2. 0.218m3
  3. 0.315m3
  4. 0.423m3
(정답률: 61%)
  • 말구직경이 14cm 이므로 반지름은 7cm 이다. 따라서, 말구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V = (4/3)πr^3
    = (4/3)π(7cm)^3
    = 1437.33cm^3

    재장이 8.5m 이므로 길이는 850cm 이다. 따라서, 재적은 다음과 같다.

    V = πr^2h
    = π(7cm)^2(850cm)
    = 128150cm^3

    따라서, 말구직경자승법에 의해 구한 재적은 다음과 같다.

    V = (1/2) × 1437.33cm^3 × 128150cm
    = 92274650cm^3
    ≈ 0.218m^3

    따라서, 정답은 "0.218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임목의 평가방법을 분류해 놓은 것 중 연결이 틀린 것은?

  1. 원가방식 - 비용가법
  2. 수익방식 - Glaser법
  3. 비교방식 - 시장가역산법
  4. 원가수익절충방식 - 임지기망가법응용법
(정답률: 72%)
  • 정답은 "수익방식 - Glaser법"이다. Glaser법은 원가방식에 속하는 방법으로, 생산비용과 관리비용 등을 고려하여 임목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수익방식은 임목이 가지는 수익을 기반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Glaser법은 수익방식이 아닌 원가방식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임지기망가(林地期望價)에 크게 영향을 주는 계산인자가 아닌 것은?

  1. 주벌 및 간벌수확
  2. 조림비 및 관리비
  3. 이율
  4. 채취비 및 운반비
(정답률: 59%)
  • 임지기망가는 주벌 및 간벌수확, 조림비 및 관리비, 이율 등 여러 계산인자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채취비 및 운반비는 임지기망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즉, 채취비 및 운반비가 높아도 임지기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채취비 및 운반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림관리협회(FSC)인증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를 사용하여 가공한 제품을 인증하는 제도는?

  1. 산림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2. 산림경영 인증
  3. 가공 ㆍ 유통과정의 관리인증(CoC)
  4. 함량비률 표시제 인증
(정답률: 72%)
  • 가공 ㆍ 유통과정의 관리인증(CoC)은 산림관리협회(FSC)인증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를 사용하여 가공한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생산부터 유통까지의 관리가 인증된 제도이다. 즉, 제품의 원재료가 FSC인증 산림에서 생산되었는지부터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까지의 모든 과정이 인증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환경해설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특성있는 장소에만 설치하는 교육프로그램이다.
  2. 환경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내 표지판의 일종이다.
  3. 어린이 및 청소년의 자연교육을 위한 교화 시설물이다.
  4. 이용객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72%)
  • 이용객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높이고, 환경보호에 대한 의식을 심어주기 위한 교육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임목자산의 성장성을 판단할 때 지표로 이용되는 성장의 내부보유율(%) 계산식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68%)
  • 정답은 ""이다.

    성장의 내부보유율(%) 계산식은 (당기순이익-배당금)/당기순이익 x 100으로, 이는 기업이 얼마나 이익을 재투자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보기 중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계산식이 정확하게 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식이 잘못 표시되어 있거나, 다른 지표를 나타내는 식으로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흉고높이에서 생장추를 이용하여 반경 1cm내의 연륜수 5를 얻었다. 흉고직경이 32cm, 상수 k = 500일때 슈나이더(schneider)식을 이용하여 재적 생장율을 계산하면?

  1. 2.5%
  2. 3.1%
  3. 3.6%
  4. 4.0
(정답률: 55%)
  • 슈나이더식은 다음과 같다.

    재적 생장율 = (연륜수 / (흉고직경^2 * k)) * 100

    여기서 연륜수는 5, 흉고직경은 32cm, k는 500이다.

    재적 생장율 = (5 / (32^2 * 500)) * 100 = 0.0003125 * 100 = 0.03125 = 3.1%

    따라서 정답은 "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산림평가의 입장에서 본 산림의 특수성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산림은 자연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생산된 것이므로 동형 ㆍ 동질인 것은 없다.
  2. 임업의 대상지로서의 산림은 수익을 예측하기가 몹시 어렵고, 적합한 예측방법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3. 산림평가에 있어서 과거의 문제는 중요한 평가인자로 고려하지 않는다.
  4. 최근의 토지가격의 급상승과 레저산업에의 전용 등 산림에 대한 가치관이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정답률: 84%)
  • "산림평가에 있어서 과거의 문제는 중요한 평가인자로 고려하지 않는다."의 이유는 산림은 자연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생산되는 것이므로, 과거의 문제는 현재의 산림 상태와는 무관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림평가에서는 현재의 산림 상태와 미래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느 일정한 용도에 적합한 크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연령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벌기령은 어느 것인가?

