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건축산업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쇼핑센터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가 아닌 것은?

  1. 핵점포
  2. 몰(Mall)
  3. 페데스트리언 지대(pedestrian area)
  4. 터미널(Terminal)
(정답률: 알수없음)
  • 터미널은 쇼핑센터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가 아닙니다. 터미널은 대중교통이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이동하는 장소로, 쇼핑센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방적공장계획에서 무창공장이 채용되고 있는데 이 무창 공장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부에서의 소음의 침입이 없으므로 내부에서는 소음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2. 작업면의 조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3. 온습도 조정용의 동력소비량이 적다.
  4. 공장의 배치계획을 할 때 방위에 좌우되는 일이 적다.
(정답률: 71%)
  • "외부에서의 소음의 침입이 없으므로 내부에서는 소음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는 무창공장의 특징 중 하나이므로 옳은 설명이다. 무창공장은 외부와의 접촉이 적어 작업환경이 안정적이며, 작업면의 조도를 균일화할 수 있고 온습도 조정용의 동력소비량이 적으며, 방위에 좌우되는 일이 적은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택의 각실 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현관은 출입과 접객의 편리를 위해 크게 하면 할수록 좋다.
  2. 계단은 안전상 구배, 폭, 난간 및 마감방법에 중점을 두고 실내디자인상 의장적인 고려를 한다.
  3. 거실은 주행위(住行爲) 개개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합한 가구와 어느 정도 활동성을 고려한 계획이 되어야 한다.
  4. 식당 및 부엌은 능률좋게 하고 옥외작업장 및 정원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정답률: 40%)
  • "현관은 출입과 접객의 편리를 위해 크게 하면 할수록 좋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현관이 크면 출입과 접객이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복도형 아파트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도심지의 독신자 아파트에 많이 이용된다.
  2. 프라이버시가 나쁘고 시끄럽다.
  3. 채광, 통풍조건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4. 대지에 대한 건물이용도가 높다.
(정답률: 60%)
  • "채광, 통풍조건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중복도형 아파트는 일반적으로 형태가 복잡하고 내부 공간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채광과 통풍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층 사무소를 core system으로 계획할 때 장점이라고 할수 없는 것은?

  1. 설비의 집약
  2. 구조적인 이점
  3. 유효면적의 증가
  4. 독립성의 보장
(정답률: 32%)
  • 고층 사무소를 core system으로 계획할 때, 독립성의 보장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이는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이 어려워지고,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보다는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파사드 계획에 있어 보석상, 귀금속 상점 등 고객이 비교적 오래 머물러 있는 경우나 고객의 이용이 비교적 많지 않은 상점에 가장 적합한 형식은?

  1. 개방형
  2. 폐쇄형
  3. 중간형
  4. 혼합형
(정답률: 55%)
  • 고객이 비교적 오래 머물러 있는 경우나 이용이 적은 상점에는 폐쇄형이 적합합니다. 폐쇄형은 고객의 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아도 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점에 적합하며, 고객의 개인 정보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폐쇄형은 고객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아도 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상점건축에서 쇼윈도(Show window)의 반사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가리개를 설치한다.
  2. 내부를 외부보다 어둡게 한다.
  3. 곡면유리를 사용한다.
  4. 유리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정답률: 86%)
  • 내부를 외부보다 어둡게 하는 것은 옳은 방법이 아니다. 왜냐하면 쇼윈도는 상품을 보여주는 공간이기 때문에 내부가 어둡다면 상품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객들이 쇼핑하는 데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쇼윈도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가리개를 설치하거나 곡면유리를 사용하거나 유리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학교건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저학년과 고학년은 정신적, 육체적인 차이로 오는 마찰을 막기 위해 구획하여 준다.
  2.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종합교실형(U형)의 학교운영 방식이 장려된다.
  3. 단층교사는 옥외 학습활동과 연결이 좋으므로 저학년보다 체육활동이 많은 고학년에 알맞다.
  4. 다층교사는 설비를 집약시키기 쉽고 부지 이용율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34%)
  • 단층교사는 옥외 학습활동과 연결이 좋으므로 저학년보다 체육활동이 많은 고학년에 알맞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단층교사는 옥외 학습활동과 연결이 좋아 체육활동이 많은 고학년에 적합하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저학년에 적합하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유는 저학년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기 때문에 교실 내부에서의 활동이 많아야 하며, 단층교사는 교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장의 작업장 Layout의 계획시 다품종 소량생산이나 주문생산의 경우와 표준화가 행해지기 어려운 경우 채용되는 형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제품 중심의 Layout
  2. 고정식 Layout
  3. 공정 중심의 Layout
  4. 혼성식 Layout
(정답률: 60%)
  • 다품종 소량생산이나 주문생산의 경우와 표준화가 어려운 경우에는 제품 중심의 Layout이나 고정식 Layout보다는 공정 중심의 Layout이 적합합니다. 이는 공정별로 생산설비를 배치하여 작업의 순서와 흐름을 최적화하고,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작업공간의 변화에 따라 생산설비를 이동시키기 쉽기 때문에 유연성이 높아 다양한 생산환경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학교건축계획에서 공간의 융통성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 방안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내력벽 구조로 한다.
  2. 공간을 다목적으로 사용한다.
  3. 각 교실을 특수화 한다.
  4. 교지를 충분히 확보한다.
(정답률: 34%)
  • 공간을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유연성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교실을 수업시간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방과후 학습, 동아리 활동, 회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고층 공동주택에서 이웃간의 친교형성이 가장 빈번히 일어날 수 있는 곳은?

  1. 계단실
  2. 주호 앞 현관
  3. 주동의 현관
  4. 관리사무실
(정답률: 46%)
  • 주동의 현관은 고층 공동주택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곳이며, 이웃간의 만남이 자주 일어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또한 주호 앞 현관은 개인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이웃간의 친교형성이 일어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계단실은 통행이 많아서 이웃간의 만남이 일어날 수는 있지만, 주동의 현관보다는 빈도가 적을 수 있습니다. 관리사무실은 주민들이 자주 방문하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웃간의 친교형성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물의 계획시 모듈을 설정하여 척도를 조정함으로써 얻게 되는 잇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축구성재의 생산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2. 형태가 다양해진다.
  3. 미적질서를 갖게 된다.
  4.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물의 계획시 모듈을 설정하여 척도를 조정함으로써 얻게 되는 잇점은 건축구성재의 생산비용이 낮아질 수 있고,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모듈화된 구성 요소들을 대량생산하고 조립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시공과정에서의 오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듈화된 구성 요소들을 조합함으로써 건물의 형태가 다양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건축물의 디자인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미적질서를 갖게 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실의 배치형식 중에서 엘보우형(elbow access)에 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학습의 순수율이 높다.
  2. 일조, 통풍 등 실내환경이 균일하다.
  3. 복도의 면적이 절약된다.
  4. 분관별로 특색있는 계획을 할 수 있다.
(정답률: 54%)
  • "복도의 면적이 절약된다."는 엘보우형의 특징이 아니라, 다른 배치형식인 라운드형이나 피자형 등에서 해당된다. 엘보우형은 각 교실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복도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다른 형식들도 복도 면적을 절약할 수 있다.

    복도 면적을 절약하는 이유는 교실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교실 면적이 크면 학생들이 멀리 떨어져 앉아야 하고, 교사가 학생들을 관찰하거나 지도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교실 면적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면 학생들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해지고, 학습 효과도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층건물의 서비스 코어내 들어갈 공간으로서 부적당한 것은?

