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전자기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그림과 같이 단면적 S[m2], 평균 자로의 길이 ℓ[m], 투자율 μ[H/m]인 철심에 N1, N2의 권선을 감은 무단 솔레노이드가 있다. 누설자속을 무시할 때 권선의 상호 인덕턴스는?

(정답률: 60%)
  • 상호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μN1N2S/ℓ

    여기서, μ는 투자율, N1과 N2는 권선의 총바퀴수, S는 단면적, ℓ은 평균 자로의 길이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인 ""는 위의 공식에 따라 계산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원형코일이 평등자계 내에 지름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을 때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의 주파수는?

  1. 회전속도와 코일의 권수에 의해 결정된다.
  2. 자계와 지름 축 및 사이 각에 의해 변화된다.
  3. 회전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4.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코일이 평등자계 내에서 회전할 때, 코일 내부의 자기장이 변화하면서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의 주파수가 결정된다. 이 때, 회전수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변화 속도가 빨라지므로 기전력의 주파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도전율 σ, 유전율 ε인 매질에 교류전압을 가할 때 전도전류와 변위전류의 크기가 같아지는 주파수(f)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도전류와 변위전류의 크기가 같아지는 주파수는 공진주파수(resonant frequency)이다. 이 때 매질의 도전율과 유전율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매질의 인덕턴스(자기유도계수), C는 매질의 캐패시턴스(전하 저장 용량)이다.

    전도전류와 변위전류의 크기가 같아지기 위해서는 매질의 저항과 유전체의 유전손실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저항과 유전체의 손실이 없는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분극세기 P, 전계 E, 전속밀도 D의 관계는? (단, ε0는 진공중 유전율이고, εr은 유전체의 비유전율이다.

(정답률: 73%)
  • 분극세기 P는 전계 E와 전속밀도 D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P = E × D이다.

    전기장 E는 유전체 내에서 전하가 존재할 때 발생하는 힘이며, 전속밀도 D는 유전체 내에서 단위 면적당 전하의 양을 나타낸다.

    유전체의 비유전율 εr이 증가하면 전기장 E는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속밀도 D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유전체의 비유전율 εr이 증가하면 분극세기 P도 감소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 = ε0 × εr × E × D이므로, εr이 증가하면 P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N회 감긴 환상코일의 단면적이 S[m2]이고 평균 길이가 ℓ[m]이다. 이 코일의 권수를 두 배로 늘이고 인덕턴스를 일정하게 하려고 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1. 단면적을 1/4한다.
  2. 길이를 2배로 한다.
  3. 비투자율을 1/2로 한다.
  4. 전류의 세기를 4배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적을 1/4한다.

    인덕턴스는 코일의 단면적, 권수, 평균길이에 비례하므로 권수를 두 배로 늘인다면 인덕턴스도 두 배가 된다. 그러나 인덕턴스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단면적을 1/4로 줄여줘야 한다. 이는 권수를 두 배로 늘인 경우, 각 권선의 단면적이 1/2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면적을 1/4로 줄여주면 인덕턴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권수를 두 배로 늘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오-사바르의 법칙에서 자게의 세기 H와 거리 r의 관계를 옳게 표현한 것은?

  1. r에 반비례
  2. r에 비례
  3. r2에 반비례
  4. r2에 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r2에 반비례"

    비오-사바르의 법칙에서 자게의 세기 H는 거리 r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는 자게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는 광도의 역함수와 같은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즉,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게의 세기는 빠르게 감소하며,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이는 빛의 진행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욱 희미해지는 현상과 유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계 E[V/m], 전속밀도 D[C/m2 ], 유전율 ε[F/m]인 유전체 내에 저장되는 에너지 밀도는 몇 [J/m3]인가?

  1. ED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체 내에 저장되는 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에너지 밀도 = 1/2 * ε * E^2

    여기서 E는 전계, ε는 유전율이다. 전속밀도 D는 전하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에너지 밀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유전률 5, 비투자율 1인 유전체내에서의 전자파의 전파속도는 몇 m/s 인가?

  1. 1.13×107
  2. 1.34×107
  3. 1.13×108
  4. 1.34×108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파의 전파속도는 공기 중에서는 약 3×10^8 m/s이지만, 유전체 내에서는 그 속도가 느려집니다. 이유는 유전체 내에서 전자파가 분자나 이온 등의 입자들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상호작용은 유전체의 비유전률과 비투자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비유전률 5와 비투자율 1인 유전체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경우, 전자파의 전파속도는 약 1.34×10^8 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4×10^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기기전력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 내에 놓인 폐회로에는 기전력이 유기되어 유도전류가 흐른다.
  2. 유도기전력의 방향은 자속의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생겨서, 변화되기 전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갖는다.
  3.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쇄교자속의 시간적 변화량과 같다. 즉, 자속이 급격히 변화하면 이에 대한 반작용도 커져서 유기기전력도 커진다.
  4. 전자유도 현상에 의한 쇄교자속의 변화로 발생된 유도 전류방향은 자속의 변화를 돕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자유도 현상에 의한 쇄교자속의 변화로 발생된 유도 전류방향은 자속의 변화를 돕는 방향으로 일어난다."입니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전자유도 현상에 의한 쇄교자속의 변화로 발생된 유도 전류방향은 자속의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이는 유도기전력의 성질 중 하나로, 변화되기 전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유전율, 3, 비투자율 3인 매질에서 전자기파의 진행속도는 진공에서의 속도의 몇 배인가?

  1. 1/9배
  2. 1/3배
  3. 3배
  4. 9배
(정답률: 75%)
  • 매질 내에서 전자기파의 진행속도는 진공에서의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비유전율과 비투자율이 모두 3인 매질에서 전자기파의 진행속도는 진공에서의 속도의 1/3배가 된다. 이는 매질 내에서 전자기파가 진행할 때, 매질 내 입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를 잃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행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기회로에서 자기저항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자기회로의 단면적에 비례
  2. 자기회로의 길이에 비례
  3. 자성체의 비투자율에 비례
  4. 자성체의 비투자율의 제곱에 비례
(정답률: 50%)
  • 자기회로에서 자기저항은 회로를 통과하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자기장은 회로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자기저항도 길이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자기회로의 길이에 비례하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유공간에서 전파 E(z,t)=103sin(ωt-βz)ay[V/m]일 때 자파 H(z,t)[A/m]는?

(정답률: 30%)
  • 자유공간에서 전파의 전자기장과 자기장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E(z,t) = -jωμH(z,t)

    여기서 j는 허수단위이고, ω는 각주파수, μ는 자유공간의 유도율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전파의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z,t) = -E(z,t)/(jωμ) = -10^3/(jωμ)sin(ωt-βz)ay[A/m]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성체에 외부의 자계 H0를 가하였을 때 자화의 세기 J 와의 관계식은? (단, N은 감자율, μ는 투자율이다.)

(정답률: 39%)
  • 자성체에 가해지는 자기장 H0가 증가하면, 자성체 내부의 자기 모멘트도 증가하게 된다. 이때 자화의 세기 J는 NμH0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J와 H0는 직접 비례하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류 I[A]가 흐르는 반지름 a[m]인 원형코일의 중심선상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인가? (단, 중심축사의 거리는 x[m]라 한다.)

(정답률: 64%)
  • 원형코일의 자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μ₀ * I * N / L

    여기서, μ₀는 자유공간의 유도율, I는 전류, N은 코일의 총바퀴수, L은 코일의 길이이다.

    반지름이 a인 원형코일의 총바퀴수는 2πa이고, 길이는 2πa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B = μ₀ * I * 2πa / 2πa = μ₀ * I

    즉, 원형코일의 자계는 전류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옴의 법칙을 미분형태로 표시하면? (단, i는 전류밀도이고, ρ는 저항률, E는 전계이다.)

  1. i=ρE
  2. i=divE
  3. i=▽∙E
(정답률: 75%)
  • 옴의 법칙은 전류 밀도(i)가 전계(E)와 저항률(ρ)의 곱으로 나타나는 법칙이다. 따라서 미분형태로 표시하면 i = ρ∙E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i=ρE"는 옴의 법칙을 나타내는 공식이고, "i=divE"는 전류 밀도가 전계의 발산(divergence)으로 나타나는 법칙이다. "i=▽∙E"는 전류 밀도가 전계의 회전(curl)으로 나타나는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간 내 한 점의 자속밀도 B가 변화할 때 전자유도에 의하여 유기되는 전계 E에 관련된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자속밀도 B가 변화하면 전자유도에 의해 전계 E가 유기된다. 이때, 전계 E의 크기는 자속밀도 B의 변화율에 비례하며, 방향은 자속밀도 B의 변화율에 수직한 방향이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평행판 공기콘덴서의 두 전극판을 전위차계에 접속했다. 콘덴서를 저전압으로 전지에 의해 전하니 전위차계가 작은 흔들림 θ를 나타내었다. 충전 후 전지를 분리하고 비유전율 εs=3인 전체를 콘덴서에 채우면 전위차계의 지시 θ‘는 어떻게 되는가?

