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6-06)

무선설비산업기사
(2015-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중 전원주파수 60[Hz]를 사용하는 정류회로에서 60[Hz]의 맥동주파수를 나타내는 회로 방식은?

  1. 3상 반파 정류
  2. 3상 전파 정류
  3. 단상 반파 정류
  4. 단상 전파 정류
(정답률: 83%)
  • 단상 반파 정류 회로는 전원주파수 60[Hz]에서 발생하는 맥동주파수 120[Hz]를 나타내는 회로 방식입니다. 이는 단상 정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양전압 반파를 수행하고, 이를 필터링하여 맥동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3상 반파 정류나 3상 전파 정류는 3상 전원에서 사용되는 회로 방식이며, 단상 반파 정류와는 다른 원리로 동작합니다. 단상 전파 정류는 전원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맥동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은 초크 입력형 평활회로에서 출력측의 맥동 함유율을 작게 하려고 할 때 적합한 방법은?

  1. L과 C를 모두 크게 한다.
  2. L과 C를 모두 적게 한다.
  3. L을 크게 C를 작게 한다.
  4. C를 크게 L을 작게 한다.
(정답률: 85%)
  • 초크 입력형 평활회로에서 출력측의 맥동 함유율을 작게 하려면, 입력측에서의 맥동을 최대한 막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측의 임피던스를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L과 C는 회로의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요소이므로, L과 C를 모두 크게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정류회로에서 출력전압 변동의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호원 전압
  2. 부하 전류
  3. 주위 온도
  4. 트랜스 크기
(정답률: 75%)
  • 정류회로에서 출력전압 변동의 원인은 신호원 전압, 부하 전류, 주위 온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트랜스 크기는 출력전압 변동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트랜스 크기는 단지 정류회로에서 사용되는 트랜스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출력전압 변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FET에서 VGS=0.7[V]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VDS를 6[V]에서 10[V]로 ID가 10[mA]에서 12[mA]로 변하였을 경우 드레인 저항(rd)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5[kΩ]
  2. 1.4[kΩ]
  3. 2[kΩ]
  4. 5[kΩ]
(정답률: 63%)
  • 드레인 저항(rd)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d = ΔVDS / ΔID

    여기서 ΔVDS는 10[V] - 6[V] = 4[V], ΔID는 12[mA] - 10[mA] = 2[mA] 이므로,

    rd = 4[V] / 2[mA] = 2[kΩ]

    따라서 정답은 "2[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궤환이 없을 때의 증폭도가 100인 증폭회로에 궤환율 -0.01의 궤환을 걸어주면 증폭도는 얼마인가?

  1. 5
  2. 50
  3. 500
  4. 5,000
(정답률: 67%)
  • 궤환율이 -0.01이므로 증폭도는 100/(1-(-0.01)) = 101.01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수로 된 값만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50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차동 증폭 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증폭도가 보통 방식보다 작다.
  2. 작은 온도 변화에도 동작이 안정하다.
  3. 교류증폭은 불가능하며, 직류만 증폭이 가능하다.
  4. 부품의 절대치가 변화해도 증폭이 거의 안정하며, 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44%)
  • 답: "증폭도가 보통 방식보다 작다."

    차동 증폭 회로는 작은 온도 변화에도 동작이 안정하며, 부품의 절대치가 변화해도 증폭이 거의 안정하며, 대역폭이 넓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교류증폭은 불가능하며, 직류만 증폭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증폭도가 보통 방식보다 작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C급 증폭기의 용도로 적합한 것은?

  1. 완충 증폭기
  2. Push-Pull 증폭기
  3. 저주파 증폭기
  4. RF전력 증폭기
(정답률: 71%)
  • C급 증폭기는 RF 전력 증폭기로 적합합니다. 이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거나, 전송 신호의 강도를 높여 수신기에서 더 잘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됩니다. 완충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지만, 출력 신호의 왜곡이 크기 때문에 RF 전력 증폭기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ush-Pull 증폭기는 출력 신호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RF 전력 증폭기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저주파 증폭기는 저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며, RF 전력 증폭기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발진회로에서 안정적인 발진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A=증폭도, β=되먹임률)

  1. Aβ = 1
  2. Aβ < 0
  3. Aβ > 0
  4. Aβ≠ 1
(정답률: 88%)
  • 안정적인 발진조건에서는 양의 피드백을 받아 증폭된 신호가 되먹임으로 인해 원래 신호와 같은 크기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증폭도(A)와 되먹임률(β)의 곱이 1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Aβ =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LC 발진회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톱니파 발진기
  2. 하틀리 발진기
  3. 콜피츠 발진기
  4. 동조형 반결합 발진기
(정답률: 74%)
  • LC 발진회로의 종류 중 "톱니파 발진기"는 없습니다. 톱니파 발진기는 일종의 파형 발생기로서, 직접적으로 LC 회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대신, 톱니파 발진기는 주로 디지털 회로에서 사용되며, 사각파를 생성하는 데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날로그 TV의 영상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한 쪽 측파대의 일부를 남겨 통신하는 방식은?

  1. VSB
  2. DSB
  3. SSB
  4. FSK
(정답률: 79%)
  • VSB는 Vestigial Sideband의 약자로, 아날로그 TV의 영상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한 쪽 측파대의 일부를 남겨 통신하는 방식으로, 전체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SB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십진수 673을 16진수로 바꾸면?

