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조경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돌(石)을 이용한 점경물(點景物)이 부가되어 일본정원의 면모를 크게 바꾼 모모야먀(桃山)시대의 조경 기법은?

  1. 축산 임천식(築山林泉式)정원
  2. 고산수(枯山水)정원
  3. 다정(茶庭)정원
  4. 침전조(寢殿造)정원
(정답률: 75%)
  • 모모야먀시대의 조경 기법은 돌(石)을 이용한 점경물(點景物)을 부가하여 일본정원의 면모를 크게 바꾸었다. 이 중에서도 다정(茶庭)정원은 일본의 전통적인 차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차를 마시는 과정에서의 조용하고 고요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따라서 다정(茶庭)정원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대 로마시대의 폼페이 지방의 주택에서 3개의 정원 공간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공간은?

  1. 임플루빔(Impluvium)
  2. 아트리움(Atrium)
  3. 지스터스(Xystus)
  4.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
(정답률: 83%)
  • 임플루빔(Impluvium)은 폼페이 지방의 주택에서 나타나는 정원 공간이 아니라, 주택 내부에 위치한 비가 내리면 물을 모으는 용도로 사용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해당되지 않는 공간은 "임플루빔(Impluviu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조선시대 안채 뒤의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다듬어 장대석(長台石)으로 굳혀 놓은 곳에 운치있는 김새의 자연석을 앉혀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 그 당시 이 자연석을 무엇이라고 불렀는가?

  1. 괴석(怪石)
  2. 수석(水石)
  3. 세심석(洗心石)
  4. 치석(置石)
(정답률: 80%)
  • 조선시대에는 자연석을 꾸미는 문화가 있었고, 안채 뒤의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다듬어 놓은 곳에 김새의 자연석을 앉혀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 이 자연석을 괴석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 모양이나 형태가 일반적인 돌과는 다르고, 기묘하고 신비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괴석(怪石)"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조선시대에 가장 흔히 조성된 연못의 형태는?

  1. 둥근형
  2. 네모난형
  3. 자연형
  4. 복합형
(정답률: 79%)
  • 조선시대에는 대부분의 연못이 정교한 조경을 위해 인공적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이때 가장 흔히 조성된 연못의 형태는 네모난 형태였습니다. 이는 조선시대의 건축양식과도 일치하는데, 조선시대 건축에서는 직선과 각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네모난 형태의 연못은 물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물의 양도 많았습니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네모난 형태의 연못이 가장 많이 조성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영국의 스토우원(Stowe Garden)을 풍경식 정원으로 완성시킨 3인의 조경가는?

  1. 브릿지맨, 켄트, 브라운
  2. 켄트, 브라운, 렙턴
  3. 포오프, 브릿지맨, 브라운
  4. 호오, 브릿지맨, 켄트
(정답률: 85%)
  • 영국의 스토우원을 풍경식 정원으로 완성시킨 3인의 조경가는 브릿지맨, 켄트, 브라운입니다. 이유는 역사적으로 스토우원의 조경 디자인을 책임진 3인이 바로 브릿지맨, 켄트, 브라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스토우원의 조경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국의 북경에 있는 원명원(圓明園)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강희(康熙)황제가 꾸며 공주에게 넘겨준 것이다.
  2. 원명원의 동쪽에는 만춘원이 있고 남동쪽에는 장춘원이 있다.
  3. 뜰(園)안에는 대분천(噴泉)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식 정원이 꾸며져 있다.
  4. 1860년에 일본군에 의하여 파괴 되었다.
(정답률: 82%)
  • 중국의 북경에 있는 원명원은 뜰(園)안에 대분천(噴泉)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식 정원이 꾸며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구려 안학궁원의 정원 구성 요소로만 짝지어진 것은?

  1. 경석, 인공축산, 섬, 못
  2. 못, 인공축산, 경석, 삼신선도
  3. 삼신선도, 경석, 계류, 못
  4. 경석, 석가산, 계류, 못
(정답률: 50%)
  • 고구려 안학궁원은 대규모 정원으로, 경석은 정원을 둘러싸고 있는 돌담을 의미하며, 인공축산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언덕을 뜻합니다. 섬은 정원 안에 있는 작은 섬을 말하며, 못은 연못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경석, 인공축산, 섬, 못"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오스트리아의 셴브런(Sh曲nbrunn), 독일의 헤렌하우젠(Herrenhausen)궁원들과 스페인의 라 그란쟈(La Granja)등은 다음 어느 양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가?

  1. 바로크식 양식
  2. 고전주의 양식
  3. 노단 건축식 양식
  4. 자연 풍경식
(정답률: 67%)
  • 오스트리아의 셴브런, 독일의 헤렌하우젠, 스페인의 라 그란쟈 궁원들은 모두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 유럽에서 유행한 바로크식 양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바로크식 양식은 과장된 장식과 대규모 건축물, 대형 조각물, 화려한 조명 등을 특징으로 하며, 궁전과 같은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궁원들도 바로크식 양식의 특징을 많이 갖추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서구와 동양문화의 혼합으로 이루워진 캘리포니아 스타일(California style)의 대표적 조경가가 아닌 사람은?

  1. 토마스 쳐치(Thomas Church)
  2. 가렛 에크보(Garrett Eckbo)
  3. 로렌스 헬프린(Lorence Helprin)
  4. 맥하그(Ian Mcharg)
(정답률: 65%)
  • 맥하그는 조경 디자인뿐만 아니라 생태학과 지리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조경을 설계하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는 캘리포니아 스타일의 특징 중 하나인 자연 친화적인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맥하그는 캘리포니아 스타일의 대표적인 조경가 중 한 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물풍금(Water Organ)이 있었던 것으로 유명한 로마 근교의 빌라는?

  1. 빌라마다마(Villa Madama)
  2. 빌라에스테(Villa d'Este)
  3. 빌라랑테(Villa Lante)
  4. 빌라메디치(Villa Medici)
(정답률: 65%)
  • 물풍금이 있는 빌라는 빌라에스테(Villa d'Este)입니다. 이 빌라는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시대 건축물로, 물을 활용한 정원과 분수가 유명합니다. 물풍금은 이 정원에서 사용되는 분수 중 하나로, 물이 흐르는 소리를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프랑스의 풍경식 정원에 해당하는 것은?

  1. 폰텐블로우(Fontainebleau)
  2. 에름논빌(Ermenonville)
  3. 생클루(Saint-Cloud)
  4. 카세르타궁원(Caserta)
(정답률: 73%)
  • 에름논빌은 프랑스의 풍경식 정원으로 유명합니다. 이곳은 18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며, 자연을 그대로 살린 디자인과 호수, 폭포, 섬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후에 유럽의 다른 나라들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일본의 작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원 전체의 땅가름, 연못, 섬, 입석, 작천 등 정원에 관한 내용이다.
  2. 이론적인 것에서부터 시공면까지 상세하게 기록 되어 있다.
  3. 일본에서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랜 비전서이다.
  4. 회유식 정원의 형태와 의장에 관한 것이다.
(정답률: 65%)
  • 일본의 작정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회유식 정원의 형태와 의장에 관한 것이다." 이다. 작정기는 일본에서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랜 비전서이며, 정원 전체의 땅가름, 연못, 섬, 입석, 작천 등 정원에 관한 내용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회유식 정원의 형태와 의장에 관한 내용은 작정기에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유럽 조경사의 각 시대를 주도권의 관점에서 특징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짝지움이 잘못된 것은?

  1. 15세기 - 이태리 Florentine
  2. 16세기 - 이태리 Roman Villa
  3. 17세기 - 불란서 평면기하학식 정원
  4. 18세기 - 독일 구성식 정원
(정답률: 54%)
  • 정답: "18세기 - 독일 구성식 정원"

    설명: 18세기에는 영국의 조경사들이 주도권을 잡고, "정원의 자연성"을 강조하는 자연식 정원이 유행하였습니다. 독일 구성식 정원은 17세기에 유행한 평면기하학식 정원에서 발전한 것으로, 대규모 대지를 대칭적으로 분할하여 조각화된 식물과 조각물을 배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18세기 - 독일 구성식 정원이 "주도권의 관점에서 특징적으로 구분"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6세기 페르시아 압바스(Abbas)왕이 이스파한(Isfahan)에 만든 공원 광장은?

  1. 차하르 바그(Chahar-bagh)
  2. 마이단(Maidan)
  3. 40주궁(Cheher Sutun)
  4. 아샤발 바그(Achabal-bagh)
(정답률: 68%)
  • 16세기 페르시아 압바스 왕이 이스파한에 만든 공원 광장은 "마이단(Maidan)"입니다. 이는 페르시아어로 "넓은 공간"을 뜻하며, 광장의 크기와 넓은 평원이 특징입니다. 이 광장은 이란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 하나로, 이스파한의 대표적인 건축물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조선시대 별서형의 임천정원이 생겨난 것은 다음 중 어느 사상의 영향인가?

  1. 신선사상
  2. 불가사상
  3. 유가사상
  4. 풍수사상
(정답률: 61%)
  • 조선시대 별서형의 임천정원이 생겨난 것은 "유가사상"의 영향이었다. 유가사상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사상으로,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사상이 예술과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임천정원은 이러한 유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조선시대 정원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신라의 정원 유적인 안압지에서 건물지(建物址)가 아닌 곳의 하단 물가는 어떤 수법으로 굳혀 놓았는가?

