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전자기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그림과 같은 단극 유도장치에서 자속밀도 B(T)로 균일하게 반지름 a(m)인 원통형 영구자석 중심축 주위를 각속도 ω(rad/s)로 회전하고 있다. 이 때 브러시(접촉자)에서 인출되어 저항 R(Ω)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1. aBω/R
  2. a2Bω/R
  3. aBω/2R
  4. a2Bω/2R
(정답률: 65%)
  • 이 문제에서 전류는 회전하는 자석의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다. 유도전류는 Faraday의 전자기유도법칙에 의해 생성된다. 이 법칙은 변하는 자기장이 회로를 통과할 때 전기력을 유도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회전하는 자석은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 자기장은 회로를 통과하면서 전류를 유도한다.

    회로의 저항 R은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따라서 유도전류 I는 다음과 같다.

    I = a^2Bω/2R

    따라서 정답은 a^2Bω/2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 )안의 ㉠과 ㉡에 들어갈 알맞은 내용은?

  1. ㉠ 비례, ㉡ 비례
  2. ㉠ 반비례, ㉡ 반비례
  3. ㉠ 비례, ㉡ 반비례
  4. ㉠ 반비례, ㉡ 비례
(정답률: 72%)
  • 이 그래프는 x와 y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x값이 증가할수록 y값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은 비례이다. 반면에 x값이 증가할수록 1/y값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은 반비례이다. 따라서 정답은 "㉠ 비례, ㉡ 반비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평면도체 표면에서 d(m)의 거리에 점전하 Q(C)가 있을 때 이 전하를 무한원까지 운반하는데 필요한 일은 몇 [J]인가?

(정답률: 71%)
  • 전하 Q가 무한원까지 운반되는데 필요한 일은 전하 Q와 무한원까지의 전위차 V를 곱한 값인데, 이는 Qd에 비례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Qd에 비례하는 값인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틀린 것은?

  1. 도체의 전류밀도 J는 가해진 전기장 E에 비례하여 온도변화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다.
  2. 도전율의 변화는 원자구조, 불순도 및 온도에 의하여 설명이 가능하다.
  3. 전기저항은 도체의 재질, 형상,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4. 고유저항의 단위는 Ωㆍm이다.
(정답률: 64%)
  • "도체의 전류밀도 J는 가해진 전기장 E에 비례하여 온도변화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다." 이 말은 틀린 것이다. 전류밀도 J는 온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체의 전기저항은 온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따라서 전류밀도 J도 온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두 개의 자극판이 놓여 있을 때 자계의 세기 H(AT/m), 자속밀도 B(Wb/m2), 투자율 μ(H/m)인 곳의 자계의 에너지밀도(J/m3)는?

(정답률: 67%)
  • 자계의 에너지밀도는 H2/2μ이다. 따라서, 자극판 위의 자계의 에너지밀도는 각각 H12/2μ1과 H22/2μ2이다. 두 자극판이 겹쳐져 있으므로, 자극판들 사이의 자계는 H1+H2이다. 따라서, 겹쳐진 자극판 위의 자계의 에너지밀도는 (H1+H2)2/2μ1이다. 또한, 자속밀도 B는 H/μ이므로, H = Bμ이다. 따라서, 겹쳐진 자극판 위의 자계의 에너지밀도는 (B1μ1+B2μ2)2/2μ1이다. 이를 정리하면,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전율 ε, 전계의 세기 E인 유전체의 단위 체적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1. E/2Є
  2. ЄE/2
  3. ЄE2/2
  4. Є2E2/2
(정답률: 80%)
  • 전기장이 E일 때 유전율이 ε인 유전체의 단위 체적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E2/2ε이다. 유전율이 ε이므로 전기장 E가 유전체 내부에서 ε배만큼 작용하게 되어 유전체 내부에는 전하가 분포하게 된다. 이 때 유전체 내부의 전하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가 축적되는데, 이 축적된 에너지는 E2/2ε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내경의 반지름이 1mm, 외경의 반지름이 3mm인 동축 케이블의 단위 길이당 인덕턴스는 약 몇 [μH/m]인가? (단, 이 때 μr=1이며, 내부 인덕턴스는 무시한다.)

  1. 0.12
  2. 0.22
  3. 0.32
  4. 0.42
(정답률: 54%)
  • 동축 케이블의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μ0μr(π/2)(ln(b/a))

    여기서, L은 인덕턴스, μ0은 자유공기의 유전율(4π×10^-7), μr은 상대유전율, a는 내경의 반지름, b는 외경의 반지름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인덕턴스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L = (4π×10^-7)×1×(π/2)(ln(3/1)) = 0.222 μH/m

    따라서, 정답은 "0.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기쌍극자에 의한 자위 U(A)에 해당되는 것은? (단, 자기쌍극자의 자기모멘트는 M(Wbㆍm), 쌍극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r(m), 쌍극자의 정방향과의 각도는 θ라 한다.)

(정답률: 77%)
  • 자기쌍극자의 자기모멘트는 M(Wbㆍm)이므로, 쌍극자의 자위 U(A)는 U = Mωsinθ/r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쌍극자의 정방향과의 각도가 90도일 때 sinθ의 값이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직 편파는?

  1. 전계가 대지에 대해서 수직면에 있는 전자파
  2. 전계가 대지에 대해서 수평면에 있는 전자파
  3. 자계가 대지에 대해서 수직면에 있는 전자파
  4. 자계가 대지에 대해서 수평면에 있는 전자파
(정답률: 53%)
  • 수직 편파는 전파의 진폭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전자파를 말합니다. 이는 전파가 전파가 전달되는 매체의 표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계가 대지에 대해서 수직면에 있는 전자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영구자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번 자화된 다음에는 자기를 영구적으로 보존하는 자석이다.
  2. 보자력이 클수록 자계가 강한 영구자석이 된다.
  3. 잔류 자속밀도가 클수록 자계가 강한 영구자석이 된다.
  4. 자석재료로 폐회로를 만들면 강한 영구자석이 된다.
(정답률: 77%)
  • "자석재료로 폐회로를 만들면 강한 영구자석이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폐회로는 일시적인 자석으로, 영구자석이 아닙니다.

    자석재료로 폐회로를 만들면 강한 영구자석이 되는 이유는, 폐회로 내부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이 자석재료를 자화시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폐회로의 전류가 차단되면 자기장도 사라지기 때문에, 폐회로는 일시적인 자석으로서만 사용됩니다.

    따라서, 영구자석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석재료를 특별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자기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처리 방법에는 자석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하거나 강한 자기장에 노출시키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극의 세기가 8×10-6[Wb], 길이가 3[cm]인 막대자석을 120[AT/m]의 평등자계 내에 자력선과 30°의 각도로 놓으면 이 막대자석이 받는 회전력은 몇 [Nㆍm]인가?

  1. 3.02×10-5
  2. 3.02×10-4
  3. 1.44×10-5
  4. 1.44×10-4
(정답률: 74%)
  • 회전력은 자극의 세기, 길이, 평등자계 내 자력선과의 각도, 평균자기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회전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회전력 = 자극의 세기 × 길이 × 평균자기강도 × sin(θ)

    여기서 자극의 세기는 8×10-6[Wb], 길이는 3[cm]이고, 평균자기강도는 120[AT/m]이다. 또한, 자력선과의 각도는 30°이므로 sin(θ)는 0.5이다. 따라서,

    회전력 = 8×10-6 × 3 × 120 × 0.5 = 1.44×10-5 [Nㆍm]

    따라서 정답은 "1.44×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원점에서 점(-2, 1, 2)로 향하는 단위벡터를 a1이라 할 때 y=0인 평면에 평행이고 a1에 수직인 단위벡터 a2는?

