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5)

무선설비산업기사
(201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중 초크코일과 콘덴서로 구성된 필터회로에서 리플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인덕턴스 L을 크게 한다.
  2. 커패시턴스 C를 작게 한다.
  3. 주파수를 낮춘다.
  4. 부하저항 R을 작게 한다.
(정답률: 85%)
  • 인덕턴스 L을 크게 한다는 것은 초크코일의 값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크코일은 전류의 변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값이 커질수록 전류의 변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막아줍니다. 따라서, 리플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동일 규격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면 회로의 특성은 어떻게 변하는가?

  1.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2. 역전압을 크게 할 수 있다.
  3. 필터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4. 전원변압기를 사용하여도 항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정답: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는 전압이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전류를 나누어 받는다. 따라서 다이오드의 개수가 증가하면 전류를 나누어 받기 때문에 전체 회로의 전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저항이 작은 회로에서 유용하며, 전류 제한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전력 이득이 가장 큰 접지 증폭회로는 무엇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베이스 접지 증폭회로
  2. 컬렉터 접지 증폭회로
  3. 이미터 접지 증폭회로
  4. 고정 접지 증폭회로
(정답률: 70%)
  • 이미터 접지 증폭회로는 베이스와 컬렉터를 접지에 연결하지 않고, 에미터를 접지에 연결하여 전류 증폭을 이루는 회로이기 때문에 전력 이득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증폭기의 전압증폭도가 100일 때 전압이득은 몇 [dB]인가?

  1. 10[dB]
  2. 20[dB]
  3. 30[dB]
  4. 40[dB]
(정답률: 72%)
  • 전압증폭도가 100이라는 것은 입력 전압에 비해 출력 전압이 100배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dB로 변환하면 20log(100) = 40[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송신기의 완충증폭기(Buffer Amp)에 많이 쓰이는 증폭 방식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79%)
  • 송신기의 완충증폭기에는 주로 A급 증폭 방식이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전압이 증폭기의 전압 범위 내에서 모두 증폭되는 방식으로, 출력 신호의 왜곡이 적고 효율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다른 증폭 방식인 B급, C급, D급은 각각 출력 신호의 왜곡이 높아지거나 효율성이 낮아지는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B급 푸시풀(Push-Pull) 전력증폭기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출력효율이 높고, 일그러짐이 적다.
  2. 높은 주파수를 증폭하는데 적당하다.
  3. 전압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
  4. 전도지연 특성이 개선된다.
(정답률: 71%)
  • "출력효율이 높고, 일그러짐이 적다."는 B급 푸시풀 전력증폭기가 입력신호를 증폭할 때 전력의 손실이 적고, 출력신호의 왜곡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B급 푸시풀 전력증폭기가 입력신호를 효율적으로 증폭할 수 있고, 출력신호의 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발진조건으로 적합한 것은?

  1. 궤환루프의 위상지연이 90°이다.
  2. 궤환루프의 전압이득이 0이고, 위상지연이 180°이다.
  3. 궤환루프의 전압이득의 크기가 1이고, 위상지연이 0°이다.
  4. 궤환루프의 전압이득이 1보다 작고, 위상지연이 90°이다.
(정답률: 70%)
  • 발진 조건은 궤환루프의 전압이득의 크기가 1이고, 위상지연이 0°일 때이다. 이는 궤환루프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완전히 일치하고,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있기 때문에 발진이 가능하다. 위상지연이나 전압이득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발진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정 발진회로에서 직렬 공진 주파수를 fs, 병렬 공진 주파수를 fp라 할 때 수정 발진회로가 안정된 동작을 하기 위한 동작 주파수 조건은?

  1. fs보다 낮게 한다.
  2. fs보다 높게 한다.
  3. fp보다 낮게, fs보다 높게 한다.
  4. fp보다 높게, fs보다 낮게 한다.
(정답률: 81%)
  • 수정 발진회로에서 직렬 공진 주파수는 회로의 총 용량과 인덕턴스에 의해 결정되고, 병렬 공진 주파수는 회로의 총 용량과 전달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안정된 동작을 위해서는 직렬 공진 주파수보다는 낮게, 병렬 공진 주파수보다는 높게 설정해야 한다. 이는 직렬 공진 주파수에서는 총 용량과 인덕턴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병렬 공진 주파수에서는 전달 전압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fp보다 낮게, fs보다 높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디지털 변조방식 중 오류확률이 가장 낮은 것은?

  1. 4진 QAM
  2. 4진 FSK
  3. 4진 DPSK
  4. 4진 PSK
(정답률: 77%)
  • 4진 QAM은 2진 QAM을 확장한 방식으로,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4진 FSK, 4진 DPSK, 4진 PSK는 한 번에 1개의 비트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진 QAM은 같은 대역폭에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오류확률도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디지털 변조(불연속 레벨변조)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펄스진폭변조(PAM)
  2. 펄스폭변조(PWM)
  3. 펄스위치변조(PPM)
  4. 펄스부호변조(PCM)
(정답률: 80%)
  • 펄스부호변조(PCM)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해당하는 디지털 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부여된 디지털 코드는 이진수로 표현되며, 이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게 됩니다. 따라서 펄스부호변조(PCM)는 디지털 변조 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반송파의 위상과 진폭을 상호 직교하며 신호를 혼합하는 변조 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85%)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반송파를 위상과 진폭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정보를 전송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위상 변조와 진폭 변조를 동시에 사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때, 위상과 진폭은 상호 직교하므로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신호를 혼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외부로부터 트리거(Trigger) 신호 없이 스스로 준안정 상태에서 다른 준안정 상태로 변화를 되풀이 하는 것은?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슈미트 트리거
(정답률: 63%)
  • 정답: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자체적으로 트리거 신호 없이 스스로 준안정 상태에서 시작하여 일정한 주기로 다른 준안정 상태로 변화를 되풀이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어떤 입력 신호도 필요하지 않으며, 스스로 주기를 결정하고 출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자체 발진 회로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클램핑(Clamping)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파 정류 회로이다.
  2. 입력 파형의 일정 값 이하만 나타난다.
  3. 일정한 값 사이에만 출력으로 나타난다.
  4. 입력 파형의 모양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형의 평균 레벨을 수직으로 변화시킨다.
(정답률: 72%)
  • 클램핑(Clamping) 회로는 입력 파형의 모양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형의 평균 레벨을 수직으로 변화시키는 회로입니다. 이를 위해 입력 신호에 대한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이를 기준으로 출력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입력 파형의 일정 값 이하만 나타나거나, 일정한 값 사이에만 출력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입력 파형의 모양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0진수 45를 2진수로 변환한 값으로 맞는 것은?

