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조경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다음 중 경회루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면 7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
  2. 방지2방도
  3. 경회루 외부의 사각기둥 24개
  4. 경회루가 있는 섬에 들어가는 길은 3개의 아름다운 석교가 연결
(정답률: 81%)
  • "방지2방도"는 경회루 지원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다. "방지2방도"는 화재 등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설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담양 소쇄원의 조영에 영향을 끼친 정원은?

  1. 원광한의 정원
  2. 만유당
  3. 어화원
  4. 평천산장
(정답률: 83%)
  • 담양 소쇄원의 조영에 영향을 끼친 정원은 "평천산장"입니다. 이는 조선시대 정원의 대표적인 예로, 자연과 인공물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경치와 수려한 연못, 그리고 다양한 식물들이 조성된 정원으로, 담양 소쇄원의 조성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중환의'택리지'에 언급된 수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역으로 흘러드는 물이 판국을 가로막으면 좋지못하다.
  2. 집터는 수구가 꼭 닫힌 듯하고 그 안이 펼쳐진 곳이좋다.
  3. 산중에서는 들판에 비해 수구가 닫힌 곳을 찾기 어렵다.
  4. 수구막이는 수구나 마을의 은폐를 위한 자연의 마을 숲이다.
(정답률: 72%)
  • 집터는 수구가 꼭 닫힌 듯하고 그 안이 펼쳐진 곳이 좋다는 이유는, 수구는 자연적으로 마을을 보호하고 은폐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또한, 수구 안에서는 자연적으로 물이 흐르기 때문에 물의 공급이 안정적이며, 수구 주변에는 푸른 숲과 식물들이 자라기 때문에 생태계도 안정적이다. 따라서, 집터를 선택할 때는 수구가 있는 곳을 찾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몬탈또(Montalto) 분수, 빛의 분수(Fountain ofLights), 거인의 분수, 돌고래 분수 등과 같은 정원 시설물을 만들어 놓은 이탈리아의 정원은?

  1. Villa d Esete(에스테장)
  2. Villa Lante(란테장)
  3. Villa Gamberaia(감베라이아장)
  4. Villa Aldobrandini(알도브란디니장)
(정답률: 84%)
  • 이탈리아의 정원 중에서 몬탈또 분수, 빛의 분수, 거인의 분수, 돌고래 분수 등과 같은 시설물을 갖춘 정원은 Villa Lante(란테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국 왕희지의 난정고사에 연유해 조성된 조경 요소는?

  1. 곡수거
  2. 누정
  3. 별서정원
  4. 방지원도
(정답률: 82%)
  • 중국 왕희지의 난정고사는 곡수거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곡수거에는 조경 요소로서 곡수거나무가 심어졌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곡수거"입니다. 누정, 별서정원, 방지원도는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미국의 토마스 제퍼슨이 설계한 정원은?

  1. 킹랜드
  2. 파트룬
  3. 몬티첼로
  4. 마운트버논
(정답률: 73%)
  • 미국의 토마스 제퍼슨이 설계한 정원은 "몬티첼로"입니다. 이는 제퍼슨의 집이자 농장이었는데, 그는 이곳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작물과 식물을 재배하고 실험했습니다. 이를 위해 제퍼슨은 유럽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정원을 만들었습니다. 이 정원은 현재 미국의 대표적인 정원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설명하는 용어는?

  1. 취병
  2. 화분
  3. 화오
  4. 화계
(정답률: 77%)
  • 위 그림은 한자의 부수를 나타내는 것이며, "취병"은 이 부수가 포함된 한자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취병은 술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이탈리아 르네상스식 빌라정원의 중정을 의미하며 야외공연장으로 이용되는 시설은?

  1. 닌페오(Ninfeo)
  2. 코르틸레(Cortile)
  3. 스칼리나타(Scalinata)
  4. 테라자(Terrazza)
(정답률: 55%)
  • 코르틸레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식 빌라정원의 중정을 의미하며, 야외공연장으로 이용되는 시설입니다. 이는 중앙에 정원이 위치하고 주변에는 건물이 둘러싸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야외공연이나 이벤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르틸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슬람 정원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건물의 남향이나 서향에 위치
  2. 카나드(Canad)에 의해 물 공급
  3. 정원의 유형은 경사지 정원과 평지 정원으로 구분
  4. 경사지 정원에는 키오스크(Kiosk) 설치
(정답률: 65%)
  • 이슬람 정원은 일반적으로 주건물의 남향이나 서향에 위치하지 않습니다. 이는 이슬람 문화에서는 남향이나 서향이 중요한 방향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신, 정원은 일반적으로 동쪽이나 북쪽에 위치하며, 이는 이슬람 문화에서 중요한 방향인 동방성과 북방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최초로 조경가(Landscape Architect)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여 조경 전문직을 탄생하게 된 역사적 의의를 마련한 인물은?

  1. 보와 옴스테드(Vaux and Olmsted)
  2. 조셉 팩스턴(Joseph Paxton)
  3. 스타인과 라이트(Stein and Wright)
  4. 윌리엄 켄트(William Kent)
(정답률: 88%)
  • 보와 옴스테드는 19세기 미국에서 선진적인 도시 계획과 조경 디자인을 추구하며, 센트럴 파크 등 대규모 공원을 창조한 미국의 대표적인 조경가들이다. 이들은 1863년 뉴욕 센트럴 파크 설계 공모전에서 우승하여, 이후 미국에서 조경가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게 된 역사적 의의를 마련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중국 진나라 때 도연명의'안빈낙도'하는 생활 철학과 관련 있는 시문으로 나열된 것은?

  1. 귀거래사, 낙양가람기
  2. 귀원전거, 도화원기
  3. 오류선생전, 장한가
  4. 동파종화, 난정기
(정답률: 55%)
  • 도연명은 안빈낙도를 통해 인생의 목적은 세상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평화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귀원전거는 세상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평화를 찾는 것을 의미하며, 도화원기는 내면의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두 시문이 안빈낙도와 관련이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조선시대에 축조된 정원을 오래된 연대부터 옳게 나열한 것은?

  1. 양산보의 소쇄원 → 윤선도의 부용동 원림 → 다산초당원림 → 선교장 활래정 지원
  2. 윤선도의 부용동 원림 → 양산보의 소쇄원 → 선교장 활래정 지원 → 다산초당 원림
  3. 양산보의 소쇄원 → 다산초당 원림 → 윤선도의 부용동원림 → 선교장 활래정 지원
  4. 윤선도의 부용동 원림 → 양산보의 소쇄원 → 다산초당원림 → 선교장 활래정 지원
(정답률: 57%)
  • 조선시대에 축조된 정원을 연대별로 나열하면, 가장 먼저 양산보의 소쇄원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윤선도의 부용동 원림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다산초당 원림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선교장 활래정 지원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산보의 소쇄원 → 윤선도의 부용동 원림 → 다산초당원림 → 선교장 활래정 지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이탈리아의 테라스식 조경이 특징적으로 발달하게 된 가장 결정적인 환경 요인은?

  1. 전망과 풍요한 자연
  2. 전망과 도시설계의 발달
  3. 지형과 기후
  4. 건축양식 발달과 지형
(정답률: 84%)
  • 이탈리아의 테라스식 조경이 특징적으로 발달하게 된 가장 결정적인 환경 요인은 지형과 기후입니다. 이탈리아는 산악 지형과 지중해성 기후로 인해 농경지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테라스를 만들어 높은 곳에서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테라스식 조경은 이후 건축양식 발달과 함께 전망과 풍요한 자연, 전망과 도시설계의 발달 등 다양한 환경 요인과 결합하여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창경궁 내 통명전 석란지 축조의 주된 사상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음양오행사상
  2. 정토사상
  3. 자연숭배사상
  4. 유교사상
(정답률: 51%)
  • 창경궁 내 통명전 석란지 축조의 주된 사상적 배경은 정토사상입니다. 이는 조선시대의 유교사상 중 하나로, 천지인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며, 천지인이 하나의 유기체로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석란지는 천지인의 상호보완적인 작용을 나타내는 건축물로서, 정토사상에 따라 축조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중국 소주의 정원 중 화려한 정원 건축물이 많고 허와 실, 명암대비 등 변화있는 공간처리와 유기적 건축배치를 가진 것은?

  1. 졸정원
  2. 사자림
  3. 작원
  4. 유원
(정답률: 75%)
  • 유원은 중국 전통 정원 중 하나로, 화려한 정원 건축물과 변화있는 공간처리, 유기적 건축배치 등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들이 유원이 화려한 정원 건축물을 가지고 있고, 허와 실, 명암대비 등 변화있는 공간처리와 유기적 건축배치를 가진 것으로 설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창덕궁 후원의 가장 깊은 곳인 옥류천 주위에 어정을 파고 소요정, 태극정, 청의정을 지은 왕은?

