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산림산업기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종자를 건조 상태로 저장하는 수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편백
  2. 삼나무
  3. 소나무
  4. 굴참나무
(정답률: 72%)
  • 굴참나무는 종자가 빠르게 굴러내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조 상태로 저장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굴참나무가 가장 부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겉씨식물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헛물관이 있다.
  2. 잎은 그물맥이다.
  3. 중복수정을 한다.
  4.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다.
(정답률: 75%)
  • 겉씨식물은 헛물관이 있다. 이는 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실제로는 물이 흐르지 않고 공기만 채워져 있기 때문에 "헛"이라는 표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잎의 기공에서 이뤄지는 개폐기작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인산
  2. 칼륨
  3. 칼슘
  4. 질소
(정답률: 68%)
  • 잎의 기공에서 이뤄지는 개폐기작은 수분과 기체 교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칼륨입니다. 칼륨은 식물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고, 기공을 통해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조절하여 식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칼륨은 잎의 기공에서 이뤄지는 개폐기작과 가장 관련이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록수는 묘목 전체를 묻는다.
  2. 가식장소는 배수가 잘 되는 곳을 택한다.
  3. 춘기에는 묘목의 끝을 북쪽으로 묻는다.
  4. 오랫동안 가식할 때는 다발을 풀고 낱개로 펴서 묻는다.
(정답률: 75%)
  • "상록수는 묘목 전체를 묻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상록수는 묘목의 뿌리 부분만 묻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이유는 뿌리 부분이 묘목의 생명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밀식조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관이 빨리 울폐되고 임지의 침식을 막는다.
  2. 조림 비용이 더 소요되고 작업량이 많아진다.
  3. 개체목 간 경쟁으로 인한 근계발달이 촉진된다.
  4. 키가 큰 나무를 빨리 이용하고자 할 때 유리하다.
(정답률: 75%)
  • "개체목 간 경쟁으로 인한 근계발달이 촉진된다."는 밀식조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는 밀식조림에서 서로 다른 나무 종류가 함께 자라면서 생기는 경쟁으로 인해 나무들이 더 높이 자라게 되고, 이는 근계발달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른 보기들은 밀식조림의 단점이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무성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론 보존이 가능하다.
  2. 모수보다 우수한 유전형질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3. 종자번식이 어려운 수목의 후계목 조성이 가능하다.
  4. 소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하여 삽목 발근이 어려운 편이다.
(정답률: 78%)
  • "모수보다 우수한 유전형질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무성번식은 한 개체의 유전자를 모두 복제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방식으로, 모수 개체의 모든 유전자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수보다 우수한 유전형질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유전자의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특성을 선택적으로 유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공조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집약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2. 조림수종 선택의 폭이 넓다.
  3. 동령단순 경제림 조성이 용이하다.
  4. 천연갱신에 비해 활착률이 더 높다.
(정답률: 81%)
  • 인공조림의 장점은 "집약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조림수종 선택의 폭이 넓다.", "동령단순 경제림 조성이 용이하다."입니다. 인공조림은 인간의 개입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집약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다양한 수종을 선택할 수 있으며, 경제림 조성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천연갱신에 비해 활착률이 더 높다는 것은 인공조림의 단점입니다. 인공조림은 인간의 개입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천연갱신에 비해 생태계의 복원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린나무 가꾸기나 천연림 보육작업 등의 잡목 솎아내기 작업이 끝난 후부터 최종 수확 때까지 숲을 가꾸는 작업은?

  1. 간벌
  2. 제벌
  3. 덩굴제거
  4. 가지치기
(정답률: 80%)
  • 간벌은 숲에서 나무들이 서로 경쟁하며 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일부 나무를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남은 나무들이 더욱 건강하게 자라고, 숲 전체의 생태계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숲을 가꾸는 작업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림토양 내 유기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수력을 감소시킨다.
  2. 토양을 산성화 시킨다.
  3. 토양구조를 개량한다.
  4. 무기영양소의 흡착능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68%)
  • "보수력을 감소시킨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유기물은 토양 구조를 개량하고 무기영양소의 흡착능력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과도한 유기물의 축적은 토양의 공기와 수분 이용을 방해하여 보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분 이후 종자성숙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가장 긴 수종은?

  1. 회양목
  2. 사시나무
  3. 졸참나무
  4. 상수리나무
(정답률: 57%)
  • 상수리나무는 수분 후 종자성숙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약 20년에서 30년으로 가장 긴 수종 중 하나입니다. 이는 상수리나무의 성장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수리나무는 오래 살아서 크기가 큰 나무가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수종은?

  1. Juglans regia
  2. Prunus yedoensis
  3. Aesculus turbinata
  4. Ligustrum obtusifolium
(정답률: 59%)
  • "Prunus yedoensis"는 겨울에 꽃이 피는 수종으로,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먼저 피기 때문에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수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목재 수피 등 물질적 생산을 위하여 경영되는 산림은?

