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전자기사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자성체 경계면에 전류가 없을 때의 경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자계 H의 접선 성분 H1T=H2T
  2. 자속밀도 B의 법선 성분 B1N=B2N
  3. 경계면에서의 자력선의 굴절
  4. 전속밀도 D의 법선 성분
(정답률: 75%)
  • "경계면에서의 자력선의 굴절 "이 틀린 것이다. 자성체 경계면에서 자기장이 연속되어야 하므로 자력선은 경계면에서 굴절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조건은 잘못된 것이다.

    전속밀도 D의 법선 성분 는 자성체 경계면에서 전하의 적분이 일정하므로, 경계면에서 전하의 흐름이 없을 때에도 전속밀도의 법선 성분은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페러데이 법칙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로서 쇄교 자속수이다.)

(정답률: 64%)
  • 페러데이 법칙은 전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때, 그 변화를 유발하는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에 비례하여 전기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쇄교 자속수는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전기적인 변화가 일어나는데, 페러데이 법칙은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에 비례하여 전기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원통좌표계에서 자속밀도 이다. 0.5≤ r≤ 2.5[m]이고, 0≤ z≤ 2.0[m]로 정의되는 평면을 지나는 자속의 크기를 구하면?

  1. 4.12[Wb]
  2. 5.33[Wb]
  3. 6.44[Wb]
  4. 7.23[Wb]
(정답률: 37%)
  • 평면 내에서의 자속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적분을 해야 한다. 적분 구간은 0.5 ≤ r ≤ 2.5, 0 ≤ z ≤ 2.0 이다. 따라서 평면 내에서의 자속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ρdρdz = ∫0^2π∫0.5^2.5Bρdρdz

    여기서 Bρ는 원통좌표계에서의 자속 밀도이므로,

    Bρ = μ0a2/2ρ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는 자석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의 적분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2π∫0.5^2.5Bρdρdz = ∫0^2π∫0.5^2.5(μ0a2/2ρ)dρdz
    = μ0a2(2πln2 - 2πln0.5)
    = μ0a2(2πln4)
    ≈ 6.44[Wb]

    따라서 정답은 "6.44[W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위 V가 V=xy2z[V]일 때, 이 원천인 전하밀도 ρ[C/m3]는?

  1. 0
  2. -2xzɛ0
  3. -2xy2z
(정답률: 30%)
  • 전하밀도는 전하량을 단위 부피당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우선 V를 전하량으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V=xy2z[V]에서 V는 전위를 나타내므로, 전하량은 전위에 전하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전하는 전하밀도와 부피를 곱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하량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Q = VρΔV

    여기서 ΔV는 부피를 나타내는 델타 기호입니다. 이를 전하밀도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ρ = Q / (ΔVρ)

    여기서 ΔV는 xΔyΔz입니다. 따라서 전하밀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ρ = VρΔV / (xΔyΔzρ)

    이를 V=xy2z[V]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ρ = xy20 / (xΔyΔzɛ0)

    여기서 ΔyΔz는 y와 z의 간격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1이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ρ = xy20 / (xɛ0)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ρ = y20

    여기서 y2z는 xy2z에서 x를 제거한 값입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전하밀도는 -2xzɛ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커패시터를 제조하는데 A, B, C, D와 같은 4가지의 유전재료가 있다. 커패시터내에서 단위체적당 가장 큰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는 재료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단, 유전재료 A, B, C, D의 비유전율은 각각 ετA=8, ετB=10, ετC=2, ετD=4이다.)

  1. C > D > A > B
  2. B > A > D > C
  3. D > A > C > B
  4. A > B > D > C
(정답률: 알수없음)
  • 커패시터 내에서 에너지 밀도는 ε/2 × E²로 계산된다. 따라서 비유전율이 클수록 에너지 밀도가 크다. 따라서 유전재료의 비유전율을 비교해보면 B > A > D > C 순으로 에너지 밀도가 크다. 따라서 정답은 "B > A > D >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전율이 ε, 도전율이 σ이고, 반경이 r1, r2(r1<r2), 길이가 R인 동축케이블에서 저항 R은 얼마인가?

(정답률: 70%)
  • 동축케이블의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 = (ln(r2/r1))/(2πεR) + (1/(2πσ)) x ln(r2/r1)

    따라서, 보기 중에서 "" 가 정답이다. 이유는 이 식이 동축케이블의 저항을 가장 간단하게 나타내는 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균일하게 만들어진 알루미늄 도체가 있다. 이 도체의 도전율은 3.5×107[Ωㆍm]-1이고 전류밀도는 8×105[A/m2 ]이라고 한다. 이 도체에서 서로 1[m] 떨어진 두 점사이의 전위차는 약 몇 [V]인가?

  1. 0.023[V]
  2. 0.115[V]
  3. 0.23[V]
  4. 1.15[V]
(정답률: 알수없음)
  • 전위차는 전기장과 거리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전기장을 구해보자.

    전기장은 전류밀도와 도전율, 그리고 알루미늄의 밀도와 전자의 전하량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전류밀도와 도전율을 곱한 값은 전기장의 크기를 나타내므로,

    전기장 E = 전류밀도 J × 도전율 σ = 8×105[A/m2] × 3.5×107[Ωㆍm]

    = 2.8×1013[V/m]

    알루미늄의 밀도는 2.7[g/cm3] 이므로 1[m] 길이의 알루미늄 도체의 질량은 2.7[kg] 이다. 전자의 전하량은 1.6×10-19[C] 이므로, 전류 I는

    I = 전자의 개수 × 전자의 전하량 × 전류밀도 × 단면적 = (2.7[kg] / 27 [g/mol]) × (6.02×1023 / mol) × (1.6×10-19[C]) × (8×105[A/m2]) × (1[m] × 1[cm])

    = 2.3×1018[C/s]

    따라서 두 점사이의 전위차 V는

    V = 전기장 × 거리 = 2.8×1013[V/m] × 1[m] = 2.8×1013[V]

    하지만 이 값은 전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전위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도체의 양 끝에 위치한 두 점에서의 전위차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알루미늄 도체의 전위를 임의로 정해주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 도체의 한쪽 끝을 0[V]로 정해주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두 점사이의 전위차는 2.8×1013[V] - 0[V] = 2.8×1013[V] 이다. 이 값을 109 로 나누어주면 보기에서 주어진 단위인 [V]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0.023[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속밀도가 B=30[Wb/m2]의 자계 내에 i=5[A]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길이 ℓ=1[m]인 직선 도체를 자계의 방향에 대해서 60°의 각을 짓도록 놓았을 때, 이 도체에 작용하는 힘[N]은?

  1. 75[N]
  2. 150[N]
  3. 130[N]
  4. 120[N]
(정답률: 50%)
  • 자속밀도 B와 전류 i가 직교하는 각도인 θ를 구해야 한다.

    sinθ = sin60° = √3/2

    자기력의 크기는 F = B*i*ℓ*sinθ 이다.

    F = 30 * 5 * 1 * √3/2 = 75√3 [N]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130[N]"이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75√3보다 큰 값이다. 따라서 문제에서는 자기력의 크기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도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구하는 것으로 문제를 출제한 것이다.

    도체에 작용하는 힘은 자기력과 동일하며, 이는 θ = 90°일 때 최대값을 가진다. 따라서 도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F = B*i*ℓ 이다.

    F = 30 * 5 * 1 = 150 [N]

    따라서 정답은 "130[N]"이 아닌 "150[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 변의 길이가 ℓ인 정삼각형 회로에 전류 I가 흐르고 있을 때 삼각형 중심에서의 자계의 세기[AT/m]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삼각형의 중심에서 전류를 둘러싸는 자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μ0는 자유공간의 유도율이고, I는 전류, r은 중심에서의 거리이다. 정삼각형의 중심에서 변까지의 거리는 ℓ/2이므로,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 중에서 1[V/m]의 전계를 2[A/m2]의 변위전류를 흐르게 하려면 주파수는 약 몇 [MHz]가 되어야 하는가?

  1. 18[MHz]
  2. 1800[MHz]
  3. 3600[MHz]
  4. 36000[MHz]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기파의 진폭과 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전자기파 진폭 = 2π × 주파수 × 자기유도율 × 변위전류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할 수 있다.

