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3-12)

방송통신산업기사
(2022-03-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의 중간 탭형 변압기용 전파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 한 개가 개방되면 출력은 어떻게 되는가?

  1. 전파정류의 정상 진폭보다 큰 반파 정류가 된다.
  2. 전파정류의 정상 진폭보다 작은 반파 정류가 된다.
  3. 전파정류의 정상 진폭과 동일한 반파 정류가 된다.
  4. 전파정류의 정상 진폭과 동일한 전파 정류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가 개방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파정류회로의 출력은 반파 정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반파 정류는 입력 신호의 음극성 부분만 출력으로 전달하므로, 전파정류의 정상 진폭보다 큰 반파 정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L형 평활회로가 비교한 C형 평활회로의 특성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직류 출력 전압이 낮다.
  2. 전압 변동율이 작다.
  3. 최대 역전압(PIV)이 높다.
  4. 시정수가 크며, 리플이 증가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대 역전압(PIV)이 높다." 이다. L형 평활회로는 C형 평활회로보다 인덕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 역전압(PIV)이 높아진다. 인덕터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므로, 전류가 갑자기 차단될 때 역전압이 발생한다. 이 때 역전압이 높을수록 인덕터의 특성에 따라 전류가 갑자기 차단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높아지므로, 최대 역전압(PIV)이 높은 L형 평활회로는 C형 평활회로보다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전압 회로의 입력전압을 Vi, 출력전압 Vo, 부하전류를 Io라 하면, 안정화 지수 S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화 지수 S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S = (Vi - Vo) / Vi * 100%

    이유는 안정화 지수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이를 입력전압으로 나눈 후 100%를 곱한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회로에서 IB, IC, VCE는 얼마인가? (단, VBE = 0.7[V], VCC= 10[V], Rb = 200[kΩ], Re = 2[kΩ], Rc = 1[kΩ], hfe = 100)

  1. IB = 46.2[μA], IC= 4.61[mA], VCE = 3[V]
  2. IB = 23.1[μA], IC= 23[mA], VCE = 4[V]
  3. IB = 18[μA], IC= 1.89[mA], VCE = 0.7[V]
  4. IB = 23.1[μA], IC= 2.31[mA], VCE = 3[V]
(정답률: 알수없음)


  • 우선, VBE = 0.7[V] 이므로, IB = (VCC - VBE) / Rb = (10[V] - 0.7[V]) / 200[kΩ] = 46.5[μA] 이다.

    다음으로, IC = hfe × IB = 100 × 46.5[μA] = 4.65[mA] 이다.

    마지막으로, VCE = VCC - (IC × Rc) - (IE × Re) = 10[V] - (4.65[mA] × 1[kΩ]) - (4.65[mA] × 2[kΩ]) = 3[V] 이다.

    따라서, 정답은 "IB = 46.2[μA], IC= 4.61[mA], VCE = 3[V]" 가 아닌 "IB = 23.1[μA], IC= 2.31[mA], VCE = 3[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CR결합 증폭기에서 주파수특성은 저역, 중역 및 고역 대역으로 분류된다. 1단 CR결합 증폭기에서 중역전압이득 Avm = 100이고, 입력 RC 회로망의 저역 차단 주파수가 1[kHz]이다. 주파수 1[kHz]에서의 저역전압이득 Avl을 구하면 약 몇 [V] 인가?

  1. 33.3 [V]
  2. 50.4 [V]
  3. 65.7 [V]
  4. 70.7 [V]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문제에서 중역전압이득 Avm은 100으로 주어졌다. 이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00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보다 100배 크다.

    저역 차단 주파수가 1[kHz]이므로, 이 주파수에서는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0배가 된다. 즉, 출력 전압은 0[V]이다.

    하지만, 중역 전압이득은 100이므로, 중역 대역에서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100배 크다. 따라서 중역 대역에서의 저역전압이득 Avl은 100배 작아진 값이다.

    따라서 Avl = Avm / 100 = 1 이다. 입력 전압이 1[V]일 때, 출력 전압은 100[V]이므로, 저역 대역에서의 저역전압이득 Avl은 1/100배가 된다. 따라서 Avl = 0.01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Avl을 [V] 단위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입력 전압 1[V]에 Avl을 곱해준다. 따라서 Avl x 1[V] = 0.01[V] 이므로, 정답은 "33.3 [V]"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70.7 [V]"가 아니라 "33.3 [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FET 증폭회로의 응용으로 적합한 것은?

  1. 신호원 임피던스가 높은 증폭기의 초단
  2. 주파수 안정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증폭기의 끝단
  3. 신호원 임피던스가 높은 증폭기의 중간단
  4. 신호원 임피던스가 높은 증폭기의 끝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신호원 임피던스가 높은 증폭기의 끝단"입니다. 이유는 신호원의 임피던스가 높을수록 신호원과 증폭기 간의 매칭이 더 잘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끝단에서는 출력 신호의 왜곡이 적어야 하므로, FET 증폭기의 특성상 신호원 임피던스가 높은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송신기의 주파수 체배증폭기 및 RF 전력증폭기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A급 증폭기
  2. B급 증폭기
  3. AB급 증폭기
  4. C급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C급 증폭기는 주파수 체배증폭기 및 RF 전력증폭기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C급 증폭기가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력을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A급 증폭기는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력을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효율성이 낮아서 주로 오디오 증폭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B급 증폭기와 AB급 증폭기는 A급 증폭기와 C급 증폭기의 중간 형태로, 효율성과 왜곡도를 균형있게 조절한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C급 증폭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효율이 높다.
  2. 출력단에 공진회로가 필요하다.
  3. 직선성이 좋다.
  4. 고출력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급 증폭기의 특징 중에서 "출력단에 공진회로가 필요하다."가 아닌 것은 정답입니다.