  1. 2B1
  2. 2A1
  3. 291
  4. 2C1
(정답률: 79%)
  • 673을 16진수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6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2. 나머지를 16진수로 변환합니다.
    3. 16으로 나눈 몫을 구합니다.
    4. 몫이 0이 될 때까지 1~3 과정을 반복합니다.

    따라서 673을 16진수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673 ÷ 16 = 42 ... 1 (1을 16진수로 변환하면 1)
    42 ÷ 16 = 2 ... 10 (10을 16진수로 변환하면 A)
    2 ÷ 16 = 0 ... 2 (2를 16진수로 변환하면 2)

    따라서 정답은 "2A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CM 통신 방식에서 송신 과정으로 맞는 것은?

  1.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압축
  2.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압축
  3. 표본화 → 부호화 → 압축 → 부호화
  4.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정답률: 83%)
  • PCM 통신 방식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에는 디지털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압축을 진행하고,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더욱 정교하게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슈미트 트리거(Schimit Trigger) 회로의 출력에 나타나는 파형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백 스윙(Back-Swing) 현상
  2. 슈우트(Shoot) 현상
  3. 히스테리시스(Hysterisis) 현상
  4. 싱잉(Singing) 현상
(정답률: 81%)
  • 정답은 "히스테리시스(Hysterisis) 현상"입니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잡음에 강하고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의 출력은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서 전압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데, 이때 출력이 전압이 높아지는 지점과 낮아지는 지점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서 입력 신호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때는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출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히스테리시스(Hysterisis)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히스테리시스 현상은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왜곡 등에 대한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으로 바이어스 된 리미터 회로와 부(-)로 바이어스 된 리미터 회로를 결합하여 입력신호의일부분을 추출하는 회로는?

  1. 클리퍼(Clipper)
  2. 클램퍼(Clamper)
  3. 슬라이서(Slicer)
  4.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정답률: 70%)
  • 슬라이서는 입력신호를 일정한 임계값으로 나누어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이다. 이 때, 정(+)으로 바이어스 된 리미터 회로와 부(-)로 바이어스 된 리미터 회로를 결합하여 입력신호의 일부분을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입력신호를 양극성 신호로 분리하여 일정한 임계값으로 나누어 출력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라이서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두 개의 입력파형 A, B에 대하여 출력 파형 Y가 그림과 같을 때 어떤 게이트를 통과한 것인가?

  1. OR
  2. NOR
  3. NAND
  4. XOR
(정답률: 76%)
  • 입력 A와 B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출력 Y가 1이 되므로, 이는 XOR 게이트의 동작과 일치합니다. X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에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X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J-K 플립플롭의 여기표(Excitation Table)의 각각의 괄호 안에 맞는 답은? (단, X는 Don't care를 의미하며, J-K 플립플롭의 이전 값은 초기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1. ㈀ = 1, ㈁ = X, ㈂ = 0
  2. ㈀ = 0, ㈁ = X, ㈂ = 1
  3. ㈀ = 0, ㈁ = 1, ㈂ = X
  4. ㈀ = 1, ㈁ = 0, ㈂ = X
(정답률: 82%)
  • J-K 플립플롭의 Excitation Table에서 현재 상태와 다음 상태를 비교하여 각각의 입력값을 결정한다.

    - ㈀ = 1, ㈁ = X, ㈂ = 0: 현재 상태가 Q=1일 때, K=0으로 설정하여 Q=0이 되도록 한다. ㈁은 Don't care이므로 X로 표기한다.
    - ㈀ = 0, ㈁ = X, ㈂ = 1: 현재 상태가 Q=0일 때, K=1으로 설정하여 Q=1이 되도록 한다. ㈁은 Don't care이므로 X로 표기한다.
    - ㈀ = 0, ㈁ = 1, ㈂ = X: 현재 상태가 Q=0일 때, J=1, K=X로 설정하여 Q=1이 되도록 한다.
    - ㈀ = 1, ㈁ = 0, ㈂ = X: 현재 상태가 Q=1일 때, J=0, K=X로 설정하여 Q=0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정답은 "㈀ = 0, ㈁ = 1, ㈂ = 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과 같은 D형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카운터 회로의 명칭은?

  1. 3진 링카운터
  2. 6진 링카운터
  3. 8진 시프트카운터
  4. 16진 시프트카운터
(정답률: 77%)
  • 이 회로는 D형 플립플롭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플립플롭은 이전 플립플롭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들입니다. 이 회로는 3진수를 카운트하는 회로로, 3개의 플립플롭이 각각 0, 1, 2를 나타내며, 이들이 순서대로 변화하면서 3진수를 카운트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명칭은 "3진 링카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BCD 부호를 10진수로, 2진수를 8진수나 16진수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는?

  1. 디코더
  2. 인코더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83%)
  • BCD 부호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는 방식이므로, 4비트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거나 2진수를 8진수나 16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비트를 분리하여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회로는 디코더입니다.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선 중 하나에만 신호를 보내는 회로로, 입력된 4비트 이진수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10진수나 8진수/16진수를 출력선 중 하나에 신호를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난수 발생 회로에서 n비트의 레지스터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난수는 몇 개인가?

