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조경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우리나라에 모란(牡丹) 씨가 도입된 시기는?

  1. 신라 진평왕 49년
  2. 백제 동명성왕 22년
  3. 신라 법흥왕 21년
  4. 신라 문무왕 14년
(정답률: 65%)
  • 모란 씨가 도입된 시기는 "신라 진평왕 49년"이다. 이는 신라 진평왕이 중국에서 모란을 받아와 국내에 도입하게 된 시기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란과 관련이 없는 시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국에 조성된 정원과 이를 경영한 인물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이덕유 - 평천산장
  2. 왕유 - 망천별업
  3. 사마광 - 독락원
  4. 이격비 - 졸정원
(정답률: 75%)
  • 이격비는 졸정원을 조성한 인물이 아니라, 조선시대 문신이며 시인으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따라서 이격비 - 졸정원이 틀린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추고천황(推古天皇) 20년(612년)에 백제의 노자공(路??)이 수미산(須彌?)과 오교(吳橋)를 만들어 놓았다.” 라는 내용이 포함된 일본 최초정원에 관한 기록서는?

  1. 작정기(作庭記)
  2. 일본서기(日本書紀)
  3. 축산정조전 전편(築山庭造傳 前篇)
  4. 석조원생팔중탄전(石粗園生八重坦傳)
(정답률: 72%)
  • 일본 최초의 정원에 관한 기록서는 "일본서기(日本書紀)"이다. 이는 일본 역사와 전설을 기록한 일본의 역사서 중 하나로, 720년에 완성되었다. 따라서, 이 기록서에는 추고천황 20년에 백제의 노자공이 수미산과 오교를 만들어 놓았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20세기 초 도시미화운동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한 미국의 조경가는?

  1. 맥킴(C. McKim)
  2. 번햄(D. Burnham)
  3. 로빈슨(C. Robinson)
  4. 생고덴(A. Saint-Gaudens)
(정답률: 59%)
  • 로빈슨은 도시미화운동에서 중요한 개념인 "그린벨트(Greenbelt)"를 제안하였으며, 도시계획에서 자연환경 보존과 도시화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도시미화운동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영국 풍경식 조경가들의 활동연대 순서가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된 것은?

  1. 찰스 브릿지맨 → 란셀로트 브라운 → 월리암 켄트 → 험프리 랩턴
  2. 월리암 켄트 → 란셀로트 브라운 → 찰스 브릿지맨 → 험프리 랩턴
  3. 월리암 켄트 → 찰스 브릿지맨 → 란셀로트 브라운 → 험프리 랩턴
  4. 찰스 브릿지맨 → 월리암 켄트 → 란셀로트 브라운 → 험프리 랩턴
(정답률: 66%)
  • 영국 풍경식 조경가들의 활동연대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찰스 브릿지맨 → 월리암 켄트 → 란셀로트 브라운 → 험프리 랩턴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찰스 브릿지맨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활동했습니다.
    - 월리암 켄트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활동했으며, 찰스 브릿지맨과 함께 일했습니다.
    - 란셀로트 브라운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반까지 활동했습니다. 월리암 켄트와 함께 일했으며, 찰스 브릿지맨과는 일하지 않았습니다.
    - 험프리 랩턴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반까지 활동했습니다. 란셀로트 브라운과 함께 일했으며, 찰스 브릿지맨과 월리암 켄트와는 일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찰스 브릿지맨 → 월리암 켄트 → 란셀로트 브라운 → 험프리 랩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관련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장물지(長物誌) - 계성
  2. 애련설(愛蓮設) - 주돈이
  3. 낙양명원기(洛陽名園記) - 이격비
  4. 유금릉제원기(遊金陵諸園記) - 왕세정
(정답률: 81%)
  • "장물지(長物誌) - 계성"은 관련성이 없는 것이다. "장물지"는 조선시대의 농업 및 생활용품에 대한 설명서이고, "계성"은 중국의 도시 이름이다. 따라서 이 둘은 관련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국정원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풍류생활의 장
  2. 유불선 사상 반영
  3. 원지의 단조로움
  4. 곡선위주의 윤곽선 처리
(정답률: 71%)
  • 한국정원의 특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곡선위주의 윤곽선 처리"입니다. 이는 한국정원에서 곡선적인 윤곽선을 중요시하며, 직선적인 요소보다는 곡선적인 요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곡선적인 윤곽선 처리는 한국정원에서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조화롭고 아름다운 모습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George Washington이 개조했으며 가장 사랑했던 주택은?

  1. 몬티셀로(Monticello)
  2. 군스톤 홀(Gunston Hall)
  3. 마운트 버논(Mount Vernon)
  4. 스토우 하우스(Stowe House)
(정답률: 62%)
  • George Washington은 마운트 버논을 개조하고 거주했으며, 이곳을 가장 사랑했기 때문에 정답은 "마운트 버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George Washington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7세기 영국 스튜어트 왕조의 정원에 미친 네덜란드의 영향이 아닌 것은?

  1. 튤립의 식재
  2. 방사형의 소로
  3. 공간구성의 조밀함
  4. 상록수를 환상적 형태로 다듬은 토피아리
(정답률: 59%)
  • 방사형의 소로는 네덜란드의 영향이 아닌 것이다. 이는 영국의 전통적인 정원 디자인 요소 중 하나로, 중앙에 있는 작은 원형 정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길게 뻗어나가는 도로나 보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영국의 대표적인 정원 디자인 스타일 중 하나인 "포멀 가든"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서원과 대(臺)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도산서원 - 천연대
  2. 옥산서원 - 사산오대
  3. 돈암서원 - 영귀대
  4. 무성서원 - 유상대
(정답률: 54%)
  • 돈암서원과 영귀대는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나머지 서원과 대는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백제시대의 궁원을 조성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궁남지 → 한산성궁원 → 망해정 → 임류각
  2. 한산성궁원 → 임류각 → 궁남지 → 망해정
  3. 임류각 → 한산성궁원 → 궁남지 → 망해정
  4. 한산성궁원 → 궁남지 → 임류각 → 망해정
(정답률: 58%)
  • 백제시대의 궁원을 조성 시기 순으로 나열하면, 먼저 한산성궁원이 조성되고 그 다음으로 임류각, 궁남지, 망해정이 조성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한산성궁원 → 임류각 → 궁남지 → 망해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륭화원(乾隆花園)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3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전통적 계단식 경원이다.
  2. 제1단은 석가산을 이용하여 자연의 웅장함을 갖게 하였다.
  3. 제2단은 인공 연못을 조성하여 심산유곡을 상징화 하였다.
  4. 제3단은 석가산위에 팔각문이 달린 죽향관을 세웠다.
(정답률: 57%)
  • 건륭화원은 3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전통적 계단식 경원이며, 제1단은 석가산을 이용하여 자연의 웅장함을 갖게 하였습니다. 이는 석가산의 자연적인 높이와 경사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족은 산, 삼방은 못으로 조성되어 연꽃 향으로 유명한 하풍사면정(荷風四面亭)과 관련된 정원은?

  1. 졸정원
  2. 상림원
  3. 이화원
  4. 사자림
(정답률: 54%)
  • 하풍사면정은 연꽃 향으로 유명한 곳이므로, 해당 정원은 연꽃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을 것입니다. "졸정원"은 연꽃을 중심으로 조성된 정원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상림원"은 상록수가 우거진 정원을 뜻하며, "이화원"은 이파란 꽃이 피는 정원을 뜻합니다. "사자림"은 사자와 관련된 정원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시 조절 기능으로 그린벨트(녹지대) 개념이 생겨난 것은?

  1. 보스톤 공원계통
  2. 랑팡의 워싱턴 계획
  3. 하워드의 전원도시론
  4. 옴스테드의 센트럴파크 계획
(정답률: 71%)
  • 그린벨트(녹지대) 개념이 생겨난 것은 "하워드의 전원도시론" 때문이다. 하워드는 도시의 과잉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와 농촌을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것을 주장하였고, 이를 위해 도시 주변에 그린벨트(녹지대)를 만들어 도시의 확장을 제한하고자 했다. 이는 도시의 환경 문제와 인구 밀집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와 농촌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테베(THEBE)에서 발견된 아래의 고대 이집트 벽화와 직접 관련되는 정원은?

