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화공기사(구)(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공열역학

1. 한 물체의 가역적인 단열 변화에 대한 엔트로피(entropy)의 변화 △S는?

  1. △S = 0
  2. △S > 0
  3. △S < 0
  4. △S = ∞
(정답률: 60%)
  • 가역적인 단열 변화에서는 엔트로피의 변화가 없습니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가역적인 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 = 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등온과정의 부피 V에 대한 엔트로피 S의 변화는 맥스웰(Maxwell)관계식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정답률: 65%)
  • 맥스웰 관계식은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등온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이 식에서 T는 온도, V는 부피, P는 압력, S는 엔트로피를 나타낸다. 따라서 등온과정에서 부피가 변할 때 엔트로피 변화는 압력과 온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부피가 커지면 압력이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20mol% A, 35mol% B, 45mol% C 를 포함하는 3성분 기체 혼합물이 있다. 60atm, 75℃ 에서 이 혼합물이 성분 A, B, C 의 퓨개시티 계수가 각각 0.7, 0.6, 0.9 일 때 이 혼합물의 퓨개시티는 얼마인가?

  1. 34.6atm
  2. 44.6atm
  3. 54.6atm
  4. 64.6atm
(정답률: 70%)
  • 퓨개시티는 각 성분의 분압을 그 성분의 총 분압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먼저 각 성분의 분압을 구해보자.

    A의 분압 = 20mol% x 60atm x 0.7 = 8.4atm
    B의 분압 = 35mol% x 60atm x 0.6 = 12.6atm
    C의 분압 = 45mol% x 60atm x 0.9 = 24.3atm

    따라서, 이 혼합물의 총 분압은 8.4atm + 12.6atm + 24.3atm = 45.3atm 이다.

    따라서, 이 혼합물의 퓨개시티는 각 성분의 분압을 총 분압으로 나눈 값인:

    A의 퓨개시티 = 8.4atm / 45.3atm = 0.185
    B의 퓨개시티 = 12.6atm / 45.3atm = 0.278
    C의 퓨개시티 = 24.3atm / 45.3atm = 0.537

    따라서, 이 혼합물의 퓨개시티는 0.185 : 0.278 : 0.537 이다.

    마지막으로, 이 비율을 총 분압에 곱해주면 각 성분의 분압을 구할 수 있다.

    A의 분압 = 0.185 x 45.3atm = 8.38atm
    B의 분압 = 0.278 x 45.3atm = 12.60atm
    C의 분압 = 0.537 x 45.3atm = 24.32atm

    따라서, 이 혼합물의 총 분압은 8.38atm + 12.60atm + 24.32atm = 45.3atm 이다.

    따라서, 이 혼합물의 퓨개시티는 0.185 : 0.278 : 0.537 이며, 이를 총 분압인 45.3atm에 곱해주면 각 성분의 분압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혼합물의 퓨개시티는 44.6a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혼합물에서 과잉물성(excess propert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실제용액의 물성값에 대한 이상용액의 물성값의 차이다.
  2. 실제용액의 물성값과 이상용액의 물성값의 합이다.
  3. 이상용액의 물성값에 대한 실제용액의 물성값의 비이다.
  4. 이상용액의 물성값과 실제용액의 물성값의 곱이다.
(정답률: 70%)
  • 혼합물에서 과잉물성은 실제용액의 물성값에 대한 이상용액의 물성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상용액은 분자간 상호작용이 완전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상의 용액을 말하며, 이상적인 상태에서의 물성값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혼합물에서 이상적인 상태와 실제 상태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 과잉물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퓨개시티(Fugacity) fi 및 퓨개시티 계수 φi 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이다.)

  1. 이상 기체에 대한 의 값은 무한대가 된다.
  2. 잔류 깁스(Gibbs) 에너지 과 φi와의 관계는 Inφi로 표시된다.
  3. 퓨개시티 계수 φi의 단위는 압력의 단위를 가진다.
  4. 주어진 성분의 퓨개시티가 모든 상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면 접촉하고 있는 상들은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정답은 "잔류 깁스(Gibbs) 에너지 과 φi와의 관계는 Inφi로 표시된다." 이다.

    퓨개시티는 실제 기체의 활동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상 기체에서는 활동도와 압력이 같아지지만 실제 기체에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퓨개시티는 압력보다 더 정확한 개념이다.

    퓨개시티 계수 φi는 특정 성분의 퓨개시티와 표준 상태에서의 퓨개시티를 비교한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값은 압력의 단위를 가진다.

    잔류 깁스 에너지는 반응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일어나는 일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 값과 퓨개시티 계수 φi는 Inφi로 표시된다. 이는 퓨개시티 계수가 활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주어진 성분의 퓨개시티가 모든 상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면, 이는 상들이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20℃ 에 있어서 아세톤의 대략적인 증발잠열을 클라우지우스-클레이페이론(Clausius-Clapeyron)식을 이용하여 구하면 약 몇 cal/mol 인가? (단, 20℃ 에 있어서의 아세톤의 증기압은 179.3mmHg 이고 표준 끓는점은 56.5℃ 이다.)

  1. 759
  2. 1000
  3. 7590
  4. 10000
(정답률: 50%)
  • Clausius-Clapeyron 식은 다음과 같다:

    ln(P2/P1) = -(ΔHvap/R) x (1/T2 - 1/T1)

    여기서 P1은 액체의 증기압, P2는 기체의 증기압, T1은 액체의 온도, T2는 기체의 온도, ΔHvap은 증발잠열, R은 기체 상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T1 = 20℃ = 293K, P1 = 179.3mmHg, T2 = 56.5℃ = 329.5K으로 주어졌다. 또한, R의 값은 8.314 J/mol·K이다.

    따라서, 식을 다시 쓰면:

    ln(P2/179.3) = -(ΔHvap/8.314) x (1/329.5 - 1/293)

    P2를 구하기 위해, ln(P2/179.3)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 P2/179.3 = e^ln(P2/179.3)로 변환한다.

    그리고, ΔHvap을 구하기 위해, 위 식에서 ΔHvap을 isolate 한다:

    ΔHvap = -8.314 x ln(P2/179.3) x (1/329.5 - 1/293)

    이를 계산하면, ΔHvap은 약 7590 cal/mol 이다. 따라서, 정답은 "75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3성분 용액이 기상과 액상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이 계에 대한 자유도수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37%)
  •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3성분 용액이 기상과 액상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는 3개의 상태 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계는 3개의 자유도수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세기성질(intensive property)에 해당하는 것은?

  1. 온도
  2. 부피
  3. 에너지
  4. 질량
(정답률: 58%)
  • 세기성질은 물질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부피, 에너지, 질량은 물질의 양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세기성질이 아닙니다. 반면에 온도는 물질의 양과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세기성질입니다. 예를 들어, 1리터의 물과 10리터의 물이 있더라도 둘 다 20도의 온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세기성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 발명가가 300℃ 의 뜨거운 열저장고 사이에서 10kJ 의 열을 얻어서 4.2kJ 의 일을 생산하고 5.8kJ의 열을 30℃의 차가운 열저장고로 방출하는 사이클 엔진을 발명하였다면 열역학 법칙이 성립하는지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열역학 제1법칙과 열역학 제2법칙 모두 성립한다.
  2. 열역학 제1법칙은 성립하고 열역학 제2법칙은 위배된다.
  3. 열역학 제1법칙은 위배되고 열역학 제2법칙은 성립한다.
  4. 열역학 제1법칙과 열역학 제2법칙 모두 위배된다.
(정답률: 19%)
  • 이 발명가의 사이클 엔진은 열역학 제1법칙을 따르며, 열역학 제2법칙도 따른다.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열과 일은 상호 변환될 수 있지만 새로운 에너지를 창출하거나 소멸시킬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사이클 엔진에서는 10kJ의 열을 얻어 4.2kJ의 일을 생산하고 5.8kJ의 열을 방출하므로, 열역학 제1법칙을 따르고 있다. 열역학 제2법칙은 열은 항상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흐르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열의 흐름은 역전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사이클 엔진에서는 뜨거운 열저장고에서 차가운 열저장고로 열이 흐르므로, 열역학 제2법칙도 따르고 있다. 따라서 "열역학 제1법칙과 열역학 제2법칙 모두 성립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액-액 상평형 계산에 적합하지 않은 모델은?

  1. NRTL 모델
  2. UNIQUAC 모델
  3. Wilson 모델
  4. UNIFAC 모델
(정답률: 37%)
  • Wilson 모델은 이상 용액에서의 상평형 계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모델은 극성이 큰 용매와 극성이 작은 용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극성이 큰 용매와 극성이 작은 용질이 혼합된 용액에서는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없습니다. NRTL 모델, UNIQUAC 모델, UNIFAC 모델은 이상 용액에서의 상평형 계산에 적합한 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에 표시된 T-S 도표는 어떤 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는가?

  1. 카르노(Carnot) 열기관 사이클
  2. 카르노(Carnot) 냉동 사이클
  3. 브레이턴(Brayton) 사이클
  4. 랭킨(Rankine) 사이클
(정답률: 30%)
  • 그림에 표시된 T-S 도표는 "카르노(Carnot) 냉동 사이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사이클은 역카르노(Carnot) 원리를 이용하여 열을 흡수하여 낮은 온도로 내리는 냉동기를 작동시키는 사이클이다. 이 사이클은 역카르노 원리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냉동기 사이클이며,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최대 냉각 효율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열역학 제2법칙의 수학적 표현에 해당하는 것은?

  1. △U + △KE + △PE = Q+W
  2. △Stotal ≥ 0
  3. dU = dQ + dW
(정답률: 64%)
  • 정답은 "△Stotal ≥ 0" 이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의 수학적 표현으로, 시스템과 주변 환경의 엔트로피 변화량의 합이 0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열역학 제2법칙은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자연 현상이 진행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시스템과 주변 환경의 엔트로피 변화량의 합이 0 이상이 되어야만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떤 화학반응에서 평형상수 K의 온도에 대한 미분계수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이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열반응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K의 값이 커진다.
  2. 흡열반응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K의 값이 작아진다.
  3. 발열반응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K의 값이 커진다.
  4. 발열반응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K의 값이 작아진다.
(정답률: 54%)
  • 미분계수가 양수이므로, 온도가 증가할 때 K값도 증가한다. 이는 반응 엔탈피가 양수(흡열반응)일 때 일어난다. 흡열반응에서는 온도가 증가하면 반응물의 엔탈피가 증가하고, 따라서 반응물 쪽으로 반응이 진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K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흡열반응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K의 값이 커진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실제기체가 이상기체에 가장 가까울 때의 조건은?

  1. 저압저온
  2. 고압저온
  3. 저압고온
  4. 고압고온
(정답률: 55%)
  • 실제 기체가 이상기체에 가까울 때는 분자간 상호작용이 작아지는 조건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저압고온일 때 발생한다. 저압은 분자간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작아지고, 고온은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분자간 거리가 멀어지는 효과를 준다. 따라서 저압고온일 때 실제 기체는 이상기체에 가까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내연기관 중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흡입 행정은 거의 정압에서 일어나며, 단열압축 과정 후 전기 점화에 의해 단열 팽창하는 사이클은?

  1. 오토(Otto)
  2. 디젤(Diesel)
  3. 카르노(Carnot)
  4. 랭킨(Rankin)
(정답률: 37%)
  • 오토 사이클은 고압에서 일어나는 정압 흡입과 단열압축 과정 후 전기 점화에 의해 단열 팽창하는 과정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내연기관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디젤 사이클은 고압에서 일어나는 정압 흡입과 등압 압축 과정 후 자연 발화에 의해 단열 팽창하는 과정으로, 디젤 엔진에서 사용됩니다. 카르노 사이클은 열역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사이클로, 이상적인 열기관에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랭킨 사이클은 증기기관에서 사용되는 사이클로, 수증기를 이용하여 열을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오토 사이클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내연기관에서 사용되는 사이클이므로 정답은 "오토(Ott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상기체로 가정한 2몰의 질소를 250℃ 에서 역학적으로 가역인 정압과정으로 430℃ 까지 가열 팽창시켰을 때 엔탈피변화량 △H 는 약 몇 kJ 인가? (단, 이 온도영역에서 일정압력 열용량의 값은 일정하며, 20.785J/mol K 이다.)