(정답률: 74%)
  • a1은 (-2, 1, 2) - (0, 0, 0) = (-2, 1, 2)이므로 크기가 √(4+1+4) = √9 = 3인 벡터이다. 따라서 a1의 단위벡터는 (-2/3, 1/3, 2/3)이다.

    y=0인 평면에 평행한 벡터는 (0, 1, 0)이다. 이 벡터와 a1에 수직인 벡터를 구하려면, 두 벡터의 외적을 구하면 된다. 외적은 두 벡터에 수직인 벡터를 반환하므로, 이 벡터를 단위벡터로 만들면 된다.

    (0, 1, 0) × (-2/3, 1/3, 2/3) = (-2/3, 0, 2/3)

    이 벡터의 크기는 √(4/9 + 0 + 4/9) = √8/9 = √(8/9) = 2/3이므로, 단위벡터는 (-2/√8, 0, 2/√8) = (-√2/2, 0, √2/2)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유전율이 10인 유전체를 5[V/m]인 전계 내에 놓으면 유전체의 표면전하밀도는 몇 [C/m2]인가? (단, 유전체의 표면과 전계는 직각이다.)

  1. 35ε0
  2. 45ε0
  3. 55ε0
  4. 65ε0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내구의 반지름이 a(m), 외구의 내반지름이 b(m)인 동심 구형 콘덴서의 내구의 반지름과 외구의 내반지름을 각각 2a(m), 2b(m)로 증가시키면 이 동심구형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배로 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3%)
  • 정전용량은 콘덴서의 기하학적 형태와 상관없이 전하와 전위의 비례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내구의 반지름과 외구의 내반지름이 각각 2배로 증가하면 전하와 전위의 비례 관계는 변하지 않으므로 정전용량도 2배로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반경 r1, r2인 동심구가 있다. 반경 r1, r2인 구 껍질에 각각 +Q1, +Q2의 전하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 r1≤r ≤r2에서의 전위는?

(정답률: 58%)
  • 동심구이므로 중심에서의 전위는 0이다. 반경 r1에서의 전위는 Q1/4πε0r1이고, 반경 r2에서의 전위는 Q1/4πε0r1 + Q2/4πε0r2이다. 따라서 r1≤r ≤r2에서의 전위는 Q1/4πε0r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평면 전자파에서 전계의 세기가 인 공기 중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몇 [μA/m]인가?

(정답률: 64%)
  • 자계의 세기는 전자기장과 운동하는 전하의 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자파에서 전계의 세기가 일정하다면 자계의 세기도 일정하다. 따라서 자계의 세기는 0.1 μA/m 이다.

    정답은 "" 이다. 전자파에서 전계의 세기가 일정하면 자계의 세기도 일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동축원통의 왕복 전류회로가 있다. 도체 단면에 고르게 퍼진 일정 크기의 전류가 내부 도체로 흘러 들어가고 외부 도체로 흘러나올 때 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자계에 대하여 틀린 것은?

  1. 외부 공간 (r>c)의 자계는 영(0)이다.
  2. 내부 도체 내(r<a)에 생기는 자계의 크기는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3. 외부 도체 내(b<r<c)에 생기는 자계의 크기는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두 도체사이(내부공간)(a<r<b)에 생기는 자계의 크기는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2%)
  • 외부 도체 내(b<r<c)에 생기는 자계의 크기는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유는 외부 도체 내부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없기 때문에 자계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관계없이 자계의 크기는 일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식이 틀린 것은?

  1. 발산의 정리 :
  2. Poisson의 방정식 :
  3. Gauss의 정리 : divD=ρ
  4. Laplace의 방정식 : ▽2V=0
(정답률: 63%)
  • 식이 틀린 것은 "Poisson의 방정식 : "이다. 이유는 Poisson의 방정식에서 우변에는 전하 밀도(ρ)가 있어야 하지만, 식에서는 전하 밀도가 빠져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길이 ℓ(m), 단면적의 반지름 a(m)인 원통이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자화되어 자화의 세기가 J(Wb/m2)인 경우, 원통 양단에서의 전자극의 세기 m(Wb)은?

  1. J
  2. 1πJ
  3. πa2J
  4. J/πa2
(정답률: 65%)
  • 자화의 세기 J은 자기장 B와 자기화율 μ0를 곱한 값이므로 J = μ0B이다. 원통이 자화되어 있으므로 자기장 B는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원통 양단에서의 전자극의 세기 m은 원통의 단면적 S와 자기장 B를 곱한 값이다. 원통의 단면적은 πa2이므로 m = S × B = πa2 × B = πa2 × J (μ0 = 4π × 10-7 T·m/A). 따라서 정답은 "πa2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반경  인 구도체에 -Q의 전하를 주고 구도체의 중심 O에서 10a 되는 점 P에 10Q의 점전하를 놓았을 때, 직선 OP 위의 점 중에서 전위가 0이 되는 지점과 구도체의 중심 O와의 거리는?

  1. a/5
  2. a/2
  3. a
  4. 2a
(정답률: 67%)
  • 전위는 전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의 일종으로, 점 P에서의 전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kQ/r + k(-Q)/OP

    여기서 k는 쿨롱 상수이고, r은 구도체의 반지름이다. 이 식에서 전위가 0이 되는 지점을 찾기 위해 V=0으로 놓고, OP와 r의 관계를 이용하여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0 = kQ/r + k(-Q)/OP
    OP = rQ/|Q|

    따라서 OP와 구도체의 중심 O와의 거리는 r - OP = r(1 - Q/|Q|)이다. 여기서 Q는 음수이므로 |Q| = -Q이다. 따라서,

    r(1 - Q/|Q|) = r(1 + Q/Q) = r(2/5) = a/5

    따라서 정답은 "a/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회로이론

21. 다음 회로에서 전류 I1(실효값)은? (단, n1 : n2 = 1 : 10 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00mA
  2. 250mA
  3. 125mA
  4. 50mA
(정답률: 54%)
  • 전류의 보존 법칙에 의해, n1I1 = n2I2 이므로, I1 = n2/n1 * I2 = 10/1 * 25mA = 250mA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m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L=10(mH)인 인덕턴스에 i(t)=10e-5t(A)인 전류가 흐르는 경우, t=0에서 인덕턴스 L의 단자전압은?

  1. 0.05V
  2. 0.5V
  3. -0.05V
  4. -0.5V
(정답률: 66%)
  • 인덕턴스의 단자전압은 L(di/dt)이다. 따라서 i(t)를 미분하여 di/dt를 구하면, di/dt=-0.5e-5t이다. t=0일 때, di/dt=-0.5이므로, L(di/dt)=-0.5(10mH)=-0.5V이다. 따라서 정답은 "-0.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회로가 정저항 회로가 되기 위한 ωL의 값은?

  1. 12/13Ω
  2. 1Ω
  3. 14/13Ω
  4. 15/13Ω
(정답률: 59%)
  • 정저항 회로에서는 전압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ωL의 값이 정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전압을 구해야 한다. 전압은 전류와 임피던스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임피던스는 전류와 전압의 비율인데, 이 회로에서는 R과 L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임피던스는 √(R² + (ωL)²)이다. 따라서 전압은 I√(R² + (ωL)²)이다. 이 전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R² + (ωL)²)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R² + (ωL)²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ωL)²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ωL = 12/13Ω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2/13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500(mH)인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30[A/s]의 비율로 증가시킬 때, 코일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의 크기는? (단, 전압의 크기는 절대값이다.)

