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건설안전산업기사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강도율이 4.5인 사업장에서 한 작업자가 평생동안 근무를 한다면 재해로 인하여 당할 수 있는 근로손실일수는 얼마인가? (단, 한 작업자의 평생 근로시간은 100000시간으로 한다.)

  1. 450일
  2. 550일
  3. 900일
  4. 1350일
(정답률: 82%)
  • 강도율이 4.5%이므로, 100000시간 동안 근무하는 작업자가 재해로 인해 손실할 수 있는 근로일수는 4.5% × 100000시간 = 4500시간이다. 하루에 8시간씩 근무한다고 가정하면, 4500시간 ÷ 8시간 = 562.5일이므로, 한 작업자가 평생동안 근무하는 동안 재해로 인해 손실할 수 있는 근로일수는 약 450일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0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정한 “사망 또는 영구 전노동불능”의 근로손실일수는 얼마로 산정하는가?

  1. 3000일
  2. 4000일
  3. 5500일
  4. 7500일
(정답률: 77%)
  •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정한 “사망 또는 영구 전노동불능”의 근로손실일수는 7500일로 산정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평균 삶의 기대 수명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즉, 이 기간 동안 해당 근로자는 일을 하지 못하고 소득을 얻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근로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재해원인 분석방법 중 사고의 형태, 기인물 등의 분류항목을 누계백분율이 큰 순서대로 도표화하여 분석하는 것은?

  1. 파레토도(Pareto Diagram)
  2. 클로즈분석(Close Analysis)
  3. 특성요인도(Cause & Effect Diagram)
  4. 관리도(Control Chart)
(정답률: 73%)
  • 파레토도는 재해원인 분석방법 중 하나로, 사고의 형태, 기인물 등의 분류항목을 누계백분율이 큰 순서대로 도표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원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레토도(Pareto Diag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고방지대책을 수립할 때 Harvey가 제창한 3가지 시정 책(3E)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안전 교육 및 훈련
  2. 시설 장비의 개선
  3. 안전 감독의 철저
  4. 위험 개소의 발견
(정답률: 50%)
  • 위험 개소의 발견은 사고방지대책의 일부가 아니라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3가지 시정 책(3E) 중에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3가지 시정 책(3E)은 안전 교육 및 훈련, 시설 장비의 개선, 안전 감독의 철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안전⋅보건표지 중 “인화성물질경고”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84%)
  • 정답은 ""이다. 이 표지는 인화성 물질이 있음을 나타내며, 불이나 열에 노출될 경우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음을 경고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위험물질, 독성물질, 부식성물질을 나타내는 표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간행동과 인간의 조건 및 환경조건의 관계를 레윈은 B = f(P・E)로 표시하였다. “f"가 의미하는 것은?

  1. 함수관계
  2. 작업환경적 조건
  3. 인간의 성격적 조건
  4. 심리적 환경
(정답률: 48%)
  • "f"는 함수를 의미한다. B는 인간의 행동을 나타내고, P는 인간의 성격적 조건을, E는 작업환경적 조건과 심리적 환경을 나타낸다. 따라서 B는 P와 E의 함수관계로 표현된다. 함수관계란 한 변수의 값이 다른 변수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 관계를 의미한다. 즉, 인간의 행동은 인간의 성격적 조건과 작업환경적 조건, 심리적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의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강도의 원리
  2. 시간의 원리
  3. 계속성의 원리
  4. 효과의 원리
(정답률: 43%)
  •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의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효과의 원리"입니다.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은 자극과 반응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학습을 이해하는 이론으로, 강도의 원리, 시간의 원리, 계속성의 원리는 모두 이 이론의 원리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효과의 원리"는 다른 이론인 강화학습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맥그리거(Mcgregor)의 X-Y 이론 중 Y이론에 해당되는 것은?

  1. 인간은 서로 믿을 수 없다.
  2. 인간은 태어나서부터 약하다.
  3. 인간은 정신적욕구를 우선시 한다.
  4. 인간은 통제에 의한 관리를 받고자 한다.
(정답률: 48%)
  • Y이론에 해당되는 것은 "인간은 정신적욕구를 우선시 한다." 이다. 이는 맥그리거가 제시한 X-Y 이론 중 Y이론으로, 이론적으로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기 계발, 자기 실현, 자기 존중 등의 욕구를 충족시키면 조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이는 인간의 본성적인 욕구를 인정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것이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안전관리조직의 기본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line system
  2. staff system
  3. line-staff system
  4. safety system
(정답률: 72%)
  • "safety system"은 안전관리조직의 기본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유는 안전관리조직은 조직 구성원들이 안전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line system", "staff system", "line-staff system"과 같은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을 중심으로 구성된 시스템들이 안전관리조직의 기본유형으로 볼 수 있지만, "safety system"은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보다는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시설, 장비, 절차 등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재해예방의 4원칙 중 대책선정의 원칙에서 관리적 대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각종 규정 및 수칙의 준수
  2. 동기부여와 사기 향상
  3. 경영자 및 관리자의 솔선수범
  4. 안전교육의 실시
(정답률: 44%)
  • 안전교육은 관리적 대책 중 하나이지만, 대책선정의 원칙에서는 실제로 발생 가능한 위험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선정하는 것을 중점으로 둔다. 따라서 안전교육은 위험 예방을 위한 대책 중 하나이지만, 대책 선정 단계에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교육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강사
  2. 수강자
  3. 교육방법
  4. 교육자료
(정답률: 56%)
  • 교육의 3요소는 강사, 수강자, 교육자료입니다. 교육방법은 교육을 전달하는 방식이지만, 교육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교육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상황의 판단능력과 사실의 분석 및 문제의 해결능 력을 키우기 위하여 먼저 사례를 조사하고, 문제적 사실들과 그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고, 대책을 토의하도록 하는 교육기법은 무엇인가?

  1.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2. 심포지엄(Symposium)
  3. 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4. 롤 플레잉(Role playing)
(정답률: 64%)
  • 케이스 메소드는 실제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교육기법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상황 판단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케이스 메소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O.J.T(On the Job Training)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개개인에게 적합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2. 직장의 실정에 맞는 실제적인 훈련을 실시 할 수 있다.
  3. 교육을 통한 훈련효과에 상호 신뢰 이해도가 높다.
  4.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특징이다. 이는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일괄적인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개인별 맞춤형 훈련은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해당 근로자로서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채용시 교육시간으로 옳은 것은?

