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9-08)

방송통신산업기사
(2002-09-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그림의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1. 미분기
  2. 적분기
  3. 가산기
  4.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미분기 회로이다. 미분기는 입력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C1과 R1을 통해 미분되어 출력되는데, 이 때 C1은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고 R1은 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미분기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트랜지스터의 활성영역에서 베이스 접지시 전류증폭율 α 가 0.98, 역포화 전류 Ico가 100[㎂], 베이스 전류가 IB = 10[㎃]일 때, 콜렉터 전류 IC는?

  1. 495[㎃]
  2. 49.5[㎃]
  3. 4.9[㎂]
  4. 0.5[㎂]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베이스 전류에 따라 콜렉터 전류가 제어된다는 것입니다. 이때 전류증폭율 α는 베이스 전류와 콜렉터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 문제에서는 α가 0.98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베이스 전류가 IB = 10[㎃]일 때, 콜렉터 전류 I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C = α × IB + Ico
    = 0.98 × 10[㎃] + 100[㎂]
    = 9.8[㎃] + 0.1[㎃]
    = 9.9[㎃]
    ≈ 495[㎃]

    따라서 정답은 "4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수정편의 리액턴스 특성이다. 발진에 이용될 주파수 범위는?

  1. ωS < ω < ωP
  2. ω P < ω
  3. ω S < ω
  4. ω S > ω > ω P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수정편의 리액턴스는 ωS보다 작은 주파수에서는 대부분 용량성이고, ωP보다 큰 주파수에서는 대부분 인덕턴스성이다. 따라서 발진에 이용될 주파수 범위는 ωS보다 크고, ωP보다 작은 범위인 "ωS < ω < ωP"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중 그 값이 작을수록 좋은 것은?

  1.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
  2. 차동 증폭기의 동상신호 제거비(CMRR)
  3. 증폭기의 신호대 잡음비
  4. 정류기의 정류효율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가 작을수록 좋은 것이다. 이는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안정적인 바이어스 회로가 증폭기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큰 값일수록 좋은 것이다. "차동 증폭기의 동상신호 제거비(CMRR)"는 차동 신호와 공상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는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좋다. "증폭기의 신호대 잡음비"는 증폭기가 출력하는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좋다. "정류기의 정류효율"은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지표이며, 값이 클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정논리회로에서의 다음 트랜지스터 회로의 기능은?

  1. OR회로
  2. AND회로
  3. NAND회로
  4. EOR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과 하나의 출력(Y)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개의 입력이 모두 HIGH(1)일 때만 출력이 HIGH(1)이 되는데, 이는 AND 게이트의 동작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AND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부울대수식과 등가인 것은?

  1. AㆍBㆍ(A+C)
  2. (A+B)ㆍ(A+C)
  3. (A+B)ㆍAㆍC
(정답률: 알수없음)
  • 우선, 논리식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A+B)ㆍ(¬B+C) + Aㆍ(¬B+C)

    = Aㆍ(¬B+C) + Bㆍ(¬B+C) + Aㆍ(¬B+C)

    = (A+B)ㆍ(¬B+C)

    여기서 (¬B+C)는 (A+C)와 같으므로,

    (A+B)ㆍ(¬B+C) = (A+B)ㆍ(A+C)

    따라서, 정답은 "(A+B)ㆍ(¬B+C)"와 "(A+B)ㆍ(A+C)"이 모두 등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두개의 입력이 동시에 1 이 되었을 때에도 불확실한 출력상태가 되지 않도록 두개의 Flip-Flop을 사용한 회로는?

  1. RS F-F
  2. D F-F
  3. Master slave F-F
  4. T F-F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입력이 동시에 1이 되었을 때 RS F-F나 T F-F는 불확실한 출력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D F-F는 입력이 하나이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두 개의 Flip-Flop을 사용하여 Master slave F-F를 구성하면, 입력이 동시에 1이 되어도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Master slave F-F는 입력이 동시에 1이 되었을 때, Master F-F의 출력이 Slave F-F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불확실한 출력상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변조도가 100[%]인 AM파의 출력 전력이 6[KW]라면 반송파 성분의 전력은 얼마인가?

  1. 2[KW]
  2. 4[KW]
  3. 8[KW]
  4. 12[KW]
(정답률: 알수없음)
  • AM파의 출력 전력은 변조도와 반송파 성분의 전력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변조도가 100[%]이므로, 반송파 성분의 전력은 출력 전력의 절반인 3[KW]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2[KW]"와 "4[KW]"입니다. 하지만, 반송파 성분의 전력은 출력 전력의 절반인 3[KW]보다 작을 수 없으므로, 정답은 "4[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발진이 생성될 수 있는 기본조건은?

  1. 회로의 증폭률이 최소 5 이상 필요하다.
  2. 증폭기에 부궤환회로를 부가한다.
  3. 공진결합회로가 필요하다.
  4. 증폭기에 정궤환회로를 부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진이 생성될 수 있는 기본조건은 회로의 증폭률이 1보다 크고, 회로에 양의 피드백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증폭기에 정궤환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증폭기의 증폭률을 높여 양의 피드백을 유도하고, 이로 인해 발진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 전압의 크기는?

  1. V0 = 100(V2 - V1)
  2. V0 = V2 + V1
  3. V0 = 99(V1 - V2)
  4. V0 = V2 - V1
(정답률: 알수없음)
  • 출력 전압 V0은 V1과 V2의 차이를 100배 한 값이므로, V0 = 100(V2 - V1)이다. 이는 이 연산 증폭기가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차동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는 회로로, V2와 V1의 차이가 V0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V0 = 100(V2 - V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원회로에서 무부하시 600[V], 부하시 500[V] 였다면 전압변동률은 얼마인가?

