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03)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2010-10-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침투탐상시험법(대략구분)

1. 형광침투탐상시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밝은 실내에서 적용한다.
  2. 현상제를 적용한 후 즉시 관찰한다.
  3. 어두운 곳에서 자외선 조사등을 켜고 관찰한다.
  4. 일반적인 검사체의 표면온도는 0~40℃에서 적용한다.
(정답률: 94%)
  • 형광침투탐상시험은 검사 대상의 표면에 형광액을 침투시켜 UV 램프 등의 자외선 조사를 통해 침투된 형광액을 관찰하여 결함이나 균열 등을 발견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때, 어두운 곳에서 자외선 조사등을 켜고 관찰하는 이유는 형광액이 자외선에 노출되어야만 형광을 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밝은 실내에서는 형광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현상제를 적용한 후 즉시 관찰하는 것도 형광액이 충분히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자외선 조사등을 켜고 관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일반적인 검사체의 표면온도는 0~40℃에서 적용하지만, 이는 검사 대상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몰수침법을 이용하여 초음파탐상할 경우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주사속도가 빠르다.
  2. 결함의 표면 분해능이 좋다.
  3. 탐촉자 각도의 변형이 용이하다.
  4. 부품의 크기에 관계없이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50%)
  • 전몰수침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부품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탐촉자를 부품 표면에 직접 접촉시켜 사용한다. 이 방법은 부품의 크기에 관계없이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작은 부품에서부터 큰 부품까지 모두 검사할 수 있으며, 부품의 크기에 따라 탐촉자를 바꿀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용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시험이 다른 침투탐상시험과 비교하였을 때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암실에서 탐상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2. 경제적이고 미세 결함 탐상에 적합하다.
  3. 세척이 편리하고 탐상감도가 제일 높다.
  4. 휴대성이 좋고 대형 부품의 부분탐상에 적합하다.
(정답률: 53%)
  • 용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시험은 액체 형태의 시약을 사용하며, 휴대성이 좋고 대형 부품의 부분탐상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다른 침투탐상시험에 비해 암실에서 탐상하기 어렵거나 경제적이지 않은 대형 부품의 탐상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진공보다 적은 투자율을 가지는 물질을 나타내는 용어는?

  1. 반자성(diamagnetic)성
  2. 상자성(paramagnetic)성
  3. 강자성(ferromagnetic)성
  4. 페리자성(ferrimagnetic)성
(정답률: 50%)
  • 반자성(diamagnetic)성은 자기장에 의해 인도되는 전류가 없어서 자기장에 의해 약간의 반발을 일으키는 물질을 나타냅니다. 즉, 진공보다 적은 투자율을 가지는 물질로서 자기장에 의해 약간의 반발을 일으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파괴검사법 중 일반적으로 검사비가 가장 많이 드는 것은?

  1. 초음파탐상시험
  2. 침투탐상시험
  3. 방사선투과시험
  4. 자분탐상시험
(정답률: 78%)
  • 방사선투과시험은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불량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검사 대상물이 크거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검사 결과를 쉽게 해석할 수 있어 많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검사에 사용되는 장비와 방사선 안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여 검사비가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간의 가청주파수 최대 한계는 얼마 정도인가?

  1. 2㎑
  2. 20㎑
  3. 200㎑
  4. 2000㎑
(정답률: 54%)
  • 인간의 가청주파수 범위는 대략 20Hz에서 20kHz까지이며, 이 범위를 넘어가는 주파수는 인간이 인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가청주파수 최대 한계는 20kHz, 즉 20,000Hz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음파가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경계면에서 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1. 초음파의 속도
  2. 초음파의 주파수
  3. 진동자의 압전효과
  4. 두 매질의 음향임피던스
(정답률: 45%)
  • 음파가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경계면에서 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두 매질의 음향임피던스입니다. 음파의 진행속도는 매질에 따라 다르지만, 음파가 매질을 통과할 때는 속도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음파가 경계면에서 반사될 때는 두 매질의 밀도와 음파속도에 따라 반사되는 정도가 결정됩니다. 이를 음향임피던스라고 합니다. 두 매질의 음향임피던스가 다를수록,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음파의 양이 많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두 매질의 음향임피던스는 경계면에서 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제품이나 부품의 동적결함 발생에 대한 전체적인 모니터링(monitoring)에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육안시험
  2. 적외선 검사
  3. X선투과시험
  4. 음향방출시험
(정답률: 39%)
  • 음향방출시험은 부품이나 제품의 동적 결함 발생 시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여 결함을 감지하는 비파괴 검사법입니다. 따라서 부품이나 제품의 동적 결함 발생에 대한 전체적인 모니터링에 적합합니다. 육안시험은 시각적 결함을 감지하는 검사법이며, 적외선 검사와 X선투과시험은 결함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검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파괴검사법 중 비자성 재료의 표면 피로균열 검사에 가장 적합한 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침투탐상검사
(정답률: 57%)
  • 비자성 재료의 표면 피로균열 검사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침투탐상검사입니다. 이는 표면에 침투시킨 염료를 제거한 후, 피로균열 부위에서 염료가 끌어들여진 것을 확인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표면 검사보다 더 깊은 결함을 검출할 수 있으며, 비자성 재료에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파괴검사를 했을 때 알수 있는 것과 거리가 먼것은?