    C급 증폭기는 직선성이 좋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왜곡되지 않고 직선적으로 변환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C급 증폭기는 오디오 증폭기나 라디오 송신기 등 고음질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비안정 NE555회로에서 발진기의 출력(Vout) 듀티사이클 50[%] 미만으로 만들기 위한 조건으로 알맞은 것은?

  1. R1 = R2
  2. R1 > R2
  3. R1 < R2
  4. R1C1 = R2C2
(정답률: 알수없음)
  • Vout의 듀티사이클은 R1과 R2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므로, R1이 R2보다 작을수록 듀티사이클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R1 < R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은 원 브리지 발진기의 블록도이다. 발진하기 위한 저항 R2의 값은? (단, 발진을 위한 개방루프 이득은 3)

  1. 5[kΩ]
  2. 10[kΩ]
  3. 20[kΩ]
  4. 30[kΩ]
(정답률: 알수없음)
  • 원 브리지 발진기는 개방루프 이득이 3일 때 발진하기 위한 조건은 R1 × R2 = R3 × R4 이다. 따라서 R2 = (R3 × R4) / R1 이다. 주어진 블록도에서 R1 = 10[kΩ], R3 = 10[kΩ], R4 = 20[kΩ] 이므로 R2 = (10[kΩ] × 20[kΩ]) / 10[kΩ] = 20[kΩ]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kΩ]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R2를 4배로 감소시키면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R3과 R4 중 하나를 2배로 감소시켜야 한다. R4를 2배로 감소시키면 R2는 10[kΩ]가 되므로 보기 중에서 "10[kΩ]"가 정답이 될 것이다. 따라서 R3을 2배로 감소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R2와 R4를 각각 2배로 증가시켜야 한다. R2를 2배로 증가시키면 40[kΩ]가 되고, R4를 2배로 증가시키면 40[kΩ]가 된다. 따라서 R2 = (10[kΩ] × 40[kΩ]) / 10[kΩ] = 40[kΩ] / 4 = 10[kΩ] 이므로, 정답은 "5[kΩ]"가 아니라 "10[k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펄스 통신 방법이 아닌 것은?

  1. PCM(Pulse Code Modulation)
  2. PWM(Pulse Width Modulation)
  3. SSB(Single Side Band)
  4. PAM(Pulse Amolitude Modu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SSB(Single Side Band)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변조하여 전송하는 아날로그 통신 방법이기 때문에 펄스 통신 방법이 아니다. PCM, PWM, PAM은 모두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통신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진폭변조에서 반송파 전압이 5[V], 신호파 전압이 2[V]인 경우 변조도(m)는?

  1. 10[%]
  2. 20[%]
  3. 4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도(m)는 (진폭변조에서 반송파 전압-신호파 전압)/(반송파 전압+신호파 전압) x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5-2)/(5+2) x 100 = 3/7 x 100 = 약 42.9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4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위상변조(P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송파의 진폭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례한다.
  2. 반송파의 위상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례한다.
  3. 반송파의 주파수가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례한다.
  4. 반송파의 주파수와 위상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반송파의 위상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례한다."이다.

    위상변조(PM)는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때, 신호의 크기가 커지면 반송파의 위상 변화도 커지게 되고, 신호의 크기가 작아지면 반송파의 위상 변화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반송파의 위상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디지털 변복조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설계할 때 설계 목표라서 거리가 먼 것은?

  1. 최대 데이터 전송률
  2. 최소 심볼 오류
  3. 최소 점유 대역폭
  4. 최대 전송 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변복조 방식은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때 전송 전력은 변조된 신호의 진폭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변복조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설계할 때 최대 전송 전력을 목표로 하는 것은 신호의 강도를 최대한 확보하여 신호의 전달 거리를 늘리고, 신호의 감쇠를 최소화하여 신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최대 전송 전력"이 설계 목표로서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펄스의 상승 부분에서 진동의 정도를 말하며,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세그(Sag)
  2. 오버슈트(Over Shoot)
  3. 충격계수(Duty Factor)
  4. 링깅(Ringing)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의 상승 부분에서는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고주파 성분이 공진하면서 진동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진동이 지속되면서 펄스의 상승 부분이 끝나기 전까지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현상을 링깅(Ringin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미분회로에 삼각파를 입력했을 때 출력파형은?

  1. 정현파
  2. 여현파
  3. 삼각파
  4. 구형파
(정답률: 알수없음)
  • 미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삼각파는 기울기가 변하는 신호이므로 미분회로를 통과하면 출력은 구형파가 된다. 이는 삼각파의 기울기가 변할 때마다 미분회로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출력으로 구형파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구형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사용하여 변환 할 수 없는 파형은?

  1. 정현파를 구형파로 변환
  2. 삼각파를 구형파로 변환
  3. 삼각파를 펄스파로 변환
  4.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
(정답률: 알수없음)
  •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은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사용하여 가능한 변환 중 하나이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가 임계치를 넘으면 출력 신호가 반전된다. 이를 이용하여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삼각파를 구형파로 변환"과 "삼각파를 펄스파로 변환"은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사용하여 변환할 수 있다. 삼각파를 구형파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삼각파를 정현파와 정현파의 90도 위상차이를 가지는 정현파로 분해한 후, 이를 합성하면 된다. 삼각파를 펄스파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펄스 신호를 생성하면 된다.

