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06)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2014-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침투탐상시험법(대략구분)

1. 금속 내부 불연속을 검출하는데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

  1. 와전류탐상시험, 누설시험
  2. 누설시험, 자분탐상시험
  3. 초음파탐상시험, 침투탐상시험
  4. 방사선투과시험, 초음파탐상시험
(정답률: 88%)
  • 금속 내부 불연속을 검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의 조합은 방사선투과시험과 초음파탐상시험입니다. 이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살펴보는 방사선투과시험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탐지하는 초음파탐상시험이 각각 물체 내부의 다른 부분을 검사하기 때문입니다. 와전류탐상시험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불연속을 검출하는 방법이므로 금속 내부 불연속을 검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누설시험과 자분탐상시험은 물체의 표면을 검사하는 방법이므로 금속 내부 불연속을 검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침투탐상시험은 물체의 표면을 침투시켜 불연속을 검출하는 방법이므로 금속 내부 불연속을 검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세성 형광침투액과 건식현상제를 사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을 표현한 것은?

  1. FA-D
  2. FB-D
  3. FA-S
  4. FB-S
(정답률: 73%)
  • FA-D는 수세성 형광침투액과 건식현상제를 사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 이는 수세성 형광침투액과 건식현상제를 사용하여 검체 내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FA-S와 FB-D, FB-S는 다른 검사 방법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세성 염색침투탐상검사에 습식 현상제를 사용할 때의 시험순서로 옳은 것은?

  1. 전처리 → 침투처리 → 제거처리 → 건조처리 → 현상처리 → 관찰
  2. 전처리 → 침투처리 → 세척처리 →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3. 전처리 → 침투처리 → 세척처리 → 유화처리 → 제거처리→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4. 전처리 → 세척처리 → 침투처리 →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정답률: 66%)
  • 정답은 "전처리 → 침투처리 → 세척처리 → 현상처리 → 건조처리 → 관찰"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처리: 시료를 청소하고 표면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침투액이 균일하게 흡수되도록 합니다.
    - 침투처리: 침투액을 시료에 적용하여 침투시킵니다.
    - 세척처리: 침투액을 제거하고 시료를 세척하여 침투액이 남아있지 않도록 합니다.
    - 현상처리: 침투액이 반응하여 형성된 결정을 시료에서 노출시키기 위해 현상액을 적용합니다.
    - 건조처리: 시료를 건조시켜 결정을 안정화시킵니다.
    - 관찰: 결정의 형태, 크기, 위치 등을 관찰하여 검사 결과를 판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포누설검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누설 위치의 판별이 빠르다.
  2. 경제적이나 안정성에 문제가 많다.
  3. 기술의 숙련이나 경험을 크게 필요로 한다.
  4. 프로브(탐침)나 스니퍼(탐지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답률: 74%)
  • 기포누설검사는 누설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누설 위치의 판별이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기계나 시설물 등에서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서 수리나 보수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코일법으로 자분탐상시험을 할 때 요구되는 전류는 몇 A인가? (단, 은 3, 코일의 감은 수는 10회, 여기서 L 은 봉의 길이이며, D 는 봉의 외경이다.)

  1. 40
  2. 700
  3. 1167
  4. 1500
(정답률: 46%)
  • 코일법으로 자분탐상시험을 할 때 요구되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 = (2πfμNL²) / D

    여기서 f는 주파수, μ는 자기도체율, N은 코일의 감은 수, L은 봉의 길이, D는 봉의 외경입니다.

    문제에서 f와 μ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인 f=60Hz, μ=4π×10^-7 H/m을 대입합니다.

    그러면 I = (2π×60×4π×10^-7×10×3²) / 0.02 ≈ 1500 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사선투과시험(RT)과 초음파탐상시험(UT)을 비교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결함형상 판별에는 UT가 더 유리하다.
  2. 체적결함 검출에는 RT가 더 유리하다.
  3. 결함위치 판정에는 UT가 더 유리하다.
  4. 결함길이 판정에는 RT가 더 유리하다.
(정답률: 44%)
  • "결함형상 판별에는 UT가 더 유리하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UT는 결함의 형상을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이는 UT가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결함 내부의 소리 파동을 측정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결함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T는 결함의 크기, 형상,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함길이 판정에는 RT가 더 유리하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RT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결함 내부의 밀도 차이를 측정하므로, 결함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함의 길이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는 RT가 더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누설을 통한 기체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기체의 분자량
  2. 기체의 점도
  3. 압력의 차이
  4. 기체의 색
(정답률: 87%)
  • 기체의 색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적인 특성이며, 누설을 통한 기체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체의 색은 누설을 통한 기체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닙니다. 반면, 기체의 분자량, 점도, 압력의 차이는 누설을 통한 기체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초음파탐상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펄스반사법이 많이 이용된다.
  2. 내부조직에 따른 영향이 작다.
  3. 불감대가 존재한다.
  4. 미세균열에 대한 감도가 높다.
(정답률: 64%)
  • 초음파탐상검사는 펄스반사법을 이용하여 진행되며, 불감대가 존재하고 미세균열에 대한 감도가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조직에 따른 영향이 작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초음파는 조직의 밀도와 탄성에 따라 반사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내부조직에 따른 영향이 큽니다. 예를 들어, 지방과 근육은 초음파를 다르게 반사하기 때문에 초음파탐상검사에서도 구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자기 원리를 이용한 비파괴검사법은?