  1. n-1개
  2. 2n-1개
  3. 2n+1개
  4. n+1개
(정답률: 84%)
  • n비트의 레지스터는 2의 n승 가지의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각 비트가 0 또는 1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2의 n승이 됩니다. 그러나, 모든 비트가 0인 경우는 제외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난수의 수는 2의 n승에서 1을 뺀 2의 n승-1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n-1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6[bit] 데이터 버스와 10[bit] 주소 버스를 갖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는 최대 메모리 용량[byte]은?

  1. 1,024[byte]
  2. 2,048[byte]
  3. 4,096[byte]
  4. 8,192[byte]
(정답률: 73%)
  • 16[bit] 데이터 버스는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16비트이므로, 최대 2^16 (65,536) 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10[bit] 주소 버스는 2^10 (1,024) 개의 주소만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최대 1,024 바이트의 메모리만을 직접 주소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가적인 메모리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메모리 용량은 2,048[byte]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다음 중 AM 수신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 요소로써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감도
  2. 변조도
  3. 선택도
  4. 안정도
(정답률: 75%)
  • 변조도는 송신신호가 얼마나 정확하게 수신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송신신호가 어떤 방식으로 변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AM 수신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 요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감도는 수신기가 약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 선택도는 수신기가 원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능력, 안정도는 수신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신호의 진폭에 따라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되는 변조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M(Amplitude Modulation)
  2. SSB(Single Side Band)
  3. VSB(Vestigial Side Band)
  4. FM(Frequency Modulation)
(정답률: 73%)
  • 정보신호의 진폭에 따라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되는 변조 방식을 FM(Frequency Modulation)이라고 한다. 이는 진폭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AM 방식과는 달리, 주파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FM 방식은 잡음에 강하고 멀리까지 전파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무선수신기의 희망 수신 주파수에 근접한 강한 주파수가 존재할 경우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적합한 것은?

  1. 통과 대역폭이 좁은 BPF(Band Pass Filter)를 사용한다.
  2. 고주파 증폭기의 이득을 높인다.
  3. 고주파 증폭기의 통과 대역을 넓힌다.
  4. 중간주파 증폭기의 통과 대역을 넓힌다.
(정답률: 72%)
  • 무선수신기의 희망 수신 주파수에 근접한 강한 주파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해당 주파수를 통과하지 않는 필터가 필요하다. 이때, 통과 대역폭이 좁은 BPF(Band Pass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폭만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는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수신기의 희망 수신 주파수에 근접한 강한 주파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통과 대역폭이 좁은 BPF(Band Pass Filter)를 사용한다."가 적합한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CDMA 방식을 FDMA 방식과 비교했을 때 장점이 아닌 것은?

  1. 비화성이 있어 보안에 강하다.
  2. 접속국의 수를 많이 할 수 있다.
  3. 송ㆍ수신기 구조가 간단하다.
  4. 전파의 간섭이나 혼신방해에 강하다.
(정답률: 81%)
  • CDMA 방식은 송수신기 구조가 간단하지 않은 것이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CDMA 방식은 복잡한 스프레드 스펙트럼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송수신기 구조가 복잡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송ㆍ수신기 구조가 간단하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방향 탐지기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안테나 장치
  2. 수신 장치
  3. 지시 장치
  4. 비콘 송신 장치
(정답률: 82%)
  • 방향 탐지기는 안테나 장치, 수신 장치, 지시 장치로 구성되며, 비콘 송신 장치는 외부에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향 탐지기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통신 위성체의 텔레메트리(Telemetry) 정보의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위성추진시스템의 가스 압력 값
  2. 열제어 시스템에서의 온도감지의 출력 값
  3. 명령에 대한 데이터 확인
  4. 주파수 변환 값
(정답률: 70%)
  • 주파수 변환 값은 통신 위성체의 텔레메트리 정보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위성의 상태나 작동에 대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주파수 변환 값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값으로, 통신 신호를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는 통신 위성체의 상태나 작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경이 1~2.4[m]인 소형 안테나와 낮은 송신출력을 갖는 위성통신용 지상 장치로 주로 개인이나 기업 등에서 저속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초소형 지구국 시스템은?

  1. INMARSAT
  2. VSAT
  3. GPS
  4. INTELSAT
(정답률: 75%)
  • VSAT은 Very Small Aperture Terminal의 약자로, 직경이 1~2.4[m]인 소형 안테나와 낮은 송신출력을 갖는 위성통신용 지상 장치로 주로 개인이나 기업 등에서 저속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초소형 지구국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VSA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DMA 시스템에서 대역폭이 1.25[MHz], 음성 데이터 속도가 4.8[kbps]일 때 이득(Gp)는 약 얼마인가?

  1. 260
  2. 295
  3. 335
  4. 390
(정답률: 52%)
  • CDMA 시스템에서 이득(Gp)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Gp = (대역폭 / 음성 데이터 속도) - 1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Gp = (1.25[MHz] / 4.8[kbps]) - 1

    Gp = 260

    따라서, 이득(Gp)은 26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LTE에 사용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ultiple Antenna 사용
  2. Transmit Diversity 사용으로 신호품질 향상
  3. Spatial Multiplexing 사용으로 주파수 효율향상
  4. CS Fallback 사용으로 데이터 용량증가
(정답률: 79%)
  • CS Fallback는 Circuit Switched Fallback의 약자로, VoLTE(Voice over LTE) 서비스에서 LTE망에서 음성통화를 할 수 없을 때 3G 또는 2G망으로 자동 전환하여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CS Fallback은 데이터 용량 증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CS Fallback 사용으로 데이터 용량증가"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지국, 유선인터넷망, Gateway 및 O&M Server로 구성되며 Core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통해 LTE 전화 및 무선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서비스기술은?

