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건설안전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Edword Adams의 이론은 Bird's 이론에 어떤 개념을 도입하였는가?

  1. 예방의 개념
  2. 대책선정의 개념
  3. 손실제어의 개념
  4. 관리잘못의 개념
(정답률: 32%)
  • Edword Adams의 이론은 Bird's 이론에 "관리잘못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는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대부분은 관리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리자들이 적극적으로 문제를 예방하고 대책을 선정하며, 손실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세 가지의 기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고 경영자의 경영자세
  2. 직장 자주 활동의 활발화
  3. 라인 관리자에 의한 안전보건 추진
  4. 직장 상⋅하간의 체계확립 및 명령이행
(정답률: 70%)
  • "직장 상⋅하간의 체계확립 및 명령이행"은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세 가지의 기둥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것은 조직 내부의 체계와 절차를 강화하는 것으로,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Herzberg가 말한 동기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일의 내용
  2. 복지제도
  3. 관리내용
  4. 급료
(정답률: 39%)
  • Herzberg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론을 제시했다. 동기요인은 일의 내용, 성취감, 자기개발 등과 같이 직무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의 내용"이 Herzberg가 말한 동기요인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맥그리거(Mcgregor)의 인간해석 중 Y이론의 관리처방은?

  1. 조직구조의 고층성
  2.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3.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4.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정답률: 39%)
  • 맥그리거의 인간해석 중 Y이론은 직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일을 수행하며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조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관리자는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을 통해 직원들에게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고, 자율성을 존중해야 합니다. 이는 조직구조의 고층성과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을 방지하며,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와 함께 직원들의 참여와 역량 개발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안전관리 조직 중 가장 이상적인 조직 형태는?

  1. 직계형 조직
  2. 직능전문화 조직
  3. 라인스태프형 조직
  4. 테스크포스(task-force) 조직
(정답률: 85%)
  • 가장 이상적인 안전관리 조직 형태는 라인스태프형 조직입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 안전관리 업무를 전담하는 안전관리 스태프를 두고, 이들이 조직의 모든 부서와 함께 일하며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형태입니다. 이는 안전관리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조직 전체적으로 안전성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안전관리 업무가 조직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흐르기 때문에,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조직의 일상적인 업무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휘광이란 눈부심을 말하는 것으로 성가신 느낌, 시성능저하 등을 초래한다.
  2. 피로는 정신적 피로와 육체적 피로로 구분되며, 피로감은 육체적 요인에 의한 주관적 요소이다.
  3. 열압박이란 열에 의한 신체가 받는 압박으로 체감온도가 40℃만 되면 열압박으로 인해 기진하게 된다.
  4. 광속발산도는 광원으로부터 1foot 떨어진 곡면에서 발산하는 빛의 양이다.
(정답률: 48%)
  • "휘광이란 눈부심을 말하는 것으로 성가신 느낌, 시성능저하 등을 초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안전교육의 기본과정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청취한다 → 이해 납득시킨다 → 모범을 보인다 → 평가한다
  2. 이해 납득한다 → 들어본다 → 시범을 보인다 → 평가한다
  3. 청취한다 → 모범을 보인다 → 이해 납득시킨다 → 평가한다
  4. 모범을 보인다 → 이해 납득시킨다 → 들어본다 → 평가한다
(정답률: 58%)
  • 안전교육의 기본과정은 먼저 청취하여 정보를 받고, 그 정보를 이해하고 납득시킨 후, 모범을 보여주며 실제로 시범을 보여주고, 마지막으로 평가하여 학습의 성과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청취한다 → 이해 납득시킨다 → 모범을 보인다 → 평가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교육 4단계 중 적용에 해당되는 설명은?

  1. 내용을 확실하게 이해시키고 납득시키는 단계
  2.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심신의 여유를 주는 단계
  3. 과제를 주어 문제해결을 시키거나 습득시키는 단계
  4. 연수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였는가를 테스트하는 단계
(정답률: 53%)
  • 교육 4단계 중 적용에 해당하는 설명은 "과제를 주어 문제해결을 시키거나 습득시키는 단계"입니다. 이는 학습자가 이전 단계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단계입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실제 상황에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더십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관계가 먼 것은?

  1. 지도자
  2. 추종자(follower)
  3. 설득력
  4. 상황(situation)
(정답률: 22%)
  • 설득력은 리더십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리더는 추종자들을 이끄는데 있어서 설득력이 필요하다. 설득력이 높은 리더는 자신의 아이디어나 목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추종자들의 동의와 협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리더십에서 설득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으로 교육이란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간의 행동이 의미하는 것은?

  1. 신념과 태도
  2. 외현적 행동만 포함
  3. 내현적 행동만 포함
  4. 내현적, 외현적행동 모두 포함
(정답률: 43%)
  • 인간의 행동은 내적인 생각, 신념, 태도와 외적인 행동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육도 내적인 신념과 태도를 바꾸는 것과 함께 외적인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답은 "내현적, 외현적행동 모두 포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행동의 변화가 가장 어려운 경우는?

  1. 지식변화
  2. 집단행동변화
  3. 태도변화
  4. 개인행동변화
(정답률: 69%)
  • 집단행동변화가 가장 어려운 이유는 개인의 행동이 집단의 문화와 관습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집단 내에서 행동을 바꾸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협력해야 하며, 이는 개인적인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집단 내에서 행동을 바꾸는 것은 집단의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업 내 정형교육 가운데 TWI의 교육내용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작업지도 기법(JIT)
  2. 작업개선 방법(JMT)
  3. 부하직원 통솔기법(JRT)
  4. 작업환경 개선기법(JET)
(정답률: 19%)
  • TWI(Technical Training within Industry)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작업자 교육, 작업지도 기법(JIT), 작업개선 방법(JMT), 부하직원 통솔기법(JRT)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작업환경 개선기법(JET)은 TWI의 교육내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JET는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론으로, TWI와는 다른 분야의 개선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000명의 근로자가 상시 근무하는 A 기업에서 질병⋅그 밖에 사유로 인하여 5%의 결근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회사에서 연간 6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이 기업체의 도수율은? (단, 근로자가 1주일에 48시간, 연간 50주를 근로함)

  1. 25
  2. 26.32
  3. 50
  4. 51
(정답률: 70%)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건의 수를 해당 기간 동안 일정한 인원수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연간 60건의 재해가 발생하고, 상시 근무하는 근로자는 1000명이므로,

    도수율 = (60 / (1000 x 48 x 50 x 0.95)) x 100 = 26.32

    결근율인 5%를 고려하여 근로자 수를 조정하고, 1주일에 근로하는 시간과 연간 근로주 수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안전표지의 종류 중에 직접 위험한 것 및 장소 또는 상태에 대한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금지표지
  2. 경고표지
  3. 지시표지
  4. 안내표지
(정답률: 67%)
  • 경고표지는 위험한 것 및 장소 또는 상태에 대한 경고를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위험을 알리는 표지로서, 이 보기 중에서 경고표지가 정답입니다. 금지표지는 특정 행동이 금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표지, 지시표지는 특정 행동이나 방향을 지시하는 표지, 안내표지는 특정 장소나 시설의 위치나 정보를 안내하는 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평균 근로자 수가 1500명인 어떤 사업장의 도수율이 12.5 이고 강도율이 8.5 이었을 때 이 사업장의 근로손실일수는 얼마인가? (단, 연간 1인 근로시간수는 2400시간이다.)