  1. (101100)2
  2. (101101)2
  3. (101110)2
  4. (101111)2
(정답률: 80%)
  • 10진수 45를 2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45 ÷ 2 = 22 ... 1
    22 ÷ 2 = 11 ... 0
    11 ÷ 2 = 5 ... 1
    5 ÷ 2 = 2 ... 1
    2 ÷ 2 = 1 ... 0
    1 ÷ 2 = 0 ... 1

    따라서, 10진수 45를 2진수로 변환한 값은 (10110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3초과 코드 0111의 10진수 값과 그레이 코드(Gray Code) 0111의 10진수 값을 각각 나열한 것은?

  1. 4, 5
  2. 5, 6
  3. 6, 7
  4. 7, 8
(정답률: 83%)
  • 3초과 코드 0111의 10진수 값은 7이다. 그레이 코드 0111의 10진수 값은 4이다. 그레이 코드는 이전 코드와 한 비트만 다르기 때문에, 3초과 코드 0111에서 1번째 비트를 뒤집으면 그레이 코드 0101이 되고, 이 값은 10진수로 5이다. 따라서 정답은 "4,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논리회로에서 입력 X는 0, Y는 1일 때 출력값 및 논리회로와 등가인 논리레이트(Logic Gate)를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1, NOR 게이트
  2. 0, XNOR 게이트
  3. 0, NAND 게이트
  4. 1, XOR 게이트
(정답률: 61%)
  • 입력 X가 0이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은 항상 0이 됩니다. 따라서 OR 게이트의 입력은 모두 0이 되고, N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됩니다. 입력 Y가 1이므로 X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됩니다. NOR 게이트와 XOR 게이트의 출력을 XNOR 게이트로 연결하면 입력 X가 0, Y가 1일 때 출력값은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 XN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JK플립플롭(Flip-Flop)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두 입력 J와 K값이 1이고, 클럭(Clock)이 인가될 경우 출력 상태는?

  1. Set
  2. Reset
  3. Toggle
  4. 동작불능
(정답률: 84%)
  • JK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출력 상태를 반전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클럭이 인가될 때마다 출력 상태가 번갈아가며 바뀌게 되므로 "Toggl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레지스터(Register)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펄스 신호의 발생
  2. 데이터의 일시 저장
  3. 인터럽트(Interrupt) 제어
  4. 클럽(Clock) 회로의 동기
(정답률: 89%)
  •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일시 저장"이 레지스터의 기능으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1. 일치회로
  2. 반가산기
  3. 전가산기
  4. 반감산기
(정답률: 83%)
  • 이 논리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반가산기입니다. 입력된 두 비트를 더한 결과가 2가 되면 자리올림이 발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자리올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두 비트의 덧셈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3개의 입력 A, B, C 중 2개 이상이 1일 때 출력 Y가 1이 되는 다수결 회로의 논리식으로 맞는 것은?

  1. Y = AB + BC + AC
  2. Y = A × B × C
  3. Y = A B C
  4. Y = A + B + C
(정답률: 84%)
  • 정답은 "Y = AB + BC + AC"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2개 이상이 1일 때 출력 Y가 1이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입력이 1이어야 한다.
    - 따라서, Y가 1이 되는 경우는 A와 B가 1이면서 C가 0이 아닌 경우, B와 C가 1이면서 A가 0이 아닌 경우, A와 C가 1이면서 B가 0이 아닌 경우이다.
    -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Y = (A∙B∙C) + (A∙B∙¬C) + (¬A∙B∙C) + (A∙¬B∙C)이다.
    - 이를 더 간단하게 표현하면 Y = AB + BC + A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다음 중 수신기의 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것은?

  1. 음성주파수의 왜율
  2. 고주파 증폭부의 잡음
  3. IF 증폭기의 이득
  4. 주파수 변환부의 잡음
(정답률: 60%)
  • 정답은 "음성주파수의 왜율"이다.

    음성주파수의 왜율은 수신기의 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음성주파수의 왜율은 수신기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신기의 감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고주파 증폭부의 잡음, IF 증폭기의 이득, 주파수 변환부의 잡음은 모두 수신기의 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고주파 증폭부의 잡음은 수신기에서 처리되는 신호에 불필요한 잡음을 추가하여 수신감도를 낮추고, IF 증폭기의 이득과 주파수 변환부의 잡음은 수신감도를 감소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다중 반송파 변조(Multicarrier Modulation)에 대한 설명을 틀린 것은?