  1. 엘리베이터홀
  2. 화장실
  3. 공조덕트
  4. 배전실
(정답률: 73%)
  • 배전실은 전기 설비를 관리하고 전기를 공급하는 공간으로, 엘리베이터 홀, 화장실, 공조덕트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대중이 출입할 수 없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서비스 코어 내에 배치되는 공간 중에서는 가장 부적당한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무소건축에서 유효율이란 무엇인가?

  1. 업무공간과 공용공간의 비
  2.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
  3. 연면적과 대지면적의 비
  4. 그 층의 바닥면적과 연면적의 비
(정답률: 54%)
  • 유효율은 사무소건축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건물 내부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공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도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가 유효율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임대면적은 건물 내부에서 실제로 임대가 가능한 공간의 면적을 의미하며, 연면적은 건물 전체의 바닥 면적과 벽면 면적, 지붕 면적 등을 모두 합한 면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가 높을수록 건물 내부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공간이 많아지므로, 유효율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무소건축 화장실의 각종 치수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소변기 상호간 간격 : 80cm
  2. 안여닫이 대변실의 깊이 : 70cm
  3. 세면기 높이 : 100cm
  4. 세면기 상호간 간격 : 50cm
(정답률: 알수없음)
  • 사무소 화장실에서는 대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각 기구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소변기 상호간 간격이 80cm가 가장 적당한 이유는, 이 간격이 넓으면서도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간격은 보통 사람들의 몸높이와도 적당히 맞아 불편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점 내부의 기본조명에 필요한 조명기구수를 구하는 데 관계없는 사항은?

  1. 평균조도
  2. 실면적
  3. 쇼케이스 수
  4. 램프광속
(정답률: 28%)
  • 쇼케이스 수는 상점 내부의 기본조명에 필요한 조명기구수를 구하는 데 관계없는 사항입니다. 이는 쇼케이스는 보통 전시용 조명으로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균조도, 실면적, 램프광속은 상점 내부의 기본조명에 필요한 조명기구수를 구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파트 단지내 주동배치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것은?

  1. 단지내 커뮤니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다.
  2. 옥외주차장을 이용하여 충분한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한다.
  3. 주동 배치계획에서 일조, 풍향, 방화 등에 유의해야 한다.
  4. 다양한 배치기법을 통하여 개성적인 생활공간으로서의 옥외공간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25%)
  • 단지내 주동배치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일조, 풍향, 방화 등의 안전성과 커뮤니티 형성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옥외주차장을 이용하여 충분한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아파트 단지내 주동배치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사노동의 경감을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비를 좋게 하고 되도록 기계화 할 것
  2. 평면에서의 주부의 동선이 단축되도록 할 것
  3. 청소 등의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좁은 주거로 계획할 것
  4. 능률이 좋은 부엌시설이나 가사실을 갖출 것
(정답률: 85%)
  • 청소 등의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좁은 주거로 계획할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좁은 주거는 생활 공간을 제한하고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청소 등의 노동을 감소시키는 대신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와 기능성을 갖춘 주거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건축물의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가장 영향력이 적은 것은?

  1. 지역의 기후 및 풍토적 요소
  2. 건축재료 및 기술적 요소
  3. 건축시공상의 편리적 요소
  4. 사회ㆍ문화적 요소
(정답률: 19%)
  • 건축물의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가장 영향력이 적은 것은 "건축시공상의 편리적 요소"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기능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건축물의 외관, 구조, 안전성 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철근의 용접으로 강도가 약하여 구조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접법은?

  1. 아아크용접(arc welding)
  2. 가스용접
  3. 플러시버트용접(flush butt welding)
  4. 가스압접
(정답률: 50%)
  • 가스용접은 철근의 용접으로 강도가 약하여 구조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접법이다. 이는 가스용접이 용접 시에 열이 부족하여 용접 부위의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용접법은 아아크용접, 플러시버트용접, 가스압접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회반죽 바름에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벌은 두껍게 바르는 것이 균열방지에 좋다.
  2. 초벌, 재벌에는 거친 모래를 넣는다.
  3. 초벌, 재벌, 정벌에는 적당량의 여물을 넣는다.
  4. 쫄대는 두꺼운 것이 좋고 수염은 충분히 넣는다.
(정답률: 67%)
  • 정답: 정벌은 두껍게 바르는 것이 균열방지에 좋다. (옳은 것이다.)

    이유: 정벌은 바른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른 표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두껍게 바르는 것이 좋다. 또한, 정벌은 바른 표면을 만들어주는 것 외에도, 다른 반이나 층과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균열 방지에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사계획 중 가설계획시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 중 중요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가설물, 가설자재의 운영
  2. 도급금액과 공사착공시기 및 공사준공시기
  3. 운반 및 교통사항
  4. 공사의 규모, 시공정밀도 및 공사내용
(정답률: 0%)
  • 도급금액과 공사착공시기 및 공사준공시기는 공사 계획 중 가설계획시에도 중요하지만, 다른 항목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적다. 이유는 도급금액과 공사착공시기 및 공사준공시기는 이미 계약서나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가설계획시에는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가설물, 가설자재의 운영, 운반 및 교통사항, 공사의 규모, 시공정밀도 및 공사내용은 가설계획시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중 유리 섬유판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독특한 결의 섬세한 아름다움이 있다.
  2. 단열 및 불연성이 있으나 표면경도가 적다.
  3. 흡음효과가 없다.
  4. 가공성이 좋다.
(정답률: 30%)
  • 유리 섬유판은 단열 및 불연성이 있으나 표면경도가 적어서 깨지기 쉽지 않은 독특한 결의 섬세한 아름다움이 있으며, 가공성이 좋습니다. 그러나 유리 섬유판은 소리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흡음효과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건축공사의 원가 계산에서 현장에서의 공사용수비는 어느 항목에 포함되는가?

  1. 재료비
  2. 공통가설비
  3. 외주비
  4. 노무비
(정답률: 53%)
  • 현장에서의 공사용수비는 공통가설비에 포함됩니다. 공통가설비는 건축공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경비를 의미하며, 현장에서의 공사용수비 또한 이에 포함됩니다. 이는 건축공사를 진행하는데 필수적인 비용으로, 건축자재나 인력 등을 운반하고 보관하는데 드는 비용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거푸집에 가해지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하여 설명한 것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어넣기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2. 묽은 콘크리트 일수록 측압이 크다.
  3.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질수록 측압이 크다.
  4. 외기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기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크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콘크리트의 측압은 주로 부어넣기 속도, 묽은 정도, 다짐 정도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외기온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벽돌쌓기 중 가장 튼튼한 쌓기법으로 한켜는 마구리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로 하고 모서리나 벽끝에는 이오토막을 쓰는 쌓기 방법은?

  1. 영식쌓기
  2. 화란식쌓기
  3. 불식쌓기
  4. 미식쌓기
(정답률: 59%)
  • 영식쌓기는 마구리쌓기와 길이쌓기를 번갈아가며 쌓는 방법으로, 벽돌이 서로 겹치지 않고 균형적으로 배치되어 튼튼하게 쌓일 수 있습니다. 또한 모서리나 벽끝에는 이오토막을 사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식쌓기는 가장 튼튼한 쌓기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시멘트의 용적 100m3 일 경우 물시멘트비를 55%로 하면 단위수량은 얼마인가? (단 시멘트의 비중은 3.15, 물의 비중은 1로 하고 계산값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1. 55 kg/m3
  2. 70 kg/m3
  3. 173 kg/m3
  4. 220 kg/m3
(정답률: 28%)
  • 물시멘트비는 물의 양 대비 시멘트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의 양은 100m3 x 55% = 55m3 이고, 시멘트의 양은 100m3 - 55m3 = 45m3 이다.

    시멘트의 비중이 3.15 이므로, 시멘트의 단위중량은 3.15 x 1000 = 3150 kg/m3 이다.