  1. 20%
  2. 30%
  3. 35%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변동률은 ((무부하전압-부하전압)/부하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600-500)/500) x 100 = 20% 이므로 정답은 "20%"이다. 이는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이 20%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논리 회로 중 팬 아웃(fan out)의 수가 많은 회로는?

  1. DTL 게이트
  2. TTL 게이트
  3. RTL 게이트
  4. DL 게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TTL 게이트는 팬 아웃(fan out)의 수가 많은 회로입니다. 이는 TTL 게이트가 다른 게이트에 비해 출력 신호를 더 많은 장치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TTL 게이트는 고속 동작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많은 장치를 제어해야 하는 경우에는 TTL 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레지스터의 기능은?

  1. 펄스 발생기이다.
  2. 카운터의 대용으로 쓰인다.
  3. 회로를 동기시킨다.
  4.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중간 결과나 연산에 필요한 값을 저장하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레지스터는 컴퓨터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PLL의 구성에 불필요한 것은?

  1. 위상검출기(PD)
  2. 전압제어 발진기(VCO)
  3. 저역통과필터(LPF)
  4. 자동주파수 제어(AFC)
(정답률: 알수없음)
  • PLL은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한 회로이며, 자동주파수 제어(AFC)는 주파수를 일치시키는데 필요하지 않은 기능이기 때문에 구성에 불필요한 것이다. AFC는 주파수 변화에 따라 VCO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으로, PLL이 아닌 다른 회로에서 사용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R-S Flip-Flop을 J-K Flip-Flop으로 만들고자 할 때 필요한 게이트(gate)는?

  1. OR gate 2개
  2. AND gate 2개
  3. NOR gate 2개
  4. NAND gate 2개
(정답률: 알수없음)
  • R-S Flip-Flop은 R과 S 입력이 모두 1일 때 상태가 불확정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J-K Flip-Flop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J-K Flip-Flop은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도 상태가 불확정해지지 않습니다.

    J-K Flip-Flop을 만들기 위해서는 R과 S 입력을 J와 K 입력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AND 게이트 2개를 사용합니다. R과 S 입력을 AND 게이트에 연결하고, 그 결과를 J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R과 S 입력을 각각 NOT 게이트로 연결한 후, 그 결과를 AND 게이트에 연결하고, 그 결과를 K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R과 S 입력을 J와 K 입력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ND gate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플립플롭을 구성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회로는?

  1.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립플롭은 디지털 회로에서 이진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이다. 이를 구성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회로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 이 회로는 양쪽 끝에 각각 콘덴서와 저항이 연결된 두 개의 반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반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플립플롭을 구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파수 3[㎑]로 3[㎒]의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하였을때 최대 주파수 편이가 ± 75[㎑]라면 소요 대역폭은?

  1. 225[㎑]
  2. 156[㎑]
  3. 150[㎑]
  4. 112.5[㎑]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변조에서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2배이다. 따라서 대역폭은 2 × 75[㎑] = 150[㎑]이다. 그러나 주파수 변조에서는 원래 신호의 주파수도 함께 전송되므로, 대역폭에 원래 신호의 주파수인 3[㎑]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 대역폭은 150[㎑] + 3[㎑] = 156[㎑]이다. 따라서 정답은 "1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정발진회로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은?

  1. 잡음의 경감
  2. 출력의 증대
  3. 효율의 증대
  4. 발진주파수의 안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발진회로는 일정한 주파수를 발진하기 위해 수정기를 사용하는 회로이다. 이 때, 수정기의 용량이 변화하면 발진주파수가 변동되는데, 수정발진회로는 이러한 주파수 변동을 최소화하여 발진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진주파수의 안정이 수정발진회로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가산기(full adder)의 입출력 구조는?

  1. 입력 2개, 출력 2개
  2. 입력 3개, 출력 2개
  3. 출력 3개, 입력 2개
  4. 출력 3개, 입력 3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전가산기는 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을 입력으로 받아, 해당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입력은 3개(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 출력은 2개(해당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연산 증폭기의 특성과 관련 없는 것은?

  1. 높은 이득
  2. 낮은 CMRR
  3. 높은 입력 임피던스
  4. 낮은 출력 임피던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이득", "높은 입력 임피던스", "낮은 출력 임피던스"는 모두 연산 증폭기의 특성과 관련이 있지만, "낮은 CMRR"은 관련이 없다. CMRR은 공통모드 잡음에 대한 억제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연산 증폭기의 특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연산 증폭기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다. 따라서 "낮은 CMRR"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방송통신기기 국내 위성 방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파의 편파는?

  1. 수직편파
  2. 수평편파
  3. 우회전편파
  4. 좌회전편파
(정답률: 알수없음)
  • 국내 위성 방송에서는 좌회전편파를 사용합니다. 이는 위성에서 지구로 전파를 보낼 때, 전파의 진행 방향이 지구의 동쪽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좌회전편파는 전파의 진행 방향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편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지상 TV 방송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VHF 및 UHF 주파수대가 이용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상 TV 방송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파수대가 아닌 것은?

