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기계정비산업기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1. 압력의 조정을 통해 실린더를 순서대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밸브는?

  1. 시퀀스 밸브
  2. 카운터 밸런스 밸브
  3. 파일럿 작동 체크밸브
  4. 일방향 유량제어 밸브
(정답률: 89%)
  • 시퀀스 밸브는 압력의 조정을 통해 실린더를 순서대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입니다. 이는 시퀀스 밸브가 여러 개의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시퀀스 밸브는 각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조절하며, 이를 통해 실린더의 작동 순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퀀스 밸브는 실린더의 순차적인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압 실린더의 호칭을 표시할 때 포함되지 않는 정보는?

  1. 규격 명칭
  2. 로드 무게
  3. 쿠션 구분
  4. 실린더 안지름
(정답률: 81%)
  • 유압 실린더의 호칭은 실린더의 기본적인 규격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로드 무게는 실린더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을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로드 무게는 사용자가 실제로 적용할 하중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호칭에 포함되지 않고 따로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서비스 유닛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필터
  2. 소음기
  3. 압력조절기
  4. 드레인 배출기
(정답률: 71%)
  • 서비스 유닛의 구성요소는 공기 처리를 위한 필터,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기,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기, 그리고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출기로 구성됩니다. 소음기는 서비스 유닛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음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실린더에 인장 하중이 걸리거나 부하의 관성에 의한 인장 하중 효과가 발생되면 피스톤 호드가 끌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하는 회로는?

  1. 감압 회로
  2. 언로딩 회로
  3. 압력 시퀀스 회로
  4. 카운터 밸런스 회로
(정답률: 67%)
  • 실린더에 인장 하중이 걸리거나 부하의 관성에 의한 인장 하중 효과가 발생하면 피스톤 호드가 끌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린더의 양쪽 측면에 동일한 압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카운터 밸런스 회로를 구성합니다. 카운터 밸런스 회로는 실린더의 양쪽 측면에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실린더의 한 쪽 측면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반대쪽 측면에도 동일한 압력을 인가하는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피스톤 호드의 끌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간지연 밸브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압력 증폭기
  2. 3/2 way 밸브
  3. 속도 조절밸브
  4. 공기저장 탱크
(정답률: 70%)
  • 압력 증폭기는 시간지연 밸브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시간지연 밸브는 일정 시간 동안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3/2 way 밸브, 속도 조절밸브, 공기저장 탱크 등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압력 증폭기는 공기의 압력을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시간지연 밸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축식과 사판식으로 분류되며 고압출력에 적합한 유압펌프는?

  1. 기어펌프
  2. 나사펌프
  3. 베인형펌프
  4. 피스톤펌프
(정답률: 69%)
  • 피스톤펌프는 사판식 유형에 속하며, 고압출력에 적합한 유압펌프입니다. 이는 피스톤의 움직임으로 유체를 압축하여 유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스톤펌프는 고압 유압장치에서 사용되며, 기어펌프나 나사펌프, 베인형펌프와는 달리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기압 실린더의 고정방법 중 가장 강력한 부착이 가능한 설치 형식은?

  1. 풋형
  2. 피벗형
  3. 플랜지형
  4. 트러니언형
(정답률: 66%)
  • 플랜지형은 실린더와 고정대 사이에 플랜지를 사용하여 강력한 부착이 가능하므로 가장 강력한 부착이 가능한 설치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압시스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과부하에 대하여 안전하다.
  2. 에너지로서 저장성이 있다.
  3. 사용에너지를 쉽게 구할 수 있다.
  4. 방청과 윤활이 자동으로 이뤄진다.
(정답률: 75%)
  • 방청과 윤활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것은 공압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닙니다. 공압시스템은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데, 이는 윤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청과 윤활이 자동으로 이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실린더에 적용된 사양이 다음과 같을 때 실린더의 전진 추력(N)은 얼마인가? (단, 배압은 작용하지 않는다.)

  1. 250π
  2. 500π
  3. 2500π
  4. 5000π
(정답률: 65%)
  • 실린더의 전진 추력은 피스톤의 힘으로 결정된다. 피스톤의 면적이 A이고, 피스톤에 작용하는 압력이 P일 때, 피스톤이 발생시키는 힘은 F=PA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피스톤의 면적과 피스톤에 작용하는 압력을 구하면 된다.

    피스톤의 면적은 A=πr^2이다. 여기서 r은 반지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r=10cm=0.1m이므로, A=π(0.1)^2=0.01π(m^2)이다.

    피스톤에 작용하는 압력은 P=100kPa=100000Pa이다.

    따라서 피스톤이 발생시키는 힘은 F=PA=0.01π×100000=1000π(N)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실린더의 전진 추력을 구하는 것이므로, 피스톤이 발생시키는 힘에 2를 곱해줘야 한다. 이는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린더의 전진 추력은 2F=2000π(N)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0π"이 아니라 "2000π"이다.
  • Pa=N/m^2

    파이 * 직경제곱/4 * 압력
    단윈 환산 해주고 풀면 2500파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와 같은 밸브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중립위치에서 펌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2. 중립위치에서 실린더의 힘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3. 중립위치에서 실린더의 후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4. 중립위치에서 실린더의 전진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률: 63%)
  • 정답은 "중립위치에서 실린더의 전진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다. 이 밸브는 중립위치에서는 실린더와 펌프를 연결하지 않으므로 펌프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전진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압유의 유량을 늘려 실린더의 전진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린더가 전진할 때 이론 출력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D:실린더 내경, P:사용공기압력, d:로드 직경, 마찰력은 무시하고 로드측 압력은 대기압이다.)

