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기계설계산업기사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밀링 머신의 주축베어링 윤활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그리스 윤활
  2. 오일 미스트 윤활
  3. 강제식 윤활
  4. 패드 윤활
(정답률: 51%)
  • 밀링 머신의 주축은 고속 회전하므로 높은 부하와 열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주축 베어링은 고온과 고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윤활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패드 윤활은 윤활유를 패드에 묻혀서 베어링에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고속 회전에서는 충분한 윤활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패드 윤활은 밀링 머신의 주축 베어링 윤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철을 드릴로 가공할 때 드릴 날끝의 여유각은 몇도(°)가 적합한가?

  1. 10° 이하
  2. 12° ~ 15°
  3. 20° ~ 32°
  4. 32° 이상
(정답률: 74%)
  • 주철은 경도가 높은 재질로, 가공 시에는 열이 발생하여 드릴의 날이 빨리 닳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드릴의 여유각이 크면 드릴의 날이 빨리 닳아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여유각이 작으면 가공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철을 드릴로 가공할 때 적합한 여유각은 12° ~ 15°입니다. 이 범위는 드릴의 날이 빨리 닳지 않으면서도 가공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브로칭(broachin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작과 설계에 시간이 소요되며 공구의 값이 고가이다.
  2. 각 제품에 따라 브로치의 제작이 불편하다.
  3. 키 홈, 스플라인 홈 등을 가공하는데 사용한다.
  4. 브로치 압입방법에는 나사식, 기어식, 공압식이 있다.
(정답률: 55%)
  • "브로치 압입방법에는 나사식, 기어식, 공압식이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브로칭은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절삭하는 가공 방법으로, 압입 방법은 일반적으로 수직 압입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브로치 압입방법에는 수직 압입 방식을 사용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절삭공구인선의 파손원인 중 절삭공구의 측면과 피삭재의 가공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은?

  1. 크레이터 마모
  2. 플랭크 마모
  3. 치핑
  4. 백래시
(정답률: 58%)
  • 절삭공구의 측면과 피삭재의 가공면과의 마찰은 절삭열과 마찰열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절삭공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플랭크 마모는 절삭공구의 측면과 가공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으로, 절삭공구의 측면이 일정 부분씩 마모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절삭공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마이크로미터의 스핀들 나사의 피치가 0.5mm이고 딤블의 원주눈금이 50등분 되어 있다면 최소 측정값은?

  1. 2μm
  2. 5μm
  3. 10μm
  4. 15μm
(정답률: 73%)
  • 스핀들 나사의 피치가 0.5mm이므로, 1회전 시 스테이지가 이동하는 거리는 0.5mm입니다. 따라서 딤블의 원주눈금 1등분은 0.5mm/50 = 0.01mm = 10μm입니다. 따라서 최소 측정값은 10μ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삭숫돌의 표시에서 WA 60 K m V 1호 205×19×15.88로 명기되어 있다. K는 무엇을 나타내는 부호인가?

  1. 입자
  2. 결합재
  3. 결합도
  4. 입도
(정답률: 70%)
  • K는 연삭숫돌의 경도를 나타내는 부호이다.

    "결합도"는 연마재 입자와 결합재 간의 결합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연마재 입자와 결합재 간의 결합력이 강할수록 결합도가 높아지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연마재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결합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반에서 지름 50mm의 재료를 절삭속도 60m/min, 이송 0.2mm/rev, 길이 30mm로 1회 가공할 때 필요한 시간은?

  1. 약 10초
  2. 약 18초
  3. 약 23초
  4. 약 39초
(정답률: 42%)
  • 재료의 길이가 30mm이고 이송량이 0.2mm/rev이므로, 총 이송 횟수는 30/0.2 = 150회이다. 절삭속도가 60m/min이므로, 1회 가공에 필요한 시간은 (50mm/1000) / (60m/min) = 0.0008333분이다. 이를 초로 환산하면 0.0008333 x 60 = 0.05초이다. 따라서, 총 가공 시간은 150회 x 0.05초/회 = 7.5초이다. 따라서, 약 23초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분할대를 이용하여 원주를 18등분하고자 한다. 신시내티형(Cincinnati type) 54구멍 분할판을 사용하여 단식분할 하려면 어떻게 하는가?

  1. 2회전하고, 2구멍씩 회전시킨다.
  2. 2회전하고, 4구멍씩 회전시킨다.
  3. 2회전하고, 8구멍씩 회전시킨다.
  4. 2회전하고, 12구멍씩 회전시킨다.
(정답률: 39%)
  • 신시내티형 54구멍 분할판은 3개의 원이 겹쳐져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1회전하면 54구멍이 아닌 162구멍이 생기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18등분하려면 2회전하면 된다. 그리고 162/18=9이므로 9구멍씩이 아닌 12구멍씩 회전시켜야 18등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회전하고, 12구멍씩 회전시킨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가공물을 절삭 할 때 발생되는 칩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절삭깊이
  2. 공작물이 재질
  3. 절삭공구의 형상
  4. 윤활유
(정답률: 70%)
  • 정답: 윤활유

    설명: 가공물을 절삭할 때 발생되는 칩의 형태는 절삭깊이, 공작물의 재질, 절삭공구의 형상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윤활유는 칩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습니다. 윤활유는 주로 절삭공구와 가공물 사이의 마찰을 줄여서 공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가공품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윤활유는 칩의 형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각도측정기가 아닌 것은?

