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1-31)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2010-01-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침투탐상시험법(대략구분)

1. 자분탐상시험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시험체가 전도체이어야만 측정할 수 있다.
  2. 표면 및 표면 근처의 결함을 찾을 수 있다.
  3. 결함모양이 표면에 나타나므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4. 사용되는 자분은 시험체 표면의 색과 잘 대비를 이루어야 한다
(정답률: 65%)
  • "결함모양이 표면에 나타나므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자분탐상시험은 시험체의 표면 전체를 스캔하여 결함을 찾는 비파괴 검사 방법입니다. 시험체가 전도체이어야만 측정할 수 있는 이유는 자분탐상시험은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결함을 탐지하기 때문입니다. 전기적인 신호가 전도체를 통해 전달되어야만 결함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흐름율의 단위인 clusec 과 lusec 의 관계가 올바른 것은?

  1. 1clusec = 102 lusec
  2. 1clusec = 10 lusec
  3. 1clusec = 10-1 lusec
  4. 1clusec = 10-2 lusec
(정답률: 44%)
  • 정답은 "1clusec = 10-2 lusec" 입니다.

    clusec은 1초당 1센티미터의 가스흐름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lusec은 1초당 1리터의 가스흐름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1초당 1센티미터의 가스흐름은 1초당 0.01리터의 가스흐름과 같으므로, 1clusec는 0.01lusec와 같습니다. 이를 지수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1clusec = 10-2 luse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각종 비파괴검사의 종류와 그 원리가 옳게 연결된 것은?

  1. 육안시험 - 열화상해석
  2. 침투탐상시험 - 전자기현상
  3. 초음파탐상시험 - 파(음)의 전달
  4. 스트레인시험 - 색채의 변화를 관찰
(정답률: 84%)
  • 초음파탐상시험은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불균일성을 탐지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입니다. 이때 초음파는 물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파(음)의 전달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초음파탐상시험과 파(음)의 전달이 옳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누설시험의 “가연성 가스” 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폭발범위 하한이 15% 인 가스
  2. 폭발범위 상한과 하한의 차가 15% 인 가스
  3. 폭발범위 하한이 10% 이하 또는 상한과 하한의 차가 20% 이상인 가스
  4. 폭발범위 하한이 20% 이하 또는 상한과 하한의 차가 10% 이상인 가스
(정답률: 53%)
  • 가연성 가스는 일정한 조건에서 폭발할 수 있는 가스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누설시험에서는 폭발범위 하한이 10% 이하 또는 상한과 하한의 차가 20% 이상인 가스를 가연성 가스로 정의합니다. 이는 가스 농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범위를 벗어나면 폭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폭발범위 하한이 15%인 가스나 폭발범위 상한과 하한의 차가 15%인 가스는 가연성 가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음향방출검사 (AE)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음향반사
  2. 카이저 효과
  3. 동적 불연속의 탐지
  4. 소성변형에 의한 에너지 방출
(정답률: 26%)
  • 음향반사는 소리가 특정한 표면에 부딪혀 반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음향방출검사 (AE)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향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스넬(Snell)의 법칙은 무엇을 결정하는데 주로 이용되는가?

  1. 음향인피던스
  2. 각의 상관관계
  3. 음압반사율
  4. 반사음 에너지의 총량
(정답률: 34%)
  •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스넬의 법칙은 음파가 다른 매질로 들어갈 때 발생하는 굴절각을 결정하는데 주로 이용됩니다. 이 굴절각은 매질의 음향속도와 밀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각의 상관관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각의 상관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압연한 판재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찾아내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침투탐상시험
  4. 자분탐상시험
(정답률: 60%)
  • 압연한 판재의 라미네이션을 찾아내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초음파탐상시험입니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압연한 판재의 라미네이션을 탐지하는 데에도 높은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다른 검사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 대상에 대한 손상이나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비파괴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분탐상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철강재료 등의 강자성체는 자화되면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에 비해 많은 자속을 발생한다.
  2. 자속은 자기의 흐름으로 비자성체 중에는 매우 흐르기 쉬우나 강자성체 중에는 흐르기 어렵다.
  3. 자속이 흐르고 있는 자로의 도중에 결함이 존재하면 그 곳에는 기체나 비금속 개재물 등의 강자성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자속이 흐르기 어렵다.
  4. 표면 또는 표면직하에 있는 결함에서는 자속이 결함을 피 하는 것처럼 퍼져 흐르고, 표층부의 자속이 비자성체 표면상의 공간에 결함누설자속이 된다.
(정답률: 37%)
  • "철강재료 등의 강자성체는 자화되면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에 비해 많은 자속을 발생한다." 이유는 강자성체는 자기의 흐름이 비자성체에 비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장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강자성체가 자화되면 많은 자속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침투탐상시험 중 수세성 침투탐상시험의 장점은?