  1. 30600
  2. 3060
  3. 30.6
  4. 306
(정답률: 24%)
  • 근로손실일수 = 평균 근로자 수 x 도수율 x 강도율 x 2400 / 10000
    = 1500 x 12.5 x 8.5 x 2400 / 10000
    = 30600

    따라서 정답은 "306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버드대학에서 개발된 교육기법으로 고도의 판단력을 양성할 수 있는 특색을 갖는 것은?

  1. 역할연기
  2. 시청각 교육
  3. 비지니스 게임
  4. 사례연구
(정답률: 44%)
  • 사례연구는 실제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나 상황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의 판단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이론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례연구는 고도의 판단력을 양성할 수 있는 특색을 갖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재해발생의 심리학적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병리적 요인(pathological factors)
  2. 신체적 요인(physical factors)
  3. 생물학적 요인(biological factors)
  4. 사회심리적 요인(social psychological factors)
(정답률: 40%)
  • 생물학적 요인은 개인의 생리적 특성이나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요인으로, 산업재해 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물학적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사고의 본질적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사고의 공간성
  2. 우연성 중의 법칙성
  3. 필연성 중의 우연성
  4. 사고의 재현 불가능성
(정답률: 47%)
  • 잘못 설명된 것은 "사고의 공간성"입니다. 사고의 공간성은 사고가 발생한 장소와 그 주변 환경, 그리고 그 장소와 관련된 인적, 물적 요소들이 사고의 발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고의 공간성은 사고의 본질적 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적⋅확인』이 불안전 행동 방지에 효과가 있는 이유로 맞지 않는 것은?

  1. 의식의 강화효과
  2. 인지(cognition)확률의 향상
  3. 자신과 대상의 결합도 증대
  4. 긴장된 의식을 이완시켜 줌
(정답률: 54%)
  • "긴장된 의식을 이완시켜 줌"은 지적⋅확인이 불안전 행동 방지에 효과가 있는 이유로 맞는 것입니다. 이는 지적⋅확인이 상황을 더 명확하게 인식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높여주며, 이에 따라 긴장된 상태를 이완시켜 안전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학습 방법 가운데 분습법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간의 노력이 적다.
  2. 길고 복잡한 학습에 알맞다.
  3. 어린이는 분습법을 좋아한다.
  4. 주의의 범위가 적어서 적당하다.
(정답률: 43%)
  • 정답: "어린이는 분습법을 좋아한다."

    분습법은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기억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어린이들은 반복적인 학습을 좋아하고 이를 통해 쉽게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분습법을 좋아한다. 따라서, 분습법의 장점 중 어린이들이 좋아한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감시체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지침으로 틀린 것은?

  1. 시신호는 합리적으로 가능한 한 커야한다. (크기, 강도 및 지속시간을 포함)
  2. 시신호는 보이거나 탐지될 때 까지 지속되거나 합리적으로 가능한 한 오래 지속되어야 한다.
  3. 시신호의 경우 신호가 나타날 수 있는 구역이 가능한한 넓어야 한다.
  4. 통상 실제신호 빈도를 통제하기는 힘들지만 가능하다면 시간당 최소 20회의 신호빈도를 유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30%)
  • "시신호의 경우 신호가 나타날 수 있는 구역이 가능한한 넓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시신호가 너무 넓은 구역에서 발생하면 감시자가 신호의 발생원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구역을 중심으로 감시체계를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떤 장치의 이상을 알려주는 경보기가 있어서 그것이 울리면 일정시간 이내에 장치를 정지하고 상태를 점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게 된다. 그런데 담당 작업자가 정지조작을 잘못하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다. 이때 작업자가 조작을 잘못한 실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primary error
  2. secondary error
  3. command error
  4. omission error
(정답률: 50%)
  • 정답은 "command error"가 아니라 "primary error"이다.

    "Primary error"는 작업자가 처음부터 잘못된 조작을 한 경우를 말한다. 즉, 경보기가 울리기 전에 이미 잘못된 조작을 했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한 것이다.

    "Command error"는 명령어를 잘못 입력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말한다.

    "Secondary error"는 기본적인 오류가 아니라, 그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오류를 말한다.

    "Omission error"는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작업자가 처음부터 잘못된 조작을 한 것이므로 "primary error"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시스템의 구상단계에서 이루어진 결정 사항에 따라서 정해진 최적 시스템에 대하여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고를 광범위하게 최초로 정의하는 위험 분석은?

  1. 예비위험 분석
  2. 디시젼트리 분석
  3. 운용 안전성 분석
  4. 고장의 형과 영향 분석
(정답률: 50%)
  • 예비위험 분석은 시스템의 구상단계에서 이루어진 결정 사항에 따라서 발생될 수 있는 광범위한 사고를 최초로 정의하는 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시스템이 구현되기 전에 예상되는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디시젼트리 분석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용되는 분석 방법이며, 운용 안전성 분석은 시스템이 운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고장의 형과 영향 분석은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했을 때 그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예비위험 분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스템 안전분석에 이용되는 FMEA의 기법 중 장점에 해당되는 것은?

  1. 서식이 간단하다.
  2. 논리성이 다양하다.
  3. 요소가 물체로 한정되어 있다.
  4. 각 요소간 분석이 용이하다.
(정답률: 20%)
  • FMEA의 기법 중 서식이 간단하다는 것은, 분석을 위한 양식이 간단하고 직관적이어서 사용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분석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계설비의 본질 안전화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검토하여야 할 사항은?

  1. 재료, 제품, 공구 등을 놓아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것
  2. 작업자측에 실수나 잘못이 있어도 기계설비측에서 이를 배제하여 안전을 확보할 것
  3. 안전한 통로를 설정하고, 또한 작업장소와 통로는 명확히 구분 할 것
  4. 작업의 흐름에 따라 기계설비를 배치시켜 필요 없는 운반작업을 극력 배제할 것
(정답률: 42%)
  • 기계설비의 본질 안전화를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실수나 잘못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계설비측에서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기계설비의 설계나 구성 요소들을 안전하게 설계하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실수나 잘못으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4m 거리에서 조도가 60lux이라면 2m에서는 조도가 얼마인가?