    따라서 시멘트의 단위수량은 45m3 x 3150 kg/m3 = 141750 kg 이다.

    물의 단위중량은 1000 kg/m3 이므로, 물의 단위수량은 55m3 x 1000 kg/m3 = 55000 kg 이다.

    따라서 물시멘트비를 55%로 할 때, 단위수량은 (141750 kg + 55000 kg) / 100m3 = 1967.5 kg/m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계산값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 단위수량은 173 kg/m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흙막이 공법중 흙막이 자체가 지하 본구조물의 옹벽을 형성하는 것은?

  1. H-Pile 및 토류판
  2. 보강토벽 (soil nailing)
  3. 시멘트 주열벽 (soil cement wall)
  4. 지하연속벽 (slurry wall)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연속벽은 흙막이 공법 중 하나로, 흙막이 자체가 지하 본구조물의 옹벽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공법은 지하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토양을 일시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해 토양 주변에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슬러리를 주입하고, 이를 고압으로 유지하여 토양을 굳혀 지하연속벽을 형성합니다. 이 방법은 지하공간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하수 침입을 막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벽돌쌓기 공사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불합격한 벽돌을 장외로 반출한다.
  2. 세로줄눈은 통줄눈으로 해도 무방하다.
  3. 모르타르강도는 벽돌강도와 비슷하거나 강해야 한다.
  4. 내화벽돌은 물축임을 하지 않는다.
(정답률: 37%)
  • 세로줄눈은 통줄눈으로 해도 무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는 건축물의 수직성과 수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줄눈과 통줄눈을 각각 사용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에 어긋난다. 따라서 세로줄눈과 통줄눈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슬라이딩 포옴(sliding form)에 관한 다음 기술중 부적당한 것은?

  1. 이동식 거푸집(travelling form)이라고도 하며 돌출물이 있는 벽체 기둥 시공에는 이용할 수 없고 보통 사일로(silo) 축조에 이용된다.
  2. 거푸집은 1단(높이1.2m 정도)만 가지고도 되므로 거푸집 재료와 거푸집조립, 제거에 소요되는 노력이 절약된다.
  3. 내외의 비계 발판을 따로 가설할 필요가 없다.
  4. 거푸집의 끌어 올리기와 콘크리트의 붓기 속도는 1일 (주야작업시) 약 3~5m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식 거푸집(travelling form)이라고도 하며 돌출물이 있는 벽체 기둥 시공에는 이용할 수 없고 보통 사일로(silo) 축조에 이용된다."가 부적당한 기술이 아니다. 이유는 이동식 거푸집은 사일로 축조에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돌출물이 있는 벽체 기둥 시공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리제품에서 보온, 방음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폼 글라스(foam glass)
  2. 글라스 울(glass wool)
  3. 플렉시 글라스(plexi glass)
  4. 페어 글라스(pair glass)
(정답률: 46%)
  • 플렉시 글라스는 유리 대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보온과 방음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폼 글라스는 발포유리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보온성이 뛰어나며, 글라스 울은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방음성이 뛰어납니다. 페어 글라스는 두꺼운 유리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보온성과 방음성이 모두 뛰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커튼월을 외관형태로 분류할 때 그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샛기둥 방식(mullion)
  2. 스팬드럴 방식(spandrel type)
  3. 격자 방식(grid type)
  4. 내력벽 방식(wall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내력벽 방식은 커튼월이 아닌 외벽 자체가 구성되어 있는 방식으로, 외벽과 커튼월이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커튼월을 분류하는 기준에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도료 중 건조가 가장 빠른 것은?

  1. 오일페인트
  2. 래커
  3. 바니쉬
  4. 레이크(lake)
(정답률: 28%)
  • 래커는 휘발성이 높아서 건조가 매우 빠릅니다. 반면, 오일페인트와 바니쉬는 건조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레이크는 건조 시간이 더욱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래커가 가장 빠른 건조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 타설시의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거리가 먼 곳으로부터 타설한다.
  2. 자유낙하 높이를 작게한다.
  3.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4. 각층이 수평이 되도록 타설면을 고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흘러가도록 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이다. 이는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강도를 유지하고, 타설면이 수평이 되어 건축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토사를 파내는 형식으로 깊은 흙파기용, 흙막이의 버팀대가 있어 좁은 곳, 케이슨(caisson) 내의 굴착 등에 적합한 기계는?

  1. 드래그셔불(drag shovel)
  2. 드래그라인(drag line)
  3. 앵글도저(angle dozer)
  4. 클램쉘(clam shell)
(정답률: 64%)
  • 클램쉘은 두 개의 뚜껑 모양의 팔로 이루어진 구조로, 토사를 파내는 데 적합합니다. 뚜껑 모양의 팔을 열고 닫아 토사를 집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좁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깊은 흙파기용, 흙막이의 버팀대가 있는 곳, 케이슨 내의 굴착 등에 적합한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중 가설 공사계획에 속하는 것은?

  1. 인력동원계획
  2. 공사용수계획
  3. 안전관리계획
  4. 품질관리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가설 공사계획은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으로, 공사에 필요한 자원과 절차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계획이다. 따라서, 인력동원계획, 안전관리계획, 품질관리계획은 모두 가설 공사계획에 속하지만, 공사용수계획은 공사를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물의 공급과 관련된 계획으로, 가설 공사계획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건축연면적(m2)당 먹매김의 품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건축물은?

  1. 보통주택
  2. 학교
  3. 사무소
  4. 공장
(정답률: 63%)
  • 보통주택이 가장 많은 이유는 건축연면적당 먹매김의 품은 건물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보통주택은 다른 건축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통주택은 다른 건축물에 비해 적은 양의 먹매김 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장 많은 먹매김 품이 소요되는 건축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열어진 여닫이 문이 저절로 닫아지게한 창호철물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1. 도아 스테인(Door stain)
  2. 도아 스톱(Door stop)
  3. 도아 첵크(Door check)
  4. 도아 행거(Door hanger)
(정답률: 알수없음)
  • 도아 첵크(Door check)는 문이 열려있을 때 일정한 각도에서 멈추게 하여 자동으로 닫히지 않도록 막아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열어진 여닫이 문이 저절로 닫아지게 한 창호철물은 도아 첵크입니다. 도아 스테인은 문에 색을 입히는 것을 말하며, 도아 스톱은 문이 열릴 때 벽이나 바닥에 부딪히지 않도록 막아주는 장치입니다. 도아 행거는 문을 걸어놓는 장치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용어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벤트(event) : 작업과 작업을 결합하는 점 및 시점, 종료점
  2. 패스(path) : 네트워크 중 둘 이상의 작업이 이어짐
  3. 플로우트(float) : 작업의 여유시간
  4. 액티비티(activity) :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
(정답률: 25%)
  • 액티비티(activity)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휨모멘트가 0이 되는 점(변곡점 變曲点)은 몇 개 있는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32%)
  • 이 구조물은 왼쪽 끝부터 오른쪽 끝까지 일정한 단면과 재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휨모멘트는 연속적으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휨모멘트가 0이 되는 점은 변곡점이라고 부르며, 이 구조물에서는 총 3개의 변곡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조적구조에서 통줄눈을 피하는 주된 이유는?