(정답률: 72%)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은 실린더가 전진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구하는 식으로, 출력을 구하는 식이 아니다. 따라서 이론 출력을 구하는 식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기압 요동형 액추에이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속도 조정은 속도제어 밸브를 미터인 방식으로 접속한다.
  2. 부하의 운동에너지가 기기의 허용 운동에너지 보다 큰 경우에는 외부 완충기구를 설치한다.
  3. 외부 완충기구는 부하 쪽의 지름이 큰 곳에 설치하여 내구성의 향상과 정지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4. 축과 베어링에 과부하가 작용되지 않도록 과대부하를 직접 액추에이터 축에 부착하지 않고 축에 부하가 적게 작용하도록 부착한다.
(정답률: 57%)
  • "속도 조정은 속도제어 밸브를 미터인 방식으로 접속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자면, 속도제어 밸브는 액추에이터의 유입 압력을 조절하여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미터인 방식으로 접속한다는 것은 유입 압력을 미터링하여 정확한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측정값이 참값에 얼마나 가까운가를 나타내는 것은?

  1. 감도
  2. 오차
  3. 정도
  4. 확도
(정답률: 63%)
  • 측정값이 참값에 얼마나 가까운가를 나타내는 것은 "확도"입니다. 이는 측정값의 정확성을 나타내며,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높은 확도를 가지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감도는 신호나 현상을 감지하는 민감도를 나타내며, 오차는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정도는 어떤 현상이나 상황의 정도나 정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확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피드백 제어계에서 신호흐름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ㄱ→ㄴ→ㄷ→ㄹ
  2. ㄴ→ㄹ→ㄱ→ㄷ
  3. ㄷ→ㄱ→ㄹ→ㄴ
  4. ㄹ→ㄷ→ㄴ→ㄱ
(정답률: 76%)
  • 피드백 제어계에서는 먼저 입력 신호가 받아들여지고, 그 후에 제어 신호가 처리되어 출력 신호가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ㄴ"이 가장 먼저 나오고, 그 후에 제어 신호인 "ㄹ"이 처리되어 "ㄱ"과 "ㄷ"가 나오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ㄷ"가 나오게 되므로, 정답은 "ㄴ→ㄹ→ㄱ→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저투자성 자동화(LCA:Low Cost Automation)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단계적 자동화 구축
  2. 원리가 간단하고 확실
  3. 기존의 장비 이용 가능
  4. 다양한 제품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정답률: 77%)
  • LCA는 다양한 제품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LCA가 단순하고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LCA는 기존의 장비를 이용하며, 단계적으로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으며, 원리가 간단하고 확실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LCA를 저투자성 자동화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PLC에서 제어하고자 한다. 이 때 적용되는 변환기는?

  1. A/D 변환기
  2. D/A 변환기
  3. F/V 변환기
  4. U/D 변환기
(정답률: 78%)
  •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은 아날로그 신호이지만, PLC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변환기가 A/D 변환기이다.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아날로그 값도 A/D 변환기를 통해 PLC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입력요소 S1, S2가 동시에 작동되던지, S3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S4가 작동되었을 때 출력이 발생되는 제어기의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6%)
  • S1, S2가 동시에 작동되던지, S3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S4가 작동되었을 때 출력이 발생되는 제어기의 논리식은 S1 AND S2 OR NOT S3 AND S4 이다. 이유는 S1과 S2가 동시에 작동되던지, S3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S4가 작동되어야 출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1 AND S2는 OR 연산자로 연결되어야 하고, S3는 NOT 연산자로 처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S4는 AND 연산자로 연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플로차트(Flow Chart) 기호의 의미는?

  1. 분지(branch)
  2. 전이점(move point)
  3. 서브루틴(subroutines)
  4. 일반적인 작업(general work)
(정답률: 73%)
  • 이 기호는 "서브루틴(subroutines)"을 나타냅니다. 서브루틴은 프로그램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작업을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놓은 것으로,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지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설비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척도가 아닌 것은?

  1. 고장률
  2. 폐입률
  3. 평균 고장 간격 시간
  4. 평균 고장 수리 시간
(정답률: 81%)
  • 폐입률은 설비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척도가 아닙니다. 폐입률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생산된 제품 중 불량품이 발생한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설비의 신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고장률, 평균 고장 간격 시간, 평균 고장 수리 시간은 모두 설비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직류 전동기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계자
  2. 격자
  3. 전기자
  4. 정류자
(정답률: 77%)
  • 격자는 직류 전동기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직류 전동기의 주요 구성 요소는 계자, 전기자, 정류자입니다. 계자는 회전하는 자석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전기자는 전기를 받아 회전력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정류자는 전류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격자는 직류 전동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진단관리 및 기계정비

21. 7개의 깃을 가진 축류펌프가 2400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깃 통과주파수는?

