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조경기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그린스워드 계획(Greensward plan)의 특색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정형적인 몰(mall)과 대로
  2. 입체적인 체계를 갖는 동선
  3. 외부 식재의 제거를 통한 차경
  4. 넓고 쾌적한 마차 드라이브 코스
(정답률: 79%)
  • 정답: "외부 식재의 제거를 통한 차경"

    설명: 그린스워드 계획은 도시 공원을 만들기 위해 중앙공원의 잔디를 보존하고, 외부 식재를 제거하여 차경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외부 식재의 제거를 통한 차경"은 그린스워드 계획의 특색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린스워드 계획의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정원 중 별서가 아닌 것은?

  1. 강릉의 방해정
  2. 담양의 식영정
  3. 구례의 운조루
  4. 화순의 임대정
(정답률: 73%)
  • 별서는 강릉의 방해정, 담양의 식영정, 화순의 임대정 중 하나이며, 구례의 운조루는 별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노자공(路子工)에 의해 궁궐 남정(南庭)에 수미산(須彌山)과 오교(?橋)가 조성된 시기는?

  1. 평성경시대(平聲京時代)
  2. 평안경시대(平安京時代) 전기
  3. 평안경시대(平安京時代) 후기
  4. 비조시대(飛鳥時代)
(정답률: 79%)
  • 노자공에 의해 궁궐 남정에 수미산과 오교가 조성된 시기는 비조시대(飛鳥時代)입니다. 이 시기는 일본 역사상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까지의 시기로, 일본의 정치, 경제, 문화 등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건축물과 조각, 그림 등이 만들어졌으며, 노자공이 조성한 궁궐 남정도 이 시기의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옴스테드와 관령이 없는 사항은?

  1. 플랭클린 파크설계
  2. 그린스워드(Greensward)안
  3. 광역공원녹지체계의 아버지
  4. 요세미티 국립공원 건설을 위한 지도자
(정답률: 73%)
  • 요세미티 국립공원 건설을 위한 지도자와 관련이 없다. 옴스테드는 광역공원녹지체계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유는 미국에서 최초로 광역공원녹지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실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환경파괴를 막고, 시민들이 휴식과 레크레이션을 즐길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 플랭클린 파크설계와 그린스워드(Greensward)안은 옴스테드가 참여한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삼국사기에 나타난 정원수 중 궁중에 쓰였던 수종은?

  1.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2. 복숭아나무와 남천
  3. 향나무와 사시나무
  4. 복숭아나무와 배나무
(정답률: 81%)
  • 삼국사기에는 궁중에서 복숭아와 배를 많이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따라서 궁중에서 쓰이는 수종으로는 복숭아나무와 배나무가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조선시대 후원양식이라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양식이 나타났는데 그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은?

  1. 유교의 도덕관
  2. 주역의 인성관
  3. 불교의 극락정토 신앙
  4. 풍수지리설에 따른 양택의 위치 결정
(정답률: 76%)
  • 조선시대 후원양식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양택의 위치를 결정하였기 때문에 나타났습니다. 풍수지리설은 자연환경과 지형지물의 영향으로 인간의 운명과 행운이 결정된다는 믿음으로, 양택의 위치 또한 이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후원양식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양택의 위치를 정하고, 그 위치에 맞게 조경을 조성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버컨헤드(Birkenhead) 파크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넓은 부지를 작은 공간으로 분할하는 수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2. 일반 대중의 사용을 위해 시민의 힘과 재정으로 설계된 공원이다.
  3. 영국 내 수 많은 도시공원 조성의 경험이 집약되어 완성된 공원이다.
  4. 미국의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rick Law Olmsted)의 공원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정답률: 67%)
  • "넓은 부지를 작은 공간으로 분할하는 수법을 주로 사용하였다."가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버컨헤드 파크는 영국 내 수 많은 도시공원 조성의 경험이 집약되어 완성된 공원으로, 일반 대중의 사용을 위해 시민의 힘과 재정으로 설계된 공원입니다. 또한, 미국의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rick Law Olmsted)의 공원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 공원은 넓은 부지를 활용하여 자연과 조화롭게 조성되었으며, 분할하는 수법보다는 공간을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들어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백제 정림사지(址)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1탑 1금당식
  2. 5층 석탑을 배치
  3. 원내 방지의 도입
  4. 구릉지 남사면에 위치
(정답률: 66%)
  •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림사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지만, "구릉지 남사면에 위치"는 정림사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내용들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중세의 정원양식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하하(Ha Hah wall)
  2. 약초원(physic garden)
  3. 성곽 정원(walled garden)
  4. 수도원 정원(monastery garden)
(정답률: 85%)
  • "하하(Ha Hah wall)"은 중세의 정원양식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이유는 "하하(Ha Hah wall)"은 정원이 아니라, 영국의 전통적인 풍경 디자인 기법인 '하하(Ha-ha)'라는 장벽 구조물입니다. 이것은 잔디 지대와 낮은 벽 사이의 강제 경사면으로, 잔디 지대와 주변 경관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창덕궁 후원은 현존하는 궁궐 후원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다음 중 공간별로 시대적 조성연대 순서가 맞는 것은?(단, 순서는 오래된 것부터 나열한다.)

  1. 옥류천 → 반월지 → 춘당대 → 부용지
  2. 부용지 → 반월지 → 옥류천 → 춘당대
  3. 춘당대 → 반월지 → 부용지 → 옥류천
  4. 춘당대 → 옥류천 → 반월지 → 부용지
(정답률: 57%)
  • 정답은 "춘당대 → 옥류천 → 반월지 → 부용지"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춘당대: 1405년에 건립되었으며, 조선 초기의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건물이다.
    - 옥류천: 1636년에 만들어졌으며, 조선 후기의 수목원 양식을 보여준다.
    - 반월지: 1636년에 만들어졌으며, 조선 후기의 수목원 양식을 보여준다.
    - 부용지: 1636년에 만들어졌으며, 조선 후기의 수목원 양식을 보여준다.

    따라서, 춘당대가 가장 오래된 건물이고, 이후에 옥류천, 반월지, 부용지가 만들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고려 예종 때 궁 남서쪽 2곳에 설치한 것은?

  1. 화원(花園)
  2. 임해전(臨海殿)
  3. 임류각(臨流閣)
  4. 부용지(芙蓉池)
(정답률: 81%)
  • 고려 예종 때 궁 남서쪽 2곳에 설치한 것은 "화원(花園)"과 "부용지(芙蓉池)"이다. "화원"은 궁중에서 꽃을 관리하고 즐기는 곳으로, 궁중의 아름다움을 더하는 역할을 했다. "부용지"는 연못으로, 궁중에서 물을 즐기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임해전"과 "임류각"은 궁중에서 예술과 문화를 즐기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원양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티오가 발달한 곳은 스페인이다.
  2.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양식은 이탈리아의 영향과는 관련이 없다.
  3. 영국 자연풍경식 정원은 풍경화와 당대 문학 작품 및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
  4. 이탈리아 노단건축 양식은 경사진 지형을 활용하여 조망 경관을 중요시 하였다.
(정답률: 83%)
  •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양식은 이탈리아의 영향과는 관련이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프랑스 정원 양식은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탈리아의 바로크 정원 양식에서 발전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자생식물로 야생정원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근대 식재설계에 기여한 사람은?

  1. Lancelt Brown
  2. William Robinson
  3. William Kent
  4. Humphrey Repton
(정답률: 74%)
  • William Robinson은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한 야생정원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근대 식재설계에 기여했다. 이는 이전까지의 조경 디자인에서는 인공적이고 조작된 느낌이 강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디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길도 윤선도 원림 낙서재에 위치한 지형지물로 고산의 시에 언급된 사령의 하나인 것은?

  1. 칠암
  2. 월암
  3. 석양
  4. 귀암
(정답률: 76%)
  • 고산의 시에 언급된 사령 중 "귀암"은 보길도 윤선도 원림 낙서재에 위치한 지형지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고대의 조경유형((造景類型)에서 그 의의를 현대적인 개념으로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고대 바빌론의 공중정원은 현대 옥상정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고대 그리스의 아도니스원은 포트 가든(Pot garden)이나 윈도우 박스로 발달했다.
  3. 고대 로마의 포름은 현대 도시의 광장(plaza)으로 발달했다.
  4. 고대 앗시리아 수렵원은 현대 골프장의 시초가 되었다.
(정답률: 81%)
  • "고대 앗시리아 수렵원은 현대 골프장의 시초가 되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고대 앗시리아 수렵원은 사냥과 관련된 조경으로, 골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고대 앗시리아 수렵원은 사냥을 즐기는 왕족들을 위해 만들어진 조경으로, 인공적으로 조성된 호수와 섬, 그리고 동물들을 가두어 놓은 울타리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조경은 사냥을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왕족들의 권력과 부를 상징하는 것으로도 이용되었습니다.

    따라서, 고대 앗시리아 수렵원은 현대 골프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다른 고대 조경들과 마찬가지로 현대 조경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토피어리(topiary) 에 관한 설명으로 옮지 않은 것은?

