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건축산업기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주택에서 주부의 가사노동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부의 동선을단축시킬 것
  2. 가급적 넓은 주거공간으로 계획할 것
  3. 설비를 좋게 하고 되도록 기계화 할 것
  4. 능률적인 부엌시설과 가사실을 갖출 것
(정답률: 92%)
  • "가급적 넓은 주거공간으로 계획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은 주부의 가사노동을 경감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넓은 주거공간은 주부가 청소, 정리 등의 가사노동을 더 많이 해야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집니다. 따라서, 주부의 가사노동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주거공간을 적절하게 계획하고, 기능적이며 효율적인 부엌시설과 가사실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숑바르 드 로브의 주거면적기준 중 표준기준은?

  1. 8m2/인
  2. 10m2/인
  3. 14m2/인
  4. 16m2/인
(정답률: 79%)
  • 숑바르 드 로브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과 도시계획을 연구하는 국제기구인 유네스코(UNESCO)가 제정한 "인간이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가이드라인인 "도시문화 유산"에 따라 건축되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에서는 주거공간의 최소 면적을 16m2/인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숑바르 드 로브의 주거면적 기준 중 표준기준은 16m2/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상점의 쇼 윈도우 유리면의 반사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곡면유리를 사용한다.
  2. 유리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3. 차양을 설치하여 외부에 그늘을 준다.
  4. 쇼 윈도우 내부의 조도를 고객이 있는 외부보다 어둡게 한다.
(정답률: 92%)
  • "쇼 윈도우 내부의 조도를 고객이 있는 외부보다 어둡게 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이다. 왜냐하면 쇼 윈도우 내부가 어두워지면 제품이나 상품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 고객의 관심을 끌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쇼 윈도우 내부의 조명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반사를 줄이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무소 건축계획에서 층고를 낮게 잡는 이유와 관계 없는 것은?

  1. 건축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2. 체적을 줄여 에너지 절약을 하기 위하여
  3. 엘리베이터의 왕복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4. 높이 제한 내에서 많은 층수를 얻기 위하여
(정답률: 84%)
  • 사무소 건축계획에서 층고를 낮게 잡는 이유는 엘리베이터의 왕복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입니다. 층수가 많아질수록 엘리베이터 이용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층고를 낮게 잡아 엘리베이터 이용 시간을 최소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선택합니다. 건축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해 층고를 낮게 잡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엘리베이터 이용 시간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다른 이유입니다. 또한, 체적을 줄여 에너지 절약을 하기 위해 층고를 낮게 잡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역시 엘리베이터 이용 시간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다른 이유입니다. 높이 제한 내에서 많은 층수를 얻기 위해 층고를 낮게 잡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엘리베이터 이용 시간과는 간접적인 관련이 있는 다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상점 내부의 기본조명에 필요한 조명 기구수의 산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면적
  2. 평균조도
  3. 램프광속
  4. 쇼케이스 수
(정답률: 77%)
  • 상점 내부의 기본조명에 필요한 조명 기구수는 실면적과 평균조도, 램프광속 등을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하지만 쇼케이스는 전시용으로 사용되는 특수한 공간이므로 기본조명이 아닌 별도의 조명 계획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쇼케이스 수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무소 건축의 코어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어 내의 공간의 위치를 명확히 한다.
  2. 코어 내 각 공간이 각 층마다 공통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3. 코어 내의 공간과 임대사무실 사이의 동선을 간단하게 한다.
  4. 엘리베이터는 효율적 이용을 위해 2개소 이상으로 분산 배치한다.
(정답률: 90%)
  • 엘리베이터를 2개소 이상으로 분산 배치하는 것은 옳은 고려사항입니다. 이유는 한 곳에 모든 엘리베이터를 집중 배치하면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이용객들의 이동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분산 배치하여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이용객들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장 건축의 레이아웃(lay ou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정식 레이아웃은 제품의 대량생산에 적합한 방식이다.
  2. 레이아웃은 장래 공장 규모의 변화에 대응한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
  3. 기능이 유사한 기계를 집합시키는 방식은 표준화가 어려운 공장에 채용한다.
  4. 제품의 흐름에 따라 기계를 배치하는 방식을 연속작업식 레이아웃이라 한다.
(정답률: 69%)
  • "레이아웃은 장래 공장 규모의 변화에 대응한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레이아웃은 공장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고정식 레이아웃은 대량생산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레이아웃은 공장 규모의 변화에 대응할 필요는 있지만, 융통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음악실이 주당 28시간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에서 1주 간의 평균 수업시간은? (단, 음악실의 이용률은 80%임)

  1. 22시간
  2. 23시간
  3. 34시간
  4. 35시간
(정답률: 70%)
  • 음악실의 이용률이 80%이므로, 주당 음악실 사용시간은 28 x 0.8 = 22.4시간이다. 따라서, 주당 수업시간은 28 - 22.4 = 5.6시간이다. 1주일은 7일이므로, 1주간의 평균 수업시간은 5.6 x 7 = 39.2시간이다. 이를 반올림하면 35시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5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 중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음이 들리고 독립성이 떨어진다.
  2. 고정된 칸막이벽 공사가 요구된다.
  3. 개실시스템에 비해 공사비가 고가이다.
  4. 일반적으로 자연채광만으로 조명을 처리한다.
(정답률: 82%)
  • 사무소 건축에서 개방식 배치는 벽으로 구분되지 않은 개방된 공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소음이 다른 공간에서 들리고 독립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칸막이벽 공사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개방식 배치는 일반적으로 자연채광만으로 조명을 처리하기 때문에, 조명 설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개실시스템에 비해 공사비가 고가일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건축계획단계에서 그리드 플래닝(Grid planning)의 적용이 가장 효과적인 건축물은?