  1. 40Hz
  2. 80Hz
  3. 280Hz
  4. 310Hz
(정답률: 55%)
  • RPM 분당 회전수 이므로 2400을 60으로 나눠준다
    40이 나오면

    7을 곱해 준다 280Hz 가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계를 가동하여 직접 생산하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실제생산시간
  2. 실제조업시간
  3. 정미가동시간
  4. 직접조업시간
(정답률: 67%)
  • 정미가동시간은 기계를 가동하여 실제로 생산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계가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생산을 진행하는 시간으로, 기계의 정비, 보수, 고장 등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는 시간을 제외한 시간입니다. 따라서 "실제생산시간"과 "실제조업시간"은 기계가 멈추는 시간을 포함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고, "직접조업시간"은 작업자가 직접 생산에 참여하는 시간을 의미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특수한 고장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예비품은?

  1. 부품예비품
  2. 라인예비품
  3. 단일기계예비품
  4. 부분적세트(set)예비품
(정답률: 59%)
  • 라인예비품은 특정 생산라인에서만 사용되는 부품이기 때문에 다른 라인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다른 예비품들과 달리 특수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진동 차단기의 변위가 걸리는 힘에 비례할 때 시스템의 고유진동수(ω)와 정적변위(δ)와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ω=5πδ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진동 차단기의 변위가 걸리는 힘에 비례할 때, 시스템의 고유진동수(ω)와 정적변위(δ)와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ω = √(k/m)

    여기서 k는 시스템의 강성 상수이고, m은 시스템의 질량이다. 이 식에서 정적변위(δ)는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진동방지 대책으로 스프링차단기 위에 놓아 고유진동수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거더
  2. 고무
  3. 패드
  4. 파이버그라스
(정답률: 74%)
  • 거더는 스프링차단기 위에 놓아 차단기와 연결된 구조물에 고정시켜 고유진동수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스프링차단기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줄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입니다. 고무나 패드, 파이버그라스는 스프링차단기와 구조물 사이에 삽입되어 진동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거더는 구조물과 직접 연결되어 더욱 효과적인 진동방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공 및 조립설비에서 부품 막힘, 센서의 오작동에 의한 일시적인 설비정지 또는 설비만 공회전함으로써 발생되는 로스에 해당하는 것은?

  1. 고장로스
  2. 속도저하로스
  3. 수율저하로스
  4. 순간정지로스
(정답률: 73%)
  • 가공 및 조립설비에서 부품 막힘, 센서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설비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경우, 생산량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데 이를 순간정지로스라고 합니다. 이는 일시적인 로스이며, 설비를 복구하면 생산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간정지로스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최소화해야 하는 로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설비표준화를 위한 설비위치 코드 부여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ㄱ→ㄷ→ㄴ→ㄹ
  2. ㄴ→ㄷ→ㄹ→ㄱ
  3. ㄹ→ㄴ→ㄷ→ㄱ
  4. ㄹ→ㄷ→ㄱ→ㄴ
(정답률: 71%)
  • 설비위치 코드는 설비를 구분하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설비위치 코드 부여 순서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결정되어야 한다.

    ㄱ→ㄷ→ㄴ→ㄹ 순서는 설비위치 코드 부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순서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1. 우선, ㄱ,ㄴ,ㄷ,ㄹ은 한글 자음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음이다. 따라서, 이들 자음을 사용하면 코드 부여 시 혼란을 줄일 수 있다.

    2. ㄱ,ㄴ,ㄷ,ㄹ 순서는 한글 자음의 자연스러운 발음 순서와 일치한다. 이는 코드 부여 시 발음을 기준으로 하면 더욱 직관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ㄱ,ㄴ,ㄷ,ㄹ 순서는 알파벳 순서와도 일치한다. 이는 코드 부여 시 알파벳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관성 있게 부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설비위치 코드 부여 순서는 ㄱ→ㄷ→ㄴ→ㄹ이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보전표준의 종류 중 진단(diagnosis)방법, 항목, 부위, 주기 등에 대한 것이 표준화 대상인 것은?

  1. 수리표준
  2. 작업표준
  3. 설비점검표준
  4. 일상점검표준
(정답률: 76%)
  • 설비점검표준은 설비의 진단 방법, 항목, 부위, 주기 등을 표준화하여 일관성 있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보전표준의 종류 중 진단 방법, 항목, 부위, 주기 등에 대한 것이 표준화 대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설비의 이상진단 방법 중 정밀진단에 해당하는 것은?