  1. 1시간 이상
  2. 2시간 이상
  3. 4시간 이상
  4. 8시간 이상
(정답률: 27%)
  • 건설업 종사자는 위험성이 높은 작업을 수행하므로, 채용시에는 적어도 1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내용입니다. 이 교육은 안전 및 보건 규정, 위험요소 및 예방조치, 안전장비 사용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안전모의 종류 중 물체의 낙하 및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 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안전모의 기호는?

  1. A
  2. AB
  3. AC
  4. AE
(정답률: 77%)
  • 정답은 "AE"입니다. "A"는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를 나타내고, "AB"는 머리부위 감전 및 물체의 낙하 및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를 나타냅니다. "AC"는 물체의 낙하 및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를 나타내며, "AE"는 머리부위 감전 및 물체의 낙하 및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법의 진행순서로 옳은 것은?

  1. 본질추구 → 현상파악 → 목표설정 → 대책수립
  2.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
  3. 현상파악 → 대책수립 → 본질추구 → 목표설정
  4. 목표설정 →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정답률: 80%)
  • 정답은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 입니다.

    먼저, 현상파악 단계에서는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위험성을 평가합니다. 그 다음으로 본질추구 단계에서는 위험요소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합니다. 그리고 대책수립 단계에서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합니다. 마지막으로 목표설정 단계에서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국제노동기구(ILO)에서 구분한 “일시 전노동불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부상의 결과로 근로기능을 완전히 잃은 부상
  2. 부상의 결과로 신체의 일부가 근로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부상
  3. 의사의 소견에 따라 일정기간동안 노동에 종사할 수 없는 상해
  4. 의사의 소견에 따라 일시적으로 근로시간 중 치료를 받는 정도의 상해
(정답률: 70%)
  • "ILO에서 구분한 '일시 전노동불능'은 의사의 소견에 따라 일정기간동안 노동에 종사할 수 없는 상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부주의 현상의 하나인 “의식의 우회”에 대한 예방대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안전교육
  2. 표준작업제도 도입
  3. 상담
  4. 적성배치
(정답률: 54%)
  • 부주의 현상의 하나인 "의식의 우회"는 일반적으로 개인이나 조직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이나 조직의 인식과 태도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상담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상담을 통해 개인이나 조직의 인식과 태도를 개선하고, 부주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담이 부주의 현상의 예방대책으로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업 내 교육방법 가운데 작업의 개선방법 및 사람을 다루는 방법, 작업을 가르치는 방법 등을 주된 교육내용으로 하는 것은?

  1.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TWI(Training Within Industry)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률: 56%)
  • TWI는 기업 내 작업 개선 및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 방법론으로, 작업 개선 방법, 사람을 다루는 방법, 작업을 가르치는 방법 등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주된 교육 내용이 작업 개선 및 인적 자원 개발에 초점을 맞춘 것입니다. 다른 보기인 CCS, MTP, ATT는 TWI와는 다른 교육 방법론이나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설명 중 적응기제의 도피적 행동인 “고립”에 해당하는 것은?

  1. 운동시합에서 진 선수가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고 말한다.
  2. 키가 작은 사람이 키 큰 친구들과 같이 사진을 찍으려 하지 않는다.
  3. 자녀가 없는 여교사가 아동교육에 전념하게 되었다.
  4. 동생이 태어나자 형이 된 아이가 말을 더듬는다.
(정답률: 74%)
  • "고립"에 해당하는 것은 "키가 작은 사람이 키 큰 친구들과 같이 사진을 찍으려 하지 않는다." 이유는 자신의 키가 작아서 친구들과 함께 찍으면 자신이 더 작아 보일 것 같아서 자신만 찍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시각적 부호 중 위험 표지판에 해골과 뼈를 표시하여 나타내듯이 사물이나 행동, 수정을 단순하고 정확하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부호는?

  1. 추상적 부호
  2. 묘사적 부호
  3. 임의적 부호
  4. 상태적 부호
(정답률: 64%)
  • 묘사적 부호는 사물이나 행동, 수정 등을 그림이나 도형 등으로 단순하고 정확하게 묘사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부호이다. 따라서 위험 표지판에 사용되는 해골과 뼈와 같이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이 묘사적 부호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기계보다 인간이 우수한 능력으로 옳은 것은?

  1. 위험한 환경에서도 업무수행이 가능하다.
  2. 예상외로 발생한 업무에 대하여 진행이 가능하다.
  3. 연관이 없는 외부요인에는 둔감하다.
  4. 각기 다른 과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예상외로 발생한 업무에 대하여 진행이 가능하다."가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한 능력인 이유는 인간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상황에 맞게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처할 수 있으며, 기계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지시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는 대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표시 장치 중 정적 표시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온도계
  2. 속도계
  3. 고도계
  4. 도표
(정답률: 54%)
  • 정적 표시 장치는 정보를 고정된 형태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따라서 온도계, 속도계, 고도계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적 표시 장치에 해당하며, 도표는 고정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정적 표시 장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간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중 부하측정의 직접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생리학적 모니터링 방법
  2. 반응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
  3. 육안 모니터링 방법
  4. 환경의 모니터링 방법
(정답률: 43%)
  • 환경의 모니터링 방법은 인간의 생리적 반응이나 행동 등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부하측정 방법이 아니다. 예를 들어,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인간의 호흡기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환경의 모니터링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음(音)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만 나열된 것은?

  1. dB, Lux
  2. phon. lb
  3. phon, dB
  4. dB, psi
(정답률: 64%)
  • 정답은 "phon, dB"입니다.

    - dB: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데시벨(decibel)이라고도 합니다.
    - phon: 소리의 청취감을 나타내는 단위로, 소리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됩니다.

    따라서,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dB와 phon이 있습니다. Lux는 조명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psi는 압력의 단위입니다. lb는 무게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물리적 인자의 분류기준에 있어서 소음성난청을 유발할 수 있는 몇 dB(A) 이상의 시끄러운 소리를 소음으로 규정하고 있는가?

