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무선설비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그림과 같은 clipping 회로에 정현파 전압을 가하면 출력 파형은?

(정답률: 66%)
  • 클리핑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 값 이상이 되면 출력 신호를 일정한 값으로 제한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정현파 전압을 가하면 입력 신호의 양 극이 일정 값 이상이 되면 출력 신호가 일정한 값으로 제한되어 나타난다. 이 때, 출력 파형은 입력 파형의 일부분이 잘려나간 형태가 되며, 이를 보면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동기식 카운터(synchronous counter)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동기식보다 최종 플립플롭의 변화 지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2. 입력펄스가 플립플롭의 모든 클록에 동시에 가해지는 구조이다.
  3. 저속의 카운터가 되지만 플립플롭의 회로가 간단하다.
  4. 모든 플립플롭이 동시에 동작한다.
(정답률: 77%)
  • "저속의 카운터가 되지만 플립플롭의 회로가 간단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동기식 카운터는 입력펄스가 플립플롭의 모든 클록에 동시에 가해지는 구조이므로 모든 플립플롭이 동시에 동작한다. 따라서, 최종 플립플롭의 변화 지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회로가 복잡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a)의 회로망에 그림 (b)의 입력파를 인가시 출력파형으로 옳은 것은?(단, 다이오드는 이상적인 특성을 갖는다.)

  1. 0[V]와 +16[V]에 클램프 된다.
  2. 0[V]와 -16[V]에 클램프 된다.
  3. 0[V]와 +32[V]에 클램프 된다.
  4. 0[V]와 -32[V]에 클램프 된다.
(정답률: 66%)
  • 답: "0[V]와 -32[V]에 클램프 된다."

    입력파인 그림 (b)의 최대값은 +16[V]이고 최소값은 -16[V]이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 D1은 전류가 흐르지 않고 차단되고, D2는 전류가 흐르며 회로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출력파인 그림 (a)의 최대값은 +16[V]이고 최소값은 -32[V]이다. 따라서 출력파는 0[V]와 -32[V]에 클램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주로 고주파 증폭기에 사용되는 것은?

  1. A급
  2. B급
  3. C급
  4. AB급
(정답률: 83%)
  • 주로 고주파 증폭기에는 C급이 사용됩니다. 이는 C급이 다른 등급에 비해 더 효율적이고, 작은 전력으로도 큰 출력을 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C급은 왜곡이 적고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고주파 증폭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스위치가 2의 위치에서 t=0일 때, 1의 위치로 옮겨지는 경우에 회로에 흐르는 전류 i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70%)
  • 스위치가 2의 위치에 있을 때, 전기회로는 닫혀있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위치가 1의 위치로 옮겨지면 전기회로가 닫히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스위치가 1의 위치로 옮겨지는 순간부터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t=0 이후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나타내는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트랜지스터 회로의 바이어스 안정도(S)가 가장 좋은 것은?

  1. S = 1
  2. S = π
  3. S = 50
  4. S = ∞
(정답률: 85%)
  • 정답: S = ∞

    이유: 바이어스 안정도(S)는 입력 신호나 온도 등의 변화에 대해 출력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S가 무한대에 가까울수록 안정적인 회로입니다. 따라서 S = ∞가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Voltage follower 이다.
  2. 입력과 출력은 역상이다.
  3.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은 크기가 같다.
  4.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크다.
(정답률: 65%)
  • "입력과 출력은 역상이다." 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 회로는 Voltage follower로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이 크기가 같고,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크다. 그러나 입력과 출력이 역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은 같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역상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카르노맵을 간략화한 결과는?

  1. X1+X2
(정답률: 84%)
  • 카르노맵에서 인접한 셀들은 한 비트만 다르므로, X1과 X2가 모두 0일 때와 모두 1일 때의 결과가 같으므로, X1과 X2를 묶어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리플 카운터(ripple counter)이다. 초기 상태 A=0, B=0, C=0 이었다면 클록펄스가 12개 인가된 후의 상태는?

  1. A=0, B=0, C=1
  2. A=0, B=1, C=1
  3. A=1, B=1, C=0
  4. A=1, B=0, C=0
(정답률: 78%)
  • 리플 카운터는 이전 단계의 출력이 현재 단계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카운터이다. 따라서 클록펄스가 1개씩 입력될 때마다 A, B, C가 차례로 0, 0, 1 → 0, 1, 0 → 0, 1, 1 → 1, 0, 0 → 1, 0, 1 → 1, 1, 0 → 0, 0, 0 → 0, 0, 1 → 0, 1, 0 → 0, 1, 1 → 1, 0, 0 → 1, 0, 1 순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12개의 클록펄스 입력 후의 상태는 A=0, B=0, C=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하틀레이(Hartley) 발진기에서 궤환(feed back) 요소는?

  1. 콘덴서
  2. 코일
  3. 트랜스
  4. 저항
(정답률: 84%)
  • 하틀레이 발진기에서 궤환 요소는 코일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 자기장이 다시 전류를 유도하여 발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코일은 하틀레이 발진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RC 평활회로에서 리플 함유율을 줄이려면 어떤 방법이 가장 적합한가? (단, R 》RL 이라고 가정한다.)

