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조경기사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다음 중 중국, 한국, 일분의 정원을 조성한 시기가 모두 16세기에 해당하는 것은?

  1. 원명원ㆍ주합루ㆍ육의원
  2. 유원ㆍ옥호정ㆍ선동어소
  3. 졸정원ㆍ소쇄원ㆍ대덕사 대선원
  4. 창춘원ㆍ서석지ㆍ수학원이궁
(정답률: 77%)
  • 졸정원, 소쇄원, 대덕사 대선원은 모두 16세기에 조성된 대표적인 한국의 정원들이다. 반면, 원명원, 주합루, 육의원은 중국의 명나라 시기(14-17세기)에 조성된 정원들이며, 유원, 옥호정, 선동어소는 일본의 에도 시기(17-19세기)에 조성된 정원들이다. 창춘원, 서석지, 수학원이궁은 중국의 조선시대(15-17세기)에 조성된 정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멕시코의 풍토와 자연에 대비되는 채색, 전통요소의 응용으로 작품성을 평가받고 있는 조경가는?

  1. 루이스 바라간
  2. 가렛 에크보
  3. 단 카일리
  4. 벌 막스
(정답률: 47%)
  • 루이스 바라간은 멕시코의 풍토와 자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전통적인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성을 높이는 조경가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Andre Le Notre의 작품은?

  1. Central Park
  2. Villa Lante
  3. Taj Mahal
  4. Vaux-le-Viconte
(정답률: 81%)
  • Andre Le Notre의 작품은 "Vaux-le-Viconte"입니다. 이는 프랑스의 루앙에 위치한 궁전으로, Le Notre가 조경 디자인을 담당했습니다. 이 궁전은 프랑스 정원 양식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로, 대칭적인 구조와 대형 연못, 그리고 정교한 조경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동양에서 시를 짓고 풍류놀이인 곡수연(曲水宴)을 하게 된 직접적인 요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풍류를 좋아하는 민족성 때문이다.
  2. 산악지형의 자연스러움과 물의 성질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3. 왕희지의 난정고사에 근원을 두어 그 생활철학을 본받으려했기 때문이다.
  4. 자연적인 물의 흐름으로 음양사상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왕희지의 난정고사에 근원을 두어 그 생활철학을 본받으려했기 때문이다."입니다. 곡수연은 왕희지가 자신의 난정고사에서 즐겼던 풍류놀이를 모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곡수연은 왕희지의 생활철학을 따르고자 하는 시인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국 청대 원림의 특징 중 만수산 이궁와 관련 없는 사항은?

  1. 이화원
  2. 청의원
  3. 곤명호
  4. 어화원
(정답률: 54%)
  • 중국 청대 원림은 만수산 이궁, 청의원, 곤명호와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정원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러나 어화원은 청대 원림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곳의 정원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어화원"이 관련 없는 사항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국 명대(明代)말에 저술된 원야(園冶)에서 원림(園林)터 조성에 관해 설명한 부분은 다음 중 어느 부분인가?

  1. 상지(相地)
  2. 입기(立基)
  3. 옥우(屋宇)
  4. 철산(掇山)
(정답률: 59%)
  • 정답은 "입기(立基)"이다.

    원야에서는 원림터 조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기(立基)라고 강조하고 있다. 입기란 건축물이나 정원 등을 지을 때 그것을 지을 기초가 되는 땅의 상태를 말한다. 즉, 입기가 좋지 않으면 건축물이나 정원이 오래 가지 않을 뿐 아니라, 그것을 지을 때 드는 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원림터를 조성할 때에는 입기를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원야의 주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산지사찰인 화엄사(華嚴寺)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랑이 없는 점
  2. 입체적으로 형성된 공간구성
  3.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 아닌 점
  4. 계곡의 방향과 일치하는 동서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
(정답률: 44%)
  • 화엄사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 아닌 점이 아닌, 계곡의 방향과 일치하는 동서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이 틀린 설명입니다. 화엄사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못의 형태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선교장 - 방지방도
  2. 창덕궁 부용지 - 방지원도
  3. 윤중고택의 연못 - 방지원도
  4. 활래정 원지 - 방지원도
(정답률: 63%)
  • 정답은 "활래정 원지 - 방지원도"입니다. 이유는 활래정 원지는 사각형 모양의 연못인데, 방지원도가 중앙에서 나뉘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연못의 형태와 방지원도의 위치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20세기 초 미국의 레드번에서 영국의 하워드의 전원도시의 이상과 이념을 갖고 계획되었는데, 그 개념과 거리가 먼 사항은?

  1. 대가구(super block)를 설정
  2. 가로의 활성화를 위해 보도와 차도를 혼용
  3. 막다른 골목(cul-de-sac)의 설치로 근린성을 높이고 전원풍경을 창출
  4. 근린주구시설을 보도로써 연결
(정답률: 76%)
  • "가로의 활성화를 위해 보도와 차도를 혼용"은 전원도시의 개념과 거리가 먼 사항입니다. 전원도시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건강하고 평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보도와 차도를 혼용하는 것은 도시적인 특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전원도시의 이상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는 대가구를 설정하고 막다른 골목을 설치하여 근린성을 높이고 전원풍경을 창출하는 전원도시의 개념과는 대조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취병(翠屛)에 대한 설명 가운데 틀린 것은?

  1. 전통놀이 시설이다.
  2. 덩굴식물을 올려놓는 것이다.
  3. 서양의 트레리스와 비슷하다.
  4. 옥호정도에 그러져 있다.
(정답률: 73%)
  • 취병(翠屛)은 덩굴식물을 올려놓는 것으로 만든 구조물로, 전통놀이 시설이 아니라 정원 장식물이나 휴식공간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전통놀이 시설이다."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경회루 원지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경회루 진입 다리는 목교로 홍예형이다.
  2. 수원은 북쪽 호안가에 있는 샘이다.
  3. 출수구는 방지 서남쪽에 있다.
  4. 세섬에는 화목류로만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정답률: 55%)
  • 출수구는 경회루의 서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7세기 프랑스의 베르사이유 궁전 주축 끝 중요부분에 아폴로 분수(Fountain of Apollo)를 설치했는데 그 이유로서 가장 합당한 것은?

  1. 아폴로 조각이 그 장소에 합당
  2. 신화 속 아폴로의 의미 상징화
  3. 주축의 동경선(vista)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
  4. 유리의 방에서 왕자의 가로(Tapis vert) 이후 주축의 좋은 시계(view)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
(정답률: 64%)
  • 아폴로는 그리스 신화에서 예술, 음악, 예언, 태양 등의 신으로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베르사이유 궁전 주축 끝에 아폴로 분수를 설치함으로써,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아폴로의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전달하고자 했을 것입니다. 이는 궁전의 예술적 가치와 함께 주축의 동경선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과도 부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선시대 별서정원은 입지적 특성상 임수형과 내륙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내륙형 정원이 아닌 것은?

  1. 명옥헌
  2. 암서재
  3. 남간정사
  4. 서석지
(정답률: 42%)
  • 암서재는 조선시대에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정원으로, 내륙에 위치하지 않고 오히려 산중 지역에 위치하여 임수형 정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암서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랑스의 풍경식 정원이 아닌 것은?

  1. 프티 트리아농(Petir Trianon)
  2. 에르메농빌르(Ermeononville)
  3. 무스코(Muskau)성
  4. 말메종(Malmason)
(정답률: 74%)
  • 무스코(Muskau)성은 독일에 위치한 정원으로, 프랑스의 풍경식 정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곳은?

  1. Villa Lante
  2. Villa d'Este
  3. Villa Farnesiana
  4. Villa Medici
(정답률: 61%)
  • 보기에서 나타난 곳은 이탈리아의 "Villa d'Este"이다. 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정원 예술의 대표적인 예로, 수많은 분수와 조각으로 장식된 아름다운 정원으로 유명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클리포드(D. Clifford)의 주장에 의하면 어느 시대가 되어야 비로소 정원이 예술의 한 범주에 속하게 되었다고 하였는가?

  1. 고대 로마 제국 시대
  2. 10세기경 이슬람 대제국 시대
  3. 르네상스 시대
  4. 근대 산업혁명 시대
(정답률: 79%)
  • 클리포드는 정원이 예술의 한 범주에 속하려면 그것이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창조물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정원이 예술의 한 범주에 속하게 된 것은 인간의 창조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기 시작한 르네상스 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묵산수화 풍경을 묘사하고 원근법 원리를 잘 활용한 일본의 구상적 고산수식 정원은?