  1. 와전류탐상시험
  2. 침투탐상시험
  3. 방사선투과시험
  4. 초음파탐상시험
(정답률: 90%)
  • 와전류탐상시험은 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불량 부위를 검출하는 비파괴검사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있는 물질에서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불량 부위를 탐지합니다. 불량 부위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자기장이 약해지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여 불량 부위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금속, 합금, 전기절연체 등 다양한 물질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고 빠른 검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초음파탐상시험법의 분류 중 송,수신 방식의 분류가 아닌것은?

  1. 반사법
  2. 투과법
  3. 경사각법
  4. 공진법
(정답률: 62%)
  • 초음파탐상시험법의 분류 중 송,수신 방식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방법과 수신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고, 반사법, 투과법, 공진법은 초음파가 물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경사각법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방법과 수신하는 방법, 초음파가 물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경사각법은 물체의 표면을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그 반사파를 측정하여 물체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분탐상시험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시험체는 강자성체가 아니면 적용할 수 없다.
  2. 자속은 가능한 한 결함 면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3. 일반적으로 깊은 결함 검출이 곤란하다.
  4. 시험체 두께 방향의 결함 높이와 형상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0%)
  • 자분탐상시험은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시험체의 표면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자기장이 결함 부근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측정하여 결함을 검출한다. 이 방법은 시험체가 강자성체일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며, 자속은 가능한 한 결함 면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깊은 결함 검출이 곤란하다는 특징이 있지만, 시험체 두께 방향의 결함 높이와 형상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방사선투과시험시 관용도(latitude)가 큰 필름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관전압이 올라간다.
  2. 관전압이 내려간다.
  3. 콘트라스트가 높아진다.
  4. 콘트라스트가 낮아진다.
(정답률: 41%)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관용도가 큰 필름을 사용하면, 더 많은 방사선이 필름을 통과하여 이미지가 더 밝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이미지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간의 대비가 줄어들어 콘트라스트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콘트라스트가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와전류탐상시험의 탐상코일 중 외삽 코일과 같은 의미에 속하는 것은?

  1. 내삽 코일(inner coil)
  2. 표면 코일(surface coil)
  3. 프로브 코일(probe coil)
  4. 관통 코일(encircling coil)
(정답률: 56%)
  • 외삽 코일은 탐상 대상물의 외부를 둘러싸는 코일로, 관통 코일은 탐상 대상물을 둘러싸는 코일입니다. 따라서 관통 코일은 외삽 코일과 같은 의미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원자핵의 분류 중 는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1. 동중핵
  2. 동위원소
  3. 동중성자핵
  4. 핵이성체
(정답률: 74%)
  • 는 모두 원자핵 내에 있는 원자핵 입자인 양성자와 중성자의 수가 같은 원자핵 입자들입니다. 이러한 원자핵 입자들을 동위원소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위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침투탐상시험에서 속건식 현상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검출감도가 비교적 높다.
  2. 현상제의 도막을 형성한다.
  3. 현상제에 휘발성 용매를 사용한다.
  4. 현상 후에 반드시 건조처리를 해야 한다.
(정답률: 55%)
  • 현상 후에 반드시 건조처리를 해야 하는 이유는 현상제에 남아있는 휘발성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휘발성 용매가 남아있으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건조처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상 후에 반드시 건조처리를 해야 한다."가 아닌 것은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침투탐상시험시 단조품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함은?