  1. 교회
  2. 사무소
  3. 미술관
  4. 단독주택
(정답률: 72%)
  • 사무소가 그리드 플래닝의 적용이 가장 효과적인 건축물이다. 그리드 플래닝은 직사각형 모양의 그리드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구조와 배치를 계획하는 방법으로, 사무소와 같이 규칙적인 구조와 공간 분할이 필요한 건축물에 적합하다. 또한 사무소는 작업 공간과 회의실, 대기실 등 다양한 공간이 필요한데, 그리드 플래닝을 이용하면 각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파트의 평면 형식 중 중복도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지 이용률이 높다.
  2. 복도의 면적이 최소화된다.
  3. 자연 채광과 통풍이 우수하다.
  4. 각 세대의 프라이버시가 매우 좋다.
(정답률: 72%)
  • 정답은 "복도의 면적이 최소화된다."입니다. 중복도형은 여러 세대가 한 층에 위치하면서 중앙에 공용복도를 두는 형태로, 복도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대지 이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에 공용복도를 두기 때문에 각 세대의 프라이버시가 좋고, 자연 채광과 통풍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장건축의 형식 중 분관식(Pavillion typ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풍, 채광에 불리하다.
  2. 배수, 물홈통 설치가 용이하다.
  3. 공장의 신설, 확장이 비교적 용이하다.
  4. 건물마다 건축 형식, 구조를 각기 다르게 할 수 있다.
(정답률: 79%)
  • "통풍, 채광에 불리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분관식은 건물을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각각의 단위를 연결한 형태로, 각 단위마다 창문이나 출입문이 있어서 통풍과 채광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통풍, 채광에 불리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상점의 정면(facade)구성에 요구되는 AIDMA법칙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예술(Art)
  2. 욕구(Desire)
  3. 흥미(Interest)
  4. 기억(Memory)
(정답률: 86%)
  • AIDMA법칙은 광고 및 마케팅에서 고객 유치를 위한 전략 중 하나로, Attention(주목), Interest(흥미), Desire(욕구), Memory(기억), Action(행동)의 단계로 구성된다. 이 중 "예술(Art)"는 AIDMA법칙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다. 예술은 상점의 정면 구성에 있어서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고객 유치를 위한 전략적인 요소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학교 운영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합교실형은 초등학교 고학년에 가장 적합한 형식이다.
  2. 플라톤형은 각 학급을 2분단으로 나누어 운영하는 방식이다.
  3. 교과교실형은 모든 교실이 틍정교과 때문에 만들어지며 일반교실은 없다.
  4. 달톤형은 학급과 학생의 구분을 없애고, 학생 들의 능력에 맞게 교과를 선택하여 운영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82%)
  • "종합교실형은 초등학교 고학년에 가장 적합한 형식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종합교실형은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초등학교 전 학년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엘리베이터 계획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1. 수송시간
  2. 주행시간
  3. 승차시간
  4. 일주시간
(정답률: 78%)
  • 일주시간은 엘리베이터가 한 번 주기적으로 모든 층을 방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출발하여 모든 층을 방문하고 다시 1층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상점의 점두(店頭)형식 중 만입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혼잡한 도로에서 유리하다.
  2. 점내에 자연채광이 용이하다.
  3. 숍 프론트의 진열부 면적이 크다.
  4. 고객이 점두에 머무르기가 용이하다.
(정답률: 61%)
  • "혼잡한 도로에서 유리하다."는 만입형 상점의 위치 선택과 관련된 설명이므로 옳지 않다.

    "점내에 자연채광이 용이하다."는 만입형 상점의 장점 중 하나로, 자연채광이 충분하면 고객이 더욱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고 제품 진열도 더욱 빛나게 보인다는 이유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동주택의 남북 간 인동간격 결정 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태양고도
  2. 일조시간
  3. 대지의 지형
  4. 건물의 동서길이
(정답률: 85%)
  • 공동주택의 남북 간 인동간격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태양고도, 일조시간, 대지의 지형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건물의 동서길이입니다. 건물의 동서길이가 길면 그만큼 그림자가 길어지기 때문에 인동간격을 더 넓게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건물의 동서길이는 인동간격 결정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부엌의 작업대 중 작업삼각형(working triangle)의 꼭지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싱크
  2. 레인지
  3. 냉장고
  4. 배선대
(정답률: 83%)
  • 작업삼각형(working triangle)은 부엌에서 요리를 할 때 자주 사용하는 세 가지 장비인 싱크, 레인지, 냉장고를 이루는 삼각형 모양의 구조를 말합니다. 이 삼각형 안에서 요리를 하면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배선대는 요리를 할 때 필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삼각형의 꼭지점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배선대는 작업삼각형의 일부가 아니며, 작업삼각형의 효율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택의 평면계획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성 본위가 유사한 것은 서로 격리시킨다.
  2. 시간적 요소가 같은 것은 서로 접근시킨다.
  3. 상호간 요소가 서로 다른 것은 서로 격리시킨다.
  4. 공간에서의 행위가 유사한 것은 서로 접근시킨다.
(정답률: 83%)
  • "구성 본위가 유사한 것은 서로 격리시킨다."는 옳은 사항이 아니며, 오히려 구성 본위가 유사한 공간을 서로 접근시켜야 한다. 구성 본위란, 주택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공간들의 관계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부엌과 식당은 구성 본위가 유사하므로 서로 접근시켜야 한다. 이는 주택 내부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동주택의 단면형식 중 메조넷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주성, 특히 프라이버시가 높다.
  2. 통로면적은 물론 유효면적도 감소한다.
  3. 복도가 없는 층이 있어 평면계획이 유동적이다.
  4. 엘리베이터의 정지 층수가 적어 운영면에서 경제적이다.
(정답률: 76%)
  • "통로면적은 물론 유효면적도 감소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메조넷형은 중앙에 공간을 비워두고 주변에 주거공간을 배치하는 형태로, 이로 인해 통로면적은 감소하지만 유효면적은 증가한다. 이는 중앙공간을 활용하여 주변공간의 이용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지반조사의 토질시험과 관계가 없는 시험 항목은?

  1. 체가름시험
  2. 들밀도 시험
  3. 투수시험
  4. 소성한계시험
(정답률: 59%)
  • 체가름시험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지반조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들밀도 시험은 토양의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 투수시험은 토양의 수분흡수능력을 측정하는 시험, 소성한계시험은 토양의 열적 안정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체가름시험은 지반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험 중 하나이며, 다른 시험 항목들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프리팩트 콘크리트시공에서 주입관 배치와 압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입관의 간격은 굵은 골재의 치수, 주입 모르타르의 배합, 유동성 및 주입속도에 따라 정한다.
  2. 연직주입관의 수평 간격은 2m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3. 수평주입관의 수평 간격은 4m 정도, 연직 간격은 2m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4. 주입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한다.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건설기계 중 철골세우기 작업 시 철골부재 양중에 적합한 것은?

  1. 타워크레인(tower crane)
  2. 와이어 클립퍼(wire cliper)
  3. 드래그 라인(drag line)
  4. 콘베이어(conveyer)
(정답률: 84%)
  • 철골세우기 작업 시에는 높은 위치에 있는 철골부재를 안전하게 들어올리고 올바른 위치에 놓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큰 하중을 견디며 높은 곳까지 도달할 수 있는 건설기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타워크레인은 높은 높이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큰 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철골부재 양중에 적합한 건설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멘트 벽돌공사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돌은 품질, 등급별로 정리하여 사용하는 순서별로 쌓아둔다.
  2. 수직하중을 벽면 전체로 분산시키기 위해 통줄눈으로 쌓는다.
  3. 모르타르는 정확한 배합으로 시멘트와 모래만을 잘 섞고, 사용 시 물을 부어 반죽하여 쓴다.
  4. 벽돌쌓기 시 잔토막 또는 부스러기 벽돌을 쓰지 않는다.
(정답률: 72%)
  • "잔토막 또는 부스러기 벽돌을 쓰지 않는다."는 주의사항이 옳지 않습니다.

