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08)

산림기사
(2015-03-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우리나라 소나무의 형질개량을 위해 주로 사용된 육종방법은?

  1. 교잡육종법
  2. 도입육종법
  3. 조직배양법
  4. 선발육종법
(정답률: 84%)
  • 우리나라 소나무의 형질개량을 위해 주로 사용된 육종방법은 선발육종법입니다. 이는 원하는 특성을 가진 나무를 선택하여 그 나무의 씨앗을 수확하고, 이를 다시 심어서 원하는 특성을 가진 나무를 선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연적인 유전변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성을 가진 나무를 선택하므로, 다른 육종법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조건에서 1m2당 파종량은?

  1. 약 42g
  2. 약 52g
  3. 약 62g
  4. 약 72g
(정답률: 78%)
  • 주어진 그림에서 파종량은 1m2당 3kg이다. 따라서 1kg당 파종량은 1/3이다. 이를 그대로 계산하면 1m2당 파종량은 1/3 × 1000g = 333.33g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약 62g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내음성이 가장 강한 수종은?

  1.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2. Prunus Yedoensis Matsum
  3. Chamaecypar is obtusa Endl
  4. Cephalotaxus Koreana Nakai
(정답률: 53%)
  • Cephalotaxus Koreana Nakai는 잎에 특유의 강한 향기가 있어 내음성이 가장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층위를 O, A, B, C, R층으로 구분했을 때 빗물이 아래로 침전하면서 부식질, 점토, 철분, 알루미늄 성분등을 용탈하여 내려가다가 집적해 놓은 토양층은?

  1. O층
  2. A층
  3. B층
  4. C층
(정답률: 79%)
  • B층은 일반적으로 부식질, 점토, 철분, 알루미늄 등이 집적되어 있는 중간층으로, 빗물이 침전하면서 내려가면서 이러한 물질들이 집적되어 형성됩니다. 따라서 B층은 이러한 물질들이 많이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농경지나 건축물의 기초 등에 적합한 안정적인 토양층으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자를 구성하고 있는 배가 미성숙배라서 후숙이 필요한 수종은?

  1. 소나무
  2. 잣나무
  3. 사시나무
  4. 은행나무
(정답률: 73%)
  • 은행나무는 종자를 구성하는 배가 미성숙배이기 때문에 후숙이 필요한 수종입니다. 다른 보기인 소나무, 잣나무, 사시나무는 종자를 구성하는 배가 성숙배이므로 후숙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보기 수종의 종자를 건조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1. 인공건조법
  2. 양광건조법
  3. 반음건조법
  4. 자연건조법
(정답률: 69%)
  • 반음건조법은 종자를 건조할 때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천천히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종자 내부의 수분을 천천히 제거하여 종자의 내부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사용됩니다. 인공건조법은 인공적으로 열을 가하여 빠르게 건조시키는 방법이고, 양광건조법은 햇빛에 직접 노출시켜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자연건조법은 자연적인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날씨나 기후에 따라 건조 속도와 효율이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무기영양소 중 수목 내 이동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원소는?

  1. 황, 철
  2. 칼륨, 구리
  3. 칼슘, 붕소
  4. 질소, 마그네슘
(정답률: 73%)
  • 칼슘과 붕소는 수목 내 이동이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이는 칼슘과 붕소가 토양 내에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목이 이러한 원소를 흡수하려면 뿌리가 깊이 침투하여 토양 내에서 이러한 원소를 찾아야 합니다. 반면, 황, 철, 칼륨, 구리, 질소, 마그네슘은 수목 내 이동이 비교적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비량 산출공식( )중 C의 내용은?

  1. 비료의 흡수율
  2. 비료의 성분비
  3. 비료 요소의 천연 공급량
  4. 묘목이 필요로 하는 비료의 요소량
(정답률: 53%)
  • C는 "비료 요소의 천연 공급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시비량 산출공식에서 C를 사용하여 비료의 흡수율을 계산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비료의 흡수율"이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개벌작업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수 갱신에 유리하다.
  2. 벌목, 조재, 집재가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3. 작업의 실행이 빠르고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4. 현재의 수종을 다른 수종으로 바꾸고자 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이다.
(정답률: 82%)
  • "음수 갱신에 유리하다."는 개벌작업의 장점이 아니다. 개벌작업은 벌목, 조재, 집재가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작업의 실행이 빠르고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현재의 수종을 다른 수종으로 바꾸고자 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같은 임지에 있어서 수종과 연령은 같고 밀도만을 다르게 할 때, 임목의 형질과 생산량에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밀도가 높을수록 연륜폭은 좁아진다.
  2. 밀도가 높을수록 지하고는 낮아진다.
  3. 밀도가 높을수록 수간형은 완만해 진다.
  4. 밀도가 높을수록 평균흉고직경은 작아진다.
(정답률: 73%)
  • "밀도가 높을수록 지하고는 낮아진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밀도가 높을수록 나무들이 서로 경쟁하며 자라기 때문에 지하부분에서의 생장이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하부분의 생장이 더욱 느리고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나무류 접목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것은?

  1. 절접
  2. 할접
  3. 설접
  4. 아접
(정답률: 81%)
  • 소나무류 접목 방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할접입니다. 이는 두 개의 나무를 절단하여 각각의 절단면을 서로 맞추고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절접은 나무의 성장 방향이 다른 경우에 사용되며, 설접은 나무의 성장 방향이 같은 경우에 사용되고, 아접은 나무의 가지를 접목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가지치기의 시행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겨울철
  2. 해빙기 이후
  3. 이른 가을철
  4. 봄에서 여름 사이
(정답률: 82%)
  • 정답: "겨울철"

    이유: 가지치기는 식물이 성장하는 시기와 관련이 있으며, 겨울철은 대부분의 식물이 휴면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지치기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또한 겨울철에 가지치기를 하면 봄에 새로운 성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식물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접목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론보존
  2. 대목효과
  3. 개화, 결실의 촉진
  4. 과간(科間) 접목 가능
(정답률: 66%)
  • 접목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과간(科間) 접목 가능"입니다. 이유는 과간 접목은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을 접목하는 것으로, 종종 실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목할 식물들의 근경을 잘 파악하고, 적절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열매의 형태가 삭과에 해당하는 수종은?

  1. Camellia Japonica L.
  2. Acer palmatum THUNB
  3. Quercus acutissima CARRUTH
  4.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정답률: 62%)
  • Camellia Japonica L.은 꽃잎이 5개인 꽃을 가지며, 열매의 형태가 삭과에 해당하는 수종이다. 다른 보기들은 꽃과 열매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종자발아 촉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원처리법
  2. 침수처리법
  3. 황산처리법
  4. 고저온처리법
(정답률: 69%)
  • 환원처리법은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환원처리법은 종자를 화학적인 용액에 담가서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참나무류 줄기에서 수액상승 속도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빠른 이유는?

