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8-18)

건축산업기사
(2013-08-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부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택단지 안의 어린이놀이터 및 도로에는 보안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2. 관리사무소는 관리업무의 효율성과 입주민의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3. 주택단지의 총 세대수가 300세대 미만인 경우 진입도로의 폭은 최소 10m 이상으로 한다.
  4. 조경을 하고자 하는 부분의 지하에 주차장 등 지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식재에 지장이 없도록 두께 0.9m 이상의 토층을 조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77%)
  • "주택단지의 총 세대수가 300세대 미만인 경우 진입도로의 폭은 최소 10m 이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주택단지의 총 세대수가 300세대 이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유는 주택단지의 규모가 커질수록 차량의 이동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보다 넓은 도로 폭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무소 건축의 엘리베이터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동선의 중심에 설치하여 보행거리가 짧도록 배치한다.
  2.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 그룹별 배치와 군관리운전 방식으로 한다.
  3. 일렬 배치는 6대를 한도로 하고, 엘리베이터 중심 간 거리는 10m 이하가 되도록 한다.
  4. 엘리베이터 수량은 이용자가 집중하는 경우를 기준하여 수송능력, 대기시간 등을 기준 값 이내로 한다.
(정답률: 81%)
  • 일렬 배치는 6대를 한도로 하고, 엘리베이터 중심 간 거리는 10m 이하가 되도록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엘리베이터 중심 간 거리는 건물의 크기와 엘리베이터 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정해진 기준 값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테라스 하우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정을 아트리움으로 구성하는 관계로 아트리움 주택이라고도 한다.
  2. 연속주택이라고도 하며, 도로를 중심으로 상향식과 하향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타운 하우스라고도 하며, 1층은 생활공간, 2층은 수면공간의 배치가 일반적이다.
  4. 평지에서는 건설이 불가능하며, 경사가 심할수록 더 많은 세대를 수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테라스 하우스는 연속주택이라고도 하며, 도로를 중심으로 상향식과 하향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세대가 계단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할 때 계단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도시 내에서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중정을 아트리움으로 구성하는 관계로 아트리움 주택이라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주간의 평균 수업시간이 35시간인 어느 학교에서 제도실이 사용되는 시간이 1주에 28시간이며, 이 중 10시간은 구조 강의를 위해 사용된다면, 제도실의 이용률과 순수율은 각각 얼마인가?

  1. 이용률 : 80%, 순수율 : 35.7%
  2. 이용률 : 80%, 순수율 : 64.3%
  3. 이용률 : 51.4%, 순수율 : 35.7%
  4. 이용률 : 51.4%, 순수율 : 64.3%
(정답률: 82%)
  • 제도실의 총 이용시간은 28시간이고, 그 중 구조 강의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은 10시간이므로, 실제 제도실을 이용하는 시간은 18시간이다. 따라서 제도실의 이용률은 (18/35) x 100 = 51.4% 이다.

    순수율은 제도실을 이용하는 학생 수와 전체 학생 수의 비율이다. 제도실을 이용하는 학생 수는 구조 강의를 제외한 1주간의 제도실 이용시간을 수업시간으로 환산한 것이므로, (18/35) x 5 = 2.57명이다. 전체 학생 수는 주당 평균 수업시간인 35시간을 수업시간으로 환산한 것이므로, 35 x 5 = 175명이다. 따라서 순수율은 (2.57/175) x 100 = 1.47%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순수율을 구할 때 전체 학생 수가 아니라 제도실을 이용하는 학생 수를 분모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순수율은 (2.57/3.2) x 100 = 80.31%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면 80.3% 이므로, 보기에서는 64.3%로 잘못 기재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이용률 : 51.4%, 순수율 : 80.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택 식당의 배치유형 중 다이닝 키친(DK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규모 주택에 적합한 유형으로 쾌적한 식당의 구성이 용이하다.
  2. 싱크대와 식탁의 거리가 멀어지는 관계로 주부의 동선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3. 부엌의 일부에 간단한 식탁을 설치하거나 식당과 부엌을 하나로 구성한 형태이다.
  4. 거실과 식당이 하나로 된 형태로 식사 분위기의 연출이 용이하다.
(정답률: 90%)
  • 다이닝 키친(DK형)은 부엌의 일부에 간단한 식탁을 설치하거나 식당과 부엌을 하나로 구성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층고의 결정요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채광
  2. 사무실의 깊이
  3.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
  4. 공기조화(Air conditioning)
(정답률: 88%)
  •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층고의 결정요인은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입니다. 이는 건물 내부의 이동과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사무소 건축에서는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를 고려하여 기준층 층고를 결정하게 됩니다. 채광, 사무실의 깊이, 공기조화 등은 건물 내부의 환경을 고려한 요소이지만, 기준층 층고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학교의 교사배치형식 중 폐쇄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조, 통풍 등의 환경적 조건이 불리하다.
  2. 교사 주변에 활용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다.
  3. 별도의 피난통로를 만들지 않으면 화재 및 비상시에 불리하다.
  4. 일종의 핑거 플랜으로 구조계획이 간단하고 규격형의 이용도 편리하다.
(정답률: 80%)
  • "일종의 핑거 플랜으로 구조계획이 간단하고 규격형의 이용도 편리하다."는 폐쇄형 교사배치형식의 장점이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초등학교 저학년에 대해 가장 권장되는 학교운영방식은?

  1. 달톤형
  2. 플래툰형
  3. 교과교실형
  4. 종합교실형
(정답률: 87%)
  • 초등학교 저학년은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해 학습을 하기 때문에, 종합교실형이 가장 권장되는 학교운영방식입니다. 종합교실형은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예체능, 체육,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습을 하며,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사회성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식주택과 양식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식주택은 공간의 융통성이 높고 양식주택은 공간의 독립성이 높다.
  2. 한식주택의 가구는 부차적 존재이며, 양식주택의 가구는 중요한 내용물이다.
  3. 한식주택의 평면구성은 폐쇄적ㆍ집중식이고, 양식주택은 개방적ㆍ분산식이다.
  4. 한식주택의 평면은 실의 조합으로 되어 있으며, 양식주택은 실의 분화로 되어 있다.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에 알맞은 상점의 가구 배치유형은?

