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기계정비산업기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1. 다음 중 2 차 압력을 일정하게 만들 수 있는 밸브는?

  1. 갑압벨브
  2. 릴리프밸브
  3. 시퀸스밸브
  4. 무부하밸브
(정답률: 55%)
  • 갑압벨브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로,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밸브가 닫혀서 압력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2 차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기호 중 릴리프 밸브는?

(정답률: 89%)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 기호가 릴리프 밸브를 나타내는 기호 중 유일하게 밸브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른 기호들은 밸브가 닫혀있거나,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압펌프의 동력 (Lp) 을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단, p=펌프토출압 (kg/cm2) . Q=이론토출량 (l/min) η = 전효율 이다 )

  1. Lp=P x Q /450 η kW
  2. Lp=P x Q /612 η kW
  3. Lp=P x Q /7500 η kW
  4. Lp=P x Q /10200 η kW
(정답률: 43%)
  • 유압펌프의 동력은 펌프가 일정한 압력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이를 높은 압력으로 토출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 동력은 토출압과 이론토출량, 그리고 전효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Lp=P x Q /612 η kW 식이 맞는 것이다. 이 식에서 612는 60초와 1000을 곱한 값으로, 분당 토출량을 초당 토출량으로 변환하고, 또 kW 단위로 동력을 표시하기 위한 상수이다. 따라서 이 식을 사용하여 유압펌프의 동력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압축공기 내 오염 물질의 영향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필터, 윤활기 등의 활성수지 파손
  2. 슬라이딩부 등의 홈집이나 부식발생
  3. 밸브의 고착, 마모, 시일 불량 발생
  4. 실린더의 진동 발생
(정답률: 58%)
  • 압축공기 내 오염 물질이 필터, 윤활기 등의 활성수지를 파손하거나 슬라이딩부 등의 부식을 발생시키거나 밸브의 고착, 마모, 시일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실린더의 진동 발생은 압축공기 내 오염 물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실린더의 진동 발생"이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동조회로 ( 싱크로나이징 ) 란?

  1. 복수 실린더나 모터를 가변속도로 동작시킬 때
  2. 복수 실린더나 모터를 등속도로 동작시킬 때
  3. 단일 실린더나 모터를 가변속도로 동작시킬 때
  4. 단일 실린더나 모터를 등속도로 동작시킬 때
(정답률: 43%)
  • 동조회로는 복수 실린더나 모터를 등속도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방법이다. 이는 각 실린더나 모터의 동작을 조절하여 전체적으로 등속으로 동작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확한 운전이 가능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유압∙공유압 도면기호는 어떤 보조기기의 기호인가?

  1. 압력계
  2. 차압계
  3. 온도계
  4. 유량계
(정답률: 38%)
  • 위 도면기호는 차압계를 나타낸다. 차압계는 두 개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나타내는 기기이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왕복헝 공기 압축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진동이 적다.
  2. 고압에 적합하다.
  3. 소음이 적다.
  4. 맥동이 적다.
(정답률: 79%)
  • 왕복헝 공기 압축기는 고압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왕복헝 공기 압축기가 작동할 때, 고압을 유지하기 위해 작동 주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압 작업에 적합하며, 대용량의 공기 압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 기압은 수은주 760mmHg OI다. 상온의 물이라면 이것의 수두는 얼마인가?

  1. 0.76 m
  2. 1.034 m
  3. 7.6 m
  4. 10.34 m
(정답률: 61%)
  • 기압은 수은주 760mmHg 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하면 물의 수압은 1 atm 이다. 따라서, 물의 밀도가 1000 kg/m^3 이고 중력가속도가 9.8 m/s^2 일 때, 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수두 = (기압 / 밀도 * 중력가속도) = (760 mmHg / 1000 kg/m^3 * 9.8 m/s^2) = 0.101325 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34 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압력
  2. 하중
  3. 실린더
  4. 피스톤
(정답률: 46%)
  • 정답: 압력

    설명: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을 압력이라고 합니다. 압력은 힘과 면적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단위는 파스칼(Pa)입니다. 예를 들어, 손바닥으로 땅을 두드리면 작용하는 힘이 같더라도 손바닥 면적이 작으면 압력이 높아져서 아픔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은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3위치 4포트 밸브 중 클로즈센터형 밸브에 대한 설명이다. 밸브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실린더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2. 중립위치에서 펌프를 무부하 시킬 수 있다.
  3. 1개의 펌프로 2개 이상의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다.
  4. 급격한 밸브 전환시 서지압이 발생 된다.
(정답률: 35%)
  • "중립위치에서 펌프를 무부하 시킬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클로즈센터형 밸브는 중립위치에서는 두 개의 포트가 차단되어 있어 유체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므로 펌프를 무부하 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 "실린더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 클로즈센터형 밸브는 중립위치에서는 두 개의 포트가 차단되어 있어 실린더를 고정시킬 수 있다.
    - "1개의 펌프로 2개 이상의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다." : 클로즈센터형 밸브는 3위치 4포트 구조로, 하나의 펌프로 두 개 이상의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다.
    - "급격한 밸브 전환시 서지압이 발생 된다." : 클로즈센터형 밸브는 밸브 전환시 서지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밸브 조작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제어 (cont ro I) 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측정장치 , 제어장치 등을 장비하는 것
  2. 어떤 목적에 적합하도록 대상이 되어 있는 것에 필요한 조작을 가하는 것
  3. 어떤 양을 기준으로하여 사용하는 앙과 비교하여 수치 나 부호로 표시하는 것
  4. 입력신호보다 높은 레벨의 출력신호를 주는 것
(정답률: 65%)
  • 제어란 어떤 목적에 적합하도록 대상이 되어 있는 것에 필요한 조작을 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측정장치, 제어장치 등을 장비하는 것이 필요하며, 입력신호를 받아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대상을 조작합니다. 이때 출력신호는 입력신호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어는 어떤 양을 기준으로하여 사용하는 앙과 비교하여 수치나 부호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발생되는 자력에 외하여 스위치 작동을 행하는 것은?

