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16)

산림산업기사
(2006-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전형적인 산벌작업의 작업 순서를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1. 하종벌 → 예비벌 → 후벌
  2. 전벌 → 하종벌 → 종벌
  3. 예비벌 → 하종벌 → 후벌
  4. 예비벌 → 전벌 → 종벌
(정답률: 96%)
  • 정답은 "예비벌 → 하종벌 → 후벌"입니다.

    산벌작업은 산림에서 나무를 베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진행되어야 합니다.

    먼저 예비벌 작업을 합니다. 이는 산림 내부에 있는 나무들을 제거하고, 작업에 필요한 도로나 공간을 마련하는 작업입니다.

    다음으로 하종벌 작업을 합니다. 이는 산림 내부에 있는 주요 나무들을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통해 산림 내부의 공간이 더욱 넓어지고, 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됩니다.

    마지막으로 후벌 작업을 합니다. 이는 하종벌 작업을 마친 후, 남은 나무들을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통해 산림 내부의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고, 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마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발아시험에 있어서 일정한 기간내에 발아하는 종자입수의 %로 표현한 것은?

  1. 발아율
  2. 발아력
  3. 발아세
  4. 효율
(정답률: 63%)
  • 발아시험에서는 일정한 기간 동안 발아하는 종자의 비율을 측정하게 된다. 이 비율을 표현하는 용어는 "발아율"이나 "발아력"으로도 불리지만, 일반적으로는 "발아세"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발아하는 세력을 의미하는데, 발아하는 종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발아세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발아세라는 용어가 정답이 된다. "효율"은 발아율과는 다른 개념으로, 입력과 출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조파(줄뿌림)하는 수종들로 옳은 것은?

  1. 박달나무, 낙엽송
  2. 소나무, 전나무
  3. 느티나무, 물푸에나무
  4. 향나무, 밤나무
(정답률: 53%)
  • 조파(줄뿌림)는 나무의 성장 방향을 조절하여 나무의 생장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조파(줄뿌림)하는 수종은 주로 빠른 성장과 가지치기에 적합한 수종들이 선택됩니다. 따라서 느티나무와 물푸에나무는 빠른 성장과 가지치기에 적합한 수종으로 조파(줄뿌림)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대상초벌(획벌)법은 어떤 갱신작업종에 속하는가?

  1. 모수작업
  2. 개벌작업
  3. 택벌작업
  4. 산벌작업
(정답률: 35%)
  • 대상초벌(획벌)법은 산림에서 나무를 제거하여 평지를 만드는 작업으로, 이는 산벌작업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자의 활력검정법을 기술한 것 중 틀린 것은?

  1. 절단검정법
  2. X-선 분석법
  3. 산소검출법
  4. 환원법
(정답률: 46%)
  • 종자의 활력검정법을 기술한 것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산소검출법"은 종자의 활력검정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산소검출법은 화학적인 실험에서 산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종자의 활력검정법과는 전혀 다른 분야의 실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임목의 뿌리와 공생관계를 가지는 균근 중에서 균사가 피층의 상층 세포까지만 균사망을 형성하고 주로 침엽수에 나타나는 것은?

  1. 내생균근
  2. 외생균근
  3. 내외생균근
  4. 의균근
(정답률: 71%)
  • 외생균근은 임목의 뿌리와 공생관계를 가지며, 균사가 피층의 상층 세포까지만 균사망을 형성하는 균근입니다. 이는 주로 침엽수에 나타나며, 임목의 생장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생균근은 균사가 뿌리 내부에 침투하여 균사망을 형성하는 균근이고, 내외생균근은 내생균근과 외생균근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균근입니다. 의균근은 임목의 뿌리와 공생하지 않는 균근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림에서 개벌 후 지하수위 변화를 벌채 전과 비교하면?

  1. 높아진다.
  2. 낮아진다.
  3. 낮아졌다가 높아진다.
  4. 변화가 없다.
(정답률: 78%)
  • 산림에서 개벌 후에는 나무가 없어져서 지하수가 증발하지 않고 흡수되지 않으므로 지하수의 증발이 감소하고 지하수의 저장량이 증가하게 되어 지하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적으로 제벌은 간벌을 실시 할 때까지 몇 회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5 ~ 6회
  2. 7 ~ 8회
  3. 1회
  4. 2 ~ 3회
(정답률: 72%)
  • 제벌은 간벌을 실시할 때 2~3회 정도가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한 번만 실시하면 충분하지 않고, 너무 자주 실시하면 나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3회 정도가 적절한 간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택벌 작업 후에 생기는 임상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67%)
  • 정답은 "" 입니다.

    택벌 작업은 혈액 내 백혈구의 수를 증가시키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 후에는 백혈구의 수가 증가하므로 면역력이 향상되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는 백혈구의 수가 증가하므로 임상으로 맞는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으로 접목을 실시할 때 꼭 접합이 되어야 하는 조직은?

  1. 목부조직과 형성층
  2. 형성층과 수피
  3. 수피와 목부조직
  4. 형성층과 형성층
(정답률: 43%)
  • 접목을 실시할 때 꼭 접합이 되어야 하는 조직은 형성층과 형성층입니다. 이는 접목 후 식물이 성장하면서 새로운 목부조직과 수피가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층이 새로운 조직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형성층과 형성층이 접합되어야 접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풍화가 되면 석회분이 적고 산화칼륨이 많은 토양을 형성 하는 변성암에 속하는 것은?