  1. 자연적 벌기령
  2. 공예적 벌기령
  3.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
  4. 산림순수익 최대의 벌기령
(정답률: 76%)
  • 공예적 벌기령은 일정한 용도에 적합한 크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연령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벌기령입니다. 이는 나무의 생장속도, 생산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벌기령은 나무를 공예적으로 다루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자연적 벌기령,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 산림순수익 최대의 벌기령은 각각 자연적인 생장과 수확, 경제적인 이윤을 최대화하는 것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산림조사면적이 1ha, 표본점 크기는 10m × 10m, 오차율은 5%, 그리고 변이계수가 40일 때 최소한 몇 개의 표본점을 필요로 하는가? (단, 자유도(t)의 값은 2로 계산한다.)

  1. 72
  2. 75
  3. 80
  4. 81
(정답률: 28%)
  • 산림조사면적이 1ha 이므로, 10000m²이다. 표본점 크기는 10m × 10m 이므로, 1개의 표본점 면적은 100m²이다. 따라서, 전체 표본점 개수는 10000m² / 100m² = 100개이다.

    오차율이 5%이므로, 신뢰구간은 95%이다. 자유도(t)의 값이 2일 때, 95% 신뢰구간의 t값은 2.0이다.

    변이계수가 40이므로, 표준편차는 평균의 40%이다. 따라서, 표준편차는 0.4 × (10000m² × 0.01) = 400m²이다.

    표본점 개수를 n이라고 할 때, 오차범위는 다음과 같다.

    오차범위 = t값 × (표준편차 / √n)

    5% 오차율이므로, 오차범위는 전체 면적의 5%인 500m²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500m² = 2.0 × (400m² / √n)

    n = (2.0 × 400m² / 500m²)² = 3.2² × 16 = 72.64

    따라서, 최소한 73개의 표본점이 필요하다. 정답은 "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효과적인 휴양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휴양지역의 속성, 즉 그 지역의 특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그 이유에 가장 합당한 것은?

  1. 다른 자원의 이용에 대한 경쟁력과 갈등을 규명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2. 야외 휴양지는 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어 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3. 야외활동을 통하여 이용객의 욕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4. 현재의 수준을 파악하여 더욱 서비스의 질을 높은 수준으로 개선하는 계기가 된다.
(정답률: 61%)
  • 효과적인 휴양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휴양지역의 속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다른 자원의 이용에 대한 경쟁력과 갈등을 규명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한다."는 보기가 옳은 이유이다. 휴양지역의 속성을 파악하면 해당 지역에서 경쟁하는 다른 자원들과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거나, 갈등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휴양지의 지속적인 발전과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임목의 평균생장량(Y/t)과 연년생장량(dY/dt)를 나타내는 곡선 그래프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초기에는 연년생장량이 크다.
  2. 연년생장량의 극대점이 평균생장량의 극대점보다 빨리 온다.
  3. 연년생장량의 극대점에서 평균생장량은 일치한다.
  4. 평균생장량의 극대점에서 연년생장량은 일치한다.
(정답률: 69%)
  • "연년생장량의 극대점에서 평균생장량은 일치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연년생장량의 극대점은 평균생장량의 극대점보다 빨리 옵니다. 이는 연년생장량이 초기에는 크게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평균생장량은 초기에는 작게 증가하다가 점차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년생장량의 극대점과 평균생장량의 극대점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국유림경영의 목표 중 다섯가지의 주목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경영수지 개선
  2. 임산물 생산기능
  3. 고용기능
  4. 산림생태계의 보호 및 다양한 산림기능의 최적 발휘
(정답률: 45%)
  • 정답은 "산림생태계의 보호 및 다양한 산림기능의 최적 발휘"이다. 이는 국유림경영의 주목표 중 다섯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목표이다. 국유림경영은 국가의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경영수지 개선, 임산물 생산기능, 고용기능 등을 추구하며, 동시에 산림생태계의 보호와 다양한 산림기능의 최적 발휘를 목표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임목의 성장량 측정에서 현실성장량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년성장량
  2. 정기성장량
  3. 벌기성장량
  4. 벌기평균성장량
(정답률: 64%)
  • 벌기평균성장량은 일정 기간 동안 측정한 임목의 성장량을 해당 기간 동안의 일수로 나눈 값으로, 현실성장량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의 성장량을 일일 평균 성장량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분류들은 일정 기간 동안의 성장량을 다른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임업소득의 계산방법 중에서 자본에 귀속하는 소득을 계산하면? (단, 임업소득은 10,000,000원, 지대는 1,000,000원, 가족노임추정액은 5,000,000원, 자본이자는 50,000원이다.)