  1. 상대판정법
  2. 상호판정법
  3. 절대판정법
  4. 주파수분석법
(정답률: 73%)
  • 주파수분석법은 설비의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이상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설비의 진동 신호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문제가 되는 주파수 대역을 파악할 수 있어, 정확한 이상 진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밀진단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동점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cm2/s
  2. m/s2
  3. s/cm2
  4. s/m
(정답률: 64%)
  • 동점도는 유체의 점성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흐르는 유체의 양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단위는 "면적(cm2)/시간(s)" 이며, 이를 간단하게 표현한 것이 "cm2/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보전작업표준을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1. 경험법
  2. 공정 실험법
  3. 실적 자료법
  4. 작업 연구법
(정답률: 64%)
  • 보전작업표준을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공정 실험법"입니다. 이는 보전작업표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보전작업표준은 경험, 실적 자료, 작업 연구 등을 토대로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이상현상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언밸런스:로터 축심 회전의 질량 분포 부적정에 의한 것으로 통상 회전주파수가 발생
  2. 미스얼라인먼트:커플링으로 연결된 2개의 회전축 중심선이 엇갈려 있는 경우로 통상 회전주파수 발생
  3. 풀림:기초볼트의 풀림이나 베어링 마모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통상 회전주파수의 고차성분이 발생
  4. 케비테이션:유체기계에서 국부적 압력저하에 의하여 기포가 발생하고 구압부에서 파괴될 때 규칙적인 저주파 발생
(정답률: 6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기계의 공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우발력을 없앤다.
  2. 기계의 질량을 바꾸어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킨다.
  3. 기계의 강성을 바꾸어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킨다.
  4. 우발력의 주파수를 기계의 고유진동수와 같게 한다.
(정답률: 67%)
  • 우발력의 주파수를 기계의 고유진동수와 같게 한다는 것은 공진을 유발하는 원인인 우발력과 기계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지 않도록 조절하여 공진을 방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공진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진동과 소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음은 진동과 전혀 상관없다.
  2. 공진은 고유진동수와 상관없다.
  3. 투과손실은 반사값만 계산한다.
  4. 이론상으로 차음벽 무게를 2배 증가시키면 투과손실은 6dB정도 증가한다.
(정답률: 81%)
  • 이론상으로 차음벽 무게를 2배 증가시키면 투과손실은 6dB정도 증가한다. 이는 진동과 소음의 관계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서 차음벽의 무게가 증가하면 진동이나 소음의 진폭이 감소하게 되어 투과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MAPI(Machinery & Allied Products Institute)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긴급도의 산출 방식이다.
  2. 연간 생산량의 결정 방식이다.
  3. 설비교체의 경제분석 방법이다.
  4.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여 분석한다.
(정답률: 67%)
  • MAPI(Machinery & Allied Products Institute) 방식은 설비교체의 경제분석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설비교체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현재 설비의 유효수명과 새로운 설비의 예상 수명, 설비교체 비용, 운영비용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시점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기 스위치나 퓨즈(fuse) 등을 수리하지 않고 고장이 나면 교체하는 부품의 신뢰성 평가 척도는?

  1. 고장율
  2. 유용성
  3. 평균고장간격
  4. 평균고장시간
(정답률: 47%)
  • 전기 스위치나 퓨즈 등을 수리하지 않고 교체하는 부품의 신뢰성 평가 척도는 평균고장간격이 아니라 평균고장시간이다. 이는 해당 부품이 얼마나 오랫동안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평균고장시간은 해당 부품이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고장을 일으켰는지를 나타내는 고장율과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전기 스위치나 퓨즈 등을 교체할 때는 해당 부품의 평균고장시간을 고려하여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마찰이나 저항 등으로 인하여 진동에너지가 손실되는 진동은?

  1. 감쇠진동
  2. 규칙진동
  3. 선형진동
  4. 자유진동
(정답률: 78%)
  • 감쇠진동은 마찰이나 저항 등으로 인해 진동에너지가 손실되는 진동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진동은 진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게 되며, 진동 주기나 주파수도 변화하게 됩니다. 이와 달리 규칙진동, 선형진동, 자유진동은 진동에너지가 손실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진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용 중인 설비의 고장정지 또는 유해한 성능저하를 가져오는 상태를 발견하기 위한 보전은?

  1. 개량보전
  2. 보전예방
  3. 사후보전
  4. 예방보전
(정답률: 74%)
  • 예방보전은 설비의 고장정지 또는 유해한 성능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보전 방법입니다. 따라서 사용 중인 설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를 실시하여 고장이나 성능저하를 예방하는 것이 예방보전의 핵심입니다. 따라서 "예방보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전작업의 낭비를 제거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전작업 측정, 검사 및 일정계획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1. 설비보전표준
  2. 설비효율측정
  3. 로스(loss) 관리
  4. 설비 경제성 평가
(정답률: 68%)
  • 설비보전표준은 보전작업의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을 제공하여 보전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보전작업 측정, 검사 및 일정계획을 위해서는 설비보전표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설비효율측정, 로스(loss) 관리, 설비 경제성 평가는 보전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지만, 보전작업의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을 제공하는 설비보전표준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운전 중에 실시되는 수리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D(Shut Down)
  2. 유닛(unit) 방식
  3. OSR(On Stream Repair)
  4. OSI(On Stream Inspection)
(정답률: 80%)
  • 운전 중에 수리작업을 OSR(On Stream Repair)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시설을 멈추지 않고 운전 중에 수리를 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SD(Shut Down)는 시설을 멈추고 수리작업을 하는 방식이며, 유닛(unit) 방식은 시설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수리하는 방식입니다. OSI(On Stream Inspection)는 운전 중에 검사를 실시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41. 시퀀스제어에서 사용되는 조작용 기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캠스위치
  2. 압력스위치
  3. 토글스위치
  4. 선택스위치
(정답률: 50%)
  • 압력스위치는 시퀀스제어에서 사용되는 조작용 기기에 속하지 않습니다. 압력스위치는 일반적으로 기계나 장비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시퀀스제어에서는 캠스위치, 토글스위치, 선택스위치와 같은 조작용 기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의 트랜지스터 기호에서 A가 표시하는 것은?