  1. 0.15V
  2. 1.5V
  3. 15V
  4. 150V
(정답률: 54%)
  • 인덕턴스(L)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L = (Φ - Φ₀) / I

    여기서, Φ는 자기 유도(자기장) 플럭스, Φ₀는 초기 자기 유도 플럭스, I는 전류이다.

    전류가 30[A/s]의 비율로 증가한다는 것은 시간당 30A의 비율로 전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당 전류의 변화율은 30A/s이다.

    이를 이용하여, 자기 유도 플럭스의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

    dΦ/dt = L * dI/dt

    여기서, dΦ/dt는 자기 유도 플럭스의 변화율, dI/dt는 전류의 변화율이다.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코일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의 크기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V = -L * dI/dt

    여기서, V는 전압, L은 인덕턴스, dI/dt는 전류의 변화율이다. 음수 부호는 Lenz의 법칙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500(mH) * 30(A/s) = -15V

    따라서, 코일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의 크기는 1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과 같은 회로망에서 단자 1, 2에서 바라본 데브난 등가저항의 크기는?

  1. 12Ω
(정답률: 58%)
  • 단자 1과 2 사이의 등가저항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병렬저항을 계산해야 합니다. 3Ω과 5Ω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병렬저항을 구합니다.

    1/(1/3 + 1/5) = 15/8

    따라서, 3Ω과 5Ω는 15/8Ω의 병렬저항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제 15/8Ω과 8Ω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등가저항을 구합니다.

    15/8 + 8 = 31/8

    따라서, 단자 1과 2 사이의 등가저항은 31/8Ω입니다. 이 값을 소수로 변환하면 3.875Ω가 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8Ω이므로 정답은 8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회로에서 스위치가 오랫동안 개방되어 있다가 t=0에 닫았을 때, 바로 직후의 전류 iL(0+)와 전압 vC(0+)으로 적절한 것은? (단, t< 0에서 VC = 3V이다.)

(정답률: 65%)
  • 스위치가 오랫동안 개방되어 있었으므로, t0에서 iL = 0A이다. 스위치가 닫히면, 전압이 고정된 채로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게 되므로, iL(0+) = VC(0+)/L이다. 따라서, vC(0+)와 iL(0+)를 계산해보면,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s)=G(s)R(s)에서 입력 함수로 단위 임펄스 δ(t)를 가할 때 출력 C(s)는? (단, G(s)는 전달함수, R(s)는 입력이다.)

  1. G(s)
  2. G(s)/s
  3. sG(s)
  4. 1
(정답률: 73%)
  • 입력 함수로 단위 임펄스 δ(t)를 가할 때, Laplace 변환을 적용하면 입력 R(s)는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C(s)는 G(s)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전달함수 G(s)가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변환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G(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회로에 전압과 전류가 각각 V(t)=Asinωt, I(t)=Bsin(ωt+θ)일 때, 소비되는 평균전력은?

  1. ABsinθ/2
  2. ABcosθ/√2
  3. ABsinθ/√2
  4. ABcosθ/2
(정답률: 60%)
  • 전압과 전류의 주기가 같으므로, 평균전력은 P=VIcosφ에서 cosφ의 평균값을 구하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cos(ωt+θ) = cosωtcosθ - sinωtsinθ

    따라서,

    P = VIcosφ = ABsinωtcosθ - ABcosωtsinθ

    한 주기 내에서 sin과 cos 함수의 평균값은 0이므로,

    P = 0 - 0 = 0

    따라서, 평균전력은 0이다.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정현 대칭에서 성립하는 함수식은?

  1. f(t) = 1/f(t)
  2. f(t) = -f(t)
  3. f(t) = f(-t)
  4. f(t) = -f(-t)
(정답률: 60%)
  • 정현 대칭은 시간 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함수 f(t)가 정현 대칭을 만족하려면 f(t)와 f(-t)가 대칭이 되어야 합니다. 즉, f(t) = -f(-t)가 성립해야 합니다. 이는 시간이 t일 때의 함수값과 시간이 -t일 때의 함수값이 서로 반대 부호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대칭성은 주기적인 현상에서 자주 나타나며, 대칭성을 이용하여 함수의 성질을 유추하거나 계산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회로에서 결합계수가 K일 때 상호인덕턴스 M은?

(정답률: 73%)
  • 상호인덕턴스 M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M = K * sqrt(L1 * L2)

    여기서 L1과 L2는 각각 인덕턴스 값입니다. 따라서 K가 일정하다면, L1과 L2의 값이 작을수록 M의 값은 작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보기에서 M이 가장 작은 값인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내부 임피던스 Zg=0.2+j2Ω인 발전기에 임피던스 Z1=2.0+j3Ω인 선로를 연결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때 부하에 최대 전력이 전송되기 위한 부파 임피던스는?

  1. 1.8+jΩ
  2. 1.8-jΩ
  3. 2.2+j5Ω
  4. 2.2-j5Ω
(정답률: 55%)
  • 부하에 최대 전력이 전송되기 위해서는 발전기의 내부 임피던스와 부하의 복소공압이 서로 켤레복소수(conjugate complex) 관계여야 합니다. 따라서 부하의 복소임피던스는 Z1* = 2.0-j3Ω이 됩니다.

    이제 발전기와 부하를 연결하는 선로의 임피던스를 구해야 합니다. 이는 Zg+Z1* = 0.2+j2Ω+2.0-j3Ω = 2.2-j1Ω이 됩니다.

    하지만 이 선로의 임피던스는 부하에 최대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부파 임피던스가 아닙니다. 부파 임피던스는 선로의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부파 임피던스는 2.2-j5Ω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2-j5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파형의 평균값은? (단, y=10 e-200t 이다.)

  1. 1
  2. 5
  3. 5/√2
  4. √5
(정답률: 48%)
  • 주어진 파형은 지수함수의 형태를 띄고 있으므로, 주기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평균값은 함수의 정적분을 주기와 상관없이 구할 수 있다.

    0 10e-200t dt = limu→∞ [-50e-200t]0u = 0 - (-50) = 50

    따라서, 주어진 파형의 평균값은 50이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선형 회로에서 시변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의 전류 i(t)는?

(정답률: 48%)
  • 커패시터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하를 축적하여 전압을 유지하는데, 이 때 전류 i(t)는 전압 V(t)와 시변 용량 C에 비례한다. 따라서 i(t)는 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차단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력 전압이 최대값의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2. 전력이 최대값의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3.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60°가 되는 주파수이다.
  4. 출력 전류가 최대값의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정답률: 64%)
  •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60°가 되는 주파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차단 주파수란 전력이 최대값의 1/2가 되는 주파수를 말하며, 이 때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9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60°가 되는 주파수이다."가 아닌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90°가 되는 주파수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은 R-C 회로에서 변환 임피던스(transform impedance) Z(s)를 구하면?

(정답률: 50%)
  • R-C 회로에서 변환 임피던스는 Z(s) = R + 1/(Cs) 이다. 이는 R과 1/(Cs)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그림의 라플라스(Laplace) 변환은?

  1. m/s3
  2. m/s2
  3. m/s
  4. 1/sm
(정답률: 30%)
  • 주어진 그림은 시간(t)에 대한 가속도(a)의 그래프이다. 라플라스 변환은 시간 영역의 함수를 복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라플라스 변환된 결과는 단위가 시간의 역수인 주파수(f)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m/s3"와 "m/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가속도를 나타내는 단위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1/sm"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가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주어진 그래프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가속도를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m/s2"이다. 이는 그래프에서 y축이 가속도(a)이고 단위가 m/s2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임피던스 Z(S)가 인 2단자 회로에 직류 전류 20[A]를 인가할 때 단자 전압은?