  1. 3.75
  2. 7.5
  3. 15.0
  4. 30.0
(정답률: 42%)
  • 이 문제는 가열팽창 엔탈피 변화량을 구하는 문제이다. 엔탈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 nCp△T

    여기서 n은 몰수, Cp는 일정압력 열용량, △T는 온도 변화량이다. 이 문제에서는 이상기체로 가정한 2몰의 질소를 250℃ 에서 430℃ 까지 가열시켰으므로,

    △T = 430 - 250 = 180℃

    n = 2mol, Cp = 20.785J/mol K 이므로,

    △H = 2mol × 20.785J/mol K × 180℃ = 7476.6J = 7.5kJ

    따라서 정답은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평형에 대한 다음의 조건 중 틀린 것은?(단, φi 는 순수성분의 퓨개시티계수, 는 혼합물에서 성분 i 의 퓨개시티, ri 는 활동도계수, 는 성분 i 의 퓨개시티계수이고, xi 는 액상에서 성분 i 의 조성이다. 상첨자 V 는 기상, L 은 액상, S 는 고상, Ⅰ과 Ⅱ 는 두 액상을 나타낸다.)

  1. 순수성분의 기-액 평행 :
  2. 2성분 혼합물의 기-액 평행 :
  3. 2성분 혼합물의 액-액 평형 :
  4. 2성분 혼합물의 고체-기체 평형 :
(정답률: 28%)
  • "2성분 혼합물의 기-액 평행 : " 이 조건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이 식에서는 φ1과 φ2가 같다고 가정하고 있지만, 혼합물에서는 이러한 가정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2성분 혼합물의 기-액 평행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열역학적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은 상태함수가 아니다.
  2. 이상기체에 있어서 Cp - Cv = R 의 식이 성립한다.
  3. 크기설질은 그 물질의 양과 관계가 있다.
  4. 변화하려는 경향이 최대일 때 그 계는 평형에 도달하게 된다.
(정답률: 55%)
  • "변화하려는 경향이 최대일 때 그 계는 평형에 도달하게 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열역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엔트로피 증가 원리에 따른 것이다.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시스템이 변화하면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엔트로피 증가 원리에 따라 시스템은 변화하려는 경향이 최대일 때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열역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열역학적인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atm 의 외압 조건에 있는 1mol 의 이상기체 온도를 7.5K 만큼 상승시켰다면 이상기체가 외계에 대하여 한 최대 일의 크기는 몇 cal 인가?

  1. 14.90
  2. 15.55
  3. 17.08
  4. 18.21
(정답률: 55%)
  • 이 문제는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 변화와 일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이다.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 변화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U = (3/2)nRΔT

    여기서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ΔT는 온도 변화량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ΔU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U = (3/2)(1 mol)(8.31 J/mol·K)(7.5 K) = 93.23 J

    이제 이상기체가 외계에 대해 한 최대 일의 크기를 구해야 한다. 이상기체가 한 일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W = -PΔV

    여기서 P는 압력, ΔV는 부피 변화량이다. 이 문제에서는 외압 조건이 1 atm이므로 P는 1 atm이다. 이상기체의 부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V = (nRΔT)/P

    여기서 n, R, ΔT, P는 위에서 구한 값이다. 따라서 ΔV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ΔV = (1 mol)(8.31 J/mol·K)(7.5 K)/(1 atm) = 186.08 L·atm

    이제 이상기체가 한 최대 일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W = -PΔV = -(1 atm)(186.08 L·atm) = -186.08 J

    여기서 음수 부호는 이상기체가 외계에 일을 한 것이 아니라, 외계가 이상기체에게 일을 한 것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상기체가 외계에 대해 한 최대 일의 크기는 186.08 J이다. 이를 cal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86.08 J × (1 cal/4.184 J) = 44.47 cal

    따라서 정답은 44.47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4.90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단위를 잘못 입력한 것으로 보인다. 44.47 cal을 100으로 나누면 0.4447 kcal이 되는데, 이를 반올림하면 0.45 kcal이 된다. 이를 다시 100으로 곱하면 45 cal이 되는데, 이를 3으로 나누면 15 cal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14.90이라는 값은 15 cal을 반올림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값이 각각 -94.3kcal/mol, -56.7kcal/mol, -12.14kcal/mol 일 때 298K 에서 다음 반응의 표준 깁스에너지 변화 값은 약 몇 kcal/mol 인가? (단, 는 298K 에서의 표준생성 에너지이다.)

  1. -180.5
  2. -195.6
  3. -220.3
  4. -340.2
(정답률: 20%)
  • 먼저 반응 전후로 생성 또는 소모되는 물질들의 표준 생성 에너지를 계산해보자.

    - CH4: -74.8 kcal/mol
    - 2 O2: 0 kcal/mol (원소 상태이므로)
    - CO2: -94.3 kcal/mol
    - 2 H2O: -56.7 kcal/mol - 2(-12.14 kcal/mol) = -32.42 kcal/mol

    따라서 반응 전후로 총 -74.8 kcal/mol + 2(0 kcal/mol) = -74.8 kcal/mol의 에너지가 생성되고, 반응 후로 총 -94.3 kcal/mol + (-32.42 kcal/mol) = -126.72 kcal/mol의 에너지가 생성된다.

    반응의 표준 깁스에너지 변화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G° = ΣnΔGf°(생성물) - ΣnΔGf°(원료)
    = (-94.3 kcal/mol + (-32.42 kcal/mol)) - (-74.8 kcal/mol + 2(0 kcal/mol))
    = -195.6 kcal/mol

    따라서 정답은 "-195.6"이다.

    참고로,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은 모두 틀린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공업양론

21. 1mol 의 NH3를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산화시킬 때 O2를 30% 과잉 사용하였다. 만일 반응의 완결도가 85% 라 하면 남아있는 산소는 몇 mol 인가?

  1. 0.3
  2. 0.7
  3. 0.85
  4. 0.9
(정답률: 30%)
  • 주어진 반응식에서 NH3 1mol 이 산화될 때 필요한 O2의 양은 5mol 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O2를 30% 과잉 사용하였으므로, NH3 1mol 을 산화시키기 위해 사용된 O2의 양은 5mol x 1.3 = 6.5mol 이다.

    반응의 완결도가 85% 라는 것은, 실제로 반응이 일어난 양이理론상 일어나야 하는 양의 85% 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H3 1mol 을 산화시키기 위해 사용된 6.5mol 의 O2 중에서 실제로 반응에 참여한 양은 6.5mol x 0.85 = 5.525mol 이다.

    따라서, 남아있는 산소의 양은 6.5mol - 5.525mol = 0.975mol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9" 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0.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H2SO4 15% 인 폐산에 90% 농황산을 가하여 45% 의 산 1500kg 을 만들려고 한다. 폐산 몇 kg 에 농황산 몇 kg 을 혼합해야 하는가?

  1. 750kg 폐산, 750kg 농황산
  2. 850kg 폐산, 650kg 농황산
  3. 600kg 폐산, 900kg 농황산
  4. 900kg 폐산, 600kg 농황산
(정답률: 28%)
  • 먼저, 혼합물의 총 양이 1500kg 이므로 폐산과 농황산의 양을 합치면 1500kg 이어야 한다.

    또한, 혼합물의 농도가 45% 이므로 폐산과 농황산의 농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0.15x + 0.9y = 0.45(1500)

    여기서 x는 폐산의 양, y는 농황산의 양을 나타낸다.

    이 방정식을 풀면 x = 900, y = 600 이므로 정답은 "900kg 폐산, 600kg 농황산" 이다.

    즉, 900kg의 폐산과 600kg의 농황산을 혼합하면 1500kg의 45% 산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01kpa 에서 물 1몰을 353K 에서 393K 까지 가열할 때 엔탈피 변화는 약 몇 J 인가? (단, 물의 비열은 75.0J/molㆍK, 물의 기화열은 47.3kJ/mol, 수증기의 비열은 354.J/molㆍK 이다.)

  1. 3102
  2. 48008
  3. 49508
  4. 5208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는 엔탈피 변화와 온도 변화가 일어난다. 이 문제에서는 물 1몰을 353K에서 393K까지 가열하는 과정이므로, 먼저 온도 변화에 의한 엔탈피 변화를 계산해야 한다.

    물의 비열은 75.0J/molㆍK 이므로, 1몰의 물을 1K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엔탈피 변화는 75.0J/mol이다. 따라서, 353K에서 393K까지 온도가 40K 상승하는 과정에서 물 1몰의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H = 1mol × 75.0J/molㆍK × 40K = 3000J

    다음으로, 물이 수증기로 상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를 계산해야 한다. 물의 기화열은 47.3kJ/mol 이므로, 1몰의 물이 수증기로 상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H = 1mol × 47.3kJ/mol = 47,300J

    따라서, 물 1몰을 353K에서 393K까지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총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H = 3000J + 47,300J = 50,300J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물이 수증기로 상변하는 과정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만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총 엔탈피 변화에서 물이 수증기로 상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를 빼주어야 한다.

    ΔH = 50,300J - (1mol × 75.0J/molㆍK × (373K - 353K)) = 49,508J

    따라서, 정답은 "495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NaOH 6g 을 물에 녹여 전체 용액 100mL 를 만들었다면 이 용액의 몰농도는?

  1. 1.5M
  2. 0.15M
  3. 6.0M
  4. 0.6M
(정답률: 34%)
  • NaOH의 몰질량은 40g/mol 이므로 6g은 0.15mol에 해당한다. 따라서, 100mL 용액의 몰농도는 0.15mol/0.1L = 1.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5atm 의 압력과 가장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 것은?

  1. 516.6kgf/cm2
  2. 7.07psi
  3. 50.6mmHg
  4. 50.66N/cm2
(정답률: 30%)
  • 5ATM은 대기압과 같은 압력이며, 대기압은 1ATM이다. 따라서 5ATM은 5배인 5 x 1ATM = 5 x 1.01325 x 105 Pa = 5.06625 x 105 Pa 이다. 이 값을 다른 단위로 변환해보면, 50.66N/cm2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66N/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과 같은 베르누이 방정식이 적용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정상상태의 흐름
  2. 이상유체의 흐름
  3. 압축성유체의 흐름
  4. 동일 유선상의 유체
(정답률: 34%)
  • 압축성유체는 유체가 흐를 때 압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압축성유체의 흐름에서는 유체의 밀도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이 적용되지 않는 조건입니다. 따라서 "압축성유체의 흐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탄소 3g을 산소 16g 중에서 완전연서 시켰을 때 연소 후 혼합기체의 부피는 표준상태에서 몇 L 인가?

  1. 5.6
  2. 11.2
  3. 19.8
  4. 22.4
(정답률: 37%)
  •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 + O2 → CO2

    몰 비율에 따라서, 3g 탄소는 3/12 = 0.25 몰이고, 16g 산소는 16/32 = 0.5 몰입니다. 이 중에서 0.25 몰의 탄소가 모두 연소되므로, 산소는 0.25 몰만큼 소비됩니다. 따라서 연소 후에는 0.25 몰의 CO2와 0.25 몰의 산소가 남게 됩니다.

    이제 이 혼합기체의 부피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이 혼합기체는 CO2와 O2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두 기체의 부피를 각각 계산한 다음에 더해주면 됩니다.

    CO2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V = nRT

    V = nRT/P

    여기서 P는 압력,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입니다. 표준상태에서 CO2의 압력은 1 atm이고, 온도는 273 K입니다. 따라서 CO2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V(CO2) = (0.25 mol) x (0.08206 L atm/mol K) x (273 K) / (1 atm) = 5.6 L

    O2의 부피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V(O2) = (0.25 mol) x (0.08206 L atm/mol K) x (273 K) / (1 atm) = 5.6 L

    따라서 CO2와 O2의 부피를 더해주면,

    V(혼합기체) = V(CO2) + V(O2) = 5.6 L + 5.6 L = 11.2 L

    따라서 정답은 1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보일러에 Na2SO3 를 가하여 공급수 중의 산소를 제거한다. 보일러 공급수 100톤에 산소함량 4ppm 일때 이 산소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Na2SO3 의 이론량은?