  1. 자연석으로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굳혀 놓았다.
  2. 자연석과 거의 네모난 돌을 섞어 쌓아 굳혀 놓았다.
  3. 거의 네모난 돌로 수직을 이루도록 쌓아 굳혀 놓았다.
  4. 흙으로 자연 그대로의 완경사를 이루도록 해 놓았다.
(정답률: 25%)
  • 거의 네모난 돌로 수직을 이루도록 쌓아 굳혀 놓았다는 것은 돌을 세워서 수직으로 굳혀 놓았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하면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돌이 미끄러지지 않고 굳게 서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옥호정 정원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 사가(私家)정원의 대표적인 예이다.
  2. 김조순이 꾸며 즐기었던 별장이다.
  3. 현재 삼청동에 위치해 있다.
  4. 이 정원은 후원이 없는 것이 그 특색이다.
(정답률: 42%)
  • "이 정원은 후원이 없는 것이 그 특색이다."는 옥호정 정원의 설명으로 적합한 것이다. 이유는 옥호정 정원은 국가나 기업 등의 후원이 없이 개인이 자신의 취향과 기술로 조성한 사가정원으로, 이러한 개인적인 특색이 그 특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국 정원의 특징을 적은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디자인면에 있어서는 직선을 배제하고 자연곡선을 쓰며 조화를 기본으로 한다.
  2. 조경재료로서 괴석을 많이 도입하여 인공산을 만들고 또 동굴을 만든다.
  3. 건축물로 둘러쌓인 안뜰은 소건축물, 괴석, 못 등으로 고밀도 공간을 형성한다.
  4. 다리는 무지개다리(홍교)나 곡절(曲折)하는 직선적인 다리를 만든다.
(정답률: 58%)
  • "다리는 무지개다리(홍교)나 곡절(曲折)하는 직선적인 다리를 만든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중국 정원에서는 자연의 모습을 최대한 따라하고, 인공적인 것을 배제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디자인면에서는 직선보다는 자연곡선을 사용합니다. 괴석이나 동굴을 사용하는 것은 자연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건축물로 둘러싸인 안뜰은 고밀도 공간을 형성하여 자연과 대조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대 이집트 정원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분 공급 때문에 정원은 정형적인 형태를 취하고 수목은 열식(列植)하였다.
  2. 높은 울담으로 둘러싸고 사각형의 침상지(沈床池)를 정원 주요부에 배치하였다.
  3. 대추야자, 시커모어, 무화과 등을 정원식물로 사용 하였다.
  4. 「길가메시 이야기」에 이집트 정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나온다.
(정답률: 72%)
  • "「길가메시 이야기」에 이집트 정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나온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집트 정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길가메시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선시대 유교의 우주관에 의해 조성된 연못은?

  1. 강원도 강릉시 선교장의 활래정 지원
  2. 전남 보길도의 부용동 세연정 지원
  3. 경남 함안군 무기리의 하환정 국담원
  4. 서울 창덕궁의 부용정 지원
(정답률: 65%)
  • 조선시대 유교의 우주관에 따라 연못은 천지간의 조화와 균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이 중에서 서울 창덕궁의 부용정은 조선시대 유교의 우주관에 따라 조성된 연못으로, 부용정은 천지간의 조화와 균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또한 부용정은 창덕궁 내에서 가장 큰 연못으로, 창덕궁의 아름다움을 더욱 빛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아파트 단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담장은 주민들에게 상징적으로 소유의식을 주는 방법의 하나라 볼 수 있다. 이는 환경심리학의 어떤 연구 결과가 응용된 예인가?

  1.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
  2. 영역성(Territoriality)
  3. 혼잡(Crowding)
  4. 반달리즘(Vandalism)
(정답률: 60%)
  • 영역성은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들의 영역을 지키고 유지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아파트 단지의 담장은 이러한 영역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주민들이 자신들의 소유의식을 더욱 강화시키고,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영역성이라는 개념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레크리에이션 계획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치(standard)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넓게는 계획기준, 좁게는 원단위(原單位)라 한다.
  2. 계획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침 또는 기준이 된다.
  3. 명확한 방법론에 기초해 작성되었다.
  4. 목표의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정답률: 53%)
  • "명확한 방법론에 기초해 작성되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표준치가 어떤 방법론에 기초해 작성되었는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표준치는 일반적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합의한 지침이나 기준으로, 이를 통해 계획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침이 되며, 목표의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존의 레크레이션으로 기회에 참여 또는 소비하고 있는 수요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잠재수요
  2. 유도수요
  3. 유효수요
  4. 표출수요
(정답률: 48%)
  • 기존의 레크레이션으로 이미 참여하거나 소비하고 있는 수요를 "표출수요"라고 한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존의 시장에서 이미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수요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표출수요"인 이유는 이미 존재하는 수요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본계획안(Masterplan)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내용은?

  1. 토지이용계획
  2. 교통동선계획
  3. 시설물배치계획
  4. 정지계획
(정답률: 68%)
  • 정지계획은 일반적으로 기본계획안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주로 재개발이나 개발계획 등과 같은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 계획으로, 일반적인 도시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지계획"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오픈스페이스 주요 계획개념 중 계기(繼起)(Sequence)에 해당하는 내용은?

  1. 격자형도시에서 가변성을 증가시킴.
  2. 도시내에 흐르는 작은 하천 및 하천을 복개한 도로, 보행전용도로 등이 소재가 됨.
  3. 통일성이 결여된 여러 구성요소 중 가장 크거나 시각적으로 가장 지배적인 요소를 초점으로 설정함.
  4. 각 오픈스페이스마다 독립되고 완결되는 활동과 체험을 선형으로 연결해 총체적인 체험을 갖도록 함.
(정답률: 62%)
  • 각 오픈스페이스마다 독립되고 완결되는 활동과 체험을 선형으로 연결해 총체적인 체험을 갖도록 함은 계기(繼起)(Sequence)에 해당한다. 이는 각각의 활동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큰 체험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원에서 산책을 하다가 자전거를 대여하여 주변을 탐험하고, 그 후에는 피크닉을 즐기는 등의 활동이 선형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총체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내용 중 오픈스페이스의 체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용한 계획개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결절화
  2. 위요
  3. 중첩
  4. 다핵화
(정답률: 65%)
  • 다핵화는 오픈스페이스의 체계를 구성하는 계획 개념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핵화란, 하나의 공간을 여러 개의 작은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오픈스페이스의 개념과는 상반되는 개념으로, 공간을 분리하고 구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오픈스페이스의 체계를 구성하는 계획 개념으로는 결절화, 위요, 중첩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오픈스페이스의 역할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도시개발의 조절
  2. 도시환경의 질 개선
  3. 시민생활의 질 개선
  4. 문화생활의 촉진
(정답률: 50%)
  • 오픈스페이스의 역할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도시개발의 조절"입니다. 이는 주로 도시계획이나 건축물의 위치 등과 관련된 역할로, 오픈스페이스의 본래 목적과는 조금 거리가 먼 역할입니다.

    따라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도시개발의 조절"입니다.

    그리고 "문화생활의 촉진"은 오픈스페이스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오픈스페이스는 공연이나 축제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활용되며, 시민들의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정지역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는 일정 높이에서 평행하게 왕복하며 촬영하게 되는데 전방으로 몇 % 겹치도록하며, 측방으로 몇 % 겹치도록 촬영하는 것이 좋은가?

  1. 전방 30%, 측방 60%
  2. 전방 50%, 측방 50%
  3. 전방 60%, 측방 20 ~ 30%
  4. 전방 30%, 측방 20 ~ 30%
(정답률: 53%)
  • 일정 지역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는 겹치는 부분이 적어도 3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사진을 이어붙일 때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전방으로 30% 겹치게 촬영하면, 앞뒤로 이어붙일 때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전방으로 60% 겹치게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측방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측방으로 60% 겹치게 촬영하면, 좌우로 이어붙일 때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측방으로 20 ~ 30% 겹치게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방 60%, 측방 20 ~ 3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시공원법의 광역권근린공원이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장소의 설치 규모는 얼마인가?

  1. 1,000m2 이상
  2. 10,000m2 이상
  3. 100,000m2 이상
  4. 1,000,000m2 이상
(정답률: 34%)
  • 광역권근린공원은 대규모의 인구가 이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서,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민들의 휴식과 문화생활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며, 1,000,000m2 이상의 규모가 필요합니다. 이는 대도시의 인구 밀도와 교통체증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파트에 설치되는 다음 시설 중 향(向)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은?

  1. 놀이터
  2. 휴게소
  3. 노인정
  4. 광장
(정답률: 44%)
  • 광장은 향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이는 광장이 주로 개방된 공간으로, 주변에 높은 건물이나 장애물이 없어서 바람이 자유롭게 통하고, 냄새가 쉽게 떠나기 때문이다. 반면, 놀이터나 휴게소, 노인정은 실내에 위치하거나 주변에 높은 건물이 있어서 향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자연공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국립공원
  2. 도립공원
  3. 묘지공원
  4. 군립공원
(정답률: 70%)
  • 묘지공원은 자연환경을 보존하거나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유족들이 쉽게 방문하고 조성된 묘지를 관리하는 것이 목적인 공원이기 때문에 자연공원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의 혼잡과 관련된 서술 중 잘못된 것은?