  1. 탕계(Cold Shut)
  2. 겹침(Forging Lap)
  3. 블로 홀(Blow hole)
  4. 수축공(Shrinkage cavity)
(정답률: 44%)
  • 단조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 중에서 겹침은 단조 과정에서 금속이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두 개 이상의 금속 조각이 겹쳐진 결함을 말합니다. 이는 단조 과정에서 금속이 충분히 융해되지 않거나 금속 조각이 충분히 압축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겹침 결함은 단조품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므로 침투탐상시험에서 검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침투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휘발성이 좋아야 한다.
  2. 침투력이 좋아야 한다.
  3. 큰 개구에도 잔류할 수 있어야 한다.
  4. 과잉침투액은 쉽게 제거되어야 한다.
(정답률: 78%)
  • 정답: 큰 개구에도 잔류할 수 있어야 한다.

    침투제는 표면장력을 낮추고 물방울이 퍼지는 것을 돕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침투제는 휘발성이 좋아야 합니다. 휘발성이 좋을수록 침투제가 적용된 표면에서 빠르게 증발하므로 침투제의 효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침투탐상시험에서 습식현상제를 사용한 후 가장 필요한 장비는?

  1. 건조기
  2. 현상탱크
  3. 세척탱크
  4. 침투탱크
(정답률: 70%)
  • 습식현상제를 사용한 후에는 건조기가 가장 필요합니다. 이는 습식현상제를 사용하면 부피가 커지고 물기가 많아지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고 부피를 줄이기 위해 건조기가 필요합니다. 건조기는 습기를 제거하여 부피를 줄이고, 시료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침투탐상시험에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침투액의 온도가 16℃ 일 때 상대밀도의 범위로 옳은 것은?

  1. 0.26 ~ 0.46
  2. 0.56 ~ 0.76
  3. 0.86 ~ 1.06
  4. 1.26 ~ 1.46
(정답률: 56%)
  • 침투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침투액은 일정한 온도에서 사용되어야 합니다. 만약 침투액의 온도가 16℃일 때, 상대밀도가 0.86 ~ 1.06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이는 침투액의 상대밀도가 이 범위 내에 있을 때, 침투액의 흐름이 적절하게 일어나며, 시험의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상대밀도 범위에서는 침투액의 흐름이 불안정하거나 시험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유화제의 주요 기능에 대한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표면에 있는 잉여침투액과 반응하여 수세성을 용이하게 한다.
  2. 침투액의 침투 능력을 도와준다.
  3. 얕은 개구에 있는 침투액을 빨아낸다.
  4. 현상제가 잘 도포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답률: 66%)
  • 유화제는 표면에 있는 잉여침투액과 반응하여 수세성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침투액이 물체 표면에 잘 퍼지고 침투 능력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유화제는 침투액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침투탐상관련규격(대략구분)

21. 형광침투탐상검사에 사용되는 자외선조사장치의 시험품 표면에서의 강도가 적절하지 않는 것은? (단, 자외선조사장치 전면 필터에서 시험품 표면까지의 거리가 38cm 이다.)

  1. 500μW/cm2
  2. 800μW/cm2
  3. 900μW/cm2
  4. 1000μW/cm2
(정답률: 47%)
  • 자외선조사장치의 시험품 표면에서의 강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시험품 표면에 충분한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외선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강도가 약해지므로, 시험품 표면까지의 거리가 38cm인 경우에는 강도가 500μW/cm2 이하가 되어야 충분한 자외선이 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μW/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침투탐상검사에서 현상제를 사용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시의 흡출
  2. 지시의 분산
  3. 가시성 증대
  4. 의사지시 발생 억제
(정답률: 50%)
  • 현상제는 침투탐상검사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표면에 묻은 지시액을 빠르게 흡수하여 표면의 습기를 제거하고, 지시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가시성을 증대시킵니다. 그러나 현상제는 지시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로 인해, 의사지시 발생 억제에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의사지시 발생 억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침투탐상검사를 하기 전 시험체의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전처리 공정이 왜 필요한지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함과 주위 배경과의 식별 능력을 향상시킨다.
  2. 침투제가 이물질과 반응하여 의사지시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3. 침투제가 시험체 표면을 충분히 적시고 결함 속으로 잘 침투하도록 한다.
  4. 침투제가 도금, 코팅, 페인트에도 잘 투과되도록 하여 결함 식별 능력을 향상시키게 한다.
(정답률: 50%)
  • "결함과 주위 배경과의 식별 능력을 향상시킨다."가 틀린 것입니다. 전처리 공정은 시험체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어 침투제가 충분히 적시되고 결함 속으로 잘 침투하도록 하여 결함을 식별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침투제가 도금, 코팅, 페인트에도 잘 투과되도록 하는 것은 결함을 놓치지 않고 식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침투비파괴검사 방법으로 잘 검사하지 않는 재료는?

