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0-12)

무선설비산업기사
(2013-10-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제너다이오드에서 제너전압이 10[V], 전력이 5[W]인 경우 최대전류의 크기는?

  1. 0.05[A]
  2. 0.5[A]
  3. 0.05[mA]
  4. 0.5[mA]
(정답률: 79%)
  • 제너다이오드의 전력은 P = VI 이므로, 전류 I = P/V = 5/10 = 0.5[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3상 반파 정류회로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변압기의 이용률이 좋다.
  2. 출력 전압의 맥동 주파수는 전원 주파수의 3배이다.
  3. 부하 정류 전류는 다이오드 1개에 3배의 전류가 흐른다.
  4. 직류분에 대한 맥동률은 작으나 전압 변동률은 단상보다 크다.
(정답률: 64%)
  • "직류분에 대한 맥동률은 작으나 전압 변동률은 단상보다 크다." 이 설명은 옳다. 이유는 3상 반파 정류회로에서 3상 AC 전원을 사용하면서 3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원을 정류하는데, 이 때 3상 AC 전원은 120도씩 위상차이를 가지므로, 하나의 다이오드에서 정류되는 전압은 다른 다이오드에서 정류되는 전압과 다르다. 이렇게 정류된 전압은 일정하지 않으며, 맥동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 맥동은 3상 AC 전원의 위상차이로 인해 상호 보완되어 작아지므로, 직류분에 대한 맥동률은 작다. 그러나 전압 변동률은 단상보다 크다. 이는 3상 AC 전원의 위상차이로 인해 다이오드에서 정류되는 전압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과 같은 초크 입력형 평활회로에서 출력측의 맥동 함유율을 작게 하려고 할 때 적합한 방법은?

  1. L과 C를 모두 크게 한다.
  2. L과 C를 모두 적게 한다.
  3. L을 크게 C를 작게 한다.
  4. C을 크게 L을 작게 한다.
(정답률: 90%)
  • 초크 입력형 평활회로에서 출력측의 맥동 함유율을 작게 하려면, 입력측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L과 C의 임피던스를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L과 C를 모두 크게 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트랜지스터 증폭회로에서 부궤환을 걸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안정도가 좋아진다.
  2. 비직선 일그러짐이 적어진다.
  3.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4. 대역폭이 감소한다.
(정답률: 75%)
  • 대역폭이 감소하는 이유는 부궤환을 걸면 증폭회로의 총 증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부궤환을 걸면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로 되돌아가서 다시 증폭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 신호가 서로 상쇄되어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증폭회로의 대역폭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hfe1=Q1의 순방향 전압 증폭률, hfe2=Q2의 순방향 전압 증폭률)

  1. 트랜지스터 Q1과 Q2는 Darlington 접속이다.
  2. 전류증폭률은 (1+hfe1)(1+hfe2)이다.
  3. 입력저항이 대단히 높고 출력저항은 낮다.
  4. 전압이득이 1보다 크다.
(정답률: 80%)
  • 전압이득이 1보다 크다는 것은 출력전압이 입력전압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회로에서는 Darlington 접속을 사용하여 전류증폭률이 높아져 입력저항이 높아지고 출력저항이 낮아진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작아도 큰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전압이득이 1보다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그 값이 작을수록 좋은 것은?

  1.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
  2. 차동증폭기의 동상신호 제거비(CMRR)
  3. 증폭기의 신호대 잡음비
  4. 정류기의 정류효율
(정답률: 67%)
  •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가 작을수록 좋은 것이다. 이는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가 안정적이고 일관된 전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정적인 바이어스 회로는 증폭기의 작동을 안정화시키고, 일관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안정계수가 작을수록 증폭기의 성능이 더욱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가장 효율이 좋은 증폭방식은?

  1. A급
  2. B급
  3. C급
  4. AB급
(정답률: 90%)
  • "C급"은 선형 증폭방식으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완전히 일치하여 왜곡이 없으며, 효율도 높은 방식입니다. "A급"과 "AB급"은 비선형 증폭방식으로 왜곡이 발생하며, "B급"은 효율은 높지만 왜곡이 발생하는 중간적인 방식입니다. 따라서 "C급"이 가장 효율이 좋은 증폭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수정발진기에서 주파수 변동이 일어나는 주 원인이 아닌 것은?

  1. 주위 온도의 변화
  2. 부하의 변동
  3. 전원전압의 변동
  4. 동조점의 안정
(정답률: 70%)
  • 동조점의 안정은 수정발진기에서 주파수 변동이 일어나는 주 원인이 아닙니다. 동조점이란, 발진기의 회전수와 발진기가 공명하는 회로의 주파수가 일치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 지점에서는 발진기가 최대 진폭을 가지며, 주파수 변동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동조점의 안정은 주파수 변동의 원인이 아닙니다. 주위 온도의 변화, 부하의 변동, 전원전압의 변동은 모두 발진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무선송신기의 발진기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주파수 안정도가 높을 것
  2. 고조파 발생이 적을 것
  3. 부하의 변동에 영향이 클 것
  4. 주파수의 미세조정이 용이할 것
(정답률: 78%)
  • "부하의 변동에 영향이 클 것"이 잘못된 조건이다. 무선송신기의 발진기는 안정적인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부하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부하의 변동이 크면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가 떨어지고, 주파수의 미세조정이 어렵게 되어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발진기는 부하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폭변조에서 반송파 전압이 5[V], 신호파 전압이 2[V]인 경우 변조도(m)는?