  1. 54 ㎒ - 88 ㎒
  2. 114 ㎒ - 156 ㎒
  3. 174 ㎒ - 216 ㎒
  4. 470 ㎒ - 890 ㎒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 TV 방송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파수대는 "54 ㎒ - 88 ㎒", "174 ㎒ - 216 ㎒", "470 ㎒ - 890 ㎒" 이다. 따라서 정답인 "114 ㎒ - 156 ㎒"는 지상 TV 방송용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은 주파수대이다. 이 주파수대는 항공통신, 해양통신, 군사통신 등 다른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HDTV, 디지털 영상 저장, 영상 전화 등에 사용되는 영상 압축방식이 아닌 것은?

  1. AC-2
  2. JPEG
  3. MPEG
  4. H.261
(정답률: 알수없음)
  • AC-2는 오디오 압축 방식이며, HDTV, 디지털 영상 저장, 영상 전화 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영상 압축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V의 영상신호 전송방식은?

  1. 직렬전송방식
  2. 병렬전송방식
  3. 직병렬전송방식
  4. 종속전송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TV의 영상신호는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직렬전송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한 줄로 연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오류 발생 확률이 적기 때문에 TV에서는 이 방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우리나라의 지상파 디지털 TV규격중 맞는것은?

  1. 변조방식 : 8-VSB, 영상 : MPEG-2 MP@ML 및 MP@HL, 음성 : AC-3
  2. 변조방식 : 16-VSB, 영상 : MPEG-2 MP@ML 및 MP@HL, 음성 : AC-3
  3. 변조방식 : 16-VSB, 영상 : MPEG-2 MP@ML 및 MP@HL, 음성 : MPEG-1
  4. 변조방식 : COFDM, 영상 : MPEG-2 MP@ML 및 MP@HL, 음성 : AC-3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지상파 디지털 TV 규격은 "변조방식 : 8-VSB, 영상 : MPEG-2 MP@ML 및 MP@HL, 음성 : AC-3" 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채택한 디지털 TV 방송 규격으로, 8-VSB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며, 영상은 MPEG-2 MP@ML 및 MP@HL로 압축되고, 음성은 AC-3로 압축됩니다. 이 규격은 미국에서도 사용되는 규격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채택하여 디지털 TV 방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NTSC방식의 텔레비전 방송에서 1초간에 전송되는 화상의 수는 얼마인가?

  1. 30개
  2. 60개
  3. 50개
  4. 1152개
(정답률: 알수없음)
  • NTSC 방식의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1초당 60개의 화면을 전송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실제로 보여지는 화면은 1초당 30개뿐입니다. 이는 NTSC 방식에서는 인터레이싱(interlacing)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레이싱은 한 프레임을 두 개의 필드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한 필드에는 화면의 짝수번째 줄이, 다른 필드에는 홀수번째 줄이 들어갑니다. 이렇게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1초당 60개의 화면을 전송하면서도 인간의 눈에는 자연스러운 화면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NTSC 방식의 텔레비전 방송에서 1초간에 전송되는 화상의 수는 30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그림은 방송국에서 TV 신호의 발생 및 송신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에 들어갈 적절한 기기는?

  1. A : 혼합기 B : 발진신호 발생
  2. A : 편향기 B : 동기신호 발생
  3. A : 색혼합기 B : 칼라신호 발생
  4. A : 색조정기 B : 반송파신호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TV 신호는 여러 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채널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따라서 TV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는 각 채널의 주파수를 구분하고, 일정한 주파수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A)에는 혼합기가 사용되며, 이 기기는 여러 개의 주파수를 합쳐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B)에는 동기신호 발생기가 사용되며, 이 기기는 TV 수신기에서 신호를 받을 때 필요한 동기 신호를 생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편향기 B : 동기신호 발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에서 아날로그신호 s(t)를 표본화 주기 1[sec], 양자화 레벨 4인 PCM으로 변조한 결과중 옳은 것은?

  1. 000110110100
  2. 011011010010
  3. 011100011100
  4. 00101101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아날로그 신호 s(t)를 표본화 주기 1[sec]로 샘플링하면, 샘플링 주파수는 1/1 = 1[Hz]가 된다. 이렇게 샘플링된 신호를 양자화 레벨 4인 PCM으로 변조하면, 4개의 양자화 레벨에 해당하는 2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변조된 신호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s(0) = 1 -> 00
    s(1) = 2 -> 01
    s(2) = 3 -> 10
    s(3) = 2 -> 01
    s(4) = 1 -> 00
    s(5) = 0 -> 00
    s(6) = -1 -> 11
    s(7) = -2 -> 10
    s(8) = -3 -> 01
    s(9) = -2 -> 10

    따라서, 변조된 신호는 "000110110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반송파주파수가 100[KHz]이고, 신호파주파수가 4[KHz]인 두 전파의 진폭변조 파형이 오실로스코프상에 나타나 있다. 이 파형에서 진폭이 가장 큰점의 높이는 5[cm]이고 진폭이 가장 낮은 점에서의 높이는 2[cm]라고 한다. 이 송신기의 출력이 150[Kw]일 때 반송파전력은 얼마인가?

  1. 137[Kw]
  2. 13.7[Kw]
  3. 147[Kw]
  4. 14.7[Kw]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변조 파형에서 진폭이 가장 큰점과 가장 낮은 점의 높이 차이는 3[cm]이다. 이는 진폭 변조의 깊이(depth)를 나타내며, 이 값이 클수록 진폭 변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폭 변조의 깊이는 신호파의 진폭이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이 값이 클수록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것이다.