    수직하중을 벽면 전체로 분산시키기 위해 통줄눈으로 쌓는다는 것은 벽돌을 수직으로 정렬하고 벽면 전체에 통일한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벽돌이 무너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벽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건설공사 현장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는 건조시키기 위하여 개별로 세워둔다,.
  2. 현장사무소는 본 건물 규모에 따라 적절한 규모로 설치한다.
  3. 철근은 그 직경 및 길이별로 분류해둔다.
  4. 기와는 눕혀서 쌓아둔다.
(정답률: 83%)
  • 기와는 눕혀서 쌓아둔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와는 일직선으로 세워서 쌓아야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의 지하실 방수공사에서 시공의 난이, 공사비의 고저를 생각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1. 아스팔트 바깥 방수법으로 시공한다.
  2. 콘크리트에 AE제를 넣는다.
  3. 방수 모르타르를 바른다.
  4. 콘크리트에 방수제를 넣는다.
(정답률: 72%)
  • 아스팔트 바깥 방수법은 지하실 내부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지하실 벽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의 난이나 공사비의 고저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가장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이다. 또한 아스팔트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지하실 내부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바깥 방수법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설건물 중 시멘트 창고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구조는 마루널깔기가 보통이며 가능하면 그 위에 루핑을 깐다
  2. 주위에는 배수구를 설치하여 물빠짐을 좋게 한다.
  3. 통풍이 잘 되도록 가능한 한 개구부의 크기를 크게 한다.
  4. 시멘트의 높이 쌓기는 13포대를 한도로 한다.
(정답률: 86%)
  • "통풍이 잘 되도록 가능한 한 개구부의 크기를 크게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시멘트 창고 내부에서 습기와 냄새가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풍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소규모 철골공사에 많이 사용되며 자재를 양중하기에 편리한 것으로 폴 데릭(pole derrick)이라고도 불리는 것은?

  1. 가이데릭
  2. 삼각데릭
  3. 진폴
  4. 타워크레인
(정답률: 74%)
  • 진폴은 철골공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계로, 자재를 양중하기에 편리하고 소규모 작업에 적합합니다. 이는 폴 데릭(pole derrick)이라고도 불리며, 가이데릭, 삼각데릭, 타워크레인과는 다른 종류의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준점(Bench mar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준점은 공사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정한다.
  2. 기준점은 2개소 이상 설치한다.
  3. 기준점은 G.L에서 0.5~1.0m 높이에 설치한다.
  4. 기준점은 이동이 가능한 시설물에 설치한다.
(정답률: 87%)
  • 기준점은 이동이 가능한 시설물에 설치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기준점은 공사 현장에서 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고정된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며, 이동이 가능한 시설물에 설치할 경우 측정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 불가능한 곳에 설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사를 파내는 형식으로 좁은 곳의 수직굴착 등에 적합한 건설기계는?

  1. 모터그레이더(motor grader)
  2. 드래그라인(drag line)
  3. 앵글도저(angle dozer)
  4. 클램쉘(clam shell)
(정답률: 80%)
  • 클램쉘은 크레인의 일종으로, 두 개의 팔을 이용하여 토사나 돌을 파내는데 적합한 건설기계입니다. 따라서 좁은 곳의 수직굴착 등에 적합합니다. 모터그레이더는 도로 건설에 주로 사용되며, 드래그라인은 큰 광산에서 사용되는 대형 건설기계입니다. 앵글도저는 땅을 굴리거나 평평하게 만드는데 사용되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목재 이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먹장이음
  2. 연귀이음
  3. 반턱이음
  4. 빗이음
(정답률: 65%)
  • 연귀이음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이음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 이어붓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 및 벽에서는 기초 및 바닥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한다.
  2. 캔틸레버보 및 바닥판은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한다.
  3. 보나 슬래브는 전단력이 가장 작은 스팬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한다.
  4. 아치(arch)의 이음은 아치축에 직각으로 한다.
(정답률: 49%)
  • "캔틸레버보 및 바닥판은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캔틸레버보 및 바닥판은 중앙부에서 수평으로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캔틸레버보나 바닥판이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지면 전단력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앙부에서 수평으로 이어붙여야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높이 2.5m, 길이 100m의 벽을 기본벽돌 1.5B 두께로 쌓을 때 벽돌 소요량은? (단, 기본 벽돌의 규격은 190×90×57이며, 할증률을 포함)

  1. 47508매
  2. 48750매
  3. 50213매
  4. 57680매
(정답률: 47%)
  • 먼저 벽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높이 2.5m, 길이 100m 이므로 면적은 2.5m x 100m = 250m² 이다.

    다음으로 벽돌의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기본 벽돌의 크기는 190mm x 90mm x 57mm 이다. 하지만 할증률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사용되는 벽돌의 크기는 198mm x 98mm x 64mm 이다.

    이제 벽의 면적을 벽돌의 면적으로 나누어 필요한 벽돌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벽돌의 면적은 198mm x 98mm = 0.019404m² 이다. 따라서 필요한 벽돌의 개수는 250m² / 0.019404m² = 12870.6개 이다.

    하지만 벽돌은 항상 정수 개수로 사용해야 하므로, 올림하여 12871개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벽돌의 두께가 1.5B 이므로, 실제 필요한 벽돌의 개수는 1.5배가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필요한 벽돌의 개수는 12871개 x 1.5 = 19306.5개 이다.

    하지만 다시 한번 벽돌은 항상 정수 개수로 사용해야 하므로, 올림하여 19307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57680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네트워크(network)공정표에서 작업의 개시, 종료 또는 작업과 작업 간의 연결점을 나타내는 것은?

  1. Activity
  2. Dummy
  3. Event
  4. Critical path
(정답률: 70%)
  •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작업의 개시, 종료 또는 작업과 작업 간의 연결점을 나타내는 것은 "Event"입니다. 이는 작업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점이며, 이벤트 간의 관계를 통해 전체 프로젝트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벤트는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고층건축물 공사의 반복작업에서 각 작업조의 생산성을 기울기로 하는 직선으로 도시화하는 공정관리기법은?

  1. 바챠트(Bar chart)
  2. LOB(Line of Balance)
  3. 매트릭스 공정표(Matrix schedule)
  4. CPM(Critical pate method)
(정답률: 80%)
  • LOB(Line of Balance)은 고층건축물 공사와 같은 반복작업에서 각 작업조의 생산성을 기울기로 하는 직선으로 도시화하는 공정관리기법이다. 이는 각 작업조의 생산성을 최대화하고, 작업조 간의 협력을 촉진하여 공사 일정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LOB(Line of Balance)가 정답이다. 바챠트(Bar chart)는 일정 계획을 막대 그래프로 표현하는 방법이며, 매트릭스 공정표(Matrix schedule)는 작업의 선후관계와 작업자의 역할 등을 행렬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CPM(Critical Path Method)은 작업의 선후관계와 작업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일정을 계획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하(地下)방수나 아스팔트 펠트 삼투(滲透)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2. 아스팔트 컴파운드
  3. 아스팔트 프라이머
  4. 블로운 아스팔트
(정답률: 59%)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순수한 아스팔트로, 지하방수나 아스팔트 펠트 삼투용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아스팔트에 다른 물질이 혼합된 형태이거나, 아스팔트를 바탕으로 한 특정 용도의 제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포틀랜드 시멘트를 구성하는 주 원료는?

