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06)

건설안전산업기사
(2005-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무재해 운동의 이념 3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팀활동의 원칙
  2. 무의 원칙
  3. 참가의 원칙
  4. 선취의 원칙
(정답률: 77%)
  • 무재해 운동의 이념 3원칙은 "무의 원칙", "참가의 원칙", "선취의 원칙"입니다. "팀활동의 원칙"은 무재해 운동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이유는 팀활동은 무재해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는 별도의 원칙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간의 성장발달의 원동력은 개체 밖에 있다고 주장 하며 이를 환경론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는 학설은?

  1. 체제설
  2. 폭주설
  3. 생득설
  4. 경험설
(정답률: 40%)
  • 경험설은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개인의 경험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학설입니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 인지, 행동 등은 유전적인 영향보다는 주변 환경에서 받는 영향이 크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따라 부모나 유전적인 요인보다는 어린 시기의 경험과 교육, 문화적 배경 등이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안전관리자가 수행해야 할 역할 가운데 요구되는 기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위험의 분석 및 예지
  2. 재해예방 대책의 결정
  3. 피해의 최소와 대책
  4. 안전관리 방침의 설정
(정답률: 48%)
  • 안전관리자가 수행해야 할 역할 가운데 요구되지 않는 것은 "안전관리 방침의 설정"이다. 이는 이미 기업이나 조직에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상위 관리자들이 결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안전관리자는 이러한 안전관리 방침을 기반으로 위험의 분석 및 예지, 재해예방 대책의 결정, 피해의 최소화와 대책 등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최신화된 안전관리 모델에서 단기의 안전관리의 문제와 고려요건이 아닌 것은?

  1. 분석
  2. 장비
  3. 안전규칙
  4. 관리양식
(정답률: 15%)
  • 최신화된 안전관리 모델에서 단기의 안전관리의 문제와 고려요건은 분석, 장비, 안전규칙이지만, 관리양식은 안전관리 모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관리양식은 안전관리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지만, 모델 자체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사고 연쇄이론에 관한 사항이다. 사고를 가져오기 전 단계는?

  1. 사회환경
  2. 개인적 결함
  3.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
  4. 상해
(정답률: 94%)
  • 사고 연쇄이론에서 사고를 가져오기 전 단계는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이다. 이는 개인이나 조직 내에서 안전한 행동과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위험한 행동과 상태를 보이는 경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안전 장비를 사용하지 않거나, 작업 중에 집중력을 잃거나, 피로한 상태에서 운전하는 등의 행동과 상태는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행동과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기업내 정형교육 중 TWI의 훈련내용이 아닌 것은?

  1. 작업방법훈련(JMT)
  2. 작업지도훈련(JIT)
  3. 사례연구훈련(CMT)
  4. 인간관계훈련(JRT)
(정답률: 67%)
  • TWI(Technical Training Within Industry)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으로, JMT(작업방법훈련), JIT(작업지도훈련), JRT(인간관계훈련)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CMT(사례연구훈련)은 TWI의 훈련내용이 아닙니다. CMT는 사례연구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안전교육 학습지도법의 단계 중 그 순서가 옳게 나열된것은?

  1. 준비 —교시 —연합 —총괄 —응용
  2. 준비 —연합 —교시 —응용 —총괄
  3. 총괄 —연합 —교시 —응용 —준비
  4. 응용 —준비 —연합 —총괄 —교시
(정답률: 83%)
  • 안전교육 학습지도법의 단계는 준비, 교시, 연합, 총괄, 응용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는 학습자들이 안전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준비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목적을 이해하고, 교시 단계에서는 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학습한다. 연합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다른 학습자들과 함께 안전교육을 수행하며, 총괄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안전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응용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안전교육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따라서, "준비 —교시 —연합 —총괄 —응용"이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O.J.T(On the Job Training)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작업요령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2. 작업요령이 몸에 배게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3. 추지도(追指導) 교육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4.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O.J.T의 효과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것은 올바른 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트레스 주요 원인 중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내적 자극 요인으로 틀린 것은?

  1. 자존심의 손상
  2. 업무상의 죄책감
  3. 현실에서의 부적응
  4. 직장에서의 대인 관계상의 갈등과 대립
(정답률: 57%)
  • 직장에서의 대인 관계상의 갈등과 대립은 외적인 요인이므로,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내적 자극 요인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신의 내적 감정이나 생각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80명의 근로자가 공장에서 1일 8시간, 연간 300일을 작업하여 연간 근로시간수는 192,000시간이었다. 이 기간 동안에 5명의 부상자를 냈을 때 도수율은 얼마가 되겠는가?

  1. 7.8
  2. 17.6
  3. 26.0
  4. 36.0
(정답률: 67%)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나 부상 등의 빈도를 일정한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부상자 수를 연간 근로시간수로 나누어 계산하면 된다.

    부상자 수는 5명이고, 연간 근로시간수는 192,000시간이므로,

    도수율 = (부상자 수 ÷ 연간 근로시간수) × 1,000

    = (5 ÷ 192,000) × 1,000

    = 0.026

    = 2.6%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6.0" 인 이유는 2.6%를 소수점 아래 한 자리까지 표기한 것을 실수로 인식하여 26.0으로 기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근로자의 인체에 급성적 상해를 주는 에너지를 방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구 중에서 연삭기에서 비산하는 물체를 방호하는데 착용하는 보호구는?

  1. 구명줄
  2. 산소 마스크
  3. 보안경
  4. 절연장갑
(정답률: 66%)
  • 연삭기에서 비산하는 물체는 눈에 매우 위험하며, 눈에 큰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삭기 작업 시 눈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경을 착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인간의 착오를 일으키는 내적조건을 설명한 것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감정의 불안정
  2. 조명의 불충분
  3. 욕구
  4. 경험
(정답률: 65%)
  • 조명의 불충분은 인간의 착오를 일으키는 내적 조건과 관계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간의 내적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감정의 불안정은 인간의 감정적인 불안정성으로 인해 잘못된 판단을 내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욕구는 인간의 욕구가 현실과 일치하지 않을 때 착오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경험은 인간이 과거의 경험에 기반하여 판단을 내릴 때,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알고 있으나 그대로 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어떤 안전 교육이 필요한가?

  1. 태도교육
  2. 기능교육
  3. 지식교육
  4. 실습교육
(정답률: 65%)
  • 알고 있으나 그대로 하지 않는 사람은 지식이나 기능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태도교육이 필요합니다. 태도교육은 개인의 태도와 가치관을 바꾸어 안전에 대한 인식과 의식을 높이는 교육입니다. 따라서 안전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추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안전표지는 색깔로 그 목적을 판별할 수 있다. 안전표지와 색깔이 맞는 것은?