  1. 용안사 석정(石庭)
  2. 대덕사 대선원 동정(東庭)
  3. 은각사의 은사탄과 향월대
  4. 서본원사 호계(虎磎)의 정원
(정답률: 52%)
  • 일본의 구상적 고산수식 정원은 원근법 원리를 잘 활용하여 자연의 모습을 최대한 그대로 표현하고, 수묵산수화 풍경을 묘사합니다. 이 중에서도 대덕사 대선원 동정은 원근법을 이용하여 산과 물, 나무 등을 자연스럽게 배치하고, 수묵산수화 풍경을 잘 표현하여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대덕사 대선원 동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동야정원에 관련된 저서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계성은 원야에서 주인(조영자)보다 장인들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2. 산림경제 복거편에는 수목 식재방법이 소개된다.
  3. 양화소록은 조선시대 전기 조경관련 대표 저술서로 정원식물의 특성과 번식법 화분의 관리법 등이 소개된다.
  4. 홍만선(1643~1715)은 임원경제지리라는 농가생활에 필요한 백과전서를 소개했다.
(정답률: 62%)
  • 양화소록은 조선시대 전기 조경관련 대표 저술서로 정원식물의 특성과 번식법, 화분의 관리법 등이 소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대 로마 주택공간의 배치가 올바른 순으로 연결된 것은?

  1. Atrium → Peristylium → Xistus
  2. Atrium → Xistus → Peristylium
  3. Peristylium → Atrium → Xistus
  4. Peristylium → Xistus → Atrium
(정답률: 81%)
  • 고대 로마 주택의 일반적인 배치는 Atrium(안뜰) → Peristylium(주변뜰) → Xistus(뒷뜰)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Atrium은 주택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주요 생활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Peristylium은 Atrium 주변에 위치하며, 보다 개인적인 생활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Xistus는 주택의 뒷쪽에 위치하며, 더욱 개인적인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Atrium → Peristylium → Xistu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화암수록의 화목 9등품제에 기록된 석죽(石竹)의 또 다른 이름은?

  1. 작약
  2. 봉선화
  3. 옥잠화
  4. 패랭이꽃
(정답률: 54%)
  • 석죽은 패랭이꽃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석죽의 꽃이 작고 귀여워 패랭이의 모습과 닮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하워드(E. Howard)의 전원도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사가지의 형태는 방사환상형, 중심부에 공공시설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2. 하워드는 1903년 최초의 전원도시인 레치워드를 설계하였다.
  3. 위성도시의 발달은 하워드의 전원도시에서 유래하였다.
  4. 하워드는 전원도시의 수법을 도시, 전원, 전원도시의 3개의 자석(magnet)에 비유하였다.
(정답률: 61%)
  • "하워드는 1903년 최초의 전원도시인 레치워드를 설계하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E. Howard는 1898년에 Garden Cities of To-morrow라는 책에서 전원도시 개념을 제시하였고, 이후 1902년에 Letchworth Garden City를 설계하였습니다. 따라서 "1903년"이라는 연도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970년 네덜란드의 델프트시에서 최초로 등장한 보차공존 도로는?

  1. 커뮤니티 도로
  2. 본 엘프(Woonerf)
  3. 쿨데삿(cul-de-sac)
  4. 트랜짓몰(transit mall)
(정답률: 53%)
  • 본 엘프(Woonerf)는 차량과 보행자, 자전거 등이 공존하는 도로로, 차량 운전자들은 보행자와 자전거를 우선시하며 속도를 제한해야 합니다. 이는 커뮤니티 도로와 유사하지만, 본 엘프는 보행자와 자전거 우선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쿨데삿(cul-de-sac)은 막다른 골목길을 의미하며, 트랜짓몰(transit mall)은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한 상업지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공동주택의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높이제한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것은?

  1. 하지, 9~15
  2. 하지, 10~16
  3. 동지, 9~15
  4. 동지, 10~16
(정답률: 61%)
  • 공동주택의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해 높이제한이 필요한데, 이 때 동서방향으로 인접한 건물과의 간격이 일정 이상 확보되어야 합니다. 이 간격은 건물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9층부터 15층까지의 건물에 대해서만 동서방향으로 인접한 건물과의 간격이 충족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지, 9~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고속도로조경 계획시 가용노선 선정의 고려사항을 도로이용도와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음 중 기술적 측면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1. 직선도로를 유지하도록 노선을 선정한다.
  2.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3. 오르막 구배가 너무 급하게 되면 우회노선을 선정한다.
  4. 토량 이동(절ㆍ성토)이 균형을 이루는 노선을 선정한다.
(정답률: 76%)
  •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 이유: 고속도로는 차량의 빠른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도로이므로, 운수속도가 빠른 노선을 선택하여 차량의 빠른 이동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항목들은 모두 기술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직선도로를 유지하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오르막 구배가 너무 급하면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우회노선을 선택해야 하며, 토량 이동(절ㆍ성토)이 균형을 이루는 노선을 선택하면 지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어떤 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2.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ㆍ식물이 서식ㆍ 도래하는 지역
  3. 특이한 경관적ㆍ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4. 습지생태계의 보전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지역
(정답률: 72%)
  • 정답은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입니다. 이유는 이미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은 보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전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지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상 자전거 도로의 폭은 하나의 차로를 기준으로 몇 미터 이상으로 하는가? (단, 지역의 상황 등에 따라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1.25m
  2. 1.5m
  3. 1.95m
  4. 3.0m
(정답률: 81%)
  • 자전거 도로의 폭은 최소 1.5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기준이며, 자전거 도로가 차량 도로와 병행되는 경우에는 차량과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1.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체육공원에 설치할 수 없는 공원시설은?

  1. 야영장
  2. 경로당
  3. 낚시터
  4. 폭포
(정답률: 60%)
  • 체육공원은 체육활동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는 공원으로, 경로당은 체육활동과는 관련이 없는 사회복지시설이기 때문에 체육공원에 설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로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축척이 1/50000인 지형도의 어떤 사면경사를 알기 위해 측정한 계측선 간의 도상 수평 최단거리가 1.4cm 이었을 때 이 두점의 사면 경사도는?

  1. 약 8%
  2. 약 10%
  3. 약 14%
  4. 약 20%
(정답률: 65%)
  • 1cm 당 지도상 거리는 50000cm(=500m)이므로, 실제 거리는 50000cm × 1.4cm = 70000cm(=700m)이다. 이 두 점 사이의 수직 거리는 사면 경사도와 수평 거리의 비율인 사인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사면 경사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면 경사도 = (수직 거리 / 수평 거리) × 100%
    = (70000cm × 사인(사면각)) / 1.4cm × 100%
    = 50000 × 사인(사면각) × 100%

    여기서, 사인(사면각)은 약 0.14이므로, 사면 경사도는 약 14%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경계획을 위한 부지조사시 인문환경 조사항목에 속하는 것은?

  1. 지질
  2. 경관
  3. 토양
  4. 토지이용
(정답률: 75%)
  • 토지이용은 조경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부지의 용도와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인문환경 조사항목에 속합니다. 다른 보기인 지질, 경관, 토양은 부지의 지리적 특성과 자연환경적 요소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조경계획 및 설계 과정의 특성 중 잘못된 것은?

  1. 조경계획 과정은 크고 작은 의사결정 과정의 연속이다.
  2.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합리적인 과정을 거친다.
  3. 창의적인 사고를 통하여 창조적 형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거친다.
  4. 창의적인 과정과 합리적인 과정이 상호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창의적인 과정과 합리적인 과정이 상호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이다. 이유는 조경계획 및 설계 과정에서 창의적인 과정과 합리적인 과정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진행된다. 창의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검토하고 구체화하여 최종적으로 실현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조경계획 및 설계 과정의 특성이다. 따라서 창의적인 과정과 합리적인 과정은 상호 의존적이며,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도시개발의 조절
  2. 도시환경의 질 개선
  3. 다양한 형태의 문화생활의 억제
  4. 경작지 제공을 통한 도시농업 가능
(정답률: 74%)
  • 다양한 형태의 문화생활의 억제는 오픈스페이스의 역할로 부적합한 것이다. 오픈스페이스는 도시개발의 조절, 도시환경의 질 개선, 경작지 제공을 통한 도시농업 가능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형태의 문화생활을 억제하는 것은 그 역할과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오픈스페이스는 오히려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해안 및 해상을 주제로 지정된 국립공원은 몇 개소인가?