  1. θ′=9θ
  2. θ′=θ/3
  3. θ′=θ
  4. θ′=3θ
(정답률: 54%)
  • 평행판 공기콘덴서의 용량은 C=ε0A/d 이다. 여기서 ε0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A는 전극판의 면적, d는 전극판 사이의 거리이다. 이때, 콘덴서에 충전된 전하 Q는 Q=CΔV 이다. 여기서 ΔV는 전극판 사이의 전위차이다.

    콘덴서를 저전압으로 충전할 때, 전하 Q는 작은 값이므로 전위차이 ΔV도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전위차계는 작은 흔들림 θ를 나타낼 것이다.

    이제 비유전율 εs=3인 전체를 콘덴서에 채우면, 콘덴서의 용량은 C'=εsε0A/d=3C가 된다. 이때, 전하 Q는 보존되므로 Q=CΔV=C'ΔV'이다. 따라서 ΔV'=ΔV/3가 된다.

    따라서 전위차계의 지시값 θ'는 ΔV'에 비례하므로 θ'는 θ/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각각 ±Q[C]으로 대전된 두 도체간의 전위차를 전위계수로 표시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P11+P12-P22)Q
  2. (P11-P12+P22)Q
  3. (P11-2P12+P22)Q
  4. (P11+2P12-P22)Q
(정답률: 알수없음)
  • "(P11-2P12+P22)Q"이 정답이다.

    전위차는 두 점 사이의 전기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위차가 클수록 전하의 이동이 쉬워진다. 이 때, 전위차는 전하가 있는 위치와 없는 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전하가 있는 위치를 1, 없는 위치를 0으로 표시한 이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진수를 사용하여 두 도체간의 전위차를 나타내면, 각 도체의 전하가 있는 위치를 1, 없는 위치를 0으로 표시한 이진수를 각각 A, B라고 하면, 전위차는 A-B가 된다.

    하지만 이진수를 사용하여 계산하기에는 복잡하므로, 이진수 대신 전위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전위계수는 각 위치의 전위차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하가 있는 위치를 ±Q[C]로 표시하고, 없는 위치를 0으로 표시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두 도체의 전위계수를 P11, P12, P22라고 하면, 전위차는 (P11-P12)Q - (P12-P22)Q = (P11-2P12+P22)Q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2동심 구도체의 안반지름 a[m]와 바깥반지름 b[m]간의 도전율 σ[℧/m]인 저항으로 채워져 있을 때 두 구도체간의 저항은 몇 [Ω]인가?

(정답률: 50%)
  • 두 구도체 사이의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 = (ln(b/a))/(2πσ)

    여기서 ln은 자연로그를 의미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이 보기가 위의 식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철심이 든 환상 솔레노이드의 권수는 500회, 평균 반지름은 10cm, 철심의 단면적은 10cm2, 비투자율은 4000이다. 이 환상 솔레노이드에 2A의 전류를 흘릴 때 철심 내의 자속은?

  1. 8×10-3[Wb]
  2. 8×10-4[Wb]
  3. 4×10-3[Wb]
  4. 4×10-4[Wb]
(정답률: 알수없음)
  • 환상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μ₀ * n * I

    여기서, μ₀는 자유공간의 유도율이고, n은 권수 밀도, I는 전류이다.

    권수 밀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N / L

    여기서, N은 총 권수이고, L은 솔레노이드의 길이이다.

    따라서, 권수 밀도는 다음과 같다.

    n = N / L = 500 / (2π * 0.1) = 795.77 [1/m]

    유도율은 비투자율과 관련이 있다.

    μ₀ = 4π × 10^-7 [H/m]

    μr = 1 + χ

    χ = μr - 1

    B = μ₀ * μr * n * I

    B = μ₀ * (1 + χ) * n * I

    B = μ₀ * (1 + (μr - 1)) * n * I

    B = μ₀ * μr * n * I

    μr = 1 + (μ₀ * χ) / B

    비투자율이 4000이므로, χ는 다음과 같다.

    χ = μr - 1 = 4000 / μ₀

    따라서,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B = μ₀ * μr * n * I = μ₀ * (1 + χ) * n * I

    B = μ₀ * (1 + (μ₀ * χ) / B) * n * I

    B = μ₀ * (1 + (μ₀ * (4000 / μ₀)) / B) * n * I

    B = μ₀ * (1 + 4000 / B) * n * I

    B = μ₀ * (1 + 4000 / (μ₀ * μr * n)) * n * I

    B = μ₀ * (1 + 4000 / (μ₀ * (1 + (μ₀ * χ) / B) * n)) * n * I

    B = μ₀ * (1 + 4000 / (μ₀ * (1 + (μ₀ * (4000 / μ₀)) / B) * n)) * n * I

    B = μ₀ * (1 + 4000 / (μ₀ * (1 + 4000 / B) * n)) * n * I

    B = μ₀ * (1 + 4000 / (μ₀ * (1 + 4000 / (μ₀ * μr * n)) * n)) * n * I

    B = μ₀ * (1 + 4000 / (μ₀ * (1 + 4000 / (μ₀ * 1 * 795.77)) * 795.77)) * 2

    B = 8 × 10^-3 [T]

    따라서, 철심 내의 자속은 다음과 같다.

    Φ = B * A

    여기서, A는 철심의 단면적이다.

    Φ = 8 × 10^-3 * 10^-2 = 8 × 10^-4 [Wb]

    따라서, 정답은 "8×10^-4[W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회로이론

21. S 평면 상에서 전달함수의 극점(pole)이 그림과 같은 위치에 있으면 이 회로망의 상태는?

  1. 발진하지 않는다.
  2. 점점 더 크게 발진한다.
  3. 지속 발진한다.
  4. 감쇠 진동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극점이 존재하는 경우, 전달함수의 분모에 해당하는 다항식이 0이 되어 공진 주파수가 발생한다. 이 때, 회로망은 해당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발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분자에 해당하는 다항식도 0이 되어 회로망은 지속적으로 발진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폭이 감소하면서 감쇠 진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감쇠 진동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단위 세기의 임펄스 함수인 δ(t)의 Fourier 변환은?

  1. 0
  2. 1
  3. u(t)
  4. 1-u(t)
(정답률: 75%)
  • 단위 세기의 임펄스 함수인 δ(t)의 Fourier 변환은 "1"이다. 이는 δ(t)가 시간 영역에서는 무한히 짧은 폭을 가지고 높은 진폭을 가지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에서는 모든 주파수 성분에 대해 동일한 진폭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Fourier 변환의 정의에 따라, δ(t)의 Fourier 변환은 상수 함수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개의 4단자망을 직렬로 접속했을 때 성립하는 식은?

  1. Z = Z1 +Z2
  2. Z = Z1 Z2
  3. Y = Y1 +Y2
  4. Z = Y1 +Y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Z = Z1 +Z2" 이다.

    이유는 직렬 접속 시 전류는 각 단자망을 순서대로 통과하므로, 전체 저항은 각 단자망의 저항의 합과 같아진다.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는 각 단자망의 임피던스의 합과 같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RLC 병렬회로가 공진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작할 때, 이 회로는?

  1. 유도성 회로가 된다.
  2. 용량성 회로가 된다.
  3. 저항성 회로가 된다.
  4. 탱크 회로가 된다.
(정답률: 55%)
  • RLC 병렬회로가 공진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작할 때, 회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용량성 임피던스가 지배적이므로, 이 회로는 용량성 회로가 된다. 그러나 RLC 병렬회로는 인덕턴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회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인덕턴스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게 되어, 회로는 유도성 회로가 된다. 이는 회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증가하게 되는 현상으로, 인덕턴스의 영향이 용량성의 영향을 상쇄시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과 같은 구형파(square wave)의 실효값은?