  1. 85
  2. 95
  3. 120
  4. 130
(정답률: 57%)
  •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85dB(A) 이상의 소음을 소음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귀가 이 소리를 들었을 때 장시간 노출될 경우 난청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사업장에서의 소음대책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소음원의 격리
  2. 적절한 배치
  3. 보호구의 착용
  4. 소음의 반사
(정답률: 46%)
  • 소음의 반사는 소음을 더욱 심화시키기 때문에 사업장에서의 소음대책 방법으로는 가장 적절하지 않습니다. 소음의 반사란, 소음이 반사되어 다시 되돌아와서 더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소음대책을 할 때에는 소음원의 격리, 적절한 배치, 보호구의 착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표시장치의 지침설계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지침을 눈금면에서 최대한 멀리한다.
  2. 원형눈금의 경우 지침의 색은 선단에서 눈금의 중심까지 칠한다.
  3. 지침의 끝은 작은 눈금과 겹치지 않게 한다.
  4. 뾰족한 지침을 사용한다.
(정답률: 75%)
  • "지침을 눈금면에서 최대한 멀리한다."는 오히려 틀린 내용입니다. 지침은 눈금과 가까이 위치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지침을 멀리 떨어뜨리면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계는 "지침을 눈금면에 가깝게 위치시킨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안전제어장치 중 사출기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사출기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비상제어장치
  2. 인터록장치
  3. 인트라록장치
  4. 트랜스록장치
(정답률: 43%)
  • 인터록장치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이나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한 부품이나 장치가 움직이면 다른 부품이나 장치도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사출기의 도어와 사출기 자체가 인터록장치로 연결되어 있으면,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사출기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불연속 통제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노브
  2. 페달
  3. 크랭크
  4. 토글스위치
(정답률: 62%)
  • 토글스위치는 불연속적인 통제장치입니다. 이는 스위치를 켜거나 끌 때 갑자기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노브, 페달, 크랭크는 연속적인 조절이 가능한 통제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제조나 생산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미비로 생기는 고장으로, 점검작업이나 시운전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고장은?

  1. 우발고장
  2. 마모고장
  3. 초기고장
  4. 평상고장
(정답률: 63%)
  • 제조나 생산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미비로 인해 생기는 고장은 초기고장이다. 초기고장은 제품이 처음 가동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고장으로, 제품의 설계나 생산과정에서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초기고장은 점검작업이나 시운전으로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고장은 예방이 가능한 고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이 m개 요소의 병렬작용으로 결합된 시스템의 신뢰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27%)
  • 병렬작용으로 결합된 시스템에서는 각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하나의 요소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요소들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는 각 요소들의 신뢰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때, 모든 요소들의 신뢰도가 0.9일 경우,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는 0.9^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기계의 고장율이 일정한 지수분포를 가지며, 고장율이 0.04일 때 이 기계가 10시간 동안 고장이 나지 않고 작동할 확률은?

  1. 0.04
  2. 0.67
  3. 0.84
  4. 0.96
(정답률: 25%)
  • 고장율이 일정한 지수분포를 따르므로, 고장이 일어날 확률은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합니다. 따라서, 10시간 동안 고장이 나지 않을 확률은 지수분포의 누적분포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누적분포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F(x) = 1 - e^(-λx)

    여기서 λ는 고장율을 나타내며, x는 시간입니다.

    고장율이 0.04일 때, λ = 0.04 이므로,

    F(10) = 1 - e^(-0.04*10) = 0.67032

    따라서, 이 기계가 10시간 동안 고장이 나지 않고 작동할 확률은 0.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결함수분석법에서 사용되는 논리게이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AND게이트
  2. OR게이트
  3. 억제게이트
  4. 통합게이트
(정답률: 44%)
  • 결함수분석법에서 사용되는 논리게이트의 종류는 AND게이트, OR게이트, 억제게이트이다. 통합게이트는 결함함수분석법에서 사용되지 않는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과 같이 ①~④의 기본사상을 가진 FT도에서 minimal cut set으로 옳은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①, ③, ④}
  3. {①, ②}
  4. {③, ④}
(정답률: 43%)
  • FT도에서 ①~④의 기본사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A가 발생하면 B도 발생한다.
    ②: A가 발생하면 C도 발생한다.
    ③: D가 발생하면 E도 발생한다.
    ④: D가 발생하면 F도 발생한다.

    따라서, A, D가 발생하면 B, C, E, F도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 D 중 하나라도 막아주면 됩니다. 따라서, minimal cut set은 {①, ②, ③, ④}입니다. 이유는 이 4개의 기본사상 중 하나라도 막으면 전체 시스템이 막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조도(照度)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광원의 밝기를 나타낸다.
  2. 작업면의 밝기를 나타낸다.
  3. 광원에 의한 눈부심이다.
  4. 1촉광이 발하는 광량(光量)이다.
(정답률: 46%)
  • 조도는 작업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즉, 어떤 공간에서 작업면에 도달하는 광량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조명 설계나 조명 측정 시에는 작업면의 조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조명을 제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손과 같은 신체부위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질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TD
  2. ENG
  3. VFF
  4. EEG
(정답률: 43%)
  • CTD는 "Cumulative Trauma Disorder"의 약자로,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부위에 축적된 손상이나 염증으로 인한 질환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청각적 표시장치에서 300m 이상의 장거리용 경보기에 사용하는 진동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800Hz 전후
  2. 2200Hz 전후
  3. 3500Hz 전후
  4. 4000Hz 전후
(정답률: 48%)
  • 300m 이상의 장거리용 경보기는 소리가 멀리까지 전달되어야 하므로 저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중에서도 800Hz 전후의 진동수가 인간의 청각에 가장 적합하며, 멀리까지 전달되는 효과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주파수 대역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쇠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2200Hz 전후, 3500Hz 전후, 4000Hz 전후의 진동수는 멀리까지 전달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화학설비의 안전성평가 과정에서 제3단계인 정량적평가 항목에 포함되는 것은?

  1. 입지조건
  2. 건조물
  3. 화학설비의용량
  4. 공정계통도
(정답률: 58%)
  • 화학설비의 용량은 화학물질의 저장 및 처리 용량을 의미하며, 안전성평가 과정에서 정량적평가 항목에 포함됩니다. 이는 화학물질의 용량이 설비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즉, 화학물질의 용량이 설비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화학설비의 용량은 안전성평가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휘광(glare)이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휘도의 향상
  2. 가시도와 대비의 저하
  3. 가시도와 시성능의 저하
  4. 가시도와 시성능의 향상
(정답률: 30%)
  • 휘광은 눈에 불쾌감을 주는 반사광으로, 가시도와 대비를 저하시키고 시야의 선명도와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시성능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시도와 시성능의 저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공사현장에서 공정관리에 의한 공정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은?