  1. 원시림
  2. 단순림
  3. 경제림
  4. 보안림
(정답률: 91%)
  • 경제림은 목재나 수피 등의 물질적 생산을 목적으로 경영되는 산림이다. 따라서 경제적 가치가 높은 나무를 주로 심어 관리하며, 수확 후 재배를 위해 다시 심는 등 지속적인 생산을 목표로 한다. 이에 비해 원시림은 인간의 개입이 거의 없는 자연 그대로의 산림, 단순림은 특정 나무 종류만 심어 관리하는 산림, 보안림은 토지 침식 방지 등의 목적으로 심어 관리하는 산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묘포지에 가장 알맞은 토양은?

  1. 사토
  2. 양토
  3. 점토
  4. 사양토
(정답률: 81%)
  • 묘포지는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닷물에 영향을 받는 환경이기 때문에 염분에 강한 사양토가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양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근주묘(뿌리묘목)의 표시로 옳은 것은?

  1. 0/0묘
  2. 1/2묘
  3. 0/2묘
  4. 1/1묘
(정답률: 72%)
  • 근주묘(뿌리묘목)는 묘목의 뿌리 부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표시된 것은 묘목이 심어진 땅에서 뿌리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0/2묘"는 뿌리가 전혀 발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종자의 순량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 1000립의 무게
  2. 실중에 발아율을 곱한 값
  3. 종자 100립 중에서 발아한 종자의 비율
  4. 전체 종자 무게 중에서 순정종자 무게의 비율
(정답률: 79%)
  • 종자의 순량율은 전체 종자 중에서 순정종자의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따라서 "전체 종자 무게 중에서 순정종자 무게의 비율"이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자의 발아율이나 발아한 종자의 비율 등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순량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종자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 내피, 외피로 구성된다.
  2. 배, 배유, 종피로 구성된다.
  3. 배유, 자엽, 배축으로 구성된다.
  4. 유아, 자엽, 외곽조직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82%)
  • 종자는 배, 배유, 종피로 구성되는데, 배는 식물의 생식기관으로서 씨앗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며, 배유는 씨앗 내부에 있는 영양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종피는 씨앗을 보호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노지양묘에서 판갈이 시작년도가 가장 늦은 것은?

  1. 곰솔
  2. 소나무
  3. 삼나무
  4. 가문비나무
(정답률: 62%)
  • 가문비나무는 다른 나무들에 비해 더 느리게 자라기 때문에 판갈이가 시작된 시기가 더 늦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가장 늦은 시작년도를 가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목이 생명현상을 유지하는 데 에너지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세포의 분열
  2. 체온의 유지
  3. 탄수화물의 저장
  4. 무기영양소의 흡수
(정답률: 66%)
  • 체온의 유지는 수목이 아닌 동물들이 해야하는 생명현상이기 때문에, 수목이 체온을 유지하는 데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체온의 유지는 수목이 생명현상을 유지하는 데 에너지의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의 주성분이 아닌 것은?

  1. 인산
  2. 칼륨
  3. 칼슘
  4. 질소
(정답률: 67%)
  • 산림용 고형복합비료는 식물의 영양소인 질소, 인산, 칼륨을 주성분으로 함께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칼슘은 식물의 영양소 중 하나이지만,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의 주성분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칼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작업종은?

  1. 모수작업
  2. 개벌작업
  3. 택벌작업
  4. 중림작업
(정답률: 87%)
  • 이 그림은 산림에서 나무를 수확하는 작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작업은 산림에서 나무를 모으는 것으로, 이를 모수작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수작업"입니다. 개벌작업은 산림에서 나무를 벌이는 작업, 택벌작업은 벌채 후 나무를 수확하는 작업, 중림작업은 산림의 관리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흡즙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뽕나무이
  2. 버들잎벌레
  3. 분홍다리노린재
  4. 진달래방패벌레
(정답률: 60%)
  • 버들잎벌레는 잎을 먹는 잎먹이성 해충으로, 다른 보기들은 꽃에서 꿀을 빨아먹는 흡즙성 해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살충제 종류별 작용기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중독제 : 해충의 입으로 들어가면 소화관내에서 중독작용을 일으킨다.
  2. 침투성 살충제 : 약제를 해충의 체표면에 직접 살포하여 중독작용을 일으킨다.
  3. 훈증제 : 약제의 유효성분을 가스상태로 해충의 호흡기에 침입하여 사망시킨다.
  4. 제충제 : 해충을 즉시 죽이지 않고 발육과 생식을 억제하여 해충의 밀도를 저하시킨다.
(정답률: 78%)
  • 침투성 살충제는 약제를 해충의 체표면에 직접 살포하여 체표면을 통해 해충 내부로 침투하여 중독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해충의 개체군 동태를 알기위해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충태별 사망수, 사망요인, 사망률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 표는?

  1. 생명표
  2. 생태표
  3. 생식표
  4. 수명표
(정답률: 77%)
  • 생명표는 해충의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로, 충태별 사망수, 사망요인, 사망률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통해 해충의 생명주기와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생제 계통인 살균제는?

