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5-26)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02-05-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단조용 강재에서 유황의 함유량이 많을 때,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인성증가
  2. 적열취성
  3. 가소성증가
  4. 냉간취성
(정답률: 56%)
  • 단조용 강재에서 유황의 함유량이 많을 때, 적열취성이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유황은 강재 내부에서 황화물을 형성하여 강재의 적열취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는 강재의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용접 시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열취성은 단조용 강재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스프링 백의 양(量)이 커지는 원인이 아닌것은?

  1. 소성이 큰 재료일수록
  2. 경도가 높을수록
  3. 구부림 반지름이 클수록
  4. 탄성한계가 높을수록
(정답률: 38%)
  • 스프링 백의 양(量)이 커지는 원인은 구부림 반지름이 클수록, 탄성한계가 높을수록, 경도가 높을수록입니다. 소성이 큰 재료일수록 스프링 백의 양이 커지는 원인이 아닌 이유는 소성이 큰 재료는 가공이 어렵고 비용이 높기 때문에 스프링 제작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에서 I형 맞대기 용접을 하려고 한다. 올바른 용접 기호는?

(정답률: 48%)
  • I형 맞대기 용접은 두 개의 금속을 수직으로 만나게 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 때, 수직으로 만나는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 기호를 사용한다. 다른 보기들은 수평으로 만나는 용접이나 다른 형태의 용접을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올바른 용접 기호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단가공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구멍뚫기(punching)
  2. 세이빙(shaving)
  3. 비딩(beading)
  4. 트리밍(trimming)
(정답률: 31%)
  • 비딩은 전단가공이 아닌, 시트나 판을 굴리거나 접는 등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구멍뚫기, 세이빙, 트리밍은 모두 전단가공에 속하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열간 압연강판과 비교한, 냉간 압연강판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스케일(scale)부착이 있고 판의 표면이 깨끗하고 아름답다.
  2. 가공경화로 인한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3. 표면처리하면 내식성이 우수하다.
  4. 기계적 성질과 가공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30%)
  • 냉간 압연강판은 스케일(scale)부착이 없고 판의 표면이 깨끗하고 아름답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공경화로 인한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장점은 없다. 따라서 정답은 "가공경화로 인한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름 50㎜인 연강 둥근 봉을 20m/min의 절삭 속도로 선삭할 때, 스핀들의 회전수는 얼마인가?

  1. 약 100r.p.m
  2. 약 127r.p.m
  3. 약 440r.p.m
  4. 약 500r.p.m
(정답률: 64%)
  • 절삭속도 = 회전수 × π × 지름
    회전수 = 절삭속도 ÷ (π × 지름)
    따라서, 회전수 = 20 ÷ (π × 50/1000) = 약 127r.p.m
    즉, 절삭속도와 지름을 이용하여 회전수를 구할 수 있으며, 이 문제에서는 이 공식을 이용하여 회전수를 구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NC 공작기계에서 검출기를 기계 테이블에 직접 부착하여 피드백(feed back)을 행하는 서보기구(servo system)는?

  1. open loop system
  2. closed loop system
  3. hybrid servo system
  4. semi-closed loop system
(정답률: 50%)
  • 정답은 "closed loop system"입니다. 이는 검출기를 통해 기계 테이블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 정보를 서보모터에 피드백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반면, "open loop system"은 피드백이 없기 때문에 위치 제어에 대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ybrid servo system"과 "semi-closed loop system"은 각각 "closed loop system"과 "open loop system"의 특징을 혼합한 시스템으로, 정확도와 안정성은 "closed loop system"에 비해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용접부품을 조립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는?

  1. 드릴지그
  2. 분할지그
  3. 드릴바이스
  4. 용접지그
(정답률: 69%)
  • 용접부품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용접지그를 사용합니다. 용접지그는 부품을 고정시켜주는 장치로, 용접 전에 부품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주어 용접 후에 부품이 왜곡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용접지그가 용접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밀 입자 가공에서 호닝(honing)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2. 최소의 발열과 변형으로 신속하고 경제적인 정밀가공을 할 수 있다.
  3. 전(前)공정에 나타난 테이퍼, 진원도 또는 직선도를 로 잡는다.
  4. 호닝에 의하여 구멍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정답률: 60%)
  • "호닝에 의하여 구멍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호닝은 구멍의 크기와 표면 정밀도를 개선하는 공정으로, 구멍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호닝은 주로 전 공정에서 발생한 테이퍼, 진원도, 직선도 등을 보정하여 정확한 크기와 형상을 만들어내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강, 구리 황동의 작은 단면의 선, 봉, 관 등을 접합하는데 가장 적합한 저항 용접은?

  1. 점용접(spot welding)
  2. 시임용접(seam welding)
  3. 프로젝션용접(projection welding)
  4. 업셋용접(upset welding)
(정답률: 34%)
  • 업셋용접은 작은 단면의 선, 봉, 관 등을 접합하는데 가장 적합한 저항 용접 방법입니다. 이는 두 개의 금속 부품을 접합할 때, 부품의 끝을 둥글게 만들어서 접합하는 방법으로, 부품의 끝을 업셋(두께를 늘리는 것)하여 접합합니다. 이 방법은 강도가 높은 금속 부품을 접합할 때 효과적이며, 높은 접합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의 담금질 조직 중 에서 경도가 제일 큰 것은?