  1. FFT를 이용하여 고속 구현이 가능
  2. 전송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여 전력 효율이 높음
  3. 전체 대역폭을 작은 대역폭을 갖는 부채널로 분할
  4. 등화기를 사용하여 채널의 왜곡을 보상
(정답률: 46%)
  • 다중 반송파 변조(Multicarrier Modulation)에 대한 설명 중 "전송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여 전력 효율이 높음" 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이는 다중 반송파 변조의 장점 중 하나로, 전송 신호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전송하므로 전체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력 효율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주파수 안정화 회로가 아닌 것은?

  1. AFC(Automatic Frequency Control) 회로
  2. APC(Automatic Phase Control) 회로
  3. PLL(Phase Locked Loop) 회로
  4.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
(정답률: 67%)
  •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는 주파수 안정화와는 관련이 없는 회로이다. AGC 회로는 입력 신호의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출력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주파수 안정화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신시에 음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정기는?

  1. 고주파 이득 조정기
  2. 마이크 이득 조정기
  3. 고주파 출력 조정기
  4. 저주파 이득 조정기
(정답률: 76%)
  • 수신 시에는 주로 음성 신호의 저주파 성분이 감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저주파 이득 조정기를 사용합니다. 이 조정기는 수신된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강화하여 전체적인 음량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는 "저주파 이득 조정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디지털 데이터값이 0일 때 cos2πt1t 신호가 출력되고, 디지털 데이터 값이 1일 때 cos2πt2t신호가 출력되는 변조 기술은 무엇인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72%)
  • FSK는 Frequency Shift Keying의 약자로, 디지털 데이터값에 따라 주파수를 변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값이 0일 때는 주파수가 f1인 cos2πt1t 신호가 출력되고, 디지털 데이터값이 1일 때는 주파수가 f2인 cos2πt2t 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FSK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에서 송신기의 출력이 37[dBm], 도파관(W/G)의 손실이 3[dB]일 때, 안테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력은 얼마인가?

  1. 1.5[W]
  2. 2.5[W]
  3. 5[W]
  4. 10[W]
(정답률: 72%)
  • 송신기의 출력이 37[dBm]이므로, 이는 10^(37/10) = 50118.72[mW]의 출력을 가지게 됩니다. 도파관의 손실이 3[dB]이므로, 이는 10^(3/10) = 2[mW]의 손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안테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력은 50118.72[mW] - 2[mW] = 50116.72[mW]가 됩니다. 이를 와트 단위로 변환하면 50.11672[W]가 되는데,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2.5[W]"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파란 인공적인 매개물 없이 공간을 빛의 속도로 퍼져나가는 전기적 세력의 전달을 말하며 이 때 전파의 일반적인 특성에 해당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반사성(Reflection)
  2. 회절성(Diffraction)
  3. 분산성(Dispersibility)
  4. 간섭성(Interference)
(정답률: 74%)
  • 전파의 일반적인 특성은 반사성, 회절성, 간섭성이다. 이 중 분산성은 전파가 특정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 분산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분산성은 전파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니며, 보기에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우리나라 고정위성통신용 Ku밴드의 주파수대역은?

  1. 8~12[GHz]
  2. 12~18[GHz]
  3. 18~27[GHz]
  4. 27~40[GHz]
(정답률: 80%)
  • 우리나라 고정위성통신용 Ku밴드의 주파수대역은 12~18GHz이다. 이는 전파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Ku밴드는 고주파 대역에 속하며, 대역폭이 넓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주파수대역은 지구와 위성 간의 통신에 적합하며, 날씨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위성회선의 다원접속방식 중 주파수의 이용효율은 낮으나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반 비용이 적게 드는 방식은?

  1.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2.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4.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정답률: 71%)
  • FDMA는 주파수를 분할하여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에 비해 주파수 이용효율은 낮지만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FDMA가 주어진 조건에 가장 적합한 다원접속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원하는 정보 신호에 의사 잡음을 합쳐서 변조하여 주파수 대역을 확산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파수 도약
  2. 시간 도약
  3. 직접 시퀀스
  4. 하이브리드
(정답률: 70%)
  • 이 방법은 "직접 시퀀스" 라고 불린다. 이는 원하는 정보 신호와 잡음을 직접적으로 합쳐서 변조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주파수 대역을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선택지인 "주파수 도약"은 주파수를 불규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이고, "시간 도약"은 시간적으로 불규칙적인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하이브리드"는 여러 가지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표파의 감쇠가 적어 원거리까지 전파 가능하여 원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1. 장파(LF)
  2. 중파(MF)
  3. 단파(HF)
  4. 초단파(UHF)
(정답률: 74%)
  • 지표파는 지표와 대기 중간을 전파하는 파동으로, 주파수가 낮아지면 감쇠가 적어지기 때문에 원거리까지 전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원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주로 장파(L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연축전지에서 AH(암페어시)가 나타내는 것은?

  1. 용량
  2. 사용가능시간
  3. 충전전류
  4. 방전전류
(정답률: 85%)
  • AH는 Ampere-hour의 약자로, 연축전지의 전기용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AH가 높을수록 연축전지의 용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정류장치에 대한 특성을 해석하는데 이용되는 파라미터가 아닌 것은?

  1. 맥동률
  2. 전압변동률
  3. 정류효율
  4. 변조도
(정답률: 73%)
  • 변조도는 신호처리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정류장치의 특성 해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조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등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송신호의 대역제한을 위해 사용한다.
  2.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한다.
  3. 신호의 식별재생을 위해 사용한다.
  4. 저역통과 필터의 기능을 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다. 등화기는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각종 왜곡을 보상하여 신호의 원래 모양을 유지하고 전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AM 송신기의 전력 측정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C-C형 전력계
  2. 진공관 전력계
  3. C-M형 전력계
  4. 의사 공중선
(정답률: 76%)
  • AM 송신기의 전력 측정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C-M형 전력계"입니다. 이는 주파수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대역폭이 좁아 AM 송신기의 전력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C-C형 전력계"나 "진공관 전력계"가 AM 송신기의 전력 측정에 적합합니다. "의사 공중선"은 전력 측정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통신계통도에 대한 출력점의 신호레벨을 계산하면 몇 [dB]인가?