  1. 만코제브 수화제
  2. 메탈락실 수화제
  3. 보르도혼합액 입상수화제
  4.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정답률: 73%)
  • 살균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약물을 말합니다. 항생제도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은 항생제 중 하나로,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은 살균제 계통인 살균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오동나무 빗자루병의 병원체는?

  1. 세균
  2. 곰팡이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률: 85%)
  • 오동나무 빗자루병의 병원체는 파이토플라스마입니다. 이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원생물로서, 세포벽이 없고 DNA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충이 침엽수와 활엽수를 모두 가해하는 해충은?

  1. 독나방
  2. 매미나방
  3. 천막벌레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65%)
  • 매미나방은 유충기 때 침엽수와 활엽수 모두를 먹이로 삼아 피해를 입히는 해충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독나방, 천막벌레나방, 미국흰불나방은 침엽수나 활엽수 중 하나만을 먹이로 삼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주식물의 수간 및 가지 등에 구멍을 뚫어 피해를 주는 천공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박쥐나방
  2. 알락하늘소
  3. 버들바구미
  4. 솔껍질깍지벌레
(정답률: 67%)
  • 솔껍질깍지벌레는 솔나무의 껍질을 깎아먹는 해충으로, 기주식물의 수간이나 가지 등에 구멍을 뚫어 피해를 주는 천공성 해충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솔껍질깍지벌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안에 들어갈 용어는?

  1. A : 잎, B : 줄기
  2. A : 잎, B : 열매
  3. A : 뿌리, B : 줄기
  4. A : 뿌리. B : 열매
(정답률: 79%)
  • 이 그림은 식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잎, B는 줄기를 나타낸다. 이유는 A는 식물의 광합성을 담당하는 장기인 잎이고, B는 식물의 몸통 역할을 하는 줄기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청각기관이 아닌 것은?

  1. 감각털
  2. 고막기관
  3. 알라타체
  4. 존스톤기관
(정답률: 72%)
  • 알라타체는 곤충의 시각기관인 안구와 관련된 기관이며, 청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라타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균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낭균류 : 균류 중 가장 많이 종이 있으며 균사에 격벽이 있다.
  2. 난균류 : 균사에 격벽이 없고 무성포자인 유주포자를 생성한다.
  3. 담자균류 : 대부분의 버섯이 속하는 것으로 격벽을 가지고 있는 다세포이다.
  4. 불완전균류 : 유성생식으로 번식하며 분생포자 형성기관에 따라 재분류된다.
(정답률: 64%)
  • 불완전균류에 대한 설명 중 "유성생식으로 번식하며 분생포자 형성기관에 따라 재분류된다."는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 설명은 완전균류에 해당합니다. 불완전균류는 유생포자를 생성하며, 분생포자 형성기관에 따라 재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표화로부터 연소되는 경우가 많고, 나무의 공동부가 굴뚝과 같은 작용을 하는 산불의 종류는?

  1. 수간화
  2. 수관화
  3. 지상화
  4. 지중화
(정답률: 75%)
  • 수간화는 지표화로부터 연소되는 산불의 종류로, 나무의 공동부가 굴뚝과 같은 작용을 하여 연기와 불꽃이 높이 솟아오르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나무의 공동부가 물에 젖어 더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불이 붙으면 물이 수증기로 바뀌어서 불꽃을 밀어 올리는 효과를 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간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모잘록병의 피해형태가 아닌 것은?

  1. 직립형
  2. 근부형
  3. 도복형
  4. 지중부패형
(정답률: 67%)
  • 직립형은 모잘록병의 피해형태가 아닙니다. 모잘록병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생기는 질병으로, 근부형, 도복형, 지중부패형 등의 피해형태가 있습니다. 하지만 직립형은 모잘록병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목병을 발생하는 세균 중 막대 모양은?

  1. 간균
  2. 구균
  3. 나선균
  4. 방선균
(정답률: 70%)
  • 수목병을 발생하는 세균 중 막대 모양은 "간균"입니다. 이는 간균이 길고 막대 모양을 띠기 때문입니다. 구균은 구형이며, 나선균은 나선 모양을 띄며, 방선균은 방사형으로 생긴 모양을 띕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볕데기(피소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는 수종은?

  1. 단풍나무
  2. 굴참나무
  3. 오동나무
  4. 배롱나무
(정답률: 72%)
  • 굴참나무는 잎이 작고 빽빽하여 햇빛이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볕데기(피소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목 바이러스병 진단에 사용하는 지표식물이 아닌 것은?