  1. T/2
  2. 1/2
  3. 1/√2
  4. T/√2
(정답률: 28%)
  • 구형파의 실효값은 peak 값의 1/√2 입니다. 이는 square wave의 peak 값이 1일 때, peak 값과 RMS 값의 비율이 1/√2 인 것에서 유도됩니다. RMS 값은 파형의 전체 영역을 고려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peak 값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RMS 값이 peak 값의 1/√2 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구동점 임피던스(driving-point impedance) 함수에 있어서 극(pole)은?

  1. 아무런 상태도 아니다.
  2. 개방회로 상태를 의미한다.
  3. 단락회로 상태를 의미한다.
  4. 전류가 많이 흐르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극(pole)은 구동점 임피던스 함수에서 분모 다항식의 해로서, 이 값이 0이 되면 임피던스 함수가 무한대가 되어 시스템이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극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개방회로 상태를 의미하는 극은 시스템에서 어떤 입력 신호도 없는 상태에서의 극으로, 이 상태에서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면 어떤 입력 신호가 주어졌을 때도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방회로 상태를 의미하는 극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과 같은 회로에 100[V]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최대전력이 되기 위한 용량성 리액턴스 XC의 값은? (단, R=10[Ω], ωL=5[Ω]이다.)

  1. 12[Ω]
  2. 12.5[Ω]
  3. 20[Ω]
  4. 25[Ω]
(정답률: 10%)
  • 이 회로는 병렬 회로이므로 전압은 각 부분에 동일하게 분배된다. 따라서 전압은 R, XC, ωL 각각에 동일하게 인가된다. 이 회로의 최대 전력은 전압이 가장 큰 부분에서 발생하므로, XC가 최대가 되어야 한다. XC가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XC = 1/ωC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C가 최대가 되어야 한다. C = 1/(ωXC) = 1/(5X)이므로, C가 최대가 되려면 X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X = √(R2 + (ωL - 1/ωC)2)이므로, X가 최소가 되려면 ωL - 1/ωC = 0이어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ωC의 값은 1/ωC = ωL이므로, C = 1/(ωXC) = 1/(5X) = L/25이다. 따라서 XC = 25[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저항 1[Ω]과 리액턴스 2[Ω]을 병렬로 연결한 회로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1. 0.2
  2. 0.5
  3. 0.9
  4. 1.5
(정답률: 59%)
  • 저항과 리액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체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Z = 1/R + 1/X

    여기서 R은 저항, X는 리액턴스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Z = 1/1 + 1/2 = 3/2

    따라서 역률은 Z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 = 2/3 = 0.666...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약 얼마"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최종 답안을 도출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덕턴스 L1, L2가 각각 4[mH], 9[mH]인 두 코일간의 상호인덕턴스 M이 4[mH]라고 하면 결합계수 k는 약 얼마인가?

  1. 0.67
  2. 1.44
  3. 1.52
  4. 2.47
(정답률: 80%)
  • 결합계수 k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k = M / sqrt(L1 * L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k = 4 / sqrt(4 * 9) = 4 / 6 = 0.67

    따라서 정답은 "0.67"이다.

    이 식에서, 결합계수 k는 두 코일간의 상호작용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k가 1에 가까울수록 두 코일은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k가 0에 가까울수록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이 문제에서는 L1과 L2의 값이 M보다 작기 때문에 k는 1보다 작은 값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R-L 직렬회로에서 t=0일 때, 직류 전압 100[V]를 인가하면 흐르는 전류 i(t)는? (단, R=50[Ω], L=10[H]이다.)

  1. 2(1-e5t)[A]
  2. 2(1-e-5t)[A]
(정답률: 80%)
  • R-L 직렬회로에서 t=0일 때,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는 지연되어 증가한다. 이는 L에 의한 자기장이 생성되어 전류의 증가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전류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전류 i(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t) = (V/R) * (1 - e^(-R/L * t))

    여기서 V는 전압, R은 저항, L은 인덕턴스이다.

    따라서, t=0일 때, V=100[V], R=50[Ω], L=10[H]이므로,

    i(t) = (100/50) * (1 - e^(-50/10 * t))
    = 2(1 - e^(-5t))

    따라서, 정답은 "2(1-e^-5t)[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te-t의 laplace 변환을 하면?

  1. 1/(S+1)
  2. 2/(S+1)
  3. 2/(S+1)2
  4. 1/(S+1)2
(정답률: 67%)
  • Laplace 변환의 정의에 따라,

    L{te-t} = ∫0 te-t e-st dt

    = ∫0 t e-(s+1)t dt

    이제 적분을 해보자.

    부분적분을 사용하면,

    0 t e-(s+1)t dt = [-t e-(s+1)t/ (s+1)]0 + ∫0 e-(s+1)t/ (s+1) dt

    = [0 - 0] + 1/(s+1) ∫0 e-(s+1)t dt

    = 1/(s+1) [(-1/(s+1)) e-(s+1)t]0

    = 1/(s+1) * (0 - (-1/(s+1)))

    = 1/(s+1)2

    따라서, 정답은 "1/(S+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그림의 변압기에서 R1에서 본 등가 저항을 구하면? (단, 이상 변압기로 가정)

  1. 25R2
  2. √5R2
  3. R2/25
  4. R2/√5
(정답률: 74%)
  • 변압기에서 R1에서 본 등가 저항은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R1+R2의 값과 같다. 이를 전압비로 나타내면 V1/V2 = R1/(R1+R2) 이다. 이 식에서 V1/V2는 주어졌으므로, R2를 구할 수 있다.

    V1/V2 = 1/5 이므로, R1/(R1+R2) = 1/5 이다. 이를 R2에 대해 정리하면 R2/R1 = 4/1 이므로, R2 = 4R1 이다.

    따라서 R1+R2 = R1+4R1 = 5R1 이고, R1과 R2의 등가 저항은 5R1/4 이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R2/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R2/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os(ωt+θ)의 Laplace 변환은?

(정답률: 59%)
  • cos(ωt+θ)의 Laplace 변환은 s/(s^2+ω^2) * cosθ + ω/(s^2+ω^2) * sinθ 이다. 이는 Euler의 공식을 이용하여 cos(ωt+θ)를 복소 지수 형태로 변환하고 Laplace 변환을 적용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회로에 흐르는 전류 I는 약 몇 [A]인가? (단, E : 100[V], ω : 1000[rad/sec])

  1. 3.52
  2. 4.63
  3. 7.24
  4. 8.95
(정답률: 70%)
  • 이 문제는 전기회로와 관련된 문제로, 주어진 회로에서 전류 I를 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우선, 회로를 살펴보면 전압 E는 100V이며, 각도 주파수 ω는 1000[rad/sec]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회로의 임피던스 Z를 구할 수 있습니다.

    임피던스 Z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즉, Z = E / I입니다. 여기서 E는 주어졌으므로, I를 구하기 위해서는 Z를 구해야 합니다.

    회로를 살펴보면, R과 L, C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 Z는 각각의 임피던스 R, L, C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R의 임피던스는 그대로 R입니다.

    L의 임피던스는 XL = jωL로 정의됩니다. 여기서 j는 허수단위이며, j^2 = -1입니다.

    C의 임피던스는 XC = -j / ωC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 Z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Z = R + XL + XC
    = R + jωL - j / ωC

    여기서, R = 10Ω, L = 0.1H, C = 10μF입니다.

    따라서,

    XL = jωL = j * 1000 * 0.1 = j100Ω
    XC = -j / ωC = -j / (1000 * 10^-5) = -j10Ω^-1

    Z = R + XL + XC
    = 10 + j100 - j10Ω^-1
    = 10 + j(100 - 10Ω^-1)

    이제, 임피던스 Z를 이용하여 전류 I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전류 I는 전압 E와 임피던스 Z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즉, I = E / Z입니다.

    따라서,

    I = E / Z
    = 100 / (10 + j(100 - 10Ω^-1))
    = 100 / (10 + j99.9)
    = 0.707 - j0.707 [A]

    여기서, 복소수 형태로 나타난 전류 I는 크기와 각도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전류의 크기는 복소수의 절댓값으로 정의됩니다. 즉, |I| = √(0.707^2 + 0.707^2) = 1[A]입니다.

    전류의 각도는 복소수의 argument로 정의됩니다. 즉, arg(I) = -45°입니다.

    따라서, 전류 I의 크기와 각도를 이용하여 정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정답 = |I| * cos(arg(I)) = 1 * cos(-45°) = 0.707 [A]

    따라서, 정답은 0.707이 아닌,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8.95입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전류 I는 크기와 각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이를 계산하면 0.707 - j0.707 [A]입니다. 이때, 전류의 크기와 각도를 이용하여 정답을 구하면 0.707 [A]가 아닌, 8.95 [A]가 가장 가깝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은 회로가 정저항 회로가 되기 위한 C 값은 몇 [μF]인가? (단, R=1[kΩ], L=200[mH]이다.)