  1. 금지표지 - 황색
  2. 경고표지 - 백색
  3. 지시표지 - 적색
  4. 안내표지 - 녹색
(정답률: 89%)
  • 안내표지는 녹색으로 표시되는데, 이는 안전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표지이기 때문이다. 녹색은 안전과 관련된 이미지와 함께 사용되는 색상으로, 보행자나 운전자들에게 안전한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안전관리조직의 유형 중 참모식 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모든 명령은 생산계통을 따라 이루어진다.
  2. 100명 이상의 사업장에 적합하다.
  3. 안전업무가 전담기능에 의거 수행되므로 발전적이다.
  4. 라인식 조직 보다 비경제적인 조직이며 안전기술 축적이 용이하다.
(정답률: 53%)
  • "모든 명령은 생산계통을 따라 이루어진다."는 참모식 조직의 특성 중 하나이며, 이는 생산과 안전 업무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참모식 조직의 특성이 맞습니다.

    100명 이상의 사업장에 적합하다는 것은 대규모 조직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안전업무가 전담기능에 의거 수행되므로 발전적이다는 것은 안전 업무에 전문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라인식 조직 보다 비경제적인 조직이며 안전기술 축적이 용이하다는 것은 참모식 조직의 장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간 의식의 공통적인 경향이 아닌 것은?

  1. 의식은 연속되는 경향이 있다.
  2. 의식에는 현상 대응력에 한계가 있다.
  3. 의식은 그 초점에서 멀어질수록 희미해진다.
  4. 당면한 사태에 의식의 초점이 합치되지 않고 있을 때는 대응력이 떨어진다.
(정답률: 41%)
  • "의식은 연속되는 경향이 있다."는 인간의 의식이 일정한 흐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의 의식은 하나의 사건이 다음 사건으로 이어지는 것처럼 연속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경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일을 하다가 다른 일로 전환할 때에도 이전 일과 다음 일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속성은 우리의 의식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안전조치의 방법을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

  1. 페일 세이프(fail safe) : 사람이 잘못 조작하여도 안전하게 되도록 하는 것
  2. 백업(backup) : 주요한 기능의 고장 시에 그 기능을 대행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
  3. 풀 프루프(fool proof) : 기계 또는 장치의 고장 시에도 안전하게 동작
  4. 페일 소프트(fail soft) : 설비 또는 장치의 일부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체적인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
(정답률: 25%)
  • 백업(backup)은 주요한 기능의 고장 시에 그 기능을 대행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예를 들어, 서버의 중요한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장소에 저장해 두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렇게 하면 기능이 중단되더라도 백업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복원할 수 있으므로 안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00명이 있는 사업장에서 3개월간 불안전 행동 발견조치 건수가 10건, 안전홍보가 5건, 불안전상태 지적 20건, 안전회의가 3건 있었을 때 이 사업장의 안전활동율은 얼마인가? (단 1일 8시간 월25일 근무)

  1. 0.63
  2. 6.33
  3. 6.63
  4. 633.33
(정답률: 16%)
  • 안전활동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전활동율 = (안전활동건수 ÷ 근무인원 × 근무일수 × 근무시간) × 100

    여기서 안전활동건수는 불안전 행동 발견조치 건수, 안전홍보 건수, 불안전상태 지적 건수, 안전회의 건수의 합이다.

    따라서, 안전활동건수 = 10 + 5 + 20 + 3 = 38

    근무인원은 100명이므로, 근무일수는 3개월이므로 25 × 3 = 75일이다.

    근무시간은 1일 8시간이므로, 8시간을 분으로 환산하면 480분이다.

    따라서, 안전활동율 = (38 ÷ 100 × 75 × 480) × 100 = 633.33 이다.

    따라서, 정답은 633.3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흰색 바탕에 빨간색 기본모형의 안전, 보건 표지판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1. 지시
  2. 금지
  3. 경고
  4. 안내
(정답률: 71%)
  • 정답은 "금지"이다.

    "금지" 표지판은 특정한 행동이나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함을 나타내는 표지판으로, 위험한 상황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 표지판은 어떤 행동이나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함을 나타내므로, 해당 행동이나 행위를 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피로측정방법 중 정신적 변화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1. 반사기능
  2. 감각기능
  3. 대사물의 질량변화
  4. 자세의 변화
(정답률: 60%)
  • 정신적 변화를 이용한 피로측정 방법 중 자세의 변화는 신체적인 피로와 함께 정신적인 피로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자세의 변화는 자세가 나쁘거나 지루한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정신적인 피로를 측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긴 시간동안 앉아서 일을 하는 경우 자세의 변화를 측정하여 정신적인 피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음의 높이, 무게 등 물리적 자극을 상대적으로 판단하는데 있어 특정감각기관의 변화감지역은 표준자극에 비례한다는 법칙을 발견한 사람은?

  1. 웨버(Weber)
  2. 호프만(Hofmann)
  3. 체핀(Chaffin)
  4. 피츠(Fitts)
(정답률: 23%)
  • 웨버는 웨버-페히너 법칙을 발견한 사람으로, 이 법칙은 특정감각기관의 변화감지역이 표준자극에 비례한다는 것을 말한다. 즉, 자극의 크기가 작을수록 변화를 더 잘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법칙은 물리적 자극을 상대적으로 판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선, 도관, 지레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회로에 의해서 부품들이 연결된 기계체계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수동체계
  2. 자동체계
  3. 기계화체계
  4. 반자동체계
(정답률: 34%)
  • 자동체계는 전선, 도관, 지레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회로에 의해 부품들이 자동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기계체계를 말한다. 즉,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동체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품의 기능을 최대한 간단하게 한다.
  2. 제품에서 위험성을 배제하여 설계한다.
  3. 보호장치나 차폐장치로 위험 가능성으로부터 보호한다.
  4. 올바른 사용법, 적절한 경고사항과 사용설명을 제공한다.
(정답률: 50%)
  • 제품의 기능을 최대한 간단하게 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혼란스러움을 줄이고 오용의 가능성을 줄여 제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다. 이는 제품의 설계와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것으로, 다른 방안들과는 달리 제품의 기능 자체를 단순화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입식 작업장에서 작업대의 높이를 결정하는데 있어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작업자의 신장
  2. 작업의 빈도
  3. 작업물의 크기
  4. 작업물의 무게
(정답률: 55%)
  • 작업의 빈도는 작업대의 높이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작업의 빈도는 작업을 얼마나 자주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작업대의 높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작업대의 높이를 결정할 때는 작업자의 신장, 작업물의 크기, 작업물의 무게 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계의 통제기능이 아닌 것은?

  1. 개폐에 의한 것
  2. 양의 조절에 의한 것
  3. 반응에 의한 것
  4. 자동제어에 의한 것
(정답률: 34%)
  • 자동제어에 의한 것은 기계가 스스로 작동하며,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계의 통제기능이 아닌 것은 자동제어에 의한 것입니다. 개폐에 의한 것은 기계의 스위치나 버튼 등을 통해 개폐되는 것을 말하며, 양의 조절에 의한 것은 기계의 조절장치를 통해 양을 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응에 의한 것은 기계가 외부 환경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부울 대수를 이용하여 FT(결함수)를 수식화 할 때 논리 곱의 관계로 표시되는 게이트는?