  1. 3.15kg
  2. 4.15kg
  3. 5.15kg
  4. 6.15kg
(정답률: 20%)
  • Na2SO3 는 산소를 제거하는 화학물질로서,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가진다.

    2Na2SO3 + O2 → 2Na2SO4

    이 반응식에서 보듯이, 2몰의 Na2SO3 가 1몰의 O2 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100톤의 공급수 중에 4ppm (즉, 4mg/L) 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할 수 있다.

    - 100톤 = 100,000kg
    - 4mg/L × 100,000L = 400kg
    - 1몰의 O2 는 32g 이므로, 400kg 의 O2 는 12,500몰이다.
    -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12,500/2 = 6,250몰의 Na2SO3 가 필요하다.
    - Na2SO3 의 분자량은 126g/mol 이므로, 6,250몰의 Na2SO3 는 788kg 이다.
    - 하지만 이는 이론량으로서, 실제로는 반응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여유분을 더 더해줘야 한다.
    - 일반적으로 10% 정도의 여유분을 더해주는 것이 좋으므로, 최종적으로 필요한 Na2SO3 의 양은 788kg × 1.1 = 866.8kg 이다.
    -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3.15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단열 과정에서의 P, V, T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비열비 r 는 이다.)

(정답률: 40%)
  • 정답: ""

    단열 과정에서는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비열비 r은 일정하다. 이에 따라 PV^r = 상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등비열과정에서의 PV = 상수와 다른 형태이다. 따라서, 단열 과정에서는 P와 V가 역비례 관계이며, T와 P는 정비례 관계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1V1^r = P2V2^r, P1/T1 = P2/T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질소와 수소 혼합가스가 1000 기압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소의 분압이 750 기압이라면 혼합가스의 평균 분자량은 얼마인가?

  1. 4.3
  2. 6.4
  3. 8.5
  4. 9.6
(정답률: 46%)
  • 혼합가스의 평균 분자량은 각 구성 분자의 분자량과 그 분자가 차지하는 부피 비율에 따라 계산된다. 따라서, 질소와 수소의 분자량을 알아야 한다.

    질소 분자량 = 28 g/mol
    수소 분자량 = 2 g/mol

    수소의 분압이 750 기압이므로, 질소의 분압은 1000 - 750 = 250 기압이다.

    각 구성 분자의 부피 비율은 분압 비율과 같다.

    질소 부피 비율 = 250/1000 = 0.25
    수소 부피 비율 = 750/1000 = 0.75

    따라서, 혼합가스의 평균 분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평균 분자량 = (질소 분자량 x 질소 부피 비율) + (수소 분자량 x 수소 부피 비율)
    = (28 x 0.25) + (2 x 0.75)
    = 7 + 1.5
    = 8.5

    따라서, 정답은 "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물의 3중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3중점이 존재하는 상태를 규정하기 위한 변수의 수는 3개이다.
  2. 3중점이 존재하는 상태는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3. 3중점에서 계의 자유도는 1로서 압력만이 독립변수이다.
  4. 기체-고체, 기체-액체, 고체-액체 선이 서로 교차하는 점이다.
(정답률: 37%)
  • 기체-고체, 기체-액체, 고체-액체 선이 서로 교차하는 점이 맞습니다. 이는 세 가지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물의 상태가 임의로 변화될 수 없습니다. 이는 물의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3중점은 물의 상태를 규정하기 위한 변수의 수가 3개이며, 이 지점에서는 압력만이 독립변수이고 계의 자유도는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식을 이용하여 100g 의 N2 를 100℃ 에서 200℃ 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을 구하면 약 몇 kcal 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25%)
  • 주어진 식은 열량 = 질량 × 비열 × 온도 변화량 이다. 따라서 N2 의 질량은 100g 이고, 비열은 0.244 kcal/(g℃) 이다. 온도 변화량은 200℃ - 100℃ = 100℃ 이므로,
    열량 = 100g × 0.244 kcal/(g℃) × 100℃ = 2440 kcal 이다.
    따라서, 100g 의 N2 를 100℃ 에서 200℃ 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2440 kcal 이다.
    정답은 "2.5" 이다. 이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시량변수와 시강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량변수에는 체적, 온도, 비체적이 있다.
  2. 시강변수에는 온도, 질량, 밀도가 있다.
  3. 계의 크기는 무관한 변수가 시강변수이다.
  4. 시강변수는 계의 상태를 규정할 수 없다.
(정답률: 42%)
  • 정답은 "계의 크기는 무관한 변수가 시강변수이다." 이다. 이유는 시강변수는 계의 상태를 규정할 수 있는 변수이지만, 계의 크기는 시강변수와 무관하다. 계의 크기는 시량변수에 해당하며, 시량변수는 계의 크기와 관련된 변수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량변수와 시강변수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펄프를 건조기 속에 넣어 수분을 증발시키는 공정이 있다. 이 때 펄프가 70wt% 의 수분을 포함하고, 건조기에서 100kg 의 수분을 증발시켜 30wt% 펄프가 되었다면 원래의 펄프의 무게는 몇 kg 인가?

  1. 125
  2. 150
  3. 175
  4. 200
(정답률: 37%)
  • 건조기에서 수분이 증발된 후의 펄프의 무게는 100kg 이므로, 건조기에 들어간 원래의 펄프의 무게는 100kg + 증발된 수분의 무게가 된다.

    증발된 수분의 무게는 건조기에서 30wt% 펄프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건조기에서 70wt%의 수분이 증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증발된 수분의 무게는 원래의 펄프의 무게의 70%가 된다.

    즉, 원래의 펄프의 무게 x 0.7 = 100kg

    원래의 펄프의 무게 = 100kg / 0.7 = 142.86kg

    하지만, 문제에서 원래의 펄프의 무게는 125kg, 150kg, 175kg, 200kg 중 하나이므로, 그 중에서 원래의 펄프의 무게는 175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경로함수끼리 짝지어진 것은?

  1. 내부에너지 - 일
  2. 위치에너지 - 엔탈피
  3. 엔탈피 - 내부에너지
  4. 일 - 열
(정답률: 46%)
  • 일과 열은 열역학 제1법칙에서 서로 짝지어진 개념이다. 일은 열과 같은 형태로 전달될 수 있으며, 열은 일과 같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일과 열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경로함수끼리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양대수 좌표( log - log graph )에서 직선이 되는 식은?

  1. Y = bx2
  2. Y = beax
  3. Y = bx + a
  4. logY = logb + ax
(정답률: 10%)
  • 양대수 좌표에서 직선이 되기 위해서는 두 변수 모두 로그를 취한 값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logY = logb + ax" 는 이미 로그를 취한 값이므로 직선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Y = bx^2" 와 "Y = be^ax" 는 로그를 취하기 전에 지수 함수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직선이 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Y = bx + a" 는 로그를 취하기 전에 일차 함수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직선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logY = logb + ax"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상대습도가 85% 이고 대기압이 750mmHg 이며 기온이 30℃ 일 때 절대습도는 얼마인가? (단, 30℃에서 수증기의 포화증기압은 31.8mmHg 이다.)

  1. 0.0116kg H2O/kg 건조공기
  2. 0.0157kg H2O/kg 건조공기
  3. 0.0204kg H2O/kg 건조공기
  4. 0.0232kg H2O/kg 건조공기
(정답률: 37%)
  • 먼저, 상대습도는 공기가 포화상태일 때의 절대습도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상대습도가 85%이면 공기는 포화상태의 절대습도의 85%만큼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온이 30℃일 때 수증기의 포화증기압은 31.8mmHg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공기의 포화상태의 절대습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포화상태의 절대습도는 수증기의 분압을 공기의 총압력에서 빼고, 이를 수증기의 증발열로 나눈 값입니다.

    먼저, 수증기의 분압은 상대습도와 기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의 분압 = 상대습도 × 수증기의 포화증기압

    = 0.85 × 31.8mmHg

    = 27.03mmHg

    따라서, 공기의 총압력은 750mmHg이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분압을 빼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의 총압력 - 수증기의 분압 = 750mmHg - 27.03mmHg = 722.97mmHg

    이제 이 값을 수증기의 증발열로 나누어 주면 포화상태의 절대습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의 증발열은 2430J/g입니다.

    포화상태의 절대습도 = (공기의 총압력 - 수증기의 분압) ÷ (수증기의 증발열)

    = 722.97mmHg ÷ (2430J/g × 1000g/kg)

    = 0.297kg/m³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구한 절대습도는 0.297kg/m³입니다. 이 값을 건조공기의 질량으로 나누어 주면, 건조공기 당 수증기의 질량인 절대습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건조공기의 질량은 대기의 전체 질량에서 수증기의 질량을 뺀 값입니다. 대기의 전체 질량은 대기의 부피당 질량과 대기의 부피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대기의 부피당 질량은 대기의 평균 분자량인 28.97g/mol입니다.

    대기의 부피 = 1m³

    대기의 전체 질량 = 대기의 부피당 질량 × 대기의 부피

    = 28.97g/mol × 1m³

    = 28.97kg

    수증기의 질량은 절대습도와 건조공기의 부피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의 질량 = 절대습도 × 건조공기의 부피

    = 0.297kg/m³ × (1 - 0.85)

    = 0.04455kg/m³

    따라서, 건조공기 당 수증기의 질량인 절대습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절대습도 = 수증기의 질량 ÷ 건조공기의 질량

    = 0.04455kg/m³ ÷ (28.97kg - 0.04455kg/m³)

    = 0.0232kg H₂O/kg 건조공기

    따라서, 정답은 "0.0232kg H₂O/kg 건조공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0℃ 에서 순수한 MnSO4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62.9 이다. 20℃ 에서 포화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100g 의 물에 몇 g 의 MnSO4ㆍ5H2O 을 녹여야 하는 가? (단, Mn 의 원자량은 55 이다.)

  1. 120.6
  2. 140.6
  3. 160.6
  4. 180.6
(정답률: 0%)
  • MnSO4ㆍ5H2O 의 분자량은 223 이다. 따라서, 62.9g 의 MnSO4ㆍ5H2O 를 녹인다는 것은 62.9g 의 MnSO4ㆍ5H2O 분자가 223g 의 용액에 녹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00g 의 물에 녹일 수 있는 MnSO4ㆍ5H2O 의 양은 (100/223) × 62.9 = 28.2g 이다. 이는 MnSO4ㆍ5H2O 의 분자량이 223g 일 때, 100g 의 물에 녹일 수 있는 최대 양이다. 따라서, 100g 의 물에 28.2g 의 MnSO4ㆍ5H2O 을 녹이면 포화용액이 된다. MnSO4 의 분자량은 55 이므로, MnSO4ㆍ5H2O 의 분자량은 223 이다. 따라서, 28.2g 의 MnSO4ㆍ5H2O 은 (28.2/223) × 55 = 6.98g 의 MnSO4 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6.98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MnSO4ㆍ5H2O 의 양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MnSO4ㆍ5H2O 의 분자량인 223 에 5를 곱한 1115 를 분모로 놓고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28.2g 의 MnSO4ㆍ5H2O 은 (28.2/1115) × 55 = 1.39g 의 MnSO4ㆍ5H2O 에 해당한다. 따라서, 100g 의 물에 1.39g 의 MnSO4ㆍ5H2O 을 녹여야 포화용액을 만들 수 있다. 이 값은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4g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00℃, 765mmHg 에서 기체 혼합물의 분석값이 CO2 14vol%, O2 6Vol%, N2 80Vol% 이었다. 이 때 CO2 분압은 약 몇 mmHg 인가?

  1. 14
  2. 31
  3. 107
  4. 765
(정답률: 39%)
  • 기체 혼합물의 분석값으로부터 CO2의 분압을 구할 수 있다.