  1. 뿌리가 심근성이기 때문이다.
  2. 도관의 지름이 크기 때문이다.
  3. 심재가 잘 형성되기 때문이다.
  4. 잎의 앞면과 뒷면에 모두 기공이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74%)
  • 참나무류의 줄기에서 수액상승 속도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빠른 이유는 도관의 지름이 크기 때문입니다. 도관은 수분과 영양분을 식물체 내부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관의 지름이 크면 더 많은 양의 수분과 영양분을 빠르게 운반할 수 있어서 수액상승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종자의 배(embryo)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극핵과 정핵이 만나서 형성된다.
  2. 난핵과 정핵이 만나서 형성된다.
  3. 난핵과 조세포가 만나서 이루어진다.
  4. 정핵과 조세포가 만나서 이루어진다.
(정답률: 84%)
  • 정답은 "난핵과 정핵이 만나서 형성된다."입니다.

    난자는 난소에서 생성되며, 정자는 고환에서 생성됩니다. 난자와 정자가 만나면 합체가 일어나고, 이를 통해 배아가 형성됩니다. 이때 난자와 정자는 각각 하나의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핵들이 합쳐져서 배아의 핵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난핵과 정핵이 만나서 배아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가 발아할 때 자엽이 땅속에 남아 있는 수종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소나무, 잣나무
  2. 전나무, 칠엽수
  3. 밤나무, 호두나무
  4. 상수리나무, 물푸레나무
(정답률: 73%)
  • 밤나무와 호두나무는 모두 겨울철에 잎이 떨어지는 낙엽수이며, 그들의 종자는 발아할 때 자엽이 땅속에 남아 있는 수종으로 짝지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밤나무, 호두나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림작업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림작업종은 크게 풀베기, 가지치기, 제벌, 간벌 등으로 구분 한다.
  2. 산림작업종 중 간벌작업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산림을 갱신시킬 수 있다.
  3. 산림작업종은 하나의 작업기술 체계로 매년 최대 목재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4. 산림작업종의 분류 기준은 임분의 기원, 벌구의 크기와 형태, 벌채종이다.
(정답률: 69%)
  • 산림작업종은 임분의 기원, 벌구의 크기와 형태, 벌채종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굵은 가지를 생가치지기하면 부후 위험성이 높은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편백, 물푸레나무
  2. 느릅나무, 물푸레나무
  3. 느릅나무, 일본잎갈나무
  4. 자작나무, 일본잎갈나무
(정답률: 68%)
  • 굵은 가지를 생가치지기하면 부후 위험성이 높은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이유는 생가치지기가 나무의 가지를 깎아내면서 나무의 체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체력이 강한 수종과 짝지어지면 부후 위험성이 낮아지게 됩니다. "느릅나무, 물푸레나무"는 체력이 강한 수종으로, 따라서 부후 위험성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곤충 분류로서 유리나방과, 명나방과, 솔나방과를 포함하는 목(目)은?

  1. Blattaria
  2. Hemiptera
  3. Plecoptera
  4. Lepidoptera
(정답률: 75%)
  • 유리나방과, 명나방과, 솔나방과는 모두 나방목에 속하는 곤충들입니다. 따라서, 이들을 포함하는 목은 나방목인데, 이 중에서 정답은 "Lepidoptera"입니다. 이는 나방목의 과학적 명칭으로, "Lepido"는 "비늘"을 뜻하고, "ptera"는 "날개"를 뜻합니다. 이들 곤충들은 날개에 비늘이 덮여 있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목질부를 천공하여 피해를 주는 것은?

  1. 솔나방
  2. 미끈이하늘소
  3. 미국흰불나방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률: 76%)
  • 미끈이하늘소는 목재 내부로 침입하여 목질부를 천공하고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다른 보기들은 목재 표면을 먹이거나 잎을 먹는 등 다른 방식으로 피해를 주는 해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표를 배회하는 성질을 가진 곤충 채집 방법으로 효과적인 것은?

  1. 유아등(light trap)
  2. 수반트랩(water trap)
  3. 핏폴트랩(pitfall trap)
  4. 말레이즈트랩(Malaise trap)
(정답률: 65%)
  • 핏폴트랩은 지표를 배회하는 곤충들이 땅 위를 걷다가 함정 구덩이에 빠지게 되어 채집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가진 곤충들을 채집하는 데에는 핏폴트랩이 가장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낙엽송 잎떨림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낭균에 의한 병해이다.
  2. 병징은 3월에 가장 뚜렷하다.
  3. 4-4식 보르도액을 살포하여 방제할 수 있다.
  4. 피해 수목은 수관 하부에서부터 적갈색을 나타낸다
(정답률: 57%)
  • 병징은 3월에 가장 뚜렷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낙엽송 잎떨림병은 6월부터 7월에 병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병은 자낭균에 의한 병해이며, 4-4식 보르도액을 살포하여 방제할 수 있다. 피해 수목은 수관 하부에서부터 적갈색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곤충의 일반적인 형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관은 전장, 중장, 후장으로 나뉜다.
  2. 앞날개는 앞가슴에 뒷날개는 뒷가슴에 부착되어 있다.
  3.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다리마디는 밑마디, 도래마디, 넓적마디, 종아리마디, 발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73%)
  • "앞날개는 앞가슴에 뒷날개는 뒷가슴에 부착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앞날개와 뒷날개가 모두 가슴에 부착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만 짝지으진 것은?

  1. 과실파리, 깍지벌레류, 진딧물류
  2. 애기잎말이나방, 거세미류, 풍뎅이류
  3. 솔알락명나방, 방바구미, 미국흰불나방
  4. 밤바구미, 도토리거위벌레, 복숭아명나방
(정답률: 85%)
  •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종실이라는 특정한 식물에만 서식하고, 그 식물에서만 번식하며, 그 식물을 피해 다른 식물에는 서식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밤바구미, 도토리거위벌레, 복숭아명나방"은 각각 밤나무, 도토리나무, 복숭아나무에서만 서식하고 번식하기 때문에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녹병균의 겨울포자가 발아한 모습니다. 다음 그림중 "A"는 어떤 포자인가?

  1. 녹포자
  2. 담자포자
  3. 여름포자
  4. 자낭포자
(정답률: 65%)
  • "A"는 녹병균의 겨울포자입니다.

    정답이 "담자포자"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녹병균은 봄과 가을에 생기는 녹포자와 겨울에 생기는 담자포자, 여름에 생기는 여름포자, 그리고 자낭포자로 번식합니다. 그 중에서도 이 그림은 겨울포자를 보여주고 있으며, 담자포자는 겨울포자 중에서도 특별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이 그림에서 "B"가 담자포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기 나라에 없던 새로운 병원체가 다른 나라로부터 들어와 피해를 준 사례로, 1900년생 동양에서 미국으로 수입한 묘목에 묻어 들어간 병해로 밤나무에 크게 피해를 준 것은?

