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건축산업기사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복층형 아파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의 정지 층수를 적게 할 수 있다.
  2. 복도가 없는 층은 프라이버시 확보가 용이하다.
  3. 복도가 없는 층은 통풍 및 채광 확보가 용이하다.
  4. 다양한 평면 구성은 불가능하나 여유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정답률: 79%)
  • 복층형 아파트는 다양한 평면 구성이 가능하며, 이는 주거공간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평면 구성은 불가능하나 여유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학교 운영방식은?

  1. 달톤형
  2. 플래툰형
  3. 종합교실형
  4. 교과교실형
(정답률: 88%)
  • 이 학교 운영방식은 종합교실형이다. 이는 교실이 과목별로 나뉘어 있지 않고, 학년별로 학생들이 모여 수업을 듣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협력과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학교 건축에서 다층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약적인 평면계획이 가능하다.
  2. 학년별 배치, 동선 등에 신중한 계획이 요구된다.
  3. 시설의 집중화로 효율적인 공간 이용이 가능하다.
  4. 구조계획이 단순하며, 내진 및 내풍구조가 용이하다.
(정답률: 77%)
  • 다층교사는 구조계획이 단순하며, 내진 및 내풍구조가 용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다층교사는 다른 건물과 달리 높은 건물이기 때문에 내진 및 내풍구조가 더욱 중요하며, 복잡한 구조계획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상점의 판매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면판매는 상품을 설명하기에 용이한 방식이다.
  2. 측면판매는 대면판매에 비해 넓은 진열면적의 확보가 가능하다.
  3. 대면판매는 직원동선의 이동성이 많아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4. 측면판매는 고객이 직접 진열된 상품을 접촉할 수 있는 관계로 충동구매와 선택이 용이하다.
(정답률: 79%)
  • "대면판매는 직원동선의 이동성이 많아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기가 어렵다."가 옳지 않은 것은, 대면판매는 고객과 직원이 서로 대면하여 상품을 설명하고 판매하는 방식으로, 이동성이 많은 것이 아니라 고정된 위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무소 건축의 코어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력적 구조체로서의 기능 수행
  2. 공용부분을 집약시켜 유효면적을 증가시키는 기능 수행
  3.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계단실의 집약으로 운송설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기능 수행
  4. 설비 및 교통요소들의 존(Zone)을 형성하여 업무공간의 융통성을 증가시키는 기능 수행
(정답률: 50%)
  •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계단실의 집약으로 운송설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기능 수행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무소 건축의 코어는 내력적 구조체로서의 기능 수행, 공용부분을 집약시켜 유효면적을 증가시키는 기능 수행, 설비 및 교통요소들의 존(Zone)을 형성하여 업무공간의 융통성을 증가시키는 기능 수행 등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상점의 정면(Facade) 구성에 요구되는 AIDMA 법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접근(Access)
  2. 욕구(Desire)
  3. 기억(Memory)
  4. 관심(Interest)
(정답률: 75%)
  • AIDMA 법칙은 광고 및 마케팅 전략에서 사용되는 법칙으로, "Attention(주목)", "Interest(관심)", "Desire(욕구)", "Memory(기억)", "Action(행동)"의 약자입니다. 상점의 정면(Facade) 구성에서는 "접근(Access)"이 AIDMA 법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상점의 정면이 공간적인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접근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점의 정면 구성에서는 "관심", "욕구", "기억", "행동"에 대한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학교 건축에서 교실의 배치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러스터형은 학급단위의 명확한 독립성 확보가 불가능하다.
  2. 엘보우형은 학습의 순수율이 높으며, 일조 및 통풍 조건이 양호하다.
  3. 클러스터형은 교실블록과 관리블록 간의 동선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4. 엘보우형은 교실의 개성 표현이 힘들며, 복도면적이 증가하고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46%)
  • 클러스터형은 학급단위의 명확한 독립성 확보가 불가능하다. - 이유: 클러스터형은 여러 개의 교실이 하나의 공간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학급 간의 완전한 독립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한 학급에서 소음이 발생하면 다른 학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장 건축에서 자연채광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톱날지붕형태일 경우 채광창은 남향으로 한다.
  2. 광선을 밝게 하기 위해 항상 투명유리를 사용한다.
  3. 벽면 및 색채계획 시 빛의 반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4. 자연채광은 피로감을 많이 주므로 가능한 한 차단한다.
(정답률: 71%)
  • 공장 건축에서 자연채광을 계획할 때 벽면 및 색채계획 시 빛의 반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빛이 반사되어 눈부심이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색상과 재질을 선택하고, 빛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톱날지붕형태일 경우 채광창은 남향으로 하는 것이 좋지만, 항상 투명유리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자연채광을 차단하는 것도 좋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주택에서 가사노동의 경감을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비를 좋게 하고 되도록 기계화할 것
  2. 능률이 좋은 부엌시설이나 가사실을 갖출 것
  3. 평면에서의 주부의 동선이 단축되도록 할 것
  4. 청소 등의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좁은 주거로 계획할 것
(정답률: 87%)
  • "청소 등의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좁은 주거로 계획할 것"은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집안의 면적을 줄이고,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청소 등의 가사노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즉, 작은 공간에서 필요한 것만 갖추고, 불필요한 것은 배제하여 가사노동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각종 연립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정형 주택은 중정을 아트리움으로 구성하는 관계로 아트리움 주택이라고도 한다.
  2. 로우 하우스는 지형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배치 및 집약적인 공동설비 배치가 가능하다.
  3. 테라스 하우스는 경사지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각 호마다 전용의 정원을 갖는다.
  4. 타운 하우스는 도로에서 2층으로 진입하므로 2층은 생활공간, 1층은 수면공간의 공간 구성을 갖는다.
(정답률: 80%)
  • 타운 하우스는 도로에서 2층으로 진입하므로 2층은 생활공간, 1층은 수면공간의 공간 구성을 갖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타운 하우스는 일반적으로 1층에 생활공간, 2층에 수면공간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고층사무소 건축에서 층고를 낮게 잡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층고가 높을수록 공사비가 높아지므로
  2. 실내공기조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3. 제한된 건물 높이 한도 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층수를 얻기 위하여
  4. 엘리베이터의 왕복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서비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답률: 80%)
  • 고층사무소 건축에서 층고를 낮게 잡는 이유는 "엘리베이터의 왕복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서비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입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많은 층을 오르내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여서 직원들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엘리베이터 이용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부엌의 각종 설비를 작업하기에 가장 적절하게 배열한 것은?