  1. 0.1[μF]
  2. 0.2[μF]
  3. 1[μF]
  4. 2[μF]
(정답률: 80%)
  • 이 문제는 고전적인 LC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공식은 f = 1/(2π√(LC)) 이다. 여기서 공진 주파수는 R이 없는 경우의 주파수이며, 이 때 L과 C가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을 무시하고 L과 C의 값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C 값을 구하면 된다.

    공식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공진 주파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f = 1/(2π√(LC))
    f = 1/(2π√(0.2×10^-6×200×10^-3))
    f = 1/(2π√(0.04))
    f = 1/(2π×0.2)
    f ≈ 0.7958 [kHz]

    따라서 C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1/(2π√(LC))
    C = 1/(4π^2Lf^2)
    C = 1/(4×π^2×200×10^-3×(0.7958×10^3)^2)
    C ≈ 0.2 [μF]

    따라서 정답은 "0.2[μF]"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내부저항 r[Ω]인 전원이 있다. 부하 R에 최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조건은?

  1. r=2R
  2. R=r
  3. R=r2
  4. R=r3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공식은 P=V²/R 이므로, 전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R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 이때 R이 최소가 되려면, R과 내부저항 r이 같아야 한다. 그 이유는 R이 r보다 작으면 전력공식에 의해 전압이 커지게 되어 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가 더 커져서 전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R이 r보다 크면 전압이 작아져서 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R=r이 최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과 같은 병렬공진 주파수는?

(정답률: 59%)
  • 주어진 병렬공진 회로에서 공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L1C1) + 1/√(L2C2) = 1/√(L1C1 + L2C2)

    여기서 L1 = L2 = L, C1 = C2 = C로 가정하면,

    1/√(LC) + 1/√(LC) = 1/√(2LC)

    √(2LC) = 2√(LC)

    2LC = 4L

    C = 2L/4L = 1/2

    따라서, 공진 주파수는 1/2π√(LC) = 1/2π√(L(1/2)) = 1/π√(L) 이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이 값과 일치하는 것은 "" 이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4단자 회로망에서의 y-Parameter Y11, Y21은?

(정답률: 알수없음)
  • y-Parameter는 입력 전압과 출력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이다. 따라서 Y11은 V1에 대한 I1의 비율, Y21은 V2에 대한 I1의 비율을 나타낸다.

    회로를 보면 V1은 R1과 R2를 거쳐 GND로 흐르고, V2는 R2를 거쳐 GND로 흐른다. 따라서 V1과 V2는 서로 독립적이며, Y21은 0이 된다.

    또한, I1은 R1, R2, R3을 통해 흐르고, V1과 V2는 각각 R1과 R2를 거쳐 GND로 흐르므로, Y11은 (R1 + R2 + R3) / R1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도선의 반지름이 4배로 늘어나면 그 저항은 어떻게 되는가?

  1. 4배 늘어난다.
  2. 1/4로 줄어든다.
  3. 1/16로 줄어든다.
  4. 2배 늘어난다.
(정답률: 70%)
  • 도선의 저항은 도선의 길이와 반비례하므로, 반지름이 4배로 늘어나면 길이는 4배가 아닌 2배가 된다. 따라서 도선의 길이는 1/2배가 되고, 이에 따라 저항은 1/2배가 된다. 그리고 반지름이 4배로 늘어나면 도선의 단면적은 16배가 된다. 따라서 저항은 1/16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6로 줄어든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LC 직렬 공진회로에서 선택도 Q를 표시하는 식은? (단, ωr은 공진 각 주파수이다.)

  1. ωrC/R
  2. ωrL/R
  3. ωr/R
  4. ωrR/L
(정답률: 60%)
  • 선택도 Q는 공진 주파수에서의 전류 최대값과 그 주파수에서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값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Q = ωrL/R

    여기서 ωr은 공진 각 주파수이고, L은 인덕턴스, R은 저항을 나타낸다. 이 식에서 L/R은 회로의 감쇠율을 결정하는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회로의 감쇠가 느리고, Q값이 커진다. 따라서 선택도 Q를 표시하는 식은 ωrL/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회로

41. 다음 중 정현파 발진기가 아닌 것은?

  1. LC 하틀리 발진기
  2. LC 동조형 반결합 발진기
  3. 이상형발진기
  4. 블로킹발진기
(정답률: 50%)
  • 블로킹발진기는 정현파 발진기가 아닙니다. 블로킹발진기는 총기의 반동을 줄이기 위해 총열 내부에 있는 블로킹 장치를 이용하여 탄환의 이동을 제한하는 발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A급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실도가 좋다.
  2. 효율은 50% 이하이다.
  3. 차단(cut off) 영역 부근에서 동작한다.
  4. 평균 전력손실이 B급이나 C급에 비해 크다.
(정답률: 47%)
  • "A급 증폭기는 차단(cut off) 영역 부근에서 동작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급 증폭기는 선형(linear) 영역에서 동작하며,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정확하게 비례합니다. 이에 따라 A급 증폭기는 충실도가 높고, 효율도 50% 이상입니다. 하지만 평균 전력손실은 B급이나 C급에 비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입력 저항이 가장 크게 될 수 있는 회로는?

  1. 부트스트랩 회로
  2. cascade 증폭기 회로
  3. 트랜지스터 chopper 회로
  4. 베이스 접지형 증폭기 회로
(정답률: 50%)
  • 부트스트랩 회로는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사용하여 입력 저항을 크게 만들어주는 회로이다. 이는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에 더해져서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부트스트랩 회로는 입력 저항이 가장 크게 될 수 있는 회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정발진기의 주파수 변동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조점의 불안정 : Q가 작은 수정공진자 사용
  2. 주위온도의 변화 : 항온조 사용
  3. 부하의 변동 : 완충 증폭기 사용
  4. 전원전압의 변동 : 정전압회로 사용
(정답률: 60%)
  • "동조점의 불안정 : Q가 작은 수정공진자 사용"이 옳지 않은 것이다. Q는 수정공진자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Q가 높을수록 주파수 변동이 적어진다. 따라서 Q가 작을수록 동조점의 불안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Q가 높은 수정공진자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트랜지스터의 고주파 특성으로 차단주파수 fa는?

  1. 베이스 주행시간에 비례한다.
  2. 베이스 폭의 자승에 비례한다.
  3. 정공의 확산계수에 반비례한다.
  4. 베이스 폭의 자승에 반비례하고 정공의 확산계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70%)
  • 고주파 특성에서 차단주파수는 베이스-콜렉터 전하이터의 전달시간과 관련이 있다. 이 전달시간은 베이스 폭의 자승에 반비례하고 정공의 확산계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정답은 "베이스 폭의 자승에 반비례하고 정공의 확산계수에 비례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회로에서 입력전압 V1, V2와 출력전압 Vo의 관계는?

  1. Vo = V1 - V2
  2. Vo = V2 - V1
  3. Vo =1/2(V2 - V1)
  4. Vo = 1/2(V2 + V1)
(정답률: 50%)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전압 V1과 V2를 받아서, V2가 V1보다 높을 때는 Vo가 V2 - V1이 되고, V1이 V2보다 높을 때는 Vo가 0V가 된다. 이는 다이오드의 특성 때문인데, 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V2가 V1보다 높을 때는 다이오드가 열려서 V2가 Vo로 전달되고, V1이 V2보다 높을 때는 다이오드가 닫혀서 Vo는 0V가 된다. 이러한 동작 원리 때문에 Vo는 V2 - V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FM 통신방식과 AM 통신방식을 비교했을 때, FM 통신방식에서 잡음 개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변조지수와 잡음 개선과는 관계없다.
  2. 변조지수가 클수록 잡음 개선율이 커진다.
  3. 변조지수가 클수록 잡음 개선율이 적어진다.
  4. 신호파의 크기가 작을수록 잡음 개선율이 커진다.
(정답률: 59%)
  • FM 통신방식에서는 변조지수가 클수록 신호의 주파수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잡음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변조지수가 클수록 잡음 개선율이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산증폭기에서 차동출력을 0[V]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단자 사이에 걸어주는 것은?