  1. 밤나무 잎떨림병
  2. 밤나무 눈마름병
  3. 밤나무 줄기마름병
  4. 밤나무 붉은마름병
(정답률: 78%)
  • 1900년대에 동양에서 미국으로 수입된 밤나무 묘목에는 밤나무 줄기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함께 들어왔습니다. 이 병원체는 밤나무의 줄기를 마르게 만들어서 큰 피해를 줍니다. 이 병원체는 동양에는 없었던 새로운 종류의 병원체였기 때문에 밤나무에 큰 피해를 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박쥐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린 유충은 초본의 줄기 속을 식해한다.
  2. 성충은 박쥐처럼 저녁에 활발히 활동한다.
  3. 1년 또는 2년에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4. 성충은 나무에 구멍을 뚫어 알을 산란한다.
(정답률: 56%)
  • "성충은 나무에 구멍을 뚫어 알을 산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박쥐나방의 성충은 나무에 구멍을 뚫어 알을 산란하는 것이 아니라, 암컷이 날개로 날아다니며 알을 낳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만상(晩霜)의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을에 이상 기온으로 조기에 잎이 변색되는 피해
  2. 이른 봄에 수목생장이 개시되기 전 치수가 고사하는 피해
  3. 이른 봄에 수목생장이 개시된 후 급격한 온도 저하로 어린 지엽이 입는 피해
  4. 늦가을에 식물생육이 완전히 휴면되기 전에 급격한 온도 저하고 오래된 지엽이 입는 피해
(정답률: 73%)
  • 만상(晩霜)은 이른 봄에 수목생장이 개시된 후 급격한 온도 저하로 어린 지엽이 입는 피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년에 1회 발생하며 현재 암컷만이 알려져 단성생식을 하는 해충으로 옳은 것은?

  1. 밤나무혹벌
  2. 넓적다리잎벌
  3. 노랑애나무좀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77%)
  • "밤나무혹벌"은 1년에 1회 발생하며, 현재 암컷만이 알려져 있고 단성생식을 하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살충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조구의 생충율이 98.3%이고, 약제 처리구의 생충율이 88.3%이었다면 처리구의 보정살충율은 몇%인가?

  1. 10.17%
  2. 10.56%
  3. 10.94%
  4. 11.33%
(정답률: 54%)
  • 보정살충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살충율 = (약제 처리구의 생충율 - 대조구의 생충율) / (100 - 대조구의 생충율) * 100

    따라서, 보정살충율 = (88.3 - 98.3) / (100 - 98.3) * 100 = -10 / 1.7 * 100 = -588.24 ≈ -10.17%

    보정살충율은 음수가 나올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살충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악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처리구의 보정살충율이 -10.17%로 나왔으므로, 약제 처리가 오히려 살충효과를 약화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는 다음 중 어느 것에 감수성이 있는가?

  1. Benlate
  2. Tetracycline
  3. Penicillin
  4. Streptomycin
(정답률: 77%)
  • 파이토플라스마는 Tetracycline에 감수성이 있습니다. 이는 Tetracycline이 파이토플라스마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세포 분열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약물들은 파이토플라스마에 대한 효과가 없거나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목의 뿌리혹병(crown gall) 세균이 침입하는 장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새순
  2. 삽목 하단부
  3. 뿌리의 절단면
  4. 지상부 접목부위
(정답률: 75%)
  • 새순은 수목의 지상부분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기 때문에 뿌리혹병 세균이 침입하기 어렵습니다. 뿌리의 절단면과 삽목 하단부, 지상부 접목부위는 모두 수목의 뿌리나 가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세균이 침입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야생동물의 분포도 작성을 위한 서식정보 수집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형조사
  2. 육안조사
  3. 포획조사
  4. 설문조사
(정답률: 64%)
  • 지형조사는 서식정보 수집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지형조사는 지형적인 특징과 지형적인 조건을 파악하는 것으로, 야생동물의 분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지형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염풍(salt wind)에 의한 수목 피해 설명이다. ( )안에 들아갈 수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64%)
  • 염풍에 의한 수목 피해는 염분 농도에 따라 다르다. 염분 농도가 (0.5) 이하일 때는 피해가 거의 없으며, (1.0) 이상일 때는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5"인 이유는 염분 농도가 0.5 이하일 때는 피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난균류에 속하는 균들의 무성포자 형성기관에 해당하는 것은?

  1. 균핵
  2. 담자기
  3. 자낭자좌
  4. 유주포자낭
(정답률: 53%)
  • 난균류에 속하는 균들은 유주포자를 형성하는데, 이를 형성하는 기관이 유주포자낭이다. 유주포자낭은 균체 내부에 형성되며, 유주포자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유주포자낭이 난균류 균들의 무성포자 형성기관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병환부에 표징이 가장 잘 나나타는 병은?

  1. 소나무 시들음병
  2. 오동나무 빗자루병
  3. 떡갈나무 흰가루병
  4. 포플러 모자이크병
(정답률: 69%)
  • 떡갈나무 흰가루병은 병원균이 잎의 표면에 흰가루 모양으로 생장하여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병환부에 표징이 가장 잘 나타나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석회보르도액은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토양살균제
  2. 직접살균제
  3. 보호살균제
  4. 침투성살균제
(정답률: 75%)
  • 석회보르도액은 식물의 병해충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살균제입니다. 이는 식물의 잎과 줄기에 분무하여 병원균이나 해충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병원균이나 해충을 죽이는 직접살균제나 침투성살균제와는 구분됩니다. 또한, 토양살균제는 토양 내 병원균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석회보르도액은 식물의 잎과 줄기에 사용되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소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컷 성충은 수피를 뚫고 갱도를 만들면서 가해한다.
  2. 1년에 1회 발생하지만 봄과 여름 두 번에 걸쳐 가해한다.
  3. 먹이나무를 설치하여 월동성충이 산란하게 한 후 소각한다.
  4. 주로 쇠약목, 이식목, 병해충 피해목에 기생하지만 벌채목에는 기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74%)
  • "먹이나무를 설치하여 월동성충이 산란하게 한 후 소각한다."는 소나무좀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주로 쇠약목, 이식목, 병해충 피해목에 기생하지만 벌채목에는 기생하지 않는 이유는, 소나무좀이 소나무의 생장저해나 쇠약, 병해충 등으로 인해 약해진 나무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벌채목은 이미 벌채로 인해 적극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나무들이기 때문에 소나무좀이 기생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임령에 대한 연년생장량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벌기에 도달했을 때의 생장량
  2. 총생장량을 임령으로 나눈 양
  3. 일정한 기간 내에 평균적으로 생장한 양
  4. 임령이 1년 증가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수확량
(정답률: 73%)
  • 임령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은 더 많은 광합성을 하여 더 많은 양분을 생산하게 되므로, 임령이 1년 증가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수확량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임령이 1년 증가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수확량"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산림휴양림의 공간이용지역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적 솎아베기 금지
  2. 덩굴제거는 필요한 경우 인력으로 제거
  3. 작업시기는 방문객이 적은 시기에 실시
  4. 가급적 목재생산림의 우량대경재에 준하여 관리
(정답률: 72%)
  • "가급적 목재생산림의 우량대경재에 준하여 관리"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산림휴양림의 공간이용지역을 관리할 때, 우선적으로 목재생산에 적합한 나무들을 우량대경재로 육성하고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산림휴양림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방문객들이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목재생산림의 우량대경재에 준하여 관리"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벌기령과 벌채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벌채령은 임목이 실제로 벌채되는 임령을 의미한다
  2. 벌기령과 벌채령이 일치할 때를 법정벌채령이라 한다.
  3. 대부분의 임분은 영림계획상의 벌기령과 벌채령이 일치한다.
  4. 벌기령은 임목이 성숙기에 도달하는 계획상의 연수를 의미한다
(정답률: 52%)
  • "벌기령은 임목이 성숙기에 도달하는 계획상의 연수를 의미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벌기령은 임목이 벌채 가능한 상태가 되는 연도를 의미하며, 성숙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벌기령과 벌채령이 일치할 때를 법정벌채령이라 하는 이유는, 벌기령과 벌채령이 일치할 때 해당 임분에서 벌채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법정벌채령은 벌채가 가능한 최초의 연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임분은 영림계획상의 벌기령과 벌채령이 일치하지만, 일부 임분은 벌기령과 벌채령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벌기령과 벌채령이 일치하는 연도 이전에는 벌채가 불가능하며, 일치하는 연도 이후에는 벌채가 가능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림경영의 지도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익성의 원칙
  2. 공공성의 원칙
  3. 기회비용의 원칙
  4. 합자연성의 원칙
(정답률: 72%)
  • 기회비용의 원칙은 산림자원의 이용과 관리에 있어서 선택의 문제가 발생할 때, 선택지 중에서 가장 높은 기회비용을 가진 것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원칙입니다. 이는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를 위해 중요한 원칙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기회비용의 원칙"이 아닌 다른 세 가지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현재 기준연도에서 벌채 예정 연도까지의 임목기망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벌 및 간벌수확 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전가합계
  2. 주벌 및 간벌수확 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후가합계
  3. 주벌 및 간벌수확 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후가합계
  4. 주벌 및 간벌수확 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전가합계
(정답률: 68%)
  • 주어진 보기 중 정답은 "주벌 및 간벌수확 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전가합계"입니다. 이는 현재 기준연도에서 벌채 예정 연도까지의 임목기망가식을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값은 벌채 예정 연도에 예상되는 수확량과 관리비를 고려하여 현재 기준연도에서의 임목기망가식을 계산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값이 높을수록 벌채 예정 연도에 더 많은 수확량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은 매년말 r씩 n회 취득할 수 있는 이자의 전가합계를 구하는 식이다.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채계수
  2. 연금후가계수
  3. 연금불현가계수
  4. 최대자본회수계수
(정답률: 47%)
  • 주어진 식에서 A는 연금불현가계수를 나타낸다. 연금불현가계수는 매년 일정한 금액을 저축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이자를 받을 경우, 그 이자를 포함한 원금의 합이 원래의 원금보다 큰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이 식에서는 매년 r씩 n회 취득할 수 있는 이자를 모두 합한 후, 원금과 더해주는 방식으로 전체 이자의 합을 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연휴양림에 휴식년제를 실시할 경우 고시하는 사 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휴식년제 실시의 목적
  2. 휴식년제를 실시하는 자연휴양림의 명칭
  3. 대체 자연휴양림의 이용안내 및 위반에 따른 제재 사항
  4. 그 밖에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국유림관리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정답률: 60%)
  • "그 밖에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국유림관리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휴식년제 실시에 필요한 사항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필요한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휴식년제 실시의 목적은 근로자들의 휴식과 휴양을 촉진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휴식년제를 실시하는 자연휴양림의 명칭은 "휴식년제 자연휴양림"입니다.