  1. 태종(1400~1418)
  2. 숙종(1659~1674)
  3. 인조(1623~1649)
  4. 광해군(1608~1623)
(정답률: 61%)
  • 창덕궁 후원의 가장 깊은 곳인 옥류천 주위에 어정을 파고 소요정, 태극정, 청의정을 지은 왕은 인조(1623~1649)입니다. 인조는 조선시대 16대 왕으로, 문화를 중시하고 예술을 발전시키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리고 창덕궁을 건립하면서 후원을 중요시하고, 옥류천을 중심으로 아름다운 정원을 조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옥류천 주위에 소요정, 태극정, 청의정을 건립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본을 대표하는 정원 중 하나인 용안사에 대한 설명 가운데 틀린 것은?

  1. 평정고산수 양식을 대표한다.
  2. 겸창(가마쿠라)시대 때 조성하였다.
  3. 일본의 바다를 표현했다는 학설도 있다.
  4. 크고 작은 15개의 정원석으로 만든 정원이다.
(정답률: 83%)
  • 용안사는 겸창(가마쿠라)시대 때 조성한 것이 아니라, 헤이안 시대(794년~1185년)에 조성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페르시아 정원양식 중 이스파한(Isfaha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6세기 압바스(Abbas : 1577~1628)왕이 왕궁을 옮겨 시가의 형태를 정비하였다.
  2. 체하르바(Tshehar Bagh)라고 불리는 7km 이상 넓게 뻗은 도로가 있다.
  3. 샬리마르 바(Shalimar Bagh)라고 하는 3개의 노단으로 나누어진 정원이 있다.
  4. 거리에는'마이단'이라고 부르는 380 × 140m나 되는 장방형의 공원광장이 있다.
(정답률: 77%)
  • 이스파한에는 샬리마르 바(Shalimar Bagh)라고 하는 3개의 노단으로 나누어진 정원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샬리마르 바는 인도의 자마(Kashmir) 지방에 있는 명소 중 하나이며, 페르시아 정원양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조경과 관련된 옛 문헌과 저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임원십육지 - 서유구
  2. 고사신서 - 서명응
  3. 산림경제 - 강희안
  4. 순원화훼잡설 - 신경준
(정답률: 64%)
  • 정답은 "산림경제 - 강희안"이다. 강희안은 조선시대의 의학서인 "동의보감"의 저자이며, 산림경제와는 관련이 없다. "임원십육지"는 조선시대의 조경서이며, 저자는 서유구이다. "고사신서"는 고려시대의 조경서이며, 저자는 서명응이다. "순원화훼잡설"은 조선시대의 화훼서이며, 저자는 신경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광주 경렴정 별서정원과 관련 없는 것은?

  1. 뜰에는 채소원이 조성되어 있다.
  2. 조선시대 조성된 별서정원이다.
  3. 연못 안에 섬을 만들었다.
  4. 탁광무가 조성하였다.
(정답률: 70%)
  • 정답은 "뜰에는 채소원이 조성되어 있다."입니다. 이유는 별서정원은 조선시대 탁광무가 조성한 정원으로, 연못 안에 섬을 만들어서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하였습니다. 하지만 뜰에 채소원이 조성되어 있다는 것은 별서정원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도시의 자연적 환경을 보전하거나 이를 개선하고 이미 자연이 훼손된 지역을 복원 개선함으로써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는? (단,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1. 완충녹지
  2. 경관녹지
  3. 자연녹지
  4. 미관녹지
(정답률: 71%)
  • 경관녹지는 도시의 자연적 환경을 보전하거나 개선하고 이미 훼손된 지역을 복원 개선하여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녹지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치됩니다. 다른 세 종류의 녹지인 완충녹지, 자연녹지, 미관녹지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도면중첩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트레싱지와 같은 투명한 종이에 식생, 토양 등 주제도를 작성하여 이들을 중첩시켜 토지적합성을 판단한다.
  2. 관련인자를 모두 고려하여 주변경관과 다른 특이성을 도출해 내는 방법이다.
  3. 컴퓨터를 사용하는 지리정보체계(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제도를 중첩시켜 토지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4. 부지를 격자(grid)로 나누어 주제도를 작성하여 중첩 시키는 방법과 주제도를 점, 선, 면적으로 표현하여 중첩 시키는 방법이 있다.
(정답률: 72%)
  • 정답은 "트레싱지와 같은 투명한 종이에 식생, 토양 등 주제도를 작성하여 이들을 중첩시켜 토지적합성을 판단한다." 이다. 도면중첩법은 관련인자를 모두 고려하여 주변경관과 다른 특이성을 도출해 내는 방법이다. 이는 부지의 토지적합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도면중첩법의 예시를 설명하고 있으며, 투명한 종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도면중첩법의 전부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입활동간 상관성 분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간상 거리와 이동시간을 고려한다.
  2. 도입활동의 규모나 부지조건을 고려한다.
  3. 사람, 물건, 정보의 이동을 고려한다.
  4. 이상적인 기능적 상관관계를 고려한다.
(정답률: 37%)
  • 정답: "이상적인 기능적 상관관계를 고려한다."

    도입활동의 규모나 부지조건을 고려하는 이유는 해당 지역의 인프라와 자원을 고려하여 실제로 구현 가능한 도입활동을 검토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쇼핑몰을 도입하려면 충분한 주차장과 교통편이 필요하며, 작은 마을에서는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입활동의 규모나 부지조건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간이용자수가 100000명인 관광지에서 최대일이용자수(A)와 최대시이용자수(B) 산정으로 올바른 것은? (단, 회전율 1/4, 최대일율 1/50로 한다.)

  1. A : 2000명, B : 500명
  2. A : 2000명, B : 600명
  3. A : 2500명, B : 500명
  4. A : 2500명, B : 600명
(정답률: 66%)
  • 회전율 1/4는 하루에 총 이용자 중 1/4가 입장하고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하루 최대일 이용자수는 100000명 / 4 = 25000명입니다.

    최대일율 1/50은 연간 이용자수 중 하루 최대일 이용자수의 1/50이 해당 날짜에 입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대일 이용자수 25000명을 50으로 나눈 값인 500명이 최대시 이용자수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A : 2000명, B : 500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이 잘못되었거나, 회전율과 최대일율을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자연경관영향의 협의가 이루어지는 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해당하는 지역으로부터 대통령령이 정하는 거리 이내의 지역에서의 개발사업 등)

  1. 생태·경관보전지역
  2. 자연공원법의 규정에 의한 자연공원
  3. 습지보전법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습지보호지역
  4. 문화재보호법상의 천연기념물보호지역
(정답률: 55%)
  • 문화재보호법상의 천연기념물보호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자연경관영향의 협의가 이루어지는 지역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된 지역으로, 주로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높은 자연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다. 따라서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자연경관영향의 협의가 이루어지는 범위와는 다른 범위로 지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I . McHarg가 주로 사용해 정착된 적지 판정법은?

  1. DGN method
  2. motation method
  3. image map method
  4. overlay method
(정답률: 75%)
  • 정답은 "overlay method"입니다. McHarg는 지리적 정보를 겹쳐서 분석하는 overlay method를 사용해 정착된 적지를 판정했습니다. 이 방법은 지리적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하기 쉽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대상지역의 생태계가 어느 정도의 훼손까지를 흡수하여 스스로 회복할 능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은?

  1. 물리적 수용능력
  2. 사회적 수용능력
  3. 생태적 수용능력
  4. 지역적 수용능력
(정답률: 76%)
  • 생태적 수용능력은 대상지역의 생태계가 어느 정도의 훼손까지를 흡수하여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생태계의 다양성, 안정성, 복원력 등을 고려하여 판단됩니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생태계가 어느 정도의 훼손까지를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생태적 수용능력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000m2의 슬로프 면적을 갖는 눈썰매장의 최대 부지면적은 얼마까지 할 수 있는가?

  1. 1,000m2
  2. 2,000m2
  3. 3,000m2
  4. 4,000m2
(정답률: 61%)
  • 슬로프 면적이 1,000m2이므로, 눈썰매장의 부지면적은 슬로프 면적 이외에도 주차장, 출입구, 휴게실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고려하면 최소한 2,000m2 이상의 부지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3,000m2" 또는 "4,000m2"이다. 그러나 최대 부지면적을 구하는 문제이므로, 가능한 한 큰 값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0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택법상'장기수선계획'의 설명 중 각 호의 조건에 해당되는 것은?