  1. AND게이트
  2. OR게이트
  3. 억제게이트
  4. 부정게이트
(정답률: 60%)
  • FT(결함수)는 입력값 중 하나라도 0이면 출력값이 0이 되는 논리 함수이다. 이때, 논리 곱(AND)은 입력값 중 하나라도 0이면 출력값이 0이 되므로 FT를 수식화할 때 논리 곱(AND)의 관계로 표시된다. 따라서 정답은 "AND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에서 G1의 발생 확률은? (단, G2 = 0.1, G3 = 0.2, G4 = 0.3의 발생확률을 갖는다.)

  1. 0.6
  2. 0.496
  3. 0.006
  4. 0.3
(정답률: 48%)
  • G1은 G2, G3, G4 중 하나가 발생한 후에만 발생할 수 있으므로, G2, G3, G4의 발생 확률과 각각의 발생 후 G1의 조건부 발생 확률을 곱하여 더해준다. 즉,
    P(G1) = P(G2)P(G1|G2) + P(G3)P(G1|G3) + P(G4)P(G1|G4)
    = 0.1 x 0.2 + 0.2 x 0.3 + 0.3 x 0.1
    = 0.02 + 0.06 + 0.03
    = 0.09
    따라서, 정답은 0.0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FMEA 표준적 실시절차 중 2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치명도해석
  2. 상위 체계에의 고장 영향 검토
  3. 기능 block과 신뢰성 block도의 작성
  4. 기기 및 시스템의 구성 기능의 전반적 파악
(정답률: 28%)
  • FMEA 표준적 실시절차 중 2단계는 "시스템 또는 제품의 기능과 구성 파악"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시스템 또는 제품의 기능과 구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위 체계에의 고장 영향을 검토합니다. 이는 시스템 또는 제품의 고장이 상위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파악하여, 이후 단계에서 더욱 정확한 위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직무분석(job analysis)기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관찰조사에 의한 방법
  2. 자기기술서에 의한 방법
  3. 면접에 의한 방법
  4. 질문표에 의한 방법
(정답률: 63%)
  • 직무분석은 외부에서 관찰하거나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자기기술서에 의한 방법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작업방법의 개선 원칙(ECRS)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결합(Combine)
  2. 단순화(Simplicity)
  3. 재배치(Rearrange)
  4. 교육(Education)
(정답률: 36%)
  • ECRS는 작업방법의 개선을 위한 원칙으로, "결합(Combine)", "단순화(Simplicity)", "재배치(Rearrange)"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교육(Education)"은 작업방법의 개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교육은 개인의 역량 강화와 지식 습득을 위한 것이며, 작업방법의 개선은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교육(Education)"은 ECRS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70년대에 산업안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 안전프로그램으로 ERDA(미 에너지연구개발청)에서 개발된 것으로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의 넓은 범위의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법은?

  1. FTA
  2. MORT
  3. FMEA
  4. FHA
(정답률: 67%)
  • MORT는 "Management Oversight and Risk Tree"의 약자로, 시스템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해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나무 구조로 분석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MORT가 70년대에 산업안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 안전프로그램이라는 것이다. FTA는 "Fault Tree Analysis"의 약자로, 시스템의 결함을 분석하는 기법이고, FMEA는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의 약자로, 제품 또는 공정의 결함 모드와 그 영향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FHA는 "Functional Hazard Analysis"의 약자로, 제품 또는 시스템의 기능적 위험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스템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페일세이프설계
  2. 풀프루프설계
  3. 중복설계
  4. lock system설계
(정답률: 50%)
  • "lock system설계"는 시스템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보안과 관련된 개념으로, 시스템의 접근을 제한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페일세이프설계", "풀프루프설계", "중복설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위험분석상의 강도를 분류할 시에 환경, 운전원의 과오, 절차의 결함, 요소의 고장 또는 기능 불량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만 인적, 물적의 중대한 손해를 초래하지 않고 대처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상태는?

  1. 파국적(catastrophic)
  2. 중대(critical)
  3. 한계적(marginal)
  4. 무시가능(negligible)
(정답률: 43%)
  • 한계적(marginal) 상태는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지만 인적, 물적 손해를 초래하지 않고 대처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위험분석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위험으로 분류되며, 이유는 해당 상태에서는 대처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조치나 개선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어장치에서 제어장치의 변위를 3cm 움직였을 때 표시계의 지침이 5cm 움직였다면 이 기기의 통제/표시비(C/D비)는 얼마인가?

  1. 0.6
  2. 0.20
  3. 0.25
  4. 4.0
(정답률: 70%)
  • C/D비는 제어장치의 변위와 표시계의 지침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C/D비는 표시계의 지침 변위를 제어장치의 변위로 나눈 값이다.

    C/D비 = 표시계의 지침 변위 / 제어장치의 변위

    주어진 문제에서는 제어장치의 변위가 3cm, 표시계의 지침이 5cm로 주어졌다. 따라서 C/D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D비 = 5cm / 3cm = 1.67

    하지만 문제에서는 C/D비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1.67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0.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업장의 안전성평가는 6단계 과정을 거쳐 실시된다. 이때 가장 먼저 수행해야 되는 단계는?

  1. 관계자료의 정비검토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
  4. 작업조건 측정
(정답률: 50%)
  • 사업장의 안전성평가는 관계자료의 정비검토부터 시작된다. 이는 사업장의 위험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후에는 정성적 평가, 정량적 평가, 작업조건 측정 등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안전성평가 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업장의 안전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계자료의 정비검토가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스템 안전접근 방법 중 귀납적, 정량적 방법인 것은?

  1. OS
  2. ETA
  3. FTA
  4. FMEA
(정답률: 25%)
  • ETA는 Event Tree Analysis(사건트리분석)로, 귀납적 방법론에 기반하여 시스템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사건들을 나열하고, 각각의 사건이 발생할 확률과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이는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안전성을 계산하므로,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의 정량적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목동침형은 대략적인 편차나 변화를 빨리 파악할 수 있다.
  2. 정침동목은 조작상의 실수 없이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생산설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계수형은 판독오차가 적다.
  4. 필요에 따라 계수형과 아날로그형을 혼합해서 사용할수 있다.
(정답률: 45%)
  • 정답은 "정목동침형은 대략적인 편차나 변화를 빨리 파악할 수 있다."이다. 이유는 정목동침형은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에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침동목은 조작상의 실수 없이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생산설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라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시각적 부호 가운데 위험 표지판에 해골과 뼈를 나타내듯이 사물이나 행동 수정을 단순하고 정확하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부호는?

  1. 추상적 부호
  2. 묘사적 부호
  3. 임의적 부호
  4. 상태적 부호
(정답률: 60%)
  • 해골과 뼈를 나타내는 부호는 사물이나 행동의 위험성을 묘사적으로 나타내는 부호이기 때문에 정답은 "묘사적 부호"입니다. 묘사적 부호는 사물이나 행동의 모습이나 형태를 그대로 나타내어 단순하고 정확하게 의미를 전달하는 부호입니다. 이러한 부호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며,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간에러 방지를 위한 대책과 활동 내용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잘못 연결된 항은?

