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건설안전산업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재해발생 형태별 분류 가운데 물건이 주체가 되어 사람이 상해를 입는 경우에 해당 되는 것은?

  1. 추락
  2. 전도
  3. 낙하・비래
  4. 충돌
(정답률: 71%)
  • 낙하・비래는 물체가 떨어져서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물건이 주체가 되어 사람이 상해를 입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낙하・비래입니다. 추락은 사람이 떨어지는 경우, 전도는 전기가 흐르는 경우, 충돌은 물체끼리 부딪치는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에너지 대사율(RMR)이 높은 작업의 경우 사고예방 대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작업시간의 연장
  2. 휴식시간의 증가
  3. 임금의 증액
  4. 작업강도의 증가
(정답률: 75%)
  • 에너지 대사율(RMR)이 높은 작업은 체력 소모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지치고 피로해지기 쉽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하면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휴식시간을 증가시켜 작업자들의 피로를 줄이고, 작업 중에도 적극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책입니다. 작업시간의 연장이나 작업강도의 증가는 작업자들의 체력을 더 많이 소모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사고 발생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임금의 증액은 작업자들의 동기부여에는 도움이 되지만, 사고 예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우선 평행의 호를 보고 이어 직선을 본 경우에 직선은 호와의 반대방향에 보이는 착시현상은?

  1. 동화착오
  2. 분할착오
  3. 윤곽착오
  4. 방향착오
(정답률: 45%)
  • 이는 "윤곽착오"이다. 평행한 두 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착시 현상으로, 두 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선이 꺾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는 뇌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실제로는 선이 꺾이지 않고 직선으로 이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안전대책의 중심적인 내용인 3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Engineering
  2. Exchange
  3. Education
  4. Enforcement
(정답률: 74%)
  • 3E는 Engineering, Education, Enforcement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xchange는 이 중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Exchange는 교환 또는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안전대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사고의 직접원인은 어느 것인가?

  1. 개인적 결함
  2. 사회적 결함
  3. 유전적 요소
  4. 불안전한 상태
(정답률: 61%)
  • 정답은 "불안전한 상태"이다. 이는 사고가 발생한 원인이 사고가 일어난 장소나 시스템 등이 안전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건물의 구조적 결함이나 기계의 고장 등이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람들이 일하거나 활동하다 보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생산의 양과 질의 저하를 지표로 하여 알 수 있는 피로는?

  1. 주관적 피로
  2. 생리적 피로
  3. 정신적 피로
  4. 객관적 피로
(정답률: 36%)
  • 객관적 피로는 생산성이 감소하고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이는 객관적인 측정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관적 피로는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이며, 생리적 피로는 신체적인 피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고, 정신적 피로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로의 측정방법 3가지가 아닌 것은?

  1. 생리학적 측정
  2. 물리학적 측정
  3. 생화학적 측정
  4. 심리학적 측정
(정답률: 23%)
  • 물리학적 측정은 피로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피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생리학적 측정, 생화학적 측정, 심리학적 측정 등이 있습니다. 물리학적 측정은 피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물리적인 측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몸의 온도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은 물리학적 측정이지만, 이는 피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재해방지 기본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대책 선정의 원칙
  2. 손실 우연의 원칙
  3. 예방 가능의 원칙
  4. 통계 방법의 원칙
(정답률: 73%)
  • 정답: "통계 방법의 원칙"

    설명: 재해방지 기본원칙은 대책 선정의 원칙, 손실 우연의 원칙, 예방 가능의 원칙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통계 방법의 원칙"은 재해방지 기본원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통계적 분석이나 모델링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재해를 예측하거나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것이 항상 정확하거나 완벽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계 방법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다른 원칙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중규모 사업장에 가장 적합한 안전조직은?

  1. 참모식 조직
  2. 라인식 조직
  3. 위원회 조직
  4. 라인 및 참모 혼합식 조직
(정답률: 63%)
  • 중규모 사업장에서는 참모식 조직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작은 규모의 조직에서는 라인식 조직이 효과적이지만, 중규모 사업장에서는 참모식 조직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이유는 중규모 사업장에서는 다양한 부서와 업무가 존재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참모식 조직이 필요합니다. 참모식 조직은 각 부서와 업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인력들이 모여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구조로, 중규모 사업장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안전표지 중 들것, 비상구, 응급구호표지를 나타내는 색은?

  1. 적색
  2. 황색
  3. 녹색
  4. 주황색
(정답률: 75%)
  • 녹색은 안전과 관련된 색상으로, 들것, 비상구, 응급구호표지와 같은 표지에 사용됩니다. 이는 녹색이 안전과 보호를 상징하는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녹색은 눈에 잘 띄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표지에 적합한 색상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안전교육에서 3가지 기본교육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전지식교육
  2. 안전기능교육
  3. 안전태도교육
  4. 안전실시교육
(정답률: 68%)
  • 안전실시교육은 실제로 안전에 대한 훈련을 받는 것으로, 이는 기본적인 안전교육이 아닌 실제적인 안전교육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안전지식교육, 안전기능교육, 안전태도교육은 모두 기본적인 안전교육에 해당되지만, 안전실시교육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3가지 요소(기둥)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최고 경영자의 경영자세
  2. 직장 자주 활동의 활발화
  3. 라인 관리자에 의한 안전보건 추진
  4. 직장 상, 하간의 체계확립 및 명령이행
(정답률: 57%)
  • "직장 상, 하간의 체계확립 및 명령이행"은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요소 중에서는 아닙니다. 이유는 이것은 단순히 조직 내에서의 명령 체계와 실행에 관한 것으로,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는데 있어서는 중요하지만, 그 자체로는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육훈련 방법 중 강의식 교육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한번에 많은 사람이 지식을 부여받는다.
  2. 참가자가 능동적으로 참가한다.
  3. 시간의 계획과 통제가 용이하다.
  4.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정답률: 68%)
  • 강의식 교육은 대규모 참가자들에게 효과적이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참가자들이 능동적으로 참가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강사가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 일방적이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질문하거나 의견을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의식 교육에서는 참가자들이 능동적으로 참가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에서 어떤 한 해의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이 2조원으로 집계되었다. 하인리히의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율을 적용해 볼 때 총 경제적 손실 추정액은 얼마인가?

  1. 4조원
  2. 6조원
  3. 8조원
  4. 10조원
(정답률: 36%)
  • 하인리히의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율은 약 1:2이다. 따라서 직접손실액인 2조원에 간접비를 더한 총 경제적 손실 추정액은 2조원 x 3 = 6조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조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모를 구분할 때, 물체의 낙하 및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안전모는?