  1. 나무를 특정한 형태로 자르고 깎아 다듬는 기술이다.
  2. 영국에는 스튜어트 왕조에 유행하여 18세기의 풍경식 정원에서 전성기를 이루었다.
  3. 18세기 영국 정원에서 가장 즐겨 만들어진 것은 공작새의 생김새를 본 뜬 것이다.
  4. 고대 로마시대에 유행하였으며 주로 화단의 장식물이나 산 울타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답률: 7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려시대 격구(擊毬)를 즐겨, 북원(北園)에 격구장(擊毬場)을 설치한 왕은?

  1. 예종
  2. 의종
  3. 인종
  4. 명종
(정답률: 79%)
  • 의종은 고려시대에 격구를 즐겨하고 북원에 격구장을 설치한 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네덜란드의 정원은 무엇으로 구획 지어진 작은 섬의 형태를 이루고 서로 다리에 의해서 이어지는가?

  1. 커낼
  2. 캐스케이드
  3. 폭포
  4. 창살울타리
(정답률: 79%)
  • "커낼"은 네덜란드의 정원에서 사용되는 작은 섬의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러한 작은 섬들은 서로 다리로 이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네덜란드 정원은 커낼들의 연속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커낼"이 정답이다. "캐스케이드"와 "폭포"는 물이 흐르는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고, "창살울타리"는 울타리를 뜻하는 용어이므로 네덜란드 정원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선시대 선비들이 정원 동쪽 울타리 밑에 국화를 심은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주돈이의 애련설의 재현
  2. 음양오행의 원리를 적용한 상징성 확보
  3. 왕희지의 난정고사에 의한 계획 모방
  4. 도연명의 안빈낙도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과 흠모
(정답률: 76%)
  • 조선시대 선비들이 정원 동쪽 울타리 밑에 국화를 심은 이유는 도연명의 안빈낙도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과 흠모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에 설치된 4개의 중정 가운데에서 비쟌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파라다이스 가든과 유사한 수로체계를 가지고 있는 중정은?

  1. 알베르카 중정
  2. 사자의 중정
  3. 란다라야 중정
  4. 사이프로스 중정
(정답률: 70%)
  •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에 설치된 4개의 중정 가운데에서 비쟌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파라다이스 가든과 유사한 수로체계를 가지고 있는 중정은 "사자의 중정"입니다. 이는 중앙에 대형 분수가 위치하고 그 주위에 사자상이 12개 배치되어 있어 사자의 중정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에 기초한 「경관미」 평가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이용자의 지각과 판단과정이 중요하다.
  2. 이용자와 경관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3. 조경계획 과정에서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를 반영할 수 있다.
  4. 경관미가 경관자체에 내재되어 있어 경관특성의 설명으로 경관미를 평가할 수 없다.
(정답률: 84%)
  • "경관미가 경관자체에 내재되어 있어 경관특성의 설명으로 경관미를 평가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경관미는 경관의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평가하는 것으로, 경관의 특성과는 별개로 존재한다. 따라서 경관특성의 설명으로는 경관미를 평가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도시지역 내 녹지지역에서의 허용되는 용적률(A)과 건폐율(B)을 차례로 나열한 것은?(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1. A : 50% 이하, B : 10% 이하
  2. A : 50% 이하, B : 20% 이하
  3. A : 100% 이하, B : 10% 이하
  4. A : 100% 이하, B : 20% 이하
(정답률: 59%)
  • 도시지역 내 녹지지역에서는 토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용적률과 건폐율이 제한되어 있다. 용적률은 건물의 총 부피를 나타내는 것으로, 100% 이하로 제한된다. 건폐율은 대지면적 중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20% 이하로 제한된다. 따라서 정답은 "A : 100% 이하, B : 20%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공원의 최대일(最大日) 이용객 산정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연간 이용객수 ÷ 365
  2. 연간 이용객수 × 최대일율
  3. 연간 이용객수 × 서비스율
  4. 연간 이용객수 × 회전율 × 최대일율
(정답률: 75%)
  • 정답은 "연간 이용객수 × 최대일율"이다. 이는 공원의 최대일 이용객 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연간 이용객 수와 최대일율을 곱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대일율은 일반적으로 공원의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의 이용객 수를 연간 이용객 수로 나눈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간 이용객 수와 최대일율을 곱하면 공원의 최대일 이용객 수를 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람들이 관광의 행위를 일으키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관광을 발생시키는 외적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득
  2. 욕구
  3. 여가시간
  4. 생활환경
(정답률: 79%)
  • 소득, 여가시간, 생활환경은 모두 외적인 요인으로서, 사람들이 관광을 선택하는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욕구는 내적인 요인으로서, 개인의 욕구나 욕망이 관광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욕구는 관광을 발생시키는 외적요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용객 추정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일반적인 서비스율은 90% 수준에서 결정 한다.
  2. 사회적 수요와 생태적 수요 중 적은 수치를 적용한다.
  3. 최대시이용자수는 최대일이용자수에 최대일률을 곱하여 산출한다.
  4. 최대동시수용인원은 전체면적을 1인당 연간 이용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정답률: 44%)
  • 이용객 추정은 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이때, 사회적 수요와 생태적 수요는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과 관련된 요소로, 이를 고려하여 이용객 추정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두 요소 중에서 적은 수치를 적용하는 이유는, 이들 요소가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측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이용객 추정을 위해서는 이들 요소를 적절히 고려하면서도, 그 수치를 적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관광지 및 관광단지의 개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권역계획(圈域計劃)은 그 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지사가 수립하여야 한다.
  2. 관광개발기본계획에는 관광권역(觀光圈域)의 설정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3.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전국을 대상으로 관광개발기본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관광지 및 관광단지는 기본계획과 권역계획을 기준으로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지정한다.
(정답률: 62%)
  • "관광지 및 관광단지는 기본계획과 권역계획을 기준으로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지정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기본계획과 권역계획은 관광지 및 관광단지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관광지 및 관광단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관광지 및 관광단지의 개발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자연공원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국립공원
  2. 도립공원
  3. 시립공원
  4. 지질공원
(정답률: 73%)
  • 시립공원은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원으로, 자연보호와 관련된 목적보다는 시민들의 휴식과 문화생활을 위한 시설이 주를 이룹니다. 따라서 자연공원의 유형으로는 국립공원, 도립공원, 지질공원이 있지만 시립공원은 자연공원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Friedman이 제시한 옥외공간의 설계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

  1. 시공주
  2. 이용자
  3. 설계관련행위
  4. 물리, 사회적 환경
(정답률: 78%)
  • 시공주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주체로, 옥외공간의 설계평가 항목 중 하나가 아닙니다. Friedman이 제시한 옥외공간의 설계평가 항목은 이용자, 설계관련행위,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개념으로 잘못된 것은?

  1. 개인 간, 집단 간, 세대 간의 형평성을 고려한다.
  2. 환경보존과 개발은 양립할 수 없다는 사고이다.
  3. 환경의 가치를 화폐가치로 환산하여 계획에 반영한다.
  4. 전 세대로부터 물려받은 규모의 환경자본을 다음 세대에 물려준다.
(정답률: 76%)
  • 정답은 "환경보존과 개발은 양립할 수 없다는 사고이다." 이다. 이는 잘못된 개념이며, 현재의 지속 가능한 개발은 환경보존과 개발이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보존과 개발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은 자연환경을 보호하면서 인간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주택정원의 주정(general living)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대문과 현관사이에 끼어 있는 공간이다.
  2. 가족의 휴식과 단란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가장 특색 있게 꾸밀 수 있는 곳이다.
  3. 대체로 실내공간과 침실과 같은 휴게공간과 연결되어 조용하고 정숙한 분위기를 갖는다.
  4. 주방, 세탁실, 다용도실, 저장고와 연결되어 있으며, 텃밭, 집기보관 장소 등이 있다.
(정답률: 74%)
  • 가족의 휴식과 단란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가장 특색 있게 꾸밀 수 있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연공원법령상 공원관리청이 공원구역에서 행위 허가를 함에 있어 공원심의위원회의 심의 거쳐야 하는 경우(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부지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2. 5천제곱미터 이상의 개간ㆍ매립ㆍ간척 그 밖의 토지형질변경을 하는 경우
  3. 도로ㆍ철도ㆍ궤도 등의 교통ㆍ운수시설을 1킬로미터 이상 신설하거나 1킬로미터 이상 확장 또는 연장하는 경우
  4. 만수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이거나 총 저수용량이 100만세제곱미터 이상이 되는 댐ㆍ하구언ㆍ저수지ㆍ보 등 수자원개발사업을 하는 경우
(정답률: 61%)
  • 공원구역에서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부지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이어야 공원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시설의 크기가 작아서 공원의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경계를 표시하는 상징적 요소인 담장이나 문주의 설치로 주민들에게 높은 소유의식을 부여하는 방법은 환경심리학의 어떤 연구 결과가 응용된 예인가?