  1. 펨토셀
  2. WiFi
  3. WiMax
  4. GPS
(정답률: 88%)
  • 펨토셀은 LTE 기술을 기반으로 한 소형 기지국으로, 유선인터넷망과 Gateway, O&M Server와 함께 구성되어 LTE 전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LTE 기술과 관련된 서비스 기술이며, 다른 보기인 WiFi, WiMax, GPS와는 다른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축전지의 부동충전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축전지의 충방전 전기량이 적어 수명이 짧아진다.
  2. 이동용 무선설비의 전원으로 이용된다.
  3. 축전지의 용량이 비교적 적어도 된다.
  4. 부하에 대한 전압변동이 적고 직류출력 전압이 안정하다.
(정답률: 81%)
  • "축전지의 충방전 전기량이 적어 수명이 짧아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축전지의 충방전 전기량이 적을수록 축전지의 수명은 더 길어진다. 축전지는 충전 시에 화학 반응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전 시에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전기를 공급한다. 충전 시에는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에서 축전지의 내부 구조가 변화하게 되어 충전-방전 주기를 반복할수록 축전지의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충전 시에는 충분한 시간을 두어 충전을 하고, 방전 시에는 최대한 전기량을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UPS 전원장치 방식 중 On-Line 방식은 부하전류의 몇 [%]를 인버터로부터 공급 받는가?

  1. 30[%]
  2. 60[%]
  3. 80[%]
  4. 100[%]
(정답률: 79%)
  • On-Line 방식은 입력 전원을 AC에서 DC로 변환하고, DC에서 다시 AC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인버터가 항상 작동하며 부하전류의 100%를 공급받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휴대단말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차량을 이용한 주행시험(Driving Test)을 진행할 경우 차량 시거잭(Cigar jack) 전원에 노트북 및 휴대전화 충전기를 연결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장치는 무엇인가?

  1.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 인버터(Inverter)
  3.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4. 정류기(Rectifier)
(정답률: 83%)
  • 인버터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장치이다. 차량 시거잭은 DC 전원이므로 인버터를 사용하여 AC 전원으로 변환한 후 노트북 및 휴대전화 충전기를 연결할 수 있다. UPS, AVR, 정류기는 모두 전원 안정화를 위한 장치이지만, 차량 시거잭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원회로에서 부하가 있을 때 단자전압이 110[V], 부하가 없을 때 단자전압이 120[V]라면 이 때의 전압 변동률은 약 얼마인가?

  1. 10.1[%]
  2. 9.1[%]
  3. 8.1[%]
  4. 7.1[%]
(정답률: 8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무선송신기에 대한 측정시험이 아닌 것은?

  1. 선택도
  2. 전력
  3. 왜율
  4. 대역폭
(정답률: 56%)
  • 선택도는 무선송신기의 주파수 안정성을 측정하는 것이며, 전력, 왜율, 대역폭은 모두 무선송신기의 성능을 측정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선택도가 무선송신기에 대한 측정시험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중파용 송신기의 주파수 변조 특성을 측정할 경우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측정 장비는?

  1. 레벨미터
  2. 표준 감쇠기
  3. 임피던스 브리지
  4. 가청 주파수 신호 발생기
(정답률: 57%)
  • 중파용 송신기의 주파수 변조 특성을 측정할 때는 주로 레벨미터, 표준 감쇠기, 가청 주파수 신호 발생기 등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임피던스 브리지는 주로 전기적인 임피던스 측정에 사용되는 장비로, 주파수 변조 특성 측정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임피던스 브리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감도억압효과 특성
  2. 혼변조 특성
  3. 상호변조 특성
  4. 주파수 안정도 특성
(정답률: 82%)
  • "감도억압효과 특성"은 송신기의 출력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수신기의 감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급전선의 종단을 개방했을 때의 입력측에서 본 임피던스를 Zf라 하고 종단을 단락했을 때의 임피던스를 Zs라고 할 때 특성임피던스 Z0는?

(정답률: 85%)
  • 특성임피던스 Z0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0 = √(Zf × Zs)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인 ""은 Zf와 Zs가 모두 50Ω인 경우이므로, Z0 = √(50 × 50) = 50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류 전압의 평균값이 220[V]이고, 출력 교류(리플) 전압의 실효값이 4[V]일 경우 맥동률은 약 몇 [%]인가?

  1. 1.4[%]
  2. 1.6[%]
  3. 1.8[%]
  4. 2.0[%]
(정답률: 73%)
  • 맥동률은 출력 교류(리플) 전압의 평균값과 실효값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맥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맥동률 = (출력 교류(리플) 전압의 평균값 ÷ 출력 교류(리플) 전압의 실효값) × 100

    출력 교류(리플) 전압의 평균값은 직류 전압의 평균값과 같으므로 220[V]이다. 따라서 맥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맥동률 = (220[V] ÷ 4[V]) × 100 ≈ 1.8[%]

    따라서 정답은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페이딩에 대처하기 위한 방식이 아닌 것은?