  1. 천후
  2. 실행예산
  3. 재료반입 및 노무공급계획
  4. 각 공종별 공사량
(정답률: 52%)
  • 공정표는 공사 현장에서 진행되는 각 공정의 일정과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은 각 공종별 공사량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각 공정의 일정과 인력, 재료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공종별 공사량은 공정표 작성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에 의한 기초 흙막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중을 산정할 때 예상되는 수위는 항상 평균수위로 고려하여야 한다.
  2. 앵커체는 수평에서 하향 10°~45°범위 내에서 경제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경사각을 결정한다.
  3. 앵커의 내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앵커에 작용하는 설계하중의 1.2배로 긴장하여 그 지지력을 확인한 후 설계하중으로 장착한다.
  4. 장착부의 해체는 채택된 방법에 맞는 것으로 하고, 긴장력을 급격히 푸는 것은 피한다.
(정답률: 41%)
  • "하중을 산정할 때 예상되는 수위는 항상 평균수위로 고려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하중을 산정할 때는 예상되는 최대 수위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평균 수위가 1m인데 최대 수위가 2m일 경우, 하중을 산정할 때는 2m를 기준으로 계산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골 용접접합에 대한 용어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살용접 : 목두께의 방향이 모재의 면과 45° 또는 거의 45°의 각을 이루는 용접
  2. 슬래그(slag) : 용접부에 잔류하는 산화물 등의 비금속 물질이 용접금속 속에 녹아 있는 것
  3. 블로 홀(blow hole) : 비드의 가장자리에서 모재가깊이 먹어들어간 것처럼 된 것.
  4. 오버랩(over lap) : 용접금속이 모재에 융착되지 않고 단순히 겹쳐 있는 용접
(정답률: 35%)
  • 정답: "블로 홀(blow hole) : 비드의 가장자리에서 모재가깊이 먹어들어간 것처럼 된 것."

    설명: 블로 홀은 비드 내부에서 발생하는 구멍으로, 비드의 가장자리에서 모재가 깊이 먹어들어간 것이 아니라 비드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철골조에 관한 설명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밀한 가공을 요한다.
  2. 내화적이다.
  3. 철근콘크리트조에 비해 경량이다.
  4. 고층 및 대규모 건물에 적합하다.
(정답률: 41%)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내화적이다." 이다. 이유는 다른 설명들은 철골조의 장점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반면, "내화적이다."는 철골조와는 관련이 없는 속성이기 때문이다. 철골조는 내화성이 낮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지만, 이는 철골조의 단점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철골조 건물의 연면적이 5000m2일 때 철골의 개산견적 소요량으로 적당한 것은?

  1. 30 ~ 40ton
  2. 100 ~ 250ton
  3. 300 ~ 400ton
  4. 500 ~ 750ton
(정답률: 39%)
  • 철골조 건물의 연면적이 클수록 철골의 양이 많아지므로, 5000m2의 연면적을 가진 건물에는 500 ~ 750ton의 철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골조 건물의 철골 양 범위 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반조사방법 중 +자형의 전단저항날개를 로드선단에 붙여 지중에 박아 넣고 회전시켜 그 때의 최대저항 치에서 지반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방법은?

  1. 표준관입시험
  2. 화란식 관입시험
  3. 스웨덴식 사운딩시험
  4. 베인시험
(정답률: 68%)
  • 베인시험은 지반조사방법 중 하나로, 자형의 전단저항날개를 로드선단에 붙여 지중에 박아 넣고 회전시켜 그 때의 최대저항 치에서 지반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반의 강도와 함께 지반의 밀도와 경도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지반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베인시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어넣기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2. 콘크리트의 비중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3.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작다.
  4.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질수록 측압이 작다.
(정답률: 66%)
  •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질수록 측압이 작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다질수록 공기 포함물이 제거되어 밀도가 높아지고 강도가 증가하므로 측압이 오히려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거푸집의 근본적인 역할로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조기구현
  2. 콘크리트가 굳기까지 형상 및 치수 확보
  3.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를 위한 스페이서 간격 유지
  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흐트러짐 방지
(정답률: 50%)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조기구현은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굳어서 강도가 증가하는데, 이 과정에서 건축물이 사용되기 전에도 일부 압축강도를 미리 조기구현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조기구현은 거푸집의 근본적인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근의 가공에 있어 철근의 단부에 갈고리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스터럽 및 띠철근
  2. 굴뚝의 철근
  3. 기둥 및 보(지중보는 제외)의 돌출부분의 철근
  4. 이형철근
(정답률: 23%)
  • 기둥 및 보(지중보는 제외)의 돌출부분의 철근은 보통 건축물의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근으로, 단부에 갈고리를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기둥이나 보의 돌출부분에 이미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철근은 가공이 간편하며 시공도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주문받은 건설업자가 대상계획의 기업, 금융, 토지조달, 설계, 시공 기타 모든 요소를 포괄한 도급계약 방식은?