  1. 사인바
  2. 옵티컬플랫
  3. 오토 콜리메이터
  4. 탄젠트바
(정답률: 68%)
  • 옵티컬플랫은 각도를 측정하는 도구가 아니라, 평면의 평평함을 검사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각도측정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래핑(lapping)작업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경질 합금을 래핑할 때는 다이아몬드로 해서는 안된다.
  2. 래핑유(lap-oil)로는 석유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3. 강철을 래핑할 때는 주철이 널리 사용된다.
  4. 랩 재료는 반드시 공작물보다 연질의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49%)
  • 래핑유(lap-oil)로는 석유를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이유는 석유가 래핑 작업 시 발생하는 마찰열을 흡수하지 못하고 증기로 변하면서 래핑 작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래핑유로는 석유 대신에 물, 알코올, 기름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퓨즈가 끊어져서 다시 끼웠을 때 또다시 끊어졌을 경우의 조치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다시 한 번 끼워본다.
  2. 조금 더 용량이 큰 퓨즈를 끼운다.
  3. 합선 여부를 검사한다.
  4. 굵은 동선으로 바꾸어 끼운다.
(정답률: 84%)
  • 퓨즈가 끊어졌을 때 다시 끼웠는데 또다시 끊어진다면, 이는 퓨즈가 아닌 다른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때, 합선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조치입니다. 합선이 있다면 전기가 흐르지 않아 퓨즈가 끊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합선 여부를 검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연삭가공 중 강성이 크고, 강력한 연삭기가 개발됨으로 한번에 연삭 깊이를 크게 하여 가공능률을 향상시킨 것은?

  1. 자기 연삭
  2. 성형 연삭
  3. 그립 피드 연삭
  4. 경면 연삭
(정답률: 71%)
  • 그립 피드 연삭은 강성이 크고, 강력한 연삭기를 사용하여 한번에 연삭 깊이를 크게 하여 가공능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연삭 방법들도 가공능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그립 피드 연삭은 특히 강력한 연삭기를 사용하여 높은 강도의 재료를 가공할 때 효과적입니다. 또한, 그립 피드 연삭은 연삭 과정에서 작업물을 고정시키는 그립 장치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가공할 수 있어 정밀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NC기계의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표시하는 회전 피드백 장치는 무엇인가?

  1. 리졸버(resolver)
  2. 서보 모터(servo moter)
  3. 컨트롤러(controller)
  4. 지령 테이프(NC tape)
(정답률: 71%)
  • 리졸버는 회전하는 축의 위치나 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시스템에 피드백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NC기계의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표시하는 회전 피드백 장치로서 리졸버가 사용된다. 서보 모터는 제어 시스템에서 지령을 받아 움직이는 모터이고, 컨트롤러는 제어 시스템의 핵심 장치이며, 지령 테이프는 NC기계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마이크로미터의 사용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측정시 래칫 스톱은 1회전 반 또는 2회전 돌려 측정력을 가한다.
  2. 눈금을 읽을 때는 기선의 수직위치에서 읽는다.
  3. 사용 후에는 각 부분을 깨끗이 닦아 진동이 없고 직사광선을 잘 받는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4. 대형 외측마이크로미터는 실제로 측정하는 자세로 0점 조정을 한다.
(정답률: 75%)
  •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할 때는 측정력을 가하기 위해 래칫 스톱을 돌리는 것, 눈금을 수직위치에서 읽는 것, 대형 외측마이크로미터는 0점 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주의사항이지만, 사용 후에 부분을 깨끗이 닦아 진동이 없고 직사광선을 잘 받는 곳에 보관하는 것은 일반적인 주의사항 중에서는 아닙니다. 그러나 이것은 마이크로미터를 오랫동안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유지보수 방법 중 하나입니다. 마이크로미터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보관하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작기계작업에서 절삭제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삭공구와 칩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2. 절삭시 열을 감소시켜 공구수명을 연장시킨다.
  3. 구성인선의 발생을 촉진시킨다.
  4. 가공면의 표면거칠기를 향상시킨다.
(정답률: 79%)
  • 절삭제는 가공면의 표면거칠기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구성인선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구성인선은 절삭작업 중에 발생하는 공구와 워크피스 사이의 마찰로 인해 생기는 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드릴링머신으로 구멍 뚫기 작업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다. 틀린 것은?

  1. 드릴은 흔들리지 않게 정확하게 고정해야 한다.
  2.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지 않는다.
  3. 구멍 뚫기가 끝날 무렵은 이송을 천천히 한다.
  4. 드릴이나 드릴 소켓 등을 뽑을 때에는 해머 등으로 두들겨 뽑는다.
(정답률: 86%)
  • "드릴이나 드릴 소켓 등을 뽑을 때에는 해머 등으로 두들겨 뽑는다."가 틀린 것이다. 드릴이나 드릴 소켓 등을 뽑을 때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손으로 조심스럽게 뽑아야 한다. 해머 등으로 두들겨 뽑으면 드릴이나 소켓 등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수평밀링머신의 긴 아버(long arbor)를 사용하는 절삭공구가 아닌 것은?

  1. 플레인 커터
  2. T홈 커터
  3. 앵귤러 커터
  4. 사이드 밀링커터
(정답률: 56%)
  • T홈 커터는 수직밀링머신에서 사용되는 절삭공구이며, 수평밀링머신의 긴 아버(long arbor)를 사용하는 절삭공구는 플레인 커터, 앵귤러 커터, 사이드 밀링커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T홈 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KSB에 규정된 표면거칠기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

  1. 산술평균 거칠기(Ra)
  2. 최대높이(Ry)
  3. 10점 평균 거칠기(Rz)
  4. 제곱 평균 거칠기(Ra)
(정답률: 82%)
  • 제곱 평균 거칠기(Ra)는 KSB에서 규정된 표면거칠기 표시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산술평균 거칠기(Ra), 최대높이(Ry), 10점 평균 거칠기(Rz)는 KSB에 규정된 표면거칠기 표시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표준 맨드릴(mandrel)의 테이퍼 값으로 적합한 것은?