  1. 2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2. 200세대 이상의 지역난방식 난방방식의 공동주택
  3. 지역난방식 난방방식의 공동주택
  4. 승강기가 설치된 공동주택
(정답률: 51%)
  • 주택법상 '장기수선계획'은 2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200세대 이상의 지역난방식 난방방식의 공동주택, 지역난방식 난방방식의 공동주택, 승강기가 설치된 공동주택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따라서 승강기가 설치된 공동주택은 주택법상 '장기수선계획'의 대상이 됩니다. 이유는 승강기가 설치된 공동주택은 주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필요한 시설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승강기는 수선이 필요한 경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장기수선계획에 포함시켜 미리 예산을 확보하고 계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Mitsch와 Gosselink(2000)가 제시한 습지생태계 복원을 위한 일반적인 원리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습지 주변에 완충지대를 배치하라.
  2. 범람, 가뭄, 폭풍 등으로부터 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변에 제방을 계획하라.
  3. 식물, 동물, 미생물, 토양물은 스스로 분포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계획하라.
  4. 적어도 하나의 주목표와 여러 개의 부수적 목표를 설정하라.
(정답률: 68%)
  • "범람, 가뭄, 폭풍 등으로부터 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변에 제방을 계획하라."는 습지생태계 복원을 위한 일반적인 원리 중에서 가장 부적합한 것입니다. 이는 습지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편의를 위한 인공적인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습지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생태계의 복원과 유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따라서 "식물, 동물, 미생물, 토양물은 스스로 분포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계획하라."와 같은 방안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조경계획시 대안의 수립과정에 있어 가장 합리적인 방식은?

  1. 사소한 문제를 가지고 서로 상이한 안을 만들기보다는 보다 기본적인 측면에서 서로 상이한 안이 되게 작성한다.
  2. 계획의 흐름을 바꾸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대안을 작성해야 한다.
  3. 대안의 작성은 기본구상 단계에서만 진행한다.
  4. 각개의 안이 완전히 상이하여 동일한 기본구상 아래 수립하면 평가 결정이 용이하다.
(정답률: 57%)
  • 정답은 "사소한 문제를 가지고 서로 상이한 안을 만들기보다는 보다 기본적인 측면에서 서로 상이한 안이 되게 작성한다." 이다. 이유는 대안을 작성할 때 사소한 문제에 집중하면서 서로 다른 안을 만들면, 이후에 평가 및 결정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을 작성할 때는 기본적인 측면에서 서로 다른 안을 만들어야 하며, 이를 통해 평가 및 결정이 용이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본계획은 프로젝트(project)에 관한 프로그램(혹은 기본전제)이 일단 정해진 후, 프로그램의 방향에 맞추어 물리, 생태적, 사회, 행태적, 시각, 미학적자료들의 분석, 종합 및 기본구상의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작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프로젝트의 목적
  2. 시설물의 구체적 요건
  3. 이용객의 만족도
  4. 장래 성장 및 기능변화에 대한 유연성
(정답률: 57%)
  • 이용객의 만족도는 프로그램 작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 중 하나이지만, 이는 프로젝트의 목적과 시설물의 구체적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주요한 목표이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 또한, 이용객의 만족도는 시간이 지나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작성 시에는 장래 성장 및 기능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고려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궁극적인 조경계획의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자원의 이해와 적절한 활용
  2. 토지의 생산력 증가
  3. 국토의 효율적 보전 및 이용
  4. 환경문제 전반에 걸친 문제의 해결
(정답률: 74%)
  • 궁극적인 조경계획의 목표는 환경문제 전반에 걸친 문제의 해결이다. 이에 비해 토지의 생산력 증가는 환경보호와는 거리가 먼 목표로 보인다. 토지의 생산력 증가는 농업 및 경제적인 이유로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 자연환경을 희생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궁극적인 조경계획의 목표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평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친환경 단지조성을 위해 도입하고 있는 지표나 제도가 아닌 것은?

  1. 생태면적률 도입
  2. 빗물침투시설 의무화
  3. 친환경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
  4. 지하주차장 의무화
(정답률: 76%)
  • 지하주차장 의무화는 친환경 단지조성을 위해 도입하고 있는 제도 중에서는 유일하게 지표나 제도가 아닙니다. 이 제도는 건축물의 지하에 주차장을 만들도록 의무화하는 것으로, 지하주차장을 이용함으로써 지상부에 주차장을 만들지 않아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공동주택 단지 조경시설에 대한 시설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본 규정에서 조경하고자 하는 부분의 지하에 주차장 등 지하구조물이 설치된 경우 최소 식재 토층을 조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몇 미터(m)인가?

  1. 0.5m
  2. 0.7m
  3. 0.9m
  4. 1.2m
(정답률: 55%)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공동주택 단지 조경시설에 대한 시설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지하에 주차장 등 지하구조물이 설치된 경우 최소 식재 토층을 조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최소 식재 토층의 두께는 0.9m입니다. 이는 지하에 설치된 구조물로 인해 지하층의 토양이 압축되고 변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식재 토층을 충분히 조성하여 지하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9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미기후(micro climate)에 영향을 가장 적게 끼치는 것은?

  1. 보차포장 재료
  2. 대상지 주변의 식재 현황
  3. 주변 건물의 배치
  4. 운행 중 차량 소음
(정답률: 74%)
  • 운행 중 차량 소음이 미기후에 영향을 가장 적게 끼치는 이유는 미기후는 대기의 온도, 습도, 바람 등과 같은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며, 차량 소음은 대기 중 진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서 미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이용 후 평가(P.O.E)의 기본적 목표가 아닌 것은?

  1. 우수 작품 홍보
  2. 인간 행태 이해 증진
  3. 기존 환경개선을 위한 평가자료 제공
  4. 새로운 환경 창조를 위한 자료 제공
(정답률: 70%)
  • 이용 후 평가(P.O.E)의 기본적 목표는 "기존 환경개선을 위한 평가자료 제공", "새로운 환경 창조를 위한 자료 제공", "인간 행태 이해 증진"입니다. "우수 작품 홍보"는 P.O.E의 목표 중 하나가 아니며, 이는 작품의 성과를 인식하고 인간 행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영역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역성은 사람뿐만 아니라, 일반 동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행태이다.
  2. 1차적 영역은 일상생활의 중심이 되는 반영구적으로 점유되는 공간이다.
  3. 2차적 영역은 사회적 특정그룹 소속원들이 점유한다.
  4. 공적 영역은 모든 사람들이 영구적이고 실제적으로 점유한다.
(정답률: 64%)
  • "공적 영역은 모든 사람들이 영구적이고 실제적으로 점유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공공의 재산이나 시설물 등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연환경보전법상의 자연유보지역의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숫자는?

  1. 2
  2. 4
  3. 5
  4. 10
(정답률: 43%)
  • 이미지에서 보이는 지역은 자연유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제 ( )호에 따라 지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치거리와 규모 모두에 제한이 있는 도시공원으로 묶여진 것은?

  1. 소공원 - 어린이공원- 역사공원
  2. 소공원 - 도보권근린공원 - 수변공원
  3. 어린이공원 - 근린생활권근린공원 - 도보권근린공원
  4. 근린생활권근린공원 - 도보권근린공원 - 체육공원
(정답률: 67%)
  • 어린이공원은 유치거리와 규모 모두에 제한이 있는 공원이며, 근린생활권근린공원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공원이고, 도보권근린공원은 도시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원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공원이 모두 유치거리와 규모 모두에 제한이 있는 도시공원으로 묶여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다음 중 공간색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반사물체의 표면에 보이는 색
  2. 전구나 불꽃처럼 발광을 통해 보이는 색
  3. 유리나 물의 색 등 일정한 부피가 쌓였을 때 보이는 색
  4. 맑고 푸른 하늘과 같이 끝없이 들어갈 수 있게 보이는 색
(정답률: 62%)
  • "유리나 물의 색 등 일정한 부피가 쌓였을 때 보이는 색"은 일정한 물질의 두께나 부피에 따라 보이는 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두꺼운 유리는 녹색으로 보이고 얇은 유리는 보라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색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도시공원에서'저류시설의 설치 및 관리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류시설은 지표면 아래로 빗물이 침투될 경우 지반의 붕괴가 우려되거나 자연환경의 훼손이 심하게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2. 하나의 도시공원 안에 설치하는 저류시설부지의 면적비율은 해당 도시공원 전체면적의 50퍼센트 이하이어야 한다.
  3. 하나의 저류시설부지 안에 설치하여야 하는 녹지의 면적은 해당저류시설부지에 대하여 상시저류시설을 40퍼센트 이상, 일시저류시설은 20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저류시설은 빗물을 일시적으로 모아 두었다가 바깥 수위가 낮아진 후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유입시설, 저류지, 방류시설 등 일체의 시설을 말한다.
(정답률: 47%)
  • "하나의 저류시설부지 안에 설치하여야 하는 녹지의 면적은 해당저류시설부지에 대하여 상시저류시설을 40퍼센트 이상, 일시저류시설은 20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이유는 저류시설은 빗물을 일시적으로 모아 두었다가 바깥 수위가 낮아진 후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유입시설, 저류지, 방류시설 등 일체의 시설을 말하며, 이러한 시설을 설치할 때는 해당 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녹지 면적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저류시설부지 안에 설치하여야 하는 녹지의 면적은 해당저류시설부지에 대하여 상시저류시설을 40퍼센트 이상, 일시저류시설은 20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것은?