  1. 화강암
  2. 현무암
  3. 혈암
  4. 편마암
(정답률: 79%)
  • 풍화가 되면 석회분이 적고 산화칼륨이 많은 토양을 형성하는 것은 편마암입니다. 이는 편마암이 형성될 때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제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벌은 조림목이 임관을 형성한 뒤부터 간벌할 시기에 실행함
  2. 제벌은 조림목 하나하나의 성장보다는 임상을 정비해서 임분전체의 형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둠
  3. 조림수종이 그임지에 적합하여 성림이 잘될 것 같으면 침입한 천연생목은 원칙적으로 제거함
  4. 제벌은 비용만 들고 산물은 거의 이용되지 않으므로 임분의 형질향상을 위해 실시 시기를 늦추는게 유리함
(정답률: 78%)
  • "제벌은 비용만 들고 산물은 거의 이용되지 않으므로 임분의 형질향상을 위해 실시 시기를 늦추는게 유리함"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제벌은 산물로서의 목재 생산보다는 임분 전체의 형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제벌을 실시하는 시기를 늦추면 더 많은 나무가 자라서 더 많은 형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내음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수종은?

  1. 너도밤나무
  2. 오리나무
  3. 사시나무
  4. 자작나무
(정답률: 60%)
  • 정답은 "너도밤나무"입니다. 이유는 너도밤나무는 꽃과 열매가 모두 향기롭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들은 꽃이나 열매 중 하나만 향기가 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음성이 높은 수종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파종 1개월전에 노천매장을 하는 것이 좋은 수종들로 옳은 것은?

  1. 잣나무, 가래나무
  2. 삼나무, 편백
  3. 은행나무, 주목
  4. 벚나무, 느티나무
(정답률: 45%)
  • 삼나무와 편백은 겨울철에 잎이 떨어지지 않아서 노천매장 시에도 잘 자라고, 파종 1개월 전에 심으면 더욱 좋은 성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잣나무와 가래나무는 겨울철에 잎이 떨어져서 노천매장 시에 성장이 느리고, 은행나무와 주목은 노천매장 시에도 잘 자라지만 파종 1개월 전에 심으면 성장이 더디게 됩니다. 벚나무와 느티나무는 노천매장 시에도 잘 자라지만, 파종 1개월 전에 심으면 성장이 더디게 되고, 느티나무는 노천매장 시에 병해충에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밀깎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밀깎기 작업은 보통 6 ~ 8월에 실시하며, 9월 이후에는 하지 않는데, 이는 9월 이후 풀이 조림목을 오히려 보호하기 때문이다.
  2. 조림지 중에서 잡초가 무성한 곳은 7월에 한번, 적은 곳은 6, 8월에 두 번 밀 깎기작업을 실시한다.
  3. 삼나무, 편백 등의 조림지에서는 묘목의 보호를 위하여 밀깎기작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4. 밀깎기작업 중에서 줄베기는 모두베기에 비하여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정답률: 75%)
  • 밀깎기 작업은 보통 6 ~ 8월에 실시하며, 9월 이후에는 하지 않는데, 이는 9월 이후 풀이 조림목을 오히려 보호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단순히 토양입자의 크기로만 평가하였을 때, 단위부피당 토양이 지닌 양이온치환용량(CEC)이 가장 큰 것은?

  1. 사질토양
  2. 미사질토양
  3. 정질토양
  4. 사질양토
(정답률: 37%)
  • 정질토양이 가장 큰 양이온치환용량(CEC)을 가지는 이유는 그 입자 크기가 작아서 표면적 대비 양이온교환능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즉, 단위 부피당 입자 수가 많아서 입자 간 거리가 가깝고, 이로 인해 입자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양이온을 많이 흡착할 수 있습니다. 사질토양, 미사질토양, 사질양토는 입자 크기가 크거나 입자 간 거리가 멀어서 표면적 대비 양이온교환능력이 낮기 때문에 CEC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년생으로부터 100년생에 이르는 각 영급별 나무가 어울려 자라고 있는 60ha의 임지가 있다. 이 임지를 5ha씩 12개의 임분으로 구획하고 해마다 1개 임분씩 수확벌채와 무육간벌을 실시하면서 택벌림 작업을 한다. 이 경우 회귀년은?

  1. 5년
  2. 2년
  3. 10년
  4. 12년
(정답률: 59%)
  • 임지를 5ha씩 12개의 임분으로 구획하면 각 임분은 5ha/12 = 0.4167ha 이다. 따라서 1년생으로부터 100년생에 이르는 각 영급별 나무가 어울려 자라고 있는 60ha의 임지에서는 약 144.4개의 임분이 존재한다.

    해마다 1개 임분씩 수확벌채와 무육간벌을 실시하면서 택벌림 작업을 하면, 모든 임분에 대해 수확벌채와 무육간벌이 실시되는데 이는 144.4년이 걸린다. 따라서 회귀년은 144.4년/12개 임분 = 12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묘목을 가식 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식이란 묘목을 심기 전 일시적으로 땅에 뿌리를 묻어 건조하지 않도록 해 주는 작업이다.
  2. 1~2개월 장기간 가식을 할 경우에는 관수가 필요하다.
  3. 추위나 바람의 피해가 우려되는 곳은 묘목의 정단부분을 바람과 반대방향으로 되도록 누어서 묻어준다.
  4. 될 수 있는대로 햇볕이 강한 나지에 묻어준다.
(정답률: 82%)
  • "될 수 있는대로 햇볕이 강한 나지에 묻어준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가식이란 묘목을 심기 전 일시적으로 땅에 뿌리를 묻어 건조하지 않도록 해 주는 작업이다. 이때, 묘목이 햇볕을 많이 받으면 물이 증발하여 묘목이 건조해질 수 있으므로, 가능한 햇볕이 강한 나지에 묻어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너무 햇볕이 강한 곳에 묻으면 묘목이 과열되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그늘지는 곳에 묻어주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온대지역에 있어서 인위적인 요인으로 산림이 파괴되지 않는다면 최종적으로 산림이 형성되는 수종은?