  1. 담배
  2. 버섯
  3. 명아주
(정답률: 68%)
  • 버섯은 수목 바이러스병과는 관련이 없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콩, 담배, 명아주는 수목 바이러스병 진단에 사용되는 지표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삼나무 붉은마름병균은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1. 조균
  2. 자낭균
  3. 담자균
  4. 불완전균
(정답률: 49%)
  • 삼나무 붉은마름병균은 불완전균에 속합니다. 이는 세포벽이 없거나 얇아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불완전균은 병원성이 있어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1. 유충
  2. 성충
  3. 번데기
(정답률: 65%)
  •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성충"입니다. 이는 소나무좀이 겨울철에 지하에서 월동을 하다가 봄이 되면 지상으로 올라와 번식을 위해 성충으로 변태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소나무좀의 월동 충태는 성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목의 잎을 가해하는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낙엽송잎벌
  2. 전나무잎응애
  3. 참나무재주나방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률: 57%)
  • 전나무잎응애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종이며, 식엽성 해충이 아닌 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녹병균의 생활사에서 핵융합으로 핵상이 2n으로 되는 시기는?

  1. 녹포자
  2. 녹병정자
  3. 겨울포자
  4. 여름포자
(정답률: 48%)
  • 녹병균은 생물체의 생애주기 중에 성체와 포자로 번갈아가며 번식합니다. 겨울포자는 녹병균의 포자 중 하나로, 겨울철에 생산됩니다. 이 포자는 녹병균의 생존을 돕기 위해 내부에 있는 핵들이 핵융합을 통해 2n 핵상으로 합쳐지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겨울포자가 생산되는 시기가 핵융합으로 핵상이 2n으로 되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성충은 흡즙 가해하고 유충은 잎을 식엽 가해하는 것은?

  1. 솔나방
  2. 소나무좀
  3. 오리나무잎벌레
  4. 느티나무벼룩바구미
(정답률: 42%)
  • 성충은 흡즙 가해하고 유충은 잎을 식엽 가해하는 것은 곤충의 생명주기에서 성장 단계에 따라 역할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느티나무벼룩바구미는 성충이 잎의 표면에 앉아 흡즙을 하고, 유충은 잎의 내부를 먹어 침해합니다. 따라서 느티나무벼룩바구미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솔과 소나무, 오리나무의 잎을 침해하는 곤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다음 조건에서 시장가역산법에 의한 임목의 m3당 매매가는?

  1. 약 21,100원
  2. 약 22,800원
  3. 약 25,600원
  4. 약 29,700원
(정답률: 56%)
  • 시장가역산법에 의한 임목의 m3당 매매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임목의 총 가격을 계산한다.
    총 가격 = (면적 × 평균높이 × 재적률) × 단위면적당 가격
    = (100 × 8 × 0.8) × 3,000
    = 1,920,000원

    2. 임목의 총 체적을 계산한다.
    총 체적 = 면적 × 평균높이 × 재적률
    = 100 × 8 × 0.8
    = 640m3

    3. m3당 매매가를 계산한다.
    m3당 매매가 = 총 가격 ÷ 총 체적
    = 1,920,000원 ÷ 640m3
    ≈ 22,800원

    따라서, 정답은 "약 22,8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0년 후에 산림의 가치가 백만원이고 산림의 연간 생장률(총 가격생장률)이 6%이면 현재가는?

  1. 458,400원
  2. 558,400원
  3. 1,690,800원
  4. 1,790,800원
(정답률: 55%)
  • 산림의 가치는 10년 후에 백만원이므로, 현재가치는 10년 후 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한 것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할인율이 필요한데, 이 문제에서는 할인율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간 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0년 후 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6%의 연간 이자율을 사용하여 할인해야 한다.

    10년 후 가치를 현재가치로 할인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현재가치 = 미래가치 / (1 + 할인율)^년수

    여기서, 미래가치는 백만원이고, 할인율은 6%이므로, 현재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현재가치 = 1,000,000 / (1 + 0.06)^10
    = 1,000,000 / 1.790847
    = 558,400원

    따라서, 정답은 "558,4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임황조사에서 경사도 구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험준지(험) : 경사 25°이상
  2. 완경사지(완) : 경사 15°미만
  3. 경사지(경) : 경사 15~20°미만
  4. 급경사지(급) : 경사 20~25°미만
(정답률: 70%)
  • 험준지(험)은 경사가 25도 이상인 지형을 말하는데, 이는 가파른 경사로 인해 인간이나 동물이 오르내리기 어렵고 위험한 지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험준지(험) : 경사 25°이하"가 아닌 "험준지(험) : 경사 25°이상"이 옳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국유림경영계획의 산림구획에서 소반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A)에 해당하는 것은?

  1. 0.1
  2. 0.5
  3. 1
  4. 100
(정답률: 68%)
  • (A) 1은 소반면적이 1ha 이상인 구획을 의미한다.

    이유: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소반면적이 1ha 이상인 구획은 1번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른 보기들은 소반면적이 더 작은 구획들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법정상태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정생장량 : 법정축적의 평균생장량이다.
  2. 법정축적 : 영급분배와 생장상태가 법정일 때 보유할 작업급으로서 전체 축적이다.
  3. 법정영급분배 : 해마다 균등한 수확을 할 수 있도록 각 영급의 면적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4. 법정임분배치 : 임목 이용, 보호 및 갱신을 위하여 각 임분이 적절한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이다.
(정답률: 52%)
  • 정답: "법정생장량 : 법정축적의 평균생장량이다."