  1. 품질평가
  2. 수명평가
  3. 누설탐지
  4. 인장강도
(정답률: 48%)
  • 비파괴검사는 물리적인 손상 없이 검사 대상물질의 내부 결함이나 불량을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이 중에서 인장강도는 검사 대상물질의 내부 결함이나 불량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물질이 얼마나 강하고 견고한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비파괴검사를 통해 알아낼 수 있는 것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비파괴검사를 통해 알아낼 수 있는 것으로는 품질평가, 수명평가, 누설탐지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파괴검사법 중 체적검사에 적합한 것은?

  1. 육안검사
  2. 침투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방사선투과검사
(정답률: 47%)
  • 체적검사는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불량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파괴검사법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 방사선투과검사는 물체를 X선이나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내부 결함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체적을 검사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육안검사는 표면 결함을 파악하는 데 적합하고, 침투탐상검사와 자분탐상검사는 물체 내부 결함을 파악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체적을 검사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상온에서 자분탐상시험으로 검사체의 결함검출이 어려운 것은?

  1. 철(Fe)
  2. 니켈(Ni)
  3. 코발트(Co)
  4. 비스무스(Bi)
(정답률: 61%)
  • 비스무스는 상온에서 자분탐상시험으로 검사체의 결함검출이 어려운 이유는 그것이 비정형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스무스는 결정구조가 불규칙하고 비정형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어서 자분탐상시험으로는 검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비스무스는 다른 금속들에 비해 결함검출이 어려운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헬륨질량분석, 압력변화시험 등과 같은 종류의 비파괴검사법에 속하는 것은?

  1. 육안검사
  2. 누설검사
  3. 음향방출검사
  4. 침투탐상검사
(정답률: 80%)
  • 헬륨질량분석, 압력변화시험 등은 물질 내부의 결함이나 불량을 찾는 비파괴검사법 중 하나입니다. 이와 달리 누설검사는 물질 내부의 결함이나 불량이 아니라, 물질의 표면이나 연결부에서 유체나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누설검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와전류탐상시험에서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미치는 영향이 제일 작은 인자는?

  1. 시험속도
  2. 시험주파수
  3. 시험체의 전도율
  4. 시험체의 투자율
(정답률: 41%)
  • 와전류탐상시험에서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시험체의 전도율과 투자율, 시험주파수, 시험속도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제일 작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시험속도입니다. 이는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가 시간에 따라 일어나는데, 시험속도가 빠를수록 이 변화가 빨라져서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속도는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온이 급강하하여 에어졸형 탐상제의 압력이 낮아져서 분무가 곤란할 때 검사자의 조치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새로운 것과 언 것을 교대로 사용한다.
  2. 온수 속에 탐상 캔을 넣어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킨다.
  3. 에어졸형 탐상제를 난로 위에 놓고 온도를 상승시킨다.
  4. 일단 언 상태에서는 온도를 상승시켜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폐기한다.
(정답률: 85%)
  • 온수 속에 탐상 캔을 넣어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에어졸형 탐상제의 압력이 낮아져서 분무가 곤란할 때 검사자가 취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조치방법입니다. 이는 온수를 통해 탐상제를 데워서 압력을 높이고, 분무가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즉,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는 것은 탐상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분무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침투탐상시험에서 시험조건에 따른 현상제의 선택이 가장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매우 거친 표면은 습식현상제가 적합하다.
  2. 소형의 대량작업에는 건식현상제가 적합하다.
  3. 매우 매끄러운 표면은 건식현상제가 적합하다.
  4. 미세한 균열 검출에는 속건식 현상제가 적합하다.
(정답률: 33%)
  • 미세한 균열은 매우 작은 크기의 결함으로, 속건식 현상제는 미세한 결함을 검출하는 데 적합하다. 속건식 현상제는 표면에 침투하여 결함 내부로 유입되어 결함을 강조시키기 때문에 미세한 결함을 검출하는 데 유용하다. 따라서, 미세한 균열 검출에는 속건식 현상제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침투탐상시험으로 검사 가장 어려운 시험체는?