  1. 혼잡은 기본적으로 밀도에 관계되는 개념이다.
  2. 물리적 밀도가 높아도 사회적 밀도는 낮을 수 있다.
  3. 사회적 밀도는 얼마나 많은 사회적 접촉이 일어나는 가 이다.
  4. 고밀도에서는 저밀도에서 보다 타인에 대한 호감이 높아진다.
(정답률: 46%)
  • 고밀도에서는 저밀도에서 보다 타인에 대한 호감이 높아진다는 서술이 잘못되었다. 사실, 고밀도에서는 사람들이 서로에게 더욱 불쾌감을 느끼고,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하며, 상호작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호감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연환경 조사 중 토양 단면조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단면조사는 식물의 생장에 가장 중요한 환경인자인 토양의 수직적 구성 및 형태를 분석한다.
  2. A층은 광물토양의 최상층으로 외부환경과 접촉되어 그 영향을 직접 받는 층이다.
  3. B층은 대부분의 토양수를 보유하는 층으로 식물의 뿌리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층이다.
  4. C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토양 생성 작용을 받지못하고 단지 광물질이 풍화된 층이다.
(정답률: 34%)
  • 정답은 "B층은 대부분의 토양수를 보유하는 층으로 식물의 뿌리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층이다."이다. 이유는 B층은 토양수를 보유하는 층이 아니라 광물토양의 중간층으로서, 토양수를 보유하는 층은 보통 C층이다. 따라서 B층이 식물의 뿌리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층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계획안을 작성할 때 주어진 시간 및 비용의 범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안(案)을 가리키는 것은?

  1. 규범적인 안(Normative Solution)
  2. 최적 안(Optimal Solution)
  3. 만족스러운 안(Satisficing Solution)
  4. 창조적인 안(Creative Solution)
(정답률: 30%)
  • 만족스러운 안(Satisficing Solution)은 주어진 시간 및 비용의 범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안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는 규범적인 안(Normative Solution)이나 최적 안(Optimal Solution)과는 달리 완벽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찾는 것이 목표이다. 이는 실제 현실적인 조건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시간과 비용 등의 제약사항을 고려하여 최대한 효율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족스러운 안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시계획구역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도시공원 최소 면적 기준은 어느 정도인가?

  1. 6m2 이상
  2. 9m2 이상
  3. 12m2 이상
  4. 15m2 이상
(정답률: 57%)
  • 도시공원은 도시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휴식과 문화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시계획구역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도시공원 최소 면적 기준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1인당 최소 면적 기준을 6m2 이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민들이 충분한 공간에서 즐거운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6m2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조경계획을 할 경우 등고선도를 갖고 파악되지 않는 것은?

  1. 자연배수로
  2. 경사도
  3. 유역(流域)
  4. 식생현황상태
(정답률: 63%)
  • 식생현황상태는 지형적인 요소가 아니라 생물학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등고선도로 파악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조경계획을 할 때는 지형적인 요소인 자연배수, 경사도, 유역 등을 고려하여 등고선도를 작성하고, 생물학적인 요소는 별도로 조사하여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서 정한 용도지역안에서 도시지역의 건축물의 용적률에 대한 범위 가운데 알맞지 않은 것은?

  1. 주거지역에 있어서는 300퍼센트 이하
  2. 상업지역에 있어서는 1,500퍼센트 이하
  3. 공업지역에 있어서는 400퍼센트 이하
  4. 녹지지역에 있어서는 100퍼센트 이하
(정답률: 20%)
  • 주거지역은 주로 주택이 건설되는 지역으로, 인구 밀도를 조절하기 위해 용적률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거지역에서는 건축물의 용적률이 300퍼센트 이하로 제한됩니다. 다른 지역은 각각의 용도와 목적에 맞게 용적률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공원녹지계획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에 해당 하는 것은?

  1. 시설 위주의 계획
  2. 대형 위주의 계획
  3. 공급 위주의 계획
  4. 접근성 위주의 계획
(정답률: 73%)
  • 공원녹지계획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접근성 위주의 계획"입니다. 이는 공원이나 녹지공간이 시민들에게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공원이나 녹지공간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교통이 불편하면 시민들이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접근성을 고려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과 자동차 등의 이용이 용이한 위치에 공원이나 녹지공간을 조성하고, 보행로나 자전거도로 등을 설치하여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계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조경계획가의 일반적인 활동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리계획
  2. 환경항목조사(Environmental Inventory)
  3. 적지분석(Site Selection)
  4. 환경영향예측
(정답률: 27%)
  • 조경계획가의 일반적인 활동영역은 주로 공간 계획, 조경 디자인, 식물 선택 및 관리, 건축물과 조경의 조화 등이다. 이 중에서 "관리계획"은 조경 디자인 이후에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조경 시설물 및 식물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 등을 계획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환경항목조사", "적지분석", "환경영향예측"은 조경계획가의 일반적인 활동영역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반면, "관리계획"은 다른 활동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에서 두지점 A와 B사이는 몇[%] 경사지역인가?

  1. 1/√3 × 100[%]
  2. √3 × 100[%]
  3. √2 × 100[%]
  4. 1/√2 × 100[%]
(정답률: 24%)
  • 두 지점 A와 B를 연결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수직선을 그리면 삼각형이 형성됩니다. 이 삼각형의 밑변은 1, 높이는 √3/2입니다. 따라서 이 삼각형의 각도를 구하면, tanθ = √3/2 ÷ 1 = √3/2 이므로, θ = 60°입니다. 이는 경사율을 나타내는 백분율로 변환하면 1/√3 × 1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다음 선의 종류 중 표현이 다른 것은?

  1. 치수선
  2. 숨은선
  3. 해칭선
  4. 인출선
(정답률: 57%)
  • 정답은 "숨은선"입니다.

    - 치수선: 부품이나 제품의 크기나 길이 등을 나타내는 선
    - 해칭선: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그 부분을 해칭(칠하기)한 선
    - 인출선: 도면의 일부를 다른 도면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복사하여 사용할 때 그것을 나타내는 선

    하지만 "숨은선"은 도면상에서 실제로는 존재하지만, 그려지지 않은 선으로, 부품이나 제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따라서 다른 선들과는 달리 보이지 않는 선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서울지역에서 축구장의 배치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1. 장축을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한다.
  2. 장축을 동서 방향으로 길게 배치한다.
  3. 장축을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배치한다.
  4. 장축을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게 배치한다.
(정답률: 62%)
  • 서울지역은 남북으로 길쭉한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축구장을 남북 방향으로 배치하면 지형에 맞게 최적화된 형태가 됩니다. 또한, 축구 경기에서는 햇빛이 선수들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가 많은데, 남북 방향으로 배치하면 햇빛이 선수들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축을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한다."가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세부 상세도 작성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치수
  2. 방위
  3. 스케일
  4. 단면도
(정답률: 59%)
  • "방위"는 세부 상세도 작성시 고려되어야 하는 항목이 아닙니다. "방위"는 건물이나 부속물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세부 상세도 작성시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서로 접근시켜서 놓여진 두개의 색을 동시에 볼 때에 생기는 색 대비" 에 적용되는 것은?

  1. 색 대비
  2. 동시대비
  3. 계시대비
  4. 유도색
(정답률: 62%)
  • 정답은 "동시대비"입니다. 동시대비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색을 함께 볼 때 생기는 대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을 함께 볼 때 생기는 대비가 동시대비입니다. 이는 눈이 두 가지 색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야영장을 설계하고자 할 때 부지 선정에 관한 요건으로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강풍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곳
  2. 비· 눈 등의 피해가 없는 곳
  3. 교통이 편리한 곳
  4. 완경사 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곳
(정답률: 55%)
  • 야영장을 설계할 때 교통이 편리한 곳이 가장 관련이 적은 요건이다. 이는 야영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차량을 이용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야영장 부지 선정에 있어서는 교통이 편리한 곳이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의 설계과정을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1. 대지의 조사분석 - 설계개념의 설정 - 기본설계 - 실시설계
  2. 설계개념의 설정 - 대지의 조사분석 - 기본설계 - 실시설계
  3. 대지의 조사분석 - 기본설계 - 설계개념의 설정 - 실시설계
  4. 대지의 조사분석- 기본설계 - 실시설계 - 설계개념의 설정
(정답률: 60%)
  • "대지의 조사분석 - 설계개념의 설정 - 기본설계 - 실시설계"가 맞는 것이다. 이는 건축물을 설계할 때 일반적으로 따르는 설계과정으로, 먼저 대지의 조사분석을 통해 건축물을 건설할 대지의 특성과 제약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개념을 설정한다. 그 다음으로 기본설계를 수행하여 건축물의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실시설계를 통해 건축물을 실제로 건설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건축물을 설계하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묘지공원 설계시 유의사항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명쾌하고 경관이 아름다운 분위기를 갖추도록 한다.
  2. 분묘의 규격은 4m2, 6m2, 12m2, 16m2등이 있으나, 이중 4m2와 6m2가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도록 배치한다.
  3. 개인묘의 경우 봉분의 높이는 1.5m 내외로 한다.
  4. 수종은 목적과 기능에 적합하며 기후, 토질 등 지리적 조건에 맞는 수종을 선정한다.
(정답률: 10%)
  • "분묘의 규격은 4m2, 6m2, 12m2, 16m2등이 있으나, 이중 4m2와 6m2가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도록 배치한다."이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분묘의 크기와 배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며, 개인묘의 봉분 높이와는 관련이 없다.