  1. Troostite
  2. Austenite
  3. Martensite
  4. Sorbite
(정답률: 79%)
  • Martensite는 담금질 과정에서 가장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되는 강의 조직으로, 매우 경도가 높습니다. 이는 냉각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탄소 원자들이 강체 내에서 정렬되어 결정 구조가 변화하고, 이로 인해 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Martensite가 경도가 가장 큰 강의 조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절삭가공에 있어서 빌트 업 에지(built-up edge)를 줄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공구의 윗면경사각을 크게한다.
  2. 절삭속도를 증가시킨다.
  3. 칩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4. 마찰계수가 큰 초경합금공구를 사용한다.
(정답률: 57%)
  • 마찰계수가 큰 초경합금공구를 사용하는 것은 빌트 업 에지를 줄이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마찰계수가 큰 공구를 사용하면 칩이 더 잘 달라붙고 빌트 업 에지가 더 많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마찰계수가 큰 초경합금공구를 사용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나사의 측정 대상이 아닌 것은?

  1. 리드각
  2. 유효지름
  3. 산의 각도
  4. 피치
(정답률: 59%)
  • 리드각은 나사의 기하학적 특성 중 하나로, 나사가 한 번 회전할 때 나사가 나아가는 거리와 나사의 높이 사이의 각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측정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효지름, 산의 각도, 피치는 나사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측정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감의 표면을 완성가공하는 방법으로 가공면은 매끈하고 방향성이 없고 치수변화보다는 고정밀도의 표면을 얻는것이 주 목적인 것은?

  1. 래핑(lapping)
  2. 액체호닝(liquid honing)
  3. 초음파가공(ultra-sonic machining)
  4. 슈퍼피니싱(superfinishing)
(정답률: 58%)
  • 슈퍼피니싱은 매끄럽고 방향성이 없는 고정밀도의 표면을 얻기 위한 가공 방법입니다. 따라서 가공면의 치수변화보다는 표면의 완성도에 중점을 둡니다. 래핑, 액체호닝, 초음파가공은 모두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이지만, 슈퍼피니싱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목형재료로서 목재에 대한 특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영구적으로 쓸수 있다.
  2. 열의 불량도체이고 팽창계수가 작다.
  3. 가공이 용이하다.
  4. 가볍다.
(정답률: 71%)
  • 정답: "영구적으로 쓸수 있다."

    설명: 목재는 자연 속에서 자라는 자연재료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가 일어납니다. 노후화, 부식, 해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목재의 수명을 제한합니다. 따라서 목재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압탕의 역할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2. 주형내의 쇳물에 압력을 준다.
  3. 주형내의 용재를 밖으로 배출시킨다.
  4. 금속이 응고할때 수축으로 인한 쇳물 부족을 보충한다.
(정답률: 37%)
  • 압탕은 금속 주형 내부에 쇳물을 밀어내어 주형과 주조물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주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는 압탕의 역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인바(Sine bar)에 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2개의 원주핀이 블록과 더불어 사용된다.
  2. 3각형 모양의 블록이 필수적이다.
  3. 3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의 측정을 정밀하게 하는 데 사용한다.
  4. 블록을 올려 놓기 위한 정반도 함께 사용한다.
(정답률: 55%)
  • 사인바는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블록과 원주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주핀은 블록에 고정되어 있고, 블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평면을 만들어줍니다. 이 때, 블록은 3각형 모양이어야 합니다. 이는 블록의 안쪽 각이 90도가 되도록 하여 정확한 각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3각형 모양의 블록이 필수적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두께 3㎜, 0.1%C의 연강에 지름 20㎜의 구멍으로 펀칭할때, 프레스의 슬라이드 평균 속도를 5 m/min, 기계효율 70%로 하면 소요 동력은 얼마 인가? (단, 판의 전단저항 은 25㎏f/mm2이다)

  1. 1.66PS
  2. 2.66PS
  3. 3.66PS
  4. 7.48PS
(정답률: 18%)
  • 먼저, 전단저항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단저항 = 전단강도 / (2 x √3)

    전단강도는 연강의 인장강도와 대략적으로 같으므로, 전단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단저항 = 440 MPa / (2 x √3) = 25 kgf/mm^2

    따라서, 펀칭에 필요한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힘 = (전단저항 x 면적) / 1000

    면적은 구멍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면적 = π x (지름/2)^2 = 314.16 mm^2

    힘 = (25 x 314.16) / 1000 = 7.854 kN

    프레스의 슬라이드 평균 속도는 5 m/min 이므로, 작업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작업시간 = (펀칭 거리) / (평균 속도)

    펀칭 거리는 구멍의 둘레로 계산할 수 있다.

    펀칭 거리 = π x 지름 = 62.83 mm

    작업시간 = 62.83 / 5 = 12.566 초

    따라서, 소요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요 동력 = (힘 x 거리 x 작업시간) / (기계효율 x 1000)

    거리는 펀칭 거리와 같으므로,

    소요 동력 = (7.854 x 62.83 x 12.566) / (70 x 1000) = 7.48 PS

    따라서, 정답은 "7.48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체 침탄법에서 침탄제와 촉진제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1. 목탄 60%와 BaCO3 40%의 혼합물
  2. NaCN와 KCN의 혼합물
  3. 목탄 또는 골탄
  4. BaCl2및 CaCO3의 혼합물
(정답률: 44%)
  • 고체 침탄법에서는 침탄제와 촉진제가 필요한데, 이 중에서 목탄은 침탄제로서 사용되며 BaCO3은 촉진제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목탄 60%와 BaCO3 40%의 혼합물이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줄작업(filing)방법이 아닌 것은?