  1. 로드 셀
  2. 용량형 센서
  3. 리드 스위치
  4. 초음파 센서
(정답률: 67%)
  • 리드 스위치는 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로, 자기장이 발생될 때 스위치가 작동하여 전기 신호를 보내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스위치 작동을 행하는 것이 리드 스위치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로터리 인덕싱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로 적합한 것은?

  1. 공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할 때
  2. 가공물이 여러 공정을 거쳐 작업될 때
  3. 큰 직경의 로드 형상 재질이 가공될 때
  4. 스트립 형태의 재질이 길이 방향으로 작업될 때
(정답률: 71%)
  • 로터리 인덱싱 장치는 여러 개의 작업 위치를 가지고 있어 한 번에 여러 공정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공물이 여러 공정을 거쳐 작업될 때 로터리 인덱싱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속적인 시간에 대하여 연속적인 정보를 가지는 신호는?

  1. 아날로그 신호
  2. 디지털 신호
  3. 이산시간 신호
  4. 불연속 신호
(정답률: 65%)
  •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인 시간에 대하여 연속적인 정보를 가지는 신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값이 부드럽게 변화하며, 무한히 많은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소리나 온도 등의 물리적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bar 의 압력 값과 다른 것은?

  1. 750.061 mmHg
  2. 14.507 PSI
  3. 100000 Pa
  4. 101325 N/m2
(정답률: 36%)
  • 1bar은 100000 Pa와 같다. 따라서, "101325 N/m^2"는 1bar과 같은 압력 값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단위로 표현된 압력 값이다. "750.061 mmHg"는 수은의 높이로 표현된 토르르(1토르 = 1mmHg)이고, "14.507 PSI"는 파운드 힘으로 표현된 압력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직류 전동기가 저속으로 회전할 때 그 원인에 해당하지 않것은?

  1. 축받이 불량
  2. 단상 운전
  3. 코일의 단락
  4. 과부하
(정답률: 22%)
  • 직류 전동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원인은 축받이 불량, 코일의 단락, 과부하 등이 있을 수 있지만, 단상 운전은 그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단상 운전은 전원이 한 상으로만 공급되어 전동기가 회전하지 못하고 정체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따라서, 단상 운전은 직류 전동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휘발성 메모리의 일종으로 데이터 보존을 위한 리프레시(Ref lash) 신호가 계속 공급 띨어야 하는 것은?

  1. ROM
  2. DRAM
  3. SRAM
  4. EPRAM
(정답률: 48%)
  • DRAM은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전하를 축적하는 캐패시터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캐패시터는 전하를 오랫동안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리프레시 신호를 받아 전하를 다시 축적해야 합니다. 따라서 DRAM은 데이터 보존을 위한 리프레시 신호가 계속 공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40kgf/cm2의 사용압력으로 5000Qkgf의 힘을 내고 0.5m 의 행정거리를 0.Q1m/sec 의 속도로 움직 이는 유압 프레스를 설계활 때 필요한 실린더 직경 및 펌프의 토출유량은 약 얼마인가?

  1. 16.3 mm, 11ℓ/min
  2. 163 mm, 11ℓ/min
  3. 17.3 mm, 12ℓ/min
  4. 273 mm, 12ℓ/min
(정답률: 47%)
  • 유압 프레스에서 사용되는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힘 = 압력 × 면적

    면적 = 힘 ÷ 압력 = 5000Qkgf ÷ 240kgf/cm2 = 20.83cm2

    따라서 실린더의 직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면적 = (π/4) × 직경2

    직경 = √(면적 × 4/π) = √(20.83cm2 × 4/π) ≈ 163mm

    행정거리와 속도를 이용하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시간 = 행정거리 ÷ 속도 = 0.5m ÷ 0.Q1m/sec ≈ 45.45초

    토출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토출유량 = 사용압력 × 실린더 피스톤 면적 ÷ 시간

    피스톤 면적 = 면적 = 20.83cm2

    토출유량 = 240kgf/cm2 × 20.83cm2 ÷ 45.45초 ≈ 11ℓ/min

    따라서 정답은 "163 mm, 11ℓ/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메모리 중에서 사용자가 1 번에 한하여 써 넣을 수 있는 것은?

