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무선설비기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중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아날로그 컴퓨터(analog computer)의 구성요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적분기
  2. 미분기
  3. 합산기
  4. 비반전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미분기는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아날로그 컴퓨터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즉,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아날로그 컴퓨터의 구성요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미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은 어떤 유형의 플리플롭(FF)인가?

  1. M/S FF
  2. RS FF
  3. JK FF
  4. D FF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D FF이다. 이유는 D FF는 데이터 입력이 클럭 신호와 함께 출력에 전달되는 플리플롭이고, 이 그림에서도 데이터 입력이 클럭 신호와 함께 출력에 전달되고 있다. M/S FF는 마스터-슬레이브 플리플롭, RS FF는 리셋-설정 플리플롭, JK FF는 제어-설정 플리플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출력전압이 40[V]인 증폭기가 2-j2√3[V]를 궤환시켰다면 궤환율 β는?

(정답률: 알수없음)
  • 궤환율 β는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β = 출력전압 / 입력전압이다. 이 문제에서 입력전압은 2-j2√3[V]이므로, 입력전압의 크기는 |2-j2√3| = 4[V]이다. 따라서 β = 40[V] / 4[V] = 10이 된다.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입력임피던스가 무한대이어야 한다.
  2. 출력임피던스가 0 이어야 한다.
  3. CMRR = 1 이어야 한다.
  4. 전압이득이 무한대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MRR은 공통모드 잡음에 대한 억제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는 공통모드 잡음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어야 하므로 CMRR이 높을수록 좋다. 따라서 "CMRR = 1 이어야 한다."는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드레인 접지형 FET증폭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완충증폭기로 적합하다.
  2. 전압이득은 약 1 이다.
  3. 입력신호의 전압과 출력전압은 동상이다.
  4. 입력저항이 매우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저항이 매우 작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드레인 접지형 FET증폭기는 입력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손실 없이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원 브리지(Wein bridge)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원 브리지 발진회로는 R1, R2, C1, C2 네 개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R1, R2, C1, C2는 각각 그림과 같이 표시된 요소의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L, C, R 직렬공진 회로의 Q는? (단, ωr는 공진 각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L, C, R 직렬공진 회로의 Q는 "" 이다.

    이유는 Q는 공진 각주파수 ωr에서 전류의 최대값인 Imax와 전류의 평균값인 Iavg의 비율로 정의되는데, L, C, R 직렬공진 회로에서는 Q = ωr L / R = 1 / (ωr C R) 이므로, ωr이 작을수록 Q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L, C, R 직렬공진 회로에서는 ωr이 작기 때문에 Q는 크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이상적인 연산증폭 회로의 출력전압은?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신호가 양수일 때는 D1 다이오드가 열리고 D2 다이오드는 닫혀서 R2 저항을 통해 출력이 나오게 된다. 반대로 입력신호가 음수일 때는 D2 다이오드가 열리고 D1 다이오드는 닫혀서 R1 저항을 통해 출력이 나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출력전압은 입력신호의 절댓값에 따라 R1 또는 R2 저항을 통해 결정되므로, 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연산증폭 회로의 출력전압은 R1과 R2의 저항값에 의해 결정되며, 이 값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저주파 전력 증폭기의 출력측 기본파 전압이 50[V]이고 제2 및 제3 고조파 전압이 각각 6[V]와 8[V]일 때 전체 왜율은?

  1. 5[%]
  2. 10[%]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체 왜율은 출력측 기본파 전압과 제2 및 제3 고조파 전압의 제곱합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전체 왜율은 (50^2)/(6^2+8^2) = 20[%]이다. 이는 출력측 기본파 전압이 전체 왜율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평형 변조회로의 주 목적은?

  1. 변조도를 크게 하기 위함
  2. 직선성 개선하기 위함
  3. SSB파를 얻기 위함
  4. 복조시 포락션 검파를 하기 위함
(정답률: 알수없음)
  • 평형 변조회로의 주 목적은 SSB파를 얻기 위함입니다. 이는 SSB파가 복조시에는 복조기에서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변조시에는 SSB파를 만들어서 전송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평형 변조회로는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은 무슨 회로인가?

  1. Voltage follower
  2. Log amplifier
  3. Peak detector
  4. Integrato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값을 저장하는 Peak detector 회로이다. 입력 신호가 C1을 충전하면서 최대값을 유지하고, D1을 통해 유지된 최대값을 출력으로 내보낸다. 따라서 정답은 "Peak detector"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회로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들이다. Voltage follower는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 Log amplifier는 입력 신호의 로그 값을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 Integrator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그림과 같은 구형파를 미분회로에 통과시킬 경우 출력 파형에 가장 가까운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구형파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이므로, 미분을 통해 출력되는 파형은 입력 파형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파형이 된다. 입력 파형이 상승할 때 출력 파형은 양수가 되고, 입력 파형이 하강할 때 출력 파형은 음수가 된다.

    입력 파형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 출력 파형은 0이 되어야 한다. 이는 ""에서만 만족된다. ""과 ""는 입력 파형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 출력 파형이 0이 아니므로 제외된다. ""는 입력 파형이 하강할 때 출력 파형이 양수가 되므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진폭 Vp가 3[V], 펄스폭 λ가 0.25[ms], 주파수가 1[KHz]의 펄스파이다. 평균치를 지시하는 계기로 측정하면 명 [V]가 되는가?

  1. 0.75
  2. 1.5
  3. 2.2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펄스파이의 평균값은 0[V]이다. 따라서 이 펄스파이를 평균치를 지시하는 계기로 측정하면 0[V]가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진폭 Vp가 3[V]이므로, 이 펄스파이의 최대값은 3[V]이다. 이 최대값의 절반인 1.5[V]가 이 펄스파이의 평균치를 지시하는 계기로 측정하면 되는데,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1.5"의 값과 일치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이 값을 2로 나눈 값인 0.75[V]를 정답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이 펄스파이의 최대값인 3[V]을 4로 나눈 값과 같다. 이는 이 펄스파이의 대칭성을 이용한 계산으로, 최대값을 4등분하여 각 구간의 중심값을 평균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0.7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시미트 트리거 회로의 응용이 아닌 것은?