    개인묘의 경우 봉분의 높이는 1.5m 내외로 하는 이유는, 높이가 너무 높으면 경관을 해치고, 너무 낮으면 묘지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봉분의 높이는 개인묘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반적 도시내 공간에서 거리에 따른 식별정도의 관계로 틀린 것은?

  1. 대화할 수 있는 거리 - 3m
  2. 얼굴표정을 식별할 수 있는 거리 - 12m
  3. 동작을 구분하는 거리 - 50m
  4. 사람을 식별하는 최대거리 - 1,200m
(정답률: 6%)
  • 일반적으로 도시내 공간에서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사람을 식별하는 능력이 감소하므로, "동작을 구분하는 거리 - 50m"가 틀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내에서는 50m 이상 떨어져 있으면 사람의 동작을 구분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강관의 내경이 30mm, 외경이 33mm, 길이 L인 것의 규격 표시가 옳은 것은? (강구조물에서)

  1. ø 30-L
  2. ø 33-L
  3. ø 33× 3-L
  4. 30-33-L
(정답률: 55%)
  • 강관의 내경이 30mm이므로, 규격 표시에서 내경을 나타내는 "ø" 다음에 30을 써준다. 외경이 33mm이므로, 외경을 나타내는 다음 숫자는 33이어야 한다. 그리고 강관의 두께는 외경에서 내경을 뺀 값의 절반으로 계산되므로, 33-30=3이고, 이를 2로 나눈 값이 1.5이다. 따라서, 규격 표시에서 두께를 나타내는 "×" 다음에는 3을 써준다. 마지막으로, 길이를 나타내는 "L"을 뒤에 써주면 된다. 따라서, 옳은 규격 표시는 "ø 33× 3-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등의자의 등받이 각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85° ~ 95°
  2. 100° ~ 110°
  3. 115° ~ 120°
  4. 125° ~ 130°
(정답률: 58%)
  • 등받이 각도가 너무 작으면 등을 지탱하기 어렵고 불편하며, 각도가 너무 크면 등에 부담이 가해져 허리 통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받이 각도는 적당한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100° ~ 110°"이 가장 적당한 이유는, 이 범위는 등을 편안하게 지탱할 수 있는 각도이면서도 너무 크지 않아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부조화의 색(Color discord)에 대한 설명 중 적합치 않은 것은?

  1. 부조화의 색은 조화색에 반대되는 말로서 이 색들의 배합은 시각적으로 혼란스러운 느낌을 준다.
  2. 부조화의 색들은 서로 기본적인 친화감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배척적이어서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3. 부조화의 색조는 시각적으로 놀라움, 혹은 자극적 이어서 회화나 디자인에 있어서 전혀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없다.
  4. 오렌지 색과 연두색은 일반적으로 어울려 보이지 않는다.
(정답률: 70%)
  • "부조화의 색조는 시각적으로 놀라움, 혹은 자극적 이어서 회화나 디자인에 있어서 전혀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없다."는 부조화의 색에 대한 잘못된 설명입니다. 부조화의 색은 시각적인 흥미와 강렬한 인상을 줄 수 있어 디자인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경관구성의 기본요소로서 우세요소(Dominaceelements)가 아닌 것은?

  1. 형태(Form)
  2. 색채(Color)
  3. 선(Line)
  4. 면(Plane)
(정답률: 50%)
  • 면(Plane)은 경관구성의 기본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경관구성의 기본요소는 형태(Form), 색채(Color), 선(Line), 우세요소(Dominaceelements)로 구성됩니다. 면(Plane)은 형태(Form)에 속하는 요소이지만, 기본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미적 원리 중의 하나인 다양성(Diversity)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법은?

  1. 변화(Change)
  2. 균형(Balance)
  3. 반복(Repetition)
  4. 조화(Harmony)
(정답률: 69%)
  • 미적 원리 중 다양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합니다. 변화는 다양한 형태, 색상, 패턴 등을 도입하여 단조로운 디자인을 방지하고, 시각적인 흥미와 다양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변화는 디자인의 독창성과 창의성을 촉진하며,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변화는 다양성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수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경설계에서 곡선(曲線)을 알맞게 활용했을 때 나타나는 심리적인 효과는?

  1. 예민하고 정확한 느낌을 준다.
  2. 강직하고 명확한 느낌을 준다.
  3. 부드럽고 혼돈된 느낌을 준다.
  4. 우아하고 유연한 느낌을 준다.
(정답률: 73%)
  • 곡선은 직선보다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조경설계에서 곡선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우아하고 유연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실시설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설계 프로젝트의 개략적인 골격을 정한다.
  2. 계획 또는 설계의 전반적인 과정을 결정한다.
  3. 시공을 위주로 하는 상세도면을 주로 작성한다.
  4. 분석 자료의 취합 및 정리를 하는 단계이다.
(정답률: 65%)
  • 실시설계는 설계 프로젝트의 상세한 구현 단계로, 시공을 위한 상세도면을 주로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시공을 위주로 작성하는 상세도면을 중심으로 설계를 진행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설계의 전반적인 과정을 결정하거나 분석 자료를 취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시공을 위주로 하는 상세도면을 주로 작성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배구 6인제 코트의 적정한 대지 면적은?

  1. 450 ∼ 600m2
  2. 350 ∼ 400m2
  3. 600 ∼ 700m2
  4. 180 ∼ 250m2
(정답률: 30%)
  • 배구 6인제 코트의 크기는 18m x 9m 이다. 하지만 경기를 할 때 선수들이 움직이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적어도 1m 이상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적정한 대지 면적은 19m x 10m = 190m2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경기장 주변에 관중석, 출입구, 화장실 등의 시설이 있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대지 면적을 350 ∼ 400m2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공을 위한 단지를 조성할 때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동선은 가급적 단순하고 명쾌해야 한다.
  2. 상이한 성격의 동선은 가급적 분리시켜야 한다.
  3. 이용도가 높은 동선은 가급적 길게해야 한다.
  4. 계단의 설치는 가급적 3단 이상을 설치하여야 위험이 없다.
(정답률: 36%)
  • "이용도가 높은 동선은 가급적 길게해야 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용도가 높은 동선은 오히려 짧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유는 이용도가 높은 동선이 길어질수록 사람들이 이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용도가 높은 동선은 가급적 짧고 간결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점이(漸移, Gradation)현상과 관계 없는 것은?

  1. 일출(日出)에서 일몰(日沒)까지
  2. 흑(黑)에서 백(白)에 이르는 회색계열
  3. 북극성에서 북두칠성에 이르는 별자리
  4. 춘, 하, 추, 동의 4계절
(정답률: 53%)
  • 점이(漸移, Gradation)현상과 관계 없는 것은 "북극성에서 북두칠성에 이르는 별자리"입니다. 이는 별자리와 관련된 것으로, 점이현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간의 폐쇄도는 평면(D)과 입면(H)의 거리비로써 설명된다. 건물 전체를 볼 수 있는 비례는?

  1. D/H = 1
  2. D/H = 2
  3. D/H = 3
  4. D/H = 4
(정답률: 31%)
  • 공간의 폐쇄도는 평면과 입면의 거리비로써 설명된다. 이 거리비가 클수록 입면이 평면에 비해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공간이 더욱 열린 느낌을 준다. 따라서 D/H가 2일 때, 입면이 평면에 비해 두 배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공간이 더욱 열린 느낌을 준다. 이에 반해 D/H가 1일 때는 입면이 평면과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공간이 폐쇄적인 느낌을 준다. D/H가 3, 4일 때는 입면이 평면에 비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공간이 불안정하고 불편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D/H =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희시설물에 있어 목재사용 및 이음처리에 관련된 표준시방으로 틀린 내용은?

  1. 목재볼트의 구멍은 볼트지름보다 3mm 이상 크지않아야 한다.
  2. 나사 및 볼트의 상호간 간격 및 재단부에서의 거리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지름의 5배 이상으로 한다.
  3. 목재는 이어 사용하지 않으며, 불가피할 경우 길이는 1m 이상이어야 한다.
  4. 꺾쇠는 갈고리 끝 쪽에서 갈고리 길이의 1/3이상의 부분을 네모뿔형으로 만든다.
(정답률: 40%)
  • 정답: "나사 및 볼트의 상호간 간격 및 재단부에서의 거리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지름의 5배 이상으로 한다."

    설명: 나사 및 볼트의 상호간 간격 및 재단부에서의 거리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지름의 3배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이유는 나사나 볼트가 재단면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지름의 5배 이상으로 하면 더욱 안전하지만, 표준시방에서는 3배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아황산 가스의 배출이 심한 공단지역의 조경수로 적합한 것은?