  1. A
  2. AB
  3. AE
  4. ABE
(정답률: 43%)
  • 안전모는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 물체의 낙하나 비래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감전으로부터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물체의 낙하 및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는 "A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안전・보건교육 중 채용시 교육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2. 현장 안전개선방법 및 조사방법에 관한 사항
  3.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4.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정답률: 52%)
  • 채용시 교육은 새로 입사한 직원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작업 개시 전 점검,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은 모두 직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내용입니다. 그러나, 현장 안전개선방법 및 조사방법에 관한 사항은 이미 발생한 안전사고나 위험요소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새로 입사한 직원들에게는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내용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라인식 안전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규모가 작은 사업장에 적용된다.
  2. 참모식 조직보다 경제적인 조직이다.
  3. 안전관리 전담 요원을 별도로 지정한다.
  4. 모든 명령은 생산 계통을 따라 이루어진다.
(정답률: 79%)
  • 정답: "모든 명령은 생산 계통을 따라 이루어진다."

    안전조직은 생산 계통과는 별도로 운영되어야 하며, 생산 계통의 명령에 따라 안전조직이 운영되면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전관리 전담 요원을 별도로 지정하는 것은 라인식 안전조직의 특성 중 하나로, 안전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함이다. 규모가 작은 사업장에 적용되며, 참모식 조직보다 경제적인 조직이다는 것도 라인식 안전조직의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강의식 교육지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할당되는 단계는?

  1. 도입단계
  2. 제시단계
  3. 적용단계
  4. 확인단계
(정답률: 61%)
  • 강의식 교육지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할당되는 단계는 "제시단계"입니다. 이는 교육자가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개념, 지식, 기술 등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학습자들은 이 단계에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기 위해 집중하게 되므로, 이 단계에서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일 8시간 연간 300일, 1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는 화학공장이 있다. 1년 동안 8명이 부상 당하는 재해가 발생하여 휴업일수 219일의 손실을 가져왔다면 근로 총 손실일수와 강도율은?

  1. 손실일수 : 160일, 강도율 : 0.91
  2. 손실일수 : 170일, 강도율 : 0.81
  3. 손실일수 : 180일, 강도율 : 0.75
  4. 손실일수 : 219일, 강도율 : 0.91
(정답률: 48%)
  • 근로자 1명이 1년 동안 근무하는 시간은 8시간 x 300일 = 2400시간이다.
    따라서 1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시간은 2400시간 x 100명 = 240,000시간이다.
    재해로 인해 휴업일수는 219일이므로, 근로자들이 일하지 못한 시간은 219일 x 8시간 x 100명 = 175,200시간이다.
    이는 총 근무시간인 240,000시간 중에서 일하지 못한 시간인 175,200시간을 뺀 값이다.
    따라서 근로 총 손실일수는 300일 - (219일/8시간) = 276.375일이다.
    강도율은 일하지 못한 시간인 175,200시간을 총 근무시간인 240,000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강도율 = 175,200시간 / 240,000시간 = 0.75이다.
    따라서 정답은 "손실일수 : 180일, 강도율 : 0.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맥그리거(McGregor)의 인간해석 중 Y 이론의 관리처방은?

  1.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2.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3.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4.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정답률: 45%)
  • 맥그리거의 Y 이론은 직원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일을 수행하고 성취감을 느끼며 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관리자는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을 통해 직원들에게 적극적인 참여와 책임감을 부여해야 합니다. 이는 직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자율적으로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직원들의 창의성과 역량을 높이며, 조직 전체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부품 배치의 4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요도의 높음에 따른 우선 배치
  2. 사용 빈도의 높음에 따른 우선 배치
  3. 기능별에 따른 그룹화
  4. 색깔에 따른 우선 배치
(정답률: 75%)
  • 색깔에 따른 우선 배치는 부품 배치의 4원칙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부품의 중요도, 사용 빈도, 기능별 그룹화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색깔에 따른 우선 배치는 시각적으로 부품을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간과 기계능력에 대한 실용성 한계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인 인간과 기계의 비교가 항상 적용된다.
  2. 상대적인 비교는 항상 변하기 마련이다.
  3. 기능의 수행이 유일한 기준은 아니다.
  4. 최선의 성능을 마련하는 것이 항상 중요한 것은 아니다.
(정답률: 45%)
  • "일반적인 인간과 기계의 비교가 항상 적용된다."는 거리가 가장 먼 보기이다. 이유는 인간과 기계는 서로 다른 능력과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인간은 창의적이고 융통성이 있지만, 실수를 할 수 있고 지치거나 피로해질 수 있다. 반면 기계는 정확하고 일관성이 있지만, 인간과 같은 창의성과 융통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인간과 기계는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안전성 평가의 기법이 아닌 것은?

  1. 위험의 예측 평가
  2. 체크리스트에 의한 평가
  3. 고장 모드 영향분석
  4. 재해정보에 의한 평가
(정답률: 42%)
  • 재해정보에 의한 평가는 이미 발생한 사고나 재해를 바탕으로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예방적인 안전성 평가 기법이 아닙니다. 다른 세 가지 기법은 예방적인 안전성 평가 기법으로, 위험을 예측하거나 체크리스트를 통해 위험을 파악하거나 고장 모드를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촉각적 표시장치에서 기본 정보 수용기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정답률: 81%)
  • 손은 촉각적 표시장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 정보 수용기이다. 이는 손으로 물체의 크기, 모양, 질감 등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손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위 중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정보 수용기에 비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대부분 위치나 구조가 변하는 경향이 있는 요소를 배경에 중첩시켜서 변화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장치는?

  1. 헤드업 표시장치
  2. 진로 지시장치
  3. 정량적 표시장치
  4. 묘사적 표시장치
(정답률: 31%)
  • 묘사적 표시장치는 위치나 구조가 변하는 요소를 배경에 중첩시켜서 변화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장치입니다. 이는 주로 문학 작품이나 예술 작품에서 사용되며,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묘사하고 감정을 전달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눈물이 흐르는 주인공의 모습을 배경에 비춰서 표현하거나, 바람에 휘날리는 꽃잎을 배경으로 연인들의 이별을 묘사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공장에서 1만 시간 가동하는 동안 부품 15000개 중 15개의 불량품이 발생하였다. 평균고장간격(MTBF)은?

  1. 1 X 106 시간
  2. 2 X 106 시간
  3. 1 X 107 시간
  4. 2 X 107 시간
(정답률: 55%)
  • MTBF는 평균고장간격을 의미하며, 이는 시스템이 고장하기까지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작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MTBF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TBF = 총 가동 시간 / 고장 발생 횟수

    여기서 총 가동 시간은 1만 시간이고, 고장 발생 횟수는 15이다. 따라서 MTBF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TBF = 1만 시간 / 15 = 666.67 시간

    하지만 보기에서는 시간 단위가 다르게 표기되어 있으므로,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단위를 맞춰줘야 한다. 보기에서는 모두 시간 단위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MTBF도 시간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666.67 시간을 보기에서 제시된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 X 106 시간 = 1,000,000 시간
    2 X 106 시간 = 2,000,000 시간
    1 X 107 시간 = 10,000,000 시간
    2 X 107 시간 = 20,000,000 시간

    이 중에서 MTBF가 가장 근접한 값은 "1 X 107 시간"이다. 따라서 정답은 "1 X 107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시스템의 신뢰도는?