  1. 주철
  2. 담금질한 알루미늄
  3. 유리로 만들어진 부품
  4. 다공성 물질로 된 부품
(정답률: 87%)
  • 다공성 물질로 된 부품은 구멍이 많아서 내부를 살펴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침투탐상시험은 부품의 표면에 침투액을 뿌리고 그 안으로 침투시켜 결함을 찾는 검사 방법입니다. 하지만 다공성 물질로 된 부품은 침투액이 구멍 안으로 침투하기 어려워 결함을 찾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른 부품들보다 검사가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침투탐상시험시 무관련지시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1. 결함이 많기 때문에
  2. 부적당한 열처리 때문에
  3. 침투시간이 충분하였을 때
  4. 잉여침투제의 불충분한 제거 때문에
(정답률: 83%)
  • 잉여침투제는 침투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화학약품 중 하나로, 금속 표면에 침투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침투 후에는 잉여침투제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만약 잉여침투제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으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잉여침투제의 불충분한 제거 때문에 무관련지시가 생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침투탐상 시험장치 중 배액대의 주된 역할은?

  1. 침투액을 여과하는 역할
  2. 전처리시 오염물을 제거하는 역할
  3. 현상액이 충분히 적용되도록 하는 역할
  4. 시험체 표면에 있는 잉여 침투액을 제거하는 역할
(정답률: 47%)
  • 배액대는 시험체에 침투액을 적용한 후, 시험체 표면에 남아있는 잉여 침투액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시험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시험체 표면에 있는 잉여 침투액을 제거하는 역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후유화성 침투탐상시험에서의 유화시간으로 옳은 것은?

  1. 침투시간과 같다.
  2. 현상시간과 같다.
  3. 침투시간의 반이다.
  4. 잉여 침투제를 제거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이다.
(정답률: 66%)
  • 정답은 "잉여 침투제를 제거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이다."입니다.

    후유화성 침투탐상시험에서는 시험 시간 동안 침투액이 시편 내부로 침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침투액을 제거합니다. 이때, 침투액이 제거되는 동안에도 일부 침투액이 시편 내부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남아있는 침투액을 잉여 침투제라고 합니다.

    잉여 침투제는 시편 내부에 남아있는 동안에도 시편 내부를 계속 침투시키므로, 시편 내부의 미세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시편 내부의 화학적 성질을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잉여 침투제를 제거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후유화성 침투탐상시험에서의 유화시간은 "잉여 침투제를 제거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침투탐상관련규격(대략구분)

21. 수세성 침투탐상시험시 침투액을 세척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1. 물에담근다.
  2. 젖은 걸레로 닦는다.
  3. 세척수를 분무노즐로 분사하여 닦는다.
  4. 수돗물에 담구어 걸레를 이용하여 닦는다.
(정답률: 60%)
  • 세척수를 분무노즐로 분사하여 닦는 것은 침투액에 남아있는 불순물이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분무노즐을 이용하면 세척수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침투액이 남아있는 부분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척수를 분무노즐로 분사하여 닦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침투탐상시험의 후처리 장치로 옳은 것은?

  1. 시험체에 남아있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수세 탱크
  2. 시험체에 남아있는 유화액을 제거하는 알칼리 탱크
  3. 시험체에 남아있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빙초산 탱크
  4. 시험체에 남아있는 유화액을 제거하는 샌드브러쉬 탱크
(정답률: 62%)
  • 침투탐상시험에서는 시험체에 현상제나 유화액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현상제를 제거하는 것은 수세 탱크입니다. 수세 탱크는 시험체에 남아있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시험체를 수세 탱크에 넣고 물을 흘려 현상제를 제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험체에 남아있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수세 탱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액체가 작은 틈으로 스며 들어가는 것은 모세관 현상에 의한 것으로서 이는 어느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가?

  1. 화학평형
  2. 전자기력
  3. 분자응집력
  4. 중력가속도
(정답률: 69%)
  • 액체 분자들은 서로 분자응집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틈으로 스며들어가는 것도 분자응집력에 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세성 침투탐상시험이 후유화성 침투탐상시험과 특별히 다른 점은?