  1. 2개소
  2. 3개소
  3. 4개소
  4. 5개소
(정답률: 56%)
  •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해안 및 해상을 주제로 지정된 국립공원은 4개소이다. 이는 강원도 속초 해돋이 공원, 경상북도 울릉도/독도 국립공원, 전라남도 무등산 국립공원, 제주도 성산일출봉 국립공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기존의 레크레이션으로 기회에 참여 또는 소비하고 있는 수요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잠재수요
  2. 유도수요
  3. 유효수요
  4. 표출수요
(정답률: 66%)
  • 기존의 레크레이션으로 이미 참여하거나 소비하고 있는 수요를 "표출수요"라고 한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존의 시장에서 이미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수요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표출수요"인 이유는 이미 존재하는 수요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shihara는 사람의 키에 대한 벽면이나 구조물의 높이에 의해서 폐쇄성이 결정된다고 했다. 다음 중 시각적으로 공간의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폐쇄성을 가질 정도는 되지 않으며, 기대앉고 싶은 정도인 것은?

  1. 180cm
  2. 150cm
  3. 120cm
  4. 60cm
(정답률: 57%)
  • 시각적으로 공간의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폐쇄성을 가질 정도는 되지 않으며, 기대앉고 싶은 정도는 60cm이다. 즉, 60cm는 충분히 높이가 낮아서 시야가 막히지 않으면서도 기대앉을 수 있는 정도이기 때문이다. 180cm, 150cm, 120cm는 높이가 높아서 시야가 막히기 때문에 폐쇄성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엔트로피(entropy)와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엔트로피란 변환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용할 수 없는 에너지의 척도이다.
  2. 엔트로피는 에너지 붕괴와 관련된 무질서도의 일반적인 지표로소 사용된다.
  3. 엔트로피 법칙은 어떤 에너지 변환도 집중형에서 분산형으로의 에너지의 쇠퇴 이외에는 자발적인 변환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엔트로피 법칙은 다른 말로 열역학 제1법칙이라고 표현한다.
(정답률: 63%)
  • "엔트로피 법칙은 다른 말로 열역학 제1법칙이라고 표현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엔트로피 법칙은 열역학 제2법칙으로도 불리며,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대안 작성시 고려할 대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공의 경제성
  2. 공간의 합리성
  3. 토지의 기능성
  4. 설계의 편의성
(정답률: 64%)
  • 설계의 편의성은 다른 대안들과 달리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고려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대안들과는 거리가 먼 대상이다.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사용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인기도와 성공에 직결된다. 따라서 설계의 편의성은 중요한 대안 고려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로조경에서 교량부근의 계획수법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진출부근에 명암순응식재
  2. 진출부근에 지표식재
  3. 곡선부 교량에는 배경에 교목식재
  4. 교대(橋臺)와 사면에는 침입방지식재
(정답률: 53%)
  • 진출부근에 명암순응식재는 교량 부근의 조명 계획에 관련된 것이며, 도로조경에서 교량 부근의 계획수법과는 관계가 가장 먼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교량 부근의 경관을 보호하거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수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관리지역을 구분, 지정하여 도시 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없는 지역은?

  1. 보전관리지역
  2. 경관관리지역
  3. 생산관리지역
  4. 계획관리지역
(정답률: 44%)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관리지역을 구분, 지정하여 도시 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없는 지역은 경관관리지역입니다. 이는 자연환경이나 문화유산 등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지역으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소멸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정됩니다. 따라서 도시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자연환경과 문화유산 등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 경관관리지역은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소요되는 상업지역의 면적은 얼마인가?

  1. 15ha
  2. 20ha
  3. 150ha
  4. 200ha
(정답률: 33%)
  • 주어진 지도에서 상업지역으로 지정된 부분은 총 3개이다. 이들의 면적을 각각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왼쪽 위: 가로 300m, 세로 200m 이므로 면적은 60,000㎡ = 6ha
    - 오른쪽 위: 가로 200m, 세로 200m 이므로 면적은 40,000㎡ = 4ha
    - 아래: 가로 400m, 세로 200m 이므로 면적은 80,000㎡ = 8ha

    따라서, 총 상업지역의 면적은 6ha + 4ha + 8ha = 18ha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ha" 가 아닌 "18ha" 가 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5ha" 이므로 정답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기능적 위계가 큰 도로의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주간선도로 - 보조간선도로 - 국지도로 - 집산도로
  2. 집산도로 - 주간선도로 - 국지도로 - 보조간선도로
  3. 주간선도로 - 보조간선도로 - 집산도로 - 국지도로
  4. 주간선도로 - 집산도로 - 보조간선도로 - 국지도로
(정답률: 62%)
  • 정답은 "주간선도로 - 보조간선도로 - 집산도로 - 국지도로" 입니다.

    주간선도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간의 교통을 담당하는 중요한 도로이며, 보조간선도로는 지방 도시와 시골 지역을 연결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집산도로는 지방 도시 내부의 교통을 담당하며, 국지도로는 도시 내부의 작은 도로로서 주로 주택가나 상업지역을 연결합니다. 따라서, 주간선도로부터 국지도로까지 기능적 위계가 작아지는 순서로 나열된 보기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조경설계기준상 토지이용 상충지역 완충녹지의 설계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충녹지의 폭원은 최소 20m를 확보한다.
  2. 재해 발생시의 피난지로서 설치하는 녹지는 교목식재를 하고, 전체 녹화 면적률이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3. 임해매립지의 방풍ㆍ방조녹지대의 폭원은 200~300m를 확보한다.
  4. 보안, 접근 억제, 상충되는 토지이용의 조절 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녹지는 교목, 관목 또는 잔디, 기타 지피식물을 재식하고 녹화면적률이 80% 이상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62%)
  • 완충녹지의 설계 기준 중 "재해 발생시의 피난지로서 설치하는 녹지는 교목식재를 하고, 전체 녹화 면적률이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완충녹지는 주로 홍수, 산사태 등의 재해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녹지로, 이러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녹지는 교목식재보다는 잔디나 지피식물 등을 심어 전체 녹화 면적률을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재해 발생시의 피난지로서 설치하는 녹지는 교목식재를 하고, 전체 녹화 면적률이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는 옳지 않은 설계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1/5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

  1. 5m
  2. 10m
  3. 20m
  4. 50m
(정답률: 56%)
  • 1/5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 5m이다. 이는 지형도의 축척이 1:5000 이므로 1cm가 실제 세계에서 5000cm(50m)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cm를 5000등분하여 1등분의 길이가 1/5000cm(0.02mm)이 되며, 이를 5등분하여 주곡선의 간격이 5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갈을 나타내는 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는?

(정답률: 73%)
  • 자갈은 둥근 모양의 작은 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돌들은 서로 간격이 있어서 단면에서는 점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자갈을 나타내는 재료 단면의 경계는 점으로 표시되어야 하므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ynch의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인 요소로만 구성된 것은?

  1. path, skyline, form
  2. edge, district, skyline
  3. node, landmark, form
  4. path, edge, landmark
(정답률: 74%)
  • Lynch의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인 요소는 경로(path), 경계(edge), 그리고 랜드마크(landmark)로 구성되어 있다. 경로는 도시 내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하며, 경계는 도시의 외곽이나 구역을 나누는 경계를 의미한다. 랜드마크는 도시 내에서 특별한 의미나 중요성을 가지는 건물이나 장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요소들이 모여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교통표지판은 주로 색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시인성
  2. 관습성
  3. 대비성
  4. 잔상성
(정답률: 72%)
  • 교통표지판은 시인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시인성은 색의 선명도와 밝기를 이용하여 빠르게 인식할 수 있는 성질이다. 교통표지판은 길가에서 빠르게 인식해야 하므로 시인성을 이용하여 색을 선택하고 배치한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위험을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되고, 노란색은 주의를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색의 시인성은 운전자들이 빠르게 인식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프로킨예 현상으로 밝은 곳에서 가장 밝게 느껴지는 색은?