  1. 0.6261
  2. 0.7371
  3. 0.8481
  4. 0.9591
(정답률: 57%)
  • 위 그림은 시리즈 병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리즈 병렬 시스템에서 전체 신뢰도는 각 구성 요소의 신뢰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먼저, A와 B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신뢰도는 A와 B의 신뢰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A와 B의 신뢰도를 곱하면 0.9 x 0.9 = 0.81이 됩니다.

    다음으로, C와 D는 시리즈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신뢰도는 C와 D의 신뢰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C와 D의 신뢰도를 곱하면 0.9 x 0.9 = 0.81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병렬로 연결된 A와 B, 그리고 시리즈로 연결된 C와 D는 시리즈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신뢰도는 A와 B의 신뢰도와 C와 D의 신뢰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0.81 x 0.81 = 0.656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7371이 아닌 0.6561입니다.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간공학에 사용되는 인간기준(Human Criteria)의 4가지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사고빈도
  2. 주관적 반응
  3. 생리학적 지표
  4. 심리적 지표
(정답률: 27%)
  • 심리적 지표는 인간공학에서 사용되는 인간기준의 4가지 유형(사고빈도, 주관적 반응, 생리학적 지표, 행동적 지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인간의 심리적인 상태나 감정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공학에서는 주로 행동적 지표나 생리학적 지표를 사용하여 인간의 반응과 행동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시스템 안전 달성을 위한 시스템 안전 설계 단계 중 위험상태의 최소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경보장치
  2. 페일세이프
  3. 안전장치
  4. 특수수단 강구
(정답률: 35%)
  • 위험상태의 최소화 단계는 "페일세이프"이다. 이는 시스템이 예기치 않은 상황에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시스템이 실패하더라도 인명이나 재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는 백업 시스템, 자가 진단 기능, 안전한 운전 모드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동작자의 태도를 보고 동작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시방법은?

  1. Self monitoring
  2. Visual monitoring
  3. 생리학적 monitoring
  4. 반응에 의한 monitoring
(정답률: 44%)
  • 동작자의 태도를 보고 동작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시방법은 시각적으로 감시하는 "Visual monitoring"이다. 이 방법은 동작자의 표정, 자세, 움직임 등을 관찰하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다른 감시방법에 비해 비교적 쉽고 빠르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건설현장의 안전표지판의 반사율이 80%이고, 인쇄된 글자의 반사율이 10%이면, 대비는 약 몇 %인가?

  1. 56
  2. 65
  3. 71
  4. 88
(정답률: 57%)
  • 대비는 반사율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건설현장의 안전표지판의 대비는 80% - 10% = 70%이다. 하지만 대비는 백분율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 값을 100으로 나누어 준 후 곱해준다. 따라서 대비는 70% / 100 × 100% = 70%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8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값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할 경우에 적합한 시각적 표시 장치는?

  1. 동침형
  2. 동목형
  3. 수평형
  4. 계수형
(정답률: 56%)
  • 계수형은 수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 숫자나 기호 등을 직접 표시하여 정확한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할 경우에 적합한 시각적 표시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치를 대략적으로 표시하거나 비교적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적극적인 대책은?

  1. 소음원의 격리
  2. 소음원의 제거
  3. 귀마개, 귀덮개 등 보호구의 착용
  4. 덮개 등 방호장치의 설치
(정답률: 75%)
  • 소음원의 제거가 가장 적극적인 대책이다. 이는 소음원을 완전히 없애는 것으로, 다른 대책들은 소음을 줄이는 것이지 소음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소음원의 제거가 가장 효과적인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부품은 고장까지의 평균시간이 1,000시간이며, 지수분포를 따르고 있다. 이 부품을 1,000시간 작동시킨 경우의 신뢰도는?

  1. 0.905
  2. 0.6322
  3. 0.3678
  4. 0.095
(정답률: 16%)
  • 신뢰도는 시간 t 동안 부품이 고장나지 않을 확률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부품의 수명이 지수분포를 따르므로, 시간 t 동안 고장나지 않을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고장나지 않을 확률) = e^(-λt)

    여기서 λ는 부품의 고장률을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평균수명이 1,000시간이므로, λ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λ = 1/1,000

    따라서, 부품을 1,000시간 작동시킨 경우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고장나지 않을 확률) = e^(-λt) = e^(-1) = 0.3678

    따라서, 정답은 "0.367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제품의 변화, 전달된 통신, 제공된 용역(Service)과 같은 것은 인간-기계통합체계의 기본기능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정보 보관
  2. 행동 기능(신체제어 및 통신)
  3. 정보 입력
  4. 출력
(정답률: 38%)
  • 제품의 변화, 전달된 통신, 제공된 용역(Service)과 같은 것은 인간-기계통합체계의 "출력" 기능에 속한다. 이는 시스템이 외부 세계와 상호작용하여 결과물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품의 변화, 전달된 통신, 제공된 용역(Service)과 같은 것은 시스템이 외부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물로서 출력 기능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스템의 구상단계에서 시스템 고유의 위험 상태를 식별하고 예상되는 재해의 위험 수준을 결정하는 시스템 안전분석 기법은?

  1. FTA
  2. PHA
  3. FMEA
  4. ETA
(정답률: 49%)
  • PHA는 Preliminary Hazard Analysis의 약자로, 시스템의 초기 구상 단계에서 시스템 내부의 위험 상태를 파악하고 예상되는 재해의 위험 수준을 결정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시스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먼저 수행되는 분석 기법으로, FTA, FMEA, ETA와 같은 기법들은 보다 상세한 분석을 위해 PHA 이후에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에너지 대사율을 산출하는 공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기초대사량 ÷ 소비에너지량
  2. 작업대사량 ÷ 기초대사량
  3. 기초대사량 ÷ 작업대사량
  4. 소비에너지량 ÷ 기초대사량
(정답률: 22%)
  • 에너지 대사율은 신체가 소비한 에너지량을 기초대사량 또는 작업대사량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옳은 공식은 "작업대사량 ÷ 기초대사량" 입니다. 이유는 작업대사량은 기초대사량에 비해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활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작업대사량으로 나누어진 비율이 더 높은 에너지 대사율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인간이 현존하는 기계를 능가하는 기능은?