  1. 1/50~1/100 정도
  2. 1/100~1/1000 정도
  3. 1/200~1/400 정도
  4. 1/10~1/20 정도
(정답률: 68%)
  • 표준 맨드릴의 테이퍼 값은 작을수록 좋습니다. 이는 맨드릴이 회전할 때 중심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정확한 제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100~1/1000 정도의 테이퍼 값이 적합합니다. 1/50~1/100 정도는 조금 크고, 1/200~1/400 정도는 조금 작습니다. 1/10~1/20 정도는 너무 크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21. 구름 베어링의 안지름 번호와 안지름 치수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안지름 번호 : 00 → 안지름 : 10mm
  2. 안지름 번호 : 03 → 안지름 : 17mm
  3. 안지름 번호 : 07 → 안지름 : 35mm
  4. 안지름 번호 : /22 → 안지름 : 110mm
(정답률: 74%)
  • 안지름 번호는 베어링의 크기를 나타내는 번호이고, 안지름은 베어링의 직경을 나타내는 치수입니다. 따라서 안지름 번호가 작을수록 베어링의 크기가 작아지고, 안지름이 작을수록 베어링의 직경이 작아집니다. 그러나 보기에서 안지름 번호가 /22인 베어링의 안지름이 110mm로 잘못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는 안지름 번호가 작아서 베어링의 크기가 작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안지름이 큰 큰 베어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안지름 번호와 안지름 치수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공 모양의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 방향이 기호를 기입한 그림의 투영한 면에 평행
  2. X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 방향이 기호를 기입한 그림의 투영면에 비스듬하게 2방향으로 교차
  3. M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여러 방향으로 교차 또는 무방향
  4. R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동심원 모양
(정답률: 70%)
  • 정답은 "R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동심원 모양"이 아닌 것이다. 이유는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동심원 모양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입체도를 제3각법 정투상도로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72%)
  • 입체도에서 두 선분이 서로 수직이면, 그 두 선분이 만나는 점에서 수직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B와 CD가 수직이므로, 그 두 선분이 만나는 점에서 수직면이 만들어진다. 이 점을 O라고 하면, 이 수직면은 O를 지나면서 AB와 CD에 모두 수직인 평면이다. 따라서, 이 평면과 EF가 만나는 점이 입체도에서의 정답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과 같은 끼워맞춤의 경우 최대 틈새는 얼마인가?

  1. 0,025
  2. 0.050
  3. 0.075
  4. 0.100
(정답률: 78%)
  • 끼워맞춤에서 최대 틈새는 가장 차이가 큰 두 숫자 사이의 차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0.025와 0.100 사이의 차이인 0.075가 최대 틈새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공 방법의 약호 중에서 다듬질 가공인 스크레이핑 가공의 약호인 것은?

  1. FS
  2. FSU
  3. CS
  4. FSD
(정답률: 79%)
  • 정답은 "FS"이다. 스크레이핑 가공은 다듬질 가공 중 하나로, 부품의 표면을 다듬어 정밀도를 높이는 공정이다. 이때 사용되는 도구는 스크레이퍼로, 이를 약어로 표기한 것이 "FS"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가공 방법의 약호이지만, 스크레이핑 가공에 사용되는 도구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구멍에 끼워 맞추기 위한 구멍, 볼트, 리벳의 기호 표시에서 구멍 가까운 면에 카운터싱크가 있고, 현장에서 드릴 가공 및 맞춤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62%)
  • 카운터싱크는 구멍과 맞물리는 부분을 뜻하며, 드릴 가공 시 구멍과 맞추기 쉽도록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구멍에 끼워 맞추기 위한 것으로는 카운터싱크가 있는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핸들이나 바퀴 등의 암 및 리브, 훅, 축, 구조물의 부재 등의 절단한 곳의 전, 후를 끊어서 그 사이에 회전 도시 단면도를 그릴 때 단면 외형을 나타내는 선은 어떤 선으로 나타내야 하는가?

  1. 가는 실선
  2. 굵은 1점 쇄선
  3. 굵은 실선
  4. 가는 2점 쇄선
(정답률: 59%)
  • 절단면은 실제로 물체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 단면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은 가장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굵은 실선"입니다. 가는 실선은 너무 얇아서 보기 어렵고, 1점 쇄선과 2점 쇄선은 절단면의 외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이 기입된 KS 용접기호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화살표 쪽 필릿 용접 목 두께가 6mm
  2.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 목 두께가 6mm
  3. 화살표 쪽 필릿 용접 목 길이가 6mm
  4.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 목 길이가 6mm
(정답률: 72%)
  • 정답은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 목 두께가 6mm"입니다. KS 용접기호에서 필릿 용접 목 두께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쪽이 아니라 반대쪽에 위치한 숫자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 목 두께가 6m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용접기호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개선 각이 급격한 V 형 맞대기 용접
  2. 개선 각이 급격한 일면 개선형 맞대기 용접
  3. 가장자리(edge) 용접
  4. 표면 육성
(정답률: 68%)
  • 그림에서 두 개의 부품이 가장자리(edge)를 맞대고 용접되어 있으며, 이러한 용접은 가장자리(edge) 용접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용접 방식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KS 재료 기호 중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기호는?

  1. SM400A
  2. SPHD
  3. SS400
  4. SPP
(정답률: 39%)
  • KS 재료 기호 중 SM400A는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는 SM이 "구조용 강재"를 나타내는 접두어이고, 400은 인장강도가 400MPa 이상인 것을 나타내며, A는 제조 공정에서의 특정 조건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를 나타내는 SM400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입체도를 제3각 정투상법으로 정면 도, 평면도, 좌측면도를 나타낼 때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82%)
  • 제3각 정투상법은 입체도를 정면 도, 평면도, 좌측면도로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것은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정면 도: 입체도의 정면을 바라본 그림으로, 입체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입체의 깊이나 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2. 평면도: 입체도를 위에서 바라본 그림으로, 입체의 높이와 너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입체의 깊이를 파악하기 어렵다.