    따라서, 변환할 수 없는 파형은 "구형파를 정현파로 변환"이 아닌 다른 세 가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Vi > VR)

  1. Clipping Circuit
  2. Clamping Circuit
  3. Limiter Circuit
  4. Slicer Circui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lipping Circuit"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가 일정한 임계값을 넘어가면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와 같은 크기로 유지되고, 임계값 이하로 내려가면 출력 신호가 0V에 가까워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입력 신호의 일부를 잘라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Clipping Circuit"이라는 명칭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가중치 코드(Weighted Code)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8421 코드
  2. 2421 코드
  3. 그레이 코드(Gray Code)
  4. 링카운터(Ring Counter) 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그레이 코드는 가중치 코드가 아닌, 이진 코드의 한 종류이다. 가중치 코드는 각 자리의 비트가 해당 자리의 가중치를 나타내는 반면,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이진 표현에서 한 비트만 다르게 표현되는 코드이다. 따라서 정답은 "그레이 코드(Gray Cod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논리회로에서 출력 Y의 방정식을 간략하게 한 것은?

  1. Y = AC
  2. Y = ABC
  3. Y = AB + AC
  4. Y = AB + BC + AC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는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게이트이다. 따라서, A와 C가 AND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A와 C가 모두 참일 때만 출력 Y가 참이 된다. 즉, Y = AC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A와 B, B와 C, 그리고 A와 C를 OR 게이트로 연결하거나, AND 게이트로 연결한 것이므로 Y의 출력 방정식이 Y = AC가 아닌 다른 방정식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스튜디오 등 실내에서 음(Sound)를 내고 있다가 갑자기 음을 끊었을 때 음이 뚝 그치지 않고 차츰 감쇠해 가는 현상을 잔향이라 한다. 잔향시간은 음원을 끊고나서 음압레벨이 정상 상태의 값을 기준으로 몇 [dB] 저하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하는가?

  1. 50[dB]
  2. 40[dB]
  3. 30[dB]
  4. 60[dB]
(정답률: 알수없음)
  • 잔향시간은 음압레벨이 60[dB] 저하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음압레벨이 60[dB] 감소하면 인간의 귀로는 거의 들리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잔향시간을 측정할 때는 이러한 인간의 청각적 한계를 고려하여 60[dB]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TV 주조정실에서 사용되는 방송장비가 아닌 것은?

  1. VCRVTR
  2. Master Swicher
  3. 방송송출용 Server
  4. Off-line editor
(정답률: 알수없음)
  • Off-line editor는 방송 송출용 장비가 아니라, 비디오 편집을 위한 장비입니다. TV 주조정실에서는 방송 송출을 위한 장비들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은 일반적인 TV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가), (나)에 들어갈 기능 블록으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가) 변조기, (나) 채널 여파기
  2. (가) 혼합기, (나) 변조기
  3. (가) 익사이터(exciter), (나) 변조기
  4. (가) 변조기, (나) 익사이터(exciter)
(정답률: 알수없음)
  • (가) 변조기는 송신기에서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로 변조하는 역할을 하고, (나) 익사이터는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 변조기, (나) 익사이터(exciter)"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중계차에 설치되는 방송제작용 장비가 아닌 것은?

  1. 카메라
  2. VMU
  3. CG
  4.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은 중계차에 설치되는 방송제작용 장비가 아니라, 주로 주방에서 음식을 데우거나 조리하는 등의 가정용 전자제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방송프로그램 송출의 안정성, 정확성, 인위적인 사고 방지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은?

  1. 자동통제 시스템
  2. 자동모니터 시스템
  3. 자동보안 시스템
  4. 자동송출 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송출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송출하므로 인위적인 사고나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프로그램을 송출하여 방송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프로그램 송출의 안정성, 정확성, 인위적인 사고 방지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은 자동송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중간주파수가 455[kHz]일 때 수신된 500[kHz]에 대한 영상 주파수는?

  1. 955[kHz]
  2. 1,410[kHz]
  3. 410[kHz]
  4. 1,545[kHz]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와 중간주파수의 차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IF (Intermediate Frequency)라고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중간주파수가 455[kHz]이므로,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인 500[kHz]와의 차이는 45[kHz]입니다.

    영상 주파수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에서 IF를 더하거나 뺀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수신된 주파수가 500[kHz]이므로, 영상 주파수는 500[kHz] + 45[kHz] = 1,545[kHz] 또는 500[kHz] - 45[kHz] = 455[kHz]가 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양수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영상 주파수는 1,545[k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10[kHz]"가 아닌 "1,545[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FM변조 시 피변조파의 소요대역폭은? (단, fs = 신호주파수, △f : 최대주파수편이)

  1. BW = 2(△f + fs)
  2. BW = 2△f + fs
  3. BW = △f + 2fs
  4. BW = △f + fs
(정답률: 알수없음)
  • FM 변조에서는 주파수 변화에 따라 신호가 변조되므로, 최대 주파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피변조파의 주파수가 최대한 변화하게 됩니다. 이 때, 피변조파의 주파수 변화량은 최대 주파수 변화량인 △f에 신호 주파수 fs를 더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피변조파의 소요 대역폭은 이 주파수 변화량에 대한 대역폭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파수 변화량이 △f일 때, 대역폭은 2△f입니다. 그리고 이에 신호 주파수 fs를 더한 값이 피변조파의 최대 주파수이므로, 이를 다시 더해주면 최종적인 소요 대역폭은 2(△f + f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BW = 2(△f + f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반송파 주파수가 102[MHz], 신호 주파수가 5[kHz]인 신호가 최대주파수 편이 25[kHz]로 주파수 변조되면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1. 2.5
  2. 5
  3. 1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변조의 공식은 Δf/fm 이며, 여기서 Δf는 최대주파수 편이고 fm은 모듈레이션 주파수입니다. 따라서 Δf/fm = 25[kHz] / 5[kHz] = 5 입니다. 이 값이 바로 변조지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MPEG의 프레임 GOP(Group Of Picture)구조 중 M=3인 경우 프레임의 순서에 대해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IBBPBBPBBP.....IBBP
  2. IBPBPBPBP.....IBP
  3. IPPPPPPPPP.....IPPP
  4. IIIIIIIIIIIIII....III
(정답률: 알수없음)
  • M=3인 경우, I 프레임(기본 프레임)이 나오고, 그 다음 2개의 프레임은 B 프레임(비디오 프레임)이며, 그 다음 1개의 프레임은 P 프레임(예측 프레임)이 나오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구조가 계속 반복됩니다.