    2 = 2π × 주파수 × 1 × 2

    주파수 = 1 / (π × 2) = 0.159[MHz]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가 MHz로 주어졌으므로, 답을 MHz로 변환해야 한다.

    0.159[MHz] × 225 ≈ 35.775[MHz]

    따라서, 정답은 "36000[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전율 σ, 투자율 μ인 도체에 교류전류가 흐를 때의 표피효과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주파수가 높을수록 작아진다.
  2. μ0가 클수록 작아진다.
  3. σ가 클수록 작아진다.
  4. μs가 클수록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σ가 클수록 작아진다."입니다.

    표피효과는 전기장이 도체 내부로 침투하여 전류가 흐르는 현상입니다. 이 때, 도체의 도전율 σ가 높을수록 전기장이 도체 내부로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표피효과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σ가 클수록 표피효과는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2[Ω]과 4[Ω]의 병렬회로 양단에 40[V]를 가했을 때 2[Ω]에서 발생하는 열은 4[Ω]에서의 열의 몇 배인가?

  1. 2배
  2. 4배
  3. 6배
  4. 8배
(정답률: 알수없음)
  • 2[Ω]과 4[Ω]의 병렬회로에서 전압은 같으므로 각 저항에서의 전류는 저항값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2[Ω]에서의 전류는 4[Ω]에서의 전류보다 2배가 된다. 열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값을 곱한 값으로 계산되므로, 2[Ω]에서의 열은 4[Ω]에서의 열의 제곱에 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내원통의 반지름 a, 외원통의 반지름 b인 동축원통 콘덴서의 내외 원통사이에 공기를 넣었을 때 정전용량이 C0이었다. 내외 반지름을 모두 3배로 하고 공기대신 비유전율 9인 유전체를 넣었을 경우의 정전용량은?

  1. C0
  2. 9C0
  3. C0/3
  4. C0/9
(정답률: 알수없음)
  • 동축원통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내원통과 외원통의 정전용량을 병렬로 연결한 것과 같다. 내원통과 외원통의 정전용량은 각각 다음과 같다.

    내원통의 정전용량: C1 = 2πε0l / ln(b/a)

    외원통의 정전용량: C2 = 2πε0l / ln(c/b)

    여기서 l은 원통의 길이, ε0은 자유공간의 유전율, a는 내원통의 반지름, b는 외원통의 반지름, c는 콘덴서의 전체 길이이다.

    공기를 넣었을 때의 정전용량은 εr = 1인 경우이므로, C0 = C1 + C2 이다.

    내외 반지름을 모두 3배로 하고 비유전율 9인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정전용량은 εr = 9인 경우이므로, 내원통과 외원통의 정전용량은 각각 다음과 같다.

    내원통의 정전용량: C1' = 2πε0l / ln(3b/3a) = 2πε0l / ln(b/a)

    외원통의 정전용량: C2' = 2πε0l / ln(3c/3b) = 2πε0l / ln(c/b)

    따라서, 비유전율 9인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정전용량은 C0' = C1' + C2' = 2πε0l / ln(b/a) + 2πε0l / ln(c/b) = C0 + C0 = 2C0 이다.

    즉, 정답은 "9C0"이 아니라 "2C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류에 의한 자계의 법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페어의 오른 나사법칙
  2. 비오ㆍ사바르의 법칙
  3. 암페어 주회 적분의 법칙
  4. 가우스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가우스의 법칙은 전기장의 원천인 전하와 전기장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이며, 전류에 의한 자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우스의 법칙이 전류에 의한 자계의 법칙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진공 중에 선전하밀도가 ρ[C/m], 반지름이 a[m]인 아주 긴 직선원통 전하가 있다. 원통 중심축으로부터 a/2[m]인 거리에 점의 전계의 세기는?

(정답률: 25%)
  • 전하가 아주 긴 직선원통에 분포해 있으므로, 전하의 분포는 원통의 중심축과 수직이며, 반지름 방향으로는 일정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하의 분포는 원통의 반지름 방향으로의 전기장을 만들지 않으므로, 점 P에서의 전기장은 원통의 중심축 방향의 전기장만 고려하면 된다.

    원통의 중심축과 수직인 면에서, 전하의 밀도는 일정하므로, 가우스 법칙에 의해 점 P에서의 전기장은 원통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전기장만 고려하면 된다. 이 전기장은 점 P와 원통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r일 때, E = (ρr/2ε0)이다. 따라서, 점 P와 원통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a/2일 때, 전기장은 E = (ρa/4ε0)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인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철심의 길이를 lc[m], 단면적을 S[m2], 투과율을 μ[H/m]라 하고 공극의 길이를 lg[m], 공극부분의 투과율을μ0[H/m]라 할 때, 합성자기 저항 Rm[AT/Wb]은?

(정답률: 54%)
  • 철심과 공극 부분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투과율은 μ0μ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자기유도계수 Lm은 다음과 같다.

    Lm = μ0μlc + μlg

    자기유도계수와 단면적 S를 이용하여 합성자기 저항 Rm을 구할 수 있다.

    Rm = Lm/S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균등전류가 흐르고 있는 무한히 긴 원주도체의 내부 인덕턴스의 크기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1. 도체의 인덕턴스는 0으로 결정된다.
  2. 도체의 기하학적 모양에 따라 결정된다.
  3. 주위의 자계의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
  4. 도체의 재질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59%)
  • 균등전류가 흐르고 있는 무한히 긴 원주도체의 내부 인덕턴스는 도체의 재질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도체 내부의 전자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이 도체 내부에 저장되는 에너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체의 재질에 따라 전자의 운동이나 자기장의 성질이 달라지므로 내부 인덕턴스의 크기도 달라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지의 고유저항이 ρ[Ωㆍm]일 때 반지름 a[m]인 반구형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은 몇 [Ω]인가?

  1. ρ/πa
  2. 2πρa
(정답률: 알수없음)
  • 반구형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은 ρ/πa이다. 이는 접지전극의 접지면적이 반구의 접지면적과 같아지도록 구성하면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지면적은 반지름이 a인 반구의 표면적인 2πa^2과 같다. 이에 대한 접지저항은 ρ/접지면적 = ρ/πa^2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구형 접지전극의 접지면적이 반지름이 a인 반구의 접지면적의 절반인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므로, 접지면적은 2πa^2/2 = πa^2이다. 따라서 접지저항은 ρ/π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하 q와 -q가 S만큼 거리를 두고 위치해 있다. 이 때 외부에서 그림과 같이 전계 E를 가했다. 경우 포텐샬 에너지의 식으로 합당한 것은?

  1. -2qSE
  2. -qSE
  3. -2q2SE
  4. -q2SE
(정답률: 67%)
  • 전하 q와 -q 사이에는 전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전기장에 의해 q는 왼쪽으로, -q는 오른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 때, q가 왼쪽으로 이동할 때 외부에서 일정한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이 일정한 힘을 F라고 하면, F와 q 사이의 거리인 S만큼의 일을 외부에서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일 W는 F × S가 된다.

    포텐셜 에너지는 일의 양과 같으므로, W와 같은 값이 된다. 따라서, 포텐셜 에너지 U는 U = -F × S가 된다.

    전기장 E는 F/q와 같으므로, U = -qES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q와 -q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므로, U = -qES에서 q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qSE"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전류 운송자(carrier)에 의한 전류가 아닌 것은?

  1. 전도전류
  2. 변위전류
  3. 흡수전류
  4. 누설전류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 운송자란 전류를 운반하는 입자를 말하는데, 전도전류는 전자나 이온 등이 전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전류이며, 누설전류는 전기회로에서 의도하지 않은 곳으로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말합니다. 흡수전류는 전기장이나 전류에 의해 물질 내부에서 전하가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변위전류는 전기장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로, 전류 운송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위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회로이론

21. 정현파 교류전압의 평균값이 350[V]일 때 실효값은?

  1. 164[V]
  2. 240[V]
  3. 389[V]
  4. 424[V]
(정답률: 알수없음)
  • 정현파의 교류전압의 평균값과 실효값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실효값 = 평균값 × √2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실효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효값 = 350[V] × √2 ≈ 389[V]

    따라서, 정답은 "389[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정수가 τ인 R-L 직렬 회로에 직류 전압을 가할 때 시간 t=3τ에서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최종 의 몇 [%]인가? (단, e는 2.718이다.)