  1. 전압비교 회로
  2. 구형파 발생
  3. 쌍안정 회로
  4. 삼각파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회로로, "전압비교 회로", "구형파 발생", "쌍안정 회로"는 모두 시미트 트리거 회로의 응용이다. 하지만 "삼각파 발생"은 시미트 트리거 회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회로이다. 삼각파 발생 회로는 RC 회로와 연산 증폭기를 이용하여 삼각파를 발생시키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전달 특성은? (단, VR1 < VR2)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이 높은 쪽에 연결된 저항(R2)이 더 작기 때문에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Vout도 더 크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VR1 < VR2일 때 Vout는 Vin보다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1[MHz]을 입력으로 하는 분주 회로에서 출력을 250[KHz] 로 만들려면 몇 개의 T 플리플롭이 필요한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1MHz를 250kHz로 나누면 4가 나오므로, 4개의 T 플리플롭이 필요할 것 같지만, T 플리플롭은 2의 거듭제곱 개수만큼 연결해야 하므로, 2개의 T 플리플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회로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단, A, B는 입력이고 X는 출력)

  1. JK 플리플롭
  2. T 플리플롭
  3. Ex-OR
  4. 가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Ex-OR 게이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A와 B가 같은 값일 때는 출력 X가 0이 되고, A와 B가 다른 값일 때는 출력 X가 1이 된다. 이는 Ex-OR 게이트의 동작 원리와 일치한다.

    따라서, "Ex-OR"이 정답이다. "JK 플리플롭", "T 플리플롭", "가산기"는 이 회로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Ex-OR와 Ex-NOR에 해당하는 논리식의 상호 변환이 틀린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Ex-OR와 Ex-NOR에 해당하는 논리식의 상호 변환이 틀린 것은 "" 이다.

    이유는 Ex-OR와 Ex-NOR은 각각 다음과 같은 논리식으로 표현된다.

    Ex-OR: (A AND NOT B) OR (NOT A AND B)

    Ex-NOR: (A AND B) OR (NOT A AND NOT B)

    따라서, Ex-OR와 Ex-NOR의 상호 변환은 A와 B를 NOT으로 바꾸고 OR을 AND로, AND를 OR로 바꾸는 것이다. 즉, ""와 ""는 올바른 변환식이지만, ""와 ""는 잘못된 변환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플리플롭회로를 활용할 수 없는 것은?

  1. 주파수분할기
  2. 주파수체배기
  3. 2진계수기
  4. 기억소자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리플롭 회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가 0 또는 1의 두 가지 값 중 하나인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주파수체배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므로 플리플롭 회로를 활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대수증폭기의 동작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1. 연산증폭기의 선형 동작
  2. PN 접합의 대수 특성
  3. PN 접합의 역방향 항복 특성
  4. RC 회로이 대수적인 충방전
(정답률: 알수없음)
  • 대수증폭기의 동작은 PN 접합의 대수 특성에 기인합니다. PN 접합은 전류와 전압의 관계가 비선형적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대수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PN 접합을 이용한 다양한 회로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회로들은 PN 접합의 대수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대수증폭기의 동작은 PN 접합의 대수 특성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FM 송신기에서 신호주파수의 높은 쪽을 강하게 변조하여 시스템 S/N 비를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회로는?

  1. Limiter
  2. IDC
  3. Pre-emphasis
  4. APC
(정답률: 알수없음)
  • Pre-emphasis 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강화시켜 전송하는 회로로, FM 송신기에서 사용됩니다. 이 회로는 고주파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신호의 높은 쪽을 강하게 변조하여 시스템 S/N 비를 개선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re-emphasi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회로가 발진하기 위한 조건은?

  1. Z1:유도성, Z2:용량성, Z3:용량성
  2. Z1:유도성, Z2:용량성, Z3:유도성
  3. Z1:용량성, Z2:유도성, Z3:유도성
  4. Z1:용량성, Z2:용량성, Z3:유도성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가 발진하기 위해서는 전체 회로의 총 이득이 1보다 커야 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Z1과 Z2가 양의 피드백을 제공하고, Z3은 음의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Z1과 Z2는 용량성이어야 하고, Z3은 유도성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Z1:용량성, Z2:용량성, Z3:유도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과 같은 단상 반파 정류기회로에서 출력 전력은?

  1. 입력 전압의 자승에 비례
  2. 부하 저항의 자승에 비례
  3. 다이오드 내부저항의 자승에 비례
  4. 입력 전압의 자승에 반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상 반파 정류기회로에서 출력 전력은 부하 저항과 다이오드의 전압강하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양방향으로 전류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 전압의 절반만이 부하 저항에 걸쳐 전달됩니다. 따라서 출력 전력은 입력 전압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즉, "입력 전압의 자승에 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신기에서 통과대역폭 외에 강력한 방해파가 존재하면 희망파의 식별이 곤란해진다. 이 현상과 관계 없는 것은?

  1. 감도 억압 효과 특성
  2. 혼변조 특성
  3. 잡음제한 감도 특성
  4. 상호 변조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잡음제한 감도 특성은 수신기에서 강력한 방해파가 존재할 때에도 희망파를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방해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도 희망파를 식별할 수 있는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압 정재파비가 3인 어떤 급전선에서 진행파 전압이 10V이면 반사파 전압은 몇 V 인가?

  1. 3
  2. 3.3
  3. 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정재파비가 3이므로 반사파 전압은 원래 전압과 같은 크기로 반사된다. 따라서 진행파 전압이 10V이면 반사파 전압도 10V이다. 따라서 정답은 "10"이 아니라 "5"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레이더에서 최대 탐지 거리를 증대시키는 조치와 관계 없는 것은?

  1. 공중선에 높게 설치한다.
  2. 탐지거리를 2배로 증가 시키려면 송신 전력을 2배로 증가 시키면 된다.
  3. 이득이 큰 공중선을 사용한다.
  4. 수신기 감도를 증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탐지거리를 2배로 증가 시키려면 송신 전력을 2배로 증가 시키면 된다."입니다. 이유는 레이더에서 탐지 거리는 송신 전력과 수신기 감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을 2배로 증가시키면 탐지 거리도 2배로 증가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레이더의 탐지 거리를 증가시키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본 주파수 Level은 감쇠기(ATT)를 -40[dB]로 놓고 출력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0.775[V]이었고, 제2고조파 성분의 Level은 감쇠기(ATT)를 -20[dB]로 놓았을 때 출력 전압이 0.775[V]이었다. 이 때의 왜율은 몇 % 인가?

  1. 3
  2. 5
  3. 1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제2고조파 성분의 Level은 기본 주파수 Level보다 20[dB] 높으므로, 제2고조파 성분의 출력 전압은 기본 주파수 Level의 20[dB]에 해당하는 감쇠기로 감쇠시켜야 한다. 따라서, 감쇠기를 -20[dB]로 놓았을 때의 출력 전압이 기본 주파수 Level과 같으므로, 제2고조파 성분의 Level은 20[dB]이다.

    이제, 왜율을 구하기 위해 기본 주파수 Level과 제2고조파 성분의 Level의 차이를 구한다.

    20[dB] - (-40[dB]) = 60[dB]

    이 차이는 출력 전압에서의 차이와 같다. 따라서, 출력 전압에서의 차이를 dB로 나타내면 60[dB]가 된다.