    3. 좌측면도: 입체도를 좌측에서 바라본 그림으로, 입체의 깊이와 높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입체의 전반적인 모습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도의 전반적인 모습과 깊이, 높이를 모두 파악할 수 있는 ""이 가장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축을 가공하기 위한 센터구멍의 도시 방법 중 그림과 같은 도시 기호의 의미는?

  1. 다듬질 부분에서 반드시 센터구멍을 남겨둔다.
  2. 다듬질 부분에서 센터구멍이 남아 있어도 좋다.
  3. 다듬질 부분에서 센터구멍이 남아 있어서는 안된다.
  4. 센터의 규격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70%)
  • 도시 기호는 센터구멍을 가공할 때, 그 구멍이 다듬질 부분에서 남아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다듬질 과정에서 센터구멍이 남아 있으면 제품의 정확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센터구멍을 가공할 때는 이러한 도시 기호를 참고하여 정확하게 가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의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적합한 투상도는?

(정답률: 63%)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입체도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것이기 때문에, 투상도에서는 위쪽이 작고 아래쪽이 큰 모습으로 그려져야 한다. ""은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적합한 투상도이다. 다른 보기들은 위쪽이 크고 아래쪽이 작거나, 좌우 비율이 맞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어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끼워맞춤치수 ø30 H7/g6 는 어떤 끼워맞춤인가?

  1. 중간 끼워맞춤
  2. 헐거운 끼워맞춤
  3. 억지 끼워맞춤
  4. 중간 억지 끼워맞춤
(정답률: 80%)
  • 끼워맞춤치수 ø30 H7/g6은 헐거운 끼워맞춤이다. 이는 H7과 g6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H7은 30.000mm에서 0.021mm의 오차를 허용하고, g6은 30.012mm에서 0.000mm의 오차를 허용한다. 따라서 이 끼워맞춤은 H7 구멍에 g6 축을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지만, 매우 헐거운 맞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이 상호 관련된 4개의 구멍의 치수 및 위치 허용 공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형태의 실제 부분 크기는 크기에 대한 허용공차 0.1의 범위에 속해야 하며, 각 형태는 ø8.1에서 ø8.2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2. 모든 허용공차가 적용된 형태는 실질 조건 경계, 즉 ø8(=ø8.1-0.1)의 완전한 형태의 내접 원주를 지켜야 한다.
  3. ø8.1인 최대 재료 크기일 경우 각 형태의 축은 ø0.1의 위치허용공차 범위에 속해야 한다.
  4. ø8.2인 최소 재료 크기일 경우 각 형태의 축은 ø0.1인 허용 공차 영역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정답률: 38%)
  • 정답은 "모든 허용공차가 적용된 형태는 실질 조건 경계, 즉 ø8(=ø8.1-0.1)의 완전한 형태의 내접 원주를 지켜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모든 형태가 내접 원주를 지켜야 하기 때문에, ø8.1에서 ø8.2 사이에서 변할 수 있는 것은 축의 크기이지 원주의 크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ø8.2인 최소 재료 크기일 경우 각 형태의 축은 ø0.1인 허용 공차 영역 내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스케치도를 그려야 하는 경우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도면이 없는 부품과 같은 것을 만들려고 할 경우
  2. 도면이 없는 부품을 참고로 하려고 할 경우
  3. 도면이 없는 부품의 마멸 또는 파손된 부분을 수리 하여 제작할 경우
  4. 도면을 좀 더 깨끗하게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정답률: 76%)
  • 스케치도를 그리는 것은 이미 도면이 있는 상황에서 더 자세한 설명이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도면을 좀 더 깨끗하게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이 제3각법으로 도시되는 물체의 형태는?

(정답률: 85%)
  • 제3각법은 물체가 멀리 있을수록 작아지는 원리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물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멀어지고 있으므로, 물체의 크기는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물체가 가장 작아지는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은 I 형강의 표시방법으로 올바르게 된 것은?(단, L은 형강의 길이이다.)

  1. I H × B × t × L
  2. I H × B × t - L
  3. I B × H × t × L
  4. I B × H × t - L
(정답률: 79%)
  • 정답은 "I H × B × t - L"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I: 형강의 단면 2차 모멘트 (단면의 강성을 나타내는 값)
    - H: 형강의 높이
    - B: 형강의 폭
    - t: 형강의 두께
    - L: 형강의 길이

    형강의 단면 2차 모멘트 I는 형강의 강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형강의 단면이 클수록 강성이 크다.

    따라서, I H × B × t는 형강의 강성을 나타내는 값에 형강의 크기를 곱한 것이다.

    하지만, 형강이 길이 L만큼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이 값에서 L을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올바른 표시방법은 "I H × B × t - 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재료기호 KS D 3503 SS 400에 대한 설명 중 맞는 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률: 74%)
  • - KS D 3503: 국가 표준(KS) 중 D 3503번 호칭을 가진 규격에 따라 제작된 것을 의미한다.
    - SS 400: 스테인리스 강종 중 400번 시리즈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맞는 항목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기하공차의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
  2.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05mm의 평행도
  3.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대칭도
  4.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05mm의 대칭도
(정답률: 76%)
  • 이 그림은 길이가 100mm인 기하공차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의 평행도"는 이 기하공차에서 100mm 구간 중 어떤 한 구간을 선택했을 때, 그 구간의 길이가 0.005mm만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는 전체 기하공차의 길이가 100mm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 그 길이가 0.05mm만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하공차의 전체적인 크기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적합한 답은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1. 복합재료 중 FRP는 무엇을 말하는가?