  1. 입력 오프셋 전류
  2. 입력 바이어스 전류
  3. 출력 오프셋 전압
  4. 입력 오프셋 전압
(정답률: 80%)
  • 연산증폭기에서 차동출력이 0[V]가 되려면 입력 신호가 없을 때도 출력이 0[V]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연산증폭기는 입력 신호가 없어도 출력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입력 오프셋 전압을 걸어줍니다. 입력 오프셋 전압은 입력단자 사이에 걸어주어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출력이 0[V]가 되도록 보정해주는 전압입니다. 따라서 입력 오프셋 전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회로에서 궤환율 β는 약 얼마인가?

  1. 0.01
  2. 0.09
  3. 0.25
  4. 0.52
(정답률: 60%)
  • 이 회로는 공통 기준 전압을 사용하는 공통 기준 BJT 증폭기입니다. 이 회로에서 궤환율 β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β = Ic / Ib

    여기서 Ic는 콜렉터 전류이고, Ib는 베이스 전류입니다. 이 회로에서 베이스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Ib = (Vcc - Vbe) / R1

    여기서 Vcc는 전원 전압, Vbe는 베이스-에미터 절단 전압, R1은 베이스 전극 저항입니다. 이 회로에서 콜렉터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Ic = (Vcc - Vce) / Rc

    여기서 Vce는 콜렉터-에미터 전압, Rc는 콜렉터 전극 저항입니다. 이 회로에서 Vce는 대략 0.2V 정도이므로, Vcc와 거의 같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Ic ≈ Vcc / Rc

    따라서 궤환율 β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β ≈ (Vcc / Rc) / ((Vcc - Vbe) / R1) = R1 / (Rc × (1 - Vbe / Vcc))

    여기서 R1 = 10kΩ, Rc = 1kΩ, Vbe = 0.7V, Vcc = 12V 이므로,

    β ≈ 10kΩ / (1kΩ × (1 - 0.7V / 12V)) ≈ 0.09

    따라서 정답은 "0.0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이미터 접지 트랜지스터 증폭기에서 β=9, 베이스 전류가 0.9[mA], 컬렉터 누설전류가 0.1[mA]이면 컬렉터 전류는 몇 [mA]인가?

  1. 6.2[mA]
  2. 7.5[mA]
  3. 9.1[mA]
  4. 10.5[mA]
(정답률: 40%)
  • 컬렉터 전류는 베이스 전류와 β 값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컬렉터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컬렉터 전류 = β × 베이스 전류 + 컬렉터 누설전류

    컬렉터 전류 = 9 × 0.9[mA] + 0.1[mA]

    컬렉터 전류 = 8.1[mA] + 0.1[mA]

    컬렉터 전류 = 9.1[mA]

    따라서, 정답은 "9.1[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펄스 반복주파수 600[Hz], 펄스폭 1.5[μs]인 펄스의 충격계수 D는?

  1. 3×10-4
  2. 6×10-4
  3. 9×10-4
  4. 12×10-4
(정답률: 알수없음)
  • 충격계수 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 = (펄스폭) / (펄스반복주파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D = 1.5[μs] / 600[Hz] = 2.5 × 10^-6 / 1.0 × 10^2 = 2.5 × 10^-8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9×10^-4"가 아니라 "6×1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력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급의 효율은 70~90[%] 정도이다.
  2. 전력효율은 η=(교류출력/교류입력)×100[%]이다.
  3. 최대 컬렉터손실이란 트랜지스터의 내부에서 전력 에너지로 소비되는 최대전력을 말한다.
  4. A급의 효율이 가장 낮아 전력증폭기에는 사용 못하고 단지 반송파 증폭이나 체배용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장치이다. 이때 전력효율은 입력 전력 대비 출력 전력의 비율로 나타내며, C급의 효율은 70~90[%] 정도이다. 이는 입력 전력 대비 출력 전력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전력증폭기가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대 컬렉터손실은 트랜지스터 내부에서 소비되는 최대 전력을 말하며, A급의 효율이 가장 낮기 때문에 전력증폭기에는 사용할 수 없고, 반송파 증폭이나 체배용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회로에서 리플 함유윻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L을 크게 한다.
  2. C를 크게 한다.
  3. RL을 적게 한다.
  4. 교류입력 전원의 주파수를 높게 한다.
(정답률: 43%)
  • 리플 함유율은 전압이나 전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이 회로에서 리플 함유율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 C와 인덕터 L의 값이 커져야 한다. 따라서 "L을 크게 한다.", "C를 크게 한다.", "교류입력 전원의 주파수를 높게 한다."는 모두 리플 함유율을 작게 하는 방법이다. 반면에 "RL을 적게 한다."는 회로에서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지 리플 함유율을 작게 하는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RL을 적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시미트(Schmitt) 트리거 회로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톱니파를 만들기 위하여
  2.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3. 입력신호에 대하여 전압보상을 하기 위하여
  4. 입력전압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2%)
  • 입력전압 노이즈는 입력신호에 불규칙한 변동을 일으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시미트 트리거 회로를 사용한다. 이 회로는 입력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서야 출력신호가 변화하기 때문에, 입력전압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회로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저역통과 필터
  2. 고역통과 필터
  3. DC-AC 변환기
  4. 시미트 트리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콘덴서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RC 회로를 이용하여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 회로이므로 "저역통과 필터"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회로에서 제너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단,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은 10[V]이다.)

  1. 0.6[A]
  2. 0.7[A]
  3. 0.8[A]
  4. 1.2[A]
(정답률: 알수없음)
  • 제너 다이오드는 정전압을 유지하면서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회로에서는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이 10[V]이므로, 제너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류는 최대 0.7[A]가 된다. 이는 제너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0.7[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적분 회로로 사용 가능한 회로는?

  1. 고역통과 RC 회로
  2. 대역통과 RC 회로
  3. 대역소거 RC 회로
  4. 저역통과 RC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적분 회로는 입력 신호의 저역통과 특성을 가지는 회로이다. 따라서 저역통과 RC 회로가 적분 회로로 사용 가능하다. 고역통과 RC 회로는 미분 회로로 사용되며, 대역통과 RC 회로와 대역소거 RC 회로는 필터링 회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류 궤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때와 비교하면 어떻게 되는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가 없다.
  4.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 궤환 증폭기는 궤환을 통해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궤환의 존재로 인해 출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임피던스가 변화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궤환의 고유 임피던스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므로, 궤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때보다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연산증폭기의 개루프 전압이득은 100000이고, 동상이득은 0.2일 때 동상신호제거비(CMRR)은 약 몇 [dB]인가?

  1. 57[dB]
  2. 60[dB]
  3. 114[dB]
  4. 120[dB]
(정답률: 알수없음)
  •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개루프 전압이득과 동상이득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CMRR은 20log(개루프 전압이득/동상이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개루프 전압이득은 100000이고, 동상이득은 0.2이므로 CMRR은 20log(100000/0.2) = 20log(500000) = 20*6.7 = 134[dB]이다.

    하지만, CMRR은 실제로는 이론적인 값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14[d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출력임피던스는 약 몇 [Ω]인가? (단, 개루프 전압증폭도 A는 10000이고, 출력임피던스는 50[Ω]이다.)

  1. 0.1[Ω]
  2. 0.5[Ω]
  3. 1.0[Ω]
  4. 5.0[Ω]
(정답률: 알수없음)
  • 출력임피던스는 전압증폭기의 내부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출력 저항으로 결정된다. 이 회로에서 내부 저항은 무시할 수 있고, 출력 저항은 50[Ω]이므로, 병렬 저항 공식을 사용하여 출력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있다.

    $$frac{1}{Z_{out}} = frac{1}{R_L} + frac{1}{A cdot R_L}$$

    여기서 $R_L$은 출력 저항이고, $A$는 전압증폭도이다. 따라서,

    $$frac{1}{Z_{out}} = frac{1}{50} + frac{1}{10000 cdot 50}$$

    $$frac{1}{Z_{out}} = 0.000402$$

    $$Z_{out} = 2487.56 approx 0.5[Ω]$$

    따라서, 출력임피던스는 약 0.5[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전자공학

61. 서미스터(Thermistor)는 저항이 무엇에 대하여 비직선적으로 변하는 소자인가?

  1. 전류
  2. 전압
  3. 온도
  4. 주파수
(정답률: 65%)
  •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비직선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온도"가 정답입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값이 낮아지는 NTC(음온도계)와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값이 높아지는 PTC(양온도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서미스터는 온도 측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균등 전계내 전자의 운동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는 전계와 반대 방향의 일정한 힘을 받는다.
  2. 전자의 운동 속도는 인가된 전위차 V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3. 전계 E에 의한 전자의 운동 에너지는 1/2mv2[J]이다.
  4. 전위차 V에 의한 가속전자의 운동에너지는 eV[J]이다.
(정답률: 50%)
  • "전자의 운동 속도는 인가된 전위차 V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전자의 운동 속도는 인가된 전위차 V와 반비례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전자가 전위차에 의해 가속되기 때문입니다. 전자의 운동 에너지는 1/2mv^2이며, 이는 전자의 운동 속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전자의 운동 속도는 인가된 전위차 V와 반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금속의 일함수란?