  1. 석회암과 점토
  2. 화강암과 점토
  3. 응회암과 점토
  4. 안산암과 점토
(정답률: 77%)
  • 포틀랜드 시멘트는 주로 석회암과 점토를 사용하여 제조됩니다. 이는 석회암과 점토가 고온에서 반응하여 시멘트 클링커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화강암, 응회암, 안산암 등 다른 암석도 사용할 수 있지만, 석회암과 점토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 원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타일 붙임공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착공법
  2. 떠붙임 공법
  3. 접착제 붙임 공법
  4. 앵커긴결 공법
(정답률: 75%)
  • 앵커긴결 공법은 타일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철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공법은 모두 타일을 벽면에 붙이는 방법이지만 앵커긴결 공법은 철근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공법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도료 사용시 주목적이 방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광명단 도료
  2. 징크로메이트 도료
  3. 바니시
  4. 알루미늄 도료
(정답률: 72%)
  • 바니시는 주로 목재나 가구 등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료이며, 방청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광명단 도료는 도로나 주차장 등의 바닥에 사용되는 도료로 방청 효과가 있습니다. 징크로메이트 도료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방청 효과가 있습니다. 알루미늄 도료는 알루미늄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며, 방청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건축공사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석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소석회
  2. 백시멘트
  3. 생석회
  4. 여물
(정답률: 74%)
  • 건축공사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석회는 "소석회"이다. 이는 건축재료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벽돌, 석재, 콘크리트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또한, 소석회는 농업에서도 사용되며, 토양의 산성도를 조절하거나 비료로 사용된다. 반면, 백시멘트는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시멘트의 일종이며, 생석회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석회이다. 여물은 석회와 다른 물질을 혼합하여 만든 건축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철근 콘크리트 보의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철근비(ρmin)는?

(정답률: 59%)
  • 철근 콘크리트 보의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의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철근이 콘크리트에 충분히 고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철근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철근비(ρmin)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c)와 철근의 인장강도(fs)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강도에 따라 계산된 최소철근비율을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식 중 하나이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높을수록 최소철근비율이 낮아지고, 철근의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최소철근비율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양단 내민보에서 C점의 휨모멘트 MC=0의 값을 가지려면 C점에 작용시킬 하중 P의 크기는?

  1. 3kN
  2. 4kN
  3. 6kN
  4. 8kN
(정답률: 46%)
  • 양단 내민보에서 C점의 휨모멘트 MC=0이 되기 위해서는 왼쪽과 오른쪽의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왼쪽과 오른쪽의 모멘트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왼쪽 모멘트: 2kN × 2m = 4kNm
    오른쪽 모멘트: P × 1m = Pm

    이제 왼쪽과 오른쪽의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4kNm = Pm

    여기서 P를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 = 4kNm / m = 4kN

    따라서 C점에 작용시켜야 하는 하중 P의 크기는 4k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kN"이 아닌 "3k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보의 A단에 모멘트 M = 80kNㆍm 가 작용할 때 B단에 발생하는 고정단 모멘트의 크기는?

  1. 20kNㆍm
  2. 40kNㆍm
  3. 60kNㆍm
  4. 80kNㆍm
(정답률: 53%)
  • 보의 A단에 작용하는 모멘트 M은 B단에도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B단에 발생하는 고정단 모멘트의 크기는 M과 같다. 따라서, B단에 발생하는 고정단 모멘트의 크기는 80kNㆍm이다. 따라서, 정답은 "80kNㆍm"이 아닌 "40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강재의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탄소함유량은 용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용접부에는 용접에 의한 잔류응력이 존재한다.
  3. 강재를 예열하여 용접하면 용접성이 좋아진다.
  4. 동일두께의 강재에서는 강도가 높을수록 용접성이 좋아진다.
(정답률: 62%)
  • 동일두께의 강재에서는 강도가 높을수록 용접성이 좋아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강도가 높을수록 강재의 경도가 높아져 용접성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강재의 예열은 용접 전에 강재를 미리 가열하여 내부 응력을 줄이고 용접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탄소함유량은 용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탄소함유량이 높을수록 용접성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용접부에는 용접에 의한 잔류응력이 존재하는데, 이는 용접 후 강재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응력으로, 이를 줄이기 위해 후가공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나선철근 규정에 따라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강도감소계수는 얼마인가?

  1. 0.85
  2. 0.75
  3. 0.70
  4. 0.65
(정답률: 47%)
  • 나선철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나선철근은 철근과 달리 굽힘에 대한 강도감소가 크기 때문에, 굽힘하중이 큰 기둥 등에서는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해야 한다. 나선철근 규정에 따르면, 굽힘하중이 큰 기둥에서는 강도감소계수를 0.70으로 적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0.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ㆍ온도 철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슬래브에서 휨철근이 1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경우 휨철근에 직각 방향의 온도 철근은 필요없다.
  2. 수축ㆍ온도 철근비는 콘크리트 유효 높이에 대하여 계산한다.
  3. 수축ㆍ온도 철근은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fck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되어야 한다.
  4. 수축ㆍ온도 철근으로 배치되는 이형 철근의 철근비는 어느 경우에도 0.0014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47%)
  • 수축ㆍ온도 철근은 콘크리트의 수축과 온도변화로 인한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치되며, 이는 콘크리트의 변형을 제한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수축ㆍ온도 철근비는 콘크리트의 유효 높이에 대하여 계산되며, 이 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형 철근의 철근비는 어느 경우에도 0.0014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처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휨부재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위한 추가 장기처짐 산정 시 5년 이상의 지속하중에 대한 시간경과계수는 2.0이다.
  2.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는 비구조요소를 지지한 지붕이나 바닥구조의 처짐한계는 l/240이다.
  3. 내부의 보가 없는 2방향 슬래브 중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이고 지판이 없는 경우 내부슬래브의 최소두께는 ln/33이다.
  4.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양단연속된 리브가 있는 1방향 슬래브의 최소두께는 l/24이다.
(정답률: 51%)
  •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양단연속된 리브가 있는 1방향 슬래브의 최소두께는 l/24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는 양단연속된 리브가 있는 1방향 슬래브의 최소두께는 l/20 이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양단연속된 리브가 있는 1방향 슬래브는 리브의 효과로 인해 처짐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형철근비(ρb)는 얼마인가?(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30MPa, 철근의 항복강도는 450Mpa, 철근의 탄성계수는 2.0×105MPa이며 인장철근의 단면적은 2,000mm2이다.)

  1. 0.027
  2. 0.037
  3. 0.047
  4. 0.057
(정답률: 46%)
  • 균형상태에서 콘크리트와 철근의 응력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응력과 철근의 인장응력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균형철근비를 구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은 다음과 같다.

    σc = fc/n

    여기서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n은 콘크리트의 안전계수이다. 따라서,

    σc = 30/1.5 = 20MPa

    철근의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다.

    σs = Ms / (0.9 * As * d)

    여기서 Ms는 굽힘모멘트, As는 인장철근의 단면적, d는 인장근전도선의 깊이이다. 굽힘모멘트는 중앙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Mmax와 Mmin 중 큰 값인 Mmax로 계산한다.