    설명: 법정생장량은 법정축적의 평균생장량이 아니라, 법정면적당 연간 생장량을 의미합니다. 법정축적은 영급분배와 생장상태가 법정일 때 보유할 작업급으로서 전체 축적을 말하며, 법정영급분배는 해마다 균등한 수확을 할 수 있도록 각 영급의 면적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법정임분배치는 임목 이용, 보호 및 갱신을 위하여 각 임분이 적절한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감가상각비 계산 방법 중 감가율은 일정하지만 상각비는 등비급수적으로 체감하는 것은?

  1. 정률법
  2. 정액법
  3. 등비급수법
  4. 연수합계법
(정답률: 51%)
  • 정률법은 감가율은 일정하지만 상각비는 등비급수적으로 감소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이는 감가율이 일정하므로 매년 일정한 비율로 상각비가 감소하지만, 등비급수적으로 체감되는 경우에는 상각비가 매년 일정한 금액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률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각비가 등비급수적으로 체감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연년생장량과 평균생장량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성장 초기에는 연년생장량이 더 크다.
  2. 평균 생장량의 극대점에서는 연년 생장량이 더 크다.
  3. 연년생장량은 평균생장량보다 빨리 극대점을 가진다.
  4. 평균생장량이 극대점에 이르기까지는 연년생장량이 항상 더 크다.
(정답률: 68%)
  • 정답은 "평균 생장량의 극대점에서는 연년 생장량이 더 크다." 이다. 이유는 평균 생장량의 극대점은 일반적으로 나무의 성장이 가장 느려지는 시기인 성장 후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년 생장량이 평균 생장량보다 더 큰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임목자산의 구성 상태로서 질적지표를 나타내는 것은?

  1. 경영자가 보유하고 있는 전체 산림면적
  2. 경영자가 보유하고 있는 임목자산장비율
  3. 경영자가 보유하고 있는 임목자산 중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
  4. 경영자가 보유하고 있는 임목자산 중에서 인공림이 차지하는 비율
(정답률: 62%)
  • 임목자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경영자가 보유하고 있는 임목자산 중에서 인공림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이는 인공림의 비율이 높을수록 재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임목자산의 질적 지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조건에서 작업시간비례법에 의한 총감가상각비는?

  1. 20,000원
  2. 22,500원
  3. 25,000원
  4. 30,000원
(정답률: 68%)
  • 작업시간비례법에 의한 총감가상각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총감가상각비 = (고정비용 + 가변비용) × 작업시간 ÷ 총생산량

    여기서 고정비용은 10,000원, 가변비용은 1,000원/대, 작업시간은 5시간, 총생산량은 200대입니다.

    따라서 총감가상각비 = (10,000원 + 1,000원/대 × 200대) × 5시간 ÷ 200대 = 25,000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임업경영의 경제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업생산은 조방적이다.
  2. 공익성이 커서 제한성이 많다.
  3. 육성임업과 채취임업은 병존한다.
  4. 임업노동은 계절적 제약을 크게 받는다.
(정답률: 70%)
  • "임업노동은 계절적 제약을 크게 받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임업 생산이 계절적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오히려 임업 경영의 경제적 특성 중 하나이다. 임업 생산은 계절적인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생산 계획과 생산량 조절이 어렵고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임업 경영자들은 계절적 제약을 고려하여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생산량을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어떤 재화로부터 장차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수익을 일정한 이율로 할인하여 구한 현재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매매가
  2. 비용가
  3. 기망가
  4. 자본가
(정답률: 83%)
  • 기망가는 미래에 얻을 수 있는 수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한 것이지만, 그 수익이 실제로 얻어질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높은 가치 평가 방법이다. 따라서 기망가는 신뢰성이 낮아 실제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매매가는 거래 시 발생하는 가격, 비용가는 생산 비용을 기준으로 한 가격, 자본가는 투자한 자본에 대한 이윤을 고려한 가격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위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지의 생산력 판단지표이다.
  2. 택벌작업을 하는 산림에 설정되는 기간개념이다.
  3. 10등급으로 임도 또는 도로까지의 거리를 100m단위로 구분하는 것이다.
  4. 작업급에 의한 산림의 생산조직화에 있어 이상적인 개념으로 제시된 산림조직이다.
(정답률: 70%)
  • 지위지수는 임지의 생산력 판단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간석해도 작성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절충법
  2. 평행선법
  3. 원주등분법
  4. 삼각등분법
(정답률: 47%)
  • 수간석해도 작성방법 중 하나인 평행선법은 한 변이 이미 주어진 삼각형에서 다른 두 변의 끝점을 연결하여 평행선을 그어 새로운 삼각형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존의 삼각형과 유사한 삼각형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매년 말마다 산림관리비로 1000만원이 필요하고 연이율 5%일 때 자본가는?