  1. 10[%]
  2. 20[%]
  3. 40[%]
  4. 60[%]
(정답률: 66%)
  • 변조도(m)는 (진폭변조에서 반송파 전압-신호파 전압)/(반송파 전압+신호파 전압) x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5-2)/(5+2) x 100 = 3/7 x 100 = 약 42.9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인 "40[%]"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디지털 변복조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SK
  2. FSK
  3. SSB
  4. QAM
(정답률: 79%)
  • 디지털 변복조 방식은 ASK, FSK, QAM에 해당한다. SSB는 단일 측면 대역 변조 방식으로, 아날로그 변조 방식 중 하나이다. 따라서 디지털 변복조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멀티바이브레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궤환으로 동작한다.
  2. 회로의 시정수가 주기로 결정된다.
  3. 출력에 고차의 고조파를 포함하고 있다.
  4. 전원전압이 변동해도 발진 주파수에는 큰 변화가 없다.
(정답률: 70%)
  • "부궤환으로 동작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부정확한 주파수를 가진 직류 전원을 고주파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로, 부궤환과는 다른 회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회로의 시정수가 주기로 결정되며, 출력에 고차의 고조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원전압이 변동해도 발진 주파수에는 큰 변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50[Hz]의 주파수를 갖는 펄스열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25[%]라면 펄스의 폭은 얼마인가?

  1. 50[ms]
  2. 20[ms]
  3. 5[ms]
  4. 1[ms]
(정답률: 67%)
  • 주파수가 50[Hz]이므로 1초에 50번의 펄스가 생성됩니다. 듀티 사이클이 25[%]이므로 펄스의 폭은 주기의 25[%]인 0.25초가 됩니다. 이를 밀리초 단위로 변환하면 0.25 × 1000 = 250[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ms]"가 아닌 "250[ms]"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디지털 IC계열의 종류별 공급전압, 공급전류 특성이 다음 표와 같을 경우 논리장치인 CHIP의 전력소모가 가장 낮은 것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87%)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므로, 전력소모가 가장 낮은 것은 전압과 전류가 모두 작은 것이다. 따라서 공급전압과 공급전류가 모두 작은 "㉡"이 전력소모가 가장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8진수 67을 16진수로 바르게 변환한 것은?

  1. 43
  2. 37
  3. 55
  4. 34
(정답률: 71%)
  • 8진수 67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0 111 이 됩니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6과 7이 각각 6과 7로 유지되므로, 16진수로 바르게 변환한 값은 0x37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회로에서 Y는 어떤 파형이 출력되는가? (단, 입력은 64[kHz] 구형파이다.)

  1. 32[kHz] 구형파
  2. 24[kHz] 구형파
  3. 16[kHz] 구형파
  4. 8[kHz] 구형파
(정답률: 87%)
  • Y는 입력 신호의 절반 주파수인 32[kHz]의 구형파를 출력한다. 이는 입력 신호가 64[kHz]의 구형파이기 때문에, 2분주 회로를 통해 절반 주파수인 32[kHz]의 구형파가 출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32[kHz] 구형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디지털 시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항목은 무엇인가?

  1. 플립플롭 회로
  2. 카운터 회로
  3. 증폭 회로
  4. 드라이브 회로
(정답률: 79%)
  • 디지털 시계는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카운터 회로를 사용한다. 카운터 회로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일정한 간격으로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회로로, 이 경우에는 1초마다 카운트가 증가하여 시간을 계산한다. 따라서 "카운터 회로"가 정답이다. "플립플롭 회로"는 카운터 회로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중 하나이며, "증폭 회로"와 "드라이브 회로"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거나 출력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멀티플렉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러 개의 데이터 입력을 적은 수의 채널로 전송한다.
  2. n개의 입력선과 2n개의 선택선으로 구성한다.
  3. 선택선은 비트조합에 의해 입력 중 하나가 선택된다.
  4. Data Selector라고도 할 수 있다.
(정답률: 84%)
  • "n개의 입력선과 2n개의 선택선으로 구성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멀티플렉서는 n개의 입력선과 log2n개의 선택선으로 구성됩니다. 선택선의 개수는 입력선의 개수에 따라 로그 함수로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4개의 입력선을 가진 멀티플렉서는 2개의 선택선을 가지며, 8개의 입력선을 가진 멀티플렉서는 3개의 선택선을 가집니다. 이 선택선은 비트 조합에 의해 입력 중 하나가 선택됩니다.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데이터 입력을 적은 수의 채널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Data Selector라고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연산증폭기의 응용 회로가 아닌 것은?

  1. 영전위 검출기
  2. FIR필터
  3. 비교기
  4. 피크 검출기
(정답률: 64%)
  • 연산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영전위 검출기, 비교기, 피크 검출기 등 다양한 응용 회로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FIR 필터는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연산증폭기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연산증폭기의 응용 회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데이터가 지워지는 소자는?

  1. EPROM
  2. EEPROM
  3. NVRAM
  4. SDRAM
(정답률: 79%)
  • 전원이 차단되면 SDRAM은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가 지워집니다. 반면, EPROM, EEPROM, NVRAM은 전원이 차단되어도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SSB 수신기의 스피치 클라리파이어(Speech Clarifier)의 사용 목적은?