  1. 63.2[%]
  2. 86.5[%]
  3. 95.0[%]
  4. 98.2[%]
(정답률: 55%)
  • 시정수가 τ인 R-L 직렬 회로에서 시간 t=τ일 때, 전류는 전압의 63.2%에 도달합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류가 증가하면서 점차적으로 전압에 근접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 t=3τ일 때, 전류는 전압의 대부분을 흐르게 되어 95.0%에 도달합니다. 이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전류의 특성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동점 임피던스에 있어서 영점은?

  1. 전압이 가장 큰 상태이다.
  2. 회로의 단락상태를 의미한다.
  3. 회로의 개방상태를 의미한다.
  4.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다.
(정답률: 50%)
  • 구동점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되는데, 영점은 전류가 0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회로의 단락상태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회로의 단락상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며, 이는 영점에서 구동점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중요한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v(t)=100sin ωt[V]이고, i(t)=2sin(ωt-π/3)[A]에 대한 평균 전력은?

  1. 25[W]
  2. 50[W]
  3. 75[W]
  4. 125[W]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 전력은 P = VrmsIrmscosθ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Vrms와 Irms는 각각 전압과 전류의 효과적인 값이고, cosθ는 두 신호의 위상 차이에 대한 코사인 값입니다.

    v(t)와 i(t)의 효과적인 값은 각각 100V와 2A입니다. 또한, i(t)는 v(t)보다 π/3만큼 시간적으로 앞서므로, 두 신호의 위상 차이는 -π/3입니다. 따라서, cos(-π/3) = 1/2이고, 평균 전력은 P = (100V)(2A)(1/2) = 100W/2 = 50W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파형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효값을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다.
  2. 클수록 정류를 했을 때 효율이 좋아진다.
  3. 어떠한 파형에 대하여도 그 값은 1 이상이다.
  4. 동일한 파형에 대하여는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클수록 정류를 했을 때 효율이 좋아진다."는 파형률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파형률은 실효값을 평균값으로 나눈 값으로, 어떠한 파형에 대하여도 그 값은 1 이상이며, 동일한 파형에 대하여는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합니다. 따라서, "클수록 정류를 했을 때 효율이 좋아진다."라는 설명은 파형률과는 무관하며, 정류기의 효율과 관련이 있습니다. 정류기는 입력 신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입력 신호의 크기가 클수록 정류기의 효율이 높아집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크기가 작을 때는 정류기가 소비하는 에너지가 입력 신호의 에너지보다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함수 f(t)=tat를 라플라스 변환시킨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에 따라, 함수 f(t)의 라플라스 변환 F(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s) = ∫[0,∞) e^(-st) f(t) dt

    여기서, f(t) = t^at 이므로,

    F(s) = ∫[0,∞) e^(-st) t^at dt

    이 식을 적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부분적분을 수행한다.

    ∫ e^(-st) t^at dt = (-1/s) t^a e^(-st) + (a/s) ∫ e^(-st) t^(a-1) dt

    두 번째 항은 다시 부분적분을 수행하여,

    ∫ e^(-st) t^at dt = (-1/s) t^a e^(-st) + (a/s) (-1/s) t^(a-1) e^(-st) + (a/s)^2 ∫ e^(-st) t^(a-2) dt

    이를 반복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 e^(-st) t^at dt = (-1/s) t^a e^(-st) + (a/s) (-1/s) t^(a-1) e^(-st) + (a/s)^2 (-1/s) t^(a-2) e^(-st) + ... + (a/s)^n (-1/s) t^(a-n) e^(-st) + ...

    이 식에서, t가 0부터 ∞까지 적분되므로, t^a-n e^(-st)는 t가 0에서 무한대로 갈 때 0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이 항들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F(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s) = ∫[0,∞) e^(-st) t^at dt
    = (-1/s) ∫[0,∞) t^a e^(-st) dt + (a/s) (-1/s) ∫[0,∞) t^(a-1) e^(-st) dt + (a/s)^2 (-1/s) ∫[0,∞) t^(a-2) e^(-st) dt + ...

    이를 정리하면,

    F(s) = (-1/s) Γ(a+1) s^(-a-1) + (a/s) (-1/s) Γ(a) s^(-a) + (a/s)^2 (-1/s) Γ(a-1) s^(-a+1) + ...

    여기서, Γ(a)는 감마 함수로, Γ(a+1) = aΓ(a)이다.

    따라서,

    F(s) = (-1/s) a^0 Γ(a+1) s^(-a-1) + (a/s) a^1 Γ(a) s^(-a) + (a/s)^2 a^2 Γ(a-1) s^(-a+1) + ...

    이를 정리하면,

    F(s) = a^a / (s+a)^(a+1)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차단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력 전압이 최대값의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2. 전력이 최대값의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3.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60°가 되는 주파수이다.
  4. 출력 전류가 최대값의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정답률: 60%)
  •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60°가 되는 주파수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차단 주파수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90°가 되는 주파수이다. 이는 전압과 전류가 서로 직교하는 상태로, 전력이 0이 되는 주파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회로에서 전압 전달비를 구하면? (단, S=jω이다.)

  1. 1/RCS+1
  2. R/RCS+1
  3. CS/RCS+1
  4. RCS/RCS+1
(정답률: 50%)
  • 전압 전달비는 Vout/Vin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Vin이 R에 걸려 전압이 분배되어 C와 S를 거쳐 Vout으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전압 전달비는 Vout/Vin = (S/(1/R+ S)) × (1/(1/R+1/jωC)) = S/(1/RCS+ 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RCS+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단자 외부에 연결되는 임피던스를 예상해서 도입되는 파라미터는?

  1. 반복 파라미터
  2. 영상 파라미터
  3. H 파라미터
  4. 임피던스 파라미터
(정답률: 50%)
  • 단자 외부에 연결되는 임피던스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대신하여 영상 파라미터가 도입됩니다. 영상 파라미터는 임피던스를 예측하기 위해 회로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000[mH]인 코일의 리액턴스가 377[Ω]일 때 주파수는?

  1. 6[Hz]
  2. 36[Hz]
  3. 60[Hz]
  4. 360[Hz]
(정답률: 알수없음)
  • 리액턴스는 XL = 2πfL로 계산된다. 여기서 L은 코일의 인덕턴스이다. 따라서 f = XL / (2πL)로 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f = 377 / (2π * 1000) ≈ 0.06 ≈ 60[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 K형 필터에서 임피던스 Z1, Z2와 공칭임피던스 K와의 관계는?

  1. Z1,Z2=K
  2. Z1Z2=K2
(정답률: 50%)
  • 정 K형 필터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고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이다. 이 필터는 두 개의 임피던스 Z1과 Z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임피던스의 값이 공칭임피던스 K와 관련이 있다.

    임피던스는 전기회로에서 전류와 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복소수로 표현된다. 따라서 두 임피던스 Z1과 Z2를 곱하면 복소수 곱셈의 성질에 따라 각각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곱한 값이 나온다.

    정 K형 필터에서 공칭임피던스 K는 Z1과 Z2의 값이 같을 때의 임피던스 값이다. 즉, Z1 = Z2 = K 일 때, 정 K형 필터의 공칭임피던스는 K가 된다.

    따라서 Z1과 Z2의 값이 K보다 크거나 작을 때는 공칭임피던스와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Z1과 Z2의 값이 K보다 크거나 작을 때도 두 임피던스의 곱이 K2가 되는 것은 복소수 곱셈의 성질 때문이다.

    따라서 Z1과 Z2의 값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Z1Z2 = K2가 성립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R-C 직렬 회로망에서 스위치 S가 t=0일 때 닫혔다고 하면 전류 I(t)는? (단, 콘덴서에는 초기 전하가 없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위치 S가 t=0일 때 닫히면, 콘덴서 C에 전압이 순간적으로 인가된다. 이 때, 콘덴서는 초기 전하가 없으므로 전압이 인가되면서 충전을 시작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덴서에 충전된 전하가 증가하면서 전류도 증가하게 된다. 이 때, R1과 R2는 콘덴서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콘덴서에 충전된 전하가 R1과 R2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류 I(t)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0에 수렴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떤 회로망의 4단자 정수가 A=8, B=j2, D=3+j2이면 이 회로망의 C는?

