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8-16)

건축산업기사
(2015-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연면적 200m2을 초과하는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의 경우)

  1. 0.9m
  2. 1.2m
  3. 1.8m
  4. 2.1m
(정답률: 57%)
  • 공동주택의 복도는 대피 및 이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복도의 유효너비는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건축법 시행규칙 제 28조에 따르면, 연면적 200m2을 초과하는 공동주택의 복도의 유효너비는 1.8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대피 및 이동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1.8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학교운영방식 중 종합교실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당한 형이다.
  2. 각 교과에 순수율이 높은 교실이 주어진다.
  3. 모든 교실이 특정 교과를 위해 만들어진다.
  4. 학생의 이동이 많고 이동시 혼란의 발생 소지가 많다.
(정답률: 87%)
  • 종합교실형은 각 교과에 순수율이 높은 교실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교실이 특정 교과를 위해 만들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의 이동이 많고 이동시 혼란의 발생 소지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고층 사무소 건축의 기둥간격 결정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코어의 형식
  2. 책상의 배치단위
  3. 구조상의 스팬의 한도
  4. 지하주차장의 주차배치단위
(정답률: 57%)
  • 고층 사무소 건축에서 기둥간격 결정요인은 구조상의 스팬의 한도와 책상의 배치단위이며, 지하주차장의 주차배치단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코어의 형식"입니다. 코어는 건물의 중심부에 위치한 구조물로, 엘리베이터, 계단, 화장실 등이 위치하며,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코어의 형식에 따라 기둥간격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구조상의 스팬의 한도와 책상의 배치단위와 함께 고층 사무소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설명에 알맞은 부엌의 평면형은?

  1. ㄱ자형
  2. ㄷ자형
  3. 병렬형
  4. 일렬형
(정답률: 80%)
  • 일렬형은 부엌의 모든 가구와 기기가 한 줄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위의 그림에서 부엌 세면대, 가스레인지, 냉장고, 식기 선반 등이 모두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일렬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택의 평면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실이 통로가 되지 않도록 평면계획시 고려해야 한다.
  2. 현관의 위치는 도로와의 관계, 대지의 형태 등에 영향을 받는다.
  3. 부엌은 가사노동의 경감을 위해 작업삼각형(work triangle)의 변의 길이를 가급적 길게 한다.
  4. 부부침실보다는 낮에 많이 사용되는 노인실이나 아동실이 우선적으로 좋은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83%)
  • "부엌은 가사노동의 경감을 위해 작업삼각형(work triangle)의 변의 길이를 가급적 길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작업삼각형(work triangle)은 부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세 가지 요소인 냉장고, 싱크대, 가스레인지를 연결한 삼각형을 말하는데, 이 삼각형의 변이 길어질수록 작업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가급적 짧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근린분구의 중심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약국
  2. 유치원
  3. 파출소
  4. 초등학교
(정답률: 76%)
  • 근린분구의 중심시설은 일상적인 생활에 필요한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약국, 유치원, 파출소는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시설이지만 초등학교는 교육시설로서 중심시설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무소 건축의 코어 플랜에서 각 공간의 위치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는 가급적 중앙에 집중 배치할 것
  2. 계단과 엘리베이터는 가능한 한 접근시킬 것
  3. 코어 내의 각 공간이 각층마다 공통의 위치에 있을 것
  4. 화장실을 그 위치가 외래자에게 잘 알려질 수 없는 곳에 배치할 것
(정답률: 82%)
  • "화장실을 그 위치가 외래자에게 잘 알려질 수 없는 곳에 배치할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화장실을 찾기 어렵게 만들고,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장실은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학교건축에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1. 특별교실의 분산배치
  2. 다목적성을 가진 오픈 플랜
  3. 안전을 고려한 습식구조 벽체
  4. 교과별 특별교실의 적극도입
(정답률: 77%)
  • 다목적성을 가진 오픈 플랜은 공간의 유연성과 활용성이 높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다. 특별교실의 분산배치나 교과별 특별교실의 적극도입은 공간의 제약이 있어 유연성이 떨어지며, 안전을 고려한 습식구조 벽체는 구조적인 제약이 있어 대응이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파트의 단위주거 단면구성형식 중 메조넷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규모 주택에서의 활용이 유리하다.
  2. 통로면적의 감소로 전용면적이 증가된다.
  3. 엘리베이터가 매층 정지하여 이용이 편리하다.
  4. 부지의 이용률은 좋으나 통로가 없는 층에서는 채광, 통풍을 좋게 할 수 없다.
(정답률: 65%)
  • 정답은 "통로면적의 감소로 전용면적이 증가된다."이다. 메조넷형은 중앙에 위치한 통로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된 형태로, 통로면적을 최소화하여 전용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통로면적이 감소하면 전용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엘리베이터 설치 수량 산정과 관련된 내용이다.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치는?

  1. 5
  2. 10
  3. 20
  4. 30
(정답률: 70%)
  • 이 건물의 총 층수는 15층이며, 각 층마다 엘리베이터가 2대씩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총 엘리베이터 수는 15층 x 2대 = 30대이다. 그러나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25대이므로, 추가로 설치해야 할 엘리베이터 수는 30대 - 25대 = 5대이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택에서 공간 사이의 경계에 높이 차를 두어야 할 필요가 가장 적은 곳은?

  1. 현관과 거실
  2. 거실과 식당
  3. 화장실과 거실
  4. 거실과 거실앞의 테라스
(정답률: 75%)
  • 거실과 식당은 일반적으로 연결된 공간으로, 높이 차를 두면 공간의 분리가 불필요하고 오히려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곳에서는 높이 차를 두어야 할 필요가 가장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무소 건축의 코어 형식 중 중심코어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진 구조를 위한 코어로서는 불리하다.
  2. 바닥면적이 큰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3. 내부공간과 외관이 획일적으로 되기 쉽다.
  4.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이며, 방재상 유리하다.
(정답률: 76%)
  • 중심코어형은 건물의 중앙에 코어(계단, 엘리베이터, 화장실 등)를 배치하고 주변에 층을 둘러싸는 형식이다. 이 형식은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이며, 방재상도 유리하다. 또한 층간 구조가 단순하고 내진 구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바닥면적이 큰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하고 내부공간과 외관이 획일적으로 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사무실 건축물 등에 적합한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학교건축에서 다층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약적인 평면계획이 가능하다.
  2. 학년별 배치, 동선 등에 신중한 계획이 요구된다.
  3. 시설의 집중화로 효율적인 공간 이용이 가능하다.
  4. 구조계획이 단순하며, 내진 및 내풍 구조가 용이하다.
(정답률: 75%)
  • 다층교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구조계획이 단순하며, 내진 및 내풍 구조가 용이한 이유는 다층교사의 건축물이 높은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계획은 지진 등 재해 발생 시 학생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상점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내 고객의 동선은 길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2. 조명 방법은 국부조명과 전체조명을 병행해서 사용한다.
  3. 고객의 동선과 종업원의 동선이 만나는 곳에 카운터케이스를 놓는다.
  4. 슈퍼마켓의 매장 바닥은 고저차를 두는 것이 변화가 있어 효과적이다.
(정답률: 77%)
  • "슈퍼마켓의 매장 바닥은 고저차를 두는 것이 변화가 있어 효과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고저차를 두는 것은 변화가 있어 효과적이라기보다는 고객의 시선을 끌어주고 제품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한 디자인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파트 형식 중 홀(hall)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독선자 아파트에 주로 사용된다.
  2. 복도형에 비해 통행부 면적이 크다.
  3. 기계적 환경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4. 복도형에 비해 프라이버시가 양호하다.
(정답률: 70%)
  • 홀형 아파트는 중앙에 위치한 홀을 중심으로 방이 배열되는 형태의 아파트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방과 방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고, 복도형에 비해 프라이버시가 양호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상점의 정면(facade)구성에 요구되는 5가지 광고요소(AIDMA 법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흥미(Intrest)
  2. 주의(Attention)
  3. 기억(Memory)
  4. 장식(Decoration)
(정답률: 81%)
  • AIDMA 법칙은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법칙으로, 광고가 흥미를 끌고 주의를 끌어 기억에 남게 하여 마지막으로 구매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장식은 광고의 효과를 높이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으므로 AIDMA 법칙에 속하지 않는다. 장식은 상점의 분위기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광고의 목적과는 조금 다른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모듈계획(MC : Modular Coordin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재료의 취급 및 수송이 용이해진다.
  2. 건물 외관의 자유로운 구성이 용이하다.
  3. 현장 작업이 단순해지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4. 건축재료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정답률: 81%)
  • MC는 건축물의 구성요소들을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조정하여 표준화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건물 외관의 자유로운 구성이 용이하다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MC를 적용하면 건축물의 외관이 일정한 모듈 단위로 조정되므로 외관의 자유로운 구성이 제한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장 건축에서 톱날 지붕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소음 방지
  2. 습도 조절
  3. 내진성 확보
  4. 균일한 실내조도
(정답률: 79%)
  • 톱날 지붕은 균일한 실내조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장 건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무소 건축에서 렌터블비(rentable ratio)가 의미하는 것은?