  1. 원형법
  2. 사진법
  3. 직진법
  4. 병진법
(정답률: 54%)
  • 원형법은 파일을 원형으로 배열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파일을 배열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어렵고, 파일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줄작업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평벨트 전동에서 유효장력이란 무엇인가?

  1. 벨트의 긴장측 장력과 이완측 장력과의 차를 말한다.
  2. 벨트의 긴장측 장력과 이완측 장력과의 비를 말한다.
  3. 벨트 풀리의 양쪽 장력의 합을 평균한 값이다.
  4. 벨트 풀리의 양쪽 장력의 합을 말한다.
(정답률: 44%)
  • 평벨트 전동에서 유효장력은 벨트가 회전하는 동안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는 벨트의 긴장측 장력과 이완측 장력과의 차이로 정의된다. 즉, 벨트가 긴장되어 있는 쪽과 이완되어 있는 쪽의 힘의 차이가 유효장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탄소강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감소하지 않는 것은?

  1. 탄성계수
  2. 탄성한계
  3. 항복점
  4. 단면수축율
(정답률: 40%)
  • 탄소강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탄성한계와 항복점이 감소하여 기계적 성질이 약해지는데, 이는 탄소강의 구조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면수축율은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성질이 감소하지 않습니다. 단면수축율은 금속이 주조나 성형 과정에서 얼마나 수축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금속의 구조와는 관련이 있지만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볼나사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나사의 효율이 좋다.
  2. 백래시(back lash)를 작게 할 수 있다.
  3. 체결용에 주로 사용된다.
  4. 높은 정밀도를 오래 유지할 수가 있다.
(정답률: 58%)
  • "체결용에 주로 사용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볼나사는 주로 회전 운동이나 직선 운동을 전달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체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보통 볼트나 너트입니다. 볼나사는 백래시(back lash)를 작게 할 수 있고 높은 정밀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서 정밀한 기계나 장비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장시험편을 만들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시험편의 무게
  2. 표점거리
  3. 평행부의 길이
  4. 평행부의 단면적
(정답률: 45%)
  • 인장시험편의 무게는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인장시험은 시편의 강도와 연성 등 물성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험편의 무게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시험편의 무게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에 표점거리, 평행부의 길이, 평행부의 단면적은 시험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성(延性)재료가 고온에서 정하중을 받을때 기준 강도로 서 어떤 것을 취하는가?

  1. 항복점
  2. 피로한도
  3. 크리프한도
  4. 극한강도
(정답률: 32%)
  • 연성재료는 고온에서 늘어나면서 변형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고온에서 정하중을 받을 때는 기준 강도 대신 크리프한도를 취합니다. 크리프한도란 고온에서 장기간에 걸쳐 변형이 발생하는 속도가 일정해지는 임계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크리프한도를 취하는 것은 연성재료가 고온에서 변형되는 속도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기 위함입니다. 항복점은 재료가 일정한 변형을 유지하면서 처음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지점을 말하며, 피로한도는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재료가 파괴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극한강도는 재료가 최대 하중을 받았을 때 파괴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니켈 60‾0% 정도로 함유한 Ni-Cu계의 합금으로, 내식성이 좋으므로 화학공업용 재료로 많이 쓰이는 재료는?

  1. 톰백
  2. 알코아
  3. Y합금
  4. 모넬메탈
(정답률: 39%)
  • 모넬메탈은 니켈과 구리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 내식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화학공업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Ni강으로 강력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약한 자장으로 큰 투자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해저 전선의 장하코일 등에 쓰이고 있는 것은?

  1. 인바아
  2. 엘린버
  3. 퍼어멀로이
  4. 바이메탈
(정답률: 29%)
  • 해저 전선은 수심이 깊은 바다 밑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내식성이 강한 고Ni강으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또한, 큰 투자율을 가지고 있는 약한 자장을 가진 고Ni강은 전기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해저 전선의 장하코일 등에 쓰이고 있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퍼어멀로이는 고Ni강의 대표적인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탄소강에 첨가할 경우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 원소는?

  1. P
  2. V
  3. Si
  4. Al
(정답률: 27%)
  • V (바나듐) 원소는 탄소강에 첨가할 경우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바나듐이 탄소강 내부에서 카바이드 결정의 성장을 억제하고, 더 작은 크기의 카바이드 결정을 형성하여 결정립을 미세화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역류를 방지하여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 흘러가게하는 밸브는?

  1. 게이트 밸브
  2. 첵 밸브
  3. 글로브 밸브
  4. 볼 밸브
(정답률: 61%)
  •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막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밸브 중에서 첵 밸브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첵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열리고 닫히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역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첵 밸브가 역류를 방지하여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 흘러가게하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구상흑연 주철을 만들 때에 사용되는 첨가재는?