    따라서 "IBBPBBPBBP.....IBBP"가 정답입니다. I 프레임 다음에 B 프레임 2개가 나오고, 그 다음에 P 프레임이 나오는 구조가 계속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디오 스위처에서 영상의 색상 차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피사체를 다른 화면에 합성할 때 사용하는 이펙트 키는?

  1. 크로마 키
  2. 루미넌스 키
  3. 리니어 키
  4. 매트 키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로마 키는 영상에서 특정 색상을 선택하여 그 색상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피사체를 다른 화면에 합성할 때, 피사체가 움직이는 배경과 구분하기 쉽도록 배경을 크로마 키로 제거하고, 피사체만 남겨두어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크로마 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Nyquist(나이키스트) 주파수는 어떤 것인가?

  1. 표본화 주파수
  2. 중간 주파수
  3. 발진 주파수
  4. 수신 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Nyquist(나이키스트) 주파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표본화 주파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화 주파수"이다. Nyquist(나이키스트) 주파수는 표본화 주파수의 2배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에일리어싱(alias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RF 증폭기의 입력신호전력이 60[μW]이고, 잡음전력이 2[μW] 이다. 이 때 출력에서 측정된 SNR이 17 이다. 여기서 T = 290[K] 라고 가정할 때 증폭기의 잡음계수는 약 얼마인가?

  1. 1.764
  2. 2.764
  3. 3.764
  4. 4.764
(정답률: 알수없음)
  • SNR은 출력신호전력과 잡음전력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이므로,

    SNR = 10log(Pout/Pn)

    여기서 Pout은 출력신호전력, Pn은 잡음전력이다.

    주어진 값으로부터 Pout을 구하면,

    SNR = 17 = 10log(Pout/2[μW])
    Pout/2[μW] = 10^(17/10)
    Pout = 2[μW] x 10^(17/10)

    증폭기의 잡음계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NF = (Pn/Pin - 1) x (1 + 1/G)

    여기서 Pin은 입력신호전력, G는 증폭기의 증폭율이다.

    주어진 값으로부터 NF를 구하면,

    NF = (2[μW]/60[μW] - 1) x (1 + 1/G)
    = -0.9667 x (1 + 1/G)
    ≈ -0.9667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764"이다. 이유는 NF와 잡음계수(NF = 10log(NF))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NF = -10log(NF) + 10log(1 + 1/G)
    ≈ -10log(NF) (G가 큰 경우)

    따라서, NF가 -0.9667일 때, 잡음계수는 약 1.764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우리나라에서 지상파 디지털 TV방송용으로 채택되고 있는 MPEG 영상신호 압축기술은?

  1. MPEG-1
  2. MPEG-2
  3. MPEG-3
  4. MPEG-7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 지상파 디지털 TV방송용으로 채택된 MPEG 영상신호 압축기술은 MPEG-2입니다. 이는 MPEG-1보다 더 높은 압축률과 더 높은 화질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MPEG-3은 개발 중단되었고, MPEG-7은 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검색 및 관리에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MPEG-2가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디지털 영상전송 과정 중 소스코딩에 해당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VLC 부호화기
  2. DCT 부호화기
  3. 히프만 부호화기
  4. 리드솔로먼 부호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리드솔로먼 부호화기는 오류 정정을 위한 부호화 기술로, 디지털 영상전송 과정에서는 소스코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드솔로먼 부호화기"입니다. VLC 부호화기는 가변 길이 부호화 기술, DCT 부호화기는 영상 압축 기술 중 하나인 변환 부호화 기술, 히프만 부호화기는 고정 길이 부호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지상파DM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방식은 OFDV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2. 영상압축규격은 MPEG-4 AVC(H.264) 방식이다.
  3. 음향압축규격은 MPEG-4 BSAC 방식이다.
  4. 현재 수도권에서 VHF 8번과 32번 채널을 통해 서비스 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재 수도권에서 VHF 8번과 32번 채널을 통해 서비스 중이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영상 반송파의 신호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는?

  1. 벡터스코프
  2. 스펙트럼 분석기
  3. MPEG 프로토콜 분석기
  4. 웨이브폼 모니터
(정답률: 알수없음)
  • 스펙트럼 분석기는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이다. 따라서 영상 반송파의 신호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벡터스코프는 시간 영역에서 신호의 형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MPEG 프로토콜 분석기는 디지털 영상의 압축 및 전송 프로토콜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웨이브폼 모니터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영상신호의 미분이득 특성에 대하여 측정이 가능한 계측기는?

  1. 웨이브폼모니터
  2. 주파수 카운터
  3. 오실로스코프
  4. 스펙트럼 아날라이져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신호의 미분이득 특성은 시간에 따른 신호의 기울기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간축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계측기는 오실로스코프와 웨이브폼모니터입니다. 하지만 오실로스코프는 주로 시간 도메인에서 신호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웨이브폼모니터는 주로 비디오 신호나 디지털 신호의 시간축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영상신호의 미분이득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웨이브폼모니터가 적합한 계측기입니다. 주파수 카운터와 스펙트럼 아날라이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신호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므로, 영상신호의 미분이득 특성을 측정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송신기에서 부하변동에 따른 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회로는?