  1. 표면이 거칠고 기공이 많은 세라믹스
  2. 구리
  3. 알루미늄
  4. 탄소강
(정답률: 86%)
  • 침투비파괴검사는 표면이 매끄럽고 기공이 적은 재료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표면이 거칠고 기공이 많은 세라믹스는 침투액이 기공에 침투하여 검사 결과를 왜곡시키기 때문에 잘 검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표면이 거칠고 기공이 많은 세라믹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침투탐상시험이 누설시험을 대체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검사체의 온도가 30℃ 이면 곤란하므로
  2. 표면이 깨끗하면 누설시험이 곤란하므로
  3. 염색침투액보다는 형광침투액을 사용해야 하므로
  4. 검사체의 한 면만으로는 관찰 또는 접근이 곤란하므로
(정답률: 69%)
  • 침투탐상시험이 누설시험을 대체할 수 없는 경우는 검사체의 한 면만으로는 관찰 또는 접근이 곤란한 경우입니다. 이는 검사 대상이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거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모든 면을 살펴볼 수 없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침투탐상시험을 통해 검사 대상의 모든 면을 살펴볼 수 있으며,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침투액을 적용하는 방법 중 정전(electrostatic) 분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속 분무가 가능하다.
  2. 과잉 분무가 되지 않는다.
  3. 소형 또는 좁은 면적의 시험체의 적용에 적합하다.
  4. 필요한 최소한의 침투액만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정답률: 54%)
  • 정전 분무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침투액을 분사하는 방법으로, 분사된 액체 입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묶여 과잉 분무가 되지 않으며, 고속 분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 또는 좁은 면적의 시험체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이유는, 정전 분무는 분사된 입자들이 서로 묶여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작은 면적에도 필요한 최소한의 침투액을 경제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침투탐상시험시 소형 부품을 대량 세척할 때 가장 효과적인 세척장치는?

  1. 초음파 세척장치
  2. 트리클로로에틸렌 증기 세척장치
  3. 수압이 5kg/cm2 이하의 유수
  4. 100mesh 정도의 모래분사 (sand blasting)
(정답률: 50%)
  • 소형 부품은 표면적이 작아 세척이 어렵기 때문에 초음파 세척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초음파는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여 물속에서 공기 포집 현상이 일어나면서 물속에서 폭발하는 작용을 일으켜 부품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초음파 세척장치는 부품에 물리적인 충격을 주지 않으므로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른 탐상제의 점검방법에서 겉모양검사를 하였을 때 침투액과 유화제의 폐기 사유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1. 점도의 변화
  2. 세척성의 저하
  3. 형광휘도의 저하
  4. 현저한 흐림이나 침전물 발생
(정답률: 75%)
  • 겉모양검사에서 현저한 흐림이나 침전물 발생이 나타나면 침투액이나 유화제에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거나, 이미 사용된 것이라서 폐기해야 할 상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검사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우주용 기긱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서 규정하고 있는 침투 탐상 검사의 적용대상이 아닌 것은?

  1. 공정중 검사
  2. 최종검사
  3. 정비 검사
  4. 소재 검사
(정답률: 48%)
  • KS W 0914에서 규정하고 있는 침투 탐상 검사는 기계적인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에 대해 적용되며, 이는 공정중 검사, 최종검사, 정비 검사 등 다양한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재 검사는 침투 탐상 검사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소재 자체에 결함이 있는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재 검사는 다른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우주용 기긱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서 탐상 결과의 검사기록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의뢰처 및 검사 장소
  2. 사용한 개개 순서서의 인용
  3. 결함 지시 무늬의 위치, 종류 및 조치
  4. 검사원의 서명 및 기량 인정 레벨과 검사일
(정답률: 49%)
  • 의뢰처 및 검사 장소는 검사 결과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검사 결과의 검사기록에는 검사 과정에서 발견된 결함에 대한 정보와 해당 결함에 대한 조치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우주용 기긱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 따라 검사할 때 타입II인 경우 조명장치의 조도는?