  1. 다이버시티
  2. 주파수의 광대역화
  3. 다중 반송파
  4. 적응 등화기
(정답률: 64%)
  • 주파수의 광대역화는 페이딩에 대처하기 위한 방식이 아닙니다. 이는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는 것으로, 페이딩은 신호가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는 것으로는 대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다중 반송파, 적응 등화기와 같은 방식이 페이딩에 대처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개론

41. 다음 중 전파의 전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맞는 것은?

  1. 유전율과 투자율
  2. 점도와 유전율
  3. 투자율과 도전율
  4. 유전율과 도전율
(정답률: 88%)
  • 전파의 전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유전율과 투자율입니다. 유전율은 전자가 통과하는 물질의 내부 구조와 관련이 있으며, 투자율은 물질이 전자를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전율과 투자율이 높을수록 전파의 전파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파수 150[kHz]로 발사하는 무선통신에서 정전계, 유도 전자계, 복사 전자계가 같아지는 거리는 안테나로부터 약 얼마의 거리인가?

  1. 320[m]
  2. 500[m]
  3. 680[m]
  4. 770[m]
(정답률: 73%)
  • 정전계, 유도 전자계, 복사 전자계가 같아지는 거리는 파장의 반지름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파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파장 = 속도 ÷ 주파수

    여기서, 속도는 빛의 속도인 3 × 10^8[m/s]이다. 따라서,

    파장 = 3 × 10^8[m/s] ÷ 150[kHz] = 2000[m]

    파장의 반지름은 파장의 절반인 1000[m]이다. 따라서, 정전계, 유도 전자계, 복사 전자계가 같아지는 거리는 1000[m] × 2 = 2000[m]이다. 하지만, 이 거리는 안테나로부터의 거리이므로, 정답은 2000[m] - 안테나의 높이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높이는 10[m] 정도이므로, 정답은 약 2000[m] - 10[m] = 1990[m]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인 "320[m]"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전파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균일 매질 중을 전파하는 전파는 회절한다.
  2. 전파는 종파이다.
  3. 주파수에 상관없이 회절만 한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직진하며 낮을수록 회절한다.
(정답률: 80%)
  •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작은 물체들을 통과하기 쉬워지고, 직진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반면,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이 길어져서 큰 물체들을 통과하기 쉬워지지만, 작은 물체들을 통과하기 어려워지고, 회절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직진하며 낮을수록 회절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송신기에서 급전선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정재파비가 1인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급전선의 고유임피던스로 종단되고 있다.
  2. 급전선이 완전히 정합된 것을 의미한다.
  3. 반사계수의 값이 1이다.
  4. 손실이 없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63%)
  • "반사계수의 값이 1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재파비가 1인 경우는 급전선의 고유임피던스와 일치하는 부하가 없을 때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반사계수가 1이 아니라 0이 됩니다. 반사계수가 0이 되는 것은 전기적으로 완전히 정합되었을 때를 의미하며, 이는 손실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급전선의 필요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송신용일 경우 절연 내력이 좋아야 한다.
  2. 급전선의 파동임피던스가 적당해야 한다.
  3. 전송 효율이 좋아야 한다.
  4. 선의 굵기가 커서 전기저항이 적어야 한다.
(정답률: 81%)
  • 선의 굵기가 커서 전기저항이 적어야 한다는 것은 전류가 흐를 때 선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급전선의 필요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선의 굵기가 커서 전기저항이 적어야 한다."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특성임피던스가 50[Ω]인 전송선로에 75[Ω] 부하를 접속하였을 때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74%)
  • 전송선로와 부하의 특성임피던스가 다르므로 반사가 발생한다. 이때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Gamma = frac{Z_L - Z_0}{Z_L + Z_0}$$

    여기서 $Z_L$은 부하의 특성임피던스, $Z_0$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Gamma = frac{75 - 50}{75 + 50} = 0.2$$

    따라서 정답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급전선의 반사계수(Γ)가 0.5일 경우 최대전압이 66[V]라면, 최소 전압[V]은 얼마인가?

  1. 132[V]
  2. 33[V]
  3. 22[V]
  4. 11[V]
(정답률: 72%)
  • 반사계수(Γ)가 0.5일 경우, 최소 전압은 최대 전압의 반대편으로 0.5배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최소 전압은 33[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3[V]"가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22[V]"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최대전압이 66[V]라고 주어졌기 때문이다. 최대전압이 66[V]일 때, 반사계수가 0.5이면 최소 전압은 33[V]가 아니라 22[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2[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마이크로파 대 주파수의 전송 선로로 도파관을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대전력용으로 사용된다.
  2. 외부 전자계와 완전히 결합된다.
  3. 방사손실이 적다.
  4. 유전체 손실이 적다.
(정답률: 78%)
  • 답: "대전력용으로 사용된다."