  1. 궁궐정원
  2. 묘지정원
  3. 옥상정원
  4. 주택정원
(정답률: 80%)
  • 이집트 벽화에서는 죽은 자들의 영혼이 살아있는 것으로 믿어지며, 그들은 묘지에서 살아있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묘지는 삶과 죽음의 경계선이었고, 묘지정원은 죽은 자들의 영혼을 위한 곳으로 여겨졌습니다. 이에 반해 궁궐정원은 왕족들의 삶과 풍요로움을 상징하며, 옥상정원은 도시에서 자연을 느끼기 위한 장소, 주택정원은 개인의 취향과 삶의 품격을 나타내는 곳으로 여겨졌습니다. 따라서 이집트 벽화와 관련된 정원은 묘지정원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리나라 경복궁의 향원정(香遠亭)이라는 명칭은 어느 사람의 글에서 따온 것인가?

  1. 왕희지
  2. 주돈이
  3. 도연명
  4. 황정견
(정답률: 67%)
  • 경복궁의 향원정이라는 명칭은 주돈이의 글에서 따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본 강호(江戶, 에도) 시대의 정원이 아닌 것은?

  1. 계리궁(桂離宮)
  2. 천룡사(天龍寺) 정원
  3. 수학원이궁(修學院離宮)
  4. 소석천후락원(小石川後樂園)
(정답률: 52%)
  • 천룡사 정원은 일본 강호 시대가 아닌 고려 시대에 조성된 정원으로, 보기에서 유일하게 일본 강호 시대와는 관련이 없는 정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바로크 양식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선적인 것을 선호
  2. 토피아리의 난용(亂用)
  3. 물에 대한 기교적인 취급
  4. 개성적 형태와 평면의 격렬한 대비
(정답률: 68%)
  • 바로크 양식은 개성적이고 화려한 형태와 평면의 대비를 강조하는 특징이 있지만, 직선적인 것을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곡선적이고 복잡한 형태를 선호하며, 이를 토피아리의 난용이라고도 합니다. 또한 물에 대한 기교적인 취급도 바로크 양식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본에서 용안사(龍安寺), 대덕사(大德寺)의 대선원(大仙院)과 같은 고산수(枯山水)가 나타났던 시대는?

  1. 평안(平安)시대
  2. 겸창(鎌倉)시대
  3. 실정(室町)시대
  4. 도산(桃山))시대
(정답률: 55%)
  • 실정시대는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반까지 일본의 역사상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무력적인 힘보다는 문화와 예술, 종교 등이 중요시되었고, 이러한 분위기에서 고산수가 대세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용안사나 대덕사와 같은 대선원에서 고산수가 나타난 것도 이 시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화계(花階)를 인공적으로 성토하여 조성한 사례는?

  1. 다산초당의 화계
  2. 연경당의 선향재 후원
  3. 낙선재와 석복헌의 후원
  4. 경복궁 교태전 후원의 아미산원
(정답률: 82%)
  • 정답은 "경복궁 교태전 후원의 아미산원"입니다. 이유는 경복궁 교태전 후원의 아미산원은 조선시대에 화계를 인공적으로 성토하여 조성한 곳으로, 다른 보기들은 화계를 인공적으로 조성한 사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주택의 배치 시 쿨데삭(Cul-de-sac) 도로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택이 마당과 같은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2. 주민들 간의 사회적인 친밀성을 높일 수 있다.
  3. 통과교통이 출입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
  4. 보행 동선의 확보가 어렵고, 연속된 녹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정답률: 79%)
  • 주택이 마당과 같은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주민들 간의 사회적인 친밀성을 높일 수 있다, 통과교통이 출입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쿨데삭 도로의 특징이 맞습니다. 하지만 보행 동선의 확보가 어렵고, 연속된 녹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는 것은 쿨데삭 도로의 특징이 아닙니다. 쿨데삭 도로는 차량이 뒤돌아서 나가는 형태의 막다른 도로로, 보행 동선은 일반적인 도로와 비슷하게 확보됩니다. 다만, 쿨데삭 도로 주변에 녹지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는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로관리청은 도로 구조의 파손 방지, 미관의 훼손 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 방지를 위하여 필요하면 소관 도로의 경계선에서 20미터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어떤 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가?

  1. 입체적도로구역
  2. 도로보전입체구역
  3. 접도구역
  4. 노견
(정답률: 59%)
  • 도로관리청은 도로 구조의 파손 방지, 미관의 훼손 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 방지를 위해 필요한 구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접도구역"은 도로와 인접한 건물 또는 토지의 경계선에서 20미터 이내의 구역을 말합니다. 이 구역은 보행자나 차량 등이 출입하는 지점으로, 보행자의 안전과 교통 안전을 위해 특별한 규제가 필요한 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주거지역 등에 설치하는 문화 및 집회시설 건축물의 공개공지를 확보해야 할 때의 건축물 바닥면적 합계 조건과 공개공지 설치면적의 범위 기준이 모두 맞는 것은?

  1. 4,000m2 이상, 대지면적의 5%이하
  2. 4,000m2 이상, 대지면적의 10%이하
  3. 5,000m2 이상, 대지면적의 15%이하
  4. 5,000m2 이상, 대지면적의 10%이하
(정답률: 61%)
  • 문화 및 집회시설 건축물은 일반주거지역 등에 설치될 때, 건축물의 바닥면적 합계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공개공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때, 바닥면적 합계 조건은 클수록 공개공지 설치가 필요한 건축물의 수가 적어지므로, 5,000m2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또한, 공개공지 설치면적의 범위 기준은 대지면적의 일정 비율 이하로 설정됩니다. 대지면적의 일정 비율이 작을수록 공개공지 설치가 필요한 건축물의 수가 많아지므로, 대지면적의 10% 이하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0m2 이상, 대지면적의 10%이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학교조경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조는 겨울철 기준으로 적어도 4시간 이상 얻을 수 있도록 한다.
  2.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생관련 안내 표찰 설치를 검토한다.
  3. 교목위주의 수목식재를 설계하고 기존의 성상이 양호한 대형 수목은 존치시킨다.
  4. 시설물 설치는 최대한 다양하게 설치한다.
(정답률: 72%)
  • 학교조경 계획 시 고려사항 중 시설물 설치는 최대한 다양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항목들은 주로 자연환경과 학생들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라면, 시설물 설치는 학교 내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학생들의 교육적인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체육시설, 문화시설, 예술시설 등을 설치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한 과정 중 필수적으로 수집 ·분석할 자료의 범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리/생태적 자료
  2. 사회/형태적 자료
  3. 시각/미학적 자료
  4. 산업/경계적 자료
(정답률: 75%)
  • 산업/경계적 자료는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한 자료 수집 및 분석에서 가장 거리가 먼 범주이다. 이는 산업 및 경계 지역의 특성이 다른 자연환경과는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는 다른 범주의 자료보다 더욱 세부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적절한 조경계획 및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연공원법 상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역 주민의 지정 동의서
  2. 공원지정의 목적 및 필요성
  3. 인구, 주거, 문화재 등 인문현황
  4. 동 · 식물의 분포, 지형 · 지질, 수리 · 수문, 자연경관, 자연자원 등 자연환경현황
(정답률: 72%)
  • "지역 주민의 지정 동의서"는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역 주민의 동의를 받는 것이 국립공원 지정에 필수적인 요건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지역 주민의 협조와 지원은 국립공원의 운영에 매우 중요하므로 적극적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레크레이션 수요 중에서 사람들로 하여금 패턴을 변경하도록 고무시키는 수요는?

  1. 잠재수요
  2. 유도수요
  3. 유사수요
  4. 표출수요
(정답률: 77%)
  • 유도수요는 사람들이 새로운 경험을 원하거나 새로운 패턴을 찾고자 할 때 발생하는 수요입니다. 따라서 레크레이션 수요 중에서 사람들로 하여금 패턴을 변경하도록 고무시키는 수요는 유도수요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잠재수요는 아직 실현되지 않은 잠재적인 수요, 유사수요는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 표출수요는 실제로 구매되는 수요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경관분석의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호화 방법
  2. 군락측도 방법
  3. 사진에 의한 방법
  4. 메쉬(mesh)에 의한 방법
(정답률: 61%)
  • 경관분석의 기법 중 "군락측도 방법"은 없습니다. 다른 세 가지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호화 방법: 지도상에 기호를 사용하여 지형, 수계, 도로 등을 나타내는 방법
    - 사진에 의한 방법: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지형, 수계, 도로 등을 분석하는 방법
    - 메쉬(mesh)에 의한 방법: 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 각 격자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뉴먼(Newman)은 주거단지 계획에서 환경심리학적 연구를 응용하여 범죄 발생률을 줄이고자 하였다. 뉴먼이 적용한 가장 중요한 개념은?

