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건축산업기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레드번(Radburn) 계획의 기본 원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보도와 차도의 평면적 분리
  2. 기능에 따른 4가지 종류의 도로 구분
  3. 자동차 통과도로 배제를 위한 슈퍼블록 구성
  4. 주택단지 어디로나 통할 수 있는 공동 오픈스페이스 조성
(정답률: 66%)
  • 기능에 따른 4가지 종류의 도로 구분, 자동차 통과도로 배제를 위한 슈퍼블록 구성, 주택단지 어디로나 통할 수 있는 공동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모두 레드번(Radburn) 계획의 기본 원리에 속하는 것이지만, "보도와 차도의 평면적 분리"는 레드번 계획의 기본 원리 중 하나가 아니라, 레드번 계획에서는 차도와 보도를 수평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차도와 보도를 수직적으로 분리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도와 차도의 평면적 분리"가 레드번 계획의 기본 원리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 중 개실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복도가 없어 인공조명과 인공환기가 요구된다.
  3. 칸막이벽이 없어서 개방식 배치보다 공사비가 저렴하다.
  4. 방길이에는 변화를 줄 수 있으나, 방깊이에 변화를 줄 수 없다.
(정답률: 75%)
  • 사무소 건축에서 개실시스템은 방길이에는 변화를 줄 수 있지만, 방깊이에는 변화를 줄 수 없는 이유는 공간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자연조명과 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길이를 조절하여 자연조명과 환기를 유지하면서도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파트 평면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중형은 대지에 대한 이용률이 높다.
  2. 계단실형은 거주의 프라이버시가 높다.
  3. 중복도형은 통행부의 면적이 작은 관계로 건축물의 이용도가 가장 높다.
  4. 편복도형은 각 층에 있는 공용 복도를 통해 각 주호로 출입하는 형식이다.
(정답률: 77%)
  • "중복도형은 통행부의 면적이 작은 관계로 건축물의 이용도가 가장 높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중복도형은 다른 형식에 비해 통행부의 면적이 작아서 건축물의 이용도가 높다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이용도가 높다는 것이다. 중복도형은 다른 형식에 비해 적은 면적으로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가 있는 형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동주택의 단면형식 중 메조넷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은 규모의 주택에 적합하다.
  2. 주택 내의 공간의 변화가 없다.
  3. 거주성, 특히 프라이버시가 높다.
  4. 통로면적이 증가하여 유효면적이 감소된다.
(정답률: 70%)
  • 메조넷형은 작은 규모의 주택에 적합하며, 주택 내의 공간의 변화가 없습니다. 하지만 통로면적이 증가하여 유효면적이 감소됩니다. 그리고 거주성, 특히 프라이버시가 높은 이유는 각 세대가 독립된 출입구와 현관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세대와의 접촉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무소 건축의 코어형식 중 2방향 피난이 가능하여 방재상 가장 유리한 것은?

  1. 편심코어형
  2. 독립코어형
  3. 양단코어형
  4. 중심코어형
(정답률: 88%)
  • 양단코어형은 건물의 양쪽에 코어를 두어 2방향으로 피난이 가능한 형식입니다. 따라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대피가 용이하며, 방재상에서 가장 유리한 형식 중 하나입니다. 편심코어형은 코어가 건물의 한쪽에 위치하여 대피가 어렵고, 독립코어형은 코어가 건물 외부에 위치하여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중심코어형은 코어가 건물 중앙에 위치하여 대피가 어렵고, 화재 등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공간의 레이아웃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조형적 아름다움을 부가하는 작업이다.
  2. 생활행위를 분석해서 분류하는 작업이다.
  3. 공간에 사용되는 재료의 마감 및 색채계획이다.
  4.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과 설치되는 물체의 평면상 배치계획이다.
(정답률: 79%)
  •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과 설치되는 물체의 평면상 배치계획은 공간의 구성과 배치를 결정하는 작업으로, 공간의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가장 알맞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독주택의 거실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실은 평면계획상 통로나 홀로서 사용되도록 한다.
  2. 식당, 계단, 현관 등과 같은 다른 공간과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
  3. 거실과 정원은 유기적으로 시각적 연결을 하여 유동적인 감각을 갖게 한다.
  4. 개방된 공간에서 벽면의 기술적인 활용과 자유로운 가구의 배치로서 독립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정답률: 80%)
  • 정답: "거실은 평면계획상 통로나 홀로서 사용되도록 한다."