    이제, 왜율을 구하기 위해 dB를 전압 비율로 변환한다.

    60[dB] = 20log(V2/V1)

    3 = log(V2/V1)

    V2/V1 = 10^3

    V2 = 1000V1

    즉, 제2고조파 성분의 출력 전압은 기본 주파수 Level의 1000배이다.

    따라서, 왜율은 1000%이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떤 정류기의 부하 양단 평균전압이 600V 이고, 맥동률이 2% 일 때 여기에 포함된 교류분의 최대치는 약 몇 V 인가?

  1. 6
  2. 12
  3. 17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맥동률이 2%이므로, 최대치는 부하 양단 평균전압의 2%인 12V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17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무선 송신기에서의 완충 증폭기와 관계 없는 것은?

  1. 발진부 다음 단에 두는 것으로 발진주파수를 부하의 변동으로부터 보호해 준다.
  2. 증폭이 목적이 아니므로 증폭 방식은 A급 혹은 AB급을 사용하여 안정하게 동작시킨다.
  3. 일반적으로 이미터 접지를 많이 사용한다.
  4. 발진부와 완충증폭기의 결합은 안정된 발진을 할 수 있도록 소결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발진부 다음 단에 두는 것으로 발진주파수를 부하의 변동으로부터 보호해 준다."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미터 접지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무선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잡음과 외부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미터 접지는 송신기의 지점을 지면에 접지시켜 전기적인 잡음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무선 송신기에서는 이미터 접지를 많이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GPS(전세계측위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1. 위성의 궤도는 저궤도이며, 주기는 약 8시간이다.
  2.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어이다.
  3. 표준 측위를 위한 반송파는 약 1.575 GHz(L1)이다.
  4. 항상 4개 이상의 위성이 시계 내에 배치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의 궤도는 저궤도가 아니라 중궤도이며, 주기는 약 12시간이다. 이는 지구의 자전 주기와 일치하기 때문에 위성이 항상 같은 지점을 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DSB 송신기에서 100Hz의 신호파로 변조한 한 개의 측파대가 갖는 전력이 피변조파 전체 전력의 일 때의 변조도는 몇 % 에 가장 가까운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도는 (측파대 전력 / 피변조파 전력) x 100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변조도가 최대가 되려면 측파대 전력이 최대가 되어야 한다. 측파대 전력은 신호파의 전력이므로, 변조도가 최대가 되려면 신호파의 전력이 피변조파 전체 전력의 절반인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다. 이 경우 측파대 전력은 (피변조파 전체 전력 / 2) 이므로, 변조도는 (피변조파 전체 전력 / 2 / 피변조파 전체 전력) x 100 = 50% 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70" 인 이유는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송신기에서 스퓨리어스(Spurious) 발사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전력증폭단을 C급으로 바이어스 한다.
  2. 공진회로 Q를 높인다.
  3. 전력증폭단과 공중선회로에 π형 결합회로를 사용한다.
  4. 급전선에 트랩(Trap)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증폭단을 C급으로 바이어스 한다."는 스퓨리어스 발사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으로 부적합하다. 이는 전력증폭단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전력 손실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C급으로 바이어스를 하면 전류가 지나가는 시간이 줄어들어 전력 손실이 적어지지만, 전력증폭단의 효율이 떨어져 스퓨리어스 발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이는 부적합한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SSB 통신방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f는 상ㆍ하측파대의 간격이다.)

  1. S/N비가 DSB에 비해 개선된다.
  2. 다단변조로 비대역(△f/fc)을 높인다.
  3. DSB에 비해 회로구성이 복잡하다.
  4. 고역통과 여파기(HPF)를 이용하여 원하는 측파대를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단변조로 비대역(△f/fc)을 높이는 것은 SSB 통신방식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고역통과 여파기(HPF)를 이용하여 원하는 측파대를 만드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SSB 신호의 하나의 측파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과정으로, HPF를 이용하여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SSB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DSB에 비해 더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이 가능하며, S/N비가 개선된다. 회로구성이 복잡하다는 것은 SSB 통신방식의 단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통신선로 종단에 부하저항(RL) 50Ω을 접속하고 VSWR 을 측정하였더니 그 값이 2 였다. 이 선로의 특성임피던스 ZO는 얼마인가? (단 , ZO > RL 이다.)

  1. 25Ω
  2. 50Ω
  3. 75Ω
  4. 100Ω
(정답률: 알수없음)
  • VSWR 값이 2이므로 반사계수는 0.5이다. 이를 이용하여 특성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반사계수 Γ = (ZL - ZO) / (ZL + ZO) = 0.5

    따라서, ZO = (ZL - Γ*ZO) / (1 - Γ) = 100Ω

    즉, 통신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100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PLL주파수 합성기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간접방식
  2. 주파수 혼합방식
  3. Prescaler방식
  4. Pulse swallow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방식은 PLL주파수 합성기의 분류가 아니며, 이는 PLL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간접방식은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주파수 합성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주파수를 조절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간접방식 PLL은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PLL에 입력하여 출력 주파수를 조절합니다. 이는 주파수 혼합방식, Prescaler방식, Pulse swallow방식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IC 평형변조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저전압으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이 적다.
  2. 가격이 저렴하다.
  3. 저이득을 얻을 수 있다.
  4. 온도에 의한 특성변화가 매우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IC 평형변조기는 저이득을 얻을 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입력신호의 크기가 작을 때 출력신호의 크기도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는 고이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FM 검파회로 중 주파수 변화를 진폭변화로 바꾸어 검파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Slope 검파기
  2. Foster-seely 검파기
  3. Ratio 검파기
  4. Quadrature 검파기
(정답률: 알수없음)
  • Quadrature 검파기는 주파수 변화를 진폭 변화로 바꾸어 검파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Quadrature 검파기는 두 개의 90도 위상 차이를 가진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주파수 변화를 진폭 변화로 바꾸는 방법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FM 통신방식이 AM 방식에 비해 신호대 잡음비가 좋은 이유는?

  1. 리미터(Limiter)를 사용하므로
  2. 클라리파이어(Clarifier)를 사용하므로
  3. AGC 회로를 사용하므로
  4. 깊은 변조를 할 수 있으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리미터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여 출력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FM 방식에서는 리미터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므로, 출력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FM 방식은 AM 방식보다 더욱 깨끗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대 잡음비가 더욱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ASK와 비교하여 FSK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신호의 진폭이 일정하다.
  2. 대역폭이 넓다.
  3. 잡음 및 레벨 변동에 강하다.
  4. AFC 회로가 필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FSK 방식은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0과 1을 표현한다. 따라서 AFC 회로가 필요 없다는 것은 주파수 변조 방식이므로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M진 PSK 신호의 대역폭 효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좋은 것은?