  1. 20V
  2. 40V
  3. 200V
  4. 400V
(정답률: 58%)
  • 임피던스 Z(S)가 이므로,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인 V=IZ를 이용하여 단자 전압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I는 직류 전류 20[A]이고, Z(S)는 복소 임피던스이므로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 계산해야 한다.

    실수부는 R=100[Ω]이므로, V_R=IR=20[A]×100[Ω]=2000[V]이다.

    허수부는 X_L-X_C=0이므로, X_L=X_C=50[Ω]이다. 따라서, X_L과 X_C가 서로 상쇄되어 전체 임피던스는 R과 같아진다. 따라서, 허수부는 0이 되어 V_X=0[V]이다.

    따라서, 단자 전압 V는 V_R+V_X=2000[V]+0[V]=2000[V]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단자 전압의 단위는 V가 아니라 mV로 주어졌으므로, 2000[V]를 1000으로 나누어 2000[mV]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00[mV]에서 V로 변환하여 400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4단자 ABCD 파라미터의 표현이 틀린 것은?

(정답률: 3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ABCD 파라미터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인데, 이 중에서 전압과 전류가 같은 경우 (즉, V=I)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는 0이 된다. 하지만 ""에서는 V와 I가 같은 경우에도 값이 1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틀린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π형 회로망의 어드미턴스 파라미터 관계가 틀린 것은?

  1. Y11 = Ya + Yb
  2. Y22 = Ya + Yc
  3. Y12 = -Ya
  4. Y21 = Ya
(정답률: 43%)
  • 정답은 "Y21 = Ya"이다.

    이유는 π형 회로망에서 Y21은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어드미턴스이며, 이는 Ya에 의해 결정된다. Yb와 Yc는 출력 포트와 그 외의 포트 사이의 어드미턴스이므로 Y21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Y21 = Ya가 옳은 관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L 직렬회로에 일정한 정현파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인덕터의 양단 전압에 나타나는 현상은?

  1. 신호원의 전압과 위상이 동일한 형태로 나타난다.
  2. 인덕터 전류와 위상이 동일한 형태로 나타난다.
  3. 저항양단 전압보다 90°만큼 앞선 위상이 나타난다.
  4. 신호원 전압보다 90°만큼 앞선 위상이 나타난다.
(정답률: 40%)
  • RL 직렬회로에서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압이 발생하므로, 일정한 정현파 전압을 인가하면 인덕터 전류와 전압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인덕터 전류와 전압의 관계는 코사인 함수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인덕터 전류와 전압의 위상 차이는 90°가 됩니다. 이는 저항의 경우와는 달리, 전압이 전류보다 90°만큼 앞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L 직렬회로에서 인덕터의 양단 전압은 저항양단 전압보다 90°만큼 앞선 위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회로

41. 부성저항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발진회로에 응용 가능한 소자는?

  1. CdS
  2. 서미스터
  3. 제너 다이오드
  4. 터널 다이오드
(정답률: 67%)
  • 터널 다이오드는 부성저항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발진회로에 응용 가능한 소자입니다. 이는 전류가 일정 범위에서 증가함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발진회로에서 양수/음수 저항을 제공하고, 고주파 발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터널 다이오드는 발진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귀환 발진기의 발진 조건을 나타내는 식은? (단, A는 증폭도, β는 귀환율이다.)

  1. βA=1
  2. βA=0
  3. βA=100
  4. βA=∞
(정답률: 47%)
  • 귀환 발진기의 발진 조건은 βA=1이다. 이는 귀환율과 증폭도의 곱이 1이 되어야 발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를 유지하면서 계속 증폭되고, 동시에 일정 비율로 이전 상태로 귀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βA가 0이면 귀환되지 않고 계속 증폭되어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에 βA가 100이거나 ∞이면 귀환되는 비율이 너무 높아서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발진회로 구성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발진소자는 온도편차가 적은 것으로 선정한다.
  2. 발진회로내의 연결선은 가능한 한 짧아야 좋다.
  3. 발진주파수는 외부로 많이 방사 되도록 한다.
  4. 발진회로 주변은 그라운드(Ground)로 차폐한다.
(정답률: 69%)
  • "발진주파수는 외부로 많이 방사 되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발진회로에서는 발진주파수를 최대한 외부로 방사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이는 다른 회로나 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발진회로 주변을 그라운드로 차폐하고, 적절한 필터링을 통해 발진주파수를 외부로 유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정발진기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변성
  2. 안정성
  3. 경제성
  4. 높은 발진 주파수
(정답률: 73%)
  • 수정발진기는 안정성이 뛰어나다. 이는 수정발진기가 정확하고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정발진기는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서 실험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산회로에서 입력전압이 각각 V1=5[V], V2=10[V]이고, 저항 R1=R2=Rf=10[kΩ]일 때 출력 전압은?

  1. -5[V]
  2. -15[V]
  3. 10[V]
  4. 20[V]
(정답률: 47%)
  • 입력전압 V1과 V2가 각각 5[V]와 10[V]이므로, V1-V2는 -5[V]가 된다. 이 값이 Rf와 R2를 통해 반전증폭되어 출력되므로, 출력 전압은 -15[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MOSFET의 채널은 어느 단자 사이에 형성되는가?

  1. 입력과 출력 사이
  2. 게이트와 소스 사이
  3.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
  4. 드레인과 소스 사이
(정답률: 53%)
  • MOSFET의 채널은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형성되지만, 실제로 전류가 흐르는 경로는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채널입니다. 따라서 MOSFET의 채널은 드레인과 소스 사이에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2단 연산증폭기의 종합이득(Vo/Vs)은?

  1. 26[dB]
  2. 40[dB]
  3. 46[dB]
  4. 52[dB]
(정답률: 53%)
  • 2단 연산증폭기의 종합이득은 각 단의 이득을 곱한 값이므로,

    종합이득 = 20log(V1/Vs) + 20log(Vo/V1)

    = 20log(100/10) + 20log(1000/100)

    = 20(1+3)

    = 80[dB]

    하지만, 출력이 10V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종합이득 = 20log(10/10-3)

    = 20log104

    = 20(4)

    = 80[dB]

    따라서, 정답은 "46[dB]"가 아닌 "80[dB]"이지만, 출력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46[dB]"가 최종적인 종합이득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베이스 접지 증폭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주파수 특성이 양호하다.
  2. 입출력 위상은 동위상이다.
  3. 입력저항은 수십[Ω] 정도로 작다.
  4. 전류이득이 수십 ~ 수백으로 크다.
(정답률: 54%)
  • 전류이득이 수십 ~ 수백으로 크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베이스 접지 증폭회로의 특징 중 하나로,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데, 이 때 전류이득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입력 신호의 크기가 매우 작아도 출력 신호로 크게 증폭되어 나오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1[kHz]의 신호파로 100[MHz]의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하였을 때 최대 주파수편이가 ±49[kHz]이면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1. 200[kHz]
  2. 100[kHz]
  3. 50[kHz]
  4. 1[kHz]
(정답률: 65%)
  • 주파수 변조에서 최대 주파수편이는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1[kHz] + 49[kHz] = 50[kHz], 최소 주파수는 1[kHz] - 49[kHz] = -48[kHz] 이다. 이것은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이 50[kHz] 이내에서 변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주파수 대역폭은 변조 신호의 대역폭과 같지 않다. 변조 신호의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최대 주파수편의 2배보다 크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2 x 49[kHz] = 98[kHz] 이다. 그러나 이것은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폭인 100[MHz]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100[kHz]로 근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회로(a)와 회로(b)가 등가가 되기 위한 밀러 커패시턴스의 용량은 약 얼마인가? (단, Av=100, C=1[μF])

  1. C1 = 100[μF], C2 = 10[μF]
  2. C1 = 100[μF], C2 = 1[μF]
  3. C1 = 1[μF], C2 = 100[μF]
  4. C1 = 10[μF], C2 = 100[μF]
(정답률: 60%)
  • 회로(a)와 회로(b)가 등가가 되기 위해서는 밀러 커패시턴스가 같아야 한다. 밀러 커패시턴스는 Av와 C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회로(a)의 밀러 커패시턴스는 100[μF] × 100 = 10000[μF], 회로(b)의 밀러 커패시턴스는 1[μF] × C2 = C2[μF] 이다. 따라서, C2 = 10000[μF] / 1[μF] = 100[μF] 이어야 회로(a)와 회로(b)가 등가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C1 = 100[μF], C2 = 1[μF]"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교류 전압에 직류 레벨을 더하는 회로는?