  1. 섬유 강화 목재
  2. 섬유 강화 플라스틱
  3. 섬유 강화 금속
  4. 섬유 강화 세라믹
(정답률: 85%)
  • FRP는 Fiber Reinforced Plastic의 약자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인 플라스틱에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강화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재료로, 강도와 경량성이 뛰어나며 내식성과 내구성도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금속 중 가공성과 전도성이 우수하여 방전용 전극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는?

  1. 구리(Cu)
  2. 알루미늄(Al)
  3. 아연(Zn)
  4. 마그네슘(Mg)
(정답률: 75%)
  • 구리는 가공성과 전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방전용 전극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구리는 산화되지 않고 내식성이 높아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리는 전기 및 전자 제품, 건축물, 용접 및 가스 파이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밀육방격자형이며 회백색의 연한 금속이다.
  2. 비중이 7.1, 융점이 420℃ 이다.
  3. 산, 알칼리, 해수 등에 부식되지 않는다.
  4. 철판, 철선의 도금에 사용된다.
(정답률: 65%)
  • 아연은 산, 알칼리, 해수 등에 부식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산에는 부식되기 쉬우며, 알칼리와 해수에도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산, 알칼리, 해수 등에 부식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저온뜨임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솔바이트 조직 생성
  2. 내마모성의 향상
  3. 담금질 응력 제거
  4. 치수의 경년변화 방지
(정답률: 52%)
  • 솔바이트 조직 생성은 저온뜨임의 목적이 아닙니다. 저온뜨임은 내마모성의 향상, 담금질 응력 제거, 치수의 경년변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알루미늄 합금 중 내열성이 있는 주물로 공랭 실린더 헤드 및 피스톤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Y합금
  2. 라우탈
  3. 하이드로날륨
  4. 고력Al합금
(정답률: 72%)
  • 정답은 "고력Al합금"입니다. 이 합금은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공랭 실린더 헤드나 피스톤 등에 적합합니다. Y합금은 내식성이 강한 합금으로, 내열성은 높지만 고력Al합금보다는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라우탈과 하이드로날륨은 알루미늄 합금이 아니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강의 적열취성의 주 원인이 되는 원소는?

  1. Mn
  2. Si
  3. S
  4. P
(정답률: 56%)
  • 강의 적열취성의 주 원인은 화학적으로 활발한 금속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것이다. 따라서, "S"인 황은 금속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의 적열취성의 주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선팽창계수가 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알루미늄 > 구리 > 철 > 크롬
  2. 철 > 크롬 > 구리 > 알루미늄
  3. 크롬 > 알루미늄 > 철 > 구리
  4. 구리 > 철 > 크롬 > 구리
(정답률: 72%)
  • 알루미늄은 전자껍질에 3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원소와 결합하기 쉽고, 전자를 잘 내어줍니다. 이에 따라 선팽창계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구리는 전자껍질에 1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알루미늄보다는 결합하기 어렵지만, 철과 크롬보다는 결합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 구리 > 철 > 크롬 순으로 선팽창계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A1변태는 강에서 일어나는 변태이다.
  2. 펄라이트는 순철의 일종이다.
  3. 오스테나이트의 최대 탄소고용량은 1130℃에서 약 2.0%이다.
  4. 시멘타이트는 철과 탄소의 화합물이다.
(정답률: 45%)
  • 펄라이트는 순철과 시멘타이트의 혼합물이기 때문에, "펄라이트는 순철의 일종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소결합금으로 된 공구강은?

  1. 초경합금
  2. 스프링강
  3. 기계구조용강
  4. 탄소공구강
(정답률: 69%)
  • 초경합금은 소결합금으로,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공구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경합금"입니다. 스프링강은 탄소강이며, 기계구조용강과 탄소공구강은 일반적으로 열처리를 통해 강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철광석 중에서 철의 성분이 가장 많이 포함된 것은?

  1. 자철광
  2. 망간광
  3. 갈철광
  4. 능철광
(정답률: 74%)
  • 자철광은 철과 함께 많은 양의 자갈과 함께 존재하며, 철의 함량이 가장 높은 철광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자철광이 철의 성분이 가장 많이 포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관이음에서 방향을 바꾸는 경우 사용하는 관 이음쇠는?

  1. 소켓
  2. 니플
  3. 엘보
  4. 유니언
(정답률: 69%)
  • 엘보는 관의 방향을 90도, 45도 등으로 바꿀 수 있는 파이프 부속품으로, 관의 이음부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관이음에서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는 엘보를 사용합니다. 소켓은 파이프의 끝부분에 사용되는 부속품이고, 니플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부속품입니다. 유니언은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는 부속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잇수 30개 압력각 30°의 스퍼기어에서 언더컷이 생기지 않도록 전위기어로 제작하려 한다.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최소이론 전위량은 몇 mm인가? (단, 모듈 m = 6이다.)

  1. -10mm
  2. -12.5mm
  3. -14mm
  4. -16.5mm
(정답률: 23%)
  • 스퍼기어에서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전위기어의 전위량이 최소한 얼마 이상이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퍼기어의 기본 파라미터를 알아야 한다.

    스퍼기어의 기본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잇수 (Z) = 30
    - 압력각 (α) = 30°
    - 모듈 (m) = 6

    이를 바탕으로 전위기어의 파라미터를 구해보자.

    전위기어의 잇수는 스퍼기어와 같으므로 Z = 30이다. 전위기어의 압력각은 스퍼기어의 압력각과 같으므로 α = 30°이다. 전위기어의 모듈은 스퍼기어의 모듈과 같으므로 m = 6이다.

    전위기어의 잇수와 압력각이 스퍼기어와 같으므로, 전위기어의 효과적인 잇수는 2Z = 60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위기어의 기본 파라미터를 구해보자.