  1. 혼잡(crowding)
  2. 반달리즘(vandalism)
  3. 영역성(territoriality)
  4.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
(정답률: 78%)
  • 영역성(territoriality)은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들의 지역적 영역을 지키고 유지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따라서 담장이나 문주의 설치는 해당 지역의 경계를 표시하고, 이를 통해 주민들에게 그 지역에 대한 소유의식을 부여할 수 있어 영역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응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택정원의 기능 분할(zoning)은 크게 전정(前庭), 주정(主庭), 후정(後庭) 및 작업(作業)공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다음 중 후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가족의 휴식과 단란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가장 특색 있게 꾸밀 수 있는 장소이다.
  2. 장독대, 빨래터, 건조장, 채소밭, 가구집기, 수리 및 보관 장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3. 실내 공간의 침실과 같은 휴양공간과 연결되어 조용하고 정숙한 분위기를 갖는 공간이다.
  4. 바깥의 공적(公的)인 분위에서 주택이라는 사적(私的)인 분위기로 들어오는 전이공간이다.
(정답률: 74%)
  • 실내 공간의 침실과 같은 휴양공간과 연결되어 조용하고 정숙한 분위기를 갖는 공간은 후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경관생태적 조경계획에 있어서 생물 다양성은 경관의 여러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경관의 특성 중 종 다양성과 부(-)의 상관을 가지는 특성은 무엇인가?

  1. 패취 면적
  2. 패취 연륜
  3. 매트릭스 이질성
  4. 패취 단절
(정답률: 68%)
  • 정답: "패취 단절"

    설명: 패취 단절은 경관에서 서로 다른 패취(식생) 지역이 분리되어 있거나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말한다. 이는 생물들의 이동과 교류를 방해하므로 종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패취 단절이 적은 지역일수록 종 다양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패취 면적과 연륜은 경관에서 패취의 크기와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매트릭스 이질성은 경관에서 패취와 패취 사이의 환경적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러한 지표들은 종 다양성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간행태에 관한 개념 중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사적(私的)인 공간을 말한다.
  2. 개인적 공간의 크기는 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
  3. 개인적 공간의 크기는 내성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 사이에 차이가 있다.
  4. 개인의 주변에 형성되는 보이지 않는 경계를 가진 공간을 말하며 외부인이 칩입하면 방어하는 공간을 말한다.
(정답률: 79%)
  •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사적(私的)인 공간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개인적 공간은 개인이 자신의 주변에 형성되는 보이지 않는 경계를 가진 공간을 말하며 외부인이 침입하면 방어하는 공간을 말한다. 따라서 개인적 공간은 개인이 사용하는 개인적인 공간이며,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은 개인적 공간이 아닌 공동 공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경 기본구상안의 발전단계에서 사용되는 부지상의 기능 다이어그램(Site-Related Functional Diagram)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능/공간 상호간의 관련성을 포함하여야 한다.
  2. 개념계획(concept plan)보다 상세하게 표현하여야 한다.
  3. 부지와 관련된 주요 기능/공간의 위치를 포함하여야 한다.
  4. 부지분석 도면을 중첩하여 기능/공간의 적절성을 검토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정답은 "개념계획(concept plan)보다 상세하게 표현하여야 한다."가 아닙니다. 이유는 발전단계에서는 기본구상안의 개념적인 부분을 보완하고 구체화하는 단계이므로, 개념계획보다 더 상세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각 보기들은 모두 부지상의 기능 다이어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입니다. 기능/공간 상호간의 관련성을 포함하여야 하며, 부지와 관련된 주요 기능/공간의 위치를 포함해야 합니다. 또한 부지분석 도면을 중첩하여 기능/공간의 적절성을 검토할 수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연공원의 적정 수용력을 결정하는 방법 중 이용자가 만족스러운 경험을 갖기 위해서 일정 지역에 어느 정도의 인원을 수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인가를 기준으로 삼는 수용력은?

  1. 물리적 수용력
  2. 생태적 수용력
  3. 심리적 수용력
  4. 특수 수용력
(정답률: 72%)
  • 심리적 수용력은 이용자들이 만족스러운 경험을 갖기 위해 필요한 인원 수를 기준으로 삼는 수용력입니다. 이는 자연공원의 물리적, 생태적 조건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심리적 요구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자연공원에서 편안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적절한 인원 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관광 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부부의사결정(spousal decision-mak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한요소의 역할은 개인수준의 의사결정 과정과 동일하다.
  2. 아내는 정보취합, 남편은 전체적인 의사결정 등 역할의 분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3. 대부분의 경우 관광지 결정을 위한 토론 전에는 각자의 초기 고려대상지의 수는 적으며 토론을 통하여 늘어난다.
  4. 한 사람의 선호도나 경험보다는 부부간의 교류속에서 서로의 의견 차이나 갈등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통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72%)
  • "제한요소의 역할은 개인수준의 의사결정 과정과 동일하다."가 틀린 것이다. 부부의 경우, 개인적인 제한요소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제한요소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수준의 의사결정과는 다르다.

    "대부분의 경우 관광지 결정을 위한 토론 전에는 각자의 초기 고려대상지의 수는 적으며 토론을 통하여 늘어난다."는 맞는 설명이다. 부부는 서로 다른 취향과 선호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각자가 고려하는 대상이 적을 수 있지만,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을 통해 새로운 대상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부는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합의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상 공원시설의 설치면적 기준 중 체육공원에 설치되는 운동시설은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몇 퍼센트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0
  2. 40
  3. 50
  4. 60
(정답률: 55%)
  • 체육공원에 설치되는 운동시설의 설치면적 기준은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년 이상 5년 이내
  2. 3년 이상 10년 이내
  3. 10년 이상 20년 이내
  4. 5년 이상 20년 이내
(정답률: 56%)
  •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의 기준은 대통령의 임기를 고려하여 설정되었다. 따라서 5년 이상은 대통령의 임기를 넘어선 기간을 의미하며, 20년 이내는 대통령의 임기를 4번 이상 연속으로 맡을 수 없다는 헌법 제70조에 따른 제한을 고려하여 설정된 기간이다. 따라서 "5년 이상 20년 이내"가 옳은 기간의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조경설계기준에 의한 『조경포장』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경시설에서 강성포장(rigid pavement)이란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을 말한다.
  2. 간이포장이란 주로 차량의 통행을 위한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을 말한다.
  3. 차도용 포장이란 차량의 최대 적재량에는 제한 없이 관리용 차량이나 모든 일반차량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의 포장을 말한다.
  4. 보도용 포장이란 보도, 자전거도, 자전거보행자도, 공원 내 도로 및 광장 등 주로 보행자에게 제공되는 도로 및 광장의 포장을 말한다.
(정답률: 64%)
  • 조경포장은 주로 보행자에게 제공되는 도로 및 광장의 포장을 말하며, 보도용 포장은 보도, 자전거도, 자전거보행자도, 공원 내 도로 및 광장 등 주로 보행자에게 제공되는 도로 및 광장의 포장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할 경우 평면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78%)
  •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할 경우, 평면도에서는 화살표 방향이 수직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갔을 때, 처음에는 제대로 보이지 않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이기 시작하는 현상은?

  1. 암순응
  2. 연색성
  3. 조건등색
  4. 푸르키니에 현상
(정답률: 79%)
  • 정답은 "암순응"입니다. 암순응은 눈이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들어갈 때, 망막 내의 막대세포와 원추세포가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처음에는 밝은 곳에서 너무 많은 빛을 받아서 눈이 적응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막대세포와 원추세포가 더 많은 빛을 받을 수 있도록 조절되면서 시야가 점점 밝아지는 것입니다. 연색성은 물체의 색깔이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하는 현상, 조건등색은 물체의 색깔이 주변의 색깔에 영향을 받아 변하는 현상, 푸르키니에 현상은 빛의 파장에 따라 물체의 색깔이 변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제도용 필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의 숫자가 커질수록 단단하고 흐리다.
  2. 조경설계도면 작성에는 일반적으로 B가 많이 사용된다.
  3. 홀더는 굵은 선을 그릴 때 사용한다.
  4. 비가 오면 연필심이 상대적으로 흐리게 느껴진다.
(정답률: 68%)
  • "조경설계도면 작성에는 일반적으로 B가 많이 사용된다."가 틀린 것이다. 조경설계도면 작성에는 일반적으로 H가 많이 사용된다. H는 얇은 선을 그리는 데에 적합하며, 조경설계도면에서는 세부적인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B는 굵은 선을 그리는 데에 적합하며, 주로 그림자나 진한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정원 구성재료 중 점(点)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1. 벤치
  2. 병목(竝木)
  3. 분수
  4. 해시계
(정답률: 71%)
  • 정원 구성재료 중에서 "병목(竝木)"은 점(点)적인 요소가 아니라 선(線)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벤치, 분수, 해시계는 모두 점(点)적인 요소로서 정원에서 시선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경관의 시각적 평가방법 중 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전문가들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 방법
  2. 사진, 슬라이드를 이용한 경관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방법
  3. 디자이너의 현장답사에 의한 시각적 질을 측정하는 방법
  4. 어린이들에게 그림을 그리게 하여 순수한 경관적 가치를 파악하는 방법
(정답률: 76%)
  • 어린이들에게 그림을 그리게 하여 순수한 경관적 가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주관적인 평가가 아닌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지 않는다. 어린이들은 경관에 대한 개념이나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림을 그리는 것만으로는 경관의 실제 가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문가들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 방법, 사진이나 슬라이드를 이용한 경관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방법, 디자이너의 현장답사에 의한 시각적 질을 측정하는 방법이 더욱 신뢰성이 높은 평가 방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레크레이션 계획 시 수용력을 산정하려고 할 때 틀린 것은?