  1. Scratch 등의 판정에 좋다.
  2. 표면이 매끈한 부분에 좋다.
  3. 넓고 얇은 결함 탐상에 좋다.
  4. 표면이 겊친 부분에 적합하다.
(정답률: 50%)
  • 수세성 침투탐상시험은 액체 침투제가 결함으로 인해 표면 아래로 침투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면이 겉친 부분에 적합하다는 것은 결함이 표면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에 이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함이 표면 위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검사 방법이 더욱 적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와전류탐상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절연체인 고무막 두께
  2. 액체인 보일러의 수면 높이
  3. 전도체인 파이프의 표면 결함
  4. 전도체인 용접부의 내부 결함
(정답률: 79%)
  • 와전류탐상시험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물체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도체인 파이프의 표면 결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절연체인 고무막 두께는 절연체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사하며, 액체인 보일러의 수면 높이는 액체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사합니다. 전도체인 용접부의 내부 결함은 다른 검사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침투탐상시험할 때, 건조처리와 현상처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잉여 침투액을 물세척한 다음 건조처리 없이 바로 현상처리를 할 수 있는 현상은?

  1. 습식현상법
  2. 건식현상법
  3. 속건식현상법
  4. 무현상법
(정답률: 46%)
  • 습식현상법은 침투액이 부식작용을 일으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침투액을 피복한 부위를 물세척하지 않고 바로 현상액에 담그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건조처리 없이 바로 현상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건조처리를 생략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침투액이 부식작용을 일으키는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방선선투과시험으로 검출하기 가장 곤란한 것은?

  1. 체적 결함
  2. 결함의 형상
  3. 조사방향에 깊이가 있는 면상 결함
  4. 조사방향에 검사가 있는 면상 결함
(정답률: 35%)
  • 조사방향에 검사가 있는 면상 결함은 방선선투과시험에서 검출하기 가장 어려운 결함입니다. 이는 방선선투과시험에서는 조사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해서만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사방향과 수직이 아닌 면에 대해서는 검출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사방향에 깊이가 있는 면상 결함은 조사방향과 수직인 면에서도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검출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두꺼운 금속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경수소화합물을 검출 할수 있고, 특히 핵연료봉과 같이 높은 방사성 물질의 결함검사에 적용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1. 감마선투과검사
  2. 음향방출검사
  3. 중성자투과검사
  4. 초음파탐상검사
(정답률: 64%)
  • 중성자투과검사는 중성자를 이용하여 물질 내부를 탐사하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중성자는 전자와는 달리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물질 내부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높은 방사성 물질이 존재하는 핵연료봉과 같은 물질 내부에서도 중성자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감마선투과검사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질 내부를 탐사하는데, 감마선은 전기적으로 중성이 아니기 때문에 물질 내부를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음향방출검사와 초음파탐상검사는 소리를 이용하여 물질 내부를 탐사하는데, 이는 물질의 밀도나 경도 등 물리적 특성에 따라 검출능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와전류탐상시험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사의 숙련도 없이 판독이 용이하다.
  2. 고속으로 자동화 검사가 가능하다.
  3. 다른 검사법과 달리 고온에서의 측정이 가능하다.
  4. 지시가 전기적 신호로 얻어지므로 결과를 기록하여 보관할 수 있다.
(정답률: 53%)
  • "검사의 숙련도 없이 판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와전류탐상시험은 검사자의 숙련도가 높을수록 정확한 판독이 가능하므로, 검사자의 숙련도가 낮을 경우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침투탐상시험시 이상적인 현상제로서 갖추어야 할 사항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결함 부위에서 침투제에 쉽게 젖어야 한다.
  2. 표면에 균일한 도포 막을 형성시켜야 한다.
  3. 주위 색깔과 구별될 수 있는 색깔이어야 한다.
  4. 형광침투제 사용시 현상제는 형광물질이어야 한다.
(정답률: 69%)
  • 형광침투제는 결함 부위에서 침투제에 의해 채워진 작은 틈새나 구멍을 찾아내기 위해 형광물질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현상제도 형광물질이어야 형광침투제와 결합하여 결함 부위를 더욱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침투탐상시험의 전처리시 초음파 세척은 어느 경우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가?