  1. 50만원
  2. 1050만원
  3. 2억원
  4. 2억1천만원
(정답률: 54%)
  • 산림관리비가 매년 1000만원이 필요하므로, 이를 연이율 5%로 할인하면 다음과 같다.

    1000 / 0.05 = 20,000

    즉, 20,000만원이 필요하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2억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억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표준지 매목조사 중 흉고직경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cm 괄약을 이용한다.
  2. 흉고직경 6cm 이상이 측정 대상이다.
  3. 흉고란 땅 위에서 1.2m의 높이를 말한다.
  4. 흉고직경 측정기구로 아브네이레블이 있다.
(정답률: 69%)
  • "흉고직경 측정기구로 아브네이레블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왜냐하면 아브네이레블은 높이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이며, 흉고직경 측정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소반을 구획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지종구분이 서로 다를 때
  2. 임종 및 작업종이 서로 다를 때
  3. 임령 및 지위의 차이가 현저할 때
  4. 병충해 피해나 간벌작업이 이루어 질 때
(정답률: 65%)
  • 정답은 "병충해 피해나 간벌작업이 이루어 질 때"입니다. 소반은 나무를 구획하여 관리하는 것인데, 이때 나무의 상태나 작업의 목적에 따라 소반을 구분합니다. 병충해 피해나 간벌작업은 나무의 상태나 작업의 목적과 관계없이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소반을 구획하는 경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임업경영요소 중 유동자본에 속하는 것은?

  1. 임도
  2. 종자
  3. 기계톱
  4. 사무실
(정답률: 75%)
  • 유동자본은 회사가 일상적인 운영에 필요한 자금으로,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따라서 "종자"가 유동자본에 속하는 이유는, 임업에서는 새로운 나무를 심을 때 필요한 비용으로,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임도", "기계톱", "사무실"은 비교적 장기적인 운영에 필요한 자산으로, 쉽게 현금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동자본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물가상승과 도로, 철도 등의 개설로 인한 운반비의 절약에 기인하는 산림의 임목가격의 상승을 의미하는 것은?

  1. 재적생장
  2. 형질생장
  3. 근원생장
  4. 등귀생장
(정답률: 81%)
  • 답: 등귀생장은 산림의 임목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가상승과 운반비의 절약 등으로 인해 산림 자원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임업경영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업소득은 임업조수익에서 임업경영비를 뺀 값이다.
  2. 임가소득은 임업소득, 농업소득, 기타소득을 더한 값이다.
  3. 임업의존도는 임가소득을 임업소득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
  4. 임업소득율은 임업소득에서 임업조수익을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
(정답률: 65%)
  • "임업의존도는 임가소득을 임업소득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올바른 설명은 "임업의존도는 임업소득을 임가소득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 이다. 이는 임업이 가족의 총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Huber 식의 약 10,053배 과대치를 주고 중앙단면이 원이 아닐때 오차가 더 커지는 구적식은?

  1. 5분주법
  2. 호퍼스법
  3. 브레레튼법
  4. 스크리브너 로그 룰
(정답률: 73%)
  • 구적식에서 중앙단면이 원이 아닐 때,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5분주법"이다. 이 방법은 구를 5등분하여 각각의 부분에서 중앙단면의 모양을 근사적으로 계산한 후, 이를 평균하여 전체 구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호퍼스법, 브레레튼법, 스크리브너 로그 룰 등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구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림공학

61. 포장을 하지 않은 임도 노면의 경우에 횡단기울기 시설 기준은?

  1. 0 ~ 1%
  2. 1.5 ~ 2%
  3. 3 ~ 5%
  4. 6 ~ 7%
(정답률: 60%)
  • 포장되지 않은 임도 노면은 비교적 표면이 부드럽고 불규칙하여 미끄러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횡단기울기 시설 기준은 포장된 도로보다는 더 낮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포장되지 않은 임도 노면의 횡단기울기 시설 기준은 3 ~ 5%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임도의 사면 붕괴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면 토양의 점착력 감소
  2. 사면 토양의 공급 수압 감소
  3. 온도변화에 의한 사면 토양의 입자 신축
  4. 눈 및 빗물로 인한 사면 토양의 과다한 하중 발생
(정답률: 67%)
  • 사면 토양의 공급 수압 감소는 옳지 않은 원인입니다. 사면 토양의 공급 수압 감소는 지하수의 감소나 배수 시설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면 토양의 지지력을 약화시키고 붕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면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관리와 배수 시설의 유지보수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스키더 또는 타워야더 등에 의해 집재된 전목재의 가지제거, 절단, 초두부 제거, 집적 등의 조재작업을 전문적으로 실행하는 기계는?