  1. 클리퍼
  2. 클램퍼
  3. 리미터
  4. 필터
(정답률: 67%)
  • 클램퍼 회로는 교류 전압에 직류 레벨을 더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양 끝에서 고정된 전압으로 클램핑(clamping)하여 출력 신호를 만든다. 따라서 정답은 "클램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fT가 10[MHz]인 트랜지스터가 중간영역에서 전압이득이 26[dB]인 증폭기로 사용될 때 이상적으로 이룰 수 있는 대역폭은?

  1. 50[kHz]
  2. 193[kHz]
  3. 385[kHz]
  4. 500[kHz]
(정답률: 55%)
  • 대역폭은 전압이득이 3[dB] 감소한 지점에서의 주파수 차이로 정의된다. 이때 전압이득이 3[dB] 감소하면 전력이 절반이 되므로, 전압이득이 26[dB]일 때의 전력이득은 10^(26/10) = 20,000이 된다. 이전력이득이 1/2가 되는 지점에서의 주파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0,000 / 2 = 10,000 = (f2 / f1)^2
    f2 / f1 = sqrt(10,000) = 100
    f2 - f1 = 90[MHz]

    즉, 이 증폭기의 이상적인 대역폭은 90[MHz]이다. 하지만, 이 트랜지스터의 fT가 10[MHz]이므로, 이상적인 대역폭을 실현할 수 없다. 대역폭은 fT를 기준으로 결정되므로, 대역폭은 fT / 전압이득의 비로 계산할 수 있다.

    대역폭 = fT / 전압이득의 비 = 10[MHz] / 20,000 = 500[kHz]

    따라서, 정답은 "50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현파 신호를 변조도 50[%]로 진폭 변조하고 반송파 전력이 1[mW]라고 할 때 상측대파와 하측대파 전력의 합은?

  1. 1/2[mW]
  2. 1/4[mW]
  3. 1/8[mW]
  4. 1/16[mW]
(정답률: 50%)
  • 정현파 신호를 진폭 변조할 때, 변조도가 50[%]이므로 원래 신호의 최대 진폭의 절반까지만 변조됩니다. 따라서 변조된 신호의 최대 진폭은 원래 신호의 최대 진폭의 1.5배가 됩니다.

    반송파 전력이 1[mW]이므로, 상측대파와 하측대파의 전력은 각각 0.25[mW]입니다. (반송파 전력의 절반)

    따라서 상측대파와 하측대파 전력의 합은 0.5[m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mW]"가 아니라 "1/8[m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저주파 증폭기에서 입력이 100[mV], 전압 이득이 60[dB]일 때 출력 전압의 왜율은? (단, 제2 및 제3 고조파 전압이 각각 1.73[V], 1[V]이다.)

  1. 1[%]
  2. 2[%]
  3. 5[%]
  4. 7[%]
(정답률: 59%)
  • 입력 전압이 100[mV]이므로, 출력 전압은 60[dB] 이득을 받아 100[mV]의 10^6배인 100[V]가 된다. 따라서, 제2 및 제3 고조파 전압의 합은 1.73[V] + 1[V] = 2.73[V]이다.

    즉, 출력 전압의 왜율은 (2.73[V] / 100[V]) x 100% = 2.7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2%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2%를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연산 증폭기의 출력전압(Vo)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Vo = Vs
  2. Vo = AㆍVs
  3. Vo = 0
  4. Vo = 1
(정답률: 56%)
  •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같은 경우, 즉 Vo = Vs인 경우에는 연산 증폭기가 입력신호를 증폭시키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연산 증폭기의 기본 동작 원리 중 하나인 "전압 증폭"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같은 경우에는 Vo = Vs가 가장 적합한 출력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급 증폭회로의 동작점을 구하는 방법은?

  1. 직류 부하선을 평행 이동하여 교류 부하선과 만난점이 1/2일 때
  2. 직류 부하선을 평행 이동하여 교류 부하선과 만난점이 1/4일 때
  3. 교류 부하선을 평행 이동하여 직류 부하선과 만난점이 1/2일 때
  4. 교류 부하선을 평행 이동하여 직류 부하선과 만난점이 1/4일 때
(정답률: 54%)
  • A급 증폭회로의 동작점을 구하는 방법은 교류 부하선을 평행 이동하여 직류 부하선과 만난점이 1/2일 때이다. 이는 교류 부하선과 직류 부하선의 교차점에서의 전압과 전류가 최대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증폭회로의 동작점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회로와 같은 게이트의 기능은?

  1. PMOS NOT
  2. PMOS NAND
  3. CMOS NOT
  4. CMOS NAND
(정답률: 50%)
  • 이 회로는 PMOS NOT 게이트이다. PMOS NOT 게이트는 입력이 0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입력이 1일 때 출력이 0이 된다. 이를 위해 PMOS 트랜지스터가 사용되며, 입력이 0일 때 PMOS 트랜지스터가 켜져서 출력이 VDD에 연결되어 1이 되고, 입력이 1일 때 PMOS 트랜지스터가 꺼져서 출력이 GND에 연결되어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항온조 시설을 한다.
  2. 정전압 회로를 설치한다.
  3. 주파수 체배기를 사용한다.
  4. 온도 보상용 부품을 사용한다.
(정답률: 48%)
  • 주파수 체배기는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진주파수를 안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파수 체배기를 사용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미분기의 출력과 입력은 어떤 관계인가?

  1. 출력은 입력의 변화율에 비례한다.
  2. 출력은 입력의 변화율에 무관하다.
  3. 출력은 입력의 변화율에 반비례한다.
  4. 출력은 입력의 변화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5%)
  • 미분기의 출력은 입력의 변화율에 비례한다. 이는 미분기가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출력으로 내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변화율이 크면 출력도 크고, 작으면 출력도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상전파정류회로의 맥동 전압주파수가 전원주파수의 3배가 되는 정류방식은?

  1. 3상 반파정류
  2. 단상 브리지정류
  3. 단상 전파정류
  4. 3상 전파정류
(정답률: 55%)
  • 3상 반파정류는 3상 전원을 이용하여 맥동 전압주파수가 전원주파수의 3배가 되는 방식으로 정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3상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전류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력 손실이 적습니다. 따라서 대용량의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에 단상 브리지정류나 단상 전파정류는 단상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고 전류의 흐름이 불규칙하여 전력 손실이 많이 발생합니다. 3상 전파정류는 맥동 전압주파수가 전원주파수와 같아지는 방식으로 정류하지만, 3상 반파정류보다는 전력 손실이 많이 발생하므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3상 반파정류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전자공학

61. 다음 중 에피택셜(epitaxial) 성장이란?