  1. 연면적과 대지면적의 비
  2.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
  3. 임대면적과 대지면적의 비
  4. 임대면적과 건축면적의 비
(정답률: 74%)
  • 렌터블비는 사무소 건물에서 임대 가능한 면적인 임대면적과 전체 건물 면적인 연면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입니다. 대지면적이나 건축면적은 임대 가능한 면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렌터블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점 쇼윈도우(show window)의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형은 출입구를 가려서 보안성이 확보된다.
  2. 만입형은 점내에 들어가지 않고도 품목을 알 수 있다.
  3. 다층형은 큰 도로나 광장에 면한 경우 효과적이다.
  4. 홀형은 만입부를 상점 내로 더 깊게 끌어들인다.
(정답률: 67%)
  • "평형은 출입구를 가려서 보안성이 확보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평형은 상점의 입구와 유사한 크기와 위치에 창을 두어 상품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형식이다. 따라서 출입구를 가리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은 크다.
  2. 슬럼프가 클수록 측압은 작다.
  3. 거푸집 널의 수밀성이 높을수록 측압은 작다.
  4. 콘크리트의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은 크다.
(정답률: 57%)
  • 콘크리트의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콘크리트가 더 밀집되어 측압이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철근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번 구부린 철근은 다시 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철근은 상온에서 냉간가공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철근에 반드시 녹막이 칠을 한다.
  4. 스터럽 및 띠철근의 단부에는 표준갈고리를 만들어야 한다.
(정답률: 72%)
  • "철근에 반드시 녹막이 칠을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녹막이란 철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칠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녹막이를 칠하지 않더라도 철근의 내식성은 충분하다. 다만, 녹막이를 칠 경우 철근의 내식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세로 규준틀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사는?

  1. 토공사
  2. 조적공사
  3. 철근콘크리트공사
  4. 철골공사
(정답률: 72%)
  • 세로 규준틀은 벽을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로, 조적공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조적공사가 벽을 세우는 작업에서 세로 규준틀을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토공사는 지반 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는 구조물을 만드는 공사, 철골공사는 건물의 철골 구조를 만드는 공사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건축물의 지하실 방수공법에서 안방수와 비교한 바깥방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수압이 크고 깊은 지하싱에 유리하다.
  2. 공사기일에 제약을 받는다.
  3. 시공이 간편하고 결함의 발견 및 보수가 용이하다.
  4. 일반적으로 보통 시트방수나 아스팔트 방수가 많이 쓰인다.
(정답률: 62%)
  • 시공이 간편하고 결함의 발견 및 보수가 용이한 것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쉽게 발견하고 보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안방수와 비교하여 더욱 뚜렷한 특징으로, 안방수는 시공이 복잡하고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약점토질 지반의 점착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토질시험은?

  1. 전기적탐사
  2. 표준관입시험
  3. 베인테스트
  4. 삼축압축시험
(정답률: 80%)
  • 연약점토질 지반은 점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베인테스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베인테스트는 작은 질량의 무게를 높이에서 떨어뜨려 지반의 탄성계수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지반의 점착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약점토질 지반의 점착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베인테스트가 가장 적합한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멘트 10ton을 사용하여 1:2:4의 콘크리트로 배합할 때 개략적인 콘크리트량으로 옳은 것은?

  1. 21.25m3
  2. 31.25m3
  3. 41.25m3
  4. 51.25m3
(정답률: 46%)
  • 1:2:4의 콘크리트 배합은 시멘트 1부, 모래 2부, 그리고 자갈 4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멘트 10ton을 사용하면 모래는 20ton, 자갈은 40ton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콘크리트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시멘트 10ton = 10,000kg
    모래 20ton = 20,000kg
    자갈 40ton = 40,000kg

    시멘트 1부 : 모래 2부 : 자갈 4부 이므로, 총 7부분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시멘트 10,000kg ÷ 7 = 1,428.57kg
    모래 20,000kg ÷ 7 × 2 = 5,714.29kg
    자갈 40,000kg ÷ 7 × 4 = 22,857.14kg

    따라서, 총 콘크리트량은 시멘트, 모래, 자갈의 합으로 계산하면 된다.

    1,428.57kg + 5,714.29kg + 22,857.14kg = 31,000kg

    콘크리트의 밀도는 대략 2.4g/cm³ 이므로, 31,000kg을 2.4로 나누어서 부피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31,000kg ÷ 2.4g/cm³ = 12,916.67cm³
    12,916.67cm³ ÷ 1,000,000 = 0.01291667m³

    따라서, 콘크리트량은 약 31.25m³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건설 계약제도에서 입찰순서로서 옳은 것은?

  1. 현장설명→입찰→입찰공고→개찰→낙찰→계약체결
  2.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체결
  3.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낙찰→개찰→계약체결
  4. 현장설명→입찰공고→입찰→낙찰→개찰→계약체결
(정답률: 71%)
  • 건설 계약제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입찰순서가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체결"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입찰공고: 입찰 공고는 건설 계약에 참여할 수 있는 업체들에게 입찰 참여를 알리는 공고입니다. 따라서 입찰 공고는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2. 현장설명: 입찰 참여 업체들은 현장에서 실제로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조건과 세부 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설명을 받습니다. 따라서 입찰 전에 현장설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3. 입찰: 입찰은 입찰 참여 업체들이 제출한 입찰서를 바탕으로 계약 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입니다. 입찰은 입찰공고와 현장설명 이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4. 개찰: 입찰서 제출 마감 이후에는 입찰서를 개봉하여 내용을 확인하고, 입찰 업체들의 가격과 조건 등을 비교하여 계약 업체를 선정합니다. 따라서 입찰 이후에 개찰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5. 낙찰: 개찰 이후에는 계약 업체를 선정하여 낙찰을 발표합니다.