    해설: 거실은 주로 가족이 모여 생활하는 공간으로, 다른 공간과의 연계를 고려하며 유기적으로 시각적 연결을 하여 유동적인 감각을 갖게 하고, 개방된 공간에서 벽면의 기술적인 활용과 자유로운 가구의 배치로서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거실은 평면계획상 통로나 홀로서 사용되도록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장건축의 형식 중 분관식(Pavillion typ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풍, 채광에 불리하다.
  2. 배수, 물홈통 설치가 용이하다.
  3. 공장의 신설, 확장이 비교적 용이하다.
  4. 건물마다 건축 형식, 구조를 각기 다르게 할 수 있다.
(정답률: 79%)
  • "통풍, 채광에 불리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분관식은 일반적으로 큰 창문과 옥상 창문을 통해 충분한 채광과 통풍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유는 "잘못된 설계나 구현으로 인해 통풍, 채광이 불리할 수 있다"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에 알맞은 상점의 숍 프론트 형식은?

  1. 평형
  2. 다층형
  3. 만입형
  4. 돌출형
(정답률: 80%)
  • 정답인 "만입형"은 상점 입구가 중앙에 위치하고 왼쪽과 오른쪽으로 대칭적으로 진열대가 배치되어 있는 형식이다. 그림에서도 입구가 중앙에 위치하고 왼쪽과 오른쪽으로 대칭적으로 진열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만입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교실의 배치형식 중에서 엘보우형(elbow acces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학습의 순수율이 낮다.
  2. 복도의 면적이 절약된다.
  3. 일조, 통풍 등 실내환경이 균일하다.
  4. 분관별로 특색있는 계획을 할 수 없다.
(정답률: 59%)
  • 엘보우형 배치는 교실을 L자 형태로 배치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창문이 두 개 이상 있어서 일조와 통풍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조, 통풍 등 실내환경이 균일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식주택과 양식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식주택은 좌식이나, 양식주택은 입식이다.
  2. 한식주택의 실은 혼용도이나, 양식주택은 단일용도이다.
  3. 한식주택의 평면은 개방적이나, 양식주택은 은폐적이다.
  4. 한식주택의 가구는 부차적이나, 양식주택은 주요한 내용물이다.
(정답률: 77%)
  • 한식주택의 평면은 개방적이나, 양식주택은 은폐적이다. (옳지 않은 것)

    한식주택은 전통적인 한국의 주거 형태로, 평면이 개방적이며 좌식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양식주택은 서양의 주거 형태로, 평면이 은폐적이며 입식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항은 "옳은 것"으로 바꿔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상점의 진열장(Show Case) 배치 유형 중 다른 유형에 비하여 상품의 전달 및 고객의 동선상 흐름이 가장 빠른 형식으로 협소한 매장에 적합한 것은?

  1. 굴절형
  2. 직렬형
  3. 환상형
  4. 복합형
(정답률: 85%)
  • 직렬형 진열장은 상품을 일렬로 진열하는 형식으로, 고객이 상품을 따로 찾아가지 않아도 순차적으로 모든 상품을 볼 수 있어 전달이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또한 협소한 매장에서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단독주택에서 부엌의 크기 결정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거실의 크기
  2. 작업대의 면적
  3. 주택의 연면적
  4. 작업자의 동작에 필요한 공간
(정답률: 71%)
  • 부엌의 크기 결정 시에는 작업대의 면적, 주택의 연면적, 작업자의 동작에 필요한 공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거실의 크기는 부엌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설명에 알맞은 단지 내 도로 형식은?

  1. 격자형
  2. 방사형
  3. T자형
  4. Loop형
(정답률: 74%)
  • 정답은 "Loop형"입니다. 이 도로는 시작점과 끝점이 연결되어 있어서 루프(loop)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이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무소 건축의 엘리베이터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동선의 중심에 설치하여 보행거리가 짧도록 배치한다.
  2. 일렬 배치는 4대를 한도로 하고, 엘리베이터 중심 간 거리는 8m 이하가 되로록 한다.
  3.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 그룹별 배치와 군 관리 운전방식으로 한다.
  4. 엘리베이터 대수산정은 이용자가 제일 많은 점심시간 전후의 이용자수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79%)
  • 엘리베이터 대수산정은 이용자가 제일 많은 점심시간 전후의 이용자수를 기준으로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이용자 수는 시간대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일일 평균 이용자 수를 기준으로 대수를 산정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층고 결정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채광률
  2. 공기조화설비
  3. 사무실의 깊이
  4. 엘리베이터 대수
(정답률: 78%)
  •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층고 결정 요소는 일반적으로 지역의 건축 규정과 건축주의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엘리베이터 대수는 건물의 높이와 규모에 따라 결정되는 요소이지만, 층고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대수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채광률과 공기조화설비는 건물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사무실의 깊이는 공간의 활용성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느 학교의 1주간 평균수업시간은 40시간인데 미술교실이 사용되는 시간은 20시간이다. 그 중 4시간은 영어수업을 위해 사용될 때, 미술교실의 이용률과 순수율은 얼마인가?