  1. 혼잡성(crowding)
  2. 프라이버시(privacy)
  3. 영역성(territoriality)
  4.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
(정답률: 75%)
  • 뉴먼은 주거단지에서 영역성(territoriality) 개념을 적용하여 주민들이 자신들의 주거공간을 소유하고 지키는 느낌을 갖도록 하여 범죄 발생률을 줄이고자 했다. 이는 주거단지 내에서 각 주민들이 자신들의 공간을 존중받고, 다른 사람들의 공간에 침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역성은 뉴먼이 적용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뉴어바니즘(New Urbanism)의 계획이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가 서로 연결된 계획
  2. 보행자를 최대한 고려한 계획
  3. 동일한 주거형태를 이용하여 지역의 명료성을 강조하는 계획
  4. 모든 요소를 종합하여 단지의 조화와 유지를 위해 강력한 디자인 코드를 사용하는 계획
(정답률: 64%)
  • 뉴어바니즘은 도시계획 이념 중 하나로, 보행자 친화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도시의 명료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기능을 가진 도시공간을 조화롭게 조합하여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계획이다. 따라서, "동일한 주거형태를 이용하여 지역의 명료성을 강조하는 계획"은 뉴어바니즘의 계획이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원지에서 위락활동의 수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가격
  2. 교육정도
  3. 지리적인 위치
  4. 이용자의 수입
(정답률: 71%)
  • 토지가격은 유원지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부지를 구입하거나 임대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위락활동의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유원지 내부에서 조절이 가능한 요소이며, 토지가격은 외부적인 요인으로서 유원지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조경계획에서 식생현황 조사의 기본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사에 필요한 수목재료의 이용
  2. 보존지역의 파악
  3. 개발 가능지역의 한정
  4. 바람의 이동경로 예측
(정답률: 60%)
  • 조경계획에서 식생현황 조사의 기본 목적은 주로 공사에 필요한 수목재료의 이용, 보존지역의 파악, 개발 가능지역의 한정 등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람의 이동경로 예측은 이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람의 이동경로 예측은 주로 자연재해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조경계획에서 식생현황 조사의 기본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도로법」 및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로의 건설사업 중 왕복 2차로 이상인 기존 도로로서 길이 10킬로미터 이상의 확장
  2. 「관광진흥법」에 따른 관광사업 중 사업면적이 30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3.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사업 중 사업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4.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체육시설의 설치공사 중 사업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정답률: 49%)
  • 정답은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체육시설의 설치공사 중 사업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인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법률에 따라 기준이 정해져 있지만, 체육시설의 경우에는 법률에서 사업면적 기준이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근린주구는 공간상의 한계와 사회적 네트워크 (social network), 지역시설에 대한 집중적인 이용과 주민들간의 감성적(感性的)·상징적(象徵的)인 의미를 지닌 작은 지역이라고 주장한 사람은?

  1. C.S.Stein
  2. Ruth Glass
  3. G. Golany
  4. Suzzane Keller
(정답률: 56%)
  • G. Golany는 근린주구가 작은 지역으로서 공간상의 한계와 사회적 네트워크, 지역시설, 주민들간의 감성적·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생태복원 관련 용어 중 “완벽한 복원은 아니지만 원래의 자연 상태와 유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은 무엇인가?

  1. 복구(rehabilitation)
  2. 개조(remediation)
  3. 재생(nature restoration)
  4. 향상(enhancement)
(정답률: 80%)
  • 복구(rehabilitation)는 자연 상태를 완벽하게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자연 상태와 유사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용어가 정답이다. 개조(remediation)는 오염된 지역을 정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재생(nature restoration)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인 과정으로 지역을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향상(enhancement)은 이미 자연 상태가 아닌 지역을 인위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생태계획에서 고려하는 원리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생태계의 폐쇄성
  2. 생태계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성
  3. 생태적 다양성과 추이대(ecotone)
  4. 에너지 투입과 물질저장의 제한성
(정답률: 67%)
  • 생태계의 폐쇄성은 생태계 내부에서 자원의 순환과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생태계의 건강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매우 부적합한 원리이다. 생태계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성과 상호작용을 통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생태적 다양성과 추이대가 형성된다. 또한, 에너지 투입과 물질저장의 제한성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원리이다. 따라서, 생태계의 폐쇄성은 생태계계획에서 고려되어서는 안 되는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규모에 다른 진입도로 폭(기간도로와 접하는 폭)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300세대 미만 : 4m 이상
  2. 300세대 이상 500세대 미만 : 8m 이상
  3. 500세대 이상 1,000세대 미만 : 12m 이상
  4. 1,000세대 이상 2,000세대 미만 : 15m 이상
(정답률: 51%)
  • "300세대 미만 : 4m 이상"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 기준은 주택단지 규모가 작을수록 진입도로 폭이 작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주택단지 규모가 작을수록 차량의 양이 적기 때문에 좁은 도로에서도 충분히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생태적 결정론(ecological determinism)을 주장하여 조경 계획 및 설계에 있어 생태적 계획의 이론적 기초가 되도록 한 사람은?

  1. Ian McHarg
  2. J.O.Simonds
  3. Lawrece Halprin
  4. Robert Sommer
(정답률: 77%)
  • Ian McHarg는 생태적 결정론을 주장하여 조경 계획 및 설계에 있어 생태적 계획의 이론적 기초가 되도록 했습니다. 이는 자연환경과 인간 활동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지리적, 지질학적, 생물학적, 사회학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방식으로 조경 계획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지속 가능한 개발과 보전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경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재에도 많은 조경 설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하는 계획은?

  1. 기본경관계획
  2. 광역도시계획
  3. 도시·군기본계획
  4. 도시·군관리계획
(정답률: 51%)
  •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하는 계획은 "도시·군관리계획"이다. 이는 지역 내 도시 및 군의 발전 방향과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내 시설물 및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지역 발전 전략 수립이나 기본 계획 수립 등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하는 계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비사업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주택재개발사업
  2. 주택재건축사업
  3. 도시환경정비사업
  4. 공공시설정비사업
(정답률: 74%)
  • 정비사업 중에서도 공공시설정비사업은 공공시설물의 건립, 개선, 보수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주거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는 공공시설정비사업을 정비사업으로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자연의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는 피보나치수열(Fibonacci Sequen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1200년경 발견하였다.
  2. 원형울타리의 길이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 수학적으로 각 수는 그것을 앞서는 2개의 수의 합인 연속의 수를 말한다.
  4. 식물의 잎차례나 해바라기 씨에 의해 만들어지는 나선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정답률: 62%)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1200년경 발견하였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이탈리아 수학자 피보나치가 13세기에 발견하였습니다.

    원형울타리의 길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피보나치 수열과 관련이 있습니다. 원형울타리는 반지름이 1인 원에서 시작하여, 각 변의 길이가 이전 두 변의 길이의 합이 되는 사각형들을 계속해서 그려 나가면 만들어지는 도형입니다. 이 도형의 둘레 길이는 피보나치 수열의 항들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산림속의 빨간 벽돌집은 선명하고 아름답게 보인다. 이는 무슨 대비인가?

  1. 색상대비
  2. 명도대비
  3. 채도대비
  4. 보색대비
(정답률: 65%)
  • 산림속의 빨간 벽돌집은 초록색 나무들과 대비를 이루기 때문에 보색대비이다. 보색대비는 서로 반대되는 색상을 사용하여 대비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 파란색과 주황색 등이 보색대비이다. 이러한 대비는 색감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주고 시각적인 효과를 높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경설계에 사용되는 “삼각스케일”에 표기되어 있는 축척이 아닌 것은?

  1. 1/800
  2. 1/600
  3. 1/300
  4. 1/100
(정답률: 77%)
  • "1/8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경설계의 축척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설계에서는 "1/600", "1/300", "1/100" 등의 축척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의 치수 표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5%)
  • (D) 치수 표시는 일반적으로 가로, 세로, 높이 순으로 표시되지만, 이 그림에서는 가로, 높이, 세로 순으로 표시되어 있어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경시설(폭포, 벽천, 실개울 등) 설계고려 사항 중 틀린 것은?

  1. 실개울의 평균 물깊이는 3 ~ 4cm 정도로 한다.
  2. 분수는 바람에 의한 흩어짐을 고려하여 주변에 분출높이의 2배 이하의 공간을 확보한다.
  3. 콘크리트 등의 인공적인 못의 경우에는 바닥에 배수시설을 설계하고, 수위조절을 위한 월류(over flow)를 반영한다.
  4. 실개울은 설계대상 공간의 어귀나 중심광장 · 주요 조형요소 · 결절점의 시각적 초점 등으로 경관효과가 큰 곳에 배치한다.
(정답률: 64%)
  • "실개울의 평균 물깊이는 3 ~ 4cm 정도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개울의 평균 물깊이는 일반적으로 10cm 이상으로 설계되며, 물의 양과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분수는 바람에 의한 흩어짐을 고려하여 주변에 분출높이의 2배 이하의 공간을 확보하는 이유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분수가 흩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분수의 주변에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며, 이 공간은 분출높이의 2배 이하로 제한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생태숲의 학습 및 관찰시설 설계요령으로 틀린 것은?