  1. 게이트
  2. 베이스
  3. 콜렉터
  4. 이미터
(정답률: 6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역률 80%인 부하의 전력이 400kW 이라면 무효전력은 몇 kVar인가?

  1. 200
  2. 300
  3. 400
  4. 500
(정답률: 49%)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역률이 80%이므로 피상전력은 유효전력의 1.25배입니다. 따라서 피상전력은 500kVA가 됩니다. 부하의 전력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효전력이 400kW이므로 무효전력은 500kVA^2 - 400kW^2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계산 결과, 무효전력은 약 300kVa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대칭 3상 교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상의 기전력과 전류의 크기가 같고 위상이 120도인 3상 교류
  2. 각 상의 기전력과 전류의 크기가 같고 위상이 240도인 3상 교류
  3. 각 상의 기전력과 전류의 크기가 다르고 위상이 120도인 3상 교류
  4. 각 상의 기전력과 전류의 크기가 다르고 위상이 240도인 3상 교류
(정답률: 71%)
  • 각 상의 기전력과 전류의 크기가 같고 위상이 120도인 3상 교류는 대칭 3상 교류의 특징입니다. 이는 각 상의 전압이 동일하게 변화하며, 전류도 동일한 크기로 변화하며, 각 상의 전압과 전류의 변화가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대칭 3상 교류는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전력 손실의 최소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절연 저항계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발전기식과 전지식이 있다.
  2. 영구자석과 교차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3. 매거(megger)는 절연 저항계의 일종이다.
  4. 발전기식의 경우 핸들의 분당 회전수는 60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정답률: 62%)
  • 발전기식의 경우 핸들의 분당 회전수는 60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는 설명은 절연 저항계에 대한 것이 아니라 발전기식 절연 저항계 측정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발전기식 절연 저항계 측정기는 핸들을 돌리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 자기장이 교차코일을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측정값을 표시한다. 이때 핸들의 분당 회전수가 60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이유는 측정값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교류의 정현파에서 주파수가 1kHz일 때 주기는?

  1. 1ms
  2. 1μs
  3. 1ns
  4. 1ps
(정답률: 64%)
  • 주파수와 주기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주파수 = 1 / 주기

    따라서, 주파수가 1kHz일 때 주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파수 = 1kHz = 1000Hz
    주기 = 1 / 주파수 = 1 / 1000Hz = 0.001s = 1ms

    즉, 주파수가 1kHz일 때 주기는 1ms입니다. 이는 주파수와 주기의 정의에 따라 계산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0진수 25를 2진수로 변환하면?

  1. 10011
  2. 11010
  3. 11001
  4. 11100
(정답률: 69%)
  • 10진수 25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2로 나누어가면서 나머지를 계속 구하는 것입니다.

    25를 2로 나누면 몫이 12, 나머지가 1이 됩니다.
    12를 2로 나누면 몫이 6, 나머지가 0이 됩니다.
    6을 2로 나누면 몫이 3, 나머지가 0이 됩니다.
    3을 2로 나누면 몫이 1, 나머지가 1이 됩니다.
    1을 2로 나누면 몫이 0, 나머지가 1이 됩니다.

    나머지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쓰면 1100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신호변환기에서 다음 중 필터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트랜스를 이용한다.
  2. 포토커플러를 이용한다.
  3. 검출신호의 비선형성을 선형화한다.
  4. 잡음에 의한 수신계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정답률: 63%)
  • 잡음은 신호와 함께 전송되어 수신기에서 원래의 신호를 왜곡시키거나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필터링은 이러한 잡음을 제거하거나 감소시켜서 수신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오동작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잡음에 의한 수신계의 오동작을 방지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열전대는 어느 현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인가?

  1. 온도에 의한 열팽창을 이용한 것
  2. 온도에 의한 저항변화를 이용한 것
  3. 온도에 의한 화학적 변화를 이용한 것
  4. 온도에 의한 열기전력의 발생을 이용한 것
(정답률: 71%)
  • 열전대는 온도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전력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이는 두 종류의 금속을 연결하여 열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따라서 "온도에 의한 열기전력의 발생을 이용한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쿨롱의 법칙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서로 다른 부호인 경우 두 자극은 끌어 당긴다.
  2. 그 힘의 방향은 두 자극을 이은 직선 위에 있다.
  3. 두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자극의 세기의 곱에 비례한다.
  4. 두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전하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60%)
  • "두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자극의 세기의 곱에 비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두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전하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가 맞습니다. 이는 쿨롱의 법칙에서 전하와 거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힘은 약해지고,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힘은 강해집니다. 이는 전하가 서로 밀집해 있을수록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프로세스 제어시스템에서 조작부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보수점검이 용이할 것
  2. 제이신호에 정확히 동작할 것
  3. 응답성이 좋고 히스테리시스가 클 것
  4. 주위환경과 사용조건에 충분히 견딜 것
(정답률: 80%)
  • "응답성이 좋고 히스테리시스가 클 것"은 틀린 것입니다. 조작부의 구비조건 중에서는 응답성이 빠르고 정확하게 동작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히스테리시스가 클 경우에는 조작부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히스테리시스는 작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압력의 크기 중에서 값이 다른 것은?