  1. EAROM
  2. EEROM
  3. EPROM
  4. PROM
(정답률: 61%)
  • 정답은 "PROM"입니다. PROM은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사용자가 한 번만 프로그래밍하여 데이터를 쓸 수 있는 메모리입니다. EAROM은 Electrically Alterable Read-Only Memory로,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EEROM은 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로,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지울 수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EPROM은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로, 사용자가 여러 번 프로그래밍하여 데이터를 쓸 수 있지만, 지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압 시스템의 고장 중 윤활유와 섞여 에멀전 상태 가 되거 나 수지상태가 되어 밸브의 동작이 방해 되는 고장의 원인은?

  1. 공급유량의 부족
  2. 이물질로 인한 고장
  3. 공기의 누설
  4. 수분으로 인한 고장
(정답률: 67%)
  • 수분이 공압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면, 윤활유나 기타 유체와 섞여 에멀전 상태나 수지상태가 되어 밸브의 움직임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는 공압 시스템의 정확한 동작을 방해하고,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분으로 인한 고장은 공압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진단관리 및 기계정비

21. 다응 중 변위센서에 해당하는 것은?

  1. 와전류식 센서
  2. 동전형 센서
  3. 압전형 센서
  4. 기전력 센서
(정답률: 48%)
  • 와전류식 센서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을 이용하여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변위에 따라 전선의 길이가 변하면 전류의 크기도 변하게 되어 이를 측정하여 변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다응 중 변위센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응 급유법 중 가장 이상적인 급유법은 어느 것인가?

  1. 유욕 급유법
  2. 적하 급유법
  3. 강제순환 급유법
  4. 수 급유법
(정답률: 40%)
  • 강제순환 급유법은 가장 이상적인 급유법입니다. 이는 모든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데드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급유법은 각각 한 가지 이상의 단점이 있습니다. 유욕 급유법은 자원 낭비가 심하고, 적하 급유법은 데드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 급유법은 자원 활용이 불균형하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제순환 급유법은 자원 활용과 데드락 방지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급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윤활 상태 중 기름의 점도에 대하여 유체역학적 으로 설명 할 수 없는 유막의 성질 즉, 유성 (oilness)에 관계되며 시동이나, 정지 전, 후에 반드시 일어나는 윤활 상태는?

  1. 유체 윤활
  2. 극압 윤활
  3. 경계 윤활
  4. 완전 윤활
(정답률: 42%)
  • 기름의 점도는 유체의 저항을 나타내는데, 이는 유체의 분자 간 마찰로 인해 발생합니다. 하지만 윤활 상태에서는 분자 간 마찰이 줄어들어 유체의 저항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유성이라고 불리는 성질로, 유성이 높을수록 윤활 효과가 높아집니다.

    시동이나 정지 전후에는 부품들이 서로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경계 윤활이 일어납니다. 경계 윤활은 부품의 표면에 기름이 끼어들어 마찰을 줄여주는 현상으로,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동이나 정지 전후에는 경계 윤활이 필수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설비의 노화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진동
  2. 소음
  3. 기름의 오염도
  4. 가격
(정답률: 81%)
  • 설비의 노화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설비의 상태와 관련된 것들이며, 가격은 설비의 노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격은 설비의 노화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은 설비관리 조직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1. 매트릭스(Matrix) 조직은 상사가 1인 이상이다.
  2. 제품중심조직은 특정 사업에 대한 집중적 기술투자가 쉽지 않다
  3. 기능중심조직은 전반적인 기술개발에 대한 총괄 업무의 부족현상이 발생한다.
  4. 제품중심조직은 고객 지향이 되지 못한다
(정답률: 46%)
  • 매트릭스(Matrix) 조직은 다양한 기능 부서와 프로젝트 팀이 함께 일하는 형태의 조직이다. 이 때, 프로젝트 팀은 특정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해당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상사의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매트릭스 조직에서는 상사가 1인 이상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피크값 (편진폭)을 기준한 진동의 크기가 1 일 때 실효값의 크기는?

  1. 2
  2. 1/2
  3. 1/π
  4. 1/√2
(정답률: 75%)
  • 피크값이 1인 진동의 경우, 최대 진폭은 1이다. 이 때, 실효값은 최대 진폭의 1/√2 이다. 이는 진폭이 변할 때 전력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기 회로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때 중요한 개념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설비의 신뢰상 평가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평균고장간격이란 신뢰성의 대상물이 사용되어 처음 고장이발생할 때 까지의 평균시간을 말한다.
  2. 평균고장시간이란 설비의 고장수에 대한 전 사용 시간의 비율을 말한다.
  3. 고장물이란 일정기간 동안 발생하는 단위시간당 고장 횟수롤 말한다.
  4. 보전성이란 어느 특정순간에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확률을 말한다.
(정답률: 38%)
  • "평균고장간격이란 신뢰성의 대상물이 사용되어 처음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의 평균시간을 말한다."라는 설명이 적절하다. 이는 설비가 처음 고장이 발생하기까지 얼마나 오랫동안 작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신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설비의 신뢰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평균고장간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음의 한 파장이 전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장
  2. 주파수
  3. 주기
  4. 변위
(정답률: 61%)
  • 주기는 파동이 한 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음의 한 파장이 전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주기라고 합니다. 주파수는 단위 시간당 파동의 진동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변위는 파동의 진폭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응 중 가장 경제적인 최적수리 주기는?