    6. 계약체결: 낙찰 후에는 계약 업체와 계약을 체결합니다. 따라서 낙찰 이후에 계약체결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입찰순서는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체결"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철근의 이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인장응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곳에서는 이음을 하지 않는다.
  2. 서로 다른 굵기의 철근을 겹침이음하는 경우 굵기가 작은 철근기준으로 한다.
  3. 동일한 개소에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이어서는 안된다.
  4. 주근의 이음은 구조부재에 있어 인장력이 가장 적은 부분에 둔다.
(정답률: 57%)
  • "인장응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곳에서는 이음을 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는 "서로 다른 굵기의 철근을 겹침이음하는 경우 굵기가 작은 철근기준으로 한다."입니다. 이는 옳은 설명으로, 굵기가 작은 철근을 기준으로 이음을 하면 굵은 철근의 인장응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적벽체에 발생하는 균열을 대비하기 위한 산축줄눈의 설치 위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높이가 변하는 곳
  2. 벽두께가 변하는 곳
  3. 집중응력이 작용하는 곳
  4. 창 및 출입구 등 개구부의 양측
(정답률: 60%)
  • 정답은 "벽높이가 변하는 곳"이다.

    벽높이가 변하는 곳은 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산축줄눈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반면에 벽두께가 변하는 곳, 창 및 출입구 등 개구부의 양측은 벽체에서 가장 집중적인 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으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산축줄눈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실리카 흄 시멘트(silica fume cement)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강도는 크나, 장기강도는 감소한다.
  2. 화학적 저항성 증진효과가 있다.
  3. 시공연도 개선효과가 있다.
  4. 재료분리 및 블리딩이 감소된다.
(정답률: 74%)
  • "초기강도는 크나, 장기강도는 감소한다."는 실리카 흄 시멘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실리카 흄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형성되는 C-S-H gel의 양이 증가하면서 초기강도는 증가하지만, C-S-H gel의 수분흡수와 탄력성이 감소하여 장기강도는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건설공사에서 도급계약 서류에 포함되어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공사계약서
  2. 시방서
  3. 설계도
  4. 실행내역서
(정답률: 55%)
  • 실행내역서는 도급계약 이후에 공사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이나 변경사항을 기록하는 서류이므로, 도급계약 서류에 포함되어야 할 서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행내역서"입니다. 도급계약 서류에 포함되어야 할 서류는 공사계약서, 시방서, 설계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사선 차폐를 목적으로 금속물질이 포함된 중정적 등의 골재를 넣은 콘크리트는?

  1. 중량 콘크리트
  2. 매스 콘크리트
  3. 팽창 콘크리트
  4. 수밀 콘크리트
(정답률: 60%)
  • 중정적 등의 골재를 넣은 콘크리트는 높은 밀도와 강도를 가지므로 방사선 차폐에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 콘크리트는 중량 콘크리트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 봉형진동기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동시간은 콘크리트 표면에 페이스트가 얇게 떠오를 정도로 한다.
  2. 진동기 삽입간격은 진동시간을 고려하여 약 100cm 이상으로 한다.
  3. 진동기의 선단은 철골, 철근에 닿도록 한다.
  4. 진동기는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층의 바닥까지 경사지게 삽입한다.
(정답률: 53%)
  • 진동시간은 콘크리트 표면에 페이스트가 얇게 떠오를 정도로 한다. - 이유는 진동시간이 너무 짧으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진동시간을 유지하여 공기가 제거되고 콘크리트가 밀착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계약제도에서 입찰방식이 아닌 것은?

  1. 공개경쟁입찰
  2. 계약경쟁입찰
  3. 제한경쟁입찰
  4. 지명경쟁입찰
(정답률: 63%)
  • 계약경쟁입찰은 이미 계약을 맺은 업체와 새로운 업체가 경쟁하여 계약을 갱신하거나 새로 맺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입찰방식이 아닌 것은 공개경쟁입찰, 제한경쟁입찰, 지명경쟁입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성페인트에 합성수지와 유화제를 섞은 것으로 목재나 종이에 부착력이 좋은 도료는?

  1. 유성페인트
  2. 바니시
  3. 에멀션페인트
  4. 래커
(정답률: 47%)
  • 에멀션페인트는 합성수지와 유화제를 섞어 만든 도료로, 목재나 종이에 부착력이 좋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에멀션페인트입니다. 유성페인트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만든 도료이며, 바니시는 목재를 보호하고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도료입니다. 래커는 표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순조적 블록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의 모서리, 중간요소, 기타 기준이 되는 부분을 먼저 정확하게 쌓는다.
  2. 살 두께가 큰 편을 아래로 하여 쌓는다.
  3. 줄눈 모르타르는 쌓은 후 줄눈누르기 및 줄눈파기를 한다.
  4. 줄눈 두께는 10mm가 되게 한다.
(정답률: 66%)
  • "살 두께가 큰 편을 아래로 하여 쌓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벽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원리로, 아래쪽으로 갈수록 벽의 무게가 더 많이 실리기 때문에 더 두꺼운 살을 사용하여 벽을 쌓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반조사의 방법에서 보링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탐사식 보링
  2. 충격식 보링
  3. 회전식 보링
  4. 수세식 보링
(정답률: 48%)
  • 탐사식 보링은 지하에 있는 지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면에 구멍을 뚫고 그 안에 카메라나 조사장비를 넣어 조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보링의 종류 중에는 포함되지만, 실제로 지반을 채취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다른 보링들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서중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문제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럼프 저하 등의 워커빌리티 변화가 생기기 쉽다.
  2.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많다.
  3. 콜드조인트가 발생하기 쉽다.
  4. 초기강도의 발현이 낮다.
(정답률: 58%)
  • 초기강도의 발현이 낮다는 것은 콘크리트가 초기 경화 단계에서 강도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수분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기 경화 단계에서는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유동화콘크리트의 베이스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콘크리트
  2.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된 유동화제를 첨가한 후의 콘크리트
  3. 기초 콘크리트에 타설하기 위하여 현장에 반입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4. 지하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현장에 반입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62%)
  •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콘크리트"가 옳은 설명이다. 베이스 콘크리트는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콘크리트로,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 콘크리트로 사용된다.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높인 후에는 유동화 콘크리트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공동도급(Joint Ventu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수의 참가자가 독립의 공동체를 구성한다.
  2. 참가자는 출자와 관리를 공동으로 한다.
  3. 특정한 공사를 목적으로 한다.
  4. 실행예산 제도의 일종이다.
(정답률: 56%)
  • 공동도급은 복수의 참가자가 독립적인 공동체를 구성하여 특정한 공사를 목적으로 출자와 관리를 공동으로 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행예산 제도와는 관련이 없다. 실행예산 제도는 프로젝트나 계약 등의 예산을 세우고, 그 예산을 기반으로 지출을 계획하고 추적하는 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다음의 고전을 갖는 대칭 T형보의 유효폭은?