  1. Al
  2. Cu
  3. Mg
  4. Ni
(정답률: 51%)
  • 구상흑연 주철은 주철에 그래핀을 형성하여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높인 재료이다. 이를 만들기 위해 첨가재로 Mg가 사용된다. Mg는 주철과 반응하여 마그네슘화합물을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그래핀이 생성된다. 따라서 Mg는 구상흑연 주철 제조에 필수적인 첨가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그림과 같은 원통코일 스프링의 처짐량 δ = 60 ㎜일때, 작용하는 하중 W는 몇 kgf인가? (단, 스프링 상수 k1 = 6 ㎏f/㎝, k2 = 2㎏f/㎝이다.)

  1. W = 4 kgf
  2. W = 6 kgf
  3. W = 9 kgf
  4. W = 48 kgf
(정답률: 3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볼베어링의 수명 회전수 Ln, 베어링 하중 P, 기본부하용량을 C라 할 경우 다음 중 옳은 것은?

(정답률: 43%)
  • 정답은 ""이다.

    볼베어링의 수명 회전수 Ln은 베어링이 얼마나 오래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은 베어링의 하중, 회전수, 속도, 작동환경 등에 따라 달라진다.

    베어링 하중 P가 증가하면 베어링의 수명은 감소하게 된다. 이는 베어링이 받는 하중이 증가하면 베어링 내부의 부품들이 더 많은 응력을 받게 되어 빠르게 마모되기 때문이다.

    기본부하용량 C는 베어링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하중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베어링의 크기, 재질, 구조 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베어링의 수명 회전수 Ln은 베어링 하중 P가 작을수록 증가하고, 기본부하용량 C가 클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브레이크 드럼에서 브레이크 블록을 밀어붙이는 힘이 150㎏f, 마찰계수 μ = 0.3, 드럼의 지름 350㎜로 할때 토크는?

  1. 9058㎏f.㎜
  2. 9875㎏f.㎜
  3. 6758㎏f.㎜
  4. 7875㎏f.㎜
(정답률: 23%)
  • 토크(Torque)는 힘(F)과 거리(r)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브레이크 블록을 밀어붙이는 힘이 150㎏f이고, 마찰계수 μ는 0.3이며, 드럼의 지름은 350㎜입니다.

    우선, 마찰력(Frictional force)을 구해야 합니다. 마찰력은 브레이크 블록을 밀어붙이는 힘과 마찰계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마찰력 = 150㎏f x 0.3 = 45㎏f

    다음으로, 브레이크 드럼의 반지름을 구해야 합니다. 드럼의 지름은 350㎜이므로, 반지름은 175㎜입니다.

    마찰력이 작용하는 거리는 브레이크 블록과 드럼의 접촉면과 같으므로, 이 거리는 반지름인 175㎜입니다.

    따라서, 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토크 = 마찰력 x 거리 = 45㎏f x 175㎜ = 7875㎏f.㎜

    따라서, 정답은 "7875㎏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1줄 리벳겹치기 이음에서 강판의 효율을 표시한 식이다. 옳은 것은? (단, P는 리벳의 피치, d는 리벳구멍의 직경이다.)

  1. η = P - 2d/P
  2. η = 1 - d/P
  3. η = P - 2d/d
  4. η = 1 - P/d
(정답률: 32%)
  • 리벳겹치기 이음에서 강판의 효율은 리벳과 강판 사이의 접촉면적과 관련이 있다. 이 접촉면적은 리벳의 피치 P와 리벳구멍의 직경 d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강판의 효율은 P와 d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 비율이 작을수록 접촉면적이 작아지므로 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강판의 효율은 1 - d/P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고주파경화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재료의 표면부위만 경화된다.
  2. 가열시간이 대단히 짧다.
  3. 표면의 탈탄 및 결정입자의 조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4. 표면에 산화가 많이 일어난다.
(정답률: 49%)
  • 고주파경화법은 재료의 표면부위만 경화시키기 때문에, 내부 구조는 여전히 유연하게 유지됩니다. 또한 가열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높고, 표면의 탈탄 및 결정입자의 조대화가 일어나지 않아 표면의 경도가 높아집니다. 하지만 고주파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산화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는 고주파경화법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코터의 폭이 20 ㎜, 두께가 10 ㎜, 코터의 허용 전단응력이 2㎏f/mm2이라면 코터에 가할 수 있는 하중은 얼마인가?

  1. 400 ㎏f
  2. 800 ㎏f
  3. 1600 ㎏f
  4. 3200 ㎏f
(정답률: 40%)
  • 코터의 면적은 폭과 두께를 곱한 값인 200㎟이다. 허용 전단응력이 2㎏f/mm2이므로, 코터에 가할 수 있는 최대 전단력은 2㎏f/mm2 × 200㎟ = 400㎏f이다. 하지만 하중은 전단력을 폭으로 나눈 값이므로, 코터에 가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은 400㎏f ÷ 20㎜ = 20㎏f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800㎏f"가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어의 압력각을 크게 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이의 강도가 약화된다.
  2. 축간거리가 멀어진다.
  3. 물림율이 감소한다.
  4. 속도비가 크게 된다.
(정답률: 27%)
  • 기어의 압력각을 크게 할 때는 접촉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물림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기어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기어의 이의 강도를 약화시키며, 축간거리를 멀어지게 하며, 속도비를 크게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정점에서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는 얼마인가?