  1. 150 lux
  2. 240 lux
  3. 320 lux
  4. 480 lux
(정답률: 60%)
  • 조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거리가 2배 멀어지면 4배 감소한다. 따라서 4m에서 60lux였다면 2m에서는 240lux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0 lu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스템 안전 달성을 위한 시스템 안전 설계 단계 중 위험상태의 최소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경보장치
  2. 페일세이프
  3. 안전장치
  4. 특수수단 강구
(정답률: 50%)
  • 위험상태의 최소화 단계는 "페일세이프"이다. 이는 시스템이 예기치 않은 상황에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시스템이 실패하더라도 인명이나 재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페일세이프는 시스템 안전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크기를 이용한 조종장치의 크기차이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는 직경과 두께에 해당하는 것은?

  1. 직경 : 1.3cm, 두께 : 0.95cm
  2. 직경 : 1.3cm, 두께 : 1.95cm
  3. 직경 : 13cm, 두께 : 0.95cm
  4. 직경 : 13cm, 두께 : 1.95cm
(정답률: 50%)
  • 크기를 구별하는 것은 직경과 두께의 차이에 따라 가능합니다. 따라서, 직경이 작고 두께가 얇은 "직경 : 1.3cm, 두께 : 0.95cm"가 크기를 구별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직경이 크거나 두께가 두꺼워서 크기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높은 소음으로 생긴 생리적 변화가 아닌 것은?

  1. 근육이완
  2. 혈압상승
  3. 동공팽창
  4. 심장박동수 증가
(정답률: 72%)
  • 높은 소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적 변화 중 근육이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높은 소음은 혈압상승, 동공팽창, 심장박동수 증가 등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지만, 근육이완은 소음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근육이완은 주로 마사지나 요가 등의 몸을 편안하게 만드는 운동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어느 부품 15000개를 1만시간 가동중에 15개의 불량품이 발생하였다. 평균 고장시간(MTBF)은?

  1. 1 × 106 시간
  2. 2 × 106 시간
  3. 1 × 107 시간
  4. 2 × 107 시간
(정답률: 43%)
  • MTBF는 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약자로, 한글로는 고장간격 평균이라고 한다. 즉, 부품이 한 번 고장난 후 다음 고장이 발생하기까지 평균적으로 얼마나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15000개의 부품이 1만시간 동안 가동되었고, 15개의 불량품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를 이용하여 MTBF를 구해보자.

    MTBF = (가동시간 - 불량품 발생 시간) / 불량품 수

    = (1만시간 - 15개의 불량품 발생 시간) / 15개의 불량품 수

    = (1만시간 - 15 x 1시간) / 15

    = 9999 / 15

    = 666.6 시간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 × 107 시간"인 이유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지수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6.666 x 102 시간이 된다. 이를 1500으로 나누면 1 x 105 시간이 되는데, 이는 MTBF를 나타내는 단위인 시간으로 변환하면 1 x 107 시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 × 107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Fail-safe의 원리가 아닌 것은?

  1. 다경로하중 구조
  2. 시건 구조
  3. 교대 구조
  4. 하중 경감구조
(정답률: 15%)
  • Fail-safe의 원리는 시스템이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시건 구조는 Fail-safe의 원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시건 구조는 비행기나 우주선 등에서 사용되는 구조로, 하나의 시스템이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작업대가 부적절하게 높은 경우 취해지는 자세와 거리가 먼 것은?

  1. 가슴이 압박 받음
  2. 겨드랑이를 벌린 상태
  3. 앞가슴을 위로 올리는 경향
  4. 머리를 들고 가슴, 어깨를 일으키는 자세
(정답률: 42%)
  • 작업대가 부적절하게 높으면 작업자는 앉은 상태에서도 팔이 너무 높게 올라가게 되어 겨드랑이를 벌리게 됩니다. 이는 가슴을 압박하게 되어 가슴이 압박 받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슴이 압박 받음"이 정답입니다. 머리를 들고 가슴, 어깨를 일으키는 자세와 앞가슴을 위로 올리는 경향은 작업대가 너무 낮은 경우에 취해지는 자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시스템의 신뢰도는?(단, 두 부품의 고장은 독립이라고 가정한다.)

  1. 0.765
  2. 0.865
  3. 0.875
  4. 0.992
(정답률: 85%)
  • 시스템의 신뢰도는 모든 부품이 동시에 작동할 확률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신뢰도 = (부품 A가 작동하고 부품 B가 작동할 확률) + (부품 A가 작동하지 않고 부품 B가 작동할 확률) + (부품 A가 작동하고 부품 B가 작동하지 않을 확률)

    = (0.9 x 0.9) + (0.1 x 0.8) + (0.9 x 0.2)

    = 0.81 + 0.08 + 0.18

    = 0.765

    따라서, 이 시스템의 신뢰도는 0.7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간의 과오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해석방법은?

  1. THERP
  2. MORT
  3. CA
  4. Decision Tree
(정답률: 84%)
  • THERP는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의 약자로, 인간의 과오를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THERP는 인간의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파악하고, 각 오류의 발생 가능성과 심각도를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인간의 과오 확률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THERP는 인간의 과오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에 유용한 방법론입니다. MORT, CA, Decision Tree도 인간의 과오를 평가하는 방법론 중 하나이지만, THERP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에 있는 조종구(ball control)와 같이 상당한 회전운동을 하는 조종장치가 선형표시장치를 움직일 때는 L을 반경(지레의 길이), a를 조정장치가 움직인 각도라 할 때 조종표시 장치의 이동비율(control display ratio)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58%)
  • 조종구(ball control)가 회전운동을 할 때, 선형표시장치를 움직이는 것은 지레의 길이(L)이다. 이때, 조정장치가 움직인 각도를 a라고 하면, 선형표시장치의 이동거리는 L × a가 된다. 따라서, 조종표시장치의 이동비율은 선형표시장치의 이동거리를 조정장치가 움직인 각도로 나눈 값이 된다. 즉, 이동비율은 L × a / a = L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표시장치의 신호체계 설계의 지침 중 부호의 양립성(compatibility)을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

  1. 암호표시는 감지가 쉬워야 한다.
  2. 암호표시는 감지와 변별이 잘 되어야 한다.
  3. 암호표시는 다른 자극과 구별이 용이해야 한다.
  4. 암호표시는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46%)
  • 암호표시는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워야 하며, 사용자의 기대와 일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못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호표시는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작업을 하는 자세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작업의 자세를 결정하는 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작업의 정밀도
  2. 작업의 중요성
  3. 작업 기술과 작업자의 능률
  4. 작업자와 작업점의 거리 및 높이
(정답률: 43%)
  • 작업의 중요성은 작업을 수행하는 목적과 그 결과물에 대한 중요성을 나타내며, 작업의 자세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다. 작업의 중요성에 따라 작업자는 더욱 정밀하고 신중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직결된다. 따라서 작업의 중요성은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신뢰도 구조상으로 직렬인 것은?

