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8-16)

기계설계산업기사
(2015-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전해연마에 이용되는 전해액으로 틀린 것은?

  1. 인산
  2. 황산
  3. 과염소산
  4. 초산
(정답률: 64%)
  • 전해연마에 이용되는 전해액으로는 인산, 황산, 과염소산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초산은 전해연마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밀측정에서 아베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측 측정시는 최대값을 택한다.
  2. 눈금선의 간격은 일치 되어야 한다.
  3. 단도기의 지지는 양끝 단면이 평행하도록 한다.
  4. 표준자와 피측정물은 동일 축선상에 있어야 한다.
(정답률: 83%)
  • 아베의 원리는 정밀측정에서 측정기기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원리로, 표준자와 피측정물이 동일 축선상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측정 시 축선상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정밀측정에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아베의 원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적인 선반작업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회전하는 공작물을 공구로 정지시킨다.
  2. 장갑, 반지 등은 착용하지 않도록 한다.
  3. 바이트는 가능한 짧고 단단하게 고정한다.
  4. 선반에서 드릴작업 시 구멍가공이 거의 끝날 때에는 이송을 천천히 한다.
(정답률: 88%)
  • 정답: "회전하는 공작물을 공구로 정지시킨다."

    설명: 회전하는 공작물을 공구로 정지시키는 것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회전 중인 공작물을 갑자기 멈추게 되면, 공구나 작업자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회전 중인 공작물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액체호닝에서 완성 가공면의 상태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1. 공기압력
  2. 가공 온도
  3. 분출각도
  4. 연마제의 혼합비
(정답률: 54%)
  • 액체호닝에서 완성 가공면의 상태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요인은 공기압력, 분출각도, 연마제의 혼합비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공 온도는 이러한 요인들과 함께 가공면의 질과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가공 온도는 액체호닝에서 완성 가공면의 상태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요인 중 하나가 아닌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선반가공에서 이동 방진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베드의 상면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2. 왕복대의 새들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3. 두 개의 조(jaw)로 공작물을 지지한다.
  4. 바이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공작물을 지지한다.
(정답률: 56%)
  • "베드의 상면에 고정하여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동 방진구는 왕복대의 새들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이유는 이동 방진구는 공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 베드의 상면에 고정하면 공작물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왕복대의 새들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에서 X는 18mm, 핀의 지름이 ø6mm이면 A값은 약 몇 mm인가?

  1. 23.196
  2. 26.196
  3. 31.392
  4. 34.392
(정답률: 68%)
  • A값은 X와 핀 지름의 합과 핀 지름의 반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A = 18 + (6/2) + 6 = 26 (mm) 이다.

    정답이 "26.196" 인 이유는 문제에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올림하여 26.2로 표기하면 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되어 있으므로, 계산 결과에 0.196을 더하여 26.19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패너 작업의 안전수칙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몸의 균형을 잡은 다음 작업을 한다.
  2. 스패너는 너트에 알맞은 것을 사용한다.
  3. 스패너의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 사용한다.
  4. 스패너를 해머 대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89%)
  • 정답: "스패너의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 사용한다."

    이유: 스패너 작업 중에는 큰 힘을 가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스패너 자체로는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파이프를 끼워서 더 많은 힘을 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작업이 더 쉬워지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작물을 절삭할 때 절삭온도의 측정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공구 현미경에 의한 측정
  2. 칩의 색깔에 의한 측정
  3. 열량계에 의한 측정
  4. 열전대에 의한 측정
(정답률: 78%)
  • 공작물을 절삭할 때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공구 현미경에 의한 측정"은 틀린 방법입니다. 이유는 공구 현미경은 절삭면의 형태나 치수를 관찰하기 위한 도구이며,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삭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열량계나 열전대, 또는 칩의 색깔을 이용한 측정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측정 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통 오차는 측정값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원인에 의해 생기는 오차이다.
  2. 우연 오차는 측정자와 관계없이 발생하고, 반복적이고 정확한 측정으로 오차 보정이 가능하다.
  3. 개인 오차는 측정자의 부주의로 생기는 오차이며, 주의해서 측정하고 결과를 보정하면 줄일 수 있다.
  4. 계기 오차는 측정압력, 측정온도, 측정기 마모 등으로 생기는 오차이다.
(정답률: 74%)
  • 우연 오차는 측정자와 관계없이 발생하고, 반복적이며 정확한 측정으로 오차 보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으로 한계 게이지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량 측정에 적당하다.
  2. 합격, 불합격의 판정이 용이하다.
  3. 조작이 복잡하므로 경험이 필요하다.
  4. 측정 치수에 따라 각각의 게이지가 필요하다.
(정답률: 78%)
  • 한계 게이지 방식은 측정 대상의 한계치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합격 불합격 판정이 용이하고 대량 측정에 적합하다. 하지만 조작이 복잡하므로 경험이 필요하며, 측정 치수에 따라 각각의 게이지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조작이 복잡하므로 경험이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삭작업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회전속도는 규정 이상으로 해서는 안 된다.
  2. 작업 중 숫돌의 진동이 있으면 즉시 작업을 멈춰야 한다.
  3. 숫돌커버를 벗겨서 작업을 한다.
  4. 작업 중에는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89%)
  • 숫돌커버를 벗겨서 작업을 하는 것은 틀린 사항입니다. 숫돌커버는 연삭작업 중에 발생하는 먼지와 극세사물질로부터 작업자와 기계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보호장치입니다. 따라서 숫돌커버를 벗겨서 작업을 하면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선반가공에서 지름 102mm인 환봉을 300rpm으로 가공할 때 절삭 저항력이 981N이었다. 이 때 선반의 절삭효율을 75%라 하면 절삭동력은 약 몇 kW인가?