  1. 보전비가 최소일 때
  2. 열화손실이 최소일 때
  3. 열화로 인한 고장간격이 가장 길 때
  4. 열화손실과 보전정비의 합이 최소일 때
(정답률: 56%)
  • 열화손실과 보전정비의 합이 최소일 때가 가장 경제적인 최적수리 주기이다. 이는 열화로 인한 고장간격이 가장 길 때와 보전비가 최소일 때와는 다르게, 열화로 인한 손실과 보전정비 비용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수리 주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음향진단에서 주파수를 나타내는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소리속도 / 파장
  2. 파장 / 소리속도
  3. 밀도 / 소리속도
  4. 소리속도 / 밀도
(정답률: 47%)
  • 주파수는 파장과 관련이 있으며, 파장은 소리속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파장이 작아지면 주파수가 커지며, 파장이 커지면 주파수가 작아집니다. 이는 소리가 한 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지면 주파수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파수를 나타내는 관계식은 "소리속도 / 파장"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미끄럼 베어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진동현상은?

  1. 오일 휩 (oil whip)
  2. 미스얼라인먼트 (misaIignment)
  3. 압력 맥동
  4. 공동(cavitation)
(정답률: 36%)
  • 미끄럼 베어링에서 오일 휩 현상은 오일이 베어링 내부에서 고속 회전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오일이 베어링 내부에서 고속 회전할 때 생기는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압력 차이는 베어링 내부에서 오일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압력 차이로 인해 베어링 내부에서 진동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진동은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설비의 돌발적 고장이 발생 하였을 때의 손실이 아닌 것은?

  1. 제품의 불량에 의한 손실
  2. 품질저하에 따른 손실
  3. 생산계획착오로 인한 납기단축
  4. 돌발고장의 수리비의 지출
(정답률: 69%)
  • 생산계획착오로 인한 납기단축은 설비의 돌발적 고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설비의 돌발적 고장은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어 생산량이 감소하거나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어 불량품이 발생하거나 수리비가 발생하는 등의 손실이 발생한다. 하지만 생산계획착오로 인한 납기단축은 생산계획의 오류로 인해 생산량이 부족하거나 생산이 지연되어 납기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 발생하는 손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비계획에 필요한 예비품의 종류 중 전 공장에 영향을 미치는 동력 설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부분 예비품
  2. 라인예비품
  3. 단일기계 예비품
  4. 부분적 세트(set)예비품
(정답률: 46%)
  • 전 공장에 영향을 미치는 동력 설비는 대부분 단일기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예비품으로는 단일기계 예비품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 부분 예비품이나 라인예비품은 여러 기계나 라인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예비품이므로, 전 공장에 영향을 미치는 동력 설비에 대한 예비품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부분적 세트(set)예비품은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일부만 교체해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예비품이므로, 단일기계 예비품보다는 라인예비품에 더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음파가 1초동안에 전파하는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음압
  2. 음량
  3. 음속
  4. 음향임피던스
(정답률: 69%)
  • 음파는 소리의 파동이며, 소리는 공기 분자의 진동으로 전파됩니다. 이때 음파가 1초동안 전파하는 거리를 음속이라고 합니다. 즉, 음속은 소리가 전파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비작업 표준에서 표준시간의 결정방법이 아닌 것은?

  1. 경험법
  2. 실적자료법
  3. 작업연구법
  4. 관적 자료법
(정답률: 64%)
  • 정비작업 표준에서 표준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경험법, 실적자료법, 작업연구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관적 자료법"은 표준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관적 자료법은 주관적인 판단이나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관성이 없을 수 있고,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비작업 표준에서는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표준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소음 투과율의 정의로 알맞은 것은?

  1. 투과된 에너지 / 입사에너지
  2. 10 log( 입사에너지 / 투과된 에너지 )
  3. 입사에너지 / 투과된 에너지
  4. 10 log( 투과된 에너지 / 입사에너지 )
(정답률: 45%)
  • 소음 투과율은 입사한 소음 에너지 중 실내로 투과하여 들어오는 소음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정의에 따라 "투과된 에너지 / 입사에너지"가 알맞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팽창식 체임버의 소음홉수 능력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는?

  1. 진동비
  2. 체적비
  3. 면적비
  4. 소음비
(정답률: 52%)
  • 팽창식 체임버의 소음홉수 능력은 면적비에 의해 결정됩니다. 면적비란 체임버 내부의 표면적과 구멍의 크기와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면적비가 높을수록 소음홉수 능력이 높아집니다. 이는 구멍이 많고 크기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소리 파동이 흡수되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면적비는 팽창식 체임버의 소음홉수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차음벽의 무게는 중간 이상 주파수 소음의 투과손실을 결 정한다. 무게를 두배 증가시킬 때 투과 손실은 이론적으로 얼마나 증가 하는가?

  1. 2 dB
  2. 4 dB
  3. 5 dB
  4. 6 dB
(정답률: 70%)
  • 차음벽의 투과 손실은 무게의 로그에 비례한다. 따라서 무게를 두배로 증가시키면 로그 값이 0.3 증가하게 된다. 로그 값이 0.3 증가하면 10^(0.3) = 2배 증폭된다. 따라서 투과 손실은 2배 증폭되므로 6 dB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롤링 베어링에 발생하는 진동의 종류가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보기 3, 4번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4번 입니다.)