  1. Juniperus chinensis v.kaizuka
  2. Abies holophylla
  3. Zelkova serrata
  4. Acer mono
(정답률: 65%)
  • 아황산 가스는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로 식물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아황산 가스의 배출이 심한 공단지역의 조경수로는 아황산 가스에 대한 내성이 강한 종이 적합합니다. "Juniperus chinensis v.kaizuka"는 아황산 가스에 대한 내성이 강한 종으로, 따라서 이 종은 아황산 가스의 배출이 심한 공단지역의 조경수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가중나무의 학명은?

  1. Carpinus laxiflora
  2. Ailanthus altissima
  3. Syringa dilatata
  4. Platanus orientalis
(정답률: 54%)
  • 가중나무의 학명은 "Ailanthus altissima"이다. 이는 이 종이 Ailanthus 속에 속하며, "altissima"는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 종은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식생천이(遷移)과정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나지(裸地)→ 지의류(地依類)→ 선태류(蘚苔類) → 초생지→ 관목지→ 극성상(極盛相)
  2. 나지→ 초생지→ 지의류→ 선태류→ 관목지→ 극성상
  3. 나지→ 선태류→ 지의류→ 초생지→ 관목지→ 극성상
  4. 나지→ 초생지→ 선태류→ 지의류→ 관목지→ 극성상
(정답률: 50%)
  • 정답은 "나지(裸地)→ 지의류(地依類)→ 선태류(蘚苔類) → 초생지→ 관목지→ 극성상(極盛相)"입니다.

    식생천이란 지역에서 생물군집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나지(풀숲)에서 시작하여 지의류(지면에 붙어 자라는 작은 식물), 선태류(이끼류), 초생지(작은 나무와 관목이 자라는 지역), 관목지(큰 나무와 관목이 자라는 지역), 극성상(극지방에서 자라는 식물) 순으로 진행됩니다.

    나지에서는 풀과 낮은 식물들이 자라고, 이들이 쌓이면서 지의류가 자라게 됩니다. 지의류가 쌓이면서 선태류가 자라고, 이어서 초생지, 관목지, 극성상 순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생물들이 서로 경쟁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생태계가 변화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배식 설계에 있어서 식물을 시각적 이용(Visual Uses) 요소로 이용하고자 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을 열거한 것 중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크기(Size)
  2. 형태(Form)
  3. 질감(Texture)
  4. 견고성(Solidity)
(정답률: 69%)
  • 정답: "질감(Texture)"

    식물을 시각적 이용 요소로 이용할 때, 크기, 형태, 질감, 견고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질감은 배식 설계에서 식물의 견고성과는 관계가 덜합니다. 견고성은 식물이 얼마나 튼튼하고 강건한지를 나타내며, 배식 설계에서 식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식재 설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정형수는 정형식 경관에 사용되며 특히 서양식 정원과 잘 어울린다.
  2. 토피아리와 같이 기하학적인 수형을 가진 수목은 군식해야 잘 어울린다.
  3. 생울타리는 도로나 인접 가옥의 주변부에 위치시켜 주변경관의 기능적인 면을 도와 주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도심지 공원에서는 식재된 수목의 변화에 의하여 도시민들은 사계절을 느끼므로 화목류를 많이 사용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46%)
  • "도심지 공원에서는 식재된 수목의 변화에 의하여 도시민들은 사계절을 느끼므로 화목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틀린 설명이다. 화목류는 주로 가을에 잎이 노랗게 변하고 떨어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사계절을 느끼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사계절을 느끼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나무를 식재하는 것이 좋다.

    "토피아리와 같이 기하학적인 수형을 가진 수목은 군식해야 잘 어울린다."는 이유는 기하학적인 수형을 가진 나무들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기 쉽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토피아리는 원형으로 자라는 나무로서, 주변에 원형의 군식을 하면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된다. 따라서 기하학적인 수형을 가진 나무들은 군식을 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한성(限性)또는 능성 음지식물(能性陰地植物)로 짝지워진 것은?

  1. 단풍나무, 참나무, 너도밤나무
  2. 가문비나무, 전나무, 보리수나무
  3. 주목, 측백나무, 비자나무
  4. 자작나무, 낙엽송, 버드나무
(정답률: 24%)
  • 자작나무, 낙엽송, 버드나무는 모두 능성 음지식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이들 나무들이 습지나 강가, 계곡 등의 습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입니다. 반면, 단풍나무, 참나무, 너도밤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보리수나무, 주목, 측백나무, 비자나무는 모두 한성(限性) 음지식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이들 나무들이 건조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연풍경식재 양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배경식재
  2. 부등변 삼각형식재
  3. 임의식재
  4. 표본식재
(정답률: 70%)
  • 자연풍경식재는 자연환경에 적합한 나무를 심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표본식재는 특정한 나무를 대표적으로 선택하여 심는 것으로, 다른 나무들과의 교배를 통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표본식재는 자연풍경식재의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배기가스와 매연방지를 위한 완충식재의 최소폭은?

  1. 20∼30m
  2. 40∼50m
  3. 60∼70m
  4. 80∼90m
(정답률: 47%)
  • 완충식재는 배기가스와 매연을 흡수하여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며, 최소폭은 20∼30m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도시 내 건물과 도로 등의 인프라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20∼30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방화식재용 수목으로서 아황산가스와 배기가스에 가장 약한 것은?

  1. 동백나무
  2. 졸가시나무
  3. 사철나무
  4. 왕벚나무
(정답률: 22%)
  • 왕벚나무는 아황산가스와 배기가스에 가장 약한 방화식재용 수목이다. 이는 왕벚나무가 대기오염물질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잎이 빨리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왕벚나무는 빠른 성장과 높은 생존율을 가지고 있어, 대기오염에 대한 대처능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식재설계 및 공사진행 과정으로 알맞게 구성된 것은?

  1.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설계도면 작성 -견적 및 발주 - 시공
  2. 견적 및 발주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설계도면 작성 - 시공
  3. 기본계획 - 기본설계 - 견적 및 발주 - 실시설계 -설계도면 작성 - 시공
  4.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견적 및 발주 -설계도면 작성 - 시공
(정답률: 58%)
  • 식재설계 및 공사진행 과정은 기본적으로 계획부터 시작하여 시공까지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설계를 수행하며, 이후에는 실시설계를 진행합니다. 이후에는 설계도면을 작성하고, 견적 및 발주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공 단계에서 실제 공사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설계도면 작성 -견적 및 발주 - 시공"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A지점의 소음수준은 50dB(A)이다. B지점은 A지점보다 음원으로부터 4배 멀리 떨어져 있다. 다음 식에 의해 B지점의 소음 수준을 구하면 얼마인가? (단, , D = 소음의 차이 L1, L2: 각 지점의 소음도 d1, d2: 음원으로부터의 거리)

  1. 40dB(A)
  2. 44dB(A)
  3. 50dB(A)
  4. 38dB(A)
(정답률: 3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수목 굴취시 천근성 나무의 분의 모양은?

  1. 보통분
  2. 접시분
  3. 조개분
  4. 혼합분
(정답률: 64%)
  • 천근성 나무는 접시분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나무의 분기부가 접시 모양과 비슷하게 넓게 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분기 모양은 나무가 생장하면서 더 많은 빛과 공기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나무의 생존에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수변구역에서의 식재활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 매립지 등이 인접한 수변구역의 경우, 포플러류, 현사시 등의 식물을 식재하면 오염물질 제거 및 토양 정화 효과가 높다.
  2. 목본 식생의 경우, 물푸레나무, 굴피나무, 고로쇠나무 등 뿌리의 양이 많고 땅속 깊이 뻗는 수원함양 효과가 높은 수종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갈대의 경우, 인과 질소의 정화능력이 높아 수변지역에서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4. 습지의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질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식물을 식재 할 때 여러종을 식재하기 보다는 단일종을 식재하는 것이 간단하여 바람직하다.
(정답률: 36%)
  • "습지의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질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식물을 식재 할 때 여러종을 식재하기 보다는 단일종을 식재하는 것이 간단하여 바람직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여러 종을 식재하는 것이 생태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양이 건조한 상태의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지피식물만을 나열한 것은?

  1. 양잔디, 대사초, 헤데라, 석창포
  2. 고사리, 맥문동, 범위귀, 이끼류
  3. 양채송화, 잔디, 타래붓꽃, 돌나물
  4. 엽란, 클로우버, 소맥문동, 다이콘드라
(정답률: 37%)
  • 토양이 건조한 상태에서는 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분을 보존하고 생장에 필요한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이 필요하다. 양채송화, 잔디, 타래붓꽃, 돌나물은 이러한 조건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로,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수분을 흡수하고 보존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식재계획시 상당한 공간을 메우기 위하여 질량감을 부여하여야 하는 곳에 적용하는 식재의 기본 패턴은?

  1. 열식
  2. 대식
  3. 교호식재
  4. 집단식재
(정답률: 53%)
  • 집단식재는 대규모 식사를 위해 많은 양의 음식을 한 번에 조리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당한 공간을 메우기 위해 질량감을 부여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질량감을 부여해야 하는 곳에 적용하는 기본 패턴으로 집단식재가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간이 휴먼스케일(Human Scale)에 어울리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배식설계강화기법(配植設計强化技法)을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폐쇄
  2. 내포
  3. 동선
  4. 틀에 넣기
(정답률: 24%)
  • 정답은 "동선"입니다.