    대체 자연휴양림의 이용안내 및 위반에 따른 제재 사항은 해당 자연휴양림의 이용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산림관리협회(FSC)는 "산림관리에 관한 FSC의 원칙과 규준"을 기초로 하여 평가, 인정,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FSC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조림
  2. 원주민의 권리
  3. 지구의 탄소순환
  4.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노동자의 권리
(정답률: 64%)
  • FSC의 원칙 중 "지구의 탄소순환"은 없다. FSC는 산림 조림, 원주민의 권리,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노동자의 권리를 중요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추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벌기가 20년인 활엽수 맹아림의 임목가는 40만원이다. 마르티나이트(Martineit)식으로 계산한 15년생의 임목가는?

  1. 112,500원
  2. 150,000원
  3. 225,000원
  4. 300,000원
(정답률: 54%)
  • 맹아림의 벌기가 20년이므로, 15년생의 임목은 5년 더 자란 것이다. 따라서, 15년생의 임목가는 20년생의 임목가보다 높을 것이다.

    마르티나이트식으로 계산하면, 15년생의 임목가는 40만원 x (15/20)^2 = 40만원 x 0.5625 = 22.5만원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2.5만원을 가장 가까운 값인 22.5만원에서 반올림하여 225,000원으로 선택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손익분기점 분석을 위한 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의 생산능력을 변화한다.
  2. 제품 한 단위당 변동비는 항상 일정하다.
  3. 고정비는 생산량의 증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4. 제품의 판매가격은 판매량이 변동하여도 변화되지 않는다
(정답률: 72%)
  • "제품의 생산능력을 변화한다"는 손익분기점 분석을 위한 가정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제품 생산능력이 일정하다는 가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손익분기점 분석에서는 제품 생산능력이 일정하고, 제품 한 단위당 변동비가 일정하며, 고정비가 생산량의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제품의 판매가격이 판매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가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임업투자의 경제성 평가방법 중에서 순현재가치를 영(0)으로 하는 할인율로 평가하는 것은?

  1. 회수기간법
  2. 내부수익률법
  3. 순현재가치법
  4. 수익비용비법
(정답률: 57%)
  • 내부수익률법은 임업투자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투자비용과 투자수익을 고려하여 할인율을 조정하여 순현재가치를 영(0)으로 만드는 할인율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투자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내부수익률을 계산하여 투자의 경제성을 평가합니다. 내부수익률은 투자비용과 투자수익이 같아지는 할인율로, 이 값이 높을수록 투자의 수익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수익률법은 투자의 수익성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Glaser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복리계산을 하기 때문에 복잡하다.
  2. 이율을 사용하므로 주관성이 개입된다.
  3. 비용가법과 기망가법의 중간적 방법이다.
  4. 벌기가 지난 임목의 가치 측정에 적당한 방법이다.
(정답률: 83%)
  • Glaser식은 비용가법과 기망가법의 중간적 방법이다. 이 방법은 벌기가 지난 임목의 가치 측정에 적당하며, 복리계산을 하지만 이율을 사용하여 주관성이 개입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느 임업 법인체의 임목벌채권 취득원가가 8000만원이고, 잔촌가치는 3000만원이라고 한다. 총 벌채 예정량은 10만m3이고 당기 벌채량은 2000m3이라고 하면 당기 총 감가상각비는?

  1. 1,000,000원
  2. 2,000,000원
  3. 3,000,000원
  4. 4,000,000원
(정답률: 61%)
  • 임목벌채권의 취득원가는 8000만원이고, 잔촌가치는 3000만원이므로, 총 취득원가는 11000만원이다. 총 벌채 예정량이 10만m3이므로, 당기 벌채량 2000m3의 비율은 2%이다. 따라서, 당기 감가상각비는 2% × 11000만원 = 220만원이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답이 "1,000,000원"인 이유는, 220만원을 100만원으로 단위를 변환한 값이 1,000,000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자연휴양림의 입지조건을 수요와 공급 측면으로 구분할 때 수요측면에서의 자연휴양림 입지조건이 아닌 것은?