  1. 냉장고 → 레인지 → 개수대 → 작업대 → 배선대
  2. 냉장고 → 개수대 → 작업대 → 레인지 → 배선대
  3. 냉장고 → 개수대 → 레인지 → 작업대 → 배선대
  4. 냉장고 → 작업대 → 레인지 → 개수대 → 배선대
(정답률: 73%)
  • 냉장고와 레인지는 서로 열과 냉기를 발생시키는 기기이므로 서로 가까이 놓으면 열이 전달되어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냉장고와 레인지는 가능한 멀리 놓아야 합니다. 개수대는 식재료를 보관하고 조리할 때 필요한 공간이므로 냉장고와 가까이 놓아야 합니다. 작업대는 조리를 위한 공간이므로 개수대와 레인지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배선대는 전기와 가스 배선을 위한 공간이므로 작업대와 레인지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냉장고 → 개수대 → 작업대 → 레인지 → 배선대"가 가장 적절한 배열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업무시설 중 사무소에서 장애인 등의 편의를 위해 건축물의 주출입구에 턱 낮추기를 하는 경우 주출입구와 통로의 높이 차이는 최대 얼마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cm
  2. 2cm
  3. 4cm
  4. 5cm
(정답률: 76%)
  • 장애인 등의 편의를 위해 건축물의 주출입구에 턱 낮추기를 할 경우, 주출입구와 통로의 높이 차이는 최대 2cm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장애인이 휠체어나 보행보조기 등을 사용하여 출입할 때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2cm 이하의 높이 차이는 장애인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범위이며, 이를 넘어서면 이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이 있으며, 건축물 설계 시에는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상점의 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이 매장 중앙에 위치하면 동선을 자연스럽게 분할할 수 있다.
  2. 소규모 상점에서는 계단의 경사가 낮을수록 매장면적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3. 원형의 나선형 계단은 차지하는 면적은 적으나 오르내리기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4. 상점의 깊이가 깊은 직사각형의 평면인 경우 측벽에 따라 계단을 설치하는 것이 시각적 및 공간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정답률: 70%)
  • "소규모 상점에서는 계단의 경사가 낮을수록 매장면적의 효율성이 증가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계단의 경사가 낮을수록 오르내리기가 편리해지고,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매장면적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10층 이상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화물용 승강기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숫자는?

  1. 10
  2. 60
  3. 100
  4. 120
(정답률: 75%)
  • 이 승강기는 10층 이상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최소한 10층까지는 가야 한다. 또한, 가장 높은 층인 120층까지 가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가장 큰 숫자인 100이 선택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무소 건축의 실 단위계획 중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성이 결핍되고 소음이 있다.
  2.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공사비가 개실 시스템보다 저렴하다.
  4. 방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없다.
(정답률: 88%)
  • 방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없다는 것은 개방식 배치에서는 벽이 없기 때문에 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방식 배치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백화점 스팬(Span)의 결정요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공조실의 폭과 위치
  2. 매장 진열장의 배치방식과 치수
  3. 지하주차장의 주차방식과 주차 폭
  4.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의 유무와 배치
(정답률: 62%)
  • 백화점 스팬은 대규모 매장이기 때문에 공조실의 폭과 위치가 중요하다. 공조실이 작거나 위치가 부적절하면 매장 내 온도와 습도 조절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스팬의 결정요인 중 가장 관련성이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한식주택은 좌식의 특징, 양식주택은 입식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1. 난방방법
  2. 조명방법
  3. 채광방법
  4. 환기방법
(정답률: 87%)
  • 한식주택은 옛날부터 바닥난방을 사용해왔기 때문에 좌식의 특징을 갖고 있고, 양식주택은 중앙난방을 사용해왔기 때문에 입식의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난방방법의 차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택 평면계획에서 일반적으로 인접 및 분리의 원칙이 적용된다. 다음 각 공간의 관계가 인접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거실-현관
  2. 거실-식당
  3. 식당-주방
  4. 침실-다용도실
(정답률: 73%)
  • 침실과 다용도실은 일반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하지만, 일부 주택에서는 침실과 다용도실을 인접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침실과 다용도실은 인접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설명에 알맞은 공장 건축의 레이아웃 형식은?

  1. 혼성식 레이아웃
  2. 고정식 레이아웃
  3. 공정 중심의 레이아웃
  4. 제품 중심의 레이아웃
(정답률: 78%)
  • 공장 건축의 레이아웃 형식은 공정 중심의 레이아웃입니다. 이는 생산 공정에 따라 공장 내부를 구성하는 형식으로, 각 공정별로 필요한 장비와 기계를 한 곳에 모아놓고 생산 라인을 구성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생산 공정의 순서와 흐름에 따라 공장 내부를 구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타일의 크기가 11×11cm일 때 가로, 세로의 줄눈은 6mm이다. 이 때 1m2에 소요되는 타일의 수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34매
  2. 55매
  3. 65매
  4. 75매
(정답률: 66%)
  • 가로와 세로의 줄눈이 6mm이므로 1cm당 줄눈의 수는 10÷0.6=16.67개이다. 따라서 1m2에는 (100÷11)×(100÷11)×16.67×16.67≈1050개의 줄눈이 필요하다. 하나의 타일은 가로 11cm, 세로 11cm이므로 면적은 121cm2이다. 따라서 1m2에 필요한 타일의 수량은 10000÷121≈82.64개이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답은 75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점토질 지반과 사질 지반을 비교한 것 중 옳은 것은?

  1. 투수계수는 점토가 크고 사질은 작다.
  2. 가소성은 점토가 작고 사질은 크다.
  3. 압밀속도는 점토는 느리고 사질은 빠르다.
  4. 내부마찰각은 점토는 크고 사질은 작다.
(정답률: 62%)
  • 압밀속도는 지반의 밀도와 경도에 영향을 받는데, 점토는 입자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물을 흡수하여 미끄러움이 적어 압밀속도가 느리고, 사질은 입자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미끄러움이 많아 압밀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압밀속도는 점토는 느리고 사질은 빠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지붕이음재료가 아닌 것은?

  1. 가압시멘트기와
  2. 유약기와
  3. 슬레이트
  4. 아스팔트 펠트
(정답률: 75%)
  • 아스팔트 펠트는 지붕재료로 사용되지만, 지붕이음재료는 아닙니다. 지붕이음재료는 지붕재료를 연결하거나 보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직종별 전문업자 또는 하도급자에게 고용되어 있고, 직종장에게 고용되는 전문기능 노무자로서 출역일수에 따라 임금을 받는 노무자는?