  1. 서비스율이란 연평균 시설의 실제 이용률이라 할 수 있다.
  2. 유희공간을 연간 30일 개장했고 30일 동안 고르게 방문객이 왔다면 최대일률은 1이다.
  3. 연 방문객수는 기후요인을 감안한 경험치를 사용하여 일방문객수와 일수를 산정하여 계산한다.
  4. 1일 중 가장 방문객이 많은 시점의 방문객수의 그날의 전체방문객에 대한 비율을 회전율이라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유희공간을 연간 30일 개장했고 30일 동안 고르게 방문객이 왔다면 최대일률은 1이다." 이다. 이유는 최대일률은 1이 아니라 100%이다. 최대일률은 해당 시설이 가지고 있는 수용력을 모두 활용하여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최대 비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일률은 1이 아니라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규모와 비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규모는 ‘크기’를 말하며, 비례는 ‘상대적인 크기’를 뜻한다.
  2. 다른 요소에 비하여 커다란 규모는 시각적 강조를 나타낸다.
  3. 비례는 크기나 장단의 비를 말하며 균형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4. 비례는 주로 정물화에만 국한된 것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추상적 개념을 갖고 있다.
(정답률: 77%)
  • "비례는 주로 정물화에만 국한된 것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추상적 개념을 갖고 있다."가 틀린 것이다. 비례는 정물화뿐만 아니라 모든 시각 예술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대적인 크기나 비율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각적인 지각은 이전에 본 것과 이후에 본 것이 상호 연관되어 지각된다. 이 원칙은?

  1. Edge effect
  2. Sequence effect
  3. Contrast effect
  4. Gradation effect
(정답률: 70%)
  • 시각적인 지각에서 이전에 본 것과 이후에 본 것이 상호 연관되어 지각되는 원칙을 "Sequence effect"라고 한다. 이는 시각적 자극이 일정한 순서로 제시될 때, 이전 자극이 다음 자극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검은색과 흰색이 번갈아가며 제시될 때, 검은색 자극이 이전에 나왔을 때 흰색 자극의 밝기를 상승시키는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환경자극과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지각과 인지는 연속된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진다.
  2. 인지는 과거 및 현재의 외부적 환경과 현재 및 미래의 인간행태를 연관지어 주는 앎 혹은 지식을 얻는 다양한 수단을 말한다.
  3. 지각은 감각기관의 생리적 자극을 통하여 외부의 환경적 사물을 받아들이는 과정 혹은 행위를 말한다.
  4. 지각은 “아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고 인지는 “환경적 사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강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답률: 74%)
  • 정답은 "일반적으로 지각과 인지는 연속된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진다."이다. 지각과 인지는 서로 다른 과정으로 이해되어진다. 지각은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 환경적 자극을 받아들이는 과정이고, 인지는 이러한 자극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지각은 “아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고 인지는 “환경적 사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강조하는 것이 보통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각적 선호도 측정방법 중 정신생리 측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심리적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을 측정하는 것이다.
  2. 여러 대상물을 2개씩 맞추어 서로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3. 주로 오스굳(Osgood)의 어의구별 척도를 사용한다.
  4. 이용자의 관찰시간 측정에 의한 주의집중 밀도 파악이 가능하다.
(정답률: 68%)
  • 정신생리 측정법은 심리적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심리적인 자극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시각적 선호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여러 대상물을 2개씩 맞추어 서로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주로 오스굳(Osgood)의 어의구별 척도를 사용합니다. 이용자의 관찰시간 측정에 의한 주의집중 밀도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른 측정법에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로설계에서 곡선부의 선형은 보통 원곡선을 사용한다. 다음 중 원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단곡선(Simple curve)
  2. 3차 포물선(Parabola)
  3. 배향곡선(Re-verse curve)
  4. 반향곡선(Hair-pin curve)
(정답률: 69%)
  • 원곡선은 곡률이 일정한 곡선으로, 단곡선, 배향곡선, 반향곡선이 원곡선의 종류에 해당한다. 하지만 3차 포물선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원곡선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3차 포물선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곡선으로, 도로설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본계획안 작성 중 집행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투자계획
  2. 법규검토
  3. 유지관리계획
  4. 이용 후 평가
(정답률: 69%)
  • 집행계획은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담고 있으며, 이용 후 평가는 프로젝트가 완료된 후에 수행되는 평가 활동이므로 집행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용 후 평가는 프로젝트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다음 프로젝트에 반영하는 등의 목적으로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색관의 3원색(A)과 색료의 3원색(B)을 각각 모두 혼합하면 나오는 색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A : 흰색, B : 흰색
  2. A : 흰색, B : 검정
  3. A : 검정, B : 검정
  4. A : 검정, B : 흰색
(정답률: 80%)
  • 정답은 "A : 흰색, B : 검정"이다.

    색관의 3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을 모두 혼합하면 흰색이 된다. 따라서 A의 3원색을 모두 혼합하면 흰색이 된다.

    반면에 색료의 3원색은 시안, 마젠타, 노랑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을 모두 혼합하면 검정색이 된다. 따라서 B의 3원색을 모두 혼합하면 검정색이 된다.

    따라서 A와 B를 모두 혼합하면 흰색과 검정색이 섞여서 회색이 되는 것이 아니라, 검정색이 우세하게 나타나서 어두운 회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입ㆍ단면도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단면 뒤의 요소들은 그리지 않는다.
  2. 절단선은 강조가 되도록 굵고 두드러지게 표시한다.
  3. 가까운 대상물은 상세하게 굵은 선으로, 먼 곳의 대상물은 가는선으로 표현한다.
  4. 형태의 내부적인 상세나 수직ㆍ수평 요소들간의 관계가 입체적으로 표현된다.
(정답률: 69%)
  • "절단면 뒤의 요소들은 그리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절단면은 해당 부분을 자른 것이기 때문에 절단면 뒤의 요소들도 표현되어야 합니다. 다만, 절단면 뒤의 요소들은 절단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절단면 뒤의 요소들은 가는선으로 표현하거나, 그림자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보기]가 설명하는 조경설계기준상의 배수 방법은?

  1. 심토층배수
  2. 개거배수
  3. 암거배수
  4. 사구법
(정답률: 61%)
  • 보기에서 설명하는 조경설계기준상의 배수 방법은 "개거배수"이다. 개거배수는 지표면에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을 고르게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쌓아서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배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포장이 갖는 기능적이며 구성적인 기능과 용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정감을 창출한다.
  2. 공간의 성격을 단순화한다.
  3. 집약적인 이용을 수용한다.
  4. 공간의 규모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58%)
  • 포장은 안정감을 창출하고 집약적인 이용을 수용하며 공간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지만, 공간의 성격을 단순화하는 기능은 포장이 갖지 않는다. 포장은 오히려 공간의 성격을 강조하거나 변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늘시렁(파고라)을 배치하고자 할 때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휴게공간과 건물ㆍ보행로ㆍ운동장ㆍ놀이터 등에 배치하며, 보행 동선과의 마찰을 피한다.
  2.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겨울에는 햇빛이 잘 들도록 대지의 조건, 방위, 태양의 고도를 고려하여 배치한다.
  3. 화장실, 급한 비탈면, 연약지반, 고합철탑이나 전선 밑의 위험지역, 외진 곳 및 불경한 곳을 피하여 배치한다.
  4. 비교적 긴 휴식에 이용되므로 휴지통, 공중전화부스, 음수대 등 관리시설과 이격 배치한다.
(정답률: 79%)
  • 비교적 긴 휴식에 이용되므로 휴지통, 공중전화부스, 음수대 등 관리시설과 이격 배치한다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이러한 시설들은 그늘시럼이 위치한 장소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고려사항으로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경설계기준상의 운동시설 중 족구장 관련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경기장의 규격은 사이트라인 15m이며, 서브제한구역은 3m, 경기장 폭은 6.5m이다.
  2. 조명시설의 경우 일정한 조도보다 조금 높게 유지하고, 직접조명 방식을 사용한다.
  3. 안테나 높이는 1.5m이며, 안테나 이격거리는 사이드라인에서 21cm(공 지름간격)이다.
  4. 경기장은 장애물이 없는 평면으로서 각 라인으로부터 5m 이내에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어야 하며, 가능한 한 사이드 쪽은 6~7m, 엔드라인 쪽은 8m 이상을 이격한다.
(정답률: 68%)
  • "조명시설의 경우 일정한 조도보다 조금 높게 유지하고, 직접조명 방식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족구 경기에서는 공이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일정한 조도로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명시설의 조도를 조금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직접조명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간접조명 방식보다 더 밝고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파선(숨은 선)의 사용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단면도의 절단면을 나타낸다.
  2.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겉모양을 표시한다.
  3.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이다.
  4. 물체의 부분생략 또는 부분단면의 경계를 표시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이다." 이다. 파선은 물체의 내부 구조나 숨은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잔디류 중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은?