    반송파주파수가 100[KHz]이므로, 이 전파의 파장은 3[km]이다. 진폭이 가장 큰점의 높이가 5[cm]이므로, 이 전파의 진폭은 2.5[cm]이다. 따라서, 이 전파의 진폭 변조의 깊이는 0.5[cm]이다.

    송신기의 출력이 150[Kw]이므로, 이 전파의 평균 전력은 75[Kw]이다. 진폭 변조의 깊이가 작을수록 전파의 평균 전력은 작아지므로, 이 경우에는 진폭 변조의 깊이가 작아서 평균 전력이 크게 감소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반송파전력은 약 75[Kw]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진폭 변조의 깊이가 작아도 전파의 평균 전력은 반드시 진폭에 비례하므로, 진폭이 가장 큰점에서의 전력은 진폭이 가장 낮은 점에서의 전력보다 크다. 이 경우에는 진폭이 가장 큰점에서의 전력이 약 137[Kw]이므로, 정답은 "137[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영상신호에서 페데스탈 레벨과 흑색 레벨과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은?

  1. 흑색 레벨
  2. 블랭킹 레벨
  3. 셋업 레벨
  4. 동기첨단 레벨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신호에서 페데스탈 레벨은 신호의 최소값을 나타내고, 흑색 레벨은 신호의 최대값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값의 차이가 셋업 레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셋업 레벨"입니다. "블랭킹 레벨"은 영상에서 깜빡임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고, "동기첨단 레벨"은 영상에서 수평 동기 신호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MPEG-1 오디오 압축기법 중 LayerⅠ과 Ⅱ와 달리 LayerⅢ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서브밴드 부호화
  2. MS 스테레오 부호화
  3.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형 이산 여현 부호화)
  4. 허프만 부호화
(정답률: 알수없음)
  • 답: "서브밴드 부호화"

    서브밴드 부호화(Subband Coding)는 오디오 신호를 여러 개의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을 독립적으로 압축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전체 신호를 한 번에 처리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MPEG-1 Layer III에서는 이 방식 대신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사용하여 압축합니다. MDCT는 주파수 대역을 겹치지 않게 분할하여 압축하는 방식으로, 서브밴드 부호화보다 더욱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합니다. MS 스테레오 부호화와 허프만 부호화는 모두 MPEG-1 Layer III에서 사용되는 압축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칼라 TV 전송방식중 2개의 색차신호를 선순차방식으로 FM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1라인 메모리를 사용하여 동시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전송계에서 생기는 일그러짐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색상이 변하지 않아 수상기의 색조정이 필요없는 전송방식은?

  1. SECAM방식
  2. PAL방식
  3. CAPTAIN방식
  4. NTSC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SECAM 방식은 2개의 색차신호를 선순차방식으로 FM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1라인 메모리를 사용하여 동시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전송계에서 생기는 일그러짐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색상이 변하지 않아 수상기의 색조정이 필요없는 전송방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오디오믹서 (Audio Mixer)의 Equalizing의 기능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소재음의 입력을 선택한다.
  2. 선택된 각 소재음의 레벨을 페이더(fader)에 의해 조정하는 기능이다.
  3. 음질을 조정하거나 불필요한음, 귀에 거슬리는 음 등을 제거하는 기능과 일부의 주파수 대역 성분만을 강조 하거나 감쇠시키는 기능이다.
  4. 믹서의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믹서내에 내장되어 설치된 주파수 발생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디오믹서의 Equalizing 기능은 음질을 조정하거나 불필요한음, 귀에 거슬리는 음 등을 제거하는 기능과 일부의 주파수 대역 성분만을 강조하거나 감쇠시키는 기능이다. 즉, 입력된 소재음의 레벨을 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의 톤이나 밸런스를 조절하여 좀 더 깨끗하고 균형잡힌 소리를 만들어내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중 위성통신의 특징이 아닌것은?

  1. 이동통신에 적합하다.
  2. 고품질의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3. 경제성이 있고 이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4. 위성회선으로 중계하는 경우 전송지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통신에 적합하다.", "고품질의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경제성이 있고 이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는 모두 위성통신의 특징이지만, "위성회선으로 중계하는 경우 전송지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아니다. 이유는 위성회선으로 중계하는 경우에도 전파가 지구 대기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이는 지구와 위성 사이의 거리와 지구 대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은 광대역 FM송신기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A,B,C 에 해당되는 것은?

  1. 미분기, IDC(클리퍼), 주파수 체배기
  2. 프리엠퍼시스, 주파수 체배기, 평형변조기
  3. 프리엠퍼시스, IDC(클리퍼), 주파수 체배기
  4. 미분기, 주파수체배기, 평형변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프리엠퍼시스, IDC(클리퍼), 주파수 체배기" 이다.

    - 프리엠퍼시스: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전체 회로의 노이즈 수준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 IDC(클리퍼): 입력신호를 클리핑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 주파수 체배기: 변조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로 변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부품이 광대역 FM송신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에서 설명하는 펄스통신방식은 연속 레벨변조방식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2. PWM (Pulse Width Modulation)
  3. PPM (Pulse Position Modulation)
  4. PAM (Pulse Frequency Modu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에서는 펄스의 폭이 변화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PWM (Pulse Width Modulation)에 해당한다. PWM은 펄스의 폭을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펄스의 폭이 넓어지면 높은 값, 좁아지면 낮은 값으로 인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영상신호에서 Blanking level(귀선소거레벨)과 Reference white level(백색기준레벨)사이의 차를 백분율로 표시되며 움직이는 물체를 주사하는 시간동안의 Blanking level에 대한 평균신호레벨을 나타내는 용어는 다음중 어느것인가?