  1. 0
  2. 1
  3. 2
  4. 3
(정답률: 43%)
  • 공정점에서의 자유도는 0이다. 이는 공정점에서는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자유도는 통계학에서 변수가 가질 수 있는 독립적인 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으로, 공정점에서는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자유도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연신율이 크고, 인장강도 25㎏f/mm2로 전구의 소켓이나 탄피용으로 쓰이는 황동은?

  1. 톰백
  2. 7.3 황동
  3. 6.4 황동
  4. 함석 황동
(정답률: 34%)
  • 연신율이 크다는 것은 황동이 변형되기 전까지 많은 양의 힘을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장강도가 높다는 것은 황동이 높은 압력이나 힘에도 끝까지 버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전구의 소켓이나 탄피용으로 적합한 황동은 7.3 황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고속도강과 가장 관계가 먼 사항은?

  1. W-Cr-V(18-4-1)계가 대표적이다.
  2. 500-600℃로 뜨임하면 급격히 연화(軟化)된다.
  3. W계와 Mo계 두가지로 크게 나뉜다.
  4. 각종 공구용으로 이용된다.
(정답률: 55%)
  • 고속도강은 금속을 빠르게 냉각하여 경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따라서 "500-600℃로 뜨임하면 급격히 연화(軟化)된다."는 고속도강과는 관계가 먼 사항이다. 이는 금속의 연화점을 넘어서는 온도로 높여서 금속이 연화되어 더이상 경도가 유지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베어링 기호 NA4916V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NA : 니들 베어링
  2. 49 : 치수계열
  3. 16 : 안지름 번호
  4. V : 접촉각 기호
(정답률: 53%)
  • V는 접촉각 기호가 아니라, 내경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NA4916V는 내경이 80mm인 니들 베어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좌표계는?

  1. 시점(視点) 좌표계
  2. 정규 투시 좌표계
  3. 3차원 스크린 좌표계
  4. 상대 좌표계
(정답률: 50%)
  • 이 그림은 시점(視点) 좌표계에 해당합니다. 시점 좌표계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보는 좌표계로, 3차원 공간을 2차원으로 투영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관찰자의 시점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x, y, z 축은 관찰자의 시선 방향과 수직이며, 화면에 출력되는 좌표는 x, y 좌표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시점 좌표계에서 표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기준치수가 30, 최대허용치수가 29.96, 최소 허용 치수가 29.94 일때 아래치수 허용차는?

  1. -0.06
  2. +0.06
  3. -0.04
  4. +0.04
(정답률: 54%)
  • 아래치수 허용차는 최대허용치수에서 아래치수를 뺀 값이다. 따라서, 최대허용치수 29.96에서 기준치수 30을 뺀 값인 -0.04과 최소 허용치수 29.94에서 기준치수 30을 뺀 값인 -0.06 중에서 최대허용치수와 가까운 값인 -0.06이 아래치수 허용차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두 점(1,1), (3,4)를 연결하는 선분을 원점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한 도형의 양 끝점의 좌표를 구한 것은?

  1. (-0.366, 4.598), (-1.964, 1.366)
  2. (-0.366, 1.366), (-1.964, 4.598)
  3. (-0.866, 0.5), (0.5, 0.866)
  4. (0.366, 1.366), (1.964, 4.598)
(정답률: 48%)
  • 먼저, 선분의 중점을 구합니다. 중점은 ((1+3)/2, (1+4)/2) = (2, 2.5) 입니다. 이 중점을 기준으로 선분을 반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키면, 새로운 끝점은 중점에서 시작해서 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한 위치에 있습니다.

    60도는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π/3 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끝점의 x좌표는 (3-2)cos(π/3) - (4-2.5)sin(π/3) = -0.366 이고, y좌표는 (3-2)sin(π/3) + (4-2.5)cos(π/3) = 1.366 입니다.

    마찬가지로, 다른 끝점도 구해줍니다. 새로운 끝점의 x좌표는 (1-2)cos(π/3) - (1-2.5)sin(π/3) = -1.964 이고, y좌표는 (1-2)sin(π/3) + (1-2.5)cos(π/3) = 4.598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366, 1.366), (-1.964, 4.59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이 두 부품이 교차하는 부분을 표시한 것중 옳은 것은?

(정답률: 53%)
  • 옳은 답은 ""입니다. 이유는 두 부품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하나의 선이 교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교차하는 부분에서 두 개 이상의 선이 교차하거나, 선이 교차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컬러 래스터 스캔 화면 생성방식에서 3 bit plane의 사용 가능한 색깔의 수는 모두 몇 개인가?

  1. 8
  2. 32
  3. 256
  4. 1024
(정답률: 34%)
  • 3 bit plane은 2의 3승인 8가지 색깔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각의 bit plane이 2가지 색깔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 bit plane을 사용하는 컬러 래스터 스캔 화면에서 사용 가능한 색깔의 수는 8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억지 끼워맞춤에서 축의 최소 허용치수에서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를 뺀 값은?