  1. 귀납적 추리를 한다.
  2. 소음 등 주위가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 한다.
  3. 암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보관한다.
  4. 입력신호에 대해 신속하고 일과성 있는 반응을 한다.
(정답률: 77%)
  • 인간이 현존하는 기계들은 소음 등 주위가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암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보관하며, 입력신호에 대해 신속하고 일과성 있는 반응을 할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인간과 유사한 기능은 귀납적 추리를 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사고 방식과 유사하게, 주어진 사실들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규칙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상황에서도 적절한 판단을 내리는 능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계의 통제기능이 아닌 것은?

  1. 개폐에 의한 것
  2. 양의 조절에 의한 것
  3. 반응에 의한 것
  4. 자동제어에 의한 것
(정답률: 50%)
  • 자동제어에 의한 것은 기계가 스스로 작동하며,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사람이 개폐나 양의 조절, 반응 등을 통해 기계를 제어하는 것이지만, 자동제어는 기계 스스로가 제어하는 것이므로 통제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제조나 생산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미비로 생기는 고장으로 점검작업이나 시운전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고장은?

  1. 우발고장
  2. 마모고장
  3. 초기고장
  4. 평상고장
(정답률: 54%)
  • 정답은 "초기고장"입니다. 초기고장은 제조나 생산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미비로 인해 제품이 처음 가동될 때 발생하는 고장으로, 점검작업이나 시운전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우발고장은 예측할 수 없는 갑작스러운 고장, 마모고장은 사용 시간이나 주행거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장, 평상고장은 정상적인 운전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콘크리트용 혼화재 중에서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블리딩 및 재료 분리가 감소 된다.
  2. 수밀성이 크다.
  3. 강도 증진은 늦으나 단기강도는 크다.
  4. 해수 등에 화학적 저항이 크다.
(정답률: 75%)
  • "강도 증진은 늦으나 단기강도는 크다."라는 효과는 옳은 것이며, 포졸란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혼화재 중 하나이다. 포졸란은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강도가 크게 증가하지만, 장기간에는 다른 혼화재에 비해 강도 증진 효과가 늦게 나타난다. 따라서 "강도 증진은 늦으나 단기강도는 크다."라는 효과가 옳다. 또한, 포졸란은 워커빌리티를 개선하고 블리딩 및 재료 분리를 감소시키며, 수밀성이 크고 해수 등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콘크리트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 다짐한 콘크리트의 경우가 보통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커진다.
  2. 공기연행제는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좋게 한다.
  3. 물⋅시멘트비가 커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진다.
  4. 굵은골재의 크기가 작아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좋아 진다.
(정답률: 72%)
  • "물⋅시멘트비가 커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진다."는 옳은 기술이 아니다. 물과 시멘트의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적절한 물과 시멘트의 비율을 유지해야 콘크리트의 강도가 최대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골공사의 철골부재 용접에서 용접 결함이 아닌 것은?

  1. 언더컷(under cut)
  2. 오버랩(over lap)
  3. 위핑(weeping)
  4. 블로홀(blow hole)
(정답률: 64%)
  • 위핑(weeping)은 용접 시 발생하는 용접봉과 부재 사이의 간극에서 용접재가 누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용접 결함이 아닙니다. 반면, 언더컷(under cut), 오버랩(over lap), 블로홀(blow hole)은 모두 용접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건설공사의 공사비 절감요소 중에서 집중 분석하여야 할 부분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단가가 높은 공종
  2. 지하공사 등의 어려움이 많은 공종
  3. 공사비 금액이 큰 공종
  4. 시행실적이 많은 공종
(정답률: 69%)
  • 시행실적이 많은 공종은 이미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절감 가능성이 적다. 이에 비해 다른 보기들은 단가가 높거나 공사비 금액이 크기 때문에 절감 가능성이 높고, 지하공사 등의 어려움이 많은 공종은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절감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공 혹은 프로젝트에 있어서 자금을 조달하고, 설계, 엔지니어링 및 시공 전부를 도급받아 시설물을 완성하고 그 시설을 일정기간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시설을 인도하는 공사계약 방식은?

  1. CM계약방식
  2. 공동도급방식
  3. 파트너링방식
  4. BOT방식
(정답률: 59%)
  • BOT 방식은 Build-Operate-Transfer의 약자로, 시설물을 건설하고 운영하여 일정 기간 후에 발주자에게 인도하는 방식이다. 즉, 자금 조달,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운영, 인도까지 전 과정을 도급받아 수행하며, 일정 기간 동안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한 후 시설을 발주자에게 인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BOT 방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내부(봉형)진동기의 사용법상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한곳에서 오랫동안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밀실한 타설을 도모한다.
  2. 진동기 선단을 철근이나 거푸집에 자주 접촉시켜 진동 효과를 상승시킨다.
  3. 진동기는 가능한 수직으로 삽입하고, 삽입간격은 100cm 이하로 한다.
  4.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속으로 10cm 정도 찔러 넣는다.
(정답률: 24%)
  •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속으로 10cm 정도 찔러 넣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밀실한 타설을 도모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가 빠져나가고, 콘크리트가 더욱 밀착되어 강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네트워크 공정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개의 작업 관련이 도시되어 있어 프로젝트 전체 및 부분파악이 쉽다.
  2. 작업순서관계가 명확하여 공사담당자 간의 정보전달이 원활하다.
  3. 네트워크 기법의 표시상 제약으로 작업의 세분화 정도에는 한계가 있다.
  4.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용하기 쉽다.
(정답률: 54%)
  •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용하기 쉽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공정표가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흙막이공사 중 지하연속벽공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벽의 접합부가 구조적 연속성이 있어 지수성(止水性)이 높다
  2. 연약지반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3. 시공 중 주위지반에 지장이 없고 안전성이 높다.
  4. 진동, 소음이 적다.
(정답률: 63%)
  • 지하연속벽공법은 연약한 지반에서 지하공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법이다. 따라서 "연약지반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오히려 연약한 지반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강한 지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연약지반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 조립시 측압력은 부담하지 않고 거푸집판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게 사용하는 긴결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세퍼레이터
  2. 플랫타이
  3. 폼타이
  4. 컬럼밴드
(정답률: 54%)
  • 세퍼레이터는 거푸집 조립시 사용하는 긴결재로, 측압력을 부담하지 않고 거푸집판 간격을 좁아지지 않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 조립시 세퍼레이터를 사용하게 됩니다. 플랫타이는 바닥판, 폼타이는 벽면판, 컬럼밴드는 기둥을 감싸는 벤드재로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토질시험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성 한계시험
  2. 3축 압축시험
  3. 할렬 인장시험
  4. 비중 시험
(정답률: 49%)
  • 할렬 인장시험은 토양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며, 다른 항목들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콘크리트 펌프압송이 곤란한 슬럼프는 15cm 이하이다.
  2. 콘크리트 타설은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부터 타설한다.
  3. 이어치기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콜드조인트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4. 노출콘크리트에는 다짐봉이 두드림으로 다짐하는 것 보다 품질관리상 유리하다.
(정답률: 57%)
  • 이어치기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콜드조인트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는, 이어치기 기준시간이란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때 한 번에 부어넣을 수 없는 경우, 부어넣은 콘크리트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음 콘크리트를 이어붙이는 시간을 말하는데, 이 기준시간을 넘어서 이어붙이게 되면 이전 콘크리트와 새로운 콘크리트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아 콜드조인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피어(pier)기초 공사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트레미(Tremi)관
  2. 케이싱(Casiing)관
  3. 벤토나이트(Bentonite)액
  4. 디젤햄머(Diesel hammer)
(정답률: 46%)
  • 디젤햄머(Diesel hammer)는 피어(pier)기초 공사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인 트레미(Tremi)관, 케이싱(Casing)관, 벤토나이트(Bentonite)액은 모두 피어(pier)기초 공사에서 사용되는 재료나 장비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설공사 품질관리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공능률의 향상
  2. 설계의 합리화
  3. 작업의 표준화
  4. 비용의 최소화
(정답률: 31%)
  • 건설공사 품질관리의 목적은 안전성, 신뢰성, 내구성, 기능성 등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고품질의 건축물을 건설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용의 최소화는 품질관리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비용의 최소화는 품질을 희생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품질관리와는 상충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존건물 또는 공작물의 기초나 지정을 보강하거나 또는 거기에 새로운 기초를 삽입하거나 지지면을 더 깊은 지반에 옮겨 안전하게 하기 위한 공법은?