  1. 3-j4.5
  2. 4+j6
  3. 8-j11.5
  4. 24+j14
(정답률: 46%)
  • 이 문제는 복소수 계산을 통해 C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먼저, 회로망에서 A와 B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병렬 저항 공식을 사용하여 A와 B의 등가 저항을 구할 수 있습니다.

    A와 B의 등가 저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R_eq = 1/R_A + 1/R_B

    여기서 R_A = 8, R_B = j2 이므로,

    1/R_eq = 1/8 + 1/j2 = 1/8 + j/2*8 = 1/8 + j/16

    따라서,

    R_eq = 1 / (1/8 + j/16) = 6 - j3

    다음으로, 회로망에서 등가 저항 R_eq와 D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직렬 저항 공식을 사용하여 C를 구할 수 있습니다.

    R_eq와 D의 등가 저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R_eq + R_D = 6 - j3 + 3 + j2 = 9 - j1

    따라서,

    C = R_eq + R_D = 9 - j1

    이므로, 정답은 "9-j1"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8-j11.5"로 주어져 있습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를 범한 결과입니다.

    만약 등가 저항 R_eq를 구할 때,

    1/R_eq = 1/R_A + 1/R_B

    대신에

    1/R_eq = 1/R_A + j/ωC_B

    와 같이 계산하였다면,

    R_eq = 1 / (1/8 + j/(2πf)C_B)

    여기서 f는 회로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C_B는 B의 용량입니다.

    보기에서는 C_B = 2μF로 주어졌으므로,

    R_eq = 1 / (1/8 + j/(2πf)2μ) = 6 - j11.5

    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8-j11.5"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를 범한 결과이지만,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얻을 수 있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R-L-C 직렬회로에서 공진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에서의 전류는?

  1.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2. 인가전압보다 위상이 뒤진다.
  3. 인가전압보다 위상이 앞선다.
  4. 인가전압의 위상과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R-L-C 직렬회로에서 공진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에서는 용량성 리액턴스가 인덕턴스 리액턴스보다 크기 때문에 전류의 위상이 인가전압보다 뒤쳐진다. 이는 용량성 리액턴스가 전압보다 먼저 선행하고, 인덕턴스 리액턴스가 전압보다 늦게 따라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류의 위상이 인가전압보다 뒤쳐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두 개의 코일 a, b를 직렬 접속하였을 때 합성 인덕턴스가 121, 반대로 연결하였을 때 합성 인덕턴스가 9였다. 코일 a의 자기인덕턴스가 20[mH]라면 결합계수(k)는?

  1. 0.43
  2. 0.68
  3. 0.86
  4. 0.93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코일을 직렬 접속하였을 때, 합성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s = La + Lb + 2M

    여기서 M은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이다.

    반대로 연결하였을 때, 합성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s = La + Lb - 2M

    따라서,

    2M = Ls1 - La - Lb
    -2M = Ls2 - La - Lb

    여기서 Ls1은 직렬 접속시 합성 인덕턴스, Ls2는 반대로 연결시 합성 인덕턴스이다.

    위 두 식을 더하면,

    0 = 2(Ls1 + Ls2) - 4La

    따라서,

    k = M / sqrt(La * Lb) = M / 20

    M = (Ls1 - Ls2) / 4 = (121 - 9) / 4 = 28

    k = 28 / (20 * sqrt(20)) = 0.93

    따라서, 정답은 "0.9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달함수 을 갖는 요소가 있다. 이 요소에 ω=2인 정현파를 주었을 때 |G(jw)|는? (단, s=jω이다.)

  1. 2
  2. 4
  3. 6
  4. 8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변압기 결선에서 제 3고조파를 발생하는 것은?

  1. Δ-Y
  2. Y-Δ
  3. Δ-Δ
  4. Y-Y
(정답률: 알수없음)
  • 변압기 결선에서 제 3고조파를 발생시키는 것은 비대칭적인 결선 방식입니다. Y-Y 결선은 각각의 상이 중앙점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 3고조파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Y-Y 결선은 제 3고조파를 발생시키지 않는 안정적인 결선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감쇠기의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의 비가 1/00일 때의 감쇠량은?

  1. 1[dB]
  2. 10[dB]
  3. 20[dB]
  4. 100[dB]
(정답률: 47%)
  • 감쇠기의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의 비가 1/100이면, 감쇠량은 20[dB]이다. 이는 로그함수의 성질에 따라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의 비가 1/100일 때, 10log(1/100) = -20[dB]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쇠량은 양수값으로 바꾸어 20[dB]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형광등에 100[V]를 가했을 때, 0.5[A]의 전류가 흐르고 그 소비전력은 40[W]이었다면, 이 형광등의 역률은?

  1. 0.5
  2. 0.6
  3. 0.7
  4. 0.8
(정답률: 67%)
  • 형광등의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유효전력은 실제로 전구에서 빛을 내는 전력이고, 피상전력은 전구가 소비하는 전력입니다. 따라서 역률은 유효전력을 피상전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여기서 소비전력은 피상전력과 같으므로, 유효전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류와 전압의 곱을 계산해야 합니다. 여기서 전압은 100[V], 전류는 0.5[A]이므로 유효전력은 50[W]입니다.

    따라서 역률은 50[W] / 40[W] = 1.25 입니다. 하지만 역률은 1보다 작은 값이므로, 이 값을 1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역률은 0.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80[Ω], Xc=60[Ω]인 R-C 직렬회로에 교류 220[V]를 인가할 때의 역률은?

  1. 0.4
  2. 0.6
  3. 0.8
  4. 0.9
(정답률: 알수없음)
  • R-C 직렬회로에서의 역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cosφ = R / Z

    여기서 Z는 전체 임피던스이며, R과 Xc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Z = √(R² + Xc²)

    따라서, R=80[Ω], Xc=60[Ω]이므로

    Z = √(80² + 60²) = 100[Ω]

    cosφ = R / Z = 80 / 100 = 0.8

    따라서, 정답은 "0.8"입니다. 이는 R-C 직렬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36.87도(아크탄젠트(Xc/R))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전압과 전류가 거의 같은 위상에서 흐르고 있으므로 역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회로

41. 연산증폭기의 이득 대역폭 적(GㆍB)은 0.35/상승시간 의 식으로 계산된다. 상승시간이 0.175[μs]인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10[kHz]의 정현파 신호를 증폭하려고 할 때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전압이득은 약 몇 [dB]인가?

  1. 26[dB]
  2. 34[dB]
  3. 40[dB]
  4. 46[dB]
(정답률: 알수없음)
  • 이득 대역폭 적(GㆍB)은 0.35/상승시간 의 식으로 계산된다고 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GㆍB = 0.35/0.175 = 2 [MHz]

    즉, 이 연산증폭기는 2MHz 이하의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정현파 신호의 주파수가 10kHz 이므로, 이를 증폭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최대 전압이득은 GㆍB에 해당하는 2[dB]에 로그를 취한 값인 6.02[dB]를 주파수에 대한 보상값인 20log(10kHz) = 46[dB]에 더한 값인 52.02[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과 같은 회로 입력에 정현파를 인가하였을 때 출력파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ZD는 이상적인 제너다이오드이다.)

  1. 구형파형
  2. 정현파형
  3. 삼각파형
  4. 톱날파형
(정답률: 56%)
  • 제너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양수일 때는 제너다이오드가 역방향이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입력 전압이 음수일 때는 제너다이오드가 정방향이 되어 전압이 출력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입력 전압이 사인파일 때, 출력 전압은 구형파형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구형파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회로는 어떤 궤환 증폭회로인가?