  1. 야생조류에서 관찰지까지의 거리는 20미터 정도면 탐방객의 관찰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2. 관찰로를 단일코스로 하는 경우에는 루프형태로 하며 1.5 ~ 5km의 길이로 설치한다.
  3. 적정노폭은 1.2m로 하되 최소 60cm(주변수목의 최소 개척폭 1.2m, 개척높이 2.1m)를 확보한다.
  4. 노선의 기울기가 30% 미만일 경우는 비포장으로 하며, 그 이상의 경사로는 통나무 등을 이용한 자연스런 계단식 보도를 설치한다.
(정답률: 55%)
  • "야생조류에서 관찰지까지의 거리는 20미터 정도면 탐방객의 관찰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야생조류는 인간에 대한 경계심이 강하므로 너무 가까이 다가가면 도망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20미터는 적당한 거리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묘지공원을 설계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화장장 시설을 부지 내 의무 겸비한다.
  2. 공원시설 부지면적은 전체 부지의 20% 이상으로 한다.
  3. 묘역의 면적비율은 공원종류, 토지이용상황, 운영관리의 편의 및 기타 여건에 의해 결정하되 전면적의 1/3 이하로 한다.
  4. 공원면적의 30 ~ 50% 정도를 환경보존녹지로 확보하고, 식재는 목적과 기능에 적합하고 생태적 조건에 맞는 수종을 선정한다.
(정답률: 55%)
  • "화장장 시설을 부지 내 의무 겸비한다."가 틀린 것이다. 묘지공원을 설계할 때는 화장장 시설을 부지 내에 의무적으로 겸비할 필요는 없다. 일부 묘지공원에서는 화장장 시설을 부지 외부에 위치시키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균형(均衡) 중 불균등성(不均等性)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입니다. 이는 불균등성을 나타내는 균형입니다. 이 균형에서는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불균등성이 발생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가 같기 때문에 균형이며, 불균등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조경분석에 있어서 생태학적인 요인을 중요시하여 이를 주어진 조건 분석에 overlay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적정한 토지이용을 구상하는 방법을 주창하는 사람은?

  1. F.L.Olmsted
  2. I.McHarg
  3. D.Burnham
  4. V.Olgay
(정답률: 75%)
  • I.McHarg는 생태학적인 요인을 중요시하여 조경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overlay 기법을 사용하여 적정한 토지이용을 구상하는 방법을 주창한 사람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I.McHar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시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관찰자에게 두 가지 단계의 경계나 연속적인 요소를 직선적으로 분리하는 요소가 눈에 뜨이게 된다. 이에는 해안, 철로변, 벽 등이 포함될 수 있겠는데 이러한 요소를 케빈린치는 무엇이라 부르고 있는가?

  1. 모서리(Edges)
  2. 통로(Paths)
  3. 지역(Districts)
  4. 결절점(Nodes)
(정답률: 55%)
  • 케빈 린치는 도시 이미지를 분석할 때, 두 가지 단계의 경계나 연속적인 요소를 직선적으로 분리하는 요소를 "모서리(Edges)"라고 부른다. 이는 도시를 이루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모서리는 도시의 경계나 구역을 나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시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케빈 린치는 도시 분석에서 모서리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각적 흡수력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경관의 규모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2. 경관의 명암과 농담에 의하여 결정된다.
  3. 경관의 시각적 매력도와 같은 개념이다.
  4. 시각적 투과성과 시각적 복잡성의 함수로 나타낸다.
(정답률: 64%)
  • 시각적 흡수력은 시각적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시각적 투과성과 시각적 복잡성의 함수로 나타낸다. 즉, 경관이 얼마나 복잡하고 자극적인지, 그리고 얼마나 쉽게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에 따라 시각적 흡수력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것이므로, 가장 먼저 보이는 면이 정답이 됩니다. 그리고 그림에서는 화살표 방향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면이 "" 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면, 평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도에서 동시에 볼 수 있도록 3개의 모서리가 각각 120°를 이루게 그리는 도법은?

  1. 경사 투상도
  2. 등각 투상도
  3. 유각 투상도
  4. 평행 투상도
(정답률: 78%)
  • 등각 투상도는 3개의 모서리가 각각 120°를 이루어 정면, 평면, 측면을 하나의 투상도에서 동시에 볼 수 있도록 그리는 도법입니다. 이는 각 모서리가 동일한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등각 투상도라고 불립니다. 다른 보기인 경사 투상도, 유각 투상도, 평행 투상도는 각 모서리의 각도가 서로 다르거나, 평행한 선들을 이용하여 그리는 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음수대와 관련된 설계 및 설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람이 많이 다니는 동선의 중앙에 위치한다.
  2. 배수구는 청소가 쉬운 구조와 형태로 설계한다.
  3. 성인 · 어린이 · 장애인 등 이용자의 신체특성을 고려하여 적정높이로 설계한다.
  4. 지수전과 제수밸브 등 필요시설을 적정 위치에 제 기능을 충족시키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77%)
  • "사람이 많이 다니는 동선의 중앙에 위치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배수구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많이 다니는 동선의 중앙보다는 오히려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T자를 사용한 선긋기의 요령으로 틀린 것은?

  1. 수평선을 그을 때는 T자를 제도판에 밀착시키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긋는다.
  2. 수직선을 그을 때는 T자와 삼각자를 겸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3. T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왼손으로 머리 부분을 가볍게 누르고, 안으로 밀면서 사용한다.
  4. 연필심이 고르게 묻도록 T자에 연필을 대고, 적절히 돌리면서 선을 긋는다.
(정답률: 70%)
  • 정답은 "수직선을 그을 때는 T자와 삼각자를 겸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이다. 이유는 T자와 삼각자는 각각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을 때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수직선을 그을 때는 T자만 사용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제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면명은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는다.
  2. 도면 제작에 필요한 지침을 기록한다.
  3. 범례는 표제란 안에 반드시 기입해야 한다.
  4. 도면번호, 작성자명, 작성일자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입한다.
(정답률: 65%)
  • 표제란은 도면의 제목과 함께 도면번호, 작성자명, 작성일자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입하는 곳이다. 도면명은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으며, 도면 제작에 필요한 지침을 기록하는 것도 아니다. 범례는 표제란 안에 기입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기입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50,000 지형도에서 5% 구배의 노선을 선정하려면 등고선 사이에 취하여야 할 도상 거리는? (단, 등고선 간격은 20m 임)

  1. 4mm
  2. 8mm
  3. 10mm
  4. 12mm
(정답률: 43%)
  • 등고선 간격이 20m 이므로, 5% 구배의 노선을 따라 이동할 때마다 고도는 1m 씩 변화한다. 따라서, 1:50,000 지형도에서 5% 구배의 노선을 따라 이동할 때마다 지도상에서의 거리는 1000m(1km)씩 줄어든다. 이를 도면상에서 측정하기 위해서는 1km를 50cm로 축소하여 그린 지도상에서 5% 구배의 노선을 따라 이동할 때마다 1cm씩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1cm는 20m를 나타내므로, 5% 구배의 노선을 따라 이동할 때마다 도면상에서의 거리는 20m씩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등고선 사이에 취해야 할 도상 거리는 20m × 5 = 100m 이다. 이를 50,000으로 나누면 0.002km가 되고, 이를 50cm로 축소하면 1cm가 된다. 따라서, 1cm는 0.002km를 나타내므로, 8mm는 0.008km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한국산업표준(KS)에서 규정한 유채색의 기본색 이름의 상호관계를 나타낸다. 빈칸에 들어갈 색명 약호가 순서대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단, 영문은 색명의 약호이다.)

  1. 가 : Pk, 나 : BG, 다 : Br
  2. 가 : YR,나 : Rr, 다 : PB
  3. 가 : Pk, 나 : BG, 다 : PB
  4. 가 : YR,나 : BG, 다 : PB
(정답률: 75%)
  • KS에서 규정한 유채색의 기본색 이름의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
    - Pk(분홍색) < YR(노란빛 주황색) < Rr(빨간빛 주황색) < BG(청록색) < Br(갈색) < PB(보라색)
    따라서, "가 : YR, 나 : BG, 다 : P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건축도면에 사용하는 치수의 단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위는?