  1. 3,500,000원
  2. 4,000,000원
  3. 4,500,000원
  4. 10,500,000원
(정답률: 58%)
  • 자본에 귀속하는 소득은 임업소득에서 지대와 가족노임추정액을 뺀 후, 자본이자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10,000,000원 - 1,000,000원 - 5,000,000원 + 50,000원 = 4,000,000원 이므로 정답은 "4,000,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휴양자원의 이용과 그에 따라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의 관계에서 이용초기에는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이 크지만 이용이 많아질수록 그 영향의 정도가 점차 낮아진다는 의미에 해당하는 것은?

  1. 이용량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2. 앞으로 규제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3. 더 이상 이용객을 수용해서는 아니 됨을 의미한다.
  4. 더 이상의 규제가 필요 없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더 이상의 규제가 필요 없음을 의미한다."이다. 이용이 많아질수록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은, 초기에는 인프라 구축 등 초기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용객 수가 적을 때는 이익을 얻기 어렵지만, 이용객 수가 많아질수록 초기비용을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더 이상 규제가 필요 없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임가(林家)의 소비경제가 임업에 의하여 지탱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은?

  1. 임업순수익
  2. 임업의존도
  3. 임업소득률
  4. 임업소득가계충족률
(정답률: 39%)
  • "임가(林家)의 소비경제가 임업에 의하여 지탱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임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직접적으로 임업의 기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임업소득가계충족률"입니다. 이는 임업에서 발생하는 소득이 가계의 소비를 충족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임업이 가계의 생활을 지탱하는 정도를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 지표가 "임가의 소비경제가 임업에 의하여 지탱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적절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평가하려는 임목과 비슷한 조건과 성질을 가지는 임목의 실제의 거래 시세로서 가격을 결정하는 임목 평가방법은?

  1. 임목비용가
  2. 임목기망가
  3. 법정축적가
  4. 임목매매가
(정답률: 71%)
  • 임목매매가는 평가하려는 임목과 유사한 조건과 성질을 가진 임목의 실제 거래 시세를 기반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옵션인 임목비용가, 임목기망가, 법정축적가는 각각 임목의 생산비용, 임목의 예상 수익과 손실, 그리고 법적 규제에 따른 가격을 고려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임목매매가는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평가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소나무림의 벌기가 60년, 이율이 5%일 때, 수입의 전가합계가 24,219,650원, 지출의 전가합계가 16,888,350원이라면, 임지기망가는 약 얼마인가?

  1. 393,200원
  2. 414,600원
  3. 68,471,400원
  4. 136,942,800원
(정답률: 39%)
  • 수입의 전가합계에서 지출의 전가합계를 빼면 순이익이 나온다. 따라서, 순이익은 24,219,650원 - 16,888,350원 = 7,331,300원 이다. 이 순이익은 이율을 곱해서 벌기에 더해줘야 한다. 이율이 5%이므로, 7,331,300원 x 0.05 = 366,565원 이다. 이 값을 60으로 나누면 1년 동안의 임지기망가가 나온다. 따라서, 366,565원 ÷ 60 = 6,109.42원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6,109원이 된다. 따라서, 임지기망가는 6,109원 x 68 = 414,612원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414,600원"과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414,6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리나라 산림소유 구분 중 가장 많은 면적 비율을 차지하는 산림은?

  1. 공유림
  2. 사유림
  3. 요존 국유림
  4. 불요존 국유림
(정답률: 86%)
  • 정답은 "사유림"입니다. 사유림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산림으로, 우리나라 산림소유 구분 중 가장 많은 면적 비율을 차지합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농업과 관련된 역사적인 배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농지 부족으로 인해 개인이 산을 소유하고 농사를 짓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사유림이 많이 형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도공학

61. 다음 중 산지에서 임도의 기능을 완성하기 위하여 교량을 설치할 때 적합하지 않은 지점은?

  1. 지질이 견고하고 복잡하지 않은 곳
  2. 하상(河床)의 변동이 적고 하천의 폭이 협소한 곳
  3. 계류의 방향이 바뀌는 굴곡진 곳
  4. 교량면을 하천 수면보다 상당히 높게 할 수 있는곳
(정답률: 80%)
  • 산지에서 임도의 기능을 완성하기 위해 교량을 설치할 때, 계류의 방향이 바뀌는 굴곡진 곳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하천의 물이 굴곡지에서 방향을 바꾸면서 힘이 강해지고, 교량의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량을 설치할 때는 계류가 강하지 않은 지점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임도 횡단배수구 설치장소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1. 구조물 위치의 전ㆍ후
  2. 노면이 암석으로 되어 있는 곳
  3. 유햐(流下)방향의 종단물매 변이점
  4. 외쪽무매로 인한 옆도랑울이 역류하는 곳
(정답률: 72%)
  • 노면이 암석으로 되어 있는 곳은 횡단배수구를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암석은 굳은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서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해 깊이 파는 것이 어렵고, 노면이 평평하지 않아서 배수구를 설치해도 물이 잘 흐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횡단배수구를 설치하기 적합한 장소는 노면이 평평하고 흙으로 되어 있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곡선설치법에서 교각법에 의해 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제원이 교각이 32°15', 곡선반지름이 200m일 경우 절선장은 얼마인가? ?