  1. 다듬면의 굴곡에 의한 진동
  2. 베어링 구조에 기인하는 진동
  3. 2개월
  4. 6개월
(정답률: 62%)
  • 정답은 4번입니다.

    롤링 베어링에 발생하는 진동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다듬면의 굴곡에 의한 진동
    2. 베어링 구조에 기인하는 진동
    3. 구동부나 부하의 불균형에 의한 진동
    4. 외부 환경에 의한 진동

    따라서, 4번은 롤링 베어링에 발생하는 진동의 종류가 아닙니다.

    6개월이 정답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롤링 베어링의 수명은 6개월에서 1년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베어링의 사용 환경, 부하, 회전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 기간마다 베어링을 교체하거나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중 보전조직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절충보전
  2. 부분보전
  3. 사후보전
  4. 집중보전
(정답률: 35%)
  • 사후보전은 이미 피해가 발생한 후에 보전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보전조직의 형태가 아닙니다. 다른 보전조직들은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거나, 피해가 발생한 지역을 중심으로 보전 활동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41. 열전온도계에 이용하는 현상은?

  1. 펠티어 효과
  2. 지벡 효과
  3. 줄 효과
  4. 피에조 효과
(정답률: 75%)
  • 열전온도계에 이용하는 현상은 지벡 효과입니다. 지벡 효과란, 일정한 온도에서 전기장이 가해지면 일정한 방향으로 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열전온도계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전기장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전하의 이동 방향이 바뀌어 전극 사이의 전압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를 측정하여 온도를 알아내는 것이 열전온도계의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일반적인 제어계의 기본적 구성에서 조절부와 조작부로 표현되는 것은?

  1. 비교부
  2. 외란
  3. 제어요소
  4. 작동신호
(정답률: 59%)
  • 조절부와 조작부는 제어요소의 일종으로, 시스템을 제어하고 조작하기 위한 요소입니다. 제어요소는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절부와 조작부는 제어요소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비교부"와 "외란"은 제어요소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며, "작동신호"는 제어요소의 출력 신호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기자 철심용으로 얊은 규소 강판을 성층하는 이유는?

  1. 비용 절감
  2. 기계손 감소
  3. 와류손 감소
  4. 가공 용이
(정답률: 54%)
  • 얊은 규소 강판을 사용하면 전기자 철심의 와류손이 감소하기 때문에 선택지 중 "와류손 감소"가 정답입니다. 이는 전기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력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국제 단위계 {SI) 에서 사용되는 기본 단위가 아닌것은?

  1. 시간
  2. 부피
  3. 질량
  4. 광도
(정답률: 61%)
  • SI 단위계에서 사용되는 기본 단위는 시간(초), 질량(킬로그램), 광도(칸델라), 그리고 부호(암페어)입니다. 부피는 SI 단위계에서 기본 단위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미터법을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부피의 SI 단위는 미터의 세제곱미터(m³)이지만, 일반적으로 더 작은 단위인 리터(L)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접촉 검출 스위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광전 스위치
  2. 마이크로 스위치
  3. 초음파 스위치
  4. 근접 스위치
(정답률: 51%)
  •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촉식 스위치로, 스위치의 동작 원리는 접촉 부분의 변위에 따라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접촉 검출 스위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반전 증폭기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즉 전압이득을 바르게 표현한 식은?

  1. R2/R1
  2. -R2/R1
  3. (1+R2/R1)
  4. (1-R2/R1)
(정답률: 61%)
  • 입력전압이 Vin일 때, R1과 R2에 의해 나누어진 전압은 Vin x R2 / (R1 + R2) 이다. 이때, 반전 증폭기의 출력전압은 이 전압에 -R2의 게인을 곱한 값이므로, Vout = -Vin x R2 / (R1 + R2) x (-R2) / R1 이다. 이를 정리하면 Vout = -R2 / R1 x Vin 이므로, 전압이득은 -R2 / R1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R2/R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축전기의 정전용량을 C[F], 전위차를 v [V], 저장 된 전기량울 Q[C]이라고 할 때 정전 에너지를 나타내는 식중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1%)
  • 정전 에너지를 나타내는 식은 E = 1/2 * C * v^2 이다. 따라서 보기 중 옳지 않은 것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에서는 저장된 전기량 Q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선에 흐르는 교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계기는?

  1. 절연 저항계
  2. 클램프 미터
  3. 회로 시험기
  4. 접지저항계
(정답률: 46%)
  • 클램프 미터는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도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계기로, 도선을 감싸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도선을 끊지 않고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두 코일의 자체인덕턴스를 L1, L2 결합계수를 K라 할때 상호 인덕턴스는 어떻게 나타내는가?

(정답률: 52%)
  • 상호 인덕턴스는 M으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 = K√(L1L2)

    보기에서 정답이 "" 인 이유는 K가 1일 때, 즉 완전 결합일 때 상호 인덕턴스가 최대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때의 상호 인덕턴스는 두 코일의 자체인덕턴스의 제곱근과 같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잔류 편차가 발생하는 제어계는?