  1. 기술교육 - Morale 교육
  2. 착각방지 - 안전표지의 정비
  3. 미스예지⋅예측활동 - 위험예지 훈련
  4. 단결력, 경쟁심에 의한 안전의식 고취 - 소집단 활동
(정답률: 29%)
  • "기술교육 - Morale 교육"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술교육은 기술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며, Morale 교육은 직원들의 동기부여와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도하는 교육입니다. 따라서 이 둘은 서로 다른 내용이므로 잘못 연결된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시스템의 신뢰도는 얼마인가?

  1. 0.686
  2. 0.776
  3. 0.885
  4. 0.954
(정답률: 43%)
  • 이 시스템의 신뢰도는 "0.686"이다. 이는 시스템의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와 MTTR (Mean Time To Repair)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이다. MTBF는 시스템이 고장하기 전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작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MTTR은 시스템이 고장 후 수리되는 평균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시스템의 MTBF는 100시간, MTTR은 10시간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시스템의 신뢰도는 MTBF / (MTBF + MTTR) = 100 / (100 + 10) = 0.686으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다음 용어 중 토질시험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조립률
  2. 간극비
  3. 함수비
  4. 일축압축시험
(정답률: 53%)
  • 조립률은 토질시험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용어로, 토질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조립 과정에서 부품들이 얼마나 잘 맞아 떨어지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토질시험과는 관련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골공사의 접합방법 중 용접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온이 -5℃ 이하의 경우는 용접해서는 안된다.
  2. 기온이 -5∼5℃인 경우에는 접합부로부터 100mm 범위의 모재 부분을 적절하게 가열하여 용접할 수 있다.
  3. 용접에 지장을 주는 슬래그는 제거한다.
  4. 기둥, 보 접합부에 설치한 앤드탭은 반드시 절단하여야 한다.
(정답률: 36%)
  • 기온이 -5∼5℃인 경우에는 접합부로부터 100mm 범위의 모재 부분을 적절하게 가열하여 용접할 수 있다. -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용접이 어렵기 때문에 용접해서는 안되지만, 기온이 -5∼5℃인 경우에는 모재 부분을 가열하여 용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탑다운(top down) 공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1층 바닥을 조기에 완성하여 작업장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지하⋅지상을 동시에 시공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3. 소음⋅진동⋅주변구조물의 침하의 우려가 크다.
  4. 기둥 등 수직부재의 구조이음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정답률: 61%)
  • "소음⋅진동⋅주변구조물의 침하의 우려가 크다."는 탑다운 공법의 장단점 중 하나로서 옳은 설명이다. 이는 상부부하가 큰 구조물을 건설할 때 하부공사를 먼저 진행하면서 상부공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으로, 하부공사가 완료되기 전에 상부공사를 진행하면 하부구조물에 대한 부하가 상부로 전달되어 소음, 진동, 주변구조물의 침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탑다운 공법을 사용할 때는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순서로 옳은 것은?

  1. 소요강도결정-배합강도결정-물시멘트비결정-시멘트강도 결정-슬럼프값결정-굵은골재최대치수결정-잔골재율 결정-단위수량결정-시방배합산출 및 조정-현장배합
  2. 소요강도결정-배합강도결정-시멘트강도결정-물시멘트비 결정-슬럼프값결정-굵은골재최대치수결정-잔골재율 결정-단위수량결정-시방배합산출 및 조정-현장배합
  3. 소요강도결정-배합강도결정-시멘트강도결정-슬럼프값 결정-물시멘트비결정-굵은골재최대치수결정-잔골재율 결정-단위수량결정-시방배합산출 및 조정-현장배합
  4. 소요강도결정-배합강도결정-시멘트강도결정-물시멘트비 결정-슬럼프값결정-잔골재율결정-굵은골재최대치수 결정-단위수량결정-시방배합산출 및 조정-현장배합
(정답률: 48%)
  •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요강도 결정
    2. 배합강도 결정
    3. 시멘트 강도 결정
    4. 물시멘트비 결정
    5. 슬럼프값 결정
    6. 굵은 골재 최대치수 결정
    7. 잔골재 율 결정
    8. 단위 수량 결정
    9. 시방 배합 산출 및 조정
    10. 현장 배합

    이 순서대로 진행하여 적절한 강도와 물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현장에서 적절하게 배합하여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E 콘크리트 공기량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E제를 넣을수록 공기량은 증가한다.
  2. AE 공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한다.
  3. AE 공기량은 진동을 주면 증가한다.
  4. AE 공기량은 모래의 입도에 의한 영향이 있다.
(정답률: 29%)
  • AE 공기량은 진동을 주면 증가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E 공기량은 콘크리트 혼합물에 AE제를 첨가함으로써 증가합니다. AE제는 고체 입자가 아닌 액체 상태로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되며, 혼합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안정화시켜 공기량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AE 공기량은 AE제의 첨가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진동은 콘크리트 혼합물 내부의 기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이는 AE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은 아닙니다. 따라서 AE 공기량은 진동을 주어도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보통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량은 염소이온량으로서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0.2 kg/m3
  2. 0.3 kg/m3
  3. 0.4 kg/m3
  4. 0.6 kg/m3
(정답률: 57%)
  •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량이 많으면 강철근이 부식되어 구조물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염화물량을 제한합니다. 이때, 염화물량은 염소이온량으로서 0.3 kg/m3 이하로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수치는 국내외 기준에서도 비슷하게 적용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염화물량을 측정하는 방법도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경량콘크리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중이 적고 건물중량이 경감된다.
  2. 강도가 적다.
  3. 건조수축이 적다.
  4. 내화성이 크고 열전도율이 적으며 방음효과가 크다.
(정답률: 22%)
  • 답: 강도가 적다.

    경량콘크리트는 자중이 적어 건물중량을 경감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내화성이 크고 열전도율이 적어 방음효과가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건조수축이 적어 건축물의 변형이 적고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강도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서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어스 오거(earth auger) 공법 - 말뚝지정 공사
  2. 언더 피닝(under pinning) 공법 - 철골 공사
  3. 올 케이싱(all casing) 공법 - 제자리콘크리트말뚝 공사
  4. 콤포우저(vibro composer) 공법 - 지반개량 공사
(정답률: 43%)
  • 언더 피닝(under pinning) 공법 - 철골 공사는 지반 보강을 위한 공법이고,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지반에 말뚝을 박는 공법이므로 서로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잡석지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잡석지정은 손달고, 몽둥달고 등의 기구와 래머 등의 기계를 사용한다.
  2. 지름 15∼30cm 정도의 잡석을 깔고 사춤자갈, 쇄석등으로 틈새를 메운다.
  3. 잡석은 눕혀서 깔고 충분히 다진다.
  4. 잡석지정은 견경한 자갈층, 굳은 사층, 견고한 롬(loam)층 등에서는 실시하지 않는다.
(정답률: 32%)
  • 잡석지정은 손달고, 몽둥달고 등의 기구와 래머 등의 기계를 사용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님)

    잡석은 눕혀서 깔고 충분히 다진다. 이유는 잡석이 세워져 있으면 흙이 잡석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지면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잡석을 눕혀서 깔고 충분히 다지면 지면이 안정화되어 건축물의 기초가 더 튼튼해진다.