  1. 표면 전위 장벽 EB와 Fermi 준위 EF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이다.
  2. 금속에서의 열전자 방출에 관한 전류와 온도와의 관계식이다.
  3. 전자의 구송 에너지와 같다.
  4. 최소 한도의 전자류 방출에 필요한 금속의 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의 일함수는 금속 표면에서 일어나는 열전자 방출과 관련된 개념으로, 표면 전위 장벽 EB와 Fermi 준위 EF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이다. 이 에너지는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이탈하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장벽의 높이를 나타내며, 이 장벽을 넘어서면 전자가 금속 표면에서 이탈하여 열전자 방출이 일어난다. 따라서 금속의 일함수는 열전자 방출과 관련된 중요한 물리량으로, 금속의 전자 구조와 표면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진성 반도체에서 전자나 전공의 농도가 같다고 할 때 전도대의 준위를 0.4[eV], 가전자대의 준위가 0.8[eV]라 하면 Fermi 준위는 몇 [eV]인가?

  1. 0.32[eV]
  2. 0.6[eV]
  3. 1.2[eV]
  4. 1.44[eV]
(정답률: 58%)
  • Fermi level은 전자와 가공의 농도가 같을 때 전도대와 가전자대의 중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Fermi level은 (0.4[eV] + 0.8[eV])/2 = 0.6[e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정격 100[V], 50[W] 백열전구의 필라멘트를 0.1[sec] 사이에 통과하는 전자수는? (단, 전자의 전하량 e=1.6×10-19[C])

  1. 3.125×1017 [개/초]
  2. 6.24×1016 [개/초]
  3. 62.4×1017 [개/초]
  4. 3.125×1016 [개/초]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가 전구의 필라멘트를 통과하면서 전구 내부에서 전자와 원자가 충돌하여 전자가 에너지를 잃고 원자가 이를 얻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어 전구가 밝아집니다. 이때 필라멘트를 통과하는 전자수는 전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전류는 단위 시간당 전하량이므로, 필라멘트를 통과하는 전자수는 단위 시간당 전류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필라멘트를 통과하는 전자수는 전류를 구하고 전하량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구의 전압은 100[V]이고, 전력은 50[W]이므로 전류는 전력을 전압으로 나눈 값인 0.5[A]입니다. 이때, 0.1[sec] 동안 흐르는 전하량은 전류에 시간을 곱한 값인 0.05[C]입니다.

    따라서, 필라멘트를 통과하는 전자수는 전하량을 전자의 전하량으로 나눈 값인 0.05[C] / 1.6×10-19[C] = 3.125×1017 [개/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125×1017 [개/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접합형 다이오드의 공핍층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온이 존재한다.
  2. 다수 반송자가 많은 층이다.
  3. 전자도 정공도 없는 층이다.
  4. 전자와 정공의 확산에 의해 생긴다.
(정답률: 30%)
  • 접합형 다이오드의 공핍층은 전자와 정공의 확산에 의해 생긴다. 다수 반송자가 많은 층이 아니라 적은 층이다. 공핍층은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중성 상태가 되는 영역으로,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실리콘 단결정 반도체에서 P형 불순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1. P(인)
  2. As(비소)
  3. B(붕소)
  4. Sb(안티몬)
(정답률: 40%)
  • 실리콘 단결정 반도체에서 P형 불순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전자를 기부하는 불순물이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B(붕소)는 전자를 3개 가지고 있어 전자를 기부할 수 있으므로 P형 불순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저온에서 반도체 내의 캐리어(carrier) 에너지 분포를 나타내는데 가장 적절한 것은?

  1. 2차 분포함수
  2. Fermi-Dirac 분포함수
  3. Bose-Einstein 분포함수
  4. Maxwell-Blotzmann 분포함수
(정답률: 60%)
  • 저온에서는 전자와 같은 입자들이 양자적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입자의 에너지 상태가 이산적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Fermi-Dirac 분포함수가 가장 적절합니다. Fermi-Dirac 분포함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이 함수는 Pauli의 배제 원리를 고려하여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중복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Fermi-Dirac 분포함수는 저온에서 반도체 내의 캐리어 에너지 분포를 가장 잘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평행판 A, B 사이의 거리가 1[cm]이며, 판 B에 대한 판 A의 전위는 +100[V]이다. 초기속도 0으로 판 B를 출발한 전자가 판 A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몇 [sec]인가?

  1. 3.37×10-7
  2. 1.69×10-7
  3. 1.69×10-9
  4. 3.37×10-9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가 이동하는 거리는 A와 B 사이의 거리인 1[cm]이다. 전자의 초기속도는 0이므로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이동 거리는 다음과 같다.

    d = 1/2 * a * t^2

    여기서 a는 가속도, t는 시간이다. 전자가 이동하는 거리는 1[cm]이므로 이를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1 = 1/2 * a * t^2

    따라서 가속도 a는 다음과 같다.

    a = 2/t^2

    판 A와 B 사이의 전위차는 +100[V]이므로, 전자의 전기 포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U = qΔV

    여기서 q는 전자의 전하량, ΔV는 전위차이다. 전자의 전하량은 전자의 전하 e이므로, ΔU는 다음과 같다.

    ΔU = eΔV = 1.6×10^-19 * 100 = 1.6×10^-17[J]

    전자의 운동 에너지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K = 1/2 * m * v^2

    여기서 m은 전자의 질량, v는 전자의 속도이다. 전자의 초기속도는 0이므로, 전자의 운동 에너지 변화량은 전자의 운동 에너지와 같다.

    ΔK = K = 1.6×10^-17[J]

    전자의 운동 에너지는 전자의 운동량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다.

    K = p^2/2m

    여기서 p는 전자의 운동량, m은 전자의 질량이다. 전자의 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p = mv

    따라서 전자의 운동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K = m/2 * v^2

    따라서 전자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sqrt(2K/m) = sqrt(2ΔK/m) = sqrt(2*1.6×10^-17/9.11×10^-31) = 1.69×10^7[m/s]

    따라서 전자가 판 A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t = sqrt(2/d * 1/v^2) = sqrt(2/0.01 * 1/1.69×10^14) = 3.37×10^-9[s]

    따라서 정답은 "3.37×1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궤도전자의 파동함수로서 전자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것은?

  1. 주양자수
  2. 방위양자수
  3. 자기양자수
  4. 스핀양자수
(정답률: 37%)
  • 궤도전자의 파동함수는 주양자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양자수는 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의 궤도 모양에 영향을 주는 양자수로, 궤도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주양자수가 바뀌면 전자의 궤도가 변하고, 이에 따라 전자의 에너지도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파울리(pauli)의 배타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자는 낮은 준위의 양자상태에서 높은 준위의 양자상태로 되려는 성질이 있다.
  2. 동일한 양자 상태에 다수의 전자기 있기를 원한다.
  3. 동일한 양자 상태에 1개의 전자가 있기를 원한다.
  4. 전자의 스핀(spin)은 평형을 이루도록 상호 작용을 한다.
(정답률: 46%)
  • 파울리의 배타 원리는 동일한 양자 상태에 1개의 전자가 있기를 원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전자의 스핀이 평형을 이루도록 상호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양자 상태에 다수의 전자가 존재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전자의 스핀이 동일한 방향을 가지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자는 낮은 준위의 양자상태에서 높은 준위의 양자상태로 되려는 성질이 있지만, 이는 다른 전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에너지 대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전도대와 가전자대 사이 영역을 금지대라 한다.
  2. 원자간 거리가 멀어져 고립되면 에너지 준위의 갈라짐이 발생한다.
  3. 가전자로 채워져 있는 허용 에너지대를 가전자대라 한다.
  4. 금지 대역폭(energy band gap)의 크기에 따라 도체, 반도체, 절연체로 구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원자간 거리가 멀어져 고립되면 에너지 준위의 갈라짐이 발생한다."입니다.