  1. 노랑
  2. 보라
  3. 파랑
  4. 청록
(정답률: 56%)
  • 프로킨예 현상은 빛의 파장이 눈의 망막에 도달할 때 빛의 파장이 강도가 가장 큰 색으로 인식되는 현상입니다. 이 때, 노란색은 파장이 가장 길고 강도가 높아서 가장 밝게 느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도의 치수기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는 표시한다.
  2. 치수 기입은 치수선 중앙 윗부분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3.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쓴다.
  4. 치수의 단위는 cm를 원칙으로 하고, 이 때 단위기호는 쓰지 않는다.
(정답률: 74%)
  • "치수의 단위는 cm를 원칙으로 하고, 이 때 단위기호는 쓰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치수의 단위는 cm일 때 단위기호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 아니라, 단위기호를 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단위기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안전색채에서 안전색이 나타내는 일반적 의미로 맞는 것은?

  1. 빨강 : 정지, 주의
  2. 녹색 : 안전, 위생
  3. 노랑 : 주의, 위험
  4. 파랑 : 지시, 금지
(정답률: 53%)
  • 녹색은 자연에서 많이 나타나는 색으로서, 우리에게 안전하고 평화로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안전과 관련된 신호등이나 표지판 등에서 안전을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녹색은 청결하고 위생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서 음식점이나 식품 관련 업종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녹색은 안전과 위생을 나타내는 색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파트 외곽 담장은 Altman이 구분한 인간의 영역중에 어느 영역에 구분하고 있는가?

  1. 1차영역과 2차영역
  2. 2차영역과 공적영역
  3. 1차영역과 공적영역
  4. 해당되는 영역이 없다.
(정답률: 57%)
  • 아파트 외곽 담장은 개인의 생활 공간인 1차영역에 속하지 않으며, 또한 공공의 공간인 공적영역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2차영역과 공적영역에 해당됩니다. 2차영역은 개인의 생활 공간과 공공의 공간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대를 의미하며, 이 지역은 보통 개인의 소유가 아닌 공동 소유로 관리됩니다. 따라서 아파트 외곽 담장은 이러한 2차영역과 공적영역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조경설계기준상 경사로 설계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경사로의 종단기울기는 1/18 이하로 한다.(단, 지형조건이 합당한 경우)
  2. 연속경사로의 길이 50m 마다 1.2m × 3m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3. 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는 경사로의 유효폭은 100cm가 적당하다.
  4. 바닥 표면은 휠체어가 잘 미끄러질 재료를 채용하고, 울퉁불퉁하게 마감한다.
(정답률: 70%)
  •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경사로의 종단기울기를 1/18 이하로 하는 것은, 경사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경사로의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휠체어나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용하기 어렵고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사로 설계 시 종단기울기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어떤 물체를 제 3각법으로 투상했을 때 평면도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61%)
  • 정답은 ""이다.

    제 3각법으로 투상하면 원래 물체의 선분이 평행선으로 유지되며, 선분의 길이 비율도 유지된다. 따라서 원래 물체에서 수직인 선분은 투영면에서도 수직이며, 길이 비율도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이 올바른 평면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노외주차장의 설치에 대한 계획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53%)
  • 주차면수 계산식은 "주차면적 ÷ 주차면적당 필요면수" 이다. 따라서 이 주차장의 주차면적인 1,000㎡을 20㎡/대의 주차면적당 필요면수로 나누면 50대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먼셀시스템에서 10가지 기본 색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Blue
  2. Green
  3. Red-Purple
  4. Yellow-Blue
(정답률: 56%)
  • 먼셀시스템에서 10가지 기본 색상은 "Blue", "Green", "Red", "Yellow", "Orange", "Purple", "Pink", "Turquoise", "Lime", "Lavender" 이다. 따라서 "Yellow-Blue"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먼셀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색상 모델이 RGB(빨강, 초록, 파랑)이기 때문이다. "Yellow-Blue"는 RGB 모델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색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형미의 원리 중 통일감이 부족하거나 평범한 분위기를 생기롭게 해주는 원리는?

  1. Proportion
  2. accent
  3. contrast
  4. balance
(정답률: 59%)
  • "Accent" 원리는 디자인 요소 중 하나를 강조하여 분위기를 생생하게 만들어주는 원리입니다. 이것은 디자인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눈에 띄는 요소를 강조하여 디자인의 흥미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통일감이 부족하거나 평범한 분위기를 생기롭게 해주는 원리는 "acce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진 및 슬라이드를 이용한 경관평가의 장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시간 및 노력의 절약
  2. 관찰시간의 통제
  3. 관찰 조건 통제의 용이성
  4. 스케일감 및 입체감의 파악
(정답률: 58%)
  • 사진 및 슬라이드를 이용한 경관평가는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스케일감 및 입체감의 파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실제 현장에서 경관을 직접 관찰하는 것과는 달리, 사진이나 슬라이드에서는 거리나 높이 등의 크기와 깊이감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황금분할(golden section)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1. 이 비율을 응용으로 달팽이 등의 성장곡선을 작도 할 수 있다.
  2. 항수는 1 + √5 또는 √5 구형으로 작도할 수 있다.
  3. 피보나치(Fibonacci) 급수와는 유사하다.
  4. 하나의 선분을 대소 두 개의 선으로 나눌 때 큰 것과 작은 것의 길이의 비가 전체와 큰 것의 길이 비와 동일하다.
(정답률: 66%)
  • 항수는 1 + √5 또는 √5 구형으로 작도할 수 있다.라는 설명이 옳지 못하다. 항수는 1 + √5 또는 1 - √5로 구성되며, 이는 제곱근을 포함한 형태이다. 따라서 구형으로 작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비율은 하나의 선분을 대소 두 개의 선으로 나눌 때 큰 것과 작은 것의 길이의 비가 전체와 큰 것의 길이 비와 동일하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달팽이 등의 성장곡선을 작도할 수 있다. 또한, 피보나치(Fibonacci) 급수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옹벽이나 급경사지 등 추락 위험이 있는 놀이터, 휴게소, 산책로에 안전난간을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중 안전난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조경설계기준을 적용한다.)

  1. 폭은 10cm 이상으로 한다.
  2.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90cm 이하로 한다.
  3. 위험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는 간살의 간격은 안목치수 10cm 이하로 한다.
  4. 철근콘크리트 또는 강도 및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설계한다.
(정답률: 66%)
  •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90cm 이하로 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이는 조경설계기준에서 안전난간의 높이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다. 안전난간은 추락 위험이 있는 곳에 설치되므로, 높이를 제한하여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90cm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어린이가 이를 넘어서는 높이에서 추락하면 심각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건축물의 지상에 설치하여야 하는 조경 면적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m2
  2. 15m2
  3. 30m2
  4. 70m2
(정답률: 36%)
  • 건축물의 지상에 설치되는 조경 면적은 건축물의 크기와 사용 용도에 따라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건축물의 면적이 30m2 이하이고,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이므로 조경 면적은 최소 15m2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색의 명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1. 색상차
  2. 질감차
  3. 명도차
  4. 채도차
(정답률: 59%)
  • 색의 명시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색의 밝기와 어둡기의 차이인 명도차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다른 보기들인 색상차, 질감차, 채도차는 모두 색의 다른 특성을 나타내지만, 명도차는 색의 밝기와 어둡기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색의 명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등고선과 단면의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9%)
  • 정답은 ""이다. 등고선은 같은 고도를 나타내는 선이므로, 단면에서는 서로 교차하지 않고 평행하거나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등고선이 단면에서 교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식물은?

  1. 맥문동
  2. 꽃창포
  3. 노루귀
  4. 털머위
(정답률: 65%)
  • 보기에서 제시된 네 가지 식물 중에서 "맥문동"은 유일하게 물 속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이는 물고기와 함께 맥문동이 자라는 것으로 보아, 이 식물이 맥문동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0.2N/m2와 0.1N/m2의 음압을 발생하는 음원에 접근하여 방음식재를 한 결과 소음이 감쇠되어 수음점에서는 50dB의 음압도를 나타냈다. 수림대에 의해 감쇠된 소음은 몇 dB인가? (단, 두 음압이 상호간에 간섭이 없는 조건으로 한다.)

  1. 11dB
  2. 21dB
  3. 31dB
  4. 41dB
(정답률: 33%)
  • 음압의 크기는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음압이 0.2N/m2에서 0.1N/m2로 감소하면 약 6dB의 음압 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음식재에 의해 감쇠된 소음은 50dB - 6dB = 44dB이다. 그러나, 이는 수림대에 의해 감쇠된 소음이 아니라 방음식재에 의해 감쇠된 소음이다. 수림대에 의해 감쇠된 소음은 방음식재에 의해 감쇠된 소음보다 더 많이 감쇠되기 때문에, 수림대에 의해 감쇠된 소음은 44dB보다 더 큰 값이다. 따라서, "31dB"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을이 되면 잎이 크산토필(xanthophyll) 등을 포함하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에 의하여 색깔이 변하는 수종은?