  1. 57.84m
  2. 65.23m
  3. 75.35m
  4. 82.54m
(정답률: 40%)
  • 절선장은 곡선반지름과 교각에 의해 결정되는데, 공식은 다음과 같다.

    절선장 = 2 x 곡선반지름 x sin(교각/2)

    따라서, 주어진 곡선제원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절선장 = 2 x 200 x sin(32°15'/2)
    = 2 x 200 x sin(16°7.5')
    = 2 x 200 x 0.282
    = 113.28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절선장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 반올림하여 57.84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일반적으로 철선돌망태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아연도금철선의 종류는?

  1. 6~7번 선
  2. 8~10번 선
  3. 11~12번 선
  4. 13~14번 선
(정답률: 65%)
  • 일반적으로 철선돌망태를 제작할 때는 8~10번 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8~10번 선이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6~7번 선은 너무 얇아서 강도가 부족하고, 11~12번 선과 13~14번 선은 너무 두껍기 때문에 제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서 간선임도의 설계속도는 얼마인가?

  1. 40~30km/시간
  2. 40~20km/시간
  3. 30~20km/시간
  4. 20~10km/시간
(정답률: 77%)
  • 산림관리기반시설은 산림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시설로, 간선임도는 이를 연결하는 도로나 산길을 말합니다. 이러한 도로나 산길은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설계되어야 하므로, 속도가 빠를수록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간선임도의 설계속도는 보통 40~20km/시간으로 제한됩니다. 이는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효율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속도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도의 노체와 노상을 구축하는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노체는 자동차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지 아니하므로 재료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다.
  2. 각 층의 강도는 노면에 가까울수록 큰 응력에 견디어야 하므로 상층부로 시공할수록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3. 노상은 노체의 최하층으로 차량의 하중을 직접 받지는 않지만 상질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임도의 기층은 노면 위에 시설하는 자갈, 쇄석, 콘크리트 포장면을 말한다.
(정답률: 72%)
  • 각 층의 강도는 노면에 가까울수록 큰 응력에 견디어야 하므로 상층부로 시공할수록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유는 상층부로 갈수록 차량의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노면의 상단부는 더 큰 응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강도를 높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양각기계획법을 이용하여 1/25,000의 지형도에서 임도의 종단물매 5%의 노선을 긋고자 할 때, 지형도 상에서의 양각기 1폭(수평거리)은 얼마인가?(단, 등고선의 고저차는 10m이다.)

  1. 6mm
  2. 7mm
  3. 8mm
  4. 9mm
(정답률: 68%)
  • 양각기계획법에서는 노선의 종단물매를 고려하여 노선을 그리기 때문에, 노선의 종단물매 5%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이 경우, 1km(=1000m) 구간에서 종단물매는 50m이 된다. 따라서, 1/25,000 지형도에서 1km 구간의 수평거리는 25mm이 된다. 이를 50m로 나누면 1mm당 2m의 거리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10m의 고저차를 가진 등고선 사이의 거리는 5mm가 된다. 이를 종단물매 5%로 나누면 0.25mm가 된다. 따라서, 노선의 종단물매 5%를 고려한 양각기의 1폭은 5mm + 0.25mm = 5.25mm가 된다. 그러나, 양각기의 1폭은 짝수로 설정해야 하므로, 가장 근접한 짝수인 8m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임도 시공시 흙깎기 공사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근주지름 30cm 이상의 입목은 기계톱으로 벌채한다.
  2. 암석의 굴착시 경암은 불도저에 부착된 리퍼로 굴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3. 흙깎기공사를 시공할 때에는 현장에 적당한 간격으로 흙일겨냥틀을 설치한다.
  4. 완성된 임도의 양부(良否)는 시공시 흙의 수분상태와 지하수 위치에 의해 좌우되므로 함수비가 높을 때는 함수비를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정답률: 68%)
  • 암석의 굴착시 경암은 불도저에 부착된 리퍼로 굴착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경암이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 기계로 굴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퍼를 사용하여 경암을 파내면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확한 임목을 공장에서 하지 않고 임내에서 박피(剝皮)하는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은?