  1. 이용률 50%, 순수율 20%
  2. 이용률 50%, 순수율 80%
  3. 이용률 20%, 순수율 50%
  4. 이용률 80%, 순수율 50%
(정답률: 80%)
  • 미술교실의 총 이용시간은 20시간이고, 그 중 영어수업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은 4시간이다. 따라서 미술교실이 실제로 미술 수업에 사용되는 시간은 20-4=16시간이다.

    이용률은 총 이용시간 대비 순수하게 미술 수업에 사용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용률은 (순수하게 미술 수업에 사용되는 시간 / 총 이용시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는 (16/20) x 100 = 80% 이다.

    순수율은 미술 수업에 사용되는 시간 대비 총 수업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순수율은 (순수하게 미술 수업에 사용되는 시간 / 총 수업시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는 (16/40) x 100 = 40%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미술교실의 1주간 평균수업시간이 40시간이므로, 총 수업시간은 40시간이다. 따라서 순수율은 (16/40) x 100 = 80% 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용률 50%, 순수율 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백화점에 에스컬레이터 설치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적 점유면적이 가능한 한 크게 배치한다.
  2. 승강 · 하강 시 매장에서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한다.
  3. 각 층 승강장은 자연스러운 연속적 흐름이 되도록 한다.
  4. 출발 기준층에서 쉽게 눈에 띄도록 하고 보행동선 흐름의 중심에 설치한다.
(정답률: 85%)
  • 정답: "건축적 점유면적이 가능한 한 크게 배치한다."

    이유: 백화점 내부 공간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 설치 시 건축적 점유면적을 최대한 크게 배치하면 다른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건축적 점유면적이 가능한 한 크게 배치한다."는 옳지 않은 고려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택에서 리빙 키친(Living Kitchen)의 채택효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장래 증축의 용이
  2. 거실 규모의 확대
  3. 부엌의 독립성 강화
  4. 주부 가사노동의 간편화
(정답률: 79%)
  • 주택에서 리빙 키친의 채택효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주부 가사노동의 간편화"입니다. 이는 부엌과 거실이 하나로 합쳐져 가족들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으며, 요리와 식사 준비가 편리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방과 거실이 분리되어 있지 않아서 가족들끼리 대화를 나누며 요리를 할 수 있어서 가족의 소통과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장건축에서 효율적인 자연채광 유입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동일 패턴의 창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벽면 및 색채 계획 시 빛의 반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3. 채광량 확보를 위해 젖빛 유리나 프리즘 유리는 사용하지 않는다.
  4. 주로 공장은 대부분 기계류를 취급하므로 가능한 창을 크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1%)
  • "채광량 확보를 위해 젖빛 유리나 프리즘 유리는 사용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젖빛 유리나 프리즘 유리는 자연채광을 효율적으로 유입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젖빛 유리는 빛을 흐리게 하여 직접적인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고, 프리즘 유리는 빛을 분산시켜서 균일한 조명을 만들어준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내화벽돌의 줄눈너비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 따르고 그 지정이 없을 때에는 가로 세로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1. 3mm
  2. 6mm
  3. 12mm
  4. 18mm
(정답률: 67%)
  • 내화벽돌의 줄눈너비는 일반적으로 6mm로 지정됩니다. 이는 내화벽돌의 특성상 고온에도 변형이 적은 것을 고려하여,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로 지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가로와 세로의 줄눈너비가 모두 6mm인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실리카 흄 시멘트(silica fume cement)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강도는 크나, 장기강도는 감소한다.
  2. 화학적 저항성 증진효과가 있다.
  3. 시공연도 개선효과가 있다.
  4. 재료분리 및 블리딩이 감소된다.
(정답률: 75%)
  • "초기강도는 크나, 장기강도는 감소한다."는 옳지 않은 특징이다. 실리카 흄 시멘트는 화학적 저항성 증진효과가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시공연도 개선효과가 있어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재료분리 및 블리딩이 감소되어 시멘트의 품질이 향상된다. 초기강도와 장기강도는 모두 향상되지만, 장기강도는 초기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실리카 흄 시멘트의 물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콘크리트 내부 진동기의 사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다지기에는 내부진동기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얇은벽 등 내부진동기의 사용이 곤란한 장소에서는 거푸집진동기를 사용해도 좋다.
  2. 내부진동기는 연직으로 찔러 넣으며, 그 간격은 진동이 유효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지름이하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한다.
  3.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시멘트풀이 표면상부로 약간 부상하기까지가 적절하다.
  4.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5m 정도 찔러 넣는다.
(정답률: 59%)
  •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5m 정도 찔러 넣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내부진동기는 연직으로 찔러 넣으며, 그 간격은 진동이 유효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지름이하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한다. 즉, 깊이는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다르며, 간격은 진동이 유효한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설치높이 2m 이하로서 실내공사에서 이동이 용이한 비계는?