  1. 0.8
  2. 1.0
  3. 1.5
  4. 2.0
(정답률: 78%)
  • 위 그림은 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자는 붉은색으로, 분모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분자가 3이고 분모가 2인 분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3 ÷ 2 = 1.5 이므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속도로 노선을 선정하고자 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되도록 직선이 노선
  2. 건조하기 쉽고 통풍이 잘되는 노선
  3. 곡선반경이 작은 노선
  4. 경관파괴가 최저로 발생되는 노선
(정답률: 63%)
  • 고속도로는 빠른 속도로 운행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고속도로 노선을 선정할 때는 곡선반경이 작은 노선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곡선반경이 작은 노선은 차량의 운전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되도록 직선이고 곡선반경이 큰 노선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서로가 대조되는 양극단이 유사하거나 조화를 이루어 단계적 연속성을 나타내는 것은?

  1. 반복(repetition)
  2. 조화(harmony)
  3. 통일(unity)
  4. 점이(gradation)
(정답률: 55%)
  • 점이(gradation)은 서로 대조되는 양극단이 서서히 변화하면서 단계적 연속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반복과는 달리 변화와 조화를 이루며, 통일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서로 대조되는 요소들이 유사하거나 조화를 이루며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점이(gradation)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시공원에 일반적인 수경요소(폭포, 분수 등)를 도입할 경우 공간 지각의 측면에서 볼 때 어느 요소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 하겠는가?

  1. 시각 및 청각적 요소
  2. 시각 및 촉각적 요소
  3. 청각 및 촉각적 요소
  4. 청각 및 후각적 요소
(정답률: 76%)
  • 도시공원은 대부분 시민들이 쉬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수경요소를 도입할 경우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모습을 제공하고 청각적으로도 물소리 등의 자연 소리를 제공함으로써 공간 지각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각 및 청각적 요소"가 가장 타당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먼셀의 색입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입체에서의 명도는 위로 갈수록 높고 아래로 갈수록 낮다.
  2. 색의 4가지 속성을 3차원 공간에 계통적으로 배열한 것이다.
  3. 색의 3요소에서 색상은 방사선으로, 명도는 수직으로, 채도는 원으로 배열하는 것이다.
  4. 무채색 축을 중심으로 수직 절단하면, 좌우면에 유사색상을 가진 두 가지의 동일 색상면이 보인다.
(정답률: 64%)
  • "색입체에서의 명도는 위로 갈수록 높고 아래로 갈수록 낮다."는 색입체에서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상의 밝기가 높을수록 명도가 높아지고, 색상의 밝기가 낮을수록 명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로의 기능별 구분을 통한 설계속도에 관한 설명이다. 지방지역 구릉지 주간선도로(일반도로)의 설계속도(킬로미터/시간)은? (단,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을 적용한다.)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46%)
  • 일반도로는 주로 지방지역에서 구릉지 지형을 따라 설치되며, 교통량이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일반도로의 설계속도는 70km/h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조경도면의 치수 기입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치수 기입은 치수선 중앙 아랫부분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4. 치수선의 양끝은 화살 또는 점으로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같은 도면에서 치수선이 작은 것은 점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74%)
  •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라는 것은, 만약 특별한 조건이나 요구사항이 없다면, 치수를 가장 간단하고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이 원칙이라는 뜻입니다. 즉, 필요한 경우에는 상세한 치수를 표시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능한 한 간단하게 표시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마커를 사용하여 프리핸드(freehand)에 의한 레터링(lettering)을 할 때 유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팔이나 몸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2. 마커는 돌려서 사용하지 않는다.
  3. 종이에 마커의 전체 면이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수직선, 대각선, 곡선을 그을 때 마커의 면이 수직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55%)
  • "종이에 마커의 전체 면이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는 프리핸드 레터링을 할 때 마커의 끝 부분이 종이에 눌러붙어서 더러워지거나 종이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마커를 사용할 때는 마커의 끝 부분만을 사용하고, 마커의 전체 면이 종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Kevin Lynch가 제시한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요소 개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통로(paths)
  2. 모서리(edges)
  3. 연결(links)
  4. 결절점(node)
(정답률: 76%)
  • 연결(links)은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요소 개념이 아니라, 도시 내의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제외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요소 개념으로, 통로는 도시 내의 이동 경로를 의미하고, 모서리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각도와 모양을 나타내며, 결절점은 도시 내의 중심지나 교차로 등으로서 도시의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삼각스케일에 표기되어 있는 축척이 아닌 것은?

  1. 1/100
  2. 1/300
  3. 1/600
  4. 1/800
(정답률: 79%)
  • 삼각스케일은 일정한 비율로 축척이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보기 중에서 1/800은 다른 세 축척과 비교해서 작은 값이다. 따라서 1/800은 삼각스케일에 표기되어 있지 않은 축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차폐(screen)와 은폐(camouflage)의 차이점 중 정확한 것은?

  1. 차폐는 시선을 가리는 것이고, 은폐는 대상물을 여과(filter)시켜 보이게 하는 것이다.
  2. 차폐는 시선을 가리는 것이고, 은폐는 대상물을 다른 물체로 위장시키는 것이다.
  3. 차폐는 시선을 여과시키는 것이고, 은폐는 대상물을 매몰하는 것이다.
  4. 차폐는 시선을 여과(filter)시키는 것이고, 은폐는 대상물을 다른 물체로 위장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69%)
  • 차폐는 시선을 가리는 것이고, 은폐는 대상물을 다른 물체로 위장시키는 것이다. 이유는 차폐는 시선을 가리는 것이기 때문에 시선이 가리는 대상물은 여전히 그대로 보이지만, 은폐는 대상물을 다른 물체로 위장시키기 때문에 대상물이 다른 것으로 인식되어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경설계기준상의'생태못'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관목숲, 다공질 공간 등 다른 소생물권과 연계되도록 한다.
  2. 야생동물 서식처 목적의 생태연못의 최소 폭은 5m이상 확보하고 주변식재를 위해 공간을 확보한다.
  3. 수질정화 목적의 못은 수질정화 시설의 유출부에 설치하여 2차 처리된 방류수(방류수 10ppm)를 수원으로 한다.
  4. 수질정화 목적의 못 안에 붕어 등의 물고기를 도입하고, 부레옥잠, 달개비, 미나리 등 수질정화 기능이 있는 식물을 배식한다.
(정답률: 73%)
  • "수질정화 목적의 못은 수질정화 시설의 유출부에 설치하여 2차 처리된 방류수(방류수 10ppm)를 수원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수질정화 목적의 못은 일반적으로 방류수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되며, 처리된 물은 다시 수원으로 보내지지 않는다. 대신, 처리된 물은 지하수 충전이나 녹지 등에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보기]의 시간경과와 거리지각의 관계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장의이론
  2. 카파효과
  3. 타우효과
  4. SBE기법
(정답률: 56%)
  • 보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리지각이 점점 커지는 것을 보면, 이는 "타우효과"에 해당한다. 타우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체의 거리지각이 점점 더 멀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뇌가 시간 경과에 따라 물체의 위치를 잘못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색의 진출과 후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따뜻한 색은 진출색이 된다.
  2. 후퇴색은 팽창색이 된다.
  3. 명도가 높은 색은 진출색이 된다.
  4. 채도가 낮은 색은 후퇴색이 된다.
(정답률: 73%)
  • 정답은 "후퇴색은 팽창색이 된다."이다. 후퇴색은 채도가 낮아지면서 색의 진출성이 감소하고, 주변 색과 융화되어 팽창성이 증가한다. 이는 색채학에서 "후퇴성"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조화감을 살리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건축선에 따른 건축제한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3.5
  2. 4.5
  3. 6
  4. 10
(정답률: 48%)
  • 건축선에서 10m 이내의 건물 높이는 4.5m 이하여야 한다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정답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그림은 제3각법으로 제도한 것이다. 이 물체의 등각투상도로 알맞은 것은?