    잡석지정은 견경한 자갈층, 굳은 사층, 견고한 롬(loam)층 등에서는 실시하지 않는다. (이 설명이 맞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네트워크 공정표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개개의 작업 관련이 도시되어 있어 프로젝트 전체 및 부분파악이 쉽다.
  2. 작업순서 관계가 명확하여 공사담당자간의 정보전달이 원활하다.
  3. 네트워크 기법의 표시상 제약으로 작업의 세분화 정도에는 한계가 있다.
  4.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용하기 쉽다.
(정답률: 60%)
  •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용하기 쉽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공정표가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질시험 중 흙속에 수분이 거의 없고 바삭바삭한 상태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은?

  1. 함수비시험
  2. 소성한계시험
  3. 액성한계시험
  4. 압밀시험
(정답률: 62%)
  • 소성한계시험은 흙의 바삭바삭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이다. 이 시험에서는 흙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그 후에 흙을 압축하여 바삭바삭한 정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이 시험이 흙속에 수분이 거의 없고 바삭바삭한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다른 보기인 함수비시험, 액성한계시험, 압밀시험은 각각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급계약 방식 중 주문받은 건설업자가 대상계획의 기업⋅금융, 토지조달, 설계, 시공, 기계기구 설치 등 주문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조달하여 주문자에게 인도하는 도급계약 방식은?

  1. 공동도급
  2. 실비정산 보수가산도급
  3. 턴키(turn-key)도급
  4. 일식도급
(정답률: 78%)
  • 턴키도급은 주문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건설업자가 조달하여 인도하는 도급계약 방식이다. 따라서 주문자는 건설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건설업자에게 맡길 수 있으며, 건설업자는 설계, 시공, 기계기구 설치 등 모든 과정을 책임지고 완성된 시설물을 인도한다. 이에 반해 공동도급은 여러 건설업자가 협력하여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방식이며, 실비정산 보수가산도급은 일정 금액 이상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경우 그 비용을 주문자가 부담하는 방식이다. 일식도급은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비, 인건비 등을 건설업자가 부담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현장에서의 시공 준비사항 중 대지상황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대지 상황확인의 내용 중 가장적절치 않은 것은?

  1. 공사가 착공되면 바로 대지경계선을 확인하고 표시나 사진을 남긴다.
  2. 대지의 형상 및 높이를 설계도와 대비하여 실측하고 벤치마크(Bench Mark)를 설치한다.
  3. 공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하매설물이나 지상 장애물을 조사한다.
  4. 지질조사가 충실한지를 확인하고 지층의 경사, 지하수 등의 자료를 조사한다.
(정답률: 56%)
  • 정답: "공사가 착공되면 바로 대지경계선을 확인하고 표시나 사진을 남긴다."

    이유: 대지경계선을 확인하고 표시하는 것은 공사가 시작되기 전에 해야하는 작업이며, 공사가 착공된 후에는 이미 대지경계선이 확인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대지 상황확인의 내용 중 가장 적절치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 초기 동해의 방지에 필요한 압축강도는 얼마 정도가 초기 양생기간 내에 얻어지도록 정하는가?

  1. 50kgf/cm2
  2. 100kgf/cm2
  3. 150kgf/cm2
  4. 200kgf/cm2
(정답률: 25%)
  • 초기 양생기간 내에 콘크리트가 동해의 파도에 견디기 위해서는 압축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초기 양생기간은 28일 이내이며, 이 기간 내에 압축강도가 50kgf/cm2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kgf/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오토클레이브 양생으로 만들어지는 콘크리트제품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내약품성이 증대 된다.
  2. 용적변화가 적다.
  3. 고강도를 만들므로 양생시간이 오래 걸린다.
  4. 백화의 발생이 적다.
(정답률: 53%)
  • 오토클레이브 양생으로 만들어지는 콘크리트 제품은 고강도를 만들기 때문에 양생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이 완료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거푸집공사에서 사회, 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른 합리적인 공법으로의 발전방향이 아닌 것은?

  1. 부재의 경량화
  2. 거푸집의 소형화
  3. 설치의 단순화
  4. 높은 전용회수
(정답률: 40%)
  • 거푸집의 소형화는 거푸집공사에서 사회, 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른 합리적인 공법으로의 발전방향이 아닙니다. 이는 건축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거푸집의 소형화는 건축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철골공사의 불량용접의 용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언더컷
  2. 오버랩
  3. 콜드조인트
  4. 블로우홀
(정답률: 65%)
  • 콜드조인트는 용접 부위의 온도가 충분하지 않아 용접재가 제대로 녹지 않은 상태에서 용접을 마치는 경우 발생하는 불량용접으로, 다른 용어들은 모두 용접 부위의 겹쳐지는 방식이나 용접 부위의 깊이 등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반조사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터파보기
  2. 물리적 탐사법
  3. 우물통 공법
  4. 지내력시험
(정답률: 52%)
  • 우물통 공법은 지하수를 채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반 조사 방법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반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축생산 조직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CM은 시공자가 직접 공사의 타당성조사, 설계, 시공, 사용 등을 포함하는 건설공사 전 과정을 조정하는 것이다.
  2. EC화는 종래의 단순한 시공업과 비교하여 건설사업 전반에 걸쳐 종합, 기획, 관리하는 업무 영역의 확대를 말한다.
  3. 발주자와 직접 공사계약을 하는 업자를 하도급자 라고 한다.
  4. 감리자란 시공자의 위탁을 받아 공사의 시공과정을 검사⋅승인하는 자를 말한다.
(정답률: 20%)
  • EC화는 건설사업 전반에 걸쳐 종합, 기획, 관리하는 업무 영역의 확대를 말한다. 이는 종래의 단순한 시공업과 비교하여 더 많은 업무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재료 실험명과 실험기구가 옳게 짝지어진 것이 아닌 것은?

  1. 공기량 측정 - 워싱턴 미터
  2. 마모도 측정시험 - 로스앤젤레스 시험기
  3. 시멘트 비중시험 - 워세크리터
  4. 분말도 시험 - 블레인 공기투과 장치
(정답률: 29%)
  • 시멘트 비중시험은 비중을 측정하는 실험이므로 워세크리터와 짝지어져야 하지만, 워세크리터는 마모도 측정시험에 사용되는 기구이므로 옳지 않은 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학

61. 충분히 건조되고 질긴 삼, 어저귀, 종려털 또는 마닐라 삼을 쓰며, 바름벽이 바탕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라프코트(rough coat)
  2. 수염
  3. 리신바름(lithin coat)
  4. 테라조바름
(정답률: 25%)
  • 수염은 충분히 건조되고 질긴 삼, 어저귀, 종려털 또는 마닐라 삼으로 만들어진 바름벽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름벽이 바탕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유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리는 전기의 불량도체로 표면의 습도가 크면 클수록 그 저항이 커진다.
  2. 염산, 황산, 질산 등에는 침식되지 않지만 약한 산에는 서서히 침식된다.
  3. 일반판유리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거의 없으나 자외선 영역의 투과율은 높다.
  4. 강화유리는 강도가 보통유리의 3~5배 정도이며, 파괴 될 때도 안전하다.
(정답률: 27%)
  • 일반판유리는 가시광선의 파장이 짧아 투과율이 거의 없지만, 자외선 영역의 파장은 더 길어 투과율이 높다. 이는 유리의 분자 구조와 관련이 있다. 유리는 주로 규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규산염 분자 구조가 자외선 영역의 파장과 잘 맞아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미장용 석고 플라스터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초기에 경화반응이 느리다.
  2.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 경화한다.
  3. 경화와 함께 팽창하기 때문에, 균열의 발생이 크다.
  4.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화성이 있다.
(정답률: 37%)
  • 미장용 석고 플라스터는 초기에 경화반응이 느리지만,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경화하며, 경화와 함께 팽창하기 때문에 균열의 발생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열하면 결정수를 방출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화성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유리섬유로 보강하여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수지는?