  1. 요원중복
  2. 자동차의 네 바퀴
  3.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4. 2개의 연결된 회로 차단기
(정답률: 48%)
  • 신뢰도 구조상으로 직렬인 것은 "자동차의 네 바퀴"이다. 이는 자동차의 네 바퀴 중 하나라도 고장이 나면 전체적으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바퀴는 서로 독립적이지만 모두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직렬 구조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신뢰도를 높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적자세를 유지 할 때의 진전(tremor)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각적으로 참조한다.
  2. 근로자가 떨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3. 손을 심장 높이가 되도록 유지한다.
  4. 작업대상물에 기계적 마찰이 있도록 한다.
(정답률: 36%)
  • 정적자세를 유지할 때의 진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근육의 긴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근육을 편안하게 유지하고, 근육을 지나는 신경의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떨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진전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이는 근육의 긴장을 줄이고, 신경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시각적으로 참조하는 것은 정적자세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만, 진전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손을 심장 높이가 되도록 유지하는 것은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만, 진전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작업대상물에 기계적 마찰이 있도록 하는 것은 오히려 진전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화학 설비의 안전성 평가 5단계 중 제4단계인 안전대책은 정량적 평가결과 나타난 위험등급에 따라 대책을 수립해야 하는데, 어떠한 대책을 수립해야 하는가?

  1. 관리적 대책, 교육적 대책
  2. 교육적 대책, 정신적 대책
  3. 교육적 대책, 설비 등에 관한 대책
  4. 관리적 대책, 설비 등에 관한 대책
(정답률: 65%)
  • 화학 설비의 안전성 평가에서 제4단계인 안전대책은 위험등급에 따라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며, 이 때 필요한 대책은 관리적 대책과 설비 등에 관한 대책입니다. 관리적 대책은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설비 등에 관한 대책은 설비의 개선 또는 대체 등을 통해 위험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대책이 필요한 것입니다. 교육적 대책이 필요한 경우도 있겠지만, 이는 위험등급에 따라 다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지반조사 방법 중 +자형의 저항날개를 로드선단에 붙여 지중에 박아 넣고 회전시켜 그 때의 최대저항치에서 지반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방법은 어느 것인가?

  1. 표준관입시험
  2. 화란식 관입시험
  3. 스웨덴식 사운딩시험
  4. 베인시험
(정답률: 72%)
  • 베인시험은 +자형의 저항날개를 로드선단에 붙여 지중에 박아 넣고 회전시켜 그 때의 최대저항치에서 지반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베인시험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방법으로 지반조사를 수행하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내외관을 소정의 깊이까지 박은 후에 내관을 빼낸 후, 외관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지중에 콘크리트 말뚝을 형성시키는 파일(Pile)의 명칭은?

  1. 심플렉스 파일(Simplex Pile)
  2. 콤프레솔 파일(Compressol Pile)
  3. 페데스탈 파일(Pedestal Pile)
  4. 레이몬드 파일(Raymond Pile)
(정답률: 20%)
  • 레이몬드 파일은 내외관을 소정의 깊이까지 박은 후에 내관을 빼낸 후, 외관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지중에 콘크리트 말뚝을 형성시키는 파일의 한 종류입니다. 다른 파일들과는 달리 내관을 빼내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 말뚝의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흙막이 벽에 미치는 간극수압의 영향을 계측할 수 있는 장비로 적당한 것은?

  1. Water level meter
  2. Inclino meter
  3. Extension meter
  4. Piezo meter
(정답률: 38%)
  • Piezo meter는 지하수나 흙막이 벽 등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는 압력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여 간극수압의 영향을 계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흙막이 벽에 미치는 간극수압의 영향을 계측할 수 있는 적당한 장비는 Piezo me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토공기계와 그 용도가 서로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컨베이어(conveyer) - 굴착토의 운반
  2. 백호우(back hoe) - 지반보다 낮은 곳의 굴착
  3. 스크레이퍼(scraper) - 배토작업
  4. 클램쉘(clamshell) - 좁은 곳의 수직굴착
(정답률: 38%)
  • 스크레이퍼는 배토작업에 사용되는 기계이지만, 스크레이퍼와 연결된 용도는 "좁은 곳의 수직굴착"이 아니라 "배토작업"이기 때문에 토공기계와 용도가 서로 틀리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멘트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시멘트시험의 종류에는 비중시험, 분말도시험, 안정성시험, 강도시험 등이 있다.
  2. 분말도는 수화작용 속도에 큰 영향이 미치고 시공연도, 공기량, 내구성에도 영향을 주며 분말도가 클수록 풍화되기 어렵다.
  3. 포틀랜드시멘트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 및 석회를 혼합하여 가공한다.
  4. 시멘트의 종류마다 비중, 분말도, 응고시간, 강도, 물리적특성 등이 다르다.
(정답률: 70%)
  • 올바르지 못한 설명은 "분말도가 클수록 풍화되기 어렵다." 이다. 분말도가 클수록 시멘트 입자들이 서로 떨어져 있어 수화작용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오히려 수화작용 속도가 느려지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분말도가 적당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골공작 용어에서 스패터(spatter)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단절단에서 생기는 뒤꺽임 현상
  2. 수동 가스절단에서 절단선이 곧지 못하여 생기는 잘록한 자국의 흔적
  3. 철골용접에서 용접부의 상부를 덮는 불순물
  4. 철골용접 중 튀어나오는 슬래그 및 금속입자
(정답률: 64%)
  • 철골용접 중에는 용접 부위에서 녹아내리는 슬래그와 함께 용접 부위에서 튀어나오는 금속 입자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금속 입자를 스패터(spatter)라고 합니다. 스패터는 용접 부위 주변에 불순물을 남기며, 용접 부위의 외관을 손상시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스패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용접 기술과 용접 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경 16mm인 철근의 일반적인 압축측 이음길이는?

  1. 20cm
  2. 30cm
  3. 40cm
  4. 64cm
(정답률: 27%)
  • 철근의 일반적인 압축측 이음길이는 직경의 2배에서 4배 사이이며, 보통 3배인 48mm에서 64mm 사이입니다. 따라서, 직경 16mm인 철근의 일반적인 압축측 이음길이는 3배인 48mm에서 64mm 사이이며, 보기에서 정답이 "40cm"인 이유는 16mm x 3 = 48mm 이며, 이를 cm로 환산하면 4.8cm 입니다. 따라서, 40c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크리트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다짐한 콘크리트의 경우가 보통콘크리트 보다 강도가 커진다.
  2. 공기연행제는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좋게 한다.
  3. 물시멘트비가 커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진다.
  4. 굵은골재의 크기가 작아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좋아진다.
(정답률: 81%)
  • 굵은골재의 크기가 작아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좋아진다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실제로는 굵은 골재가 적절한 크기로 사용될 때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며, 골재의 크기가 너무 작아지면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물시멘트비가 커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지는 이유는,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물과 혼합되어 콘크리트를 형성합니다.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시멘트의 비중이 높아지므로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집니다. 하지만 물시멘트비가 너무 높아지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오히려 낮아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건설공사 원가 구성체계에 관한 설명 중 직접공사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자재비
  2. 일반관리비
  3. 외주비
  4. 노무비
(정답률: 67%)
  • 일반관리비는 건설공사 진행 시 발생하는 각종 간접비용으로, 직접적으로 공사에 직접 사용되지 않는 비용입니다. 자재비, 외주비, 노무비는 모두 공사 진행에 직접 사용되는 비용이므로 직접공사비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초지반의 성질을 적극적으로 개량하기 위한 지반개량 공법으로서 거리가 먼 것은?