  1. Zoysia matrella
  2. Zoysia japonica
  3. Zoysia tenuifolia
  4. Kentucky bluegrass
(정답률: 50%)
  • 보기에서 설명하는 잔디류는 "Zoysia tenuifolia"이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매우 얇은 잎사귀와 낮은 생장패턴으로 인해 구분할 수 있다. "Zoysia matrella"와 "Zoysia japonica"는 잎사귀가 더 굵고 크며, "Kentucky bluegrass"는 다른 잔디류와는 다른 파란색 잎사귀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튜울립나무의 과명은?

  1. 현삼과
  2. 버즘나무과
  3. 백합과
  4. 목련과
(정답률: 49%)
  • 튜울립나무의 꽃은 목련과에 속하며, 현삼과, 버즘나무과, 백합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목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표층토(表層土)에 많이 함유된 부식층(腐植層)이 하는 작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유기물이 분해를 촉진시킨다.
  2.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양호하게 한다.
  3. 양분을 흡수, 보유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4. 배수력을 높여주어 보수량을 낮게 해준다.
(정답률: 78%)
  • 부식층은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분해되면서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물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배수력을 높여서 보수량을 낮추는 역할은 부식층이 아니라 하부토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하부토에서는 토양 입자들이 더 작아서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하부토의 구조와 배수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나무의 모양과 크기, 식재간격이 같지 않고, 또한 일직선을 이루지 않도록 손에 잡히는대로 심어가는 식재수법은?

  1. 배경식재
  2. 임의식재
  3. 교호식재
  4. 사실적식재
(정답률: 80%)
  • 임의식재는 나무를 일정한 간격과 방향에 맞추지 않고, 주변 환경과 나무의 성장에 따라 자유롭게 심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나무의 모양과 크기, 식재 간격이 다양하며 일직선을 이루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주변 환경에 적응하며 성장하는 나무를 얻을 수 있어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조경설계기준에서 인공지반에 식재된 대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식재 최소 토심 기준은?(단, 자연토양을 사용하고, 배수경사는 1.5~2.0%이다.)

  1. 30cm
  2. 45cm
  3. 70cm
  4. 90cm
(정답률: 53%)
  • 인공지반에 식재된 대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 토심은 45cm이다. 이는 대관목의 뿌리가 깊게 자라기 때문에 충분한 공간과 영양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자연토양을 사용하고 배수경사가 1.5~2.0%인 경우에는 뿌리가 깊게 자라기 어렵기 때문에 더욱 더 깊은 토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45cm가 최소 토심 기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상록활엽수로 분류되는 것은?

  1.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
  2. 팥배나무(Sorbus alnifolia K.Koch)
  3.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4.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
(정답률: 70%)
  • 차나무는 상록활엽수로 분류되는데, 이는 차나무의 잎이 계절에 상관없이 항상 녹색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육상식물군집의 생산성 측정법은?

  1. 수확법
  2. 동화챔버법
  3. 상대생장법
  4. 영구방형구법
(정답률: 76%)
  • 보기에서 나타난 식물군집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직접적인 방법은 수확법이다. 이 방법은 해당 지역에서 식물을 수확하여 그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해당 지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생산성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육상식물군집의 생산성 측정법은 수확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식재비탈면에 교목을 식재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기울기 조건은?

  1. 1 : 1.5
  2. 1 : 2
  3. 1 : 3
  4. 1 : 4
(정답률: 53%)
  • 식재비탈면에 교목을 식재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기울기 조건은 1 : 4 입니다. 이유는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비탈면에서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흙이 굳어서 뿌리가 발달하지 못하고 죽을 수 있고, 반대로 기울기가 너무 완만하면 물이 고여서 뿌리가 썩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 : 4 정도의 기울기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초본류는?

  1. 원추리
  2. 매발톱꽃
  3. 맥문동
  4. 술패랭이
(정답률: 52%)
  • 보기의 초본류는 "매발톱꽃"이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꽃의 모양이 매의 발톱과 비슷하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다른 보기인 "원추리", "맥문동", "술패랭이"는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식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중부이북지방에서 식재하면 동해 등의 생육상 장해를 받기 쉬워 가급적 식재를 하지 아니하여야 할 수종은?

  1. Machilus thunbergii
  2. Magonlia denudata
  3. Magnolia liliifloea
  4. Magnolia sieboldii
(정답률: 46%)
  • "Machilus thunbergii"는 중부이북지방에서는 동해 등의 생육상 장해를 받기 쉬우므로 식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수목식재시 이용되는 지주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끈, 새끼중 등의 결속재료는 잘 짜여 진 튼튼한 것으로 결속 후 쉽게 풀리지 않는 것으로 한다.
  2. 지주재는 통나무나 각재 또는 대나무 등을 사용하며, 특별히 고안된 지주를 사용할 수 있다.
  3. 지주용 통나무는 마구리를 가공하고, 절단면과 측면만을 다듬어 사용한다.
  4. 지주목용 대나무로 1년생의 것이 사용하기에 가장 좋으며, 강도가 뛰어나고 썩거나 벌레먹음, 갈라짐 등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65%)
  • "노끈, 새끼중 등의 결속재료는 잘 짜여 진 튼튼한 것으로 결속 후 쉽게 풀리지 않는 것으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주재의 결속재료로는 노끈, 새끼중 등이 사용되며, 이들은 결속 후 쉽게 풀리지 않도록 꽉 조여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4월에 잎이 피기 전에 적자색의 꽃이 개화하여 화색(化色)배합에 중요하게 취급되는 수종은?

  1. Cercis chinensis
  2. Albizia julibrissin
  3. Styrax japonicus
  4. Koelreuteria paniculata
(정답률: 55%)
  • 4월에 잎이 피기 전에 적자색의 꽃이 개화하는 수종은 "Cercis chinensis"이다. 이는 화색배합에서 적색 계열의 색상을 대표하는 나무로, 봄철에 화려한 붉은 꽃을 피우기 때문에 중요하게 취급된다. 다른 보기인 "Albizia julibrissin"은 분홍색 꽃을 피우며, "Styrax japonicus"는 흰색 꽃을 피우지만 봄이 아닌 여름에 개화한다. "Koelreuteria paniculata"는 노란색 꽃을 피우지만 잎이 피기 전이 아닌 여름에 개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Odum의 『생태적 천이(ecological succession)』에서 성숙단계에 도달할수록 기대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군집의 안정성이 낮아진다.
  2. 전체 유기물의 양이 많아진다.
  3. 생태적 지위의 특수화가 좁아진다.
  4. 층위형성과 공간적 이질성에 대한 조직화가 충분히 이루어진다.
(정답률: 75%)
  • "군집의 안정성이 낮아진다."는 성숙단계에서 기대되는 특성이 아닙니다. 오히려 성숙단계에 도달할수록 군집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 내에서 서로 다른 종들이 서로에게 의존하며 상호작용하면서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군집의 안정성이 낮아진다."는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설명: 성숙단계에 도달할수록 전체 유기물의 양이 많아지고, 생태적 지위의 특수화가 좁아지며, 층위형성과 공간적 이질성에 대한 조직화가 충분히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의 안정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동차 배기가스에 가장 약한 침엽수는?

  1. Magnolia liliiflora
  2. Chamaecyparis obtusa
  3. Nerium indicum
  4. Cercis chinensis
(정답률: 39%)
  • Chamaecyparis obtusa는 침엽수 중에서도 잎이 작고 표면적이 적어 산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낮아 자동차 배기가스에 가장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은행나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학명은 Ginkgo biloba L 이다.
  2. 중기는 회갈색이고 수피는 갈라진다.
  3. 황색 종이로 싸인 행과상이며 8~10월에 성숙한다.
  4. 꽃은 짧은 가지에 달리며 일가화(一家花)로서 3월에 개화하고, 그 다음 잎이 핀다.
(정답률: 78%)
  • "꽃은 짧은 가지에 달리며 일가화(一家花)로서 3월에 개화하고, 그 다음 잎이 핀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은행나무는 이른 봄에 꽃이 피고, 그 후에 잎이 나는 특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다른 나무들과는 달리 꽃이 일가화(一家花)로서 한 가지에 동시에 피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잎이 나서 여름에는 녹색으로, 가을에는 황금색으로 변하며, 겨울에는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다층식생구조로 가장 안정적인 구성은?(단, 교목 - 관목 - 지피의 순서 위치를 따른다.)