  1. 치환공법
  2. 언더피닝공법
  3. 탈수공법
  4. 바이브로 플로테이션공법
(정답률: 73%)
  • 언더피닝공법은 기존 건물이나 공작물의 기초나 지정을 보강하거나 새로운 기초를 삽입하거나 지지면을 더 깊은 지반에 옮겨 안전하게 하기 위한 공법입니다. 이는 기존 구조물을 파내어 지하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서 새로운 기초를 만들거나 보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방법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건물의 사용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언더피닝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구조물 위치 전체를 동시에 파내지 않고 측벽이나 주열선 부분만을 먼저 파내고 그 부분의 기초와 지하구조체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의 나머지 부분을 파내어 지하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은?

  1. 아일랜드 공법
  2. 트렌치 컷 공법
  3. 어스앵커 공법
  4. 타이로드 공법
(정답률: 46%)
  • 트렌치 컷 공법은 구조물 위치 전체를 동시에 파내지 않고 측벽이나 주열선 부분만을 먼저 파내고 그 부분의 기초와 지하구조체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의 나머지 부분을 파내어 지하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답은 "트렌치 컷 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철골 세우기용 장비가 아닌 것은?

  1. 스티프 레그데릭(stiff leg derrick)
  2. 드래그라인(drag line)
  3. 가이데릭(guy derrick)
  4. 진폴(gin pole)
(정답률: 63%)
  • 드래그라인은 철골 세우기용 장비가 아니라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대규모 땅 파기, 채광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큰 크레인이다. 따라서 철골 세우기용 장비 중에서는 스티프 레그데릭, 가이데릭, 진폴이 철골 세우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토류벽공법 중에서 현장에서 파낸 흙과 시멘트를 섞어 주입하여 토류벽을 형성하는 공법은?

  1. 자립 토류벽공법
  2. 엄지말뚝 토류벽공법
  3. 소일시멘트 토류벽공법
  4. 현장타설 콘크리트 토류벽공법
(정답률: 25%)
  • 소일시멘트 토류벽공법은 현장에서 파낸 흙과 시멘트를 섞어 주입하여 토류벽을 형성하는 공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현장에서 쉽게 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흙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소일시멘트 토류벽공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잡석 지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잡석 지정은 반드시 세워서 깔아야 한다.
  2. 견고한 자갈층이나 굳은 모래층에서는 잡석 지정이 불필요하다.
  3. 잡석 지정을 사용하면 콘크리트 두께를 절약할 수 있다.
  4. 잡석 지정은 지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다진다.
(정답률: 37%)
  • "잡석 지정은 반드시 세워서 깔아야 한다."는 설명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잡석 지정은 콘크리트를 부어서 만드는 바닥이나 포장재의 하부에 깔아주는 것으로, 지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다진다. 이를 통해 지하수의 침투를 막고, 지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견고한 자갈층이나 굳은 모래층에서는 잡석 지정이 불필요하며, 잡석 지정을 사용하면 콘크리트 두께를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거푸집 존치기간 결정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멘트의 종류
  2. 골재의 입도
  3. 구조물 부위
  4. 기온
(정답률: 35%)
  • 거푸집 존치기간 결정요인은 구조물 부위, 기온, 시멘트의 종류 등이 있지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골재의 입도이다. 거푸집은 주로 물이 흐르는 부분이므로 골재의 입도가 작으면 물이 흐르지 않아 물이 고여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푸집 존치기간을 결정할 때는 골재의 입도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철골공사에서 세우기 계획을 수립할 때 철골제작공장과 협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반입 철골의 중량
  2. 반입 시간의 확인
  3. 반입 부재수의 확인
  4. 부재 반입의 순서
(정답률: 36%)
  • 철골제작공장은 반입 철골의 중량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는 협의할 필요가 없다. 반입 철골의 중량은 건축 현장에서 결정되며, 이를 기반으로 철골제작공장에서 제작을 진행한다. 따라서 "반입 철골의 중량"은 철골제작공장과 협의할 필요가 없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학

61. 두랄루민은 무엇의 합금인가?

  1. 알루미늄 + 동 + 마그네슘 + 망간
  2. 알루미늄 + 아연 + 마그네슘 + 망간
  3. 알루미늄 + 아연 + 크롬 + 망간
  4. 알루미늄 + 동 + 크롬 + 망간
(정답률: 25%)
  • 두랄루민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동과 마그네슘, 망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합금 구성은 두랄루민의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표준형 점토벽돌의 규격에서 너비 치수의 허용오차의 한계는? (단위:mm)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28%)
  • 표준형 점토벽돌의 너비 치수의 허용오차의 한계는 ±3.0mm이다. 이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정확한 치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너비 치수가 ±3.0mm 이상 벗어나면 벽돌을 쌓을 때 불안정해지거나 외관이 불규칙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가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내열성⋅내한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로 -60~260℃ 의 범위에서는 안정하고 탄성을 가지며 내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은?