(정답률: 72%)
  • 제3각법으로 제도한 그림은 물체의 실제 크기와 거리를 보존하면서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등각투상도에서도 물체의 크기와 거리가 보존되어야 한다. 보기 중에서 물체의 크기와 거리를 보존하는 것은 "" 이다. 이유는 이 보기가 물체의 실제 크기와 거리를 보존하면서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연을 과정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 경관의 모습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죽어서 썩어가는 나무
  2. 산에 피어 있는 꽃과 단풍
  3. 정원에 있는 아름다운 조형수
  4. 산불이 난 곳에 새롭게 자라난 유목
(정답률: 74%)
  • 정원에 있는 아름다운 조형수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자연을 과정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 경관의 모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경설계기준의 계단돌 쌓기(자연석 층계)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단의 최고 기울기는 30~35°정도로 한다.
  2. 한 단의 높이는 15~18cm, 단의 폭은 25 ~ 30cm 정도로 한다.
  3. 계단의 폭은 1인용일 경우 90~110cm, 2인용인 경우에 130cm 정도로 한다.
  4. 돌계단 높이가 5m를 초과할 경우 너비 100c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한다.
(정답률: 55%)
  • "돌계단 높이가 5m를 초과할 경우 너비 100c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다음 중 참나무과가 아닌 것은?

  1. 가시나무
  2. 홍가시나무
  3. 밤나무
  4. 구실잣밤나무
(정답률: 55%)
  • 홍가시나무는 참나무과가 아닌 이유는, 홍가시나무는 가시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참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나무 및 전나무 등에서 균사가 뿌리피층의 세포간극에 균사망을 형성하는 균근은?

  1. 의균근
  2. 외생균근
  3. 내생균근
  4. 내외생균근
(정답률: 58%)
  • 소나무나 전나무와 같은 나무들은 뿌리피층의 세포간극에 균사망을 형성하는 균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균근은 외부에서 들어온 균사가 뿌리와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따라서 "외생균근"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r-선택과 k-선택에 따른 개체군의 생태학적 발달 유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k-선택을 하는 개체군의 수명은 보통 1년 이상으로 길다.
  2. k-선택을 하는 개체군의 종내·종간 경쟁은 변하기 쉽고 느슨하다.
  3. r-선택을 하는 개체군의 사망은 좀 더 방향성이 있고 밀도 의존적이다.
  4. 기후가 변하기 쉽고 예견하기 어려우며 불확실할 때에 개체군은 k-선택을 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기후가 변하기 쉽고 예견하기 어려우며 불확실할 때에 개체군은 k-선택을 한다."입니다.

    k-선택을 하는 개체군은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개체군의 수명이 길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개체군 내부나 종간 경쟁이 느슨하고 변하기 쉬워서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r-선택을 하는 개체군은 사망이 방향성이 있고 밀도 의존적이며, 경쟁이 치열하고 자원이 풍부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잎은 호생이며, 기수1회 우상복엽
  2. 꽃은 6월경에 백색으로 개화
  3. 열매는 삭과로 검은색
  4. 낙엽활엽교목으로 수형은 원정형
(정답률: 40%)
  • 정답은 "꽃은 6월경에 백색으로 개화"이다. 이유는 Koelreuteria paniculata의 꽃은 7~8월경에 노란색으로 개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도로 중앙분리대에 식재할 수종이다 식재후의 생육 환경 병・충해 및 관리측면을 고려할 때 가장 부적합한 수종은?

  1. Euonymus japonica Thunb.
  2. Juniperus chinensis kaizuka
  3. Ligustrum japonicum Thunb.
  4. Pittosporum tobira Ait.
(정답률: 36%)
  • 정답인 "Euonymus japonica Thunb."은 도로 중앙분리대에 식재하기에 부적합한 수종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Euonymus japonica Thunb.는 병충해에 취약하다. 이 수종은 잎이 두껍고 피부가 단단하여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낮다. 따라서 도로 중앙분리대와 같은 환경에서는 병충해에 쉽게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Euonymus japonica Thunb.는 생육 환경에 민감하다. 이 수종은 습도와 온도 등 생육 환경에 민감하며, 특히 건조한 환경에서는 생육이 어렵다. 따라서 도로 중앙분리대와 같은 건조한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셋째, Euonymus japonica Thunb.는 관리가 어렵다. 이 수종은 생장이 빠르고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 특히 도로 중앙분리대와 같은 환경에서는 정기적인 가지치기와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Euonymus japonica Thunb.는 도로 중앙분리대에 식재하기에는 부적합한 수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야생 조류를 보호하기 위한 자연보호지구를 설정할때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자연보호구에 대한 목표 설정이 명확해야 한다.
  2. 생물자원에 대한 목록이 우선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3. 생태이동통로를 설정할 때 생태계 파괴의 주범인 역류의 원리가 발생하는 일은 절대 피해야 한다.
  4. 자연보호지구는 지속적으로 자연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생태이동통로를 설정할 때 생태계 파괴의 주범인 역류의 원리가 발생하는 일은 절대 피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역류는 바다에서 바람이나 해류 등의 영향으로 바다 수면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생태이동통로를 설정할 때 이를 피해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태이동통로를 설정할 때는 역류가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지역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종자 발아능력 검사방법 중 생리적인 면을 다룰 수 없는 것은?

  1. 발아시험
  2. X선사진법
  3. 배추출시험
  4. 테트리졸리움시험
(정답률: 60%)
  • X선사진법은 종자의 발아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방법이기 때문에 생리적인 면을 다룰 수 없는 것입니다. X선사진법은 종자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자의 발아능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종자 발아능력 검사방법 중에서는 X선사진법이 생리적인 면을 다룰 수 없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식재공사를 위한 일반적인 이행요구 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식재공사에 앞서 토목공사가 선행되는 곳은 표토를 미리 채취해서 보관하여야 한다.
  2. 식재지 토양은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단립구조이어야 한다.
  3. 식물재료의 굴취에서부터 식재까지의 기간은 수목생리상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 실시한다.
  4. 공사 착수전에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식재위치를 감독자 입회하에 결정한다.
(정답률: 62%)
  • "식물재료의 굴취에서부터 식재까지의 기간은 수목생리상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 실시한다."는 일반적인 이행요구 조건으로 부적합한 것입니다. 이유는 이 조건은 식재지의 특성과 관련이 없으며, 대신 식물재료의 보존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식재지 토양이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단립구조이어야 하는 이유는 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공기와 물의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토양이 밀집하거나 수분이 쉽게 증발하지 않는 경우, 식물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재공사를 위한 이행요구 조건 중 하나로,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단립구조를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조경 수목 중 개화시기가 가장 늦은 수종은?

  1. Camellia japonica L.
  2.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3.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4. Albizia julibrissin Durazz.
(정답률: 43%)
  • 개화시기가 가장 늦은 수종은 Fatsia japonica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10월부터 11월에 개화하기 때문이다. 다른 수종들은 보통 봄이나 여름에 개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Prunus padus 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피는 흑갈색이다.
  2. 생육속도가 매우 느리다.
  3. 5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4. 원산지는 한국으로 내공해성이 강하다.
(정답률: 46%)
  • 정답은 "생육속도가 매우 느리다." 이다. Prunus padus L은 느린 생육속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오히려 빠른 생육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높이 10m까지 자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심근성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서양측백, 보리수나무, 미루나무
  2. 둥근향나무, 수양버들, 쪽동백
  3. 주목, 느티나무, 굴거리나무
  4. 편백, 칠엽수, 마가목
(정답률: 62%)
  • 주목, 느티나무, 굴거리나무는 모두 심근성 수종으로 분류되는 나무들이다. 다른 보기들은 심근성 수종 외에도 다른 종류의 나무들이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옥상정원 식재(root planting)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1. 식재간격
  2. 식재형태
  3. 토양산도
  4. 뿌리의 특징
(정답률: 67%)
  • 옥상정원 식재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뿌리의 특징"입니다. 이는 식물이 생장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뿌리는 식물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며, 생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재간격, 식재형태, 토양산도 등을 고려하기 전에 뿌리의 특징을 파악하고 적절한 식재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암수한그루로 나열된 것으로 옳은 것은?

  1. 왕버들, 소철
  2. 자작나무, 오리나무
  3. 은행나무, 버드나무
  4.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정답률: 40%)
  • 암수한그루란 암나무와 수나무가 번갈아 나열된 것을 말하는데, "자작나무, 오리나무"는 암수한그루로 나열된 것이다. 자작나무는 수나무이고, 오리나무는 암나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림의 경우, 방풍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밀폐도는?