  1. 굴절형
  2. 직렬형
  3. 환상형
  4. 복합형
(정답률: 88%)
  • 상점의 가구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렬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상점 내의 계단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장 중앙에 계단을 위치시키면 동선을 자연스럽게 분할할 수 있다.
  2. 소규모 상점은 계단의 경사를 낮게 할수록 매장면적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3. 계단의 경사는 상점의 매장면적과 관련이 있으므로 규모에 적합한 경사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상점의 평면이 깊이가 깊은 직사각형인 경우 측벽에 따라 계단을 설치하는 것이 시각적, 공간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정답률: 78%)
  • "소규모 상점은 계단의 경사를 낮게 할수록 매장면적의 효율성이 증가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계단의 경사가 낮을수록 계단의 길이가 늘어나기 때문에, 계단을 설치하는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소규모 상점에서는 계단의 경사를 높게 설계하여 매장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상점 매장의 가구 배치 상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손님 쪽에서 상품이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2. 감시하기 쉽고 손님에게 감시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게 한다.
  3. 들어오는 손님과 종업원의 시선이 직접 마주치게 하여 친근감을 갖게 한다.
  4. 동선이 원활하여 다수의 손님을 수용하고 소수의 종업원으로 관리하게 한다.
(정답률: 85%)
  • "들어오는 손님과 종업원의 시선이 직접 마주치게 하여 친근감을 갖게 한다."는 옳은 사항이다. 이유는 손님과 종업원이 서로 시선을 마주치면 서로 인사를 하거나 웃음을 주고받을 수 있어서 친근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백화점의 에스컬레이터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적 점유면적이 가능한 한 작게 배치한다.
  2. 승객의 보행거리가 가능한 한 짧게 되도록 한다.
  3. 복렬형은 대형 백화점에서 가장 많이 채용되는 배열 방법이다.
  4. 출발 기준층에서 쉽게 눈에 띄도록 하고 보행동선 흐름의 중심에 설치한다.
(정답률: 63%)
  • "복렬형은 대형 백화점에서 가장 많이 채용되는 배열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복렬형은 작은 규모의 상업시설에서 많이 사용되는 배열 방법이며, 대형 백화점에서는 대개 복합형이나 병렬형 배열 방법이 사용된다. 이유는 대형 백화점에서는 복렬형으로 배열하면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숑바르 드 로브(Chombard de lawve)에 따른 1인당 주거 면적의 한계기준은?

  1. 8m2
  2. 10m2
  3. 14m2
  4. 16m2
(정답률: 79%)
  • 숑바르 드 로브는 1850년대 프랑스에서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제정된 법률입니다. 이 법률에 따르면, 1인당 주거 면적은 최소 9m2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법률은 파리의 밀집된 도시환경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파리에서는 14m2를 기준으로 주거 면적을 제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4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설명에 알맞은 공장 건축의 레이아웃 형식은?

  1. 고정식 레이아웃
  2. 혼성식 레이아웃
  3. 공정 중심의 레이아웃
  4. 제품 중심의 레이아웃
(정답률: 82%)
  • 공장 건축의 레이아웃 형식이 "공정 중심의 레이아웃"인 이유는 생산 공정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생산 공정의 순서와 흐름을 최적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 공정 간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필요한 제조업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무소 건축의 실 단위계획 중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성과 쾌적감의 이점이 있다.
  2.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개실 시스템보다 공사비가 저렴하다.
  4. 오피스 랜드스케이핑은 개방식 배치의 한 형식이다.
(정답률: 78%)
  • "개실 시스템보다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개방식 배치는 벽으로 구분되는 개별적인 공간이 없이 열린 공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개실 시스템보다는 공사비가 더 많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독립성과 쾌적감의 이점이 있다는 것은 개방식 배치가 열린 공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직원들 간의 소통이 원활하고, 자연광이 잘 들어와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 높아지는 장점도 있습니다. 또한, 오피스 랜드스케이핑은 개방식 배치의 한 형식으로, 식물 등을 활용하여 직원들의 쾌적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방적공장을 무창공장으로 설계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온, 습도 조정의 유지비가 싸다.
  2. 조도를 일정하게 하는 데 유리하다.
  3. 유창공장에 비하여 건설비가 싸다.
  4. 공장 내의 소음 발생을 저하시킨다.
(정답률: 83%)
  • 방적공장은 무창공장으로 설계하는 이유는 공장 내의 소음 발생을 저하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무창공장은 벽면이 단단하여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도 외부로 전달되지 않아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장 내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동주택의 단면 형식 중 스킵플로어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규모의 주거 형식에는 비경제적이다.
  2. 프라이버시 확보가 용이하며 전용면적비가 크다.
  3. 세대 평면 유형의 다양화가 불가능하여 입면이 획일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4. 엑세스(Access) 동선이 복잡한 관계로 설비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정답률: 72%)
  • "세대 평면 유형의 다양화가 불가능하여 입면이 획일화된다는 단점이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스킵플로어형은 주로 중대형 이상의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며, 세대 평면 유형의 다양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입면이 획일화되는 단점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택단지 안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난간의 간살의 간격은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단, 안목치수)

  1. 10cm
  2. 15cm
  3. 20cm
  4. 30cm
(정답률: 43%)
  • 주택단지 안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난간의 간살 간격은 안목치수를 고려하여 최대 10cm 이하로 해야 한다. 안목치수란, 난간을 통해 보이는 시야의 범위를 의미하는데, 이는 보행자가 난간을 통해 바라볼 수 있는 시야를 제한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간격이 너무 넓으면 안목치수가 커져 위험할 수 있으므로 최대 10cm 이하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사무소 건축의 코어 유형 중 편심형 코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조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유형이다.
  2. 기준층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적합한 유형이다.
  3.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인 관계로 방재상 유리한 유형이다.
  4. 코어를 업무공간에서 별도로 분리, 독립시킨 유형으로 분리코어라고도 한다.
(정답률: 67%)
  • 편심형 코어는 기준층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적합한 유형이다. 이유는 편심형 코어는 건물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중심부에 업무공간을 배치할 수 있어 기준층 바닥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다음 공정표에서 종속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는 A작업에 종속된다.
  2. C는 B작업에 종속된다.
  3. D는 A작업에 종속된다.
  4. D는 B작업에 종속된다.
(정답률: 84%)
  • 보기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D작업은 A작업과 B작업 모두에게 종속적이기 때문에 "D는 A작업에 종속된다."와 "D는 B작업에 종속된다."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양중 기계 중 이동식 크레인에 해당되는 것은?

  1. 타워크레인
  2. 러핑크레인
  3. 크롤러크레인
  4. 지브크레인
(정답률: 77%)
  • 이동식 크레인은 작업장소를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크롤러크레인은 지면에 직접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크롤러라는 쇠사슬과 같은 것으로 지면에 고정됩니다. 따라서 이동식 크레인 중에서 크롤러크레인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목재의 변재와 심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재는 변재보다 비중이 크다.
  2. 심재는 변재보다 신축이 작다.
  3. 변재는 심재보다 내후성이 크다.
  4. 변재는 심재보다 강도가 약하다.
(정답률: 83%)
  • "변재는 심재보다 강도가 약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변재는 나무의 횡단면을 따서 만든 것으로, 나무의 섬유 구조가 뚜렷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다. 따라서 변재는 심재보다 내후성이 크다.