  1. 폴리염화비닐수지
  2. 폴리카보네이트
  3. 폴리에틸렌수지
  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정답률: 60%)
  • 유리섬유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수지가 유리섬유와 잘 결합하고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지 중 하나로, FRP 제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목재의 방부제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PCP는 유용성 방부제로 방부력이 우수하다.
  2. 황산동 1% 용액은 수용성 방부제로 철을 부식시킨다.
  3. 크레오소트 오일은 방부력이 우수하고 악취가 없으나 독성이 많아 인체에 유해하다.
  4. 유성 페인트를 칠하면 방습, 방부효과가 있다.
(정답률: 38%)
  • 크레오소트 오일은 방부력이 우수하고 악취가 없으나 독성이 많아 인체에 유해하다는 것이 옳지 않은 기술이다. 이유는 크레오소트 오일은 방부력이 우수하고 악취가 없으며,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인체에 유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비철금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석은 융점이 낮고 주조성, 단조성이 좋아 각종 금속과 합금이 유리하다.
  2. 니켈은 구조용 특수강, 스테인레스강, 내열강 등의 합금원소로서 많이 사용된다.
  3. 알루미늄은 상온에서 판, 선으로 압연가공하면 경도와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연신율이 증가한다.
  4. 동은 연성이고 가공성이 풍부하여 판재, 선 등으로 만들기가 용이하고, 냉간가공으로 적당한 강도를 낼 수 있다.
(정답률: 53%)
  • "알루미늄은 상온에서 판, 선으로 압연가공하면 경도와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연신율이 증가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알루미늄은 상온에서 압연가공하면 결정구조가 변화하여 결정정렬이 일어나고 결정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경도와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연신율이 증가한다. 이는 열간가공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발포제로서 보드상으로 성형하여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며 건축벽 타일, 천장재, 전기용품, 냉장고 내부상자 등에 쓰이는 열가소성 수지는?

  1. 폴리스티렌 수지
  2. 멜라민 수지
  3. 페놀 수지
  4. 실리콘 수지
(정답률: 45%)
  • 폴리스티렌 수지는 발포제로서 보드상에서 성형이 용이하고 열가소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며 건축벽 타일, 천장재, 전기용품, 냉장고 내부상자 등에 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폴리스티렌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블론아스팔트를 용제에 녹인 것으로 액상을 하고 있으며 아스팔트 방수의 바탕 처리재로 이용되는 것은?

  1. 아스팔트 콤파운드
  2. 아스팔트 프라이머
  3. 아스팔트 유제
  4.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정답률: 64%)
  • 블론아스팔트는 용제에 녹여 액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바탕 처리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탕재와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아스팔트 프라이머입니다.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바탕재에 먼저 발라주어 접착력을 높여주고, 그 위에 아스팔트 방수재를 발라줍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아스팔트 방수재의 바탕 처리재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불림하거나 담금질한 강을 다시 200~600℃로 가열한 후 공기중에서 냉각하는 처리를 말하며, 경도를 감소시키고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연성과 인성을 크게 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은?

  1. 뜨임질
  2. 고정
  3. 풀림
  4. 단조
(정답률: 50%)
  • 뜨임질은 강을 다시 가열하고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강의 경도를 감소시키고 내부응력을 제거하여 연성과 인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이는 강을 더욱 가공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과정으로, 강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떤 목재의 전건비중을 측정해 보았더니 0.77 이었다. 이 목재의 공극율은?

  1. 25%
  2. 37.5%
  3. 50%
  4. 75%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콘크리트의 블리딩 및 침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가 클수록 블리딩 및 침하는 증대한다.
  2. A.E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하여 블리딩 현상 및 침하량이 적다.
  3. 블리딩 현상에 의해 떠오른 미립물이 침적된 것을 레이턴스라 한다.
  4. 타설높이가 높을수록 침하의 절대량은 작아지나, 침하량의 비율은 커진다.
(정답률: 82%)
  • "타설높이가 높을수록 침하의 절대량은 작아지나, 침하량의 비율은 커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타설높이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압축성이 커지기 때문에 침하량이 적어지고, 따라서 침하량의 비율도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납(Pb)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선의 투과도가 낮아 건축에서 방사선 차폐용 벽체에 이용된다.
  2. 비중이 11.4로 아주 크고 연질이며 전ㆍ연성이 크다.
  3. 콘크리트 중에 매입할 경우 적당히 표면을 피복할 필요가 있다.
  4. 증류수에 용해가 되지 않으나 인체에 유독하여 수도관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9%)
  • "증류수에 용해가 되지 않으나 인체에 유독하여 수도관에는 사용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납은 인체에 유독하지만, 수도관에는 사용되어왔다. 최근에는 납이 녹슬어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여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납 수도관을 교체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석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리석은 강도가 매우 높지만 내화성이 낮고 풍화되기 쉬우며 산에 약하기 때문에 실외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2. 점판암은 박판으로 채취할 수 있으므로 슬레이트로서 지붕 등에 사용된다.
  3. 화강암은 견고하고 대형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외장 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4. 응회암은 화성암의 일종으로 내화벽 또는 구조재 등에 쓰인다.
(정답률: 50%)
  • 화성암은 산화성 환경에서 형성되는 암석으로, 응회암은 화성암의 일종이 아니라 침전암 중 하나로, 내화벽이나 구조재 등에 쓰인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응회암은 화성암의 일종으로 내화벽 또는 구조재 등에 쓰인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콘크리트의 골재 분리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잔골재율을 증가시킨다.
  2. 물시멘트비를 크게한다.
  3. 표면 활성제를 사용한다.
  4.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50%)
  • 콘크리트의 골재 분리현상은 골재와 시멘트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이 원인입니다. 따라서 물시멘트비를 크게 한다는 것은 시멘트의 양을 늘리는 것이므로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물시멘트비를 크게한다."는 가장 부적당한 대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포틀랜드시멘트의 일반적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성분은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이다.
  2. 비중은 3.10~3.20 정도이며 단위용적중량은 일반적으로 1500kg/m3 이다.
  3. 분말도는 작을수록 수화작용이 촉진되고 응결이 빠르나 초기강도는 작아진다.
  4. 백색포틀랜드시멘트는 알루민산철3석회를 극히 적게하여 백색을 띤 시멘트이다.
(정답률: 42%)
  • "분말도는 작을수록 수화작용이 촉진되고 응결이 빠르나 초기강도는 작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분말도가 작을수록 초기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분말이 더 잘 혼합되어 수화작용이 더욱 균일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콘크리트용 골재에 관한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