  1. 1.4
  2. 2.1
  3. 3.6
  4. 5.4
(정답률: 45%)
  • 절삭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절삭동력 = 절삭저항력 × 회전속도 × 절삭효율 / 1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절삭동력 = 981 × 300 × 75 / 1000 = 22,087.5 W = 22.1 kW

    따라서 정답은 "2.1"이 아니라 "22.1"이다. 보기에서 "2.1"이 나온 이유는 단위를 kW에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절삭공구의 수명 판정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날의 마멸이 일정량에 달했을 때
  2. 완성된 공작물의 치수 변화가 일정량에 달했을 때
  3. 가공면 또는 절삭한 직후 면에 광택이 있는 무늬 또는 점들이 생길 때
  4. 절삭저항의 주분력, 배분력이나 이송방향 분력이 급격히 저하되었을 때
(정답률: 62%)
  • 절삭공구의 수명 판정방법 중에서 "절삭저항의 주분력, 배분력이나 이송방향 분력이 급격히 저하되었을 때"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절삭공구가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저항력이 감소하거나 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공구의 날이 마멸되거나 치수 변화가 발생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며, 가공면에 광택이 생기는 것과도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절삭저항의 주분력, 배분력이나 이송방향 분력이 급격히 저하되었을 때"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가공액과 혼합된 연마재를 가공물 표면에 고압 · 고속으로 분사시켜 가공하는 방법은?

  1. 버핑
  2. 초음파 가공
  3. 액체 호닝
  4. 슈퍼 피니싱
(정답률: 74%)
  •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사 방법 중에서 액체 호닝은 가공액과 혼합된 연마재를 압축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가공물 표면을 고압 · 고속으로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가공물 표면의 균일한 마무리와 높은 표면 품질을 보장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연삭숫돌의 표시 방법 중에서 “5”는 무엇을 나타네는가?

  1. 조직
  2. 입도
  3. 결합도
  4. 결합제
(정답률: 63%)
  • "5"는 연삭숫돌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숫돌이 몇 번째로 사용되었는지를 구분하기 위한 표시이다.

    "조직"은 기업이나 단체의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조직"이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인 "입도", "결합도", "결합제"와는 달리, 조직의 구성원들 간의 협력과 조화가 중요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절삭가공을 할 때, 절삭조건 중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1. 가공물의 재질
  2. 절삭 순서
  3. 절삭 깊이
  4. 절삭 속도
(정답률: 83%)
  • 절삭조건 중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절삭 순서"입니다. 이는 절삭 순서가 가공물의 형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조건들은 가공물의 재질,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설정해야 하지만, 절삭 순서는 이러한 가공물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밀링작업의 절삭속도 산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작물의 경도가 높으면 저속으로 절삭한다.
  2. 커터날이 빠르게 마모되면 절삭속도를 낮추어 절삭한다.
  3. 거친 절삭은 절삭속도를 빠르게 하고, 이송속도를 느리게 한다.
  4. 다듬질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빠르게, 이송을 느리게, 절삭 깊이를 적게 한다.
(정답률: 63%)
  • "거친 절삭은 절삭속도를 빠르게 하고, 이송속도를 느리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느리게 하고, 이송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유는 절삭속도를 빠르게 하면 커터날이 빠르게 마모되고, 이송속도를 느리게 하면 공작물 표면에 과도한 마찰이 발생하여 표면 품질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절삭저항의 3분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분력
  2. 배분력
  3. 이송분력
  4. 칩분력
(정답률: 90%)
  • 절삭저항은 금속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으로, 주분력, 배분력, 이송분력은 모두 금속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절삭저항을 측정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칩분력은 절삭저항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현상으로, 절삭저항 측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칩분력은 절삭저항의 3분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볼트머리나 너트가 닿는 자리면을 만들기 위하여 구멍 축에 직각 방향으로 주위를 평면으로 깎는 작업은?

  1. 카운터 싱킹
  2. 카운터 보링
  3. 스폿 페이싱
  4. 보링
(정답률: 66%)
  • 스폿 페이싱은 구멍 축에 직각 방향으로 주위를 평면으로 깎는 작업으로, 볼트머리나 너트가 닿는 자리면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스폿 페이싱입니다. 카운터 싱킹은 구멍을 깊게 파는 작업, 카운터 보링은 구멍을 깊게 파고 지름을 넓히는 작업, 보링은 구멍을 뚫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트위스트 드릴의 각부에서 드릴 홈의 골 부위(웨브 두께)를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나사 마이크로미터
  2. 포인트 마이크로미터
  3. 그루브 마이크로미터
  4. 다이얼 게이지 마이크로미터
(정답률: 54%)
  • 트위스트 드릴의 각부에서 드릴 홈의 골 부위(웨브 두께)는 매우 작은 크기이므로, 측정 정밀도가 높은 포인트 마이크로미터가 가장 적합하다.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나사나 볼트 등의 나사 부분을 측정하는데 적합하며, 그루브 마이크로미터는 홈이나 그루브의 깊이를 측정하는데 적합하다. 다이얼 게이지 마이크로미터는 일반적인 측정에 사용되는데, 정밀도가 높은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21. 그림과 같은 제3각 정투상도의 입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5%)
  • 제3각 정투상도는 입체도로로 변환할 때, 수직선이 수평선으로, 수평선이 수직선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입체도로에서는 수직선이 높이를 나타내므로, 그림에서 높이를 나타내는 부분이 ""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에서 도시한 기어는?