  1. 시험편 표면에서 1000 lx 이하
  2. 시험편 표면에서 1000 lx 이상
  3. 시험편 표면에서 20 lx 이하
  4. 시험편 표면에서 20 lx 이상
(정답률: 52%)
  • 타입 II는 표면이 거친 경우로, 검사 시 표면의 결함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높은 조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험편 표면에서 1000 lx 이상의 조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규정한 시험체의 전처리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용제에 의한 세척
  2. 도막박리제에 의한 제거 처리
  3. 산 세척
  4. 그리인딩에 의한 제거 처리
(정답률: 53%)
  • 그리인딩은 시험체의 표면을 깎아내는 과정으로, 시험체의 형상이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처리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리인딩에 의한 제거 처리는 올바른 전처리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우주용 기긱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 따른 정치식 형광 침투탐상 장치(타입I)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 장소의 점검으로 옳은 것은?

  1. 매일 점검하고 청정도, 형광 오염의 유무를 점검하여야 한다.
  2. 매일 점검하고 배경상의 잔류 백색광에 대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3. 검사장소는 난잡하거나 형광 오염이 일부 남아 있어도 된다.
  4. 주1회 점검하고, 청정도, 형광 오염의 유무를 점검하여야 한다.
(정답률: 60%)
  • 정치식 형광 침투탐상 장치는 검사 대상 부위에 형광 검사액을 침투시켜서 결함을 탐지하는데, 이때 검사 장소의 청정도와 형광 오염의 유무가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1회 점검하고 청정도와 형광 오염의 유무를 점검해야 합니다. 매일 점검하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고, 배경상의 잔류 백색광에 대해서만 점검하면 형광 오염을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보기는 옳지 않습니다. 검사장소가 난잡하거나 형광 오염이 일부 남아 있어도 된다는 보기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의한 형광침투탐상시 관찰을 위한 자외선 강도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1.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상
  2.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하
  3. 시험체 표면에서 500[lx] 이상
  4. 자외선등에서 38cm 떨어진 거리에서 500[lx] 이상
(정답률: 63%)
  • 침투탐상 시험은 시험체의 표면에 침투액을 떨어뜨린 후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침투액이 표면 및 내부로 침투되는 모습을 관찰하는 시험입니다. 이때 자외선 강도는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침투액이 시험체 내부로 침투되는 모습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자외선 강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자외선 강도가 낮다면 침투액이 시험체 내부로 침투되는 모습을 제대로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시험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험체 표면에서 800μW/cm2 이상의 자외선 강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우주용 기긱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 따라 탐상시 재료 및 공정의 제한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염색침투액계의 탐상시 수용성의 현상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염색침투탐상검사는 항공우주용 제품의 최종 수령검사에 이용해서는 안 된다.
  3. 동일한 검사면에 적용되는 형광침투탐상검사는 염색침투탐상검사 전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터빈 엔진의 중요 구성부품 정비검사는 친수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초고감도 형광침투액을 사용한다.
(정답률: 37%)
  • "동일한 검사면에 적용되는 형광침투탐상검사는 염색침투탐상검사 전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이 틀린 내용입니다. 이유는 형광침투탐상검사와 염색침투탐상검사는 서로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검사면에서 둘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형광침투탐상검사를 먼저 사용하고, 그 후에 염색침투탐상검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라 시험할 때 온도가 3~15℃ 범위에 있을 경우 침투시간은?

  1. 표준 온도에서의 침투 시간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2. 온도를 고려하여 침투 시간을 늘인다.
  3. 온도를 고려하여 침투 시간을 줄인다.
  4. 침투 시간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71%)
  • 온도가 낮을수록 액체의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침투액의 이동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을 경우 침투시간을 늘여야 충분한 침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른 시험결과, 길이 3mm 인 둥근 형태의 지시와 1.5mm 떨어진 동일 선상에 길이 10mm 의 균열에 의한 지시가 관찰되었다. 이 지시는 어떤 결함으로 분류되는가?

  1. 갈라짐
  2. 선상 결함
  3. 연속 결함
  4. 분산 결함
(정답률: 57%)
  • 이 지시는 "연속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이유는 1.5mm 떨어진 동일 선상에 길이 10mm의 균열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균열은 둥근 형태의 지시와 연속되어 있으며, 결함이 일정한 구간에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연속 결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시험방법의 기호가 DFC-N 일 때 적용하는 침투액과 현상법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수세성 이원성 형광침투액-무현상법
  2. 용제제거성 이원성 형광침투액-무현상법
  3. 후유화성 형광침투액(물베이스유화제)-무현상법
  4. 후유화성 이원성 형광침투액(기름베이스유화제)-무현상법
(정답률: 70%)
  • 정답은 "용제제거성 이원성 형광침투액-무현상법"입니다.