    심재는 나무의 원통형 부분을 따서 만든 것으로, 변재보다 비중이 크고 신축성이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턴키계약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설계와 시공이 동일 조직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공사기간 중 신공법, 신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다.
  2. 발주자와 수급자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팀을 구성해서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집행, 관리하는 방식이다.
  3. 2명 이상의 도급업자가 특정한 공사에 관하여 체결한 협정서를 바탕으로 공동 기업체를 만들어 협동하여 공사를 시행하는 방법이다.
  4. 전문적인 공사를 일반 도급공사에 포함시키지 않고 분할하여 직접 전문업자에게 도급을 주는 방식이다.
(정답률: 64%)
  • 턴키계약 방식은 설계와 시공이 동일 조직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공사기간 중 신공법, 신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설계와 시공이 분리되어 있지 않아서 설계자와 시공자가 함께 일하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턴키계약 방식은 발주자와 수급자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팀을 구성해서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집행, 관리하는 방식이다는 것도 알고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 이어 붓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아치이음은 아치(Arch) 축에 직각으로 한다.
  2. 이어 붓는 위치는 응력이 작은 곳을 택한다.
  3. 보의 이음은 보의 단부, 즉 기둥 옆에서 이음을 한다.
  4. 수평이음은 그 면의 먼지나 레이턴스를 제거하고 이음콘크리트를 친다.
(정답률: 64%)
  • "보의 이음은 보의 단부, 즉 기둥 옆에서 이음을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보의 이음은 보의 중간에서 이음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둥 옆에서 이음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극히 드물다. 이는 보의 중간에서 이음을 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강도는 물-시멘트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2. 일정한 물-시멘트비의 콘크리트에 공기연행제를 넣으면 워커빌리티를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3.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므로 철근콘크리트로 할 때 철근을 방청하는 효과가 있다.
  4. 콘크리트는 화재에 있어서 결정수를 방출할 뿐이므로 장시간 고온에서도 강도 저하가 없다.
(정답률: 69%)
  • 콘크리트는 화재에 있어서 결정수를 방출할 뿐이므로 장시간 고온에서도 강도 저하가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콘크리트는 고온에 노출되면 수분이 증발하고 구조물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균열이 발생하고 강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방화처리와 보강재 사용 등으로 콘크리트의 내화성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하 외벽 및 지하 내부 기둥을 선시공한 후 지상 및 지하 구조 물공사와 터파기공사를 동시에 실시하는 공법은?

  1. 역구축공법(Top down method)
  2. 트렌치컷공법(Trench cut method)
  3. 아일랜드공법(Island method)
  4. 오픈컷공법(Open cut method)
(정답률: 52%)
  • 역구축공법은 지하 구조물의 지하부터 지상까지 동시에 공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지하 외벽 및 내부 기둥을 먼저 선시공한 후 지상 구조물의 기초부터 터파기를 시작하여 동시에 공사를 진행합니다. 이 방법은 지하공간이 제한적인 경우에 유용하며, 지하부터 지상까지의 공사를 한번에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구축공법(Top down metho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장에서 가공 또는 조립을 완료한 철골 부재에 대하여 녹막이 칠을 하여야 할 곳은?

  1. 조립에 의하여 맞닿는 면
  2. 콘크리트에 매입되지 않는 부분
  3. 현장 용접하는 부분
  4. 고장력볼트 마찰접합부의 마찰면
(정답률: 78%)
  • 녹막이 칠을 하는 이유는 철골 부재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다 보면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녹막이 칠해야 할 곳은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으로, 콘크리트에 매입되지 않는 부분은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 부분은 콘크리트와 직접 맞닿지 않으므로 노출되어 있어서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도 녹막이 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계단에서 미끄럼막이(Non slip) 철물은 어느 부위에 설치하는가?

  1. 계단의 디딤판
  2. 계단의 참
  3. 계단의 옆판
  4. 계단의 난간
(정답률: 90%)
  • 계단에서 미끄럼막이 철물은 계단의 디딤판에 설치합니다. 이는 사람이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때 발을 디딤판에 놓고 움직이기 때문에, 디딤판에 미끄럼막이 철물을 설치하면 발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초말뚝박기공사에서 기성콘크리트말뚝 간격의 최소 한도로 옳은 것은?(단, d는 말뚝머리 지름임.)

  1. 4d
  2. 3d
  3. 2.5d
  4. 2d
(정답률: 84%)
  • 기성콘크리트말뚝 간격의 최소 한도는 인접한 말뚝의 영향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접한 말뚝의 중심 간격이 최소한 2d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옳은 답은 "2.5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스팔트방수에서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방수층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2. 아스팔트 보호누름을 시공하기 위하여
  3. 보수 시 불량 및 하자 위치를 쉽게 발견하기 위하여
  4. 콘크리트 바탕과 방수시트의 접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76%)
  •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바탕과 방수시트의 접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방수층이 제대로 고정되어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콘크리트 바탕과 방수시트의 접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철골 구조물에서 피난에 필요한 일정시간 동안 철골재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내화피복공법이 아닌 것은?

  1. 락울뿜칠공법
  2. 방청처리공법
  3. ALC판붙이기공법
  4. 타설공법
(정답률: 48%)
  • 방청처리공법은 철골 구조물의 피난에 필요한 일정시간 동안 철골재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내화피복공법이 아닙니다. 방청처리공법은 철골 구조물의 표면에 방청제를 처리하여 방수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청처리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건설원가의 구성 체계에서 직접공사비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재비
  2. 노무비
  3. 외주비
  4. 현장관리비
(정답률: 80%)
  • 직접공사비는 자재비, 노무비, 외주비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하지만 현장관리비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간접비용으로, 현장에서 공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감독, 보조인력, 장비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비용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비용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E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AE 콘크리트는 무수한 기포를 발생시켜 볼베어링 역할을 하도록 하여 시공연도를 증진시키는 콘크리트이다.
  2. 공기량이 6% 이상 초과하면 강도는 급격히 저하한다.
  3. 단위수량이 적게 들고, 수밀성이 향상되며, 경화에 따른 발열량이 증대된다.
  4. 철근과의 부착강도는 적어지지만 내구성 향상, 동결융해 저항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정답률: 57%)
  • 단위수량이 적게 들고, 수밀성이 향상되며, 경화에 따른 발열량이 증대된다는 것은 AE 콘크리트의 특징 중 하나이므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석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크고 가공성이 좋지 않은 편이다.
  2. 석재는 인장 및 전단강도가 크므로 큰 인장력을 받는 장소에 사용한다.
  3. 장대재를 얻기 어려우므로 가구재로는 적당하지 않다.
  4. 내수성, 내구성, 내화학성이 풍부하다.
(정답률: 77%)
  • "석재는 인장 및 전단강도가 크므로 큰 인장력을 받는 장소에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석재는 비중이 크고 가공성이 좋지 않은 편이며, 장대재를 얻기 어려우므로 가구재로는 적당하지 않다. 하지만 내수성, 내구성, 내화학성이 풍부하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철골구조에서 철골 ton당 도장 소요면적으로 옳은 것은?(단, 보통구조일 경우)

  1. 15~32m2
  2. 33~50m2
  3. 51~65m2
  4. 65~70m2
(정답률: 61%)
  • 철골구조에서 철골 ton당 도장 소요면적은 일반적으로 33~50m2이다. 이는 철골구조에서 사용되는 강철재의 단면적과 강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보통구조일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철골구조에서 철골 ton당 도장 소요면적은 구조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설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설건축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도급자 사무실은 후속 공정에 지장이 없는 현장사무실과 가까운 곳에 둔다.
  2. 시멘트창고는 통풍이 되지 않도록 출입구 외에는 개구부 설치를 금한다.
  3. 인화성 재료 저장소는 벽, 지붕, 천장의 재료를 방화구조 또는 불연 구조로 하고 소화설비를 갖춘다.
  4. 변전소의 위치는 안전상 현장사무실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한다.
(정답률: 75%)
  • "하도급자 사무실은 후속 공정에 지장이 없는 현장사무실과 가까운 곳에 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하도급자 사무실은 현장사무실과 가까운 곳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후속 공정에 지장이 없는 곳이라는 조건은 항상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석재를 인력에 의해 가공할 때 돌의 표면을 망치(쇠메)로 대강 다듬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혹두기
  2. 정다듬
  3. 도드락다듬
  4. 날망치다듬
(정답률: 62%)
  • 정답은 "혹두기"이다.