  1. 화살나무
  2. 은행나무
  3. 붉나무
  4. 마가목
(정답률: 62%)
  • 가을이 되면 일부 나무들은 엽록소(chlorophyll)를 분해하면서 잎의 녹색이 사라지고, 그 아래에 숨어있던 다른 색소들이 드러나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는 노란색, 주황색, 갈색 등의 색을 띠게 됩니다. 이러한 색소를 가진 나무 중에서는 "은행나무"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자연풍경식의 식재 수법으로 많이 이용되는 형식은?

  1. 정삼각형식
  2. 이등변삼각형식
  3. 일직선의 3본형형식
  4. 부등변삼각형식
(정답률: 73%)
  • 자연풍경식의 식재 수법에서는 대개 나무를 심을 때 부등변삼각형식을 많이 이용합니다. 이는 나무가 자라면서 가지치기를 하거나, 나무의 뿌리가 자라면서 다른 나무와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부등변삼각형식은 한쪽 변이 길고 다른 두 변이 짧은 형태로 나무를 심으면, 나무들이 서로 겹치지 않고 자라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생존최소조도가 500Lux 정도로 가장 낮은 실내 식물은?

  1. 아스파라거스
  2. 맥문동
  3. 벤자민고무나무
  4. 테이블야자
(정답률: 49%)
  • 생존최소조도가 500Lux 정도인 것은 실내에서도 비교적 어두운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식물이다. 그 중에서도 테이블야자는 그렇게 어두운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 중 하나이다. 따라서 테이블야자가 가장 낮은 생존최소조도를 가진 실내 식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하기(夏期)의 더위에 견디는 힘이 가장 좋은 것은?

  1. Zoysia grass 류
  2. Bent grass 류
  3. Kentucky bluegrass 류
  4. Ryegrass 류
(정답률: 63%)
  • "Zoysia grass 류"는 더위와 건조에 강하며, 뿌리가 깊어 물을 잘 저장할 수 있어서 더위에 견디는 힘이 가장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수목 중 학명이 틀린 것은?

  1. 박태기 나무 : Cercis chinensis Bunge
  2. 갈참나무 : Quercus aliena Blume
  3. 은단풍 : Acer pictum L.
  4. 모과나무 : Chaenomeles sinensis Koehne
(정답률: 54%)
  • 은단풍의 학명은 "Acer pictum Thunb." 이지만 보기에서는 "L."로 잘못 기재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경사면(法面) 피복용 초본류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건조와 척박지의 상황에 잘 견뎌야 한다.
  2. 단기간 내 발아와 피복이 가능해야 한다.
  3. 건조에 견디게 하기 위해 심근성 초본류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4. 토착종의 종자는 생태계곤란의 우려가 있어 피해야 한다.
(정답률: 65%)
  • "토착종의 종자는 생태계곤란의 우려가 있어 피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오히려 토착종의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지역 생태계에 더 적합하고 지속 가능한 피복을 만들어낼 수 있다. 토착종의 종자는 지역 생태계에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는 종자보다 더 건강하고 강한 피복을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토착종의 종자를 사용함으로써 지역 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어린이놀이터 모래놀이터 근처에 식재하기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Gleditsia japonica
  2. Pyracantha angustifolia
  3. 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4. Poncirus trifoliata
(정답률: 52%)
  • 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꽃이 아름다워 시각적인 효과도 높은 수종입니다. 따라서 어린이놀이터 모래놀이터 근처에 식재하기 가장 적합한 수종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조경 수종의 특성을 감안한 이용법으로 옳은 것은?

  1. Ginkgo biloba - 내공해성 - 가로수용
  2. Acer palmatum - 내화성 - 생울타리용
  3. Abies holophylla - 내건성 - 공장 군식용
  4. Lagerstroemia indica - 내한성 - 방설용
(정답률: 61%)
  • "Ginkgo biloba - 내공해성 - 가로수용"은 내공해성이 강하고 가로수용으로 적합한 나무이기 때문이다. 내공해성이란 토양의 염분, 독소 등을 제거하는 능력을 말하며, 도시환경에서는 이러한 능력이 중요하다. 또한 가로수용으로 적합한 이유는 Ginkgo biloba가 느린 성장 속도와 함께 아름다운 노란색의 가을 잎을 가지고 있어 가로수로 인기가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총상화서의 흰색 꽃이 5월경에 피는 속성 공원수로서 공해(대기오염)에 대해 강한 수종은?

  1. Prunus padus L. for. padus
  2. Prunus sargentii Rehder
  3. Lindera obtusiloba Bl.
  4.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정답률: 41%)
  • 정답은 "Prunus padus L. for. padus" 입니다. 이는 총상화서의 흰색 꽃이 5월경에 피는 속성 공원수로서 공해(대기오염)에 대해 강한 수종이기 때문입니다. Prunus padus L. for. padus는 대기오염에 강하며, 물이 잘 통하는 토양에서 잘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공원 등에서 많이 심어지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토탄(土炭)이라고도 불리며, 한냉한 곳의 습지에 생육하는 갈대나 이끼가 흙 속에 묻혀 저온으로 인해 썩지 않고 반 가량 탄소화된 것을 캐올려 말린 경량토는?

  1. 피트(peat)
  2. 클링커(clinker)
  3. 펄라이트(pearlite)
  4.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정답률: 58%)
  • 토탄은 습지에서 생육한 식물이 썩지 않고 탄소화된 것이며, 이를 캐올려 말린 경량토를 말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연료나 토양 개량재로 사용되며,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피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설명하는 수종은?

  1. 월계수
  2. 박태기나무
  3. 계수나무
  4. 다정큼나무
(정답률: 55%)
  • 이 나무는 잎이 끝이 뾰족하고 길쭉한 형태를 띠며, 잎의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계수나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조경수를 중 양수끼리만 짝지어진 것은?

  1. 낙엽송, 소나무, 자작나무, 오동나무
  2. 독일가문비나무, 매화나무, 아왜나무, 미선나무
  3. 충층나무, 태산목, 구상나무, 꽝꽝나무
  4. 쪽동백나무, 개비자나무, 회양목, 팔손이
(정답률: 54%)
  • "낙엽송, 소나무, 자작나무, 오동나무"는 모두 나무이며, 이 중에서 양수는 "소나무"와 "자작나무"입니다. 따라서 "소나무"와 "자작나무"를 짝지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질소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되는 질소고정(nitrogen fixation)을 할 수 있는 수목으로 적합하지 않는 종은?

  1. Sorbus alnifolia K.Koch
  2. Pureraria lobata Ohwi
  3. Elaegnus umbellata Thunb.
  4. Alnus japonica Steud.
(정답률: 39%)
  • "Sorbus alnifolia K.Koch"는 질소고정 능력이 없는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종은 식물이 질소를 이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생울타리 및 차폐용 수종의 구비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지엽이 치밀할 것
  2. 아래가지가 오래도록 말라죽지 않을 것
  3. 맹아력이 강할 것
  4. 지하고가 높을 것
(정답률: 71%)
  • 생울타리 및 차폐용 수종은 지하부위가 발달하여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야 하므로 지하고가 높을 것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지하고가 높으면 뿌리가 깊게 파고들기 어렵고, 나무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하고가 높을 것"은 적합하지 않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열매 중 분포영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바람 등의 물리적인 힘을 빌려 멀리 뻗어 가기 가장 어려운 것은?

  1. 시(翅)과류
  2. 장(裝)과류
  3. 협(莢)과류
  4. 수(수)과류
(정답률: 50%)
  • 장과류는 열매가 크고 무거워서 바람 등의 물리적인 힘이 작용해도 멀리 뻗어나가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분포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다른 열매들보다 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시과류나 협과류는 가벼운 열매를 가지고 있어서 바람 등의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면 쉽게 멀리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수과류는 물 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방풍식재(防風植栽)를 했을 경우 방품림 후면은 풍속이 급격히 떨어지는데 임대(林帶)의 밀도가 최적(最適)일 때 풍속이 최저로 떨어지는 구간은? (단, 바람 위쪽에 대한 수고 기준으로 한다.)