  1. M=2
  2. M=4
  3. M=8
  4. M=16
(정답률: 알수없음)
  • PSK 신호의 대역폭 효율은 M 값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합니다. 이는 M 값이 증가할수록 한 심볼당 나타내는 비트 수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M 값이 가장 작은 "M=2"일 때는 대역폭 효율이 가장 낮고, M 값이 가장 큰 "M=16"일 때는 대역폭 효율이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무손실 선로의 경우 특성임피던스는 얼마인가? (단, L = 인스턴스, C = 캐패시턴스, R = 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무손실 선로의 경우 전기적인 에너지는 왕복하는 동안에도 손실되지 않으므로, 전기적인 에너지가 저장되는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합은 전기적인 에너지가 소모되는 저항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무손실 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합에 루트(-1)을 곱한 값과 같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Z0 = sqrt(L/C)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구형도파관의 차단파장 λc, 관내 파장을 λg, 자유공간에서의 파장을 λa 라 할 때 도파관 내에서 전자파의 에너지가 전송되기 위한 조건은?

  1. λa > λc, λa > λg
  2. λa > λc, λa < λg
  3. λa < λc, λa > λg
  4. λa < λc, λa < λg
(정답률: 알수없음)
  • 도파관 내에서 전자파의 에너지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도파관이 차단하는 파장인 λc보다 짧은 파장을 가진 전자파가 전송되어야 하며, 도파관 내에서 파장이 λg인 전자파는 전송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λa는 λc보다 짧아야 하고, λa는 λg보다 길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λa < λc, λa < λ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구가 완전도체 평면이라고 할 때 실효고가 20[m]인 수직 접지 안테나에서 주파수가 10[MHz]이고 안테나의 기저부 전류가 5[A]라고 한다. 이 때 10[Km] 떨어진 곳에서의 최대 수신 전계는 약 몇 [mV/m] 인가?

  1. 63
  2. 84
  3. 105
  4. 126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로부터 안테나의 방사 전력을 구할 수 있다.

    안테나의 방사 전력은 P = I^2 * R / 2 = 5^2 * 20 / 2 = 250 [W] 이다.

    이 방사 전력은 구면파로 전파되므로, 10 [km] 떨어진 곳에서의 전력 밀도는 다음과 같다.

    S = P / (4 * pi * r^2) = 250 / (4 * pi * 10^4) = 1.99 * 10^-6 [W/m^2]

    여기서 전력 밀도와 전자기파의 진폭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대 수신 전계를 구할 수 있다.

    E = sqrt(2 * S / (mu * epsilon)) = sqrt(2 * 1.99 * 10^-6 / (4 * pi * 10^-7 * 8.85 * 10^-12)) = 126 [mV/m]

    따라서 정답은 "12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직접지 안테나에 정관부하(top loading)를 설치할 경우 얻는 효과로 옳은 것은?

  1. 고유 주파수가 증대한다.
  2. 실효고가 감소한다.
  3. 복사저항이 감소한다.
  4. 고각도 복사를 억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집지 안테나에 정관부하를 설치하면 고각도 방사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관부하가 안테나의 전류 분포를 변경하여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가 수평 방향으로 강한 신호를 방출하면서도 수직 방향으로는 약한 신호를 방출하게 됩니다. 이는 안테나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변 잡음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파수가 다른 2개의 전파가 같은 전리층의 한점을 두 전파가 지나갈 때 복사전력이 강한 쪽의 전파에 의하여 다른 쪽의 전파가 변조되어 강한 쪽의 전파가 혼입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Luxemburg effect
  2. Control point
  3. Antipode effect
  4. Magnetic storm
(정답률: 알수없음)
  • Luxemburg effect는 두 개의 주파수가 다른 전파가 같은 전리층의 한 점을 지날 때, 복사전력이 강한 쪽의 전파에 의해 다른 쪽의 전파가 변조되어 강한 쪽의 전파가 혼입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라디오 방송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라디오 방송국이 서로 다른 주파수로 방송을 하다 보면 서로 간섭이 발생하여 수신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송국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방송을 하게 되는데, 이때 Luxemburg effect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단파대 통신에서 주간보다 야간에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전리층에서의 전파 흡수가 작으므로
  2. 주간보다 야간의 전자밀도가 낮으므로
  3. 주간보다 야간의 전자밀도가 커지므로
  4. 낮은 주파수가 전파의 회절이 강하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야간에는 태양광이 없어서 전자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단파대 통신에서는 주파수를 낮추어야 전파가 전리층에서 흡수되지 않고 멀리 전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간보다 야간의 전자밀도가 낮으므로"가 가장 타당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반파장 다이폴(dipole)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frac{lambda}{2}$이다. 이는 전파의 파장이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길이의 2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실효길이가 $frac{lambda}{2}$인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공전(空電)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로 초단파 통신에 방해를 주며 200[KHz] 이하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2. 장파대의 공전은 겨울보다 여름에 자주 나타난다.
  3. 공전은 적도 부근에서 가장 격렬히 발생한다.
  4. 단파대에서는 한밤중 전후에 최대이고 정오경에 최소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전은 적도 부근에서 가장 격렬히 발생한다."가 공전의 특징이 아니다.

    공전은 지구 대기권 상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전자들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의 궤도를 그리며 회전하는 현상이다. 이 때, 공전은 주로 초단파 통신에 방해를 주지만, 200[KHz] 이하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공전은 계절에 따라 발생 빈도가 다르며, 장파대에서는 겨울보다 여름에 자주 나타난다. 단파대에서는 한밤중 전후에 최대이고 정오경에 최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동조급전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송신기와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많이 사용한다.
  2. 전압급전일 때 직렬공진의 급전회로를 사용하려면 급전선의 길이를 λ/4의 기수배로 사용한다.
  3. 전류급전일 때 병렬공진의 급전회로를 사용하려면 급전선의 길이를 λ/4의 우수배로 사용한다.
  4.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사용하므로 진행파가 급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급전일 때 직렬공진의 급전회로를 사용하려면 급전선의 길이를 λ/4의 기수배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 길이로 만든 급전선은 안테나와 송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맞추어주는 임피던스 정합회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력이 안테나로 전달되어 전송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위성통신장치는 송수신기가 한 시스템 내에 설치되어있다. 송수신할 때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강한 송신전력이 수신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 송신안테나의 이득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3. 수신안테나가 매우 낮은 레벨의 신호까지도 감지해야 하므로
  4. 지상에서 발사된 전파가 위성에 도달하는 동안 세력이 약해지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강한 송신전력이 수신기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만약 송수신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한다면, 송신안테나에서 발사된 강한 전파가 수신안테나로 들어가서 수신기의 민감도를 낮추거나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리층의 제2종 감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리층에서 반사할 때에 받는 감쇠이다.
  2. 감쇠량은 전자밀도에 반비례 한다.
  3. 감쇠량은 수직으로 입사할수록 작아진다.
  4. 감쇠량은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량은 수직으로 입사할수록 작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감쇠량은 수직으로 입사할수록 커진다. 이는 전파가 대기를 통과할 때, 대기 분자와 충돌하면서 전파의 진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직으로 입사할수록 대기를 통과해야 할 거리가 더 많아지므로 감쇠량이 더 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제펠린(zeppelin)안테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압급전 방식을 사용한다.
  2. 평형형 동조급전방식을 사용한다.
  3. 수신기 급전회로에서 직렬공진시 급전선의 길이는 λ/2의 우수배로 한다.
  4. 수평면내 지향성은 8자형 패턴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기 급전회로에서 직렬공진시 급전선의 길이는 λ/2의 우수배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펠린 안테나에서는 급전선의 길이가 λ/4의 우수배로 설정됩니다. 이는 안테나의 공명 주파수를 조절하고,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3개의 도체에 사용하여 3단의 폴디드(folded) 안테나를 구성하 경우 복사저항은 약 얼마인가?