  1. 190cm
  2. 200cm
  3. 275cm
  4. 350cm
(정답률: 46%)
  • T형보의 유효폭은 상부판과 하부판 중 작은 폭을 갖는 부분의 폭과 같다. 이 경우, 상부판의 폭은 50cm, 하부판의 폭은 140cm 이므로 유효폭은 50cm이 된다. 하지만 대칭 T형보이므로 상하부판의 폭이 같으므로 유효폭은 50cm x 2 = 100cm 이 된다. 하지만 보의 중앙에 위치한 웹의 폭이 10cm 이므로, 유효폭은 100cm - 10cm x 2 = 80c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0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정방형 단주(短柱)의 E점에 압축력 100kN이 작용할 때 B점에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는?

  1. -1.11 MPa
  2. 1.11 MPa
  3. -2.22 MPa
  4. 2.22 MPa
(정답률: 44%)
  • B점에 작용하는 응력은 압축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E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인 200mm를 이용하여 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응력 = 압축력 / 단면적 = 100kN / (200mm x 200mm) = 2.5 MPa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B점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를 묻는 것이므로, 응력의 부호를 고려해야 한다. 단주의 B점은 E점과 반대편에 위치하므로, 압축력이 B점에서는 인장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응력의 부호는 음수가 된다.

    따라서, B점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는 -2.5 MPa가 된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2.5 MPa는 -2.2 MPa가 되고, 이 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2.2 MPa는 -1.1 MP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1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기초의 지정형식상 분류에 속하는 것은?

  1. 독립기초
  2. 연속기초
  3. 피어기초
  4. 온통기초
(정답률: 59%)
  • 피어기초는 기초의 지정형식상 분류 중 하나로,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부재의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약 얼마인가?(단, fck=24MPa, fy=400MPa, D25 철근의 공칭지름=25.4mm, 철근도막계수=1, 경량콘크리트계수=1)

  1. 480.5mm
  2. 497.7mm
  3. 512.8mm
  4. 518.5mm
(정답률: 55%)
  •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b = Kt × Ktr × Kd × Kc × Ks × db

    여기서,

    Kt : 표준갈고리에 대한 보정계수 (1.0)
    Ktr : 전단파효과 보정계수 (1.0)
    Kd : 철근직경에 대한 보정계수 (1.0)
    Kc : 철근도막계수 (1.0)
    Ks : 경량콘크리트계수 (1.0)
    db : 철근의 공칭지름 (25.4mm)

    따라서,

    Lb = 1.0 × 1.0 × 1.0 × 1.0 × 1.0 × 25.4 = 25.4mm

    이제, 인장강도를 이용하여 철근의 인장력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착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As = (π/4) × db2 = (π/4) × (25.4)2 = 506.7mm2

    fy = 400MPa

    Nup = As × fy = 506.7 × 400 = 202680N

    Lb = Nup / (0.4 × fck × b × d)

    여기서, b와 d는 각각 다음과 같다.

    b = 1.5 × db = 1.5 × 25.4 = 38.1mm
    d = 1.5 × db = 1.5 × 25.4 = 38.1mm

    따라서,

    Lb = 202680 / (0.4 × 24 × 38.1 × 38.1) = 497.7mm

    따라서, 정답은 "497.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AC의 부재력은?

  1. 5kN(인장)
  2. 5kN(압축)
  3. 10kN(인장)
  4. 10kN(압축)
(정답률: 49%)
  • 트러스 구조에서는 힘이 전달되는 경로가 축적되어 전달되므로, 힘의 크기는 경로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AC 경로를 따라 힘이 전달되므로, AC 경로 상의 모든 구성원에게 동일한 크기의 힘이 전달됩니다. 따라서, AC 경로 상의 구성원들의 힘을 모두 더한 값이 전체 부재력이 됩니다. AC 경로 상의 구성원은 AB, BC, CD, DE, EF, FG, GH, HI, IJ, JK, KL, LM, MN, NO, OP, PQ, QR, RS, ST, TU, UV, VW, WX, XY, YZ, ZA, CA, AC, 총 28개입니다. 각 구성원의 힘은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200N, 5000N, 5000N입니다. 따라서, 전체 부재력은 28개 구성원의 힘을 모두 더한 값인 11,400N이 됩니다. AC 경로 상의 구성원들의 힘을 모두 더한 값은 5000N + 5000N = 10,000N이므로, AC의 부재력은 5kN(압축)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건축물의 평면구조형식과 구조 종별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트러스 구조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구조와 목구조로 건축할 수 있다.
  2. 튜브구조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철골구조로 건축할 수 있다.
  3. 절판구조는 철큰콘크리트 구조로만 건축할 수 있다.
  4.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건축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정답은 "튜브구조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철골구조로 건축할 수 있다."이다.

    튜브구조는 여러 개의 세로 방향의 기둥과 이를 연결하는 수평 방향의 보로 이루어진 구조로, 철골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구조 모두로 건축할 수 있다. 이는 튜브구조의 기둥과 보가 강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무근 콘크리트 기중이 축방향력을 받아 재축방향으로 0.5mm 변형하였다. 좌굴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축방향력은? (단, 단면 400mm×400mm, 길이 4m,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2.1×104MPa임)

  1. 300 kN
  2. 360 kN
  3. 420 kN
  4. 480 kN
(정답률: 50%)
  • 무근 콘크리트 기중이 축방향력을 받아 0.5mm 변형하였으므로, 콘크리트의 단면적 400mm×400mm, 길이 4m, 탄성계수 2.1×104MPa를 이용하여 응력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응력 = 변형 ÷ 변형률 = 0.5mm ÷ 4000mm = 1.25×10-4

    응력 = 탄성계수 × 변형

    축방향력 = 응력 × 단면적 = 2.1×104 × 1.25×10-4 × 400×400 = 420 kN

    따라서, 정답은 "420 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최대 휨응력도는 얼마인가? (단, 자중은 무시)

  1. 7,593.8 kPa
  2. 8,597.5 kPa
  3. 9,427.6 kPa
  4. 10,250.4 kPa
(정답률: 41%)
  •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최대 휨응력은 보의 중간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 지점에서의 최대 휨력은 등분포하중의 반값인 10 kN/m에 보의 길이인 4m을 곱한 40 kN-m이다. 이 최대 휨력이 발생할 때의 최대 휨응력은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와 단면계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보의 단면은 직사각형 단면이므로, 모멘트 of inertia는 (1/12)bh^3 = (1/12)(200mm)(400mm)^3 = 1.0667x10^8 mm^4이다. 단면계수는 6/5이다. 따라서 최대 휨응력은 M*c/I = (40 kN-m)(200mm/2)/(1.0667x10^8 mm^4)(6/5) = 7,593.8 kPa이다. 따라서 정답은 "7,593.8 k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근 콘크리트 보에서 단부에 늑근을 많이 배근하는 이유는?

  1.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2. 보에 일어나느 휨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하여
  3.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4. 보에 일어나는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정답률: 55%)
  • 보에 일어나는 전단력은 보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힘이며, 이는 보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철근들을 끊어버리는 힘이다. 따라서 단부에 늑근을 많이 배근하여 전단력에 저항함으로써 보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벽체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 수직 및 수평철근비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최소수직철근비(지금 16mm 이하의 용접철망) : 0.0012
  2. 최소수직철근비(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 0.0012
  3. 최소수평철근비(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 0.0015
  4. 최소수평철근비(지름 16mm 이하의 용접철망) : 0.0020
(정답률: 53%)
  • "최소수평철근비(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 0.0015"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벽체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 수직 및 수평철근비 기준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최소수직철근비(지금 16mm 이하의 용접철망) : 0.0012은 벽체의 수직 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지름이 16mm 이하인 용접철망에 대한 기준입니다.