  1.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 물량을 줄이기 위해
  3.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게 하기 위해
  4.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정답률: 46%)
  • 조적구조에서 통줄눈을 피하는 주된 이유는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통줄눈이 없으면 구조물의 하중이 일부 지점에 집중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통줄눈을 설치하여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목조 벽체의 가새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가새는 연직하중에 대한 보강재이다.
  2. 가새에는 압축력이나 인장력이 작용한다.
  3. 가새의 경사는 45° 에 가까울수록 좋다.
  4. 가새의 배치는 건물의 안전과 관계 있다.
(정답률: 20%)
  • "가새에는 압축력이나 인장력이 작용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가새는 연직하중에 대한 보강재이며, 압축력이나 인장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가새의 역할은 벽체의 수평하중을 수직으로 전달하여 벽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가새의 경사는 45°에 가까울수록 좋고, 배치는 건물의 안전과 관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철근 콘크리트의 T형 단순보의 중앙부 배근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T형 단순보의 중앙부 배근은 보의 하중 중심선을 따라 최대 굴곡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 때, ""가 가장 알맞은 것입니다. 이유는 이 배근이 보의 중앙에 위치하면서도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거리가 가장 가깝기 때문에 굴곡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배근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너비가 같아서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극한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의 보설계에서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 VC는 약 얼마인가? (단, fck = 24MPa(=240kgf/cm2), fy= 400MPa(=4,000kgf/cm2), D10 철근 1개의 단면적은 71mm2 이다. )

  1. 150kN(=15000kgf)
  2. 180kN(=18000kgf)
  3. 210kN(=21000kgf)
  4. 244kN(=24400kgf)
(정답률: 30%)
  • 극한강도설계법에 의한 전단강도 VC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VC = 0.27 × fck × b × d

    여기서, b는 단면의 너비, d는 단면의 높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의 너비가 300mm, 높이가 500mm이므로,

    VC = 0.27 × 24 × 300 × 500 = 972,000 N = 972 kN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철근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철근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다시 계산해야 한다.

    철근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전단강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VC = 0.27 × fctm × b × d + 0.5 × fy × As

    여기서, fctm은 콘크리트의 평균압축강도, As는 철근의 단면적이다.

    fctm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ctm = 0.7 × fck^(2/3)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의 고정화강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fck가 24MPa이므로,

    fctm = 0.7 × 24^(2/3) = 4.95 MPa

    이다.

    따라서,

    VC = 0.27 × 4.95 × 300 × 500 + 0.5 × 400 × 71 = 210,262.5 N = 210 kN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0kN(=21000kg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u1의 부재력은? (단, "-"는 압축응력이다.)

  1. 4.5tf
  2. -4.5tf
  3. 6tf
  4. -6tf
(정답률: 19%)
  • 트러스 구조에서 부재력은 외력과 내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외력을 구해보자.

    u1에 작용하는 외력은 u1과 연결된 구간의 하중인 3tf와 u2와 연결된 구간의 하중인 6tf이다. 이 두 하중의 합은 9tf이므로, u1에 작용하는 외력은 9tf이다.

    내력은 u1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서 각각 구해보자. 왼쪽 부분에서는 u1과 연결된 구간의 하중인 3tf이 u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작용하고, u2와 연결된 구간의 하중인 6tf이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두 하중의 차이는 3tf이므로, 왼쪽 부분에서 u1의 내력은 -3tf이다.

    오른쪽 부분에서는 u1과 연결된 구간의 하중인 3tf이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고, u3과 연결된 구간의 하중인 6tf이 시계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두 하중의 차이는 -3tf이므로, 오른쪽 부분에서 u1의 내력은 3tf이다.

    따라서 u1의 내력은 왼쪽과 오른쪽 부분에서 각각 -3tf와 3tf이므로, 합하면 0이 된다. 이는 u1에 작용하는 내력과 외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u1의 부재력은 -9tf(외력)의 반대 방향인 9tf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부재력의 크기만을 묻고 있으므로, 부호를 무시하고 크기만을 취하면 9tf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tf"가 아닌 "-9tf"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5t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구조용 강재의 단면2차반경이 2㎝일 때 세장비(λ)는 얼마인가?

  1. 100㎝
  2. 200㎝
  3. 350㎝
  4. 500㎝
(정답률: 알수없음)
  • 세장비(λ)는 구조용 강재의 단면2차반경과 관련된 값으로,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세장비(λ) = (π^2 x E x I) / (K x L^2)

    여기서,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2차모멘트, K는 단면상수, L은 보의 길이를 나타낸다.

    주어진 구조용 강재의 단면2차반경이 2㎝이므로, 단면2차모멘트 I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 = (π x r^4) / 4
    = (π x 2^4) / 4
    = 8π

    또한, 구조용 강재의 탄성계수 E는 2.1 x 10^6 kgf/㎠, 단면상수 K는 1.2로 주어졌다.

    따라서, 세장비(λ)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세장비(λ) = (π^2 x E x I) / (K x L^2)
    = (π^2 x 2.1 x 10^6 x 8π) / (1.2 x L^2)
    = (22.09 x 8π) / (1.2 x L^2)
    = 58.9 / L^2

    보기에서 정답이 "500㎝"인 이유는, 세장비(λ)가 500㎝이 되려면 L^2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8.9 / L^2 = 500
    L^2 = 58.9 / 500
    L^2 = 0.1178
    L = √0.1178
    L = 0.3435

    즉, 보의 길이 L은 약 0.3435m, 즉 34.35cm가 되어야 세장비(λ)가 500㎝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단면의 x-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값은?

  1. 94a4
  2. 104a4
  3. 112a4
  4. 120a4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x = ∫(y-ycg)2dA

    여기서 y는 단면의 각 점에서 x축까지의 거리이고, ycg는 단면의 중심축까지의 거리입니다. dA는 무한히 작은 면적을 나타냅니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므로, 중심축은 가로축과 세로축의 중심선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ycg는 a/2입니다.

    또한, 단면의 너비는 2a이고 높이는 2b입니다. 따라서 면적 dA는 dx(dy)입니다.

    이를 대입하면,

    Ix = ∫-bb-aa (y-a/2)2 dxdy

    = ∫-bb [(2a3)/3 - 2a(y-a/2)2] dy

    = 2[(2a3)/3 - 2a(b-a/2)2]

    = 112a4

    따라서 정답은 "112a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단면적이 10cm2이고, 길이는 2m 인 균질한 재료로 된 철근에 재축방향으로 10tf의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늘어난 길이는? (단, 탄성계수는 2.0×106kgf/cm2)

  1. 1.0cm
  2. 0.1cm
  3. 0.01cm
  4. 0.001cm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력 F와 단면적 A, 길이 L, 탄성계수 E, 늘어난 길이 ΔL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 = AEΔL/L

    여기서 F = 10tf = 10000kgf, A = 10cm2 = 1000mm2, L = 2m = 200cm, E = 2.0×106kgf/cm2 = 2.0×1011N/m2 이므로,

    10000 = 2.0×1011×1000×ΔL/200

    ΔL = 10000×200/(2.0×1011×1000) = 0.1cm

    따라서 정답은 "0.1cm"이다. 이는 탄성계수가 크기 때문에 인장력에 비해 늘어나는 길이가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장방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띠철근의 역할은?

  1.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증가
  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증가
  3. 주근 단면의 보충
  4. 주근의 좌굴을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띠철근은 주근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근은 기둥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기둥이 하중을 받을 때 주로 압축력을 견디게 됩니다. 그러나 주근은 압축력에 의해 좌굴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띠철근이 사용됩니다. 띠철근은 주근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주근이 좌굴하지 않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근의 좌굴을 방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강콘크리트 블록조에 관한 다음의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

  1. 내력벽은 통줄눈 쌓기로 해도 된다.
  2. 내력벽의 두께는 그 길이,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3. 테두리보는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힘도 고려하여 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4. 벽량의 계산에서는 내력벽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그 길이를 할증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답률: 28%)
  • "내력벽은 통줄눈 쌓기로 해도 된다."는 부적당한 기술이다. 내력벽은 보강콘크리트 블록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벽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적절한 두께와 강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내력벽은 통줄눈 쌓기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강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적절한 두께와 강도를 갖춘 벽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벽량의 계산에서는 내력벽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그 길이를 할증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내력벽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벽의 무게가 더해지기 때문에, 벽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길이를 할증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강 블록조에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바닥틀, 지붕틀을 설치하기에 편리하다.
  2. 내력벽과 일체가 되어 건물을 보강한다.
  3. 벽의 수장에 편리하다.
  4. 벽에 개구부를 안전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강 블록조에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내력벽과 일체가 되어 건물을 보강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직경 10㎜의 원형강에 최대 800㎏f의 하중을 매달았을때 안전율은 약 얼마인가? (단, 원형강의 극한 강도는 5000㎏f/㎝2이다.)