    DFC-N은 침투탐상 시험방법 중 하나로, 용제제거성 이원성 형광침투액을 사용합니다. 이 침투액은 표면에 남아있는 오일, 녹슨 부분 등을 제거하고, 침투액이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합니다. 무현상법은 침투액이 표면에 남아있는 동안 시간을 두어 침투액이 스며들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DFC-N 시험에서는 용제제거성 이원성 형광침투액-무현상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의해 강용접부를 탐상시험을 하였더니 그림과 같은 결함이 거의 동일 선상에 나타났다. 이 결함은 어떻게 판정하며, 또한 결함 길이는 몇 mm인가?

  1. 2개로 판정하며, 각각 길이는 3, 3
  2. 1개로 판정하며, 길이는 6
  3. 1개로 판정하며, 길이는 7
  4. 3개로 판정하며, 각각 길이는 3, 1, 3
(정답률: 74%)
  • 이 결함은 "선형 결함"으로 분류되며, "길이가 7mm 이하인 경우 1개의 결함으로 판정"되므로 1개로 판정하며, 결함의 길이는 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VD-S의 방법으로 침투탐상검사를 할 때 시험공정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전처리-침투처리-예비세척처리-유화처리-세척처리-건조처리-현상처리-관찰-후처리
  2. 전처리-침투처리-유화처리-세척처리-건조처리-현상처리-관찰-후처리
  3. 전처리-침투처리-예비세척처리-유화처리-건조처리-현상처리-관찰-후처리
  4. 전처리-침투처리-예비세척처리-유화처리-세척처리-건조처리-현상처리-건조처리-관찰-후처리
(정답률: 37%)
  • 정답은 "전처리-침투처리-예비세척처리-유화처리-세척처리-건조처리-현상처리-관찰-후처리" 입니다.

    VD-S 방법은 침투탐상검사 중 하나로, 시험물질 표면에 있는 결함이나 불순물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전처리, 침투처리, 예비세척처리, 유화처리, 세척처리, 건조처리, 현상처리, 관찰, 후처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시험물질 표면을 청소하고 기름, 먼지 등을 제거합니다. 침투처리 단계에서는 침투액을 시험물질 표면에 뿌려 결함이나 불순물이 침투액에 흡수되도록 합니다. 예비세척처리 단계에서는 침투액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합니다. 유화처리 단계에서는 침투액이 흡수된 결함이나 불순물을 시험물질 표면에서 떼어내기 위해 유화제를 사용합니다. 세척처리 단계에서는 유화제를 제거하고 시험물질 표면을 깨끗하게 합니다. 건조처리 단계에서는 시험물질을 건조시킵니다. 현상처리 단계에서는 침투액이 흡수된 결함이나 불순물이 시험물질 표면에 나타나도록 합니다. 관찰 단계에서는 결함이나 불순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합니다. 후처리 단계에서는 시험물질 표면을 깨끗하게 하고 침투액이나 유화제 등을 제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대략구분)

41. 항공우주용 기기의 침투탐상 검사방법(KS W 0914)에서 검사품에 대한 표시방법의 우선순위로 맞는 것은?

  1. 각인-에칭-착색 순
  2. 에칭-착색-각인 순
  3. 착색-에칭-각인 순
  4. 에칭-각인-착색 순
(정답률: 47%)
  • 각인-에칭-착색 순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각인: 검사품에 직접 각인을 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검사품의 표면에 영구적인 표시를 할 수 있어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2. 에칭: 각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에칭을 통해 표시합니다. 에칭은 산화제를 이용하여 검사품의 표면을 부식시켜 표시하는 방법으로, 각인보다는 표면에 영구적인 표시를 할 수 없지만, 각인보다는 비교적 쉽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3. 착색: 각인과 에칭이 어려운 경우에는 착색을 통해 표시합니다. 착색은 표면에 색소를 칠하는 방법으로, 각인과 에칭보다는 표면에 영구적인 표시를 할 수 없지만, 각인과 에칭보다는 비교적 쉽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인-에칭-착색 순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른 침투탐상검사 시험방법의 조합으로 틀린 것은?

  1. VC-D
  2. DVA-W
  3. FB-A
  4. VB-S
(정답률: 42%)
  • VC-D 조합은 KS B 0816에서 제시된 시험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에 따른 조합이 아닙니다. 따라서 VC-D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비정질 합금의 제조법 중 기체 급랭법에 해당되는 것은?