    CO2의 분압 = 총압력 × CO2의 분율

    총압력은 765mmHg이고, CO2의 분율은 14Vol%이므로,

    CO2의 분압 = 765mmHg × 0.14 = 107.1mmHg

    따라서, CO2의 분압은 약 107mmH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메탄올 42몰%, 물 58몰% 의 혼합액 100몰을 증류하여 메탄올 96몰%의 유출액과 메탄올 6몰% 의 관출액으로 분리하였다. 유출액을 통한 메탄올의 회수율은?

  1. 0.615
  2. 0.713
  3. 0.864
  4. 0.914
(정답률: 40%)
  • 증류 과정에서 메탄올이 증발하여 증류한 증류액은 메탄올과 물의 혼합물 중에서 메탄올의 몰 분율이 높아진 것이다. 따라서 유출액의 몰 분율이 96몰%이므로, 증류액에서 메탄올의 몰 분율이 96몰%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증류액의 몰수는 42몰%와 58몰%를 합한 100몰 중에서 메탄올의 몰 분율이 96몰%인 부분의 몰수인 0.42 × 0.96 = 0.4032 몰이다.

    따라서, 유출액으로 분리된 메탄올의 몰수는 0.4032 몰이며, 이는 원래 혼합물의 메탄올 몰수인 0.42 몰의 96%에 해당한다.

    즉, 메탄올의 회수율은 (0.4032 몰 / 0.42 몰) × 100% = 0.96 × 100% = 96% 이다.

    따라서, 정답은 0.914가 아닌 0.9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단위조작

41. 원 관내를 유체가 난류로 흐를 때 점성 전단(Viscous shear)은 거의 무시되고 에디 점성((Eddy viscosity)이 지배적인 부분은?

  1. 점성 하층(Viscous sublayer)
  2. 완충층(Buffer layer)
  3. 난류 중심(Turbulent core)
  4. 대수층(Logar layer)
(정답률: 25%)
  • 유체가 난류로 흐를 때, 점성 전단은 유체의 접촉면에서 일어나는 작은 규모의 운동이며, 이는 전체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점성 전단은 거의 무시되고, 에디 점성이 지배적인 부분이 된다. 에디 점성은 난류의 크기와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난류 중심에서 가장 크다. 따라서, 정답은 "난류 중심(Turbulent cor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내경 10cm, 두께 4mm 의 외관에 내경 2cm, 두께 2mm 의 관이 들어있는 2중 열교환기의 두 동심관 사이의 환부로 20℃ 의 물이 10cm/s 의 속도로 흐를 때 레이놀드수를 구하면? (단, 20℃ 물의 점도는 1cP 이고 물의 밀도는 1g/cm3이다.)

  1. 7000
  2. 7600
  3. 8000
  4. 8400
(정답률: 10%)
  • 레이놀즈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밀도, 속도, 점도 등의 물성값에 의해 결정된다. 레이놀즈수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유체의 운동 상태가 난류로 전환되어 열전달 효율이 높아진다.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밀도 × 속도 × 내경) / 점도

    여기서 밀도는 1g/cm3, 속도는 10cm/s, 내경은 10cm, 점도는 1cP(=0.01g/cm·s)이므로,

    Re = (1 × 10 × 10) / 0.01 = 10000

    따라서 정답은 "8000"이 아닌 "8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비중 0.8, 점도 5cP 인 유체를 10cm/s 의 평균속도로 안지름 10cm 의 원관을 사용하여 수송한다. Fanning 식의 마찰계수 값은 약 얼마인가?

  1. 0.1
  2. 0.01
  3. 0.001
  4. 0.0001
(정답률: 20%)
  • Fanning 식은 다음과 같다.

    f = 0.3164 * (μ * V) / (ρ * D * ΔP)

    여기서, f는 마찰계수, μ는 점도, V는 평균속도, ρ는 밀도, D는 안지름, ΔP는 압력강하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밀도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유체의 밀도를 알아내야 한다. 하지만, 비중이 주어졌으므로, 비중과 물의 밀도를 이용하여 유체의 밀도를 구할 수 있다.

    유체의 밀도 = 비중 * 물의 밀도 = 0.8 * 1000 kg/m^3 = 800 kg/m^3

    따라서, f = 0.3164 * (5 * 0.1) / (800 * 0.1 * 0.1 * 0.1) = 0.01

    즉, 마찰계수는 0.01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0.01"인 이유는 계산 결과가 그렇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 결과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80℃ 에서 메탄올의 증기압은 860mmHg, 에탄올 증기압은 540mmHg 이다. 이 두 물질을 혼합하여 80℃ 에서 전압이 1atm 이 되었을 때, 메탄올의 몰 분율은 얼마인가?(단, 혼합액은 이상용액으로 가정한다.)

  1. 0.45
  2. 0.54
  3. 0.69
  4. 0.91
(정답률: 39%)
  • 이 문제는 라쉬의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라쉬의 법칙은 이상용액에서 각 구성 성분의 증기압과 몰 분율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즉, 메탄올의 몰 분율을 x 라고 하면, 에탄올의 몰 분율은 (1-x) 이다. 따라서, 전압이 1atm 일 때, 메탄올과 에탄올의 증기압의 합은 760mmHg 이어야 한다.

    860x + 540(1-x) = 760

    320x = 220

    x = 0.69

    따라서, 메탄올의 몰 분율은 0.6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혼합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섬유상의 형상을 가진 것은 혼합하기가 어렵다.
  2. 건조분말과 습한 것의 혼합은 한 쪽을 분할하여 혼합한다.
  3. 밀도차가 클 때는 밀도가 큰 것이 아래로 내려가므로 상하가 고르게 교환되도록 회전방법을 취한다.
  4. 액체와 고체의 혼합ㆍ반죽에서는 습윤성이 적은 것이 혼합하기 쉽다.
(정답률: 31%)
  • 액체와 고체의 혼합ㆍ반죽에서는 습윤성이 적은 것이 혼합하기 쉽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습윤성이 적은 것은 건조하고 단단한 것을 의미하며, 이는 오히려 혼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액체와 고체의 혼합ㆍ반죽에서는 습윤성이 높은 것이 혼합하기 쉽다."입니다.

    섬유상의 형상을 가진 것은 혼합하기가 어렵다는 것은 혼합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건조분말과 습한 것의 혼합은 한 쪽을 분할하여 혼합한다는 것은 일정량씩 조금씩 혼합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밀도차가 클 때는 밀도가 큰 것이 아래로 내려가므로 상하가 고르게 교환되도록 회전방법을 취한다는 것은 혼합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관벽을 통해 일어나는 열전달에 있어 총괄열전달 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자는?

  1. 관밖의 열전달 계수
  2. 관벽의 열전도도
  3. 관의 외경
  4. 온도차
(정답률: 8%)
  • 관벽을 통해 일어나는 열전달은 관벽의 열전도도와 관밖의 열전달 계수, 그리고 온도차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온도차는 관벽과 관밖의 열전달 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온도차는 총괄열전달 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정류탑에서 증기유량 V, 탑상 제품 유량 D 및 환류액의 질량유량 L에서 환류비 R에 대한 식으로 틀린것은?

(정답률: 28%)
  • 답은 "" 이다.

    환류비 R은 L/(V+D)로 계산되는데, 보기에서는 L/(V-D)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이는 환류액의 유량이 제품 유량보다 큰 경우에만 성립하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두께 30cm 의 벽돌로 된 평판노벽을 두께 9cm 석면으로 보온하였다. 내면온도와 외면온도가 각각 1000℃ 와 40℃ 일 때 벽돌과 석면사이의 계면온도는 몇 ℃ 가 되는가? (단, 벽돌노벽과 석면의 열전도도는 각각 3.0, 0.1kcal/mㆍhㆍ℃ 이다.)

  1. 296℃
  2. 632℃
  3. 864℃
  4. 904℃
(정답률: 37%)
  • 열전도율이 높은 석면이 벽돌노벽을 보온하므로, 계면온도는 석면쪽에 더 가까워진다. 따라서, 계면에서의 열전달은 석면에서 벽돌노벽으로의 열전달과 같아진다. 이를 이용하여 계면온도를 구할 수 있다.

    먼저, 벽돌노벽과 석면의 열전도율을 이용하여 열전달율을 구한다.

    벽돌노벽의 열전달율 = 3.0 kcal/mㆍhㆍ℃ / 0.3m = 10 kcal/hㆍ℃
    석면의 열전달율 = 0.1 kcal/mㆍhㆍ℃ / 0.09m = 1.11 kcal/hㆍ℃

    다음으로, 열전달율과 벽면적, 벽면과 석면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전달량을 구한다.

    열전달량 = 열전달율 × 벽면적 × 온도차

    벽면적 = 1m² (가정)
    온도차 = 1000℃ - 40℃ = 960℃

    벽돌노벽에서 석면으로의 열전달량 = 10 kcal/hㆍ℃ × 1m² × 960℃ = 9600 kcal/h
    석면에서 벽돌노벽으로의 열전달량 = 1.11 kcal/hㆍ℃ × 1m² × 960℃ = 1065.6 kcal/h

    벽돌노벽과 석면의 열전달량이 같으므로, 계면에서의 온도차는 다음과 같다.

    9600 kcal/h = 1065.6 kcal/h × (T계면 - 1000℃) / (1000℃ - 40℃)

    T계면 = 904℃

    따라서, 정답은 "9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복사에서 스테판-볼츠만(Stefan-Boltzamann)법칙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온도평형에서 그 물체의 흡수율에 대한 총 복사력의 비는 그 물체의 온도에만 의존한다.
  2. 어떤 주어진 온도에서 최대 단색광 복사력은 절대 온도에 역비례한다.
  3. 큰 표면에 의해 차단되는 작은 표면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는 오직 시간에만 의존한다.
  4. 흑체의 총 복사력은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42%)
  • "흑체의 총 복사력은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탑내에서 기체속도를 점차 증가시키면 탑내 액 정체량(hold up)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때의 속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균속도
  2. 부하속도
  3. 초기속도
  4. 왕일속도
(정답률: 40%)
  • 탑내에서 기체속도를 증가시키면 액체와 기체 사이의 접촉면이 작아져서 액체가 기체와 함께 이동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때, 액체가 기체와 함께 이동하지 못하고 아래로 이동하는 속도를 부하속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하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액 추출이나 액-액 추출에서 추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택도가 커야 한다.
  2. 회수가 용이해야 한다.
  3. 응고점이 낮고 부식성이 적어야 한다.
  4. 추질과의 비중차가 작아야 한다.
(정답률: 28%)
  • 추질과의 비중차가 작아야 하는 이유는 추출물과 추질이 서로 분리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추출물과 추질의 비중차가 크면 추출물이 추질과 섞이거나 분리되기 어려워져 추출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출물과 추질의 비중차가 작을수록 추출 효율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내경이 10cm 인 관에 비중이 0.9, 점도가 1.5cP인 액체가 흐르고 있다. 임계속도는 몇 m/s 인가? (단, 임계 레이놀드수는 2100 이다.)

  1. 0.035
  2. 3.5
  3. 0.562
  4. 5.62
(정답률: 40%)
  • 임계 레이놀드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e_c = rho * D * V_c / mu

    여기서, Re_c는 임계 레이놀드수, rho는 액체의 밀도, D는 관경, V_c는 임계속도, mu는 액체의 점도이다.