  1. 유화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2. 알루미늄표면 균열 탐상에만 사용된다.
  3. 현상하기 위하여 표면에 있는 과잉 침투제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4. 표면직하(subsur face)에 있는 미세결함 탐상에 후 유화성 침투탐상제보다 우수하다.
(정답률: 55%)
  • 수세성 침투탐상시험은 침투액이 표면에 침투한 후 침투액을 제거하고 유화제를 추가하여 결함을 확인하는 반면, 후유화성 침투탐상시험은 침투액이 표면에 침투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결함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후유화성 침투탐상시험에서는 유화제를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침투탐상시험시 의사지시가 생기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부적절한 세척을 햇을때
  2. 현상제에 침투액이 묻었을때
  3. 방사선투과시험을 먼저 했을 때
  4. 외부 물질에 의하여 오염되었을 때
(정답률: 77%)
  • 방사선투과시험은 침투탐상시험 이전에 수행되는 검사로, 부품의 내부 결함을 발견하기 위해 X선을 이용하여 부품을 조사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방사선투과시험을 먼저 수행하면 침투액이 묻은 부분이나 오염된 부분을 미리 발견할 수 있으므로, 이후의 침투탐상시험에서 의사지시가 생기는 원인이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의 탐상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비시험편 A형과 B형 대비시험편이 있다.
  2. 형광침투액 사용시 암실의 밝기는 20룩스 이하이어야 한다.
  3. 습식현상장치는 교반 등에 따라 현상제를 분산시킬수 있어야 한다.
  4. 건식 현상장치는 현상제가 외부로 비산되어 시험하는 곳을 비산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률: 65%)
  • "건식 현상장치는 현상제가 외부로 비산되어 시험하는 곳을 비산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건식 현상장치는 현상제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따라 현상제 적용 후 침투지시모양의 관찰은 언제 하도록 권고하고 있는가?

  1. 현상제 적용 후 즉시
  2. 현상제 적용후 3~5분 사이
  3. 현상제 적용 후 7~60분 사이
  4. 현상제 적용 후 100~120분 사이
(정답률: 70%)
  • 현상제는 침투지시모양을 나타내기 위한 색소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색소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상제 적용 후 즉시나 3~5분 사이에는 충분한 색소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침투지시모양을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7~60분 사이에는 적절한 색소 형성이 이루어져 정확한 침투지시모양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100~120분 사이에는 이미 색소 형성이 완료되어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KS B0816에서는 현상제 적용 후 7~60분 사이에 침투지시모양을 관찰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규정된 자외선 조사장치의 파장 범위로 옳은 것은?

  1. 250㎚ ~ 300㎚
  2. 320㎚ ~ 400㎚
  3. 450㎚ ~ 560㎚
  4. 550㎚ ~ 780㎚
(정답률: 70%)
  • 침투탐상 시험은 물체 내부를 검사하기 위해 X-선, 감마선 등의 고에너지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장치는 파장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발생해야 하며, 이는 KS B0816에서 규정되어 있습니다.

    정답은 "320㎚ ~ 400㎚"입니다. 이유는 KS B0816에서 침투탐상 시험에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장치의 파장 범위가 "320㎚ ~ 400㎚"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자외선 조사장치를 사용하여 침투탐상 시험을 수행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인 "250㎚ ~ 300㎚", "450㎚ ~ 560㎚", "550㎚ ~ 780㎚"는 모두 KS B0816에서 규정된 침투탐상 시험에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장치의 파장 범위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자외선 조사장치를 사용하여 침투탐상 시험을 수행하면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 따라 에칭한 표면이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 최종 침투탐상검사를 실시하여도 되는 것은?

  1. 도금
  2. 도료
  3. 화성피막
  4. 양극처리
(정답률: 33%)
  • 화성피막은 기계적,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아서 침투탐상 검사를 해도 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최종 침투탐상검사를 실시하여도 된다. 반면에 도금, 도료, 양극처리 등은 침투탐상 검사를 실시하면 표면이 손상되거나 변색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종 검사 전에 피복층을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따른 전수검사에 의한 합격품은 어떠한 색깔로 착색 표시하는가?

  1. 적갈색
  2. 황색
  3. 적색
  4. 청색
(정답률: 50%)
  • 침투탐상 시험에서 합격한 부위는 금속의 결함이 없는 부분으로, 이 부위에는 침투액이 침투하지 않아서 착색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합격품은 침투액이 착색된 부위인 결함 부분에 대해서만 색깔로 표시됩니다. KS B0816에서는 침투지시모양의 분류에 따라서 전수검사에 의한 합격품을 적갈색으로 착색 표시합니다. 이는 침투액이 착색된 부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적갈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의한 시험방법 중 유화처리에 앞서 예비 세척처리가 필요없는 검사법은?