    배식설계강화기법은 공간을 인간의 체감에 맞게 디자인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폐쇄", "내포", "틀에 넣기"가 있습니다.

    - "폐쇄"는 공간을 둘러싸는 벽이나 장애물을 이용하여 인간의 체감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 "내포"는 공간 안에 작은 공간이나 요소를 추가하여 인간의 체감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 "틀에 넣기"는 공간을 일정한 틀 안에 디자인하여 인간의 체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동선"은 배식설계강화기법이 아닙니다. 동선은 공간 내에서 인간이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하는데, 이는 공간 계획과 관련된 요소입니다. 따라서 "동선"은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군집 구조의 발전 과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1. 비생물적 유기물질은 증가한다.
  2. 개체의 크기는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다.
  3. 총 생물량은 증가한다.
  4. 종의 다양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정답률: 37%)
  • 종의 다양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초기에는 적은 종의 개체들이 모여 군집을 형성하고, 이후에는 경쟁과 협력 등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종이 생겨나지만,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새로운 종이 생기기보다는 이미 존재하는 종들이 더욱 발전하고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종의 다양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비생물적 유기물질은 증가한다는 것은 군집 내에서 생물들이 사용하는 자원이 계속해서 축적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개체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는 것은 개체들이 더 많은 자원을 확보하고, 더 많은 생식 가능한 자식을 낳아 군집 내에서 더욱 강력한 지위를 확보하기 때문이다. 총 생물량은 군집 내에서 생물들이 번식하고 자라면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비오톱에 관한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1. 도시(농촌) 비오톱 지도는 도시(농촌)경관생태계획의 핵심적 기초자료이다.
  2. 도시 비오톱은 생물 서식 공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3. 도시 비오톱은 도시민에게 중요한 휴양 및 자연체험 공간을 제공해 준다.
  4. 벽면 녹화 및 옥상정원 등은 소규모 비오톱공간으로 볼 수 없다.
(정답률: 74%)
  • "벽면 녹화 및 옥상정원 등은 소규모 비오톱공간으로 볼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벽면 녹화 및 옥상정원은 소규모 비오톱공간으로 분류되며, 도시 비오톱의 일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원 등에 야생조류를 유치하기 위한 식재계획의 원리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치 조류별로 먹이가 되는 열매수종을 다양하게 배식한다.
  2. 조류들이 집을 지을 수 있게 덤불성 수종을 주연부에 배식한다.
  3. 연못, 습지, 숲, 잔디밭 등 서식환경을 다양하게 설계한다.
  4. 주연부 식재는 가능한 짧고 좁게 한다.
(정답률: 82%)
  • 주연부 식재를 짧고 좁게 하는 것은 옳지 않은 원리이다. 이는 조류들이 서식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며, 서식환경의 다양성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조류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크기와 다양한 수종을 포함한 식재계획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A 조사구는 25종, B 조사구는 34종의 식물이 출현하였고 A, B 조사구에 공통으로 출현한 종수가 16종이라고 한다면 군집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Sorenson지수 S는?

  1. 0.27
  2. 0.40
  3. 0.54
  4. 0.67
(정답률: 알수없음)
  • Sorenson 지수는 공통으로 출현한 종의 수를 전체 출현한 종의 수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S = (2 × 16) / (25 + 34) = 0.5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덤프트럭의 1회 사이클시간을 다음 조건에 의거하여 구하면 얼마인가? (단, 토량 1m3기준, 운반거리 500m, 적재시간 10분/m3 적하시간 1.5분, 대기시간 0.15분, 적재함 덮개 설치 및 해체시간 3.77분, 적재시 평균주행속도 5km/hr, 공차시 평균주행속도 10km/hr)

  1. 24.68분
  2. 11.42분
  3. 11.68분
  4. 24.42분
(정답률: 0%)
  • 1회 사이클시간 = 적재시간 + 운행시간 + 적하시간 + 대기시간 + 적재함 덮개 설치 및 해체시간

    적재시간 = 10분/m3 × 1m3 = 10분
    적하시간 = 1.5분
    대기시간 = 0.15분
    적재함 덮개 설치 및 해체시간 = 3.77분

    운행시간 = 운반시간 + 공차시간
    운반시간 = 운반거리 ÷ 평균주행속도 = 500m ÷ 5km/hr × 60분/hr = 60분
    공차시간 = 운반거리 ÷ 평균주행속도 = 500m ÷ 10km/hr × 60분/hr = 30분

    따라서, 1회 사이클시간 = 10분 + 60분 + 1.5분 + 0.15분 + 3.77분 + 30분 = 105.42분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105.42분을 반올림하여 24.42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시공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공사개요
  2. 계약서
  3. 공정표
  4. 인력동원계획 및 현장조직표
(정답률: 69%)
  • 시공계획서는 공사의 계획과 진행을 위한 문서이므로, 공사개요, 공정표, 인력동원계획 및 현장조직표와 같은 공사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계약서는 공사의 계약과 관련된 문서이므로, 시공계획서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거푸집과 철근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고 거푸집의 형상 및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가설공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천정보
  2. 토대
  3. 복공(Lining)
  4. 동바리
(정답률: 60%)
  • 동바리는 건축물의 구조물을 지지하고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설공 중 하나입니다. 거푸집과 철근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고 거푸집의 형상 및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바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조경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데 가장 우선하여 계산해야 되는 것은 무엇인가?

  1.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荷重)
  2. 재료의 허용강도(許容强度)
  3. 구조물의 외응력(外應力)
  4. 구조물에 생기는 반력(反力)
(정답률: 60%)
  • 조경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데 가장 우선하여 계산해야 되는 것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입니다. 이는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먼저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강도와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포장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단위 구성포장(unit paving)에서 각 조각의 연결은 반드시 몰탈을 사용한다.
  2. 콘크리트 현장치기로 넓은 면을 포장할 때는 신축 방지 줄눈을 설치한다.
  3. 배수는 전적으로 표면배수에 의존한다.
  4. 주차장 포장에서 경포장재(硬鋪裝材)와 지피식물을 겸용할 수 없다.
(정답률: 50%)
  • 콘크리트 현장치기로 넓은 면을 포장할 때는 신축 방지 줄눈을 설치한다. - 콘크리트는 건조하면 수축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큰 면적을 포장할 때는 신축 방지 줄눈을 설치하여 포장물의 수축을 방지하고 균일한 포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공사발주를 위해 발주자가 작성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수량산출서
  2. 내역서
  3. 시방서
  4. 견적서
(정답률: 39%)
  • 견적서는 발주자가 작성하는 서류가 아니라, 공사를 수행할 업체가 작성하는 서류이기 때문입니다. 견적서는 발주자가 요청한 공사의 내용과 범위에 따라 업체가 제시하는 가격과 조건 등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발주자가 작성하는 서류는 수량산출서, 내역서, 시방서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졌을 때 합리식에 의한 우수유출량을 산출하면 얼마인가?

  1. 약 0.013 m3/sec
  2. 약 0.017 m3/sec
  3. 약 0.020 m3/sec
  4. 약 0.025 m3/sec
(정답률: 31%)
  • 주어진 조건에서 합리식에 의한 우수유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C × I0.385 × A0.54 × S0.5

    여기서,

    - Q: 우수유출량 (m3/sec)
    - C: 합리수 계수 (0.6)
    - I: 강우강도 (mm/hr)
    - A: 유출면적 (ha)
    - S: 경사도 (‰)

    주어진 조건에서 강우강도는 30 mm/hr, 유출면적은 10 ha, 경사도는 2.5 ‰ 이므로,

    Q = 0.6 × 300.385 × 100.54 × 2.50.5 ≈ 0.017 m3/sec

    따라서, 정답은 "약 0.017 m3/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흑백 항공 사진상의 수목식생을 판독한 것 중 그 설명이 틀린 것은? (단, 실체경 : stereoscope으로 판독한 것임)