  1. 직용노무자
  2. 정용노무자
  3. 임시고용노무자
  4. 날품노무자
(정답률: 46%)
  • 정용노무자는 일정한 기간 동안 고용주에게 근무하며,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일을 수행하는 노무자를 말합니다. 출역일수에 따라 임금을 받으며, 고용주와의 근로계약서에 따라 근로조건이 정해집니다. 따라서, 직종별 전문업자 또는 하도급자에게 고용되어 있고, 직종장에게 고용되는 전문기능 노무자는 정용노무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설공사에서 기준점(Bench mark)의 설치 장소로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건물 주변의 담
  2. 인접 건물
  3. 공사장 근처의 건물 외부
  4. 시공하고 있는 건물의 기초부
(정답률: 75%)
  • 시공하고 있는 건물의 기초부는 공사 중에 변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부적절한 기준점 설치 장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서중 콘크리트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공기연행이 용이하여 혼화제 사용이 불필요하다.
  2. 콘크리트 응결이 빠르므로 콜드조인트(Cold joint)가 발생하기 쉽다.
  3. 콘크리트는 비빈 후 되도록 빨리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콘크리트 재료는 온도가 되도록 낮아지도록 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3%)
  • "콘크리트의 공기연행이 용이하여 혼화제 사용이 불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콘크리트의 공기연행이 용이하다는 것은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가 잘 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줄이기 위해 혼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양생
  2. 증기양생
  3. 습윤양생
  4. 방부양생
(정답률: 60%)
  • 방부양생은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을 혼합하여 형태를 만들고, 그 형태 안에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에 비해 전기양생, 증기양생, 습윤양생은 콘크리트의 경화를 가속화시키기 위해 각각 전기, 증기, 습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방부양생이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PM 방식에서 네트워크(Network) 공정표의 용어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액티비티(Activity) :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작업 단위
  2. 플로우트(Float) : 작업의 여유시간
  3. 주 공정선(Critical path) : 개시 결합점에서 종료 결합점에 이른 가장 긴 패스
  4. 슬랙(Slack) :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
(정답률: 65%)
  • 정답은 "슬랙(Slack) :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다. 슬랙은 작업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아니라, 해당 작업이 늦어지더라도 전체 프로젝트 완료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여유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슬랙은 작업의 여유시간을 나타내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흙막이공법 중 흙막이 자체가 지하 본구조물의 옹벽을 형성하는 것은?

  1. H-pile 및 토류판
  2. 소일네일링공법(Soil nailing)
  3. 시멘트주열벽(Soil cement wall)
  4. 지하연속벽(Slurry wall)
(정답률: 79%)
  • 지하연속벽은 흙막이공법 중 하나로, 흙막이 자체가 지하 본구조물의 옹벽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하에 깊이 파인 구덩이 안에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슬러리를 주입하여 지하연속벽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지하연속벽은 지하수나 지반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어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철골구조의 내화피복공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성형판붙임공법
  2. 미장공법
  3. 뿜칠공법
  4. 심초공법
(정답률: 41%)
  • 철골구조의 내화피복공법 중에서 심초공법은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이유는 심초공법은 철골구조에 적용되는 내화피복공법이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피복공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철골구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왕대공 지붕틀에서 지붕틀 상호 간의 연결을 튼튼히 하고 평보의 옆 휨을 막기 위하여 평보와 평보 사이에 걸쳐대는 부재로 옆휨막이 또는 대공밑둥잡이라고도 불리우는 것은?

  1. 대공가새
  2. 보잡이
  3. 귀잡이보
  4. 버팀대
(정답률: 54%)
  • 보잡이는 왕대공 지붕틀에서 지붕틀 상호 간의 연결을 튼튼히 하고 평보의 옆 휨을 막기 위하여 평보와 평보 사이에 걸쳐대는 부재로, 대공밑둥잡이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보잡이"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왕대공 지붕틀에서 사용되는 부재들이지만, 보잡이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무량판구조 혹은 평판구조에 사용되는 특수상자모양의 기성재 거푸집으로 우물반자의 형식으로 되어있는 것은?

  1. 클라이밍폼(Climbing form)
  2. 와플폼(Waffle form)
  3. 트래블링폼(Traveling form)
  4. 유로폼(Euro form)
(정답률: 69%)
  • 와플폼은 무량판구조나 평판구조에 사용되는 특수상자모양의 기성재 거푸집으로, 우물반자의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이는 건축물의 구조를 지탱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클라이밍폼, 트래블링폼, 유로폼은 모두 건축물의 형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기성재 거푸집이지만, 그 형태나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목재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대재를 얻기 쉽고, 다른 구조재료보다 가볍다.
  2. 열전도율이 적으므로 방한, 방서성이 뛰어나다.
  3. 건습에 의한 신축변형이 심하다.
  4. 부패 및 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80%)
  • 부패 및 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다는 것은 목재가 오랫동안 사용되어도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목재의 내부 구조가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건축공사 견적 방법 중 가장 정확한 공사비의 산출이 가능한 견적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명세견적
  2. 개산견적
  3. 입찰견적
  4. 설계견적
(정답률: 64%)
  • 명세견적은 구체적인 공사 내용과 재료, 인력 등을 상세하게 기재하여 공사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다른 견적 방법에 비해 가장 정확한 공사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사 계약 시에도 명세견적을 기반으로 계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벽돌구조의 아치(Arch)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의 하부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는 구조이다.
  2. 창문의 너비가 1m 정도일 때는 평아치로도 할 수 있다.
  3. 문꼴 너비가 2m 이상으로 집중하중이 올 때는 인방보 등을 써서 보강한다.
  4. 아치벽돌을 특별히 주문 제작하여 만든 것을 거친아치라고 한다.
(정답률: 60%)
  • "아치벽돌을 특별히 주문 제작하여 만든 것을 거친아치라고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아치벽돌은 일반 벽돌과 다르게 곡선 모양으로 제작되어 아치 형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특별히 주문 제작할 필요 없이 일반적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방수공법 중 멤브레인방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스팔트방수
  2. 합성고분자시트방수
  3. 도막방수
  4. 액체방수
(정답률: 45%)
  • 액체방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액체 상태의 방수재를 사용하여 방수 처리하는 방법이다. 멤브레인방수는 시트 형태의 방수재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외부나 내부를 방수 처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액체방수는 멤브레인방수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목구조에 사용하는 보강철물이 아닌 것은?

  1. 컬럼밴드
  2. 안장쇠
  3. 주걱 꺽쇠
  4. 감잡이쇠
(정답률: 77%)
  • 컬럼밴드는 목구조를 보강하는 철물이 아닙니다. 컬럼밴드는 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보강재로, 철물이지만 목구조를 보강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물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목구조에 사용하는 보강철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설건물 중 시멘트창고의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구조는 마루널깔기가 보통이며 가능하면 그 위에 루핑을 깐다.
  2. 주위에는 배수구를 설치하여 물 빠짐을 좋게 한다.
  3. 통풍이 잘 되도록 가능한 한 개구부의 크기를 크게 한다.
  4. 시멘트의 높이 쌓기는 13포대를 한도로 한다.
(정답률: 85%)
  • "통풍이 잘 되도록 가능한 한 개구부의 크기를 크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시멘트창고는 통풍이 잘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시멘트는 습기에 노출되면 경화과정이 불완전해지고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창고 내부의 습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통풍이 잘 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개구부의 크기를 작게 하여 통풍을 막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철근의 이음 위치를 결정하는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의 이음부는 구조상 취약한 부분이 되기 때문에 인장응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곳에서는 이음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주근의 이음은 구조부재에 있어 인장력이 가장 작은 부분에 둔다.
  3. 지름이 다른 주근을 잇는 경우에는 작은 주근의 지름을 기준으로 한다.
  4. 이음의 위치는 가능하면 응력이 큰 곳을 피하고, 동일한 개소에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잇는 것이 좋다.
(정답률: 42%)
  • "지름이 다른 주근을 잇는 경우에는 작은 주근의 지름을 기준으로 한다."는 옳지 않은 원칙이다. 이유는 지름이 작은 주근을 기준으로 이음을 하면 인장강도가 낮아져 구조물의 안전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름이 큰 주근을 기준으로 이음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음의 위치는 가능하면 응력이 큰 곳을 피하고, 동일한 개소에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잇는 것이 좋다. 이유는 응력이 큰 곳에서 이음을 하면 이음부의 인장력이 커져서 구조물의 안전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개소에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잇는 것은 이음부의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시멘트의 주성분이 아닌 것은?