  1. -5[dB]
  2. 2[dB]
  3. 0[dB]
  4. 5[dB]
(정답률: 81%)
  • 출력점은 2번째 분기점이므로, 입력신호의 감쇠량과 1번째 분기점에서의 신호레벨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1번째 분기점에서의 신호레벨은 -5[dB]이다. 따라서 2번째 분기점에서의 신호레벨은 -5[dB]에서 3[dB] 증폭되어 -2[dB]이 된다.

    하지만, 2번째 분기점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1번째 분기점에서의 신호와 2번째 분기점에서의 신호가 합쳐진 것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1번째 분기점에서의 신호는 -5[dB]이고, 2번째 분기점에서의 신호는 -2[dB]이므로, 이를 합치면 -1.5[dB]가 된다.

    따라서, 출력점의 신호레벨은 -1.5[dB]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dB]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에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즉, 정확한 계산 결과는 -1.5[dB]이지만, 반올림하여 0[dB]로 처리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은 PLL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A)에 들어갈 요소는 무엇인가?

  1. 전압제어발진기(VCO)
  2. 샘플링(Sampling)회로
  3. 증폭기(Amplifier)
  4. 정류기(Rectifier)
(정답률: 85%)
  • (A)에 들어갈 요소는 "전압제어발진기(VCO)"이다.

    전압제어발진기(VCO)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발진기이다. PLL에서는 VCO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 사용하여 입력 신호와 일치하는 주파수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VCO는 PLL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λ/4 수직접지안테나의 실효고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λ/π
  2. λ/2π
  3. λ/4π
  4. λ/8π
(정답률: 83%)
  • 정답: "λ/2π"

    λ/4 수직직지안테나는 길이가 λ/4인 안테나로, 안테나의 길이가 전파의 파장과 비례하기 때문에 파장이 짧을수록 안테나의 길이도 짧아진다. 이 안테나는 수직 방향으로만 전파를 방출하며, 전파의 방출 방향은 안테나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모든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한다. 이 때, 안테나의 실효고는 안테나의 길이의 절반인 λ/8이며, 안테나의 효율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λ/4 수직직지안테나의 실효고는 λ/8이다. 그러나, 안테나의 길이가 λ/4이므로, 실효고는 λ/2π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450[Ω] 급전선에 50[Ω] 안테나를 접속하면 전압정재파비(VSWR)는 얼마인가?

  1. 6
  2. 9
  3. 12
  4. 24
(정답률: 81%)
  • VSWR은 전압정파와 반사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안테나와 전선 사이의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해 반사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 반사파와 전압정파의 합이 전압정파의 크기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 때, VSWR은 반사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전압정파와 반사파의 크기는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해 다르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450[Ω] 급전선에 50[Ω] 안테나를 접속하였으므로, 임피던스 불일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VSWR은 (450-50)/(450+50) = 0.8 이 된다. 이 값을 10진법으로 변환하면 0.8:1 이므로, VSWR은 1.8:1 이 된다.

    하지만, VSWR은 일반적으로 1:1에 가까울수록 좋은 성능을 나타내므로, 이 값을 1에 가깝도록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VSWR을 10진법으로 변환한 값에 1을 더하고, 1을 빼준 뒤 10으로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0.8+1-1)*10 = 9 이므로, 정답은 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측정기기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원을 연결하기 전에 먼저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전압과 측정기기의 정격전압이 같은지 확인한다.
  2. 측정 전에 측정기기의 지침이 “0”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3. 측정하기 전에 먼저 측정기기의 측정범위 설정 스위치가 적절한 범위에 있는지 확인한다.
  4. 측정범위를 모를 때는 측정범위 설정 스위치를 제일 낮은 범위로 설정하고 측정을 시작한다.
(정답률: 85%)
  • "측정범위를 모를 때는 측정범위 설정 스위치를 제일 낮은 범위로 설정하고 측정을 시작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측정범위를 모를 때는 측정 대상의 예상 범위를 고려하여 측정범위 설정 스위치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해야 합니다. 측정범위를 넘어설 경우 측정기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개론

41. 다음 중 맥스웰의 방정식과 관련 없는 것은?

  1. ▽×H = J+(∂D/∂t)
  2. ▽ㆍD = ρ
  3. ▽ㆍE = ∞
  4. ▽ㆍB = 0
(정답률: 81%)
  • 정답: "▽ㆍE = ∞"

    이유: 맥스웰의 방정식 중 "▽ㆍE = ∞"는 존재하지 않는 식입니다. 맥스웰의 방정식은 전자기학의 기초를 이루는 네 개의 방정식으로, 전자기장의 변화와 전하의 움직임을 설명합니다. "▽×H = J+(∂D/∂t)", "▽ㆍD = ρ", "▽ㆍB = 0"은 맥스웰의 방정식 중 세 개이며, 각각 자기장의 회전, 전하 밀도와 전기장의 관계, 자기장의 발생원인을 설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무손실 매질 내 비유전율이 5, 비투자율이 5이고 주파수 3[GHz]인 평면파가 전파할 때 이 파에 대한 파장[m]과 파동 임피던스[Ω]는?