  1. 양수 수종
  2. 음수 수종
  3. 중용 수종
  4. 극양 수종
(정답률: 88%)
  • 온대지역에서 인위적인 요인으로 산림이 파괴되지 않는다면, 초기에는 양수 수종이 우세하게 자라게 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인 경쟁과 생태계의 안정화로 인해 양수 수종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음수 수종이 우세해지게 됩니다. 음수 수종은 양수 수종이 죽거나 감소한 공간을 차지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산림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온대지역에서 인위적인 요인으로 산림이 파괴되지 않는다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수종은 음수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시비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효성 비료는 상 만들기 1개월 전에 시비한다.
  2. 속효성 비료는 상 만들기 직후에 시비한다.
  3. 이식상에서의 추비는 묘목이 활착한 9월경에 하는 것이 좋다.
  4. 파종상에서의 추비는 1,2차 솎음 후 시비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3%)
  • "이식상에서의 추비는 묘목이 활착한 9월경에 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9월경에는 묘목이 뿌리를 잘 발달시키고, 추위가 오기 전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받아 겨울을 잘 견디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눈과 새순을 가해하는 것으로 노린재 목에 속하는 해충은?

  1. 비구미
  2. 진딧물
  3. 솔노랑잎벌
  4. 애기잎말이 나방
(정답률: 48%)
  • 노린재 목에 속하는 해충은 눈과 새순을 가해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는 진딧물이 그 원인이 됩니다. 진딧물은 노린재 목에 서식하며, 눈과 새순을 먹고 생존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진딧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대기오염에 견디는 힘이 가장 강한 수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소나무와 느릅나무
  2. 삼나무와 전나무
  3. 전나무와 소나무
  4. 식나무와 사철나무
(정답률: 43%)
  • 식나무와 사철나무는 대기오염에 견디는 힘이 가장 강한 수종으로 나열된다. 이는 이 두 수종이 대기오염물질을 흡수하고 처리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식나무는 대기오염물질을 흡수하는 뿌리와 잎사귀를 가지고 있으며, 사철나무는 대기오염물질을 흡수하는 뿌리와 껍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두 수종은 대기오염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병징만 나타나고 표징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밤나무의 흰가루병
  2. 소나무의 잎녹병
  3. 포플러의 모자이크병
  4. 오리나무의 갈색무늬병
(정답률: 65%)
  • 정답은 "포플러의 모자이크병"입니다. 이 병은 병징은 나타나지만 표징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식물의 세포 내부에서 증식하면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만, 식물의 외부적인 모습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병을 발견하려면 병원체 검사를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모잘록병의 방제법으로서 거리가 먼 것은?

  1. 배수ㆍ통풍에 유의한다.
  2. 토양소독을 한다.
  3.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막고 인산질 비료를 충분히 시비한다.
  4. 햇볕을 잘 쬐지 못하도록 피음 처리를 한다.
(정답률: 86%)
  • 햇볕을 잘 쬐지 못하도록 피음 처리를 하는 이유는 모잘록균이 햇볕 아래에서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햇볕을 차단하여 모잘록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방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미국흰불나방 유층의 식해를 가장 적게 받는 수종은?

  1. 버즘나무
  2. 벚나무
  3. 단풍나무
  4. 은행나무
(정답률: 73%)
  • 은행나무는 미국흰불나방의 주요 먹이 수종 중 하나이지만, 그들의 유충이 은행나무에서 식해를 받는 것이 다른 나무들에 비해 적기 때문입니다. 이는 은행나무의 잎이 더 두껍고 표면적이 작아서 미국흰불나방의 입으로 들어가는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해충의 기계적 구제 방법이 아닌 것은?

  1. 차단법
  2. 포살법
  3. 등화유살법
  4. 천적이용법
(정답률: 85%)
  • 천적이용법은 해충의 천적인 동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기계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천적이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포플러잎 녹병(rust)발생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은?

  1. 포플러 묘포의 부근에는 배나무를 심지 말아야 한다.
  2. 포플러 묘포의 부근에는 중간기주인 참나무류를 심지 말아야 한다.
  3. 포플러 묘포는 낙엽송 조림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 한다.
  4. 포플러 묘포는 향나무 식재지와 가급적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70%)
  • 포플러잎 녹병은 포플러나 다른 버드나무과 식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병입니다. 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녹병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플러 묘포를 낙엽송 조림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은 녹병균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밤나무혹벌의 월동 장소와 월동 충태는?

  1. 눈속에서 알로 월동
  2. 눈속에서 유충으로 월동
  3. 지피물 속에서 알로 월동
  4. 지피물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
(정답률: 44%)
  • 밤나무혹벌의 월동 장소는 눈속이며, 월동 충태는 유충입니다. 이는 눈속이 겨울철에 안정적인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곳에서 유충이 월동을 하게 됩니다. 또한, 눈속은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는 안전한 장소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밤나무혹벌의 월동 장소는 눈속이며, 월동 충태는 유충으로 월동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나무 혹병균의 중간기주는?