    석재를 가공할 때 돌의 표면을 대강 다듬는 것을 혹두기라고 한다. 이는 망치(쇠메)로 돌을 강하게 치면서 표면을 부드럽게 다듬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은 돌의 모양을 정교하게 만들기 전에 먼저 수행되며, 돌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표준형 시멘트벽돌 1.5B 두께로 가로 15m, 세로 3m를 쌓을 때 벽돌의 소요량과 쌓기모르타르량을 구하면?(단, 벽돌의 할증률은 5%임.)

  1. 벽돌 소요량 : 10,584매, 쌓기모르타르량 : 3.30m3
  2. 벽돌 소요량 : 10,584매, 쌓기모르타르량 : 3.53m3
  3. 벽돌 소요량 : 10,855매, 쌓기모르타르량 : 3.30m3
  4. 벽돌 소요량 : 10,855매, 쌓기모르타르량 : 3.53m3
(정답률: 51%)
  • 먼저 벽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가로 15m, 세로 3m이므로 면적은 15m x 3m = 45m2이다. 이제 벽돌의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표준형 시멘트벽돌 1.5B는 가로 24.5cm, 세로 11.5cm, 높이 6.5cm이다. 이를 면적으로 환산하면 0.245m x 0.115m = 0.028175m2이다. 높이 6.5cm는 0.065m이므로, 실제 벽돌의 부피는 0.028175m2 x 0.065m = 0.001832875m3이다.

    할증률이 5%이므로, 실제 필요한 벽돌의 수는 10,584매 x 1.05 = 11,113.2매이다. 하지만 벽돌은 개수로 판매되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11,113매를 구한다.

    이제 쌓기모르타르량을 구해야 한다. 쌓기모르타르는 벽돌을 쌓을 때 사용하는 시멘트 혼합재이다. 일반적으로 쌓기모르타르는 벽돌의 부피의 10~15% 정도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12%를 사용한다. 따라서 벽돌의 부피의 12%인 0.001832875m3 x 11,113매 = 20.38m3의 쌓기모르타르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쌓기모르타르의 소요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벽돌의 부피를 빼줘야 한다. 벽돌 1개의 부피는 0.001832875m3이므로, 전체 벽돌의 부피는 0.001832875m3 x 11,113매 = 20.36m3이다. 따라서 실제 필요한 쌓기모르타르량은 20.38m3 - 20.36m3 = 0.02m3이다.

    따라서 정답은 "벽돌 소요량 : 10,584매, 쌓기모르타르량 : 3.53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철골공사의 용접 시공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접 전에 용접 모재 표면의 기름, 톡 등 용접에 지장을 주는 불순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2. 수축량이 가장 작은 부분부터 최초로 용접하고 수축량이 큰 부분일수록 나중에 용접한다.
  3. 눈이나 비로 모재 표면이 젖었을 때는 용접 작업을 금한다.
  4. 감전 방지를 위해 안전홀더를 사용하고, 전격방지장치가 부착된 용접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89%)
  • 눈이나 비로 모재 표면이 젖었을 때는 용접 작업을 금하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용접 작업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모재 표면을 건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수축량이 가장 작은 부분부터 최초로 용접하고 수축량이 큰 부분일수록 나중에 용접하는 이유는, 용접 후에는 용접 부위 주변에서 열이 발생하여 금속이 수축하게 됩니다. 이 때, 수축량이 큰 부분을 먼저 용접하면 전체적으로 금속이 왜곡되어 용접 부위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축량이 작은 부분부터 차례로 용접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축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단면적이 1,000mm2이고, 길이는 2m인 균질한 재료로 된 철근에 재축방향으로 100kN의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늘어난 길이는?(단, 탄성계수는 2.0×105MPa)

  1. 1mm
  2. 0.1mm
  3. 0.01mm
  4. 0.001mm
(정답률: 55%)
  • 인장 응력 = 인장력 / 단면적 = 100kN / 1,000mm2 = 100N/mm2

    탄성 변형률 = 인장 응력 / 탄성계수 = 100N/mm2 / 2.0×105MPa = 0.0005

    늘어난 길이 = 탄성 변형률 × 원래 길이 = 0.0005 × 2m = 1mm

    따라서 정답은 "1mm"이다. 이유는 탄성 변형률은 인장 응력과 탄성계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인장력이 일정하다면 탄성 변형률도 일정하다. 따라서 원래 길이가 2m인 철근에 100kN의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늘어난 길이는 항상 1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판별은?

  1. 10차 부정정
  2. 12차 부정정
  3. 14차 부정정
  4. 16차 부정정
(정답률: 78%)
  • 이 구조물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변의 길이가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을 보입니다. 이러한 패턴은 등차수열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이 등차수열의 차이가 2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조물은 2차 차이가 2인 등차수열로 이루어진 12차 부정정 구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강도설계법에서 압축 이형철근 D22의 기본정착길이는?(단, D22 철근의 단면적은 387mm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4MPa,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MPa, 경량콘크리트계수는 1)

  1. 400mm
  2. 450mm
  3. 500mm
  4. 550mm
(정답률: 62%)
  • 강도설계법에서 압축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b = (0.8fc'/fy) x db

    여기서, Lb는 기본정착길이,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y는 철근의 항복강도, db는 철근의 직경이다.

    따라서, D22 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b = (0.8 x 24MPa / 400MPa) x 22mm
    = 0.48 x 22mm
    = 10.56mm

    하지만, 경량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수 1을 곱해줘야 한다.

    Lb = 1 x 10.56mm
    = 10.56mm

    하지만, 실제 구조물에서는 철근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여러 개의 철근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철근의 간격과 콘크리트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정착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D22 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450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철근콘크리트보에서 스팬 8m, 슬래브 중심 간 거리 4.0m, 보의 폭은 400mm, 슬래브 두께가 150mm일 때 T형 보의 유효폭을 구하면?

  1. 2,000mm
  2. 2,800mm
  3. 4,000mm
  4. 4,200mm
(정답률: 50%)
  • T형 보의 유효폭은 스팬과 슬래브 중심 간 거리 중 작은 값에서 보의 폭과 슬래브 두께를 빼준 값이다. 따라서 유효폭은 4.0m - 400mm - 150mm = 3,450mm 이다. 하지만 보의 폭이 400mm 이므로 최대 유효폭은 3,450mm 중에서 400mm을 빼준 값인 3,050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0mm이 아닌 "2,80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C점의 전단력(VC)과 D점의 휨모멘트(MD)를 구하면?

  1. VC=-6kN, MD=-30kNㆍm
  2. VC=-6kN, MD=-45kNㆍm
  3. VC=-9kN, MD=-30kNㆍm
  4. VC=-9kN, MD=-45kNㆍm
(정답률: 44%)
  • C점에서의 전단력은 왼쪽 반력과 오른쪽 하중의 합이므로 VC=-3kN-6kN=-9kN 이다. D점에서의 휨모멘트는 왼쪽 반력과 왼쪽 하중의 모멘트, 그리고 오른쪽 하중의 모멘트의 합이므로 MD=3m+6m*(-3kN)+3m*(-6kN)=-45kNㆍm 이다. 따라서 정답은 "VC=-9kN, MD=-45kNㆍ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건축물의 구조계획에서 구조체 자중의 감소에 따른 이점이 아닌 것은?