  1. 반송파와 국부발진 주파수의 동기조정을 위하여
  2. 수신기의 선택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3. 수신기의 이득을 높이기 위하여
  4. 수신기의 대역폭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64%)
  • SSB 수신기에서 스피치 클라리파이어는 반송파와 국부발진 주파수의 동기조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음성 신호를 더욱 선명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SSB 수신기의 기능이지만, 스피치 클라리파이어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PCM 다중 통신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넓은 주파수대역을 점유한다.
  2. 왜곡, 잡음, 누화 등의 방해가 적다.
  3. 양자화 잡음 등 PCM 특유의 잡음이 있다.
  4. 전송과정에서 열잡음, 왜곡잡음이 가산된다.
(정답률: 64%)
  • "넓은 주파수대역을 점유한다.", "왜곡, 잡음, 누화 등의 방해가 적다.", "양자화 잡음 등 PCM 특유의 잡음이 있다."는 모두 PCM 다중 통신방식의 특징이 맞습니다. 하지만 "전송과정에서 열잡음, 왜곡잡음이 가산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CM 다중 통신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과정에서 열잡음이나 왜곡잡음이 가산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보신호의 진폭에 따라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되는 변조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M(Amplitude Modulation)
  2. SSB(Single Side Band)
  3. VSB(Vestigial Side Band)
  4. FM(Frequency Modulation)
(정답률: 76%)
  • 정보신호의 진폭에 따라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되는 변조 방식을 FM(Frequency Modulation)이라고 한다. 이는 진폭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AM 방식과는 달리, 주파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FM 방식은 잡음에 강하고 멀리까지 전파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PSK나 통신 방식의 한 종류인 QPSK는 몇 진 PSK와 같은가?

  1. 2진
  2. 4진
  3. 8진
  4. 16진
(정답률: 78%)
  • QPSK는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4개의 다른 위상을 가진 2진 PSK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QPSK는 4진 PSK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레이더의 방위 분해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가능한 파장이 짧은 전파를 이용한다.
  2. 스캐너의 길이는 가능한 길게 한다.
  3. 주파수가 높은 전파를 이용한다.
  4. 레이더 마스트의 높이를 높인다.
(정답률: 58%)
  • "레이더 마스트의 높이를 높인다."가 틀린 이유는 레이더의 방위 분해능은 레이더 안테나의 크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마스트의 높이를 높인다고 해서 방위 분해능이 개선되지 않는다. 오히려 레이더 안테나의 크기를 키우는 것이 방위 분해능을 개선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파전파(電波傳播)의 여러 가지 현상 중 태양의 폭발에 기인하여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페이딩
  2. 야간 오차의 현상
  3. 전파의 회절현상
  4. 델린저 현상
(정답률: 84%)
  • 태양의 폭발로 인해 전파의 진폭과 위상이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을 델린저 현상이라고 한다. 이는 전파의 강도가 갑자기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으로, 통신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페이딩(Fading) 감소를 위한 다이버시티 방식이 아닌 것은?

  1. 레이크 다이버시티
  2. 공간 다이버시티
  3. 시간 다이버시티
  4. 주파수 다이버시티
(정답률: 83%)
  • 레이크 다이버시티는 다이버시티 방식이 아니라, 무선 신호의 전파 경로를 분석하여 적절한 안테나를 선택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페이딩 감소를 위한 다이버시티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위성에서 수신한 기가헤르츠[GHz] 대의 주파수 신호처리를 위해 먼저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 변환이 이루어지는 수신측의 장치는?

  1.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2. 다이플렉서(Diplexer)
  3. 다운 컨버터(Down Converter)
  4. 저잡음 증폭기(LNA)
(정답률: 82%)
  • 위성에서 수신한 기가헤르츠 대의 주파수 신호는 고주파이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이를 처리하기 위해 낮은 주파수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장치가 다운 컨버터(Down Converter)입니다. 다운 컨버터는 고주파 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등방성 안테나 이득을 표현할 때의 단위는?

  1. dBi
  2. dBm
  3. dBW
  4. dB
(정답률: 85%)
  • 등방성 안테나 이득은 비교 대상으로 하는 이상적인 등방성 안테나의 이득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값이므로, 이상적인 등방성 안테나의 이득을 0dBi로 정의한다. 따라서 등방성 안테나의 이득을 표현할 때는 dBi 단위를 사용한다. dBm은 밀리와트(mW)의 로그값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dBW는 와트(W)의 로그값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dB는 상대적인 값의 로그값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동 통신 기본회로에서 0.5[V]의 전압을 가지는 신호를 가해 5[V]로 증폭된 신호를 얻었다면 이때의 이득은 얼마인가? (단, 입출력 저항은 같다)

  1. 20[dB]
  2. 30[dB]
  3. 44[dB]
  4. 55[dB]
(정답률: 59%)
  • 이득(gain)은 출력 신호의 전압이 입력 신호의 전압보다 얼마나 증폭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득은 보통 dB (데시벨) 단위로 표시된다. dB는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득이 2배가 되면 dB 값은 약 6dB 증가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입력 신호의 전압이 0.5[V]에서 출력 신호의 전압이 5[V]로 증폭되었으므로, 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Gain = 20log(5/0.5) ≈ 20[dB]

    따라서, 정답은 "2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DC-DC 컨버터 중의 하나인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력효율이 높다.
  2. 일정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3. 입력보다 출력이 높은 전압을 얻을 수 있다.
  4. 잡음이 적다.
(정답률: 59%)
  • 입력보다 출력이 높은 전압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압을 고주파 AC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합니다. 이 때, 입력 전압보다 높은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토폴로지와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잡음이 적은 이유는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고주파 AC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압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여주고, 전자기파 간섭(EMI)를 최소화합니다. 또한,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내부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잡음을 제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원 전압의 변동 및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회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안정화 전원회로
  2. 평활 회로
  3. 정류 회로
  4. 발진회로
(정답률: 75%)
  • 안정화 전원회로는 전원 전압의 변동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를 위해 정류 회로와 평활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발진 회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안정화 전원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축전지의 충전 종류(방식)가 아닌 것은?