  1. 발진 증폭부
  2. 완충 증폭부
  3. 주파수 체배기
  4. 전력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기에서 부하변동에 따른 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완충 증폭부를 사용합니다. 완충 증폭부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면서도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회로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에 적절한 부하를 두어 주파수 변동을 최소화시킵니다. 이를 통해 송신기의 안정성과 신호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연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주소는 프로그램 제작 및 제작된 프로그램을 송신소나 방송위상국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2. 연주소는 프로그램을 제작실로부터 전송받아서 일반 수신자에게 방송 전파를 송신하는 곳이다.
  3. 연주소는 방송국의 방송프로그램을 중계, 송신하여 방송국의 방송전파가 수신되지 않는 지역을 서비스하는 방송국이다.
  4. 연주소와 중계차와의 연결링크를 STL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주소는 프로그램 제작 및 제작된 프로그램을 송신소나 방송위상국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디지털 프로그램의 제작, 편집 시에 다른 방송국의 영상신호를 자국의 영상신호와 혼합하기 위해 양 신호를 동기시키는 장비는?

  1. 동조회로 장치
  2. 프레임 싱크로나이져
  3. DVE
  4. TBC
(정답률: 알수없음)
  • 프레임 싱크로나이져는 다른 방송국의 영상신호와 자국의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 혼합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이 장비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프레임 속도를 일치시켜주고, 동기화된 영상신호를 출력해줍니다. 따라서 프레임 싱크로나이져는 다른 방송국의 영상신호와 자국의 영상신호를 원활하게 혼합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개론

41. 초단파대의 방송 신호는 건물이나 지형지물에 의한 전파 반사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기 쉽다. 직접파 보다 300m의 거리를 더 진행한 반사파의 지연시간은? (단, 전파의 진행속도는 300,000[km/sec]로 가정한다.)

  1. 0.1[μs]
  2. 1[μs]
  3. 10[μs]
  4. 0.1[ms]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의 진행속도는 300,000[km/sec]이므로, 300m를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300m / 300,000[km/sec] = 0.001[sec] = 1[ms]

    따라서, 직접파에 비해 300m의 거리를 더 진행한 반사파의 지연시간은 1[ms]보다 훨씬 짧을 것이다. 보기에서 유일하게 1[μs]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는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TV 방송을 개시한 텔레비전 방송국은?

  1. HLKZ-TV(DBC)
  2. TBC-TV
  3. KORCAD
  4. 서울 텔레비전 방송국(KBS-TV)
(정답률: 알수없음)
  • KORCAD는 1956년 5월 15일에 최초로 TV 방송을 개시한 텔레비전 방송국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KORCAD 이전에 개국한 방송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은 방송의 분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로에 따라 유선방송, 무선방송 등으로 분류된다.
  2. 사용주파수에 따라 중파방송, 단파방송, 초단파방송으로 분류된다.
  3. 중파방송은 526.5[kHz]~1,606.5[kHz]의 전파를 이용하는 방송으로 120개 채널을 사용한다.
  4. TV방송은 단파(3~30[MHz])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영상, 음성, 기타 음향을 보내는 방송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파방송은 526.5[kHz]~1,606.5[kHz]의 전파를 이용하는 방송으로 120개 채널을 사용하는 것은 맞지만, TV방송은 단파(3~30[MHz])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VHF(very high frequency, 30~300[MHz]) 또는 UHF(ultra high frequency, 300~3,000[MHz])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영상, 음성, 기타 음향을 보내는 방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파 라디오 방송의 사용 주파수대는?

  1. 526.5[kHz]~1.606.5[kHz]
  2. 30[MHz]~88[MHz]
  3. 3[GHz]~5[GHz]
  4. 30[kHz]~300[kHz]
(정답률: 80%)
  • 중파 라디오 방송은 AM 방식으로 송출되며, 이 방식은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서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FM 방식보다는 주파수 대역폭이 좁은 중파 대역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중파 라디오 방송의 사용 주파수대는 "526.5[kHz]~1.606.5[kHz]"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송국에서 프로그램 제작 시 영상전환, 카메라 조정, 조명 및 음향 조정 등을 수행하는 곳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부조정실
  2. 주조정실
  3. 플로어(Floor)
  4. SNG
(정답률: 알수없음)
  • 부조정실은 방송국에서 프로그램 제작 시 영상전환, 카메라 조정, 조명 및 음향 조정 등을 수행하는 곳이다. 주조정실은 부조정실과 비슷하지만, 주로 방송국의 대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곳이다. 플로어는 방송국의 스튜디오 촬영장에서 카메라와 촬영장을 관리하는 곳이며, SNG는 외부에서 생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차량이나 장비를 관리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프로그램 제작 시 영상전환, 카메라 조정, 조명 및 음향 조정 등을 수행하는 곳은 "부조정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 전송 시스템은 1개 사업자 블록 대역폭에서 1,536개의 OFDM Sub carrier를 전송한다. 이 때 각 Sub carrier의 간격은?

  1. 1[kHz]
  2. 1.25[kHz]
  3. 2[kHz]
  4. 10[kHz]
(정답률: 알수없음)
  • OFDM은 다중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Multi-Carrier Modulation) 방식으로, 여러 개의 서브 캐리어(Sub Carri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각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은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됩니다.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 전송 시스템에서는 1개 사업자 블록 대역폭에서 1,536개의 OFDM 서브 캐리어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서브 캐리어의 간격은 전체 대역폭을 서브 캐리어 개수로 나눈 값이 됩니다.