  1. 실리카
  2. 염화칼슘
  3. 산화철
  4. 석회
(정답률: 54%)
  • 염화칼슘은 시멘트의 주성분이 아닙니다. 시멘트의 주성분은 실리카, 산화철, 석회입니다. 이들 성분이 혼합되어 시멘트를 구성하며, 염화칼슘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그림과 같은 왕대공 트러스의 C점에서 P가 작용할 때 응력이 생기지 않는 부재는 몇 개인가?(단, 트러스 자체의 무게는 무시)

  1. 0개
  2. 1개
  3. 2개
  4. 3개
(정답률: 48%)
  • C점에서 응력이 생기지 않으려면 외력과 반력이 평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P가 작용하는 부재들은 모두 응력이 생긴다. 하지만 P와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재들은 반력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여 C점에서 응력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3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름 400mm인 기성콘크리트말뚝을 시공할 때 그 중심간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800mm
  2. 900mm
  3. 1,000mm
  4. 175mm
(정답률: 63%)
  • 지름 400mm인 기성콘크리트말뚝을 시공할 때 중심간격은 말뚝의 안정성과 연관이 있습니다. 중심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말뚝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너무 멀면 말뚝이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중심간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말뚝의 중심간격은 말뚝 지름의 2배에서 3배 사이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400mm의 지름을 가진 말뚝의 중심간격이 800mm에서 1,200mm 사이가 적당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적당한 것은 1,000mm입니다. 이유는 800mm는 너무 가깝고, 900mm은 적당하지만 1,000mm이 더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1,200mm은 너무 멀어서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직경이 9.53mm이고 콘크리트 강도가 30MPa인 표준갈고리의 기본정착길이를 구하면?(단, fy=400MPa, 에폭시 도막되지 않은 경우, mc=2,300kg/m3)

  1. 85mm
  2. 150mm
  3. 167mm
  4. 175mm
(정답률: 44%)
  • 표준갈고리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b = (Kr × fy × As) / (mc × fc0.5)

    여기서, Kr은 강도감소계수이며, 일반적으로 0.7로 가정한다. As는 철근 단면적이다.

    As = (π/4) × d2 = (π/4) × (9.53mm)2 = 71.67mm2

    따라서,

    Lb = (0.7 × 400MPa × 71.67mm2) / (2,300kg/m3 × 30MPa0.5) ≈ 167mm

    따라서, 정답은 "16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짙은 색 영역의 도형에 대한 도심 위치는 밑변으로부터 얼마인가?

(정답률: 32%)
  • 도심 위치는 도형의 중심이므로, 도형을 대칭축으로 접었을 때 대칭되는 점이 도심이 된다. 이 도형은 삼각형이므로, 밑변의 중심이 도심이 된다. 따라서 도심 위치는 밑변의 중심인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일반적인 건축 구조물의 하중 전달 경로를 순서대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률: 53%)
  • 일반적인 건축 구조물의 하중 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 지반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들이는 기초
    2. ㉠: 기초에서 받은 하중을 구조물의 기둥으로 전달
    3. ㉢: 기둥에서 받은 하중을 보의 형태로 전달
    4. ㉤: 보에서 받은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
    5. ㉣: 기둥에서 받은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

    따라서, "㉡ → ㉠ → ㉢ → ㉤ → ㉣"이 정답입니다. 기초에서 받은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는 과정이 먼저 일어나고, 그 후에 기둥에서 받은 하중을 보로 전달하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보의 최대전단응력도로 옳은 것은?

  1. 1.125MPa
  2. 2.564MPa
  3. 3.496MPa
  4. 4.253MPa
(정답률: 44%)
  • 보의 최대전단응력은 τmax = (3/2) * V / A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V는 전단력, A는 단면적을 나타냅니다.

    주어진 보의 전단력 V는 60kN, 단면적 A는 40mm x 80mm = 3200mm^2 입니다.

    따라서 τmax = (3/2) * 60kN / 3200mm^2 = 1.125MPa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25MP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무근콘크리트기둥이 축방향력을 받아 재축방향으로 0.5mm변형하였다. 좌굴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축방향력은?(단, 단면400×400mm, 길이 4m, 콘크리트탄성계수는 2.1×104MPa임.)

  1. 300kN
  2. 360kN
  3. 420kN
  4. 480kN
(정답률: 47%)
  • 먼저, 무근콘크리트는 약한 인장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압축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따라서, 무근콘크리트 기둥의 변형은 주로 압축변형으로 발생합니다.

    본 문제에서는 축방향으로 0.5mm의 변형이 발생했으므로, 이는 압축변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압축응력과 압축변형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압축응력 = 압축변형 × 탄성계수

    여기서, 탄성계수는 무근콘크리트의 탄성계수인 2.1×10^4 MPa를 사용합니다.

    압축응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둥의 단면적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구해야 합니다.

    기둥의 단면적은 400mm × 400mm = 160,000mm^2 입니다.

    힘은 변형을 일으킨 원인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변형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힘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압축변형 = 변형량 / 기둥의 길이 = 0.5mm / 4m = 0.0005m / 4m = 1.25 × 10^-4

    압축응력 = 압축변형 × 탄성계수 = 1.25 × 10^-4 × 2.1 × 10^4 = 2.625 MPa

    따라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습니다.

    힘 = 압축응력 × 기둥의 단면적 = 2.625 MPa × 160,000mm^2 = 420 kN

    따라서, 정답은 "420k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은 극한강도설계법에서 단근 장방형 보의 응력도를 표시한 것이다. 압축력 C값으로 옳은 것은?(단, fck=21MPa, fy=400MPa, As=300mm2, b=350mm)

  1. 110.0kN
  2. 112.5kN
  3. 115.0kN
  4. 120.0kN
(정답률: 35%)
  • 주어진 그림에서 보의 극한강도설계법에 따른 응력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압축력 C는 보의 극한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최대 압축력이다. 따라서 C는 보의 극한강도인 0.85fckAg + 0.85fyAs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Ag는 보의 단면적이고, As는 보의 단면에서의 철근 면적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Ag는 b×h로 계산할 수 있고, h는 보의 높이이다. 따라서 Ag = 350mm × 600mm = 210000mm2이다. As는 주어진 문제에서 1층과 2층에 각각 2줄씩 있는 철근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As = 2 × 2 × As = 1200mm2이다.