  1. 다짐공법
  2. 탈수공법
  3. 고결공법
  4. 승화공법
(정답률: 80%)
  • 승화공법은 기존 지반에 적정한 양의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시멘트 분화작용을 일으켜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법입니다. 다른 공법들은 지반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토사의 입자 크기를 조절하여 지반의 성질을 개량하는 방법이지만, 승화공법은 시멘트를 이용하여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공법들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약한 지반을 굴착할 때 기초저면 부분이 부풀어 오르고 흙막이 지보공을 파괴시켜 붕괴하는 현상은?

  1. 파이핑(Piping)
  2. 보일링(Boiling)
  3. 히빙(Heaving)
  4. 캠버(Camber)
(정답률: 70%)
  • 히빙(Heaving)은 지반 내부에 있는 물이 얼어서 부피가 늘어나거나,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지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기초저면 부분이 부풀어 오르고 흙막이 지보공을 파괴시켜 붕괴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약한 지반에서 굴착할 때 히빙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거푸집 조립시 측압력은 부담하지 않고 거푸집판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게 사용하는 긴결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세퍼레이터
  2. 플랫타이
  3. 폼타이
  4. 컬럼밴드
(정답률: 43%)
  • 세퍼레이터는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거푸집 조립시 사용하는 긴결재로, 거푸집판의 간격을 좁아지지 않게 하면서 측압력을 부담하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퍼레이터"입니다. 플랫타이는 평면적인 결재, 폼타이는 거푸집의 모양을 만들기 위한 결재, 컬럼밴드는 기둥을 감싸는 결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프로젝트의 자금조달과 설계 및 엔지니어링, 시공의 전부를 도급 받아 시설물을 완성한 후 일정기간의 운영으로 투자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양도하는 공사계약제도 방식은?

  1. 파트너링 방식(partnering agreement)
  2. BOT방식(build operate transfer contract)
  3. 공사관리계약(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
  4. 턴키계약(turnkey contract)
(정답률: 53%)
  • BOT방식은 프로젝트의 자금조달과 설계 및 엔지니어링, 시공의 전부를 도급 받아 시설물을 완성한 후 일정기간의 운영으로 투자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양도하는 공사계약제도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BOT방식과는 다른 계약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네트워크 공정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개의 작업 관련이 도시되어 있어 프로젝트 전체 및 부분파악이 쉽다.
  2. 작업순서관계가 명확하여 공사담당자간의 정보전달이 원활하다.
  3. 네트워크 기법의 표시상 제약으로 작업의 세분화 정도에는 한계가 있다.
  4.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용하기 쉽다.
(정답률: 45%)
  •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용하기 쉽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공정표가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작업의 순서와 관계가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어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작업의 세분화 정도에는 한계가 있지만, 개개의 작업 관련이 도시되어 있어 프로젝트 전체 및 부분파악이 쉽다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내용 중 건축시공적 기술활동에 해당되는 것은?

  1. 설계
  2. 명세견적
  3. 낙찰
  4. 입찰과 계약
(정답률: 42%)
  • 명세견적은 건축시공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자재, 인력, 장비 등의 비용을 계산하여 예산을 수립하는 활동으로, 건축시공적 기술활동에 해당된다. 설계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기술활동이며, 낙찰과 입찰과 계약은 건축시공 프로젝트의 계약과 관련된 활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용어 중 불량용접을 뜻하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피트(Pit)
  2. 오버랩(Over Lap)
  3. 엔드텝(End Tab)
  4. 언더컷(Under Cut)
(정답률: 45%)
  • 엔드텝(End Tab)은 불량용접을 뜻하는 용어가 아니라, 용접 부위의 끝에 생긴 작은 돌출물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는 용접 시 부적절한 용접 기술이나 재료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콘크리트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배합요소는 어느 것인가?

  1. 모래와 자갈의 비율
  2. 물과 시멘트의 비율
  3.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
  4. 시멘트와 자갈의 비율
(정답률: 71%)
  •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모래, 자갈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물과 시멘트의 비율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물과 시멘트의 비율을 유지하면 콘크리트가 더욱 단단하고 강력해지며, 반대로 비율이 맞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는 물과 시멘트의 비율을 정확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철골 내화피복공사 중 멤브레인공법에 사용되는 재료는?

  1. 경량콘크리트
  2. 철망 모르타르
  3. 뿜칠 플라스터
  4. 암면 흡음판
(정답률: 43%)
  • 멤브레인공법은 철골 구조물에 내화피복재료를 분사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암면 흡음판은 내화성능 뿐만 아니라 소음 저감 효과도 있어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멤브레인공법에 사용되는 재료 중 암면 흡음판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내부(봉형)진동기의 사용법상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한곳에 오랫동안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밀실한 타설을 도모한다.
  2. 진동기 선단을 철근이나 거푸집에 자주 접촉시켜 진동효과를 상승시킨다.
  3. 진동기는 가능한 수직으로 삽입하고, 삽입간격은 60cm이하로 한다.
  4. 진동기 끝부분은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 층에 30cm 이상 넣어다진다.
(정답률: 47%)
  • 진동기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도구로,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하여 진동을 가해야 한다. 이때 진동기를 수직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삽입 간격이 너무 멀어지면 진동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60cm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또한 진동기를 오랫동안 한 곳에 사용하면 콘크리트가 밀실해 타설 효과가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진동기 선단을 철근이나 거푸집에 자주 접촉시켜 진동효과를 상승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적절한 삽입 방법과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진동기 끝부분은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 층에 30cm 이상 넣어다집니다는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중 믹싱플랜트에서 어느 정도 비빈 것을 트럭믹서에 실어 운반도중 완전히 비벼 만드는 것은?