  1. 실비정산 보수가산도급
  2. 턴키(turn-key)도급
  3. 정액도급
  4. 공동(joint venture)도급
(정답률: 65%)
  • 턴키도급은 주문받은 건설업자가 대상계획의 모든 요소를 포괄하여 기업, 금융, 토지조달, 설계, 시공 등을 전담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방식입니다. 즉, 고객은 건설업자에게 프로젝트를 맡기고, 건설업자는 모든 과정을 책임지며 완성된 건물을 고객에게 넘겨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객은 건설과정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으며, 건설업자는 프로젝트를 전담하여 효율적인 건설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서중콘크리트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중콘크리트란 일 평균기온이 30℃를 넘는 시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2. 서중콘크리트는 초기강도 발현이 빠르기 때문에 장기강도가 높다.
  3. 부어넣을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40℃ 이하로 한다.
  4. 혼화제는 AE감수제 지연형 또는 감수제 지연형을 사용한다.
(정답률: 36%)
  • 서중콘크리트는 일 평균기온이 30℃를 넘는 시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를 말하며, 초기강도 발현이 빠르기 때문에 장기강도가 높다. 부어넣을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해야 하며, 혼화제는 AE감수제 지연형 또는 감수제 지연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서중콘크리트의 초기강도 발현을 지연시켜서 장기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서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어스 오거(earth auger)공법 - 말뚝지정 공사
  2. 언더 피닝(under pinning)공법 - 철골 공사
  3. 올 케이싱(all casing)공법 - 제자리콘크리트말뚝 공사
  4. 바이브로 콤포저(vibro composer)공법 - 지반개량 공사
(정답률: 58%)
  • 언더 피닝(under pinning)공법과 철골 공사는 서로 관련이 있지만, 다른 세 가지 공법은 지반개량, 말뚝지정, 제자리콘크리트말뚝 공사 등 서로 다른 분야의 공법이므로 언더 피닝(under pinning)공법 - 철골 공사가 서로 관련이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설공사 원가 구성체계에 관한 설명 중 직접공사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자재비
  2. 일반노무비
  3. 외주비
  4. 노무비
(정답률: 49%)
  • 일반노무비는 간접비로 분류되어 직접공사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건설공사에서 직접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인력의 임금과 관련된 비용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건설공사에 기여하는 인력의 비용으로서, 예를 들어 감리, 설계, 감리기술자, 안전관리자 등의 비용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토공사에 사용되는 계측기기의 연결이 옳게 된 것은?

  1. 간극수압의 변화 - piezo meter
  2. 지반의 수평변위 및 방향 측정 - load cell
  3. 인접구조물 기울기 측정 - lnclino meter
  4. 버팀대 변형 측정 - tilt meter
(정답률: 38%)
  • 간극수압은 지하수와 토양간의 압력을 의미하며, 이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지하수의 수위 변화나 지하수의 유동성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기가 piezo meter입니다. piezo meter는 지하수와 연결된 작은 구멍 안에 있는 압력 센서를 통해 간극수압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토공사에서 간극수압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piezo meter를 사용하는 것이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설명에 적합한 토공기계는?

  1. 불도저
  2. 파워쇼밸
  3. 드래그쇼밸
  4. 드래그라인
(정답률: 63%)
  • 이 토공기계는 큰 양의 토사를 한 번에 움켜올리는 불도저나 드래그쇼밸보다는 작은 양의 토사를 정밀하게 다루는 파워쇼밸에 적합합니다. 또한, 드래그라인은 토사를 길게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이 상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지반개량공법 중 점토질 지반에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웰포인트공법
  2. 바이브 로플로테이션공법
  3. 샌드드레인공법
  4. 언더피닝공법
(정답률: 40%)
  • 점토질 지반은 수분 흡수력이 높아 지하수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샌드드레인공법을 이용합니다. 샌드드레인공법은 지반 내부에 샌드드레인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점토질 지반에서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사입찰방식의 분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파트너링방식
  2. 공개경쟁방식
  3. 지명경쟁방식
  4. 수의계약방식
(정답률: 36%)
  • 공사입찰방식은 일반적으로 공개경쟁방식, 지명경쟁방식, 수의계약방식으로 분류됩니다. 파트너링방식은 입찰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입찰 과정이 없기 때문에 공사입찰방식의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케이싱을 직접 타격하여 땅 속에 박는 것으로 지내력의 증대를 위하여 말뚝의 선단에 구근을 형성하는 타격식 현장 콘크리트말뚝은?

  1. P.I.P(pack in place pile)
  2. M.I.P(mixed in place pile)
  3. 페디스탈파일(Pedestal concrete pile)
  4. 레이몬드파일(Raymond pile)
(정답률: 20%)
  • 케이싱을 직접 타격하여 땅 속에 박는 것으로 지내력의 증대를 위하여 말뚝의 선단에 구근을 형성하는 타격식 현장 콘크리트말뚝은 페디스탈파일이다. 이는 말뚝의 하단에 구근을 형성하여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방식으로, P.I.P와 M.I.P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방식이며, 레이몬드파일은 말뚝을 박는 도구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철근공사의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의 정착에서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보의 주근은 기둥에 벽철근은 기둥보 또는 바닥판에 바닥 철근은 보 또는 벽에 정착한다.
  2. 철근의 이음길이는 갈고리 끝부분 간의 거리로 한다.
  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은 인장력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4. 현장에 반입된 철근은 직접 지면에 닿지 않게 하고 습기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정답률: 32%)
  • "철근의 이음길이는 갈고리 끝부분 간의 거리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철근의 이음부분에서 갈고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데, 이때 갈고리 끝부분 간의 거리가 이음길이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의 공법에서 포스트텐션(post-tension)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설비가 좋은 공장에서 제조되므로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2. PSC강재가 콘크리트부재와 일체로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부착시킨 공법과 부착시키지 않는 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주로 현장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4. 콘크리트 경화 후에 PSC강재에 긴장력을 작용시키고 끝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준다.
(정답률: 17%)
  • "주로 현장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한 후에 현장에서 PSC강재에 긴장력을 작용시키고 끝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식이 아니라, 이미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에 PSC강재를 부착시킨 후에 현장에서 긴장력을 작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로 현장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주로 설비가 좋은 공장에서 제조되므로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는 이유는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부재는 일정한 환경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품질에 대한 일관성과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장에서는 정밀한 검사와 품질관리를 통해 불량품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학

61. 물 시멘트 비 65%로 콘크리트 1m3을 만드는데 필요한 물의 양으로 적당한 것은? (단 콘크리트 1m3 당 시멘트 8포 대(1포대=40kg)임)

  1. 0.1m3
  2. 0.2m3
  3. 0.3m3
  4. 0.4m3
(정답률: 39%)
  • 콘크리트를 만들 때 물과 시멘트의 비율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만들 때 물의 양은 시멘트의 양의 50~70%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물 시멘트 비가 65%로 주어졌으므로, 시멘트 8포 대(320kg)에 대해 물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의 양 = 시멘트 양 x 물 시멘트 비
    = 320kg x 0.65
    = 208kg

    따라서, 콘크리트 1m3을 만들 때 필요한 물의 양은 208kg이 됩니다. 이를 m3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물의 양 = 208kg ÷ 1000kg/m3
    = 0.208m3