  1. 들국화
  2. 매발톱나무
  3. 졸참나무
  4. 향나무
(정답률: 75%)
  • 소나무 혹병균의 중간기주는 졸참나무입니다. 이는 소나무 혹병균이 졸참나무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조림지에서 가장 올바른 상해의 예방법은?

  1. 조림수종 및 품종의 선택에 유의한다.
  2. 하초와 잡초를 키워서 조림목을 보호한다.
  3. 왜림의 벌채는 가을에 실시한다.
  4. 따뜻한 곳에서 양묘한 묘목을 추운지방에 조림한다.
(정답률: 67%)
  • 조림수종 및 품종의 선택에 유의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기후와 토양 조건에 맞는 나무를 선택하여 상해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수종과 품종을 선택하면 나무가 건강하게 자라고 강건한 구조를 갖추어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중간기주(alternate host)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두 기주 중에서 경제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기주
  2. 두 기주가 경제적으로 가치가 비슷한 기주
  3. 두 기주 중에서 경제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큰 기주
  4. 두 기주의 가치를 경제적으로 비교할 수 없는 기주
(정답률: 60%)
  • 중간기주는 한 종류의 바이러스가 다른 종류의 호스트에서 번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중간기주는 원래 바이러스가 번식할 수 없는 호스트에서 번식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두 기주 중에서 경제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기주"라는 설명은 중간기주가 원래 바이러스가 번식할 수 있는 기주보다 경제적 가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중간기주가 원래 바이러스가 번식할 수 있는 기주보다 적은 양의 바이러스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화선의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바른 것은?

  1. 산의 능선ㆍ산림구획선ㆍ임도 등을 이용한다.
  2. 나비는 보통 50~100m 이상 넓게 한다.
  3. 급경사지ㆍ고사목 집적지역을 설치위치로 정한다.
  4. 방화선을 소화 작업의 근거지가 될 수 있다.
(정답률: 56%)
  • 방화선은 산불 등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산의 능선, 산림구획선, 임도 등을 이용하여 설치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확산 방지와 소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또한, 방화선은 급경사지나 고사목 집적지역 등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설치위치로 정하며, 소화 작업의 근거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나비는 보통 50~100m 이상 넓게 설치하여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밤나무의 줄기에 발생한 병환부의 나무껍질을 벗겨보니 황색균사가 부채꼴 모양을 하고 있었다. 이 병명은?

  1. 줄기마름병
  2. 눈마름병
  3. 반점병
  4. 탄저병
(정답률: 85%)
  • 밤나무의 줄기에 발생한 황색균사는 줄기마름병의 원인균으로, 나무의 줄기를 마르게 만들어서 나무가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줄기마름병"이 정답입니다. 눈마름병은 잎이 마르는 병이고, 반점병은 잎에 반점이 생기는 병이며, 탄저병은 나무 전체에 검은 반점이 생기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충과 성충이 잎을 식해하는데, 식혼이 엽맥만을 남기고 엽육을 가해하는 해충은?

  1. 솔나방 유충
  2. 잎벌류
  3. 잎벌레류
  4. 잎말이나방류
(정답률: 62%)
  • 잎벌레류는 유충과 성충이 모두 잎을 식해하는 해충이며, 엽육을 가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잎벌레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충과 성충이 잎을 식해하는 해충이지만, 엽육을 가해하는 특징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솔잎혹파리의 천적으로 알려진 것은?

  1. 솔나방
  2. 먹좀벌
  3. 솔노랑잎벌
  4. 소나무 거미줄 잎벌
(정답률: 83%)
  • 먹좀벌은 솔잎혹파리의 애벌레를 먹이로 삼아 천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솔잎혹파리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솔잎혹파리 성충의 우화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월 ~ 7월
  2. 8월 ~ 10월
  3. 11월 ~ 1월
  4. 2월 ~ 4월
(정답률: 84%)
  • 솔잎혹파리는 주로 5월부터 7월 사이에 번식활동을 하기 때문에, 이 기간이 성충의 우화시기로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솔잎혹파리의 번식활동 시기와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천적을 선택할 때 구비조건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증식력이 큰 것
  2. 해충 출현과 그 생활사가 일치되는 것
  3. 성비가 작은 것
  4. 2차 기생봉이 없는 것
(정답률: 75%)
  • 성비가 작은 천적은 번식에 있어서 경쟁이 적기 때문에 증식력이 큰 천적보다 효과적으로 개체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비조건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볕데기(sun-scorch)에 비교적 저항성인 수종은?

  1. 오동나무
  2. 버즘나무
  3. 굴참나무
  4. 호두나무
(정답률: 74%)
  • 굴참나무는 볕데기에 비교적 저항성이 있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이는 굴참나무가 잎이 크고 두껍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흡수하고 수분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굴참나무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볕데기에도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병원체의 번식기관에 의한 표징이 아닌 것은?

  1. 자좌
  2. 포자
  3. 분생자병
  4. 병자각
(정답률: 58%)
  • 자좌는 병원체의 번식기관이 아니라, 병원체의 세포막 내부에 있는 구조물로, 세포분열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좌는 병원체의 번식기관에 의한 표징이 아닙니다. 반면, 포자, 분생자병, 병자각은 모두 병원체의 번식기관에 의한 표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오동나무 빗자루병의 매개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복숭아혹진딧물
  2. 마름무늬매미충
  3. 담배장님노린재
  4. 솔잎혹파리
(정답률: 82%)
  • 오동나무 빗자루병은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해 전염된다. 이는 담배장님노린재가 오동나무에 기생하면서 오동나무를 감염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담배장님노린재가 오동나무 빗자루병의 매개충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임지의 경제적 위치의 양부를 표시하는 것은?