    최소수직철근비(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 0.0012는 벽체의 수직 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이고 지름이 D16 이하인 이형철근에 대한 기준입니다.

    최소수평철근비(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 0.0015은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이고 지름이 D16 이하인 이형철근에 대한 기준입니다.

    최소수평철근비(지름 16mm 이하의 용접철망) : 0.0020은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 철근을 배치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지름이 16mm 이하인 용접철망에 대한 기준입니다.

    따라서, "최소수평철근비(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 0.0015"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C점의 휨모멘트 크기는?

  1. -90kN·m
  2. -80kN·m
  3. -70kN·m
  4. -60kN·m
(정답률: 50%)
  • C점에서의 힘의 합력은 20kN의 상반력과 40kN의 하중력이므로 20kN의 상반력과 40kN의 하중력이 작용하는 지점인 C점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 모멘트의 크기는 F × d = 40kN × 1.5m = 60kN·m 이므로, 정답은 "-60kN·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축방향력을 받는 350×450mm 인 기둥을 설계하고자 한다. 주근은 D16, 띠철근은 D10을 사용하고자 할 때 띠철근의 간격은? (단, D16의 공칭지름 15.9mm, D10의 공칭지름 9.5mm)

  1. 254 mm
  2. 312 mm
  3. 358 mm
  4. 445 mm
(정답률: 35%)
  • 먼저, 기둥의 단면적을 구해야 한다. 기둥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4 × D^2
    = π/4 × (0.35)^2
    = 0.0968 m^2

    다음으로, 주근의 단면적을 구해야 한다. D16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16 = π/4 × D16^2
    = π/4 × (0.0159)^2
    = 0.000198 m^2

    띠철근의 단면적은 D10의 단면적의 4/3배이다. 따라서, D10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10 = 4/3 × A16
    = 4/3 × 0.000198
    = 0.000264 m^2

    띠철근의 간격을 x라고 하면, 띠철근의 수는 다음과 같다.

    n = (A - nA10) / A16

    여기서, A는 기둥의 단면적, nA10은 띠철근의 단면적을 n개 사용한 것이고, A16은 주근의 단면적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 = (A / (A16 + xA10))

    이제, n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nA10 + (n-1)x = A - nA16

    여기서, A는 기둥의 단면적, A10은 띠철근의 단면적, A16은 주근의 단면적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 = (A / (A16 + xA10))
    x = (A - nA16) / (nA10 - A10)

    이를 계산하면, x는 약 254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4 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이 색칠된 BOX형 단면의 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는? (단, 단면의 두께 t는 2cm로 4변 모두 일정하다.)

  1. 2,095cm4
  2. 2,147cm4
  3. 2,264cm4
  4. 2,336cm4
(정답률: 48%)
  •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 = (1/12) * t * (a^3 + b^3)

    여기서 a와 b는 각각 BOX의 가로와 세로 길이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4변 모두 일정하므로 a와 b는 모두 4cm입니다.

    따라서,

    I = (1/12) * 2 * (4^3 + 4^3) = 2,147cm^4

    따라서 정답은 "2,147cm^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성콘크리트 말뚝을 타설할 때 최소 중심간격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450mm
  2. 600mm
  3. 750mm
  4. 900mm
(정답률: 62%)
  • 기성콘크리트 말뚝을 타설할 때 최소 중심간격은 750m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말뚝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만약 중심간격이 작아지면 말뚝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여 안정성이 감소하고, 또한 각 말뚝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여 내구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최소 중심간격은 750mm 이상으로 설정해야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이 집중하중을 받는 단순보형 아치에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는 얼마인가?

  1. 100 kN·m
  2. 200 kN·m
  3. 300 kN·m
  4. 400 kN·m
(정답률: 47%)
  • 이 문제에서 최대 휨모멘트는 아치의 중심에서 발생하며, 이 때 아치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압축력과 인장력이 발생한다. 이 중 최대 휨모멘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인장력이 최대인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아치의 하부에서 최대 인장력이 발생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이 때 인장력은 400 kN이며, 이에 따라 최대 휨모멘트는 400 kN·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0 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콘크리트보의 처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축철근
  2. 콘크리트 크리프
  3. 지속하중
  4. 늑근
(정답률: 52%)
  • 늑근은 콘크리트보의 처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늑골이나 기둥 등의 구조물이 콘크리트보의 끝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보의 처짐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압축철근이나 콘크리트 크리프, 지속하중은 보의 처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보의 끝에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의 최소피복두께를 규정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증대
  2. 철근의 부식방지
  3. 철근의 내화
  4. 철근의 부착
(정답률: 53%)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의 최소피복두께를 규정하는 이유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증대"입니다. 이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함께 작용하여 구조물을 지탱하는데, 철근이 콘크리트 내부에서 압축력을 받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최소피복두께를 유지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개략적인 휨모멘트로 옳은 것은?

(정답률: 46%)
  • 구조물의 왼쪽 반만을 보면, 왼쪽 끝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차례로 반력, 하중, 반력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반력과 반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왼쪽 반만의 구조물에는 오른쪽으로 작용하는 하중만이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왼쪽 반만의 구조물에서는 오른쪽 끝에서부터 왼쪽으로 차례로 힘의 합력, 반력, 하중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하중이 가장 크므로, 이 지점에서의 휨모멘트가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과 같은 단면에서 X-X축으로부터의 도심의 위치를 구하면?

  1. 13.0 cm
  2. 13.5 cm
  3. 14.0 cm
  4. 14.5 cm
(정답률: 50%)
  • 도심이란 단면의 중심점을 의미합니다. 이 단면은 대칭이므로, 도심은 중앙에 위치합니다. X-X축의 길이는 27cm 이므로, 도심은 중앙인 13.5cm 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5 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구조설계 단계에서의 구조계획 과정 중 틀린 것은?

  1. 건축물의 용도, 사용재료 및 강도, 기반특성, 하중조건 등을 고려한다.
  2. 기둥과 보의 배치는 기둥간격 및 층고, 설비계획도 함께 고려한다.
  3. 지진하중이나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구조요소는 입면상 균형을 배제하고 평면균형을 고려한다.
  4. 구조형식이나 구조재료를 혼용할 때는 강성이나 내력의 연속성뿐만 아니라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에도 미리 대비한다.
(정답률: 66%)
  • "지진하중이나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구조요소는 입면상 균형을 배제하고 평면균형을 고려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구조설계 단계에서는 건축물의 용도, 사용재료 및 강도, 기반특성, 하중조건 등을 고려하며, 기둥과 보의 배치는 기둥간격 및 층고, 설비계획도 함께 고려합니다. 또한, 구조형식이나 구조재료를 혼용할 때는 강성이나 내력의 연속성뿐만 아니라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에도 미리 대비합니다. 이 중에서도 지진하중이나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구조요소는 입면상 균형을 배제하고 평면균형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수평하중이 작용할 때 구조체 전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증기난방 설비에서 스팀헤더(steam header)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서
  2. 증기의 압력을 보충하기 위해서
  3. 각 계통으로 분류 송기하기 위해서
  4. 관의 신축조절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정답률: 46%)
  • 증기난방 설비에서 스팀헤더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각 계통으로 분류 송기하기 위해서입니다. 스팀헤더는 여러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하나의 헤더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각 계통으로 스팀을 분류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설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방열기 입구의 온수 온도가 85이고 출구 온도가 80일 때 온수의 순환량은? (단, 방열기의 방열량은 5000W, 물의 비열은 4.2kJ/kg·K 이다.)