  1. 폴리에틸렌 수지
  2. 염화비닐 수지
  3. 실리콘 수지
  4. 아크릴 수지
(정답률: 29%)
  • 실리콘 수지는 내열성과 내한성이 뛰어나며, -60~260℃의 범위에서 안정하고 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내후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실리콘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압연에서 만든 단면이 ㄴ, ㄷ, H, I형 등의 일정한 모양을 이루고 있는 구조용 압연강재는?

  1. 형강
  2. 봉강
  3. 선재
  4. 강관
(정답률: 44%)
  • 형강은 압연 공정에서 일정한 모양을 가진 단면을 만들어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강재이다. 따라서 ㄴ, ㄷ, H, I 등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 구조물 제작에 많이 사용된다. 반면, 봉강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선재는 길쭉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강관은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형강과는 달리 구조물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시멘트의 응결시험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길모어 시험
  2. 오토클레이브 방법
  3. 브레인법
  4. 비비 시험
(정답률: 30%)
  • 길모어 시험은 시멘트의 응력-변형 곡선을 그려내어 강도와 탄성 모듈러스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멘트의 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건축물의 구조물 설계나 시멘트 제조 공정 등에 활용된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는 "길모어 시험"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수경성 미장재료에 해당되는 것은?

  1. 회반죽
  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3. 석고 플라스터
  4. 회사벽
(정답률: 44%)
  • 석고 플라스터는 수경성 미장재료에 해당된다. 이는 물에 녹지 않고 수분을 흡수하여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경조경에서 사용되는 물에 닿는 부분에 사용되는 재료로 적합하다. 회반죽과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수경성 미장재료가 아니며, 회사벽은 건축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알루미늄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융점이 낮기 때문에 융해주조도는 좋으나 내화성이 부족하다.
  2. 열⋅전기 전도성이 크고 반사율이 높다.
  3. 알칼리나 해수에는 부식이 쉽게 일어나지 않지만 대기 중에서는 쉽게 침식된다.
  4. 비중이 철의 1/3 정도로 경량이다.
(정답률: 75%)
  • 알루미늄은 알칼리나 해수에 대해 부식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알칼리나 해수에는 부식이 쉽게 일어나지 않지만 대기 중에서는 쉽게 침식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목재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석재나 금속에 비하여 손쉽게 가공할 수 있다.
  2. 다른 재료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매우 크다.
  3. 건조한 것은 타기 쉬우며 건조가 불충분한 것은 썩기 쉽다.
  4. 건조재는 전기의 불량 도체이나 함수율이 커질수록 전기전도율도 증가한다.
(정답률: 68%)
  • "다른 재료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매우 크다."는 옳은 기술이며, 이는 목재가 열을 잘 전달하기 때문이다. 목재는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불이 붙으면 빠르게 타오르는 특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골재의 입형은 가능한 한 편평, 세장하지 않을 것
  2.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보다 작을 것
  3. 잔골재는 유기불순물 시험에 합격한 것
  4.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연속적으로 균등히 혼합 되어 있을 것
(정답률: 57%)
  • 정답: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보다 작을 것"

    설명: 콘크리트는 골재와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혼합물입니다. 경화시멘트 페이스트는 골재를 둘러싸고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골재의 강도는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보다 작아도 콘크리트의 강도에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골재의 입형, 잔골재, 입도 등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표시하는 용어 중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입도, 컨시스턴시 등에 의한 마감성의 난이를 표시하는 것은?

  1. 슬럼프
  2. 플라스티시티
  3. 피니셔빌리티
  4. 펌퍼빌리티
(정답률: 40%)
  • 피니셔빌리티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마감성 난이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입도, 컨시스턴시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피니셔빌리티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마감성이 떨어지며, 마감작업이 어려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블론 아스팔트를 용제에 녹인 것으로 액상을 하고 있으며, 아스팔트 방수의 바탕 처리재로 이용되는 것은?

  1. 아스팔트 펠트
  2. 콜타르
  3. 아스팔트 프라이머
  4. 피치
(정답률: 59%)
  • 블론 아스팔트는 고체 상태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용제에 녹여 액상으로 만들어진다. 이 액상 아스팔트를 바탕 처리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탕재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아스팔트 프라이머이다.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바탕재에 먼저 발라주어 접착력을 높이고, 그 위에 아스팔트 방수재를 발라준다. 따라서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아스팔트 방수재의 바탕 처리재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목재의 함수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함수율이 30% 이상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 따라 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
  2. 보통 생재의 함수율은 변재부에서 40~100% 정도, 심재부에서 80~200% 정도이다.
  3. 기건재의 함수율은 15% 정도이다.
  4. 함수율 30% 정도를 섬유포화점이라 한다.
(정답률: 60%)
  • "함수율이 30% 이상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 따라 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 아니며, 정답이다.

    보통 생재의 함수율은 변재부에서 40~100% 정도, 심재부에서 80~200% 정도이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기건재의 함수율은 15% 정도이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함수율 30% 정도를 섬유포화점이라 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실(seal)재가 아닌 것은?

  1. 코킹재
  2. 퍼티
  3. 실링재
  4. 트래버틴
(정답률: 70%)
  • 정답은 "트래버틴"입니다.

    트래버틴은 실리카 섬유로 만들어진 건축재료로, 실링재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실(seal)재는 아닙니다.