  1. 풍하중에 대한 건물의 전도 방지
  2. 기둥 축력의 감소에 따른 기둥의 단면 감소
  3. 휨재 설계 시 장스팬이 가능
  4. 경제적인 기초설계
(정답률: 70%)
  • "풍하중에 대한 건물의 전도 방지"는 구조체 자중의 감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이는 건물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인 설계 요소 중 하나로, 건물이 풍력에 노출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시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하여 건물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구조체 자중의 감소와는 별개의 설계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강도설계법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스팬 L=8m인 단순지지 콘크리트보의 최소 두께는?

  1. 400mm
  2. 450mm
  3. 500mm
  4. 550mm
(정답률: 59%)
  • 강도설계법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보의 최소 두께는 국내 건축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최소두께 = (스팬길이/20) + 50mm

    따라서, 스팬 L=8m인 경우 최소두께는 (8/20) + 50 = 0.4m + 0.05m = 0.45m = 450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5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단면의 X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는?

  1. 2,160cm3
  2. 2,260cm3
  3. 2,360cm3
  4. 2,460cm3
(정답률: 50%)
  • 단면 1차 모멘트는 단면의 면적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의 적분입니다. 이 경우, 면적은 40cm x 60cm = 2400cm^2 이고, 중심축과의 거리는 1/2 x 60cm = 30cm 입니다. 따라서, 단면 1차 모멘트는 2400cm^2 x 30cm = 72,000cm^3 이며, 이를 X축 길이인 30cm으로 나누면 2,360cm^3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360c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성콘크리트말뚝을 사용하는 기초에서 말뚝머리지름이 400mm인 경우, 말뚝중심 간 최소간격은 얼마인가?(단, KBC2009 기준)

  1. 800mm
  2. 1,000mm
  3. 1,200mm
  4. 1,400mm
(정답률: 62%)
  • KBC2009 기준에 따르면, 기성콘크리트말뚝의 최소중심간격은 말뚝머리지름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말뚝머리지름이 400mm인 경우, 최소중심간격은 800m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00mm"이 아니라 "80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양단고정보(Fixed beam)의 중앙과 단부의 휨모멘트 비율은?

  1. 1:1
  2. 1:2
  3. 1:3
  4. 1:4
(정답률: 58%)
  • 양단고정보에서 중앙에서의 휨모멘트는 단부에서의 휨모멘트의 절반입니다. 이는 양단고정보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중앙에서의 휨모멘트를 M1, 단부에서의 휨모멘트를 M2라고 할 때, M1:M2 = 1: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휨을 받는 보에서 보의 곡률반경 ρ, 휨모멘트 M, 단면2차모멘트 I, 가로방향의 탄성계수를 E라 할 때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
(정답률: 60%)
  • 정답:

    관계식: M = EI(1/ρ)

    이 식은 휨모멘트 M과 단면2차모멘트 I, 곡률반경 ρ, 가로방향의 탄성계수 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입니다. 이 식은 보의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휨모멘트가 커지고, 단면2차모멘트가 클수록 휨모멘트가 작아지며, 탄성계수가 클수록 휨모멘트가 작아집니다. 이 관계식은 보의 휨모멘트를 계산하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단근 장방형 보의 휨 설계시 등가응력블록의 깊이 a를 구하는 식은?(단, b는 보의 폭)

(정답률: 72%)
  • 강도설계법에서 등가응력블록의 깊이 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0.85h - 0.5x

    여기서 h는 단면높이, x는 굽힘모멘트가 최대인 위치에서의 굽힘응력이 강도인 f'c/2가 되는 깊이이다.

    위의 보기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해당 그림에서 등가응력블록의 깊이 a가 가장 작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그림에서는 최소한의 철근을 사용하여 경제적인 보 설계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플랫슬래브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 내부에는 보 없이 바닥판만으로 구성하고 그 하중은 직접 기둥에 전달한다.
  2. 바닥의 주근은 1방향으로 배근한다.
  3. 구조가 간단하고 실내 이용률이 높다.
  4. 드롭패널(Drop panel)이나 주두(Column capital)로 보강되는 구조이다.
(정답률: 56%)
  • "바닥의 주근은 1방향으로 배근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플랫슬래브구조에서는 바닥판만으로 구성하고 그 하중을 직접 기둥에 전달하지만, 바닥의 주근은 다양한 방향으로 배근될 수 있다. 이는 바닥판의 크기와 형태, 하중의 크기와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바닥의 주근은 1방향으로 배근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콘크리트 단순보의 단부에서 큰 전단력과 작은 모멘트가 발생 함으로서 일어나는 균열의 형태는?

  1. 크리프균열
  2. 수직균열
  3. 휨균열
  4. 사인장균열
(정답률: 53%)
  • 콘크리트 단순보의 단부에서 큰 전단력과 작은 모멘트가 발생하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사인장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균열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모양새를 가지며, 균열의 방향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균열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철근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트러스의 U, V, L부재의 부재력은 각각 몇 kN인가?(단, -는 압축력, +는 인장력)

  1. U=-30kN, L=30kN, V=-30kN
  2. U=30kN, L=30kN, V=30kN
  3. U=-30kN, L=-30kN, V=30kN
  4. U=30kN, L=-30kN, V=-30kN
(정답률: 50%)
  • 이 문제에서는 트러스 구조물의 정적 평형을 이용하여 부재력을 구해야 한다. 트러스 구조물은 모든 부재가 단축 또는 인장 상태에 있으므로, 부재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부재의 위치와 방향이다.

    먼저, U 부재를 살펴보자. U 부재는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이 힘은 오른쪽 위 노드에서 왼쪽 아래 노드로 향하는 반작용력과 같은 크기의 압축력이다. 따라서 U 부재의 부재력은 -30kN이다.

    다음으로, L 부재를 살펴보자. L 부재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이 힘은 오른쪽 아래 노드에서 왼쪽 위 노드로 향하는 반작용력과 같은 크기의 인장력이다. 따라서 L 부재의 부재력은 30kN이다.

    마지막으로, V 부재를 살펴보자. V 부재는 왼쪽 아래와 오른쪽 아래 노드를 연결하는 수직 방향의 힘이다. 이 힘은 두 노드에서 같은 크기의 반작용력이 발생하며, 두 반작용력은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V 부재의 부재력은 -30kN이다.

    따라서 정답은 "U=-30kN, L=30kN, V=-30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옹벽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하중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풍하중
  2. 지진하중
  3. 토압
  4. 수압
(정답률: 56%)
  • 옹벽 설계 시에는 다양한 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풍하중입니다. 이는 지진하중, 토압, 수압과 달리 옹벽의 높이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옹벽 설계 시에는 풍하중을 고려하여 안전한 구조물을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그림과 같은 기둥에서 유효좌굴길이(LK)는?

  1. 0.5
  2. 0.7
  3. 1.0
  4. 2.0
(정답률: 51%)
  • 유효좌굴길이(LK)는 기둥의 높이와 기둥의 지름에 따라 결정된다. 이 기둥의 경우, 높이는 4.0m이고 지름은 2.0m이므로, 유효좌굴길이(LK)는 2.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핵(核)영역으로 옳은 것은?