  1. R, C를 작게 한다.
  2. RL, C를 작게 한다.
  3. R, C를 크게 한다.
  4. RL, C를 크게 한다.
(정답률: 72%)
  • RC 회로에서 리플 함유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RC 시간 상수를 크게 만들어야 한다. RC 시간 상수는 R과 C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R과 C를 크게 한다면 RC 시간 상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R, C를 크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RC 결합 증폭회로의 이득이 높은 주파수에서 감소되는 이유는?

  1. 증폭 소자의 특성이 변하기 때문에
  2. 부성 저항이 생기기 때문에
  3. 결합 커패시턴스 때문에
  4. 출력회로의 병렬 커패시턴스 때문에
(정답률: 71%)
  • RC 결합 증폭회로에서 이득이 높은 주파수에서 감소되는 이유는 출력회로의 병렬 커패시턴스 때문입니다. 이는 고주파에서는 커패시턴스가 작아져서 회로의 전체 임피던스가 감소하게 되어 이득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정류회로의 구성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전원 변압기
  2. 평활회로
  3. 안정화 회로
  4. 궤환회로
(정답률: 76%)
  • 정류회로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전원 변압기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다. 평활회로는 전원 변압기에서 나오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안정화 회로는 DC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반면에 궤환회로는 정류회로에서 발생하는 고파형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로, 다른 구성 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부궤환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닌것은?

  1. 외부 변화에 덜 민감하므로 이득의 감도를 줄일 수 있다.
  2. 비선형 왜곡을 줄일 수 있다.
  3. 불필요한 전기 신호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4. 궤환없는 증폭기에 비해 대역폭이 감소한다.
(정답률: 70%)
  • "궤환없는 증폭기에 비해 대역폭이 감소한다."는 부궤환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닙니다. 이는 부궤환의 특성상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저주파 신호에 대해서는 대역폭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역폭이 중요한 경우에는 궤환없는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논리식은 무슨 법칙을 활용하여 전개한 것인가?

  1. 보수와 병렬의 법칙
  2. 드모르간(De Morgan)의 법칙
  3. 교차와 병렬의 법칙
  4. 적(積)과 화(和)의 분배의 법칙
(정답률: 94%)
  • 이 논리식은 드모르간(De Morgan)의 법칙을 활용하여 전개한 것이다. 드모르간의 법칙은 ~(A∨B) = ~A∧~B와 ~(A∧B) = ~A∨~B로 표현되며, 이는 논리식에서 OR과 AND의 부정을 서로 바꾸는 법칙이다. 따라서 이 논리식에서 ~(A∨B)를 ~(A∨B) = ~A∧~B로 변환하여 전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펄스파가 상승해 가는 기간의 10[%]에서 90[%]까지 걸리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연시간
  2. 하강시간
  3. 축적시간
  4. 상승시간
(정답률: 90%)
  • 정답: 상승시간

    펄스파가 상승해 가는 기간의 10[%]에서 90[%]까지 걸리는 시간을 상승시간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펄스파가 처음부터 끝까지 상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아니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상승시간은 펄스파의 빠른 변화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의 수정진동자 등가회로에서 병렬공진주파수(fP)는?

(정답률: 68%)
  • 병렬공진회로에서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P = 1 / (2π√(LC))

    따라서, L값이 작아지면 fP값은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 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회로의 논리 동작은? (단, 부논리이며 A, B는 입력단자이다.)

  1. Y = A B
  2. Y = A+B
  3. Y
(정답률: 76%)
  • 이 회로는 OR 게이트와 NOT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NOT 게이트는 입력이 1일 때 출력이 0이 된다.

    따라서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0이 된다. 그리고 A와 B가 모두 0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이 0이 되고, 이 출력이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1이 된다.

    즉, Y는 A와 B가 모두 0일 때 1이 되고, 그 외에는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이미터 접지일 때 전류증폭율이 각각 hFE1, hFE2인 두개의 트랜지스터 Q1과 Q2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을 경우 컬렉터 전류 IC는?

  1. IC = hFE1ㆍhFE2ㆍIB
  2. IC = (hFE1/hFE2)IB
  3. IC = hFE2(hFE1+1)IB
  4. IC = hFE1ㆍIB+hFE2(hFE1+1)ㆍIB
(정답률: 84%)
  • 두 개의 트랜지스터 Q1과 Q2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류증폭율은 각각의 hFE 값으로 고려해야 한다. Q1의 컬렉터 전류는 IC1 = hFE1ㆍIB 이고, Q2의 베이스 전류는 IB2 = IC1 이다. 따라서 Q2의 컬렉터 전류는 IC2 = hFE2ㆍIB2 = hFE2ㆍIC1 이다. 전체 회로의 컬렉터 전류는 IC = IC1 + IC2 = hFE1ㆍIB + hFE2(hFE1+1)ㆍIB 이므로, 정답은 "IC = hFE1ㆍIB+hFE2(hFE1+1)ㆍI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논리회로의 출력 C를 진리표 내에서 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80%)
  • 정답은 "③"입니다.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입니다. 이 출력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 C는 1이 됩니다. 따라서 진리표에서 A와 B가 모두 1일 때 C는 1이 되어야 합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③"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다음 중 SSB 통신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S/N비가 DSB에 비해 개선된다.
  2. DSB에 비해 인접 채널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비트가 많아진다.
  3. DSB의 상하측파대 중 한 측파대만을 통신에 이용한다.
  4. 일반적으로 대역통과 여파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측파대를 만든다.
(정답률: 82%)
  • "DSB에 비해 인접 채널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비트가 많아진다."는 SSB 통신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SSB 통신방식은 DSB와 달리 하나의 측파대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접 채널과의 간섭이 줄어들어 비트가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정보 비트의 전송률이 일정할 때 채널 대역폭이 가장 작은 변조방식은?