  1. Blanking level
  2. Chroma Signal
  3. APL (Average picture level)
  4. VIR (Vertical interval referenc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PL (Average picture level)"입니다.

    APL은 영상신호에서 Blanking level과 Reference white level 사이의 차를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으로, 영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APL은 움직이는 물체를 주사하는 시간동안의 Blanking level에 대한 평균신호레벨을 나타내기 때문에, 영상의 밝기와 명암 대비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PL은 영상처리나 영상품질 평가 등에서 매우 중요한 용어입니다.

    Blanking level은 영상신호에서 동기 신호나 수직 동기 신호 등의 기준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하며, Chroma Signal은 색차 신호를 의미합니다. VIR (Vertical interval reference)는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 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TV방송의 영상조정장치의 특성 측정을 하기 위해 2T, 20T Pulse나 Sin2파형을 발생하는 장비는?

  1. Oscilloscope
  2. Spectrum Analyzer
  3. Distortion Meter
  4. Pattern Generater
(정답률: 알수없음)
  • "Pattern Generator"는 다양한 신호를 생성하여 특정 장비의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2T, 20T Pulse나 Sin2파형을 발생시켜 TV방송의 영상조정장치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Oscilloscope는 신호의 시간적인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Spectrum Analyzer는 주파수 영역의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Distortion Meter는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ATV 방송국이 방송신호를 직접 측정, 시험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장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파형분석기
  2. 벡타스코프
  3. TV 신호발생기
  4. 비트에러 측정기
(정답률: 알수없음)
  • CATV 방송국이 방송신호를 직접 측정, 시험하기 위해서는 파형분석기, 벡타스코프, TV 신호발생기와 같은 장비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비트에러 측정기는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는 장비로, CATV 방송국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보기에서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잡음지수와 종합잡음지수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잡음지수 F는 로 정의된다.
  2. 종합잡음지수는 최종 뒷단에 있는 종단 증폭기의 이득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3. 종합잡음지수는 초단 증폭기의 잡음지수에 큰 영향을 받는다
  4. 낮은 종합잡음지수가 입출력 회로간의 반드시 낮은 VSWR을 동시에 만족시키지는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합잡음지수는 초단 증폭기의 잡음지수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최종 뒷단에 있는 종단 증폭기의 이득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이는 종단 증폭기가 출력 신호를 증폭할 때 동시에 잡음도 함께 증폭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단 증폭기의 이득이 높을수록 종합잡음지수는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개론

41. FM 변조에서 신호파 주파수는 50[kHz], 최대 주파수 편이가 200[kHz]인 때의 변조지수는?

  1. 5
  2. 50
  3. 500
  4. 4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파수 편이가 200[kHz]이므로 변조지수는 200[kHz] / 50[kHz] = 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디지털 변조의 세가지 기본 형태가 아닌 것은?

  1. ASK
  2. FSK
  3. TSK
  4. PSK
(정답률: 알수없음)
  • TSK는 디지털 변조의 기본 형태가 아닙니다. ASK, FSK, PSK는 모두 디지털 신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변조 방식입니다. TSK는 존재하지 않는 기본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보기 중 기존 신문에 대한 인터넷신문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호작용성
  2. 속보성
  3. 심층적보도
  4. 휴대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심층적보도"

    인터넷신문은 기존 신문에 비해 상호작용성과 속보성이 높아 뉴스를 빠르게 전달하고, 댓글이나 공유 기능 등을 통해 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휴대성이 높아 언제 어디서든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신문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현재 아날로그 TV에서 사용되는 전송 방식은?

  1. 잔류측파대 변조방식
  2. 상측파대 변조방식
  3. 하측파대 변조방식
  4. 양측파대 변조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아날로그 TV에서 사용되는 전송 방식은 "잔류측파대 변조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비디오 신호와 음성 신호를 각각 주파수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비디오 신호는 주파수가 높은 잔류측파대에, 음성 신호는 주파수가 낮은 음성대역에 각각 실립니다. 이 방식은 전송 대역폭이 좁아서 전송 속도가 느리고, 신호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지만, 단순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우리나라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방식은?

  1. NTSC
  2. PAL
  3. SECAM
  4. NAB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방식은 NTSC이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60Hz의 전기 주파수를 사용하며, 화면을 525개의 수평선으로 나누어 표현한다. 또한, 색상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전송하며, 이를 복조하여 색상을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중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회선을 빌려 컴퓨터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구성, 정보의 축적· 처리· 가공을 하는 통신서비스 또는 그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하는 것으로 이(異)기종 호스트 컴퓨터간 접속이나 단말기와의 접속 프로토콜변환을 네트워크내에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1. WLL
  2. VAN
  3. CDMA
  4. MMDS
(정답률: 알수없음)
  • VAN은 공중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회선을 빌려 컴퓨터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는 이(異)기종 호스트 컴퓨터간 접속이나 단말기와의 접속 프로토콜변환을 네트워크내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축적, 처리, 가공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VAN은 다른 보기인 WLL, CDMA, MMDS와는 다르게 공중전기통신사업자의 회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UHF 방송의 주파수 범위는?