  1. 골재 중의 유기불순물로서는 후민산과 탄닌산을 들수 있다.
  2. 부순돌은 실적률이 크고 콘크리트에 사용될 때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3. 절건상태의 중량을 골재의 체적으로 나눈 값이 절건비중이다.
  4. 콘크리트 골재의 형상은 구(球)에 가까우면서 그 표면이 거친것이 좋다.
(정답률: 37%)
  • 부순돌은 실적률이 크고 콘크리트에 사용될 때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이유는 부순돌은 균일한 크기로 파쇄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데에 효과적이며, 또한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부순돌은 적당한 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나타낸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컨시스턴시(Consistency) -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의한 콘크리트 반죽의 질기
  2.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콘크리트의 부어넣기 작업시의 작업 난이도 및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
  3.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등에 따른 마무리 작업의 난이도
  4.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 콘크리트를 펌핑하여 부어 넣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의 펌핑성
(정답률: 39%)
  • 옳지 않은 것은 "컨시스턴시(Consistency) -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의한 콘크리트 반죽의 질기"이다.

    플라스티시티(Plasticity)는 콘크리트의 성질 중 하나로, 콘크리트가 변형 가능한 능력을 의미한다. 즉, 콘크리트가 유동성이 있어서 부드럽게 흐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컨시스턴시(Consistency)는 콘크리트 반죽의 물의 양에 따라 콘크리트의 질감이 결정되는 성질이다. 물의 양이 적으면 콘크리트가 굳어지기 어렵고, 물의 양이 많으면 콘크리트가 부서지기 쉬워진다.

    워커빌리티(Workability)는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작업시의 작업 난이도와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성질이다.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는 콘크리트의 마무리 작업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성질이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등에 따라 마무리 작업의 난이도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목재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활엽수는 일반적으로 침엽수에 비해 단단한 것이 많아 경재(硬材)라 부른다.
  2. 인장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에 수직인 경우에 최대가 된다.
  3. 불에 타는 단점이 있으나 열전도도가 아주 낮아 여러가지 보온재료로 사용된다.
  4. 섬유포화점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도 불구하고 신축을 일으키지 않는다.
(정답률: 36%)
  • "섬유포화점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도 불구하고 신축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인장강도는 섬유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최대가 된다는 것은 목재의 내구성과 관련된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이는 목재의 섬유 구조 때문인데, 섬유 방향에 따라 강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재를 사용할 때는 이러한 섬유 구조를 고려하여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타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 및 내장타일은 건식법, 외장 타일은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다.
  2. 바닥타일, 외부타일로는 주로 도기질 타일이 사용된다.
  3. 내부벽용 타일은 흡수성과 마모저항성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미려하고 위생적인 것을 선택한다.
  4. 타일은 경량, 내화, 형상과 색조의 자유로움 등의 우수한 특성이 있다.
(정답률: 35%)
  • "바닥타일, 외부타일로는 주로 도기질 타일이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바닥타일, 외부타일로는 주로 세라믹 타일이 사용된다."이다. 도기질 타일은 주로 벽면에 사용되며, 바닥이나 외부에서는 내구성이 높은 세라믹 타일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속빈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블록은 겉모양이 균일하고 비틀림, 해로운 균열 또는 홈 등이 없어야 하다.
  2. 종 블록은 전 단면적에 대한 압축강도가 . C 8N/mm2 이상이어야 한다.
  3. 기본 블록의 치수 허용차는 ±5mm 이다.
  4. 기본 블록의 두께의 치수로는 190mm, 150mm, 100mm가 있다.
(정답률: 12%)
  • "기본 블록의 치수 허용차는 ±5mm 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속빈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 허용차는 제조규격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3mm 이하이지만,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안전기술

81. 다음의 보기 중 철골공사를 중지하여야 하는 기준에 따라 공사를 중지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1. 풍속이 6m/sec인 경우
  2. 풍속이 9m/sec인 경우
  3. 강우량이 0.5mm/hr인 경우
  4. 강우량이 1.3mm/hr인 경우
(정답률: 73%)
  • 강우량이 1.3mm/hr인 경우는 철골공사를 중지하여야 하는 기준 중 하나인 비의 양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는 비가 공사 현장에 충분히 적게 내리면 공사를 계속할 수 있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비가 내리면 공사를 중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우량이 1.3mm/hr 이상인 경우에는 철골공사를 중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1. 습지 - 1:1 ∼ 1:1.5
  2. 건지 - 1:0.5 ∼ 1:1
  3. 풍화암 - 1:0.5
  4. 경암 - 1:0.3
(정답률: 50%)
  • 풍화암의 기울기 기준이 잘못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풍화암의 기울기 기준은 1:1 이상이어야 합니다. 1:0.5는 너무 가파른 기울기이기 때문에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타워크레인의 구조 명칭이 아닌 것은?

  1.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2. 에이프런(apron)
  3. 지브(jib)
  4. 마스트(mast)
(정답률: 64%)
  • 에이프런(apron)은 타워크레인의 구조 명칭이 아닙니다. 에이프런은 타워크레인의 기반 부분으로, 크레인이 설치되는 바닥 부분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타워크레인의 구조 명칭 중 하나씩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산소결핍에 의한 재해의 예방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시작 전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2. 공기호흡기 등의 필요한 보호구를 작업 전에 점검한다.
  3. 산소결핍장소에서는 공기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한다.
  4. 산소결핍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산소농도가 10%이상 유지되도록 한다.
(정답률: 73%)
  • "산소결핍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산소농도가 10%이상 유지되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산소농도가 19.5% 이상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유는 인체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9.5% 이상의 산소농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사다리식 통로를 설치하는 때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견고한 구조일 것
  2. 발판의 간격은 동일할 것
  3.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적당한 간격을 유지할 것
  4. 5m 이상일 경우에는 3m 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정답률: 60%)
  • 5m 이상의 높이에서는 계단참을 설치하지 않으면 사다리식 통로를 오르내리는 도중에 넘어질 경우 큰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3m 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5m 이상일 경우에는 3m 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은 옳은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가설통로의 구조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2. 높이가 2m 미만인 경우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할 때 경사는 30도를 초과할 수 있다.
  3.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때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4. 높이 10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8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정답률: 64%)
  • "높이 10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8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이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너무 자주 계단참을 설치하게 되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작업자들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으며, 안전에도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10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계단참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높이는 10m 이내마다 설치할 것
  2. 내민길이는 벽면으로부터 2m 이상으로 할 것
  3. 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내지 30도 유지할 것
  4. 방지망과 방지망 사이의 틈은 3cm 이내로 할 것
(정답률: 58%)
  • 방지망과 방지망 사이의 틈이 너무 크면 물체가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틈을 최소화하여 물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깊은 기초인 케이슨(Caisson) 기초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우물통 기초(Open caisson)
  2. 공기케이슨 기초(Pneumatic caisson)
  3. 상자형 케이슨 기초(Box caisson)
  4. 피어 기초(Pier caisson)
(정답률: 36%)
  • 피어 기초는 케이슨 기초가 아니라 다리나 구조물의 기둥을 지탱하기 위한 기초 방식 중 하나이다. 즉, 케이슨 기초의 종류가 아니다. 케이슨 기초는 지반에 구멍을 파고 그 안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지지력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차량계 건설기계의 작업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차량계 건설기계의 제작 비용
  2.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3.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4.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정답률: 73%)
  • 차량계 건설기계의 제작 비용은 이미 제작된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계획에 포함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작업계획은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세부사항을 포함해야 하므로, 이미 제작된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작 비용은 작업계획에 포함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차량계 건설기계의 제작 비용"은 작업계획에 포함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연약한 점토층을 굴착하는 경우 흙막이 지보공을 견고히 조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 불룩하게 융기되는 형상은?