  1. 비례 제어계
  2. 적분 제어계
  3. 비례 적분 제어계
  4. 비례 적분 미분 제어계
(정답률: 49%)
  • 잔류 편차란, 제어 시스템에서 원하는 값과 실제 값의 차이가 남아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잔류 편차가 발생하는 제어계는 비례 제어계입니다. 비례 제어계는 현재 편차에 비례하여 제어 입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편차가 0이 되지 않으면 제어 입력이 계속해서 변화하며, 이로 인해 잔류 편차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명 'PD 미터라고토 부르며 오발 (OVAl) 기어형과 루츠(ROOTS)미터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유량 계는?

  1. 전자 유량계
  2. 와류식 유량계
  3. 용적식 유량계
  4. 터빈식 유량계
(정답률: 58%)
  • 용적식 유량계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내부의 용적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오차가 적고, 다양한 유체에 대해 적용 가능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PD 미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적식 유량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원 회로에서 리플 (ripple) 전압이란?

  1. 정류된 직류전압
  2. 정류된 전압의 교류분
  3. 부하시의 전압
  4. 무부하시의 전압
(정답률: 35%)
  • 전원 회로에서 리플 (ripple) 전압은 정류된 전압의 교류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원 회로에서 발생하는 파동 현상으로,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부드럽게 유지되지 않고 일정 주기로 변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리플 전압은 전자기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필터링이나 안정화 회로를 사용하여 제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동밸브외 제어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포지셔너 (POSitioner) 는?

  1. 전기- 전기식 포지셔너
  2. 전기 -유압식 포지셔너
  3. 전기- 공기식 포지셔너
  4. 공기 -공기식 포지셔너
(정답률: 68%)
  • 전동밸브의 제어를 위해서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밸브의 위치를 제어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기-전기식 포지셔너가 사용됩니다. 이 포지셔너는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밸브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른 포지셔너들은 유압이나 공기를 이용하여 밸브를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응 그림과 같은 압력의 측정표시는 어떤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인가?

  1. 절대 압력
  2. 게이지 압력
  3. 차압
  4. 정압
(정답률: 54%)
  • 위 그림은 절대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압력을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대기압을 0으로 보고 측정합니다. 따라서, 절대 압력은 압력의 절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게이지 압력과 차압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계측된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노이즈의 원인이 아닌것은?

  1. 전도
  2. 정전 유도
  3. 중첩
  4. 온도변화
(정답률: 64%)
  • 온도변화는 계측된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노이즈의 원인이 아닙니다. 전도, 정전 유도, 중첩은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온도변화는 전기적인 신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노이즈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퀀스제어에 사용되는 지령용 기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캠 스위치
  2. 토글 스위치
  3. 압력스위치
  4. 텀블러스위치
(정답률: 21%)
  • 시퀀스 제어에 사용되는 지령용 기기는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로, 캠 스위치, 압력 스위치, 텀블러 스위치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토글 스위치는 단순한 ON/OFF 스위치로, 시퀀스 제어에 사용되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글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2진수 1011101 1010을 16진수 값으로 변환하면?

  1. 135.5
  2. 5D.A
  3. B5.5
  4. B5.A
(정답률: 42%)
  • 2진수 1011101 1010을 4자리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5D.A가 된다.

    1011 1010 -> BA

    101 1101 -> 5D

    결과적으로 1011101 1010은 16진수로 5D.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쿨롱 (Coulomb) 의법칙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두 전하를 연결하는 직선상에서 같은 종류의 전하 사이 에는반발력이 작용한다
  2.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전하간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3.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매질의 종류에 의해 정해 진다
  4.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전하의 크기에 비례한다.
(정답률: 48%)
  •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매질의 종류에 의해 정해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쿨롱의 법칙은 매질에 의존하지 않고 두 전하 사이의 거리와 크기에만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전하간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이는 전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힘이 약해지고, 가까워질수록 힘이 강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도 전동기의 극수가 4 이고 , 주파수가 60 Hz 일 때 전동기회전속도는 몇 rpm 인가?

  1. 1200
  2. 1800
  3. 2400
  4. 3600
(정답률: 51%)
  • 유도 전동기의 회전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회전속도 (rpm) = (주파수 × 60) ÷ 극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회전속도 (rpm) = (60 × 60) ÷ 4 = 900 × 2 = 1800

    따라서, 정답은 "1800" 이다. 이유는 주어진 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그렇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시퀀스제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릴레이 회로도
  2. 타임 차트
  3. 플로 차트
  4. 나이퀴스트 선도
(정답률: 62%)
  • 나이퀴스트 선도는 시간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방식이며, 시퀀스제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반면, 릴레이 회로도, 타임 차트, 플로 차트는 모두 시퀀스제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정비 일반

61. 원심형 팬 (fan) 을 냉난방용으로 사용할 경우 필터의 설치 위치는?

  1. 배기측
  2. 홉기측
  3. 토출측
  4. 덕트와 연결부촉
(정답률: 40%)
  • 원심형 팬은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회전시킨 후 배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 공기 중에는 먼지나 기타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필터를 설치하여 이를 걸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원심형 팬을 냉난방용으로 사용할 경우 필터의 설치 위치는 "홉기측"입니다. 이는 팬의 흡입구 쪽에 필터를 설치하여 공기를 걸러내기 때문입니다.