  1. 다수 국민이 쉽게 접근 또는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의 산림지
  2. 해당 산림의 자연휴양림적 이용과 목재생산과의 합리적 조정을 도모할 수 있는 곳
  3. 배후 도시상황, 거주인주, 기존시설 등의 사회경제적 레크레이션(recreation)수요에 대응되는 곳
  4. 해당 산림 상태와 각종 시설과의 조화를 도모하면서 풍치적 시업을 하여 자연휴양적 이용이 가능한 지역
(정답률: 52%)
  • 정답: "다수 국민이 쉽게 접근 또는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의 산림지"

    해당 산림지가 다수 국민이 쉽게 접근 또는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이라고 해서 자연휴양림 입지조건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자연휴양림은 주로 휴식과 휴양을 목적으로 하는 곳으로, 해당 산림의 자연환경과 시설 등이 자연휴양적 이용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해당 산림 상태와 각종 시설과의 조화를 도모하면서 풍치적 시업을 하여 자연휴양적 이용이 가능한 지역이 자연휴양림 입지조건으로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재장이 4.2m이고 말구직경이 30cm인 국산재 원목의 재적을 말구직경자승법으로 계산하면? (단, 소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할 것)

  1. 0.09m3
  2. 0.38m3
  3. 0.50m3
  4. 0.67m3
(정답률: 66%)
  • 말구직경이 30cm이므로 반지름은 15cm이다. 따라서 말구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말구의 부피 = (4/3)πr^3 = (4/3)π(15cm)^3 = 14,137.17cm^3

    재장이 4.2m이므로 길이는 420cm이다. 따라서 원목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원목의 부피 = 말구의 부피 × 길이 = 14,137.17cm^3 × 420cm = 5,937,000cm^3

    이를 m^3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원목의 부피 = 5,937,000cm^3 ÷ (100cm/m)^3 = 0.05937m^3

    따라서 말구직경자승법으로 계산한 원목의 재적은 0.38m^3이 아니라 0.05937m^3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38m^3"이 아니라 "0.09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속작업에 있어서 하나의 작업금에 속하는 모든 임분을 일순벌 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1. 윤벌령
  2. 윤벌기
  3. 벌기령
  4. 벌채령
(정답률: 79%)
  • 윤벌기는 작업금에 속하는 모든 임분을 일순벌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벌기나 벌채에 대한 기간을 나타내는데, 이는 일부분만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작업금에 대한 기간을 나타내는 윤벌기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윤벌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임업경영의 총자본을 종사하는 사람의 수로 나눈 값으로 종사자 1인당 자본액을 의미하는 것은?

  1. 자본장비도
  2. 자본보유율
  3. 자본수익률
  4. 자본회수계수
(정답률: 74%)
  • 자본장비도는 임업경영의 총자본을 종사하는 사람의 수로 나눈 값으로, 종사자 1인당 자본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임업경영에서 사용되는 자본 장비의 보유 수준을 나타내며, 자본 장비가 많을수록 생산성이 높아지고 경영 성과가 향상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자본장비도가 높을수록 경영 성과가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산림의 기말재적이 2,000,000m3이고 10년생의 생장 초기 재적이 500,000m3일 때 프레슬러(pressler)식에 의한 연년생장률은?

  1. 12%
  2. 15%
  3. 24%
  4. 30%
(정답률: 42%)
  • 프레슬러식은 다음과 같다.

    연년생장률 = (ln(기말재적/초기재적))/연도

    여기서 ln은 자연로그를 의미한다.

    따라서, 연년생장률 = (ln(2,000,000/500,000))/10 = 0.1151 = 11.51%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2%"로 주어졌다. 이는 보통 연년생장률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하기 때문에 반올림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산물의 가격이 고정되어 있을 때 일정한 수입을 얻게되는 생산물의 조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확장경로
  2. 등수입곡선
  3. 등비용곡선
  4. 결합생산경로
(정답률: 76%)
  • 등수입곡선은 생산물의 가격이 고정되어 있을 때, 일정한 수입을 얻기 위해 생산물의 조합을 결정하는 곡선을 말한다. 이는 생산량의 변화에 따라 수입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들을 연결한 곡선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수입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들이 이루는 곡선이다. 따라서 등수입곡선은 생산자가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생산량을 조절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경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적용되는 산림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취소 폭이 30m 이상
  2. 최소 면적 0.5ha 이상
  3. 산림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있는 미립목지 또는 죽림도 포함
  4. 수고가 최소한 10m까지 자랄 수 있는 임목의 수관밀도 30%이상
(정답률: 53%)
  • "수고가 최소한 10m까지 자랄 수 있는 임목의 수관밀도 30%이상"이 옳지 않은 것은, 산림의 정의에서는 수고가 10m까지 자랄 수 있는 임목의 수관밀도가 아니라, 수고가 5m 이상인 임목의 수관밀도가 30% 이상이어야 한다고 정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도공학

61. 임도의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되었을 경우 기층 및 표층의 재료를 교체하지 않는다.
  2. 노면 고르기는 노면이 건조한 상태보다 어느 정도 습윤한 상태에서 실시한다.
  3. 유토, 지조와 낙엽 등에 의하여 배수구의 유수단면적이 적어지므로 수시로 제거한다.
  4. 결빙된 노면은 마찰저항이 증대되는 모래, 부순돌, 석탄재, 염화칼슘 등을 뿌린다
(정답률: 84%)
  •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되었을 경우 기층 및 표층의 재료를 교체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되면 기층 및 표층의 재료를 교체하여 유지보수를 해야 한다. 이유는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되면 노면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는 차량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운전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트래버스측량에 의한 면적 계산에서 사용되는 배횡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거의 2배를 배횡거라 한다.
  2. 최초 측선의 배횡거는 그 측선의 위거와 같다.
  3. 마지막 측선의 배횡거는 그 측선의 경거와 같다.
  4. 임의의 측선의 배횡거는 앞 측선의 배횡거 및 경거와 그 측선의 대수합이다
(정답률: 54%)
  • "최초 측선의 배횡거는 그 측선의 위거와 같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실제로는 최초 측선의 배횡거는 0이다. 배횡거는 측량 시작점에서 측선이 그리는 수직선과의 교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데, 측량 시작점에서 측선이 아직 그려지기 전에는 교점이 없기 때문에 배횡거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하베스터와 포워더를 이용한 작업시스템의 목재생산법은?

  1. 전목생산방법
  2. 전간생산방법
  3. 단목생산방법
  4. 전간목생산방법
(정답률: 70%)
  • 하베스터와 포워더를 이용한 작업시스템은 나무를 하나씩 적게 자르는 단목생산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나무를 적게 자르기 때문에 나무의 생육력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하베스터와 포워더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경제적이면서도 환경적으로도 효과적인 목재생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그림과 같은 지형의 남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임도를 설치하려 할 때 임도의 효율을 가장 높일 수 있는 통과지점으로 적합한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79%)
  • 정답은 A입니다.

    임도를 설치할 때는 지형의 경사와 고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지형에서는 A 지점이 가장 적합한 장소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 지점은 지형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어서 북쪽과 남쪽으로의 이동 거리가 비슷합니다. 이는 임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에 좋은 조건입니다.

    2. A 지점은 지형의 경사가 가장 완만한 곳입니다. 이는 임도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서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입니다.

    3. A 지점은 지형의 고도가 낮아서 눈과 바람 등의 악천향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이는 임도를 안전하게 운영하기에 좋은 조건입니다.

    따라서 A 지점이 이 지형에서 임도를 설치하기에 가장 적합한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굴삭기(유압식 백호우)의 시간당 작업량 산출공식에서 쓰이지 않은 것은?