  1. 2진 ASK
  2. 2진 FSK
  3. 8진 QAM
  4. 16진 PSK
(정답률: 68%)
  • 정보 비트의 전송률이 일정할 때 채널 대역폭이 가장 작은 변조 방식은 16진 PSK이다. 이는 16진 PSK가 다른 변조 방식에 비해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 수가 많기 때문이다. 2진 ASK와 2진 FSK는 한 번에 1비트씩 전송하므로 대역폭이 더 넓게 필요하다. 8진 QAM은 한 번에 3비트씩 전송하지만, 16진 PSK에 비해 전송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정보 비트의 전송률이 일정할 때 채널 대역폭이 가장 작은 변조 방식은 16진 PS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PLL(Phase locked loop) 구성에 속하는 것은?

  1. 샘플링(Sampling) 회로
  2. 주파수 체배 회로
  3. 전압제어발진기(VCO) 회로
  4. 프리엠퍼시스 회로
(정답률: 80%)
  • PLL은 입력 신호와 VCO 출력 신호의 위상 차이를 감지하여 VCO 주파수를 조절하여 입력 신호와 VCO 출력 신호의 위상 차이를 최소화하는 회로이다. 이 때, VCO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를 출력하는 회로로, PLL 구성에 속하는 것은 VCO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4상식 위상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 신호 속도는 몇 [bps] 인가?

  1. 2400[bps]
  2. 4800[bps]
  3. 7200[bps]
  4. 9600[bps]
(정답률: 83%)
  • 4상식 위상변조 방식은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데이터 신호 속도는 2400 x 2 = 4800[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800[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FM 수신기에 사용되는 리미터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생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2. 충격성 잡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전원 전압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4. 고조파에 의한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54%)
  • FM 수신기에서는 주파수 변조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수신 신호가 강력하게 변조되어 충격성 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미터가 사용됩니다. 리미터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제한하여, 강력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충격성 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충격성 잡음을 방지하기 위해서"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무선 송신기에 사용되는 발진기의 요구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고조파 발생이 많을 것
  2. 주파수의 미조정이 용이할 것
  3. 주파수 안정도가 높을 것
  4.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발진출력이 일정할 것
(정답률: 64%)
  • 고조파 발생이 많을 것은 무선 송신기에서는 원하는 주파수 외에도 다른 주파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무선 통신에서 다른 장비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통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선 송신기에 사용되는 발진기는 고조파 발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FM 송신기의 전력 츨정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열량계에 의한 방법
  2. C-M형 전력계에 의한 방법
  3. 수부하에 의한 방법
  4. 볼로미터 브리지에 의한 방법
(정답률: 85%)
  • 수부하에 의한 방법은 FM 송신기의 전력 측정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수부하를 사용하여 송신기의 출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정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부하 자체가 송신기의 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대신, 열량계, C-M형 전력계, 볼로미터 브리지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FDM과 비교한 PCM 다중 통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송품질이 안정하다.
  2. 누화 등의 방해가 적다.
  3. 양자화 잡음 등 PCM 특유의 잡음이 있다.
  4. 중계할 때마다 열잡음, 왜곡잡음이 가산된다.
(정답률: 83%)
  • "전송품질이 안정하다.", "누화 등의 방해가 적다.", "양자화 잡음 등 PCM 특유의 잡음이 있다."는 PCM 다중 통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만, "중계할 때마다 열잡음, 왜곡잡음이 가산된다."는 오히려 PCM 다중 통신의 단점이다. 이는 PCM 신호가 중계되는 과정에서 신호가 변형되어 생기는 것으로, 중계할 때마다 잡음이 누적되어 전송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정합 필터(matched filter)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최적 임계치는 입력 신호 에너지의 반과 같다.
  2. 본질적으로 비동기 검파기이다.
  3. 하나의 곱셈기와 하나의 적분기로 구현할 수 있다.
  4. 필터 출력단에서 SNB(Signal to Noise Ratio)을 최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답률: 64%)
  • "본질적으로 비동기 검파기이다."는 정합 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정합 필터는 동기 검파기로, 입력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신호와 곱한 후 적분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입력 신호에서 원하는 신호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비동기 검파기"라는 설명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수신 신호파가 1000[kHz], 국부발진주파수가 1455[kHz]라면 영상주파수는?