    Mmax = (1/8) * w * L2 = (1/8) * 20 * 3.62 = 81.0kN·m

    여기서 w는 단위길이당 중량, L은 보의 길이이다. 인장근전도선의 깊이는 다음과 같다.

    d = h - a/2 - ϕ/2 = 400 - 50 - 16 = 334mm

    여기서 h는 보의 높이, a는 콘크리트의 덮개두께, ϕ는 인장철근의 직경이다. 따라서,

    σs = 81.0 * 106 / (0.9 * 2,000 * 334) = 162.2MPa

    이제 균형상태에서 콘크리트와 철근의 응력이 같으므로,

    ρb = As * σs / (fc * b)

    여기서 b는 보의 너비이다. 따라서,

    ρb = 2,000 * 162.2 / (30 * 400) = 0.027

    따라서 정답은 "0.0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v 부재의 부재력은?

  1. 5kN
  2. 10kN
  3. 15kN
  4. 20kN
(정답률: 49%)
  • 트러스 구조에서 부재력은 해당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과 부재의 형상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v 부재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10kN의 하중이 있으며, v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v 부재에 작용하는 부재력은 수직 방향으로 10kN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kN"이 아닌 "5k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내민보의 개략적인 휨모멘트도(B.M.D)로 옳은 것은?

(정답률: 48%)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내민보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휨모멘트가 양수에서 음수로 바뀌는 지점이 내민보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이 지점에서의 휨모멘트는 0이 되며, 이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휨모멘트가 서로 상쇄되어 전체적으로는 0이 됩니다. 따라서 B.M.D.도 내민보의 중심에서 0을 가지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지조건과 횡구속에 따른 좌굴하중에서 그림A의 장주가 15kN 하중에 견딜 수 있다면 그림 B의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은?

  1. 20.6kN
  2. 30.6kN
  3. 35.6kN
  4. 45.6kN
(정답률: 54%)
  • 그림 A와 그림 B의 장주는 동일한 지지조건과 횡구속을 가지므로, 그림 A에서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과 그림 B에서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은 동일하다. 따라서, 그림 A에서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인 15kN이 그림 B에서 장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이다.
    정답은 "30.6kN"이 아니므로, 보기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강도설계법에서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슬래브의 최소피복두께는 얼마인가?(단, KBC2009기준, 현장치기콘크리트이며 D35이하의 철근사용)

  1. 20mm
  2. 40mm
  3. 50mm
  4. 60mm
(정답률: 36%)
  • 강도설계법에서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슬래브의 최소피복두께는 20mm이다. 이는 KBC2009 기준으로, 현장에서 치기콘크리트를 사용하며 D35 이하의 철근을 사용할 때 해당된다. 이유는 슬래브가 외부환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슬래브의 내부에 있는 철근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소피복두께를 충족시키지 않으면 철근의 부식이나 손상 등으로 인한 강도저하나 구조물의 안전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축물의 각 구조형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라멘구조는 기둥, 보 및 바닥으로 구성되며,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철골구조 등이 해당된다.
  2. 벽식구조는 내력벽으로 하여 바닥과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공동주택 등에 많이 이용되며, 철근콘크리트구조에 의한다.
  3. 플랫 슬래브 구조는 보 없이 수직하중을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지판이 부담하는 구조이다.
  4. 트러스 구조는 가늘고 긴 부재를 사각형의 형태로 짜 맞추어 구성되며, 부재에는 휨모멘트와 축력이 작용하는 구조이다.
(정답률: 63%)
  • "벽식구조는 내력벽으로 하여 바닥과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공동주택 등에 많이 이용되며, 철근콘크리트구조에 의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벽식구조는 철근콘크리트구조와는 관련이 없으며, 벽을 중심으로 구성된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의 겹칩이음 중에 A급 이음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소요철근량의 1배 이상 배근된 경우 또는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철근량이 50% 이내
  2. 소요철근량의 1배 이상 배근된 경우이고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철근량이 50% 이내
  3. 소요철근량의 2배 이상 배근된 경우 또는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철근량이 50% 이내
  4. 소요철근량의 2배 이상 배근된 경우이고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철근량이 50% 이내
(정답률: 46%)
  • A급 이음은 소요철근량의 2배 이상 배근된 경우이고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철근량이 50% 이내인 경우이다. 이는 겹침이음된 철근의 양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강도 저하나 균열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철근의 겹칩이음을 A급 이음으로 처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의 압축응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고, 인장응력은 철근이 부담한다.
  2. 콘크리트는 철근이 녹스는 것을 방지한다.
  3. 자제중량은 크지만 시공과 강도계산이 간단하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선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률: 63%)
  • 자제중량이 크다는 것은 구조물의 무게가 무거워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시공과 강도계산이 간단하다는 것은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자제중량은 크지만 시공과 강도계산이 간단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단면적 10,000mm이고 길이가 4m 인 정사각형 강재에 500kN의 축방향 인장력이 작용할 때 변형량은? (단, 탄성계수 E = 2.0×105MPa)

  1. 1.0mm
  2. 1.5mm
  3. 2.0mm
  4. 2.5mm
(정답률: 40%)
  • 변형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변형량 = (축방향 인장력 × 길이) / (단면적 × 탄성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변형량 = (500kN × 4m) / (10,000mm² × 2.0×10⁵MPa)
    = 0.001m = 1.0mm

    따라서 정답은 "1.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양단 고정보에서 A지점의 반력 모멘트 MA는? (단, 이 보의 휨강도 EI는 일정하다.)

  1. 10kNㆍm
  2. 15kNㆍm
  3. 20kNㆍm
  4. 25kNㆍm
(정답률: 44%)
  • 양단 고정보에서 A지점의 반력 모멘트는 A지점에서의 굽힘력과 보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보의 휨강도 EI가 일정하므로, 굽힘력은 A와 B 지점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A지점에서의 반력 모멘트는 B지점에서의 반력 모멘트와 같다. B지점에서의 반력 모멘트는 왼쪽 반력과 오른쪽 하중의 합력에 의해 결정된다. 왼쪽 반력은 10kNㆍm이고, 오른쪽 하중은 5kN×2m=10kNㆍm이므로, B지점에서의 반력 모멘트는 10kNㆍm-10kNㆍm=0이다. 따라서, A지점에서의 반력 모멘트도 0이다. 따라서, 정답은 "0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동일 단면적을 가진 A,B,C 보의 휨 강도비(A:B:D)를 구하면?

  1. 1:2:3
  2. 1:2:4
  3. 1:3:4
  4. 1:3:5
(정답률: 65%)
  • 휨 강도는 단면적과 재료의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A, B, C 보는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휨 강도는 각 보의 재료 강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A, B, C 보의 휨 강도비는 각 보의 재료 강도비와 같다. 주어진 보기에서 A, B, C 보의 재료 강도비는 각각 1:2:3 이므로, 휨 강도비도 1:2: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모살용접하는 경우 용접부의 유효목두께를 구하면?