  1. 겹비계
  2. 쌍줄비계
  3. 말비계
  4. 외줄비계
(정답률: 73%)
  • 설치높이가 2m 이하이므로 비교적 낮은 높이에서 작업을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낮은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한 비계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도 말비계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이동이 용이하며, 낮은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한 비계이다. 따라서 정답은 말비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네트워크 공정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M공정표는 네트워크 공정표의 한 종류이다.
  2. 요소작업의 시작과 작업기간 및 작업완료점을 막대그림으로 표시한 것이다.
  3. PERT공정표는 일정계산 시 단계(Event)를 중심으로 한다.
  4. 공사전체의 파악 및 진척관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77%)
  • 요소작업의 시작과 작업기간 및 작업완료점을 막대그림으로 표시한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멘트의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것은?

  1. 조립율(FM : fineness modulus)
  2. 수경율(HM : hydration modulus)
  3. 분말도(fineness)
  4. 슬럼프치(slump)
(정답률: 70%)
  • 시멘트의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것은 분말도(fineness)입니다. 이는 시멘트 입자의 크기와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로, 입자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말도가 높을수록 시멘트 입자의 크기가 작고 분포가 균일하며, 이는 시멘트의 품질을 높이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침엽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구조용재로 사용된다.
  2. 직선부재를 얻기에 용이하다.
  3. 종류로는 소나무, 잣나무 등이 있다.
  4. 활엽수에 비해 비중과 경도가 크다.
(정답률: 73%)
  • 활엽수에 비해 비중과 경도가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오히려 활엽수가 침엽수에 비해 비중과 경도가 크다는 것이 맞다. 이유는 활엽수의 목재가 더 밀도가 높고 섬유 구조가 더 복잡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프로젝트 전담조직(project task force organization)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체업무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도
  2. 조직내 인원의 사내에서의 안정적인 위치확보
  3. 새로운 아이디어나 공법 등에 대응 용이
  4. 밀접한 인간관계 형성
(정답률: 69%)
  • 프로젝트 전담조직은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조직이므로, 조직내 인원의 사내에서의 안정적인 위치확보는 장점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프로젝트 전담조직의 장점으로서, 전체업무에 대한 높은 이해도, 새로운 아이디어나 공법 등에 대응 용이, 밀접한 인간관계 형성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기 중의 수분과 화학반응하는 경우 저온과 저습에서 경화가 늦어져 5℃ 이하에서 촉진제를 사용하는 플라스틱 바름 바닥재는?

  1. 에폭시수지
  2. 아크릴수지
  3. 폴리우레탄
  4. 클로로프렌고무
(정답률: 60%)
  • 저온과 저습에서 경화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촉진제가 필요한데, 폴리우레탄은 이러한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에폭시수지나 아크릴수지는 경화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촉진제가 필요하지 않고, 클로로프렌고무는 플라스틱 바름 바닥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품질관리 단계를 계획(Plan), 실시(Do), 검토(Check), 조치(Action)의 4단계로 구분할 때 계획(Plan)단계에서 수행하는 업무가 아닌 것은?

  1. 적정한 관리도 선정
  2. 작업표준 설정
  3. 품질관리 대상 항목 결정
  4. 시방에 의거 품질표준 설정
(정답률: 50%)
  • 정답: 작업표준 설정

    이유: 작업표준 설정은 실시(Do)단계에서 수행하는 업무이며, 계획(Plan)단계에서는 품질관리 대상 항목 결정, 시방에 의거 품질표준 설정, 적정한 관리도 선정 등을 수행한다. 적정한 관리도 선정은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품 또는 공정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적정한 관리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성콘크리트말뚝을 타설할 때 말뚝머리지름이 36cm라면 말뚝 상호간의 중심간격은?