    이를 V_c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V_c = Re_c * mu / (rho * D)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_c = 2100 * 1.5e-3 / (0.9 * 0.1) = 0.035 m/s

    따라서, 임계속도는 0.035 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체 흡수시 흡수량이나 흡수속도를 크게 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접촉시간을 크게 한다.
  2. 흡수계수를 크게 한다.
  3. 농도와 분압차를 작게 한다.
  4. 기 - 액 접촉면을 크게 한다.
(정답률: 37%)
  • 농도와 분압차를 작게 한다는 것은 기체와 액체 사이의 농도 차이나 압력 차이를 줄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체 분자가 액체 분자와 충돌할 확률을 줄이고, 따라서 흡수량이나 흡수속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기체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조 특성 곡선에서 항율건조 기간에서 강율건조기간으로 변하는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자유(free) 함수율
  2. 평형(equilibrium) 함수율
  3. 수축(shrink) 함수율
  4. 한계(critical) 함수율
(정답률: 47%)
  • 건조 과정에서 물의 증발로 인해 물분자가 물질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물분자 간의 결합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물질의 강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도의 감소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물질의 구조가 파괴되어 버리게 된다. 이때, 강도의 감소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 물질의 구조가 파괴되는 지점을 "한계(critical) 함수율"이라고 한다. 즉, 이 지점 이후로는 물질의 강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어 건조 과정을 계속 진행할 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로 30cm, 세로 60cm 인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도관에 세로 45cm 까지 액체가 차서 흐르고 있다. 상당직경(equivalent diameter)은 얼마인가?

  1. 60cm
  2. 45cm
  3. 30cm
  4. 15cm
(정답률: 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환류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류비가 커지면 이론단수는 감소한다.
  2. 환류비가 무한대일 때 나타나는 단수를 최소이론단 수라 한다.
  3. 환류비가 크면 클수록 실용적이다.
  4. 최적 환류비는 시설비와 운전비의 경제성 등을 고려해 구한다.
(정답률: 37%)
  • "환류비가 크면 클수록 실용적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환류비가 크다는 것은 이론단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시설비와 운전비 등의 경제성을 고려할 때 최적의 환류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환류비가 크다고 해서 항상 실용적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x(액상조성)-y(기상조성) 도표에서 원료가 비점이하로 공급될 때의 급액선(q-line)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37%)
  • 원료가 비점이하로 공급될 때, 급액선은 x-y 직선과 일치하게 된다. 이는 원료가 액상조성에서 기상조성으로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증발관의 효율을 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석을 제거하거나 생성속도를 늦춘다.
  2. 감압하여 비점을 떨어뜨린다.
  3. 증발관을 열전도도가 큰 금속으로 만든다.
  4. 액측 경막열전달계수를 작게 한다.
(정답률: 28%)
  • 증발관의 효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증발과정에서 액체와 증기 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액측 경막열전달계수를 작게 함으로써 액체와 증기 사이의 열전달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증발과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지만, 액측 경막열전달계수는 열전달과 관련된 요소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방정식 중 원료공급선(feed line)은? (단, f 는 원료의 흐름 중 기화된 증기분율, y 는 기체분율, x는 액체분율 이다.)

(정답률: 0%)
  • 원료공급선은 "" 이다. 이유는 원료공급선은 액체와 기체의 혼합물의 조성이 변하지 않는 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체분율 x와 기체분율 y의 합이 일정한 "" 선이 원료공급선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정한 상대 휘발도를 갖는 A, B 2성분계 증류에서 탑상 및 탑저 제품의 A성분 몰분율이 각각 0.97, 0.06 이라면 최소단수는 얼마인가?(단, 순수한 액체 A와 B의 증기압은 각각 0.8, 0.4atm이다.)

  1. 6
  2. 7
  3. 8
  4. 9
(정답률: 10%)
  • 최소단수는 탑저 제품의 A성분 몰분율과 탑상 제품의 A성분 몰분율의 차이가 가장 작아지는 지점에서 나타난다. 이 지점에서는 A와 B의 증기압 차이가 가장 크기 때문에 분리가 가장 잘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A와 B의 증기압 차이는 0.4atm이다.

    또한, A성분 몰분율이 0.97인 탑상 제품은 거의 순수한 A이므로, 탑저 제품에서 A성분을 최소한으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탑저 제품의 A성분 몰분율은 0.06이어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최소단수를 구하면,

    최소단수 = (0.97 - 0.06) / log(0.8/0.4) = 8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반응공학

61. 다음 그림에 대응하는 라플라스 함수는?

(정답률: 30%)
  • 정답은 "" 이다.

    라플라스 함수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함수를 복소 평면에서의 함수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라플라스 함수의 값이 복소평면 상단 반원 영역에서 유일하게 정의되는 경우, 해당 함수는 안정적인 시스템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입력 신호 x(t)가 출력 신호 y(t)로 변환되는 시스템의 라플라스 변환 함수 H(s)는 복소평면 상단 반원 영역에서 유일하게 정의된다. 이는 복소평면 상단 반원 영역에서의 모든 s 값에 대해 H(s)가 유일하게 존재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최종값에 도달하는 제어시간은 오래 걸리나 offset을 제거할 수 있는 제어기는?

  1. 비례 제어기
  2. 비례-미분 제어기
  3. 비례-적분 제어기
  4. 미분 제어기
(정답률: 39%)
  • 비례-적분 제어기는 오차를 적분하여 offset을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비례 제어기의 기능도 수행하여 최종값에 도달하는 제어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선택이다. 미분 제어기는 노이즈에 민감하고, 비례-미분 제어기는 미분항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아서 안정성이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정의 정상상태 이득(k), ultimate gain(kcu) 그리고 ultimate period(Pu)를 실험으로 구하였다. k=1, Kcu=4, Pu =6.28일 때, 이와 같은 결과를 주는 일차시간지연 모델, 의 시간상수 τ를 구하면?

  1. 1.41
  2. 2.24
  3. 3.16
  4. 3.87
(정답률: 28%)
  • 일차시간지연 모델에서 ultimate period(Pu)는 시간상수(τ)와 dead time(L)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Pu = τ + L 이다. 따라서, L=0인 경우 τ=Pu 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Pu = 6.28 이므로, τ=6.28 이다.

    또한, ultimate gain(Kcu)는 정상상태 이득(k)에 dead time(L)를 곱한 값과 같다. 즉, Kcu = k × L 이다. 따라서, L=Kcu/k 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k=1, Kcu=4 이므로, L=4/1=4 이다.

    따라서, 시간상수(τ)는 Pu-L=6.28-4=2.28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시간상수(τ)가 1.41, 2.24, 3.16, 3.87로 주어져 있다. 이 중에서 2.28에 가장 가까운 값은 3.16이므로, 정답은 "3.16"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87"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의 그림과 같이 주어지는 계단함수 u(t)의Laplace변환이 올바른 것은?

(정답률: 30%)
  • Laplace 변환의 정의에 따라, Laplace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s) = int_{0}^{infty} f(t)e^{-st} dt$$

    따라서, 주어진 계단함수 u(t)의 Laplace 변환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begin{aligned} U(s) &= int_{0}^{infty} u(t)e^{-st} dt \ &= int_{0}^{infty} e^{-st} dt \ &= left[ -frac{1}{s} e^{-st} right]_{0}^{infty} \ &= frac{1}{s} end{aligned}$$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제어기의 와인드업(windup) 현상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능을 ant-windup 이라 부른다.
  2. Windup이 해소되기까지 제어기는 사실상 제어 불능 상태가 된다.
  3. 공정의 출력이 제어기에 바르게 전달되지 못할 때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4. 제어기의 적분동작과 관련된 현상이다.
(정답률: 25%)
  • "제어기의 와인드업 현상은 제어기의 적분동작과 관련된 현상이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제어기의 와인드업 현상은 공정의 출력이 제어기에 바르게 전달되지 못할 때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제어기가 원하는 출력을 내지 못하고, 오차가 쌓이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기는 적분항이 계속해서 누적되어 제어기의 출력이 제한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nt-windup 기능이 사용됩니다. 이 기능은 제어기의 출력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적분항을 제한하여, 제어기의 출력이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제어기의 와인드업 현상은 공정의 출력이 제어기에 바르게 전달되지 못할 때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달함수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입출력 변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초기조건의 영향을 표현하지는 않는다.
  2. 공정의 동특성이 선형 미분방정석으로 표현된다는 가정하에 얻어진 것이다.
  3. 공정의 단위 계단응답의 Laplace 변환과 일치한다.
  4. 전달함수의 입출력 변수는 실제 변수와 정상상태 값과의 차이인 편차변수(deviation variable)이다.
(정답률: 9%)
  • 정답은 "공정의 동특성이 선형 미분방정석으로 표현된다는 가정하에 얻어진 것이다."이다.

    전달함수는 입력과 출력 변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며 초기조건의 영향을 표현하지 않는다. 또한 전달함수의 입출력 변수는 실제 변수와 정상상태 값과의 차이인 편차변수(deviation variable)이다.

    공정의 단위 계단응답의 Laplace 변환과 일치하는 것은 전달함수의 정의이며, 이는 공정의 동특성이 선형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된다는 가정하에 얻어진 것이 아니라, 전달함수의 정의에서 유도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2차계의 과소감쇠(under damped) 단위계단응답에서 상승시간(궁극적인 값에 처음으로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은? (단, 공정이득이 1 인 경우이다.)

  1. 단위계단응답이 0 이 되는 첫 번째 시간을 구한다.
  2. 단위계단응답이 1 이 되는 첫 번째 시간을 구한다.
  3. 단위계단응답의 미분값이 0 이 되는 첫 번째 시간을 구한다.
  4. 단위계단응답의 미분값이 1 이 되는 첫 번째 시간을 구한다.
(정답률: 10%)
  • 2차계의 과소감쇠 단위계단응답에서는 처음에 급격한 상승이 있고, 이후에 지수적으로 감쇠하면서 안정 상태에 도달한다. 이 때, 상승시간은 단위계단함수가 처음으로 1에 도달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단위계단응답이 1 이 되는 첫 번째 시간을 구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차계의 단위계단응답에서 시상수를 실험을 통하여 구하는 방법은?

  1. 단위계단응답의 초기의 기울기의 0.632를 곱하여 구한다.
  2. 단위계단응답을 지켜본 후 응답이 더 이상 변하지 않는 시간으로 한다.
  3. 단위계단응답의 초기 미분 값으로 한다.
  4. 최종 단위계단 응답값의 63.2%에 도달한 시간을 구한다.
(정답률: 34%)
  • 정답은 "최종 단위계단 응답값의 63.2%에 도달한 시간을 구한다." 이다. 이유는 단위계단응답에서 초기에는 기울기가 높아서 시간이 지날수록 기울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시간이 무한히 지나면 기울기는 0에 수렴하게 된다. 따라서, 단위계단응답에서 최종값의 63.2%에 도달한 시간을 구하면, 초기의 기울기가 높은 구간을 제외하고 응답이 안정화되는 구간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떤 이차계의 특성방정식의 두 근이 다음과 같다고 할 때 안정한 공정은?

  1. 1+3i, 1-3i
  2. -1, 2
  3. 2, 4
  4. -1+2i, -1-2i
(정답률: 37%)
  • 안정한 공정은 근이 모두 실수일 때이다. 따라서 "-1+2i, -1-2i"는 안정한 공정이 아니다.

    보기 중에서 근이 모두 실수인 것은 "-1, 2"이다. 따라서 정답은 "-1,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증류탑의 응축기와 재비기에 수은기둥 온도계를 설치하고 운전하면서 한 시간마다 온도를 읽어 다음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이 데이터와 수은기둥 온도 값 각각의 성지로 옳은 것은?