  1. 15~30%
  2. 35~50%
  3. 50~70%
  4. 80~100%
(정답률: 66%)
  • 수림의 경우, 식물이 호흡하는 동안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방출되는 증발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밀폐도가 너무 높으면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충분히 배출되지 않아 식물이 질식하거나 과습으로 인해 병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밀폐도가 너무 낮으면 방풍효과가 떨어져 실내 공기가 실외 공기와 교환되어 온도와 습도가 불안정해지며, 이 역시 식물의 성장에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림의 경우에는 밀폐도가 50~70% 정도가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에서는 방풍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공기 교환과 수분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덩굴성 식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Celastrus orbiculatus - Actinidia arguta
  2. Campsis grandiflora - Aesculus turbinata
  3.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Callicarpadichotoma
  4. Lonicera japonica - Hydrangea macrophylla
(정답률: 39%)
  • "Celastrus orbiculatus - Actinidia arguta"는 모두 덩굴성 식물이며, 다른 보기들은 덩굴성 식물과 비덩굴성 식물이 함께 짝지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불두화, 박태기 나무, 병꽃나무 등 대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토심(cm, 토양등급 중급 이상)은 얼마인가?(단, 조경설계기준을 따른다.)

  1. 60
  2. 90
  3. 120
  4. 150
(정답률: 52%)
  • 대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토심은 60cm이다. 이는 대관목의 뿌리가 깊게 침투하여 안정적인 생육환경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토양등급이 중급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대관목이 물과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수목의 지상부 중량을 계산하는 식과 관련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K : 수간 형상지수
  2. d : 근원직경(m)
  3. w1 : 수간의 단위체적당 중량
  4. p : 지엽의 다소에 의한 할증률
(정답률: 50%)
  • d : 근원직경(m)은 틀린 설명이다. 식에서 사용되는 변수는 K, w1, p이며 근원직경은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완도 내 해발 100m 이하인 지역에 생태공원을 조성 하고자 한다. 다음 중 식재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수종은?

  1. 모람
  2. 쪽제비싸리
  3. 종가시나무
  4. 갈참나무
(정답률: 39%)
  • 정답은 "쪽제비싸리"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생태공원은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유지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식재할 때는 그 지역의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식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2. 쪽제비싸리는 원래 해안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로, 염분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완도 내 해발 100m 이하인 지역은 해안과는 거리가 먼 내륙 지역입니다. 따라서 쪽제비싸리는 그 지역의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식재하기에 부적합합니다.

    3. 반면에 모람, 종가시나무, 갈참나무는 내륙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로, 그 지역의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식물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생태공원 식재에 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형식 식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잔디밭 중앙에 한 그루 식재
  2. 테라스 좌우에 같은 모양의 두 그루 식재
  3. 미관상 좋지 못한 건물을 가리기 위해 일정하게 좁은 간격으로 식재
  4. 하나의 패턴을 이루도록 한 그루씩 드물게 식재
(정답률: 51%)
  • "하나의 패턴을 이루도록 한 그루씩 드물게 식재"는 옳은 설명이다. 이 방법은 규칙적인 패턴을 만들어내어 미관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중앙, 좌우, 일정 간격 등의 위치에 그루를 식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들도 모두 정형식 식재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조경수의 특성으로 틀리 것은?

  1. Pinus thunbergii Parl : 잎이 2개씩 속생하며 수피는 흑갈색이다.
  2. Sciadopitys verticillata Siebold & Zucc : 3개씩 속생하는 잎이 단지 위에 붙어 윤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3.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 잎이 5개씩 속생, 수피는 흑갈색이다.
  4. Pinus rigida Mill : 잎이 3개씩 속생, 수피에 맹아가 발달한다
(정답률: 50%)
  • "Sciadopitys verticillata Siebold & Zucc : 3개씩 속생하는 잎이 단지 위에 붙어 윤생하는 것처럼 보인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조경수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팽창균열이 없고 화학저항성이 높아 해수・공장폐수・하수 등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적합하고,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한 시멘트는?

  1. 고로시멘트
  2. 폴리머시멘트
  3. 알루미나시멘트
  4. 조강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56%)
  • 고로시멘트는 고로슬래그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시멘트로, 고로슬래그는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화학저항성이 뛰어나며, 또한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해수・공장폐수・하수 등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적합한 시멘트로 폴리머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조강포틀랜드시멘트보다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정사각형 도형의 단면계수가 36cm3일 때 한변의 길이는 몇 cm인가?

  1. 4
  2. 6
  3. 8
  4. 10
(정답률: 71%)
  • 단면계수는 해당 도형의 단면이 1cm2일 때 부피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사각형의 단면이 1cm2일 때 부피가 36cm3이라는 뜻이다.

    정사각형의 부피는 변의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x^3 = 36

    양변을 세제곱근으로 취하면,

    x = 3√36

    x = 3 x 6

    x = 18

    따라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6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공정표 작성 시 네트워크(Net work)수법의 장점에 해당되는 것은?

  1. 작성 및 검사에 특별한 기능이 요구되지 않는다.
  2. 다른 공정표에 비하여 익힐 때까지 작성 습득 시간이 짧다.
  3. 실제의 공사가 구분되어 이행되지 않으므로 진척 사항에 대한 특별한 연구가 필요하다.
  4. 개개의 작업관련이 도시되어 있어 내용이 알기 쉽다.
(정답률: 56%)
  • 네트워크 수법은 작업들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개개의 작업관련이 도시되어 있어 내용이 알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목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건상태에서 목재의 함수율은 15%정도이다.
  2. 열전도도가 낮아 여러 가지 보온 재료로 사용된다.
  3.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강도는 증대하며 인성은 감소한다.
  4.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 비례하여 신축을 일으킨다.
(정답률: 35%)
  •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 비례하여 신축을 일으킨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실제로는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목재의 강도는 증가하며 인성은 감소한다. 함수율이 높아질수록 목재는 더욱 유연해지고 신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공방안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연직 시공이음에는 지수판의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2. 혼화재료로서 팽창재는 콘크리트의 누수 원인이 되어 수밀성을 저해한다.
  3. 소요의 품질을 갖는 수밀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시공이음을 두어야 한다.
  4. 수밀 콘크리트는 양질의 AE제와 고성능 감수제 또는 포졸란 등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혼화재료로서 팽창재는 콘크리트의 누수 원인이 되어 수밀성을 저해한다."입니다. 이유는 팽창재는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여 수밀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혼화재료를 선택하여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사면의 종류별 특성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사면은 단면형태에 따라 직립사면, 반무한사면, 단순사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단순사면은 일정한 경사를 가진 사면이 계속되어 펼쳐진 것이다.
  3. 직립사면은 연직으로 절취된 사면으로, 암반으로 볼 수 있다.
  4. 단순사면의 붕괴는 저부파괴, 사면선단파괴, 사면내파괴로 구분된다.
(정답률: 45%)
  • "직립사면은 연직으로 절취된 사면으로, 암반으로 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순사면은 일정한 경사를 가진 사면이 계속되어 펼쳐진 것으로, 예를 들어 도로나 댐의 사면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직립사면은 사면이 수직으로 선형적으로 절취된 것으로, 암반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흙의 투수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흙의 투수계수는 형상계수에 따라 변화한다.
  2. 흙의 투수계수는 물의 단위중량에 비례한다.
  3. 흙의 투수계수는 물의 점성계수에 비례한다.
  4. 흙의 투수계수는 흙 유효입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50%)
  • "흙의 투수계수는 형상계수에 따라 변화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흙의 투수계수는 물의 점성계수에 비례합니다. 이는 흙 입자와 물 입자 사이의 마찰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또한, 흙의 유효입경이 작을수록 흙 입자 간의 간격이 작아져 물이 흘러들어가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투수계수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흙의 투수계수는 흙 유효입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지상 1km2의 면적을 지도상에서 4cm2로 표기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축척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500
  2. 1/5,000
  3. 1/50,000
  4. 1/500,000
(정답률: 48%)
  • 1km2의 면적을 4cm2로 표기하기 위해서는 지도상에서 1cm2에 250,000km2를 표기해야 한다. 따라서, 1cm를 250,000cm로 환산하면 1/250,000의 축척이 된다. 이를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1/50,0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져진 상태의 토량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을 표기한 체적환산계수(f)는?

  1. C
  2. L
  3. 1/L
  4. C/L
(정답률: 62%)
  • 체적환산계수(f)는 다져진 상태의 토량과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비율은 흐트러진 상태에서는 토막이 더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분모에 해당하는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이 더 크다. 따라서 분자와 분모를 각각 체적으로 환산하여 비율을 나타내면, 체적환산계수(f)는 "C/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5000m3를 성토하여 주차장을 조성하고자 한다 토취장의 토질이 사질토일 때 자연상태의 토량은 어느 정도 굴착해야 하는가? (단, L=1.20, C=0.95이다.)