  1. 1000[kHz]
  2. 1455[kHz]
  3. 1910[kHz]
  4. 2455[kHz]
(정답률: 68%)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영상주파수는 국부발진주파수에서 수신 신호파를 뺀 값이다. 따라서, 1455[kHz] - 1000[kHz] = 455[kHz]가 된다. 이 값에 수신 신호파를 더하면 영상주파수가 된다. 따라서, 455[kHz] + 1000[kHz] = 1455[kHz]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455[kHz]가 이미 국부발진주파수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더해준다면 영상주파수는 1455[kHz] + 455[kHz] = 1910[kHz]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1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FM 수신기에서 스켈치 회로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FM 파의 복조회로
  2. 페이딩에 의한 진폭성분 제거
  3. 자동적으로 주파수 편이를 제거
  4. 수신신호 없을 때 내부 잡음 제거
(정답률: 75%)
  • FM 수신기에서는 수신신호가 없을 때 내부 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스케치 회로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수신신호 없을 때 내부 잡음 제거"입니다. 이는 수신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여 수신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디지털 변조방식에 속하는 것은?

  1. DSB
  2. SCFM
  3. PM
  4. QAM
(정답률: 80%)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직교한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조절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변조 방식입니다. 따라서 QAM은 디지털 변조 방식에 속합니다. DSB, SCFM, PM은 모두 아날로그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정류회로의 리플 함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입력 전원의 주파수를 높게 한다.
  2. 평활용 초크의 인덕턴스를 크게 한다.
  3. 부하저항이 적을 때 콘덴서 입력형으로 한다.
  4. π형 평활회로에서 출력측 콘덴서 용량을 크게 한다.
(정답률: 59%)
  • 부하저항이 적을 때 콘덴서 입력형으로 하는 것은 리플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콘덴서 입력형으로 하면 입력측 콘덴서가 리플 전압을 감소시켜주기 때문에 리플 함유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부하저항이 적을 때 콘덴서 입력형으로 한다."는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송신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스퓨리어스의 발생원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상호 변조
  2. 주파수 체배
  3. 푸시풀 증폭
  4. 증폭기의 비직선성
(정답률: 71%)
  • 정답: "푸시풀 증폭"

    설명: 스퓨리어스는 원하지 않는 주파수 성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송신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스퓨리어스의 발생원인으로는 상호 변조, 주파수 체배, 증폭기의 비직선성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푸시풀 증폭"은 스퓨리어스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닙니다. 푸시풀 증폭은 주파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입력 신호를 증폭기의 출력 부하에 직접 연결하여 증폭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8진 PSK에서 반송파 간 위상 차는?

  1. π
  2. π/2
  3. π/4
  4. π/8
(정답률: 57%)
  • 8진 PSK에서는 8개의 위상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각 위상은 45도씩 차이가 나므로, 반송파 간 위상 차는 45도씩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8진 PSK에서 반송파 간 위상 차는 π/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연축전지의 충전을 완료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해액의 온도는 낮아진다.
  2. 전해액의 비중이 높아진다.
  3. 가스(물거품)가 많이 발생한다.
  4. 단자전압이 상승하여 2.6~2.8[V] 정도가 된다.
(정답률: 74%)
  • "전해액의 온도는 낮아진다."는 연축전지 충전 시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연축전지 충전 시 전해액의 온도는 오히려 상승합니다. 이는 충전 시 발생하는 화학반응 열로 인해 전해액이 가열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이동통신용 수신 전파신호를 측정할 때 필요한 장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LNA
  2. GPS
  3. 방향성 결합기
  4. 스펙트럼 분석기
(정답률: 55%)
  • 방향성 결합기는 전파를 특정 방향으로만 전달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용 수신 전파신호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장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LNA는 저잡음 증폭기, GPS는 위성 항법 시스템, 스펙트럼 분석기는 전파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장비로 이동통신용 수신 전파신호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장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과부하 잡음이 없는 경우 PCM 양자화시 사용 비트 수를 1비트 증가시키면 S/Nq(신호전력 대 양자화 잡음 전력비)는 몇 [dB] 개선(증가)되는가?

  1. 3[dB]
  2. 6[dB]
  3. 9[dB]
  4. 12[dB]
(정답률: 69%)
  • PCM 양자화시 사용 비트 수를 1비트 증가시키면 양자화 잡음의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S/Nq는 6[dB] 개선(증가)된다. 이는 양자화 잡음의 크기가 2배 작아지면 신호전력 대 양자화 잡음 전력비가 3[dB]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비트 증가시키면 2배 작아지므로 3[dB] x 2 = 6[dB]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무선 수신기에서 고주파 저잡음 증폭기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감도 향상
  2. 신호대 잡음비(S/N) 개선
  3. 근접한 간섭신호 제거
  4. 영상주파수 선택도 개선
(정답률: 43%)
  • 무선 수신기에서 고주파 저잡음 증폭기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근접한 간섭신호 제거"입니다. 이는 고주파 저잡음 증폭기가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는 특성 때문에 근접한 간섭신호도 함께 증폭되어 원하는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접한 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진폭 변조 회로의 출력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았다. a = 3b 이면 변조율은 몇 [%] 인가?