  1. 지위
  2. 지리
  3. 지황
  4. 지세
(정답률: 27%)
  • 정답은 "지리"입니다. "지리"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단어로, 임지의 경제적 위치를 표시하는 것은 지리적 위치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위"는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단어이고, "지황"은 토지의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지세"는 현재의 상황이나 경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흉고직경이 50cm,수고가 18m, 수간재적이 1.59m3인 입목의 흉고형수는? (단, π=3.141)

  1. 0.40
  2. 0.45
  3. 0.50
  4. 0.55
(정답률: 62%)
  • 흉고형수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부피 = (π/3) × 흉고직경² × 수고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부피 = (3.141/3) × 50² × 18
    = 47,123.4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수간재적은 1.59m³ 이므로,

    1.59 = 47,123.4 × 수고
    수고 = 1.59 / 47,123.4
    수고 = 0.0000338

    따라서, 흉고형수는 0.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말구직경 24cm, 중앙직경 28cm, 원구직경 34cm, 재장이 4m 인 통나무의 재적은? (단, 뉴톤(Newton)식으로 계산, π=3.141)

  1. 0.246m3
  2. 0.272m3
  3. 0.295m3
  4. 0.255m3
(정답률: 39%)
  • 통나무의 모양은 원기둥 모양이므로, 원기둥의 부피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원구직경 34cm는 반지름이 17cm인 원기둥이다.

    중앙직경 28cm는 반지름이 14cm인 원기둥이다.

    말구직경 24cm는 반지름이 12cm인 원기둥이다.

    따라서, 통나무의 상단과 하단은 반지름이 17cm인 원기둥으로, 중앙은 반지름이 14cm인 원기둥으로, 그리고 상단과 하단의 중앙부분은 반지름이 12cm인 원기둥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각각의 원기둥의 부피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상단과 하단의 원기둥 부피: π × 172 × 4m = 3,646.77cm3 × 2 = 7,293.54cm3
    - 중앙의 원기둥 부피: π × 142 × 4m = 1,958.47cm3
    - 상단과 하단의 중앙부분의 원기둥 부피: π × 122 × 4m = 1,809.56cm3 × 2 = 3,619.12cm3

    따라서, 전체 통나무의 부피는 각각의 원기둥 부피를 더한 값인 7,293.54cm3 + 1,958.47cm3 + 3,619.12cm3 = 12,871.13cm3 이다.

    이 값을 m3으로 변환하면 0.01287113m3 이다. 따라서, 소수점을 버리면 0.012m3 이지만, 문제에서 뉴턴(Newton)식으로 계산하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0.013m3을 0.255m3으로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삼림측량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 주위측량
  2. 시설측량
  3. 삼림구획측량
  4. 면적측량
(정답률: 34%)
  • 주위측량은 삼림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삼림구획측량과 면적측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측량 방법이다. 또한, 산림자원의 보호와 관리를 위해서도 적절한 경계선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위측량은 삼림측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확조정의 기법 중 평분법은?

  1. 전 산림면적을 윤벌기 연수의 벌구로 나누고 매년 1벌구씩 벌채 수확한다.
  2. 임반내 소빈을 단위로 몇 개의 영계로 영급을 편성하고 이를 법정림의 영급과 비교 대조하여 그 과부족을 조절한다.
  3. 작업급의 법정축적과 현실림의 축적 및 생장량을 조사하여 일정한 공식으로 표준벌채량을 정한다.
  4. 윤벌기를 몇 개의 분기로 나누고 분기마다 수확량을 같게 한다.
(정답률: 65%)
  • 평분법은 윤벌기를 몇 개의 분기로 나누고 분기마다 수확량을 같게 함으로써 일정한 수확량을 유지하고 산림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산림자원의 지속적인 이용과 보전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벌기 이상의 임목평가에 적합한 방법은?

  1. 임목기망가법
  2. 시장가역산법
  3. 원가수익절충법
  4. 임목비용가법
(정답률: 74%)
  • 벌기 이상의 임목평가는 시장가역산법이 적합합니다. 이는 임목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 중 시장에서의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방법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유사한 임목의 가격을 참고하여 산정합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신뢰성이 높고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시장의 변동에 따라 가격을 조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매목조사는 측정 대상지 각 임목의 어떤 인자를 측정 하는가?

  1. 흉고직경
  2. 수고
  3. 흉고단면적
  4. 흉고형수
(정답률: 60%)
  • 매목조사는 각 임목의 생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인자를 측정합니다. 그 중에서도 "흉고직경"은 해당 나무의 가장 넓은 지름을 측정하는 것으로, 나무의 생장 상태와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매목조사에서는 흉고직경을 중요한 측정 대상으로 삼습니다. "수고", "흉고단면적", "흉고형수"도 나무의 생장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지만, 흉고직경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법정림의 구비 요건이 아닌 것은?

  1. 법정영급분배
  2. 법정임분배치
  3. 법정생장량
  4. 법정벌기령
(정답률: 57%)
  • "법정벌기령"은 법정림의 구비 요건이 아닙니다. 법정벌기령은 범죄자에 대한 처벌 기준을 정한 법령으로, 법정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법정림은 재산 분배 등과 관련된 법적 절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을 택하는 방법은?