  1. 4,167m3
  2. 4,750m3
  3. 5,263m3
  4. 6,000m3
(정답률: 37%)
  • 성토를 하기 위해서는 사질토를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성토를 하기 위해 굴착해야 하는 토량은 다음과 같다.

    굴착해야 하는 토량 = 5000m3 / C = 5000m3 / 0.95 = 5263.16m3

    따라서, 정답은 "5,263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표면마무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면마무리는 내구성, 수밀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마모를 받는 면의 경우에 물-결합재비를 크게 한다.
  3. 거푸집을 제거 후 발생한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은 방치해도 좋다.
  4. 표면마무리는 콘크리트 윗면으로 스며 올라온 물을 처리한 후에 한다
(정답률: 59%)
  • 표면마무리는 콘크리트 윗면으로 스며 올라온 물을 처리한 후에 한다. 이유는 콘크리트 윗면에 물이 스며들면 표면마무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물을 처리한 후에 표면마무리를 진행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각각의 입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경쟁입찰은 저렴한 공사비와 공사수주희망자에게 기회를 균등하게 줄 수 있으며 신용, 기술, 경험, 능력을 신뢰할 수 있어 우수한 입찰방법이다.
  2. 제한경쟁입찰은 계약의 목적, 성질에 따라 입찰참가자의 자격을 제한할 수 있다.
  3. 지명경쟁입찰은 자금력과 신용 등에서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특정 다수의 경쟁 참가자를 지명하여 입찰에 참여 하도록 한다.
  4. 수의계약은 소규모 공사, 특허공법에 의한 공사, 신기술에 의한 공사인 경우 체결할 수 있다.
(정답률: 61%)
  • "제한경쟁입찰은 계약의 목적, 성질에 따라 입찰참가자의 자격을 제한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경쟁입찰은 공사비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고, 다수의 공사수주희망자에게 기회를 균등하게 주어 경쟁을 촉진시키며, 입찰참가자의 신용, 기술, 경험, 능력을 신뢰할 수 있어 우수한 입찰방법입니다.

    제한경쟁입찰은 입찰참가자의 자격을 제한하여 특정한 기업이나 단체만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계약의 목적, 성질에 따라 입찰참가자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명경쟁입찰은 자금력과 신용 등에서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특정 다수의 경쟁 참가자를 지명하여 입찰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수의계약은 소규모 공사, 특허공법에 의한 공사, 신기술에 의한 공사인 경우 체결할 수 있는 계약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각종 금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납은 비중이 비교적 작고 융점이 높아 가공이 어렵다.
  2. 알루미늄은 비중이 철의 ⅓정도로 경량이며 열・전기 전도성이 크다.
  3. 청동은 구리와 주석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장식부품 또는 미술공예 재료로 사용된다.
  4. 동은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습기가 있거나 탄산가스가 있으면 녹이 발생한다.
(정답률: 59%)
  • "납은 비중이 비교적 작고 융점이 높아 가공이 어렵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납은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고 융점이 낮아 가공이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식재품 중 건설공사시 표준품셈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뿌리분의 크기에 의한 식재
  2. 나무높이(수고)에 의한 식재
  3. 초류종자 살포(기계살포)
  4. 유지관리를 위한 가로수 전정
(정답률: 33%)
  • 정답은 "뿌리분의 크기에 의한 식재"입니다. 이는 건설공사시 표준품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식재품으로, 뿌리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는 식재입니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에서는 나무높이(수고)에 따라 식재를 구분하며, 초류종자 살포(기계살포)와 유지관리를 위한 가로수 전정도 표준품셈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정지계획을 위한 등고선 조작방법 중에서 절토에 의한 방법의 장점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지반을 비교적 안정하게 할 수 있다.
  2. 대규모 대지에서 가장 유리하다.
  3. 여러 지역에서 일정한 경사를 유지할 수있다.
  4. 절토와 성토의 균형을 이루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정답률: 43%)
  • 절토에 의한 등고선 조작방법은 절벽이나 경사가 심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인 지반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을 비교적 안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대규모 대지에서 가장 유리하며, 여러 지역에서 일정한 경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절토와 성토의 균형을 이루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발포제로서 보드상으로 성형하여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며 건축벽 타일, 천장재, 전기용품 등에 쓰이는 열가소성 수지는?

  1. 실리콘수지
  2. 아크릴 수지
  3. 폴리에스테르 수지
  4. 폴리스티렌수지
(정답률: 40%)
  • 폴리스티렌 수지는 발포제로서 보드상에서 성형이 용이하고 열가소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며 건축벽 타일, 천장재, 전기용품 등에 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조경석 쌓기 시공상 유의해야 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체적으로 하부의 돌을 상부의 돌보다 큰 것을 사용한다.
  2.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는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에는 메쌓기를 한다.
  3. 세워쌓기의 경우 좌우 돌의 겹치기, 띄기 등은 설계도면에 따라 전체가 조화되게 배열한 다음 흙을 필요한 높이까지 채워 다진다.
  4. 돌쌓기는 오르기, 맞대기, 한줄이음(막힌줄눈)등의 시공으로 안전도를 높여야 한다.
(정답률: 25%)
  • 정답은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는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에는 메쌓기를 한다." 이다. 이유는 가로쌓기는 메쌓기가 아니라 벽돌쌓기와 같은 방식으로 쌓아야 하며, 높이에 따라서도 메쌓기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수준측량에서 우연오차로 판단되는 것은?

  1. 빛의 굴절에 의한 오차
  2. 지구 곡률에 의한 오차
  3. 십자선의 굵기로 인해 발생하는 읽음 오차
  4. 표척의 눈금이 표준척에 비해 약간 크게 표시되어 발생하는 오차
(정답률: 40%)
  • 십자선의 굵기로 인해 발생하는 읽음 오차는 측정 도구인 십자선의 굵기가 두껍기 때문에 실제 측정값과 차이가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와는 관련이 없으며,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광파거리측정기(Light Wave EDM)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국과 주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경량이며, 작업이 신속하다.
  3. 움직이는 장애물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4. 관측범위는 단거리용 5km 이내, 중거리용 60km 이내이다.
(정답률: 35%)
  • "종국과 주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광파거리측정기의 특징이 아니라, EDM(전자적 거리측정기)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광파거리측정기는 종국과 주국 대신에 발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종국과 주국으로 구성되어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그림과 같은 보에서 최대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몇 kNm인가?

  1. 12
  2. 30
  3. 72
  4. 156
(정답률: 31%)
  • 보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가장 큰 굽힘 모멘트를 가진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 보에서는 중간 지점에서 가장 큰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므로, 그 크기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점에서의 전단력을 구해야 합니다. 전단력은 굽힘 모멘트를 미분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단력을 구하고 이를 최대값으로 설정한 후, 이를 적분하여 최대 굽힘 모멘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보에서 중간 지점에서의 전단력은 30 kN입니다. 따라서, 이 값을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이를 적분하면 최대 굽힘 모멘트는 30 k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어떤 시설물에 3년마다 600만원이 소요되는 작업을 3년에 1회씩 도장공사를 실시하면, 단위년도의 예산은 얼마인가?

  1. 100만원
  2. 200만원
  3. 300만원
  4. 600만원
(정답률: 60%)
  • 3년마다 600만원이 소요되는 작업을 3년에 1회씩 실시하면, 1년에는 200만원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단위년도의 예산은 200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수목에 나타나는 미량요소 결핍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B 결핍은 황 결핍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2. Zn이 결핍되면 잎이 작아지고 괴사반점으로 얼룩진다.
  3. Mn의 결핍은 잎을 누렇게 변색시키며 새순의 왜성화를 일으킨다.
  4. Fe결핍은 산성토양보다 알칼리토양에서 더 쉽게 일어난다.
(정답률: 31%)
  • 정답: B 결핍은 황 결핍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옳은 설명)

    B 결핍은 황 결핍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식물의 생장저하와 광합성 작용의 저하, 잎이 찌그러지고 부러지는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Zn 결핍은 잎이 작아지고 괴사반점으로 얼룩지며, Mn 결핍은 잎을 누렇게 변색시키고 새순의 왜성화를 일으킵니다. Fe 결핍은 산성토양보다 알칼리토양에서 더 쉽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 중 병원체가 토양 내에서 월동하는 것은?