  1. 유화제의 제거
  2. 정교한 부품의 세척
  3. 대형 부품의 부분 세척
  4. 자외선등이 필요한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60%)
  • 정교한 부품은 작고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세밀한 세척이 필요합니다. 초음파 세척은 물리적인 진동을 이용하여 부품의 표면과 내부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한 부품의 세척에 가장 많이 이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교한 부품의 세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침투탐상시험에서 침투제의 역할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시험체 표면에 화학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2. 미세한 개구부에는 침투제가 스며들지 말아야 한다.
  3. 증발이나 건조가 너무 빠르게 작용하지 않아야 한다.
  4. 열이나 빛 등에 노출되어도 색채를 잃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78%)
  • 미세한 개구부에 침투제가 스며들면, 침투탐상시험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침투제가 스며들면 시험체 내부로 침투하여 시험체의 구조를 변경시키거나 시험체 표면에 침투제가 남아 화학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세한 개구부에는 침투제가 스며들지 말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침투탐상시험에서 전처리를 할 때 일반적인 세척 방법은?

  1. 철솔질
  2. 연마
  3. 모래분사
  4. 용제세척
(정답률: 77%)
  • 침투탐상시험에서는 시편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나 기름 등의 불순물을 제거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는 용제세척을 사용합니다. 이는 시편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용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 더욱 효과적이며, 시편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제세척이 침투탐상시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척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후유화성 침투액과 건식현상제를 사용할 때의 탐상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유화제 적용 후에 건조시킨다
  2. 현상제 적용 전에 건조시킨다
  3. 증기 세척 후 도금을 벗겨야 한다
  4. 유화제 적용 후에 과잉 침투액을 제거해야 한다
(정답률: 55%)
  • 정답은 "현상제 적용 전에 건조시킨다"입니다.

    후유화성 침투액과 건식현상제를 사용할 때는 먼저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시켜야 합니다. 이는 침투액이 표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표면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투액이 적용된다면, 침투액이 표면에 잔류하여 도금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상제 적용 전에는 반드시 표면을 충분히 건조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침투탐상시험에서 콜드 셧(cold shut)은 일반적으로 어느 모양으로 나타나는가?

  1. 완만한 곡선
  2. 뾰족한 직각형
  3. 예리한 칼날형
  4. 깊고 넓은 균열
(정답률: 56%)
  • 콜드 셧은 금속이 녹아 흐르는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용융 금속이 만나서 결합하지 못하고 분리되어 생기는 결함입니다. 이러한 결함은 일반적으로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두 개 이상의 용융 금속이 서로 만나면서 서서히 결합하지 못하고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콜드 셧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완만한 곡선 모양을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침투탐상관련규격(대략구분)

21. 다음 중 침투탐상시험으로 검출이 불가능한 결함은?

  1. 표면 기공
  2. 피로 균열
  3. 표면직하 큰 결함
  4. 개구부의 미세한 불연속 결함
(정답률: 54%)
  • 침투탐상시험은 표면에 있는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면직하 큰 결함은 침투탐상시험으로 검출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침투액이 결함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결함들은 침투액이 침투하여 검출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침투탐상시험에서 습식현상제를 사용한 후 필요한 장비는?

  1. 건조기
  2. 현상탱크
  3. 세척탱크
  4. 침투탱크
(정답률: 60%)
  • 습식현상제를 사용한 후에는 건조기가 필요합니다. 이는 습식현상제로 처리된 부위를 건조시켜 침투액이 완전히 증발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침투탐상시험의 전처리 방법 중 초음파세척 후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로 가장 옳은 것은?