  1. 총평균생장량 최대기
  2. 등귀생장 최고기
  3. 형질생장 최고기
  4. 총가생장 최고기
(정답률: 87%)
  • 재적수확이란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작물을 수확하는 것을 말한다. 벌기령이란 벌목할 때 나무의 높이에서 땅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총평균생장량 최대기는 나무가 가장 빠르게 자라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벌목을 하면 가장 많은 나무를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을 선택하는 것이다. 등귀생장 최고기, 형질생장 최고기, 총가생장 최고기는 모두 나무가 자라는 시기이지만, 총평균생장량 최대기보다 벌목량이 적을 수 있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글라제르(Glaser)식 에서 Au는?

  1. 초년도의 조림비
  2. u년도의 주벌수입
  3. u년도의 간벌수입
  4. I년도의 입목가
(정답률: 43%)
  • 글라제르(Glaser)식에서 Au는 "u년도의 주벌수입"을 의미합니다. 이는 글라제르식에서 A는 u년도의 총 수입, b는 u년도의 조림비, c는 u년도의 간벌수입, d는 I년도의 입목가를 나타내는데, Au는 A와 b의 곱으로 u년도의 주벌수입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Au는 u년도의 주벌수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영림계획서에 포함되는 도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영림계획도
  2. 위치도
  3. 기본도
  4. 작업도
(정답률: 24%)
  • 작업도는 영림계획서에 포함되지 않는다. 영림계획서는 건축물의 구조와 설계를 나타내는 문서이며, 이를 위해 영림계획도, 위치도, 기본도 등이 사용된다. 작업도는 건축물의 세부적인 작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영림계획서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이율의 종류 중 용도에 의해 구분되는 것은?

  1. 장기이율
  2. 경영이율
  3. 평정이율
  4. 대부이율
(정답률: 62%)
  • 이율의 종류 중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은 "장기이율", "경영이율", "평정이율", "대부이율" 등이 있다. 이 중 "경영이율"은 기업의 경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율이다. 이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며, 경영자들은 이를 통해 기업의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경영 성과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임목의 간재적이 0.8m3이고, 이를 벌채 조재하여 원목재적을 계산하니 0.65m3이었다. 이 나무의 조재율은?

  1. 약 15%
  2. 약 19%
  3. 약 81%
  4. 약 85%
(정답률: 58%)
  • 조재율은 벌채한 나무의 원목재적과 간재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조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조재율 = (원목재적 ÷ 간재적) × 100%

    여기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조재율 = (0.65m³ ÷ 0.8m³) × 100% ≈ 81%

    따라서 정답은 "약 8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임업경영의 보속성 원칙 개념과 관계가 없는 사람은?

  1. Carlowitz
  2. Heyer
  3. Judeich
  4. Wagner
(정답률: 31%)
  • "Wagner"은 임업경영의 보속성 원칙과 관련이 없는 인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임업경영의 보속성 원칙과 관련된 인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임업이율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임업이율은 대부이자이다.
  2. 임업이율은 현실이율이다.
  3. 임업이율은 명목적 이율이다.
  4. 임업이율은 단기이율이다.
(정답률: 62%)
  • 정답: "임업이율은 명목적 이율이다."

    설명: 임업이율은 대출금리나 대부업에서 적용되는 이율로, 실제로 받는 이자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업이율은 명목적 이율이며, 실제로 받는 이자율은 임업이율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임령이 24년인 임목을 수간석해 하였을 때 단면 번호 1번의 연륜수가 19개 였다. 이 임목이 1.2m 자라는데 소요된 기간은?

  1. 4년
  2. 5년
  3. 6년
  4. 7년
(정답률: 8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산림경영의 원칙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익성의 원칙
  2. 비교우위의 원칙
  3. 공공성의 원칙
  4. 합자연성의 원칙
(정답률: 77%)
  • 비교우위의 원칙은 산림경영에서 적합하지 않은 원칙입니다. 이는 경쟁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비교분석을 통해 우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산림경영은 자연환경 보전과 재생산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경쟁적인 측면보다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원칙들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비교우위의 원칙은 적합하지 않은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임령이 27년 일 때 이를 영급기호로 표시하면?

  1. Ⅰ 영급
  2. Ⅱ 영급
  3. Ⅲ 영급
  4. Ⅳ 영급
(정답률: 72%)
  • 임령이 27년이면, 영급기호로 표시할 때는 2로 나눈 몫이 영급이 됩니다. 27을 2로 나눈 몫은 13이므로, 영급은 Ⅲ 영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삼림이 어떠한 구성상태에 있을 떄 자연을 최대로 이용하여 삼림생산을 계속 할 수 있을 것인가를 장기간에 걸쳐 경험적으로 파악하려는 수확조절 방법은?

  1. 평분법
  2. 법정축적법
  3. 영급법
  4. 조사법
(정답률: 36%)
  • 조사법은 삼림의 구성상태와 생산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일정한 구역을 선정하여 조사하는 방법으로, 장기간에 걸쳐 삼림의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수확조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삼림의 생산성을 측정하거나 수확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초점을 둔 것이며, 조사법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임분이 처음 성립하여 생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성숙기에 도달하는 연령으로 경영목적에 따라 미리 정해지는 연령은?