  1. 30(㎒)∼300(㎒)
  2. 300(㎒)∼3000(㎒)
  3. 3(㎒)∼30(㎒)
  4. 30(㎑)∼300(㎑)
(정답률: 알수없음)
  • UHF는 "Ultra High Frequency"의 약자로, 매우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 UHF 주파수 범위는 300MHz에서 3000MHz까지이며, 이 범위는 라디오, 텔레비전, 휴대전화 등 다양한 통신 기술에서 사용됩니다. 이 범위는 VHF(30MHz에서 300MHz)와 비교하여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더 높은 대역폭과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코드분할다중방식(CDMA)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S(직접확산방식)
  2. FH(주파수 도약방식)
  3. TH(시간 도약방식)
  4. FR(프레임 릴레이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FR(프레임 릴레이방식)은 코드분할다중방식(CDMA) 방식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FR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다시 합쳐서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FR은 CDMA 방식이 아니므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내용의 해설 및 다큐멘터리 형식의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줄거리 내용을 말로 설명하는 해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더빙
  2. 이벤트
  3. 리허설
  4. 나레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나레이션은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등의 내용을 말로 설명하는 해설을 말합니다. 이는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내용을 구성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나레이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영상신호를 재현하고자 오실로스코프를 7875Hz에 동기시켰다. 이 때 화면에 재현되는 영상정보는 무엇인가?

  1. 비월주사에 대한 영상정보
  2. 필드에 대한 영상정보
  3. 프레임에 대한 영상정보
  4. 수평주사선의 영상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오실로스코프는 주로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기로, 7875Hz의 동기화 주파수를 사용하면 수평주파수가 7875Hz인 수평주사선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평주사선의 영상정보가 재현됩니다. 비월주사, 필드, 프레임과 같은 용어는 주로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오실로스코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TV방송전파를 이용하여 TV방송과 함께 동시에 2개 외국어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뉴미디어는?

  1. 문자다중 방송
  2. 음성다중방송
  3. 인터케스트 방송
  4. DARC
(정답률: 알수없음)
  • 음성다중방송은 TV방송전파를 이용하여 TV방송과 함께 동시에 2개 외국어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뉴미디어입니다. 이는 TV방송과 함께 음성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문자나 인터넷과 같은 다른 뉴미디어와는 달리 시청자들이 시청 중에도 쉽게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성다중방송이 TV방송과 함께 사용되면, 시청자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중방송을 실시 목적으로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 서비스를 고품질화 하기 위한 것
  2. 주 서비스를 고기능화 하기 위한 것
  3. 독립된 새로운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것
  4. 기존의 서비스를 반복하기 위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방송은 기존의 서비스를 반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주 서비스를 고품질화하거나 고기능화하거나 독립된 새로운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서비스를 반복하기 위한 것"이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채택하고 있는 영상압축 신호처리 방식은?

  1. JPEG
  2. M-JPEG
  3. ZIP-1
  4. MPEG-2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채택하고 있는 영상압축 신호처리 방식은 MPEG-2이다. 이는 고화질의 영상을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다. MPEG-2는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해상도와 비율의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MPEG-2는 광대역 네트워크에서도 안정적으로 전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송의 멀티미디어를 표방하는 21세기의 통합 디지털방송을 무엇이라 하는가?

  1. DBS
  2. RDS
  3. ISDB
  4. DTV
(정답률: 알수없음)
  • 21세기의 통합 디지털방송을 나타내는 용어는 ISDB입니다. 이는 일본에서 개발된 통합 디지털 방송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고화질 방송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시스템은 지상파, 위성방송, 모바일 등 다양한 방송매체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중 무선통신의 근본 원칙이 아닌 것은?

  1. 무선통신은 필요한 최소한의 사항만을 교신하여야 한다
  2.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용어는 될 수 있는대로 간명하여야 한다.
  3. 통신상 오류를 인지할 때에는 반복해서 통신함으로서 오류를 제거해야 한다.
  4. 무선통신을 할 때에는 자국의 호출부호 호출명칭 또는 표식부호를 붙여 그 출처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통신상 오류를 인지할 때에는 반복해서 통신함으로서 오류를 제거해야 한다."

    해설: 무선통신의 근본 원칙은 필요한 최소한의 사항만을 교신하고, 간명한 용어를 사용하며, 출처를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통신상 오류를 인지할 때에는 반복해서 통신함으로서 오류를 제거하는 것은 근본 원칙이 아닙니다. 오히려 오류를 예방하고 감지하기 위한 기술적인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MPEG-2 압축방식이 주로 사용되는 영역에 알맞는 것은?

  1. 정지화상의 기록 매체
  2. 실시간 재현을 위한 방송 영상매체
  3. 음성 및 화상의 압축을 위한 전기 통신매체
  4. 음성을 압축 저장 기록하는 매체
(정답률: 알수없음)
  • MPEG-2 압축방식은 고화질의 영상을 압축하여 저장하고 전송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며, 특히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방송 영상매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실시간 재현을 위한 방송 영상매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영상 압축 알고리즘이 아닌 것은?

  1. DVI
  2. H.261
  3. MPEG
  4. G.722
(정답률: 알수없음)
  • G.722는 음성 코덱(Codec)으로, 음성 신호를 압축하는 알고리즘이지만, 영상 압축 알고리즘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G.7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문자방송은 TV 방송전파중 다음의 어느것을 이용하여 문자를 전송하는가?