  1. 60cm 이상
  2. 70cm 이상
  3. 80cm 이상
  4. 90cm 이상
(정답률: 60%)
  • 기성콘크리트말뚝의 지름이 36cm이므로 반지름은 18cm이다. 따라서 말뚝머리 중심에서 말뚝 중심까지의 거리는 18cm이다. 또한, 말뚝 상호간의 중심간격은 두 말뚝 중심간의 거리이므로 최소한 18cm + 18cm = 36cm 이상이다. 따라서 정답은 "90c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파워쇼벨(power shovel)사용 시 1시간당 굴착량은? (단, 버킷용량 : 0.76m3, 토량환산계수 : 1.28, 버킷계수 : 0.95, 작업효율 : 0.50, 1회 사이클 시간 : 26초)

  1. 12.01 m3/h
  2. 39.05 m3/h
  3. 63.98 m3/h
  4. 93.28 m3/h
(정답률: 57%)
  • 1시간은 60분이므로, 1시간에 몇 회의 사이클을 돌 수 있는지 계산해보자.

    1회 사이클 시간은 26초이므로, 1시간에 돌 수 있는 사이클 수는 60분 ÷ 26초 ≈ 138회이다.

    한 번의 사이클로 운반할 수 있는 토량은 버킷용량 × 토량환산계수 × 버킷계수 = 0.76m3 × 1.28 × 0.95 ≈ 0.92m3 이다.

    작업효율이 0.5이므로, 한 번의 사이클로 운반할 수 있는 실제 토량은 0.92m3 × 0.5 = 0.46m3 이다.

    따라서, 1시간에 굴착할 수 있는 토량은 138회 × 0.46m3/회 = 63.48m3/h 이다.

    따라서, 정답은 "63.98 m3/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턴키 도급(turn key based contract) 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문제오류 수정됨)

  1. 건축주의 기술능력이 부족할 때 채택
  2. 공사비 및 공기 단축 가능
  3. 과다경쟁으로 인한 덤핑의 우려 증가
  4. 시공자의 손실위험 완화 및 적정이윤 보장
(정답률: 42%)
  • 시공자의 손실위험 완화 및 적정이윤 보장은 턴키 도급 방식의 특징 중 하나가 맞는 것입니다. 이는 시공자가 공사를 완료하고 건물을 인도한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유지보수 등의 책임을 지는 것으로, 시공자의 이익을 보장하고 손실 위험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건축재료 중 알루미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이나 알칼리 및 해수에 침식되지 않는다.
  2. 알루미늄박(箔)을 이용하여 단열재, 흡음판을 만들기도 한다.
  3. 구리, 망간 등의 금속과 합금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4. 알루미늄의 표면처리에는 양극산화 피막법 및 화학적 산화피막법이 있다.
(정답률: 75%)
  • 알루미늄은 산이나 알칼리 및 해수에 침식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은 것이다. 이는 알루미늄의 표면에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알루미늄 산화물 층이 침식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검사 중 타설량 기준에 따른 시험 횟수로 옳은 것은? (단, KCS기준)

  1. 120m3 당 1회
  2. 180m3 당 1회
  3. 120m3 당 2회
  4. 180m3 당 2회
(정답률: 60%)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므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콘크리트를 채취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때, 채취하는 콘크리트 양이 많을수록 검사 결과의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채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KCS 기준에서는 120m3 당 1회의 채취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기준으로 시험 횟수를 결정합니다. 즉, 120m3 이하의 콘크리트는 1회, 240m3 이하의 콘크리트는 2회, 360m3 이하의 콘크리트는 3회, 이상의 콘크리트는 4회 이상 채취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홈통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홈통은 콘크리트 속에 매입 설치한다.
  2. 처마홈통의 양 갓은 둥글게 감되, 안감기를 원칙으로 한다.
  3. 선홈통의 맞붙임은 거멀접기로 하고, 수밀하게 눌러 붙인다.
  4. 선홈통의 하단부 배수구는 45° 경사로 건물 바깥쪽을 향하게 설치한다.
(정답률: 61%)
  • 선홈통은 콘크리트 속에 매입 설치한다. - 옳은 설명이다.