  1. 제네럴믹스트 콘크리트
  2. 센트럴믹스트 콘크리트
  3. 슈링크믹스트 콘크리트
  4. 트랜시트믹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45%)
  • 슈링크믹스트 콘크리트는 믹싱플랜트에서 물과 시멘트를 먼저 혼합한 후에 적정한 시간을 두어 물과 시멘트가 반응하여 초기 경화가 일어난 후에 모래와 자갈 등의 적정한 비율의 코arse aggregate를 추가 혼합하여 만들어진 콘크리트입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슈링크믹스트 콘크리트는 트럭믹서에 실려 운반 중에도 높은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운반 중에도 적절한 질감을 유지할 수 있어 현장에서 쉽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믹싱플랜트에서 어느 정도 비빈 것을 트럭믹서에 실어 운반도중 완전히 비벼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학

61. 알루미늄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용해주조도는 좋으나 내화성이 부족하다.
  2. 알칼리나 해수에 약하다.
  3. 내식도료로 광명단을 사용한다.
  4. 열ㆍ전기전도성이 크고 반사율이 높다.
(정답률: 48%)
  • 알루미늄은 내식성이 약하므로 내식도료로 광명단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타일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타일은 용도에 따라 내장타일, 외장타일, 바닥타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내부 바닥용 타일은 단단하고 마모에 강하며 흡수성이 적은 것이 좋다.
  3.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 및 내장타일은 습식법, 외장타일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다.
  4. 시유타일은 일반적으로 바닥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44%)
  • "시유타일은 일반적으로 바닥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부적당한 설명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 및 내장타일은 습식법, 외장타일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다는 것은 타일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이지, 타일에 대한 분류나 용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타일은 용도에 따라 내장타일, 외장타일, 바닥타일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내부 바닥용 타일은 단단하고 마모에 강하며 흡수성이 적은 것이 좋다는 것은 타일의 특성과 용도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부적당한 설명은 없다.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 및 내장타일은 습식법, 외장타일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다."라는 설명은, 모자이크타일과 내장타일은 습식법으로 제조되고, 외장타일은 건식법으로 제조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습식법은 타일을 만들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방법이고, 건식법은 물 대신 건조한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콘크리트용 골재에 요구되는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청정, 내구적인 것으로 유해량의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을 것
  2. 구형이 가장 좋으며 표면이 매끄러운 것
  3.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연속적으로 균등히 혼합되어 있을 것
  4.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일 것
(정답률: 54%)
  • 구형이 가장 좋으며 표면이 매끄러운 것은 옳지 않은 성질입니다. 이는 골재의 형태와 표면 상태가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구형보다는 각진 형태의 골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표면이 매끄럽다면 콘크리트와 골재 간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형이 아닌 각진 형태의 골재를 사용하고, 표면이 조금 거친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종
  2. 색깔
  3. 비중
  4. 함수율
(정답률: 64%)
  •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수종, 비중, 함수율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색깔은 목재의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색깔은 목재의 외관적인 특성으로, 목재의 내부 구조나 강도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색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목재의 성질에 관한 내용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목재의 무게가 기건상태 80g, 전건상태 72g 일 때 함수율은 10% 이다.
  2. 목재의 인장 및 압축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에 최대가 된다.
  3. 심재는 변재보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크다.
  4.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여러 가지 보온재로 사용된다.
(정답률: 40%)
  • "목재의 인장 및 압축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에 최대가 된다."가 알맞지 않은 내용이다. 목재의 인장 및 압축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과 수직한 경우에 최대가 된다.

    "목재의 무게가 기건상태 80g, 전건상태 72g 일 때 함수율은 10% 이다."는 목재의 함수율을 나타내는 공식 중 하나인 ((기건상태무게-전건상태무게)/전건상태무게) x 100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심재는 변재보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크다는 것은 맞는 내용이다. 심재는 목재의 중심부에 위치한 부분으로, 변형이 적어 강도가 높다.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여러 가지 보온재로 사용된다는 것도 맞는 내용이다. 목재는 공기 중의 열전달을 방해하여 보온성이 높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 지붕, 바닥 등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열가소성수지에 속하는 재료는?

  1. 페놀수지
  2. 요소수지
  3. 멜라민수지
  4. 염화비닐수지
(정답률: 53%)
  • 열가소성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는 수지로, 염화비닐수지가 이에 속합니다. 염화비닐수지는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볍고 투명하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른 중량이 다음과 같을 경우 흡수율은?

  1. 2.04%
  2. 2.00%
  3. 10.2%
  4. 12%
(정답률: 22%)
  •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른 중량이 다르므로, 흡수율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각각의 함수상태에 대한 흡수율을 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흡수율은 (흡수된 물의 양 / 골재의 건조중량)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 함수상태 1 : (100 - 75) / 75 x 100 = 33.33%
    - 함수상태 2 : (100 - 85) / 85 x 100 = 17.65%
    - 함수상태 3 : (100 - 90) / 90 x 100 = 11.11%
    - 함수상태 4 : (100 - 95) / 95 x 100 = 5.26%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4%" 인 이유는, 어떤 함수상태에 해당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주어진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콘크리트 강도의 변화를 가장 적게하고 시공연도를 조절하려면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는가?

  1. 물의 증감
  2. 시멘트량의 증감
  3. 잔골재율의 증감
  4. 물시멘트비의 증감
(정답률: 20%)
  • 잔골재는 시멘트와 물 이외의 부분으로, 즉 모래나 자갈 등을 말합니다. 잔골재의 비율이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낮아지지만,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서 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잔골재율을 높이면 시공 후 초기 강도는 낮아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강도의 변화가 적어지므로 콘크리트의 강도 변화를 가장 적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강도, 경도, 비중이 크고, 내화력도 우수하여 구조용 석재로 널리 쓰이지만, 조직 및 색조가 균일하지 않고 석리가있어 채석 및 가공이 용이하지만 대재를 얻기 어려운 것은?

  1. 사문석
  2. 트래버틴
  3. 대리석
  4. 안산암
(정답률: 32%)
  • 안산암은 강도, 경도, 비중이 크고 내화력도 우수하여 구조용 석재로 널리 사용되지만, 조직 및 색조가 균일하지 않고 석리가 있어 채석 및 가공이 용이하지만 대재를 얻기 어려운 석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천연 아스팔트가 아닌 것은?

  1. 아스팔타이트(asphaltite)
  2. 로크 아스팔트(rock asphalt)
  3. 레이크 아스팔트(lake asphalt)
  4. 블론 아스팔트(blown asphalt)
(정답률: 63%)
  • 천연 아스팔트는 아스팔타이트, 로크 아스팔트, 레이크 아스팔트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블론 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가 아닙니다. 블론 아스팔트는 정유 과정에서 생산되는 인공 아스팔트로, 고온과 고압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생산됩니다. 따라서 블론 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벽, 기둥 등의 모서리에 대어 미장바름을 보호하는 철물은?

  1. 메탈폼
  2. 논슬립
  3. 코너비드
  4. 인서트
(정답률: 67%)
  • 코너비드는 "코너 보호"라는 뜻으로, 벽이나 기둥 등의 모서리에 대어 미장바름을 보호하는 철물입니다. 다른 보기인 메탈폼은 금속 발포체로 만든 보호재, 논슬립은 미끄러짐 방지용 첨가제, 인서트는 부품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코너비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에 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재료의 분리는 콘크리트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각 재료의 비중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2. 단위수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재료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3. AE제는 콘크리트의 점성을 증가시켜 분리를 적게하는 데 유효하다.
  4. 사용한 콘크리트가 동일하더라도 굵은골재의 분리는 시공에 의해 현저하게 변화한다.
(정답률: 35%)
  • 단위수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재료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부적당하다. 이는 오히려 반대의 의미를 가진다. 즉, 단위수량이 적을수록 재료 분리가 더욱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각 재료의 비중 차이가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보통목재의 인화점(引火点)은 대략 몇 도인가?