  1. 수고의 5~10배 까지의 구간
  2. 수고의 10~15배 까지의 구간
  3. 수고의 10~20배 까지의 구간
  4. 수고의 20~25배 까지의 구간
(정답률: 41%)
  • 방풍식재를 심으면 바람이 나무를 통과할 때 나무 주변의 공기가 방풍식재를 통해 느려지고, 그로 인해 나무 뒷면에서는 바람이 더 느려지게 된다. 이 때, 나무의 밀도가 적당하게 높아야 효과적인 방풍이 가능하다.

    그러나 나무의 밀도가 너무 높으면 바람이 나무를 통과할 때 나무 주변의 공기가 느려지는 것보다 나무를 통과하는 바람의 저항이 더 커져서 효과적인 방풍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나무의 밀도가 최적일 때 바람이 가장 느려지는 구간은 수고(樹高)의 5~10배 까지의 구간이다.

    수고가 높을수록 나무 주변의 공기가 느려지는 영향이 더 커지기 때문에, 수고의 10~15배 까지의 구간에서도 바람이 느려지지만, 나무의 밀도가 너무 높아져서 방풍 효과가 떨어지는 구간이 생긴다. 수고가 더 높아질수록 이 구간은 더 넓어진다. 따라서, 수고의 10~20배 까지의 구간에서는 방풍 효과가 떨어지는 구간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수고의 20~25배 까지의 구간에서는 나무의 밀도가 너무 높아져서 방풍 효과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바람이 느려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수목명, 학명 및 영명의 연결이 서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용 - Hibiscus syriacus-Victor s Laurel
  2. 화살나무 - Euonymus alatus-Winged spindletree
  3. 가죽나무 - Ailanthis altissima-tree of Heaven
  4. 미선나무 - Abeliophyllum distichum-white Forsythia
(정답률: 55%)
  • 부용은 Hibiscus syriacus의 한국어 명칭이며, Victor's Laurel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식물의 영명입니다. 따라서 "부용 - Hibiscus syriacus-Victor's Laurel"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자귀나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학명은 Albizia julibrissin Durazz.
  2. 삽목, 접목을 통해서 번식한다.
  3. 잎은 어긋나기하며, 짝수 2회 깃모양겹잎이다.
  4. 열매는 길이 15cm 정도의 편평한 협과에 5~6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정답률: 38%)
  • 자귀나무는 씨앗을 통해서 번식하는 것이 맞으며, 삽목과 접목은 번식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삽목, 접목을 통해서 번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삽목은 가지나 줄기 등을 잘라서 뿌리 내리는 것이고, 접목은 다른 나무의 줄기에 자귀나무를 이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시공계획 결정과정에서 검토할 중심과제가 아닌 것은?

  1. 입찰서
  2. 기본공정표
  3. 현장의 공사조건
  4. 발주자가 제시한 계약조건
(정답률: 63%)
  • 입찰서는 시공계획 결정과정에서는 검토할 중심과제가 아닙니다. 입찰서는 입찰자가 제출하는 문서로, 계약 체결 이전에 발주자가 입찰자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검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시공계획 결정과정에서는 입찰서보다는 기본공정표, 현장의 공사조건, 발주자가 제시한 계약조건 등이 중요한 검토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부지의 정지계획은 다양한 기능적ㆍ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중 기능적인 목적이 아닌 것은?

  1. 지형침식 상태를 해결한다.
  2. 부지내의 배수상태를 조정한다.
  3. 계곡, 산복, 급경사지 등의 불리한 지형을 개량한다.
  4. 평탄한 대지에 자연적으로 흥미 있는 관심을 제공한다.
(정답률: 71%)
  • "평탄한 대지에 자연적으로 흥미 있는 관심을 제공한다."는 미적인 목적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기능적인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공사계약방식 중 공사수행방식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턴키계약
  2. 설계ㆍ시공일괄계약
  3. 설계ㆍ시공분리계약
  4. 실비정산보수가산계약
(정답률: 49%)
  • 실비정산보수가산계약은 공사수행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계약금액 결정 방식에 따른 분류이다. 이 방식은 공사비용이 예산을 초과할 경우 추가비용을 실비로 정산하는 방식으로 계약금액이 유동적으로 변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어떤 결과(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요인)과 그 결과와의 관계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한 그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산점도
  2. 상관도
  3. 파레토도
  4. 특성요인도
(정답률: 63%)
  • 정답은 "특성요인도"이다. 특성요인도는 어떤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그 요인들과 결과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그림이다. 즉, 결과와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그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외관이 수려하나 함유광물의 열팽창 계수가 달라 내화성이 약한 석재로 외장, 내장, 구조재, 도로 포장재, 콘크리트 골재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대리석
  2. 응회암
  3. 화강암
  4. 화산암
(정답률: 72%)
  • 화강암은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하기에 내구성과 강도가 뛰어나며, 외관이 수려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함유광물의 열팽창 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내화성이 약한 석재로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내장, 외장, 구조재, 도로 포장재, 콘크리트 골재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은 화강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보에 걸리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한 해설로 옳은 것은?

  1. 보의 상부는 인장력, 하부는 압축력을 받으며, 부(-)의 힘으로 작용한다.
  2. 보의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받으며, 부(-)의 힘으로 작용한다.
  3. 보의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받으며, 정(+)의 힘으로 작용한다.
  4. 보의 상부는 인장력, 하부는 압축력을 받으며, 정(+)의 힘으로 작용한다.
(정답률: 49%)
  • 보의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받으며, 정(+)의 힘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보가 하중을 받으면 상부는 압축력이 발생하고, 하부는 인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보의 상부와 하부는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을 받게 되는데, 이는 보의 중립면에서 발생하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의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받으며, 정(+)의 힘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목재의 탄성적 성질의 영향인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함수율이 감소되면 탄성계수는 작아진다.
  2. 탈리그닌화된 목섬유와 같이 리그닌이 없는 식물체는 강성이 작다.
  3. 목재비중이 커지면 외력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므로 탄성계수는 목재비중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4. 옹이가 꺼지는 영향은 옹이의 수, 크기 및 분포위치에 따라 달라지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어렵다.
(정답률: 37%)
  • "함수율이 감소되면 탄성계수는 작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함수율이 감소하면 목재 내부의 공극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탄성계수가 작아지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골재의 함수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 중 건조상태 : 실내에 방치한 경우 골재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한 상태
  2. 습윤상태 : 골재입자의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고, 표면에도 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
  3. 절대건조상태 : 대기 중에서 골재의 표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
  4. 표면건조포화상태 : 골재입자의 표면에 물은 없으나 내부의 공극에는 물이 꽉 차 있는 상태
(정답률: 51%)
  • "절대건조상태 : 대기 중에서 골재의 표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절대건조상태는 골재입자의 내부와 표면 모두에서 물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대기 중에서 골재의 표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가 아니라, 내부와 표면 모두에서 물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도로 설계시 곡선부가 원곡선일 경우 중앙종거의 값은? (단, 곡선반경이 100m, 교각(交角)이 60° 임)

  1. 약 13.40m
  2. 약 26.80m
  3. 약 40.20m
  4. 약 50.00m
(정답률: 22%)
  • 중앙종거의 값은 곡선반경과 교각(交角)에 따라 결정된다. 곡선반경이 100m이고 교각(交角)이 60°이므로, 중앙종거의 값은 곡선반경의 1/6배가 된다. 따라서 중앙종거의 값은 100m/6 = 약 16.67m이 된다. 하지만, 실제 도로 설계에서는 중앙종거의 값에 여유를 두기 위해 약간의 보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정답은 "약 13.4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표준테이프보다 5mm가 긴 50m 테이프로 잰 거리가 150m 이었다면 정확한 실제거리는?

  1. 149.985m
  2. 149.995m
  3. 150.015m
  4. 150.005m
(정답률: 48%)
  • 표준테이프보다 5mm가 긴 테이프를 사용하여 잰 거리는 150m이다. 이 경우, 실제 거리는 표준테이프를 사용하여 잰 거리보다 더 길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50.015m"이다. 이는 150m에 5mm를 더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지형의 특성에서 경사지의 높은 곳으로 간격이 높고, 낮은 곳으로 간격이 넓은 등고선은 어떤 경사를 나타내는가?

  1. 요(凹)경사지
  2. 철(凸)경사지
  3. 평지
  4. 등경사지
(정답률: 55%)
  • 요(凹)경사지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경사를 나타낸다. 즉, 지형이 오목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비가 내리면 물이 모이는 곳이다. 따라서, 등고선이 낮은 곳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조경수목의 종류와 규격표시방법의 연결이 맞는 것은?