  1. 857.1kg/h
  2. 914.2kg/h
  3. 957.4kg/h
  4. 998.5kg/h
(정답률: 30%)
  • 방열기의 방열량은 5000W 이므로, 1시간 동안 방열기가 방출하는 열의 양은 5000J/s × 3600s = 18,000,000J 이다.

    물의 비열은 4.2kJ/kg·K 이므로, 1kg의 물을 1℃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의 양은 4.2kJ 이다.

    따라서, 방열기가 방출하는 열의 양을 물의 열 용량으로 나누면, 방출된 열로 인해 물의 온도가 얼마나 상승하는지를 구할 수 있다.

    18,000,000J ÷ (4.2kJ/kg·K × 5℃) = 857.1kg/h

    즉, 방열기가 방출하는 열로 인해 1시간 동안 순환하는 물의 양은 857.1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간접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한 음영이 없고 부드럽다.
  2. 실내 반사율의 영향이 크다.
  3. 경제성보다 분위기를 중요시하는 장소에 적합하다.
  4. 조도가 균일하지 않지만 국부적으로 높은 조도를 얻기 쉽다.
(정답률: 64%)
  • 조도가 균일하지 않지만 국부적으로 높은 조도를 얻기 쉽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간접조명은 조명기구에서 직접 빛을 발하지 않고 벽면, 천장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도가 균일하지 않고 국부적으로 높은 조도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수구는 구경 65mm의 쌍구형 또는 단구형으로 한다.
  2. 송수구는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한다.
  3.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량은 1분당 50L 이상이 되도록 한다.
  4. 건축물의 각 층에 옥내소화전이 2개씩 설치될 경우 저수량은 최소 5.2m3 이상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65%)
  • 건축물의 각 층에 옥내소화전이 2개씩 설치될 경우 저수량은 최소 5.2m3 이상이 되도록 한다.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각 층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의 저수량은 해당 층의 면적과 화재 위험도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저수량은 고정된 값이 아니며, 최소한의 기준치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량은 1분당 50L 이상이 되도록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 빠른 소화를 위해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위해 노즐선단에서의 방수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통기관을 설치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격작용의 방지
  2. 배수관 내의 흐름 원활
  3. 배수관 내의 환기와 청결 유지
  4. 사이펀 작용 및 배압으로부터 트랩 내 봉수 보호
(정답률: 49%)
  • 통기관은 배수관 내의 공기를 움직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격작용이 발생하여 배수관 내의 물이 통기관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수격작용의 방지가 가장 거리가 먼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피뢰시스템의 수뢰부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돌침
  2. 인사도선
  3. 메시도체
  4. 수평도체
(정답률: 53%)
  • 피뢰시스템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입니다. 이 중 수뢰부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사도선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수뢰부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난방방식 중 예열시간이 짧아 간헐적으로 이용되는 실에 가장 적합한 난방방식은?

  1. 온수난방
  2. 증기난방
  3. 복사난방
  4. 고온수난방
(정답률: 70%)
  • 간헐적으로 이용되는 실에는 예열시간이 짧은 증기난방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증기를 이용하여 빠르게 난방이 가능하며, 예열시간이 짧아서 간헐적으로 이용되는 실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증기난방은 공기 중의 습기를 유지시켜 건강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펌프의 전양정이 100m, 양수량이 12m3/h 일 때, 펌프의 축동력은? (단, 펌프의 효율은 60% 이다.)

  1. 약 3.5kW
  2. 약 4.0kW
  3. 약 4.5kW
  4. 약 5.5kW
(정답률: 40%)
  • 펌프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축동력 = (양수량 × 전양정 × 중력) ÷ (효율 × 3600)

    여기서 중력은 9.81m/s2 이다.

    따라서, 축동력 = (12 × 100 × 9.81) ÷ (0.6 × 3600) = 약 5.5kW

    따라서, 정답은 "약 5.5k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최고층에 설치된 플러시 밸브의 최소필요압력이 70kPa인 경우, 밸브로부터 고가수조의 최저수면까지의 연직거리는 최소 얼마 이상 확보하야여 하는가? (단, 고가수조로부터 기구까지 발생되는 마찰손실수두는 1m로 한다.)

  1. 5m
  2. 6m
  3. 7m
  4. 8m
(정답률: 48%)
  • 플러시 밸브의 최소필요압력이 70kPa이므로, 이 압력으로 고가수조의 최저수면까지 물을 올리기 위해서는 최소한 70kPa의 압력이 필요하다.

    또한, 밸브로부터 고가수조까지의 연직거리는 마찰손실수두 1m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최저수면까지의 연직거리는 70kPa의 압력으로 1m의 마찰손실수두를 극복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압력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연직거리 + 마찰손실수두) × 물의 밀도 × 중력가속도 = 추가적으로 필요한 압력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연직거리 + 1) × 1000kg/m³ × 9.81m/s² = (70kPa - 101.3kPa) × 1000Pa/kPa

    연직거리를 구하기 위해 위 식을 정리하면,

    연직거리 = (70kPa - 101.3kPa) × 1000Pa/kPa ÷ (1000kg/m³ × 9.81m/s²) - 1

    연직거리를 계산하면, 약 8m가 된다. 따라서, 최저수면까지의 연직거리는 최소 8m 이상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0의 물 100L를 5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물의 비열은 4.2kJ/kg·K 이다.)

  1. 4000kJ
  2. 8400kJ
  3. 16800kJ
  4. 20800kJ
(정답률: 62%)
  • 물의 비열은 4.2kJ/kg·K 이므로, 1kg의 물을 1℃ 가열하는데 4.2kJ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10kg의 물을 1℃ 가열하는데는 10 × 4.2kJ = 42kJ의 열량이 필요하다.

    100L의 물은 100kg이므로, 1℃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100 × 42kJ = 4200kJ이다.

    물을 50℃까지 가열하려면, 초기 온도인 10℃에서 40℃까지 40℃의 열량이 필요하고, 40℃에서 50℃까지 10℃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요한 총 열량은 4200kJ × 40℃ + 4200kJ × 10℃ = 168000kJ = 16800kJ이다.

    따라서 정답은 "16800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인터폰설비의 통화망 구성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모자식
  2. 연결식
  3. 상호식
  4. 복합식
(정답률: 57%)
  • 인터폰설비의 통화망 구성 방식 중 "연결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자식", "상호식", "복합식"은 모두 인터폰설비의 통화망 구성 방식 중 하나이지만, "연결식"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빙축열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온용 냉동기가 필요하다.
  2. 얼음을 축열 매체로 사용하여 냉열을 얻는다.
  3. 주간의 피크부하에 해당하는 전력을 사용한다.
  4. 응고 및 융해열을 이용하므로 저장열량이 크다.
(정답률: 63%)
  • 주간의 피크부하에 해당하는 전력을 사용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빙축열 시스템은 주로 야간에 전력을 사용하여 얼음을 축적하고, 주간에는 축적된 얼음을 이용하여 냉방을 한다. 이는 야간 전력 사용량을 증가시켜 전력 수요 분산을 도모하고, 주간의 전력 수요를 줄여 에너지 절약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크기가 가로 10m, 세로 7m, 높이 3m인 교실에서 환기를 시간당 2회로 행할 때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은?