  1. 0.20
  2. 3.86
  3. 4.02
  4. 4.91
(정답률: 10%)
  • 원형강의 극한 강도는 5000㎏f/㎝2이므로, 최대 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대 하중 = 원형강의 단면적 x 극한 강도
    = (π x (10/2)^2) x 5000
    = 7853.98㎝2 x 5000㎏f/㎝2
    = 39,269,900㎏f

    따라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안전율 = 최대 하중 / 매달린 하중
    = 39,269,900㎏f / 800㎏f
    = 49,087.375

    즉, 안전율은 약 49,087배이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4.9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판보(plate girder)에서 리벳, 볼트 등으로 접합된 보의 플렌지의 커버플레이트 수는 최대 몇 장 이하로 하는가?

  1. 3장
  2. 4장
  3. 5장
  4. 6장
(정답률: 46%)
  • 판보에서 플렌지의 커버플레이트는 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보의 플렌지에 여러 개의 커버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때 커버플레이트의 수는 너무 많으면 보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제작 및 설치가 어려워지므로 적절한 수를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판보에서는 최대 4장의 커버플레이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4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철골구조의 합성보에서 철골보와 슬래브를 일체화시킬 때 그 접합부에 생기는 전단력에 저항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합재는?

  1. 시어 커넥터(shear connector)
  2. 게이지 라인(gage line)
  3. 중도리(purline)
  4. 스페이스 프레임(space frame)
(정답률: 25%)
  • 시어 커넥터는 철골보와 슬래브를 일체화시키는 접합재로, 보와 슬래브 간의 전단력을 전달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보와 슬래브 간의 전단력이 발생할 때, 시어 커넥터가 전달되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어 커넥터는 철골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장방형 단면을 가진 보의 단면적이 A, 전단력이 V이면 이 보 단면의 최대 전단 응력도는?

  1. V/A
  2. 3V/2A
  3. 4V/3A
  4. 3V/4A
(정답률: 42%)
  • 단면의 최대 전단 응력은 전단력이 최대인 위치에서 발생합니다. 이 위치는 보의 중심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한 경계면입니다. 이 때의 전단력은 V이며, 경계면의 면적은 A/2입니다. 따라서 최대 전단 응력은 V/(A/2) = 2V/A입니다. 하지만, 최대 전단 응력은 단면의 전체적인 강도에 의해 제한됩니다. 일반적으로 최대 전단 응력은 단면의 인장강도의 60%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최대 전단 응력은 (2V/A) * 0.6 = 1.2V/A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선택지 중에서 3V/2A가 정답입니다. 이는 최대 전단 응력이 인장강도의 75%가 되도록 가정한 것입니다. 이 가정에 따르면 최대 전단 응력은 (2V/A) * 0.75 = 3V/2A가 됩니다. 따라서 선택지 중에서 3V/2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fck = 27MPa(=270㎏f/㎝2 ), fy = 300MPa(=3,000㎏f/㎝2 )인 보통콘크리트에 D19 철근이 사용될 때 기본정착길이는 약 얼마인가?

  1. 290mm
  2. 330mm
  3. 670mm
  4. 820mm
(정답률: 25%)
  • D19 철근의 지름은 19mm 이므로, 철근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s = π/4 × (19mm)2 = 283.53mm2

    보통콘크리트의 인장강도 fy는 300MPa 이므로, 철근의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다.

    fsy = 0.95 × fy = 285MPa(=2,850㎏f/㎝2)

    보통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ck는 27MPa 이므로, 보통콘크리트의 인장변형률은 다음과 같다.

    εcu = 0.0035

    철근의 탄성변형률은 200GPa(=2 × 105 MPa)로 가정한다.

    보통콘크리트와 철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보통콘크리트에서 철근이 받는 인장력은 다음과 같다.

    ft = 0.87 × fsy × (1 - εcus)

    여기서, εs는 철근의 인장변형률이다. ε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εs = εc × (d - x)/x

    여기서, d는 철근의 직경(19mm)이고, x는 철근의 기본정착길이이다.

    ft가 철근의 인장강도 fsy보다 작아지면, 철근은 인장파괴된다. 따라서, ft = fsy로 놓고 x를 구하면 된다.

    0.87 × 285MPa(=2,850㎏f/㎝2) × (1 - 0.0035/εs) = 285MPa(=2,850㎏f/㎝2)

    εs = εc × (d - x)/x = 0.0035 × (19mm - x)/x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x를 구하면,

    x = 670mm

    따라서, D19 철근이 사용될 때 기본정착길이는 67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방향 슬래브(one way slab)의 변장비(λ = ℓy/ℓx)는?

  1. λ > 2.0
  2. λ ≤ 2.0
  3. λ ≥ 2.0
  4. λ < 2.0
(정답률: 알수없음)
  • 1방향 슬래브는 한 방향으로만 보강이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방향의 스팬이 길어질수록 변형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변장비가 크면(즉, ℓy/ℓx가 크면) 스팬 방향의 변형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보강이 더욱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1방향 슬래브에서는 변장비가 2.0을 초과하는 것이 안전성을 고려한 설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λ > 2.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빗금친 부분의 단면에서 X - 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로 맞는 것은?

  1. 21183㎝4
  2. 13333㎝4
  3. 7850㎝4
  4. 5480㎝4
(정답률: 16%)
  • 단면 2차 모멘트는 면적의 분포와 관련된 값으로, 면적이 중심축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분포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문제에서는 X - 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를 구해야 하므로, X - X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면적의 분포를 고려해야 합니다.

    빗금친 부분은 직사각형 모양이므로, 면적의 분포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X - X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직사각형의 너비와 높이를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너비는 20cm, 높이는 274cm 이므로, 단면 2차 모멘트는 20cm x (274cm)3 / 12 = 5480cm4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480㎝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극한강도설계법에서 단면이 400mm×400mm 이고 주근이 8-D16으로 배근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띠철근을 D10으로 사용할 경우,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으로 다음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150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률: 알수없음)
  • 극한강도설계법에서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띠철근의 최대 수평간격: 3D (D는 띠철근의 직경)
    -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 24D (D는 띠철근의 직경)

    따라서, 띠철근의 직경이 D10이므로 최대 수직간격은 24 × 10 = 240mm 이다. 그러나,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주근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므로, 주근의 직경과 배근간격에 따라 최대 수직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주근이 8-D16으로 배근되어 있으므로, 주근의 직경은 16mm이고 배근간격은 8 × 16 = 128mm 이다. 따라서,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은 128mm에 가깝게 결정될 것이다.

    그러나, 극한강도설계법에서는 최대 수직간격을 250mm 이하로 제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띠철근의 수직간격이 너무 크면, 주근과의 상호작용이 부족해져서 기둥의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을 250mm로 결정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전기에 관한 용어와 단위의 연결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압 : Volt[V]
  2. 전류 : Watt[W]
  3. 저항 : Ohm[Ω]
  4. 전기량 : Coulomb[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전류 : Watt[W]

    전류의 단위는 암페어[A]이며, 전류는 전기가 흐르는 양을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반면, 와트[W]는 전력의 단위로,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류의 단위는 와트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배관의 마찰저항에 관한 기술 중 맞는 내용은?