  1. 베벨기어
  2. 웜기어
  3. 헬리컬 기어
  4. 하이포이드 기어
(정답률: 74%)
  • 그림에서 보이는 기어는 헬리컬 기어입니다. 이유는 기어의 축이 기울어져 있고, 기어의 치형이 나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베벨기어는 축이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고, 웜기어는 축이 수직으로 교차되어 있습니다. 하이포이드 기어는 웜기어와 비슷하지만 더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이 기입된 KS 용접기호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화살표 쪽 필릿 용접 목 두께가 6mm
  2.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 목 두께가 6mm
  3. 화살표 쪽 필릿 용접 목길이가 6mm
  4.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 목 길이가 6mm
(정답률: 69%)
  • 해당 KS 용접기호는 "T자형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을 나타내며, "목 두께가 6mm"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살표 반대쪽 필릿 용접 목 두께가 6mm"입니다. 용접 목길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이 3각법으로 투상된 도면에 가장 적합한 입체도 형상은?

(정답률: 76%)
  • 정답인 ""는 입체도 형상 중에서 육면체에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육면체는 3차원 도형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이 문제에서 주어진 도면도 각 면이 직각인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이다. 따라서 육면체가 가장 적합한 입체도 형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3각법으로 투상한 그림과 같은 도면의 입체도는?

(정답률: 88%)
  • 입체도는 3차원 공간에서의 모습을 2차원으로 표현한 것이므로, 이 그림을 보면서 입체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각도와 거리 등을 추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3각법을 사용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빨간색 선분과 파란색 선분이 서로 수직이므로, 이 두 선분이 이루는 각도는 90도입니다. 또한, 빨간색 선분과 파란색 선분이 각각 x축과 y축에 평행하므로, 이 두 선분의 길이는 각각 4와 3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의 입체도는 직육면체입니다. 이 중에서도, 밑면이 4x3, 높이가 2인 직육면체가 이 그림과 가장 일치하므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표면의 결 지시 기호에서 각 항목별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a : 거칠기 값
  2. b : 가공 방법
  3. c : 가공 여유
  4. d : 표면의 줄무늬 방향
(정답률: 73%)
  • c : 가공 여유는 옳은 설명이다. 가공 여유는 가공 후에도 원하는 크기와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미리 계산하여 가공할 때 추가적으로 더 크게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공 후에도 원하는 크기와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기하 공차 기호 중 돌출 공차역을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67%)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돌출 공차역은 이전 항과 다음 항의 차이가 양수인 경우를 의미하며, 이를 나타내는 기호가 "" 이기 때문이다. 다른 기호들은 각각 등차 수열, 등비 수열,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때 정투상법으로 나타낸 투상도 중 잘못된 도면은?

(정답률: 71%)
  • 정투상법에서는 물체의 정면을 향하는 화살표 방향이 투영면에서 수직인 경우에만 올바른 투상도가 나옵니다. ""은 물체의 정면을 향하는 화살표 방향이 투영면에서 수직이 아니기 때문에 잘못된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면에서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대각선 부분의 의미는?

  1. 평면
  2. 곡면
  3. 홈부분
  4. 라운드 부분
(정답률: 89%)
  • 도면에서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대각선 부분은 두 개의 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나타냅니다. 이 모서리는 평면각이라고도 불리며, 두 면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냅니다.

    정답이 "평면"인 이유는, 평면은 무한히 넓은 면으로, 모든 방향에서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면에서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대각선 부분이 평면각이라면, 이는 두 개의 평면이 만나는 지점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기하공차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면도 공차를 나타낸다.
  2. 전체부위에 대해 공차값 0.2mm를 만족해야 한다
  3. 지정넓이 100mm×100mm에 대해 공차값 0.1mm를 만족해야 한다.
  4. 이 기하공차 기호에서는 두 가지 공차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된다.
(정답률: 85%)
  • "지정넓이 100mm×100mm에 대해 공차값 0.1mm를 만족해야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 기하공차 기호에서는 두 가지 공차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된다. 따라서, 전체부위에 대해 공차값 0.2mm를 만족하거나 지정넓이 100mm×100mm에 대해 공차값 0.1mm를 만족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체결품의 부품 조립 간략 표시에 있어서 양쪽면에 카운터 싱크가 있고 현장에서 드릴 가공 및 끼워 맞춤을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66%)
  • 정답은 "" 이다. 이 기호는 현장에서 드릴 가공 및 끼워 맞춤을 나타내는 기호로, 양쪽면에 카운터 싱크가 있어서 부품 조립 간략 표시에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기호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계구조용 탄소 강재의 KS 재료 기호로 옳은 것은?

  1. SM40C
  2. SS330
  3. AIDC1
  4. GC100
(정답률: 86%)
  • 정답은 "SM40C"입니다.

    KS 재료 기호는 KS D 3503에 따라 결정됩니다.

    "SM"은 구조용 탄소강재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40"은 탄소량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C"는 탄소강재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SM40C"는 구조용 탄소강재 중 탄소량이 0.40%인 강재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SS330"은 일반 구조용 탄소강재, "AIDC1"은 알루미늄 합금, "GC100"은 주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구멍 , 축 의 끼워 맞춤이 있다. 끼워 맞춤의 명칭과 최대틈새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중간 끼워 맞춤이며 최대 틈새는 0.01이다.
  2. 헐거운 끼워 맞춤이며 최대 틈새는 0.059이다.
  3. 억지 끼워 맞춤이며 최대 틈새는 0.029이다.
  4. 헐거운 끼워 맞춤이며 최대 틈새는 0.039이다.
(정답률: 84%)
  • 끼워 맞춤의 명칭은 "헐거운 끼워 맞춤"이며 최대 틈새는 0.059이다. 이유는 축과 구멍의 크기 차이가 크기 때문에 끼워 맞춤이 헐거워지고, 최대 틈새는 구멍과 축의 크기 차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기와 같이 축 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요하는 두 축을 연결하거나 풀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기계 요소는 무엇인가?