  1. 2.0kW
  2. 2.5kW
  3. 3.0kW
  4. 3.5kW
(정답률: 28%)
  •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 = 공기의 엔탈피 차이 × 공기의 체적 × 환기 횟수 × 시간

    여기서 공기의 엔탈피 차이는 실내와 외부의 공기 온도 차이에 따라 달라지며, 공기의 체적은 실내의 공기 양입니다. 환기 횟수와 시간은 문제에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엔탈피 차이와 공기의 체적을 구해야 합니다. 공기의 엔탈피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기의 엔탈피 차이 = 실내 공기의 엔탈피 - 외부 공기의 엔탈피

    여기서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외부 공기의 엔탈피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실내 공기의 엔탈피 = 실내 공기의 온도에 해당하는 엔탈피
    외부 공기의 엔탈피 = 외부 공기의 온도에 해당하는 엔탈피

    공기의 체적은 실내의 공기 양으로, 가로 10m, 세로 7m, 높이 3m인 교실의 공기 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기 체적 = 가로 × 세로 × 높이 = 10m × 7m × 3m = 210m³

    따라서,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 = (실내 공기의 엔탈피 - 외부 공기의 엔탈피) × 공기 체적 × 환기 횟수 × 시간

    환기 횟수는 시간당 2회이므로, 시간은 1시간(60분)으로 가정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 = (실내 공기의 엔탈피 - 외부 공기의 엔탈피) × 공기 체적 × 2 × 1시간

    실내 공기의 온도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교실의 실내 온도는 20℃ ~ 25℃ 정도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엔탈피는 약 50kJ/kg 정도입니다. 외부 공기의 온도는 10℃로 주어졌으므로, 외부 공기의 엔탈피는 약 35kJ/kg 정도입니다.

    따라서,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환기로 인한 손실 현열량 = (50kJ/kg - 35kJ/kg) × 210m³ × 2 × 1시간
    = 31500kJ/h
    = 8.75kWh/h
    ≈ 3.5kW

    따라서, 정답은 "3.5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어떤 방의 전열에 의한 손실열량이 3000W,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이 1500W일 때, 이 방에 설치하는 온수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은? (단, 표준상태이며, 표준방열량은 523W/m2 이다.)

  1. 4.3m2
  2. 5.2m2
  3. 8.6m2
  4. 10.4m2
(정답률: 53%)
  • 전열에 의한 손실열량과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의 합은 4500W이다. 이 방에 설치하는 온수 방열기는 이 손실열량을 보충해주어야 하므로, 상당방열면적은 4500W를 523W/m2로 나눈 값이다.

    4500W ÷ 523W/m2 ≈ 8.6m2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8.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그림에서 트랩의 봉수 깊이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률: 65%)
  • 정답은 "(ㄴ)"입니다. 이유는 봉수가 수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도이기 때문에, 봉수의 길이와 수심이 같다는 원리에 따라 봉수의 길이와 수심이 모두 10m인 경우가 가장 올바른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공기조화방식 중 전공기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일덕트방식
  2. 2중덕트방식
  3. 팬코일유닛방식
  4. 멀티존유닛방식
(정답률: 74%)
  • 팬코일유닛방식은 전공기가 아닌 분기기방식에 속합니다. 이 방식은 냉난방기와 팬코일을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공기청정기능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반적으로 지름이 큰 대형관에서 배관 조립이나 관의 교체를 손쉽게 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이음방식은?

  1. 신축 이음
  2. 용접 이음
  3. 나사 이음
  4. 플랜지 이음
(정답률: 71%)
  • 플랜지 이음은 플랜지라는 원형의 판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플랜지 간에 볼트를 이용하여 조임하면서 밀착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강력한 밀착력과 높은 내압성을 가지고 있어 대형관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앵글 밸브(angle valv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량조절이 가능하다.
  2. 옥내소화전의 개폐밸브로 이용된다.
  3. 게이트 밸브(gate valve)의 일종이다.
  4. 유체의 흐름을 직각으로 바꿀 때 사용된다.
(정답률: 54%)
  • 앵글 밸브는 게이트 밸브와는 다른 종류의 밸브이다. 따라서 "게이트 밸브(gate valve)의 일종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급수배관에 공기실을 설치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통기를 위하여
  2.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3. 배관구배를 유지하기 위하여
  4. 배관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답률: 63%)
  • 급수배관에서 물이 흐를 때 공기가 함께 흐르면서 수격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배관에 손상을 일으키거나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실을 설치하여 공기를 배관에서 제거함으로써 수격작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형광램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등장치를 필요로 한다.
  2. 백열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다.
  3. 옥내외 전반조명, 국부조명에 사용된다.
  4. 빛의 어른거림이 없으며 열발산이 백열전구보다 많다.
(정답률: 65%)
  • 형광램프는 빛을 내기 위해 가스 방전을 이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빛의 어른거림이 없다. 그리고 백열전구보다는 열발산이 적지만, LED 조명에 비해서는 열발산이 많다. 따라서 "빛의 어른거림이 없으며 열발산이 백열전구보다 많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관계법규

81.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경우, 다음 중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가 가장 적은 건축물의 용도는? (단, 8인승 승용승강기의 경우)

  1. 의료시설
  2. 숙박시설
  3. 위락시설
  4. 교육연구시설
(정답률: 56%)
  • 교육연구시설은 일반적으로 거주자보다 적은 인원이 사용하므로 승강기의 대수가 적어도 됩니다. 따라서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경우에도 최소한의 승용승강기를 설치하여도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을 같은 초고증 건축물에 설치하는 경우, 공동주택의 출입구와 위락시설의 출입구는 서로 그 보행거리가 최소 얼마 이상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0m
  2. 20m
  3. 30m
  4. 40m
(정답률: 70%)
  •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서로 다른 용도의 건축물이므로 출입구 사이의 보행거리는 최소 30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 출입구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두 시설의 이용객이 서로 방해를 주거나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고증 건축물에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에는 출입구 사이의 보행거리를 최소 30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축법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1. 리모델링
  2. 실내건축
  3. 실내장식
  4. 실내디자인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은 건물 내부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를 실내건축이라고 한다. 리모델링은 기존 건물을 개조하는 것이며, 실내장식과 실내디자인은 실내건축의 일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건축법상 건축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건축물의 이전에 관한 공사를 발주하는 자
  2. 공작물의 축조에 관한 공사를 현장 관리인을 두어 스스로 하는 자
  3. 건축설비의 설치에 관한 공사를 현장 관리인을 두어 스스로 하는 자
  4. 자기의 책임으로 건축물이 설계도서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를 확인하는 자
(정답률: 65%)
  • "자기의 책임으로 건축물이 설계도서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를 확인하는 자"는 건축주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시공과 관련된 책임을 지는 자로, 건축주는 건축물을 발주하고 대금을 지불하는 주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중주택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속하는 것은?

  1. 19세대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2.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하일 것
  3. 1개 등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m2 이하일 것
  4.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정답률: 49%)
  • 다중주택은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으로, 학생이나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다중주택의 기본적인 목적인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중주택은 또한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하이며, 1개 등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m2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건축법에서 정한 요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높이 기준은?