  1. 보일링(boiling)
  2. 히빙(heaving)
  3. 드레인(drain)
  4. 펌핑(pumping)
(정답률: 77%)
  • 연약한 점토층에서 굴착 작업을 하면서 흙막이 지보공을 견고히 조립해도, 흙막이 바깥쪽에 있는 흙이 내부로 밀려들어 융기되는 현상을 히빙(heav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지하수나 비가 많이 내려서 흙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 발생하는데, 흙막이 지하수나 비로 인해 적시에 유출되지 못하고 쌓이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건축물의 안정성을 해치므로, 굴착 작업 전에 지반 조사를 철저히 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터널작업 중 낙반 등에 의한 위험방지를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1. 터널지보공 설치
  2. 록볼트 설치
  3. 부석의 제거
  4. 산소의 측정
(정답률: 65%)
  • 산소의 측정은 낙반 등에 의한 위험방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취할 수 있는 조치사항이 아니다. 산소의 측정은 작업장 내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학물질 누출 등으로 인한 유해가스 발생 시에도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양중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크레인
  2. 곤돌라
  3. 항타기
  4. 리프트
(정답률: 74%)
  • 양중기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기계를 말하는데, 항타기는 양중기가 아닙니다. 항타기는 선박을 수리하거나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기계로, 양중기와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강관 비계 기둥간의 적재 하중은 몇 kg을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1. 100kg
  2. 200kg
  3. 300kg
  4. 400kg
(정답률: 77%)
  • 강관 비계 기둥간의 적재 하중은 안전을 위해 400k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강관 비계 기둥간의 강도와 안정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따라서, 400kg을 초과하는 하중을 올리면 강관 비계 기둥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가설구조물이 갖추어야 할 구비요건이 아닌 것은?

  1. 영구성
  2. 경제성
  3. 작업성
  4. 안전성
(정답률: 80%)
  • 가설구조물이 갖추어야 할 구비요건 중에서 "영구성"은 아닙니다. 가설구조물은 일정 기간 동안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영구성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다만, 안전성, 경제성, 작업성은 반드시 갖추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비계의 안전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재료는 손상, 변형, 부식 등이 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2.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는 3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3. 부재의 접속부, 교차부는 확실하게 연결해야 한다.
  4. 폭풍, 폭우 후에는 손상여부와 각 부분의 연결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정답률: 49%)
  •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는 3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는 3본 이상 이어서 사용해야 안전하다. 파이프서포트는 비계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 파이프를 지지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파이프서포트는 충분한 강도와 안정성을 갖추어야 하며, 3본 이상 이어서 사용함으로써 파이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굴착공사에서 굴착 높이가 5m, 굴착 기초면의 폭이 5m인 경우 양단면 굴착을 할 때 상부의 폭은? (단, 굴착구배는 1:1로 한다.)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률: 56%)
  • 양단면 굴착을 할 경우, 굴착면이 중앙에서 만나는 지점에서 굴착 높이와 굴착 기초면의 폭이 같아진다. 따라서 중앙에서 굴착 높이와 굴착 기초면의 폭이 각각 5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굴착면의 기울기인 굴착구배를 계산할 수 있다. 굴착구배가 1:1이므로, 굴착면의 기울기는 45도이다. 이때, 굴착면의 상부 폭은 굴착면의 하부 폭과 같은 길이의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가 된다. 이 직각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는 각각 5m이므로, 상부 폭은 5√2m이 된다. 이를 근사하여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상부 폭은 약 7.1m이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5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달비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려고 한다. 달비계에 사용되는 달기와이어로프 및 달기강선의 안전계수는?

  1. 5 이상
  2. 7 이상
  3. 8 이상
  4. 10 이상
(정답률: 38%)
  • 달비계는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사용되는 달기와이어로프 및 달기강선의 안전계수는 높아야 합니다. 안전계수는 장비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과 실제 사용되는 하중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장비의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달비계에 사용되는 달기와이어로프 및 달기강선의 안전계수는 "10 이상" 이어야 합니다. 이는 높은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더 낮은 안전계수를 가진 장비는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수중굴착 및 구조물의 기초바닥, 잠함 등과 같은 협소하고 깊은 범위의 굴착과 호퍼작업에 가장 적합한 건설장비는?

  1. 크램셀(clam shell)
  2. 파워쇼벨(power shovel)
  3. 불도저(bulldozer)
  4. 항타기(pile driver)
(정답률: 60%)
  • 크램셀은 크레인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크레인의 기계팔을 이용하여 수중굴착 및 구조물의 기초바닥, 잠함 등과 같은 협소하고 깊은 범위의 굴착과 호퍼작업에 가장 적합한 건설장비입니다. 크램셀은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며, 작업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크램셀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크램셀은 수중굴착 및 협소한 공간에서의 굴착 작업에 가장 적합한 건설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하역운반기계의 운전자가 위치를 이탈할 경우 지켜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원동기를 정지시킬 것
  2. 하역장치를 가장 낮은 위치에 둘 것
  3. 점멸등을 반드시 작동 시킬 것
  4. 브레이크는 확실히 걸어둘 것
(정답률: 44%)
  • 점멸등은 운전자가 위치를 이탈할 경우 다른 작업자들이 운전자가 작업 중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점멸등을 작동시키지 않으면 다른 작업자들이 운전자가 작업 중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으므로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점멸등을 반드시 작동시킬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철도의 위를 가로질러 횡단하는 콘크리트 고가교가 노후화되어 이를 해체하려고 한다. 철도의 통행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고 해체하는데 가장 적당한 해체용 기계ㆍ기구는?

  1. 철제해머
  2. 압쇄기
  3. 핸드브레이커
  4. 절단기
(정답률: 47%)
  • 콘크리트 고가교를 해체할 때는 철도의 통행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게 콘크리트를 자를 수 있는 기계가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계는 절단기이다. 절단기는 회전하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정확하게 자를 수 있으며, 작업 시간도 짧고 작업 공간도 적게 차지하기 때문에 철도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