  1. 연속(continuous),아날로그
  2. 연속(continuous),디지털
  3. 이산시간(discrete-time),아날로그
  4. 이산시간(discrete-time),디지털
(정답률: 30%)
  • 주어진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된 것이므로 이산시간(discrete-time) 데이터이다. 또한, 수은기둥 온도계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므로 아날로그(analog) 데이터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산시간(discrete-time),아날로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피드포워드(feedforward) 제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화학공정제어에서는 lead-lag 보상기로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설계하는 일이 많다.
  2. 피드포워드 제어기는 폐루프 제어시스템의 안정도(stability)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제어계 설계시 피드포워드 제어와 피드백 제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한다.
  4. 피드포워드 제어기의 설계는 공저의 정적 모델, 혹은 동적 모델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정답률: 19%)
  • "화학공정제어에서는 lead-lag 보상기로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설계하는 일이 많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화학공정제어에서는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설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어계 설계시 피드포워드 제어와 피드백 제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는 이유는, 피드포워드 제어는 입력 신호에 대한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빠른 응답성과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지만, 모델의 불확실성이나 외부 잡음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피드백 제어는 출력 신호를 측정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안정성이 높지만, 응답속도가 느리고, 제어기 설계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 대상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제어 방식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피드포워드 제어기의 설계는 공저의 정적 모델, 혹은 동적 모델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피드포워드 제어기는 입력과 출력 간의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정적 모델 또는 동적 모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Feedback 제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중요변수(CV)를 측정하여 이를 설정값(SP)과 비교하여 제어동작을 계산한다.
  2. 외란(DV)을 측정할 수 없어도 feedback 제어를 할 수 있다.
  3. PID 제어기는 feedback 제어기의 일종이다.
  4. Feedback 제어는 Feedforward 제어에 비해 성능이 이론적으로 항상 우수하다.
(정답률: 40%)
  • Feedback 제어는 Feedforward 제어와는 달리 외란(DV)을 측정하여 제어 동작을 계산하기 때문에 외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Feedback 제어는 Feedforward 제어에 비해 성능이 이론적으로 항상 우수하다."는 옳지 않다. Feedback 제어와 Feedforward 제어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제어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그림의 블록선도에서 일 때, 서보(servo)문제의 정상상태 잔류편차(offset)는 얼마인가?

  1. 0.133
  2. 0.167
  3. 0.189
  4. 0.213
(정답률: 알수없음)
  • 서보(servo)문제의 정상상태 잔류편차(offset)는 0.167이다. 이는 블록선도에서 표시된 "Setpoint" 값과 "Output" 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 값이 작을수록 서보의 정확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Output" 값이 "Setpoint" 값과 0.167만큼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달함수가 인 1차계의 응답에 관한 옳은 설명은?

  1. 단위사인파 응답의 진폭은 항상 1보다 작다.
  2. 단위사인파 응답의 위상각은 0과 90°사이이다.
  3. 단위계단 응답의 최종치는 1이다.
  4. 단위충격(unit impulse)응답의 최종치는 0이다.
(정답률: 16%)
  • 단위충격(unit impulse)은 모든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간 영역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1차계 시스템의 전달함수에 단위충격을 입력하면, 출력으로 나오는 신호는 시간 t=0에서만 존재하고, 그 이후에는 0이 됩니다. 이에 따라 단위충격의 최종치는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연속 입출력 흐름과 내부 가열기가 있는 저장조의 온도를 어떤 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들어오는 입력흐름의 온도와 유량을 조작하여 나가는 출력흐름의 온도와 유량을 제어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분류한다면 어떠한 것에 해당하는가?

  1. 다중 입력-다중 출력 시스템
  2. 다중 입력-단일 출력 시스템
  3. 다중 입력-단일 출력 시스템
  4. 다중 입력-다중 출력 시스템
(정답률: 34%)
  • 이 시스템은 여러 개의 입력 흐름과 출력 흐름이 있으므로 "다중 입력-다중 출력 시스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측정 가능한 외란 (measurable disturbance)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어기는?

  1. 앞먹임 제어기(Feedforward Controller)
  2. 되먹임 제어기(Feedback Controller)
  3. 스미스 예측기(Smith Predictor)
  4. 다단 제어기(Cascade Controller)
(정답률: 알수없음)
  • 앞먹임 제어기는 측정 가능한 외란을 미리 예측하여 제어하는 제어기로, 외란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제어를 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외란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반면 되먹임 제어기는 외란이 발생한 후에 제어를 하기 때문에 외란 제거 효과가 떨어집니다. 스미스 예측기는 제어 대상의 지연을 예측하여 제어하는 제어기로, 외란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제어 대상의 지연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단 제어기는 여러 개의 제어기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제어기로, 외란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설계와 구현이 복잡합니다. 따라서 측정 가능한 외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앞먹임 제어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현장에서 주로 쓰이는 대부분의 제어밸브가 등비(equalper centage)조절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이유는?

  1. 밸브의 열림 특석이 좋기 때문이다.
  2. 밸브의 무반응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3. 밸브의 공동화(cavitation)현상이 없기 때문이다.
  4. 설치밸브특성(installed valve characteristics)이 선형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정답률: 19%)
  • 설치밸브특성은 밸브가 설치된 위치와 관련된 특성을 의미합니다. 이 특성이 선형성을 보인다면, 밸브의 열림에 따른 유량 변화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에서 등비조절특성을 적용할 때 유용하며, 제어 및 조절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장에서 주로 쓰이는 대부분의 제어밸브가 등비조절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그림과 같은 제어계의 전달함수 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달함수의 분모 다항식의 차수는 분자 다항식의 차수보다 크므로 시스템은 안정적이다. 또한, 전달함수의 분모 다항식의 근들이 모두 좌표축의 왼쪽 반면에 위치하므로 시스템은 완전히 안정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ID 제어기의 전달함수의 형태로 옳은 것은?(단, Kc는 비례이득, τI는 적분시간상수, τD는 미분시간상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로 표현되는 공정의 제어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P 제어기를 사용하면 설정값 계단 변화에 대해 잔류오차(offset)가 발생하지 않는다.
  2. P 제어기를 사용하면 입력측 외란(input disturbance)계간 변화에 대해 잔류오차(offset)가 발생하지 않는다.
  3. P 제어기를 사용하면 출력측 외란(output disturbance)계단 변화에 대해 잔류오차(offset)가 발생하지 않는다.
  4. P 제어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한된 비례이득 범위에서만 제어계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정답률: 25%)
  • 정답은 "P 제어기를 사용하면 입력측 외란(input disturbance)계간 변화에 대해 잔류오차(offset)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다.

    P 제어기는 비례 제어기로, 설정값 계단 변화에 대해서는 잔류오차가 발생하지 않지만, 입력측 외란이나 출력측 외란과 같은 변화에 대해서는 잔류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P 제어기가 오직 현재의 오차만을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 제어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한된 비례이득 범위에서만 제어계의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공정제어

81. 암모니아 합성을 위한 CO가스 전화공정에서 다음과 같은 조성의 A, B 두 가스를 사용할 때 A 가스 100 에 대하여 B 가스를 얼마의 비로 혼합하면 암모니아 합성원료로 적합할 수 있는가? (단, CO 전화 반응효율은 100%로 가정한다.)

  1. 147
  2. 157
  3. 167
  4. 177
(정답률: 0%)
  • 암모니아 합성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2(g) + 3H2(g) → 2NH3(g)

    이 반응식에서 CO가스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CO가스는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A, B 두 가스의 비율은 N2와 H2의 비율에 영향을 받는다.

    A 가스의 분자량은 28+16=44이고, B 가스의 분자량은 2×2+16=20이다. 따라서, A 가스 100 에 대하여 B 가스를 x 비로 혼합하면 다음과 같은 몰 비율이 된다.

    A 가스 몰 수 : B 가스 몰 수 = 100 : x

    A 가스 몰 수는 100/44 = 2.27 몰이고, B 가스 몰 수는 x/20 몰이다. 따라서, N2와 H2의 몰 비율은 2.27 : 3x/20 = 227 : 30x 이다.

    암모니아 합성 반응에서 N2와 H2의 몰 비율은 1 : 3이므로, A, B 두 가스를 혼합하여 암모니아 합성원료로 적합하려면 다음 식이 성립해야 한다.

    227 : 30x = 1 : 3

    이를 풀면 x = 147가 된다. 따라서, A 가스 100 에 대하여 B 가스를 147 비로 혼합하면 암모니아 합성원료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산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C6H5SO3H
  2. C6H5OH
  3. C6H5COOH
  4. CH3CH2COOH
(정답률: 알수없음)
  • "C6H5SO3H"이 가장 강한 산성을 가지는 이유는 sulfonic acid이기 때문입니다. sulfonic acid는 -SO3H 기능기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산들보다 더 많은 양의 수소 이온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6H5SO3H"은 다른 보기들보다 더 강한 산성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물과 같은 연속상에 단량체를 액적으로 분산시킨 상태에서 중합하는 방법으로, 고순도의 폴리머가 직접 입상으로 얻어지며, 연속 교반이 필요하고 중합열의 제어가 용이한 중합방법은?

  1. 괴상 중합
  2. 용액 중합
  3. 현탁 중합
  4. 유화 중합
(정답률: 알수없음)
  • 현탁 중합은 물과 같은 연속상에 단량체를 액적으로 분산시킨 후 중합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연속 교반이 필요하고 중합열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순도의 폴리머를 직접 입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괴상 중합은 고분자의 용액을 물리적으로 분리한 후 중합하는 방법이며, 용액 중합은 고분자의 용액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유화 중합은 고분자의 용액을 유화제와 함께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접착속도가 매우 빨라서 순간접착제로 사용되는 성분은?

  1. 시아노아크릴레이트
  2. 아크릴에멀젼
  3. 에폭시레진
  4. 폴리이소부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접착속도가 매우 빠르고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는 성분으로, 순간접착제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분자 내에 존재하는 카본-니트로겐 쌍결합이 물과 반응하여 폴리머화되면서 발생하는 열반응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빠른 접착속도와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며, 다양한 재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암모니아 합성용 수소가스의 기본적인 정제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워터가스전화-황화합물제거-CO2제거-CO제거-CH4제거
  2. CO2제거-황화합물제거-워터가스전화-CO제거-CH4제거
  3. 워터가스전화-CO2제거-황화합물제거-CO제거-CH4제거
  4. 황화합물제거-워터가스전화-CO2제거-CO제거-CH4제거
(정답률: 0%)
  • 암모니아 합성용 수소가스는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나 난타, 석유 등에서 추출된 메탄, 에탄, 프로판 등의 탄화수소와 물가스 반응을 통해 생산된다. 이 과정에서는 다양한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고 순수한 수소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정제순서를 따른다.

    1. 황화합물 제거: 천연가스 등에서 추출된 수소가스는 황화수소 등의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황화수소를 산화시켜 황산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2. 워터가스 전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워터가스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는 일부 불순물인 메탄, 에탄 등의 탄화수소가 함께 제거된다.

    3. CO2 제거: 워터가스와 함께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 이산화탄소는 암모니아 합성반응에서 반응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4. CO 제거: 일부 산소가 함유된 경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일산화탄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CO를 산화시켜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킨다.

    5. CH4 제거: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메탄 등의 탄화수소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수소와 메탄 등의 탄화수소가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흡착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황화합물제거-워터가스전화-CO2제거-CO제거-CH4제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연실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1. 질소산화물의 회수
  2. 함질황산을 Glover 탑에 공급
  3. 함질황산의 탈질
  4. 기체의 혼합과 SO2를 산화시키는 공간 제공
(정답률: 알수없음)
  • 연실은 화학공정에서 SO2를 함께 처리하기 위해 기체의 혼합과 SO2를 산화시키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SO2를 처리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20℃에서 NaCl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이온교환막법으로 NaOH제조시 Cl2 3.55g 를 함께 얻을 수 있었으며, 부반응은 일어나지 않았다. 10A의 일정한 전류로 전기분해를 하였을 경우 총 소요시간은? (단, 원자량은 Na 23, Cl 35.5 이다.)

  1. 64분 20초
  2. 32분 10초
  3. 16분 5초
  4. 8분 2.5초
(정답률: 10%)
  • 전기분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NaCl + 2H2O → 2NaOH + H2 + Cl2

    Cl2의 몰질량은 70.9g/mol 이므로, 3.55g의 Cl2는 0.05몰이다. 따라서 NaCl의 몰질량은 58.5g/mol 이므로, 0.05몰의 NaCl은 2.925g이다.

    NaCl의 용해도는 35.9g/100g 물이므로, 2.925g의 NaCl을 물에 녹이면 8.13g의 물이 필요하다.

    전기분해에서 1F의 전하량은 96,500C/mol 이다. 전류가 10A일 때, 1초에 전하량은 10C이므로, 1분에 전하량은 600C이다.

    전기분해로 NaOH 1몰을 얻기 위해서는 2F의 전하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1분에 NaOH 1몰을 얻기 위해서는 2 × 96,500C = 193,000C의 전하량이 필요하다.