  1. 0.01[m], 128[Ω]
  2. 0.02[m], 256[Ω]
  3. 0.01[m], 256[Ω]
  4. 0.02[m], 377[Ω]
(정답률: 70%)
  • 파장은 전파의 속도(v)와 주파수(f)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무손실 매질 내 비유전율이 5이므로 파동 임피던스는 377[Ω]입니다. 따라서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장 = v / f = 3 x 10^8 / 3 x 10^9 = 0.1[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매질 내 비투자율이 5이므로 파장은 매질 내에서 축소됩니다. 따라서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장 = v / f / sqrt(εr) = 3 x 10^8 / 3 x 10^9 / sqrt(5) = 0.02[m]

    따라서 정답은 "0.02[m], 377[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자파가 자유공간을 진행할 대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에너지를 나타낸 것은?

  1. 포인팅 정리
  2. 파동방정식
  3. 맥스웰방정식
  4. 암페어법칙
(정답률: 74%)
  • 포인팅 정리는 맥스웰방정식에서 파동방정식과 암페어법칙을 이용하여 전자파가 자유공간을 진행할 때,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이는 전자파의 전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급전선의 정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급전선 단이 개방되어 있어도 선로의 길이가 무한히 긴 경우 반사파가 없는 전송이 가능하다.
  2. 반사파가 없는 전송의 경우 전압, 전류 분포는 선로 상 어느 점에서나 같다.
  3. 진행파의 경우 선로 상의 전압, 전류 위상은 각 점에 따라 다르다.
  4. 정재파는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진 경우에 발생되며 전송손실이 없으며 양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이다.
(정답률: 74%)
  • "진행파의 경우 선로 상의 전압, 전류 위상은 각 점에 따라 다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진행파는 선로 상의 모든 점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동일합니다. 이는 진행파가 일정한 속도로 전송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동축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제거한 것과 같이 고역필터로서 작용을 하며 고주파 급전과정에서 방사손실이 거의 없는 특성을 갖는 급전선은?

  1. 도파관
  2. 마이크로 스트립
  3. 공동 공진기
  4. 평행 5선식 급전선
(정답률: 85%)
  • 도파관은 내부 도체를 제거한 형태로 고역필터로서 작용하며, 고주파 급전과정에서 방사손실이 거의 없는 특성을 갖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도파관은 고주파 전파를 전송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파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특성 임피던스가 75[Ω]인 급전선상의 전압정재파비(VSWR)가 4라면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1. 0.2
  2. 0.4
  3. 0.6
  4. 0.8
(정답률: 73%)
  • VSWR과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VSWR = (1 + Γ) / (1 - Γ)

    여기서 Γ는 반사계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VSWR 값에 대해 반사계수를 구할 수 있다.

    4 = (1 + Γ) / (1 - Γ)

    4(1 - Γ) = 1 + Γ

    4 - 4Γ = 1 + Γ

    5Γ = 3

    Γ = 3/5 = 0.6

    따라서 정답은 "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평형ㆍ불평형 변환회로(Balu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형전류만 흐르게 하며 초단파대 이상의 정합회로로 사용된다.
  2. 스페르토프형 Balun의 경우 단일 주파수용으로 쓰인다.
  3. L, C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분포 정수형 Balun이라 한다.
  4. 집중 정수형 Balun으로 위상 반전형과 전자 결합형이 있다.
(정답률: 80%)
  • "L, C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분포 정수형 Balun이라 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L, C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집중 정수형 Balun이라 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분포 정수형 Balun은 전송선로의 길이에 따라 변환비가 변하는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Balun으로, 일정한 변환비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구형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으로 전송시킬 수 없는 전파 Mode는?

  1. TE
  2. TM
  3. TEM
  4. TE와 TM의 혼합
(정답률: 76%)
  • 구형 도파관은 전파가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만 진동할 수 있으므로 TEM 모드는 전송할 수 없습니다. TEM 모드는 전파가 가로, 세로 및 축 방향으로 모두 진동하는 모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형 도파관에서는 TE, TM 및 TE와 TM의 혼합 모드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테나는 에너지를 방사 또는 수신한다.
  2. 안테나는 특정방향으로 에너지를 집중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3. 송신안테나는 유도파(Guided Wave)를 자유공간파(Free-Space Wave)로 변환한다.
  4. 전송선로와 안테나가 정합되면 정재파(Standing Wave)가 발생한다.
(정답률: 64%)
  • 전송선로와 안테나가 정합되면 정재파(Standing Wave)가 발생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안테나는 에너지를 방사 또는 수신한다. - 맞다.

    안테나는 특정방향으로 에너지를 집중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 맞다.

    송신안테나는 유도파(Guided Wave)를 자유공간파(Free-Space Wave)로 변환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송신안테나는 전파를 자유공간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수신안테나는 자유공간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유도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안테나의 고주파 손실 저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접지저항
  2. 도체저항
  3. 복사저항
  4. 와전류손실
(정답률: 55%)
  • 복사저항은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파의 손실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테나와 주변 환경 사이의 전파 에너지 손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고주파 손실 저항에 속하지 않습니다. 접지저항은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접지 손실을 나타내는 값이며, 도체저항은 안테나 내부의 전기적인 손실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와전류손실은 안테나 내부의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전파 측정시 안테나의 원거리장(Far Field)과 근거리장(Near Field) 사이의 경계를 결정하는 요인은?

  1. 사용된 주파수의 파장과 안테나의 크기
  2. 안테나 높이와 길이
  3. 안테나 소자의 길이와 두께
  4. 송신전력과 안테나 이득
(정답률: 66%)
  • 안테나의 원거리장과 근거리장 사이의 경계는 사용된 주파수의 파장과 안테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안테나의 크기가 작아도 원거리장에서 측정이 가능하며, 파장이 길수록 안테나의 크기가 커야 원거리장에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사용된 주파수의 파장과 안테나의 크기가 원거리장과 근거리장 사이의 경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안테나 특성 중 방사전력 밀도가 최대 방사 전력의 1/2로 감쇠되는 두 지점 사이의 각도로써 지향특성의 첨예도를 나타내는 것은?