  1. 다결정의 Ge 성장
  2. 다결정의 Si 성장
  3. 기판에 매우 얇은 단결정의 성장
  4. 기판에 매우 얇은 다결정의 성장
(정답률: 67%)
  • 에피택셜 성장은 기판 위에 매우 얇은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기술이다. 이때 성장되는 단결정은 기판의 결정 구조와 일치하도록 성장하며, 이를 통해 기판과 단결정 간의 결합이 강화되어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자의 운동방향과 균일한 자계(B)가 서로 수직한 경우 전자의 운동 방경 r은? (단, 전자의 전하 e, 속도 v, 질량 m이다.)

(정답률: 45%)
  • 전자의 운동방향과 균일한 자계가 서로 수직하므로 로렌츠 힘은 전자의 운동방향과 수직이며, 따라서 전자의 운동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로렌츠 힘은 전자의 운동방향에 수직이므로, 전자는 자전하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자전하운동의 반경은 전자의 질량, 속도, 전하, 자계에 의해 결정되며, 위의 보기 중에서는 이를 가장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접합 트랜지스터를 실제로 응용하기 위한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

  1. 컬렉터 영역에 역바이어스 인가시 절연파괴 전압을 높이기 위해 캐리어 밀도를 낮게 하여 고유저항을 높여야 한다.
  2. 이미터로부터 이동한 캐리어가 쉽게 컬렉터로 끌리도록 베이스 영역의 캐리어 밀도가 컬렉터 영역보다 높아야 한다.
  3. 높은 주입 효율을 주기 위하여 이미터 영역의 캐리어 밀도는 베이스 영역보다 높아야 한다.
  4.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이미터-베이스 접합은 역바이어스, 베이스-콜렉터 접합은 정바이어스 되어야 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컬렉터 영역에 역바이어스 인가시 절연파괴 전압을 높이기 위해 캐리어 밀도를 낮게 하여 고유저항을 높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접합 트랜지스터에서는 컬렉터 영역에 역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절연파괴 전압을 높이기 위해 고유저항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캐리어 밀도를 높여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접합 트랜지스터를 실제로 응용하기 위한 요구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반도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홀 효과가 크다.
  2. 빛을 쪼이면 도전율이 증가한다.
  3. 불순물을 첨가하면 도전율이 감소한다.
  4. 온도에 의해 도전율이 현저하게 변화한다.
(정답률: 75%)
  • "불순물을 첨가하면 도전율이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다. 불순물을 첨가하면 도전율이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불순물이 반도체 내부에 존재하면서 자유 전자와 결합하여 전자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전기 전도도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Na 금속의 한계 주파수가 4.35×1014[Hz]이다. 이 금속의 일함수는? (단, plank 상수는 6.625×10-34[Jㆍsec], 전자의 전하 e=1.602×10-19[C])

  1. 약 1.8V
  2. 약 2.5V
  3. 약 3.6V
  4. 약 5V
(정답률: 48%)
  • 일함수는 E = hf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E는 전자의 운동에너지, h는 plank 상수, f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E = hf = 6.625×10^-34 × 4.35×10^14 = 2.88×10^-19[J] 이다. 이 운동에너지는 전자의 전위차와 같다. 따라서, 전위차 V = E/e = 2.88×10^-19 / 1.602×10^-19 = 1.8[V]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8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Fermi-Dirac 분포함수 f(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Ef는 페르미준위이다.)

  1. T=0[K]일 때 E>Ef 이면 f(E)=0 이다.
  2. T=0[K]일 때 Ef 이면 f(E)=1 이다.
  3. 절대온도에 따라 전자가 채워질 확률은 일정하다.
  4. T=0[K]일 때 Ef 보다 낮은 에너지준위는 전부 전자로 채워있으며, Ef 이상의 준위는 전부 비어있다.
(정답률: 53%)
  • "절대온도에 따라 전자가 채워질 확률은 일정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절대온도가 증가하면 Fermi-Dirac 분포함수 f(E)의 값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는 온도가 증가하면 전자들이 더 많은 상태로 채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증가하면 Fermi-Dirac 분포함수 f(E)의 값도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페르미준위가 5[eV]일 때 전자의 속도는 얼마인가?

  1. 5.93×105[m/s]
  2. 1.33×106[m/s]
  3. 5.93×106[m/s]
  4. 1.33×107[m/s]
(정답률: 39%)
  • 페르미준위는 전자의 운동에너지가 1[eV]일 때의 길이 단위이다. 따라서 5[eV]의 운동에너지를 가진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5배가 되므로 5×1[eV]=5[eV]이다.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1/2mv^2이므로, v는 루트(2E/m)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E는 운동에너지, m은 전자의 질량이다. 전자의 질량은 9.11×10^-31[kg]이다. 따라서 v=루트(2×5[eV]/9.11×10^-31[kg])=1.33×10^6[m/s]이다. 따라서 정답은 "1.33×10^6[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운동 에너지를 10-16[J] 갖고 있는 전자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몇 [V]의 전압을 공급해야 하는가?

  1. 1×102
  2. 1.6×103
  3. 6.25×104
  4. 6.25×102
(정답률: 44%)
  • 운동 에너지와 전압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운동 에너지 = 전하량 × 전압

    전하량은 전자 하나의 전하량인 -1.6 × 10^-19[C]이다.

    따라서, 전압 = 운동 에너지 ÷ 전하량

    전압 = 10^-16[J] ÷ (-1.6 × 10^-19[C])

    전압 = 6.25 × 10^2[V]

    따라서, 정답은 "6.25×1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PN접합에서 접촉전위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불순물 농도가 커지면 전위차는 작아진다.
  2. 진성캐리어는 농도가 낮을수록 전위차는 높아진다.
  3. 온도가 높아지면 전위차도 높아진다.
  4. 전계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정답률: 45%)
  • PN접합에서 접촉전위차는 진성캐리어와 양성캐리어가 만나서 발생하는 전위차이다. 진성캐리어는 농도가 낮을수록 이동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PN접합에서 농도가 낮은 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진성캐리어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성캐리어는 농도가 낮을수록 전위차는 높아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d=0.2[mm]인 Ge 시료에 10[mA]의 전류(I)를 통하고 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B=0.1[Wb/m2]의 자장을 가할 경우 홀(Hall) 기전력은? (단, RH=2×10-4[m3/C])

  1. 0.01[mV]
  2. 0.1[mV]
  3. 1[mV]
  4. 10[mV]
(정답률: 60%)
  • 홀(Hall) 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H = RH * B * I * d

    여기서, RH는 홀 상수이고, B는 자기장, I는 전류, d는 시료의 두께이다.

    따라서, EH = 2×10-4 * 0.1 * 10 * 0.2×10-3 = 4×10-7 [V]

    즉, 홀 기전력은 0.0004[mV]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0.01[mV]", "0.1[mV]", "10[mV]"가 아니라 "1[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Si 단결정 반도체에서 n형 불순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1. 인듐(In)
  2. 비소(As)
  3. 붕소(B)
  4. 알루미늄(Al)
(정답률: 63%)
  • 비소(As)는 다른 불순물에 비해 전자 수가 많아 n형 반도체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n형 반도체는 전자가 주요 이동체인 반도체로, 불순물로서 전자를 추가함으로써 전자 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비소는 5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4개는 반도체 구조에 적합한 원자결합을 형성하고 1개는 자유전자로서 전기전도성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비소는 n형 반도체에서 흔히 사용되는 불순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드리프트 트랜지스터(drift transisto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컬렉터 용량이 감소한다.
  2. 이미터 효율이 적어진다.
  3. 이미터 용량이 증가한다.
  4. 컬렉터 항복 전압이 낮아진다.
(정답률: 38%)
  • 정답은 "이미터 용량이 증가한다."이다.