  1. 80[%]
  2. 50[%]
  3. 33.3[%]
  4. 25[%]
(정답률: 65%)
  • 진폭 변조 회로에서 출력 신호의 최대 진폭은 a+b, 최소 진폭은 a-b이다.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최대 진폭은 3+1=4, 최소 진폭은 3-1=2이다. 변조율은 (최대 진폭 - 최소 진폭) / (최대 진폭 + 최소 진폭)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4-2)/(4+2)*100 = 50[%] 이므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개론

41. 다음 중 손실저항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접지저항
  2. 도체저항
  3. 복사저항
  4. 와전류손실
(정답률: 67%)
  • 손실저항의 종류는 "접지저항", "도체저항", "와전류손실"이 있습니다. "복사저항"은 손실저항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복사저항은 전자기파가 공간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저항으로, 전자기파의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초단파대용 안테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야기 안테나
  2. 웨이브 안테나
  3. 슈퍼 게인 안테나
  4. Corner reflector 안테나
(정답률: 59%)
  • 웨이브 안테나는 초단파대용 안테나가 아니라, 주로 중단파나 장파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안테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웨이브 안테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Folded Dipole Antenna)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Q가 낮으므로 약간 광대역성을 갖는다.
  2. 평행 2선식 급전선과 정합장치가 불필요하다.
  3. 실효길이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약 2배이다.
  4. 전계강도, 이득, 지향성은 λ/4 수직접지 안테나와 비슷하다.
(정답률: 52%)
  • "전계강도, 이득, 지향성은 λ/4 수직접지 안테나와 비슷하다."는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다.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와 비슷한 특성을 갖는다. 이는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와 마찬가지로 λ/2 길이의 안테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계강도, 이득, 지향성이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효길이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약 2배이다."는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다.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다. 이는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보다 더 광대역성을 갖는 이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특성 임피던스가 50[Ω]인 급전선에 98[Ω]의 부하를 접속하였다. 정합시키기 위하여 Q 변성기를 삽입하고자 한다면 Q 변성기의 임피던스를 몇 [Ω]으로 하여야 하는 가?

  1. 52.5[Ω]
  2. 60[Ω]
  3. 70[Ω]
  4. 84.5[Ω]
(정답률: 74%)
  • 특성 임피던스가 50[Ω]인 급전선에 98[Ω]의 부하를 접속하면, 반사파가 발생하여 전기적으로 불일치된 상태가 된다. 이를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부하 측에서 반사파와 상쇄되는 크기와 위상을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Q 변성기를 삽입하고자 하는데, Q 변성기의 임피던스는 부하 임피던스와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화 임피던스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50[Ω]이므로, 부하 임피던스와 조화 임피던스가 되기 위해서는 Q 변성기의 임피던스는 (50+98)/2 = 74[Ω]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74[Ω]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70[Ω]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전자나팔(혼) 안테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부엽이 많다.
  2. 광대역성이다.
  3. 지향성이 예민하다.
  4. 이득은 개구면적에 비례하고, 비교적 높다.
(정답률: 73%)
  • "부엽이 많다."는 전자나팔(혼) 안테나의 특성과 관련이 없습니다. 전자나팔(혼) 안테나의 특성은 광대역성, 지향성이 예민하며 이득이 개구면적에 비례하고 비교적 높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안테나의 상대이득을 나타내는 기준안테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무손실 등방성 안테나
  2. 무손실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
  3. 무손실 수직접지 안테나
  4. 무손실 미소다이폴 안테나
(정답률: 79%)
  •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안테나가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때, 안테나와 비교하여 얼마나 더 강한 신호를 받거나 발생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합한 기준안테나는 무손실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입니다. 이는 안테나의 크기가 반파장의 절반인 다이폴 안테나로, 방향성이 없는 등방성 안테나와 달리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시키는 특성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공평한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손실 안테나이기 때문에 신호의 감쇠가 없어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급전선로의 정재파비를 낮게하고자 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스퓨리어스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2. 저온에서 급전선로를 가열하기 위해
  3. 인접 무선기기와의 혼신을 줄이기 위해
  4. 보다 효과적인 전자파 에너지의 전달을 위해
(정답률: 80%)
  • 보다 효과적인 전자파 에너지의 전달을 위해, 급전선로의 정재파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전자파가 급전선로를 통해 전달될 때, 정재파비가 높으면 전자파가 손실되거나 반사되어 전달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재파비를 낮추면 전자파가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이득이 크고 광대역 특성을 가져 초단파대 TV 수신용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야기 안테나
  2. 애드콕 안테나
  3. 파라볼라 안테나
  4.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
(정답률: 78%)
  • 야기 안테나는 이득이 크고 광대역 특성을 가지며,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초단파대 TV 수신용 안테나로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안테나의 크기가 작아 실내에 설치하기에도 용이하며, 신호 간섭이 적어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전파의 통로에 의한 분류에서 1000[km] 이상의 원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접파
  2. 지표파
  3. 대지 반사파
  4. 전리층 반사파
(정답률: 85%)
  • 전리층 반사파가 1000[km] 이상의 원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이유는 전파가 대기 상층인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지표파나 대지 반사파보다 손실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리층 반사파는 원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전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카세그레인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부엽이 많다.
  2. 위성통신용 지구국 고이득 안테나로 사용된다.
  3. 1차 방사기(전자나팔)를 주반사기 쪽에 설치한다.
  4. 누설전력이 천체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대지에성의 잡음을 적게 받는다.
(정답률: 84%)
  • "부엽이 많다."는 카세그레인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부엽이 적은 안테나로, 주로 위성통신용 지구국 고이득 안테나로 사용됩니다. 1차 방사기(전자나팔)를 주반사기 쪽에 설치하고, 누설전력이 천체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대지에성의 잡음을 적게 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이 아닌 것은?