  1. 코터
  2. 플랜지
(정답률: 72%)
  • 이 기계 요소는 축을 연결하거나 풀 때 사용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이 중에서 "핀"은 축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플랜지"는 파이프나 밸브 등을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에 반해 "코터"는 축을 연결하거나 풀 때 사용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정답은 "코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Tr 40×7-6H로 표시된 나사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Tr : 미터 사다리꼴 나사
  2. 40 : 나사의 호칭지름
  3. 7 : 나사산의 수
  4. 6H : 나사의 등급
(정답률: 74%)
  • 정답: "Tr : 미터 사다리꼴 나사"가 틀린 설명입니다.

    해설: Tr은 "트라잉규먼트"의 약자로, 미터 사다리꼴 나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Tr 40×7-6H는 호칭지름이 40mm, 나사산의 수가 7개, 등급이 6H인 나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용접 보조기호 중 전체 둘레 현장용접기호인 것은?

(정답률: 86%)
  • 정답은 ""이다. 이는 전체 둘레 현장용접기호이며, 원형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다른 보조기호들은 각각 다른 형태의 용접을 나타내는데, ""는 T자형 용접, ""는 각도 용접, ""는 교차 용접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아노 선재의 KS 재질 기호는?

  1. HSWR
  2. STSY
  3. MSWR
  4. SWRS
(정답률: 55%)
  • 피아노 선재의 KS 재질 기호는 SWRS이다. 이는 S가 스프루스(Spruce) 나무를 나타내며, W는 무게(Weight)가 가벼운 것을 나타내고, R은 라운드(Round)한 형태를 나타내며, 마지막으로 S는 소리(Sound)가 좋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SWRS는 스프루스 나무로 만들어져 무게가 가벼우며 라운드한 형태를 가지며 소리가 좋은 피아노 선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복렬 깊은 홈 볼 베어링의 약식 도시 기호가 바르게 표시된 것은?

(정답률: 5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복렬 깊은 홈 볼 베어링의 약식 도시 기호는 왼쪽에 작은 원과 오른쪽에 큰 원이 있는데, 이는 베어링의 내경과 외경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에 있는 선은 베어링의 두 볼 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올바른 약식 도시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2개의 입체가 서로 만날 경우 두 입체 표면에 만나는 선이 생기는데 이 선을 무엇이라고 하나?

  1. 분할선
  2. 입체선
  3. 직립선
  4. 상관선
(정답률: 75%)
  • 두 개의 입체가 만나면 그들의 표면에서 만나는 선을 상관선이라고 합니다. 이는 두 입체가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선으로, 예를 들어 두 입체가 서로 수직이면 상관선은 두 입체의 교차점이 됩니다. 따라서 상관선은 입체의 위치와 관계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금속 재료의 표시 기호 중 탄소 공구강 강재를 나타낸 것은?

  1. SPP
  2. STC
  3. SBHG
  4. SWS
(정답률: 90%)
  • "STC"는 "Carbon Tool Steel"의 약자로, 탄소 공구강 강재를 나타내는 표시 기호입니다. "SPP"는 "Steel Plate and Plate"의 약자로, 강판을 나타내는 표시 기호입니다. "SBHG"는 "Spring Bearing High Grade"의 약자로, 스프링 베어링 고급 강재를 나타내는 표시 기호입니다. "SWS"는 "Structural Welding Steel"의 약자로, 구조용 용접 강재를 나타내는 표시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1. 선팽창계수가 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알루미늄 > 구리 > 철 > 크롬
  2. 철 > 크롬 > 구리 > 알루미늄
  3. 크롬 > 알루미늄 > 철 > 구리
  4. 구리 > 철 > 알루미늄 > 크롬
(정답률: 70%)
  • 선팽창계수란 온도가 변화할 때 물체의 부피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클수록 물체는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선팽창계수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온도 변화에 가장 민감한 물질부터 차례로 나열됩니다.

    알루미늄은 선팽창계수가 가장 큰 금속 중 하나이며, 크롬은 가장 작은 편입니다. 구리와 철은 알루미늄과 크롬 사이에 위치하며, 구리가 철보다 선팽창계수가 큽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 구리 > 철 > 크롬"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탄소강에서 적열메짐을 방지하고,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원소는?

  1. 황(S
  2. 인(P)
  3. 규소(Si)
  4. 망간(Mn)
(정답률: 66%)
  • 망간은 탄소강에서 적열메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됩니다. 또한 망간은 강철의 경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강철의 녹슬기를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망간은 탄소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탄소(Fe-C)평형상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의 A2 변태점은 약 768℃이다.
  2. 탄소량의 0.8% 이하의 경우 아공석강이라고 한다.
  3. 탄소량이 0.8% 이상의 경우 시멘타이트 양이 적어진다.
  4. a-고용체와 시멘타이트의 혼합물을 펄라이트라고 한다.
(정답률: 56%)
  • "탄소량이 0.8% 이상의 경우 시멘타이트 양이 적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탄소량이 0.8% 이상인 경우, 철과 탄소가 고용체와 시멘타이트로 분리되어 존재하게 되는데, 이 때 시멘타이트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순금속 중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것은? (단, 20℃ 에서의 열전도율이다.)