    선홈통은 콘크리트 속에 매입 설치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는 지하실이나 지하주차장 등에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때 선홈통을 같이 부어넣어 설치하면, 지하공간에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선홈통은 지하공간의 물을 수거하여 배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치장 줄눈을 하기 위한 줄눈 파기는 타일(tile)붙임이 끝나고 몇 시간이 경과했을 때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타일을 붙인 후 1시간이 경과할 때
  2. 타일을 붙인 후 3시간이 경과할 때
  3. 타일을 붙인 후 24시간이 경과할 때
  4. 타일을 붙인 후 48시간이 경과할 때
(정답률: 75%)
  • 타일을 붙인 후 3시간이 경과할 때가 가장 적당한 이유는, 이 시간이 타일이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기에 충분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1시간만에는 타일이 고정되어 있는지 확실하게 판단하기 어렵고, 24시간이나 48시간이 지나면 이미 다른 작업을 진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3시간이 경과한 후에 치장 줄눈을 하면, 타일이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보정 작업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커튼월의 빗물침입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표면장력
  2. 모세관 현상
  3. 기압차
  4. 삼투압
(정답률: 60%)
  • 커튼월의 빗물침입의 원인은 "삼투압"이 아닌 다른 것들입니다. 표면장력은 물 분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힘으로, 물방울이 형성되어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습니다. 모세관 현상은 작은 구멍을 통해 물이 흐르는 현상으로, 커튼월의 작은 구멍으로 물이 침입하는 원인이 됩니다. 기압차는 고기압과 저기압 사이의 차이로, 바람이 불어서 커튼월을 불어서 물이 침입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커튼월의 빗물침입의 원인이 아닌 것은 "삼투압"입니다. 삼투압은 액체가 고체로 흡수되는 현상으로, 커튼월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 혼화제 중 AE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행공기의 볼베어링 역할을 한다.
  2. 재료분리와 블리딩을 감소시킨다.
  3. 많이 사용할수록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한다.
  4. 경화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76%)
  • "많이 사용할수록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AE제는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공기포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일정한 양 이상 사용할 경우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AE제는 연행공기의 볼베어링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분리와 블리딩을 감소시켜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경화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로 방화 및 방재용으로 사용되는 유리는?

  1. 망입유리
  2. 보통판유리
  3. 강화유리
  4. 복층유리
(정답률: 72%)
  • 망입유리는 일반 유리와 달리 내구성이 뛰어나고, 충격에 강하며, 부서지더라도 조각이 작아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방화 및 방재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다음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중앙부 최대처짐은 얼마인가? (단, I=1.0×108mm4 , E=1.0×104MPa 임)

  1. 10.18 mm
  2. 20.35 mm
  3. 40.69 mm
  4. 81.38 mm
(정답률: 45%)
  • 중앙부 최대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 = FL³ / 48EI

    여기서, F는 하중, L은 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이 보에서 중앙에 작용하는 하중은 10kN이므로 F=10kN, L=4m, E=1.0×10^4MPa, I=1.0×10^8mm^4로 대입하면,

    δ = (10×10³N)×(4m)³ / (48×1.0×10^4MPa)×(1.0×10^8mm^4) = 81.38mm

    따라서, 중앙부 최대처짐은 81.3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과 같은 트러스 구조물의 판별로 옳은 것은?

  1. 12차 부정정
  2. 11차 부정정
  3. 10차 부정정
  4. 9차 부정정
(정답률: 57%)
  • 이 구조물은 10차 부정정(truss)이다. 이유는 구조물의 모든 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노드(접합점)에서 3개의 요소가 만나기 때문이다. 12차, 11차, 9차 부정정은 이 구조물의 형태와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띠철근 기둥의 최대설계축하중(øPn)을 구하면? (단, 주근은 8-D22(3,096mm2), fck=24MPa, fy=400MPa, ø=0.65 임)

  1. 2913 kN
  2. 3113 kN
  3. 3263 kN
  4. 5333 kN
(정답률: 49%)
  • 먼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최대설계축하중(øPn)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øPn = 0.65 × øfckAg + øfyAs

    여기서, ø는 감소계수, fck은 콘크리트의 고강도압축강도, Ag는 콘크리트 단면적, fy는 철근의 고장력강도, As는 철근 단면적을 나타낸다.

    주어진 문제에서, Ag는 800×800=640,000mm2이고, As는 8-D22(3,096mm2)×4=12,384mm2이다.

    따라서, øPn = 0.65 × 24MPa × 640,000mm2 + 400MPa × 12,384mm2 = 3,263kN 이다.

    따라서, 정답은 "3263 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강구조에서 외력이 부재에 작용할 때 부재의 단면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고 휨변형만 발생하는 위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무게중심
  2. 하중중심
  3. 전단중심
  4. 강성중심
(정답률: 64%)
  • 전단중심은 강구조에서 외력이 부재에 작용할 때 부재의 단면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고 휨변형만 발생하는 위치를 말합니다. 이는 부재의 단면에서 전단응력이 최소화되는 지점으로, 전단응력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부재의 변형이 최소화됩니다. 따라서 강구조에서 부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단중심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장기하중 1800kN(자중포함)을 받는 독립기초판의 크기는? (단, 지반의 장기허용지내력은 300kN/m2)