  1. 단롤벌
  2. 원심법
  3. 스퍼터링법
  4. 스프레이법
(정답률: 50%)
  • 기체 급랭법은 높은 온도에서 빠르게 냉각하여 비정질 상태로 만드는 제조법입니다. 스퍼터링법은 고에너지 입자를 이용하여 원자나 분자를 표면에서 제거하여 증기 상태로 만든 후, 이를 기체 상태로 냉각하여 비정질 합금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스퍼터링법은 기체 급랭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압력이 일정한 Fe-C 평형상태도에서 공정점의 자유도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57%)
  • Fe-C 평형상태도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Fe와 C의 비율에 따라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때, 공정점은 Fe와 C의 비율이 일치하는 지점을 말한다.

    Fe-C 평형상태도에서는 Fe와 C의 비율이 일정하므로, 공정점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공정점은 자유도가 없다. 즉, 공정점의 위치는 다른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Fe와 C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자유도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두가지 이상의 금속 또는 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성분금속과는 다른 성질을 갖는 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공정 2원 합금
  2. 금속간 화합물
  3. 침입형 고용체
  4. 전율가용 고용체
(정답률: 65%)
  • 두 가지 이상의 금속 또는 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하여 만들어진 물질을 금속간 화합물이라고 합니다. 이는 성분금속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며, 강도나 내식성 등의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금속간 화합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원자의 배열이 불규칙한 상태를 하고 있으며, 결정입계, 전위, 편석 등 결정의 결함이 없고 표면 전체가 균일하고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은?

  1. 형상기억 합금
  2. 초소성 합금
  3. 초탄성 합금
  4. 비정질 합금
(정답률: 66%)
  • 비정질 합금은 원자의 배열이 불규칙한 상태를 하고 있으며, 결정입계, 전위, 편석 등 결정의 결함이 없고 표면 전체가 균일하고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비정질 합금은 고강도, 고내식성, 고마모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7-3황동에 주석을 1% 첨가한 것으로 전연성이 좋아 관 또는 판을 만들어 증발기, 열교환기 등의 재료로 사용 되는 것은?

  1. 양은
  2. 델타 메탈
  3. 네이벌 황동
  4.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률: 53%)
  • 애드미럴티 황동은 주석을 첨가하여 전연성이 좋아진 황동으로, 증발기나 열교환기 등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양은, 델타 메탈, 네이벌 황동은 애드미럴티 황동과는 다른 황동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금속조직학상으로 철강 재료를 분류할 때, 탄소함유량이 0.8~2.0%인 것은?

  1. 아공석강
  2. 아공정 주철
  3. 과공석강
  4. 과공정 주철
(정답률: 52%)
  • 탄소함유량이 0.8~2.0%인 것은 과공석강입니다. 이는 탄소 함유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고탄소강으로, 경도와 내구성이 높아져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금형 또는 칠 메탈이 붙어 있는 모래형에 주입하여 표면은 단단하고 내부는 회주철로 강인한 성질을 가지는 주철은?

  1. 칠드 주철
  2. 흑심 가단 주철
  3. 백심 가단 주철
  4. 구상 흑연 주철
(정답률: 56%)
  • 칠드 주철은 금형이나 칠 메탈에 주입하여 표면을 단단하게 만들고 내부를 회주철로 강화시키는 과정에서 칠을 입히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칠드 주철은 칠을 입히는 과정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의 재료 중 불순한 물질 또는 부식성 물질이 녹아 있는 수용액의 작용에 의해 표면 또는 내부에서 탈아연 되는 것은?

  1. 황동
  2. 엘린바
  3. 퍼멀로이
  4. 코슨합금
(정답률: 47%)
  • 황동은 부식성 물질이 녹아 있는 수용액의 작용에 의해 표면 또는 내부에서 탈아연 되는 것입니다. 이는 황동이 아주 부식성이 높은 물질인 염산과 반응하여 염화황을 생성하면서 아연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황동은 부식성 물질이 많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도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탄성률이 좋아 스프링 등 고탄성을 요하는 재료로 통신기기, 계기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인청동
  2. 망간청동
  3. 니켈청동
  4. 알류미늄청동
(정답률: 53%)
  • 인청동은 구리와 비례하여 비중이 높고, 탄성률이 높아 고탄성을 요하는 재료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통신기기, 계기 등에 사용되는 스프링 등의 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에 망간청동, 니켈청동, 알류미늄청동은 인청동보다 탄성률이 낮아서 스프링 등의 부품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대표적인 시효 경화성 합금은?

  1. 주강
  2. 두랄루민
  3. 화이트메탈
  4. 흑심가단주철
(정답률: 72%)
  • 두랄루민은 알루미늄, 구리, 망간, 마그네슘 등의 합금으로, 대표적인 시효 경화성 합금입니다. 이는 시효 경화 처리를 통해 강도와 경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지조직이 거의 페라이트(ferrite)로 된 것은?