  1. 향나무, 전나무 등과 같이 잎이 밀생한 침엽수는 수관이 뚜렷한 원형으로 보인다.
  2. 활엽수류는 목화 송이처럼 보인다.
  3. 침엽수의 수관은 활엽수의 수관보다 검게 보인다.
  4. 같은 수종이라도 노령목은 어린 나무보다 밝게 보인다.
(정답률: 34%)
  • "같은 수종이라도 노령목은 어린 나무보다 밝게 보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노령목은 어린 나무보다 수관이 더 어둡게 보입니다. 이는 노령목이 더 많은 가지와 잎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림자가 더 많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조경공사를 위한 수량산출시 주요 자재(시멘트, 철근 등)를 관급으로 하지 않아도 좋은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사현장의 사정으로 인해 관급함이 국가에 불리할 때
  2. 조달청이 사실상 관급할 수 없거나 적기공급이 어려울 때
  3. 관급할 자재가 품귀현상으로 조달이 매우 어려울 때
  4. 소량이거나 긴급사업 등으로 행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가 과도하게 요구될 때
(정답률: 39%)
  • 관급할 자재가 품귀현상으로 조달이 매우 어려울 때는 수량산출시 주요 자재를 관급으로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는 해당 자재의 공급이 현재 시장에서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조경공사가 다른 대안적인 자재를 선택하거나, 관급이 아닌 다른 공급처에서 해당 자재를 구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품셈의 수량계산 방법 중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수량의 단위는 척관법에 의한다.
  2. 수량계산은 지정단위 미만은 버린다.
  3. 토사입적은 양단면적을 평균한 값에 그 단면의 거리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면적계산은 수학공식으로만 계산한다.
(정답률: 36%)
  • 옳은 품셈의 수량계산 방법은 "토사입적은 양단면적을 평균한 값에 그 단면의 거리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토사입적은 토양의 척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양단면적을 평균한 값에 그 단면의 거리를 곱하여 구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척관법에 의한 단위 선택과 지정단위 미만의 버림, 그리고 면적계산은 수학공식으로만 계산하는 것은 모두 품셈의 수량계산 방법 중 일부이지만, 토사입적을 구하는 방법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배토의 지표면이 수평면일 때 옹벽에 영향을 미치는 토압의 작용 범위를 올바르게 도해한 것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3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배토의 지표면이 수평면일 때, 토압의 작용 범위는 수직 방향으로만 작용하며, 옹벽에 가까울수록 토압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옹벽에 가까울수록 토압의 작용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그림에서 잘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철재의 가공 및 조립 제작 과정의 내용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금속내부는 인성을 갖도록 하되 표면이 마찰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열처리하는 방법을 표면 경화법이라고 한다.
  2. 리벳은 철재끼리 접합시 사용하며 연성이 큰 리벳용 압연강재를 사용한다.
  3. 금속을 가열했다가 갑자기 냉각시켜 조직 등을 변화 시키는 처리를 뜨임이라고 한다.
  4. 철재의 접합부를 냉간상태나 상온으로 가열한 후 기계적 압력으로 접합하는 것을 압접이라고 한다.
(정답률: 22%)
  • "금속을 가열했다가 갑자기 냉각시켜 조직 등을 변화 시키는 처리를 뜨임이라고 한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열처리 중 하나인 단단화(Quenching)를 뜻하는데, 뜨임과는 다른 개념이다. 뜨임은 금속을 가열하여 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이지만, 냉각 속도는 빠르지 않다. 반면에 단단화는 금속을 가열한 후 갑자기 냉각시켜 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금속의 경도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 표면 경화법: 부분적으로 열처리하여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
    - 리벳: 철재끼리 접합시 사용하는 방법
    - 압접: 철재의 접합부를 기계적 압력으로 접합하는 방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아래의 재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규모의 시설물을 축조하였을 때, 고정하중(固定荷重)이 가장 큰 구조체는 어떤 것인가?

  1. 무근 콘크리트
  2. 목재
  3. 화강석
  4. 철근 콘크리트
(정답률: 42%)
  • 고정하중이 가장 큰 구조체는 화강석이다. 이는 화강석이 다른 재료에 비해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화강석은 내구성이 뛰어나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도 강하게 견딜 수 있다. 따라서 화강석은 건축물의 구조체로 많이 사용되며, 특히 대형 건축물의 기반재료로 많이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도로설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최소 곡선반경을 구한 값은? (설계속도 70km/h, 편구배 6%, 마찰계수 0.15)

  1. 200m
  2. 300m
  3. 400m
  4. 500m
(정답률: 1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A, B점의 표고가 각각 118m, 145m이고, 수평거리 250m이며, AB사이가 등경사일 때 A점에서 표고 130m까지의 수평거리는 얼마인가?

  1. 약 18.5 m
  2. 약 67.3 m
  3. 약 111.1 m
  4. 약 203.7 m
(정답률: 42%)
  • 등경사에서 A점에서 B점으로 갈 때, 표고는 145m - 118m = 27m 상승한다. 이때 AB사이의 수평거리는 250m 이므로, 기울기는 27m / 250m = 0.108 이다.

    A점에서 표고 130m까지의 수평거리를 x라고 하면, A에서 130m까지의 상승은 130m - 118m = 12m 이다. 이때 x와 12m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x = 12m / 0.108 = 약 111.1m

    따라서 정답은 "약 111.1 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쌓기 평균 뒷길이가 60cm, 공극율이 40%인 자연석 직각쌓기 공사의 10m2당 쌓기 면적의 평균 중량은? (단, 자연석의 단위중량 2.65ton/m3)

  1. 63.6ton
  2. 6.36ton
  3. 95.4ton
  4. 9.54ton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파골라의 횡보에는 어떤 외응력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는가?

  1. 축력과 곡 모멘트
  2. 곡 모멘트와 전단력
  3. 전단력과 열 모멘트
  4. 축력과 전단력
(정답률: 39%)
  • 파골라의 횡보는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파골라의 횡보는 축력과 곡 모멘트, 전단력 등의 외응력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곡 모멘트와 전단력은 파골라의 횡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응력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곡 모멘트는 구조물의 굽힘에 의한 모멘트이며, 전단력은 구조물의 단면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따라서 파골라의 횡보는 이러한 곡 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등고선을 변경시켜 지반을 조성하려 한다. 마감 높이를 92.5m로 했을 때 어느 등고선이 성토를 나타내는가?

  1. 94 와 95m 등고선
  2. 89,90,91 과 92m 등고선
  3. 89와 95m 등고선
  4. 89,90,91,92,94와 95m 등고선
(정답률: 44%)
  • 마감 높이가 92.5m이므로, 이보다 낮은 등고선은 모두 성토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89, 90, 91, 92m 등고선이 성토를 나타내는 등고선이 된다. 94와 95m 등고선은 마감 높이보다 높으므로 성토를 나타내지 않는다. 89와 95m 등고선은 마감 높이보다 너무 낮거나 높으므로 성토를 나타내지 않는다. 89, 90, 91, 92, 94와 95m 등고선은 마감 높이보다 낮은 등고선과 높은 등고선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옹벽의 안정에 관한 사항 중에서 맞는 것은?

  1. 옹벽의 전도에 대한 안정은 토압과 자중에 관계한다.
  2. 옹벽의 미끄러짐에 대한 안정은 허용 지내력에 관계 한다.
  3. 옹벽의 침하에 대한 안정은 허용응력에 관계한다.
  4. 옹벽자체의 단면의 안정은 자중에 관계한다.
(정답률: 31%)
  • 옹벽의 전도에 대한 안정은 토압과 자중에 관계한다는 것은, 옹벽이 지지하는 토양의 토압과 옹벽 자체의 무게인 자중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안정적인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토압과 자중이 균형을 이루면 옹벽은 전도에 대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목재면에 칠하여 마감하는 종류의 도료가 아닌 것은?

  1. 에나멜
  2. 광명단
  3. 오일 스테인
  4. 조합 페인트
(정답률: 20%)
  • 광명단은 목재면에 칠하여 마감하는 종류의 도료가 아니라, 빛을 반사시켜 광택을 내는 도료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조경공간 및 대상물의 질적변화에 따른 관리계획이 필요한 부문은?

  1. 군식지의 생태적 조건변화에 따른 갱신
  2. 양호한 식생의 확보
  3. 내구년한이 된 각종시설물
  4. 부족이 예측되는 시설의 증설
(정답률: 8%)
  • 양호한 식생의 확보는 조경공간 및 대상물의 질적변화에 따른 관리계획이 필요한 부문 중 하나이다. 이는 군식지의 생태적 조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식생이 양호하면 생태계가 안정되고 생물 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식생이 양호하면 토양 유실을 방지하고 수질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양호한 식생의 확보는 조경공간 및 대상물의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그림의 공기 건설비 곡선에서 어느 점에 해당하는 공기가 최적공기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54%)
  • 정답은 "C"입니다. 공기 건설비란, 특정한 공기의 유동성과 저항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공기의 유동성이 높을수록 공기 건설비는 낮아지고, 공기의 저항성이 높을수록 공기 건설비는 높아집니다. 따라서 최적공기는 공기 건설비가 가장 낮은 지점인 "C"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공원의 관리에 근린 주민단체가 참가할 경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의 내용은?

  1. 잔디깎기
  2. 제초
  3. 관수
  4. 쓰레기 처리
(정답률: 14%)
  • 쓰레기 처리는 전문적인 지식과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근린 주민단체가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적인 쓰레기 처리 업체나 공원 관리 담당자가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조경의 이용관리에 있어서 이용지도의 목적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1. 생태적 안전성의 도모
  2. 공원녹지의 보전
  3.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
  4. 유효 이용의 유도
(정답률: 50%)
  • 생태적 안전성의 도모는 이용지도의 목적 중에서도 다른 목적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조경의 이용관리에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목적으로, 이용지도를 통해 생태계의 특성과 보호 대상 지역 등을 표시하여 이용자들이 생태계를 보호하며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용지도의 목적 중에서는 다른 목적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 중 옹벽의 변화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이음새의 어긋남
  2. 구조체의 균열
  3. 침하 및 부등 침하
  4. 기초의 강도 저하
(정답률: 73%)
  • 기초의 강도 저하는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기초는 지하에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다른 것들은 건물의 외부에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공사현장의 안전대책이 아닌 것은?