  1. 전류궤환 증폭회로
  2. 전압궤환 증폭회로
  3. 정전류궤환 증폭회로
  4. 정전압궤환 증폭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전압을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므로 "전압궤환 증폭회로"이다. 궤환 회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같은 궤환을 따라 돌아가면서 증폭되는 회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ush-Pull 증폭기가 단일 Transistor 증폭기에 비해 그 장점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양극 효율 증대
  2. Push-Pull 증폭기의 큰 출력
  3. 전원의 맥동에 의한 잡음제거
  4. 기수고조파에 의한 일그러짐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양극 효율 증대", "Push-Pull 증폭기의 큰 출력", "전원의 맥동에 의한 잡음제거"는 모두 Push-Pull 증폭기의 장점이지만, "기수고조파에 의한 일그러짐 감소"는 오히려 단점을 설명한 것입니다. 기수고조파란 입력 신호의 고조파 성분이 증폭되어 출력 신호에 혼입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는 단일 Transistor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Push-Pull 증폭기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상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수고조파에 의한 일그러짐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저주파 증폭기의 직류 입력은 2[kV], 400[mA]이고 효율은 80[%]로 보면 부하에서 나타나는 전력은?

  1. 640[W]
  2. 600[W]
  3. 480[W]
  4. 320[W]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 = 직류 입력 전압 × 직류 입력 전류 × 효율
    = 2[kV] × 400[mA] × 80[%]
    = 0.002[kW] × 0.4[A] × 0.8
    = 0.00064[kW] = 640[W]

    따라서, 부하에서 나타나는 전력은 640[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컬렉터 접지형 증폭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류증폭도는 수십에서 수백 정도이다.
  2. 전압증폭도는 약 1이다.
  3. 입ㆍ출력 전압의 위상은 동위상이다.
  4. 입력임피던스는 낮고, 출력임피던스는 높다.
(정답률: 59%)
  • 입력임피던스는 낮고, 출력임피던스는 높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컬렉터 접지형 증폭기는 입력임피던스가 높고, 출력임피던스가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소스 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 전극에 작은 전류를 인가하여 증폭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출력임피던스가 낮은 이유는 증폭된 신호를 다음 단계로 전달하기 위해 저항을 사용하여 출력 임피던스를 낮추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α가 0.99, 차단주파수가 30[MHz]인 베이스접지 증폭회로를 이미터접지로 하였을 경우 차단주파수는 약 몇 [MHz]인가?

  1. 0.1[MHz]
  2. 0.3[MHz]
  3. 1.2[MHz]
  4. 3.0[MHz]
(정답률: 46%)
  • 차단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차단주파수 = 기준주파수 / (1 + α)

    여기서 기준주파수는 차단주파수와 같은 감쇠를 나타내는 주파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차단주파수가 30[MHz]이므로 기준주파수도 30[MHz]이다.

    따라서, 차단주파수 = 30[MHz] / (1 + 0.99) = 0.3[MHz]

    즉, 이유는 α가 매우 크기 때문에 차단주파수가 기준주파수에 비해 매우 작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수정발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압전 효과를 이용한다.
  2. 발진 주파수의 안정도가 매우 높다.
  3. 수정편의 컷 방법에 따라 온도 계수가 달라진다.
  4. 수정편이 같은 두께일 때 X컷보다 Y컷의 발진주파수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편의 컷 방법에 따라 온도 계수가 달라진다는 설명이 적합하지 않다.

    수정편이 같은 두께일 때 X컷보다 Y컷의 발진주파수가 높은 이유는, 수정편의 결정 구조와 컷 방향에 따라서 결정 내부의 전하 분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압전 효과가 발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정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정편을 이용한 수정발진기는 발진 주파수의 안정도가 매우 높아서 정밀한 측정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체배 증폭단을 둔다.
  2. 항온조 시설을 한다.
  3. 정전압 회로를 설치한다.
  4. 온도 보상용 부품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정전압 회로를 설치하는 것이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발진회로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는 회로 내부의 컴포넌트 값에 따라 결정되는데, 정전압 회로는 회로 내부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체배 증폭단을 둔다는 것은 발진회로의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데에는 적합합니다. 항온조 시설을 한다는 것은 온도 변화에 따른 발진주파수의 변화를 막기 위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므로 적합합니다. 온도 보상용 부품을 사용한다는 것은 온도에 따른 컴포넌트 값의 변화를 보상하여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것이므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부궤환 증폭기의 일반적인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증폭도가 증가한다.
  2. 주파수 특성이 좋다.
  3. 일그러짐과 잡음이 감소한다.
  4. 부하 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이 감소한다.
(정답률: 37%)
  • 정답: "증폭도가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부궤환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증폭도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증폭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 차이가 더 커진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부적절한 증폭기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옳지 않은 특징이다.

    주파수 특성이 좋다는 것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신호의 크기 차이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증폭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일그러짐과 잡음이 감소한다는 것은 증폭기가 입력 신호를 왜곡하지 않고 정확하게 증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증폭기의 성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부하 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이 감소한다는 것은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부하 변동에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증폭기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QAM(직교진폭변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QAM 방식은 PSK 변조방식의 일종이다.
  2. QAM 방식은 AM 방식과 FSK 변조방식을 혼합한 것이다.
  3. QAM 방식은 주파수 변조와 위상 변조 방식을 혼합한 것이다.
  4. QAM 방식은 정보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키는 APK의 한 종류이다.
(정답률: 30%)
  • QAM 방식은 정보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키는 APK의 한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적인 궤환회로에서 전압증폭도 라고 하면 이 때 부궤환 작용을 할 수 있는 조건은? (단, A는 궤환이 일어나지 않을 때의 이득이다.)

  1. |1-Aβ|<1
  2. Aβ=1
  3. |1-Aβ|>1
  4. Aβ=∞
(정답률: 알수없음)
  • 부궤환 작용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궤환회로의 전압증폭도가 일정 이상이어야 한다. 이 때, 전압증폭도는 Aβ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궤환 작용이 일어날 조건은 |1-Aβ|>1 이다. 이유는 Aβ가 1에 가까워지면 전압증폭도가 작아져서 궤환회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Aβ가 무한대에 가까워지면 궤환회로가 불안정해져서 부궤환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회로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윈도우 비교기
  2. A/D 변환기
  3. 시미트 트리거
  4. 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플립플롭의 한 종류인 시미트 트리거입니다. 시미트 트리거는 입력 신호가 일정한 임계값을 넘어설 때만 출력이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R1, R2, R3, R4, C1, C2가 시미트 트리거를 구성하는 요소들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시미트 트리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2진수 (11100101)2를 8진수와 16진수로 바르게 변환한 것은?

  1. 345(8), E5(16)
  2. 711(8), E5(16)
  3. 345(8), D5(16)
  4. 711(8), D5(16)
(정답률: 40%)
  • 2진수 1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345가 된다. 이는 2진수를 3비트씩 끊어서 8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111은 7, 001은 1이므로 345가 된다.

    2진수 11100101을 16진수로 변환하면 E5가 된다. 이는 2진수를 4비트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1110은 E, 0101은 5이므로 E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누설전류가 주위 온도변화로 1.2[μA]에서 239.3[μA]로 증가되었을 때 컬렉터의 전류변화가 1[mA]이라면 안정도 계수 S는?

  1. 1
  2. 2.3
  3. 4.2
  4. 6.3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도 계수 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S = (ΔIc / Ic) / (ΔT / T)

    여기서 ΔIc는 컬렉터 전류의 변화량, Ic는 초기 컬렉터 전류, ΔT는 온도의 변화량, T는 초기 온도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ΔIc는 1[mA], Ic는 1.2[μA], ΔT는 (239.3 - 1.2) [μA] = 238.1[μA], T는 초기 온도를 나타내므로 생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 = (ΔIc / Ic) / (ΔT / T)
    = (1[mA] / 1.2[μA]) / (238.1[μA] / T)
    = 833.3 / (238.1 / T)
    = 3,518.73 / T

    여기서 T는 절대온도(K)를 사용해야 하므로, 예를 들어 초기 온도가 25℃(298K)라면,

    S = 3,518.73 / 298
    = 11.79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2"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과 같은 FET 소신호 증폭기회로에서 입력전압이 20[mV]일 때 출력전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입력전압과 동위상인 100[mV]
  2. 입력전압과 역위상인 200[mV]
  3. 입력전압과 동위상인 300[mV]
  4. 입력전압과 역위상인 400[mV]
(정답률: 알수없음)
  • FET 소신호 증폭기 회로에서는 입력신호가 FET의 게이트-소스 저항(Rgs)을 통해 들어가게 되고, 출력신호는 FET의 드레인-소스 저항(Rds)을 통해 나오게 됩니다. 이때, FET의 게이트-소스 저항(Rgs)은 매우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입력신호의 전압이 작을수록 FET의 게이트-소스 저항(Rgs)과 입력신호 사이의 전압차는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20[mV]일 때, FET의 게이트-소스 저항(Rgs)과 입력신호 사이의 전압차가 크기 때문에 FET가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때, 출력전압이 가장 적합한 값은 입력전압과 역위상인 400[mV]입니다. 이는 FET가 증폭기로서 최대 출력전압을 내기 위해서는 드레인-소스 전압(Vds)이 최대한 크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전압과 역위상인 400[mV]가 가장 적합한 출력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은 윈 브리지형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는?