    도파관은 주로 대전력 전송에 사용되며, 외부 전자계와 완전히 결합되어 전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방사손실과 유전체 손실도 적습니다. 그러나 대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것이 도파관을 사용하는 주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접지 안테나에서 손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1. 도체 저항에 의한 손실
  2. 유전체 저항에 의한 손실
  3. 코로나 저항에 의한 손실
  4. 접지 저항에 의한 손실
(정답률: 76%)
  • 접지 안테나는 지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과 안테나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저항이 발생합니다. 이 접지 저항은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지 저항에 의한 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안테나에 직렬로 인덕터를 연결한다.
  2. 안테나에 직렬로 커패시터를 연결한다.
  3. 안테나에 직렬로 저항을 연결한다.
  4. 안테나에 직렬로 저항과 커패시터를 연결한다.
(정답률: 70%)
  • 안테나에 직렬로 인덕터를 연결하는 것은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를 낮추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인덕터가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고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가 낮아지게 되어, 더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루프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효길이는 권수(감이수)에 비례하고, 파장에 반비례한다.
  2. 전파도래 방향과 루프면이 일치할 때 최대 감도를 갖는다.
  3. 루프 안테나는 중장파용 안테나이다.
  4. 루프 지름과 파장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지향성 특성이 변한다.
(정답률: 47%)
  • "루프 안테나는 중장파용 안테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루프 안테나는 단파부터 중파, 장파까지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루프 안테나의 지향성 특성은 루프의 지름과 파장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변합니다. 루프 안테나의 지름이 파장의 반 이하일 때에는 수직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갖습니다. 반면에 지름이 파장과 비슷한 크기일 때에는 수평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갖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루프 안테나는 주로 수평 광대역 안테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안테나 중 반사기가 있는 안테나는?

  1. 대수 주기 안테나
  2. 어골형(Fish bone) 안테나
  3. 싱글 턴스타일(Single turnstile) 안테나
  4. 야기(Yagi) 안테나
(정답률: 80%)
  • 야기(Yagi) 안테나는 반사기가 있는 안테나이다. 반사기는 안테나의 전파를 반사하여 방향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야기(Yagi) 안테나는 반사기를 통해 전파의 방향성을 강화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폴디드(Folded) 다이폴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Q가 높아서 협대역 특성을 갖는다.
  2. 실효길이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약 2배이다.
  3. 전계강도, 이득, 지향성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와 동일하다.
  4.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 비해서 도체의 유효 단면적이 크고 복사저항이 크다.
(정답률: 61%)
  • "Q가 높아서 협대역 특성을 갖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는 Q가 낮아서 넓은 대역폭을 갖는 특징이 있습니다. Q가 높을수록 좁은 대역폭을 갖게 됩니다.

    실효길이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약 2배이며, 전계강도, 이득, 지향성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와 동일합니다.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 비해서 도체의 유효 단면적이 크고 복사저항이 크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대지의 도전율이 좋아 가상접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지역은?

  1. 건조지
  2. 바위산
  3. 수분이 많은 토지
  4. 건물의 옥상
(정답률: 87%)
  • 수분이 많은 토지는 대개 식물이 잘 자라는 토지로, 대지의 도전율이 낮아 가상접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지역입니다. 이는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자연적인 요소들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건조지나 바위산은 대개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대지의 도전율이 높아 가상접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건물의 옥상도 대개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대지의 도전율이 높아 가상접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초단파의 전파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단파대 이상의 주파수대는 주로 지표파가 주성분이다.
  2. 직접파와 대지 반사파에 의해서 수신 전계가 대략 정해진다.
  3. 지상에서 직접파는 기하학적인 가시거리보다 약간 멀리 전달된다.
  4. 태양의 활동에 따르는 수신 강도의 변화는 단파보다 영향이 적다.
(정답률: 44%)
  • "초단파대 이상의 주파수대는 주로 지표파가 주성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초단파대 이상의 주파수대는 주로 이온권 반사파가 주성분입니다. 이는 대기권 상층의 이온화된 가스 분자들이 전파를 반사시켜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표파보다 더 멀리 전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지표파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감쇠는 크다.
  2. 안테나의 지상고가 높을수록 지표파 성분이 적다.
  3. 수평편파가 수직편파보다 감쇠가 많다.
  4.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80%)
  •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지표파는 지표와 상호작용하며 전파의 감쇠와 방향성 등이 결정되는데, 지표의 도전율과 유전율은 이러한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표파는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에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적으로 전리층 통신에서의 최적사용주파수(FOT)는 최고사용주파수(MUF)의 몇 [%]인가?

  1. 60[%]
  2. 75[%]
  3. 85[%]
  4. 95[%]
(정답률: 81%)
  • 전리층 통신에서 최적사용주파수(FOT)는 최고사용주파수(MUF)의 약 85% 정도이다. 이는 전파가 대기 상층에서 반사되어 지구로 돌아오는 경로에서 발생하는 감쇠와 상층 대기의 밀도 등의 영향으로 인해 최고사용주파수(MUF)보다 약간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FOT는 MUF의 약 85%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전리층에 전파가 입사할 때 받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진로의 완곡
  2. 델린저 현상
  3. 감쇠(흡수)
  4. 편파면의 회전
(정답률: 51%)
  • 편파면의 회전은 전리층에 전파가 입사할 때 받는 현상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전파가 지구 대기의 이온층을 통과하면서 전파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전기장이 자기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지구 자전과 관련이 있으며, 전파의 광도와 위도에 따라 회전 방향이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페이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간파와 지표파의 간섭에 의해서 생긴다.
  2. 주기가 느리고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3. 전파의 세기가 크게 변동된다.
  4. 단파 통신에 많이 나타난다.
(정답률: 78%)
  • 주기가 느리고 규칙적으로 나타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페이딩은 공간파와 지표파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며, 전파의 세기가 크게 변동되는 현상이 일어나며, 단파 통신에서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전파 잡음방해를 경감시키는 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신전력을 크게 한다.
  2. 적절한 통신방식을 선택한다.
  3. 수신기를 완전히 차폐시킨다.
  4.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넓힌다.
(정답률: 70%)
  •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넓히는 것은 전파 잡음방해를 경감시키는 방안 중 하나이지만, 다른 방안들과는 달리 수신전력을 크게 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수신전력을 크게 하는 것은 전파 신호를 강화하여 잡음 신호보다 더 잘 들리게 만드는 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함께 담당한다.
  2. 자료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주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호출하여 해독한다.
  4. 연산의 실행을 위해 보조 기억 장치에서 데이터를 직접 출력 장치로 보낸다.
(정답률: 68%)
  • 정답: "연산의 실행을 위해 보조 기억 장치에서 데이터를 직접 출력 장치로 보낸다."