  1. 스프링강
  2. 고망간강
  3. 공구강
  4. 순철
(정답률: 57%)
  • 기지조직이 거의 페라이트로 된 것은 순철이기 때문입니다. 순철은 탄소 함량이 매우 낮아 페라이트 비율이 높기 때문에 기지조직이 거의 페라이트로 된 것입니다. 스프링강, 고망간강, 공구강은 탄소 함량이 높아 오스라이트 비율이 높기 때문에 기지조직이 페라이트보다는 오스라이트로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용융점 금속이 아닌 것은?

  1. W
  2. Ta
  3. Zn
  4. Mo
(정답률: 59%)
  • 고용융점이란 물질이 고온에서 녹는 점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Zn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금속이 아니라 비금속입니다. 따라서 고용융점이 높은 금속들과는 달리 Zn은 비교적 낮은 고온에서 녹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금속에 냉간가공도가 커질수록 기계적 성질의 변화로 틀린것은?

  1. 경도가 커진다.
  2. 연신율이 커진다.
  3. 인장강도가 커진다.
  4. 단면수축율이 감소한다.
(정답률: 46%)
  • 연신율은 금속의 가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냉간가공도가 커질수록 금속의 결정 구조가 세분화되어 더 많은 결정 경계면이 생기기 때문에 연신율이 커진다. 이는 금속의 가공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신율이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피아노 선재, 레일 등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최경강인 이 재료의 탄소함량으로 옳은 것은?

  1. 0.13 ~ 0.20%C
  2. 0.30 ~ 0.40%C
  3. 0.50 ~ 0.70%C
  4. 1.50 ~ 2.0%C
(정답률: 38%)
  • 피아노 선재, 레일 등은 강도와 탄성이 높아야 하므로 탄소 함량이 높은 것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탄소 함량이 너무 높으면 깨지기 쉬워지므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0.50 ~ 0.70%C가 적절한 범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탄소 함량이 너무 낮거나 높아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성은 30~32% Ni, 4~6% Co 및 나머지 Fe을 함유한 합금으로 20℃에서 팽창계수가 0(zero)에 가까운 합금은?

  1. 알민(almin)
  2. 알드리(aldrey)
  3. 알클래드(alclad)
  4. 슈퍼인바(super invar)
(정답률: 71%)
  • 슈퍼인바(super invar)는 30~32% Ni, 4~6% Co 및 나머지 Fe으로 구성된 합금으로, 이 합금은 열팽창 계수가 매우 작아서 온도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슈퍼인바는 정밀한 기계 부품이나 규격이 엄격한 장비 등에서 사용되며, 온도 변화에 민감한 부품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철 분말의 화학반응열을 이용하여 철 도레일의 맞대기 용접에 적합한 용접법은?

  1. 테르밋용접
  2. TIG 용접
  3. 탄산가스 아크 용접
  4.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률: 53%)
  • 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철 분말의 화학반응열을 이용한 테르밋용접은 철 도레일의 맞대기 용접에 적합한 용접법입니다. 이는 테르밋용접이 용접부위를 녹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용접부위가 녹아서 결합하기 때문에 용접부위의 강도가 높아지며, 용접부위에 응력이 적용되지 않아 용접부위의 변형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테르밋용접은 용접부위에 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아 부식이나 산화에 강합니다. 따라서, 철 도레일의 맞대기 용접에는 테르밋용접이 가장 적합한 용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정격 2차 전류 200A이고 정격 사용률이 40% 인 아크용접기로 150A의 전류를 사용할 경우 허용사용률은 약 얼마인가?

  1. 71%
  2. 75%
  3. 81%
  4. 85%
(정답률: 39%)
  • 정격 2차 전류 200A 중 150A를 사용하면, 사용률은 150A / 200A = 0.75 이 됩니다. 하지만, 정격 사용률이 40% 이므로, 실제로는 0.75 x 0.4 = 0.3, 즉 30%의 사용률만 허용됩니다. 따라서, 30%를 40%로 나눈 값인 0.71, 즉 71%가 허용사용률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크 용접법 중 용극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피복 아크 용접법
  2.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법
  3. 불활성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법
  4. 이산화탄소 시일드 아크 용접법
(정답률: 48%)
  • 아크 용접법 중 용극식은 전극과 용접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불활성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법은 전극으로 텅스텐을 사용하고, 용접부위를 불활성가스로 보호하여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용극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