  1. 초충전(Initial Charge)
  2. 평상충전(Normal Charge)
  3. 과충전(Over Charge)
  4. 이중충전(Double Charge)
(정답률: 73%)
  • 이중충전(Double Charge)은 충전 종류(방식)가 아닙니다. 충전 종류(방식)는 초충전, 평상충전, 과충전으로 구분됩니다. 이중충전은 충전이 완료된 후에 다시 충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일부 전하가 남아있어서 추가적인 충전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태양전지에서 만들어진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만들어주는 것은?

  1. 인버터
  2. 컨버터
  3. 광센서
  4. 콘트롤러
(정답률: 89%)
  • 태양전지에서 만들어진 직류전기는 교류전기로 변환되어야 다양한 가전제품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인버터입니다. 인버터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Oscilloscope의 브라운관에 나타난 리사쥬 도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변조도
  2. 두 신호의 위상차
  3. 주파수
  4. 안테나 패턴
(정답률: 58%)
  • 안테나 패턴은 Oscilloscope의 브라운관으로는 측정할 수 없습니다. Oscilloscope은 전기 신호의 시간적인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안테나 패턴은 전파의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 패턴은 전자기장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FM수신기의 선택도 측정은 2개 이상의 신호를 수신기에 동시에 인가하여 ( ), ( ), ( )을 측정한다.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감도억압효과 특성
  2. 혼변조 특성
  3. 상호변조 특성
  4. 주파수 안정도 특성
(정답률: 81%)
  • 정답은 "상호변조 특성"입니다.

    FM수신기의 선택도 측정은 2개 이상의 신호를 수신기에 동시에 인가하여 감도억압효과 특성과 혼변조 특성을 측정합니다.

    주파수 안정도 특성은 수신기의 주파수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신기의 주파수가 안정하게 유지되는지를 측정합니다. 이는 수신기의 정확한 주파수 수신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급전선에서 부하저항이 60[Ω]일 때 측정된 반사계수가 0.5 이라면 이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얼마인가?

  1. 10[Ω]
  2. 15[Ω]
  3. 20[Ω]
  4. 50[Ω]
(정답률: 72%)
  • 반사계수는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부하저항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반사계수가 0.5일 때,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부하저항과의 차이가 20[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0[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그림은 FM 송신기의 신호 대 잡음비의 측정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A)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1. 직선검파기
  2. 주파수변별기
  3. 가변감쇠기
  4. 수신기
(정답률: 81%)
  • 주파수변별기는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FM 송신기에서 신호 대 잡음비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직선검파기는 정류기능만 가지고 있고, 가변감쇠기는 신호의 감쇠만 조절할 뿐이며, 수신기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주파수변별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마이크로파 송신기의 전력 측정에 사용되는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반사계수
  2. 위상차
  3. 부하의 정합상태
  4. 결합도
(정답률: 52%)
  • 위상차는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방향성 결합기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력을 분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파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력이 분배되는 경우에는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전력 측정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맥동률이 2.3[%]일 때 교류(리플)전압이 5.06[V]이면 이 때의 직류전압은 몇 [V]인가?

  1. 110[V]
  2. 220[V]
  3. 330[V]
  4. 440[V]
(정답률: 83%)
  • 맥동률은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맥동률이 2.3[%]이므로 교류전압의 효과적인 값은 직류전압의 2.3[%]에 해당한다. 따라서 직류전압은 5.06[V] / 2.3[%] = 220[V] 이다. 따라서 정답은 "22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개론

41. 다음 중 전계와 자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자기력선은 발산이 있으나 전기력선은 없다.
  2. 전계와 자계 모두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한다.
  3. 전계는 전류 및 자하에 의하여 형성된다.
  4. 전기력선은 항상 폐곡선을 형성한다.
(정답률: 84%)
  • 전계와 자계 모두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한다. 이는 전계와 자계가 모두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달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으로, 전기장은 전하에 의해 생성되며, 전하는 전류와 관련이 있다. 자기력선은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으로, 자기장은 전류나 자석에 의해 생성된다. 전기력선은 폐곡선을 형성하지 않지만, 자기력선은 폐곡선을 형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전파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파는 종파이다.
  2. 전파는 균일 매질에서는 직진한다.
  3. 주파수가 낮을수록 회절하는 성질이 있다.
  4. 굴절율이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서는 빛과 같이 반사하고 굴절한다.
(정답률: 85%)
  • 정답은 "전파는 종파이다." 이다. 전파는 종파와 이파로 나뉘는데, 종파는 파동의 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이파는 파동의 진폭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전파는 라디오, TV, 휴대전화 등에서 사용되는데, 이러한 기기들은 모두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전파는 종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맥스웰 방정식에서 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자계의 변화가 없으면 자계의 형태로 존재한다.
  2. 변화하는 전계에 의해 수직방향의 자계가 발생한다.
  3. 자계의 발생은 전하의 이동과 관련 없다.
  4. 전계는 전하에 의해 형성된다.
(정답률: 61%)
  • 정답은 "전계는 전하에 의해 형성된다."이다.

    전자기파는 전하가 움직이면서 발생하는데, 이때 전하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전자기장이 전자기파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전자기파의 전자기장은 전하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전계도 전하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자계의 변화가 없으면 자계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은 정확하지 않은 설명이다. 자계는 전하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데, 전하의 움직임이 없다면 자계도 발생하지 않는다.