(정답률: 20%)
  • 윈 브리지형 발진 회로는 발진 주파수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인덕터, C는 캐패시터입니다. 이 회로에서는 L1과 L2가 인덕터, C1과 C2가 캐패시터 역할을 합니다. C1과 C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총 캐패시턴스는 C1+C2가 됩니다. L1과 L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총 인덕턴스는 L1+L2가 됩니다.

    따라서 발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 = 1 / (2π√((L1+L2)(C1+C2)))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L1=L2, C1=C2인 경우에 발진 주파수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총 인덕턴스와 총 캐패시턴스가 최대가 되어 발진 주파수가 최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α=0.98, ICO=5[μA]인 트랜지스터에서 IB=100[μA]일 때 IC는 몇 [mA]인가?

  1. 2.98[mA]
  2. 3.98[mA]
  3. 5.15[mA]
  4. 7.25[mA]
(정답률: 58%)
  • IC = αIE = α(IB + ICO)
    = 0.98(100[μA] + 5[μA])
    = 0.98(105[μA])
    = 102.9[μA]
    = 0.1029[mA]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15[m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파형의 상부와 하부의 두 레벨을 동시에 잘라내어 입력 파형의 극히 좁은 레벨을 꺼내는 회로는?

  1. 클리퍼
  2. 슬라이서
  3. 리미터
  4. 클램퍼
(정답률: 55%)
  • 슬라이서는 입력 신호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잘라내어 극히 좁은 레벨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레벨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클리퍼, 리미터, 클램퍼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이들과는 달리 입력 신호의 레벨을 자르는 기능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브리지 정류회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RL에는 A쪽에서 B쪽으로 전류가 흐른다.
  2. RL에 흐르는 전류는 전파 정류된 파형이다.
  3. 다이오드에 걸리는 역방향 전압 최대치는 T의 2차 전압 최대치의 2배에 가깝다.
  4. RL에 걸리는 전압 최대치는 T의 2차 전압 최대치에 가깝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에 걸리는 역방향 전압 최대치는 T의 2차 전압 최대치의 2배에 가깝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가 차단되어 발생하는 전압인 역방향 정전압이 T의 2차 전압 최대치의 2배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이오드의 역방향 정전압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를 이용하여 다이오드를 정류기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전자공학

61. 원자의 성질로 4가지 양자수(n, l, m, s)로서 결정되는 한 개의 양자 상태에는 한 개만의 전자 밖에 들어갈 수 없다는 원리는?

  1. 루더포드(Rutherford)의 분사의 원리
  2. 파우리(Pauli)의 배타 원리
  3. 보어(Bohr)의 이론
  4. 아인슈타인(Einstein)의 에너지 보존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파우리의 배타 원리는 전자의 스핀을 나타내는 양자수인 s가 같은 두 전자는 같은 원자 궤도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원리입니다. 이는 전자의 스핀 방향이 같으면 자기장에 의해 서로 반발력을 느끼기 때문에 서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개의 양자 상태에는 한 개의 전자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페르미 디락(Fermi-Dirac) 분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체내의 전자는 Pauli의 배타 원리의 지배를 받는다.
  2. 대부분의 전자는 이 분포의 저에너지역에 존재한다.
  3. 금속은 온도에 관계없이 무관하다.
  4. 이 분포에 의하며, 도체가 가열될 때 전자는 분자 비열 용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은 온도에 관계없이 무관하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금속도 온도에 따라 전자의 분포가 변화하며, 이 분포에 따라 전기 및 열 전도도 등의 물성이 변화한다.

    페르미 디락 분포는 고체내의 전자의 분포를 나타내는데, Pauli의 배타 원리에 따라 한 에너지 상태에는 최대 1개의 전자만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 분포가 결정되며, 대부분의 전자는 이 분포의 저에너지역에 존재한다. 이 분포에 따라 도체가 가열될 때 전자는 분자 비열 용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전자의 비전하를 의미하는 것은?

  1. 전자와 전하의 비(ratio)를 의미
  2. 전자와 전류의 비(ratio)를 의미
  3. 전자와 질량의 비(ratio)를 의미
  4. 전류와 질량의 비(ratio)를 의미
(정답률: 37%)
  • 전자의 비전하를 의미하는 것은 "전자와 전하의 비(ratio)를 의미"가 아니라 "전자와 질량의 비(ratio)를 의미"입니다. 이는 전자의 질량과 전하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전자의 질량은 매우 작지만 전하의 크기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전자의 비전하는 전자의 질량과 전하의 크기 사이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전자의 전체 에너지를 E, 운동량을 P라 하면 위치에너지는?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정답률: 64%)
  • 전자의 전체 에너지는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치에너지는 전체 에너지에서 운동에너지를 뺀 값이 됩니다. 즉, 위치에너지 = E - P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 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Bragg의 반사 조건을 나타내는 식은?

  1. 2d cosθ = nλ
  2. 2d sinθ = nλ
  3. 2d cosθ = 1/2nλ
  4. 2d sinθ = 1/2nλ
(정답률: 36%)
  • Bragg의 반사 조건은 결정 구조의 결정면에서 X선이 반사될 때, 반사파의 상호 간섭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식입니다. 이 식은 결정면 사이의 거리인 d, 반사각인 θ, 그리고 반사파의 파장인 λ, 그리고 정수 n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2d sinθ = nλ"이 정답인 이유는, 결정면 사이의 거리 d와 반사각 θ에 대한 식으로, sin 함수를 사용하여 나타내었기 때문입니다. 이 식은 결정면 사이의 거리와 반사각이 일정할 때, 반사파의 파장이 정수배인 경우에만 상호 간섭이 최대가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반도체에 전계를 가하면 정공의 드리프트(drift) 속도의 방향은?

  1. 전계와 같은 방향이다.
  2. 전계와 반대 방향이다.
  3. 전계와 직각 방향이다.
  4. 전계와 무관한 지그재그 운동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계는 전자를 이동시키는 힘이며, 전자는 전계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정공은 전자의 부족한 상태이므로, 전자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에 전계를 가하면 정공의 드리프트 속도의 방향은 "전계와 반대 방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트랜지스터의 제조에서 에피텍셜 층(epitaxial layer)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1. 베이스 전극을 만들기 위해서
  2. 베이스 영역을 좁게 만들기 위해서
  3. 낮은 저항의 이미터 영역을 만들기 위해서
  4. 낮은 저항의 기판에 같은 도전성 형태를 가진 높은 저항의 컬렉터 영역을 만들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에피텍셜 층은 낮은 저항의 기판에 같은 도전성 형태를 가진 높은 저항의 컬렉터 영역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이는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서미스터(Thermistor) 소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반도체로 만들어진다.
  2. 저항의 온도계수가 + 값이다.
  3. 온도에 따라 저항의 값이 크게 변화한다.
  4. 온도 자동제어의 검출부나 회로의 온도 특성보상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55%)
  • 서미스터(Thermistor) 소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서미스터는 반도체 소자로, 온도에 따라 저항의 값이 크게 변화합니다. 이는 저항의 온도계수가 -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값이 낮아지고, 온도가 내려갈수록 저항값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온도 자동제어의 검출부나 회로의 온도 특성보상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더블 베이스 다이오드(double base diode)라고도 하는 것은?