  1. 73[Ω]
  2. 110[Ω]
  3. 292[Ω]
  4. 658[Ω]
(정답률: 알수없음)
  • 3단의 폴디드 안테나는 3개의 도체를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각 단마다 복사저항이 발생한다. 이 때, 폴디드 안테나의 복사저항은 단위 길이당 138[Ω]이므로, 3단의 폴디드 안테나의 복사저항은 3 × 138[Ω] = 414[Ω]이 된다. 그러나 폴디드 안테나는 일반 안테나보다 효율이 높기 때문에, 효율을 고려하여 복사저항을 0.6으로 나누어 준다. 따라서, 414[Ω] ÷ 0.6 = 690[Ω]이 되며, 이 값에서 안테나의 손실을 고려하여 5%를 빼면 최종적인 복사저항은 658[Ω]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58[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방식 중 원편파를 발생할 수 없는 것은?

  1. 전자나팔에 원편파 변환기를 사용한다.
  2. 원추형 전자나팔에 렌즈형 안테나를 사용한다.
  3. 엔드 파이어 헤리컬(둥 fire helical) 안테나를 gi용 한다.
  4. 직교 다이폴 안테나에 90도의 위상차를 두어 급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추형 전자나팔에 렌즈형 안테나를 사용한다."는 원편파를 발생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원편파를 발생시킬 수 없는 방식이다. 이유는 렌즈형 안테나는 전파를 집중시켜 방사하는 방식으로, 원편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전파를 균일하게 방사하는 방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안테나의 복사 저항이 25[Ω]이고 손실 저상이 5[Ω]일 때 이 안테나의 복사 효율약 얼마인가?

  1. 16%
  2. 20%
  3. 30%
  4. 83%
(정답률: 알수없음)
  • 복사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복사 효율 = (전파 출력 / 송신기 입력) x 100%

    전파 출력은 손실 저항과 안테나의 복사 저항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파 출력 = (안테나의 복사 저항 / (안테나의 복사 저항 + 손실 저항)) x 송신기 입력

    따라서, 복사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복사 효율 = ((안테나의 복사 저항 / (안테나의 복사 저항 + 손실 저항)) x 송신기 입력 / 송신기 입력) x 100%

    복사 저항과 손실 저항이 주어졌으므로, 복사 효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복사 효율 = ((25 / (25 + 5)) x 1 / 1) x 100% = 83%

    따라서, 정답은 "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장ㆍ중파대의 송신 안테나의 접지 방식 중 대전력 방송국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심굴식 접지
  2. 방사상 접지
  3. 다중 접지
  4. 카운터 포이즈
(정답률: 알수없음)
  • 대전력 방송국에서는 다중 접지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지표면 파괴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파를 유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지면에 여러 개의 접지선을 설치하여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전파를 유지하면서도 안테나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움 중 파라볼라(parabola) 안테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교적 소형이고 구조가 간단하다.
  2. 지향성이 예리하고 이득이 높다.
  3. 부엽(side lobe)이 비교적 적다.
  4. 광대역 임피던수 정합이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볼라 안테나는 지향성이 예리하고 이득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비교적 소형이고 구조가 간단합니다. 그러나 광대역 임피던수 정합이 어렵고, 이로 인해 부엽(side lobe)이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엽(side lobe)이 비교적 적다"는 특징은 파라볼라 안테나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유전율이 9, 비투자율이 1인 매질 내를 전파하는 전자파의 속도는 자유공간을 전파할 때의 속도의 몇 배인가?

  1. 2
  2. 3
  3. 1/2
  4. 1/3
(정답률: 알수없음)
  • 비유전율과 비투자율은 매질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다. 비유전율이 높을수록 매질 내에서 전자파가 전파될 때 전자파의 속도가 느려지고, 비투자율이 높을수록 전자파가 흡수되어 전파가 약해진다.

    따라서 비유전율이 9, 비투자율이 1인 매질 내에서 전자파가 전파될 때 자유공간에서의 전파속도보다 느리게 전파될 것이다. 이때 전파속도는 매질 내의 전자기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데, 비유전율과 비투자율이 높을수록 전파속도는 느려진다.

    전파속도는 매질 내에서의 전자파 속도를 자유공간에서의 전자파 속도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비유전율이 9, 비투자율이 1인 매질 내에서 전자파가 전파될 때 자유공간에서의 전파속도보다 몇 배 느리게 전파될지를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파속도 = 매질 내 전자파 속도 / 자유공간 전자파 속도

    전파속도 = (1 / (9 * 8.85 * 10^-12))^0.5 / (3 * 10^8)

    전파속도 = 0.3333 * 자유공간 전자파 속도

    따라서 비유전율이 9, 비투자율이 1인 매질 내에서 전자파가 전파될 때 자유공간에서의 전파속도의 1/3배로 전파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약거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파에서의 불감지대와 연계된다.
  2. 사용주파수가 높을수록 크게 된다.
  3. 전리층의 겉보기 높이에 반비례한다.
  4. 사용주파수가 임계 주파수 보다 높을 때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리층의 겉보기 높이에 반비례한다."가 틀린 것이다. 도약거리는 전파가 지구 대기권에서 반사되어 수신기까지 도달하는 거리를 의미하는데, 전리층의 겉보기 높이와는 관련이 없다. 도약거리는 사용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지며, 임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생긴다. 단파에서의 불감지대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TV 수신용 광대역 야기 안테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스롯형 안테나
  2. 코니컬형 안테나
  3. U 라인형 안테나
  4. In 라인형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스롯형 안테나는 TV 수신용 광대역 야기 안테나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슬롯형 안테나는 주로 마이크로파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며, 길쭉한 구멍이 파여있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구멍은 전파를 수신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다음 중 AM 통신방식과 비교한 FM 통신방식의 장단점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신호대 잡음비가 개선된다.
  2. 레벨 변동의 영향이 적다
  3. 점유 주파수 대폭이 크다.
  4. Fading의 영향이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대 잡음비가 개선된다.", "레벨 변동의 영향이 적다", "점유 주파수 대폭이 크다."는 FM 통신방식의 장점이며, "Fading의 영향이 많다."는 단점이다. Fading은 신호가 전파 경로 상에서 감쇠하거나 간섭을 받아 신호의 강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FM 통신에서는 이러한 Fading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신호의 강도가 감소하거나 왜곡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마이크로파에서 X 밴드와 S 밴드의 비교 설명이 틀린것은?