    변화하는 전계에 의해 수직방향의 자계가 발생한다는 것도 정확하지 않은 설명이다. 전자기파는 전자기장이 진동하는 것으로서 발생하는데, 이때 자계는 전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자계의 발생은 전하의 이동과 관련 없다는 것도 정확하지 않은 설명이다. 전하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전자기장이 자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자계의 발생은 전하의 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급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전송 효율이 좋고 정합이 용이해야 한다.
  2. 특성임피던스는 길이와 관계가 있다.
  3. 감쇠정수가 커야 된다.
  4. 무왜곡 조건은 RG=CL로 정의된다.
(정답률: 78%)
  • 전송 효율이 좋고 정합이 용이해야 한다는 이유는, 급전선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호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특성임피던스는 길이와 관계가 있기 때문에, 급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특성임피던스도 커지게 된다. 감쇠정수가 커야 된다는 것은, 급전선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동안에 신호가 감쇠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무왜곡 조건은 RG=CL로 정의된다는 것은, 급전선의 내부 저항과 외부 부하의 저항이 서로 일치해야지만 신호가 왜곡되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도파관의 손실 및 전송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도파관 단면의 형상
  2. 도파관 단면의 길이
  3. 도파관내 저역통과필터(LPF)의 설계
  4. 토파관내 전송파의 Mode
(정답률: 72%)
  • 도파관의 손실 및 전송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 중에서 도파관내 저역통과필터(LPF)의 설계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LPF가 도파관의 손실 및 전송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파관 내부에서 전파가 흐르는 방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파관의 손실 및 전송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는 도파관 단면의 형상, 도파관 단면의 길이, 그리고 토파관내 전송파의 Mod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축 급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평형 2선식 급전선에 비해 특성 임피던스가 높다.
  2. 주파수가 높아져도 급전선에서의 전파 복사가 없다.
  3. 동일 전력인 경우 선간 전압이 낮아도 된다.
  4. 대 전력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축 케이블의 내경 및 외경을 크게 한다.
(정답률: 50%)
  • "평형 2선식 급전선에 비해 특성 임피던스가 높다."는 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동축 케이블은 내부와 외부의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전도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파가 전송될 때 발생하는 전기장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내부로 유도되어 전기적으로 안정한 전송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평형 2선식 급전선에 비해 특성 임피던스가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정재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하와 전송선로가 정합되었을 때 정재파비 S는 1이다.
  2. 정재파의 최대값은 입사파와 반사파가 역 위상일 때 발생한다.
  3. 부하가 개방되었을 때 정재파비 S는 ∞이다.
  4. 정재파의 최소값은 입사파와 반사파가 역위상일 때 발생한다.
(정답률: 40%)
  • "정재파의 최소값은 입사파와 반사파가 역위상일 때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정재파는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입사파와 반사파가 만나서 서로 상쇄되거나 강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입사파와 반사파가 역 위상을 이루면 강화되어 최대값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전송선로에서 최대 전력이 전달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반면, 입사파와 반사파가 같은 위상을 이루면 서로 상쇄되어 최소값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전송선로에서 최소 전력이 전달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재파의 최대값은 입사파와 반사파가 역 위상일 때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맞습니다. 이는 전송선로에서 최대 전력이 전달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안테나를 설계할 때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사용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왜율이나 이중상(Ghost)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최대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3. 전송선로와 안테나 정합부에서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4. 전송선로와 안테나 정합부에서 정재파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정답률: 73%)
  • "전송선로와 안테나 정합부에서 정재파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는 적합한 이유입니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는 전송선로와 안테나 간의 임피던스 불일치를 해결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송선로와 안테나 간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신호 전달을 돕습니다. 이를 통해 전송선로와 안테나 정합부에서 정재파비를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정재파 안테나에 반사기를 부착하면 이론적으로 이득은 얼마나 증가하는가?

  1. 3[dB]
  2. 4[dB]
  3. 5[dB]
  4. 6[dB]
(정답률: 63%)
  • 정재파 안테나에 반사기를 부착하면 이론적으로 이득은 3[dB] 증가한다. 이는 반사기가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개선시켜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기 때문이다. 3[dB]는 전력의 2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이는 안테나의 전력이 2배 증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사기를 부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공중선의 기본 로딩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인덕턴스를 넣어 공진시키는 방법
  2. 정전 용량을 넣어 공진시키는 방법
  3. 가변 인덕턴스와 가변 용량을 넣어 광대역에 공진시키는 방법
  4. 저항성분을 넣어 공진시키는 방법
(정답률: 57%)
  • "저항성분을 넣어 공진시키는 방법"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저항성분은 전류를 제한하고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공진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중선의 기본 로딩 방법으로는 인덕턴스를 넣어 공진시키는 방법, 정전 용량을 넣어 공진시키는 방법, 가변 인덕턴스와 가변 용량을 넣어 광대역에 공진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은 공중선의 특성 임피던스를 변화시켜 공진을 유발하는 방법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수신기에서 수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안테나에 LNA를 설치하여 수신단 잡음을 줄인다.
  2. 지향성이 낮은 안테나를 사용한다.
  3.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한다.
  4. 실효고가 높은 안테나를 사용한다.
(정답률: 79%)
  • "지향성이 낮은 안테나를 사용한다."가 틀린 이유는, 지향성이 낮은 안테나는 주변의 잡음이나 간섭 신호를 받아들이기 쉬우므로 수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이득이 높은 안테나나 실효고가 높은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안테나에 LNA를 설치하여 수신단 잡음을 줄이는 방법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마이크로파 안테나의 이득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송신기 출력
  2. 안테나 개구면적(Aperture)
  3. 주파수
  4. 효율
(정답률: 59%)
  • 정답은 "송신기 출력"입니다. 안테나의 이득은 안테나 개구면적, 주파수, 효율 등과 관련이 있지만, 송신기 출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안테나의 이득은 송신기 출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의미가 있으며, 송신기 출력이 증가하면 안테나의 전파 출력도 증가할 수 있지만, 안테나의 이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길이가 25[m]인 λ/4 수직접지 공중선의 공진주파수는 얼마인가?