    하지만 보기에서는 0.1m3, 0.2m3, 0.3m3, 0.4m3 중에서 선택하라고 하였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0.2m3을 선택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공기량이 같은 조건하에서 단위 골재량이 클수록 건조수축이 크다.
  2. W/C비가 적을수록 건조수축이 크다.
  3. 골재의 크기가 일정할 때 슬럼프값이 클수록 건조 수축은 작아진다.
  4. W/C비가 같은 경우 건조수축은 사용 단위 시멘트량이 클수록 크다.
(정답률: 27%)
  • W/C비가 같은 경우 건조수축은 사용 단위 시멘트량이 클수록 크다는 이유는, 시멘트가 건조되면서 수분을 흡수하면서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건조수축이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알루미늄과 그 합금재료의 일반적인 성질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비중이 철의 1/3이다.
  2. 내화성이 작다.
  3. 열⋅전기전도성이 크다.
  4. 산, 알칼리에 강하다.
(정답률: 62%)
  • 알루미늄과 그 합금재료는 산에 강하지만, 알칼리에는 약합니다. 이는 알루미늄이 알칼리성 용액에서 용해되어 산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제품을 사용할 때는 알칼리성 용액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강(鋼)의 응력-변형도 곡선의 그림에서 A와 C점이 나타내는 것은?

  1. A : 탄성한도, C : 상항복점
  2. A : 인장강도, C : 비례한도
  3. A : 비례한도, C : 하항복점
  4. A : 하항복점, C : 파괴점
(정답률: 36%)
  • A점은 강재가 탄성 영역에서 변형되는 한계인 비례한도를 나타내고, C점은 강재가 탄성 영역을 벗어나 처음으로 변형이 영구적으로 일어나는 하항복점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비례한도, C : 하항복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강암, 응회암, 사암의 3종류의 석재의 성질을 비교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응회암의 비중이 가장 크다.
  2. 화강암의 압축강도가 가장 크다.
  3. 사암의 흡수율이 가장 적다.
  4. 화강암의 내화성이 가장 크다.
(정답률: 41%)
  • 정답은 "화강암의 압축강도가 가장 크다." 이다.

    화강암은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되는 가장 강한 석재 중 하나이다. 이는 그것의 압축강도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압축강도는 석재가 압력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화강암은 또한 내화성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높아서 건축물의 구조물로 많이 사용된다.

    응회암은 비중이 가장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그것이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 응회암은 화강암보다는 약한 석재이지만, 그것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건축물의 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암은 흡수율이 가장 적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그것이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적기 때문이다. 사암은 화강암이나 응회암보다는 약한 석재이지만, 그것의 흡수율이 적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재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목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적다.
  2. 가공성이 좋다.
  3. 건조한 것은 불에 타기 쉽다.
  4. 열전도율이 크다.
(정답률: 49%)
  • 목재의 일반적인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열전도율이 크다"이다.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 중 하나로,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다. 이는 목재가 절연재료로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아스팔트와 피치(pitch)에 관한 기술로서 틀린 것은?

  1. 아스팔트의 단면은 광택이 있고 흑색이다.
  2. 피치는 아스팔트보다 냄새가 강하다.
  3. 아스팔트는 피치보다 내구성이 있다.
  4. 아스팔트는 상온에서 유동성이 없지만 가열하면 피치 보다 빨리 부드러워진다.
(정답률: 49%)
  • 정답은 "아스팔트는 상온에서 유동성이 없지만 가열하면 피치 보다 빨리 부드러워진다." 이다. 이유는 아스팔트는 고온에서 유동성이 있기 때문이다. 아스팔트는 고온에서 가열되면 유동성이 생겨 도로 포장재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석고보드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축률이 크고 단열성이 낮다.
  2. 방화성능 및 보온성이 우수하다.
  3. 흡습되면 강도, 강성이 저하된다.
  4. 부식이 안되고 충해를 받지 않는다.
(정답률: 39%)
  • 석고보드는 수축률이 크지 않고, 오히려 안정적인 크기를 유지하며 단열성이 높은 재질입니다. 이는 석고보드가 건축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긴 판을 가공하여 강당 등의 음향조절용으로 이용되며, 의장 효과도 겸할 수 있는 목재 제품은?

  1. 코펜하겐 리브
  2. 파키트 보드
  3. 플로링 패널
  4. 파키트 블록
(정답률: 59%)
  • 코펜하겐 리브는 긴 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진 목재 제품으로, 강당 등의 공간에서 음향 조절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그 디자인과 색상 등의 다양한 변형으로 인테리어 디자인에도 활용될 수 있어 의장 효과도 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코펜하겐 리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멜라민수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무색투명하며 착색이 자유롭다.
  2. 내열성이 600℃정도로 높다.
  3.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다.
  4. 판재류, 식기류, 전화기 등에 쓰인다.
(정답률: 55%)
  • 멜라민수지는 내열성이 높은 편이지만, 실제로는 300~400℃ 정도에서 붕해되기 시작하며 600℃ 이상에서는 붕괴된다. 따라서 "내열성이 600℃정도로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콘크리트용 보통골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잔골재의 염화물(NaCI)허용한도는 0.04%이다.
  2. 골재의 절대건조밀도(g/cm3 )는 2.5 이상이어야 한다.
  3.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철근간격의 4/5 이하로 해야 한다.
  4. 잔골재의 조립률은 3~4 정도가 적당하다.
(정답률: 16%)
  • 잔골재의 조립률은 적당한 강도와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비율로 혼합해야 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잔골재의 조립률은 콘크리트의 용도와 성능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는 3~4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수화속도를 지연시켜 수화열을 작게 한 시멘트로, 건조수축이 작고 내황산염이 크며, 건축용 매스콘크리트 등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1.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2.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3. 초조강 포틀랜드시멘트
  4. 백색 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59%)
  •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는 수화속도를 지연시켜 수화열을 작게 하기 때문에 건조수축이 작고 내황산염이 크며, 건축용 매스콘크리트 등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시멘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점토제품 중 흡수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도기
  2. 토기
  3. 석기
  4. 자기
(정답률: 68%)
  • 정답은 "자기"입니다. 자기는 비흡수성 물질로, 물을 흡수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도기, 토기, 석기는 모두 흡수성 물질로,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강(鋼)에 함유된 탄소성분이 강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것은?