  1. 후유화성 형광침투액(물베이스 유화제) - 무현상법
  2. 후유화성 염색침투액(물베이스 유화제) - 속건식현상법
  3. 후유화성 형광침투액(물베이스 유화제) - 습식현상법(수현탁성)
  4. 후유화성 염색침투액(기름베이스 유화제) - 습식현상법(수현탁성)
(정답률: 30%)
  • 후유화성 염색침투액(기름베이스 유화제) - 습식현상법(수현탁성)은 유화제가 기름베이스이기 때문에 예비 세척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시료 표면에 침투액을 떨어뜨린 후 일정 시간 동안 수분이 증발하면서 침투액이 시료 내부로 습식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침투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시험 방법(KS B 0888)에서 침투탐상시험의 기록사항 중 “시험결과” 에 기록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침투시간
  2. 침투지시모양의 위치
  3. 침투지시모양의 평가점
  4. 침투지시모양의 분류와 길이
(정답률: 35%)
  • 침투시간은 침투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시약이 표면에 침투하고 반응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약의 종류와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시험결과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시험결과"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 따른 염색침투탐상검사에서 조명 장치의 조도로 옳은 것은?

  1. 15인치 거리에서 100[lm.ft ] 이상
  2. 15인치 거리에서 1000[lm.ft ] 이상
  3. 시험체 표면에서 100[lm.ft ] 이상
  4. 시험체 표면에서 1000[lm.ft ] 이상
(정답률: 24%)
  • 시험체 표면에서 100[lm.ft] 이상이 옳은 것은, 침투탐상 검사에서는 결함을 찾기 위해 시험체 표면에 염료를 칠하고, 이를 조명장치로 비추어 결함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조명장치의 조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결함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시험체 표면에서 100[lm.ft] 이상의 조도가 필요합니다. 이는 시험체와 조명장치 사이의 거리와 관련이 있으며, 15인치 거리에서 100[lm.ft] 이상이라는 조건은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 )안에 들어 갈 적절한 용어는?

  1. 흠 속
  2. 세척제
  3. 유화제
  4. 흠 주변
(정답률: 70%)
  • 이 그림은 금속의 표면에 낀 녹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척제를 사용한 후, 흠 주변에 남은 세척제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화제를 사용한 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흠 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KS B 0816)에 따라 강용접부를 탐상할 때 시험체와 침투제의 표준온도 범위로 옳은 것은?

  1. 4~25℃
  2. 15~50℃
  3. 20~60℃
  4. 25~70℃
(정답률: 73%)
  • 강용접부를 탐상할 때 시험체와 침투제의 표준온도 범위는 15~50℃이다. 이는 침투제의 점도와 표면장력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낮은 온도에서는 침투제의 점도가 높아져 침투가 어려워지고, 높은 온도에서는 침투제의 표면장력이 낮아져 침투가 불완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침투탐상 시험을 실시할 때는 시험체와 침투제의 온도를 15~50℃로 유지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따라 사용하는 침투액의 분류와 잉여 침투액의 제거 방법에 따른 분류의 명칭 기로 조합이 “FB"일 때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수세성 염색침투액
  2. 수세성 형광침투액
  3. 용제제거성 염색침투액
  4. 기름베이스 후유화성 형광침투액
(정답률: 69%)
  • "FB"는 침투액의 분류가 "기름베이스 후유화성 형광침투액"이고, 잉여 침투액의 제거 방법이 "바람직한 방법"인 것을 의미합니다.

    기름베이스 후유화성 형광침투액은 침투액의 분류 중에서도 기름을 기반으로 한 침투액으로, 잉여 침투액을 제거할 때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용제나 증발기 등을 사용하여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이는 침투액이 후유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서 시험체와 침투액의 온도가 규정 내의 온도일때 강용접부의 표준 침투시간으로 옳은 것은?

  1. 5분
  2. 15분
  3. 30분
  4. 2시간
(정답률: 79%)
  • 정답은 "5분"입니다. 이유는 KS B0816에서 강용접부의 표준 침투시간은 시험체와 침투액의 온도가 규정 내의 온도일 때 5분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온도에 따라 다른 침투시간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경우 침투지시모양의 길이로 옳은 것은?