  1. 1psi
  2. 0.71 Ib/ft2
  3. 0.0703kg/cm2
  4. 51.715mmHg
(정답률: 53%)
  • 정답은 "0.71 Ib/ft2" 이다. 이유는 다른 단위들은 모두 압력을 나타내는 표준 단위인 파스칼(Pa)로 변환할 수 있지만, "Ib/ft2"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Ib/ft2"는 영국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비표준 단위이며, 파운드(pound)와 평방피트(square foot)로 표현된다. 따라서 이 단위는 다른 단위들과 비교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1eV에 해당하는 것은?

  1. 1.602×10-19J
  2. 1.602×10-19CㆍW
  3. 1.602×10-19Vㆍm
  4. 1.602×10-19Cㆍkg
(정답률: 61%)
  • 1eV은 전자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전자가 전위차 1볼트를 이동할 때 획득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전기적으로 1전하의 전위차 1볼트에 해당하는 일을 하는 일을 1에너지브이(eV)라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 1eV는 1.602×10-19J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논리회로도의 출력식은?

  1. Y=ABC
  2. Y=A+B+C
  3. Y=AB+BC+AC
(정답률: 72%)
  • 이 논리회로는 3개의 AND 게이트와 1개의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AND 게이트는 두 개의 입력을 받아 논리곱(AND)을 출력하고, OR 게이트는 세 개의 입력을 받아 논리합(OR)을 출력한다.

    논리회로의 출력 Y는 AND 게이트의 출력들을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Y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Y = (A AND B) OR (B AND C) OR (A AND C)

    이를 논리식으로 표현하면 Y=AB+BC+AC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100Ω과 400Ω인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였을 때 합성저항은 몇 Ω인가?

  1. 80
  2. 250
  3. 400
  4. 500
(정답률: 59%)
  • 두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합성저항 = 1/100 + 1/400

    1/합성저항 = (4 + 1)/400

    1/합성저항 = 5/400

    합성저항 = 400/5

    합성저항 = 80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PD 미터라고도 부르며 오발기어식과 루츠미터식이 대표적인 유량계는?

  1. 면적식 유량계
  2. 용적식 유량계
  3. 차압식 유량계
  4. 터빈식 유량계
(정답률: 62%)
  • PD 미터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유량계입니다. 오발기어식과 루츠미터식은 모두 PD 미터의 일종으로,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내부에 회전하는 기어나 루트를 설치하여 유량을 측정합니다. 이와 달리 용적식 유량계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내부에 일정한 부피의 용기를 설치하고, 유체가 용기를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용적식 유량계는 유체의 부피를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유량계의 정확도가 높고, 유체의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범위가 넓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프로세스 제어에 속하는 것은?

  1. 장력
  2. 압력
  3. 전압
  4. 주파수
(정답률: 44%)
  • 프로세스 제어는 시스템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프로세스들은 CPU, 메모리, 입출력 등의 자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도 입출력 자원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압력"은 입출력 자원 중 하나인 입력 신호의 세기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프로세스 제어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류가 흐르는 두 평행 도선 간에 반발력이 작용했다면 두 도선의 전류방향은?

  1. 같은 방향이다.
  2. 반대 방향이다.
  3. 서로 수직방향이다.
  4. 전류방향과는 관계없다.
(정답률: 65%)
  • 두 평행 도선 간에 반발력이 작용하면 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기장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두 도선의 전류 방향이 반대라는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정답은 "반대 방향이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동제어의 분류 중 페루프 제어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시퀀스제어 시스템이다.
  2. 피드백(feed back)신호가 요구된다.
  3. 출력이 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외란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70%)
  • 페루프 제어는 출력값이 입력값에 영향을 주는 시스템으로, 출력값이 원하는 값에 도달하기 위해 피드백 신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피드백(feed back)신호가 요구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득을 나타내는 단위는?

  1. A
  2. C
  3. dB
  4. kW
(정답률: 63%)
  • dB는 데시벨의 약자로, 전기 신호나 음향 등의 강도나 크기를 나타내는 로그 스케일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dB는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로, 어떤 값이 기준값에 비해 몇 배나 크거나 작은지를 나타내는데, 이를 통해 이득이나 손실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dB의 이득은 원래의 신호의 크기가 2배가 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B는 이득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정비 일반

61. 핀(Pin)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핀은 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으로 파괴된다.
  2. 종류에는 평행 핀, 스프링 핀, 분할 핀 등이 있다.
  3. 분할 핀은 코터이음 및 너트의 풀림 방지용으로 사용된다.
  4. 경하중의 기계부품을 결합하거나 위치 결정용에도 사용된다.
(정답률: 59%)
  • "핀은 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으로 파괴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핀은 주로 전단력으로 파괴된다. 전단력은 물체를 수직 방향으로 압축하거나 인장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두 기어 사이에 있는 기어로 속도비에 관계없이 회전방향만 변하는 기어는?