  1. 조팝나무 군락 - 조릿대 군락 - 맥문동 군락
  2. 상수리나무 군락 - 억새 군락 - 대나무 군락
  3. 굴참나무 군락 - 무궁화 군락 - 조팝나무 군락
  4. 느티나무 군락 - 개나리 군락 - 맥문동 군락
(정답률: 79%)
  • 다층식생구조에서는 교목, 관목, 지피의 순서대로 식물들이 자리 잡아야 안정적인 구성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느티나무 군락 - 개나리 군락 - 맥문동 군락"이 가장 안정적인 구성입니다. 느티나무는 교목으로서 높이가 높고 뿌리가 깊어서 토양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개나리는 관목으로서 높이가 적당하고 가지치기를 통해 모양을 잡을 수 있어서 빛을 잘 받을 수 있습니다. 맥문동은 지피로서 땅속에서 뿌리를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고 토양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교목, 관목, 지피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안정적인 다층식생구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바닷가 마을에 식재하는 수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inus thunbergii Parl
  2. Euonymus japonica Thunb.
  3. 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
  4.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정답률: 61%)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는 바닷가 마을에 식재하는 수종이 아니라, 일본에서 주로 자라는 나무 종류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산딸나무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열매는 구형의 취과이다.
  2. 과명은 층층나무과이다.
  3. 학명은 Cornus alba 이다.
  4. 꽃은 5월에 흰꽃으로 개화한다.
(정답률: 58%)
  • "학명은 Cornus alba 이다."는 산딸나무의 특징이 아니라 그 종을 가리키는 과학적인 명칭이기 때문에 설명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 ) 안에 가장 적합한 용어는?

  1. 테라리움(Terrariums)
  2. 디쉬가든(Dish Gaeden)
  3. 토피아리(Topiary)
  4. 트렐리스(Trellis)
(정답률: 78%)
  • 이 그림은 작은 식물들을 담아 놓는 작은 컨테이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작은 식물들을 담아 놓는 컨테이너를 테라리움(Terrariums)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조경수목의 성상과 해당 수목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상록활엽관목 - 사철나무
  2. 상록활엽교목 - 고광나무
  3. 낙엽활엽교목 - 노각나무
  4. 낙엽활엽관목 - 낙상홍
(정답률: 55%)
  • "상록활엽교목 - 고광나무"가 틀린 것은 고광나무는 상록활엽관목이 아니라 낙엽활엽교목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해당 수목의 성상과 연결이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잔디밭에 살수기를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의 4m 간격으로 배치하였다면 는 어느 정도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가?(단, 결과값은 소수점 3째자리에서 올림한다.)

  1. 약 4.08m
  2. 약 3.47m
  3. 약 3.20m
  4. 약 3.28m
(정답률: 69%)
  • 잔디밭에 살수기를 배치할 때, 살수기의 유효범위는 반지름이 2m인 원이다. 따라서 살수기끼리 서로 겹치지 않으려면, 살수기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4m + 2m + 2m = 8m 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4m 이므로, 정삼각형의 꼭짓점 사이의 거리는 4m × 2 = 8m 이다. 따라서, 살수기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정삼각형의 꼭짓점 사이의 거리보다 적어도 8m 이어야 한다.

    하지만, 정삼각형의 꼭짓점 사이의 거리는 4m × √3 ≈ 6.93m 이므로, 살수기 중심 사이의 거리는 약 6.93m보다는 크지만, 8m보다는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적어도 약 3.47m의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그림의 면적을 심프슨 제2법칙을 이용하여 구한 값은?(단, 지거의 간격은 5m로 일정하다.)

  1. 90.25m2
  2. 92.25m2
  3. 94.25m2
  4. 96.25m2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평판측향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2. 고저측량이 쉽게 행해진다.
  3. 기계의 조작과 측량 방법이 간단하다.
  4.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아 비가 오는 날이나 바람이 강한 날에는 측량이 곤란하다.
(정답률: 64%)
  • 고저측량이 쉽게 행해진다는 것은 평판측향에서의 장점 중 하나이다. 이는 지형의 고저차이가 크지 않아도 측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형이 평평한 지역에서도 측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표면의 유출량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배수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토지이용
  2. 토양형태
  3. 토양산도
  4. 배수지역경사
(정답률: 69%)
  • 토양산도는 지표면의 유출량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가 아닙니다. 토양산도는 토양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표면의 유출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토양산도는 배수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공원이나 골프장의 우수유출계수(雨水流出係數)는?

  1. 0.10 ~ 0.25
  2. 0.30 ~ 0.45
  3. 0.50 ~ 0.65
  4. 0.70 ~ 0.85
(정답률: 61%)
  • 공원이나 골프장은 대부분 잔디나 나무 등의 식물로 덮여 있어서 비가 내리면 흡수되어 지하수로 흐르는 비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우수유출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인 0.10 ~ 0.25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인 등고선상의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2. 등고선의 간격은 급경사지에서는 좁고 완경사지에서는 넓다.
  3.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소경사 방향이다.
  4. 등고선은 등경사지에서 등간격이며 등경사 평면인 지표에서는 등간격의 평생선을 이룬다.
(정답률: 73%)
  •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소경사 방향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등고선이 같은 높이를 나타내는 선이므로,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는 지표면에서 가장 경사가 완만한 방향을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최소경사 방향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표준품셈을 적용하여 기계화 시공으로 식재공사를 할 경우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때는 인력품의 몇 %를 감하는가?

  1. 3%
  2. 5%
  3. 10%
  4. 20%
(정답률: 65%)
  • 표준품셈을 적용하여 기계화 시공으로 식재공사를 할 경우 지주목을 세우지 않으면 인력품이 20% 감소합니다. 이는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경우에는 인력이 지주목을 세우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력품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시공계획의 작성순서를 조합한 것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45%)
  • 가장 적절한 시공계획 작성 순서는 "㉣ → ㉢ → ㉡ → ㉠"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 시공계획의 첫 번째 단계는 프로젝트의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지 않으면 프로젝트가 방향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2. ㉢: 다음으로는 프로젝트의 일정을 계획하는 것입니다. 이는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일정을 계획하지 않으면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예산 초과될 수 있습니다.

    3. ㉡: 세 번째로는 프로젝트의 비용을 계획하는 것입니다. 이는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자원의 비용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비용을 계획하지 않으면 예산 초과나 자원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 마지막으로는 프로젝트의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입니다. 위험을 평가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 → ㉢ → ㉡ → ㉠" 순서로 시공계획을 작성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 산정해야 하는 것은?

  1.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산정
  2. 구조물에 발생하는 반력 산정
  3.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응력 산정
  4. 구조물 단면에 발생하는 내응력 산정
(정답률: 75%)
  •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먼저 산정해야 합니다. 하중은 구조물이 지지하거나 지탱해야 하는 무게나 힘을 의미하며, 이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구조물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영향을 받을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하중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구조물을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한중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어 콘크리트가 동결할 염려가 있을 때 적용한다.
  2. 단위수량은 초기동해를 적게 하기 위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적게 한다.
  3. 먼저 가열한 시멘트와 굵은 골재, 다음에 잔골재를 넣어서 믹서 안에 재료 온도가 40℃ 이하가 된 후, 마지막으로 물을 넣는 것이 좋다.
  4.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60퍼센트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어 콘크리트가 동결할 염려가 있을 때 적용한다." 이다.

    설명: 한중콘크리트는 저온에서 경화가 느리기 때문에, 낮은 기온에서 사용할 경우 경화가 불완전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저온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먼저 가열한 시멘트와 굵은 골재, 다음에 잔골재를 넣어서 믹서 안에 재료 온도가 40℃ 이하가 된 후, 마지막으로 물을 넣는 것이 좋고, 단위수량은 초기동해를 적게 하기 위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적게 한다.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60퍼센트 이하로 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배수계통 중 지형이 한 방향으로 집중되어 경사를 이루거나 하수처리 관계상 하수를 한 방향으로 유도시킬 때 이용되는 것은?

  1. 차집식(interceping system)
  2. 선형식(fan system)
  3. 방사식(radial system)
  4. 직각식(rectangular system)
(정답률: 57%)
  • 선형식(fan system)은 지형이 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거나 하수를 한 방향으로 유도시킬 때 이용되는 배수계통으로, 하수관이 한 점에서 시작하여 여러 개의 하수관이 선형적으로 분기되어 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지형의 특성에 따라 적합하며, 하수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선형식(fan syste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그림과 같은 외팔보의 고정점 A에서 0.5m 떨어진 단면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몇 kNm인가?

  1. 3.5
  2. 6.5
  3. 9.5
  4. 12.5
(정답률: 33%)
  • 외팔보의 고정점 A에서 0.5m 떨어진 단면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 = F × d

    여기서 F는 외력의 크기이고, d는 외력이 작용하는 위치와 고정점 A 사이의 거리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외력은 20kN으로 주어져 있고, 외력이 작용하는 위치와 고정점 A 사이의 거리는 0.5m입니다. 따라서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M = 20kN × 0.5m = 10kN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외력이 외팔보의 끝에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작용한다고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는 위치와 고정점 A 사이의 거리는 1m가 됩니다. 따라서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M = 20kN × 1m = 20kN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를 1kNm 단위로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kNm를 1kNm 단위로 반올림하면 20kNm ≈ 19kNm ≈ 9.5 × 2kN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그림의 옹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B의 각은 안식각 또는 휴식각이라 한다.)