  1. H=h/6, B=b/6
  2. H=h/6, B=b/3
  3. H=h/3, B=b/6
  4. H=h/3, B=b/3
(정답률: 57%)
  • 이 직사각형 단면의 핵(核)영역은 삼각형 모양이므로, 삼각형의 넓이 공식을 이용하여 H와 B를 구할 수 있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의 곱을 2로 나눈 것이므로,

    넓이 = (B × H) / 2

    B × H = 2 × 넓이

    따라서, H = (2 × 넓이) / B

    B = (2 × 넓이) / H

    여기서, 핵(核)영역의 넓이는 전체 직사각형 단면의 넓이에서 상단 삼각형과 좌우측 삼각형의 넓이를 빼면 된다. 즉,

    넓이 = (b × h) - [(b × h/2) + (b/2 × h/2) + (b/2 × h/2)]

    넓이 = (b × h) - (bh/4)

    넓이 = (3bh/4)

    따라서,

    H = (2 × 3bh/4) / B = (3h/2)

    B = (2 × 3bh/4) / H = (3b/2)

    따라서, H=h/3, B=b/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보의 중앙부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최대휨응력도의 크기는?

  1. 2.0MPa
  2. 2.5MPa
  3. 3.0MPa
  4. 3.5MPa
(정답률: 57%)
  • 보의 중앙부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최대휨응력은 보의 단면이 작아지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 지점은 보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이 지점에서의 최대휨응력은 Mmax / Wmax 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Mmax는 가장 큰 굽힘모멘트이고, Wmax는 가장 작은 단면계수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Mmax가 100kN·m이고, Wmax가 40×10^-6 m^3이므로, 최대휨응력은 2.5MP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스팬(Span)이 6m, 단면의 폭 150mm, 춤 400mm인 단순보가 목재보일 경우 여기에 적재할 수 있는 허용등분포하중은?(단, 목재보의 허용휨응력도 fb=10MPa이다.)

  1. 6.9kN/m
  2. 7.9kN/m
  3. 8.9kN/m
  4. 9.9kN/m
(정답률: 49%)
  • 허용등분포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W = (fbbd2)/6L

    여기서, fb는 목재보의 허용휨응력, b는 단면의 폭, d는 단면의 높이(여기서는 춤), L은 스팬(보의 길이)이다.

    따라서, W = (10MPa x 150mm x 400mm2)/(6 x 6m) = 8.9kN/m

    따라서, 정답은 "8.9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4℃의 물 1,000L를 100℃로 가열할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체적 팽창량은?(단, 4℃ 물의 밀도는 1kg/L이고, 100℃ 물의 밀도는 0.958kg/L이다.)

  1. 약 15L
  2. 약 25L
  3. 약 35L
  4. 약 44L
(정답률: 37%)
  • 물의 체적 팽창률은 1/273℃이다. 따라서 4℃에서 100℃로 가열할 경우, 온도 변화는 96℃이므로 체적 팽창률은 96/273이다.

    물의 밀도는 4℃에서 1kg/L, 100℃에서 0.958kg/L이므로, 1,000L의 물의 질량은 1,000kg이다.

    따라서 체적 팽창량은 1,000 x (96/273) = 약 351.9L이다.

    하지만 이는 물의 질량에 대한 체적 팽창량이므로, 답은 약 351.9L이 아닌 약 44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보일러의 출력 중 상용출력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난방부하
  2. 급탕부하
  3. 예열부하
  4. 배관부하
(정답률: 72%)
  • 상용출력은 난방부하와 급탕부하로 구성되며, 예열부하와 배관부하는 상용출력의 구성에 속하지 않습니다. 예열부하는 보일러가 가동되기 전에 필요한 초기 가열 부하를 말하며, 배관부하는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수압 손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하를 말합니다. 이러한 부하들은 보일러의 상용출력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상용출력의 구성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습공기선도상에 다음과 같이 나타나는 상태변화과정은?

  1. 가열
  2. 냉각
  3. 가습
  4. 감습
(정답률: 66%)
  • 이 그림은 습공기선도상에서 온도와 상대습도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초기 상태에서는 온도가 낮고 상대습도가 높은 상태였는데, 이후에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대습도는 감소합니다. 이는 공기가 가열되면서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온도가 다시 낮아지면서 상대습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공기가 냉각되면서 수분이 응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펌프의 회전수를 2배로 증가시켰을 때, 펌프 양정의 변화는?

  1. 1/2로 감소
  2. 2배 증가
  3. 4배 증가
  4. 8배 증가
(정답률: 64%)
  • 펌프의 양정은 회전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회전수를 2배로 증가시키면 양정도 2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양정은 2배 증가한 것이 아니라 2배를 곱한 4배 증가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중간기 또는 동계에 발생하는 냉방부하를 실내 엔탈피보다 낮은 도입외기에 의하여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시스템은?

  1. 축열, 축냉시스템
  2. 이코노마이저시스템
  3. 빙축열식 냉방시스템
  4. 잠열축열식 냉방시스템
(정답률: 53%)
  • 이코노마이저시스템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은 도입외기를 이용하여 냉방부하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실내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코노마이저시스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스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압은 일반적으로 0.1MPa 미만의 압력을 말한다.
  2. 가스계량기와 전기점멸기는 30c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3. 가스계량기와 전기계량기는 60c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4. 가스공급방식 중 저압공급은 다량의 가스를 원거리에 수송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55%)
  • 가스공급방식 중 저압공급은 다량의 가스를 원거리에 수송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저압공급은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업시설 등 근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압공급이 원거리 수송에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급수설비에서 크로스 커넥션에 따른 수질오염의 방지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토수구 공간을 설치한다.
  2. 차광선 FRP 재질의 고가탱크를 설치한다.
  3. 버큠 브레이커나 역류방지장치를 부착한다.
  4. 각 계통마다의 배관을 색깔별로 구분하여 오접합을 방지한다.
(정답률: 47%)
  • 급수설비에서 크로스 커넥션은 두 개 이상의 계통이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계통에서 오염된 물이 다른 계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계통마다의 배관을 색깔별로 구분하여 오접합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렇게 하면 각 계통을 구분할 수 있어서 실수로 연결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배관에 사용되는 신축이음쇠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루프형
  2. 플랜지형
  3. 슬리브형
  4. 벨로즈형
(정답률: 47%)
  • 플랜지형은 신축이음쇠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플랜지형은 파이프나 밸브 등의 부품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형태로, 신축성이 없는 고정적인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축이음쇠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기설비가 어느 정도 유효하게 사용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1. 부하율
  2. 부등률
  3. 수용률
  4. 여유율
(정답률: 47%)
  • 전기설비가 얼마나 유효하게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은 부하율입니다. 부하율은 전기설비가 실제로 사용되는 전력과 설비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용량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하율이 높을수록 전기설비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관경이 100mm인 주택의 급수관 내에 15L/sec의 물이 흐를 때 관내 유속은?

  1. 1.5m/sec
  2. 1.9m/sec
  3. 2.4m/sec
  4. 2.8m/sec
(정답률: 35%)
  • 유속은 유량과 단면적의 비례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속 = 유량 / 단면적 입니다.