  1. 전후방비
  2. 주엽
  3. 부엽
  4. 빔폭
(정답률: 73%)
  • 정답은 "빔폭"입니다.

    방사전력 밀도가 최대 방사 전력의 1/2로 감쇠되는 두 지점 사이의 각도를 지향도(diagram)라고 합니다. 이 지향도가 좁을수록 지향특성이 첨예해지며, 빔폭이 좁아집니다. 따라서 빔폭이 지향특성의 첨예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전후방비"는 안테나가 전방과 후방으로 방사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주엽"과 "부엽"은 안테나의 주요 방사 방향과 부차적인 방사 방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임의의 송수신 지점간 무선통신에서 사용주파수가 900[MHz]에서 1,800[MHZ]로 변경 시 자유공간의 전송손실 특성으로 맞는 것은?

  1. 손실이 2[dB] 증가한다.
  2. 손실이 3[dB] 증가한다.
  3. 손실이 6[dB] 증가한다.
  4. 손실이 10[dB] 증가한다.
(정답률: 63%)
  •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같은 거리에서 전파의 진폭이 작아지게 된다. 이는 자유공간에서 전파의 전송손실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증가량은 주파수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따라서 주파수가 900[MHz]에서 1,800[MHZ]로 변경될 경우, 주파수의 제곱근이 약 2배가 되므로 전송손실은 약 6[dB]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손실이 6[dB]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하 50~100[cm] 정도에 직경 2.9[mm] 정도의 동선을 최소한 안테나의 높이와 같은 길이로 여러 개의 줄을 지선망 형태로 매설하는 안테나 접지방식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심굴접지
  2. 방사상접지
  3. 다중접지
  4. 가상접지
(정답률: 66%)
  • 방사상접지는 안테나의 높이와 같은 길이로 여러 개의 줄을 지선망 형태로 매설하는 안테나 접지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안테나의 접지저항을 감소시켜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방사상접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지상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수신점의 안테나 높이와 직접파의 가시거리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2. 직접파는 송신점에서 수신점에 직접 도달하는 전파이다.
  3. 지표파는 도전성인 지구 표면을 따라서 전파하는 전파이다.
  4. 회절파는 대지의 융기부나 지상에 있는 전파 장애물을 넘어서 수신점에 도달하는 전파이다.
(정답률: 80%)
  • "송수신점의 안테나 높이와 직접파의 가시거리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안테나 높이가 높을수록 직접파의 가시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높은 안테나를 설치하면 더 멀리 있는 지역까지 방송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산악회절 이득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지구의 구면에 의한 손실이 큰 경우에 해당되는 이득이다.
  2. 송신점과 수신점 사이의 거리나 지형과는 관계가 없다.
  3. 초단파대 초가시거리 통신을 할 수 없다.
  4. 페이딩이 심하여 다이버시티를 사용한다.
(정답률: 66%)
  • "지구의 구면에 의한 손실이 큰 경우에 해당되는 이득이다."라는 설명이 옳은 이유는, 산악 등의 높은 지형에서 통신을 할 때는 지표면과의 거리가 멀어져서 전파가 지표면과 부딪히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에 전파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때, 산악회절을 이용하면 전파가 지표면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의 구면에 의한 손실이 큰 경우에 해당되는 이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VHF(Very High Frequency) 주파수 대역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페이딩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여름보다 겨울에 많이 발생한다.
  2. 레벨 변동폭은 10[dB] 이상이다.
  3. 대기 중의 와류에 의해 유전율이 불규칙할 때 발생한다.
  4. 발생주기가 아주 짧으며, 전계강도는 수 10[dB] 이상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대기 중의 와류에 의해 유전율이 불규칙할 때 발생한다." 이다. VHF 주파수 대역 이상에서는 대기 중의 와류에 의해 전파가 불규칙하게 전달되어 신틸레이션 페이딩이 발생한다. 이는 대기 중의 이온화된 입자들이 전파를 산란시키고, 전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신틸레이션 페이딩은 발생주기가 짧고, 레벨 변동폭이 크며, 전계강도가 수 10[dB] 이상인 특징을 가진다. 겨울보다는 여름에 더 많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전리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전파의 회절
  2. 전파의 산란
  3. 전파의 반사
  4. 전파의 굴절
(정답률: 71%)
  • 전파의 회절은 전파가 장애물을 만나서 그 주위로 퍼져나가는 현상이다. 이는 전파의 파장이 장애물의 크기와 비슷하거나 작을 때 일어나며, 파장이 장애물을 지나가면서 파동이 서로 상쇄되거나 강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리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금속으로 둘러 싸여진 건물에 전자파가 입사하여 들어올 때 발생하는 현상은?

  1. 건물 접지로 바이패스된다.
  2. 건물 주위로 돌아 나간다.
  3. 건물에서 반사된다.
  4. 건물 금속체에 의해 편파가 변화한다.
(정답률: 79%)
  • 정답: 건물에서 반사된다.

    전자파는 금속으로 둘러싸인 건물에 부딪히면 반사되어 돌아오게 됩니다. 이는 금속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건물에서 반사된 전자파는 건물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대기 잡음이 아닌 것은?