    NaCl 0.05몰을 사용하므로, NaOH 0.05몰을 얻기 위해서는 0.1F의 전하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하량은 0.1 × 96,500C = 9,650C이다.

    따라서 총 소요시간은 9,650C ÷ 600C/분 = 16분 5초이다. 따라서 정답은 "16분 5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삼산화황과 디메틸에테르를 반응시킬 때 주생성물은?

  1. (CH3)3 SO3
  2. (CH3)2 SO4
  3. CH3-OSO3H
  4. CH3-SO2-CH3
(정답률: 20%)
  • 삼산화황과 디메틸에테르는 에테르의 산화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생성되는 주생성물은 메틸에테르의 산화반응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이 메틸에테르 산화생성물인 "(CH3)2 SO4"이다. 따라서 정답은 "(CH3)2 SO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칼륨비료의 원료가 아닌 것은?

  1. 해조
  2. 초목재
  3. 칠레초석
  4. 용광로 dust
(정답률: 10%)
  • 칠레초석은 칼륨을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칼륨비료의 원료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황산제조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황철광
  2. 자류철광
  3. 자철광
  4. 황동광
(정답률: 42%)
  • 황산은 황과 산화제를 원료로 만들어지는 화학물질이므로, 황, 산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자철광이 황산제조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Cyclone 의 주된 집진원리에 해당되는 것은?

  1. 여과
  2. 원심력
  3. 전하작용
  4. 작용ㆍ반작용
(정답률: 34%)
  • Cyclone은 회전하는 원통형 구조물 내부에서 공기를 회전시켜 중심으로 집진하는데, 이때 원심력의 작용으로 먼지와 같은 입자들이 중심으로 밀려나 집진되는 원심력 원리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도시가스 제조 프로세스 중 접촉분해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정온도, 압력 하에서 수증기 비를 증가시키면 CH4, CO2 의 생성이 많아진다.
  2. 반응압력을 올리면 CH4, CO2 의 생상이 많아진다.
  3. 반응온도를 상승시키면 CO, H2 가 많이 생성된다.
  4.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온도는 400~800℃ 이며 탄화수소와 수증기를 촉매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20%)
  • "일정온도, 압력 하에서 수증기 비를 증가시키면 CH4, CO2 의 생성이 많아진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수증기가 많아지면 촉매와 반응하여 CH4와 CO2를 생성하는 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니트로벤젠을 환원시킬 때 첨가하여 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것은?

  1. Zn+ acid
  2. Zn + water
  3. Cu +H2
  4. Fe + acid
(정답률: 19%)
  • 정답은 "Zn + water"입니다.

    Zn은 Cu, Fe보다 화학적으로 활발한 금속으로,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이때 생성되는 수소가 을 환원시키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Zn + acid"는 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이때 생성되는 수소가 을 환원시키지만, 산과 반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염이온들이 을 산화시키기 때문에 "Zn + water"보다는 적은 양의 을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암모니아 산화반응시 촉매로 주로 쓰이는 것은?

  1. Nd - Mo
  2. Ra
  3. Pt - Rh
  4. Al2O3
(정답률: 30%)
  • 암모니아 산화반응은 아무 촉매 없이 진행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촉매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Pt-Rh 촉매는 암모니아 산화반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촉매 중 하나입니다. 이는 Pt-Rh 촉매가 암모니아 산화반응에서 산화작용과 환원작용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t는 산화작용을, Rh은 환원작용을 담당하여 반응속도를 높이고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일반적으로 화장품, 의약품, 정밀화학 제조 등의 화학공업에 주로 사용되는 반응 공정은 어떠한 형태인가?

  1. 회분식 반응 공정
  2. 연속식 반응 공정
  3. 유동층 반응 공정
  4. 관형 반응 공정
(정답률: 10%)
  • 화장품, 의약품, 정밀화학 제조 등의 화학공업에서는 대부분 대량 생산이 필요하므로,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양의 원료를 반응기에 계속해서 투입하여 반응을 진행하는 공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공정을 회분식 반응 공정이라고 합니다. 회분식 반응 공정은 일정한 양의 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응기에 투입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생성된 생성물을 반응기에서 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방식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반응 조건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제품을 만들기에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부타디엔에 무수말레인산을 부가하여 환상화합물을 얻는 반응은?

  1. Diels-Alder 반응
  2. Wolff-Kishner 반응
  3. Gattermann-Koch 반응
  4. Fridel-Craft 반응
(정답률: 0%)
  • 부타디엔과 무수말레인산은 Diels-Alder 반응을 일으켜 6원환 환상화합물을 생성합니다. 이 반응은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이 있는 이성질체들이 반응하는 고전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Wolff-Kishner 반응은 케톤 또는 알데히드를 알코올로 환원시키는 반응입니다. Gattermann-Koch 반응은 벤젠에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벤즈알데하이드를 생성하는 반응입니다. Friedel-Craft 반응은 아르킬 벤젠에 아실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아실 벤젠을 생성하는 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황산제조방법 중 연실법에 있어서 장치의 능률을 높이고 경제적으로 조업하기 위하여 개량된 방법 및 설비가 아닌 것은?

  1. OPL 법
  2. Pertersen Tower 법
  3. Meyer 법
  4. Mosanto 법
(정답률: 알수없음)
  • Mosanto 법은 황산 제조를 위해 개량된 방법이 아니라, 화학물질 제조에 사용되는 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Mosanto 법입니다. Mosanto 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비닐 클로라이드와 피놀을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하루 117ton 의 NaCl 을 전해하는 NaOH 제조 공장에서 부생되는 H2 와 Cl2 를 합성하여 36.5% HCl을 제조할 경우 하루 약 몇 ton 의 HCl 이 생산되는 가? (단, NaCl 은 100%, H2 와 Cl2는 99% 반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200
  2. 185
  3. 56
  4. 100
(정답률: 19%)
  • NaCl 117 ton 중 Na+ 이온과 Cl- 이온이 각각 117/58.5 = 2 mol 씩 생성된다. 이 중에서 99%가 반응하여 H2와 Cl2가 생성되므로, 각각 2 x 0.99 = 1.98 mol씩 생성된다. 이 중에서 H2는 사용하지 않고, Cl2와 함께 36.5% HCl을 생성하므로, Cl2는 1.98 x 0.365 = 0.7227 mol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생산되는 HCl의 몰 수는 0.7227 mol이 되고, 이를 그램으로 환산하면 0.7227 x 36.5 x 36.5 = 939.5 g이 된다. 따라서 하루에 생산되는 HCl의 양은 939.5 x 117 x 10 = 1,096,515 g = 1,096.515 kg = 1.096515 to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 아니라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가성소다 제조시 수은법에서 해홍실에 넣어 단락 전지를 구성하는 물질은?

  1. 흑연
  2. 구리
  3. 니켈
(정답률: 30%)
  • 가성소다 제조시 수은법에서 해홍실에 넣어 단락 전지를 구성하는 물질은 흑연이다. 이는 흑연이 전기를 잘 전도하고, 화학 반응에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흑연은 저렴하게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질소비료 중 암모니아를 원료를 하지 않는 비료는?

  1. 황산암모늄
  2. 요소
  3. 질산암모늄
  4. 석회질소
(정답률: 알수없음)
  • 석회질소는 질소와 칼슘을 함께 제공하는 비료로, 암모니아를 원료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반면,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은 암모니아를 원료로 사용하는 비료이며, 요소는 질소를 제공하지 않는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화학공업개론

101. 균일계 1차 액상 반응이 이상 관형 반응기(ideal tubular reactor)에서 전화율 50% 로 진행된다.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반응기의 크기만 2배로 늘린다면 전화율은?

  1. 67%
  2. 75%
  3. 90%
  4. 100%
(정답률: 37%)
  • 이상 관형 반응기에서 반응은 일정한 속도로 진행되므로, 반응기의 크기가 2배로 늘어나면 반응물이 반응기 내에서 더 오래 머무르게 됩니다. 따라서 반응물이 반응기 내에서 반응할 시간이 늘어나므로 전화율이 증가합니다. 이 경우, 반응이 50% 진행되었으므로, 반응물이 50%만큼 반응기 내에서 반응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반응기의 크기가 2배로 늘어나면 반응물이 2배 더 오래 머무르므로, 50% 진행된 반응이 추가로 25% 더 진행됩니다. 따라서 전화율은 7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부피가 5L 인 회분식반응기에 어떤 출발원료 200kg 을 넣고 일정한 시간동안 반응시켰더니 5kg 이 남아 있었다. 반응식이 2A + B → P 일 때 반응물질 A(출발원료)의 전환율은 몇 % 인가? (단, A 와 B 의 초기 몰 비는 2:1 이다.)

  1. 92%
  2. 96.5%
  3. 97.5%
  4. 98.5%
(정답률: 30%)
  • 반응식에서 A와 B의 몰 비는 2:1이므로, B의 몰 수는 A의 몰 수의 절반인 100 mol이다. 따라서, 반응 전체에서 생성되는 몰 수는 2A+1B=2A+100 mol이다. 반응 후에는 5kg의 P가 남아있으므로, P의 몰 수는 5kg/분자량=0.04 mol이다. 따라서, A의 몰 수 변화량은 2A-0.04 mol이고, A의 전환율은 (2A-0.04 mol)/(2A mol) × 100% = 99.98%이다. 따라서, A의 전환율은 약 97.5%이므로, 정답은 "9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어떤 반응의 온도를 24℃ 에서 34℃ 로 증가시켰더니 반응 속도가 2.5배로 빨라졌다면, 이 때의 활성화 에너지는 몇 kcal 인가?

  1. 10.8
  2. 12.8
  3. 16.6
  4. 18.6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화 에너지는 Arrhenius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k = A * exp(-Ea/RT)

    여기서 k는 반응 속도 상수, A는 pre-exponential factor, Ea는 활성화 에너지, R은 기체 상수, T는 온도이다.

    문제에서 온도가 24℃에서 34℃로 증가하면 반응 속도가 2.5배로 빨라졌다고 했으므로,

    k2/k1 = 2.5

    또한, 온도가 24℃에서 34℃로 증가했으므로, T2 = 34 + 273.15 = 307.15 K, T1 = 24 + 273.15 = 297.15 K 이다.

    따라서,

    k2 = A * exp(-Ea/RT2)

    k1 = A * exp(-Ea/RT1)

    k2/k1 = exp(Ea/R * (1/T1 - 1/T2))

    2.5 = exp(Ea/R * (1/297.15 - 1/307.15))

    Ea = -R * ln(2.5) / (1/297.15 - 1/307.15)

    Ea = 16.6 kcal/mol

    따라서, 정답은 "16.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A → P 1차 액상반응이 부피가 같은 N 개의 직렬 연결된 완전혼합 흐름반응기에서 진행될 때 생성물의 농도변화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N 이 증가하면 생성물의 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다 다시 증가한다.
  2. N 이 작으면 체적 합과 같은 관형반응기 출구의 생성물 농도에 접근한다.
  3. N 은 체적 합과 같은 관형반응기 출구의 생성물 농도에 무관하다.
  4. N 이 크면 체적 합과 같은 관형반응기 출구의 생성물 농도에 접근한다.
(정답률: 20%)
  • 정답은 "N 이 크면 체적 합과 같은 관형반응기 출구의 생성물 농도에 접근한다." 이다.

    이유는 N이 크면 각 단위 반응기에서 생성물이 혼합되어 전체 반응기에서 균일한 농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적 합과 같은 관형반응기 출구의 생성물 농도에 접근하게 된다. 이는 완전혼합 흐름반응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혼합 흐름 반응기에서 반응 속도식이 인 반응에 대해 50% 전화율을 얻었다.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반응기의 부피만 5배로 했을 경우 전화율은?