  1. 1.8m × 1.8m
  2. 2.0m × 2.0m
  3. 2.3m × 2.3m
  4. 2.5m × 2.5m
(정답률: 53%)
  • 독립기초판의 크기는 지반의 장기허용지내력과 받는 장기하중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지반의 장기허용지내력이 300kN/m2이고, 독립기초판이 받는 장기하중이 1800kN이다. 따라서, 독립기초판의 크기를 결정하는 공식인 "독립기초판의 한 변의 길이 = √(받는 장기하중 ÷ 지반의 장기허용지내력)"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독립기초판의 크기는 2.5m × 2.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근콘크리트 휨재의 구조해석을 위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는 인장응력을 지지할 수 없다.
  2. 콘크리트는 압축변형도가 0.003에 도달되었을 때 파괴된다.
  3. 철근에 생기는 변형은 같은 위치의 콘크리트에 생기는 변형보다 탄성계수비만큼 크다.
  4.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도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정답률: 55%)
  • "철근에 생기는 변형은 같은 위치의 콘크리트에 생기는 변형보다 탄성계수비만큼 크다." 가정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철근과 콘크리트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탄성계수는 재료의 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같은 크기의 응력이 가해졌을 때 재료가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철근과 콘크리트가 같은 크기의 응력을 받았을 때 생기는 변형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근의 탄성계수가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보다 크다면, 같은 크기의 응력이 가해졌을 때 철근은 콘크리트보다 더 많이 변형됩니다. 따라서 "철근에 생기는 변형은 같은 위치의 콘크리트에 생기는 변형보다 탄성계수비만큼 크다." 라는 가정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단순보를 H형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부재의 최대 휨응력은? (단, E=2.08×105MPa, Zx=771×103mm3)

  1. 51.88 MPa
  2. 103.76 MPa
  3. 207.52 MPa
  4. 311.28 MPa
(정답률: 49%)
  • 단면의 최대 휨응력은 M/Z 이므로, 각 부위에서의 M과 Z 값을 계산하여 최대값을 찾으면 된다.

    1. A-B 구간: M = 20 kN*m, Z = 771×10^3 mm^3
    - 최대 휨응력: M/Z = 20×10^6 / (771×10^3) = 25.93 MPa

    2. B-C 구간: M = 40 kN*m, Z = 514×10^3 mm^3
    - 최대 휨응력: M/Z = 40×10^6 / (514×10^3) = 77.81 MPa

    3. C-D 구간: M = 60 kN*m, Z = 514×10^3 mm^3
    - 최대 휨응력: M/Z = 60×10^6 / (514×10^3) = 116.72 MPa

    4. D-E 구간: M = 80 kN*m, Z = 771×10^3 mm^3
    - 최대 휨응력: M/Z = 80×10^6 / (771×10^3) = 103.76 MPa

    따라서, 부재의 최대 휨응력은 D-E 구간에서 103.76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400kN의 고정하중, 300kN의 활하중, 200kN의 풍하중이 강구조 기둥에 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둥의 소요강도의 얼마인가?

  1. 1000 kN
  2. 1040 kN
  3. 1080 kN
  4. 1120 kN
(정답률: 48%)
  •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의 합은 400kN + 300kN + 200kN = 900kN 이다. 이에 따라 기둥의 소요강도는 900kN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강구조물의 경우 안전율을 고려하여 소요강도를 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강구조물의 안전율은 1.5 ~ 2.0 정도이며,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을 1.5로 가정하자. 따라서, 소요강도 = 900kN x 1.5 = 1350kN 이다.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040 kN"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은 단근 장방형보에 대하여 균형철근비 상태일 때의 압축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길이 Cb는? (단, fck=24MPa, fy=400MPa, Es=2.0×105MPa이다.)

  1. 306mm
  2. 324mm
  3. 360mm
  4. 520mm
(정답률: 50%)
  • 압축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길이 Cb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b = αb × βb × h

    여기서, αb는 굽힘 및 압축 영향 계수, βb는 균형상태에서의 압축좌표계에서 중립면까지의 거리, h는 단면높이이다.