  1. 공전 잡음
  2. 침적 잡음
  3. 온도 잡음
  4. 전류 잡음
(정답률: 81%)
  • 전류 잡음은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전기적인 신호의 강도나 주파수 변화에 따라 발생합니다. 따라서 대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 혹은 I/O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들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신호 버스(Signal Bus)
  2. 주소 버스(Address Bus)
  3. 데이터 버스(Data Bus)
  4. 제어 버스(Control Bus)
(정답률: 80%)
  • 데이터 버스는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혹은 I/O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들의 집합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발생된 시점부터 데이터의 전달이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Idle Time
  2. Seek Time
  3. Search Time
  4. Access Time
(정답률: 82%)
  • Access Time은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발생된 시점부터 데이터의 전달이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디스크의 동작과 관련된 시간들이지만, Access Time은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찾아서 접근하는 데 걸리는 전체 시간을 나타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BCD(Binary Coded Decimal)로 나타낸 01011001 0111 1001 0011 0100 0110를 10진수로 표현하면?

  1. 5979346
  2. 5978346
  3. 5977346
  4. 5989346
(정답률: 73%)
  • BCD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서 각각을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주어진 BCD 코드를 4비트씩 나누어서 각각을 10진수로 변환하면 된다.

    0101 1001 -> 5 9
    0111 -> 7
    1001 -> 9
    0011 -> 3
    0100 -> 4
    0110 -> 6

    따라서, 01011001 0111 1001 0011 0100 0110은 5,979,346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597934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부동소수점 수의 덧셈 알고리즘이다.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 -㉡ -㉣ -㉢
  2. ㉢ -㉣ -㉡ -㉠
  3. ㉣ -㉠ -㉡ -㉢
  4. ㉡ -㉠ -㉣ -㉢
(정답률: 73%)
  • 부동소수점 수의 덧셈에서는 지수와 가수를 맞춰야 한다. 따라서 더 작은 지수를 가진 수의 가수를 더 큰 지수를 가진 수의 가수에 맞춰준 후에 더해준다. 이때, 가수의 덧셈 결과가 2를 넘어가면 다시 1.xxx 형태로 만들어주고, 지수는 더 큰 지수를 따라가게 된다. 따라서, ㉠에서는 더 작은 지수를 가진 0.00123의 가수를 0.0123의 가수에 맞춰주고, 덧셈 결과가 1.01323이 되어 2를 넘어가므로 1.01323을 10의 -2승으로 나눠주어 0.0101323으로 만들어준다. 그리고 지수는 더 큰 지수를 따라가므로 10의 -2승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 -㉡ -㉣ -㉢ 순서가 올바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 컴파일러, ㉡: 어셈블러
  2. ㉠: 링커, ㉡: 컴파일러
  3. ㉠: 컴파일러, ㉡: 링커
  4. ㉠: 링커, ㉡: 어셈블러
(정답률: 77%)
  •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하고,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는 컴파일러, ㉡는 링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현재 메모리의 분할 상태가 다음과 같을 때, 크기가 100K인 작업을 최초적합(First Fit) 기법으로 할당한다면 어느 위치에 적재되는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77%)
  • 정답은 "A"입니다.

    최초적합 기법은 메모리 공간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검색하면서, 작업이 들어갈 수 있는 첫 번째 공간에 할당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크기가 100K인 작업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가장 작은 크기인 120K의 빈 공간보다는 크고, 200K와 150K의 빈 공간보다는 작은 160K의 빈 공간에 할당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특성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가시성(Visibilidy)
  2. 복잡성(Complexity)
  3. 변경가능성(Changeability)
  4. 복제성(Duplicability)
(정답률: 64%)
  • 소프트웨어의 가시성은 소프트웨어가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이해하기 쉽다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시성(Visibilidy)"은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특성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스캐너를 이용하여 읽어진 이미지 형태의 문서를 이미지 분석 과정을 통하여 문자 형태의 문서로 바꾸어 주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OMR(Optical Mark Reader)
  2. Retouching
  3. OCR(Optical Character Reader)
  4. 이미지 편집
(정답률: 79%)
  • OCR은 스캐너로 읽어진 이미지 형태의 문서를 이미지 분석 과정을 통해 문자 형태의 문서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이다. OMR은 답안지 등에서 선택된 마크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이며, Retouching은 이미지를 수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미지 편집은 이미지를 수정하는 작업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OCR이 스캐너로 읽어진 이미지를 문자 형태의 문서로 변환해주는 유일한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연산자(OP Code) 기능과 관련 없는 것은?

  1. 함수 연산 기능
  2. 입출력 기능
  3. 제어 기능
  4. 주소 지정 기능
(정답률: 62%)
  • 주소 지정 기능은 연산자(OP Code) 기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산자(OP Code)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주소 지정 기능은 데이터나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소 지정 기능은 연산자(OP Code)의 기능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CPU가 정기적으로 I/O 장치에서 요구되는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기법은?

  1. 인터럽트(Interrupt)
  2. 버퍼링(Buffering)
  3. 폴링(Polling)
  4. 스풀링(Spooling)
(정답률: 70%)
  • CPU가 정기적으로 I/O 장치에서 요구되는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기법은 폴링(Polling)이다. 이는 CPU가 I/O 장치에게 지속적으로 "서비스 요청이 있나?"라는 질문을 보내고, I/O 장치가 응답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CPU가 계속해서 I/O 장치를 확인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인터럽트(Interrupt) 방식보다는 구현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고시대상 무선국을 허가한 경우에 고시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허가연월일 및 허가번호
  2. 시설자의 성명 또는 명칭
  3. 무선국의 명칭 및 종별과 무선설비의 설치장소
  4. 운용 허용 시간
(정답률: 60%)
  • 운용 허용 시간은 무선국이 운용 가능한 시간을 명시하는 것으로, 다른 항목들은 무선국의 식별 정보와 시설자 정보 등을 명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운용 허용 시간이 틀린 것이다. 이는 무선국이 운용 가능한 시간을 벗어나면 무선통신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규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무선국의 시설자나 무선설비 기기를 제작ㆍ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방출되는 전자파 강도’가 어떤 기준을 초과하지 많아야 하는가?