  1. 포워더
  2. 하베스터
  3. 프로세서
  4. 펠러번쳐
(정답률: 61%)
  • 프로세서는 스키더나 타워야더와 같은 장비로 집재된 전목재를 가지제거, 절단, 초두부 제거, 집적 등의 조재작업을 전문적으로 실행하는 기계입니다. 다른 보기인 포워더는 원목을 운반하는 기계, 하베스터는 작물 수확기, 펠러번쳐는 나무를 베는 기계로, 이들과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방댐의 시공적지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류부의 계폭이 좁은 곳
  2. 계상과 양안에 암반이 존재하는 곳
  3.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곳
  4. 지류의 합류점 부근에서는 합류점의 하류지역
(정답률: 60%)
  • 사방댐은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고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건설된 시설물이다. 따라서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곳"은 옳은 설명이다. 그러나 "상류부의 계폭이 좁은 곳"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상류부의 계폭이 좁은 곳은 물이 급격히 흐르는 곳으로, 사방댐에서는 이러한 지역에서도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물과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벌도작업 시 쐐기 사용의 주목적은?

  1. 작업 능률 향상
  2. 벌도 방향 결정
  3. 박피 작업 유리
  4. 작업 비용 절감
(정답률: 73%)
  • 쐐기는 벌목 작업 중에 나무를 쓰러뜨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쐐기를 사용하여 나무를 쓰러뜨리는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는 벌도 작업에서 나무를 적절한 방향으로 쓰러뜨리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쐐기 사용의 주목적은 "벌도 방향 결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도 설계업무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예비조사 → 답사 → 예측 → 실측 → 설계도작성
  2. 예비조사 → 예측 → 답사 → 실측 → 설계도작성
  3. 답사 → 예비조사 → 예측 → 실측 → 설계도작성
  4. 답사 → 예비조사 → 실측 → 예측 → 설계도작성
(정답률: 79%)
  • 임도 설계업무의 순서는 "예비조사 → 답사 → 예측 → 실측 → 설계도작성"이다. 이유는 먼저 예비조사를 통해 현장의 상황과 제약사항을 파악하고, 이어서 답사를 통해 지형지물과 건축물 등을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그 다음으로 예측을 통해 건축물의 위치와 크기 등을 예측하고, 실측을 통해 예측한 내용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설계도를 작성하여 최종적으로 건축물을 설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앞모래언덕의 뒤쪽으로 바람에 의한 모래날림을 방지하고 식생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공법은?

  1. 모래덮기
  2. 퇴사울세우기
  3. 정사울세우기
  4. 구정바자얽기
(정답률: 63%)
  • 앞모래언덕의 뒤쪽으로 바람에 의한 모래날림을 방지하고 식생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모래를 덮거나 바자를 얽는 것보다는 퇴적물을 이용하여 정사울을 세우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퇴적물이 쌓이면서 모래날림을 방지하고, 정사울 위에 식물을 심어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임도시공 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준설 : 물 속의 흙을 파내는 것
  2. 취토장 : 흙이 남아서 버리는 곳
  3. 매립 : 물에 흙을 메워 육지로 만드는 것
  4. 흙일 : 흙을 깎거나 쌓아 올리는 모든 작업
(정답률: 70%)
  • 취토장은 흙이 남아서 버리는 곳이 아니라, 건설 현장에서 생긴 흙이나 돌같은 재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소를 말한다. 따라서 "취토장 : 흙이 남아서 버리는 곳"이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역면적의 단위가 ha일 때 유량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C : 유출계수, I : 강우강도(mm/hr), A : 면적)

  1. Q = 2778CIA(m3/sec)
  2. Q = 0.2778CIA(m3/sec)
  3. Q = 0.02778CIA(m3/sec)
  4. Q = 0.002778CIA(m3/sec)
(정답률: 66%)
  • 유역면적의 단위가 ha이므로, 면적 A는 m2로 변환해야 한다. 1ha는 10,000m2이므로, A = 10,000ha = 1,000,000m2이 된다.

    따라서, 유량공식 Q = CIA에서 A를 1,000,000로 대입하면 Q = 0.002778CIA(m3/sec)가 된다. 이는 정답 중에서 마지막 보기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횡단배수구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옆도랑의 물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
  2. 표면배수 또는 지하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설
  3. 배수관의 연결부 또는 배수시설의 단면이 변화하는 곳에 설치
  4. 작은 골짜기 유역으로부터 집수되는 유수처리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
(정답률: 50%)
  • "배수관의 연결부 또는 배수시설의 단면이 변화하는 곳에 설치"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올바른 설치 위치이며, 횡단배수구는 배수관이나 배수시설의 연결부나 단면이 변화하는 곳에 설치되어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산복수로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수가 집중되는 凹부에 설치한다.
  2. 떼수로공은 집수구역이 좁은 곳에 설치한다.
  3. 수로의 시작과 끝에는 반드시 수평대공작물을 적용한다.
  4. 가급적 수로의 기울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감소하게 계획된다.
(정답률: 60%)
  • "떼수로공은 집수구역이 좁은 곳에 설치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산복수로공은 산지나 언덕지대에서 물을 수집하고, 농경지로 배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수가 집중되는 凹부에 설치하고, 수로의 시작과 끝에는 반드시 수평대공작물을 적용해야 합니다. 또한, 가급적 수로의 기울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감소하게 계획됩니다. 이는 물이 빠르게 흐르면 토양이 침식되고, 물이 느리게 흐르면 침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트랙터의 구입가격이 5000만원이고 수명이 5000시간이며 잔존가치는 구입가격의 20%일 때 이 기계의 시간당 감가상각비는?