    실(seal)재는 특정 부위의 공기나 물의 유출을 막는 역할을 하는 반면, 트래버틴은 건축물의 외벽을 강화하거나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미장재료 중 회반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에 비해 조기강도 및 최종강도가 크다.
  2. 모래는 바름 두께가 작을수록 많이 넣어야 하며, 특히 정벌용에는 반드시 넣어야 한다.
  3. 경화 건조에 의한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여물로서 균열을 분산, 경감시킨다.
  4. 소석회에 종석, 모래, 해초풀 등을 혼합하여 바르는 미장재료로서 내수성이 크다.
(정답률: 24%)
  • 회반죽은 경화 건조에 의한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여물로서 균열을 분산, 경감시킨다는 이유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리석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외장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2.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다.
  3. 내화성이 낮고 풍화되기 쉽다.
  4. 변성암에 속한다.
(정답률: 50%)
  • 주성분은 탄산칼슘이 맞는데, 주성분이 탄산석회라고 되어 있어 틀린 것이다. 대리석은 외장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그 미적인 모양과 색상 때문이다. 또한 내화성이 낮고 풍화되기 쉬워 내부 구조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변성암에 속하는 것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점토 소성제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테라코타는 속이 빈 대형점토 소성제품으로 난간벽, 주두 등에 사용된다.
  2. 내부벽용 타일은 외부벽용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강하고 흡수율이 적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3. 점토 소성제품의 흡수성은 토기, 자기, 석기, 도기 순으로 크다.
  4. 토관은 자기질의 고급점토를 원료로 하여 건조 소성시킨 제품이다.
(정답률: 36%)
  • "테라코타는 속이 빈 대형점토 소성제품으로 난간벽, 주두 등에 사용된다." 이 설명은 옳다. 테라코타는 대형 점토 소성제품으로, 속이 빈 상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속이 빈 상태로 만들어진 테라코타는 난간벽, 주두 등의 건축재료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골재의 유효흡수량에 대해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골재가 습윤상태로 될 때까지 흡수되어지는 수량을 말한다.
  2. 공기 중 건조상태의 골재가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될 때까지 흡수되어지는 수량을 말한다.
  3. 절대건조상태의 골재가 습윤상태로 될 때까지 흡수 되어지는 수량을 말한다.
  4. 절대건조상태의 골재가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될 때 까지 흡수되어지는 수량을 말한다.
(정답률: 42%)
  • 정답은 "공기 중 건조상태의 골재가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될 때까지 흡수되어지는 수량을 말한다."입니다. 이는 골재가 처음에는 건조한 상태에서 시작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면서 표면이 점점 습해지고, 표면이 포화 상태가 되면 유효흡수량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석재의 흡수율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응회암 > 사암 > 안산암 > 화강암 > 대리석
  2. 사암 > 화강암 > 안산암 > 대리석 > 응회암
  3. 안산암 > 화강암 > 응회암 > 대리석 > 사암
  4. 대리석 > 사암 > 응회암 > 화강암 > 안산암
(정답률: 50%)
  • 석재의 흡수율은 그것이 물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암석의 경우 응회암이 가장 높은 흡수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응회암 >"으로 시작하는 보기가 정답입니다. 그리고 사암, 안산암, 화강암, 대리석 순으로 흡수율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응회암 > 사암 > 안산암 > 화강암 > 대리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할 경우 목재의 강도 중 가장 약한 것은?

  1. 압축강도
  2. 휨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40%)
  •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할 경우 목재의 강도 중 가장 약한 것은 전단강도입니다. 이는 목재의 섬유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목재는 섬유 방향에 대한 강도가 높지만, 수직 방향에 대한 강도는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전단강도는 수직 방향의 응력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섬유 방향에 평행한 응력에 대한 강도가 가장 약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실적률이 큰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 시멘트량을 줄일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마모저항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3.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강도를 높일 수 있다.
  4. 콘크리트의 투수성이나 흡수성이 커진다.
(정답률: 40%)
  • 콘크리트의 투수성이나 흡수성이 커지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적률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줄어들어 밀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되며 마모저항도 증대됩니다. 또한, 단위 시멘트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골재의 크기가 커질수록 콘크리트의 투수성이나 흡수성이 커지므로, 적절한 크기의 골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안전기술

81. 계단과 계단참은 얼마 이상의 안전율을 가진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32%)
  • 정답은 "4"이다. 이는 국내 건축법에서 정한 안전기준에 따라 계단과 계단참은 최소 4의 안전율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안전율은 계단의 밑면과 위면의 깊이 차이와 계단참의 높이와 깊이의 비율로 계산된다. 안전율이 낮을수록 계단 오르내리기가 불편하고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안전율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거푸집동바리를 조립할 때의 안전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깔목의 사용, 콘크리트의 타설, 말뚝박기 등 동바리의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한다.
  2. 동바리의 상하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 조치를 한다.
  3.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클램프 등의 전용 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하게 연결한다.
  4. 동바리의 이음은 겹침 이음으로 한다.
(정답률: 57%)
  • "동바리의 이음은 겹침 이음으로 한다."는 옳은 안전조치입니다. 이유는 겹침 이음은 강도가 높아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음 부위에서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모두 옳은 안전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입경이 가늘고 비교적 균일하면서 느슨하게 쌓여 있는 모래 지반이 물로 포화되어 있을 때 지진이나 충격을 받으면 일시적으로 전단강도를 잃어버리는 현상은?

  1. 모관현상
  2. 보일링현상
  3. 틱소트로피
  4. 액화현상
(정답률: 36%)
  • 액화현상은 모래 지반에서 물이 포화되어 있을 때, 지진이나 충격을 받으면 모래 입자 사이의 물이 압력에 의해 밀려나가면서 지반의 전단강도를 잃어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지반은 느슨하게 무너지며, 건물이나 다리 등의 구조물이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화현상은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물체의 낙하・충격, 물체에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帶電)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시 공통으로 근로자가 착용하여야 하는 보호구로 적합한 것은?

  1. 방열복
  2. 안전대
  3. 안전화
  4. 보안경
(정답률: 58%)
  • 물체의 낙하나 충격,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 대전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시 근로자가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는 안전화입니다. 안전화는 발을 보호하여 끼임이나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고, 전기 저항성이 있어 감전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전화는 작업 환경에 따라 방수, 방진, 방한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도 있어 작업 환경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할 때 준수사항이다. 틀린 것은?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5m 내지 1.8m, 장선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100kg을 초과하지 아니하 도록 할 것
  3. 띠장의 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할 것
  4.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정답률: 35%)
  • 정답: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100kg을 초과하지 아니하 도록 할 것"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이 100kg을 초과하면 비계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이 필요하다. 비계기둥은 비계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비계의 안정성과 견고함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을 제한하는 것은 비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흙의 함수비 측정시험을 하였다. 먼저 용기의 무게를 잰 결과 10g이었다. 시료를 용기에 넣은 후에 총 무게는 40g, 그대로 건조시킨 후 무게는 30g이었다. 함수비는?

  1. 25%
  2. 30%
  3. 50%
  4. 75%
(정답률: 20%)
  • 함수비는 (건조 후 무게 - 용기 무게) / (시료와 용기의 총 무게 - 용기 무게) 이므로, (30g - 10g) / (40g - 10g) = 20g / 30g = 2/3 = 66.67%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 인 것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크레인 작업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중 틀린 것은?