  1. 160℃ 정도
  2. 350℃ 정도
  3. 240℃ 정도
  4. 450℃ 정도
(정답률: 20%)
  • 보통목재의 인화점은 350℃ 정도이다. 이는 목재가 고온에 노출될 때 불이 붙을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한다. 목재는 일반적으로 350℃ 이상의 고온에서 불이 붙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온도가 인화점으로 정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AL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량으로 인력에 의한 취급이 가능하지만,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이 불가능하다.
  2. 열전도율은 보통콘크리트의 약 1/10 정도로서 단열성이 있다.
  3. 절건비중은 0.45∼0.55 정도이다.
  4. 석면슬레이트나 석고보드 등의 박판상 제품에 비해 단열성, 차음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27%)
  • "경량으로 인력에 의한 취급이 가능하지만,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ALC는 경량으로 인력에 의한 취급이 가능하며, 현장에서도 절단 및 가공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특수모르타르의 일종으로서 광택 및 특수 치장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1. 규산질모르타르
  2. 질석모르타르
  3. 석면모르타르
  4. 합성수지혼화모르타르
(정답률: 48%)
  • 합성수지혼화모르타르는 광택과 특수 치장용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제조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광택이 있고,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치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점토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분에 의한 가소성이 있다.
  2. 기공률은 점토전용적의 백분율로 표시하며, 보통상태에서 50% 내외이다.
  3.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비슷하다.
  4. 색상은 철산화물 또는 석회물질에 의해 나타난다.
(정답률: 50%)
  •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비슷하지 않다. 점토는 인장강도가 압축강도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구조물의 설계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인장강도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화강암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내화도가 높으므로 벽난로 등에 좋다.
  2.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3. 콘크리트 골재로도 사용된다.
  4.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40%)
  • 정답: "내화도가 높으므로 벽난로 등에 좋다."

    설명: 화강암은 내화성이 높아서 불에 강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콘크리트 골재나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지만, 벽난로 등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벽난로 등에는 화강암 대신 내화성이 더 높은 철재나 규소카바이드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에폭시 수지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수성이 우수하다.
  2. 경화수축률이 크다.
  3. 접착제와 도료로 사용된다.
  4. 내약품성이 크다.
(정답률: 54%)
  • 옳지 않은 기술은 "경화수축률이 크다." 입니다. 이유는 에폭시 수지는 경화할 때 발생하는 수축률이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이는 에폭시 수지가 고강도의 접착력과 내구성을 가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고온소성의 무수석고를 특별히 화학처리한 것으로 킨스시멘트라고 불리우는 것은?

  1. 혼합석고 플라스터
  2. 보드용석고 플라스터
  3. 경석고 플라스터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63%)
  • 킨스시멘트는 고온소성의 무수석고를 화학처리한 것으로, 경석고 플라스터와는 다른 제조 과정과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석고 플라스터입니다. 경석고 플라스터는 석고를 가열하여 물분자를 제거한 뒤, 다시 물과 혼합하여 경화시킨 것으로, 건축물 내부 장식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구리(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상온에서 연성, 전성이 풍부하다.
  2. 열 및 전기전도율이 크다.
  3. 암모니아와 같은 약알칼리에 강하다.
  4. 황동은 구리와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이다.
(정답률: 72%)
  • 구리는 암모니아와 같은 약알칼리에 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강산성 환경에서는 구리가 용해되어 산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안전기술

81. 일반적으로 사면이 가장 위험한 경우는 어느 때인가?

  1. 사면이 완전 건조 상태일 때
  2. 사면의 수위가 서서히 상승할 때
  3. 사면이 완전 포화 상태일 때
  4. 사면의 수위가 급격히 하강할 때
(정답률: 54%)
  • 사면의 수위가 급격히 하강할 때는 물이 급격히 흐르면서 사면의 지지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사면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강한 비나 홍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가장 경계해야 할 상황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롤러의 표면에 돌기를 만들어 부착한 것으로 돌기가 전압층에 매입되어 풍화암을 파쇄하고 흙속의 간극수압을 제거하는 롤러는?

  1. 머캐덤 롤러(Macadam roller)
  2. 탠덤 롤러(Tandem roller)
  3. 탬핑 롤러(Tamping roller)
  4. 진동 롤러(Vibrating roller)
(정답률: 48%)
  • 탬핑 롤러는 돌기가 전압층에 매입되어 풍화암을 파쇄하고 흙속의 간극수압을 제거하는 롤러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롤러들은 진동이나 무게 중심 조절 등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근로자의 추락재해방지를 위하여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곤란한 때에 안전대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한 높이는?

  1. 2m 이상
  2. 3m 이상
  3. 4m 이상
  4. 5m 이상
(정답률: 48%)
  • 2m 이상의 높이에서는 추락으로 인한 심각한 부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안전대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2m 이상의 높이에서는 근로자의 추락재해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달비계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기 위한 안전계수 중 맞는 것은?

  1. 달기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 : 4 이상
  2. 달기체인의 안전계수 : 4 이상
  3. 달비계 하부지점 안전계수(강재) : 2.5 이상
  4. 달비계 상부지점 안전계수(목재) : 4 이상
(정답률: 36%)
  • 달비계 하부지점은 달비계의 중심축이 위치하고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으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강재는 목재에 비해 강도가 높기 때문에 하부지점에서는 안전계수가 낮아도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비계 하부지점 안전계수(강재)는 2.5 이상이면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입경이 가늘고 비교적 균일하면서 느슨하게 쌓여 있는 모래 지반이 물로 포화되어 있을 때 지진이나 충격을 받으면 일시적으로 전단강도를 잃어버리는 현상은?

  1. 모관 현상
  2. 보일링 현상
  3. 틱소트로피
  4. 액화 현상
(정답률: 60%)
  • 액화 현상은 모래 지반에서 물이 포화되어 있을 때, 지진이나 충격을 받으면 모래 입자 사이의 물이 압력에 의해 밀려나가면서 지반의 전단강도를 잃어버리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지반은 느슨하게 떨리며, 건물이나 다리 등의 구조물은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액화 현상은 지진 대비를 위해 건축물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할 경우 폭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60cm
  2. 90cm
  3. 120cm
  4. 150cm
(정답률: 77%)
  • 부두나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할 경우, 보통 큰 배나 선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확보해야 한다. 이 때, 선박의 폭은 보통 30m 이하이므로, 통로의 폭은 최소한 3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를 cm 단위로 환산하면 300cm 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90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90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기초공사를 위하여 굴착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현장의 토사는 시험굴착해보니 보통흙 습지였다. 이때 적용할 수 있는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은?