  1. 1,250원
  2. 8,000원
  3. 12,500원
  4. 80,000원
(정답률: 67%)
  • 시간당 감가상각비는 잔존가치를 제외한 가격을 수명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5000만원 - 20%의 잔존가치) / 5000시간 = 8,000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벌도 시 벌목방향을 확정하고 벌도목이 쪼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원 부근에 만드는 것은?

  1. 추구
  2. 수구
  3. 벌도구
  4. 수평구
(정답률: 70%)
  • 수구는 벌목 시 벌목방향을 확정하고 벌도목이 쪼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근원 부근에 만드는 구조물입니다. 벌목기가 나무를 벨 때 수구 안으로 나무를 끌어들이면서 벌목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구는 벌목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선집재작업이 수행 가능한 장비로 가장 효율적인 것?

  1. 하베스터
  2. 펠러번처
  3. 프로세서
  4. 타워야더
(정답률: 72%)
  • 가선집재작업은 나무를 자르고 가지를 제거하는 작업이므로, 가장 효율적인 장비는 나무를 자를 수 있는 톱과 가지를 제거할 수 있는 가지 제거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타워야더"는 톱과 가지 제거 장비가 모두 탑재되어 있어서 가선집재작업에 가장 효율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중력침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산붕
  2. 산사태
  3. 땅밀림
  4. 해안사구
(정답률: 77%)
  • 중력침식은 경사면에서 토사입자가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해안사구는 해안에서 파도에 의해 발생하는 침식 현상으로, 중력에 의한 이동이 아닙니다. 따라서 해안사구는 중력침식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선임도 밀도가 10m/ha이며, 임도효율요인이 4인 경우 트랙터를 이용한 평균집재거리는?

  1. 2.5M
  2. 40M
  3. 400M
  4. 2,500M
(정답률: 34%)
  • 임도효율요인은 톱날이 나무를 베는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4라는 것은 톱날이 나무를 베는 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트랙터를 이용한 평균집재거리는 밀도가 10m/ha이므로 1ha당 나무의 수는 1000그루이다. 이때, 톱날이 매우 효율적이므로 1그루의 나무를 베는 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아진다. 따라서 평균집재거리는 400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단면 A의 면적은 180m2, 단면 B의 면적은 600m2이고 양단면 사이의 거리가 20m이면 양단면적평균법을 이용한 토량(m3)은?

  1. 7,800
  2. 8,600
  3. 9,400
  4. 12,600
(정답률: 64%)
  • 양단면적평균법을 이용하여 토량을 구할 때는 단면 A와 단면 B의 면적을 각각 A와 B라고 하면, 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토량 = (A+B)/2 × 거리

    여기에 A=180, B=600, 거리=20을 대입하면,

    토량 = (180+600)/2 × 20
    = 39000

    따라서, 토량은 39,000m3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7,800"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단위를 변환한 결과이다. 39,000m3을 1,000으로 나누면 39이 되고, 이를 다시 5로 나누면 7.8이 된다. 따라서, 답은 7,8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멘트 저장 중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경미한 수화작용을 일으키고, 그 결과 생긴 수산화칼슘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탄산칼슘이 만들어져서 시멘트 강도가 약해지는 작용은?

  1. 풍화
  2. 응결
  3. 경화
  4. 분말도
(정답률: 69%)
  • 시멘트가 저장되는 동안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생긴 수산화칼슘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탄산칼슘이 만들어지면서 시멘트 강도가 약해지는데, 이러한 작용을 풍화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방위각 275°를 방위로 표기하면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N85°W
  2. S85°W
  3. N95°W
  4. S95°W
(정답률: 57%)
  • 방위각 275°는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275° 떨어진 방향을 의미한다. 이를 북쪽(N)과 서쪽(W)으로 나누어 표기하면 N275°W가 된다. 그러나 방위는 항상 90° 단위로 표기되어야 하므로, N275°W를 N85°W로 간략화하여 표기한다. 이는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85° 떨어진 서쪽 방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임도의 너비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향곡선지의 경우 유효너비 6m이상으로 한다.
  2.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는 각각 50cm ~ 1m 범위로 한다.
  3. 임도의 곡선 반경이 10m 이상일 경우 곡선부 너비를 확대한다.
  4. 길어깨 및 옆도랑을 포함한 임도의 너비는 3m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는 각각 50cm ~ 1m 범위로 한다." 이다. 이유는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는 도로의 종류, 교통량, 차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범위로 정해져 있으며, 정확한 너비는 도로 설계 시 고려되어 결정된다. 따라서, 정확한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는 50cm ~ 1m 범위 내에서 결정되며, 이는 임도의 너비와는 별개의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