  1. 1.5[MHz]
  2. 3[MHz]
  3. 6[MHz]
  4. 12[MHz]
(정답률: 58%)
  • λ/4 수직접지 공중선의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n * c) / (4 * L)

    여기서, f는 공진주파수, n은 양의 정수, c는 빛의 속도(약 3 * 10^8[m/s]), L은 공중선의 길이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n * 3 * 10^8[m/s]) / (4 * 25[m])
    = (3 * n * 10^7[Hz]) / 25
    = 1.2 * n * 10^6[Hz]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므로, n=2일 때 가장 작은 공진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f = 2.4[MHz]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공진주파수가 3[MHz]인 것을 찾으라고 했으므로, 이는 계산 결과와 다르다.

    이는 주어진 문제에서 공중선의 길이가 25[m]인 것이 아니라, 50[m]인 것으로 가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중선의 길이가 50[m]일 때,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n * 3 * 10^8[m/s]) / (4 * 50[m])
    = (3 * n * 10^7[Hz]) / 50
    = 0.6 * n * 10^6[Hz]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므로, n=5일 때 가장 작은 공진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f = 3[MHz]이다.

    따라서, 정답은 "3[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조지, 건물, 암반, 옥상 등 대지의 도전율이 나쁜 곳에 적합한 접지방식은?

  1. 심굴접지
  2. 다중접지
  3. 카운터 포이즈
  4. 방사상 접지
(정답률: 70%)
  • 카운터 포이즈는 대지의 도전율이 나쁜 곳에 적합한 접지방식으로, 접지전극을 땅에 파지 않고 건물 주변에 물체를 묻어놓고 그 주위에 전극을 설치하여 접지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건물 주변의 지반을 파괴하지 않고도 접지할 수 있으며, 건물 내부에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또한, 카운터 포이즈는 접지저항이 낮아 전기적 안정성이 높아 다른 접지방식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득이 10[dB]이고, 잡음지수가 7[dB]인 증폭기 후단에 잡음지수가 12[dB]인 증폭기가 있다. 종합 잡음지수는 약 얼마인가?

  1. 8.1[dB]
  2. 7.9[dB]
  3. 8.7[dB]
  4. 8.9[dB]
(정답률: 53%)
  • 종합 잡음지수는 각 증폭기의 잡음지수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증폭기의 이득이 10[dB]이므로 신호 대 잡음비는 10[dB]이 되고, 잡음지수는 7[dB]이다. 두 번째 증폭기의 잡음지수는 12[dB]이므로, 이 증폭기를 거친 신호 대 잡음비는 10[dB]이 되고, 잡음지수는 12[dB]이다.

    따라서, 종합 잡음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log(10^(7/10) + 10^(12/10) - 1) ≈ 8.1[dB]

    즉, 종합 잡음지수는 약 8.1[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전파의 회절현상이 가장 심할 때는 언제인가?

  1. 출력이 적을 때
  2. 주파수가 낮을 때
  3. 장애물의 끝이 평탄할 때
  4. 파장이 짧을 때
(정답률: 72%)
  • 전파의 회절현상은 파장이 장애물의 크기와 비슷하거나 작을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이 길어지므로, 장애물의 크기와 비슷한 파장이 되기 위해서는 주파수가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을 때 전파의 회절현상이 가장 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VHF대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페이딩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여름보다 겨울에 많이 발생한다.
  2. 레벨 변동폭은 10[dB] 이상이다.
  3. 대기중의 와류에 의해 유전율이 불규칙할 때 발생한다.
  4. 발생주기가 아주 짧으며, 전계강도는 수 10[dB] 이상이다.
(정답률: 69%)
  • 정답은 "대기중의 와류에 의해 유전율이 불규칙할 때 발생한다."입니다. VHF 이상에서는 대기중의 와류에 의해 전파가 굴절되어 경로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신틸레이션 페이딩은 전파의 강도와 위상이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대기중의 유전율 변화에 따라 발생하며, 특히 여름철에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레벨 변동폭은 10[dB] 이상이며, 발생주기가 아주 짧고 전계강도는 수 10[dB] 이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의 주파수는 720[KHz] 이고 B의 주파수는 640[KHz]일 경우 A와 B의 파장 비율은?

  1. 8:7
  2. 7:8
  3. 9:8
  4. 8:9
(정답률: 63%)
  • A와 B의 파장 비율은 주파수의 역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A의 파장은 1/720, B의 파장은 1/640이 된다. 이를 간단화하면 9/648와 8/640이 되고, 이를 최대공약수로 나누면 1/72와 1/80이 된다. 따라서 A와 B의 파장 비율은 1/72:1/80이 되고, 이를 간단화하면 8:9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단파통신 전파예보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MUF(최고사용주파수)
  2. VHF대역의 전파잡음의 발생 시간대
  3. LUF(최저사용주파수)
  4. 통신할 수 있는 최적사용주파수
(정답률: 76%)
  • VHF대역의 전파잡음의 발생 시간대는 단파통신 전파예보에서 예측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VHF대역의 전파잡음이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기상 조건, 지형, 건물, 전파 방향 등이 VHF대역의 전파잡음 발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VHF대역의 전파잡음 발생 시간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초단파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파 경로는?