  1. 강도
  2. 신율
  3. 내산성
  4. 경도
(정답률: 24%)
  • 강도, 신율, 경도는 모두 강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이지만, 내산성은 강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탄소성분이 강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내산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각종 합성수지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크릴수지는 투명도가 높고, 열팽창성이 낮아 채광판으로 쓰이나 내충격강도는 낮다.
  2. 폴리스틸렌 수지는 기계적 강도, 내구성이 좋다.
  3. 실리콘수지는 발수성이 높아 건축물, 전기절연물 등의 방수에 쓰인다.
  4. 불소수지는 -100℃의 저온에서도 성질의 변화가 거의 없다.
(정답률: 21%)
  • "아크릴수지는 투명도가 높고, 열팽창성이 낮아 채광판으로 쓰이나 내충격강도는 낮다."가 틀린 것이다. 아크릴수지는 내충격강도가 높아서 안전안경, 자동차 유리 등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골재의 함수상태 중 콘크리트 시방배합시 기준이 되는 상태는?

  1. 절건상태
  2. 기건상태
  3. 표건상태
  4. 습윤상태
(정답률: 52%)
  • 콘크리트 시방배합시에는 골재가 최대한 밀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골재의 표면이 건조하고 깨끗한 상태여야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시방배합시 기준이 되는 골재의 함수상태는 "표건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시멘트콘크리트 제품 중 대리석의 쇄석을 종석으로 하여 대리석과 같이 미려한 광택을 갖도록 마감한 것은?

  1. 석면
  2. 테라조
  3. 질석
  4. 고압벽돌
(정답률: 67%)
  • 테라조는 대리석의 쇄석을 종석으로 하여 대리석과 같이 미려한 광택을 갖도록 마감한 시멘트콘크리트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마루판으로의 사용이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코펜하겐 리브
  2. 플로링 보드
  3. 파키트 블록
  4. 파키트 패널
(정답률: 60%)
  • 정답은 "코펜하겐 리브"입니다.

    마루판은 바닥재로 사용되는 재료로, 주로 바닥에 깔아 사용합니다. 따라서 벽면에 사용하는 "코펜하겐 리브"는 마루판으로의 사용이 가장 적당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바닥재로 사용 가능한 재료들입니다. "플로링 보드"는 마루판의 일종으로, "파키트 블록"과 "파키트 패널"은 클릭식 바닥재로, 마루판처럼 바닥에 깔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거푸집 속에 굵은 골재를 먼저 채우고 난 후 특수혼화제를 섞어서 만든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만드는 특수콘크리트는?

  1. AE 콘크리트
  2. 프리팩트 콘크리트
  3. 진공 콘크리트
  4. 중량 콘크리트
(정답률: 46%)
  • 프리팩트 콘크리트는 건축 현장에서 직접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거푸집 속에 굵은 골재를 먼저 채우고 특수혼화제를 섞어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AE 콘크리트", "진공 콘크리트", "중량 콘크리트"는 모두 현장에서 혼합하는 방식의 콘크리트이므로 정답은 "프리팩트 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미장바름에 쓰이는 착색제에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에 녹지 않아야 한다.
  2. 내알칼리성이어야 한다.
  3. 입자가 굵어야 한다.
  4. 미장재료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57%)
  • 미장바름에 쓰이는 착색제는 입자가 굵어야 한다. 이는 미장재의 표면에 부드럽게 분포되어 균일한 색상을 만들기 위함이다. 미장재의 표면에 입자가 작으면 색상이 불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자가 굵은 착색제가 미장바름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안전기술

81. 공사현장 안전관리계획 작성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지 및 환경조건
  2. 안전관리 중점목표
  3. 공정, 공종별 위험요소 판단
  4. 공사성과의 분석 및 개선방법
(정답률: 57%)
  • 공사현장 안전관리계획 작성시에는 입지 및 환경조건, 안전관리 중점목표, 공정, 공종별 위험요소 판단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공사성과의 분석 및 개선방법입니다. 안전관리계획은 공사현장에서 안전을 유지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계획이므로, 공사성과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공사성과의 분석 및 개선방법은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추락재해의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대를 부착하지 않았다.
  2. 작업대의 발판이 좁았다.
  3. 토사를 안전한 기울기로 굴착하지 않았다.
  4. 안전난간을 설치하지 않았다.
(정답률: 55%)
  • 토사를 안전한 기울기로 굴착하지 않았다는 것은 추락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보다 거리가 먼 것입니다. 안전대를 부착하지 않았다면 추락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토사를 안전한 기울기로 굴착하지 않았다면 추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때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2. 상부난간대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120cm 이하에 설치할 것
  3. 난간기둥은 상부난간대와 중간난간대를 견고하게 떠받칠 수 있도록 적정간격을 유지할 것
  4. 난간대는 지름 5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정답률: 52%)
  • "난간대는 지름 5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이 틀린 것은, 안전난간을 설치할 때 난간대의 재료는 금속뿐만 아니라 나무, 유리섬유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너무 제한적이며 다양한 재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붕괴 등의 방지를 위하여 터널지보공을 설치한 후에 수시로 점검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탈락의 유무 및 상태
  2. 통신설비의 상태
  3. 부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정답률: 73%)
  • 터널지보공은 터널 내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따라서 터널지보공을 설치한 후에는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변위 탈락의 유무 및 상태, 부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의 상태,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등을 수시로 점검하여야 합니다. 이 중에서 통신설비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터널 내부의 통신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터널 내부의 통신설비 상태를 체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수중 굴착작업시 가장 적합한 공법은?

  1. 아일랜드(Ireland) 공법
  2. 트랜치 컷(Trench Cut) 공법
  3. 케이슨(Caisson) 공법
  4. 플로팅(Floating) 공법
(정답률: 42%)
  • 수중 굴착작업시 가장 적합한 공법은 케이슨(Caisson) 공법입니다. 이는 수중에서 바닥을 파내기 위해 큰 구조물인 케이슨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케이슨은 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공기를 제어하여 수중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안전성이 높고 깊은 수심에서도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수중 굴착작업시 가장 적합한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비계의 구비요건이 아닌 것은?