    CPU는 연산을 수행하고,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독하며, 자료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CPU는 보조 기억 장치에서 데이터를 직접 출력 장치로 보내는 역할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역할은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출력장치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가장 빠른 방식은?

  1. 프로그램 I/O 방식
  2. 인터럽트 I/O 방식
  3. 시리얼 I/O 방식
  4.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
(정답률: 85%)
  •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은 CPU의 개입 없이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가장 빠른 방식이다. CPU는 DMA 컨트롤러에게 전송을 위임하고, DMA 컨트롤러는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CPU의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8진수 3456.71을 2진수로 변환한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011101101110.111001
  2. 011100101110.111001
  3. 011100111110.111001
  4. 011101010111.100111
(정답률: 74%)
  • 8진수 3456.71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8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합니다.
    3456.71(8) = 1862.90625(10)

    2.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1862(10) = 11101011110(2)
    0.90625(10) = 0.111001(2)
    따라서, 3456.71(8) = 11101011110.111001(2) 입니다.

    정답은 "011100101110.11100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주기억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기억소자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읽기 기능
  2. 쓰기 기능
  3. 삭제 기능
  4. 칩 선택 기능
(정답률: 67%)
  • 주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기억소자들은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능과 칩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삭제 기능은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지우는 기능이 아니라, 보조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삭제 기능은 주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기억소자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다중-사용자 또는 다중-작업시스템에서 주기억장치의 관리를 위하여 운영체제가 하는 일이 아닌 것은?

  1. 각 프로세서에게 주기억장치를 얼마나 할당할 것인가를 결정
  2. 주기억장치 용량이 부족할 때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있는 현재 사용 중인 부분을 선택하여 보조기억장치에 옮겨 놓는 일
  3. 주기억장치의 빈 공간이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를 기록, 유지하는 일
  4. 각 프로세서가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이 아닌 다른 부분을 접근할 때 이를 보호하는 일
(정답률: 66%)
  • 답: "주기억장치의 빈 공간이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를 기록, 유지하는 일"

    운영체제가 주기억장치 용량을 결정하고, 각 프로세서에게 할당하는 일은 메모리 관리의 핵심 역할입니다. 또한 각 프로세서가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 이외의 부분에 접근하는 것을 보호하는 일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주기억장치 용량이 부족할 때 현재 사용 중인 부분을 보조기억장치로 옮기는 일은 가상 메모리 관리의 일환으로, 운영체제가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데드락(Deadlock)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2. 순환 대기(Circular Wait)
  3.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4. 선점(Preemption)
(정답률: 81%)
  • 선점(Preemption)은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을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데드락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선점은 데드락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닙니다.

    반면, 점유와 대기, 순환 대기, 상호 배제는 모두 데드락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점유와 대기: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상황에서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순환 대기: 각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상황에서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상호 배제: 자원을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실시간 처리
  2.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 사용
  3. 높은 신뢰성
  4. 광범위한 범용성
(정답률: 62%)
  • 답: "광범위한 범용성"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특정한 하드웨어에 최적화되어 작성되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지 않습니다. 즉,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범용적인 소프트웨어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보기의 전산시스템 개발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6%)
  • 정답은 "㉠-㉢-㉡-㉣"이다.

    ㉠ 단계에서는 요구사항 분석을 수행하고, ㉡ 단계에서는 설계를 수행한다. 이후 ㉢ 단계에서는 구현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 단계에서는 시험 및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따라서, 전산시스템 개발의 순서는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시험 및 유지보수 순서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주변 장치의 상태를 읽기 위해 할당된 특수 목적 레지스터는?

  1. 누산기(Accumulator)
  2. PC(Point Counter)
  3. DR(Data Register)
  4. SFR(Special Function Register)
(정답률: 72%)
  • SFR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주변 장치의 상태를 읽기 위해 할당된 특수 목적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사용되는 레지스터들이지만, 특수 목적 레지스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인터럽트 우선순위 방식이 아닌 것은?