  1. 5mm
  2. 7mm
  3. 9mm
  4. 10mm
(정답률: 55%)
  • 해당 용접은 V자형 모살용접으로, 용접부의 유효목두께는 용접부의 뿔뚝모양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이 경우 뿔뚝모양 부분의 두께는 7mm이므로 정답은 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말뚝기초의 경우 기초판 상연에서부터 하부철근까지의 최소깊이로 옳은 것은?(단, KBC2009기준)

  1. 200mm
  2. 250mm
  3. 300mm
  4. 350mm
(정답률: 40%)
  • 말뚝기초의 경우 하부철근까지의 최소깊이는 30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KBC2009 기준으로 정해진 것으로,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깊이입니다. 300mm 이하로 깊이를 설정하면 지반의 안정성과 구조물의 안전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말뚝기초를 설계할 때는 이러한 최소한의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변전실 면적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전전압
  2. 변압기 용량
  3. 발전기 용량
  4. 설치 기기와 큐비클의 종류
(정답률: 48%)
  • 변전실 면적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수전전압, 변압기 용량, 설치 기기와 큐비클의 종류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발전기 용량은 변전실 면적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발전기 용량은 전력 생산량을 결정하는 요소이지 변전실 면적 결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전기 용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스프링클러헤드의 디플렉터(Defilect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수구에 물을 보내어 압력을 가하게 하는 부분이다.
  2. 방수구에 수압이 가해지게 하여 하중이 걸리게 하는 부분이다.
  3.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확산시키는 작용하는 부분이다.
  4.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에 혼합된 공기를 분류 하는 부분이다.
(정답률: 73%)
  • 스프링클러헤드의 디플렉터는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확산시키는 작용하는 부분입니다. 이는 물이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더 많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며, 불규칙한 물의 흐름을 조절하여 물의 분포를 균일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를 통해 불규칙한 물의 흐름으로 인한 빈틈을 최소화하고, 더욱 효과적인 소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각개통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개 이상의 트랩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다.
  2. 통기와 배수의 역할을 함께 하는 통기관이다.
  3. 트랩마다 설치되므로 가장 안정도가 높은 방식이다.
  4. 배수수직관 상부에서 관경을 축소하지 않고 연장하여 대기 중에 개방한다.
(정답률: 75%)
  • 각개통기관은 배수시 생기는 공기 압력 차이를 막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트랩마다 설치되므로 가장 안정도가 높은 방식이다. 이는 각각의 트랩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트랩에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바닥복사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바닥면의 이용도가 높다.
  2. 하자 발견이 어렵고 보수가 어렵다.
  3. 천장이 높은 방의 난방은 불가능하다.
  4. 방이 개방상태에서도 난방 효과가 있다.
(정답률: 76%)
  • "천장이 높은 방의 난방은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천장이 높은 방에서도 난방이 가능하며, 다만 난방기구의 설치 위치나 방의 구조 등에 따라 효율성이 달라질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의 습공기 선도상의 변화과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가열가습과정
  2. 가열감습과정
  3. 냉각가습과정
  4. 냉각감습과정
(정답률: 69%)
  • 습공기가 처음에는 상대습도 50%인 상태에서 가열되어 상대습도가 감소하면서 절대습도가 증가하는 가열감습과정을 거친 후, 냉각되면서 상대습도가 증가하면서 절대습도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는 냉각감습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정답은 "냉각감습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압축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흡수기
  2. 응축기
  3. 증발기
  4. 팽창밸브
(정답률: 59%)
  • 압축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요소는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이다. 흡수기는 흡수식 냉동기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며, 압축식 냉동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흡수기는 냉매를 흡수하여 냉매의 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보일러 출력표시 방법 중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나는 것은?

  1. 정격출력
  2. 상용출력
  3. 정미출력
  4. 과부하출력
(정답률: 80%)
  •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나는 것은 "정미출력"이다. 이는 보일러가 최소한의 열력을 발생시키는 상태에서의 출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출력표시 방법들은 정격출력, 상용출력, 과부하출력 등으로, 각각 보일러가 설계된 최대 출력, 일반적인 운전 상태에서의 출력, 과부하 상태에서의 출력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의 냉방부하의 종류 중 잠열부하가 발생하는 것은?

  1. 덕트로부터의 취득열량
  2. 송풍기에 의한 취득열량
  3.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취득열량
  4. 일사에 의한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률: 65%)
  •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취득열량은 냉방 시스템에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냉방하는 경우 발생하는 부하로, 외부 공기의 온도와 상대습도 등에 따라 변동됩니다. 이는 잠열부하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액화석유가스(LPG) 가스용기(봄베)의 보관온도는?

  1. 최대 10℃ 이하
  2. 최대 20℃ 이하
  3. 최대 30℃ 이하
  4. 최대 40℃ 이하
(정답률: 68%)
  • LPG는 액체 상태에서 저장되며, 고온에서는 증발하여 가스 상태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스용기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안전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PG 가스용기의 보관온도는 최대 40℃ 이하로 유지해야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형광램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열전구보다 효율이 높다.
  2. 백열전구보다 휘도가 낮다.
  3. 백열전구보다 수명이 길다.
  4. 백열전구보다 전원 전압의 변동에 대한 광속 변동이 크다.
(정답률: 67%)
  • 형광램프는 백열전구보다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지만, 백열전구보다 휘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원 전압의 변동에 따라 광속 변동이 크게 일어나는데, 이는 형광램프가 전기를 통해 가스를 활성화시켜 광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압의 변동이 광 발생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광속 변동이 크게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3상 Y결선되고 선간전압이 380V인 3상교류의 상전압은?

  1. 120V
  2. 220V
  3. 380V
  4. 660V
(정답률: 58%)
  • 3상 Y결선에서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루트3 배가 된다. 따라서 380V x 루트3 = 약 660V 이므로, 보기 중에서 660V이 아닌 220V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의 공기조화방식 중 반송동력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방식은?

  1. 팬코일유닛방식
  2. 정풍량 단일덕트방식
  3. 변풍량 단일덕트방식
  4. 덕트병용 팬코일유닛방식
(정답률: 54%)
  • 팬코일유닛방식은 냉난방기와 팬코일을 분리하여 설치하고, 각각의 유닛에 독립적인 팬을 부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냉난방기와 팬코일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냉난방기를 작동시킬 때 팬코일의 팬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반송동력이 가장 적게 소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떤 건물의 급탕량이 3m3/h일 때 급탕부하는? (단, 물의 비열은 4.2kJ/kgㆍK, 급탕온도는 75℃, 급수온도는 5℃이다.)

  1. 195kW
  2. 215kW
  3. 245kW
  4. 295kW
(정답률: 56%)
  • 급탕량은 3m3/h 이므로 1시간에 3m3의 물이 급탕된다. 이 물의 열량은 다음과 같다.