  1. 웜 기어
  2. 아이들 기어
  3. 구동 기어
  4. 헬리컬 기어
(정답률: 66%)
  • 아이들 기어는 두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방향만 변하고, 속도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기어이다. 따라서, 다른 기어들과는 달리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자동차나 기계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펌프에서 발생하는 이상 현상 중 수격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로의 유체가 비중이 낮아 흐름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다.
  2. 펌프내부에서 흡입양정이 높아 유체가 증발하여 기포가 생기는 현상이다.
  3. 배관을 흐르는 유체에 불순물이 섞여 관로에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4.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급격한 변화에 의해 관내 압력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현상이다.
(정답률: 78%)
  • 펌프에서 발생하는 수격현상은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급격한 변화에 의해 관내 압력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유체의 관로 내부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유체의 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면 압력도 함께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배관 내부의 유동성을 저해하고, 파손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고무벨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유연하고 밀착성이 좋아 미끄럼이 적다.
  2. 열과 기름에 약하여 장시간 연속운전에 손상되기 쉽다.
  3. 내습성이 좋아 습기가 많은 곳에 사용하기에 알맞다.
  4. 다른 벨트에 비해 수명이 길고 연신율이 작아 고 정밀도의 큰 동력을 전달한다.
(정답률: 58%)
  • 고무벨트의 특징 중에서 "열과 기름에 약하여 장시간 연속운전에 손상되기 쉽다."는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부정적인 특징이며, 고무벨트의 장점이 아닙니다.

    고무벨트는 다른 벨트에 비해 수명이 길고 연신율이 작아 고 정밀도의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고무벨트가 내구성이 뛰어나고 탄성이 좋아서입니다. 또한 유연하고 밀착성이 좋아 미끄럼이 적어서 안정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하며, 내습성이 좋아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접선 키에서 120°의 각도로 두 곳에 한 쌍의 키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큰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2. 축에서 보스를 이동하기 위하여
  3. 축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4. 정,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63%)
  • 접선 키에서 120°의 각도로 두 곳에 한 쌍의 키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입니다. 이는 키가 축에 고정되어 회전할 때, 키와 축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두 개의 키를 사용하면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 모두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전 방향을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의 기계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펌프 흡입관 배관 시 주의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흡입관 끝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한다.
  2. 관의 길이는 짧고 곡관의 수는 적게 한다.
  3. 배관은 펌프를 향해 1/100 내림 구배 한다.
  4. 흡입관에서 편류나 와류가 발생치 못하게 한다.
(정답률: 66%)
  • "배관은 펌프를 향해 1/100 내림 구배 한다."가 맞지 않는다. 이는 오히려 역으로, 배관은 펌프에서부터 1/100 상승 구배를 가져야 한다. 이는 펌프가 물을 흡입할 때 발생하는 압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펌프가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합성고무와 합성수지 및 금속 클로이드 등을 주성분으로 한 액상 개스킷의 사용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얇고 균일하게 칠한다.
  2. 바른 직후 접합해도 관계없다.
  3. 사용온도 범위는 0~30℃까지 이다.
  4. 접합면의 수분, 기름, 기타 오물을 제거한다.
(정답률: 71%)
  • "사용온도 범위는 0~30℃까지 이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합성고무와 합성수지 및 금속 클로이드 등을 주성분으로 한 액상 개스킷은 일반적으로 -50℃에서 150℃까지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올바른 사용온도 범위는 제시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펌프의 부식 작용 요소로 맞지 않는 것은?

  1. 온도가 높을수록 부식되기 쉽다.
  2. 금속 표면이 거칠수록 부식되기 쉽다.
  3. 유체 내의 산소량이 적을수록 부식되기 쉽다.
  4. 재료가 응력을 받고 있는 부분은 부식되기 쉽다.
(정답률: 79%)
  • 정답: 유체 내의 산소량이 적을수록 부식되기 쉽다.