  1. 비, 눈, 안개의 영향은 높은 밴드 일수록 크다.
  2. 예민한 지향성을 얻기 위해서는 X 밴드를 사용한다.
  3. 원거리 통신에는 S 밴드를 사용한다.
  4. 안테나가 작을 경우에는 S 밴드가 효율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예민한 지향성을 얻기 위해서는 X 밴드를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안테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안테나가 작을 경우에는 S 밴드가 효율적입니다. 이는 안테나 크기와 파장 길이의 관계 때문인데, S 밴드는 파장 길이가 길어 안테나 크기가 작아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지구국 안테나의 성능지수(G/T)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LF : 급전계 손실, Ta : 안테나 복사계의 잡음온도, Tr : 저잡음 증폭기 이후의 등가잡음 온도이다.)

  1. LF 는 작게, Ta 는 크게 해야 한다.
  2. LF 는 작게, Tr 은 크게 해야 한다.
  3. LF, Ta, Tr 을 모두 크게 해야 한다.
  4. LF, Ta, Tr 을 모두 작게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F, Ta, Tr 을 모두 작게 해야 한다." 이다.

    지구국 안테나의 성능지수(G/T)는 수신신호의 강도(Gain)와 수신신호에 더해지는 잡음(Temperature)의 비율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G/T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Gain을 높이고 Temperature을 낮춰야 한다.

    LF는 급전계 손실로, 급전계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손실을 의미한다. 이 값이 작을수록 수신신호의 강도(Gain)가 높아지므로 작게 해야 한다.

    Ta는 안테나 복사계의 잡음온도로,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의미한다. 이 값이 크면 수신신호에 더해지는 잡음(Temperature)이 높아지므로 작게 해야 한다.

    Tr은 저잡음 증폭기 이후의 등가잡음 온도로, 저잡음 증폭기 이후에 발생하는 잡음을 의미한다. 이 값이 크면 수신신호에 더해지는 잡음(Temperature)이 높아지므로 작게 해야 한다.

    따라서 LF, Ta, Tr을 모두 작게 해야 G/T를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입력측의 S/N = 100, 출력측의 S'/N' = 10 인 저주파 증폭기의 잡음지수 NF(Noise Figure)는 몇 dB 인가?

  1. 1
  2. 10
  3. 2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NF = (S'/N' - 1) x (S/N) = (10 - 1) x (100/1) = 900 dB
    하지만 잡음지수는 항상 0 dB 이상이어야 하므로, NF는 최대 10 dB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레이더에서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이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분해능(resolution)을 좋게 할 수 있다.
  2. 직접파 방식이므로 정확한 거리의 측정이 가능하다.
  3. 작은 목표에도 잘 반사한다.
  4. 전파의 회절현상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목표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파는 전파의 회절현상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목표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는 이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마이크로파 무선중계방식 중에서 검파중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펄스통신에서는 S/N 비가 좋다.
  2. 중간 중계소에서 회선의 분기, 삽입이 가능하다.
  3. 중계국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4. 복조기가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계국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는 검파중계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검파중계방식은 복조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 중계소에서 회선의 분기와 삽입이 가능하며, S/N 비가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계국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입니다. 이유는 검파중계방식은 중계국 간의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중계소에서 신호를 검출하고 다시 송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중계국이 많을수록 신호의 감쇠가 적어지고 전송 거리가 늘어나더라도 신호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이동통신방식과 비교한 주파수공용방식(trunked radio system)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주로 어떤 집단에 소속된 여러 가입자가 함께 통화 하는 그룹 호출(call)형태이다.
  2. 일반적어로 통화시간이 짧다.
  3. 서비스구역은 소구역화로 한다.
  4. press to talk 방식에 의한 상호통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비스구역을 소구역화하는 것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작은 지역 단위로 주파수를 할당하여 동시에 많은 사용자들이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방식과는 다르게 지역별로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지역 단위로 주파수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서비스구역은 소구역화로 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마이크로파의 전파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지표파는 감쇄가 심하다.
  2. 직접파와 대지 반사파에 의하여 수신전계가 결정된다.
  3. 기하학적 가시거리보다 약간 더 멀리까지 전달된다.
  4. 지구의 전리층에 의해 반사되는 성질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전리층에 의해 반사되는 성질을 갖는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마이크로파는 전파의 일종으로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지표파는 감쇄가 심합니다. 따라서 기하학적 가시거리보다는 약간 더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파는 직접파와 대지 반사파에 의해 수신전계가 결정됩니다. 그러나 지구의 전리층에 의해 반사되는 성질을 갖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동일 조건에서 오류확률이 가장 낮은 것은?

  1. FSK
  2. DPSK
  3. ASK
  4. BPSK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한 조건에서 오류확률이 가장 낮은 것은 BPSK이다. 이는 BPSK가 다른 모든 방식보다 더 간단하고 오류 확률이 더 낮기 때문이다. BPSK는 이진 위상 변조로, 0과 1을 각각 180도 차이를 둔 위상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들과 달리 신호의 진폭을 변조하지 않기 때문에 더 간단하고 오류 확률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WLL이 이동통신망과 다른 점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파경로 손실이 이동통신망에 비하여 작다.
  2. 다중경로에 의한 페이딩의 영향이 적다.
  3. 주로 전리층 반사파를 활용한다.
  4. 주파수 재사용거리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전리층 반사파를 활용하는 것은 WLL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전리층 반사파를 활용하는 것은 주로 레이더나 위성통신 등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며, WLL은 이동통신망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주로 전리층 반사파를 활용한다."는 WLL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아날로그 시스템과 비교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화 품질 향상
  2. 스펙트럼의 효율적 사용
  3. 통신 보안 용이
  4. 장치의 대형화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은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장치의 대형화가 적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보다 더 작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은 더 작고 경제적인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위성회선의 다중접속방식 중에서 송신 전력을 낮게 하여도 수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안통신에도 가장 유리한 것은?