  1. Ag
  2. Au
  3. Mg
  4. Zn
(정답률: 58%)
  • Ag (은)이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이유는, 순금속 중에서는 전자의 이동성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자의 이동이 열의 전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Ag는 열전도율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불변강이 아닌 것은?

  1. 인바
  2. 엘린바
  3. 인코넷
  4. 슈퍼인바
(정답률: 69%)
  • 인코넷은 불변강이 아닙니다. 인바, 엘린바, 슈퍼인바는 모두 불변강으로서, 내구성과 강도가 매우 높은 재질로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인코넷은 비교적 부서지기 쉬운 소재로, 불변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구리합금 중 6:4 황동에 약 0.8% 정도의 주석을 첨가하며 내해수성에 강하기 때문에 선박용 부품에 사용하는 특수 황동은?

  1. 네이벌 황동
  2. 강력 황동
  3. 납 황동
  4.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률: 72%)
  • 네이벌 황동은 구리합금 중 6:4 황동에 약 0.8% 정도의 주석을 첨가하여 내해수성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선박용 부품에 많이 사용되며, 강력 황동, 납 황동, 애드미럴티 황동과 같은 다른 종류의 황동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 변의 길이가 150mm~300mm로 분괴 압연된 각형 대강편은 무엇인가?

  1. bloom
  2. board
  3. billet
  4. slab
(정답률: 53%)
  • 정답은 "bloom"입니다.

    각형 대강편은 분괴 압연된 것으로, 주로 철강 제조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보기 중에서 "board"는 판재를 의미하며, "billet"은 원형 대강편을 의미합니다. "slab"은 평판 대강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인 한 변의 길이가 150mm~300mm인 각형 대강편은 "bloom"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청동의 적당한 인 함량(%)은?

  1. 0.05 ~ 0.5
  2. 6.0 ~ 10.0
  3. 15.0 ~ 20.0
  4. 20.5 ~ 25.5
(정답률: 64%)
  • 인청동은 식물성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인 함량이 높습니다. 그러나 인 함량이 너무 높으면 인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당한 양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인청동의 적당한 인 함량은 0.05 ~ 0.5% 정도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풀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구상화 풀림이다.
  2. 응력 제거 풀림은 재료 내부의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3. 강을 연하게 하여 기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은 완전 풀림이다.
  4. 풀림온도는 과공석강인 경우에는 A3변태점보다 30~50℃로 높게 가열하여 방랭한다.
(정답률: 59%)
  • "풀림온도는 과공석강인 경우에는 A3변태점보다 30~50℃로 높게 가열하여 방랭한다." 이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풀림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거나 기존의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완전 풀림은 강을 연하게 하여 기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틀린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강을 표준상태로 하고, 가공조직의 균일화, 결정립의 미세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는?

  1. 풀림
  2. 불림
  3. 뜨임
  4. 담금질
(정답률: 59%)
  • 정답은 "불림"입니다.

    불림(annealing)은 금속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하여 결정립을 미세화시키고, 내부 응력을 제거하며 가공조직을 균일화시키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금속재료의 인성, 가공성, 내식성 등이 향상됩니다.

    풀림은 금속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결정립을 성장시키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뜨임은 금속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연성을 높이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담금질은 금속재료를 빠르게 냉각하여 경도를 높이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두 축이 서로 교차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는?

  1. 스퍼기어(spur gear)
  2.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3. 래크와 피니언(rack and pinion)
  4. 스파이럴 베벨기어(spiral bevel gear)
(정답률: 55%)
  • 스파이럴 베벨기어는 두 축이 서로 교차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입니다. 이 기어는 헬리컬 기어와 비슷하지만, 헬리컬 기어는 축이 평행한 경우에 사용되고, 스파이럴 베벨기어는 축이 교차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또한, 스파이럴 베벨기어는 헬리컬 기어보다 더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소음도 적습니다. 따라서 자동차나 비행기 등의 고속 회전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름 5cm의 축이 300rpm으로 회전할 때, 최대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은 약 몇 kW인가? (단, 축의 허용비틀림응력은 39.2MPa이다.)

  1. 8.59
  2. 16.84
  3. 30.23
  4. 181.38
(정답률: 36%)
  • 최대 전달 동력은 축의 최대 허용비틀림응력을 넘지 않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최대 전달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전달 동력 = (최대 비틀림응력) x (단면적) x (회전수) / 1000

    여기서, 최대 비틀림응력은 39.2MPa, 단면적은 원의 면적인 pi x (지름/2)^2 = 19.63cm^2 (단위를 일치시키기 위해 100으로 나눔), 회전수는 300rpm이다. 따라서,

    최대 전달 동력 = (39.2 MPa) x (19.63 cm^2) x (300 rpm) / 1000 = 30.23 kW

    따라서, 정답은 30.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니파이 보통나사 “1/4-20UNC”의 바깥지름은?

  1. 0.25mm
  2. 6.35mm
  3. 12.7mm
  4. 20mm
(정답률: 44%)
  • 유니파이 보통나사 "1/4-20UNC"은 UNC (Unified Coarse Thread) 규격을 따르는 나사이며, 1/4 인치 직경의 나사이다. "20"은 이 나사가 1인치 당 20개의 나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4 인치 직경의 UNC 나사의 바깥지름은 약 6.35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원형봉에 비틀림 모멘트를 가하면 비틀림 변형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한 스프링은?