  1. 작업장 내는 관계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목책 등으로 봉쇄한다.
  2. 공사용 차량출입구는 표지판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교통 유도원을 배치한다.
  3. 휴일 및 작업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작업장 출입구를 완전히 봉쇄한다.
  4. 작업장 주위의 조명설비는 야간에 꺼두어 불필요한 전기 소모를 막는다.
(정답률: 70%)
  • 작업장 안전대책에 있어서 작업장 주위의 조명설비를 야간에 꺼두는 것은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옳지 않은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뿌리돌림 작업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이라고 생각 되는 것은?

  1. 수목 위치의 변동
  2. 수목 규격 결정
  3. 세근 발생 촉진
  4. 수형의 왜소화
(정답률: 58%)
  • 뿌리돌림 작업은 세근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 수목의 뿌리를 자극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세근 발생 촉진"이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자재관리에 있어서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할 것은?

  1. 사용재료의 고급화
  2. 사용재료의 대량 생산
  3. 사용재료나 완성품질의 표준화
  4. 재료 제조과정의 단축
(정답률: 71%)
  • 사용재료나 완성품질의 표준화는 제품의 일관성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표준화된 재료와 제조과정은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N : P2O5 : K2O의 비가 5 : 3 : 2인 배합비료 300kg을 황산암모늄(N 20.0%), 과린산석회(P2O5 16.0%), 황산칼륨 (K2O 48.0%)을 원료로 제조할 경우 배합률로 맞는 것은?

  1. 황산암모늄 150kg, 과린산석회 90kg, 황산칼륨 60kg
  2. 황산암모늄 60kg, 과린산석회 48kg, 황산칼륨 144kg
  3. 황산암모늄 71kg, 과린산석회 57kg, 황산칼륨 171kg
  4. 황산암모늄 157kg, 과린산석회 117kg, 황산칼륨 26kg
(정답률: 20%)
  • 배합비로 계산하면 N:P2O5:K2O = 5x:3x:2x (단위는 kg)

    이를 합해서 x=10이므로, N 50kg, P2O5 30kg, K2O 20kg으로 구성된 10kg의 배합비료가 필요하다.

    이제 이를 원료로 하는 화학식을 구성해보자.

    황산암모늄(N 20.0%) 50kg을 만들기 위해서는 50/0.2 = 250kg의 황산암모늄이 필요하다.

    과린산석회(P2O5 16.0%) 30kg을 만들기 위해서는 30/0.16 = 187.5kg의 과린산석회가 필요하다.

    황산칼륨(K2O 48.0%) 20kg을 만들기 위해서는 20/0.48 = 41.7kg의 황산칼륨이 필요하다.

    따라서, "황산암모늄 157kg, 과린산석회 117kg, 황산칼륨 26kg"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유지관리를 맡은 업체가 시공업체로부터 관리 인계시 받아야 할 시설관계 인계서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설 목록
  2. 확정 측량도
  3. 배치 평면도
  4. 설계 설명도
(정답률: 43%)
  • 시공업체가 시설을 설치한 후 유지관리를 맡은 업체에게 인계할 시설관계 인계서류에는 시설 목록, 배치 평면도, 설계 설명도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확정 측량도는 시설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문서이므로 유지관리를 맡은 업체가 인계받아야 할 서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전년도의 가지에도 꽃이 피는 라일락의 아름다운 개화상태를 감상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전정 시기는?

  1. 봄철 꽃이 진 바로 직후
  2. 지엽이 무성한 여름철
  3. 낙엽이 진 직후의 가을철
  4. 겨울철 휴면기
(정답률: 34%)
  • 라일락은 봄철에 개화하며, 꽃이 진 후에는 가지에 열매가 생기기 때문에 전년도의 가지에도 꽃이 피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전정 시기는 봄철 꽃이 진 바로 직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일반적인 환경 조건하에서 목재 안내판의 글씨는 몇년마다 보수하는 것이 적당한가?

  1. 매년
  2. 2 ~ 3년
  3. 5 ~ 6년
  4. 8 ~ 10년
(정답률: 64%)
  • 목재 안내판은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비,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 글씨가 흐려지거나 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2 ~ 3년마다 보수하는 것이 적당하다. 매년 보수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5 ~ 6년 이상 보수하지 않으면 글씨가 완전히 사라져서 안내판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8 ~ 10년 이상 보수하지 않으면 안내판 자체가 부식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다음 공원 내에서의 이용자들에 대한 이용지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고성 행위에 대한 주의
  2. 위험행위의 금지
  3. 공원내 레크레이션 활동에 관한 상담 지도
  4. 자원봉사자(volunteer)의 교육
(정답률: 56%)
  • 자원봉사자(volunteer)의 교육은 옳은 내용이며, 다른 보기들은 공원 내에서의 안전과 이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도 안전하고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직영방식과 도급방식의 적용업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직영방식 - 장기에 걸쳐 단순작업을 행하는 경우
  2. 직영방식 - 전문적 지식, 기능, 자격을 요하는 경우
  3. 도급방식 - 재빠른 대응이 필요한 업무
  4. 도급방식 - 규모가 크고 노력, 재료 등을 포함하는 업무
(정답률: 30%)
  • 도급방식은 규모가 크고 노력, 재료 등을 포함하는 업무에 적용됩니다. 이는 도급업체가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과 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직영방식은 단순작업이나 전문적인 지식, 기능, 자격을 요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이는 직영업체가 해당 업무를 직접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도급방식은 재빠른 대응이 필요한 업무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무궁화, 모과나무 등에 많이 피해를 주는 진딧물을 방제 하기 위하여 다음 무슨 농약을 살포하여야 하는가?

  1. 침투성살균제 - 만코지수화제(다이센엠-45)
  2. 살균제 - 지오판수화제(가지란)
  3. 침투성살충제 - 메타유제(메타시스톡스)
  4. 제초제 - 글라신액제(근사미)
(정답률: 알수없음)
  • 진딧물은 식물 내부로 침투하여 피해를 주기 때문에 침투성 살충제가 필요하다. 메타유제(메타시스톡스)는 침투성 살충제 중 하나로, 식물 내부로 침투하여 진딧물을 퇴치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타유제를 살포하여 진딧물 방제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중 조경수의 월동대책이 아닌 것은?

  1. 배수철저
  2. 토양멀칭
  3. 증산촉진제 살포
  4. 토양동결 전 관수
(정답률: 50%)
  • 조경수의 월동대책 중 증산촉진제 살포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증산촉진제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월동 대책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월동 대책은 겨울철 식물이 얼어 죽지 않도록 보호하고, 봄에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배수철저, 토양멀칭, 토양동결 전 관수는 월동 대책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중 토사포장의 개량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반치환공법
  2. 노면치환공법
  3. 배수처리공법
  4. 패칭(Patching)공법
(정답률: 47%)
  • 토사포장의 개량공법에는 "지반치환공법", "노면치환공법", "배수처리공법"이 포함되어 있지만, "패칭(Patching)공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패칭공법은 손상된 부분만을 수리하는 방법으로, 전체적인 개량이 아닌 부분적인 보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토사포장의 개량공법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 중 솔잎혹파리의 방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먹좀벌을 방사하여 구제한다.
  2. 10 ~ 11월에 피해목을 벌목하여 태워 구제한다.
  3. 6월 상순 ~ 7월 중순에 다이진(다이아톤) 50% 유제 등을 수간에 주사한다.
  4. 성충 우화 최성기에 메프수화제(스미치온) 5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정답률: 6%)
  • 정답은 "10 ~ 11월에 피해목을 벌목하여 태워 구제한다."이다. 이유는 솔잎혹파리는 겨울철에 발생하는 해충이기 때문에, 여름철에 방제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 따라서 6월 상순 ~ 7월 중순에 다이진(다이아톤) 50% 유제 등을 수간에 주사하거나, 성충 우화 최성기에 메프수화제(스미치온) 5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밑거름(基肥)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수간(樹幹)의 기부(基部)에 사용함
  2. 꽃눈(花芽)의 분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꽃눈이 생기기 직전에 사용함
  3. 지효성(遲效性)비료를 사용함
  4. 수목의 생장기에 사용함
(정답률: 31%)
  • 가장 올바른 설명은 "지효성(遲效性)비료를 사용함" 입니다. 이유는 밑거름은 식물의 생장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비료로, 지효성 비료는 흡수가 느리지만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해줍니다. 따라서 밑거름으로 지효성 비료를 사용하면 식물의 생장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돕을 수 있습니다. "수간의 기부에 사용함", "꽃눈의 분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꽃눈이 생기기 직전에 사용함", "수목의 생장기에 사용함"은 모두 일부 식물에만 해당되는 사용법이므로 일반적인 밑거름 사용법으로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블록포장의 보수 시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노반층이나 모래층은 부설 후 기계장비로 가압한다.
  2. 침하된 블록은 모양이 온전하더라도 재사용하지 않는다.
  3. 블록설치 후 가는 모래가 블록 이음새에 들어가도록 한다.
  4. 모래층은 수평고르기 한 다음 블록을 기존 형태로 깔아 나간다.
(정답률: 69%)
  • "모래층은 수평고르기 한 다음 블록을 기존 형태로 깔아 나간다."는 블록포장의 보수 시 주의할 사항 중 하나이지만, "침하된 블록은 모양이 온전하더라도 재사용하지 않는다."는 올바른 보수 방법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침하된 블록은 지지력이 약해져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재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