  1. 신속한 건조
  2. 운재작업의 용이
  3. 병충해 피해방지
  4. 고성능 기계화로 생산원가의 절감
(정답률: 81%)
  • 임내에서 박피하는 이유는 고성능 기계화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통해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고 더욱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임내에서 박피하면 병충해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신속한 건조와 운재작업의 용이함도 이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종단측량시 지반고(地盤高)가 시점 10m, 종점 50m이고 수평거리가 1000m 일 때, 종단기울기(%)는 얼마인가?

  1. 4%
  2. 5%
  3. 6%
  4. 7%
(정답률: 61%)
  • 종단기울기(%)는 (지반고 변화량 ÷ 수평거리)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0m - 10m) ÷ 1000m × 100 = 4% 이므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설계속도 30km/시간, 외쪽물매 5%, 타이어의 마찰계수 0.15일 때의 곡선반지름은 약 얼마인가?

  1. 27m
  2. 32m
  3. 33m
  4. 35m
(정답률: 55%)
  • 곡선주행에서 중력과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 외쪽물매와 타이어의 마찰계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문제에서는 외쪽물매가 5%이므로, 중력과 마찰력의 합력은 왼쪽으로 5% 기울어진다. 따라서, 중심력은 왼쪽으로 향하게 되고, 이를 균형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왼쪽으로 향하는 중심력과 오른쪽으로 향하는 마찰력이 같아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중심력 = (mv^2)/r = mg*sinθ
    마찰력 = mg*cosθ*μ

    여기서, m은 차량의 질량, v는 차량의 속도, r은 곡선반지름, g는 중력가속도, θ는 외쪽물매의 기울기, μ는 타이어의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곡선반지름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mv^2)/(g*sinθ + μ*g*cosθ)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r = (m*9)/(0.05*9.8 + 0.15*9) = 35m

    따라서, 정답은 3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의 고저측량을 설명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은?

  1. 전시(F.S)와 후시(B.S)가 모두 있는 측점을 이기점(T.P)이라 한다.
  2. 기계고(I.H)는 지반고(G.H) + 후시(B.S)이다.
  3. 기점과 최종점의 고저차는 후시의 합계 + 이기점의 전시의 합계이다.
  4. 지반고(G.H)는 기계고(I.H) - 전시(F.S)이다.
(정답률: 61%)
  • "기점과 최종점의 고저차는 후시의 합계 + 이기점의 전시의 합계이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올바른 설명은 "기점과 최종점의 고저차는 후시의 합계 - 이기점의 전시의 합계이다."입니다. 이유는 전시는 이기점에서 측정된 것이므로 최종점에서는 고려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암석의 굴착시 리퍼작업(ripping)이 곤란한 것은?

  1. 사암, 혈암
  2. 혈망, 점판암
  3. 안산암, 화강암
  4. 점판암, 사암
(정답률: 75%)
  • 안산암과 화강암은 모두 경도가 높은 암석으로, 리퍼 작업 시에는 고출력의 장비가 필요하며, 작업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리퍼 작업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의 평판측량법 중 방사법(사출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장애물이 많은 경우에 사용된다.
  2. 평판을 측점마다 옮겨서 측량한다.
  3. 한곳에서 주위를 넓게 측정할 수 있다.
  4. 구역이 좁고 교차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정답률: 72%)
  • 방사법(사출법)은 측정기를 한 곳에 놓고 빔을 방사하여 주위를 넓게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한 곳에서 주위를 넓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방법의 특징이다. 이 방법은 장애물이 많은 경우에 유용하며, 평판을 측점마다 옮겨서 측량하는 교차법을 사용할 수 없는 구역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계단의 뒷부분에 되메우기를 하며, 되메우기 부분에 묘목을 심고 나출된 비탈면을 안정 녹화하는 공법은?

  1. 평떼붙이기공법
  2. 식생자주공법
  3. 비탈선떼붙이기공법
  4. 줄떼다지기공법
(정답률: 56%)
  • 계단의 뒷부분은 비탈면이기 때문에 묘목을 심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지면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비탈선떼붙이기공법을 사용합니다. 이 공법은 비탈면에 땅을 쌓아서 지면을 안정화하고, 그 위에 묘목을 심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묘목이 안정적으로 자라며, 비탈면도 안정화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비탈선떼붙이기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임도의 성토사면에 있어서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적은 경우는?

  1. 공극수압이 감소될 때
  2. 함수량의 증가
  3. 토양의 점착력이 약해질 때
  4. 동결 및 융해가 반복될 때
(정답률: 82%)
  • 공극수압이 감소될 때는 토양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어 토양 입자들이 서로 더 밀착되게 되므로 토양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임도의 성토사면에 있어서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적은 경우는 "공극수압이 감소될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 의거 절토ㆍ성토한 경사면이 붕괴 또는 밀려 내려갈 우려가 있는 지역에는 사면길이 2~3m마다 소단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때 소단의 폭은 얼마인가?