    - 효과적인 잇수 (2Z) = 60
    - 압력각 (α) = 30°
    - 모듈 (m) = 6

    이제 전위기어의 전위량을 구해보자. 전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위량 = (효과적인 잇수 - 기본 잇수) x 모듈

    전위기어의 기본 잇수는 스퍼기어의 잇수와 같으므로 Z = 30이다. 따라서 전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위량 = (60 - 30) x 6 = 180

    따라서 전위기어의 전위량은 180mm 이상이어야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16.5mm"이다.

    -16.5mm이란 값은 전위량이 180mm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스퍼기어와 전위기어의 잇수와 압력각, 모듈 등이 주어졌을 때,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최소 전위량을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축의 재료와 키(key)의 재료가 같은 경우, 축의 지름이 50mm에 폭 10mm의 묻힘 키를 설치했을 때, 전단으로 키가 파손되지 않으려면 키의 길이는 약 몇mm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키에서 발생하는 최대전단응력과 축에 발생하는 최대전단응력은 같다고 한다.)

  1. 55
  2. 73
  3. 99
  4. 126
(정답률: 28%)
  • 축과 키의 재료가 같다는 것은 최대전단응력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키의 최대전단응력은 축의 최대전단응력과 같다. 축의 최대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_max = T_max * r / J

    여기서, T_max는 축의 최대전단응력, r은 축의 반지름, J는 극관성이다. 키의 최대전단응력도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키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τ_max = T_max * d / (2 * A)

    여기서, d는 키의 직경, A는 키의 단면적이다. 두 식에서 최대전단응력이 같으므로,

    T_max * r / J = T_max * d / (2 * A)

    r / J = d / (2 * A)

    d = 2 * A * r / J

    여기서, A는 키의 단면적이므로, A = 10 * l (l은 키의 길이)이다. J는 원형단면의 극관성이므로, J = π * r^4 / 2이다. 따라서,

    d = 20 * r / (π * r^4 / 2)

    d = 40 / (π * r^3)

    여기서, r = 25mm이므로,

    d = 40 / (π * 25^3)

    d ≈ 0.000203m

    d ≈ 0.203mm

    따라서, 키의 직경은 약 0.203mm 이상이어야 한다. 이를 반지름으로 환산하면 약 0.1015mm 이상이므로, 키의 길이는 약 2배인 약 99m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9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으로 두 축이 같은 평면 내에서 일정한 각도로 교차하는 경우에 운동을 전달하는 축이음은?

  1. 맞물림 클러치
  2. 플렉시블 커플링
  3. 플랜지 커플링
  4. 유니버설 조인트
(정답률: 50%)
  • 두 축이 같은 평면 내에서 일정한 각도로 교차하는 경우에 운동을 전달하는 축이 유니버설 조인트인 이유는, 유니버설 조인트는 두 축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축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교차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운동을 전달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리드각 α, 마찰계수 μ=tanρ 인 나사의 자립(自立)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단, ρ는 마찰각을 의미한다.)

  1. α < 2ρ
  2. 2α < ρ
  3. α < ρ
  4. α > ρ
(정답률: 61%)
  • 나사의 자립 조건은 나사가 스스로 회전하지 않고 움직이지 않는 조건이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나사의 힘 모멘트와 마찰력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나사의 힘 모멘트는 Fd/2π이고, 마찰력 모멘트는 μFd/2π이다. 여기서 d는 나사의 지름, F는 나사에 작용하는 힘, μ는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자립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해야 한다.

    Fd/2π < μFd/2π

    이를 정리하면,

    α < ρ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α < 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브레이크 슈의 길이 및 폭이 각각 75mm, 28mm이고, 브레이크 슈를 미는 힘이 343N일 때 브레이크 압력은 약 몇 MPa인가?

  1. 0.076
  2. 0.124
  3. 0.163
  4. 0.215
(정답률: 50%)
  • 브레이크 압력은 브레이크 슈를 미는 힘을 브레이크 슈의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브레이크 압력 = 브레이크 슈를 미는 힘 / (브레이크 슈의 길이 × 브레이크 슈의 폭)

    = 343N / (75mm × 28mm)

    = 0.163MPa

    따라서, 정답은 "0.1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2m/s의 속도로 35.3kW의 동력을 전달하는 평벨트의 이완측 장력은 약 몇 N 인가? (단, 긴장측의 장력은 이완측 장력의 3배이고, 원심력은 무시한다.)

  1. 980N
  2. 1471N
  3. 1961N
  4. 2942N
(정답률: 40%)
  • 평벨트의 동력전달 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T1 - T2) × v

    여기서 P는 전달하는 동력, T1은 긴장측 장력, T2는 이완측 장력, v는 속도이다.

    문제에서는 P와 v가 주어졌으므로 T1과 T2의 비율을 이용하여 T2를 구하면 된다.

    문제에서 T1은 T2의 3배이므로 T1 = 3T2이다.

    따라서 동력전달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35.3kW = (3T2 - T2) × 12m/s

    35.3kW = 2T2 × 12m/s

    T2 = 2942N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완측 장력을 구하는 것이므로 T2를 구한 값인 2942N를 3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2942N ÷ 3 ≈ 980N

    따라서 정답은 "980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명 중 마찰차를 적용하기 힘든 경우는?

  1. 정확한 속도비가 필요할 경우
  2. 두 회전축이 교차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3. 전달력이 그렇게 크지 않은 경우
  4. 무단 변속을 시키는 경우
(정답률: 49%)
  • 정확한 속도비가 필요할 경우에는 마찰차를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마찰차가 일정한 속도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속도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기어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두 회전축이 교차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나 전달력이 그렇게 크지 않은 경우에는 마찰차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변속을 시키는 경우에도 마찰차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는 안전상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볼 베어링의 기본부하용량 C, 베어링 이론하중 Pth, 회전수가 N 일 때 베어링의 수명시간 Lh는? (단, 하중계수는 fw , 속도계수(speed factor)는 fn , 수명계수(life factor)는 fh 이다.)