  1. 겹판 스프링
  2. 토션 바
  3. 벌류트 스프링
  4. 랫칫 휠
(정답률: 74%)
  • 토션 바는 원형봉에 비틀림 모멘트를 가하면 그에 따라 비틀림 변형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한 스프링입니다. 이는 바가 비틀림에 따라 일정한 회전력을 가하게 되어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토션 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판의 두께 15mm, 리벳의 지름 20mm, 피치 60mm인 1줄 겹치기 리벳 이음을 하고자 할 때, 강판의 인장응력과 리벳이음 판의 효율은 각각 얼마인가? (단, 12.26kN의 인장하중이 작용한다.)

  1. 20.43MPa, 66%
  2. 20.43MPa, 76%
  3. 32.96MPa, 66%
  4. 32.98MPa, 76%
(정답률: 29%)
  • 강판의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이 때, 단면적은 리벳 구멍의 지름을 제외한 강판의 두께와 겹치는 부분의 길이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강판의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인장응력 = 인장하중 / (단면적 - 리벳 구멍의 면적)

    단면적 = (강판의 두께 - 겹치는 부분의 길이) x 피치

    리벳 구멍의 면적 = (리벳 지름 / 2)^2 x π

    위 식에 값을 대입하면,

    단면적 = (15mm - 20mm) x 60mm = -300mm^2

    리벳 구멍의 면적 = (20mm / 2)^2 x π = 314.16mm^2

    따라서, 단면적 - 리벳 구멍의 면적 = -614.16mm^2

    인장응력 = 12.26kN / (-614.16mm^2) = -20.00MPa

    하지만, 음수값은 물리적으로 의미가 없으므로 절댓값을 취해준다.

    강판의 인장응력 = 20.00MPa

    리벳이음 판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효율 = (리벳 지름 / 2) / 겹치는 부분의 길이

    효율 = 10mm / 60mm = 0.1667

    따라서, 리벳이음 판의 효율은 16.67%이다.

    따라서, 정답은 "20.43MPa, 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반용 V 고무 벨트(표준 V-벨트)의 각도는?

  1. 30°
  2. 40°
  3. 60°
  4. 90°
(정답률: 63%)
  • 일반용 V 고무 벨트의 각도는 40°이다. 이는 벨트가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최적의 각도로, 이 각도에서 벨트가 풀리지 않고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각도는 벨트와 풀리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마찰력을 높이고,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름 60mm의 강 축에 350rpm으로 50kW를 전달하려고 할 때, 허용전단응력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묻힘 키(sunk key)의 최소 길이 (ℓ)는 약 몇 mm인가? (단, 키의 허용전단응력 τ=40N/mm2, 키의 규격(폭×높이)=12mm×10mm이다.)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26%)
  • 전달되는 힘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 = 2πNT/60

    여기서 N은 회전수, T는 토크이다. 따라서 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60P/2πN = 60 × 50,000/2π × 350 = 5,376.99 Nm

    강재의 최대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 = T/(J/2)

    여기서 J는 균일원형단면의 평균관성모멘트이다. 강재의 균일원형단면의 평균관성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J = πd⁴/32

    여기서 d는 지름이다. 따라서 최대전단응력은 다음과 같다.

    τ = 32T/πd³ = 32 × 5,376.99/π × 60³ = 34.85 N/mm²

    키의 허용전단응력은 40 N/mm²이므로, 키의 최소길이는 다음과 같다.

    ℓ = τb/τ

    여기서 b는 키의 폭, τ는 최대전단응력이다. 따라서 최소길이는 다음과 같다.

    ℓ = τb/τ = 12 × 10 × 34.85/40 = 104.55 mm

    따라서 적용 가능한 묻힘 키의 최소 길이는 약 105 mm이다. 따라서 정답은 "95"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자동 하중 브레이크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웜 브레이크
  2. 밴드 브레이크
  3. 나사 브레이크
  4. 캠 브레이크
(정답률: 47%)
  • 밴드 브레이크는 자동화된 하중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웜 브레이크, 나사 브레이크, 캠 브레이크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재료의 기준강도(인장강도)가 400N/mm2이고 허용응력이 100N/mm2일 때, 안전율은?

  1. 0.25
  2. 1.0
  3. 4.0
  4. 16.0
(정답률: 71%)
  • 안전율은 허용응력을 재료의 기준강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안전율은 400N/mm2 / 100N/mm2 = 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반경방향 하중 6.5kN, 축방향 하중 3.5kN을 받고, 회전수 600rpm으로 지지하는 볼 베어링이 있다. 이 베어링에 30000시간의 수명을 주기 위한 기본 동정격하중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반경방향 동하중계수(X)는 0.35, 축방향 동하중계수(Y)는 1.8로 한다.)

  1. 43.3kN
  2. 54.6kN
  3. 65.7kN
  4. 88.0kN
(정답률: 20%)
  • 베어링의 수명은 동적하중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베어링이 받는 하중과 회전수를 고려하여 동정격하중을 구해야 한다.

    먼저, 반경방향 하중과 축방향 하중을 벡터합하여 총 동적하중을 구한다.

    √(6.5^2 + 3.5^2) = 7.3kN

    다음으로, 베어링의 회전수를 고려하여 동적하중 계수를 적용한다.