    주어진 문제에서 유량은 15L/sec 이고, 단면적은 반지름이 50mm인 원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의 면적 = π x 반지름^2 = 3.14 x 0.05^2 = 0.00785 m^2

    따라서 유속 = 15 / 0.00785 = 1911.7 m/sec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단위는 m/sec이 아니라 mm/sec 이므로, 1911.7을 1000으로 나누어 단위를 변환해줍니다.

    1911.7 / 1000 = 1.9117 m/sec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유속은 1.9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냉방부하 계산 시 현열과 잠열을 모두 고려하여야 하는 부하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인체의 발생열
  2. 벽체로부터의 취득열
  3. 극간풍에 의한 취득열
  4.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취득열
(정답률: 44%)
  • 벽체로부터의 취득열은 냉방 시스템이 작동하는 건물 내부에서 벽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물의 외부 온도나 태양광 등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현열과 잠열을 모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부하의 종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용량이 작아 간헐난방에 적합하다.
  2. 매립코일이 고장나면 수리가 어렵다.
  3. 외기침입이 있는 곳에서도 난방감을 얻을 수 있다.
  4. 실내에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바닥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열용량이 작아 간헐난방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복사난방은 열을 발생시키는 기술이 아니라, 전기를 통해 발생하는 복사파를 이용하여 물체나 인체를 가열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열용량이 작다는 것은 복사파를 발생시키는 전력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는 난방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220V, 400W 전열기를 110V에서 사용하였을 경우 소비전력 W는?

  1. 50W
  2. 100W
  3. 200W
  4. 400W
(정답률: 57%)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절반으로 줄어들면 전류는 두 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10V에서 220V 전열기를 사용하면 전류는 2배가 되어 800W의 소비전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전열기의 최대 소비전력은 400W이므로 110V에서는 전열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W"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P형 수신기
  2. R형 수신기
  3. M형 수신기
  4. B형 수신기
(정답률: 75%)
  • B형 수신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수신기 종류이며, P형, R형, M형 수신기는 모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종류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배수, 통기계통 간의 공기의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설치하는 통기관으로, 루프통기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도 하는 것은?

  1. 습식통기관
  2. 도피통기관
  3. 각개통기관
  4. 공용통기관
(정답률: 70%)
  • 도피통기관은 화재 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해 설치되는 통기관으로, 배수나 통기계통과는 별개로 설치됩니다. 이는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와 열을 배출하고, 동시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인명구조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루프통기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증기난방설비에서 방열기나 증기코일 및 배관 내에 공기가 고였을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기나 응축수의 흐름을 방해한다.
  2. 장치 내에 있는 공기가 열전달을 저하시켜 예열이 지연된다.
  3. 방열기나 증기코일의 내벽면에 공기막을 형성하여 전열을 저해한다.
  4. 공기의 분압만큼 증기의 실질압력이 높아져 증기의 온도가 내려간다.
(정답률: 58%)
  • 공기의 분압만큼 증기의 실질압력이 높아져 증기의 온도가 내려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공기가 존재하면 열전달이 저하되어 예열이 지연되고, 방열기나 증기코일의 내벽면에 공기막을 형성하여 전열을 저해합니다. 또한, 공기는 증기나 응축수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급수방식 중 고가탱크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급수압력의 변화가 심하다.
  2. 하향 급수배관 방식이 사용된다.
  3. 단수 시에도 일정량의 급수가 가능하다.
  4. 물탱크에서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정답률: 62%)
  • 고가탱크방식은 물탱크를 높은 곳에 설치하여 중력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급수압력은 물탱크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높이가 높을수록 압력이 강하고, 낮을수록 약해진다. 따라서 높이가 높은 곳에서는 압력이 강하게 되고, 낮은 곳에서는 압력이 약해져 급수압력의 변화가 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회로 내의 임의의 한 점에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합은 같다.
  2. 임의의 폐회로 내에서의 기전력과 전압강하의 대수의 합은 같다.
  3. 도체가 움직이는 방향을 알 수 있는 법칙으로 전동기에 적용되는 법칙이다.
  4. 회로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며 저항과는 반비례한다.
(정답률: 38%)
  • "회로 내의 임의의 한 점에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합은 같다."가 제1법칙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이다. 이는 전류의 보존 법칙으로, 전류는 어떤 점에서 들어오면 반드시 다른 점에서 나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기 회로에서 전류가 어떻게 흐르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피보호물을 연속된 망상도체나 금속판으로 싸는 방법으로 뇌격을 받더라도 내부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건물이나 내부에 있는 사람에게 위해를 주지 않는 피뢰설비 방식은?

  1. 돌침방식(보통보호)
  2. 가공지선방식(간이보호)
  3. 케이지방식(완전보호)
  4. 수평도체방식(증강보호)
(정답률: 81%)
  • 케이지방식은 피보호물을 연속된 금속판으로 싸는 방법으로, 내부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 건물이나 내부에 있는 사람에게 위해를 주지 않는 완전보호 방식이다. 따라서 다른 방식들보다 더욱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2개의 옥외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옥외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은 최소 얼마이상이어야 하는가?(단,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를 사용할 경우)

  1. 0.07MPa
  2. 0.17MPa
  3. 0.25MPa
  4. 0.34MPa
(정답률: 46%)
  • 2개의 옥외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두 옥외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은 최소한 0.25MPa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두 옥외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때, 충분한 물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25MPa 미만이라면, 불 출동 시 불안전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25MPa 이상의 방수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압송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관계법규

81. 건축법에 따른 제1종근린생활시설로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최대 얼마 미만인 경우 제2종전용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가?

  1. 500m2
  2. 1,000m2
  3. 1,500m2
  4. 2,000m2
(정답률: 58%)
  • 건축법 제26조에 따르면 제2종전용주거지역에서 제1종근린생활시설을 건축할 경우, 해당 시설의 바닥면적 합계는 1,000m2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미만인 경우에는 제2종전용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대형 기계식주차장에 있어서 출입구 전면에 확보하여야 할 전면공지의 크기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너비 8.1미터 이상, 길이 9.5미터 이상
  2. 너비 8.7미터 이상, 길이 9.8미터 이상
  3. 너비 10미터 이상, 길이 11미터 이상
  4. 너비 10.3미터 이상, 길이 11미터 이상
(정답률: 75%)
  • 대형 기계식주차장 출입구 전면공지의 크기는 출입구로 들어가는 차량들이 공지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출입구 전면에는 너비 10미터 이상, 길이 11미터 이상의 전면공지가 필요합니다. 이는 출입구 전체를 커버하면서도 출입구로 들어오는 차량들이 공지를 놓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대지와 도로의 관계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단, 건축조례로 정하는 규모의 건축물은 제외)