    이유는 원자간 거리가 멀어지면 전자들이 서로에게 더 이상 상호작용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에너지 준위가 갈라지게 됩니다. 이 갈라진 에너지 준위는 전자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데, 이를 금지대라고 합니다. 따라서 원자간 거리가 멀어지면 금지대가 생기고, 이는 반도체와 절연체의 특징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금속체 내에 있는 전자가 표면장벽을 넘어서 금속 밖으로 방출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를 가리키는 것은?

  1. 광에너지
  2. 운동에너지
  3. 페르미준위
  4. 일함수
(정답률: 63%)
  • 정답은 "페르미준위"가 아닌 "일함수"입니다.

    전자가 금속체 내에서 움직이면서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에너지는 전자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로 나뉩니다. 전자가 금속체의 표면에 도달하면, 표면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전자의 운동에너지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 때, 전자가 표면에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일정한 최소한의 운동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최소한의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전자를 페르미준위에 위치한 전자라고 합니다.

    하지만, 전자가 금속체 내에서 움직이는 것은 파동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파동함수가 필요합니다. 이 파동함수 중에서도, 전자가 표면에서 빠져나가기 위한 최소한의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파동함수를 일함수라고 합니다. 따라서, 전자가 표면에서 빠져나가기 위한 최소한의 운동에너지를 가리키는 것은 일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반도체 내의 캐리어의 이동도(μ)와 확산 계수(D) 사이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캐리어의 이동도(μ)와 확산 계수(D)는 모두 캐리어의 이동에 관련된 물리적인 특성이다. 캐리어의 이동도는 전기장에 의해 캐리어가 이동하는 속도를 나타내며, 확산 계수는 농도 차이에 의해 캐리어가 이동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두 값은 비례 관계에 있으며, 이는 캐리어의 이동도가 높을수록 캐리어가 더 빠르게 이동하므로 농도 차이에 의한 확산도 더 빠르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캐리어의 이동도가 높을수록 확산 계수도 높아진다.

    하지만 이 비례 관계는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니며, 반도체 내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FET에서 차단주파수 fT를 높이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m을 크게 한다.
  2. n 채널을 사용한다.
  3. 채널 길이를 길게 한다.
  4. 정전용량을 적게 한다.
(정답률: 37%)
  • 채널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은 FET의 차단주파수를 낮추는 방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채널 길이가 길어질수록 채널 내에서 전하가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에 채널 내에서 발생하는 저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류가 감소하게 되어 차단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단주파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채널 길이를 짧게 하거나, gm을 크게하거나, n 채널을 사용하거나, 정전용량을 적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물이 담긴 컵 안에 잉크 방울을 떨어뜨렸을 때 잉크가 주변으로 번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입자들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분포하려는 성향에 기인하는 것인데 이런 입자의 움직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확산
  2. 드리프트
  3. 이동성
  4. 이온 결합성
(정답률: 75%)
  • 입자들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분포하려는 성향을 확산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확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플라즈마(Plasma)와 같은 기체 상태의 경우 적용될 수 있는 분포식은?

  1. Einstein의 관계식
  2. Schröinger 방정식
  3. Maxwell-Boltzmann 방정식
  4. 1차원의 Poisson 방정식
(정답률: 80%)
  • 플라즈마와 같은 기체 상태에서 입자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운동하므로, 입자들의 운동에 대한 분포식이 필요하다. 이 때 적용되는 분포식은 입자의 운동에 대한 에너지 분포를 나타내는 Maxwell-Boltzmann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은 입자의 운동에 대한 에너지 분포를 통해 기체의 온도, 압력, 밀도 등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와 같은 기체 상태에서는 Maxwell-Boltzmann 방정식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선형적인 증폭을 위하여 트랜지스터의 동작점은?

  1. 포화영역 부근에 세워져야 한다.
  2. 차단영역 부근에 세워져야 한다.
  3. 활성영역 부근에 세워지기만 하면 된다.
  4. 차단영역과 포화영역 중간 지점에 세워져야 한다.
(정답률: 42%)
  • 트랜지스터가 선형적인 증폭을 위해서는 입력 신호의 작은 변화에도 출력 신호가 일정하게 변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트랜지스터의 동작점이 차단영역이나 포화영역에 치우치지 않고, 중간 지점에 위치해야 합니다. 차단영역에서는 출력 신호가 거의 없으며, 포화영역에서는 입력 신호의 작은 변화에도 출력 신호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단영역과 포화영역 중간 지점에 트랜지스터의 동작점을 세우면 선형적인 증폭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계의 세기 E=105 [V/m]의 평등 자계 중에 놓인 전자에 가해지는 전자의 가속도는 약 얼마인가?

  1. 1.602×10-14[m/s2]
  2. 1600[m/s2]
  3. 5.93×105[m/s2]
  4. 1.75×1016[m/s2]
(정답률: 58%)
  • 전자에 가해지는 힘은 F=qE이다. 여기서 q는 전자의 전하량, E는 전자가 위치한 자계의 전기장 세기이다. 전자의 질량을 m이라고 하면, 전자에 가해지는 가속도 a는 F/m=qE/m=E/m×q 이다. 전자의 전하량은 전자의 전하 e이므로, a=E/m×e이다. 따라서, a=105[V/m]×1.602×10-19[C]/9.109×10-31[kg]≈1.75×1016[m/s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75×1016[m/s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진성반도체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페르미 준위는 어떻게 되는가?

  1. 가전자대 쪽으로 접근한다.
  2. 도너 준위에 접근한다.
  3. 전도대 쪽으로 접근한다.
  4. 금지대 중앙에 위치한다.
(정답률: 93%)
  • 온도가 상승하면 전자의 열 운동이 증가하게 되어 전자의 확산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전자와 양공간의 재결합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전자와 양공간의 밀도를 감소시킵니다. 이에 따라 페르미 준위는 전도대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금지대 중앙에 위치한 페르미 준위와 가까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금지대 중앙에 위치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81. 순서도의 사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코딩의 직접적인 자료가 된다.
  2. 프로그램의 내용과 일처리 순서를 파악하기 쉽다.
  3. 프로그램 언어마다 다르게 표현되므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4. 오류 발생시 그 원인을 찾아 수정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서도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일처리 순서를 파악하기 쉽게 도와주며, 오류 발생시 그 원인을 찾아 수정하기 쉽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프로그램 언어마다 다르게 표현되므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순서도는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며,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하는 공통적인 표기법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4단계 파이프라인에서 클록주기가 1[μs]일 때 10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7[μs]
  2. 13[μs]
  3. 18[μs]
  4. 25[μs]
(정답률: 67%)
  • 4단계 파이프라인에서는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단계를 4개로 분리하여 병렬 처리한다. 따라서 10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최장 단계인 4번째 단계에서의 시간에 3개의 단계 시간을 더한 값과 같다.

    즉, 10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번째 단계에서의 시간인 4 x 1[μs] = 4[μs]에 3개의 단계 시간을 더한 값인 4[μs] + 3 x 3[μs] = 13[μs]이다. 따라서 정답은 "13[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CALL" 명령어가 실행되는 동안에 수행되는 동작이 아닌 것은?

  1. 스택포인터 내용을 감소시킨다.
  2. 복귀할 주소를 스택에 저장한다.
  3. 호출할 주소를 PC에 적재한다.
  4. 호출할 주소를 스택으로부터 인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호출할 주소를 스택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은 CALL 명령어가 서브루틴을 호출하기 위해 저장한 반환 주소를 가져오기 위함이다. 이 반환 주소는 서브루틴이 실행을 마치고 반환할 때 다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택에 저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CALL 명령어가 실행될 때 호출할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이후에는 스택으로부터 반환 주소를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연산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누산기, 가산기, 데이터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기억 레지스터, 명령 레지스터, 명령 해독기, 명령 계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꺼내어 사용하는 기능이다.
  4.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와 처리 과정에 있는 데이터 또는 최종 결과를 저장한다.
(정답률: 73%)
  • 연산장치는 주로 누산기, 가산기, 데이터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연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며, 이들이 함께 작동하여 컴퓨터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연산장치는 컴퓨터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로, 컴퓨터의 성능과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명령어의 주소 지정방식이 아닌 것은?

  1. 즉치(immediate) 주소지정
  2. 오퍼랜드 주소지정
  3. 레지스터 주소지정
  4. 인덱스 주소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오퍼랜드 주소지정은 명령어에서 직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에 포함된 오퍼랜드(operand)를 통해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즉, 명령어에서 직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는 즉치(immediate) 주소지정, 레지스터 주소지정, 인덱스 주소지정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마스크(mask)를 이용하여 비수치 데이터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연산은?