  1. 최소 죔새
  2. 최대 죔새
  3. 최소 틈새
  4. 최대 틈새
(정답률: 40%)
  • 이 문제에서 축의 최소 허용치수는 억지 끼워맞춤에서 축이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를 의미하고,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는 억지 끼워맞춤에서 구멍이 가장 큰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둘을 뺀 값은 억지 끼워맞춤에서 축과 구멍 사이에 남는 공간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이 공간의 크기가 작을수록 억지 끼워맞춤이 더 정확하게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 값이 최소일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소 틈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점 P1(25,50)을 ㅿx=14, ㅿy=6만큼 이동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Matrix에서 b31은 얼마인가? (단, )

  1. -25
  2. -50
  3. -14
  4. -6
(정답률: 49%)
  • 주어진 정보로부터 이동한 점 P2의 좌표는 (25+14, 50+6) = (39, 56)이다. 이제 이 점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Matrix를 구해야 한다.

    Matrix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b31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값이다. 따라서 P2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x축 방향으로 -14만큼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b31은 -14이다.

    정답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미터나사(metric thread)에서 사용하는 나사산 각도는?

  1. 30°
  2. 45°
  3. 50°
  4. 60°
(정답률: 49%)
  • 미터나사(metric thread)에서 사용하는 나사산 각도는 60°이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표준이며, 이유는 60° 각도가 안정적이고 강력한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60° 각도는 쉽게 측정할 수 있고, 다른 각도보다 더 많은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중에서 전기장의 원리가 빛을 발생하는 데에 이용되지 않고 단지 투과되는 빛의 양만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되는 것은?

  1. Electroluminescent display
  2. Liquid crystal display
  3. Plasma panel
  4. Image scanner
(정답률: 40%)
  • Liquid crystal display는 전기장의 원리가 빛을 발생하는 데에 이용되지 않고, 액체 결정 분자의 방향을 조절하여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됩니다. 따라서, LCD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전기장의 원리가 빛을 발생하는 데에 이용되지 않고 단지 투과되는 빛의 양만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는 선은?

  1. 가상선
  2. 중심선
  3. 기준선
  4. 피치선
(정답률: 46%)
  • 가상선은 실제로 그려지지는 않지만, 도면상에서 부품이나 구조물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이다. 따라서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중심선은 원형 부품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 기준선은 도면의 기준이 되는 선, 피치선은 기어나 치수를 나타내는 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면에서 부품란의 품번 순서는? (단, 부품란은 도면의 우측 아래에 있다.)

  1. 위에서 아래로
  2. 아래에서 위로
  3. 좌에서 우로
  4. 우에서 좌로
(정답률: 43%)
  • 정답은 "아래에서 위로"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사용하는 부품 표기 방식으로, 도면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품이 위쪽에 위치한 부품보다 먼저 표기되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부품을 조립할 때도 위에서 아래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현재 CAD를 활용하여 CAD/CAM/CAE를 디자인, 제품설계, 금형설계, 생산까지 모든 공정에서 CAD 데이터를 공유하여 업무를 추진하는 방법은?

  1.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2.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
  3. 가치분석(Value Analysis)
  4. 총괄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Control)
(정답률: 40%)
  • 동시공학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일하며, CAD를 활용하여 디자인, 제품설계, 금형설계, 생산 등 모든 공정에서 CAD 데이터를 공유하여 업무를 추진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투상의 평면도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39%)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평면도에서 보면, 투상의 윗면과 아랫면이 평행하게 그려져 있고, 좌우측면은 직각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모양은 직육면체의 윗면과 아랫면이 평행하게 그려진 것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이 투상은 직육면체와 유사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제품의 모델(model)과 그에 관련된 데이터 교환에 관한 표준 데이터 형식이 아닌 것은?

  1. STEP
  2. IGES
  3. DXF
  4. SAT
(정답률: 52%)
  • 정답은 "SAT"이다. "STEP", "IGES", "DXF"는 모두 제품의 모델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는 표준 데이터 형식이지만, "SAT"은 특정 회사에서 개발한 형식으로 표준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반적인 컴퓨터 그래픽 하드웨어의 대표적인 구성요소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입력
  2. 탐색
  3. 저장
  4. 출력
(정답률: 58%)
  • 입력, 저장, 출력은 컴퓨터 그래픽 하드웨어에서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탐색은 그래픽 하드웨어에서는 보통 필요하지 않은 요소입니다. 탐색은 주로 소프트웨어에서 처리되는 작업으로, 그래픽 하드웨어에서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역할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따라서 탐색이 일반적인 컴퓨터 그래픽 하드웨어의 대표적인 구성요소로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상선의 용도로 맞지 않는 것은?

  1. 인접부분을 참고로 표시하는데 사용
  2.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데 사용
  3. 가공전 또는 가공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사용
  4. 도시된 단면의 앞쪽에 있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사용
(정답률: 48%)
  •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가상선은 측정이나 가공 등의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접부분을 참고로 표시하거나 가공전/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등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X축과 Y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서를 이동시키는 기구로 정확한 위치 선택이 용이하며, 주로 키보드와 같이 부착되어 있는 입력장치는?