  1. 수고 × 분얼수 : 회양목, 만경목
  2. 수고 × 흉고직경 :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아
  3. 수고 × 수관폭 : 잣나무, 감나무
  4. 수고 × 근원직경 : 화살나무, 가중나무
(정답률: 64%)
  • 조경수목의 규격표시방법 중 "수고 × 흉고직경"은 해당 나무의 높이와 가장 넓은 지름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은행나무와 메타세콰이아는 이 방법으로 규격을 표시한다. "수고 × 분얼수", "수고 × 수관폭", "수고 × 근원직경"은 각각 나무의 높이와 가지의 수, 수관의 폭, 근원의 지름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기강도의 증진이 크다.
  2. 워커빌리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3. 콜드조인트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4.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많아진다.
(정답률: 33%)
  • 서중콘크리트는 시공 중에 혼합물의 워커빌리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혼합물을 계속 섞어주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콘크리트이다. 이로 인해 콜드조인트가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장기강도의 증진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혼합물을 계속 섞어주기 때문에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많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중앙점에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를 구하면 몇 kN인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37%)
  • 전단력은 F = VQ / I 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전단응력, Q는 단면적, I는 단면의 중립축과 면적 중심 사이의 거리이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이 정사각형이므로 Q = b^2, I = b/2 이다. 또한, 중앙점에서 작용하는 전단력이므로 V = τ_max = 60 MPa 이다. 따라서, F = (60 MPa) x (b^2) / (b/2) = 120b kN 이다. b의 값은 그림에서 주어지지 않으므로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없다.

    정답이 "4" 인 이유는 위에서 구한 F의 식에서 b가 2배가 되면 F는 2배가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b가 2일 때의 F는 240 kN 이므로, b가 4일 때의 F는 480 kN 이다. 따라서, 4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순보에 일단이 회전지점이고 타단이 이동지점이다.
  2. 캔틸레버보는 일단이 고정지점이고 타단이 회전지점이다.
  3. 게르버보는 3개 이상의 지점으로 지지된다.
  4. 내민보는 지점의 구조는 단순보와 같으나 일단 또는 양단이 지점에서 밖으로 나와 있다.
(정답률: 46%)
  • "캔틸레버보는 일단이 고정지점이고 타단이 회전지점이다." 이 설명은 옳다. 캔틸레버보는 일단이 지지점에서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합성수지 중 열경화성수지에 해당하는 것은?

  1. 프란수지
  2. 셀룰로이드
  3. 초산비닐수지
  4. 폴리아미드수지
(정답률: 40%)
  • 열경화성수지란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말하는데, 이 중에서 프란수지는 열경화성수지에 해당한다. 프란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며,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다. 반면에 셀룰로이드는 열에 약하고, 초산비닐수지와 폴리아미드수지는 열에 의해 분해되는 경향이 있어 열경화성수지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모래의 전단력 차이에 의해 모래의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기 곤란한 경우 현지의 지반에서 직접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은?

  1. 전단시험
  2. 지내력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베인테스트
(정답률: 49%)
  • 모래의 전단력 차이에 의해 모래의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기 어려운 경우, 지반의 밀도를 직접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시험 방법 중 하나가 표준관입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지반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지면에 굴린 표준화된 길이와 직경의 관을 사용합니다. 이 관을 지면에 굴리면서 관의 저항력을 측정하여 지반의 밀도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모래와 같은 불안정한 지반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지반의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표준관입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아스팔트의 물리적 성질에 있어 아스팔트의 견고성 정도를 평가한 것은?

  1. 신도
  2. 침입도
  3. 내후성
  4. 인화점
(정답률: 47%)
  • 아스팔트의 견고성은 침입도로 평가된다. 침입도란 외부 물질이 아스팔트 내부로 침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침투액의 양과 속도를 측정하여 아스팔트의 내구성을 평가한다. 따라서 침입도가 낮을수록 아스팔트는 더 견고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레벨의 불완전 조정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는데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1. 표척을 수직으로 세운다.
  2. 전시와 후시의 표척거리를 같게 한다.
  3. 관측시 기포가 항상 중앙에 오게 한다.
  4. 시준선 거리를 될 수 있는 한 짧게 한다.
(정답률: 48%)
  • 레벨의 불완전 조정에서는 전시와 후시의 표척거리가 다르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같게 조정해야 합니다. 이는 레벨링 작업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그림 A, C 사이에 연속된 담장이 가로막혔을 때의 수준측량시 C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이 지반고 10m이다)

  1. 9.89m
  2. 10.62m
  3. 11.86m
  4. 12.54m
(정답률: 46%)
  • 그림에서 A점과 C점은 같은 수평면상에 있으므로, A점의 지반고가 10m이면 C점의 지반고는 A점에서 C점까지의 수직거리를 빼주면 된다. 이때, 담장이 가로막힌 부분의 길이는 20m이고, 담장의 높이는 2m이므로, A점에서 C점까지의 수직거리는 20m의 직선거리에서 2m의 높이를 뺀 18m이 된다. 따라서, C점의 지반고는 10m - 18m = -8m이다. 하지만, 지반고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C점의 지반고는 8m 높이에 A점의 지반고 10m를 더한 18m가 된다. 이를 계산하면 18m - 9.11m = 9.89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8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호르몬형의 선택 살초성을 지닌 이행형 제초제로서 잔디밭의 광역 잡초 방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이사디(2,4-D)
  2. 벤타존(bentazon)
  3. 푸로닐(propanil)
  4. 벤설푸론(bensulfuron)
(정답률: 70%)
  • 이사디(2,4-D)는 호르몬형의 선택 살초성을 지니고 있어 잔디밭의 광역 잡초 방제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이사디(2,4-D)는 식물의 세포분열을 방해하여 잡초를 죽이는데, 이는 인간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방식입니다. 또한, 이사디(2,4-D)는 다른 제초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다음 중 무재해운동 추진시 무재해 시간의 산정 기준에 있어 건설현장 근로자의 실근로시간의 산정이 곤란한 경우 1일 몇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하는가?

  1. 8시간
  2. 9시간
  3. 10시간
  4. 12시간
(정답률: 47%)
  • 건설현장 근로자의 실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무재해운동에서는 일반적으로 1일 10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산정합니다. 이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일일 근로시간이 보통 8시간 이상이기 때문에, 일부 근로자가 실제로 근로한 시간을 고려하여 산정한 것입니다. 또한, 10시간은 일일 근로시간이 길어지면서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간대이기 때문에, 무재해운동에서는 이를 최대 근로시간으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주요 잡초종 중 식물분류학적으로 분포비율이 높은 과(科)들로만 나열된 것은?

  1. 화본과, 콩과, 메꽃과
  2. 국화과, 방동사니과, 가지과
  3. 국화과, 화본과, 방동사니과
  4. 명아주과, 화본과, 십자화과
(정답률: 59%)
  • 주요 잡초종 중에서 국화과, 화본과, 방동사니과의 분포비율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국화과: 국화과는 대표적인 잡초종인 감자와 고구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들이 속해있는 과이다. 이들은 높은 생육력과 번식력을 가지고 있어서, 잡초로서 매우 강한 경향을 보인다.

    - 화본과: 화본과는 대표적인 잡초종인 강아지풀, 미나리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들이 속해있는 과이다. 이들은 물이 많은 환경에서 잘 자라며,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서 생육력이 매우 강하다.

    - 방동사니과: 방동사니과는 대표적인 잡초종인 들깨, 노루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들이 속해있는 과이다. 이들은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서 생육력이 매우 강하며,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과들은 잡초로서 매우 강한 생육력과 번식력을 가지고 있어서, 주요 잡초종 중에서 분포비율이 높은 과들로 나열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벚나무 빗자루병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잔가지가 총생한다.
  2. 전신성 병은 아니다.
  3. 증상이 나타난 가지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4. 병원균은 파이트플라스마(phytoplasma)이다.
(정답률: 54%)
  • 잔가지가 총생하는 것, 전신성 병이 아닌 것, 증상이 나타난 가지에는 꽃이 피지 않는 것은 모두 벚나무 빗자루병의 특징이다. 따라서 정답은 "병원균은 파이트플라스마(phytoplasma)이다." 이다. 이는 벚나무 빗자루병의 원인균으로, 벚나무의 식물조직 내에서 번식하며 병을 유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사과의 탄저병 등에 효과가 있는 카바메이트계 살균제는?