  1. 0.6
  2. 0.73
  3. 0.8
  4. 0.93
(정답률: 3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반응기에 유입되는 물질량의 체류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물의 부피가 변하면 체류시간이 변한다.
  2. 반응물이 실제의 부피 유량으로 흘러 들어가면 체류시간이 달라진다.
  3. 액상반응이면 공간시간과 체류시간이 같다.
  4. 기상반응이면 공간시간과 체류시간이 같다.
(정답률: 30%)
  • "기상반응이면 공간시간과 체류시간이 같다."가 옳은 이유는 기상반응에서는 반응물이 공기 중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공간시간과 체류시간이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반응물 입자가 반응기 내에서 어떤 경로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반응물 입자가 반응기 내에 머무르는 시간은 동일합니다. 따라서 기상반응에서는 공간시간과 체류시간이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반응차수 1차인 반응의 반응물 A 를 공간시간(space time)이 같은 다음의 반응기에서 반응을 진행시킬 때 가장 유리한 반응기는?

  1. 이상 혼합 반응기
  2. 이상 관형 반응기
  3. 이상 관형 반응기와 이상 혼합 반응기의 직렬 연결
  4. 전화율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반응의 경우, 반응속도는 반응물 농도에 비례하므로,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상 관형 반응기가 가장 유리하다. 이상 혼합 반응기는 농도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상 관형 반응기와 이상 혼합 반응기의 직렬 연결은 반응물의 농도가 감소하므로 반응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 관형 반응기가 가장 적합하다. 전화율에 따라 다르다는 것은 반응속도와 관련이 없는 답변이므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A + B → R 인 2차 반응에서 CAO 와 CBO 의 값이 서로 다를 때 반응속도 상수 k 를 얻기 위한 방법은?

  1. 와 t 를 도시(plot)하여 원점을 지나는 직선을 얻는다.
  2. 와 t 를 도시(plot)하여 원점을 지나는 직선을 얻는다.
  3. 와 t 를 도시(plot)하여 절편이 인 직선을 얻는다.
  4. 기울기가 1 +(CAO - CBO)2k 직선을 얻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응속도 상수 k는 Arrhenius 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k = Ae-Ea/RT

    여기서 A는 pre-exponential factor, Ea는 활성화 에너지, R은 기체상수, T는 온도이다. 따라서 k를 구하기 위해서는 A와 Ea를 알아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A와 Ea를 직접적으로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2차 반응식에서 CAO와 CBO의 값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A와 B의 몰농도가 시간에 따라 다르게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여, A와 B의 몰농도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

    dCA/dt = -kCACB

    dCB/dt = -kCACB

    위 식에서 CA와 CB는 시간 t에 따른 몰농도이다. 이를 정리하면,

    dCA/CA = -kCBdt

    dCB/CB = -kCAdt

    이 식을 적분하면,

    ln(CA/CA0) = -kCBt

    ln(CB/CB0) = -kCAt

    여기서 CA0와 CB0는 초기 몰농도이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ln(CA/CA0)와 ln(CB/CB0)를 y축으로, t를 x축으로 하여 도시하면 두 개의 직선이 나타난다. 이 두 직선의 기울기는 -kCB0와 -kCA0이다.

    따라서, 두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k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k뿐만 아니라 A와 Ea도 구해야 한다. 따라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온도에서 위와 같은 실험을 반복하여, k를 구한 후 Arrhenius 식을 이용하여 A와 Ea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 와 t 를 도시(plot)하여 원점을 지나는 직선을 얻는다."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ln(CA/CA0)와 ln(CB/CB0)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두 개의 직선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일반적으로 암모니아(ammonia)의 상업적 합성반응은 다음 중 어느 화학반응에 속하는가?

  1. 균일(homogeneous) 비촉매 반응
  2. 불균일(heterogeneous) 비촉매 반응
  3. 균일촉매(homogeneous catalytic) 반응
  4. 불균일촉매(heterogeneous catalytic) 반응
(정답률: 20%)
  • 암모니아의 상업적 합성반응은 불균일촉매 반응에 속한다. 이는 반응속도를 촉진시키는 촉매물질이 고체상태로 존재하며, 반응물과 촉매물질이 서로 다른 상태에 있을 때 일어나는 반응이기 때문이다. 암모니아 합성반응에서는 철, 모리브덴 등의 금속 촉매가 사용되며, 이들 촉매는 고체상태로 존재하면서 반응물인 질소와 수소가 표면에 흡착되어 반응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불균일촉매 반응은 대부분의 산업적 화학반응에서 사용되며, 암모니아 합성반응 또한 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양론식 A + 3B → 2R + S 가 2차반응 -rA = k1CACB 일 때 rA, rB 와 rR 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rA = rB = rR
  2. -rA = -rB = rR
  3. -rA = -(1/3)rB =(1/2)rR
  4. -rA = -3rB = 2rR
(정답률: 9%)
  • 반응식에서 A와 B의 계수는 각각 1과 3이므로, B의 소모율은 A의 소모율의 1/3이다. 따라서 -rA = -(1/3)rB이다. 또한, A와 B의 소모율은 같으므로 rA = rB이다. 반면, R의 생성율은 A와 B의 소모율의 합의 2배이므로 rR = 2(rA + rB)이다. 이를 대입하면 -rA = -(1/3)rB =(1/2)rR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rA = -(1/3)rB =(1/2)r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응 속도식은?

(정답률: 28%)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응 속도식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대부분의 반응에서 적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식은 반응 속도가 반응물 농도의 몇 제곱에 비례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는 대부분의 반응에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 식은 반응 속도 상수인 k를 구하기 쉽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A → R 인 비가역 1차 반응에서 다른 조건이 모두 같을 때 초기농도 CA0 를 증가시키면 전화율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일정하다.
  4.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가역 1차 반응에서 초기농도가 증가하면 반응물의 충돌 빈도가 증가하므로 반응속도가 증가한다. 하지만 반응물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되어 반응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전화율은 초기농도가 증가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정답은 "일정하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1atm, 610K 에서 다음과 같은 가역 기초반응이 진행될 때 평형상수 Kp 와 정반응 속도식 kp1PA2 의 속도상수 kp1이 각각 0.5atm-1 과 10mol/Lㆍatm2ㆍh 일 때 농도항으로 표시되는 역반응 속도 상수는? (단,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1. 1000 h-1
  2. 100 h-1
  3. 10 h-1
  4. 0.1 h-1
(정답률: 1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유동층 반응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유동층에서의 전화율은 고정층 반응기에 비하여 낮다.
  2. 유동화 물질은 대부분 고체이다.
  3. 석유나프타의 접촉분해 공정에 적합하다.
  4. 작은 부피의 유체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정답률: 20%)
  • "유동화 물질은 대부분 고체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유동층 반응기에서는 유체가 고체 입자 위를 흐르면서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유동화 물질은 대부분 고체가 아닌 액체나 기체이다. 작은 부피의 유체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이유는 유동층 반응기가 작은 부피에서도 효율적으로 반응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그림과 같이 3개의 플러그 흐름 반응기를 2개는 직렬로 연결한 뒤 다시 나머지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반응조가 있다. 이 때 반응물 A 를 FA0[mol/min] 으로 F 지점에 공급했을 때 D 와 E 로 보내지는 반응물의 몰 유량 FA0.D와 FA0.E 를 옳게 나타낸 것은?(단, 반응이 완결된 뒤인 G 지점에서의 전화율은 동일하다.)

(정답률: 20%)
  • 반응물 A가 F 지점에서 공급되면, 먼저 1번 반응기에서 일어난 반응으로 인해 FA0 - FA1 만큼의 몰 유량이 나머지로 향하게 된다. 이후 2번 반응기에서 일어난 반응으로 인해 FA1 - FA2 만큼의 몰 유량이 D로 향하게 되고, 나머지 FA2 만큼의 몰 유량은 다시 3번 반응기와 병렬로 연결된 반응조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D로 보내지는 반응물의 몰 유량은 FA1 - FA2 이고, E로 보내지는 반응물의 몰 유량은 FA2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균일 반응 에서 반응속도가 옳게 표현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반응속도는 농도 변화율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는 농도 변화율이 가장 크기 때문에 가장 빠른 반응속도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A → B 1차 액상 등온반응이 진행될 때 반응속도, 전화율, 반응물 농도와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반응물 농도가 크면 반응 속도는 커진다.
  2. 전화율이 1 이면 반응 속도는 최대이다.
  3. 반응물 농도가 0 이면 반응 속도는 커진다.
  4. 전화율이 0 이면 반응 속도는 최소이다.
(정답률: 19%)
  • 정답: "반응물 농도가 크면 반응 속도는 커진다."

    반응속도는 반응물 분자들이 충돌하여 반응이 일어나는 빈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반응물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물 분자들이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이는 반응물 농도와 반응속도가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A → P의 비가역 1차 반응에서 A 의 전화율 관련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단, NA0는 초기의 몰수이고 NA는 시간 t 에서 존재하는 몰수이다.)

  1. NA = NAO(1 - X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A = NAO(1 - XA)"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A → P의 비가역 1차 반응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식을 가지고 있다.

    d[NA]/dt = -k[NA]

    여기서, [NA]는 시간 t에서 A의 몰수이고, k는 속도상수이다.

    이 식을 적분하면,

    ln[NA] = -kt + C

    여기서, C는 적분상수이다.

    초기시간 t=0일 때, [NA] = [NAO], 따라서

    ln[NAO] = C

    따라서,

    ln[NA] = -kt + ln[NAO]

    양변에 e를 취하면,

    [NA] = [NAO]e-kt

    여기서, XA는 반응진행도이므로,

    XA = [NAO] - [NA]/[NAO]

    따라서,

    [NA] = [NAO](1 - XA)

    따라서, NA = NAO(1 - X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기상 1차 반응에 관한 속도식을 , 단위를 [atm/h] 로 표시할 때 반응 속도상수 3.5 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h-1
  2. atmㆍh
  3. atm-1ㆍh-1
  4. atmㆍh-1
(정답률: 19%)
  • 답은 "atm-1ㆍh-1" 이다.

    기상 1차 반응의 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v = k[A]

    여기서 v는 반응속도, k는 반응속도상수, [A]는 A의 농도이다.

    속도상수 k의 단위는 시간의 역수이다. 따라서 "h-1"이 옳은 단위이다.

    [A]의 단위는 몰/리터 이지만, 기상 1차 반응에서는 A의 농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단위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속도식의 단위는 "atm-1ㆍh-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A → 2R 인 기체상 반응은 기초 반응(elementary Teaction)이다. 이 반응이 순수한 A 로 채워진 부피가 일정한 회분식(batch) 반응기에서 일어날 때 10분 반응후 전화율이 80% 이었다. 이 반응을 순수한 A 를 사용하며, 공간시간(space time)이 10분인 mixed flow 반응기에서 일으킬 경우 A 의 전화율은 약 얼마인가?

  1. 91.5%
  2. 80.5%
  3. 65.5%
  4. 51.5%
(정답률: 20%)
  • 기초 반응이므로 A → 2R 반응속도는 k[A]^1 이다. 일정한 회분식(batch) 반응기에서 10분 반응후 전화율이 80% 이므로, 반응속도 상수 k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n(1-0.8) = -k[A]t
    k[A]t = 0.2231
    k = 0.02231/[A]

    공간시간(space time)이 10분인 mixed flow 반응기에서 일어날 때, A 의 전화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화율 = (입구흐름 - 출구흐름) / 입구흐름
    입구흐름 = 출구흐름 + 반응속도 × 부피
    출구흐름 = 전화율 × 입구흐름

    따라서,

    입구흐름 = 출구흐름 / (1 - 전화율)
    입구흐름 = (전화율 × 입구흐름 + 반응속도 × 부피) / (1 - 전화율)
    입구흐름 = 반응속도 × 부피 / (1 - 전화율 - 전화율 × 반응속도)

    전화율이 51.5% 일 때, 반응속도 상수 k는 다음과 같다.

    k = 0.02231/[A]
    k = 0.02231 / (1 - 0.515 - 0.515 × 0.02231 × 10)
    k = 0.0028

    따라서, 전화율은 다음과 같다.

    전화율 = (입구흐름 - 출구흐름) / 입구흐름
    전화율 = (0.0028 × 10 - 0.515 × 0.0028) / 0.0028
    전화율 = 0.515

    따라서, A 의 전화율은 약 51.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