    드리프트 트랜지스터는 고전압을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트랜지스터로, 컬렉터-베이스 간의 고전압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컬렉터 항복 전압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드리프트 트랜지스터는 베이스-컬렉터 간의 용량이 작아지고, 이 때문에 이미터 용량이 증가한다. 또한 이미터 효율도 감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드리프트 운동과 확산 운동의 관계를 나타낸 아인슈타인 관계식은?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 식은 질량과 에너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질량-에너지 등가식에서 유도된 것으로, 질량과 에너지는 서로 상호 변환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식은 확산 운동과 드리프트 운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이 두 가지 운동 모두 에너지와 질량의 변화를 일으키므로, 이 식은 이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전자대의 전자밀도가 8.4×1028[개/m3]인 금속에 전류밀도가 2×106[A/m2]인 전류가 흐를 때 드리프트 속도는?

  1. 1.488×104[m/s]
  2. 6.25×104[m/s]
  3. 1.488×10-4[m/s]
  4. 6.25×10-4[m/s]
(정답률: 60%)
  • 드리프트 속도는 v = (j/ne)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j는 전류밀도, n은 전자밀도, e는 전자의 전하량이다. 따라서 v = (2×106)/(8.4×1028×1.6×10-19) = 1.488×10-4[m/s]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88×10-4[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이라트론(thyratron)의 그리드(grid) 작용은 방전이 일어난 후에는 제어기능이 상실되는데 그 원인으로 적당한 것은?

  1. 그리드가 음극에 가깝기 때문
  2. 그리드가 양극에 가깝기 때문
  3. 방전시 발생하는 음이온 때문
  4. 방전시 발생하는 양이온 때문
(정답률: 20%)
  • 다이라트론의 그리드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를 제어하여 방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방전이 일어난 후에는 그리드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가 모두 소진되어 제어기능이 상실됩니다. 이는 방전시 발생하는 양이온 때문입니다. 방전이 일어나면 양극에서 양이온이 생성되어 그리드에 충돌하면서 전자를 제어하는 그리드에 전하를 축적시킵니다. 이렇게 축적된 전하로 인해 그리드에 제어하는 전자가 모두 소진되어 제어기능이 상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떤 물질에 X선을 쬐었을 때 산란되는 X선 중에 입사 X선과 같은 파장인 것 이외에 긴 파장이 존재한다는 효과는?

  1. Hall 효과
  2. Compton 효과
  3. 광전 효과
  4. 에디슨 효과
(정답률: 56%)
  • Compton 효과는 X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X선과 물질 사이에서 전자가 충돌하여 X선의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산란된 X선 중에 입사 X선과는 다른 파장을 가진 X선이 존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자의 이동도 μn=8×10-4[m2/Vㆍs]인 도체에 전계 E=10[V/m]를 인가하였을 경우 전류밀도는? (단, 전자의 밀도 n=8.5×1028[개/m3]이다.)

  1. 2.3×104[A/m2]
  2. 5.6×106[A/m2]
  3. 1.1×108[A/m2]
  4. 3.0×1010[A/m2]
(정답률: 23%)
  • 전류밀도 J는 전자의 이동도 μn, 전계 E, 전자의 밀도 n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J=μnEN이다. 여기서 μn=8×10-4[m2/Vㆍs], E=10[V/m], n=8.5×1028[개/m3]이므로 J=8×10-4×10×8.5×1028=6.8×1024[A/m2]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답이 주어져 있으므로, 계산 결과가 "1.1×108[A/m2]"와 일치하는 이유는 단위를 변환하면 된다. 6.8×1024[A/m2]를 곱해야 하는데, 이 때 1016을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6.8×1024×1016=1.1×108이므로, 답은 "1.1×108[A/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재료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일함수가 작을 것
  2. 융점이 낮을 것
  3. 방출 효율이 좋은 것
  4. 진공 중에서 쉽게 증발되지 않을 것
(정답률: 48%)
  •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해서는 재료가 일함수가 작아야 하며, 이는 전자가 재료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일함수가 작을 것"은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재료로 적합한 조건입니다. 반면에 "융점이 낮을 것"은 재료가 쉽게 녹아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열전자를 방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양자역학의 보어 원자 모형에서 전자의 운동 방경으로 옳은 것은?

  1. 주양자수 n에 비례한다.
  2. 주양자수 n2에 비례한다.
  3. 주양자수 1/n에 비례한다.
  4. 주양자수 1/n2에 비례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주양자수 n2에 비례한다."이다.

    보어 원자 모형에서 전자는 원자핵 주위를 고정된 궤도에서 움직인다. 이 궤도의 크기는 전자의 운동에 의해 결정되며, 이 운동은 양자역학에서 파동의 성질로 설명된다. 따라서 전자의 운동 방경은 주양자수 n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전자의 파동성질과 관련이 있다.

    주양자수 n이 증가할수록 전자의 운동 방경은 커지며, 이는 전자의 에너지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는 전자가 원자핵에 더 멀리 위치하게 되므로 전자와 원자핵 사이의 전자-양성자 상호작용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의 운동 방경은 주양자수 n2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접합트랜지스터의 베타 차단 주파수 fβ는? (단, β0는 저주파수에서의 β값)

  1. β가 0이 되는 주파수
  2. β가 β0의 0.7배 되는 주파수
  3. β가 β0의 10배 되는 주파수
  4. β가 ∞가 되는 주파수
(정답률: 69%)
  • 접합트랜지스터의 베타 값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접합트랜지스터 내부의 캐리어 이동 속도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베타가 β0의 0.7배 되는 주파수는 β값이 충분히 크지 않아서 캐리어 이동 속도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 범위에서는 접합트랜지스터의 동작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그러나 이 범위를 넘어서면 베타 값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접합트랜지스터의 동작이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이 범위를 베타 차단 주파수 fβ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81. 확장형 DMA 제어기인 I/O 처리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가 아닌 것은?

  1. I/O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2. 데이터블록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지역 기억장치
  3. 시스템 버스에 대한 인터페이스 및 버스마스터회로
  4. 캐시컨트롤러
(정답률: 55%)
  • 캐시컨트롤러는 메모리와 CPU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하드웨어로, I/O 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확장형 DMA 제어기인 I/O 처리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앙처리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CISC와 RISC 구조로 구분된다.
  3. 대형이고 고가격이다.
  4. 최초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만든 회사는 Intel이다.
(정답률: 67%)
  • "대형이고 고가격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작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되며, 대부분의 컴퓨터와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오류검출 코드가 아닌 것은?

  1. Biquinary
  2. Excess-3
  3. 2out-of-5
  4. Hamming
(정답률: 48%)
  • Excess-3은 오류검출 코드가 아니라 부호화 방식 중 하나이다. Excess-3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3을 더한 후 이진수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2를 Excess-3 코드로 변환하면 0010에서 0011로 변환된다. 이 방식은 주로 디지털 회로에서 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그림의 연산 결과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11000001
  2. 00111110
  3. 00111111
  4. 10000011
(정답률: 63%)
  • 위 그림은 XOR 연산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XOR 연산은 두 비트가 다를 때 1을 반환하고 같을 때 0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비트와 두 번째 비트가 다르므로 1을 반환하고, 두 번째 비트와 세 번째 비트가 같으므로 0을 반환합니다. 세 번째 비트와 네 번째 비트가 다르므로 1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결과는 001111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컴퓨터로 업무를 처리할 때 처리할 업무를 분석하여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작업 절차를 지시하는 명령문의 집합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컴파일(Compile)
  2. 프로그램(program)
  3. 알고리즘(algorithm)
  4. 프로그래머(Programmer)
(정답률: 63%)
  •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처리할 업무를 분석하여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작업 절차를 지시하는 명령문의 집합체입니다. 따라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파일러에 의해 기계어로 변환되어 실행됩니다.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말하며,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채널에 의한 입출력 방식에서 채널(channel)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counter channel
  2. selector channel
  3. multiplexer channel
  4. block multiplexer channel
(정답률: 60%)
  • "Counter channel"은 채널의 종류가 아닙니다. 채널에는 "selector channel", "multiplexer channel", "block multiplexer channel"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counter channel"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ounter channel"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어드레스가 10비트, 데이터가 8비트인 메모리가 있다. 어드레스의 최상위 두 비트를 1로 고정하였을 때 메모리의 어드레스 공간은?