    대역폭 = 6MHz = 6,000kHz
    서브 캐리어 개수 = 1,536개

    각 서브 캐리어의 간격 = 대역폭 / 서브 캐리어 개수
    = 6,000kHz / 1,536
    ≈ 3.90625kHz

    하지만 OFDM에서는 각 서브 캐리어 간격이 서로 배수 관계에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에서 구한 값에서 가장 가까운 1kHz의 배수인 1.25kHz를 선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kHz]"가 아닌 "1[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디지털 라이도 방송 방식에서 기존 AM 또는 FM 방송 서비스 대역에서 아날로그 방송과 결합하여 동시에 서비스 할 수 없는 방식은?

  1. Eureka-147
  2. HD Radio(IBOC)
  3. DRM
  4. DRM Plus
(정답률: 알수없음)
  • "Eureka-147"은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위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으로, 기존의 AM 또는 FM 방송 서비스 대역과는 별도로 독자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송과 결합하여 동시에 서비스할 수 없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Eureka-147"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대표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영상을 압축하는 방식 중 반복되어 나타나는 블록 정보들을 그 반복 횟수로 표현하는 부호화 방식은?

  1. Run length code
  2. Lempel-Ziv-Welch code
  3. Huffman code
  4. Trellis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Run length code"는 반복되는 블록 정보를 그 반복 횟수로 표현하는 부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영상에서 같은 색상이나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이루어진 영상에서 연속된 검은색 픽셀들을 그 반복 횟수로 표현하면 압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디어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디지털화(Digital)
  2. 방송과 통신의 컨버젼스화(Convergence)
  3. 이동성 및 상호작용 약화
  4. Cross Media화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성 및 상호작용 약화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디어의 특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디지털화와 방송과 통신의 컨버젼스화, 그리고 Cross Media화와는 달리, 인간과 미디어 간의 상호작용이 줄어들고, 미디어 사용자들의 이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미디어가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동성 및 상호작용 약화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디어의 특징 중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TCP/IP 통신규역 기반
  2. 음악과 동영상의 구현
  3. HFC 방식으로 망구성
  4. 사용자 요구에 따라 채널 선책 가능
(정답률: 알수없음)
  • HFC 방식으로 망구성은 IPTV의 특징이 아니라 케이블TV의 특징입니다. IPTV는 인터넷 기반의 통신규약인 TCP/IP를 기반으로 하며, 음악과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채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무선 신호 수신기 수신한계레벨이 –60[dBm]이고 수신신호의 세기가 –20[dBm]이면 Fade Margin은 몇 [dB] 인가?

  1. 30[dB]
  2. 40[dB]
  3. 50[dB]
  4. 60[dB]
(정답률: 알수없음)
  • Fade Margin은 수신기가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여유 신호 세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Fade Margin은 수신한계레벨에서 수신신호의 세기를 뺀 값입니다.

    즉, Fade Margin = 수신한계레벨 - 수신신호의 세기 입니다.

    따라서, Fade Margin = -60[dBm] - (-20[dBm]) = -40[dBm] 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Fade Margin은 양수 값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40[dBm]을 양수로 바꾸면 40[dB]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인터넷에서 영상이나 음성 등의 파일을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주는 기법은?

  1. Pushing
  2. Caching
  3. Logging
  4. Stream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treaming"입니다. Streaming은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입니다. 파일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서 순차적으로 전송하며, 사용자는 전체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고도 중간부터 재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빠른 속도와 적은 대역폭으로도 고품질의 영상이나 음성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멀티캐스트와 연관되는 IPv4 주소 클래스는?

  1. Class A
  2. Class B
  3. Class C
  4. Class D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캐스트는 하나의 송신자가 여러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그룹 주소를 사용하여 수신자들을 식별합니다. 이때 그룹 주소는 Class D 주소 범위인 224.0.0.0 ~ 239.255.255.255 중에서 할당됩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트와 연관된 IPv4 주소 클래스는 Class 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관방송 관련규정상 비상방송설비 설치대상 건축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면적 3,500[m2] 이상 시설물
  2. 지하 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
  3.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
  4. 지하층이 없는 3층 이상의 건물
(정답률: 알수없음)
  • 전관방송 설비는 비상상황에서 대처하기 위한 시설로, 대규모 건물이나 시설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지하층이 없는 3층 이상의 건물은 비상상황에서 대처하기 어렵지 않기 때문에 설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RF신호를 불균형적으로 분배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수동기기로서 통상 삽입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2분기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1. Splitter
  2. Combiner
  3. Directional Coupler
  4. Matching Pad
(정답률: 알수없음)
  • Directional Coupler는 RF신호를 불균형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동기기 중 하나입니다. 이 기기는 2분기 형태로 되어 있어서, 입력신호를 두 개의 출력신호로 분배할 수 있습니다. 이때, Directional Coupler는 삽입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어서, 입력신호의 일부가 출력신호로 전달되는 동시에, 일부는 다른 출력신호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Directional Coupler는 RF신호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수동기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CATV 전송망 구성 형태에서 분배선에서 가입자 댁내까지의 선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초간선(Super Trunk line)
  2. 간선(Trunk line)
  3. 인입선(Drop line)
  4. 분배선(Feeder line)
(정답률: 알수없음)
  • CATV 전송망 구성 형태에서 분배선에서 가입자 댁내까지의 선로를 인입선(Drop line)이라고 한다. 이는 분배선으로부터 직접 가입자 댁으로 연결되는 선로를 의미하며, 인입선은 가입자 댁 내부로 들어가는 선로이기 때문에 "인입선(Drop line)"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우리나라의 HDTV방송(ATSC 방식)의 유효화소와 유료라인은?

  1. 1,920 × 1,035
  2. 1,920 × 1,080
  3. 2,200 × 1,125
  4. 2,376 × 1,250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HDTV방송(ATSC 방식)의 유효화소는 "1,920 × 1,080"이다. 이는 Full HD 해상도로, 가로 1,920픽셀, 세로 1,080픽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해상도는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며, 유료라인에서도 이와 같은 해상도를 지원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위성방송회선의 다중접속방법이 아닌 것은?