  1. 모래 분사한다.
  2. 용제 세척한다.
  3. 가열 후 냉각한다.
  4. 세라믹 가열한다.
(정답률: 25%)
  • 초음파 세척 후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척액이 남아있을 수 있는 구멍이나 틈새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열 후 냉각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가열 후 냉각하면 세척액이 남아있는 구멍이나 틈새에서 증발하고 수증기가 생성되어 세척액이 완전히 제거됩니다. 따라서 가열 후 냉각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과 같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침투탐상검사법은?

  1. 수세성 형광침투탐상검사
  2.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
  3. 용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검사
  4. 용제제거성 형광침투탐상검사
(정답률: 68%)
  • 이 검사법은 수세성이기 때문에 물에 녹아들어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형광침투탐상검사이기 때문에 검사 대상물질에 형광약을 칠하여 형광 현상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침투액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낮은 인화점을 가져야 한다.
  2. 점성은 침투속도에 영향을 준다.
  3. 접촉각이 작을수록 적심성이 좋다.
  4. 휘발되는 속도가 너무 빠르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60%)
  • "낮은 인화점을 가져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침투액은 낮은 인화점을 가져야 합니다. 인화점이 낮다는 것은 침투액이 쉽게 증발하여 빠르게 휘발되어 표면에 남지 않고 신속하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서 침투액을 침지법으로 적용할 때, 침투액의 총 체류 시간이 16분인 경우 최대 침지시간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4분
  2. 8분
  3. 12분
  4. 16분
(정답률: 64%)
  • 침투액의 총 체류 시간이 16분이므로, 최대 침지시간은 이보다 짧아야 합니다. 침지시간이 16분을 초과하면 침투액이 부식하여 검사 대상물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침지시간은 16분 ÷ 2 = 8분 이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침지시간이 총 체류 시간의 절반 이하이면, 침투액이 검사 대상물질에 충분히 침투할 수 있으면서도 침투액의 부식이 최소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 사용되는 수성 현상제의 2가지 종류로 옳은 것은?

  1. 타입 1, 타입 2
  2. 건식, 습식
  3. 수용성, 수현탁성
  4. 친수성, 친유성
(정답률: 56%)
  • 수용성 현상제는 물과 잘 섞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쉽게 침투하여 결함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현탁성 현상제는 물과 섞이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탁한 용액을 만들어 결함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에서는 수용성 현상제와 수현탁성 현상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서 규정한 사용 중인 형광침투액의 형광 휘도 시험은 MIL규격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침투액의 시료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어느 정도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75%이상
  2. 80%이상
  3. 85%이상
  4. 90%이상
(정답률: 32%)
  • KS W 0914에서 규정한 사용 중인 형광침투액의 형광 휘도 시험은 MIL규격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침투액의 시료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어느 정도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형광침투액의 형광 휘도가 시간이 지나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용 중인 형광침투액의 형광 휘도가 비교 시료의 형광 휘도보다 90%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규정된 A형 대비시험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T-A의 기호로 표시한다.
  2. 시혐편 재료는 A2024P로 한다.
  3. 시험편 제작시 가열은 분젠버너로 한다.
  4. 판의 모서리 부분을 가열 및 급냉시켜 갈라지게 한다.
(정답률: 66%)
  • 판의 모서리 부분을 가열 및 급냉시켜 갈라지게 하는 것은 A형 대비시험편에서 사용되는 시험 방법 중 하나인 "절단 시험"입니다. 이 방법은 시험편의 모서리 부분을 가열한 후 급격한 냉각을 가해 강제로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시험편의 내부 결함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시험편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압력용 이음매 없는 용접 강관 - 침투탐상시험(KS D ISO12095)에서 허용되는 것보다 더 큰 인디케이션을 보이는 관의 일부가 있는 경우 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의심나는 구역을 잘라낸다.
  2. 다른 비파괴검사 방법으로 재검사하여야 한다.
  3. 관이 이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한다.
  4. 의심나는 영역에 대하여 허용 가능한 방법으로 마무리 후 탐상되어야 한다.
(정답률: 27%)
  • 압력용 이음매 없는 용접 강관에서 침투탐상시험(KS D ISO12095)을 통해 허용되는 것보다 더 큰 인디케이션을 보이는 경우, 해당 구역이 불량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른 비파괴검사 방법으로 재검사하여야 합니다. 이는 불량 구역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불량 구역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2개 이상의 선상 침투지시모양이 동일 선상에 나란히 존재할 때 지시모양 사이의 길이가 몇 mm 이하 이면 연속 침투지시모양으로 분류하는가?