  1. 섬휠(thumb wheel)
  2. 라이트 펜(light pen)
  3. 디지타이져(digitizer)
  4. 푸시 버튼(push button)
(정답률: 50%)
  • 섬휠은 손가락으로 회전시키는 작은 바퀴 모양의 기구로, 손가락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 선택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키보드와 같이 부착되어 있는 입력장치에서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컴퓨터그래픽에서 도형을 나타내는 그래픽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점(dot)
  2. 선(line)
  3. 원(circle)
  4. 구(sphere)
(정답률: 57%)
  • 구(sphere)는 3차원 도형으로, 2차원 화면에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컴퓨터그래픽에서는 기본 요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sphe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기하학적으로 곡선형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점과 벡터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벡터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벡터의 시작점
  2. 벡터의 길이
  3. 벡터의 방향
  4. 벡터의 굴절
(정답률: 65%)
  • 벡터의 굴절은 기하학적으로 곡선형상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가 아니다. 벡터의 시작점, 길이, 방향은 곡선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벡터의 굴절은 벡터가 곡선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곡선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와이어 프레임(wire frame) 모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가능하다.
  2. 처리속도가 빠르다.
  3. 숨은선 제거가 불가능하다.
  4. 해석용 모델에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61%)
  • 정답: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가능하다."

    와이어 프레임 모델은 3차원 모델링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되며, 객체의 형태와 구조를 간단하게 표현하는 모델링 방법입니다. 따라서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와이어 프레임 모델의 특징입니다. 처리속도가 빠르고, 숨은선 제거가 불가능하며, 해석용 모델에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B-rep(Boundary repres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물체의 형상(geometry)과 토폴로지(topology)는 별개라는 개념에서 출발했다.
  2. 솔리드 모델링 방법의 일종이다.
  3. CSG에 비해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다.
  4. CSG에 비해 3면도, 투시도, 전개도 작성이 어렵다.
(정답률: 44%)
  • B-re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CSG에 비해 3면도, 투시도, 전개도 작성이 어렵다." 이다. 이는 오히려 CSG보다 B-rep에서 이러한 작업이 더 쉽게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B-rep은 물체의 형상과 토폴로지를 모두 고려하는 솔리드 모델링 방법으로, CSG보다 데이터 구조가 더 복잡하지만, 이를 통해 더 정확하고 자세한 모델링이 가능하다. 또한 B-rep은 각 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3면도, 투시도, 전개도 등의 작업이 더 쉽게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에서 CNC선반 프로그램의 좌표계설정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단, 직경지령 사용)

  1. G50 X60.0 Z200.0;
  2. G50 X120.0 Z200.0;
  3. G00 X60.0 Z200.0;
  4. G00 X120.0 Z200.0;
(정답률: 26%)
  • 정답은 "G50 X120.0 Z200.0;"입니다. 이유는 G50은 좌표계설정 명령어로, X120.0과 Z200.0은 각각 X축과 Z축의 좌표값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는 X축을 120.0으로, Z축을 200.0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명령어들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곡면을 가공할 때 볼 엔드밀이 지나가고 남은 흔적을 말하며 골간의 간격에 따라서 높이가 달라지게 되는 것은?

  1. path
  2. length
  3. pitch
  4. cusp
(정답률: 54%)
  • 정답은 "cusp"입니다. 볼 엔드밀이 지나가고 남은 흔적은 곡면의 골간에 따라 높이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때 골간이 매우 좁은 지점에서는 높이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cusp"라고 합니다. 즉, cusp는 곡면 가공 시 골간이 좁아지는 지점에서 생기는 뾰족한 모양의 흔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B-spline 곡선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입력 요소는?

  1. 오더(order)
  2. 끝점에서의 접선(tangent) 벡터
  3. 조정점
  4. 절점(knot) 벡터
(정답률: 4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래의 도면을 CNC선반에서 가공하려고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괄호안에 알맞은 것은?

  1. 02, K-
  2. 01, I-
  3. 01, K-
  4. 02, I
(정답률: 1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5축 가공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단 한번의 공구경로로 가공이 완료될 수 있다.
  2. 효율적인 공구자세를 제어한다.
  3. 3축으로 불가능한 곡면을 가공한다.
  4. 모든 형상을 다 가공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정답: "모든 형상을 다 가공할 수 있다."

    5축 가공은 3축 가공으로는 불가능한 복잡한 형상을 가공할 수 있으며, 단 한번의 공구경로로 가공이 가능하고, 효율적인 공구자세를 제어할 수 있어 정확도와 효율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모든 형상을 다 가공할 수 있다."는 5축 가공의 이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원을 정의할 수 있는 곡선은?

  1. Bezier
  2. Spline
  3. B-spline
  4.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정답률: 38%)
  •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은 곡선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모델 중 하나입니다. 이 모델은 베지어 곡선, 스플라인, B-스플라인과 같은 다른 모델들과 비교하여 더욱 정교하고 복잡한 곡선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NURBS는 비율적인 가중치를 사용하여 곡선의 모양을 제어하며, 비교적 적은 수의 제어점으로도 곡선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NURBS는 컴퓨터 그래픽스, CAD 및 CAM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모델링 기법 중 빌딩블럭(building block)개념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방식은?

  1. 와이어프레임(Wire frame) 모델
  2.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 모델
  3. B-Rep.(Boundary Representation) 모델
  4. 서피스(Surface) 모델
(정답률: 46%)
  • 빌딩블럭(building block) 개념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방식은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 모델이다. CSG 모델은 기본적인 도형(블럭)을 조합하여 더 복잡한 도형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블럭들의 교차점, 합집합, 차집합 등의 연산을 통해 모델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델링을 하면 블럭들의 조합만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모델을 만들 수 있으며, 수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일반적으로 3차원적인 물체의 표현방법이 아닌 것은?