  1. 배관의 마찰저항은 관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2. 배관의 마찰저항은 관내경이 클수록 커진다.
  3. 배관내 마찰저항은 유체의 점성이 클수록 커진다.
  4. 배관내 마찰저항은 유속에 정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관 내부에서 유체가 흐를 때, 배관 벽면과 유체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마찰력은 유체의 점성과 관의 표면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체의 점성이 클수록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배관 내 마찰저항은 유체의 점성이 클수록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스케일(Scale) 현상이 보일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일러 전열면의 과열 원인이 된다.
  2. 워터해머를 일으킨다.
  3. 보일러에 연결하는 코크나 그밖의 작은 구멍을 막는다.
  4. 열의 전도를 방해하고 보일러효율을 불량하게 한다.
(정답률: 20%)
  • "워터해머를 일으킨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스케일은 보일러 내부에 쌓이면 보일러 전열면의 과열 원인이 되고, 보일러에 연결하는 코크나 그밖의 작은 구멍을 막아 수압을 높일 수 있으며, 열의 전도를 방해하여 보일러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하지만 워터해머는 수압 변화로 인해 생기는 현상으로, 스케일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전기 공사를 할 때 다음 사항 중 제일 마지막에 하는 공사는?

  1. 전선관(conduit tube)배관
  2. 분전반 매설
  3. 전선관에 전선 인입
  4. 콘크리트 박스나 아우트렛 박스(outlet box)고정
(정답률: 24%)
  • 전선관(conduit tube)배관, 분전반 매설, 콘크리트 박스나 아우트렛 박스(outlet box)고정은 모두 전기 공사 중 중요한 단계이지만, 제일 마지막에 하는 공사는 전선관에 전선 인입입니다. 이는 전선을 인입하기 전에 전선관 내부를 청소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전선을 잘라 적절히 배치한 후에 인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선 인입 후에는 전선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안전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선관에 전선 인입은 전기 공사 중 마지막에 수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분전반(分電盤)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1. 주개폐기, 분기회로용 분기 개폐기 및 자동차단기 등을 한곳에 모아서 설치한 것이다.
  2. 보수나 조작에 편리하도록 복도나 계단 부근의 벽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3. 분전반의 케이스는 전기설비 기준에 따른 접지공사를 해야 한다.
  4. 분기 회로의 길이가 50m 정도가 되도록 위치를 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정답률: 30%)
  • "분기 회로의 길이가 50m 정도가 되도록 위치를 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설명은 잘못되었다. 분기 회로의 길이는 가능한 짧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전기적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기 회로는 가능한 분전반 근처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공기조화설비의 전공기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일덕트 방식
  2. 이중덕트 방식
  3. 팬코일 유닛 방식
  4. 멀티존 유닛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팬코일 유닛 방식은 전공기방식이 아니라, 부속기기 방식에 해당한다. 이 방식은 냉난방기와 팬코일을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주로 건물의 각 방마다 설치되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화설비의 자동식 교환실의 환경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효천장 높이는 보통 4m 이상으로 한다.
  2. 바닥은 리놀륨, 비닐타일 또는 플로링마무리로 한다.
  3. 실내온도는 10℃~35℃ 정도로 한다.
  4. 상대습도는 40~70% 정도로 한다.
(정답률: 28%)
  • "유효천장 높이는 보통 4m 이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자동식 교환실은 많은 전화선을 처리하기 때문에 공기의 움직임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유효천장 높이는 최소 2.5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며, 보통 3m 이상으로 유지한다. 이는 공기의 움직임을 유지하고 전화선의 연결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신축이음쇠 중 2개 이상의 엘보우를 사용하여 나사회전을 이용해서 신축을 흡수하는 조인트로서 너무 큰 신축에는 파손되어 누수의 원인이 되며 저압증기관 및 난방공급수 직관에서 분기하여 방열기에 이르는 배관에 사용되는 것은?

  1. 스위블형
  2. 루프형
  3. 슬리브형
  4. 벨로우즈형
(정답률: 28%)
  • 스위블형은 회전 가능한 고정축과 회전축으로 구성되어 있어, 배관의 변위나 각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큰 신축이 발생해도 파손되지 않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저압증기관 및 난방공급수 직관에서 분기하여 방열기에 이르는 배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과 같은 순환 펌프의 동력은 약 몇 ㎾인가? (단, 수량 Q = 300ℓ/min, 양정 = 10mAq, 펌프효율 = 55%)

  1. 0.89
  2. 1.23
  3. 6.82
  4. 0.27
(정답률: 알수없음)
  • 순환 펌프의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동력 = (수량 × 양정 × 중력가속도) ÷ (3600 × 효율)

    여기서, 수량은 분당 공급량이므로 300/60 = 5ℓ/s 이다.

    양정은 10mAq 이므로 10/1000 = 0.01m 이다.

    중력가속도는 9.81m/s² 이다.

    따라서, 동력 = (5 × 0.01 × 9.81) ÷ (3600 × 0.55) = 0.89kW 이다.

    따라서, 정답은 "0.8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옥내배선의 설계 순서로서 가장 알맞은 것은?

  1. A - B - C - D
  2. C - D - B - A
  3. B - A - D - C
  4. D - B - A - C
(정답률: 22%)
  • 옥내배선 설계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선 배치도 작성 (C)
    2. 배선 경로 및 길이 결정 (D)
    3. 배선 도면 작성 (B)
    4. 배선 도면 검토 및 수정 (A)

    따라서, 올바른 설계 순서는 C - D - B - A 입니다.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회선 배치도를 작성하여 배선 경로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선 도면을 작성합니다. 마지막으로, 작성된 배선 도면을 검토하고 필요한 수정을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건물의 실내환경에서 실감온도(유효온도)의 요소는?

  1. 습도, 기류, 복사
  2. 온도, 습도, 복사
  3. 온도, 습도, 기류
  4. 온도, 기류, 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건물의 실내환경에서 실감온도(유효온도)의 요소는 온도, 습도, 기류입니다. 이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 인체의 땀 발산이 어려워지고, 공기의 움직임이 없으면 더욱 불쾌감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 습도, 기류를 모두 고려하여 실내환경을 조절해야 인체의 편안한 생활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방열기의 EDR이란?

  1. 상당방열면적
  2. 방열기 섹션수
  3. 방열기 응축수량
  4. 최대방열량
(정답률: 알수없음)
  • EDR은 "Equivalent Direct Radiation"의 약자로, 방열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는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EDR이 클수록 방열기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은 위험물 저장고에 피뢰침을 설치하고자 한다. 피뢰침의 높이(h)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물 저장고에 피뢰침을 설치할 때는 지하수면과의 안전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이 그림에서는 지하수면이 저장고 바로 아래에 있으므로, 피뢰침의 높이는 지하수면과의 안전거리인 5m를 고려하여 최소 15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인터폰의 접속방식에 따른 분류와 관계가 먼 것은?