    배기측이나 토출측에 필터를 설치하면 이미 회전한 공기에 불순물이 섞여있는 상태에서 걸러내기 때문에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덕트와 연결부촉에 필터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아베의 원리 (Abbe ’ s principle) 에 어긋나는 측정기는?

  1. 외측 마이크로미터
  2. 내측 마이크로미터
  3. 나사 마이크로미터
  4. 깊이 마이크로미터
(정답률: 26%)
  • 아베의 원리는 광학계에서 물체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원리로, 광선이 물체를 통과할 때 굴절되는 각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내측 마이크로미터는 외부에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측정하는데, 이는 광선이 물체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아베의 원리에 어긋나게 됩니다. 따라서 내측 마이크로미터는 아베의 원리에 어긋나는 측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멍키스때너의 규격을 나타내는 것은?

  1. 무게
  2. 전체의 길이
  3. 입의 최대 너비
  4. 적용 가능한 볼트의 최대 직경
(정답률: 40%)
  • 멍키스때너는 두 개의 측정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측정면 사이의 거리가 전체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멍키스때너의 규격을 나타내는 것은 전체의 길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어의 치면 열화가 아닌 것은?

  1. 마모
  2. 소성항복
  3. 표면피로
  4. 과부하 절손
(정답률: 50%)
  • 기어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하중이 너무 크거나 갑작스러워서 기어의 치면이 갑자기 부러지는 현상을 과부하 절손이라고 합니다. 마모는 기어의 표면이 마모되는 것을 말하며, 소성항복은 기어가 일정한 온도에서 변형되는 것을 말합니다. 표면피로는 기어의 표면에 생기는 피로균열로 인한 손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압축기에서 발생한 고온의 압축공기를 그대로 사용하면 패킹의 열화를 촉진하거나 기기에 나쁜 영향을 주므로 이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기기는?

  1. 애프터 쿨러
  2. 필터
  3. 공기건조기
  4. 방열기
(정답률: 72%)
  • 압축기에서 발생한 고온의 압축공기를 그대로 사용하면 기계나 패킹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냉각하는 기기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기가 "애프터 쿨러"입니다. 애프터 쿨러는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의 압축공기를 냉각하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기계나 패킹의 열화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공기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송풍기 분류 중 앙쪽 흐름 다단형은 어느 분류에 속하는가?

  1. 임펠러 흘입구에 의한 분류
  2. 배기 방법에 의한 분류
  3. 냉각 방법에 의한 분류
  4. 단수에 의한 분류
(정답률: 52%)
  • 앙쪽 흐름 다단형은 송풍기의 임펠러 흘입구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어 분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임펠러 흘입구에 의한 분류"에 속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송풍기의 다른 특징들에 따라 분류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저양정 펌프에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는?

  1. 코크 밸브
  2. 감압 밸브
  3. 체크 밸브
  4. 나비형 밸브
(정답률: 46%)
  • 저양정 펌프에서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나비형 밸브는 회전하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어서 토출량을 조절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나비형 밸브"입니다. 코크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데에 사용되며, 감압 밸브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체크 밸브는 유체의 흐름이 일방향으로만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역류방지 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스윙형 역류방지 밸브
  2. 리프트형 역류방지 밸브
  3. 콕 역류방지 밸브
  4. 듀얼 플레이트 역류방지 밸브
(정답률: 34%)
  • 콕 역류방지 밸브는 실린더나 호스 등의 작은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밸브이며, 역류방지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역류방지 밸브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펌프 홉입쪽에 설치하며 차단성이 좋고 전개시 손실 수두가 가장 적은 밸브는?

  1. 슬루스 밸브
  2. 글로브 밸브
  3. 앵글 밸브
  4. 감압 밸브
(정답률: 55%)
  • 슬루스 밸브는 펌프 홉입쪽에 설치할 때 차단성이 좋고, 전개시 손실 수두가 가장 적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밸브입니다. 이는 슬루스 밸브가 전체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흐름 방향에 따라서만 열리고 닫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슬루스 밸브는 펌프의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볼트 너트의녹이 발생하는 고착 원인이 아닌 것은?

  1. 수분
  2. 부식성 가스
  3. 부식성 액체
  4. 첨가제
(정답률: 67%)
  • 첨가제는 볼트 너트의 녹이 발생하는 고착 원인이 아닙니다. 첨가제는 볼트 너트의 녹이 발생하는 고착 원인과는 관련이 없는 화학 물질입니다. 수분, 부식성 가스, 부식성 액체는 모두 볼트 너트의 녹이 발생하는 고착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스톱 링 플라이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냅 링의 부착이나 분해용으로 사용한다.
  2. 리테이닝의 부착이나 분해용으로 사용한다
  3. 축용은 손잡이를 취면 벌어지는 것으로 S-O 에서 S-8 까지의 종류가 있다.
  4. 구멍용은 손잡이를 취면 닫히는 것으로 H-O에서 H-8 까지의 종류가 있다
(정답률: 36%)
  • 정답은 "리테이닝의 부착이나 분해용으로 사용한다" 이다.

    스톱 링 플라이어는 스냅 링이나 리테이닝 등을 부착하거나 분해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축용과 구멍용은 손잡이를 취면 벌어지거나 닫히는 방식으로 종류가 나뉘는데, 구멍용은 손잡이를 취면 닫히는 것으로 H-O에서 H-8 까지의 종류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왕복식 압축기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온?