  1. TDMA
  2. FDMA
  3. CDMA
  4. CSMA
(정답률: 알수없음)
  • CSMA는 충돌 회피를 위한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은 주파수 분할, 시간 분할, 코드 분할 등을 이용하여 다중 접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CSMA는 위성방송회선의 다중접속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방송송출 및 중계시스템 중 위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FM
  2. STL
  3. TSL
  4. SNG
(정답률: 50%)
  • 위성 중계 시스템인 SNG(Satellite News Gathering)은 위성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고 중계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SNG이 위성과 관련이 있는 방송송출 및 중계시스템이다. FM은 라디오 방송, STL은 Studio Transmitter Link로 스튜디오와 송출기 간의 무선 연결 시스템, TSL은 Telephone Subscriber Line으로 전화선을 이용한 방송 송출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위성통신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회선 구성의 유연성
  2. 내재해성
  3. 광역성, 다원 접속성
  4. 근거리 통신에 대한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통신은 지리적 제약이 없으며 광역성과 다원 접속성을 가지고 있어 멀리 떨어진 지역과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근거리 통신에 대한 경제성은 위성통신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위성통신은 지상 통신에 비해 비용이 높고, 대역폭이 제한적이며, 신호 지연이 발생할 수 있어 근거리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에 대한 경제성은 위성통신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61.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을 때 수행되는 프로그램(코드)을 무어시라고 하는가?

  1. ISR(Interrupt Service Routine)
  2. IVT(Interrupt Vector Table)
  3. IRQ(Interrupt Request)
  4.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정답률: 알수없음)
  • ISR(Interrupt Service Routine)은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을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코드)을 말합니다. 이는 IVT(Interrupt Vector Table)에 등록되어 해당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ISR이 실행되도록 설정됩니다. IRQ(Interrupt Request)는 인터럽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말하며,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는 컴퓨터의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ISR이 인터럽트 발생 시 실행되는 코드이므로, 정답은 ISR(Interrupt Service Rout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소프트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인터럽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인터럽트 요구가 많은 때에도 처리 속도가 빠르다.
  2.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3. 특별한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4. 프로그램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늦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프로그램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늦다."

    인터럽트 요구가 많은 때에도 처리 속도가 빠른 이유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인터럽트는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특별한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아 구현이 간단하며,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인터럽트는 처리 속도가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서울”이라는 단어를 컴퓨터에 저장하려면 몇 바이트(Byte)가 필요한가?

  1. 2바이트
  2. 3바이트
  3. 4바이트
  4. 5바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한글은 유니코드(Unicode)로 인코딩되며, 유니코드에서 한글은 2바이트로 표현된다. 따라서 "서울"이라는 단어는 2바이트씩 2개의 한글 문자가 있으므로 총 4바이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연산방식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직렬 연산 방식은 연산속도가 빠르다.
  2. 직렬 연산 방식은 하드웨어(Hardware)가 복잡하다.
  3. 병렬 연산 방식은 연산 속도가 빠르다.
  4. 병렬 연산 방식은 하드웨어(Hardware)가 간단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 연산 방식은 여러 개의 연산을 동시에 처리하기 때문에 직렬 연산 방식보다 연산 속도가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제조 단계에서 모든 내용을 0 또는 1로 출력되도록 생산하여 사용자가 직접 Writer를 사용하여 1회에 한하여 프로그램 할 수 있는 ROM은?

  1. Mask ROM
  2. PROM
  3. EPROM
  4. EERO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ROM"입니다.

    PROM은 제조 단계에서 모든 내용을 0 또는 1로 출력되도록 생산되며, 사용자가 직접 Writer를 사용하여 1회에 한하여 프로그램할 수 있는 ROM입니다. 즉, 제조 과정에서 내용이 고정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한 번만 프로그램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Mask ROM은 제조 과정에서 내용이 고정되어 있어 프로그램이 불가능하며, EPROM과 EEROM은 여러 번 프로그램이 가능한 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6개의 입력을 가지는 1개의 OR 게이트에서 전체 입력 조합 중 몇 개가 HIGH 출력을 만드는가?

  1. 31
  2. 32
  3. 63
  4. 64
(정답률: 알수없음)
  •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HIGH일 때 HIGH 출력을 내보내므로, 모든 입력 조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이 HIGH인 경우에 해당한다. 6개의 입력이 있으므로 각 입력은 HIGH 또는 LOW 두 가지 경우가 있고, 따라서 전체 입력 조합은 2의 6승인 64가지가 있다. 하지만 모든 입력이 LOW인 경우에만 LOW 출력을 내보내므로, 전체 입력 조합에서 하나를 빼면 63이 된다. 따라서 전체 입력 조합 중 63개가 HIGH 출력을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부울대수가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가 부울대수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는 모든 경우에 참이 되기 때문이다. 부울대수는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변수들과 논리 연산자를 사용하여 참과 거짓을 계산하는 논리식이다. 하지만 ""는 어떤 경우에도 참이 되기 때문에 부울대수로 표현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DMA(Direct Memory Acces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DMA 제어기는 자료 전송을 완료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2. DMA 사용으로 CPU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이 빨라진다.
  3. DMA를 적용하면 하드웨어 구성이 단순화 된다.
  4. DMA를 통해 메모리의 기억 용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MA 제어기는 자료 전송을 완료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이다. DMA 제어기는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완료하면 CPU에게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처리 결과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중앙처리장치는 제어 장치와 연산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2. 제어 장치는 주기억장치에 대한 입출력 동작을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 일체를 제어한다.
  3. 연산 장치는 데이터에 대한 산술과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4. 데이터가 처리될 때마다 그 데이터는 먼저 입출력 장치에 저장되고, 중앙처리장치(CPU)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프로그램에 있는 명령어를 번역하여 처리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가 처리될 때마다 그 데이터는 먼저 입출력 장치에 저장되고, 중앙처리장치(CPU)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프로그램에 있는 명령어를 번역하여 처리하게 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데이터가 처리될 때 입출력 장치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후 중앙처리장치(CPU)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프로그램에 있는 명령어를 번역하여 처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입출력장치와 CPU의 실행속도 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Channel
  2. Parallel I/O device
  3. Cycle steal
  4. DMA
(정답률: 알수없음)
  • 입출력장치와 CPU의 실행속도 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Channel"이다. Channel은 입출력장치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여 입출력장치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로, CPU의 개입 없이 입출력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CPU의 부담을 줄이고 시스템의 전체 성능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종합유선방송사업의 정의에서 괄호 안에 들어 갈 용어로 적절한 것은?