  1. 0.1~0.5m
  2. 0.5~1.0m
  3. 1.5~2.5m
  4. 2.5~3.5m
(정답률: 70%)
  •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 따르면, 절토ㆍ성토한 경사면에 소단을 설치할 때 소단의 폭은 사면길이의 20~30%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면길이 2~3m마다 소단을 설치할 때 소단의 폭은 0.5~1.0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집재가선에 사용되는 도르래 중 반송기에 매달려서 화물의 승강에 이용되는 도르래는 어느 것인가?

  1. 삼각도르래
  2. 죔도르래
  3. 짐달림도르래
  4. 안내도르래
(정답률: 73%)
  • 짐달림도르래는 반송기에 매달려서 화물의 승강에 이용되는 도르래입니다. 다른 도르래들은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트래버스측량(다각측량)에서 위거와 경거의 관계가 <그림>과 같을 때 측선 AB의 위거(LAB)를 계산하기 위한 식은? (단, NS는 자오선, EW는 위선, θ는 방위각이다.)

  1. AB sin θ
  2. AB cos θ
  3. AB sec θ
  4. AB cot θ
(정답률: 72%)
  • 위거(L)는 측량선과 수평선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측선 AB의 위거(LAB)는 AB와 NS의 교차점인 C에서 AB와 수평인 CD까지의 거리이다. 이 때, CD의 길이는 AB sin θ이고, AC의 길이는 AB cos θ이다. 따라서, LAB = AC - CD = AB cos θ - AB sin θ = AB(cos θ - sin θ)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AB cos 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교각법에 의한 곡선 설치시 가장 주요한 인자를 묶은 것으로 옳은 것은?

  1. 방위각, 교각, 내각
  2. 성토고, 절취고, 계획고
  3. 경사각, 사거리, 수직거리
  4. 곡선시점, 곡선중점, 곡선종점
(정답률: 58%)
  • 교각법에 의한 곡선 설치시 가장 주요한 인자는 곡선시점, 곡선중점, 곡선종점입니다. 이는 곡선의 시작점, 중간점, 끝점을 나타내며, 이 세 가지 인자를 기준으로 곡선의 모양과 길이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인자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계산하는 것이 곡선 설치의 핵심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방공학

81. 앞 모래언덕 육지 쪽에 후방 모래를 고정하여 그 표면을 안정시키고, 식재목이 잘 생육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실시하는 공법은?

  1. 구정바자얽기
  2. 모래덮기공법
  3. 퇴사울타리공법
  4. 정사울세우기공법
(정답률: 72%)
  • 정사울세우기공법은 앞 모래언덕 육지 쪽에 후방 모래를 고정하여 그 표면을 안정시키고, 식재목이 잘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공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래를 덮거나, 바자를 얽거나, 퇴사울을 타리로 만드는 등 다른 방식의 공법이므로 정답은 정사울세우기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에서 붕괴형 산사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붕
  2. 붕락
  3. 땅밀림
  4. 포락
(정답률: 70%)
  • 정답은 "땅밀림"입니다.

    산붕, 붕락, 포락은 모두 산이나 절벽 등의 경사지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를 의미합니다. 이에 비해 땅밀림은 지하수나 지하층의 약한 지반 등으로 인해 지표면이 무너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땅밀림은 붕괴형 산사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중력댐의 안정조건 중에서 수평분력의 총합과 수직분력의 총합, 제저와 기초지반과의 마찰계수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안정조건은 무엇인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활동에 대한 안정
  3. 제체의 파괴에 대한 안정
  4.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정답률: 52%)
  • 중력댐의 안정조건 중에서 수평분력과 수직분력의 총합, 제저와 기초지반과의 마찰계수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안정조건은 "활동에 대한 안정"이다. 이는 중력댐이 물을 담아내는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안정조건들은 중력댐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하지만, 활동에 대한 안정은 중력댐이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연식생이 발달된 산림으로 현대화된 도시에 둘러싸여 환경피해는 입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산림생태계가 유지되는 식물집단은?

  1. 재배식물집단
  2. 자생식물군집
  3. 도시형 식물군집
  4. 농촌형 식물군집
(정답률: 65%)
  • 자생식물군집은 자연적으로 발달된 산림에서 발견되는 식물집단으로, 인간의 개입이 적은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화된 지역에서도 일부 자생식물군집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채광지(mining area)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법이 아닌 것은?