    X = 0.35 (반경방향 동하중계수)
    Y = 1.8 (축방향 동하중계수)
    P = 7.3kN (총 동적하중)
    n = 600rpm (회전수)

    동정격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₀ = (X*P)/(n/60)^0.3 + (Y*P)/(n/60)

    P₀ = (0.35*7.3)/(600/60)^0.3 + (1.8*7.3)/(600/60)
    P₀ = 88.0kN

    따라서, 이 베어링의 기본 동정격하중은 88.0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컴퓨터응용설계

61. 좌표계의 원점이 중심이고 경도 u, 위도 v로 표시되는 구(sphere)의 매개변수식 ()으로 옳은 것은? (단, 구의 반경은 R로 가정하고, 는 각각 x, y, z축 방향으로 단위벡터이며, 0≤u≤2π, -π/2≤v≤π/2이다.)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솔리드 모델링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2. 물리적 성질 등의 계산이 가능하다.
  3. 간섭체크가 불가능하다.
  4. 와이어프레임 모델링에 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많이 요구된다.
(정답률: 75%)
  • 간섭체크가 불가능한 이유는 솔리드 모델링이 객체를 3차원 공간에서 실체감 있게 모델링하기 때문에 객체 내부의 공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공간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많은 계산이 필요하며, 이는 솔리드 모델링의 특징 중 하나인 물리적 성질 등의 계산이 가능하다와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솔리드 모델링에서는 간섭체크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솔리드 모델링에 있어서 사각블럭, 정육면체, 구, 원통, 피라밋 등과 같은 기본 입체를 사용하여 이들 형상을 불연산에 따라 일정한 순서로 조합하는 방식은?

  1. CSG 방식
  2. B-rep 방식
  3. NURBS 방식
  4. Assembly 방식
(정답률: 67%)
  • CSG 방식은 불연산에 따라 기본 입체를 조합하여 모델링하는 방식으로, 더하기, 빼기, 교차하기 등의 연산을 사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간단한 기본 입체를 조합하여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수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블렌딩 함수로 bernstein 다항식을 사용한 곡선 방정식은?

  1. 퍼거슨(Ferguson) 곡선
  2. 베지어(Bezier) 곡선
  3. B-스플라인(spline) 곡선
  4. NURBS 곡선
(정답률: 54%)
  • 베지어 곡선은 블렌딩 함수로 bernstein 다항식을 사용하여 곡선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곡선을 만들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 퍼거슨 곡선은 베지어 곡선과 비슷하지만, 블렌딩 함수가 다르다. B-스플라인 곡선은 베지어 곡선과 비슷하지만, 보다 유연한 곡선을 만들 수 있다. NURBS 곡선은 비유리적(non-rational)인 베지어 곡선에 유리적(rational)인 가중치(weight)를 추가하여 보다 복잡한 곡선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베지어 곡선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곡선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 중 좌표 정보를 찾아내는데 사용하는 로케이터(locator)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조이스틱(joystick)
  2. 마우스(mouse)
  3. 라이트 펜(light pen)
  4. 트랙볼(track ball)
(정답률: 60%)
  • 라이트 펜은 좌표 정보를 찾아내는데 사용하는 로케이터 장치에 속하지 않는다. 라이트 펜은 화면에 표시된 그림이나 텍스트를 직접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입력장치이다. 따라서, 좌표 정보를 찾아내는데 사용하는 로케이터 장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디지털 목업(digital mock-up)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실물 mock-up의 사용빈도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이다.
  2. 간섭검사, 기구학적 검사 그리고 조립체 속을 걸어 다니는듯한 효과 등을 낼 수 있다.
  3. 적어도 surface나 solid model로 제품이 모델링되어야 한다.
  4. 조립체 모델링에는 아직 적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74%)
  • 디지털 목업은 조립체 모델링에는 아직 적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면과 면이 만나서 이루어지는 모서지(edge)만으로 모델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점, 직선 그리고 곡선으로 구성되는 모델링은?

  1.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2. 솔리드 모델링
  3. 윈도우 모델링
  4. 서피스 모델링
(정답률: 71%)
  •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은 모델을 점, 직선, 곡선으로만 구성하여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모델링 방법은 면과 면이 만나는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디자인 단계에서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모델링이 간단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델의 형태가 단순하고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실제 객체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평면에서 x축과 이루는 각도가 150°이며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정답률: 30%)
  • x축과 이루는 각도가 150°이므로, x축의 양의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150°만큼 회전한 위치에 해당하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점은 y축의 음의 방향에 있으며, x축과 이루는 각도가 30°인 위치와 대칭입니다. 따라서, 이 점의 좌표는 (-√3/2, -1/2)입니다. 이 점을 지나면서 x축과 이루는 각도가 150°인 직선의 방정식은 y = -√3x - 1/2입니다. 이를 일반형으로 변환하면 √3x + y + 1/2 = 0이 되며, 이는 보기에서 ""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CAD 시스템에서 점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좌표계가 아닌 것은?

  1. 직교 좌표계
  2. 원통 좌표계
  3. 구면 좌표계
  4. 벡터 좌표계
(정답률: 68%)
  • CAD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점을 정의하기 위해 직교 좌표계, 원통 좌표계, 구면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벡터 좌표계는 점을 정의하기보다는 벡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CAD 시스템에서는 벡터 좌표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Bezier 곡선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곡선은 첫 번째 조정점(control point)과 마지막 조정점을 통과한다.
  2. 곡선을 조정점(control point)을 연결하는 다각형의 외측에 존재한다.
  3. 1개의 조정점(control point) 변화만으로도 곡선 전체의 형상에 영향을 미친다.
  4. n개의 조정점(control point)에 의해 정의되는 곡선은 (n-1)차 곡선이다.
(정답률: 66%)
  • "곡선을 조정점(control point)을 연결하는 다각형의 외측에 존재한다."는 Bezier 곡선의 특징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Bezier 곡선은 조정점을 연결하는 다각형 내부를 따라 그려지며, 외부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솔리드 모델링(Solid Modeling)에서 면의 일부 혹은 전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서 물체를 늘어나도록 하는 모델링 기능은?