  1. 1mm
  2. 2mm
  3. 3mm
  4. 5mm
(정답률: 77%)
  • 2mm 이하의 길이면 두 지시모양이 하나의 침투로 이어져 있어서 연속 침투지시모양으로 분류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침투탐상 시험에서 침투지시모양을 해석할 때 혼란을 줄이고 일관성 있는 해석을 위해 필요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침투지시모양의 관찰은 현상제 적용 후 얼마의 시간 사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규정하고 있는가?

  1. 1~3분 사이
  2. 3~5분 사이
  3. 7~60분 사이
  4. 1~2시간 사이
(정답률: 71%)
  • 침투탐상 시험에서는 침투액이 표면장력을 극복하여 침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침투성을 평가합니다. 이 때, 침투액이 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침투성이 높게 나올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오래 머무르면 침투성이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KS B 0816에서는 침투지시모양의 관찰을 7~60분 사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침투액이 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이 적절하게 고려된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1~3분 사이나 3~5분 사이는 시간이 너무 짧아 침투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고, 1~2시간 사이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B형 대비시험편에 대한 재질, 크기 및 도금층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동판, 길이 100mm×나비 70mm, 니켈 및 크롬 도금
  2. 강판, 길이 70mm×나비 100mm, 동 및 크롬 도금
  3. 동판, 길이 70mm×나비 100mm, 강 및 크롬 도금
  4. 강판, 길이 100mm×나비 70mm, 니켈 및 동 도금
(정답률: 55%)
  • B형 대비시험편은 동판으로 만들어지며, 길이는 100mm, 나비의 너비는 70mm이며, 니켈 및 크롬 도금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KS B 0816에서 정의된 B형 대비시험편의 재질, 크기 및 도금층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시험체와 침투액의 온도가 3~15°C의 범위일 때 적용되는 침투시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분 이내로 한다.
  2. 규격에 정한 표준침투시간보다 늘린다.
  3. 규격에서 정한 표준침투시간보다 짧게 한다.
  4. 다음 공정을 신속히 하도록 즉시 침투액을 적용한다.
(정답률: 68%)
  • 규격에 정한 표준침투시간보다 늘린다. 이유는 시험체와 침투액의 온도가 낮을수록 침투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침투시간을 늘려서 충분한 침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방법 (KS B 0888)의 침투지시모양의 관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연광 또는 백색광 아래에서 관찰한다.
  2. 시험면의 밝기는 최소한 100[lx] 이상이어야 한다.
  3. 현상제 적용 후 7~60분 사이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의사지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대경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시험면의 밝기는 최소한 100[lx] 이상이어야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침투검사에서는 침투액이 시험면에 칠해진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침투액이 흡수되어 시험면이 어두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면의 밝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침투지시모양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라 현상제를 적용 후 건조오븐에서 건조할 때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장비(치)는?

  1. 환풍조절장치
  2. 습도조절장치
  3. 온도조절장치
  4. 수압조절장치
(정답률: 70%)
  • 현상제를 적용한 후 건조오븐에서 건조할 때는 올바른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온도조절장치가 필요합니다. 환풍조절장치나 습도조절장치는 건조오븐의 환경을 조절하는데 필요하지만, 온도를 조절하는데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수압조절장치는 건조오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온도조절장치가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의한 형광침투탐상시 관찰을 위한 자외선 강도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1.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상
  2.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하
  3. 시험체 표면에서 500[lx] 이상
  4. 자외선등에서 38cm 떨어진 거리에서 500[lx] 이상
(정답률: 60%)
  • 침투탐상 시험은 시험체의 표면에 침투액을 떨어뜨린 후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침투액이 표면에 침투한 정도를 관찰하는 시험입니다. 이때 자외선 강도는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침투액이 시험체 표면에 침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자외선 강도가 낮으면 침투액이 표면에 침투하지 못하거나 불규칙하게 침투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상의 자외선 강도를 유지하여 정확한 침투탐상 시험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라 시험방법의 분류 기호가 “VC" 일 때 의미가 옳은 것은?