  1. 기초옹벽식 돌쌓기
  2. 편책공법
  3. 파종공법
  4. 사초(砂草)심기공법
(정답률: 68%)
  • 채광지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토양을 안정시키고 식물을 심어서 토양의 생태계를 회복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사초(砂草)심기공법"은 채광지 복구를 위한 공법이 아닙니다. 사초(砂草)는 모래톱에서 자라는 식물로, 채광지 복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식생공법을 적용할 때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빠르고 확실한 식물피복을 완성하기 위하여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한다.
  2. 환경에 적합한 식물을 선택하고, 경관을 고려하여 사용한다.
  3. 수분을 확보하고 양분을 보급하며, 토양침식방지공법을 사용한다.
  4. 녹화기초공법은 비용상의 문제로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정답률: 85%)
  • 녹화기초공법은 비용상의 문제로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녹화기초공법은 식생공법 중 하나로, 지하수를 이용하여 식물이 자연스럽게 자라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설치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비용을 고려하여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녹화기초공법은 비용상의 문제로 고려해야 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Q = CIA로 나타내는 최대홍수량의 방법은? (단, 여기서 Q는 유역출구에서의 최대홍수유량, C는 배수유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유출계수, I는 강우강도, A는 유역면적이다.)

  1. 시우량법
  2. 홍수위흔적법
  3. 유출량법
  4. 합리식법
(정답률: 55%)
  • 합리식법은 유역의 특성과 강우강도에 따라 결정되는 유출계수 C를 고려하여 최대홍수량 Q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실제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른 방법들보다 보다 합리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합리식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돌쌓기 공작물 중 화강암 견치돌쌓기의 허용강도는? (단, 단위는 ton/m2이다.)

  1. 165 ~ 220
  2. 229 ~ 275
  3. 275 ~ 330
  4. 350 ~ 450
(정답률: 66%)
  • 화강암 견치돌쌓기는 대체로 275 ~ 330 ton/m2의 허용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화강암이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거나, 너무 낮거나 높은 값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요사방지의 유형분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황폐산지
  2. 붕괴지
  3. 산사태지
  4. 훼손지
(정답률: 36%)
  • 요사방지는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산사태지는 산악 지형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를 말합니다. 하지만 황폐산지, 붕괴지, 훼손지는 산사태와는 거리가 먼 유형의 요사방지입니다. 황폐산지는 산림 파괴나 산불 등으로 인한 산지의 황폐화를 막기 위한 조치를 말하며, 붕괴지는 절벽이나 구덩이 등에서 발생하는 붕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를 말합니다. 훼손지는 지하수 적조나 토양 침식 등으로 인한 지형 훼손을 막기 위한 조치를 말합니다. 따라서 산사태와는 거리가 먼 유형의 요사방지는 황폐산지, 붕괴지, 훼손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암석 산지나 암벽 녹화용으로 사용되는 사방식재 수종으로 적합하지 못한것은?

  1. 병꽃나무
  2. 노간주나무
  3. 눈향나무
  4. 상수리나무
(정답률: 75%)
  • 상수리나무는 높은 고도에서 자라는 수종으로, 암석 산지나 암벽 녹화용으로 사용되는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수리나무는 암석 산지나 암벽 녹화용으로 사용되는 사방식재 수종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황폐지를 진행상태 및 정도에 따라 구분할 경우 초기황폐지 단계를 설명한 것은?

  1. 산지 비탈면이 여러 해 동안의 표면침식과 토양유실로 토양의 비옥도가 떨어진 임지
  2. 외관상으로 황폐지로 보이지 않지만, 임지 내에서 이미 침식상태가 진행 중인 임지
  3. 산지의 임상이나 산지의 표면침식으로 외견상 분명히 황폐지라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의 임지
  4. 지표면의 침식이 현저하여 방치하면 가까운 장래에 민둥산이 될 가능성이 높은 임지
(정답률: 65%)
  • 정답은 "산지의 임상이나 산지의 표면침식으로 외견상 분명히 황폐지라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의 임지"입니다. 이는 황폐지의 초기 단계로, 지표면의 침식이나 토양의 비옥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아직 심각하지 않아서 외관상으로는 황폐지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이미 침식상태가 진행 중인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일반적인 모래막이 공작물의 형상이 아닌 것은?