(정답률: 45%)
  • 볼 베어링의 수명시간은 Lh = (C/fw) x (1/Pth) x (1/fn) x fh x (1/N) 이다. 따라서, 수명시간을 최대화하려면 C를 최대화하고 Pth, fw, fn, fh, N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 중에서 ""는 C를 최대화하는 것이므로 수명시간을 최대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C를 최대화하는 것이 아니므로 수명시간을 최대화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높이 50mm의 사각봉이 압축하중을 받아 0.004의 변형률이 생겼다고 하면 이 봉의 높이는 얼마로 되었는가?

  1. 49.8mm
  2. 49.9mm
  3. 49.98mm
  4. 49.99mm
(정답률: 43%)
  • 변형률은 변형된 길이를 원래 길이로 나눈 값이므로, 변형된 길이는 원래 길이에 변형률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변형된 높이는 50mm에 0.004를 곱한 값인 0.2mm이다. 이를 원래 높이에서 빼면, 50mm - 0.2mm = 49.8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9.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컴퓨터응용설계

61. 다음 중 서피스 모델(surface model)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NC 가공 정보를 얻기가 용이하다.
  2. 복잡한 형상 표현이 가능하다.
  3. 유한요소법 적용을 위한 요소 분할이 쉽다.
  4.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정답률: 61%)
  • 서피스 모델은 복잡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NC 가공 정보를 얻기가 용이하며, 은선 제거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유한요소법 적용을 위한 요소 분할이 쉽다는 것은 서피스 모델의 특징이 아니라 유한요소법의 특징이다. 유한요소법은 모델을 작은 요소로 분할하여 계산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모델의 복잡도와 상관없이 요소 분할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한요소법 적용을 위한 요소 분할이 쉽다는 것은 서피스 모델의 특징이 아니라 유한요소법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일반적인 CAD 시스템에서 2차원 평면에서 정해진 하나의 원을 그리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원주상의 세 점을 알 경우
  2. 원의 반지름과 중심점을 알 경우
  3. 원주상의 한 점과 원의 반지름을 알 경우
  4. 원의 반지름과 2개의 접선을 알 경우
(정답률: 61%)
  • 원주상의 한 점과 원의 반지름을 알 경우에는 원의 중심점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CAD 시스템에서는 그리는 방법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B-spline 곡선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꼭지점을 움직여도 이웃하는 단위 곡선과의 연속성이 보장된다.
  2. 1개의 정점 변화는 곡선 전체에 영향을 준다.
  3. 다각형에 따른 형상 예측이 가능하다.
  4. 곡선상의 점 몇 개를 알고 있으면 B-spline 곡선을 쉽게알 수 있다.
(정답률: 55%)
  • "1개의 정점 변화는 곡선 전체에 영향을 준다."가 틀린 것입니다.

    B-spline 곡선은 국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꼭지점을 움직이더라도 이웃하는 단위 곡선과의 연속성이 보장됩니다. 따라서 꼭지점을 조절하여 곡선을 수정할 때 전체 곡선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국부적인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는 다각형에 따른 형상 예측이 가능하다는 특징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곡선상의 점 몇 개를 알고 있으면 B-spline 곡선을 쉽게 알 수 있다는 것도 맞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래스터 방식의 그래픽 모니터에서 수직, 수평선을제외한 선분들이 계단모양으로 표시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나?

  1. 플리커
  2. 언더컷
  3. 앨리어싱
  4. 클리핑
(정답률: 55%)
  • 앨리어싱은 래스터 방식의 그래픽 모니터에서 고해상도 이미지를 표시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선분이나 경계선이 계단 모양으로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모니터의 해상도가 낮아서 한 픽셀이 여러 개의 색상을 표현해야 할 때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티앨리어싱 기술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빛을 편광시키는 특성을 가진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 물질은 액체도 아니고 고체도 아닌 중간상태로 존재하며, 온도에 매우 안정한 유기화합물인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1. LCD
  2. OLED
  3. CRT
  4. PDP
(정답률: 44%)
  • LCD는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 빛을 편광시키는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합니다. 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며, CRT는 전자 광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고, PDP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2차원으로 구성되는 원추곡선의 일반식이 A와 같을 때 각 계수간의 관계가 식 B로 나타날 경우 이 원추곡선은 무엇이 되는가?

  1. 타원
  2. 포물선
  3. 쌍곡선
(정답률: 36%)
  • 식 A는 원추곡선의 일반식을 나타내고, 식 B는 각 계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이 식에서 a와 b는 둘 다 양수이고, a와 b의 크기에 따라 원추곡선의 모양이 결정된다. 식 B에서 a와 b의 크기가 같으면 원이 되고, a와 b의 크기가 다르면 타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타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용어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비트(bit) : 정보를 기억하는 최소 단위
  2. 바이트(byte) : 8비트 길이를 가지는 정보의 단위
  3. 파일(file) : 셀(cell)의 집합
  4. 블록(block) : 레코드(record)들의 집합
(정답률: 56%)
  • 파일(file)은 셀(cell)의 집합이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로서 여러 개의 레코드(record)들의 집합입니다. 셀은 주로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행과 열로 이루어진 표에서 각각의 칸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8비트 ASCⅡ 코드는 몇 개의 패리티비트를 사용하는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54%)
  • 8비트 ASCⅡ 코드는 패리티비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1개"가 아닌 "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중앙처리장치와 상대적으로 느린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접근속도를 완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의 기억장치는?