  1. 스터브에 의한 정합
  2. 도파관 창에 의한 정합
  3. Q 변성기에 의한 정합
  4. 다이플렉서에 의한 정합
(정답률: 64%)
  • 다이플렉서에 의한 정합은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이 아닙니다. 다이플렉서는 전파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장치로, 도파관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다이플렉서에 의한 정합은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판상 안테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슬롯 안테나
  2. 헤리컬 안테나
  3. 박쥐 날개형 안테나
  4. 코너 리플렉터 안테나
(정답률: 63%)
  • 판상 안테나는 평면적인 구조물을 이용하여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안테나를 말합니다. 따라서 "헤리컬 안테나"는 판상 안테나에 속하지 않습니다. 헤리컬 안테나는 나선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주로 초고주파(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최대사용주파수(MUF)를 변하게 하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송신전력
  2. 지구등가반경계수
  3. 태양의 흑점 수
  4. 상층 대기권의 풍속
(정답률: 67%)
  • 태양의 흑점 수가 최대사용주파수(MUF)를 변하게 하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이유는, 흑점은 태양의 자기장이 강해지는 지역으로, 이 지역에서 방출되는 자외선과 X선이 대기권을 이온화시켜 전파의 속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흑점 수가 많을수록 MUF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라디오 덕트의 생성원인에 의한 분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류성 덕트
  2. 접지형 덕트
  3. 전선에 의한 덕트
  4. 야간냉각에 의한 덕트
(정답률: 65%)
  • 접지형 덕트는 라디오 덕트의 생성원인에 의한 분류로 적합한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접지형 덕트는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라디오 덕트의 생성원인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접지형 덕트는 덕트 내부에 접지선을 설치하여 전기적인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복사저항 20[Ω], 손실저항 5[Ω]인 안테나에 100[W]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의 복사 전력은 얼마인가?

  1. 60[W]
  2. 80[W]
  3. 90[W]
  4. 100[W]
(정답률: 76%)
  • 안테나에 공급되는 전력은 복사 전력과 손실 전력의 합이다. 따라서 복사 전력은 100[W] - 5[Ω] × (100[W] / (20[Ω] + 5[Ω]))² = 80[W] 이다. 이 식에서 (100[W] / (20[Ω] + 5[Ω]))²은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테나가 전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하는지를 나타낸다. 이 값이 작을수록 안테나의 효율이 낮아지므로, 안테나 설계 시에는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델린저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태양 표면의 폭발에 의하여 자외선이 증가하여 이 현상이 발생한다.
  2. 이 현상의 지속시간은 1~2일 정도로 비교적 길다.
  3. 주로 저위도 지방에서 주간에만 발생한다.
  4. D 또는 E 층의 전자밀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71%)
  • "이 현상의 지속시간은 1~2일 정도로 비교적 길다."라는 설명은 적합하다. 이유는 델린저 현상은 자외선이 증가하여 D 또는 E 층의 전자밀도가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데, 이러한 자외선은 지구 대기권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지속시간이 짧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원거리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은?

  1. 정전계
  2. 유도계
  3. 복사계
  4. 유도계 및 정전계
(정답률: 73%)
  • 복사계는 전파를 발생시켜 원거리 통신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정전계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유도계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원거리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복사계입니다. 유도계 및 정전계는 원거리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지상파의 전계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파수
  2. 회절 상태
  3. 송신기 출력
  4. 전리층의 상태
(정답률: 64%)
  • 전리층의 상태는 지상파의 전계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전리층은 대기 상층에 있는 이온화된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파의 속도와 방향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전리층의 상태가 전계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주파수, 회절 상태, 송신기 출력은 전계강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면적은 약 몇 [m2] 인가?