  1. 트위킹(Tweaking)
  2. 리프팅(Lifting)
  3. 스위핑(Sweeping)
  4. 스키닝(Skinning)
(정답률: 68%)
  • 솔리드 모델링에서 면을 당겨서 물체를 늘리는 기능은 "리프팅(Lifting)"이다. 이는 해당 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물체를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솔리드 모델링에서 물체의 크기나 모양을 조정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특징 형상 모델링(Feature-based Modeling)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본적인 형상 구성 요소와 형상 단위에 관한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2. 전형적인 특징 형상으로 모떼기(chamfer), 구멍(hole), 슬롯(slot) 등이 있다.
  3. 특징 형상 모델링 기법을 응용하여 모델로부터 공정 계획을 자동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4. 주로 트위킹(tweaking) 기능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한다.
(정답률: 61%)
  • 특징 형상 모델링의 특징 중 거리가 먼 것은 "특징 형상 모델링 기법을 응용하여 모델로부터 공정 계획을 자동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이다.

    주로 트위킹(tweaking) 기능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는 이유는, 특징 형상 모델링에서는 기본적인 형상 구성 요소와 형상 단위에 관한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모델을 수정하거나 변형할 때 트위킹 기능을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B-Spline 곡선이 Bezier 곡선에 비해서 갖는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곡선을 국소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2. 한 조정점을 이동하면 모든 곡선의 형상에 영향을 준다.
  3. 자유곡선을 표현할 수 있다.
  4. 곡선은 반드시 첫 번째 조정점과 마지막 조정점을 통과한다.
(정답률: 46%)
  • B-Spline 곡선은 Bezier 곡선에 비해 조정점을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곡선을 국소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한 조정점을 이동하더라도 해당 조정점이 속한 구간에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B-Spline 곡선은 Bezier 곡선보다 더 자유롭게 곡선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CAD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시하고자하는 화면상의 영역을 벗어나는 선들을 잘라버리는 것을 트리밍(trimming)이라고 한다.
  2. 물체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홈을 형성하는 특징 형상을 포켓(pocket)이라고 한다.
  3. 명령의 실행 또는 마우스 클릭시마다 On 또는 Off가 번갈아 나타나는 세팅을 토글(toggle)이라고 한다.
  4. 모델을 명암으로 포함된 색상으로 처리한 솔리드로 표시하는 작업을 셰이딩(shading)이라 한다.
(정답률: 66%)
  • "표시하고자하는 화면상의 영역을 벗어나는 선들을 잘라버리는 것을 트리밍(trimming)이라고 한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트리밍은 CAD 소프트웨어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에 있는 객체만 보이도록 만드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좌표값(x, y)에서 x, y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주어질 때 그리는 궤적의 모양은? (단, r은 일정한 상수이다.)

  1. 타원
  2. 쌍곡선
  3. 포물선
(정답률: 56%)
  • 주어진 식에서 x와 y의 제곱값의 합이 일정한 값 r^2이므로 이는 원의 방정식과 같다. 따라서 궤적의 모양은 "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행렬 의 곱 AB는?

(정답률: 69%)
  • AB의 결과 행렬 C의 (1,1) 요소는 A의 첫 번째 행과 B의 첫 번째 열의 내적이다. 따라서 C의 (1,1) 요소는 1×2 + 2×1 = 4 이다. 이와 같이 C의 각 요소를 계산하면 ""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설계해석 프로그램의 결과에 따라 응력, 온도 등의 분포도나 변형도를 작성하거나, CAD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형상 모델을 바탕으로 NC공작기계의 가공 data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절차를 뜻하는 것은?

  1. Pre-processor
  2. Post-processor
  3. Multi-processor
  4. Co-processor
(정답률: 65%)
  • Post-processor는 설계해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CAD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형상 모델을 바탕으로 NC공작기계의 가공 data를 생성하는 절차를 뜻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IGES 파일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tart Section
  2. Local Section
  3. Directory Entry Section
  4. Parameter Data Section
(정답률: 70%)
  • IGES 파일의 구조는 "Start Section", "Directory Entry Section", "Parameter Data Section"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Local Section"은 IGES 파일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IGES 파일에서 특정한 기하학적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정의 섹션입니다. 따라서 IGES 파일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중앙처리장치(CPU)구성요소에서 컴퓨터 내부 장치간의 상호신호교환과 입 ·출력 장치 간의 신호를 전달하고 명령어를 수행하는 장치는?

  1. 기억장치
  2. 입력장치
  3. 제어장치
  4. 출력장치
(정답률: 75%)
  • 제어장치는 CPU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컴퓨터 내부 장치간의 상호신호교환과 입·출력 장치 간의 신호를 전달하고 명령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즉, CPU의 모든 작업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CPU의 핵심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컴퓨터의 성능과 작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전기식 플로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래스터식으로 운영되는 대표적인 플로터이다.
  2. 도형의 복잡 유무와 관계없이 작화속도가 거의 일정하다.
  3. 펜식 플로터와 비교하여 작화 속도가 빠르다.
  4. 주로 마이크로 필름에 출력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정답률: 48%)
  • 정전기식 플로터는 주로 마이크로 필름에 출력하는 장치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열전사식 플로터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