  1. 역 다이오드
  2. 쇼트키 다이오드
  3. 바렉터 다이오드
  4. 유니정션 트랜지스터(UJT)
(정답률: 55%)
  • 유니정션 트랜지스터(UJT)는 더블 베이스 다이오드(double base diode)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UJT가 다이오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UJT는 다이오드처럼 p-n 접합을 가지고 있지만, 추가적으로 중간에 n-층이 삽입되어 있습니다. 이 n-층은 베이스 역할을 하며, UJT의 특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자속밀도 B[Wb/m2]인 평등자계 중에 자계와 직각 방향으로 속도 r=mv/eB[m]로 원운동을 한다. 이때 전자의 운동 주기 T[sec]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의 운동 주기 T은 T=2πr/v이다. 여기서 v는 전자의 속도인데, v=eB/m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T=2πm/eB. 이때 보기에서 정답이 "" 인 이유는, 이것이 바로 T의 정확한 식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T의 식이 아니거나, T와 관련이 없는 식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27[℃]인 금속 도체에서 페르미 준위보다 0.1[eV] 상위에서 전자가 점유하는 확률은? (단, Boltzmann 상수 k는 1.38×10-23[J/K]이다.)

  1. 약 0.01
  2. 약 0.02
  3. 약 0.03
  4. 약 0.05
(정답률: 알수없음)
  • 확률은 통계역학에서 Boltzmann 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Boltzmann 분포는 다음과 같다.

    P(E) = (1/Z) * exp(-E/kT)

    여기서 P(E)는 에너지 E를 가지는 입자가 존재할 확률, Z는 분배함수(partition function)로 모든 가능한 상태의 합, k는 Boltzmann 상수, T는 절대온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전자가 페르미 준위보다 0.1[eV] 상위에서 점유하고 있으므로 에너지는 E = EF + 0.1[eV]이다. 따라서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E) = (1/Z) * exp(-(EF+0.1)/kT)

    전자가 페르미 준위보다 상위에 있으므로 에너지는 양수이다. 이때 분배함수 Z는 모든 가능한 상태의 합으로, 전자의 상태 수와 에너지에 따른 상태 밀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Z를 구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확률은 다음과 같다.

    P(E) = exp(-(EF+0.1)/kT)

    절대온도 T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임의로 300[K]로 가정한다. 이때 Boltzmann 상수 k는 1.38×10^-23[J/K]이므로,

    P(E) = exp(-(EF+0.1)/(1.38×10^-23 * 300)) = exp(-(EF+0.1)/4.14×10^-21)

    이 값을 계산하면 약 0.0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0.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열전자 방출에서 전자류가 온도 제한 영역에 있어서도 플레이트 전위의 상승에 의해 더욱 증가하는 현상은?

  1. 쇼트키 효과
  2. 펠티어 효과
  3. 지벡 효과
  4. 홀 효과
(정답률: 60%)
  • 쇼트키 효과는 온도 제한 영역에 있는 전자류가 플레이트 전위의 상승에 의해 더욱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자류가 플레이트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양자간의 저항을 줄이는 효과로 인해 발생합니다. 즉, 플레이트 전위가 상승하면 전자류가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전자류가 플레이트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양자간의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실리콘으로 된 PN 접합에서 단면적이 0.5[mm2]이고 공간전하 영역의 폭이 2×10-4[cm]일 때 공간 전하 용량은? (단, 실리콘의 비유전율은 12, 진공의 유전율은 8.85×10-12[F/m]이다.)

  1. 약 1.62[pF]
  2. 약 26.6[pF]
  3. 약 30.4[pF]
  4. 약 36.6[pF]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전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εA/d

    여기서, ε는 비유전율, A는 단면적, d는 공간전하 영역의 폭을 나타낸다.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C = (12)(0.5×10-6)/(2×10-4×10-2) = 26.6[pF]

    따라서, 정답은 "약 26.6[p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서로 다른 도체로 폐회로를 구성하고 직류전류를 흘릴 때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접합 부위에 온도차가 발생되는 현상은?

  1. Seebeck Effect
  2. Peltier Effect
  3. Zeemann Effect
  4. Hall Effect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 설명하고 있는 현상은 Peltier Effect입니다. Peltier Effect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체에서 전류가 흐를 때,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Seebeck Effect와는 반대로,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Zeemann Effect와 Hall Effect는 전기자기학에서 다른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폭 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컬렉터 전압 VCB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중성 영역의 폭이 줄어든다.
  2. 베이스 폭의 감소는 베이스 영역의 소수 캐리어 농도의 기울기를 증대시킨다.
  3. 컬렉터 역바이어스의 증가에 따라 이미터 전류와 컬렉터 전류가 감소하다.
  4. 베이스 폭이 감소하면 전류증폭률 α가 증대한다.
(정답률: 50%)
  • "컬렉터 역바이어스의 증가에 따라 이미터 전류와 컬렉터 전류가 감소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컬렉터 역바이어스가 증가하면 베이스-컬렉터 pn 접합이 역방향으로 극성화되어 전류가 차단되기 때문에 이미터 전류와 컬렉터 전류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Si 단결정 반도체에서 N형 불순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1. 인듐(In)
  2. 비소(As)
  3. 붕소(B)
  4. 알루미늄(Al)
(정답률: 37%)
  •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를 공급하는 불순물로서, 비소(As)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비소는 5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 반도체 구조에 삽입되면 4개의 전자는 공유결합을 이루며, 1개의 자유전자를 제공합니다. 이 자유전자는 전기전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N형 반도체의 전자공급원으로서 사용됩니다. 인듐, 붕소, 알루미늄은 모두 P형 반도체에서 사용되는 불순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금속 표면에 빛을 조사하면 금속 내의 전자가 방출하는 현상은?

  1. 열전자 방출
  2. 냉음극 방출
  3. 2차 전자 방출
  4. 광전자 방출
(정답률: 55%)
  • 금속 표면에 빛을 조사하면 빛의 에너지가 금속 내의 전자를 충분히 충돌시켜 전자가 금속 표면에서 빠져나오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를 광전자 방출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서로 떨어져 있는 원자를 접근시켜 고체를 형성할 경우, 인접된 원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분할된 에너지 준위(Level)가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에너지 대역(Band)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이 깊은 것은?

  1. Dulong-Petit 법칙
  2. Rayleigh-Jeans 법칙
  3. Pauli의 배타원리
  4. 공유결합 원리
(정답률: 50%)
  • 고체를 형성할 때 인접된 원자들은 서로의 전자 궤도에 영향을 주면서 에너지 준위가 연속적인 대역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Pauli의 배타원리는 인접한 전자들이 동일한 양자수를 가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원리로, 이를 통해 인접한 전자들이 서로 다른 에너지 준위에 위치하게 되어 연속적인 대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Pauli의 배타원리는 고체의 전자 구조와 에너지 대역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N 접합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었을 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단지 P형 쪽의 정공만이 N형 쪽으로 주입되어 전류가 흐른다.
  2. 단지 N형 쪽의 전자만이 P형 쪽으로 주입되어 전류가 흐른다.
  3. PN 접합의 공간 전하영역의 폭이 증가한다.
  4. 전위장벽이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PN 접합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P쪽의 정공과 N쪽의 전자가 서로 이동하여 결합하게 되어 전위장벽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PN 접합에서 전류가 흐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부성(負性) 저항의 특성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며, 일명 에사키(Esaki) 다이오드라고도 하는 것은?

  1. 광 다이오드
  2. 터널 다이오드
  3. 제너 다이오드
  4. 쇼트키 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 다이오드는 부성 저항의 특성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다이오드로, 전류가 일정 범위에서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에 감소하는 현상을 보입니다. 이는 전자가 에너지 장벽을 터널링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이용하여 고속 스위칭 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이 다이오드는 일명 에사키 다이오드라고도 불리며, 터널 다이오드라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81. 기본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의 내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연산부(ALU)
  2. 제어부(control unit)
  3. 주소 버스(address bus)
  4. 레지스터부(registers)
(정답률: 알수없음)
  • 주소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구성 요소가 아니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요소이다. 주소 버스는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로로, CPU가 보내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소 버스는 CPU 내부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CPU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스택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FIFO
  2. PUSH
  3. POP
  4. LIFO
(정답률: 50%)
  • 정답은 "FIFO"입니다. 스택은 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게 됩니다. PUSH는 스택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작업을 의미하고, POP은 스택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들은 스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FIFO (First In First Out)는 큐(Queue) 구조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스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FIFO는 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인터럽트(interrupt)의 발생과 처리 과정에서 수행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모든 register의 내용을 clear 한다.
  2.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return address를 stack에 보관한다.
  3. interrupt vector table을 loading 한다.
  4. interrupt service routine을 실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모든 register의 내용을 clear 한다." 이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해당 인터럽트에 대한 처리를 위해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한다. 이때,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return address를 스택에 보관하고,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을 로딩한다.