  1. 0.11 λ2 [m2]
  2. 0.12 λ2 [m2]
  3. 0.13 λ2 [m2]
  4. 0.14 λ2 [m2]
(정답률: 66%)
  •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면적은 0.13 λ2 [m2]이다. 이는 안테나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 반파장 안테나의 길이는 λ/2이므로, 안테나의 폭은 λ/2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안테나의 효율이 감소하게 되는데, 실효면적은 이 효율 감소를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다. 따라서,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면적은 0.13 λ2 [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급전선에서 정재파비가 1인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완전 정합상태이다.
  2. 반사계수의 값이 1이다.
  3. 급전선의 고유 임피던스가 1[Ω]이다.
  4. 급전선의 표피효과를 무시할 수 있을 때이다.
(정답률: 86%)
  • 정재파비가 1인 경우는 급전선의 고유 임피던스와 부하 임피던스가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때 반사계수의 값이 1이 되므로 완전 정합상태이며, 급전선의 표피효과를 무시할 수 있을 때에 해당합니다. 즉, 전기 신호가 부하로 전달되는데 있어서 최대 전력 전달 효율을 가지는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 프로그램카운터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음
  2. 데이터가 기억된 위치를 지시함
  3. 기억하거나 읽은 데이터를 보관함
  4. 수행중인 명령을 기억함
(정답률: 91%)
  • 프로그램카운터는 CPU가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음"이 옳은 설명이다. 데이터가 기억된 위치를 지시하는 것은 주소지정자, 기억하거나 읽은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은 레지스터, 수행중인 명령을 기억하는 것은 명령 레지스터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1비트 기억 장치는?

  1. 플립플롭
  2. 레지스터
  3. 누산기
  4. 디코더
(정답률: 85%)
  • 1비트 기억 장치는 0 또는 1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며, 이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회로가 플립플롭입니다. 플립플롭은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가지며,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변화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1비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립플롭은 1비트 기억 장치로서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Binary Code 11010을 Gray Code로 변환한 값은?

  1. 11011
  2. 10111
  3. 11101
  4. 11110
(정답률: 88%)
  • Binary Code 11010을 Gray Code로 변환하려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11010의 Gray Code는 10111이 됩니다.

    보기에서 11010의 두 번째 비트와 XOR 연산을 해서 나온 값이 10111이기 때문에, 정답은 "10111"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11010을 Gray Code로 변환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소프트웨어 수명을 연장시키는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확성
  2. 유지 보수의 용이성
  3. 재사용성
  4. 유연성
(정답률: 65%)
  • 정확성은 소프트웨어의 기능이나 결과가 정확하게 동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른 세 가지 목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수명을 연장시키는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정확성"이 아닌 다른 세 가지 목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바꾸어 주는 것은?

  1. 어셈블리언어
  2. 프로그램라이브러리
  3. 연계편집프로그램
  4. 어셈블러
(정답률: 82%)
  • 원시 프로그램은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운 기계어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변환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어셈블러이다.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정답은 "어셈블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그림과 같은 트리를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는?

  1. +**/ABCDE
  2. AB/C*D*E+
  3. A*B+C*D/E
  4. A*B+CD*/E
(정답률: 84%)
  • 트리의 후위 순회는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그리고 부모 노드 순으로 방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의 트리를 후위 순회하면 "AC/BD*E*+"이 됩니다.

    보기에서 "AB/C*D*E+"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AB/C*D*E+" : A와 B를 먼저 스택에 넣고, C를 만나면 스택에서 B와 A를 꺼내서 B/C를 계산하고 다시 스택에 넣습니다. D를 만나면 스택에서 C와 B를 꺼내서 C*D를 계산하고 다시 스택에 넣습니다. E를 만나면 스택에서 D와 C를 꺼내서 D*E를 계산하고 다시 스택에 넣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택에서 E와 C*D를 꺼내서 C*D+E를 계산하고 결과를 반환합니다.
    - "+**/ABCDE" : 이 경우에는 연산자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순서대로 계산하면 "A*B+C*D/E"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 "A*B+C*D/E" : 이 경우에는 트리의 구조와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후위 순회 결과가 "AB*CD*E/+"가 됩니다.
    - "A*B+CD*/E" : 이 경우에도 트리의 구조와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후위 순회 결과가 "AB*CD/E*+"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n개의 비트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의 수는?

  1. n 개
  2. n2
  3. 2n
  4. 2n-1 개
(정답률: 80%)
  • n개의 비트로는 2의 n승 가지의 서로 다른 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각 비트는 0 또는 1이 될 수 있으므로, n개의 비트로는 2 x 2 x ... x 2 (n번) = 2의 n승 가지의 서로 다른 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의 n승 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은 10진수를 표현하는 이진 코드(binary code)들이다. 이들 중 자체 보수화(self-complementary)가 불가능한 코드는?

  1. 51111 코드
  2. BCD 코드
  3. Excess-3 코드
  4. 2421 코드
(정답률: 66%)
  • 자체 보수화란, 어떤 수와 그 수의 보수를 더하면 모든 자리수가 1이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10진수에서 9와 1의 보수를 더하면 10이 되는 것과 같다.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코드이다. 이 코드에서 어떤 수와 그 수의 보수를 더하면 모든 자리수가 1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5와 5의 보수를 더하면 0000이 되기 때문에 자체 보수화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BCD 코드"가 자체 보수화가 불가능한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CPU에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의 OS 동작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행중인 프로세스나 스레드의 상태를 저장한다.
  2. 인터럽트 종류를 식별한다.
  3.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호출한다.
  4. 인터럽트 처리 결과를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 저장한다.
(정답률: 77%)
  • 인터럽트 처리 결과를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 저장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로그 파일에 기록됩니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운영체제는 해당 인터럽트의 종류를 식별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호출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이때, 수행중인 프로세스나 스레드의 상태를 저장하여 인터럽트 처리 이후에도 이전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레지스터들 중에서 Read하거나 Write 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레지스터는?