    설명: 유체 내의 산소량이 적을수록 부식되기 어렵습니다. 부식은 일반적으로 금속과 산소가 반응하여 일어나는데, 산소가 부식을 촉진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는 부식이 적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주철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식성이 풍부하다.
  2. 내구성이 우수하다.
  3. 강관보다 가볍고 강하다.
  4. 수도, 가스, 배수 등의 배설관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71%)
  • "내식성이 풍부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주철관은 내식성이 낮아서 녹이나 부식에 취약합니다. 그러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강관보다 가볍고 강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수도, 가스, 배수 등의 배설관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체크 밸브
  2. 앵글 밸브
  3. 니들 밸브
  4. 슬루스 밸브
(정답률: 80%)
  •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된 밸브로,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구조물이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로 가장 적합한 것은 체크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격현상에서 압력 상승 방지책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밸브의 제어
  2. 흡수조의 사용
  3. 안전밸브의 사용
  4. 체크밸브의 사용
(정답률: 67%)
  • 흡수조는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파도나 유동량의 변화로 인한 압력 변화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력 상승 방지책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동기의 고장현상 중 기동불능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퓨즈 단락
  2. 베어링의 손상
  3. 서머 릴레이 작동
  4. 노 퓨즈 크레이크 작동
(정답률: 55%)
  • 전동기의 회전을 도와주는 베어링이 손상되면 축과 베어링 사이의 간격이 변하게 되어 회전이 원활하지 않아 기동이 불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베어링의 손상은 전동기의 기동불능 원인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직접측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제품의 치수가 고르지 못한 것은 계산하지 않고 알 수 있다.
  2. 양이 적고 종류가 많은 제품을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3. 측정물의 실제치수를 직접 잴 수 있다.
  4. 측정범위가 다른 측정방법보다 넓다.
(정답률: 62%)
  • "제품의 치수가 고르지 못한 것은 계산하지 않고 알 수 있다."는 직접측정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직접측정은 측정물의 실제치수를 직접 재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의 치수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오히려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오히려 직접측정의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송풍기의 진동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축의 굽음
  2. 임팰러의 마모
  3. 모터의 용량 증가
  4. 임펠러에 더스트(dust) 부착
(정답률: 55%)
  • 송풍기의 진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모터의 용량 증가가 가장 거리가 먼 원인이다. 모터의 용량이 증가하면 송풍기의 회전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적절한 모터 용량을 선택하는 것이 송풍기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체결 후 장기간 방치한 볼트와 너트가 고착되는 가장 주된 원인은?

  1. 조임 시 적절한 체결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2. 너트 조임 시 수용성 절삭유를 사용하지 않고 조임 했을 때
  3. 볼트와 너트 가공 시 재질이 고르지 않고 표면 거칠기가 클 때
  4. 틈새로 수분, 부식성 가스가 침입하거나 가열시 산화철이 발생했을 때
(정답률: 75%)
  • 볼트와 너트가 고착되는 가장 주된 원인은 틈새로 수분, 부식성 가스가 침입하거나 가열시 산화철이 발생했을 때입니다. 이는 부식과 산화로 인해 볼트와 너트의 표면이 손상되어서 서로 간섭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체결 후에는 적절한 방식으로 방치하지 않고, 청소와 방지처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키 맞품을 위해 보스의 구멍 지름, 홈의 깊이 등을 측정할 때 가장 적합한 측정기는?

  1. 강철자
  2. 틈새게이지
  3. 마이크로미터
  4. 버니어 캘리퍼스
(정답률: 73%)
  • 버니어 캘리퍼스는 구멍 지름, 홈의 깊이 등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 중 하나입니다. 다른 측정기들도 측정이 가능하지만, 버니어 캘리퍼스는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키 맞품을 위해 보스의 구멍 지름, 홈의 깊이 등을 측정할 때 가장 적합한 측정기는 버니어 캘리퍼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육각 홈이 있는 둥근 머리 볼트를 체결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

  1. 훅 스패너
  2. 육각 L-렌치
  3. 조합 스패너
  4. 더블 오프셋 랜치
(정답률: 80%)
  • 육각 홈이 있는 둥근 머리 볼트는 육각 L-렌치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렌치의 육각 부분이 볼트의 육각 홈에 딱 맞아들어가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육각 L-렌치가 가장 적합한 공구입니다. 다른 보기인 훅 스패너, 조합 스패너, 더블 오프셋 랜치는 육각 홈이 없는 볼트나 너트를 체결할 때 사용하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송풍기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가변 풀리에 의한 조절
  2. 정류자 전동기에 의한 조절
  3. 극수 변환 전동기에 의한 조절
  4. 열동 과전류 계전기에 의한 조절
(정답률: 58%)
  • 열동 과전류 계전기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열을 이용하여 전류를 제어하는 기술로,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동 과전류 계전기에 의한 조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송풍기의 베어링 과열 원인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베어링의 마모
  2. 베어링 조립 불량
  3. 임펠러(impeller)의 부식
  4. 그리스(grease)의 과충전
(정답률: 51%)
  • 송풍기의 베어링 과열 원인 중에서 "임펠러(impeller)의 부식"은 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베어링의 마모, 베어링 조립 불량, 그리스(grease)의 과충전은 모두 송풍기의 베어링 과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펠러의 부식은 송풍기의 성능 저하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지만, 베어링 과열 원인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임펠러(impeller)의 부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수(Ns), 극수(P) 및 주파수(F)의 관계식이 옳은 것은?

(정답률: 65%)
  • 정답은 ""이다.

    유도전동기의 회전수(Ns), 극수(P) 및 주파수(F)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Ns = 120F/P

    이 식에서 120은 상수이며, F는 주파수, P는 극수를 나타낸다. 이 식은 주파수와 극수가 주어졌을 때 회전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회전수와 극수가 주어졌을 때 주파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이 식은 유도전동기의 동기회전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동기회전수는 유도전동기의 회전자가 자기장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속도를 나타내며, 이 속도는 주파수와 극수에 의해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