  1. 평면격자에 의한 표현방법
  2. 경계표현에 의한 표현방법
  3. 메시 분할에 의한 표현방법
  4. 프리미티브(primitive)에 의한 표현방법
(정답률: 39%)
  • 평면격자에 의한 표현방법은 2차원적인 표현방법으로, 물체를 평면상에 격자 형태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3차원적인 물체의 표현방법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3차원적인 물체의 표현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회전수 800rpm, 절삭 속도 34m/min, 날당 이송량이 0.05㎜/tooth인 2날 엔드밀의 이송 속도 몇 mm/min인가?

  1. 34
  2. 40
  3. 68
  4. 80
(정답률: 35%)
  • 이송 속도 = 회전수 × 이송량 × 날의 수

    = 800rpm × 0.05㎜/tooth × 2

    = 80mm/min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커플링으로 연결된 CNC공작기계의 볼스크루 피치가 12mm이고, 서보모터의 회전각도가 240° 일 때 테이블의 이동량은?

  1. 2mm
  2. 4mm
  3. 8mm
  4. 12mm
(정답률: 45%)
  • 볼스크루 피치가 12mm이므로, 1회전당 이동거리는 12mm입니다. 서보모터의 회전각도가 240°이므로, 전체 회전각도는 360° 중 240°이므로 2/3 회전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동거리는 2/3 × 12mm = 8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NC 공작기계의 검출장치중에서 광원, 감광판, 유리판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1. 인덕토신(inductosyn)
  2. 엔코더(encoder)
  3. 리졸버(resolver)
  4. 타코메타(tachometer)
(정답률: 51%)
  • 엔코더는 회전하는 축의 위치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출장치로, 광원과 감광판, 유리판 등을 사용하여 회전하는 축의 위치를 감지합니다. 따라서 CNC 공작기계에서도 엔코더가 사용되어 축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프로그램에서 NO3블록의 가공시간은?

  1. 10.5초
  2. 11.2초
  3. 12.4초
  4. 13.3초
(정답률: 21%)
  • NO3블록은 2번째 작업장에서 가공되며, 1번째 작업장에서 1.2초, 2번째 작업장에서 9초, 3번째 작업장에서 1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NO3블록의 총 가공시간은 1.2초 + 9초 + 1초 = 11.2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NC공작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일반 안전예방 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위에는 공구나 기타 물건을 얹어 두지 않는다.
  2. 작업중 보안경 및 안전화를 착용한다.
  3. 기계주위는 항상 밝게하여 작업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4. 강전반, 조작반등의 먼지나 칩은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정답률: 49%)
  • 강전반, 조작반 등의 먼지나 칩은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은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압축공기를 사용하면 먼지나 칩이 공기와 함께 날아가게 되어 작업자의 눈이나 피부 등에 상처를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먼지나 칩을 제거할 때는 안전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일반적으로 CNC 공작기계에서 백래시(back lash)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는?

  1. 리드스크루(lead screw)
  2. 리졸버(resolver)
  3. 볼스크루(ball screw)
  4. 서보기구(servo unit)
(정답률: 58%)
  • 볼스크루(ball screw)는 리드스크루(lead screw)보다 백래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기구입니다. 리드스크루는 나사 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회전 운동으로 움직입니다. 하지만 이 때 백래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볼스크루는 공을 이용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백래시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CNC 공작기계에서 백래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볼스크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조작판 상의 옵셔널 블록 스킵(/) 스위치가 ON 된 상태에서 다음 프로그램 중 실행되지 않는 기능은?

  1. N01
  2. G90
  3. X200.
  4. M08
(정답률: 50%)
  • 조작판 상의 옵셔널 블록 스킵(/) 스위치가 ON 된 상태에서 M08은 실행되지 않는다. M08은 스프레이 쿨링 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어인데, 이는 CNC 기계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옵셔널 블록 스킵(/) 스위치가 ON 된 상태에서는 M08이 실행되지 않으므로, 정답은 M0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모델 중 데이터의 구성이 단순하여 메모리를 가장 적게 차지하는 모델은?

  1. 솔리드 모델
  2. 와이어 프레임 모델
  3. 입체 모델
  4. 서피스 모델
(정답률: 62%)
  • 와이어 프레임 모델은 오직 선분과 꼭짓점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모델들보다 데이터의 구성이 단순하고 메모리를 적게 차지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와이어 프레임 모델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CAD/CAM의 출력장치는?

  1.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2. 라이트 펜
  3. 스캐너
  4. 태블릿
(정답률: 37%)
  • CAD/CAM의 출력장치 중 "래피드 프로토타이핑"은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다른 출력장치인 라이트 펜, 스캐너, 태블릿과는 다르게 실제 모형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디자인 검토 및 수정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CNC선반 프로그램에서 주속일정제어인 G96을 사용하고 있는 주된 이유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절삭조건 중 가장 중요한 절삭속도를 같게 하기 위해서이다.
  2. 주축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하므로 기계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3. CNC선반에서는 직경이 작을수록 주축의 회전수를 크게 하여 절삭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4. 주축의 회전수는 공작물의 직경에 따라 변화한다.
(정답률: 21%)
  • G96은 주축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여 절삭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이다. 이는 절삭조건 중 가장 중요한 절삭속도를 같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주축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하므로 기계를 보호하기 위함이다."는 타당하지 않은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