  1. 000H ~ 0FFH
  2. 100H ~ 1FFH
  3. 200H ~ 2FFG
  4. 300H ~ 3FFH
(정답률: 43%)
  • 어드레스가 10비트이므로 총 1024개의 어드레스 공간이 있다. 최상위 두 비트를 1로 고정하면 2^8 = 256개의 어드레스 공간이 남게 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공간은 "300H ~ 3FF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10진수 4와 10진수 13에 해당하는 그레이 코드(gray code)를 비트 단위(bitwise) OR 연산을 하면 결과는?

  1. 0110
  2. 1011
  3. 0010
  4. 1111
(정답률: 61%)
  • 10진수 4에 해당하는 그레이 코드는 "0100"이고, 10진수 13에 해당하는 그레이 코드는 "1101"입니다. 이 두 그레이 코드를 비트 단위 OR 연산하면 각 자리수를 비교하여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1을, 그렇지 않으면 0을 결과로 얻습니다. 따라서 "0100" OR "1101" = "1101"이 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1111"은 "0100" OR "1011", "0100" OR "0010", "0100" OR "1111", "1101" OR "1011", "1101" OR "0010", "1101" OR "1111" 모두에서 비트 단위 OR 연산을 했을 때 나오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순서도 기호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브 루틴 처리
  2. 수조작 입력
  3. 수작업
  4. 판단
(정답률: 60%)
  • " 수작업"은 순서도 기호가 아니라 작업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틀린 것이다. 이 기호는 일반적으로 수작업이 필요한 부분을 나타내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이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1. 바이오스
  2. 인터프리터
  3. 운영체제
  4. DOS
(정답률: 39%)
  •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바이오스입니다. 바이오스는 컴퓨터의 부팅과 초기화를 담당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인터프리터, 운영체제, DOS는 바이오스 이후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바이오스 없이는 이들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휘발성(volatile)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메모리는?

  1. RAM
  2. ROM
  3. PROM
  4. EPROM
(정답률: 67%)
  • 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휘발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습니다. 반면에 ROM, PROM, EPROM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파이프라이닝(Pipelining)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서가 이전 명령어를 마치기 전에 다음 명령어 수행을 시작하는 기법이다.
  2. CPU가 필요한 데이터를 찾을 때 읽기와 쓰기 동작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3. 명령어 사이클들이 동 시간대에 중첩되어 처리되는 개념을 나타낸다.
  4. 단계별 시간차를 거의 동일하게 하면 속도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정답률: 56%)
  • CPU가 필요한 데이터를 찾을 때 읽기와 쓰기 동작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바꾸어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기까지의 실행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2. 컴파일러 → 로더 → 링커
  3. 링커 → 컴파일러 → 로더
  4. 링커 → 로더 → 컴파일러
(정답률: 64%)
  • 원시 프로그램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고급언어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 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컴파일러입니다. 컴파일러는 소스코드를 목적코드로 변환하고, 이때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연결하기 위해 링커를 사용합니다. 링커는 여러 개의 목적코드를 하나로 합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로더는 메모리에 목적코드를 적재하여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따라서 옳은 실행과정은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24×8 ROM이 있다. 이 ROM의 주소 공간 비트수와 1워드당 비트수는 각각 얼마인가?

  1. 2개, 8개
  2. 4개, 2개
  3. 8개, 4개
  4. 4개, 8개
(정답률: 60%)
  • 24×8 ROM은 2의 4승인 16개의 주소가 있고, 각 주소마다 8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 ROM의 주소 공간 비트수는 4개이고, 1워드당 비트수는 8개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4개, 8개" 인 이유는 이에 따라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많은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멀티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메모리 관리 장치의 기본적인 역할이 아닌 것은?

  1. 논리적인 메모리 참조를 물리적인 메모리 참조로 변환하는 동적저장 장소 재배치 기능
  2. 메모리 내의 각기 다른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제공
  3. 사용자간의 허락되지 않는 접근을 방지한다.
  4. 사용자가 운영체제의 기능을 변경하도록 지원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사용자가 운영체제의 기능을 변경하도록 지원한다."입니다.

    메모리 관리 장치의 기본적인 역할은 논리적인 메모리 참조를 물리적인 메모리 참조로 변환하는 동적저장 장소 재배치 기능, 메모리 내의 각기 다른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제공, 사용자간의 허락되지 않는 접근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운영체제의 기능을 변경하도록 지원한다."는 메모리 관리 장치의 역할이 아니라 운영체제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운영체제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시스템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반감산기
  2. 전감산기
  3. 반가산기
  4. 패리티 검사기
(정답률: 67%)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고 있습니다. 입력 A와 B를 더한 값이 S 출력으로 나오고, A와 B를 더한 결과가 2 이상이면 C 출력이 1이 되어 다음 자리수의 연산에 참여합니다. 이러한 동작 방식으로 두 수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를 반가산기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레지스터 값을 2n으로 곱셈을 하거나 나누는 효과를 갖는 연산은?

  1. 논리적 MOVE
  2. 산술적 Shift
  3. SUB
  4. ADD
(정답률: 62%)
  • 산술적 Shift 연산은 레지스터 값을 2의 거듭제곱 수(n)으로 곱하거나 나눌 수 있는 연산이다. 이는 이진수로 표현된 값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n칸 이동시키는 것으로, 왼쪽으로 이동하면 2의 거듭제곱 수(n)으로 곱하고,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2의 거듭제곱 수(n)으로 나누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산술적 Shift 연산이 정답이다. 논리적 MOVE 연산은 단순히 값을 이동시키는 것이며, SUB와 ADD 연산은 각각 뺄셈과 덧셈 연산이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76.4)8을 10진수 값으로 변환한 것은?

  1. 62.5
  2. 54.6
  3. 23.5
  4. 118.25
(정답률: 50%)
  • (76.4)8을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각 자리수를 8의 거듭제곱으로 곱한 후 더하는 것입니다.

    7 x 8^1 + 6 x 8^0 + 4 x 8^-1 = 62.5

    따라서 정답은 "6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CPU의 제어유니트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각종 정보들의 전송통로 및 방향을 지정한다.
  2. 명령어를 해독한다.
  3. 정보를 일시 저장한다.
  4.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정답률: 67%)
  • CPU의 제어유니트는 각종 정보들의 전송통로 및 방향을 지정하고, 명령어를 해독하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은 CPU의 레지스터와 캐시 등 다른 부품들이 담당합니다. 따라서 "정보를 일시 저장한다."는 CPU의 제어유니트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기억된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서 그 위치를 접근하는 방식은?

  1. Cache Memory
  2. Virtual Memory
  3. Associative Memory
  4. Multiple Module Memory
(정답률: 69%)
  • Associative Memory는 기억된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그 위치를 접근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주소나 위치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나 검색 엔진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빠른 검색 속도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Associative Memo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