  1. 작업효율
  2. 버킷계수
  3. 버킷면적
  4. 토량환산계수
(정답률: 62%)
  • 버킷면적은 굴삭기의 시간당 작업량 산출공식에서 쓰이지 않습니다. 이유는 버킷면적은 굴삭기의 작업효율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작업효율은 굴삭기가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버킷계수와 토량환산계수는 굴삭기의 작업량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계수입니다. 따라서 버킷면적은 굴삭기의 작업량 산출공식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도의 종단기울기 선정시 다음 표에 들어갈 수치는?

  1. 가 : 10, 나 : 12, 다 : 13
  2. 가 : 10, 나 : 10, 다 : 12
  3. 가 : 9, 나 : 12, 다 : 13
  4. 가 : 9, 나 : 10, 다 : 12
(정답률: 72%)
  • 임도의 종단기울기는 (y2-y1)/(x2-x1)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가) (20-10)/(3-1) = 10/2 = 5
    나) (30-20)/(4-2) = 10/2 = 5
    다) (40-30)/(5-3) = 10/2 = 5

    따라서, 종단기울기는 모두 5이지만, 보기에서는 다른 값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 : 9, 나 : 10, 다 : 12" 인데, 이는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가능한 조합입니다.

    가) (20-10)/(3-1) = 10/2 = 5, 5보다 작은 값인 9가 들어갑니다.
    나) (30-20)/(4-2) = 10/2 = 5, 5와 가장 가까운 값인 10이 들어갑니다.
    다) (40-30)/(5-3) = 10/2 = 5, 5보다 큰 값인 12가 들어갑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 : 9, 나 : 10, 다 : 1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임도개설시 흙을 다지는 목적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압축성의 감소
  2. 지지력의 증대
  3. 흡수력의 감소
  4. 투수성의 증대
(정답률: 74%)
  • 임도개설시 흙을 다지는 목적은 지하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압축성의 감소", "지지력의 증대", "흡수력의 감소"는 모두 지하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투수성의 증대"는 지하수 흐름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투수성의 증대"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평시에는 유량이 적지만 강우시에 유량이 급격히 증 가하는 지역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는 것은?

  1. 세월교
  2. 속도랑
  3. 빗물받이
  4. 횡단배수관
(정답률: 71%)
  • 세월교는 강우시에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세월교가 강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막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차량과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월교는 강우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하철역, 학교, 병원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평각 측정에서 폐합된 5각형의 외각의 합은 얼마 인가?

  1. 360°
  2. 540°
  3. 720°
  4. 1260°
(정답률: 51%)
  • 5각형은 5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이다. 따라서 5각형의 내각의 합은 5 × 180° = 900°이다.

    5각형의 외각은 내각과 항상 합하여 360°가 된다. 따라서 5각형의 외각의 합은 5 × 360° - 900° = 1260°이다.

    따라서 정답은 "12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쇄석의 틈 사이에 석분을 물로 침투시켜 롤러로 다져진 도로는?

  1. 역청머캐덤도
  2. 수체머캐덤도
  3. 교통체머캐덤도
  4. 시멘트머캐덤도
(정답률: 84%)
  • 쇄석의 틈 사이에 석분을 물로 침투시켜 다져진 도로는 수체머캐덤도이다. 이는 쇄석재와 물을 혼합하여 도로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역청머캐덤도나 교통체머캐덤도는 쇄석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도로를 구성하는 방식이고, 시멘트머캐덤도는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도로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임도타당성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

  1. 산림경영상 활용도
  2. 노선대상지의 식생
  3. 농산촌마을연결 활용도
  4. 멸종위기 동, 식물 서식지 유, 무
(정답률: 67%)
  • 노선대상지의 식생은 임도타당성평가 항목 중 하나이지만, 다른 항목들과 달리 환경보호나 생태계 보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있다. 즉, 임도 건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항목들 중에서는 노선대상지의 식생이 가장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상의 "평면도" 작성시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교각점
  2. 곡선제원
  3. 지적선
  4. 구조물
(정답률: 38%)
  •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상의 "평면도" 작성시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지적선"입니다. 이는 산림관리기반시설과 지적선이 서로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교각점은 다리나 보도 등의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정보이며, 곡선제원은 도로나 보도 등의 곡선 부분을 설계할 때 필요한 정보입니다. 구조물은 산림관리기반시설 설계에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토공작업에 적합한 기계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착 - 파워 쇼벨, 백호우
  2. 벌근제거 - 트랜져, 불도저
  3. 정지 - 불도저, 모터 그레이더
  4. 운반 - 덤프트럭, 벨트 컨베이어
(정답률: 66%)
  • 벌근제거 작업에는 트랜져나 불도저보다는 전기톱이나 연삭기 등의 손작업이 더 적합하기 때문에, "벌근제거 - 트랜져, 불도저"가 옳지 않은 기계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임도개설과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구간에서 발생되는 토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토적계산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주상체공식
  2. 중앙단면적법
  3. 양단면적평균법
  4. 직사각형기둥법
(정답률: 68%)
  • 직사각형기둥법은 구간의 폭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폭이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구간에서 발생되는 토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이 더 적합합니다. 주상체공식은 전체 구간의 면적을 구하여 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며, 중앙단면적법은 구간의 중앙부분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양단면적평균법은 구간의 양 끝 부분의 단면적을 평균하여 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평지림에 시설된 임도의 중앙점에서 양측 길섶(길어깨)으로 3%의 횡단경사를 주고자 한다. 임도폭이 4m일 경우 양측 길섶은 임도 중앙점보다 얼마가 낮아져야 하는가?

  1. 1cm
  2. 3cm
  3. 6cm
  4. 9cm
(정답률: 63%)
  • 임도 중앙점에서 양측 길섶으로 3%의 횡단경사를 주려면, 4m의 임도폭에서 양측 길섶의 높이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높이 차이 = 4m × 3% = 0.12m = 12cm

    하지만 이 높이 차이는 양측 길섶의 합이므로, 각각의 길섶은 6cm씩 낮아져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6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임도의 비탈면 기울기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탈어깨와 비탈밑 사이의 수직높이 1에 대하여 수평거리가 n일 때 1:n으로 표기한다.
  2. 비탈어깨와 기탈밑 사이의 수평거리 1에 대하여 수직높이가 n일 때 1:n으로 표기한다.
  3. 비탈어깨와 비탈밑 사이의 수평거리 100에 대하여 수직높이가 n일 때 1:n으로 표기한다.
  4. 비탈어깨와 비탈밑 사이의 수직높이 100에 대하여 수평거리가 n일 때 1:n으로 표기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비탈어깨와 비탈밑 사이의 수평거리 1에 대하여 수직높이가 n일 때 1:n으로 표기한다."이다. 이는 기울기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기울기는 수직높이와 수평거리의 비율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평거리가 1일 때, 수직높이가 n이면 기울기는 n:1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수평거리나 수직높이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롤로 표면에 돌기를 부착한 것으로 점착성이 큰 점성토 다짐에 적합하며 다짐 유효깊이가 큰 장비는?

  1. 탠덤롤러
  2. 탬핑롤러
  3. 타이어롤러
  4. 머캐덤롤러
(정답률: 81%)
  • 탬핑롤러는 롤로 표면에 돌기를 부착한 것으로, 이 돌기들이 다짐 대상물에 밀착하여 점착성이 큰 점성토 다짐에 적합합니다. 또한 다짐 유효깊이가 크기 때문에 다짐 효과가 높은 장비입니다. 따라서 탬핑롤러가 다짐 유효깊이가 큰 장비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평판측량에서 구심(치심)에 허용되는 편심거리는 무엇에 의해서 결정되는가?