  1. 소나무 혹병
  2. 밤나무 잉크병
  3. 낙엽송 끝마름병
  4. 오동나무 부란병
(정답률: 35%)
  • 밤나무 잉크병은 병원체가 토양 내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병은 밤나무의 뿌리 부분에 감염되어 나타나며, 병원체는 토양 속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병은 토양으로부터 밤나무에게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식물 잎의 기공을 통하여 흡수되는 대기오염 가스로 인해 식물에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1. 효소작용의 교란
  2. 각종 대사작용의 저해
  3. 체내 성분의 분해·결합
  4. 양·수분의 급격한 배출
(정답률: 47%)
  • 식물 잎의 기공을 통하여 흡수되는 대기오염 가스로 인해 식물에 나타나는 증상은 "효소작용의 교란", "각종 대사작용의 저해", "체내 성분의 분해·결합"입니다. 이는 대기오염 가스가 식물 내부의 화학작용을 방해하여 식물의 성장과 생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반면, "양·수분의 급격한 배출"은 대기오염 가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식물의 생리적인 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 중 다주기성 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활엽수에 주로 나타난다.
  2. 곰팡이에 의한 병은 모두 다주기성이다.
  3. 2차전염원을 만들어 여러 번 반복 감염을 시킨다.
  4. 여러 생육기에 걸쳐 병원균의 한 세대가 완성된다.
(정답률: 54%)
  • 다주기성 병은 한 번 감염되면 병원균이 식물체 내에서 여러 번 번식하여 다시 감염을 일으키는 성질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병원균은 2차전염원을 만들어 여러 번 반복 감염을 시킨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다주기성 병은 식물의 생육기에 따라 병원균의 한 세대가 완성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다음 목재로 된 벤치에 대한 단점으로 가장 거리가면 것은?

  1. 병해충의 피해를 받기 쉽다.
  2. 습기에 약하며 썩기 쉽다.
  3. 내화력이 작다.
  4. 파손되면 보수가 곤란하다.
(정답률: 62%)
  • 목재는 자연적으로 부식되기 쉽고, 파손될 경우 복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수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 벤치는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될 경우 파손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조경수목에 살포한 농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리, 화학적으로 변화되는 주성분 또는 물리성을 확인하는 시험방법은?

  1. 경시변화시험
  2. 내열내한성시험
  3. 저장 안정성시험
  4. 저온 안전성시험
(정답률: 60%)
  • 조경수목에 살포한 농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리, 화학적으로 변화되는 주성분 또는 물리성을 확인하는 시험방법은 "경시변화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일정한 조건에서 농약을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한 후, 저장 전과 후의 농약 성분 및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여 변화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농약의 안정성과 사용 기간 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은 조경관리의 종류 중 어느 것 인가?

  1. 사전관리
  2. 운영관리
  3. 유지관리
  4. 이용관리
(정답률: 55%)
  • 이 그림은 시설물의 운영과 관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설물의 일상적인 운영과 관리를 담당하는 "운영관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양이온 치환용량(CEC)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CEC가 크면 대체로 토양의 비옥도가 높다.
  2. 유기물이 많은 토양은 대체로 CEC가 크다.
  3. 토양의 ph가 낮아질수록 CEC는 크다.
  4. 토양이 미세할수록 CEC는 크다.
(정답률: 51%)
  • "토양의 ph가 낮아질수록 CEC는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히려 토양의 pH가 높을수록 CEC가 크게 나타납니다. 이는 pH가 높을수록 음이온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의 pH가 낮아질수록 CEC는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옥외 조명등의 관리상 열효율이 높고, 투시성이 뛰어나며, 설치비는 비싸지만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것은?

  1. 금속 할로겐등
  2. 나트륨등
  3. 수은등
  4. 형광등
(정답률: 47%)
  • 나트륨등은 열효율이 높아서 발열이 적고, 투시성이 뛰어나서 멀리서도 밝게 보이며,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옥외 조명등의 관리에 적합한 조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정원수 전정에 있어서 그 제거 대상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병균이 붙어 있는 가지
  2. 도장지
  3. 근생아
  4. 화지
(정답률: 51%)
  • 화지는 정원수 전정에서 제거 대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화지가 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화지는 식물의 근본에 붙어 있어서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의 생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화지는 정원수 전정에서 제거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다음 중 표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포자
  2. 자실체
  3. 궤양
  4. 균사조직
(정답률: 38%)
  • 궤양은 생물체나 생명체의 특징이 아니며, 병리학적인 증상으로서 표징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궤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농약의 분자구조 중 요소(H2N-CO-NH2)골격을 가진 화합물로 구성된 형태는?

  1. 우레아(Urea)계
  2. 아마이드(Amide)계
  3. 다이아진(Diazine)계
  4. 트리아진(Triazine)계
(정답률: 35%)
  • 우레아(Urea)계는 요소(H2N-CO-NH2)골격을 가진 화합물로 구성된 형태이다. 이는 농약 중에서도 질소비료로 많이 사용되는 화합물로, 식물의 질소 공급을 돕는 역할을 한다. 아마이드(Amide)계는 요소(R-CO-NH2)골격을 가진 화합물로 구성된 형태이며, 다이아진(Diazine)계와 트리아진(Triazine)계는 요소(R-NH-C2NH-R)골격을 가진 화합물로 구성된 형태이다. 따라서, 요소(H2N-CO-NH2)골격을 가진 화합물은 우레아(Urea)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 중 물리적 잡초방제법이 아닌 것은?

  1. 소각(flaming)
  2. 피복(covering)
  3. 윤작(crop rotation)
  4. 솔라리제이션(solarization)
(정답률: 45%)
  • 윤작은 작물을 번갈아 심는 방법으로, 토양의 영양분을 보전하고 토양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이는 물리적인 방법이 아니라 작물 재배 방법에 해당하는데, 다른 보기들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 중 한국 잔디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육적온은 10~20℃ 정도이다.
  2. 한국 원산의 숙근초로서 보통 들잔디라고 부른다.
  3. 완전포복경으로 지하경이 왕성하게 뻗어 옆으로 기는 성질이 강하다.
  4. 5~6월에 개화하며, 6~7월에 결실하고, 지상부는 늦가을에 생육이 정지되면서 고사한다.
(정답률: 49%)
  • "생육적온은 10~20℃ 정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한국 잔디는 생육적온이 20~30℃ 정도이다. 이는 따뜻한 기후를 선호하는 식물로, 더위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칠레초석에 과인산석회를 배합하면 화학적으로 어떤 불리한 영향을 초래하는가?

  1. 양분의 불용해화
  2. 암모늄태 질소의 휘발
  3. 질산태질소의 환원에 의한 손실
  4. 질산태질소의 무수질산으로의 휘발
(정답률: 35%)
  • 칠레초석은 약산성을 띠고 있고, 과인산석회는 알칼리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물질을 섞으면 중화반응이 일어나서 pH가 중성에 가까워집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질산태질소가 생성되어 무수질산으로 휘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칠레초석과 과인산석회를 함께 사용하면 질산태질소의 무수질산으로의 휘발이 일어나서 비효율적인 양분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시설물 중 부식이 가장 빠르게 나타날 수 있는 조건은?

  1. 그늘에 설치된 프라스틱 제품
  2. 콘크리트에 묻힌 철제 지주
  3. 고온지대에 설치된 철 제품
  4. 물 표면에 접한 목재부분
(정답률: 57%)
  • 물 표면에 접한 목재부분은 물에 젖어 부식을 일으키는데, 목재 자체가 부식하기 쉬운 소재이기 때문에 부식이 가장 빠르게 나타날 수 있는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국립공원을 포함한 자연공원에서는 휴식년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조경관리의 기본 전략 중 어디에 속하는 내용인가?

  1. 완전방임형 관리 방법
  2. 폐쇄 후 육성 관리
  3. 폐쇄 후 자연회복형
  4.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시간 확보
(정답률: 46%)
  • 정답은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시간 확보"이다. 이는 국립공원을 포함한 자연공원에서 조경관리를 할 때, 사람들이 이용하는 구역과 휴식하는 구역을 번갈아가며 개방하면서 휴식시간을 확보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자연을 더욱 즐기며, 동시에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토양중의 일부 미생물은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 중 공기 중 질소를 고정시키는 미생물이 아닌 것은?

  1. Azotobacter
  2. Nitrobacter
  3. Rhizobium
  4. Clostridium
(정답률: 41%)
  • Nitrobacter는 질소를 고정시키는 미생물이 아니라, 질소를 질산염으로 산화시키는 미생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itrobac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해충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현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충 밀도가 높을수록 크다.
  2. 해충세대 간이 짧을수록 크다.
  3. 농약의 잔효성이 길수록 크다.
  4. 살포 농약의 횟수가 많거나 농도가 높을수록 크다.
(정답률: 41%)
  • "해충 밀도가 높을수록 크다."가 틀린 것이다. 해충 밀도가 높을수록 해충 간의 경쟁이 심해져서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저항성 발현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해충 밀도가 높을수록 저항성 발현 가능성이 낮아진다.

    해충 밀도가 높을수록 크다는 것은 오히려 반대로, 해충이 살충제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져서 저항성 발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