  1. 수직귀선소거기간
  2. 수평귀선소거기간
  3. 순차주사기간
  4. 비월주사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문자방송은 수직귀선소거기간을 이용하여 문자를 전송한다. 이는 TV 화면에서 한 줄의 이미지가 끝나고 다음 줄의 이미지가 시작하기 전에 일어나는 시간으로, 이 시간을 이용하여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TV 화면에서 이미지가 나타나는 부분과 나타나지 않는 부분을 이용하여 문자를 전송하기 때문에, TV 방송 전파 중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방식으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시각매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동영상
  2. 문자
  3. 화상
  4. 음향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은 시각적인 측면이 아닌 소리에 관련된 매체이기 때문에 시각매체의 종류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운드 카드에 다양한 효과를 주기위한 디지털 신호처리 칩을 의미하는 용어는?

  1.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2. ADPCM (Adaptive Delta Pulse Code Modulation)
  3. DAC (Digital Analog Converter)
  4.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정답률: 알수없음)
  • DSP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칩으로, 사운드 카드에서 다양한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ADPCM은 음성 압축 방식 중 하나이며, DAC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칩이고, 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칩입니다. 따라서 사운드 카드에서 다양한 효과를 주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에는 DSP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61. 방송장비 설비공사시 접지(Grounding)방법이 틀린 것은?

  1. 방송 장비에 연결되는 접지선은 전력선 접지와 분리하여야 한다.
  2. 외부에서 공급되는 음향신호의 케이블 중 실드선은 접지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3.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의 접지는 FLOATING 시켜야 한다.
  4. 장비를 방송시설의 RACK에 장착시 상호 접지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에서 공급되는 음향신호의 케이블 중 실드선은 접지에 연결하여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방법이다. 이유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음향신호의 케이블 중 실드선은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에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서브루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주 사용되는 일련의 프로그램은 서브루틴으로 구성한다.
  2. 인터럽트 발생시의 처리프로그램은 서브루틴으로 구성한다.
  3. 일반적으로 I/O 프로그램은 서브루틴으로 구성한다.
  4. 부프로그램은 주프로그램과 동시에 수행되도록 서브 루틴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프로그램은 주프로그램과 동시에 수행되도록 서브 루틴으로 구성한다."가 틀린 것이다. 부프로그램은 주프로그램에서 호출되어 실행되는 것이며, 주프로그램과는 별개로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송신 공중선의 형식과 구성에서 틀린 것은?

  1. 정합이 충분할 것
  2. 만족한 지향성을 얻을 수 있을 것
  3. 공중선의 이득이 높고 능률이 좋을 것
  4. 수신선의 이득과 능률의 가능한 작은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선의 이득과 능률의 가능한 작은 것"이 틀린 것이다. 송신 공중선의 형식과 구성에서는 수신선의 이득과 능률이 가능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신기가 신호를 더 잘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수신선의 이득과 능률의 가능한 작은 것"은 올바르지 않은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컴퓨터 시스템에서 명령형식을 보통 1-주소방식, 2-주소방식, 3-주소방식으로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1. 기억 장치의 용량
  2. 명령어의 수
  3. 오퍼랜드의 수
  4. 레지스터의 수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형식을 분류하는 기준은 오퍼랜드(Operand)의 수입니다. 1-주소방식은 명령어에 오퍼랜드가 1개, 2-주소방식은 명령어에 오퍼랜드가 2개, 3-주소방식은 명령어에 오퍼랜드가 3개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오퍼랜드의 수가 명령형식을 분류하는 기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ASCII 코드에서 존(ZONE) 비트로 사용되는 비트의 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ASCII 코드에서 존 비트는 3비트이다. 이는 ASCII 코드의 총 비트 수가 7비트이며, 이 중에서 상위 4비트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존 비트는 2^3=8개의 가능한 값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자계산기에서 계산속도가 빠른 단위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ps-ns-μs-ms
  2. μs-ps-ns-ms
  3. ms-μs-ns-ps
  4. ms-ns-μs-ps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계산기에서 계산속도는 초당 처리하는 연산 횟수로 측정됩니다. 따라서 처리 속도가 빠른 단위는 초당 처리하는 연산 횟수가 많은 단위입니다. 이에 따라서, ps(피코초)는 나노초(ns)보다 1000배 빠르고, 나노초는 마이크로초(μs)보다 1000배 빠르고, 마이크로초는 밀리초(ms)보다 1000배 빠릅니다. 따라서 "ps-ns-μs-ms"가 계산속도가 빠른 단위 순서대로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소지정방식중 옳지 않은 것은?

  1. 즉치주소방식(immediate addressing)
  2. 간접주소방식(indirect addressing)
  3. 참조주소방식(reference addressing)
  4. 인덱스주소방식(indexing addressing)
(정답률: 알수없음)
  • 참조주소방식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사용되지 않는 주소지정방식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즉치주소방식은 상수나 리터럴 값을 직접 지정하는 방식, 간접주소방식은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사용하는 방식, 인덱스주소방식은 배열이나 테이블에서 인덱스 값을 사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컴퓨터 시스템 성능 평가 요인들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rogram size
  2. reliability
  3. throughput
  4. turnaround time
(정답률: 알수없음)
  • "Program size"는 컴퓨터 시스템 성능 평가 요인 중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시스템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요인들은 시스템의 신뢰성, 처리량, 처리 시간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선형 리스트중 마지막으로 입력한 자료가 제일 먼저 출력되는 LiFO(Last in first out)구조는?