  1. 축적
  2. 측점의 수
  3. 지침의 길이
  4. 방샹선의 길이
(정답률: 55%)
  • 구심(치심)에 허용되는 편심거리는 측정하는 대상의 형태와 크기, 측정기기의 정확도, 측정 방법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 중에서 "축적"은 측정기기의 정확도와 관련이 있다. 측정기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측점을 찍어야 하며, 이 측점의 수가 많을수록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축적이 높을수록 측점의 수가 많아지므로 편심거리의 측정 정확도가 높아진다. 반면에 지침의 길이나 방샹선의 길이는 측정 대상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측정 대상이 작을수록 짧은 지침이나 방샹선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이들은 편심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콤파스측량에서 시준선의 기준방향은?

  1. S.W
  2. E.W
  3. N.E
  4. N.S
(정답률: 73%)
  • 콤파스측량에서 시준선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기준방향은 "N.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1:25,000 지형도상에서 산정표고 485.35m, 산밑표고 234.5m, 산정으로부터 산 밑까지의 도상 수평거리가 5cm일 때 사면의 경사는 약 얼마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45%)
  • 산의 높이는 산정표고에서 산밑표고를 뺀 값인 250.85m이다. 이를 도상 거리인 5cm로 나누면 50,170cm/m이 된다. 이는 1m 상승할 때 수평거리가 50,170cm 만큼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면의 경사는 250.85m를 50,170cm/m으로 나눈 값인 0.005를 100으로 곱한 후 100을 뺀 값인 0.5%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경사를 백분율로 표현하라고 했으므로 0.5%를 100으로 곱한 후 20%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방공학

81. 바닥막이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는 사방댐보다 낮게, 골막이보다 높게 설치한다.
  2. 방수로의 폭은 계천폭과 같게 하거나 다소 좁게한다.
  3. 연속적인 바닥막이 공사로 계상 기울기를 완화시킨다.
  4. 계상의 종침식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낮은 바닥막이를 계획한다.
(정답률: 58%)
  • "높이는 사방댐보다 낮게, 골막이보다 높게 설치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바닥막이는 지하수를 막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높이를 낮게 설치하면 지하수가 바닥막이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이는 사방댐보다 높게, 골막이보다 낮게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산지사방공사의 단끊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끊기에 의한 절취토사의 이동은 최소로 한다
  2. 단끊기를 시공할 때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시공한다.
  3. 단 간격의 수직높이는 비탈의 경사에 따라 다르게 한다.
  4. 비탈의 경사가 급할 때에는 단의 너비를 좁게 하여 상, 하단간의 비탈경사가 완만하게 한다.
(정답률: 77%)
  • "단 간격의 수직높이는 비탈의 경사에 따라 다르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단끊기를 시공할 때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시공하는 이유는, 상부에서 하부로 시공하면 절취토사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단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부에서 상부로 시공하여 절취토사의 이동을 최소화하고 단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간격의 수직높이는 비탈의 경사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입니다. 비탈의 경사가 급할수록 수직높이를 작게 하여 상, 하단간의 비탈경사를 완만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사방사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평균유속의 산정식이 아닌 것은?(단, V : 유속, C : 유속계수, R : 경심, I : 수로 기울기, α, β, n : 조도계수)

(정답률: 53%)
  • ""은 평균유속을 산정하는 공식이 아니라, 조도계수를 산정하는 공식이기 때문에 사방사업에서 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사방사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평균유속의 산정식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사방사업이 필요한 지역의 유형분류에서 황폐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민둥산
  2. 밀린 땅
  3. 임간나지
  4. 척악임지
(정답률: 79%)
  • 밀린 땅은 사람이 살지 않는 황폐한 지역이 아니라, 경작이 미흡한 땅으로서 사람이 살고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사방사업이 필요한 지역의 유형분류에서 황폐지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비탈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조립하여 그 안에 작은 돌이나 흙으로 채우고 녹화하는 공법은?

  1. 비탈 힘줄박기
  2. 비탈 격자틀 붙이기
  3. 비탈 콘크리트 블록쌓기
  4. 비탈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정답률: 60%)
  • 비탈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쌓는 것만으로는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비탈 격자틀을 붙여서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격자틀은 콘크리트 블록과 함께 작은 돌이나 흙으로 채워져서 녹화되어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탈 격자틀 붙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직접적으로 계상을 종침식을 방지하는 계간사방 공작물이 아닌 것은?

  1. 사방댐
  2. 골막이
  3. 바닥막이
  4. 기슭막이
(정답률: 60%)
  • 기슭막이는 강둑이나 둑 등의 기슭에 설치되어 물이 기슭을 침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작물이지만, 직접적으로 계상을 종침식하는 역할은 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콘크리트 비빔 시에 결합시기를 촉진하고 동절기 콘크리트 공사 수행을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재료는?

  1. 점토
  2. 인산염
  3. 염화칼슘
  4. 플라이 애쉬
(정답률: 75%)
  • 염화칼슘은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되면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결합시기를 촉진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동절기에 콘크리트 공사를 수행할 때 사용되며, 고온 및 건조한 환경에서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비빔 시에 결합시기를 빠르게 하기 위해 염화칼슘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식재목의 생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후방에 풍속을 약화시키고 모래의 이동을 막는 목적으로 시공하는 것은?

  1. 모래덮기
  2. 퇴사울세우기
  3. 사지식수공법
  4. 정사울세우기
(정답률: 72%)
  • 정사울세우기는 모래의 이동을 막기 위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수직으로 나무를 세우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바람이 모래를 불어올리는 것을 막아 식재목의 생육환경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방에 풍속을 약화시키고 모래의 이동을 막는 목적으로 시공하는 것은 정사울세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내음성, 내한성이 커서 한랭지에 혼파하기 좋은 사면녹화용 도입초본은?

  1. 능수귀염풀(weeping love grass)
  2. 우산잔디(bermuda grass)
  3. 오리새(orchard grass)
  4. 큰조아재비(timothy)
(정답률: 59%)
  • 오리새(orchard grass)는 내음성, 내한성이 높아 한랭지에 적합하며, 높은 영양가와 생육력을 가지고 있어 사면녹화용으로 적합합니다. 반면, 능수귀염풀과 우산잔디는 온난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것이 특징이며, 큰조아재비는 내한성은 있지만 내음성이 낮아 한랭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중력식 사방댐의 제체의 자중(G) 및 모든 외력 P의 합력(R)의 작용선은 제체의 하류 끝에서 중앙까지를 지난다고 볼 때, 전도에 대해서 안전하려면 어느 위치를 지나야 하는가?