  1. 안전성
  2. 작업성
  3. 영구성
  4. 경제성
(정답률: 74%)
  • 비계의 구비요건 중에서 영구성은 해당하지 않는다. 비계는 일시적인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영구적인 구조물이 아니며, 작업이 끝나면 철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계는 안전성, 작업성, 경제성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지만 영구성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이 터져서 콘크리트가 쏟아진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음 중 이 사고의 주요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1.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속도가 빨랐다.
  2. 전동기를 사용하지 않았다.
  3. 철근 사용량이 적었다.
  4. 시멘트 사용량이 많았다.
(정답률: 38%)
  •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속도가 빨랐다는 것은 거푸집 내부의 공기가 충분히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계속해서 부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거푸집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결국 거푸집이 터져서 콘크리트가 쏟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가설비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말비계
  2. 달대비계
  3. 사다리비계
  4. 이동식비계
(정답률: 49%)
  • 사다리비계는 가설비계의 종류가 아니라 이동식비계와 함께 이동 가능한 비계에 속합니다. 다른 세 가지는 모두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가설비계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사업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규모의 사업으로 틀린 것은?

  1. 터널건설 등의 공사
  2.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3. 지상높이 10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최대 지간길이가 50미터 이상인 교량건설 등의 공사
(정답률: 57%)
  • 지상높이 10미터 이상인 건축물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규모의 사업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지상높이 10미터 이상인 건축물은 건축법상의 건축물로 분류되며, 건축물의 안전성과 관련된 사항은 국토교통부에서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터널건설 등의 공사,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최대 지간길이가 50미터 이상인 교량건설 등의 공사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규모의 사업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PC(Precast Concrete) 조립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호수를 지정한다.
  2. 인양 PC부재 아래에 근로자 출입을 금지한다.
  3. 크레인에 PC부재를 달아 올린 채 주행한다.
  4. 운전자는 PC부재를 달아 올린 채 운전대에서 이탈을 금지한다.
(정답률: 68%)
  • 정답: 크레인에 PC부재를 달아 올린 채 주행한다.

    이유: 크레인에 PC부재를 달아 올린 채 주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이로 인해 크레인이 불안정해지고 PC부재가 떨어질 가능성이 크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PC조립시에는 크레인에 PC부재를 달아 올리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콘크리트건물 해체작업 공법이 아닌 것은?

  1. 전도 공법
  2. 화약발파 공법
  3. 오픈컷 공법
  4. 팽창압 공법
(정답률: 58%)
  • 콘크리트건물 해체작업에서 전도 공법, 화약발파 공법, 팽창압 공법은 모두 콘크리트를 파괴하거나 분해하는 방법이지만, 오픈컷 공법은 콘크리트를 파괴하지 않고 건물의 외벽을 절단하여 분해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콘크리트건물 해체작업 공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프리캐스트 부재의 현장야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물로 인한 부재의 변질을 방지한다.
  2. 벽 부재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으로 포개 쌓아 놓는다.
  3. 부재의 제조번호, 기호 등을 식별하기 쉽게 야적한다.
  4. 받침대를 설치하여 휨, 균열 등이 생기기 않게 한다.
(정답률: 75%)
  • "부재의 제조번호, 기호 등을 식별하기 쉽게 야적한다."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현장 야적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벽 부재는 수평으로 포개 쌓아 놓는 이유는 부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수직으로 쌓을 경우 부재가 기울어지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수평으로 쌓아 놓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벽 부재는 오물로 인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호책을 갖추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낙하물방지망의 설치시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설치높이는 10m 이내마다 설치한다.
  2. 내민길이는 벽면으로부터 1m 이상으로 한다.
  3. 수평면과의 각도는 45°를 유지한다.
  4. 최소 5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58%)
  • 낙하물방지망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낙하하는 물체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10m 이내마다 설치하여 높이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10cm 그물코인 방망을 설치할 때 방망과 바닥면 사이의 최소높이는? (단, 설치된 방망의 단변 방향 길이 L=2m, 설치된 방망의 지지간격 A=3m이다.)

  1. 2.0m
  2. 2.4m
  3. 3.0m
  4. 3.4m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지게차의 작업시작전 점검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2.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버팀의 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4.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률: 54%)
  • 버팀의 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가 옳지 않은 것은 작업시작 전에 점검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버팀이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이상이 있을 경우 작업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시작 전에 버팀의 방법과 고정상태를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강관틀비계 조립시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높이가 20미터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 간의 간격이 1.8미터 이하로 할 것
  2.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하층 및 6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3. 수직방향으로 6미터, 수평방향으로 8미터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
  4. 길이가 띠장 방향으로 4미터 이하이고 높이가 10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미터 이내마다 띠장 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할 것
(정답률: 48%)
  •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하층 및 6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은 올바른 준수사항이다. 이는 강관틀비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교차 가새와 수평재를 설치함으로써 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불도저의 종류 중 아래에서 설명하는 불도저의 명칭은?

  1. 틸트 도저
  2. 스트레이트 도저
  3. 앵글 도저
  4. 터나 도저
(정답률: 65%)
  • 이 도저는 블레이드가 좌우로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앵글 도저"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운반하여 작업(걸이작업)을 시행할 때 준수하여야할 작업지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줄 걸이 이상을 사용한다.
  2. 와이어로프 등은 크레인의 후크 중심에 걸어야 한다.
  3. 근로자를 매달린 물체위에 탑승시켜서는 안된다.
  4. 걸이작업의 매다는 각도는 90°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6%)
  • "걸이작업의 매다는 각도는 90°를 표준으로 한다."라는 문장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걸이작업의 매다는 각도는 작업 대상물의 무게와 크레인의 능력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45°에서 60° 사이의 각도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사다리식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폭은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2. 발판의 간격을 동일하게 할 것
  3.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는 85도 이하로 할 것
  4. 다리분분은 미끄럼방지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률: 58%)
  •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는 85도 이하로 할 것"이 틀린 것은, 실제로는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는 75도 이하로 할 것"입니다. 이유는, 사다리식 통로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위험하고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를 75도 이하로 유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산소결핍위험장소인 밀폐공간내의 작업조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시작 전 공기 중의 산소농도 측정
  2. 작업을 할 때 산소농도를 18% 이상 유지
  3. 방진마스크 착용
  4. 산소결핍장소에서 근로자를 구출할 때 공기 호흡기 착용
(정답률: 39%)
  • 방진마스크는 먼지나 유해 가스 등의 미세 입자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지 산소를 보충해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산소결핍위험장소에서는 방진마스크 대신 공기 호흡기를 착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방진마스크 착용"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