  1. 수세성 염색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2. 후유화성 염색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3. 후유화성 형광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4. 용제제거성 염색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정답률: 81%)
  • 정답은 "용제제거성 염색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VC는 "용제제거성 염색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 방법은 시료 내에 존재하는 용질을 제거하고, 침투액이 시료 내부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제제거 과정을 거친 후 염색침투액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시료 내부의 미세한 구조를 관찰하기에 적합하며, 금속, 세라믹, 복합재료 등 다양한 재료에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시험보고서에 시험체의 정보를 기록할 때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품명
  2. 치수
  3. 재질
  4. 전도도
(정답률: 65%)
  • 전도도는 침투탐상 시험에서 시험체의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없는 항목입니다. 침투탐상 시험은 시험체의 표면에 침투액을 뿌리고 그 침투액이 시간이 지나면서 시험체 내부로 침투되는 과정을 관찰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전도도와 같은 내부적인 물성은 시험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시험보고서에 기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유화시간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 침투액의 종류
  2. 시험체의 표면 거칠기
  3. 시험체 및 시험시의 온도
  4. 시험체의 재질 및 제거처리 상태
(정답률: 36%)
  • 침투탐상 시험은 시험체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침투액이 시험체 표면 결함에 침투하고, 침투액을 제거한 후 개방된 결함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유화시간은 침투액이 시험체 표면 결함에 침투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화시간을 정할 때는 시험체의 재질 및 제거처리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시험체의 재질이나 제거처리 상태에 따라 침투액이 시험체 표면 결함에 침투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화시간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시험체의 재질 및 제거처리 상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대략구분)

41. 컴퓨터 사용자의 정보를 빼가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다른 파일을 전염시키지 않고 해당 파일만 삭제하면 치료가 가능하며 자료삭제, 정보탈취와 같이 사이버테러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 트로이목마
  2. 스파이웨어
  3. 바이러스
  4. 컴퓨터 웜
(정답률: 41%)
  • 정보를 빼가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다른 파일을 전염시키지 않고 해당 파일만 삭제하면 치료가 가능하며 자료삭제, 정보탈취와 같이 사이버테러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트로이목마"입니다. 이는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도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악성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터넷 홈페이지를 구축할 때 하이퍼미디어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언어는?

  1. HTML
  2. HMTL
  3. THML
  4. HLTM
(정답률: 62%)
  • 정답은 "HTML"입니다.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하이퍼미디어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언어입니다. HTML은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하며, 링크,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 요소를 삽입하여 웹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홈페이지를 구축할 때 HTML을 사용하여 하이퍼미디어 기능을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터넷에서 찾고자하는 자료를 각각의 검색엔진으로 옮겨 다니면서 찾을 필요 없이 여러 검색엔진을 연결해서 통합적으로 찾게 해주는 검색엔진은?

  1. 메타 검색엔진
  2. 주제별 검색엔진
  3. 모음형 검색엔진
  4. 키워드형 검색엔진
(정답률: 17%)
  • 메타 검색엔진은 여러 개의 검색엔진을 연결해서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검색엔진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찾고자하는 자료를 각각의 검색엔진으로 옮겨 다니면서 찾을 필요 없이 한번에 여러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개인 방화벽을 설정한다.
  2. 바이러스성 메일은 바로 삭제한다.
  3.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생활 습관을 만든다.
  4. 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바로 실행시켜 확인하다.
(정답률: 72%)
  • "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바로 실행시켜 확인하다"는 올바르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악성코드가 포함된 파일을 실행시켜 컴퓨터에 감염시키는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반드시 검사 후 실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퓨터 메모리에 기억된 자료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은?

  1. Address
  2. Page
  3. Buffer
  4. Word
(정답률: 50%)
  • 컴퓨터 메모리에 기억된 자료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 자료의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이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Address"입니다. 따라서 "Addre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주물용 Al-Si 합금 용탕에 0.01% 정도의 금속나트륨을 넣고 주형에 용탕을 주입함으로써 조직을 미세화 시키고 공정점을 이동시키는 처리는?