  1. cm
  2. mm
  3. m
  4. Nm
(정답률: 76%)
  • 건축도면에서 사용하는 치수는 대부분 작은 단위인 밀리미터(mm) 단위로 표시됩니다. 이는 건축물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작은 단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mm"입니다. "cm"은 너무 크고, "m"은 너무 작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Nm"은 에너지 단위이므로 건축도면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경설계기준상의 경관조경시설과 관련된 설명이 맞는 것은?

  1. 보행등은 보행로 경계에서 100㎝ 정도의 거리에 배치한다.
  2. 정원등의 등주 높이는 1.5m 이하로 설계·선정 한다.
  3. 수목등은 푸른 잎을 돋보이게 할 경우에는 메탈할라이드등을 적용한다.
  4. 잔디등의 높이는 2.0m 이하로 설계한다.
(정답률: 57%)
  • 수목등은 푸른 잎을 돋보이게 할 경우에는 메탈할라이드등을 적용한다. - 메탈할라이드등은 빛의 스펙트럼이 넓어 푸른 잎을 더욱 빛나게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노거수의 공동(空胴) 치료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동이 큰 경우 버팀대를 박고, 충전재를 채워 넣는다.
  2. 부패한 목질부를 끌이나 칼 등을 이용하여 먼저 깨끗이 깎아 낸다.
  3. 공동의 충전재로는 콘크리트, 폴리우레탄, 펄라이트 등이 사용된다.
  4. 공사를 끝낸 후에 목질부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용 수지 등으로 이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처리해 준다.
(정답률: 71%)
  • 공동의 충전재로는 콘크리트, 폴리우레탄, 펄라이트 등이 사용된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공동의 충전재로는 주로 목재나 철재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연풍경식 식재의 기본양식에 해당되는 것은?

  1. 교호식재
  2. 대식
  3. 단식
  4. 임의식재
(정답률: 72%)
  • 자연풍경식은 자연적인 식재 배치를 중요시하는데, 이때 기본양식으로 사용되는 것은 임의식재입니다. 임의식재는 식재를 자유롭게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방식으로, 다른 양식들과는 달리 규칙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자연풍경식에서는 임의식재가 가장 적합한 양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수목의 음 · 양수 구별을 위한 외형상의 현저한 특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서(枝序)의 양
  2. 초두(梢頭)의 위치
  3. 주간(主幹)의 분화
  4. 생육지(生育地)의 환경
(정답률: 43%)
  • 주간(主幹)의 분화는 나무의 중심축인 주간이 가지로 나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나무의 생장과정에서 가지가 뻗어나가는 위치와 방향, 수량 등이 결정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주간의 분화 상태는 수목의 음 · 양수 구별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가장 현저한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식재계획 시 향토자생 수종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장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주변지형 및 식생경관과 잘 조화된다.
  2. 대량구입이 용이하다.
  3. 지역 환경에 적응이 잘 된다.
  4. 유지관리에 비용이 적게 든다.
(정답률: 71%)
  • 향토자생 수종은 지역적 특성에 적응이 잘 되어 있고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드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대량구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향토자생 수종이 일반적으로 적은 양으로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량 구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수종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일년생 가지에서 꽃눈이 생겨 그 해에 꽃이 피는 수목은?

  1. Lagerstroemia indica
  2. Prunus yedoensis
  3. Cercis chinensis
  4. Camellia japonica
(정답률: 37%)
  • 일년생 가지에서 꽃눈이 생기는 수목은 "Lagerstroemia indica" 입니다. 이는 꽃눈이 생긴 가지가 그 해에 꽃을 피우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꽃눈이 생기지 않는 수목이거나, 꽃눈이 생겨도 그 해에 꽃을 피우지 않는 수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식재기능을 공간구성과 환경조정에 관한 기능으로 구분할 때, 환경조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재는?

  1. 경계식재
  2. 차폐식재
  3. 방음식재
  4. 유도식재
(정답률: 59%)
  • 환경조정은 주로 온도, 습도, 조명 등을 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소음도 환경을 조절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환경조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재는 방음식재입니다. 방음식재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간 내 소음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야생동물을 위한 이동통로 중 육교형 통로에 해당하는 설명이 아닌 것은?

  1. 주로 중 · 대형동물(곰, 멧돼지, 오소리, 너구리, 고라니, 노루 등)용 이다.
  2. 통로 길이가 긴 경우 중간에 고목, 돌더미 등 피난용 구조물을 추가한다.
  3. 이용 동물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입·출구 및 통로 전체는 주변 식생과 조화를 이루도록 조성한다.
  4. 동물들이 도로를 횡단하지 않고 통로를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입·출구의 좌·우측을 따라 방책을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73%)
  • "통로 길이가 긴 경우 중간에 고목, 돌더미 등 피난용 구조물을 추가한다."는 육교형 통로에 해당하는 설명이 아니다.

    동물들이 통로를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입·출구의 좌·우측을 따라 방책을 설치하지 않는 이유는 동물들이 이 방책을 피해 다른 경로를 선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출구의 좌·우측을 따라 방책을 설치하지 않고, 주변 식생과 조화를 이루도록 조성하여 동물들이 통로를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산형
  2. 산방
  3. 원추
  4. 총상
(정답률: 37%)
  • 이 그림은 산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형은 위쪽과 아래쪽이 둥그렇게 튀어나와 중앙이 좁아지는 형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박태기나무』의 학명은?

  1. Cercis chinensis
  2. Chamaecyparis obtusa
  3. Cercidiphyllum japonicum
  4.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정답률: 63%)
  • "박태기나무"는 "Cercis chinensis"의 한국어 이름이다. "Cercis chinensis"는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로, 꽃이 아름다워 정원수로도 인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천근성 수종으로 옳은 것은?

  1. 느티나무
  2. 아까시나무
  3. 곰솔
  4. 팽나무
(정답률: 57%)
  • 아까시나무는 천근성 수종으로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상록수이기 때문에 아까시나무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식재설계의 물리적 요소 중 질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잎이 작고 치밀한 수종은 고운 질감을 가진다.
  2. 좁은 공간에서는 거친 질감의 수목을 식재한다.
  3. 식재는 사람 시각을 가장 고운 곳에서 가장 거친 곳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해야 한다.
  4. 고운 질감에서 거친 질감으로 연속되는 식재구성은 멀리 떨어진 듯한 후퇴의 효과를 준다.
(정답률: 59%)
  • 잎이 작고 치밀한 수종은 고운 질감을 가진다는 것은 잎의 크기와 밀도가 질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작고 치밀한 잎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고운 질감을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에 적합한 수종은?

  1. Carpinus laxiflora
  2. Betula schmidtii
  3. Corylus heterophylla
  4.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정답률: 60%)
  • 이 수종은 잎이 넓은 것으로 유명한 "Betula platyphylla"의 일본품종인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사실적(寫實的) 식재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
  2. 실제로 존재하는 자연경관을 묘사
  3. 고산식물을 주종으로 하는 암석원(rock garden)
  4. 월리엄 로빈슨이 제창한 야생원(wild garden)
(정답률: 72%)
  •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은 식재 디자인에서 가장 기본적인 방식 중 하나이지만, 이는 사실적인 묘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사실적인 묘사는 자연의 모습을 최대한 따라하려는 것이고,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은 디자인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이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중앙분리대 식재 시 차광효과가 가장 큰 수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아왜나무, 돈나무
  2. 광나무, 소사나무
  3. 사철나무, 쉬땅나무
  4. 생강나무, 병아리꽃나무
(정답률: 49%)
  • 중앙분리대 식재 시 차광효과가 가장 큰 수종은 잎이 넓고 빽빽하게 자라는 나무들이다. 아왜나무와 돈나무는 잎이 크고 빽빽하게 자라서 차광효과가 뛰어나다. 광나무와 소사나무는 잎이 작고 듬성듬성 자라서 차광효과가 낮다. 사철나무와 쉬땅나무는 잎이 작고 더듬거리는 형태로 자라서 차광효과가 낮다. 생강나무와 병아리꽃나무는 잎이 작고 희박하게 자라서 차광효과가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수종은?

  1. 맥문동
  2. 히야신스
  3. 만년청
  4. 산호수
(정답률: 47%)
  • 이 수종은 잎이 작고 둥글며 꽃이 작고 하얗다. 또한 물가나 습지에 자라며, 특히 산호수에서 자주 발견된다. 따라서 정답은 "산호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경관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개체군과 관련하여 생물종의 손실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은?