  1. main memory
  2. cache memory
  3. read only memory
  4. flash memory
(정답률: 76%)
  •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의 기억장치가 바로 캐시 메모리입니다. 캐시 메모리는 중앙처리장치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하고,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AD에서 레이어(layer)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도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주석
  2. 어느 일부분을 확대하여 작업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사각형은 대각되는 두 점을 입력하여야 함
  3. 사용자의 입력을 돕기 위한 팝업 형태의 모든 창
  4. 도면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으로 각 층별로 요소의 작성 및 편집들이 가능한 것
(정답률: 72%)
  • 도면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으로 각 층별로 요소의 작성 및 편집들이 가능한 것은 레이어(layer)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솔리드 모델링 기법 중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방법에 의한 형상 작업을 할 경우 기본적인 불리언 연산(Boolean operation)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더하기(union)
  2. 빼기(difference)
  3. 곱하기(multiplication)
  4. 교차(intersection)
(정답률: 61%)
  • CSG 방법에서 곱하기 연산은 기본적인 불리언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더하기 연산은 두 개의 형상을 합치는 연산, 빼기 연산은 한 형상에서 다른 형상을 뺀 결과를 얻는 연산, 교차 연산은 두 개의 형상이 교차하는 부분을 얻는 연산입니다. 하지만 곱하기 연산은 두 개의 형상을 곱해서 새로운 형상을 만드는 연산으로, 일반적으로 CSG 방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AD 소프트웨어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AutoCAD
  2. EXCEL
  3. Solid Works
  4. CATIA
(정답률: 84%)
  • CAD 소프트웨어는 주로 2D 또는 3D 디자인을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며, EXCEL은 주로 데이터 분석 및 스프레드시트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EXCEL은 CAD 소프트웨어와는 전혀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어서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서로 다른 CAD/CAM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상호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교환 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IGES
  2. STEP
  3. DXF
  4. DWG
(정답률: 76%)
  • DWG는 Autodesk사에서 개발한 자사 소프트웨어인 AutoCAD에서 사용하는 파일 형식으로, 다른 CAD/CAM 시스템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프로프리어터리한 형식이기 때문에 데이터 교환 표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2차원 평면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이루어진 직선과 평행한 직선이 아닌 것은?

  1. 3x-5y+9=0
  2. y=2/3x+1
  3. 4x-6y+5=0
  4. 9y-6x+11=0
(정답률: 45%)
  • 보기 중에서 "3x-5y+9=0"은 다른 세 직선과는 기울기가 다르기 때문에 평행한 직선이 아닙니다. 이 직선의 기울기는 3/5이며, y절편은 9/5입니다. 따라서 이 직선은 y축과 만나는 점이 (0, 9/5)이며, x축과 만나는 점이 (-3,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AD 용어 중 점, 선, 아크, 곡면 등 3차원 CAD시스템의 입력의 최소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엔티티(entity)
  2. 파일(file)
  3. 객체(object)
  4. 경계(boundary)
(정답률: 52%)
  • 엔티티(entity)는 3차원 CAD 시스템에서 입력의 최소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점, 선, 아크, 곡면 등과 같은 기본적인 도형 요소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엔티티는 CAD 시스템에서 모든 도면 요소들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로 사용됩니다. 파일(file), 객체(object), 경계(boundary)는 모두 CA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입력의 최소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과 같은 2차원 동차좌표 변환행렬이 수행하는 변환은?

  1. 이동
  2. 회전
  3. 확대
  4. 대칭
(정답률: 54%)
  • 이 변환행렬은 x좌표와 y좌표를 각각 2배씩 늘리는 확대 변환이다. 이는 행렬의 (1,1)과 (2,2) 요소가 모두 2배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은 꽃병 도형을 그리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오프셋 곡면
  2. 원추 곡면
  3. 회전 곡면
  4. 필렛 곡면
(정답률: 80%)
  • 회전 곡면은 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만들어지는 곡면으로, 꽃병 도형과 같은 대칭적인 도형을 그리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회전 곡면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오프셋 곡면은 기존 도형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곡면을 만드는 것이고, 원추 곡면은 원뿔 모양의 곡면을 만드는 것입니다. 필렛 곡면은 두 개의 곡면이 만나는 부분을 부드럽게 처리하는 곡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행렬 의 곱 AB는?

(정답률: 68%)
  • AB의 결과 행렬 C의 (1,1) 요소는 A의 첫 번째 행과 B의 첫 번째 열의 내적이다. 즉, 1×2와 2×1의 내적이므로 1×1 행렬이 된다. 따라서 C의 (1,1) 요소는 1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C의 나머지 요소들을 계산하면,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정된 모든 점을 통과하면서 부드럽게 연결이 필요한 자동차나 항공기 같은 자유곡선이나 곡면을 설계할 때 부드럽게 곡선을 그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베지어 곡선
  2. 스플라인 곡선
  3. B-스플라인 곡선
  4. NURBS 곡선
(정답률: 64%)
  • 스플라인 곡선은 지정된 모든 점을 통과하면서 부드럽게 연결이 필요한 자유곡선이나 곡면을 설계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베지어 곡선과 비슷하지만, 스플라인 곡선은 보다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기 위해 각 점 사이를 보간하는 방식으로 설계됩니다. B-스플라인 곡선과 NURBS 곡선은 스플라인 곡선의 변형으로, 보다 정교한 곡면을 그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3차원 형상의 솔리드 모델링 방법에서 CSG방식과 B-Rep방식을 비교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B-Rep방식은 CSG방식에 비해 보다 복잡한 형상의물체(비행기 동체 등)를 모델링하는데 유리하다.
  2. B-Rep방식은 CSG방식에 비해 3면도, 투시도 작성이 용이하다.
  3. B-Rep방식은 CSG방식에 비해 필요한 메모리의 양이 적다.
  4. B-Rep방식은 CSG방식에 비해 표면적 계산이 용이하다.
(정답률: 62%)
  • B-Rep방식은 CSG방식에 비해 필요한 메모리의 양이 적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사실, B-Rep방식은 CSG방식에 비해 더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합니다. 이는 B-Rep방식이 객체의 모든 표면을 정확하게 모델링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CSG방식은 객체를 구성하는 기본 도형들의 조합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