  1. 대용량이다.
  2. 압력의 맥동이 없다
  3. 고압 발생이 가능하다.
  4. 설치 면적이 비교적 좁다.
(정답률: 62%)
  • 왕복식 압축기는 압축 과정에서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고압 발생이 가능하다. 이는 대용량의 가스나 액체를 압축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설치 면적이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왕복식 압축기는 압력의 맥동이 없어 안정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하므로,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효율 = η , 수력효율 = ηk , 기계효율 = ηm 체적효율 = ηx 라 할 때 펌프의 전 효율을 나타내는 것은?

  1. η = ηk
  2. η = ηk ⅹ ηm
  3. η = ηm ⅹ ηx
  4. η = ηk ⅹ ηm ⅹ ηx
(정답률: 53%)
  • 전 효율은 수력효율, 기계효율, 체적효율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펌프의 전 효율은 η = ηk ⅹ ηm ⅹ ηx 입니다. 이는 수력효율이 물을 펌핑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의 일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효율, 기계효율이 전기 에너지를 모터 축에서 물을 펌핑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효율, 체적효율이 펌프 내부에서 물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을 고려하는 효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들의 곱으로 전 효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펌프 가동 시 축 추력을 제거할 수 있는 방식은?

  1. 양 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2. 고 유량 펌프를 사용한다
  3. 다단 펌프룰 사용한다
  4. 고 앙정 펌프를 사용한다
(정답률: 48%)
  • 양 흡입 펌프는 펌프의 흡입구가 액체 위에 위치하므로, 펌프를 가동할 때 액체가 흡입되어 축 추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을 사용하면 축 추력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가열끼움 작업시 필요한 공구 및 기계가 아닌 것은?

  1. 래버린스((Labyrinth)
  2. 체인블록
  3. 마이크로미터
  4. 서모미터(Thermo meter)
(정답률: 23%)
  • 가열끼움 작업은 온도를 조절하는 작업이므로, 마이크로미터와 서모미터는 온도 및 크기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도구이며, 체인블록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래버린스는 미로 모양의 구조물로, 가열끼움 작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래버린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베어링을 열박음 할 때 130"C 이상 가열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가얼유조 내의 열처리유의 특성 변화 때문에
  2. 열박음 중 화상 방지를 목적으로
  3. 베어링 자체의 경도 저하 방지 목적으로
  4. 더 이상 팽창 할 수 없는 열팽창의 한계온도 이므로
(정답률: 61%)
  • 열박음은 베어링의 경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130°C 이상 가열하지 않는 것은 베어링 자체의 경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608C2P6 로 표시된 베어링의 호칭번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60 : 베어링 계열기호
  2. 8 : 안지름 번호
  3. C2 : 외부 틈새 기호
  4. P6: 등급 기호
(정답률: 44%)
  • 정답: "C2 : 외부 틈새 기호"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설명: 608C2P6은 베어링의 계열, 안지름, 외부 틈새 기호, 등급 기호를 나타내는 호칭번호입니다. C2는 외부 틈새 기호를 나타내며, 이는 베어링의 내부 틈새와 외부 틈새의 크기 차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C2 : 외부 틈새 기호"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용적형 회전펌프로서 대유량의 기름을 수용하는데 알맞고 비교적 고장이 적고 보수가 용이한 것은?

  1. 볼류트 펌프
  2. 베인 펌프
  3. 플런저 펌프
  4. 수격 펌프
(정답률: 47%)
  • 베인 펌프는 회전하는 베인과 베인과 벽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유체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원리로 작동하는 회전펌프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대유량의 기름을 수용하는데 알맞으며, 비교적 고장이 적고 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베인 펌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상온에서 유동적인 접착성 물질로 바른 후 일정시간 지난 후 건조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은?

  1. 고무 가스켓
  2. 석면 가스켓
  3. 접착 가스켓
  4. 액상 가스켓
(정답률: 70%)
  • 액상 가스켓은 상온에서 유동적인 접착성 물질로 바른 후 일정시간 지난 후 건조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입니다. 이는 다른 가스켓들과는 달리 액체 형태로 바르고 건조되면 고체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액상 가스켓은 누설 방지에 효과적이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키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축에 기어 , 풀리 등을 조립할 때 사용한다.
  2. 원활한 작동을 위해 원주방향 이동틈새를 둔다.
  3. 축의 재료보다 약간 강한 재료를 사용한다.
  4. 보통 키에는 테이퍼를 주고 , 축과 보스에는 키 홈을 설치한다.
(정답률: 39%)
  • "축의 재료보다 약간 강한 재료를 사용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원활한 작동을 위해 원주방향 이동틈새를 둔 이유는, 축과 키가 완전히 밀착되면 마찰로 인해 작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동틈새를 두어 축과 키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

    축에 기어, 풀리 등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키는 보통 축과 보스에 각각 홈을 만들어 놓고, 키를 삽입하여 고정시킵니다. 이때 키에는 테이퍼를 주어 축과 보스에 밀착되도록 합니다. 또한, 축의 재료와 키의 재료는 보통 같은 재료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