  1. 고립되고 면적이 작은 공원 패취
  2. 산림과 산림을 연결하는 식생 코리더
  3. 농경지로 이루어진 모자이크
  4. 도시지역에 넓은 면적을 가진 습지
(정답률: 66%)
  • 고립되고 면적이 작은 공원 패취는 개체군과 관련하여 생물종의 손실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이는 공원이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생물종들이 이동할 수 없고, 면적이 작아서 서식지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물종들의 이동과 서식지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생물종의 손실이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Raunkiaer의 생활형과 그 대표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일년생식물 - 수련
  2. 수생식물 - 돼지풀
  3. 지중식물 - 얼레지
  4. 지상식물 - 갈대
(정답률: 50%)
  • Raunkiaer의 생활형은 식물이 겨울철에 어떻게 생존하는지를 나타내는 분류 체계이다. 이 중 지중생활형은 지하에서 겨울을 보내는 식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중식물 중 대표종인 얼레지는 겨울철에 지하에서 생존하며 봄에 지상으로 나타나는 식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엽(葉)의 속생 수가 옳은 수종은?

  1. Pinus densiflora : 3개
  2. Pinus parviflora : 3개
  3. Pinus bungeana : 5개
  4. Pinus thunbergii : 2개
(정답률: 56%)
  • 엽의 속생 수는 해당 종의 특징 중 하나이며, Pinus thunbergii는 2개의 속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종들은 각각 3개 또는 5개의 속생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낙상홍의 수목규격 표시 방법은?

  1. H×R
  2. H×W
  3. H×B
  4. H×L
(정답률: 62%)
  • 낙상홍의 수목규격 표시 방법은 높이(H)와 너비(W)를 이용하여 "H×W"로 표시한다. 이는 해당 나무의 성장 상태와 크기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H×R", "H×B", "H×L"은 각각 나무의 높이와 둘레, 가지의 길이, 잎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나무의 크기와 성장 상태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목식재로 얻을 수 있는 기능은 건축적, 공학적, 기상학적, 미적기능이 있다. 다음 중 공학적 기능이 아닌 것은?

  1. 토양침식의 조절
  2. 대기정화 작용
  3. 통행의 조절
  4. 온도조절 작용
(정답률: 39%)
  • 온도조절 작용은 기상학적 기능에 해당하며, 나머지 세 가지 기능은 모두 공학적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온도조절 작용"이다. 수목식재는 주변 온도를 조절하여 냉난방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온도조절 작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조경 수목의 측정은 수목의 형상별로 구분하여 측정하는데 규격의 허용치는 수종별로 설계규격의 몇 %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1. -5 ~ 0%
  2. -10 ~ -5%
  3. -15 ~ -10%
  4. -20 ~ -15%
(정답률: 66%)
  • 조경 수목의 측정은 수목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며, 이때 규격의 허용치는 수종별로 설계규격의 몇 % 이내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0 ~ -5%" 인 이유는 해당 수종의 설계규격에서 수목의 크기나 형태 등이 일정 범위 내에서 허용되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조경 디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과 규격 준수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B.M의 표고가 98.760m일 때, C점의 지반고는? (단, 단위는 m 이고, 지형은 참고사항임)

  1. 98.270m
  2. 98.415m
  3. 98.477m
  4. 99.768m
(정답률: 44%)
  • B.M은 기준점으로 삼을 고도를 말합니다. 그림에서 B.M은 98.760m이므로, C점의 고도는 B.M에서 C점까지의 높이를 빼주면 됩니다. C점까지의 높이는 0.490m이므로, 98.760m - 0.490m = 98.270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8.27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크리티컬패스(CP, critical path)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1→2→4→6→7
  2. 1→3→5→6→7
  3. 1→2→5→6→7
  4. 1→3→4→6→7
(정답률: 66%)
  • 크리티컬패스란 프로젝트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일련의 작업들을 의미합니다. 이 작업들은 전체 프로젝트 기간을 결정하며, 이 작업들이 지연되면 전체 프로젝트가 지연됩니다.

    위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작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작업 1 → 작업 3 → 작업 5 → 작업 6 → 작업 7

    따라서, 옳은 순서는 "1→3→5→6→7" 입니다.

    작업 2와 작업 4는 크리티컬패스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작업 2와 작업 4가 다른 작업들과 병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조경시설물의 제품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경시설물의 제품화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2. 제품화를 통하여 조경시설의 품질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4. 실시설계단계에서 설계도면에 제품생산회사 및 모델명을 명시해야 한다.
(정답률: 63%)
  • 조경시설물의 제품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제품화를 통해 조경시설의 품질향상과 시공기간 단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실시설계단계에서 제품생산회사 및 모델명을 명시하는 것은 제품화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식생옹벽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옹벽구체 보강토는 배수에 유리한 화강풍화토(마사토) 성분의 사질양토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2. 식생옹벽의 기울기는 설계도면에 따르되 옹벽용 블록은 선형과 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3. 기초는 옹벽 높이의 1/3만큼 터파기하고, 일반 구조용 옹벽에 비해 부등침하에 대한 사전 검토는 생략해도 좋다.
  4. 식생옹벽에 사용되는 조립식 불록은 모양과 색상이 균일하고 비틀림이나 균열 등이 없는 양질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기초는 옹벽 높이의 1/3만큼 터파기하고, 일반 구조용 옹벽에 비해 부등침하에 대한 사전 검토는 생략해도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옹벽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부등침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며, 기초의 깊이도 옹벽 높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견치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채우고, 뒷채움으로 고임돌과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석축공법은?

  1. 골쌓기
  2. 메쌓기
  3. 찰쌓기
  4. 층지어쌓기
(정답률: 59%)
  • 찰쌓기는 견치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채우고, 그 위에 고임돌과 콘크리트를 뒷채움으로 사용하는 석축공법입니다. 따라서 견치돌과 고임돌, 콘크리트를 찰나게 쌓아서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찰쌓기"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강우강도곡선과 강우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강구강도는 mm/hr 로 표시된다.
  2. 강우강도는 강우계속시간이 증가하면 증가된다.
  3. 강우강도 곡선은 일반적으로 1차식으로 표시된다.
  4. 강우량 곡선에서는 강우계속시간이 증가하면 강우량이 감소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강구강도는 mm/hr 로 표시된다." 이다. 강우강도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면적에 내리는 비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mm/hr 로 표시된다. 이는 일정한 면적에 내리는 비의 높이를 시간으로 나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우량과는 다른 개념이다. 강우량 곡선에서는 강우계속시간이 증가하면 강우량이 증가하다가 일정한 지점 이후로는 감소한다. 강우강도 곡선은 일반적으로 2차식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측량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각측량
  2. 고저측량
  3. 거리측량
  4. 세부측량
(정답률: 62%)
  • 세부측량은 측량의 3대 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보다 상세하고 정밀한 측정을 위해 수행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정답은 "세부측량"이다. 3대 요소는 각측량, 고저측량, 거리측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측량의 기본적인 요소로서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현행 시방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표준시방서
  2. 전문시방서
  3. 공사시방서
  4. 기준시방서
(정답률: 61%)
  • 정답: 기준시방서

    기준시방서는 현행 시방서의 종류 중에는 없습니다. 다른 시방서들은 각각의 목적에 맞게 작성되어 있지만, 기준시방서는 특정 공사의 시방서를 작성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문서입니다. 즉, 기준시방서는 시방서의 표준화를 위한 문서로, 다른 시방서들의 기준이 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살수기의 선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동일한 구역 내의 살수기의 살수강도는 같아야 한다.
  2. 같은 구역에나 구간에서 분무식과 회전식 살수기를 혼용 사용해 효율을 증가시킨다.
  3. 동일한 회로 내에 살수기에 작동하는 압력은 제조업자가 권장하는 계통의 효과적인 작동압력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4. 토양종류, 지표면 경사, 식물종류, 지표면의 형태와 규모, 장애물의 유무를 고려하여 적합한 살수기를 선정한다.
(정답률: 68%)
  • "같은 구역에나 구간에서 분무식과 회전식 살수기를 혼용 사용해 효율을 증가시킨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 분무식과 회전식 살수기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같은 구역에서 사용하면 살수강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같은 구역에서 사용할 때는 하나의 살수기 방식을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조경공사에 필요한 공사비 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경비는 직접경비와 기타경비로 구분되며, 기타경비는 직접경비에 기타경비율을 곱하여 적용한다.
  2. 노무비는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구성되며, 간접노무비는 직접노무비에 간접노무비율을 곱하여 적용한다.
  3. 일반관리비는 기업의 유지, 관리 비용 등 본사경비의 개념으로서 순공사비에 일반관리비율을 곱하여 적용한다.
  4. 재료비는 순공사비를 구성하는 직접재료비, 간접재료비와 부대비용에서 작업부산물의 가치를 공제한 것이다.
(정답률: 36%)
  • "재료비는 순공사비를 구성하는 직접재료비, 간접재료비와 부대비용에서 작업부산물의 가치를 공제한 것이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부대비용에서 작업부산물의 가치를 공제하는 것은 오히려 순공사비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따라서 재료비에 대한 설명으로는 부적절하다.