    따라서 C = 0.85 × 21MPa × 210000mm2 + 0.85 × 400MPa × 1200mm2 = 120.0kN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0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는?

  1. 1차 부정정
  2. 2차 부정정
  3. 3차 부정정
  4. 4차 부정정
(정답률: 53%)
  • 이 구조물은 한 점에서 시작하여 두 가지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1차 부정정 구조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철근콘크리트 강도설계법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단순지지된 보의 최소 춤(h)으로 적당한 것은?(단, 보의 길이=5,000mm, 보통콘크리트 사용, fy=400MPa)

  1. 312.5mm
  2. 365.2mm
  3. 412.6mm
  4. 432.8mm
(정답률: 47%)
  • 철근콘크리트 강도설계법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단순지지된 보의 최소 춤(h)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h = L/20

    여기서 L은 보의 길이이다. 따라서, L=5,000mm일 때,

    h = 5,000/20 = 250mm

    하지만, 보통콘크리트를 사용하고, fy=400MPa인 경우, 최소 춤(h)는 다음과 같이 보정해야 한다.

    h' = h × (1.2 - 0.0012 × fy)

    여기서, h'는 보정된 최소 춤을 의미한다. 따라서, fy=400MPa인 경우,

    h' = 250 × (1.2 - 0.0012 × 400) = 312.5mm

    따라서, 정답은 "312.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부재 설계 시 겹침이음을 하지 않아야 하는 철근은?

  1. D25를 초과하는 철근
  2. D29를 초과하는 철근
  3. D22를 초과하는 철근
  4. D35를 초과하는 철근
(정답률: 75%)
  • 강도설계법에서는 겹침이음을 하지 않아야 하는 철근의 최대 직경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부재 내부의 응력 분포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하지 않아야 하는 철근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완전대칭 라멘구조에서 B-E부재에 발생되는 휨모멘트MBE의 크기는?

  1. 0
  2. 1.5kNㆍm
  3. 2kNㆍm
  4. 4kNㆍm
(정답률: 60%)
  • 완전대칭 구조에서는 B-E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C-D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같으므로, 두 부재에 발생하는 힘과 모멘트는 서로 상쇄됩니다. 따라서 B-E 부재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는 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목재보의 최대 처짐은?(단, E=10,000MPa이고자중은 무시한다.)

  1. 45mm
  2. 30mm
  3. 20mm
  4. 15mm
(정답률: 48%)
  • 목재보의 최대 처짐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ax = (5/384) × (FL³)/(EI)

    여기서, F는 하중, L은 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E를 무시하고, F와 L이 같으므로 ∆max는 I에 비례한다. 따라서, I가 가장 큰 45mm가 가장 작은 처짐을 가지고, I가 가장 작은 15mm가 가장 큰 처짐을 가진다.

    따라서, 정답은 I가 두 번째로 작은 2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극한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장기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축철근비가 클수록 장기처짐은 감소한다.
  2. 장기처짐은 즉시처짐과 관계가 없다.
  3. 장기처짐은 상대습도, 온도 등 제반 환경에는 영향을 크게 받으나 부재의 크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시간경과계수의 최대 값은 3이다.
(정답률: 42%)
  • 압축철근비가 클수록 장기처짐은 감소한다는 것은, 압축철근이 많을수록 부재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변형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철근비가 높을수록 부재의 변형이 적어지므로 장기처짐도 감소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강도설계법에 의한 전단설계 시 부재 축에 직각인 전단철근을 사용할 때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 Vs는?(단, s는 전단철근의 간격)

(정답률: 50%)
  • 강도설계법에 의한 전단설계 시 부재 축에 직각인 전단철근을 사용할 때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 V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s = 0.87 × fy × As / s

    여기서, fy는 전단철근의 항복강도, As는 전단철근의 단면적, s는 전단철근의 간격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 인 이유는 0.87이 전단철근의 강도를 고려한 계수이기 때문입니다. 이 계수는 전단철근의 항복강도인 fy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전단철근의 간격 s가 작아질수록 이 계수는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단철근 간격이 좁을수록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는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보에서 지점 B가 6kN까지의 반력을 지지할 수 있다. 하중 9kN은 A점에서 몇 m까지 이동할 수 있는가?

  1. 3m
  2. 4m
  3. 5m
  4. 6m
(정답률: 35%)
  • 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A점에서의 하중과 B점에서의 반력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B점에서의 최대 반력인 6kN을 지지할 수 있는 경우, A점에서의 최대 하중은 6kN이다. 이때 A점에서의 하중과 B점에서의 반력이 같으므로, A점에서의 하중이 6kN일 때 보는 균형을 유지한다. 따라서 A점에서의 하중이 9kN가 되면 보는 균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A점에서의 하중과 B점에서의 반력이 같으므로, A점에서의 하중이 6kN일 때 보는 균형을 유지한다.

    A점에서의 하중이 1kN 증가할 때마다 B점에서의 반력도 1kN 증가하므로, A점에서의 하중이 9kN가 되면 B점에서의 반력은 6kN + 8kN = 14kN가 된다.

    하지만 보는 B점에서 6kN까지의 반력만 지지할 수 있으므로, A점에서의 하중이 9kN가 되면 보는 균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A점에서의 하중이 6kN일 때, 보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하중 9kN은 A점에서 6m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강도설계법일 경우 현장치기콘크리트에서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가 40N/mm2 이상인 기둥의 최소 피복두께로 적당한 것은?

  1. 50mm
  2. 40mm
  3. 30mm
  4. 20mm
(정답률: 45%)
  • 강도설계법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 등급에 따라 최소 피복두께가 정해져 있다. 강도가 40N/mm2 이상인 기둥의 경우, 최소 피복두께는 30mm이다. 이는 강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복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30mm이 적당한 피복두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B지점의 반력과 그 방향은?

  1. 20kN(상향)
  2. 20kN(하향)
  3. 10kN(상향)
  4. 10kN(하향)
(정답률: 36%)
  • B지점에서는 수직방향으로 평형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A지점에서 작용하는 20kN의 중력과 C지점에서 작용하는 10kN의 반력이 상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B지점에서는 10kN의 하향 반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4변 고정된 철근콘크리트슬래브에서 장변의 길이가 8m일 때 2방향 슬래브가 설계되려면 단변의 길이는?

  1. 1m 이상
  2. 2m 이상
  3. 3m 이상
  4. 4m 이상
(정답률: 57%)
  • 4변 고정된 철근콘크리트슬래브에서 2방향으로 설계하려면, 슬래브의 각 변은 서로 같은 길이여야 한다. 따라서, 장변의 길이가 8m일 때, 단변의 길이는 8m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에서 A, B, C 각 점에 대한 모멘트의 크기를 비교한 것중 옳은 것은?