    Q = m × c × ΔT

    여기서 m은 물의 질량, c는 물의 비열, ΔT는 급탕온도와 급수온도의 차이이다. 따라서,

    Q = 3000kg × 4.2kJ/kgㆍK × (75℃ - 5℃) = 882,000kJ

    1시간에 급탕된 열량은 882,000kJ 이므로, 급탕부하는 평균적으로 882,000/3600 = 245kW의 열을 발생시켜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45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실내에 설치할 방열기기의 선정 시 고려할 사항 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응축수량이 많을 것
  2. 사용하는 열매종류에 적합할 것
  3. 실내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될 것
  4. 설치장소에 적합한 디자인과 견고성을 가질 것
(정답률: 57%)
  • 실내에 설치할 방열기기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양하지만, 응축수량이 많을 것인지 여부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방 안의 습도와 관련이 있으며, 방열기기가 공기를 가열시키면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응축수량이 많을수록 방 안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방열기기를 선택할 때 이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방열기기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요소들이지만, 응축수량이 많을 것인지 여부는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배수 배관에서 일반적으로 청소구(clean out)의 설치가 요구되는 곳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배수수평주관의 기점
  2. 배수수직관의 최상부
  3. 배수수직관의 최하부 또는 그 부근
  4. 수평관에서 45˚를 넘는 각도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개소
(정답률: 70%)
  • 배수수직관의 최상부는 일반적으로 청소구(clean out)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배수수직관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소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반면, 배수수평주관의 기점, 배수수직관의 최하부 또는 그 부근, 수평관에서 45˚를 넘는 각도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개소는 물이 흐르는 방향이 바뀌거나 구석진 곳에 쓰레기나 오물이 쌓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청소구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수관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난방에 사용이 가능하다.
  2. 보일러 상부와 하부에 드럼이 있다.
  3. 노통 연관식보다 수처리가 용이하다.
  4. 고압증기를 다량 사용하는 곳에 적합하다.
(정답률: 49%)
  • "노통 연관식보다 수처리가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수관보일러는 노통 연관식과 마찬가지로 수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지만, 수처리가 노통 연관식보다 용이하지 않다. 오히려 수관보일러는 수처리가 복잡하고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수도직결급수방식에서 기구의 소요압력이 70kPa이고 수전 높이가 10m 일 때 수도 본관에는 최소 얼마의 압력이 있어야 급수가 가능한가? (단, 배관 중 마찰손실을 40kPa이다.)

  1. 70kPa
  2. 120kPa
  3. 170kPa
  4. 210kPa
(정답률: 48%)
  • 수도직결급수방식에서는 수전 높이와 기구의 소요압력, 그리고 배관 중 마찰손실 등을 고려하여 수도 본관에 최소한의 압력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기구의 소요압력이 70kPa이고, 수전 높이가 10m이며, 배관 중 마찰손실이 40kPa이다. 따라서, 수도 본관에는 최소한 70kPa + 10m × 9.81m/s² + 40kPa = 210kPa의 압력이 있어야 급수가 가능하다. 이는 기구의 소요압력과 수전 높이, 그리고 배관 중 마찰손실을 모두 고려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210k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양정 24m, 양수량 13.8m3/h, 효율이 60%인 펌프의 축동력은?

  1. 0.5kW
  2. 1.0kW
  3. 1.5kW
  4. 3.0kW
(정답률: 59%)
  • 펌프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축동력 = (양수량 × 물의 밀도 × 중력 가속도 × 높이) ÷ (효율 × 1000)

    여기서, 물의 밀도는 1000kg/m³, 중력 가속도는 9.81m/s² 입니다.

    따라서, 전양정 24m, 양수량 13.8m³/h, 효율 60%인 경우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축동력 = (13.8 × 1000 × 9.81 × 24) ÷ (60 × 1000) = 6.82 kW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축동력이 아니라 효율이 60%인 펌프의 축동력입니다. 따라서, 이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축동력을 효율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효율이 60%이므로, 실제로 전기를 사용하는 축동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축동력 = 6.82 kW ÷ 0.6 = 11.37 kW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kW가 아니라 0.5kW, 1.0kW, 1.5kW, 3.0kW로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5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송량에 비해 점유면적이 크다.
  2. 엘리베이터에 비해 수송능력이 크다.
  3. 대기시간이 없고 연속적인 수송설비이다.
  4. 연속 운전되므로 전원설비에 부담이 적다.
(정답률: 68%)
  • "수송량에 비해 점유면적이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엘리베이터와 비교하여 에스컬레이터가 상대적으로 적은 수송량을 처리하면서도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는 에스컬레이터가 계단과 같은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집을 오랫동안 비워 두었더니 트랩의 봉수가 파괴되었다. 다음 중 그 원인으로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1. 증발현상
  2. 공동현상
  3. 자기사이펀작용
  4. 유도사이펀작용
(정답률: 74%)
  • 정답: 증발현상

    설명: 집을 오랫동안 비워 두었기 때문에 공기가 맑고 건조해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물이 증발하기 쉽기 때문에, 트랩의 봉수에 들어있는 물이 증발하여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증발현상"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관계법규

81. 건축법령상 다가구주택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19세대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2.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할 것
  3.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가 3개 층 이하일 것
  4.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m2이하일 것
(정답률: 74%)
  • 다가구주택은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으로, 각 가구가 독립된 주거 공간을 갖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할 것"은 다가구주택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속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축법령상 건축(건축행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개축
  2. 재축
  3. 이전
  4. 대수선
(정답률: 75%)
  • 대수선은 건축물을 짓는 행위가 아니라 건축물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건축법령상 건축(건축행위)에 속하지 않습니다. 개축은 처음부터 새로운 건축물을 지으며, 재축은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지으며, 이전은 건축물을 이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대지 및 건축물관련 건축기준의 허용 오차가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물 높이 : 3% 이내
  2. 바닥판 두께 : 3% 이내
  3. 건축선의 후퇴거리 : 3% 이내
  4. 인접건축물과의 거리 : 3% 이내
(정답률: 65%)
  • "건축물 높이 : 3% 이내"가 옳지 않은 것이다. 건축물 높이는 지역별로 정해진 최대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으며, 이를 벗어나면 건축물이 안정성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오차를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건축물 높이는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공동주택의 거실에 설치하는 반자의 높이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1m
  2. 2.4m
  3. 2.7m
  4. 4.0m
(정답률: 63%)
  • 반자의 높이는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 거주자들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이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높이는 1.5m ~ 1.7m 정도이므로, 반자의 높이는 이를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공동주택의 경우 다양한 체형과 키를 가진 거주자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반자의 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반자의 높이는 최소 2.1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 제외)에 국토교통 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용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1. 공동주택
  2. 판매시설
  3. 숙박시설
  4. 위락시설
(정답률: 53%)
  • 공동주택은 주거용 건축물로, 배연설비를 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이다. 따라서 정답은 "공동주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피난안전구역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2.1m 이상일 것
  2.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3.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4.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정답률: 74%)
  •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모든 계단이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 중 일부는 일반 계단으로 설치해도 무방하다. 다만,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비상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층수가 15층이며, 각 층의 거실면적이 1000m2인 업무시설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8인승 승강기의 경우)