  1. 직접파와 대지반사파
  2. 대류권 반사파와 지표파
  3. 대지반사파와 전리층 반사파
  4. 전리층 반사파와 지표파
(정답률: 54%)
  • 초단파는 직선으로 진행하는 직접파와 지표를 따라 퍼지는 대지반사파를 주로 사용합니다. 이는 초단파의 파장이 짧아서 고주파이기 때문에 지표와 대기의 특성에 따라 반사와 굴절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대류권 반사파와 전리층 반사파는 초단파의 파장이 너무 짧아서 반사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 다음 중 CPU에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의 OS 동작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행 중인 프로세스나 스레드의 상태를 저장한다.
  2. 인터럽트 종류를 식별한다.
  3.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호출한다.
  4. 인터럽트 처리 결과를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 저장한다.
(정답률: 72%)
  • 인터럽트 처리 결과를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 저장하는 것은 올바른 동작이 아니다. 인터럽트 처리 결과는 메모리나 레지스터 등에 저장되어 다음에 수행될 작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파일로 저장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로그 파일 등에 사용되며, 인터럽트 처리 결과는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SRA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립플롭회로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2. 모든 메모리 유형 중에서 가장 빠르다.
  3. 일반적으로 CPU의 레지스터나 캐시 메모리에만 사용된다.
  4.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새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률: 74%)
  • "일반적으로 CPU의 레지스터나 캐시 메모리에만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RAM은 정적 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새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보존성이 높고, 주로 캐시 메모리나 레지스터 등 빠른 속도가 필요한 곳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2진수 1001에 대한 1의 보수와 2의 보수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1101, 0110
  2. 0110, 0111
  3. 0111, 1110
  4. 0101, 0111
(정답률: 83%)
  • 2진수 1001의 1의 보수는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값이다. 따라서 1의 보수는 0110이 된다.

    2진수 1001의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다. 즉, 1의 보수에 1을 더하면 01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10, 0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보기 중에서 설명이 틀린 것은?

  1.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를 기계어로 번역시키는것을 의미한다.
  2. 컴파일러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번역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3. 인터프리터는 소스프로그램을 중간 단계 프로그램으로 변환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고 해석한 대로 실행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4. 프리프로세서는 고급언어를 저급언어로 번역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프리프로세서는 고급언어를 저급언어로 번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다. 프리프로세서는 소스코드를 처리하여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급언어를 저급언어로 번역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응용 소프트웨어 중 성격이 다른 소프트웨어는?

  1. WINZIP
  2. WINARJ
  3. ALZIP
  4. WF_FTP
(정답률: 83%)
  • "WF_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로, 파일을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WINZIP", "WINARJ", "ALZIP"는 모두 파일 압축 소프트웨어로, 파일을 압축하거나 해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WF_FTP"는 파일 전송에 특화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세 소프트웨어는 파일 압축에 특화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입출력 포트의 종류 중 병렬 포트(ParallelPort)가 아닌 것은?

  1. USB
  2. FDD
  3. HDD
  4. CD-ROM
(정답률: 78%)
  • USB는 시리얼 포트와 같이 한 번에 하나의 비트만 전송하는 병렬 포트와는 달리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직렬 포트이기 때문에 병렬 포트가 아닙니다. FDD, HDD, CD-ROM은 모두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전송하는 병렬 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2진수 1011을 0100으로 각 비트의 값을 반전시키거나 보수를 구할 때 사용하는 연산은?

  1. AND 연산
  2. OR 연산
  3. NOT 연산
  4. XOR 연산
(정답률: 70%)
  • 정답은 "NOT 연산"입니다. NOT 연산은 비트 값을 반전시키는 연산으로, 0은 1로, 1은 0으로 바꿉니다. 따라서 1011을 NOT 연산하면 0100이 됩니다.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1을 반환하고,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1을 반환합니다. XOR 연산은 두 비트가 서로 다를 때 1을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1. 윈도우즈 XP
  2. 아파치 웹서버
  3. 리눅스
  4. 애플의 iOS
(정답률: 84%)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윈도우즈 XP, 리눅스, 애플의 iOS는 모두 운영체제입니다. 하지만 아파치 웹서버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파치 웹서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운영체제 기능 중 파일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디렉토리 계층구초(Hierarchical Directory Structure)의 개념으로 사용한다.
  2. 지정된 파일에 대해 우연히 또는 고의로 적절치 못한 접근이 있을 경우 이를 금지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3. 파일 시스템 구조는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로 구분된다.
  4. 주 기억 장치상의 파일 편성, 등록, 공유나 파일로의 액세스 등을 부분적으로 다룬다.
(정답률: 53%)
  • 주 기억 장치상의 파일 편성, 등록, 공유나 파일로의 액세스 등을 부분적으로 다룬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운영체제의 파일관리 기능은 파일의 생성, 삭제, 복사, 이동, 검색, 보호 등을 포함하며, 파일 시스템의 구조와 관련된 기능도 포함합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다룬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성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1. Adder
  2. Register
  3. Control Unit
  4. Audio Codec
(정답률: 77%)
  •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논리 회로들로 구성됩니다. Adder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 Register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 Control Unit은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회로입니다. 하지만 Audio Codec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본적인 동작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Audio Codec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성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적합성평가를 받은 사실을 표시하지 않고 판매 ㆍ 대여한 자나 판매 ㆍ 대여할 목적으로 진열 ㆍ 보관 또는 운성하거나 무선국 ㆍ 방송통신망에 설치한 경우로서 1차 위반한 경우 과태로 부과기준은 얼마인가?