  1. MA>4MB>MC
  2. MA<MB<MC
  3. MA=MB>MC
  4. MA=MB=MC
(정답률: 57%)
  • 정답은 "MA=MB=MC" 이다. 이유는 모멘트의 크기는 물체의 질량과 거리에 비례하기 때문에, A, B, C 점에서의 모멘트 크기는 각각의 질량과 해당 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그러나 이 그림에서는 A, B, C 점에 위치한 물체들의 질량이 동일하고, 각각의 거리도 동일하다. 따라서 A, B, C 점에서의 모멘트 크기는 모두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수관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난방에 사용이 가능하다.
  2. 예열시간이 짧고 효율이 좋다.
  3. 부하변동에 대한 추종성이 높다.
  4. 연관식보다 사용압력은 낮으나 설치면적이 작다.
(정답률: 46%)
  • "연관식보다 사용압력은 낮으나 설치면적이 작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수관보일러가 연관식보일러보다 작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며, 사용압력이 낮아서 더 많은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200V의 전압을 가했을 때 8A의 전류가 흐른다면 저항은 몇 Ω인가?

  1. 16Ω
  2. 25Ω
  3. 40Ω
  4. 50Ω
(정답률: 64%)
  • 저항은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은 전압을 전류로 나눈 값인 200V / 8A = 25Ω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Ω"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통기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개통기방식의 경우, 반드시 통기수직관을 설치한다.
  2. 통기수직관과 빗물수직관은 겸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이상적이다.
  3. 배수수직관의 상부는 연장하여 신정통기관으로 사용하며, 대기중에 개구한다.
  4. 통기수직관의 하부는 최저위치에 있는 배수수평지관보다 낮은 위치에서 배수수직관에 접속하거나 또는 배수수평주관에 접속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통기수직관과 빗물수직관은 겸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이상적이다."이다. 이유는 통기수직관과 빗물수직관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겸용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통기수직관은 배수시에 공기를 유입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빗물수직관은 비가 내리면 빗물을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기능을 겸용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능상으로도 문제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급탕배관설계 및 시공상 주의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향배관인 경우 급탕관은 상향구배로 한다.
  2. 급탕관의 최상부에는 공기빼기장치를 설치한다.
  3. 중앙식 급탕설비는 원칙적으로 자연순환방식으로 한다.
  4. 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건물의 벽 관통 부분의 배관에는 슬리브를 설치한다.
(정답률: 50%)
  • "상향배관인 경우 급탕관은 상향구배로 한다."는 옳은 주의점이다. 하지만 "중앙식 급탕설비는 원칙적으로 자연순환방식으로 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점이다. 중앙식 급탕설비는 자연순환방식과 강제순환방식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설계 및 시공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주의점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유: 중앙식 급탕설비는 건물 전체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자연순환방식과 강제순환방식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자연순환방식은 물이 뜨거워져 가벼워지면서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물이 자연스럽게 순환되는 방식이다. 강제순환방식은 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중앙식 급탕설비의 방식은 설계 및 시공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자연순환방식이 원칙적으로 선택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값은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Ω
  2. 20Ω
  3. 30Ω
  4. 40Ω
(정답률: 60%)
  •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값은 10Ω 이하여야 한다. 이는 전기안전관리규정 제32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전기기기 및 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지켜져야 하는 기준이다. 10Ω 이하의 저항값을 유지함으로써, 전기기기나 설비의 이상전류가 지나치게 발생하여 인체에 위험을 줄 수 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가 4개인 경우,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단, 층수가 30층 미만인 경우)

  1. 2.6m3
  2. 7m3
  3. 10.4m3
  4. 14m3
(정답률: 65%)
  • 옥내소화전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가 4개인 경우, 해당 층에는 최소 4개의 옥내소화전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해당 층의 옥내소화전설비 4개가 모두 사용될 때를 가정하여 계산해야 한다.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저수량 = 설치개수 × 용량 × 사용률

    여기서, 설치개수는 해당 층의 옥내소화전설비 개수인 4개이고, 용량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용량으로 일반적으로 2.6m3이다. 사용률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률로 일반적으로 0.4이다.

    따라서, 저수량 = 4 × 2.6 × 0.4 = 4.16m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했으므로, 저수량을 반올림하여 10.4m3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4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사열에 의한 난방이므로 쾌감도가 높다.
  2. 열용량이 작기 때문에 간헐난방에 적합하다.
  3. 천장고가 높은 곳에서도 난방감을 얻을 수 있다.
  4. 실내에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바닥이나 벽면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65%)
  • "열용량이 작기 때문에 간헐난방에 적합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복사난방은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물체를 가열하여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열의 유출이 적고, 열용량이 작기 때문에 간헐적으로 사용해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급수의 오염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워터해머
  2. 배관의 부식
  3. 크로스 커넥션
  4. 저수탱크의 정체수
(정답률: 73%)
  • 워터해머는 수도관에서 물이 급격하게 흐르다가 갑자기 차단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는 수도관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급수의 오염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다른 보기들과 비교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 배관의 부식, 크로스 커넥션, 저수탱크의 정체수는 모두 급수의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외기온도 34℃, 상대습도 70%, 실내온도 27℃, 상대습도 60%인 조건하에서 틈새바람 100m3/h가 실내로 유입되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냉방현열부하는?(단, 공기의 밀도는 1.2kg/m3,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ㆍK이다.)

  1. 약 174W
  2. 약 236W
  3. 약 350W
  4. 약 465W
(정답률: 53%)
  • 냉방현열부는 외기와 실내의 온도차에 따라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외기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7℃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냉방현열부 = 유입공기량 x 공기의 밀도 x 공기의 정압비열 x 온도차

    유입공기량은 100m3/h이므로, 100/3600 = 0.0278m3/s이다.

    공기의 밀도는 1.2kg/m3,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ㆍK이므로,

    냉방현열부 = 0.0278 x 1.2 x 1.01 x 7 = 약 0.236kW = 약 236W

    따라서, 정답은 "약 236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열관류율 K=5W/m2ㆍK인 유리창을 통하여 이동하는 열량은? (단, 유리창의 면적은 10m2이며,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는 30℃이다.)

  1. 50W
  2. 150W
  3. 300W
  4. 1,500W
(정답률: 51%)
  • 열관류율 K는 단위 면적당 열전달량과 온도차이의 비례상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열전달량은 면적과 온도차이에 비례하게 된다.