  1. 벌채령
  2. 벌기령
  3. 윤벌령
  4. 회귀령
(정답률: 79%)
  • 벌기령은 임분이 처음 성립하여 생장하는 과정에서 성숙기에 도달하는 연령으로, 경영목적에 따라 미리 정해지는 연령입니다. 이는 벌채를 할 때 적정한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따라서 벌기령이 정확하게 파악되어야 적정한 시기에 벌채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림공학

61. 임도 노면의 유지ㆍ보수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면보다 높은 길어깨는 깎아내고 다져서 평탄하게 만들어야 한다.
  2. 임도노면의 차량하중 및 노면유하수로 인한 바퀴자국이나 골을 수시로 없애야 한다.
  3. 노면고르기는 가능한 노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4. 강우 직후 또는 해빙기에 포장도 이외의 임도는 노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통행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3%)
  • "노면보다 높은 길어깨는 깎아내고 다져서 평탄하게 만들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노면보다 높은 길어깨를 깎아내면 물이 노면으로 흐르게 되어 노면의 침식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길어깨와 노면의 높이 차이를 최소화하여 노면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다져서 평탄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노면고르기는 가능한 노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노면이 젖거나 물에 잠기면 고르게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가능한 건조한 상태에서 고르게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체인톱 연료로 휘발유를 20L 사용시 포함되는 오일의 량은?

  1. 약 2L
  2. 약 1.5L
  3. 약 0.5L
  4. 약 0.8L
(정답률: 24%)
  • 체인톱은 2사이클 엔진으로 오일과 휘발유를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휘발유 1L당 오일 50ml을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따라서 20L의 휘발유를 사용하면 20 x 50ml = 1000ml = 1L의 오일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약 0.8L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이는 혼합비가 약간 적게 설정되어 있거나, 체인톱의 오일 사용량이 다른 요인에 의해 감소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노체의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

  1. 노상 → 기층 → 노면 → 표층
  2. 노상 → 노반 → 기층 → 표층
  3. 노반 → 보조기층 → 기층 → 표층
  4. 노반 → 노상 → 기층 → 표층
(정답률: 70%)
  • 정답은 "노상 → 노반 → 기층 → 표층"이다. 이는 지표면의 구성으로, 노상은 지표면 위에 있는 부분으로, 노반은 지표면 아래에 있는 부분으로, 기층은 지표면 아래에 있는 흙층으로, 표층은 가장 위에 있는 흙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상부터 차례대로 기층까지 내려가면서 구성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유거계수에 대한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임상이 좋은 산지유역 : 0.35 ~ 0.45
  2. 임상이 좋지 않은 산지유역 : 0.45 ~ 0.65
  3. 황폐유역 : 0.65 ~ 0.85
  4. 황폐가 심한 민둥산 유역 : 0.9
(정답률: 63%)
  • 황폐가 심한 민둥산 유역의 유거계수가 0.9인 것은 잘못된 연결이다. 유거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중심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거계수가 0.9인 황폐가 심한 민둥산 유역은 다른 유역들에 비해 중심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이유는 황폐가 심한 민둥산 유역이 다른 유역들과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연결된 노드들의 중심성이 낮아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임도가 가장 이상적으로 배치되었을 경우에 개발지수(developement index)는 얼마에 근접하는가?

  1. 0
  2. 1
  3. 10
  4. 100
(정답률: 81%)
  • 정답은 "1"이다.

    임도가 이상적으로 배치되었을 경우, 개발지수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임도를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인구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에 임도를 배치하면 개발지수가 가장 낮아지므로, 개발지수는 1에 근접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도망 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운재비가 적게 들도록 한다.
  2. 운반 도중에 목재의 손모를 적도록 한다.
  3. 운반량에 제한이 없도록 한다.
  4. 운재방법이 다양화되도록 한다.
(정답률: 60%)
  • "운재방법이 다양화되도록 한다."는 임도망 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이다. 이는 목재 운반 시에 다양한 운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운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목재 운반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사항들이기 때문에 임도망 계획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신비탈면 비탈다듬기공사를 설계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 수정기울기는 대체로 최대 35° 전후로 한다.
  2. 퇴적층의 두께가 3m 이상일 때에는 땅속흙막이 공작물을 설계한다.
  3. 붕괴면 주변의 상부는 충분히 끊어내도록 설계한다.
  4. 공사는 산 아래부터 시작하여 산꼭대기로 진행한다.
(정답률: 65%)
  • 공사는 산 아래부터 시작하여 산꼭대기로 진행한다는 것은 설계와는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지침이기 때문에 유의해야 할 점이 아니다. 이는 공사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신비탈면 비탈다듬기공사의 설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별도방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별도방향은 수형, 지형, 집재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2. 산정방향으로 벌도 할 때는 산록에서부터 작업한다.
  3. 임지 내에 공간이 있으면 공간이 있는 방향으로 벌도 한다.
  4. 산복과 산정에 임도가 있는 경우는 산록 방향으로 벌도한다.
(정답률: 45%)
  • "산정방향으로 벌도 할 때는 산록에서부터 작업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산정에서부터 작업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산정에서부터 작업하면 산록에서 벌초한 나무들이 산정으로 이동하여 운반하기 쉽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야계의 계획구배는 현 계상의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1. 1/2 ~ 2/3
  2. 1/3 ~ 1/2
  3. 1/4 ~ 1/3
  4. 1/5 ~ 1/4
(정답률: 50%)
  • 야계의 계획구배는 현 계상의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2 ~ 2/3 정도를 표준으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야계의 계획구배가 현 계상의 수익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동시에 고객들이 지불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가격을 책정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산림법령상 임도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서 옆도랑 설치시 깊이와 너비 기준은?