  1. 급회전 금지
  2. 작업반경내 접근 금지
  3. 작업중인 운전자에게 연락사항 수신호 금지
  4. 작업 중 고압선에 크레인 접근 금지
(정답률: 66%)
  • 작업중인 운전자에게 연락사항 수신호 금지는 틀린 안전수칙입니다. 이는 작업 중에도 다른 사람들과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응급 상황이나 작업 상황 변경 등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이때에도 운전자는 안전에 최우선으로 생각하여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통화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토사붕괴시 조치사항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1. 대피통로 및 공간의 확보
  2. 동시작업의 금지
  3. 2차 재해방지
  4. 지하 매설물 파악
(정답률: 47%)
  • 토사붕괴시 대피통로 및 공간의 확보, 동시작업의 금지, 2차 재해방지는 모두 토사붕괴시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사항이지만, 지하 매설물 파악은 토사붕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항이다. 지하 매설물 파악은 지하에 있는 파이프, 전선, 배관 등을 파악하여 안전한 작업을 위한 것으로, 토사붕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가설자재의 안전율에 대한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재료의 파괴응력도와 허용응력도의 비이다.
  2. 재료가 받을 수 있는 허용응력도이다.
  3. 재료의 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도이다.
  4. 재료가 받을 수 있는 허용하중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39%)
  • 가설자재의 안전율은 재료의 파괴응력도와 허용응력도의 비이다. 이는 재료가 얼마나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파괴응력도는 재료가 파괴되는 응력의 크기를 나타내고, 허용응력도는 재료가 받을 수 있는 최대 응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안전율이 높을수록 재료가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안전율이 낮을수록 재료의 파괴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해체 계획의 작성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해체의 방법 및 해체순서 도면
  2. 중량물 종류 및 형상
  3. 사업장 내의 연락방법
  4. 해체물의 처분계획
(정답률: 32%)
  • 해체 계획의 작성시 중량물 종류 및 형상은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중량물은 해체 작업 중 가장 위험한 요소 중 하나이며, 종류와 형상에 따라 해체 방법과 안전 대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량물 종류 및 형상은 해체 계획 작성시 꼭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할 때 붕괴 등의 위험방지를 위한 정기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침하의 정도
  2.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3. 형상・지질 및 지층의 상태
  4.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및 탈락의 유무
(정답률: 41%)
  • 형상・지질 및 지층의 상태는 설치할 지역의 지형과 지질 상태를 파악하여 안전한 설치를 위해 필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위험방지를 위한 정기점검사항이 아닙니다. 침하의 정도,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및 탈락의 유무는 설치 후에도 변화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잠함 내부굴착작업시 준수하여야 할 규정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산소농도 측정
  2. 승강설비 설치
  3. 굴착깊이 10m 초과시 통신설비 설치
  4. 굴착깊이 20m 초과시 송기설비 설치
(정답률: 25%)
  • 정답: "굴착깊이 10m 초과시 통신설비 설치"

    이유: 굴착작업 중에는 위험한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굴착장비나 인력의 이동을 위해 승강설비를 설치해야 하며, 굴착깊이가 10m를 초과할 경우 통신설비를 설치하여 작업 중에 응급상황이나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나 굴착깊이가 20m를 초과할 경우에는 송기설비를 설치해야 하므로, 이 부분은 틀린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달비계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기 위한 안전계수로 옳은 것은?

  1. 달기와이어로프 안전계수 : 4 이상
  2. 달기체인의 안전계수 : 4 이상
  3. 달비계 하부지점 안전계수(강재) : 2.5 이상
  4. 달비계 상부지점 안전계수(목재) : 4 이상
(정답률: 28%)
  • 달비계 하부지점은 최대적재하중을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안전계수가 높아야 합니다. 강재는 목재에 비해 강도가 높기 때문에 안전계수가 2.5 이상이면 충분히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비계 하부지점 안전계수(강재)가 2.5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악천후의 조건이다. 순서대로 ( )안에 적합한 내용은?

  1. ①10, ②10, ③10
  2. ①1, ②1, ③10
  3. ①1, ②10, ③1
  4. ①10, ②1, ③1
(정답률: 60%)
  • 악천후 조건은 비, 폭우, 강풍, 번개, 집중호우 등이 있다. 이 그림에서는 비와 강풍이 나타나 있으므로, 둘 중 하나만 충족되어도 철골작업을 중지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10, ②1, ③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철골조립 공사 중에 리벳작업이나 볼트작업을 하기 위해 주체인 철골에 매달아서 작업발판으로 이용하는 비계는?

  1. 달비계
  2. 말비계
  3. 달대비계
  4. 선반비계
(정답률: 38%)
  • 달대비계는 철골조립 공사 중에 리벳작업이나 볼트작업을 하기 위해 주체인 철골에 매달아서 작업발판으로 이용하는 비계입니다. 이는 주체인 철골에 달려있는 달대를 이용하여 비계를 설치하기 때문에 "달대비계"라고 불립니다. 다른 보기인 "달비계"나 "말비계"는 이와 다른 종류의 비계이며, "선반비계"는 작업장에서 물건을 올리고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굴착면의 구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 암 = 1 : 0.3
  2. 연 암 = 1 : 0.5
  3. 풍화암 = 1 : 0.8
  4. 보통흙(건지) = 1 : 1.5 ~ 1 : 1.8
(정답률: 39%)
  • 보통흙(건지)의 구배 기준이 "1 : 1.5 ~ 1 : 1.8"인 것은 굴착면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지정된 것입니다. 즉, 보통흙은 경 암, 연 암, 풍화암보다 구조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더 큰 구배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보통흙(건지) = 1 : 1.5 ~ 1 : 1.8"은 옳은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사다리식 통로를 설치할 때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 놓은 지점으로부터 얼마 이상 올라가도록 하여야 하는가?

  1. 45cm 이상
  2. 60cm 이상
  3. 75cm 이상
  4. 90cm 이상
(정답률: 53%)
  • 사다리식 통로를 설치할 때 상단은 걸쳐 놓은 지점으로부터 60cm 이상 올라가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사다리를 올라갈 때 발을 디딘 위치와 상단의 지점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으면 넘어지거나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60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사다리식 통로를 설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안전대의 보관장소로 틀린 것은?

  1. 부식성 물질이 없는 곳
  2. 화기 등이 근처에 없는 곳
  3.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곳
  4. 통풍이 안되어 습기가 많은 곳
(정답률: 78%)
  • 안전대는 부식성 물질이 없는 곳, 화기 등이 근처에 없는 곳,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통풍이 안되어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면 안전대의 부식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대는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노반의 파쇄 또는 토사 중에 있는 암석제거에 가장 적당한 장비는?

  1. 스크레이퍼(Scraper)
  2. 롤러(Roller)
  3. 리퍼(Ripper)
  4. 드래그라인(drag line)
(정답률: 46%)
  •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노반에서 파쇄된 암석이나 토사 중에 있는 암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파괴력을 가진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장비는 리퍼(Ripper)입니다. 리퍼는 지평면 아래에 있는 암석을 파괴하고 제거하는 데 특화된 장비로, 강력한 파괴력과 깊이까지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노반에서 파쇄된 암석이나 토사 중에 있는 암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리퍼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토석붕괴의 요인 중 외적 요인이 아닌 것은?

  1. 토석의 강도저하
  2.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3.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
  4.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하중의 증가
(정답률: 62%)
  • 정답은 "토석의 강도저하"입니다.

    토석의 강도저하는 시간이 지나면서 토석 내부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지하수의 영향, 환경변화, 지진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외적 요인이 아닌 내적 요인으로 분류됩니다.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하중의 증가는 모두 외적 요인으로, 지형 변화나 인간의 활동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