    여기서 유리창의 면적은 10m2이고, 온도차이는 30℃이므로 열전달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전달량 = K × 면적 × 온도차이
    = 5W/m2ㆍK × 10m2 × 30℃
    = 1,500W

    따라서 정답은 "1,500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광원에서 1m 떨어진 점에서 조도를 측정하였더니 100lx이었다. 이 광원의 광도는?(단, 균등 점광원인 경우)

  1. 100cd
  2. 200cd
  3. 300cd
  4. 400cd
(정답률: 53%)
  • 조도는 광원에서 떨어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광원에서 1m 떨어진 점에서의 조도가 100lx이면, 광원에서 2m 떨어진 점에서의 조도는 25lx이다. 이는 광원이 일정한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균등 점광원의 경우, 광도가 광원에서 1m 떨어진 점에서 1/4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원의 광도는 100lx × (1m)^2 = 100c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배수트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효봉수깊이가 너무 낮으면 봉수를 손실하기 쉽다.
  2. 유효봉수깊이는 일반적으로 50mm 이상 100mm 이하이다.
  3. 배수관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4. 유효봉수깊이가 너무 크면 유수의 저항이 증가되어 통수능력이 감소된다.
(정답률: 69%)
  • 배수트랩은 배수관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배수트랩은 물이 흐르는 동안 물과 함께 공기도 배출되어 환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수관계통의 환기를 도모하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축전지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진성을 고려한다.
  2. 축전지실의 천장높이는 1.8m 이상으로 한다.
  3. 축전지실의 전기배선은 비닐전선을 사용한다.
  4. 개방형축전지의 경우 조명기구 등은 내산형으로 한다.
(정답률: 50%)
  • 축전지실의 전기배선은 비닐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옳지 않다. 이유는 축전지실 내부에서는 화재 발생 시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내화재성이 높은 케이블을 사용해야 한다.

    축전지실의 천장높이는 1.8m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축전지실 내부에서 작업을 할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축전지실 내부에는 화재 발생 시 연기와 열이 상승하여 위쪽으로 퍼지기 때문에 충분한 천장높이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나타내는 것은?

  1. COD
  2. DO
  3. BOD
  4. PPM
(정답률: 81%)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나타내는 것은 BOD입니다. BOD는 Bio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분해될 때 생물이 소비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BOD가 높을수록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질 오염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COD는 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 전체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DO는 Dissolved Oxygen의 약자로, 물 속에 존재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물 속에 존재하는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변전실 위치 결정 시 고려할 사항 중 전력손실, 전압강하 및 배선비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장래 부하증설을 고려할 것
  2. 외부로부터 전원의 인입이 편리할 것
  3. 기기를 반입, 반출하는 데 지장이 없을 것
  4. 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배전에 편리한 장소일 것
(정답률: 61%)
  • 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배전에 편리한 장소일 것은 전력손실, 전압강하 및 배선비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이다. 이는 전기적으로 부하와 변압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력손실과 전압강하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배전에 편리한 장소일수록 배선비가 저렴해지며, 장래 부하증설을 고려할 때도 부하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가 유리하다. 따라서, 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배전에 편리한 장소일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최저필요급수압력이 가장 높은 대변기 세정수의 급수 방식은?

  1. 사이펀식
  2. 로우탱크식
  3. 하이탱크식
  4. 플러시밸브식
(정답률: 50%)
  • 플러시밸브식 대변기 세정수의 급수 방식은 물을 빠르게 분사하여 대변기를 세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저필요급수압력이 가장 높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물이 바로 분사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청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배관의 마찰손실수두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관의 길이
  2. 관내 유속
  3. 배관재의 강도
  4. 관내 표면의 거칠기
(정답률: 61%)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는 배관 내부의 유체가 흐를 때, 배관 내부와 유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수두를 의미합니다. 이 때, 배관재의 강도가 가장 관계가 먼 이유는 배관재의 강도는 배관의 내부 표면의 거칠기나 배관의 길이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관재의 강도는 배관의 내부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의 공기조화방식 중 전수방식에 속하는 것은?

  1. 2중덕트방식
  2. 단일덕트방식
  3. 팬코일유닛방식
  4. 멀티존유닛방식
(정답률: 74%)
  • 전수방식은 공기를 한 곳에서 모아서 처리한 후 전체 공간으로 분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팬코일유닛방식은 전수방식에 속합니다. 이 방식은 냉난방기와 팬코일을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공기처리를 한 후 팬코일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한 후 전체 공간으로 분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2중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혼합상자에서 소음과 진동이 생긴다.
  2. 부하특성이 다른 다수의 실이나 존에도 적용할 수 있다.
  3. 덕트스페이스가 작으며 습도의 완벽한 조절이 가능하다.
  4. 냉, 온풍의 혼합으로 인한 혼합손실이 있어서 에너지소비량이 많다.
(정답률: 64%)
  • "덕트스페이스가 작으며 습도의 완벽한 조절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2중덕트방식은 냉, 온풍의 혼합으로 인한 혼합손실이 있어서 에너지소비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배관용 동관의 관의 두께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K형
  2. L형
  3. M형
  4. N형
(정답률: 49%)
  • N형은 배관용 동관의 관의 두께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미국의 ASME 규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분류이기 때문이다. K형, L형, M형은 모두 ASME 규격에서 사용되는 배관용 동관의 관의 두께에 따른 분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관계법규

81. 다음 중 승용 승강기의 최소설치대수가 가장 많은 건축물의 용도는?(단,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3,000m2며 8인승 승강기를 설치하는 경우)

  1. 업무시설
  2. 위락시설
  3.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집회장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정답률: 52%)
  • 집회장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행사가 자주 열리는 곳으로, 많은 사람들을 한번에 운송할 수 있는 승강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설치대수가 가장 많은 건축물의 용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은 바닥면적의 산정방법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0.5m
  2. 1m
  3. 1.5m
  4. 2m
(정답률: 48%)
  • 바닥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해서 구합니다. 그림에서 가로는 2m, 세로는 0.5m 이므로 바닥면적은 2m × 0.5m = 1m²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축물의 지붕을 평지붕으로 하는 경우 건축물의 옥상에 헬리포트를 설치하거나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8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8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8,000m2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9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9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8,000m2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10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10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0m2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11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70%)
  • 헬리콥터는 안전한 이착륙을 위해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건축물의 지붕을 평지붕으로 하는 경우에는 헬리포트를 설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대상 건축물을 선정할 때는 층수와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층수가 높을수록 건물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헬리콥터의 안전한 이착륙을 위해 필요한 공간도 커집니다. 따라서, 층수가 11층 이상이고 11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0m2 이상인 건축물이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은 지하층의 정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4분의 1
  2. 3분의 1
  3. 2분의 1
  4. 3분의 2
(정답률: 79%)
  • 지하층은 지상층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층을 말한다. 그림에서 보면 지상층이 2층이므로, 바로 아래에 위치한 층은 1층이다. 그리고 1층을 또 반으로 나누면 1/2층과 1/2층으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지하층은 1/2층 혹은 2분의 1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입구는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2.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3.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할 것
  4.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정답률: 68%)
  •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이 아니라, 건축물의 방화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은 출입구가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노외주차장의 출구 및 입구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에 해당하는 것은?

  1. 종단기울기가 8%인 도로
  2. 횡단보도에서 3m 떨어진 도로의 부분
  3. 너비가 3m인 도로(주차장의 주차대수가 100대인 경우)
  4. 장애인복지시설의 출입구로부터 15m 떨어진 도로의 부분
(정답률: 42%)
  • 노외주차장의 출입구는 차량이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경사가 완만한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종단기울기가 8%인 도로가 해당됩니다. 종단기울기가 8%인 도로는 경사가 완만하고 차량이 쉽게 출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허가대상에 속하는 용도변경은?