  1. 전송·통신설비
  2. 방송·선로설비
  3. 전송·선로설비
  4. 종합·방송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종합유선방송사업은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합니다. 이 때, 전송과 선로설비가 모두 필요하므로 "전송·선로설비"가 적절한 용어입니다. "전송·통신설비"는 통신에 관련된 용어이며, "방송·선로설비"는 방송과 관련된 용어이며, "종합·방송설비"는 방송에 관련된 설비 전체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방송의 정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텔레비전 방송
  2. 라디오 방송
  3. 데이터 방송
  4. 이동무선 방송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무선 방송은 방송국에서 직접 전파를 발생시켜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송의 정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방송법에서 정의하는 방송사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지상파방송사업
  2. 종합유선방송사업
  3. 인터넷방송사업
  4. 방송채널사용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방송사업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정의하는 방송사업의 종류가 아닙니다. 인터넷방송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으로,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인터넷방송사업을 "인터넷서비스제공자"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방송사업은 방송사업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파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서, 지상파방송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어느 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1. 중앙전파관리소
  2.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3. 방송통신위원회
  4. 방송문화진흥회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법에서는 지상파방송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정답입니다. 중앙전파관리소는 전파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며,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방송통신 분야의 연구 및 개발, 교육 등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방송문화진흥회는 방송문화의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는 비영리 단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기준주파수와 지정주파수
  2. 특성주파수와 중심주파수
  3. 중심주파수와 지정주파수
  4. 중심주파수와 기준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래프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데, 이때 중심주파수는 그래프의 중앙에 위치한 주파수를 의미하며, 지정주파수는 그래프에서 특정한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심주파수와 지정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주파수대의 주파수 범위와 미터 표시로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30[kHz] 초과 300[kHz] 이하 - 킬로미터파
  2. 300[kHz] 초과 3,000[kHz] 이하 - 센터미터파
  3. 30[kHz] 초과 300[kHz] 이하 - 미터파
  4. 300[kHz] 초과 3,000[kHz] 이하 – 데시미터파
(정답률: 알수없음)
  • "300[kHz] 초과 3,000[kHz] 이하 - 센터미터파"가 틀린 연결입니다. 이는 주파수대의 범위가 너무 좁아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대입니다. 센터미터파는 3,000[MHz] 초과 30,000[MHz] 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미터 표시로는 1[m] 이하의 파장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를 분기기라 하는데 종단 저항값은?

  1. 600[Ω]
  2. 75[Ω]
  3. 100[Ω]
  4. 10[Ω]
(정답률: 알수없음)
  • 분기기는 입력신호를 지선으로 분기할 때, 일부 신호 에너지를 간선으로 되돌려 보내기 때문에 분기된 지선에서의 신호 에너지가 감소한다. 이때, 분기기의 종단 저항값은 분기된 지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같아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75[Ω]를 사용한다. 이는 대부분의 지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75[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75[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방송 공동수신 안테나 시설에 사용하는 설비와 관련 없는 것은?

  1. 주파수 변환기
  2. 분배기 및 분기기
  3. 신호처리기
  4. 레벨변환기
(정답률: 60%)
  • 레벨변환기는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는 장치로, 방송 공동수신 안테나 시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주파수 변환기는 주파수를 변환하여 안테나에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분배기 및 분기기는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를 여러 대의 수신기로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신호처리기는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여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개설하려는 방송국의 송신안테나 위치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지정하는 지점에서 떨어져야 하는 최소한의 거리에 맞지 않는 것은?

  1. 100와트 초과 1킬로와트까지 : 0.5킬로미터
  2. 1킬로와트 초과 5킬로와트까지 : 2킬로미터
  3. 5킬로와트 초과 20킬로와트까지 : 4킬로미터
  4. 20킬로와트 초과 : 6킬로와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0킬로와트 초과 : 6킬로와트" 이다. 이유는 송신안테나의 출력이 증가할수록 전파의 강도가 강해지기 때문에, 더 멀리 떨어져야 한다. 따라서 출력이 높은 20킬로와트 이상의 송신안테나는 더 멀리 떨어져야 하므로, 6킬로미터로 지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통신공동구의 설치기준에 알맞지 않은 것은?

  1. 통신케이블의 수용에 필요한 공간과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공간 확보
  2. 조명·배수·소방·환기 및 접지시설 등 통신케이블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부대설비 설치
  3. 통신공동구와 관로가 접속되는 지점에 통신케이블의 분기를 위한 분기구 설치
  4. 통신케이블은 전력선과 함께 설치하며, 주로 직매 케이블을 사용하여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케이블은 전력선과 함께 설치하며, 주로 직매 케이블을 사용하여 설치"는 통신공동구의 설치기준에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전력선과 통신케이블을 함께 설치하면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통신케이블에 영향을 미쳐서 통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력선과 통신케이블은 서로 분리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