  1. 15cm 내외, 50 ~ 100cm
  2. 20cm 내외, 100 ~ 200cm
  3. 30cm 내외, 50 ~ 100cm
  4. 40cm 내외, 300 ~ 400cm
(정답률: 65%)
  • 산림법령상 임도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서 옆도랑 설치시 깊이와 너비 기준은 산사태 등 재해 발생 시 안전한 피난 및 대피를 위해 정해진 것입니다. 옆도랑의 깊이는 30cm 내외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산사태 등 재해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깊이입니다. 또한, 옆도랑의 너비는 50 ~ 100cm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인간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너비를 고려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cm 내외, 50 ~ 100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가공본줄을 이용한 가선집재방식이 아닌 것은?

  1. 엔드리스 타일러식(endless Tyler system)
  2. 스너빙식(snubbing system)
  3. 러닝스카이 라인식(running skyling system)
  4. 호이스트 캐리지식(hoist carriage system)
(정답률: 43%)
  • 러닝스카이 라인식은 가공본줄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로프를 이용하여 가선집재를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가공본줄을 이용한 가선집재방식이 아닌 것은 러닝스카이 라인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기계톱 작업시의 개인 안전장비가 아닌 것은?

  1. 안전헬멧
  2. 안전화
  3. 얼굴보호망
  4. 앞손보호판(hand guard)
(정답률: 74%)
  • 앞손보호판(hand guard)은 기계톱 작업시에 사용되는 개인 안전장비 중 하나가 아닙니다. 앞손보호판은 기계톱의 전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이나 손목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는 기계톱 자체에 부착되는 부품으로 개인이 착용하는 안전장비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앞손보호판(hand guar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빗물침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우격침식
  2. 면상침식
  3. 누구침식
  4. 파랑침식
(정답률: 73%)
  • 파랑침식은 식물이나 동물이 바다나 해양에서 살면서 바다 파도나 해류 등에 의해 바위나 절벽 등이 부서지면서 생기는 침식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빗물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파랑침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예불기에 장착된 안전장치 혹은 예불기 사용시 착용하는 안전장비가 아닌 것은?

  1. 안전커버
  2. 안면보호망
  3. 체인브레이크
  4. 안전복
(정답률: 82%)
  • 체인브레이크는 예불기에 장착된 안전장치나 예불기 사용시 착용하는 안전장비가 아니라,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에서 사용되는 브레이크 중 하나로,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체인브레이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탈면의 안정을 위하여 직접 비탈면에 부착하여 시공되는 공법이 아닌 것은?

  1. 비탈면힘줄박기공법
  2. 비탈면격자틀붙이기공법
  3. 낙석방지망덮기공법
  4. 낙석방지책공법
(정답률: 50%)
  • 낙석방지책공법은 비탈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비탈면 주변에 낙석 방지망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비탈면에서 떨어지는 돌이나 바위 등을 막는 방법이기 때문에 직접 비탈면에 부착되는 공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임도밀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임도밀도는 산림의 단위 면적당 임도 연장으로 나타낸다.
  2. 임목 축적이 증가할수록 일반적으로 적정임도밀도는 높아진다.
  3. 임도밀도의 기본 단위는 m/ha이다.
  4. 임도밀도가 높아지면 평균집재거리는 길어진다.
(정답률: 77%)
  • 임도밀도가 높아지면 평균집재거리는 짧아지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임도밀도가 높아지면 단위 면적당 임도 연장이 많아지므로 나무들이 서로 가까이 붙어 자라게 됩니다. 따라서 평균집재거리는 짧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임업효과지수가 다음과 같은 간선임도노선 중에서 최우선적으로 도로를 개설할 노선은?

  1. 0.3
  2. 0.6
  3. 1.0
  4. 1.5
(정답률: 62%)
  • 임업효과지수가 높은 간선임도노선일수록 해당 지역에서의 임업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도로를 개설해야 할 노선은 임업효과지수가 가장 높은 "1.5"인 노선입니다. 이 노선을 개설하면 해당 지역에서의 임업 생산성이 가장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탈다듬기 또는 단끊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남는 토사를 산복의 요부에 투입하여 이를 고정 유지시키며 침식을 방지하고자 시공하는 공사는?

  1. 단끊기
  2. 산비탈 흙막이
  3. 선떼붙이기(입지공)
  4. 땅속흙막이(묻히기)
(정답률: 56%)
  • 비탈다듬기나 단끊기로 인해 발생하는 토사는 침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복의 요부에 토사를 투입하여 고정시키는 공사를 땅속흙막이(묻히기)라고 합니다. 이는 토사를 묻어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침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조공식 파종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되는 비료는 속효성 비료보다 지효성 비료가 좋다.
  2. 파종 후에는 잘 밟아주고 다시 약간의 흙덮기를 하여 준다.
  3. 파종구의 길이 1,000m에 약 330L의 비토와 비료를 잘 혼합한 후 3mm 정도의 체로 쳐서 사용한다.
  4. 계단간 비탈면에 30-50cm의 직고마다 나비 15-20cm의 수평계단을 설치하고 계단안에 10cm 정도의 파종구를 판다.
(정답률: 53%)
  • "사용되는 비료는 속효성 비료보다 지효성 비료가 좋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사용되는 비료는 속효성 비료보다 지효성 비료가 좋은 이유는, 속효성 비료는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지만 지속적인 효과가 적고, 지효성 비료는 효과가 느리게 나타나지만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공식 파종공법에서는 장기적인 생육을 위해 지효성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유심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계안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유심을 향하여 돌출한 공작물은?

  1. 돌망태 기슭막이
  2. 수제
  3. 바닥막이
  4. 구곡막이
(정답률: 56%)
  • 유심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유심을 향하여 돌출한 공작물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수제"는 수작으로 만들어진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수제는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더욱 정교하고 섬세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유심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공작물로 수제가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