  1. 다조멧(dazomet) 입제
  2.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입제
  3.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액제
  4.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수화제
(정답률: 54%)
  • 카바메이트계 살균제는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 중에서도 사과의 탄저병 등에 효과가 있는 것은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입니다. 이는 곰팡이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세포분열을 방해하고, 결국 곰팡이의 성장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사과의 탄저병 등 곰팡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제초제 계통의 일반적인 주요 작용기작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triazine계 - 광합성 저해
  2. diphenyl ether계 - 세포막 파괴
  3. dinitroaniline계 - 세포분열 억제
  4. sulfonylurea계 - 지질 생합성 억제
(정답률: 48%)
  • Sulfonylurea 계통의 주요 작용기작은 지질 생합성 억제가 아니라, 식물의 광합성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sulfonylurea 계통의 작용기작이 "지질 생합성 억제"로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다음 유희시설의 전반적인 유지관리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해안의 염분, 대기오염의 현저한 지역에서는 강력한 방청처리를 하거나 스테인레스제품을 사용한다.
  2. 사용재료에 균열발생 등 파손우려가 있거나 파손된 시설물은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3. 바닥모래를 충분히 건조된 것으로서 어린이가 다치지 않도록 최대한 가는 모래를 깐다.
  4. 놀이터 내에 물이 고이는 곳이 없도록 모래면을 평탄하게 고른다.
(정답률: 57%)
  • "바닥모래를 충분히 건조된 것으로서 어린이가 다치지 않도록 최대한 가는 모래를 깐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모래를 너무 높게 쌓아놓으면 어린이가 높이 뛰어내려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래를 적절한 높이로 유지하고, 바닥모래가 충분히 건조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중 전염성 병이 아닌 것은?

  1. 바이러스에 의한 병
  2. 진균에 의한 병
  3. 종자식물에 의한 병
  4. 토양 중의 유독물질에 의한 병
(정답률: 62%)
  • 토양 중의 유독물질에 의한 병은 전염성이 아닌 이유는, 이 병은 병원체의 감염이 아닌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즉, 토양 중에 존재하는 유해한 물질에 노출되거나 오염된 물을 마시는 등의 경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전염성 병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조경수목 관리에서 단근(斷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뿌리의 노화현상을 방지한다.
  2. 꽃과 열매를 요하는 수목은 약하게 단근한다.
  3. 아랫가지의 발육을 좋게 한다.
  4. 수목의 도장을 억제한다.
(정답률: 42%)
  • "꽃과 열매를 요하는 수목은 약하게 단근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꽃과 열매를 요하는 수목은 생식기관인 꽃과 열매를 만들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뿌리를 강화하여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강하게 단근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콘크리트재 부분을 보수할 때 사용하는 고무 (gum)압식 주입공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입재는 24시간 이상 양생시켜야 한다.
  2. 주입구는 주입파이트의 중간에 고무튜브를 설치하는 것이다.
  3. 시멘트 반죽이나 고분자계 유제 혹은 고무유액을 혼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고무 튜브를 직경에 맞도록 팽창시키고 튜브 내 압력이 3kg/cm 정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정답률: 44%)
  • 고무 튜브를 직경에 맞도록 팽창시키고 튜브 내 압력이 3kg/cm² 정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 고무 튜브 내 압력은 3kg/cm²보다 높아야 한다. 이유는 압력이 높을수록 주입재가 더욱 깊은 곳까지 침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잔디 중 지상의 포복경으로 번식하는 잔디는?

  1. 파인 훼스큐
  2. 톨 훼스큐
  3. 크리핑 벤트그래스
  4. 페레니얼 라이그래스
(정답률: 61%)
  • 크리핑 벤트그래스는 지상의 포복경으로 번식하는 잔디이다. 이는 그 뿌리가 지면을 덮고, 그 위로 새로운 싹이 자라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면을 덮는 잔디로서 다른 잔디들보다 번식력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천공성 해충인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1. 유충
  2. 번데기
  3. 성충
(정답률: 35%)
  • 천공성 해충인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성충"입니다. 이는 소나무좀이 겨울철에는 지하나 나무껍질 등에서 월동을 하다가 봄이 되면 성충으로 발달하여 번식활동을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알, 유충, 번데기는 소나무좀의 발생과정에서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데, 월동 충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다음 공사 중에 발생되는 환경관리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사현장의 자생수목으로서 단지조성 등의 기반공사 후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수목은 수급인이 굴취, 가식 등의 보호조치 후 활용하여도 된다.
  2. 공사로 인한 주변환경과 자연생태계의 훼손 및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한다.
  3. 공사 중 법정 보호동식물 등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는다.
  4. 공사현장의 공사전 자연식생은 생태조사를 통하여 환경특성과 군락구조를 확인하고 보존 또는 재생방법을 감독자와 협의한다.
(정답률: 70%)
  • "공사현장의 자생수목으로서 단지조성 등의 기반공사 후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수목은 수급인이 굴취, 가식 등의 보호조치 후 활용하여도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환경보호를 위한 법적 규정에 위배되는 내용이다. 공사현장에서 수목을 굴취하거나 가식하는 것은 불법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 중 아황산(SO2)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광화학적 산화체이다.
  2. 지표식물은 글라디올러스이다.
  3. 산사나무는 아황산가스에 저항성이 강하다.
  4. 잎맥 사이 엽육조직이 갈색으로 변하여 마른다.
(정답률: 47%)
  • 잎맥 사이 엽육조직이 갈색으로 변하여 마른다. - 아황산가스는 식물의 엽록소를 파괴하고, 엽록소가 없으면 광합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식물이 죽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엽육조직이 갈색으로 변하고 마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공정표의 종류 중 작업의 관련성을 나타낼 수는 없으나 공사의 기성고를 표시하는데 편리한 공정표로 각부분공사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공정표에 적합하지만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은?

  1. 횡선식공정표
  2. 사선식공정표
  3. 진도관리곡선
  4. 네트워크공정표
(정답률: 46%)
  • 사선식공정표는 작업의 관련성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공사의 기성고를 표시하는데 편리하며 각 부분공사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공정표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사선식공정표는 작업의 선후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쉽고, 작업의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서 공정관리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조경수의 해충방제를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적저한 시비, 배수, 관수를 통하여 수목의 활력을 증진시킨다.
  2. 낙엽, 가지 등 지피물을 제거함으로써 해충의 월동 장소를 없앤다.
  3. 조경설계시 가급적 단일수종을 선택하여 해충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킨다.
  4. 간벌 및 가지치기를 통해 병든가지를 제거하고 천공충의 서식지를 제거한다.
(정답률: 69%)
  • 조경설계시 가급적 단일수종을 선택하여 해충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킨다. 이것은 해충방제를 위한 방법이 아니라 올바른 수목 관리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해충방제를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유지관리계획 수립시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이 아닌 것은?

  1. 계획이나 설계목적
  2. 관리대상의 양과 질
  3. 관리대상의 특성
  4. 관리대상의 수익성
(정답률: 67%)
  • 유지관리계획 수립시에는 계획이나 설계목적, 관리대상의 양과 질, 관리대상의 특성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관리대상의 수익성은 유지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유지관리는 기존 시설물이나 장비를 유지하고 보수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수익성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비료의 유실양(流失量)이 가장 많은 시비법은?

  1. 엽면시비법
  2. 표토 시비법
  3. 토양내 시비법
  4. 수간주사법
(정답률: 61%)
  • 표토 시비법은 비료를 토양 표면에 직접 뿌리는 방법으로, 비료의 유실양이 가장 많은 시비법입니다. 이는 비료가 토양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표면에서 증발하거나 수직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료의 효율성이 낮아지고 환경오염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자외선에 의해 광화학산화반응으로 형성되는 2차 오염물질로서 광화학산물 중에서 가장 독성이 큰 오염 물질은?

  1. SO2
  2. PAN
  3. VOC
  4. NaCl
(정답률: 53%)
  • 광화학산화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2차 오염물질 중에서 PAN은 가장 독성이 큰 오염물질입니다. 이는 PAN이 높은 증기압을 가지고 있어 대기 중에서 쉽게 증발하고,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PAN은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토양수분 중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양분의 유실에 관여되는 것은?

  1. 중력수
  2. 흡습수
  3. 결합수
  4. 모세관수
(정답률: 46%)
  • 중력수는 토양 내부에서 물이 아래쪽으로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중력수는 토양 내부의 식물양분을 함유한 물을 아래쪽으로 끌어내어 유실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토양수분 중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양분의 유실에 관여되는 것은 중력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