  1. 트리
  2. 스택
  3. 섹터
(정답률: 알수없음)
  • 스택은 마지막으로 입력된 자료가 제일 먼저 출력되는 LiFO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는 것을 상상하면 됩니다. 새로운 데이터는 스택의 맨 위에 쌓이고, 데이터를 꺼낼 때는 맨 위의 데이터부터 꺼내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마지막으로 입력된 자료가 제일 먼저 출력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2진수 0111을 그레이 코드(Gray code)로 바꾸면 무엇인가?

  1. 1010
  2. 0100
  3. 0000
  4. 1111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0111을 그레이 코드로 바꾸면 0100이 된다.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비트 차이가 1인 코드이다. 따라서 0111과 인접한 그레이 코드는 첫 번째 비트만 다른 0101과 1111이다. 그 중에서 0111과 가장 비트 차이가 적은 코드는 첫 번째 비트만 다른 0100이므로 정답은 0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방송법의 목적에 관련되지 않는 것은?

  1. 방송의 자유와 독립의 보장
  2. 민주적 여론 형성
  3. 방송사업자의 발전
  4. 국민문화의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방송법의 목적은 방송의 자유와 독립의 보장, 민주적 여론 형성, 국민문화의 향상입니다. 그러나 방송사업자의 발전은 목적이 아니라 방송법의 실행과 관련된 사항입니다. 따라서 "방송사업자의 발전"은 방송법의 목적에 관련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방송국 검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임시검사
  2. 변경검사
  3. 수시검사
  4. 정기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시검사는 방송국 검사의 종류가 아닙니다. 수시검사는 일반적으로 학교나 회사에서 진행되는 간단한 검사로,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방송국에서는 대부분 정기검사와 임시검사를 실시하며, 변경검사는 방송국 시스템이나 장비 등이 변경될 때 실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중계유선방송을 위한 수신공중선은 전파의 수신장애가 적은 장소에 설치하되, 다른 사람의 수신시설 또는 전기통신설비로부터 얼마이상 떨어져야 하는가?

  1. 1[m]
  2. 2[m]
  3. 2.5[m]
  4. 4.5[m]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계유선방송을 위한 수신공중선은 전파의 수신장애가 적은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다른 사람의 수신시설 또는 전기통신설비로부터 너무 가까이 설치하면 전파 간섭이 발생하여 수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신공중선은 다른 사람의 수신시설 또는 전기통신설비로부터 최소 1m 이상 떨어져야 합니다. 이것은 전파 간섭을 최소화하여 수신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TV 영상신호를 TV 방송전파로 발사할 때는 다음 중 어느 방식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가?

  1. 양측파대 방식
  2. 잔류측파대 방식
  3. 단측파대 저감반송파 방식
  4. 단측파대 억압반송파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TV 영상신호를 TV 방송전파로 발사할 때는 "잔류측파대 방식"을 채택한다. 이는 양측파대 방식과는 달리 전파의 대역폭을 줄이고, 전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파를 발사하는 측과 수신하는 측이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전파의 대역폭을 줄이면서도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잔류측파대 방식은 전파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전파의 품질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보도, 교양, 오락, 등 다양한 방송 분야 상호간에 조화를 이루도록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은?

  1. 종합편성
  2. 방송편성
  3. 방송분야
  4. 전문편성
(정답률: 알수없음)
  • 종합편성은 다양한 방송 분야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채널에서 편성하여 시청자들이 보다 다양한 취향과 관심사에 맞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보도, 교양, 오락 등 다양한 방송 분야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시청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종합편성은 방송편성과 전문편성과는 다르게, 다양한 방송분야를 하나의 채널에서 조화롭게 편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입출력장치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의 접속장치(Interface)에서 악수하기 (Handshaking)라는 뜻은?

  1. CPU의 병렬데이터를 I/O장치에 맞추어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기
  2. CPU와 I/O 장치 사이의 제어신호 교환하기
  3. I/O장치의 전압높이를 CPU에 맞추기
  4. CPU가 사용하지 않는 버스를 I/O 장치에서 제어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악수하기(Handshaking)는 입출력장치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의 접속장치에서 데이터 전송 전에 제어신호를 교환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전송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CPU와 I/O 장치 사이의 제어신호 교환하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상파방송이나 위성방송 등을 수신하여 중계 송신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계유선방송
  2. 종합유선방송
  3. 음악유선방송
  4. 자가유선방송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계유선방송은 지상파방송이나 위성방송 등을 수신하여 중계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유선으로 이루어지며, 중계소와 수신소 사이에 유선을 연결하여 방송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중계유선방송"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수신설비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내부잡음이 적을 것
  2. 명료도가 충분할 것
  3. 감도가 적을 것
  4. 선택도가 클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감도가 적을 것은 요구되는 수신설비의 조건이 아닙니다. 감도란 입력 신호의 최소한의 크기를 의미하며, 수신설비는 가능한 작은 신호도 감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감도가 높을수록 더 좋은 수신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파법에서 정한 공중선전력의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

  1. 첨두전력
  2. 반송파전력
  3. 변조전력
  4. 평균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법에서는 공중선전력을 표시할 때 평균전력, 첨두전력, 반송파전력을 사용하며, 이들은 모두 정확한 전력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변조전력은 신호의 변조 방식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전력을 나타내지 못합니다. 따라서 변조전력은 공중선전력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에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필요하지 않는 장치는 어느 것인가?

  1. 보조기억장치
  2. 연산장치
  3. 제어장치
  4. 기억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조기억장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장치입니다. 보조기억장치는 주로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연산장치, 제어장치, 기억장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연산장치는 계산을 수행하고,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기억장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