    "경비는 직접경비와 기타경비로 구분되며, 기타경비는 직접경비에 기타경비율을 곱하여 적용한다."라는 설명은 조경공사의 공사비 산정에서 경비 항목을 구분하고, 기타경비를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적합하다.

    "노무비는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구성되며, 간접노무비는 직접노무비에 간접노무비율을 곱하여 적용한다."라는 설명도 조경공사의 공사비 산정에서 노무비 항목을 구분하고, 간접노무비를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적합하다.

    "일반관리비는 기업의 유지, 관리 비용 등 본사경비의 개념으로서 순공사비에 일반관리비율을 곱하여 적용한다."라는 설명도 조경공사의 공사비 산정에서 일반관리비 항목을 구분하고, 일반관리비를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비가 오후 1시 15분에서 45분까지 30㎜가 왔다면 그 당시의 평균강우강도(㎜/hr)는 얼마인가?

  1. 15
  2. 30
  3. 45
  4. 60
(정답률: 59%)
  • 30mm의 비가 30분 동안 내렸으므로, 평균강우강도는 30mm / 0.5hr = 60mm/hr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하도급업체의 보호육성차원에서 입찰자에게 하도급자의 계약서를 입찰서에 첨부하도록 하여 덤핑입찰을 방지하고 하도급의 계열화를 유도하는 입찰방식은?

  1. 부대입찰
  2. 내역입찰
  3. 제한경쟁입찰
  4. 제한적 평균가낙찰제
(정답률: 44%)
  • 부대입찰은 입찰자가 하도급자의 계약서를 입찰서에 첨부하도록 하는 입찰방식이다. 이를 통해 입찰자는 하도급자의 계약조건을 미리 파악하고, 덤핑입찰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도급자의 계열화를 유도하여 하도급업체의 보호와 육성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부대입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석재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강도는 중량이 클수록, 공극률이 작을수록 크다.
  2. 일반적으로 내구연한은 대리석이 화강석보다 크다.
  3. 흡수율이 크다는 것은 다공성이라는 것을 나타내며, 대체로 동해나 풍화를 받기 쉽다.
  4. 일반적으로 암석의 밀도는 겉보기 밀도를 말하며, 조직이 치밀한 암석은 2.0~3.0 범위이다.
(정답률: 59%)
  • "일반적으로 내구연한은 대리석이 화강석보다 크다."가 틀린 것이다. 내구연성은 암석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리석은 화강석보다 내구연성이 낮다. 이는 대리석이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풍화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강우유출량을 계산하는 공식인 에서 I 가 의미하는 것은?

  1. 강우속도
  2. 우수유출계수
  3. 배수면적
  4. 강우강도
(정답률: 53%)
  • I는 강우강도를 의미한다. 이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면적에 내리는 비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강우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강우강도가 높을수록 강우유출량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공원지역에서 강우시 배수를 위한 수리효과(水理效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수로의 경사
  2. 적설량(積雪量)
  3. 동수반경(動水半經)
  4. 개수로 단면의 조도계수(組度係數)
(정답률: 60%)
  • 공원지역에서 강우시 배수를 위한 수리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적설량이다. 이는 강우가 아닌 눈이 내려서 지면을 덮게 되면, 지면 표면이 막혀 물이 흐르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설량은 수리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옥외조명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광도(光度)는 단위 면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광속밀도로서 단위는 룩스(lx)를 쓴다.
  2. 수은등은 고압나트륨등에 비해 2배 이상의 효율을 가지고 있다.
  3. 도로 조명은 휘도 차에서 오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해 광원을 멀리한다.
  4. 교차로 조명등의 설치간격은 10m 정도가 좋고, 아래의 여러 방향으로 방사하도록 한다.
(정답률: 47%)
  • 도로 조명은 휘도 차에서 오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해 광원을 멀리한다. - 도로 조명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광원을 멀리 배치하여 눈부심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지점 A의 수직반력값은?

  1. 10kN
  2. 15kN
  3. 20kN
  4. 25kN
(정답률: 42%)
  • 수직반력은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지점 A에서는 물체의 무게인 50kN과 수직으로 작용하는 지면의 반력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수직반력값은 50kN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안료+아교, 카세인, 전분+물의 성분으로 내수성이 없고 내알칼리성이며 광택이 없고 모르타르와 회반죽 면에 쓰이는 페인트는?

  1. 유성페인트
  2. 에나멜페인트
  3. 수성페인트
  4. 에멀션페인트
(정답률: 48%)
  • 수성페인트는 내수성이 없고 내알칼리성이며 광택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야금, 카세인, 전분 등의 성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모르타르와 회반죽 면에 적용하기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수성페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시공계획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사전조사 → 일정계획 → 기본계획 → 가설 및 조달계획 → 관리계획
  2. 사전조사 → 기본계획 → 일정계획 → 가설 및 조달계획 → 관리계획
  3. 사전조사 → 기본계획 → 가설 및 조달계획 → 일정계획 → 관리계획
  4. 사전조사 → 일정계획 → 가설 및 조달계획 → 기본계획 → 관리계획
(정답률: 54%)
  • 시공계획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전조사 → 기본계획 → 일정계획 → 가설 및 조달계획 → 관리계획.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전조사: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범위와 목표를 설정합니다.
    - 기본계획: 프로젝트의 범위와 목표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합니다.
    - 일정계획: 프로젝트의 일정을 수립하고 관리합니다.
    - 가설 및 조달계획: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원과 재료를 조달하고, 가설을 수립합니다.
    - 관리계획: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사전조사와 기본계획이 프로젝트의 기초가 되며, 일정계획과 가설 및 조달계획은 이를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한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관리계획은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공정관리상 최적공기란 직접비와 간접비를 합한 총공사비가 최소가 되는 가장 경계적인 공기를 말한다. 시공속도를 빠르게 하면 공기 단축에 따른 일반적인 직 · 간접비의 증감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직접비 : 증가, 간접비 : 증가
  2. 직접비 : 증가, 간접비 : 감소
  3. 직접비 : 감소, 간접비 : 증가
  4. 직접비 : 감소, 간접비 : 감소
(정답률: 59%)
  • 시공속도를 빠르게 하면 직접비는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인력비나 재료비 등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간접비는 시공기간이 단축되면서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간접비가 시공기간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공속도를 빠르게 하면 직접비는 증가하고 간접비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직접비 : 증가, 간접비 : 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과일이 열리는 조경수목에서 도장지는 힘이 강한 가지의 기부에 급속도로 자란 필요치 않는 나무 가지로서 생장기에는 우선 길이를 반 정도 줄여 힘을 억제하고 이듬해 봄에 동기(冬期) 전정 때는 어느 정도 잘라야 하는가?

  1. 가지의 1/2을 남기고 자른다.
  2. 가지의 2/3정도를 남기고 자른다.
  3. 줄기에 바짝 붙여서 기부로부터 자른다.
  4. 기부로부터 2~3눈을 남기고 자른다.
(정답률: 56%)
  • 기부로부터 자르는 가지는 힘이 강하고 급속도로 자라기 때문에, 줄기에 바짝 붙여서 자르면 더욱 강한 힘을 가지고 자라게 되어 더욱 효과적인 가지 생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 중 수목의 육종에서 콜히친(colchicine) 처리에 따른 효과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식물체를 빨리 자라게 한다.
  2. 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준다.
  3. 염색체 수를 다배수로 만든다.
  4. 천연적으로 교배할 수 없는 수종간의 교배가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49%)
  • 콜히친은 세포분열 중 염색체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염색체의 분리를 방지하여 염색체 수를 두 배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염색체 수를 다배수로 만든다."라는 답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보기]에서 나타난 예는 레크리에이션공간의 관리에 있어서의 5가지 기본 전략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폐쇄 후 육성관리
  2. 폐쇄 후 자연회복형
  3. 완전방임형 관리전략
  4. 순환식 개방에 의한 휴식기간 확보
(정답률: 71%)
  • 이 예는 "폐쇄 후 육성관리" 전략에 해당한다. 이는 레크리에이션 공간을 일정 기간 폐쇄한 후, 그 기간 동안 자연적인 회복과정을 거치게 하고, 그 후에는 육성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관리를 실시하는 전략이다. 이 방법은 자연적인 회복과정을 통해 생태계를 회복시키고, 그 후에는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카바메이트(carbamate)계 농약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페노뷰카브유제
  2. 카보설판수화제
  3. 페니트로티온수화제
  4. 티오파네이트메틸수화제
(정답률: 36%)
  • 카바메이트 계 농약은 카바메이트라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데, 페니트로티온수화제는 카바메이트 계 화합물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자연공원에서 동 · 식물 서식지 확대를 위한 모니터링(Monitoring)의 효과적 방법이라 하기 어려운 것은?