  1. MAR(Memory Address Register)
  2. MBR(Memory Buffer Register)
  3. PC(Program Counter)
  4. IR(Instruction Register)
(정답률: 65%)
  • MBR(Memory Buffer Register)은 메모리와 CPU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Read 또는 Write 작업을 수행할 때 데이터가 MBR을 거쳐 CPU로 전송되거나, CPU에서 MBR을 거쳐 메모리로 전송되기 때문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레지스터입니다. MAR(Memory Address Register)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필요한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며, PC(Program Counter)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IR(Instruction Register)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들은 Read 또는 Write 작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MBR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
  2. 10
  3. 20
  4. 50
(정답률: 88%)
  • 주어진 그림에서는 5, 10, 20, 50의 네 개의 동전이 있고, 이 중에서 10원짜리 동전이 정답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주어진 발사에서 용이하게 식별되고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로 정의되는 것은?

  1. 할당주파수
  2. 특성주파수
  3. 기준주파수
  4. 지정주파수
(정답률: 74%)
  • 특성주파수는 주어진 발사에서 가장 용이하게 식별되고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발사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발사체의 구조, 크기, 형태, 재질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특성주파수는 발사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할당주파수, 기준주파수, 지정주파수는 각각 주파수 할당, 측정, 지정 등의 용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무선국을 개설할 수 있는 자는?

  1. 외국의 법인 또는 단체
  2. 외국정부 또는 그 대표자
  3. 대한민국 국민으로 파산선고를 받을 자
  4. 전파법을 위반하여 금고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은 자
(정답률: 83%)
  • 무선국 개설은 전파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전파법에 따라 규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파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은 자나, 대한민국 국민으로 파산선고를 받은 자는 무선국을 개설할 수 없습니다. 외국의 법인 또는 단체, 외국정부 또는 그 대표자는 국내 법률에 따라 규제되지 않으므로 무선국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535[kHz] 초과 1606.5[kHz] 이하 방송국의 주파수허용편차는 얼마인가?

  1. 0.1[%]
  2. 1[Hz]
  3. 10[Hz]
  4. 100만분의 100
(정답률: 64%)
  • 주파수허용편차는 주파수 대역폭의 백만분의 일이므로, 535[kHz]에서 1606.5[kHz]까지의 대역폭은 1071.5[kHz]이다. 따라서 주파수허용편차는 1071.5[kHz]의 백만분의 일인 1.0715[Hz]이 되는데,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10[Hz]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특정한 주파수의 용도를 정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은?

  1. 주파수 분배
  2. 주파수 할당
  3. 주파수 지정
  4. 주파수 재배치
(정답률: 60%)
  • 주파수 분배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용도에 맞게 할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서로 간섭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전파법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공복리의 증진
  2. 전파 이용의 절제
  3. 전파관련 분야의 진흥
  4. 전파에 관한 기술개발을 촉진
(정답률: 77%)
  • 전파 이용의 절제는 전파 이용을 제한하거나 규제하는 것으로, 전파 이용의 증진이나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것과는 반대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파법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방송통신위원회가 전파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책을 마련하고 시행하여야 할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새로운 주파수 이용기술 개발
  2. 지역 간 사용주파수의 등록ㆍ개발
  3. 이용 중인 주파수의 이용효율 향상
  4. 국가간 전파의 혼선을 없애고 방지하기 위한 협의ㆍ조정
(정답률: 56%)
  • "지역 간 사용주파수의 등록ㆍ개발"은 전파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시책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지역 간 주파수 이용에 대한 등록과 개발을 의미하는데, 이는 전파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시행해야 할 사항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무선국의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이 1년인 무선국은?

  1. 실험국
  2. 기지국
  3. 간이무선국
  4. 선상통신국
(정답률: 84%)
  • 실험국은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실험 및 연구를 목적으로 개설되는 무선국으로, 유효기간이 1년인 무선국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효기간이 1년이 아니거나 실험 및 연구를 목적으로 개설되지 않은 무선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공중선계가 충족하여야 하는 조건으로 적합한 것은?

  1. 감도가 충분할 것
  2. 내부잡음이 적을 것
  3. 공중선은 이득이 평탄할 것
  4. 정합은 신호의 반사손실이 최소화가 되도록 할 것
(정답률: 40%)
  • 공중선에서 신호가 전달될 때, 신호가 반사되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사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중선과 신호 발생기 또는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가 일치해야 합니다. 이를 정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공중선계가 충족해야 하는 조건 중에서 정합은 신호의 반사손실이 최소화가 되도록 할 것이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방송통신 기기 중 인증의 모두가 면제되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험연구를 위하여 제조하는 기기
  2. 국내에서 판매하지 아니하고 수출전용으로 제조하는 기기
  3. 전시회 등 행사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수입하는 기기
  4. 외국으로부터 도입하는 선박 또는 항공기에 설치된 기기
(정답률: 75%)
  • "전시회 등 행사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수입하는 기기"는 인증의 모두가 면제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기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소비자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