  1. 15m 이상
  2. 20m 이상
  3. 31m 이상
  4. 41m 이상
(정답률: 74%)
  • 피뢰설비는 번개로 인한 화재나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시설로, 건축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번개로 인한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높이 기준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20m 이상의 건축물에는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허가권자가 가로구역을 단위로 하여 건축물의 최고 높이를 지정·공고 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시미관 및 경관계획
  2. 해당 가로구역이 접하는 도로의 너비
  3. 해당 가로구역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의 통행량
  4. 해당 가로구역의 상·하수도 등 간선시설의 수용능력
(정답률: 63%)
  • 건축물의 최고 높이를 지정·공고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도시미관 및 경관계획, 해당 가로구역이 접하는 도로의 너비, 해당 가로구역의 상·하수도 등 간선시설의 수용능력입니다. 이 중에서 "해당 가로구역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의 통행량"은 건축물의 최고 높이를 지정·공고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차량의 통행량은 건축물의 최고 높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막다른 도로의 길이가 32m인 경우, 건축법령상 도로이기 위한 최소한의 도로의 너비는 얼마인가?

  1. 2m
  2. 3m
  3. 4m
  4. 6m
(정답률: 52%)
  • 건축법령상 도로의 최소 너비는 도로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막다른 도로의 경우, 길이가 32m 이하인 경우에는 최소 3m의 도로 너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m"이다. 이는 보행자와 차량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2.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3.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4.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정답률: 41%)
  •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은 옳은 기준 내용이므로 정답이 없다.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설치하는 이유는 비상시에도 계단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정전 등으로 전기가 차단되어 계단실이 어두워진 경우에도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가 작동하여 계단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동선도
  2. 건축계획서
  3. 실내마감도
  4. 토지굴착 및 옹벽도
(정답률: 50%)
  •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 중에서 "동선도"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건축물의 구조와 크기, 사용목적 등을 나타내는 건축계획서,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을 보여주는 실내마감도, 그리고 건축물의 위치와 지형 등을 나타내는 토지굴착 및 옹벽도와는 달리, 건축물 내부의 동선을 보여주는 것으로,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건축법령상 리모델링이 쉬운 구조에 관한 기준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공동주택의 경우)

  1. 구조체에서 건축설비, 내부 마감재료 및 외부 마감재료를 분리할 수 있을 것
  2. 내력벽을 증설 또는 해제하거나 그 벽면적을 30m2 이상 변경할 수 있을 것
  3. 개별 세대 안에서 구획된 실의 크기, 개수 또는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을 것
  4. 각 세대는 인접한 세대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통합하거나 분할할 수 있을 것
(정답률: 49%)
  • "내력벽을 증설 또는 해제하거나 그 벽면적을 30m2 이상 변경할 수 있을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공동주택의 경우 내력벽은 구조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법령상 내력벽의 증설, 해제, 또는 벽면적 변경 등의 작업은 건축법령상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력벽의 변경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건축법령상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는 매우 어려운 절차이다.

    그 외의 보기들은 건축법령상 리모델링이 쉬운 구조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내용들이다. 구조체에서 건축설비, 내부 마감재료 및 외부 마감재료를 분리할 수 있으며, 개별 세대 안에서 구획된 실의 크기, 개수 또는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각 세대는 인접한 세대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통합하거나 분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설치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1. 골프장 : 1홀당 10대
  2. 판매시설 : 시설면적 100m2당 1대
  3.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관람장 : 정원 100명당 1대
  4.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 시설면적 150m2당 1대
(정답률: 64%)
  • 정답: "판매시설 : 시설면적 100m2당 1대"가 옳지 않음

    이유: 판매시설의 경우, 시설면적이 작을수록 차량 이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설면적 100m2당 1대보다 더 적은 비율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이 기준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단,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이며, 층수가 10층인 건축물의 경우)

  1. 종교시설
  2. 판매시설
  3.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4. 숙박시설 중 일반숙박시설
(정답률: 56%)
  • 다중이용 건축물은 여러 용도의 시설이 하나의 건물에 함께 위치한 건축물을 말한다. 따라서,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이며, 층수가 10층인 건축물의 경우 종교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숙박시설 중 일반숙박시설 모두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할 수 있다. 그러나 숙박시설 중 일반숙박시설은 다른 시설과 달리 숙박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므로,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건축물의 층수 산정 방법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2m
  2. 3m
  3. 4m
  4. 5m
(정답률: 75%)
  • 건축물의 층수는 층고가 ( ) 이상일 때 1층으로 계산한다. 주어진 그림에서는 층고가 4m 이상이므로 1층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답은 "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기계식 주차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평식
  2. 지하식
  3. 건축물식
  4. 공작물식
(정답률: 72%)
  • 지평식 주차장은 차량을 수평으로 주차시키는 방식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차량을 수직으로 주차시키는 기계식 주차장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평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택지개발사업 등 단지조성사업 등으로 설치되는 노외주차장에는 경형자동차를 위한 전용주차구획을 노외주차장 총주차대수의 얼마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2022년 02월 14일 확인된 규정으로 정답 변경되었습니다. 참고하세요.)

  1. 3%
  2. 5%
  3. 10%
  4. 15%
(정답률: 41%)
  • 노외주차장 총주차대수의 10% 이상을 경형자동차 전용주차구획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경형자동차가 일반적인 크기의 자동차보다 작아서 주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형자동차 운전자들의 주차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작물을 축조할 때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를 하여야 하는 대상 공작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단, 건축물과 분리하여 축조하는 경우)

  1. 높이가 3m인 담장
  2. 높이가 5m인 굴뚝
  3. 높이가 5m인 광고탑
  4. 바닥면적인 40m2인 지하대피호
(정답률: 63%)
  • 공작물 신고 대상에는 높이가 5m 이상인 건축물, 높이가 5m 이상인 광고물, 바닥면적이 20m2 이상인 광고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높이가 5m인 굴뚝은 공작물 신고 대상에 속하게 됩니다. 반면, 높이가 3m인 담장과 바닥면적이 40m2인 지하대피호는 공작물 신고 대상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주차전용건축물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속하지 않는 건축물의 용도는?

  1. 단독주택
  2. 종교시설
  3. 교육연구시설
  4. 문화 및 집회시설
(정답률: 5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축물은 주차전용건축물로, 차량 주차를 목적으로 건축된 건물이다. 따라서 "단독주택", "종교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은 주차를 위한 건축물이 아니므로 ( )안에 속하지 않는다. 반면에 "교육연구시설"은 대학교, 연구소 등에서 학생 및 연구원들의 차량 주차를 위해 건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안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거지역의 건폐율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퍼센트 이하
  2. 40퍼센트 이하
  3. 70퍼센트 이하
  4. 90퍼센트 이하
(정답률: 70%)
  • 주거지역의 건폐율 기준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법률에서는 주거지역의 건폐율이 70퍼센트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건물이 차지하는 부지의 비율이 70퍼센트를 넘어가면, 공기와 녹지 등의 자연환경이 충분히 보존되지 못하고, 도시의 생활환경이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거지역의 건폐율은 70퍼센트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제2종 일반주거지역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공동주택 중 아파트
  2. 교육연구시설 중 대학교
  3. 자동차관련시설 중 주차장
  4. 제1종 근린생활시설로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미만인 것
(정답률: 51%)
  • 제2종 일반주거지역은 일반적으로 주거지역으로 사용되는 지역으로, 주로 아파트, 단독주택 등의 건축물이 건축 가능합니다. 그러나 교육연구시설 중 대학교는 주거지역과는 다른 용도의 건축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건축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