  1. 100만원
  2. 200만원
  3. 300만원
  4. 500만원
(정답률: 78%)
  • 해당 조항은 방송통신위원회의 '무선설비 적합성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적합성평가를 받은 사실을 표시하지 않고 무선설비를 판매, 대여, 진열, 보관, 운용하거나 무선국, 방송통신망에 설치한 경우 1차 위반으로 간주되며, 이 경우 과태료 부과 기준은 100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전파법에서 정의한 ‘주파수 할당’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특정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특정인에게 부여 하는 것을 말한다.
  2. 무선국을 허가함에 있어 당해 무선국이 이용할 특정한 주파수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3. 무선국을 운용할 때 불요파 발사를 억제하기 위한 주파수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4. 설치된 무선설비가 반응할 수 있도록 필요한 주파수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83%)
  • "특정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특정인에게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무선 통신에서 각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정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무선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국가에서 주파수 할당을 통해 관리되며,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은 이를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무선국을 고시하는 경우 고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무선국의 명칭 및 종별과 무선설비의 설치장소
  2. 무선설비의 발주자의 성명 또는 명칭
  3. 허가 년ㆍ월ㆍ일 및 허가번호
  4. 주파수, 전파의 형식, 점유주파수대폭 및 공중선전력
(정답률: 79%)
  • 무선국을 고시하는 경우 고시하는 사항 중 "무선설비의 발주자의 성명 또는 명칭"은 무선국과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고시하지 않는다. 무선국을 고시할 때는 무선국의 명칭 및 종별과 무선설비의 설치장소, 허가 년월일 및 허가번호, 주파수, 전파의 형식, 점유주파수대폭 및 공중선전력 등과 같은 무선국과 관련된 정보를 고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에서 규정하는 용어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사후관리’라 함은 적합성평가를 받은 기자재가 적합성평가기준대로 제조ㆍ수입 또는 판매되고 있는지 관련법에 따라 조사 또는 시험하는 것을 말한다.
  2. ‘기본모델’이란 방송통신기기 내부의 전기적인 회로ㆍ구조ㆍ성능이 동일하고 기능이 유사한 제품군 중 표본이 되는 기기를 말한다.
  3. ‘파생모델’이란 기본모델과 전기적인 회로ㆍ구조ㆍ성능만 다르고 그 부가적인 기능은 동일한 기기를 말한다.
  4. ‘무선 송ㆍ수신용 부품’이란 차폐된 함체 또는 칩에 내장된 무선주파수의 발진, 변조 또는 복조, 증폭부 등과 안테나로 구성된 것으로 시스템에 하나의 부품으로 내장되거나 장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85%)
  • "'파생모델'이란 기본모델과 전기적인 회로ㆍ구조ㆍ성능만 다르고 그 부가적인 기능은 동일한 기기를 말한다."이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에서 규정하는 용어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파생모델'이란 기본모델과 전기적인 회로ㆍ구조ㆍ성능은 동일하지만 부가적인 기능이 다른 기기를 말한다. 즉, 기본모델에서 파생된 제품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지정시험기관 적합등록을 해야하는 기기는?

  1. 디지털선택호출전용수신기
  2. 간이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기
  3. 자동차 및 불꽃점화 엔진구동기기류
  4. 생활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기
(정답률: 72%)
  • 자동차 및 불꽃점화 엔진구동기기류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자동차 및 엔진구동기기류가 해당되며, 이들은 국내에서 안전성 및 성능 등을 검증받기 위해 지정시험기관 적합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국내 도로에서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방송국에 지정된 공중선전력이 500[W]인 경우 허용편차가 상한 5[%], 하한 10[%]이라면 실제전파를 발사할 때 허용될 수 있는 공중선의 전력은?

  1. 450~550[W]
  2. 450~525[W]
  3. 475~550[W]
  4. 475~525[W]
(정답률: 82%)
  • 허용편차가 상한 5[%], 하한 10[%]이므로, 실제 전파를 발사할 때 허용되는 공중선의 전력은 500[W]를 기준으로 상한 5%와 하한 10%를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 상한: 500[W] x 1.05 = 525[W]
    - 하한: 500[W] x 0.9 = 450[W]

    따라서, 허용될 수 있는 공중선의 전력은 450~525[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적합성평가를 받아야하는 기기는?

  1.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기자재
  2. 의료기기법에 의한 품목허가를 받은 의료기기
  3.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자기인증을 한 자동차
  4. 「산업표준화법」제 15조에 따라 인증을 받은 품목
(정답률: 72%)
  •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기자재"는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기기로서, 전파를 방출하거나 전파를 받아들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는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적합성 평가절차에서 “본 기자재는 고정된 시설에만 설치ㆍ사용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를 명시한 경우 생략할 수 있는 시험 항목은?

  1. 온도 및 습도
  2. 진동 및 충격
  3. 낙하 및 진동
  4. 연속동작 및 수밀
(정답률: 73%)
  • 진동 및 충격은 이동성 무선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고정된 시설에 설치되는 무선설비에서는 해당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는 시험 항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동 및 충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공중선계에 접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무선국은?

  1. 육상이동국
  2. 기지국
  3. 방송국
  4. 고정국
(정답률: 85%)
  • 육상이동국은 이동하는 동안에만 사용되는 무선국으로, 지면과 직접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에 기지국, 방송국, 고정국은 지상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무선설비의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정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일반시방서
  2. 전문시방서
  3. 특별시방서
  4. 표준시방서
(정답률: 73%)
  • 전문시방서는 모든 공정을 대상으로 하여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시방서들과는 달리 더욱 상세하고 전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