  1. Subroutine Call
  2. Polling
  3. Proority Encoder
  4. Daisy Chain
(정답률: 53%)
  • Subroutine Call은 인터럽트 우선순위 방식이 아닙니다. Subroutine Call은 프로그램 내에서 하위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것으로, 호출된 하위 프로그램이 실행을 마치면 다시 상위 프로그램으로 돌아와 실행을 계속합니다. 이는 인터럽트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olling, Priority Encoder, Daisy Chain은 모두 인터럽트 우선순위 방식에 대한 구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무선국의 개설허가에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의 심사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파수지정이 가능한지의 여부
  2. 설치운용 할 무선설비가 기술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
  3. 무선종사자의 배치계획이 자격ㆍ정원배치 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
  4. 안테나 설치 장소가 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
(정답률: 57%)
  • 안테나 설치 장소가 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는 무선국의 개설허가에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의 심사사항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무선국의 개설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건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무선국 개설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건과 관련된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전파법에서 규정한 “심사에 의한 주파수할당”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2. 신청자의 주파수 이용 실적
  3. 신청자의 기술적 능력
  4. 할당하려는 주파수의 특성
(정답률: 75%)
  •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신청자의 기술적 능력, 할당하려는 주파수의 특성은 모두 주파수할당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신청자의 주파수 이용 실적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주파수할당 시에는 신청자의 과거 주파수 이용 실적보다는 현재 주파수 이용 계획과 능력을 중점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 기간으로 틀린 것은?

  1. 기지국 : 5년
  2. 실험국 : 1년
  3. 공동체라디오방송국 : 3년
  4. 비상국 : 3년
(정답률: 73%)
  • 정답: "비상국 : 3년"

    비상국은 무선 통신이 긴급 상황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는 국이므로, 개설 허가의 유효 기간은 없습니다. 따라서, 비상국은 유효 기간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적합성평가를 받은 자에 대한 행정처분기준’에서 1차 위반시 ‘시정명령’인 위반사항은?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적합성평가를 받은 경우
  2. 적합성평가표시를 거짓으로 표시한 경우
  3. 적합성평가표시를 하지 않은 경우
  4. 적합성평가의 변경신고 개선명령의 조치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
(정답률: 67%)
  • "적합성평가표시를 하지 않은 경우"는 1차 위반시 시정명령인 위반사항입니다. 이는 적합성평가를 받은 자가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적합성평가를 표시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소비자가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데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므로, 시정명령을 통해 이를 개선하도록 요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국립전파연구원장의 지정시험기관 검사시 확인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조직 및 인력 현황
  2. 비교숙련도 시험 참여 실적 및 시정조치 결과
  3. 시험환경 및 시험시설의 적합성 유지 여부
  4. 관리규정 및 시험수수료
(정답률: 77%)
  • "관리규정 및 시험수수료"는 국립전파연구원장의 지정시험기관 검사시 확인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국립전파연구원장의 지정시험기관은 시험을 진행하는 기관으로서 시험 수수료를 받는 기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정시험기관 업무를 휴지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신고서를 예정일로부터 몇 일 이내에 제출해야 하는가?

  1. 30일
  2. 35일
  3. 40일
  4. 45일
(정답률: 87%)
  • 지정시험기관 업무를 휴지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해당 기관이 소속된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에 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 때, 제출 기한은 예정일로부터 30일 이내입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명시된 기간으로, 이를 초과하면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정시험기관 업무를 휴지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경우, 제출 기한을 잘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변조신호에 따라 반송파가 진폭 변조되는 송신장치는 변조도가 몇 [%]를 초과하지 말아야 하는가?

  1. 80[%]
  2. 85[%]
  3. 90[%]
  4. 100[%]
(정답률: 83%)
  • 변조도가 100%를 초과하면 반송파의 진폭이 음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신호의 왜곡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변조도는 100%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무선설비규칙에서 규정한 p[kHz] ~ 535[kHz] 범위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송국의 주파수 허용 편차는 얼마인가?

  1. 10[Hz]
  2. 20[Hz]
  3. 40[Hz]
  4. 50[hz]
(정답률: 57%)
  • 무선설비규칙에서 규정한 주파수 허용 편차는 10[Hz]이다. 이는 주파수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 범위 내에서만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른 선택지인 20[Hz], 40[Hz], 50[Hz]는 모두 10[Hz]보다 큰 값이므로, 주파수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100[m]
  2. 80[m]
  3. 50[m]
  4. 30[m]
(정답률: 61%)
  • 주어진 그림에서 물체가 떨어지는 높이는 30[m]이다. 따라서 물체가 땅에 닿을 때까지의 거리는 3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무선설비 설계업무 수행절차의 수행업무 내용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착수단계의 활동내용은 설계목적과 목표, 추진방안, 설계개요 및 법령 등 각종 기준을 검토한다.
  2. 준비단계의 활동내용은 예비타당성조사,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결과의 검토를 행한다.
  3. 설계단계는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로 분류하며, 실시설계 활동내용으로 기본적인 구조물 형식의 비교ㆍ검토, 개략공사비 및 기본공정표를 작성한다.
  4. 설계심의단계의 활동은 설계목적 적합성 여부 심의, 자문단의 의견수렴 및 반영을 행한다.
(정답률: 75%)
  • "설계단계는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로 분류하며, 실시설계 활동내용으로 기본적인 구조물 형식의 비교ㆍ검토, 개략공사비 및 기본공정표를 작성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설계단계는 기본설계와 상세설계로 분류하며, 상세설계에서 구조물 형식의 비교ㆍ검토, 공사비 산출, 공정표 작성 등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