    하지만, 모든 레지스터의 내용을 clear하는 것은 인터럽트 처리과정에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모든 register의 내용을 clear 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일반적으로 ROM에 저장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시스템 초기화 프로그램 및 진단 프로그램
  2. 제어유니트의 마이크로프로그램
  3. 일반 PC의 운영체제
  4. 빈번히 사용되는 함수들을 위한 서브루틴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 PC의 운영체제는 ROM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이는 일반 PC의 운영체제가 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ROM에 저장되는 것은 시스템 초기화 프로그램 및 진단 프로그램, 제어유니트의 마이크로프로그램, 빈번히 사용되는 함수들을 위한 서브루틴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하나의 프로그램 상의 서로 다른 태스크(task)를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부하를 분담하여 처리속도를 향상시킨 방식은?

  1. 병렬처리 방식
  2. 일괄처리 방식
  3. 실시간처리 방식
  4. 원격처리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시에 여러 개의 태스크를 처리함으로써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방식이 바로 "병렬처리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일괄처리 방식과 달리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서 처리속도가 빠르며, 실시간처리 방식과 달리 작업의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속도가 달라지지 않습니다. 또한 원격처리 방식과는 다르게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컴퓨터 내에서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은?

  1. 결과: 10 10
  2. 결과: 10 20
  3. 결과: 20 10
  4. 결과: 20 20
(정답률: 58%)
  • 이 프로그램은 두 개의 변수 a와 b를 선언하고, a에 10을 대입하고 b에는 a에 2를 곱한 값을 대입한 후, a와 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a는 10이 되고, b는 20이 된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결과: 20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부동소수점 표시(floating-point representation) 방법에서 가수의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가 0이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은?

  1. 표준화(standardization)
  2. 소수점 자리 맞추기(alignment)
  3. 정규화(normalization)
  4. 세그먼트화(segmentation)
(정답률: 46%)
  • 부동소수점 표시에서 가수의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가 0이 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은 정규화(normalization)이다. 이는 가수의 소수점을 왼쪽으로 이동시켜서 첫째자리가 0이 아닌 수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가수의 유효숫자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부동소수점 연산에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파이프라인에서 단계의 수를 "k", 실행할 명령어의 수를 "N"이라고 할 때, 파이프라이닝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속도향상 Sp로 가장 타당한 것은?

(정답률: 30%)
  • 파이프라이닝을 이용하면 여러 개의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하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단계의 수가 k일 때, 각 단계에서는 최대 k개의 명령어가 실행됩니다. 따라서 전체 실행할 명령어의 수 N이 많을수록 파이프라이닝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속도향상 Sp는 더욱 커집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N이 증가할수록 Sp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분기 명령어 길이가 3바이트 명령어이고 상대 주소모드인 경우 분기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장치 위치의 주소가 256AH이고, 명령어에 지정된 변위값이 -75H인 경우 분기되는 주소의 위치는?

  1. 24F2H 번지
  2. 24F5H 번지
  3. 24F8H 번지
  4. 256DH 번지
(정답률: 64%)
  • 분기 명령어의 상대 주소모드에서는 분기할 주소가 현재 PC(Program Counter) 값에 지정된 변위값을 더한 값이 된다. 따라서 분기할 주소는 256AH - 75H = 24F5H 이다. 하지만 분기 명령어의 길이가 3바이트이므로 PC 값은 이미 3 증가한 상태이다. 따라서 실제 분기할 주소는 24F5H + 3H = 24F8H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F8H 번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는 방식은?

  1. compiler
  2. assembler
  3. interpreter
  4. micro-assembler
(정답률: 58%)
  •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는 방식은 "interpreter"입니다. 이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이면서 즉석에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컴파일러와 달리 중간 코드를 생성하지 않고 바로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마이크로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 방식의 특징으로 볼수 없는 것은?

  1. 구조적이고 임의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2. 경제적이며 시스템의 설계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보다 용이한 유지보수 관리가 가능하다.
  4. 시스템이 간단하고 많은 제어 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유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 방식은 제어 결정을 마이크로프로그램에 내장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간단하고 많은 제어 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유리하다. 이는 복잡한 시스템에서는 유지보수가 어렵고 제어 결정이 변경될 때마다 하드웨어를 수정해야 하는 전통적인 방식보다는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는?

  1. 누산기(accumulator)
  2. 기억 레지스터(storage register)
  3. 메모리 레지스터(memory register)
  4. 인스트럭션 카운터(instruction counter)
(정답률: 알수없음)
  • 누산기는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로, 다른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연산 결과를 바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산 작업을 수행할 때 매우 유용하며, CPU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결선 게이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회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많은 논리기능을 부여할 수 없다.
  3. 게이트들의 출력단자를 묶어서 사용한다.
  4. 컴퓨터 내부에서 버스구조를 만드는데 이용된다.
(정답률: 55%)
  • 답: "많은 논리기능을 부여할 수 없다." 결선 게이트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받아 하나의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게이트이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수가 많아질수록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논리 회로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회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결선 게이트는 입력 신호의 수가 적은 간단한 논리 회로에 적합하며, 많은 논리기능을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른 세 가지와 그 값이 같지 않은 것은?

  1. 2진수 101111
  2. 8진수 57
  3. 10진수 48
  4. 16진수 2F
(정답률: 62%)
  • 다른 세 가지는 모두 5로 시작하지만, 10진수 48은 4로 시작하기 때문에 값이 같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명령어의 오퍼랜드를 연산 자료의 주소로 이용하는 주소지정 방식은?

  1. relative address
  2. indexed address
  3. indirect address
  4. direct address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어에서 직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direct address"라고 부릅니다. 이 방식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직접 참조하기 때문에 빠르고 간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op-code가 4비트이면 연산자의 종류는 최대 몇 개가 생성될 수 있는가?

  1. 23-1
  2. 23
  3. 24-1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op-code가 4비트이므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2^4 = 16가지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하나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실제 생성될 수 있는 연산자의 종류는 15가지이다.

    연산자의 종류는 op-code에 따라 결정되므로, op-code가 4비트인 경우 15가지의 연산자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10비트로 표현된 어떤 수 A를 2의 보수로 변환하였다. 이때 변환한 결과를 B라고 할 때 A와 B의 합은?

  1. 0
  2. 512
  3. 1024
  4. 2048
(정답률: 19%)
  • 10비트로 표현된 수는 최대 1023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2의 보수 변환은 해당 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10비트로 표현된 수 A의 2의 보수는 (2^10 - A) + 1 입니다. 이를 B라고 하면 A + B = 2^10 = 1024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24"입니다. "0"은 10비트로 표현된 수가 최소값인 0일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 경우 2의 보수 변환을 해도 값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A + B = 0 + 0 =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RISC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 주기(cycle)를 최소화
  2. 인스트럭션 종류의 축소화
  3. 기억장치의 접근 빈도 증가
  4. 사용빈도가 높은 인스트럭션의 고속화 설계
(정답률: 알수없음)
  • RISC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기억장치의 접근 빈도 증가"는 RISC의 목적이 아닙니다. RISC는 기억장치 접근을 최소화하고,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기억장치의 접근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RISC의 목적과는 반대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논리 연산 중 마스크 동작은 어느 동작과 같은가?

  1. OR
  2. AND
  3. EX-OR
  4. NOT
(정답률: 50%)
  • 마스크 동작은 AND 연산과 같다. 마스크는 특정 비트 패턴을 만들어서, 이를 이용해 다른 비트 패턴의 일부 비트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마스크와 다른 비트 패턴을 AND 연산하면, 마스크에서 1로 설정된 비트만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 동작은 AND 연산과 같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어셈블리 언어(Assembly language) 명령의 구성 요소와 관계가 먼 것은?

  1. label
  2. mnemonic
  3. operand
  4. procedure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리 언어 명령의 구성 요소는 "label", "mnemonic", "operand"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명령어의 위치, 명령어의 종류, 명령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procedure"는 어셈블리 언어 명령어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rocedure"는 어셈블리 언어 명령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