  1. 1 : 0.3
  2. 1 : 0.5
  3. 1 : 0.8
  4. 1 : 1
(정답률: 57%)
  • 습지 토사는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굴착면의 기울기를 낮추어야 한다. 이때 적용할 수 있는 기울기 기준은 1 : 1이다. 즉, 굴착면의 높이와 밑면의 길이가 같아지도록 굴착을 진행해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기 때문에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수중굴착 작업 시 가장 적합한 공법은?

  1. 아일랜드(Island)공법
  2. 트랜치 컷(Trench Cut)공법
  3. 케이슨(Caisson)공법
  4. 플로팅(Floating)공법
(정답률: 32%)
  • 수중굴착 작업 시 가장 적합한 공법은 케이슨(Caisson)공법입니다. 이는 수중에서 바닥을 파내기 위해 케이슨이라는 큰 구조물을 사용하여 바닥을 파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깊은 수심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높아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또한, 깊은 수심에서도 바닥을 파내기 때문에 수심에 제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철골공사 등의 용접작업시 사용되는 가스용기의 취급상 주의사항으로서 잘못된 것은?

  1. 용기는 통풍 또는 환기가 잘되는 장소에 보관한다.
  2. 용기의 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한다.
  3. 가스를 사용 시 밸브의 개폐는 신속히 하여야 한다.
  4. 용해 아세틸렌 용기는 세워서 보관한다.
(정답률: 56%)
  • 용기의 밸브를 신속히 개폐해야 하는 이유는 가스가 누출되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전후에 반드시 밸브를 닫아야 하며, 작업 중에도 필요한 경우에만 열어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흙의 간극비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공기의 부피/흙입자의 부피
  2. 공기와 물의 부피/흙입자의 부피
  3. 공기와 물의 부피/공기,물,흙입자의 부피
  4. 공기의 부피/물,흙입자의부피
(정답률: 37%)
  • 흙의 간극비는 흙 입자 사이의 공간 중 공기와 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기와 물의 부피를 흙입자의 부피로 나눈 공기와 물의 부피/흙입자의 부피가 가장 알맞은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건설공사 현장 가설통로 설치기준으로 맞는 것은?

  1. 가설통로의 경사가 15° 이내일 때 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0m를 초과하면 8m 이내에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3. 경사각이 15° 미만이면 일반적으로 미끄럼방지 장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
  4. 높이가 7m인 비계다리에는 6m 이내 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32%)
  • 경사각이 15° 미만인 경우에는 경사가 너무 가파르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미끄럼방지 장치를 하지 않아도 안전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사각이 15° 이상인 경우에는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미끄럼방지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의 존치기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존치기간이 길다.
  2. 온도가 낮을수록 일반적으로 존치기간은 길다.
  3. 슬래브 및 보의 밑면은 일반적으로 기둥이나 측벽보다 존치기간이 짧다.
  4. 슬래브 밑면 거푸집의 존치기간은 1~2일이 적당하다.
(정답률: 58%)
  • 온도가 낮을수록 콘크리트의 경화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존치기간이 길어집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온도가 낮을수록 일반적으로 존치기간은 길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음매가 있는 것
  2. 필러선을 제외한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소선의 수가 20% 이상 끊어진 것
  3.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4.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정답률: 53%)
  • "필러선을 제외한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소선의 수가 20% 이상 끊어진 것"은 사용금지 사항이 아니라 교체가 필요한 조건입니다. 와이어로프는 여러 개의 소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일부 소선이 끊어지면 와이어로프의 강도가 크게 감소합니다. 따라서 소선의 수가 20% 이상 끊어진 와이어로프는 교체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쇼벨계 굴착기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파워쇼벨(power shovel)
  2. 크램셀(clamshell)
  3. 스크레이퍼(scraper)
  4. 드래그라인(dragline)
(정답률: 70%)
  • 스크레이퍼는 굴착기계가 아니라,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기계이기 때문입니다. 파워쇼벨, 크램셀, 드래그라인은 모두 직접적으로 토사를 굴착하는 굴착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그림과 같이 양단의 지지 조건이 다른 기둥들에 대하여 좌굴에 대한 유효길이는?

  1. A가 최대, C가 최소이다.
  2. B가 최대, C가 최소이다.
  3. C가 최대, A가 최소이다.
  4. A, B, C가 모두 같다.
(정답률: 32%)
  • 양단의 지지 조건이 다른 기둥들에 대하여 좌굴에 대한 유효길이는 최소 지지점에서의 좌굴로 결정된다. 따라서 A, B, C 모두 최소 지지점에서의 좌굴이 동일하므로 A, B, C가 모두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바닥으로부터 짐 윗면까지의 높이가 ( )m 이상인 화물자동차에 짐을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추락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 )안에 적합한 것은?

  1. 2
  2. 3
  3. 4
  4. 5
(정답률: 69%)
  • "바닥으로부터 짐 윗면까지의 높이가 2m 이상인 화물자동차에 짐을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추락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2m 이상인 높이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개착식 굴착공사(Open cut)에서 설치하는 계측기기와 거리가 먼 것은?

  1. 수위계
  2. 경사계
  3. 응력계
  4. 내공변위계
(정답률: 43%)
  • 개착식 굴착공사에서 설치하는 계측기기 중 수위계는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경사계는 지면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응력계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내공변위계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반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개착식 굴착공사에서 설치하는 계측기기 중 거리가 먼 것은 내공변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강관비계의 종류에 따른 조립간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틀비계는 높이가 5m미만의 것을 제외한다.)

  1. 단관비계 - 수직방향 - 5m
  2. 단관비계 - 수평방향 - 5m
  3. 틀비계 - 수직방향 - 8m
  4. 틀비계 - 수평방향 - 8m
(정답률: 53%)
  • 틀비계는 강관비계 중 높이가 5m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틀비계의 조립간격은 높이와 방향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수직방향의 경우, 조립간격은 8m 이하로 설정해야 하며, 수평방향의 경우, 조립간격은 6m 이하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틀비계 - 수직방향 - 8m"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그림과 같이 굴착하는 도갱은?

  1. 저부도갱
  2. 정부도갱
  3. 측변도갱
  4. 저하도갱
(정답률: 34%)
  • 이 그림은 지하에 있는 파이프나 케이블 등을 설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갱이다. 이 중에서도 지하수나 하수도 등 공공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을 정부도갱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정부도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비계를 변경한 후 작업 전 비계의 점검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기둥의 침하, 변형, 변위 또는 흔들림 상태
  2. 손잡이의 탈락여부
  3. 격벽의 설치여부
  4. 발판재료의 손상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 상태
(정답률: 45%)
  • 작업 전 비계의 점검사항으로는 기둥의 안정성, 손잡이의 고정 여부, 발판재료의 상태 등이 중요하다. 그러나 격벽의 설치 여부는 작업 전 비계의 점검사항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격벽은 비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적인 요소이지만, 비계의 기본 안전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격벽의 설치 여부는 비계를 변경한 후에 점검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