  1.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2. 전자파 강도측정기준
  3. 전자파 흡수율측정기준
  4. 전자파 등급기준
(정답률: 78%)
  • 무선국의 시설자나 무선설비 기기를 제작ㆍ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방출되는 전자파 강도’가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초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는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인체가 노출될 수 있는 전자파의 강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무선국의 시설자나 무선설비 기기를 제작ㆍ수입할 때는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기술기준 적합성 평가시험 전 확인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사용 전류
  2. 사용 주파수
  3. 전파 형식
  4. 점유주파수대폭
(정답률: 74%)
  • 기술기준 적합성 평가시험 전 확인사항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사용 전류"는 평가 대상이 되는 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기기가 안전하게 작동하고 전기적 규격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이 많을수록 전기 요금이 높아지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용 전류는 기술기준 적합성 평가시험 전 확인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지정시험기관 적합등록 대상기자재”가 아닌 것은?

  1. 방송수신 기기류
  2. 형광등 및 조명 기기류
  3. 전기철도 기기류
  4. 의료용 고주파이용 기기류
(정답률: 61%)
  • 전기철도 기기류는 지정시험기관 적합등록 대상기자재가 아닙니다. 이는 전기철도 기기류가 전기안전법상의 안전인증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자파적합기기로서 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종은?

  1. A급 기기
  2. B급 기기
  3. C급 기기
  4. D급 기기
(정답률: 66%)
  • B급 기기는 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파적합기기로서, 전자파 방출량이 A급 기기보다 높지만,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안전한 수준이며,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따라서 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종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무선설비의 전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상국의 전원은 12시간 이상 최대성능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2. 의무선박국은 예비전원용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을 것
  3. 의무항공기국의 예비전원은 필요한 무선설비를 30분 이상 동작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가질 것
  4. 전원은 전압변동률이 정격전압의 ±10퍼센트 이내로 유지할 수 있을 것
(정답률: 71%)
  • "비상국의 전원은 12시간 이상 최대성능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에 따라 전원 사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예비전원이나 축전지 등의 보조 전원 시스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파의 반송파전력을 나타낸 표시는 어느 것인가?

  1. PZ
  2. PR
  3. PX
  4. PY
(정답률: 73%)
  • 정답은 "PZ"이다.

    반송파전력은 전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파워를 의미한다. 이를 나타내는 표시는 "P"로 시작하며, 반송파의 편파극성을 나타내는 두 번째 문자는 "Z"이다. 따라서 "PZ"가 반송파전력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PR"은 반송파의 수평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PX"와 "PY"는 원형극성과 타원형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내요은 무선설비규칙에서 어떤 용어로 정의하였는가?

  1. 규격전력
  2. 평균전력
  3. 첨두포락선전력
  4. 반송파전력
(정답률: 71%)
  • 위 그림에서는 "규격전력"을 "최대 출력 전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용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로, 특정한 무선 장비가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 "규격전력"이 정답인 이유는 다른 용어들과는 달리, 특정한 무선 장비의 최대 출력 전력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무선설비 단계별 세부 설계절차로는 먼저, 발주자가 무선설비 공사 설계절차를 준수하여 설계업자에게 공사의 설계를 발주하여야 한다. 다음 중 세부 설계절차의 내용으로 맞는 설명은?

  1. 가, 나, 다
  2. 가, 나, 라
  3. 나, 다, 라
  4. 가, 다, 라
(정답률: 76%)
  • - "가" : 설계업자는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설계기준 및 규격을 확인하여 기본설계서를 작성한다. 이때, 무선설비의 구성요소, 설치위치, 전송거리 등을 고려하여 상세한 설계를 수행한다.
    - "다" : 기본설계서를 바탕으로 상세설계서를 작성한다. 이때, 무선설비의 성능, 안정성, 보안성 등을 고려하여 상세한 설계를 수행한다. 또한, 설계도면 및 자료를 작성하여 발주자에게 제출한다.
    - "라" : 발주자는 상세설계서 및 자료를 검토하고, 필요한 수정사항이 있다면 설계업자에게 요청한다. 수정사항이 없다면 최종설계서를 승인하고, 공사를 진행한다. 이때, 설계업자는 공사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최종적으로 완성된 무선설비를 검수한다.
    따라서, 정답은 "가, 다, 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무선설비 공사가 품질확보 상 미흡 또는 중대한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될 때 공사중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공사중지에는 부분중지와 전면중지로 구분되는데 다음 중 부분중지에 해당되는 경우는?

  1. 재시공 지시가 이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다음 단계의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하자발생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2. 시공자가 고의로 정보통신시설 설비 및 구축공사의 추진을 심히 지연시킬 경우
  3. 정보통신공사의 부실 발생우려가 농후한 상황에서 적절히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공사를 계속 진행할 경우
  4.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적인 사태가 발생하여 공사를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정답률: 82%)
  • - "재시공 지시가 이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다음 단계의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하자발생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유: 재시공 지시란, 시공 중 발생한 하자나 미흡한 부분을 시공자가 다시 고쳐야 한다는 지시를 말합니다. 만약 이 지시가 이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단계의 공정이 진행된다면, 그 이후에 발생하는 문제들은 이전 하자로 인해 발생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부분의 공사를 중지시켜서 먼저 하자를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