  1. 1개의 연속된 지시모양으로 지시길이는 7㎜ 이다.
  2. 1개의 연속된 지시모양으로 지시길이는 9.5㎜ 이다.
  3. 2개의 지시모양으로 지시길이는 각각 2㎜, 6㎜ 이다.
  4. 2개의 지시모양으로 지시길이가 각각 6.5㎜, 6㎜이다.
(정답률: 61%)
  •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따르면, 침투지시모양의 길이는 "1개의 연속된 지시모양으로 지시된 길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침투지시모양은 하나의 연속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길이는 9.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개의 연속된 지시모양으로 지시길이는 9.5㎜ 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 우주용 기기의 침투타상 검사방법(KS W 0914)의 침투액계 타입 Ⅰ의 공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영구 착색렌즈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2. 검사하기 전 적어도 1분 동안 암실에 적응해야 한다.
  3. 자외선의 강도는 구성부품 표면에서 최소 800㎼/cm2이상이여야 한다.
  4. 배경이 과잉으로 형광을 발하는 구성 부품은 청정화하여 재처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34%)
  • "자외선의 강도는 구성부품 표면에서 최소 800㎼/cm2이상이여야 한다." 이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을 드리면, 침투액계 타입 Ⅰ의 공정에서는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침투액의 침투 상태를 검사합니다. 이때 자외선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침투액의 침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최소 800㎼/cm2 이상의 강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0816)에 따른 결함지시의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시모양이 네모 모양은 선상 침투지시이다.
  2. 지시모양이 가는 세선일 때 원형상 침투지시이다.
  3. 갈라짐 이외의 결함으로 그 길이가 나비의 3배 이상일 때는 선상 침투지시모양이다.
  4. 갈라짐 이외의 결함으로 그 길이가 나비의 3배 미만일 때는 선상 침투지시모양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갈라짐 이외의 결함으로 그 길이가 나비의 3배 이상일 때는 선상 침투지시모양이다."입니다.

    선상 침투지시모양은 결함의 길이가 나비의 3배 이상이며, 갈라짐 이외의 결함일 때 나타납니다. 이는 결함이 일정한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모양이기 때문에 선상 침투지시모양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갈라짐 이외의 결함이고 길이가 나비의 3배 이상일 때는 선상 침투지시모양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대략구분)

41. 정부기관의 서브도메인에 해당되는 것은?

  1. re
  2. com
  3. co
  4. go
(정답률: 24%)
  • 정부기관의 서브도메인은 "go"입니다. 이는 미국 정부에서 정부기관들이 사용하는 공식 도메인으로, "government"의 약어인 "go"가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부기관의 웹사이트 주소는 "xxx.gov" 형식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 네트워크 토폴리지는?

  1. 버스형
  2. 트리형
  3. 링형
  4. 스타형
(정답률: 16%)
  • 스타형은 중앙에 허브(Hub)가 있어서 다른 모든 장비들이 허브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한 장비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확장성이 높습니다. 또한, 각 장비들이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스타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대화나 집단 토론이 가능하며 문서파일, 그래픽 파일, 음성파일을 인터넷을 이용해 전달하는 것은?

  1. 메신저
  2. FTP
  3. 이메일
  4. 웹 하드
(정답률: 56%)
  • 메신저는 실시간으로 대화나 집단 토론이 가능하며, 파일 전송 기능도 제공하기 때문에 문서파일, 그래픽 파일, 음성파일 등을 인터넷을 이용해 쉽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 전송에 특화된 프로그램이지만 대화나 토론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메일은 파일 전송이 가능하지만 실시간 대화나 토론 기능이 없습니다. 웹 하드는 파일 저장 및 공유 기능을 제공하지만 대화나 토론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신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외부인이 자신의 공개되지 않은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 네트워크 내의 자원을 보호해 주는 것은?

  1. Gateway
  2. Firewall
  3. DNS
  4. Network Adapter
(정답률: 29%)
  • Firewall은 네트워크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여 외부에서 내부로의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외부로의 불필요한 정보 유출을 막아주는 보안장치입니다. 따라서 외부인이 자신의 공개되지 않은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 네트워크 내의 자원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터넷 응용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Usenet : 특정 데이터베이스 등을 키워드로 고속검색 할 수 있으며, 색인화 된 자료를 찾는데 유용한 서비스이다.
  2. Gopher :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사함들 간의 토론의 장으로 일종의 전자게시판에 해당한다.
  3. Archie : 인터넷은 수천 개의 사이트에서 수백만개의 파일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파일이나 정보를 찾기 위해 개발된 것이 아키(Archie) 서비스이다.
  4. WAIS : TUI 형식으로 간단한 메뉴 방식으로 보다 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검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이다.
(정답률: 33%)
  • Archie는 인터넷에서 수많은 파일과 정보를 찾기 위해 개발된 서비스이다. 다른 보기들은 Usenet은 데이터베이스 검색, Gopher는 전자게시판, WAIS는 간단한 메뉴 방식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탄소강의 청열메짐은 약 몇 ℃ 정도에서 일어나는가?