  1. 무근 콘크리트 구조이다.
  2. 4m 이하의 높이에 유리한 구조다.
  3. 하중은 옹벽 높이 1/3지점인 1.2m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4. 캔틸레버 옹벽으로 중력식 옹벽보다 구조상 유리한 단면이다.
(정답률: 62%)
  • 정답은 "캔틸레버 옹벽으로 중력식 옹벽보다 구조상 유리한 단면이다." 이다. 이유는 캔틸레버 옹벽은 하중이 옹벽 높이 1/3 지점인 1.2m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다. 또한 무근 콘크리트 구조이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4m 이하의 높이에 유리한 구조이다. 따라서 캔틸레버 옹벽은 중력식 옹벽보다 구조상 유리한 단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대지를 고르기 위해 사각형으로 분할(40m × 40m)하고 각 사각형의 모서리의 높이를 구하였더니 그림과 같다. 평탄하게 정지하였을 때 정지면의 높이로 맞는 것은?(단, 정지작업으로 인한 토량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1. 102.57m
  2. 102.07m
  3. 101.57m
  4. 100.25m
(정답률: 40%)
  • 각 사각형의 모서리의 높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98.5m | 99.0m | 99.5m | 100.0m | 100.5m |
    | 99.0m | 99.5m | 100.0m | 100.5m | 101.0m |
    | 99.5m | 100.0m | 100.5m | 101.0m | 101.5m |
    | 100.0m | 100.5m | 101.0m | 101.5m | 102.0m |
    | 100.5m | 101.0m | 101.5m | 102.0m | 102.5m |

    이를 보면, 높이가 가장 낮은 사각형은 (1,1)이고 높이가 98.5m이다. 높이가 가장 높은 사각형은 (5,5)이고 높이가 102.5m이다. 따라서, 정지면의 높이는 이 두 값의 평균인 100.2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도로의 수평노선에서 곡선반경이 20m 이고, 접선장의 교각이 30°일 때 곡선장은?

  1. 1.67m
  2. 5.24m
  3. 10.47m
  4. 12.14m
(정답률: 53%)
  • 접선장의 교각이 30°이므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접선장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sin(30°) = 접선장 / 반지름
    0.5 = 접선장 / 20
    접선장 = 10

    따라서, 곡선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곡선장 = 2π × 반지름 × (각도 / 360°)
    곡선장 = 2π × 20 × (30 / 360)
    곡선장 = 10.47m

    따라서, 정답은 "10.4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시방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성방법에 따라 표준시방서와 특기시방서로 구분된다.
  2. 시공순서에 따라 빠짐없이 기재하고, 중복되지 않고 간단명료하게 작성한다.
  3. 재료에 필요한 시험, 재료의 종류 및 품질, 건물인도시기, 총공사비 등을 기재한다.
  4. 계약서와 설계도면에 표현하기 어려운 공사이행에 관련한 일반사항과 특이사항을 기재하여 도면과 함께 공사의 지침이 되도록 작성되는 설계도서의 일종이다.
(정답률: 57%)
  • "재료에 필요한 시험, 재료의 종류 및 품질, 건물인도시기, 총공사비 등을 기재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도장(塗裝)공사에 사용되는 도장재료 중 도료의 원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조제(dryer)는 건조된 도막에 탄성, 교착성, 가소성 등을 주어 내구력을 증가시키는데 쓰이는 것이다.
  2. 수지(Resin)는 용제나 유지에 용해되어 있으나 도장 후에는 도막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서 천연수지와 합성수지로 대별된다.
  3. 용제(solvent)는 도막의 주요소를 용해시키고 적당한 점도조절 또는 도장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희석제(thinner)는 도료의 점도 저하와 증발의 속도 조절을 위하여 사용하며, 여러 종류의 신너가 대표적이다.
(정답률: 52%)
  • "수지(Resin)는 용제나 유지에 용해되어 있으나 도장 후에는 도막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서 천연수지와 합성수지로 대별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건조제(dryer)는 도막의 건조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토양의 견지성(consistenc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견지성은 수분함량에 따라 변화하는 토양의 상태변화이다.
  2. 소성지수란 소성한계와 수축한계의 차이로 소성지수가 높으면 가소성이 커진다.
  3. 수축한계란 수분 함량이 감소되더라도 더 이상의 토양용적이 감소하지 않는 시점의 함수비이다.
  4. 가소성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파괴되지 않고 모양이 변화되고, 힘이 제거된 후에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이다.
(정답률: 49%)
  • "수축한계란 수분 함량이 감소되더라도 더 이상의 토양용적이 감소하지 않는 시점의 함수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축한계는 수분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토양이 수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토양용적이 감소하는 시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소성지수란 토양의 가소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소성한계와 수축한계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소성지수가 높을수록 토양의 가소성이 커지며, 가소성은 토양이 힘을 받았을 때 모양이 변화되고, 힘이 제거된 후에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견지성은 토양의 수분함량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주차방식 중 방향의 변화가 적고, 통로의 폭이 감소될 수 있으나 토지이용 측면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방식은?

  1. 45°주차
  2. 60°주차
  3. 90°주차
  4. 평행주차
(정답률: 65%)
  • 45°주차는 차량을 대각선으로 주차시키는 방식으로, 토지 이용 측면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방식입니다. 이는 주차면당 차량이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차면 사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통로의 폭이 감소될 가능성이 높아져서 차량 이동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주차 방식에 비해 토지 이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보행로의 전방공간 설계시 고려사항으로 보행인 영역기포(territory bubble)와 전방공간이 적합한 것은?

  1. 공공행사장 보행: 4m
  2. 상점가 보행 : 6m
  3. 보통 보행 : 8m
  4. 쾌적한 환경 보행 : 11m
(정답률: 56%)
  • 보행인 영역기포는 보행자가 움직이는 공간을 의미하며, 전방공간은 보행자가 다가오는 장애물이나 차량 등을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쾌적한 환경 보행이 적합한 것이며, 이는 보행자들이 편안하게 걷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행 영역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하므로 보행자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충돌하는 일이 적어지며, 보행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보행의 효율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 )안에 알맞은 것은?

  1. A : 활산성 B : 치환산성
  2. A : 잠산성 B : 활산성
  3. A : 가수산성 B : 잠산성
  4. A : 활산성 B : 가수산성
(정답률: 64%)
  • 주어진 화학식에서 A와 B의 결합이 일어날 때, A 분자가 이온으로 분해되어 B 분자와 결합하는 것을 활산성이라고 하고, B 분자가 이온으로 분해되어 A 분자와 결합하는 것을 치환산성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화학식에서 A 분자가 이온으로 분해되어 B 분자와 결합하므로 A는 활산성이고, B는 치환산성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활산성 B : 치환산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농약의 약해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해독제 이용
  2. 저농도 약액 살포
  3. 농약의 안전사용 기준 준수
  4. 표류비산을 막기 위한 제제의 개선
(정답률: 48%)
  • 저농도 약액 살포는 농약의 양을 줄여서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농약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농약의 약해방지를 위한 대책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해독제 이용, 농약의 안전사용 기준 준수, 표류비산을 막기 위한 제제의 개선은 모두 농약의 약해방지를 위한 대책으로서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식물에서 광보상점 이하가 되면 나타나는 현상은?

  1. 신장장해, 황화현상
  2. 반점생성, 개화촉진
  3. 분지증가, 격년결실
  4. 근부생장, 광합성 증가
(정답률: 75%)
  • 식물에서 광보상점 이하가 되면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받지 못하게 되어 광합성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식물의 세포들이 축소되어 식물 전체적으로 신장장해가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황화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장장해, 황화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잡초는?

  1. 바랭이
  2. 민들레
  3. 소리쟁이
  4. 도꼬마리
(정답률: 67%)
  • 도꼬마리는 작고 가벼워서 바랭이나 민들레보다 더 쉽게 사람이나 동물에게 부착되어 운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생애주기비용(LCC)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LCC분석방법은 개념적으로 매우 복잡하지만 신뢰도가 높다.
  2. 총생애주기비용의 관점에서 가장 경제적인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일종의 경제성평가 기법이다.
  3. 시설물의 초기투자, 운영, 유지관리, 해체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사업의 전체 비용을 합산하여 분석한다.
  4. 건설사업의 비용절감을 위한 방법으로 VE(가치공학) 수행시 경제적 평가는 LCC에 의존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LCC분석방법은 개념적으로 매우 복잡하지만 신뢰도가 높다." 이다. LCC분석방법은 개념적으로는 복잡하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제성평가 기법이다. 따라서, LCC분석방법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신뢰도가 높은 경제성평가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의 결정인자는 고정인자와 가변인자로 구분된다. 다음 중 고정적 결정인자에 속하는 것은?

  1. 대상지의 크기와 형태
  2. 특정 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정도
  3. 대상지 이용의 영향(user impact)에 대한 회복능력
  4. 기술과 시설의 도입으로 인한 수용능력 자체의 확장 가능성
(정답률: 55%)
  • "특정 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정도"는 고정적 결정인자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가변적인 요소로서, 참여자들의 선호도나 관심도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의 결정인자 중 고정적인 것은 "대상지의 크기와 형태", "대상지 이용의 영향(user impact)에 대한 회복능력", "기술과 시설의 도입으로 인한 수용능력 자체의 확장 가능성"이다. 이들은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이나 관리 정책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값을 가지며,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자연친화적 저류지의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종 방류구의 관경이 1.2m보다 클 경우 안전을 위한 접근차단시설 설치를 검토한다.
  2. 유지관리 및 침강지 청소 등을 위한 유지관리용 도로는 중장비의 접근에 버틸 수 있으며 진입, 운행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여야 한다.
  3. 저류지의 입지는 홍수 시 유량의 집합2소로, 인접지역이 25% 이상의 일정한 경사를 갖는 곳이 적합하다.
  4. 홍수 시 수위조절 및 첨두유출량, 유출총량을 조절하는 시설을 저류지라 한다.
(정답률: 58%)
  • "저류지의 입지는 홍수 시 유량의 집합소로, 인접지역이 25% 이상의 일정한 경사를 갖는 곳이 적합하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목재 썩음병에 관계하는 중요한 효소는?