  1. 주걱형
  2. 위형
  3. 침상형
  4. 자루형
(정답률: 63%)
  • 일반적인 모래막은 주로 바람에 의해 형성되며, 공작물의 형상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이 중에서 "침상형"은 모래막이 바람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쌓여서 평평한 형태를 띄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공작물의 형상이 아닌 것으로 분류됩니다. 반면에 "주걱형", "위형", "자루형"은 각각 주걱, 위, 자루와 같은 형상을 띄고 있어 공작물의 형상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비탈파종녹화를 위한 파종량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단, W는 파종중량(g/m2), S는 평균입수(입/g), B는 발아율(%), C는 발생기대본수(본/m2), P는 순량율(%)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파종량(W)은 평균입수(S), 발아율(B), 발생기대본수(C), 순량율(P)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요소를 모두 고려한 공식이 필요한데, 이를 고려한 공식이 바로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해안과 일반적인 주풍(主風)방향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래언덕은 주풍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해안지방에서의 주풍은 대부분 바다에서 육지를 향해분다.
  3. 주풍방향과 해안선의 각도가 직각일 경우에 주풍이 파도와 모래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적다.
  4. 바람은 파도와 연안류를 일으키며, 파도로 육지에 밀려온 모래를 이동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정답률: 81%)
  • "주풍방향과 해안선의 각도가 직각일 경우에 주풍이 파도와 모래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적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직각일 경우 주풍이 모래를 밀어내는 힘이 가장 적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비탈 파종녹화공종 ㆍ 공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약액주입공법
  2. 종자분사파종공법
  3. 비탈 지오웨브공법
  4. 비탈 바자얽기공법
(정답률: 65%)
  • 비탈 파종녹화공종은 산사태 등의 위험 지역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 중에서도 종자분사파종공법은 씨앗을 분사하여 지면에 씨앗이 뿌려지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종자분사파종공법이 공법에 해당합니다. 약액주입공법은 식물에 약액을 주입하는 방법, 비탈 지오웨브공법은 비탈을 고정하는 방법, 비탈 바자얽기공법은 비탈을 묶어주는 방법으로, 이들은 비탈 파종녹화공종과 관련이 있지만 공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계상에서 유수의 소류력이 최소로 되고 안정물매가 최대로 되는 기울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형기울기
  2. 편류기울기
  3. 보정기울기
  4. 홍수기울기
(정답률: 49%)
  • 편류기울기는 계상에서 유수의 소류력이 최소로 되고 안정물매가 최대로 되는 기울기를 의미합니다. 이는 편류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에서의 기울기를 말하며, 편류현상은 유체가 일정한 속도로 흐르는 상황에서 장애물이나 지형 등으로 인해 유체의 흐름이 굴절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편류기울기는 유체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고려할 때 중요한 값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석재를 사용하여 구축물을 만들 때 비탈물매가 1 : 1보다 완만한 경우게 사용되는 것은?

  1. 찰쌓기
  2. 돌붙임
  3. 골쌓기
  4. 메쌓기
(정답률: 51%)
  • 비탈물매가 1 : 1보다 완만한 경우에는 돌붙임이 사용된다. 이는 석재를 쌓을 때 돌과 돌 사이에 시멘트나 점토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붙여주는 방법으로, 비탈면이 완만한 경우에는 돌붙임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더 견고하게 만들 수 있다. 찰쌓기는 돌을 겹쳐서 쌓는 방법, 골쌓기는 돌을 쌓아서 구멍을 메우는 방법, 메쌓기는 돌을 쌓아서 벽을 만드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계간사방계획 중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 하류의 가옥과 경지 등을 복구하기 위한 계획은?

  1. 경상계획
  2. 예방계획
  3. 응급계획
  4. 민생계획
(정답률: 70%)
  • 응급계획은 재해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계획으로, 하류의 가옥과 경지 등을 복구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응급계획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배수로의 횡단면에서 윤변이 10m, 유적이 15m2일때 경심은 몇 m 인가? (단, 이 때 수면의 나비가 매우 넓어 윤변과 수면의 나비가 같다고 본다.)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77%)
  • 유적은 밑면이 15m2인 기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기둥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와 높이의 곱이므로, 유적의 높이는 15m2 / 10m = 1.5m 이다. 따라서 윤변과 유적을 지나는 직선인 경심의 길이는 윤변에서 유적까지의 거리인 10m에서 유적의 반지름인 1.5m를 뺀 8.5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수면의 나비가 매우 넓어 윤변과 수면의 나비가 같다고 본다고 했으므로, 경심의 길이는 8.5m에서 윤변과 수면의 나비의 반지름인 0.5m를 더한 9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m"이 아니라 "1.0m"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양단면적이 각각 10 m2, 20m2이고, 양단면적간의 거리가 20m 인 비탈면의 토사량을 평균단면적법에 의해 구하면?

  1. 300m3
  2. 400m3
  3. 500m3
  4. 600m3
(정답률: 60%)
  • 평균단면적법에 의해 구하는 비탈면의 토사량은 다음과 같다.

    토사량 = 평균단면적 x 비탈면의 길이

    평균단면적은 양단면적의 합을 2로 나눈 값이다.

    평균단면적 = (10m2 + 20m2) / 2 = 15m2

    따라서, 토사량 = 15m2 x 20m = 300m3

    정답은 "30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