  1. 4대
  2. 5대
  3. 6대
  4. 7대
(정답률: 60%)
  • 한 대의 8인승 승강기는 최대 1360kg의 하중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15층짜리 건물에서는 최소한 2대 이상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또한, 건물 내부의 인원 수와 이동 패턴 등을 고려하여 승강기의 대수를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높이가 50m 이상이면 5대 이상의 승강기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이 문제에서도 5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2.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할 것
  3. 회전문의 회전속도를 분당회전수가 10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4. 자동회전문은 충격이 가하여지거나 사용자가 위험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전자감지장치 등을 사용하여 정지하는 구조로 할 것
(정답률: 77%)
  • "회전문의 회전속도를 분당회전수가 10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은 옳은 기준이다. 이는 회전문이 너무 빠르게 회전하여 사용자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기준을 준수하여 회전문을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부설주차장의 인근설치 규정에서 시설물의 부지 인근의 범위(해당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 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거리)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직선거리 : 100m 이내, 도보거리 : 500m 이내
  2. 직선거리 : 100m 이내, 도보거리 : 600m 이내
  3. 직선거리 : 300m 이내, 도보거리 : 500m 이내
  4. 직선거리 : 300m 이내, 도보거리 : 600m 이내
(정답률: 69%)
  • 부설주차장의 인근설치 규정에서는 시설물의 부지 인근의 범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부설주차장과 시설물 사이의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때, 직선거리와 도보거리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직선거리는 두 지점 사이를 최단거리로 이동할 때의 거리를 말하며, 도보거리는 보행자가 실제로 이동하는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직선거리가 300m 이내인 경우에도 도보거리가 600m 이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행자가 이동하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불편함이 증가하므로, 부설주차장과 시설물 사이의 직선거리와 도보거리를 모두 고려하여 규정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직선거리는 300m 이내, 도보거리는 600m 이내로 규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주거지역의 세분 중 공동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은?

  1. 제1종전용주거지역
  2. 제2종전용주거지역
  3. 제1종일반주거지역
  4. 제2종일반주거지역
(정답률: 63%)
  • 제2종전용주거지역은 공동주택 중심의 주거지역으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가 강화되어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상업시설이나 공장 등의 비주거시설이 제한되어 있어 주거지역으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동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제2종전용주거지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높이 기준은?

  1. 10m 이상
  2. 20m 이상
  3. 30m 이상
  4. 40m 이상
(정답률: 76%)
  • 피뢰설비는 번개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설비로, 건축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번개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높이 기준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높이가 20m 이상인 경우에는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건축물의 면적 산정방법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지면적은 대지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2. 연면적은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거실면적의 합계로 한다.
  3. 건축면적은 건축물의 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 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4.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 기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획의 중심선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정답률: 64%)
  • 연면적은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거실면적의 합계로 한다는 것이 옳은 기준이며, 다른 기준들도 모두 옳은 내용이다. 연면적은 건축물의 총 면적을 나타내는데, 이는 건축물의 구성요소인 각 층의 거실면적을 모두 합한 것이다. 따라서 연면적은 건축물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에 유용한 기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대지의 조경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m2
  2. 150m2
  3. 180m2
  4. 200m2
(정답률: 71%)
  • 주어진 조건에서 대지의 조경면적은 "주택의 총면적의 30% 이상"이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택의 총면적이 666m2 이므로, 대지의 조경면적은 666m2 x 30% = 199.8m2 이 됩니다. 이 값은 200m2에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200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주차장 주차단위획의 크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단, 일반형으로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너비 1.7m 이상, 길이 4.5m 이상
  2. 너비 2.0m 이상, 길이 3.6m 이상
  3. 너비 2.0m 이상, 길이 6.0m 이상
  4. 너비 2.3m 이상, 길이 5.0m 이상
(정답률: 62%)
  • 주차장 주차단위의 크기는 차량의 크기와 주차장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너비 2.3m 이상, 길이 5.0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대부분의 승용차가 충분히 주차 가능하며, 주차장 내에서 차량 이동이 용이하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크기는 국내에서 주차장 설계에 대한 규정으로도 적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창문 등의 차면시설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m
  2. 1.5m
  3. 2m
  4. 3m
(정답률: 66%)
  •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창문 등의 차면시설은 일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앞쪽 유리는 최소한 70% 이상의 시야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앞쪽 유리의 최소 높이는 25cm 이상, 최소 너비는 차량 전면의 최대 너비의 80%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앞쪽 유리와 측면 유리 사이의 기둥은 최소한 8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이에 따라, 앞쪽 유리와 측면 유리 사이의 거리가 2m 이상이어야 하므로 정답은 "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부설주차장 설치대상 시설물의 위락시설인 경우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시설면적 100m2당 1대
  2. 시설면적 150m2당 1대
  3. 시설면적 200m2당 1대
  4. 시설면적 300m2당 1대
(정답률: 62%)
  • 위락시설은 대체로 인파가 몰리는 장소이기 때문에 주차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부설주차장을 설치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시설면적이 클수록 인파가 많이 몰리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시설면적이 큰 경우에는 더 많은 주차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설면적 100m2당 1대의 기준이 적용됩니다. 즉, 시설면적이 100m2일 경우 1대의 주차 공간이 필요하며, 시설면적이 200m2일 경우 2대의 주차 공간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건축물에 대한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는 경우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단, 지진구역 안의 건축물이 아닌 경우)

  1. 특수구조 건축물
  2. 다중이용 건축물
  3. 준다중이용 건축물
  4. 층수가 5층인 건축물
(정답률: 66%)
  • 층수가 5층인 건축물은 일반적인 규모의 건축물로,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인하는 데 있어서는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특수구조 건축물, 다중이용 건축물, 준다중이용 건축물은 건축물의 용도나 구조적 특성 등이 복잡하므로 건축구조기술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주차전용건축물의 주차면적비율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포함되지 않는 건축물의 용도는?

  1. 공동주택
  2. 의료시설
  3. 종교시설
  4. 업무시설
(정답률: 58%)
  • 주차전용건축물의 주차면적비율은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공동주택, 업무시설, 종교시설은 일반적인 주거 및 상업용 건축물로 주차면적비율이 1:1.5 이하로 적용되지만, 의료시설은 환자 및 의료진의 차량 등을 고려하여 주차면적비율이 1:2 이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의료시설은 (의료시설)이 포함되지 않는 건축물의 용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제1종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없는 건축물은?

  1. 아파트
  2. 단독주택
  3. 제1종 근린생활시설
  4. 교육연구시설 중 고등학교
(정답률: 77%)
  • 제1종일반주거지역은 주로 주거지역으로 사용되는 지역이며, 아파트는 대규모 다세대 주택으로서 상업시설과 같은 근린생활시설과 달리 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없는 건축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파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법령상 준초고층 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고층건축물 중 초고층 건축물이 아닌것
  2.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4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60m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70%)
  • 정답은 "고층건축물 중 초고층 건축물이 아닌것"입니다. 이유는 건축법령상 초고층 건축물은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과 층수가 4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60m 이상인 건축물은 고층건축물에 해당하지만 초고층 건축물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