  1. 모자식
  2. 상호식
  3. 복합식
  4. 광전관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폰의 접속방식에 따른 분류는 인터폰의 기술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와 관계없이 인터폰은 모두 통화 및 출입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전관식"이라는 답은 이와 관계가 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복사 난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의 온도분포가 균등하고 쾌감도가 높다.
  2.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동일 방열량에 대해 손실 열량이 크다.
  3. 구조체를 덥히게 되므로 예열시간이 길어져 일시적으로 쓰는 방에는 부적당하다.
  4. 하자 발견이 어렵고 보수가 어렵다.
(정답률: 6%)
  •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동일 방열량에 대해 손실 열량이 크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복사 난방은 복사열을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열이 이동합니다. 따라서 평균온도와는 상관없이 열을 전달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급탕설비에 대한 설명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1. 중앙식 급탕법은 급탕 개소가 적을 경우에는 시설비가 싸게 든다.
  2. 기수혼합법은 열효율이 70∼90%로 소음이 따르는 결점이 있다.
  3. 직접가열법은 보일러에 걸리는 압력과 건물의 높이와는 무관하므로 저압보일러로 충분하다.
  4. 간접가열식은 스케일이 부착하는 일이 적고 전열효율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가열식은 보일러와 물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일러 내부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일이 적고, 전열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연면적이 10000m2인 사무소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을 때 사무소에 필요한 1일의 급수량(사용수량)은? (단, 유효 면적비 56%, 거주인원 0.2인/m2, 1일1인당 사용수량은 100ℓ/d로 한다.)

  1. 112 m3/d
  2. 1120 m3/d
  3. 224 m3/d
  4. 2240 m3/d
(정답률: 10%)
  • 먼저, 유효 면적은 전체 면적에서 실제 사용 가능한 면적을 의미하므로 10000m2 x 56% = 5600m2 이다.

    거주인원은 면적당 0.2인/m2 이므로 5600m2 x 0.2인/m2 = 1120인 이다.

    따라서, 1일의 사용수량은 1120인 x 100ℓ/d x 1m3/1000ℓ = 112 m3/d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2 m3/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온수난방에서 역환수방식(Reverse Return System)을 채택 하는 주된 이유는?

  1. 배관의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2. 온수의 유량분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3. 순환펌프를 설치하기 위해
  4. 열손실과 발생소음을 줄이기 위해
(정답률: 40%)
  • 역환수방식은 배관의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온수의 유량분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온수의 유량분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화조의 원리를 설명한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1. 다량의 물에 의하여 오물을 희석한다.
  2. 약품에 의하여 오물을 분해한다.
  3. 미생물작용으로 오물을 분해한다.
  4. 침전작용으로 오물을 분해하여 사멸시킨다.
(정답률: 34%)
  • 정화조는 오물을 물과 함께 일정 시간 동안 쉬게하여 오물 중에 있는 미생물이 분해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미생물작용으로 오물을 분해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질 관련 용어중 BOD란 무엇인가?

  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2. 화학적 산소요구량
  3. 용존산소량
  4. 수소이온농도
(정답률: 30%)
  • BOD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BOD가 높을수록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이 많아서 미생물이 많이 증식하고 산소를 소비하기 때문에 수질이 나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관계법규

81. 16층 이상인 건축물에 대한 구조계산 자격자의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자는?

  1. 건축구조기술사
  2. 건축구조분야의 공학박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3년이상 건축구조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3. 건축구조분야의 공학석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9년이상 건축구조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4. 건축기사의 자격을 가진 자로서 9년 이상 건축구조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정답률: 59%)
  • 16층 이상인 건축물에 대한 구조계산 자격자의 기준은 매우 높은 기술과 경험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자는 건축구조분야의 공학박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3년 이상 건축구조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입니다. 이유는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더라도 경력이 3년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경력 요건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건축기사의 자격을 가진 자로서 9년 이상 건축구조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는 경력 요건과 기술 요건 모두를 충족하기 때문에 적합한 자격자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축물의 피난층외의 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통하는 직통 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해야 하는 것은?

  1. 공동주택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층의 당해 용도에 쓰이는 거실(층당 4세대인 5층 공동주택)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인 것
  2. 영화관의 용도에 쓰이는 2층으로서 그 층의 관람석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인 것
  3. 병원의 용도에 쓰이는 2층으로서 그 층의 당해용도에 쓰이는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인 것
  4. 아동관련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2층으로서 그 층의 당해용도에 쓰이는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 인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영화관은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장소이기 때문에 비상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계단을 2개 이상 설치하여 대피 시간을 단축시키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해당 조건이 필요합니다. 관람석의 바닥면적이 200m2인 것은 영화관의 크기와 관람석 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이는 피난 계단 설치 여부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배연설비에 대한 기술 중 잘못된 것은?

  1.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2. 배연구는 연기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 수 있는 구조로 하되, 손으로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3. 배연구는 예비전원에 의하여 열 수 있도록 한다.
  4. 배연구의 유효면적은 1제곱미터 이상으로서 그 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의 50분의 1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37%)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배연설비에 대한 올바른 기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배연구의 유효면적이 1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 배연구를 통해 화염 및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면적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건축법에서는 배연구의 유효면적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건축물의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대지 및 건축물관련 건축허용오차 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구 너비 : 2% 이내
  2. 건축선의 후퇴거리 : 2% 이내
  3. 반자 높이 : 2% 이내
  4. 바닥판 두께 : 3% 이내
(정답률: 27%)
  • 정답은 "반자 높이 : 2% 이내"입니다.

    건축선의 후퇴거리는 건축물의 외벽과 인접한 도로나 인접한 건축물과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 거리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제되는데, 이 규제 범위는 2% 이내입니다.

    출구 너비는 대지 내 인원수에 따라 규제되는데, 대체로 2% 이내로 규제됩니다.

    반자 높이는 건축물의 높이와 관련된 규제로,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규제 범위가 달라집니다.

    바닥판 두께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제되는데, 이 규제 범위는 3%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노외주차장인 주차전용건축물의 용적률을 조례로 정하고자 할 경우 그 최대한도는?

  1. 900퍼센트
  2. 1100퍼센트
  3. 1300퍼센트
  4. 1500퍼센트
(정답률: 7%)
  • 노외주차장은 일반적으로 용적률이 1500%까지 허용됩니다. 이는 주차장의 대부분이 차량으로 인해 차지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주차전용건축물의 용적률을 조례로 정할 경우 최대한도는 1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건축법상 다중이용건축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6층의 판매 및 영업시설
  2. 바닥면적이 4000m2인 종합병원
  3. 바닥면적이 5000m2인 판매 및 영업시설
  4. 20층인 관광숙박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이용건축물은 건축법상 5층 이상이고, 건축물의 용도가 주거, 상업, 공공 등 여러 용도로 이용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따라서, "바닥면적이 4000m2인 종합병원"은 다중이용건축물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의 구조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는 불연 재료로 할 것
  2.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제곱미터 이상으로 할 것
  3.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에 이르는 거리가 20m 이하일 것
  4. 채광이 되는 창문이 있거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 설비를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에 이르는 거리가 20m 이하일 것"은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는 너무 제한적인 기준으로, 비상 상황에서 대피하기에 충분한 거리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준은 더 넓은 범위로 확장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허가권자가 가로구역별로 건축물의 최고높이를 지정하고자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시관리계획등의 토지이용계획
  2. 도시미관 및 경관계획
  3. 장래도시인구 및 방재계획
  4. 당해도시의 장래 발전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물의 최고높이를 지정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도시미관 및 경관계획, 도시관리계획등의 토지이용계획, 당해도시의 장래 발전계획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지만, 장래도시인구 및 방재계획은 건축물의 최고높이를 지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상업지역내에 각 층 바닥면적 1500m2인 건축물을 신축할 경우 부설주차장의 최소 주차대수는 얼마인가? (단, 지상 1∼2층 : 위락시설, 지상 3∼5층 : 숙박시설)

  1. 45대
  2. 50대
  3. 53대
  4. 60대
(정답률: 27%)
  • 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에 따르면, 상업지역내의 건축물은 건축물의 용도와 규모에 따라 주차대수가 규정되어 있다. 위락시설의 경우, 1,500m2당 1대, 숙박시설의 경우, 1,500m2당 1.5대의 주차대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지상 1∼2층은 위락시설이므로 1,500m2당 1대, 지상 3∼5층은 숙박시설이므로 1,500m2당 1.5대의 주차대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총 주차대수는 다음과 같다.