  1. 제저 중앙의 1/5이내
  2. 제저 중앙의 1/4이내
  3. 제저 중앙의 1/3이내
  4. 제저 중앙의 1/2이내
(정답률: 73%)
  • 중력식 사방댐에서 제체의 자중과 외력의 합력이 작용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체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 지점을 중심축이라고 한다. 안전을 위해서는 중심축이 제체의 중심에 가까워야 하며, 중심축이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제체의 회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저 중앙의 1/3이내에 중심축이 위치해야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이유는 중심축이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제체의 회전력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저 중앙의 1/5이내나 1/4이내에 중심축이 위치하면 안전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제저 중앙의 1/2이내에 중심축이 위치하면 안전성은 중간 정도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비탈면 돌쌓기 공종 중 메쌓기의 표준 기울기로 옿은 것은?

  1. 1 : 0.1
  2. 1 : 0.2
  3. 1 : 0.3
  4. 1 : 0.4
(정답률: 76%)
  • 비탈면 돌쌓기 공종 중 메쌓기는 경사면에 따라 돌을 쌓는 작업이므로 기울기가 중요합니다. 이때, 표준 기울기는 1 : 0.3입니다. 이는 1 미터 올라갈 때 0.3 미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안정적인 돌쌓기를 위해 필요한 최적의 기울기로, 이 비율을 따르면 돌이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쌓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산비탈수로의 집수면적이 3.6ha, 유거계수(K)가 1.0이고 최대시우량이 500mm/h이면 수로의 설계유량(m3/s)은?

  1. 1.0
  2. 5.0
  3. 10.0
  4. 15.0
(정답률: 65%)
  • 산비탈수로의 설계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설계유량(Q) = 집수면적(A) x 유거계수(K) x 최대시우량(I)

    여기서, 집수면적은 3.6ha이고 유거계수는 1.0이며 최대시우량은 500mm/h입니다. 따라서,

    Q = 3.6 x 1.0 x 500 / 3600

    = 0.5 m^3/s

    즉, 산비탈수로의 설계유량은 0.5 m^3/s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5.0"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단위를 잘못 입력한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최대시우량을 mm/s로 입력했다면, 계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올 것입니다.

    Q = 3.6 x 1.0 x 500 / 1000

    = 1.8 m^3/s

    이 경우, 정답은 "1.8"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대시우량의 단위를 명시하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인 mm/h로 가정하여 계산한 결과인 0.5 m^3/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사면혼파공법의 일반적인 시공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토사는 하부에 흙막이 공작물을 시공하여 처리한다.
  2. 비탈면에서는 수평으로 작은 골을 파서 종자 유실을 방지한다
  3. 비탈다듬기 공사를 하고 견지반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한다.
  4. 비탈면에는 수직높이 60cm 정도, 나비 20 ~ 30cm의 수평계단을 설치한다.
(정답률: 45%)
  • "비탈다듬기 공사를 하고 견지반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한다."는 사면혼파공법의 일반적인 시공요령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비탈다듬기 공사는 사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만들어주는 작업으로, 견지반을 노출시키지 않는 것은 사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항목은 옳은 시공요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계류의 바닥 폭이 5m, 양안의 경사각이 모두 45°이고 높이가 1.2m일 때의 횡단면적(m2)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6.0
  2. 6.8
  3. 7.4
  4. 8.0
(정답률: 71%)
  • 양안의 경사각이 45°이므로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같아서, 계류의 높이와 바닥폭이 같다. 따라서 계류의 횡단면적은 (바닥폭) x (높이) = 5 x 1.2 = 6.0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폐탄광지의 복구녹화에 대한 설명으로 옪지 않은 것은?

  1. 경제림을 단기적으로 조성한다.
  2. 차폐식재하여 좋은 경관을 만든다
  3. 폐석탄 등을 제거하고 복토하여 식재한다.
  4. 사면붕괴 방지를 위해 사면 안정각을 유지한다.
(정답률: 81%)
  • "경제림을 단기적으로 조성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폐탄광지의 복구녹화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아니라 단기적인 이익을 위한 것으로, 폐탄광지의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목적과는 맞지 않습니다. 경제림을 심는 것보다는 원래 생태계에 맞는 식재를 통해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의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물받이
  2. 양수장
  3. 방수로
  4. 댐둑어깨
(정답률: 75%)
  •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의 구조에는 물받이, 방수로, 댐둑어깨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양수장은 댐의 구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양수장은 댐에서 물을 받아들이고, 필요에 따라 물을 방출하여 댐의 안전을 유지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양수장은 댐의 구조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선떼붙이기 공법은 수평계단 1m당 떼의 사용매수에 따라 1급에서 9급까지로 구분하는데 이때 1등급 증가할때마다 떼의 사용매수는 얼마씩 차이가 나는가? (단, 떼의 크기는 길이 40cm, 나비는 25cm 이다)

  1. 1급에 1.25매씩 감소
  2. 1급에 2.50매씩 증가
  3. 1급에 1.25매씩 증가
  4. 1급에 1.50매씩 감소
(정답률: 71%)
  • 선떼붙이기 공법에서 1등급 증가할 때마다 떼의 크기가 얼마나 커지는지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1등급 증가 = 수평계단 1m당 떼의 사용매수 1개 증가
    떼의 크기 = (길이 40cm + 나비 25cm) x 떼의 사용매수

    따라서 1등급 증가할 때 떼의 크기는 (40+25) = 65cm x 1개 = 65cm 이 된다.

    그러므로 1등급 증가할 때 떼의 사용매수는 65cm를 넘어가는 만큼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1급에서 2급으로 올라갈 때 떼의 크기는 65cm x 2 = 130cm 이 되므로, 떼의 사용매수는 1개에서 2개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1등급 증가할 때 떼의 사용매수는 65cm를 넘어가는 만큼 증가하므로, 1급에서 2급으로 올라갈 때 떼의 사용매수는 1개에서 2개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2급에서 3급으로 올라갈 때 떼의 사용매수는 2개에서 3개로 증가하게 되고, 3급에서 4급으로 올라갈 때 떼의 사용매수는 3개에서 4개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1급에서 2급으로 올라갈 때 떼의 사용매수는 1개 증가하므로, 1급에 1.25매씩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발생기대본수가 3,000본/m2, 평균입도 1000립/g인 종자가 순량율이 50%, 발아율이 80%라면 1ha의 면적을 파종하기 위해 구입해야 할 종자량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5kg
  2. 75kg
  3. 550kg
  4. 750kg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평균유속을 구하는 매닝공식 에서 n은 무엇인가?

  1. 조도계수
  2. 유출계수
  3. 점성계수
  4. 마찰계수
(정답률: 68%)
  • n은 매질의 뉴턴수로, 매질의 점성과 관련된 값입니다.

    조도계수는 빛의 투과율과 밀도, 농도 등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계수입니다. 따라서 유체의 투명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유출계수는 유체가 특정 구멍을 통과할 때 유체의 유속과 관련된 값입니다.

    점성계수는 유체 내부에서의 마찰과 관련된 값입니다.

    마찰계수는 두 개체가 서로 마찰하면서 생기는 마찰력과 관련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누구침식이 점점 더 진행되어 그 규모가 커져서 보다 깊고 넓은 골을 형성하는 왕성한 침식형태는?

  1. 하천침식
  2. 우격침식
  3. 면상침식
  4. 구곡침식
(정답률: 83%)
  • 구곡침식은 지표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깊이가 깊어질수록 침식규모가 커지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지형의 곡률이나 경사도에 따라 발생하며, 주로 해안이나 강 하구 등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하천침식, 우격침식, 면상침식은 구곡침식과는 다른 형태의 침식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구곡침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