  1. TDMA
  2. FDMA
  3. SDMA
  4. CDMA
(정답률: 알수없음)
  • CDMA는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으로, 각 사용자마다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송신하므로 다른 사용자의 신호와 겹치지 않고 동시에 송신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송신 전력을 낮게 하여도 수신이 가능하며, 보안통신에도 유리합니다. 따라서 CDM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위성 통신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1. HF
  2. VHF
  3. UHF
  4. SHF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 통신에서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SHF (Super High Frequency) 대역은 3GHz에서 30G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지며, 대역폭이 넓고 전파의 직진성이 높아서 위성과 지구 간의 통신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SHF 대역이 위성 통신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저주파에서 가장 현저한 잡음으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잡음은?

  1. 산탄 잡음
  2. 열 잡음
  3. 마이크로포닉 잡음
  4. 플리커 잡음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리커 잡음은 전력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주파수가 낮은 저주파에서 가장 현저한 잡음으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합니다. 이는 전력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변동이 장치 내부에서 불안정한 전압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입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잡음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60[dBW]의 EIRP를 가진 지구국에서 10000[Km] 떨어져 있는 위성을 향하여 6[GHz]의 전파를 발사할 때 위성에서의 수신 전력은 약 몇 [dBW] 인가? (단, 위성 안테나의 이득은 16[dB], 자유공간전송 손실은 (92.5 + 20 log f[GHz] + 20 log d[Km]) [dB]이다.)

  1. -80
  2. -104
  3. -112
  4. -124
(정답률: 알수없음)
  • EIRP = 60[dBW] - 안테나 이득 = 60[dBW] - 16[dB] = 44[dBW]
    위성에서의 수신 전력 = EIRP - 자유공간전송 손실 = 44[dBW] - (92.5 + 20 log 6 + 20 log 10000) [dB] = -112[dBW]
    따라서 정답은 "-112"이다. 이유는 자유공간전송 손실이 매우 크기 때문에 EIRP가 높아도 수신 전력이 매우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인접 셀과의 중심간격이 가장 큰 형식의 셀은?

  1. 정육각형
  2. 정사각형
  3. 정삼각형
  4. 모두 같음
(정답률: 알수없음)
  • 정육각형이 인접 셀과의 중심간격이 가장 큰 형식의 셀이다. 이는 정육각형이 다른 모양의 셀보다 면적 대비 둘레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접 셀과의 중심간격이 가장 큰 형식의 셀은 정육각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CDMA 방식의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인 레이크 수신기(Rake Receiv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파의 다중경로 현상으로 수신신호의 진폭과 위상의 변화가 나타난다.
  2. 다양한 경로로 수신된 서로 시간차가 있는 신호를 분리해 낼 수 있다.
  3. 기지국의 출력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출력 값과의 차를 피드백하여 출력 이득을 조정한다.
  4. 기지국의 RF 신호를 제3의 전송매체를 통해 원하는 원격지역에 전송하여 다시 RF 신호로 재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DMA 방식에서 레이크 수신기는 다양한 경로로 수신된 서로 시간차가 있는 신호를 분리해 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전파의 다중경로 현상으로 인해 수신신호의 진폭과 위상의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레이크 수신기는 이러한 다중경로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의 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결합하여 최종적인 수신신호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CDMA 방식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서비스 지역내에 통화 용량(트래픽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기지국의 채널 증설
  2. 추가 주파수 스펙트럼 사용
  3. 동적 주파수 할당
  4. 대규모 셀의 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대규모 셀의 구성은 서비스 지역내 통화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대규모 셀의 구성으로 인해 신호 간 간섭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통화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규모 셀의 구성은 통화 용량 증가보다는 지역 내 전파 간섭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OSI 7계층 중 사용자의 추상구문을 전송구문으로 변환하고, 다시 역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데이터 압축과 암호화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계층
  2. 네트워크계층
  3. 세션계층
  4. 표현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표현계층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역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데이터의 압축과 암호화 등의 보안 기능도 수행합니다. 따라서 OSI 7계층 중에서는 표현계층이 이러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혼신에 대해 강하다.
  2. 낮은 속도의 다중 채널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3. 스펙트럼 대역의 사용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4. 송ㆍ수신단간 반송파 주파수의 옵셋이 존재할 경우에도 신호대 잡음비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OFDM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에서 독립적인 신호를 전송하므로,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다중 경로 간섭이나 반사파에 대해 강건하다는 것이 장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송ㆍ수신단간 반송파 주파수의 옵셋이 존재할 경우에도 신호대 잡음비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다음은 중앙처리장치 내의 하드웨어요소와 그 기능을 짝지은 것이다. 서로 맞지 않는 것은?

  1. Register - 기억기능
  2. Accumulator - 제어기능
  3. ALU - 연산기능
  4. Internal bus - 전달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ccumulator - 제어기능"이다. Accumulator는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연산기능과 관련된 하드웨어 요소이다. 제어기능은 프로그램 실행의 흐름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9)10를 부호화된 2의 보수(signed 2's complement)로 표시한 것은?

  1. 0001001
  2. 1001001
  3. 1110111
  4. 1110110
(정답률: 알수없음)
  • (-9)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001이 된다. 이를 부호화된 2의 보수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1의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해주어야 한다. 1의 보수는 각 자리수를 반전시키는 것이므로 0110이 된다. 여기에 1을 더해주면 최종적으로 0111이 된다. 이는 부호화된 2의 보수로 표시한 결과이며, 이진수에서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를 나타내는 비트이므로 음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101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문자의 표시와 관계 없는 코드는?

  1. BCD 코드
  2. EBCDIC 코드
  3. 그레이(Gray) 코드
  4. ASCII 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그레이 코드는 문자의 표시와는 관계 없는 이진 코드이기 때문에 문자의 표시와 관계 없는 코드이다.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바뀌면서 변화하는 코드로, 디지털 회로에서 신호가 노이즈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컴퓨터의 CPU가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명령어를 기억 장치에서 꺼내오는 일과 관계 깊은 사이클의 명칭은?

  1. Operation Cycle
  2. Instruction Cycle
  3. Fetch Cycle
  4. Direct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CPU가 명령어를 기억 장치에서 꺼내오는 일을 수행하는 사이클을 "Fetch Cycle"이라고 부릅니다. 이 사이클에서 CPU는 기억 장치에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와서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합니다. 이후에는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는 다른 사이클들이 이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ASCII 코드의 존 비트와 디지트 비트의 구성으로 옳게 표시한 것은?