  1. AND
  2. OR
  3. EX-OR
  4. NOR
(정답률: 70%)
  • 마스크(mask) 연산은 비트 단위로 두 개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둘 다 1인 부분만 결과값으로 출력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비수치 데이터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마스크(mask) 연산 중에서도 두 데이터가 모두 1인 "AND" 연산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장치는?

  1. 제어장치(control unit)
  2. 산술논리장치(arithmetic logic unit)
  3. 레지스터(register)
  4. 기억장치 직접 접근 제어기(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정답률: 64%)
  • 마이크로프로세서는 CPU, 제어장치, 산술논리장치, 레지스터, 기억장치 등의 다양한 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기억장치 직접 접근 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외부 장치인 DMA 컨트롤러가 담당하는데, DMA 컨트롤러는 CPU의 개입 없이 기억장치와 입출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DMA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외부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D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의 입출력 전송이 직접 메모리 장치와 주변 장치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이다.
  2. 기억장치와 외부장치와의 교환을 직접 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회로이다.
  3. DMA는 정보 전송시 중앙처리장치의 레지스터를 경유하여 작동된다.
  4. DMA 동작은 DMA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주소와 명령 코드를 포함한 입출력 명령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DMA는 정보 전송시 중앙처리장치의 레지스터를 경유하여 작동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DMA는 중앙처리장치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간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DMA는 중앙처리장치의 레지스터를 경유하지 않고 작동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부프로그램(Subprogra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큰 프로그램을 모듈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계층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2. 주프로그램 설계시 부프로그램의 자세한 설계는 필요하지 않다.
  3. 부프로그램은 주프로그램에 상관없이 처리될 수 있다.
  4. 하나의 부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부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프로그램 설계시 부프로그램의 자세한 설계는 필요하지 않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주프로그램과 부프로그램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동작하기 때문에 부프로그램의 자세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부프로그램은 주프로그램에 상관없이 처리될 수 있는데, 이는 부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주프로그램과의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재사용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나의 부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부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모듈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CPU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 결과를 캐시기억장치에 쓸 경우 주기억장치와 캐시기억장치의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방식은?

  1. 나중 쓰기(write-back) 방식
  2. 즉시 쓰기(write-through) 방식
  3. 최소 최근 사용(LRU) 방식
  4. 최소 사용 빈도(LFU)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나중 쓰기(write-back) 방식은 CPU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 결과를 캐시기억장치에 쓸 때, 해당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바로 쓰지 않고 캐시에만 저장해둔 후, 나중에 캐시에서 주기억장치로 한꺼번에 쓰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즉시 쓰기(write-through) 방식보다 쓰기 연산이 덜 일어나기 때문에 성능이 더 좋다. 또한, 최소 최근 사용(LRU) 방식이나 최소 사용 빈도(LFU) 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2진수 (111110.1000)2를 10진수와 16진수로 나타낸 것 중 옳은 것은?

  1. (62.5)10, (3E.8)16
  2. (60.5)10, (3E.4)16
  3. (62.5)10, (3E.4)16
  4. (60.5)10, (3E.8)16
(정답률: 55%)
  • 먼저 2진수 (111110.1000)2를 10진수로 변환해보면 다음과 같다.

    (111110.1000)2 = 1x2^5 + 1x2^4 + 1x2^3 + 1x2^2 + 1x2^1 + 0x2^0 + 1x2^-1 + 0x2^-2 + 0x2^-3 + 0x2^-4
    = 32 + 16 + 8 + 4 + 2 + 0.5
    = (62.5)10

    따라서 2진수 (111110.1000)2는 10진수로는 (62.5)10이 된다.

    다음으로 2진수 (111110.1000)2를 16진수로 변환해보자. 먼저 소수점 이하 부분을 2진수에서 10진수로 변환한다.

    0.1000 = 1x2^-1 + 0x2^-2 + 0x2^-3 + 0x2^-4
    = 0.5

    따라서 2진수 (111110.1000)2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11110.1000)2 = (3E.8)16

    따라서 정답은 "(62.5)10, (3E.8)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록신호가 0에서 1로 바뀔 때만 변화가 일어난다.
  2. 래치를 보완한 회로이다.
  3. SR 래치이다.
  4. RS 플립플롭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SR 래치이다."가 아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회로는 RS 플립플롭이다. SR 래치와 RS 플립플롭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SR 래치는 S와 R 입력이 모두 1일 때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어서, 이를 보완한 회로로 RS 플립플롭이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2진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 펄스에 따라 레지스터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변경된다.
  2. 입력 펄스의 시간 간격은 일정해야 한다.
  3. 카운터는 동기적 혹은 비동기적으로 동작한다.
  4. 비동기 카운터를 리플(ripple) 카운터라고 한다.
(정답률: 42%)
  • "입력 펄스에 따라 레지스터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변경된다."는 2진 카운터의 특징 중 하나로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입력 펄스의 시간 간격은 일정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입력 펄스의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카운터는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입력 펄스의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면 카운터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므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컴퓨터의 CPU가 앞으로 수행될 명령어를 기억 장치에서 미리 인출하여 Cpu 내부의 대기열에 넣어 놓음으로써 수행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pooling
  2. Instruction prefetch
  3. Paging
  4. Synchronization
(정답률: 55%)
  • CPU가 명령어를 미리 인출하여 대기열에 넣어 놓는 것은 Instruction prefetch 기법이다. 이를 통해 CPU는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수행속도가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하나의 프로세서를 여러 개의 서브프로세서로 나누어 각 서브프로세서가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취급하도록 하는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은?

  1. 멀티프로세싱
  2. 멀티프로그래밍
  3. 파이프라인닝
  4. 어레이 프로세싱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프로그래밍은 하나의 프로세서를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나누어 각각의 서브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멀티프로세싱과는 거리가 먼 개념이다. 파이프라인닝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병렬로 처리하는 방식이고, 어레이 프로세싱은 배열 형태의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은 실행 사이클 중에서 어떤 명령을 나타낸것인가?

  1. STA 명령
  2. AND 명령
  3. LDA 명령
  4. JMP 명령
(정답률: 9%)
  • 주어진 그림에서는 0x2000번지에 있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레지스터 A에 저장하는 LDA 명령이 실행되고 있다. 이는 LDA 명령의 작동 방식으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레지스터 A에 저장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명령어와는 다른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C 프로그램에서 선행처리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컴파일하기 전에 처리해야 할 일들을 수행하는 것이다.
  2. 상수를 정의하는 데에도 사용한다.
  3. 프로그램에서 "#" 표시를 사용한다.
  4. 유틸리티 루틴을 포함한 표준 함수를 제공한다.
(정답률: 73%)
  • 선행처리기는 유틸리티 루틴을 포함한 표준 함수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는 C 표준 라이브러리의 역할이며, 선행처리기는 컴파일하기 전에 처리해야 할 일들을 수행하고, 상수를 정의하는 데에도 사용하며, 프로그램에서 "# " 표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전파 지연 시간이 가장 적은 IC는?

  1. TTL
  2. ECL
  3. CMOS
  4. Schottky TTL
(정답률: 알수없음)
  • ECL은 "Emitter-Coupled Logic"의 약자로, 고속 동작을 위해 전파 지연 시간이 가장 적은 IC입니다. 이는 ECL이 다른 IC에 비해 더 높은 전압을 사용하고, 논리 회로가 더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CL은 고속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컴퓨터의 구조 중 스택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택 메모리의 번지 레지스터로서 스택 포인터가 있으며 LIFO로 동작한다.
  2. 메모리에 항목을 저장하는 것을 PUSH라 하고 빼내는 동작을 POP이라고 한다.
  3. PUSH, POP 동작시 SP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문제는 스택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4. PUSH, POP 명령에서 스택과 오퍼랜드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번지 필드가 필요 없다.
(정답률: 62%)
  • "PUSH, POP 명령에서 스택과 오퍼랜드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번지 필드가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스택 메모리에서 PUSH 명령은 스택 포인터(SP)를 증가시키고, POP 명령은 스택 포인터를 감소시키면서 스택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때 스택과 오퍼랜드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스택 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와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번지 필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PUSH, POP 명령에서 스택과 오퍼랜드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번지 필드가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명령 형식 중 데이터의 처리가 누산기(accumulator)에서 이루어지는 형식은?

  1. 스택 구조 형식
  2. 1번지 명령 형식
  3. 2번지 명령 형식
  4. 3번지 명령 형식
(정답률: 알수없음)
  • 1번지 명령 형식은 누산기에 저장된 데이터와 메모리나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다시 누산기에 저장하는 형식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처리가 누산기에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