  1. 500~600℃
  2. 200~300℃
  3. 50~150℃
  4. 20℃이하
(정답률: 52%)
  • 탄소강의 청열메짐은 200~300℃에서 일어납니다. 이는 탄소강의 수축률이 크기 때문입니다. 수축률이란 금속이 냉각되면서 크기가 줄어드는 정도를 말하는데, 탄소강은 다른 금속에 비해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에서 청열메짐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온도는 200~30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금속의 일반적인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전기 및 열의 부도체이다.
  2. 전성은 좋으나 연성이 나쁘다.
  3. 금속은 모두 은백색의 광택이 있다.
  4. 수은을 제외한 금속은 고체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55%)
  • 수은은 액체 상태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결정구조를 가지지 않습니다. 그 외의 금속들은 고체 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험편에 압입 자국을 남기지 않거나 시험편이 큰 경우 재료를 파괴시키지 않고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기는?

  1. 쇼어 경도기
  2. 로크웰 경도기
  3. 브리넬 경도기
  4. 브커즈 경도기
(정답률: 54%)
  • 쇼어 경도기는 시험편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작은 크기의 시험편에서도 경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를 파괴시키지 않고 경도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쇼어 경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형상 기억 합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탄성형 마테자이트가 형상 기억 효과를 일으킨다.
  2.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내는 합금은 반드시 마텐자이트 변태를 한다.
  3. 마텐자이트 변태를 하는 합금은 모두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낸다.
  4. 원하는 형태로 변형 시킨 후에 원래 모상의 온도로 가열 하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간다.
(정답률: 49%)
  • "마텐자이트 변태를 하는 합금은 모두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형상 기억 합금은 마테나이트 변태를 일으키는 합금이 대부분이지만, 모든 마테나이트 변태 합금이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내는 합금은 마테나이트 변태를 일으키는 것 외에도, 오스테나이트 변태나 피닉스 변태 등 다양한 변태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탄소강의 표준 조직이 아닌 것은?

  1. 오스테나이트
  2. 시멘타이트
  3. 펄라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48%)
  • 마텐자이트는 탄소강의 표준 조직이 아닙니다. 이유는 마텐자이트는 강화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조직으로, 고온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형성되지 않으며, 탄소강의 표준 조직은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펄라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특수한 방법으로 제조한 알루미나가루와 알루미늄가루를 압축성형하고, 약 550℃에서 소결한 후 열간압출하여 사용하는 재료로 일명 SAP라 불리우는 것은?

  1. 내열용 Al 의 총칭
  2. Al 분말의 소결품
  3. Al 제품 중 초경질 합금
  4. 피스톤용 합금 계열의 총칭
(정답률: 35%)
  • SAP는 알루미나가루와 알루미늄가루를 특수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압축성형하고 소결한 후 열간압출하여 만들어진 재료입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조된 SAP는 내열성과 강도가 뛰어나며, 특히 알루미늄 분말의 소결품이기 때문에 알루미늄 제품 중 초경질 합금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l 분말의 소결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금속의 격자결함이 아닌 것은?

  1. 가로결함
  2. 면결함
  3. 점결함
  4. 공공
(정답률: 26%)
  • 가로결함은 금속의 격자 구조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웃한 원자들 간의 결합이 약해져서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따라서 가로결함은 금속의 격자결함 중 하나이며, 면결함, 점결함, 공공은 모두 금속의 격자결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Fe-C상태도에서 0.8%C 함유하며, 723℃에서 ↔ +Fe C 로 반응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공정반응
  2. 공석반응
  3. 편정반응
  4. 포정반응
(정답률: 46%)
  • 이 반응은 공석반응이라고 합니다. 이유는 0.8%C 함유한 Fe-C 상태도에서 723℃에서 반응이 일어날 때, 탄소 원자들이 Fe-C 상태도에서 떨어져 나와 공석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공석반응은 철강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초강 두랄루민(ESD)계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

  1. Al-Cu계 합금
  2. Al-Si계 합금
  3. Al-Cu-Si 계 합금
  4. Al-Mg-Zn 계 합금
(정답률: 46%)
  • 초강 두랄루민(ESD)계의 주성분은 Al-Mg-Zn 계 합금입니다. 이는 ESD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주요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Al-Mg-Zn 계 합금은 내식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 항공기,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석조정을 0.80C라고 하면, 0.2%C 강의 상온에서의 초석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비는 약 몇 %인가?