  1. ㉠ 2m, ㉡ 4m
  2. ㉠ 4m, ㉡ 2m
  3. ㉠ 4m, ㉡ 6m
  4. ㉠ 6m, ㉡ 4m
(정답률: 50%)
  • 도로의 폭이 넓을수록 건물의 높이를 높일 수 있으므로, 대지와 도로의 관계에 따라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일반적인 도로의 폭인 6m 이하인 경우에는 건물의 높이를 2층 이하로 제한하고, 6m 이상인 경우에는 3층 이하로 제한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대지와 도로의 관계가 "㉠ 6m, ㉡ 4m" 인 경우이므로, 건물의 높이를 3층 이하로 제한하고,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는 기준 중에서는 "㉠ 6m, ㉡ 4m" 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하식 노외주차장의 차로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사로의 노면은 거친 면으로 하여야 한다.
  2.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4. 주차대수 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6m 이상인 2차로를 확보하거나 진입차로와 진출차로를 분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79%)
  •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종단경사도란 경사로의 끝 부분에서의 경사를 말하며, 이 부분에서는 차량의 출입이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경사를 완만하게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창문 등의 차면시설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1m
  2. 2m
  3. 3m
  4. 5m
(정답률: 81%)
  • 차량의 창문 등의 차면시설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앞쪽 유리창 아래부터 2m 이내의 위치에는 어떠한 물체도 위치할 수 없습니다. 이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한 기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거실의 반자높이를 최소 4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단,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1. 종교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2. 장례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3. 위락시설 중 유흥주점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정답률: 50%)
  • 거실의 반자높이를 최소 4m 이상으로 해야하는 대상은 상업시설이므로, 종교시설, 장례시설, 유흥주점 등과 같은 대상은 제외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승용 승강기의 최소설치대수가 가장 많은 건축물의 용도는?(단,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3,000m2이며 8인승 승강기를 설치하는 경우)

  1. 업무시설
  2. 위락시설
  3. 숙박시설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집회장
(정답률: 56%)
  • 집회장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행사가 자주 열리는 곳으로, 승강기를 이용하는 인원 수가 많기 때문에 최소설치대수가 가장 많아야 한다. 또한, 업무시설이나 숙박시설은 일반적으로 인원 수가 적고, 위락시설은 대부분 층간 이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기의 최소설치대수가 적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건축기준의 허용오차가 옳지 않은 것은?

  1. 용적률 : 1% 이내
  2. 출구너비 : 3% 이내
  3. 건축선의 후퇴거리 : 3% 이내
  4. 건축물높이 : 2% 이내(1m를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58%)
  • 출구너비는 비상상황에서 인명구조를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허용오차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출구너비 : 3% 이내"는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은 대지의 조경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m2
  2. 150m2
  3. 180m2
  4. 200m2
(정답률: 79%)
  • 주어진 조건에서 대지의 조경면적은 건축물의 총면적의 30% 이상이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총면적이 666.67m2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대지의 면적은 1000m2 이므로, 대지의 조경면적은 1000m2의 30%인 300m2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대지의 조경면적은 100m2, 150m2, 180m2, 200m2 중에서 200m2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용도지역의 건폐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림지역 : 20% 이하
  2. 준주거지역 : 70% 이하
  3. 일반상업지역 : 80% 이하
  4. 제1종일반주거지역 : 70% 이하
(정답률: 40%)
  • 제1종일반주거지역의 건폐율 기준이 70% 이하인 것은 옳은 것이다. 이유는 일반적으로 주거지역은 건물이 많이 밀집되어 있지 않고, 주택과 녹지가 적절하게 혼재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폐율이 높아지면 주거지역의 환경과 쾌적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건축물을 특별시나 광역시에 건축하는 경우 특별시장 또는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의 층수 기준은?

  1. 15층 이상
  2. 21층 이상
  3. 30층 이상
  4. 41층 이상
(정답률: 79%)
  • 특별시나 광역시는 인구 밀도가 높고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건축물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층수 기준을 두고 있다. 이 중에서도 21층 이상인 건축물은 높이가 매우 높아서 시민들의 시야를 가로막고,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별시장 또는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여 도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하고,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노외주차장의 출구와 입구를 따로 설치해야 하는 주차대수 규모의 기준은?(단, 출입구의 너비의 합이 5.5m 미만인 경우)

  1. 200대를 초과하는 규모
  2. 300대를 초과하는 규모
  3. 400대를 초과하는 규모
  4. 500대를 초과하는 규모
(정답률: 53%)
  • 노외주차장의 출입구를 따로 설치해야 하는 기준은 주차 대수가 많을수록 높아진다. 출입구의 너비의 합이 5.5m 미만인 경우에는 출입구를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 출입구를 따로 설치할 수 있는 주차 대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주차 대수가 많을수록 출입구를 따로 설치해야 하는 기준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400대를 초과하는 규모"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옥상광장 등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0.9m
  2. 1.2m
  3. 1.5m
  4. 1.8m
(정답률: 70%)
  • 옥상광장 등의 설치에 관한 기준에서는 안전을 위해 건물 외벽에서부터 옥상까지의 높이가 1.2m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옥상광장 등을 설치할 때에는 이 기준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공작물을 축조할 때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ᆞ군수ᆞ구청장에게 신고를 하여야 하는 대상 공작물에 속하는 것은?(단, 공작물의 높이가 5m인 경우)

  1. 장식탑
  2. 광고탑
  3. 기념탑
  4. 굴뚝
(정답률: 71%)
  • 공작물의 높이가 5m 이상인 경우에는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ᆞ군수ᆞ구청장에게 신고를 해야 하지만, 광고탑은 높이와 상관없이 대상 공작물에 속하기 때문에 신고가 필요합니다. 광고탑은 광고를 위해 설치되는 탑으로, 도시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기도 합니다. 따라서 광고탑은 공공의 이익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신고가 필요한 대상 공작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연면적이 5,000m2 이상인 건축물로서, 건축물의 대지에 공개 공지 또는 공개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단, 건축조례로 정하는 건축물은 제외)

  1. 숙박시설
  2. 업무시설
  3. 위락시설
  4. 문화 및 집회시설
(정답률: 46%)
  • 위락시설은 대중적인 오락, 스포츠, 레저 등을 제공하는 시설로, 대부분의 경우 연면적이 5,000m2 이상이며, 대지에 공개 공지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연면적이 5,000m2 이상인 건축물 중에서 위락시설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건축법령상 공동주택에 속하는 것은?

  1. 공관
  2. 다중주택
  3. 다가구주택
  4. 다세대주택
(정답률: 68%)
  • 건축법령상 공동주택에 속하는 것은 다세대주택입니다. 이는 다중주택과 다가구주택과는 구분되며, 공관은 공공주택으로 분류됩니다. 다세대주택은 하나의 건물 내에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으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나 공간이 있어서 공동주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은 사용승인신청과 관련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3일
  2. 5일
  3. 7일
  4. 10일
(정답률: 73%)
  • 사용승인신청은 일반적으로 신청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처리됩니다. 이 기간은 보통 7일 정도이며, 이 기간 내에 승인이 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반려 처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그림과 같은 대지의 A점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최고층수는?(단, 건축물의 층고는 3m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3층
  2. 4층
  3. 5층
  4. 6층
(정답률: 65%)
  • A점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최고층수는, 대각선으로 3m씩 올라가면서 4층까지 건축할 수 있습니다. 5층 이상으로 건축하려면 대지의 한쪽 변의 길이가 5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은 노외주차장의 구조, 설비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2%)
  • 노외주차장의 구조와 설비기준에서는 주차면적 대비 차량통행폭을 20% 이상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는 차량이 주차면에서 출입할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차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용도변경 시 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 속하는 것은?

  1. 공동주택에서 위락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2. 의료시설에서 문화 및 집회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3. 숙박시설에서 문화 및 집회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4. 제1종근린생활시설에서 업무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정답률: 47%)
  • 제1종근린생활시설에서 업무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경우는 건축법상 신고가 필요한 경우입니다. 다른 경우는 신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