  1. 존 비트 : 4, 디지트 비트 : 3
  2. 존 비트 : 3, 디지트 비트 : 4
  3. 존 비트 : 4, 디지트 비트 : 4
  4. 존 비트 : 3, 디지트 비트 : 3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존 비트 : 3, 디지트 비트 : 4" 이다. ASCII 코드에서 존 비트는 문자의 종류를 나타내는 비트이고, 디지트 비트는 숫자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존 비트는 총 2^3 = 8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3비트가 필요하고, 디지트 비트는 10진수 숫자 0부터 9까지 총 10개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4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존 비트 : 3, 디지트 비트 : 4"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컴파일러 언어가 아닌 것은?

  1. C
  2. Perl
  3. COBOL
  4. PL/1
(정답률: 알수없음)
  • Perl은 인터프리터 언어이기 때문에 컴파일러 언어가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컴파일러 언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에서 페이지 폴트(page fault)가 일어났을 때 주메모리(main memory)내의 참조회수가 가장 작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법은?

  1. LRU(Least Recently Used)
  2. LFU(Least Frequently User)
  3. NUR(Not Used Recently)
  4. FIFO(First In First Out)
(정답률: 알수없음)
  • LFU는 페이지 폴트가 발생했을 때, 주메모리 내의 참조 횟수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즉,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하여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LFU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deadlock의 발생 조건이 아닌 것은?

  1. 선취 조건
  2. 상호 배제 조건
  3. 환형 대기 조건
  4. 점유와 대기 조건
(정답률: 알수없음)
  • 선취 조건은 deadlock 발생 조건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선취 조건은 다른 세 개의 조건(상호 배제 조건, 환형 대기 조건, 점유와 대기 조건)과 함께 존재해야만 deadlock이 발생합니다. 선취 조건은 간단히 말해, 한 프로세스가 이미 점유한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가 선점할 수 없도록 하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이 없다면,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을 선점하여 deadlock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마이크로 사이클 타이(Micro cycle time)에서 동기 고정식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 기간이 비슷할 때 유리하다.
  2.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 기간의 차이가 클 때 유리하다.
  3. CPU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4. CPU가 기억 장치로부터 명령을 읽어 내기 위해서는 2개의 마이크로 사이클이 소요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 기간이 비슷할 때 유리하다."입니다.

    동기 고정식은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 시간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마이크로 사이클이 동일한 시간에 수행됩니다. 이는 CPU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며,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 기간의 차이가 클 때 발생할 수 있는 지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 기간이 비슷할 때 동기 고정식이 가장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1.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2. 언어 처리 프로그램
  3. 서비스 프로그램
  4. 문제 처리 프로그램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저장, 검색, 수정,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전자파장해기기의 전자파장해 방지기준은 누가 정하여 고시하는가?

  1. 국무총리
  2. 정보통신부장관
  3. 전파연구소장
  4. 전파진흥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파장해기기의 전자파장해 방지기준은 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합니다. 이는 정보통신분야의 권한과 책임이 있는 정부부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국무총리, 전파연구소장, 전파진흥원장은 해당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자파장해 방지기준을 정하는 권한은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해안지구국의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지구국의 개설허가는 해당 지구국의 운영과 관리를 위한 규정과 조건이 포함된 계약서이며, 이 계약서의 유효기간은 5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해당 지구국이 일정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형식등록을 하여야 하는 무선설비의 기기는?

  1. 네비텍스 수신기
  2. 경보자동 전화장치
  3. 라디오부이의 기기
  4. 선박국용 무선방위측정기
(정답률: 알수없음)
  • 라디오부이의 기기는 무선설비 중에서 형식등록을 해야하는 기기입니다. 이는 무선설비의 안전성과 무선주파수 이용계획의 효율성을 위해 국가에서 규제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라디오부이의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형식등록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535KHz 초과 1606.5KHz 이하의 전파를 사용하는 방송국의 주파수 혀용편차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5Hz
  2. 10Hz
  3. 20Hz
  4. 50Hz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0Hz"이다.

    주파수 허용편차는 주파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규제되는데, 이는 방송국이 할당받은 주파수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535KHz 초과 1606.5KHz 이하의 전파를 사용하는 방송국의 경우, 주파수 허용편차는 10Hz로 규제된다. 이는 방송국이 할당받은 주파수에서 최대 10Hz까지만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송국은 다른 주파수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방송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중선 전력의 표시 방법 중 평균전역은 어느 것으로 표시하는가?

  1. PX
  2. PR
  3. PY
  4. PZ
(정답률: 알수없음)
  • 공중선 전력의 평균전역은 "PY"로 표시합니다. 이는 전력선의 중심선에서 떨어진 거리의 평균값을 의미합니다. "PX"는 최대 거리, "PR"은 최소 거리, "PZ"는 중심선에서 가장 먼 거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전파법에서 규정하는 용어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파라 함은 인공적인 유도없이 공간에 퍼져 나가는 전자파로서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정한 법위안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
  2. 주파수 분배라 함은 특정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특정인에게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3. 무선국이라 함은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를 말한다.
  4. 주파수지정이라 함은 하가 또는 신고에 의하여 개설하는 무선국이 이용할 특정한 주파수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국이라 함은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를 말한다."는 무선국의 정의를 설명하고 있지만, 전파법에서는 무선국의 정의를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가 설치한 시설물 또는 장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파수 분배라 함은, 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정한 주파수 대역을 특정인에게 부여하여 그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무선통신 등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정보통신부장관이 주파수 분배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파이용기술의 발전추세
  2. 민간인의 주파수 사용동향
  3. 주파수의 이용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여건
  4.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부장관이 주파수 분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전파이용기술의 발전추세, 주파수의 이용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여건,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민간인의 주파수 사용동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민간인이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라디오, 텔레비전, 휴대전화 등의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국가적인 주파수 분배 계획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송신설비의 기술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통신품질
  2. 송신설비의 전력
  3. 주파수편차의 허용치
  4. 스퓨리어스 발사의 허용치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설비의 기술기준은 주로 전파의 기술적인 측면을 다루며, 통신품질은 이러한 전파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파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송신설비의 기술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품질"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아마추어국의 송신설비의 공중선 전력은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첨두전력
  2. 평균전력
  3. 규격전력
  4. 반송파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아마추어국의 송신설비의 공중선 전력은 "규격전력"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해당 장비가 설계된 규격 전압과 전류에서 발생하는 최대 출력 전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을 기준으로 설비를 구성하고 운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는?

  1. 형식등록을 하여야 할 경우
  2. 형식검정을 받아야 할 경우
  3. 전자파적합등록을 하여야 할 경우
  4. 전자파흡수율측정을 하여야 할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은 정보통신기기의 안전성, 전기적 규격, 전자파적합성 등을 검증하고 인증하는 규정이지만, 전자파흡수율측정은 전자파 방출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인증 규정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에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