  1. 초석페라이트 75% : 펄라이트 25%
  2. 초석페라이트 25% : 펄라이트 75%
  3. 초석페라이트 80% : 펄라이트 20%
  4. 초석페라이트 20% : 펄라이트 80%
(정답률: 38%)
  • 공석조정이 0.80C이므로, 0.2%C 강은 공석조정보다 0.60C 낮은 탄소함량을 가지게 됩니다. 이 경우, 0.60C의 강은 초석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구성되며, 초석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비는 Fe-C 상도에서 75% : 2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석페라이트 75% : 펄라이트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정 온도에서 갑자기 전기저항이 0(Zero) 이 되는 현상은?

  1. 초전도
  2. 비정질
  3. 클래드
  4. 부도체
(정답률: 46%)
  • 일정 온도에서 갑자기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은 초전도 현상입니다. 이는 초전도체가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으로, 이 온도를 초전도전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전기저항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네이벌 황동(Naval Brass)이란?

  1. 6 : 4 황동에 Sn을 약 0.75 ~ 1% 정도 넣은 것
  2. 7 : 3 황동에 Mn을 약 2.85 ~ 3% 정도 넣은 것
  3. 3 : 7 황동에 Pb을 약 3.55 ~ 4% 정도 넣은 것
  4. 4 : 6 황동에 Fe을 약 4.95 ~ 5% 정도 넣은 것
(정답률: 45%)
  • 네이벌 황동은 해양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황동 합금으로, 내식성과 기계적 강도가 높습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6:4 황동에 약 0.75~1% 정도의 주철(Sn)을 첨가하여 제조됩니다. 이는 주철이 황동의 기계적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강재표면의 흠이나 개재물, 탈탄층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될 수 있는 대로 얇게 그리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은?

  1. 아크에어 가우징
  2. 용사법
  3. 피닝
  4. 스카핑
(정답률: 48%)
  • 스카핑은 강재표면의 흠이나 개재물, 탈탄층 등을 제거하기 위해 얇게 그리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입니다. 따라서 스카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소 - 아스틸렌가스용접을 할 때 사용하는 연강용가스 용접봉의 재질에 첨가된 화학성분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탄소(C) : 강의 강도는 증가하나 연신율과 굽힙성은 감소한다.
  2. 규소(Si) : 강도는 증가하나, 기공이 발생한다.
  3. 인(P) : 강에 취성을 주며, 가연성을 잃게 한다.
  4. 유황(S) : 용접부의 저항력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23%)
  • "규소(Si) : 강도는 증가하나, 기공이 발생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규소는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지만, 과도한 첨가로 인해 용접봉 내부에서 기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규소 첨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크전류 150A, 아크전압 25V, 용접속도 15㎝/mindls 경우 용접단위 길이 1㎝당 발생하는 용접입열은 약 몇 joule/㎝ 인가?

  1. 15000
  2. 20000
  3. 25000
  4. 30000
(정답률: 22%)
  • 용접입열은 아크전류, 아크전압, 용접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아크전류가 150A, 아크전압이 25V, 용접속도가 15㎝/min이 주어졌다.

    용접단위 길이 1㎝당 발생하는 용접입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용접입열 = (아크전류 x 아크전압 x 용접속도) / 10

    = (150A x 25V x 15㎝/min) / 10

    = 56250 joule/m

    따라서, 용접단위 길이 1㎝당 발생하는 용접입열은 약 56250 joule/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 길이가 1㎝이므로,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1m을 100으로 나누어야 한다.

    용접입열 = 56250 joule/m ÷ 100

    = 562.5 joule/㎝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을 joule/㎝ 대신에 joule/㎝으로 표기하고 있다. 따라서, 답을 1000으로 곱해주어야 한다.

    용접입열 = 562.5 joule/㎝ x 1000

    = 562500 joule/㎝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 중에서 "15000"과 가장 가깝다.

    하지만, 문제에서 용접입열을 구하는 공식에서 10으로 나누는 부분이 있다. 이는 joule/㎝ 대신에 kJ/㎝으로 답을 구할 때 사용하는 공식이다. 따라서, 답을 1000으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용접입열 = 56250 joule/m ÷ 1000

    = 56.25 joule/㎝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 중에서는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15000"이 아니며, 주어진 정보로는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