  1. 용체화처리
  2. 개량처리
  3. 접종처리
  4. 구상화처리
(정답률: 59%)
  • 주물용 Al-Si 합금 용탕에 금속나트륨을 넣어 조직을 미세화 시키고 공정점을 이동시키는 처리를 개량처리라고 합니다. 이는 기존의 합금에 개선을 가해 새로운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휘스커 등의 섬유률 Al, Ti 등의 연성과 인성이 높은 금속이나 합금 중에 균일하게 배열시킨 섬유강화금속 복합재료의 표기로 옳은 것은?

  1. FRM
  2. CVD
  3. PVD
  4. NKS
(정답률: 54%)
  • FRM은 Fiber Reinforced Metal의 약자로, 섬유강화금속을 의미합니다. 이는 휘스커 등의 섬유률이 높은 금속이나 합금을 균일하게 배열시킨 섬유강화금속 복합재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FRM이 옳은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금속 표면에 스텔라이트, 초경합금 등의 금속을 용착시켜 표면 경화층을 만드는 방법은?

  1. 하드 페이싱
  2. 전해 경화법
  3. 금속 침투법
  4. 금속 착화법
(정답률: 56%)
  • 하드 페이싱은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용착시켜 경화층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착된 금속의 경도와 내식성이 높아져서 표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금속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고체 상태에서 결정 구조를 가진다.
  2. 전기 및 열의 부도체이다.
  3. 금속 고유의 광택을 가진다.
  4. 전성 및 연성이 좋다.
(정답률: 67%)
  • 정답은 "전기 및 열의 부도체이다."입니다. 이는 틀린 설명입니다. 금속은 전기 및 열을 잘 전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선, 발전기, 열교환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따라서 "전기 및 열의 부도체"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표점 거리가 50mm인 시험편을 인장 시험하여 파단 후 표점 거리가 62mm로 되었다면 연신율은 얼마인가?

  1. 12%
  2. 24%
  3. 42%
  4. 64%
(정답률: 47%)
  • 연신율은 (파단 후 표점 거리 - 원래 표점 거리) / 원래 표점 거리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62mm - 50mm) / 50mm x 100 = 24% 입니다.

    즉, 시험편이 파단되기 전에 50mm의 길이를 가졌으나 파단 후에는 62mm의 길이를 가졌으므로, 시험편의 길이가 24% 증가했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그림은 M, N 두 금속이 어느 조성 범위 내에서 고용체를 형성하는 공정형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순금속 M과 N의 합금에 따른 액상선은?

  1. DCE
  2. AD
  3. ACB
  4. ADEB
(정답률: 38%)
  • 액상선은 고용체를 형성하는 온도와 조성을 나타내는 선으로, 이 그림에서는 M과 N의 합금에 따른 액상선이 그려져 있다.

    보기에서 "DCE"는 온도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액상선과는 관련이 없다.

    "AD"는 M과 N의 순금속에서 고용체를 형성하는 온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액상선과는 관련이 있지만, 합금에 따른 액상선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ACB"는 M과 N의 합금에 따른 액상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M과 N의 합금 비율이 변할 때, 액상선도 함께 이동하며, 그림에서 보듯이 M과 N의 합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액상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ADEB"는 고용체와 고체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액상선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AC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결정 격장의 가공이 쉬운 순서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체심 입방 격자 > 조밀 육방 격자 > 면심 입방 격자
  2. 체심 입방 격자 > 면심 입방 격자 > 조밀 육방 격자
  3. 면심 입방 격자 > 조밀 육방 격자 > 체심 입방 격자
  4. 면심 입방 격자 > 체심 입방 격자 > 조밀 육방 격자
(정답률: 38%)
  • 가공이 쉬운 순서로 나열하면 면심 입방 격자 > 체심 입방 격자 > 조밀 육방 격자입니다. 이유는 면심 입방 격자는 입방 격자 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형태이며, 체심 입방 격자는 면심 입방 격자보다는 조금 더 복잡하지만 여전히 가공이 쉽습니다. 반면에 조밀 육방 격자는 입방 격자 중에서 가장 복잡한 형태이므로 가공이 가장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공이 쉬운 순서로 나열하면 면심 입방 격자 > 체심 입방 격자 > 조밀 육방 격자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초정(primary crystal)이란 무엇인가?