  1. 최소비용의 도모
  2. 측정지표의 정성화
  3. 위치 선정의 타당성
  4. 신뢰성 있는 기법의 도입
(정답률: 44%)
  • 측정지표의 정성화는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정량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데이터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동 · 식물 서식지의 특성이나 생태계의 변화 등을 정성적으로 파악하면서 정량적인 데이터와 함께 종합적인 분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지표의 정성화는 모니터링의 효과적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습윤한 토양의 무게는 1650g, 그리고 건조 후 토양의 무게가 1450g, 용기의 부피는 1000cm3 일 때 이 토양의 용적밀도(g/cm3)는?

  1. 1.00
  2. 1.25
  3. 1.45
  4. 1.65
(정답률: 50%)
  • 용적밀도는 토양의 질량을 용기의 부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용적밀도 = (습윤한 토양의 무게 - 건조 후 토양의 무게) / 용기의 부피

    = (1650g - 1450g) / 1000cm3

    = 200g / 1000cm3

    = 0.2g/cm3

    따라서, 용적밀도는 0.2g/cm3 이며,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1.4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횡선식 공정표(bar chart)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작성하기 쉽다.
  2. 작업 상호관계가 분명하다.
  3. 각 공종별 공사와 전체의 공정시기 등이 일목요연하다.
  4. 공사 진척 사항을 기입하고 예정과 실시를 비교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작업 상호관계가 분명하다는 것은 각 작업이 어떤 순서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정의 흐름을 파악하고 작업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는 횡선식 공정표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비탈면 보호시설 공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뿜어붙이기공은 일종의 식생공이다.
  2. 비탈면 돌망태공은 용수(湧水) 및 토사유실 우려가 없는 곳에 시행된다.
  3. 콘크리트 격자 블록공은 식생공법을 배제한 구조물에 의한 비탈면 보호공이다.
  4. 평판 블록 붙임공은 비탈면 길이가 길고 경사(傾斜)가 비교적 급한 곳에 시행된다.
(정답률: 62%)
  • "종자뿜어붙이기공은 일종의 식생공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비탈면 보호시설 중 하나인 식생공법 중 하나로, 씨앗을 뿌려서 식물이 자라게 하여 비탈면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실외 테니스, 배드민턴의 공식경기에 필요한 수평면 평균 조도 값(lx)은?

  1. 5000
  2. 2000
  3. 1000
  4. 500
(정답률: 53%)
  • 실외 테니스, 배드민턴 경기에서는 충분한 조명이 필요하지만, 너무 밝거나 어두운 경우 경기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 스포츠 기구에서는 공식경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도 값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 값은 실외 테니스, 배드민턴 경기에서는 1000lx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건설공사에 있어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예방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장의 정리정돈
  2. 안전관리기구의 구성
  3. 산업재해보험의 가입
  4. 안전교육의 주기적 실시
(정답률: 70%)
  • 산업재해보험의 가입은 예방 대책이 아니라 사후 대처를 위한 대책이기 때문에 다른 예방 대책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산업재해보험은 일이 일어난 후에 일어난 손해를 보상해주는 것으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예방 대책이 아니라 일이 일어난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보험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예방적인 대책들을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토양 중 인산이 난용성으로 되는 가장 큰 이유는?

  1. 휘산(揮散)
  2. 산화(酸化)
  3. 고정(固定)
  4. 용탈(溶脫)
(정답률: 35%)
  • 토양 중 인산이 난용성으로 되는 가장 큰 이유는 고정(固定)입니다. 인산은 토양 내에서 금속 또는 미네랄과 결합하여 고정되어 난용성으로 변합니다. 이러한 고정은 인산의 이용 가능성을 감소시키므로, 식물이 인산을 흡수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배수시설의 구조 중 지하배수시설의 구조물이 아닌 것은?

  1. 맹암거
  2. 측구
  3. 유공관암거
  4. 배수관거
(정답률: 64%)
  • 측구는 지하에 위치하지 않고 지표면에 설치되는 배수시설 구조물이기 때문에 지하배수시설의 구조물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하에 위치하는 배수시설 구조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조경공간에서 관리하자에 의한 안전사고로 옳은 것은?

  1. 유리조각을 방치하여 발을 베인 사고
  2. 관객이 백네트에 올라갔다가 떨어진 사고
  3. 그네에서 뛰어내리는 곳에 벤치가 설치되어 있어 충돌한 사고
  4. 시설물의 구조상 접속부에 손이 끼거나 구조 자체의 결함에 의한 사고
(정답률: 67%)
  • "조경공간에서 관리하자에 의한 안전사고"는 유리조각을 방치하여 발을 베인 사고입니다. 이는 조경공간에서 유리 조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관리자는 정기적으로 청소 및 유리 파손 여부를 확인하고, 파손된 유리를 즉시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방치하면 사람들이 발을 다칠 수 있으며, 이는 관리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공정관리에서 각 작업의 여유 시간이 틀린 것은?

  1. A작업의 여유시간은 없다.
  2. B작업의 여유시간은 3일이다.
  3. D작업의 여유시간은 3일이다.
  4. E작업의 여유시간은 없다.
(정답률: 60%)
  • B작업은 C작업의 선행작업이므로, C작업이 끝나야 시작할 수 있다. C작업은 7일이 걸리므로, B작업은 최소 7일 후에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B작업은 10일이 걸리므로, 실제로는 3일의 여유시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B작업의 여유시간은 3일이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수목 이식 직후 조치하여야 할 주 관리사항으로 가장 부적절한 작업은?

  1. 수간보호
  2. 지주목 설치
  3. 관수 및 전정
  4. 뿌리돌림
(정답률: 67%)
  • 뿌리돌림은 수목의 뿌리를 강제로 돌리는 작업으로, 이식 직후에는 수목의 뿌리가 충분히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뿌리돌림을 하면 수목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식 직후에는 뿌리돌림을 하지 않는 것이 적절합니다. 대신 수간보호, 지주목 설치, 관수 및 전정 등의 작업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중 이액순위(lyotropic series)가 가장 큰 원소는?

  1. Na
  2. K
  3. Mg
  4. Ca
(정답률: 38%)
  • 이액순위란, 이온이나 분자가 물과 상호작용하여 용해도나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는 순서를 말한다. 이액순위가 높은 원소는 물과 상호작용이 강하고, 이온화되기 쉽고, 물에 녹기 쉽다.

    따라서, 이액순위가 가장 큰 원소는 "Ca"이다. "Ca"는 이온화 에너지가 낮고, 물과의 상호작용이 강하며, 물에 녹기 쉽기 때문이다. "Na", "K", "Mg"는 "Ca"보다 이온화 에너지가 높고, 물과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약하며, 물에 녹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일반적인 조경수 재배 토양과 비교했을 때 염해지 토양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1. 유기물 함량이 높다.
  2. 활성 철 함량이 높다.
  3. 치환성 석회 함량이 높다.
  4. 마그네슘, 나트륨 함량이 높다.
(정답률: 65%)
  • 염해지 토양은 지하수나 해안가 등에서 염분이 많이 침전되어 형성된 토양으로, 마그네슘과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은 이러한 염분의 영향으로 인한 것입니다. 마그네슘과 나트륨은 과다 섭취 시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물질이므로, 이러한 토양에서는 식물 재배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충으로 월동한다.
  2.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체이다.
  3. 산란기는 6 ~ 9월이며, 7 ~ 8월에 가장 많다.
  4. 암컷 한 마리의 산란수는 평균 500여개 정도이다.
(정답률: 50%)
  • 암컷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수는 평균 500여개 정도가 아니라, 1000여개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정지, 전정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무성하게 자란 가지는 제거한다.
  2. 수목의 주지(主枝)는 하나로 자라게 한다.
  3. 역지(逆枝), 수하지(垂下枝) 및 난지(亂枝)는 제거한다.
  4. 같은 방향과 각도로 자라난 평행지는 제거하지 않고 남겨둔다.
(정답률: 70%)
  • 정지, 전정은 수목의 생장을 조절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 "같은 방향과 각도로 자라난 평행지는 제거하지 않고 남겨둔다."는 옳은 방법이다. 이유는 이러한 평행지는 수목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평행지를 제거하면 수목의 균형이 깨질 수 있으며,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평행지는 제거하지 않고 남겨두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