    (지상 1∼2층) 1,500m2 ÷ 1대 = 1,500대
    (지상 3∼5층) 1,500m2 ÷ 1.5대 = 1,000대
    총 주차대수 = 1,500대 + 1,000대 = 2,500대

    하지만, 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 제2항에 따르면, 부설주차장의 경우, 총 주차대수의 30%까지 감면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소 주차대수는 다음과 같다.

    2,500대 × 70% = 1,750대

    따라서, 부설주차장의 최소 주차대수는 1,750대이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53대"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주차단위구획과 접하지 아니한 차로의 너비를 2.5m 이상으로 할 수 있는 조건과 관계 없는 것은?

  1. 부설주차장
  2. 자주식주차장
  3. 건축물식
  4. 총 주차대수의 규모가 8대 이하
(정답률: 27%)
  • 정답은 "건축물식"입니다.

    주차단위구획이나 접하지 않은 차로의 너비를 2.5m 이상으로 할 수 있는 조건은 부설주차장과 자주식주차장에서 가능합니다. 하지만 건축물식은 주차장의 구조와 크기를 건물의 구조와 크기에 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주차단위구획이나 차로의 너비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총 주차대수의 규모가 8대 이하인 것은 주차장의 규모와 관련이 있지만, 주차단위구획이나 차로의 너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대형 기계식주차장에 있어서 출입구 전면에 확보하여야 할 전면공지의 크기(너비×길이)는?

  1. 8.1m×9.5m 이상
  2. 8.7m×9.8m 이상
  3. 10.0m×11.0m 이상
  4. 10.3m×11.0m 이상
(정답률: 50%)
  • 대형 기계식주차장의 출입구 전면공지는 출입구로 들어오는 차량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크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출입구 전면공지의 크기는 출입구의 크기와 비례해야 합니다.

    보기에서 출입구 전면공지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은 "10.0m×11.0m 이상" 입니다. 이는 출입구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출입구 전면공지도 충분히 크게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8.1m×9.5m 이상"과 "8.7m×9.8m 이상"은 출입구의 크기보다 출입구 전면공지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출입구로 들어오는 차량들이 출입구 전면공지를 놓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10.3m×11.0m 이상"은 출입구 전면공지의 길이가 출입구의 길이보다 더 길어져서 출입구 전면공지가 출입구를 넘어서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입구 전면공지의 크기는 출입구의 크기와 비례하여 충분히 크게 설치해야 하며, "10.0m×11.0m 이상"이 가장 적절한 크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자주식주차장으로서 지하식 노외주차장의 차로구조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경사로의 종단구배는 직선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2. 굴곡부는 자동차가 5m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3.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m 이상으로 하여야한다.
  4. 주차대수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6미터 이상인 2차선의 차로를 확보하거나 진입차로와 진출차로를 분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43%)
  • "경사로의 종단구배는 직선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아래 주차형식 중 차로의 너비가 가장 큰 것은?

  1. 60° 대향주차
  2. 직각주차
  3. 교차주차
  4. 45° 대향주차
(정답률: 알수없음)
  • 직각주차가 차로의 너비가 가장 큽니다. 이는 다른 주차형식들과 달리 차가 수직으로 주차되기 때문에 차의 길이에 비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차장에서 차를 주차하거나 빼낼 때도 다른 주차형식들보다 더 쉽고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방화구획의 적용을 완화 받을 수 없는 것은?

  1. 장례식장의 용도에 쓰이는 거실로서 시선 및 활동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2. 건축물의 최상층으로서 로비의 용도에 사용하는 부분으로서 당해 용도로의 사용을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3. 판매 및 영업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거실로서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4. 공공용시설중 군사시설에 쓰이는 건축물
(정답률: 알수없음)
  • 판매 및 영업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거실로서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은 방화구획의 적용을 완화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유는 판매 및 영업시설에서는 대부분 인적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원활하도록 방화문 등의 방화구획을 강화해야 하지만,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거실 등의 공간에서는 방화문 등의 방화구획을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의 행위 중 대수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와 기둥을 각각 3개 해체하여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2. 지붕틀을 3개 해체하여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3. 미관지구 안에서 건축물의 외부형태 또는 담장을 변경하는 것
  4. 비내력벽의 벽면적을 30제곱미터 해체하여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비내력벽의 벽면적을 30제곱미터 해체하여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은 대수선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건축물의 구조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대수선은 건축물의 외부형태나 미관적인 부분을 수정하는 것으로, 구조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보와 기둥, 지붕틀, 미관지구 안에서의 외부형태나 담장을 변경하는 것은 대수선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바닥면적의 산정방법에 있어 조건에 관계없이 예외규정이 인정되지 않는 부위는?

  1. 공동주택으로서 지상층에 설치한 어린이놀이터
  2. 지상층에 설치한 물탱크
  3. 공동주택으로서 지상층에 설치한 기계실
  4. 공동주택의 피로티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바닥면적의 산정방법은 건축법 제2조 제4호에 따라 "건축물의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외벽면과 내부벽면 사이의 수평면적으로 한다. 다만, 지하층의 경우 지하층 바닥면과 외벽면 사이의 수평면적으로 하되, 지하층 바닥면 중 지하주차장 등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면적은 그러하지 아니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상층에 설치한 물탱크는 건축물의 외벽면과 내부벽면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바닥면적의 산정에서 예외규정이 인정되지 않는 부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도로 모퉁이에서의 건축선의 지정을 적용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도로의 교차각이 120도 이상인 경우
  2. 도로의 교차각이 90도 미만인 경우
  3. 교차되는 도로의 너비 중 하나가 8m 이상인 경우
  4. 교차되는 도로의 너비 중 하나가 4m 미만인 경우
(정답률: 17%)
  • 도로 모퉁이에서의 건축선의 지정은 인접한 도로와의 교차각이 90도 미만인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이는 인접한 도로와의 교차점이 직각이 아닌 경우에도 건축물의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도로의 교차각이 90도 미만인 경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5층 이상의 층의 용도가 다음과 같을 때, 피난의 용도에 쓰이는 옥상광장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소매시장
  2. 수도원
  3. 예식장
  4. 호텔
(정답률: 10%)
  • 호텔은 화재 발생 시 피난 대피를 위한 시설과 절차가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옥상광장을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호텔은 안전에 대한 관리가 매우 철저하며, 화재 발생 시 대피 계획과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어서 옥상광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노외주차장의 출구와 입구를 각각 따로 설치해야 하는 주차대수 규모 기준은?

  1. 300대를 초과하는 규모
  2. 350대를 초과하는 규모
  3. 400대를 초과하는 규모
  4. 450대를 초과하는 규모
(정답률: 알수없음)
  • 노외주차장의 출입구는 차량의 유입과 유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주차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출입구의 수도 늘어나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400대를 초과하는 규모가 정답인 이유는, 주차장 규모가 400대 이상이 되면 차량의 유입과 유출이 많아져 출입구를 따로 설치해야만 원활한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입구를 따로 설치하는 기준은 주차장 규모가 400대를 초과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주차전용건축물의 규정에서 주차면적비율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은?

  1. 대지면적
  2. 연면적
  3. 기계실
  4. 관리사무소
(정답률: 9%)
  • 주차전용건축물의 규정에서 주차면적비율과는 관계가 없는 것은 "대지면적"입니다. 주차면적비율은 건축물의 총면적 대비 주차면적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대지면적은 건축물이 지어지는 대지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차면적비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