  1. 공정반응에서 공정반응 전에 정출한 결정을 말한다.
  2. 냉각시 제일 늦게 석출하는 고용체를 말한다.
  3. 고체 상태에서 2가지 고용체가 동시에 석출하는 결정을 말한다.
  4. 용액 상태에서 2가지 고용체가 동시에 정출하는 결정을 말한다.
(정답률: 60%)
  • 초정은 공정반응 전에 이미 형성된 결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공정반응에서 공정반응 전에 정출한 결정을 말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탄소강에 함유된 원소 중 적열(고온)메짐의 원인이 되는 것은?

  1. Si
  2. S
  3. P
  4. Mn
(정답률: 47%)
  • 탄소강에 함유된 원소 중 적열(고온)메짐의 원인이 되는 것은 "S" 입니다. 이는 황이 산화되어 SO2와 같은 가스를 생성하면서 금속과 결합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금속의 인성과 연성이 감소하며, 용융점도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알루미늄 비중은 약 5.2이다.
  2. 알루미늄은 면심입방격자를 갖는다.
  3. 알루미늄 열간가공온도는 약 670°C 이다.
  4. 알루미늄은 대기 중에서는 내식성이 나쁘다.
(정답률: 49%)
  • 알루미늄은 결정 구조가 면심입방격자로 되어 있기 때문에 면심입방격자를 갖는다. 이는 결정 구조의 형태를 의미하며, 알루미늄의 물리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백주철을 적철광 및 산화철 가루와 함께 풀림 상자에 넣어 900~1000°C에서 40~100시간 가열하여 시멘타이트를 탈탄시킨 주철은?

  1. 백심 가단 주철
  2. 흑심 가단 주철
  3. 구상 흑연 주철
  4. 펄라이트 가단 주철
(정답률: 58%)
  • 백주철을 적철광 및 산화철 가루와 함께 가열하여 시멘타이트를 탈탄시킨 주철은 백심 가단 주철이다. 이는 시멘타이트를 탈탄시켜서 주철 내부의 탄소 함량을 줄이고, 그 결과 주철의 경도와 인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Mg-희토류계 합금에서 희토류원소를 첨가할 때 미시메탈(Misch-Metal)의 형태로 첨가한다. 미시메탈에서 세륨(Ce)을 제외한 합금 원소를 첨가한 합금의 명칭은?

  1. 탈타뮴
  2. 디디뮴
  3. 오스뮴
  4. 갈바늄
(정답률: 46%)
  • 미시메탈은 주로 세륨, 란타넘, 네오디뮴 등의 희토류원소와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혼합한 합금으로, Mg-희토류계 합금에서 희토류원소를 첨가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미시메탈에서 세륨(Ce)을 제외한 합금 원소를 첨가한 합금의 명칭은 "디디뮴"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용접 후 잔류응력이 제품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언더컷이 생긴다.
  2. 용입 부족이 된다.
  3. 용착 불량이 생긴다.
  4. 변형과 균열이 생긴다
(정답률: 46%)
  • 용접 후 잔류응력은 재료 내부에 생긴 응력으로, 제품이 변형하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변형과 균열이 생기는 것은 제품의 내구성과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합니다. 변형은 제품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균열은 제품 내부에서 불균일한 응력이 발생하여 재료가 파손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용접 기술과 후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스용접봉의 성분 중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나, 연신율 굽힘성 등이 감소되는 성분은?

  1. C
  2. Si
  3. P
  4. S
(정답률: 48%)
  • 정답은 "C"입니다. 이유는 탄소(Carbon)가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이지만, 동시에 연신율 굽힘성 등을 감소시키는 성분입니다. 따라서 가스용접봉의 성분 중에서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연신율 굽힘성 등을 유지하고 싶다면, 탄소 함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1. 아크 길이에 비례한다.
  2. 용접 전류에 비례한다.
  3. 용접 전압에 비례한다.
  4. 용접봉의 크기에 비례한다.
(정답률: 38%)
  • 용접 전류가 증가하면 용접봉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고, 이는 용접봉의 용융속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전류가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