  1. 숙박시설을 업무시설로 변경
  2. 종교시설을 단독주택으로 변경
  3. 종교시설을 교육연구시설로 변경
  4. 제1종근린생활시설을 숙박시설로 변경
(정답률: 55%)
  • 제1종근린생활시설은 주거지역 내에서 필요한 일상 생활을 지원하는 시설이며, 숙박시설은 잠시 머무르는 용도의 시설입니다. 따라서 제1종근린생활시설을 숙박시설로 변경하는 것은 용도변경 중 허가대상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상업지역의 세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용상업지역
  2. 일반상업지역
  3. 근린상업지역
  4. 유통상업지역
(정답률: 53%)
  • 전용상업지역은 상업용 건물만 건설이 가능한 지역으로, 주로 대규모 상업시설이 위치합니다. 일반상업지역, 근린상업지역, 유통상업지역은 모두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이 혼재된 지역으로, 상업시설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구분됩니다. 따라서, 전용상업지역은 상업시설만 건설 가능한 세분 중 하나이며, 나머지는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이 함께 위치한 지역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제1종전용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공관
  2. 아파트
  3. 다중주택
  4. 치과의원
(정답률: 75%)
  • 제1종전용주거지역은 주거지역으로서 일반적인 주택, 다중주택, 공관 등의 건축물은 건축이 가능하지만, 아파트는 건축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아파트가 다중주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중주택은 일반적으로 주택을 여러 개 묶어놓은 것이지만, 아파트는 건물 전체가 하나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1종전용주거지역에서는 아파트를 건축할 수 없습니다. 치과의원은 상업시설로 분류되기 때문에 제1종전용주거지역에서 건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건축물은?

  1. 위락시설 중 주점영업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집회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인 건축물
  2. 판매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인 건축물
  3. 관광휴게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m2인 건축물
  4.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m2인 건축물
(정답률: 33%)
  • 주점영업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은 내화구조로 해야하는데, 이유는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집회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인 건축물은 주점영업의 용도로 쓰이므로 내화구조로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특별시장, 광역시장,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설치하는 노외주차장에는 주차 대수 몇 대마다 한 면의 장애인 전용주차구획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0대
  2. 30대
  3. 40대
  4. 50대
(정답률: 43%)
  • 장애인차량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노외주차장에는 일정 대수 이상의 주차구획마다 장애인 전용주차구획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 대수는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대개는 50대 이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대지 및 건축물 관련 건축기준의 허용오차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판 두께 : 3% 이내
  2. 인접건축물과의 거리 : 3% 이내
  3. 건축물 높이 : 2% 이내(1m를 초과할 수 없다.)
  4. 건폐율 : 1% 이내(건축면적 5m2를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59%)
  • 건폐율은 대지면적 대비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비율이 너무 높으면 대지의 적정한 통행과 채광이 어렵고, 인접 건축물과의 거리도 좁아져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 오차 범위가 매우 작다. 따라서 "건폐율 : 1% 이내(건축면적 5m2를 초과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종교시설 중 종교집회장에 설치하는 봉안당의 용도는?

  1. 장례식장
  2. 종교시설
  3. 묘지 관련 시설
  4. 제2종근린생활시설
(정답률: 50%)
  • 봉안당은 종교시설 중 종교집회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종교적인 의식이나 예배 등을 집회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종교시설"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장례식이나 묘지와 관련된 시설,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종교적인 의미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숙박시설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시설면적 100m2당 1대
  2. 시설면적 120m2당 1대
  3. 시설면적 150m2당 1대
  4. 시설면적 200m2당 1대
(정답률: 67%)
  • 숙박시설은 많은 인원이 이용하기 때문에 주차 공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주차장은 시설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대수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시설면적이 클수록 더 많은 주차 공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설면적 200m2당 1대가 옳은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의 건축물 층수 산정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1. 2.4m
  2. 3m
  3. 4m
  4. 4.5m
(정답률: 73%)
  • 건축물의 층수는 층고가 (3.5m) 이상인 경우 1층으로 인정하며, ( ) 이상인 경우에는 1층에 추가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이 건축물의 층수는 1층이고, 층고가 3.5m 이상이므로 1층에 추가하여 계산하면 4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배연설비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1m2 이상으로 할 것
  2. 배연구는 예비전원에 의하여 열 수 있도록 할 것
  3. 배연구는 연기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 수 있는 구조로 하되, 손으로는 열고 닫지 못하도록 할 것
  4. 관련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할 것
(정답률: 71%)
  • "배연구는 연기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 수 있는 구조로 하되, 손으로는 열고 닫지 못하도록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안전을 위해 배연구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되, 비상시에는 수동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층수가 2층인 건축물
  2. 높이가 12m인 건축물
  3. 처마높이가 9m인 건축물
  4.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10m인 건축물
(정답률: 32%)
  • 높이가 12m인 건축물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해당하는데,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층수가 2층인 건축물은 층수에 따라 구조기준이 달라지지 않고, 처마높이가 9m인 건축물은 높이에 따라 구조기준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또한,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10m인 건축물은 건축물의 구조와는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창문 등의 차면시설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1m
  2. 2m
  3. 3m
  4. 5m
(정답률: 68%)
  • 차량의 창문 등의 차면시설은 안전을 위해 일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시야 확보입니다. 따라서 차량의 앞쪽에 위치한 창문 등의 시야 확보를 위한 기준은 2m입니다. 이는 운전자가 전방을 충분히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2.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cm인 것
  3. 석고판 위에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인 것
  4.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인 것
(정답률: 49%)
  • 석고판 위에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인 것이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단순히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 시 방화성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노외주차장의 주차형식에 따른 차로의 최소너비 관계가 옳게 나열된 것은?(단, 이륜자동차 전용이 아닌 노외주차장으로서 출입구가 2개인 경우)

  1. 평행주차 < 직각주차 < 교차주차
  2. 평행주차 < 교차주차 < 직각주차
  3. 45° 대향주차 < 60°대향주차 < 교차주차
  4. 45° 대향주차 < 평행주차 < 60°대향주차
(정답률: 74%)
  • 정답은 "평행주차 < 교차주차 < 직각주차" 입니다.

    평행주차는 차량을 한 줄로 나란히 주차하는 방식으로, 차량 간의 간격이 좁아 최소한의 너비만 필요합니다. 따라서 차로의 최소 너비가 가장 좁습니다.

    교차주차는 차량을 대각선으로 주차하는 방식으로, 차량 간의 간격이 넓어 평행주차보다는 차로의 최소 너비가 넓습니다.

    직각주차는 차량을 직각으로 주차하는 방식으로, 차량 간의 간격이 가장 넓어 차로의 최소 너비가 가장 넓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