  1. Amylase
  2. Lipase
  3. Ligninase
  4. Phosphotase
(정답률: 54%)
  • 목재 썩음병은 주로 나무의 세포벽을 분해하는 세균이나 균류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때,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리그닌(lignin)을 분해하는 효소가 필요합니다. 이 효소가 Ligninase입니다. 따라서, 목재 썩음병과 관련된 중요한 효소는 Ligninas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다음은 어떤 양분의 결핍시 주로 발생하는 현상인가?

  1. 망간
  2. 마그네슘
  3. 아연
  4. 칼슘
(정답률: 42%)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지고 죽어나가는 현상은 망간 결핍으로 인한 것입니다. 망간은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핍 시 식물의 생장과 대사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비료를 물에 희석하여 직접 살포하는 것으로, 주로 미량원소의 부족시 그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시비 방법은?

  1. 표토시비법
  2. 엽면시비법
  3. 토양내 시비법
  4. 수간주사법
(정답률: 73%)
  • 엽면시비법은 비료를 물에 희석하여 작물의 잎면에 직접 뿌리는 시비 방법으로, 작물의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양분보다 빠르게 흡수되어 미량원소의 부족을 빠르게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시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중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서 정하는 공사기간의 연장을 요청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단, 감독자의 승인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1. 감독자의 지시에 응하지 않을 때
  2. 시공자가 설계서대로 시공하지 않을 때
  3. 시공자의 인력수급 곤란 등 사정 발생시
  4. 부적기 식재, 천재지변 등 공사의 지연이 불가피할 때
(정답률: 74%)
  • 부적기 식재, 천재지변 등 공사의 지연이 불가피할 때는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공사가 예정된 기간보다 더 오래 걸리는 경우이며, 이 경우에는 시공자의 책임이 아닌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는 것이므로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서 정하는 공사기간의 연장을 요청할 수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보호살균제(保護殺菌濟)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력한 포자의 발아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2. 약효가 일정기간 유지되는 지효성이 있다.
  3. 균사체에 대하여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4. 살포 후 작물체 표면에서의 부착성과 고착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53%)
  • 정답은 "강력한 포자의 발아 억제작용을 나타낸다."이다. 보호살균제는 균사체에 대하여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내며, 약효가 일정기간 유지되는 지효성이 있으며, 살포 후 작물체 표면에서의 부착성과 고착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포자의 발아 억제작용은 보호살균제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토양 공극량을 높이고, 답압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굵은 골재 중 진흙입자를 약 700℃ 고온처리 한 것으로 연회색을 띠는 것은?

  1. 펄라이트
  2. 버미큘라이트
  3. 소성점토
  4. 중점토
(정답률: 49%)
  • 소성점토는 고온에서 진흙입자가 결합하여 굵은 입자로 변화하면서 토양 공극량을 높이고, 답압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회색을 띠는 굵은 골재 중 진흙입자를 약 700℃ 고온처리 한 것이 소성점토입니다. 다른 보기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중점토는 각각 다른 물질로, 소성점토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조경 환경관리 중 자연생태계보호 관련 관리 내용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공사로 인한 주변환경과 자연생태계의 훼손 및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한다.
  2. 공사 중 보호동물, 보호식물 또는 보호식생군락과 희귀생물의 서식지 등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는다.
  3. 공사용 가도, 진출입로, 임시설치 등을 위한 부지는 주변녹지의 훼손이 불가피하더라도 가장 먼저 선정하여 공사 완료 후 감독자의 승일을 받아야 한다.
  4. 공사현장의 자생수목으로서 단지조성 들의 기반공사 후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수목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굴취, 가식 등의 보호조치를 추하고 단지조성후 활용한다.
(정답률: 77%)
  • 가장 부적합한 것은 "공사용 가도, 진출입로, 임시설치 등을 위한 부지는 주변녹지의 훼손이 불가피하더라도 가장 먼저 선정하여 공사 완료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이다. 이는 주변녹지의 훼손을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면서도 먼저 선정하여 공사를 진행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는 것으로, 환경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블록포장 산책로의 보수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노반층이나 모래층은 부설 후 기계전압을 한다.
  2. 파손되거나 침하된 블록은 모두 걷어 낸 후 폐기처리 한다.
  3. 모래층을 수평고르기 할 때 여유 모래양의 두께는 5mm 정도가 좋다.
  4. 블록 설치가 끝난 다음에는 가는 모래를 뿌려서 이음새에 들어가도록 빗자루로 쓸어 넣는다.
(정답률: 68%)
  • "모래층을 수평고르기 할 때 여유 모래양의 두께는 5mm 정도가 좋다."는 보수공사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부적합한 것이다.

    파손되거나 침하된 블록은 모두 걷어 낸 후 폐기처리하는 이유는 안전성을 위해서이다. 파손된 블록은 더 이상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침하된 블록은 산책로의 평탄성을 해치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토양의 풍화작용 중 [보기]와 같은 현상은?

  1. 산화작용
  2. 환원작용
  3. 산성화 작용
  4. 가수분해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현상은 토양의 산화작용입니다. 산화작용은 산소와 함께 토양 물질이 반응하여 산화되는 작용으로, 이 과정에서 토양의 색깔이 변하고 물질의 성질이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소나무에 피해를 주는 솔잎혹파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생성 전적으로는 혹파리반뿔먹좀벌 단일종 뿐이다.
  2. 연 1회 발생하며, 지피물 밑이나 흙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3. 피해를 입은 침엽은 신장이 저해되고, 그 기부는 이상비대를 일으켜 충영을 형성한다.
  4. 침투성 약제 수간주사로 방제할 수 있다.
(정답률: 58%)
  • "기생성 전적으로는 혹파리반뿔먹좀벌 단일종 뿐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솔잎혹파리와 관련된 다른 해충들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솔잎마름병균과 함께 작용하여 솔나무의 잎이 마르는 솔잎마름병도 솔잎혹파리의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자연 중심형 공원에서 일정 분향의 쓰레기를 수거해 올 경우 여러 가지 사은품을 증정하는 것을 보상제도(Positive incentive)라고 한다. 보상제도의 도입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공원 정상부에 수집소를 집중 설치한다.
  2. 장려보상은 보조수단이 되어야 한다.
  3. 보상제도의 목적과 방법을 명확하게 명시한다.
  4. 보상제도는 이용자의 도덕적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73%)
  • "공원 정상부에 수집소를 집중 설치한다."가 가장 부적합한 것은 이유가 다음과 같다. 공원 내에 수집소를 집중 설치하면 일부 지역은 수거가 불편해지고, 다른 지역은 과도한 수거로 인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수집소는 공원 내 여러 지점에 분산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보상제도의 도입시 고려사항으로는 "장려보상은 보조수단이 되어야 한다.", "보상제도의 목적과 방법을 명확하게 명시한다.", "보상제도는 이용자의 도덕적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부적절한 것은 없다. 모든 고려사항이 중요하며, 이를 고려하여 보상제도를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다음 중 잠복소(潛伏巢) 사용시 방제가 가장 효과적인 해충은?

  1. 거위벌레
  2. 솔나방
  3. 소나무좀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률: 56%)
  • 잠복소는 솔나방과 같이 작은 크기의 해충에 대해 효과적입니다. 솔나방은 작은 크기이며, 잠복소 내부에 알을 낳아 번식하기 때문에 잠복소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해충들은 크기가 크거나 잠복소 내부에 알을 낳지 않기 때문에 잠복소를 사용해도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골프장의 코스관리 지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을철 페어웨이 관리는 마지막 시비를 휴면 40일 전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늦은 여름 기온의 상승과 함께 예고 를 하향조정하여 광합성량을 감소시키고, 뿌리발육을 억제시켜 고온기 동안의 환경내성을 감소시킨다.
  3. 봄철 그린은 에어레이션 직후 시비하여 비료가 코어 속으로 들어가 근권 토양에 양분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4. 눈이 많이 쌓여 수목의 가지가 부러지는 피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중요 조경수는 적설 후 제설작업을 신속히 실시하도록 한다.
(정답률: 60%)
  • "늦은 여름 기온의 상승과 함께 예고 를 하향조정하여 광합성량을 감소시키고, 뿌리발육을 억제시켜 고온기 동안의 환경내성을 감소시킨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늦은 여름에 기온이 상승하면 광합성량이 증가하여 뿌리발육이 활발해지고, 고온기 동안의 환경내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예고를 하향조정하여 광합성량을 감소시키고, 뿌리발육을 억제시켜 고온기 동안의 환경내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