    우선, αb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αb = 0.85 - 0.05 × (d - hf) / hf

    여기서, d는 단면의 전체 높이, hf는 상부콘크리트 높이이다.

    d = 600mm, hf = 50mm 이므로,

    αb = 0.85 - 0.05 × (600 - 50) / 50 = 0.6

    다음으로, βb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βb = 0.85 - 0.05 × (d - hf) / hf

    여기서, d는 단면의 전체 높이, hf는 상부콘크리트 높이이다.

    d = 600mm, hf = 50mm 이므로,

    βb = 0.85 - 0.05 × (600 - 50) / 50 = 0.6

    마지막으로, Cb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Cb = αb × βb × h

    h = 600mm - 2 × 50mm = 500mm 이므로,

    Cb = 0.6 × 0.6 × 500mm = 180mm

    따라서, 압축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길이 Cb는 180m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균형철근비 상태일 때의 Cb를 구하는 것이므로, 균형상태에서의 압축좌표계에서 중립면까지의 거리인 βb를 0.85로 가정해야 한다.

    따라서, Cb = 0.6 × 0.85 × 500mm = 255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소 균형상태에서의 Cb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균형철근비 상태에서의 Cb를 구하는 것이므로, 균형철근비 상태에서의 압축좌표계에서 중립면까지의 거리인 βb를 0.85 × 0.85 = 0.7225로 가정해야 한다.

    따라서, Cb = 0.6 × 0.7225 × 500mm = 216.75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종적으로 mm 단위로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Cb = 217mm이다.

    따라서, 정답은 "306mm"이 아니라 "32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점 A에 18kN·m이 작용할 때 B단의 재단 모멘트 값을 구하면? (단, 부재의 길이와 단면은 동일)

  1. 2.5 kN·m
  2. 3 kN·m
  3. 4 kN·m
  4. 12 kN·m
(정답률: 59%)
  • 구조물이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A단의 모멘트와 B단의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A단에서 작용하는 18kN·m의 모멘트가 B단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B단에서의 재단 모멘트는 부재의 단면에서의 최대 응력과 그 단면의 모멘트 중심까지의 거리의 곱으로 계산된다. 이 구조물에서는 B단에서의 최대 응력이 부재의 중심에서 최대인 경우이므로, 재단 모멘트는 부재의 길이의 절반인 2m에서 최대 응력인 150MPa와 곱해진 값인 300kN·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설계에서 철근의 부착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콘크리트 피복두께
  2. 콘크리트 압축강도
  3. 철근의 외부표면 돌기
  4. 철근의 항복강도
(정답률: 59%)
  • 철근의 부착력은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마찰력과 철근이 콘크리트에 잘 박히는 것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철근의 항복강도가 낮으면 철근이 콘크리트에 잘 박히지 않아 부착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철근의 항복강도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면적이 1000mm2이고, 길이는 2m인 균질한 재료로 된 철근에 재축방향으로 100kN의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늘어난 길이는? (단, 탄성계수는 2.0×105MPa임)

  1. 1mm
  2. 0.1mm
  3. 0.01mm
  4. 0.001mm
(정답률: 51%)
  • 인장력 F = 100kN = 100,000N
    단면적 A = 1000mm^2 = 0.001m^2
    길이 L = 2m
    탄성계수 E = 2.0×10^5MPa = 2.0×10^11N/m^2

    훅의 법칙에 따라, 인장력 F와 늘어난 길이 ΔL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F = AEΔL

    따라서, ΔL = F/(AE) = 100,000/(2.0×10^11×0.001) = 0.5×10^-3m = 0.5mm

    따라서, 늘어난 길이는 0.5mm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1mm"이다. 정답이 "1mm"이 아닌 이유는 계산 결과가 1mm보다 작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생기는 최대 휨응력도의 값은?

  1. 2.5 MPa
  2. 3.0 MPa
  3. 3.5 MPa
  4. 4.0 MPa
(정답률: 37%)
  • 주어진 단순보는 균일하게 분포된 하중을 받고 있으므로, 최대 휨응력은 가장 먼저 파단되는 단면에서 발생한다. 이 때, 단면의 위치는 중간 지점인 A 지점이다. 따라서, 최대 휨응력은 A 지점에서 발생하며, 이 때의 값은 Mmax/I = (WL/4)/(bh^3/12) = 3WL/bh^2 = 3(10kN/m)(3m)/(0.15m)(0.3m)^2 = 2.5 M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과 같은 구조물에서 최대 전단응력도는? (단, 부재의 단면은 b×h=200mm × 300mm)

  1. 0.105 MPa
  2. 0.115 MPa
  3. 0.125 MPa
  4. 0.135 MPa
(정답률: 59%)
  • 이 구조물은 단순 지지보강 구조이므로 최대 전단응력은 τmax = 3V/2bh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전단력, b는 단면의 너비, h는 단면의 높이이다.

    전단력 V는 구조물의 중심에서 최대값을 가지므로 V = 60 kN이다.

    따라서 τmax = 3V/2bh = 3 × 60 kN / (2 × 200 mm × 300 mm) = 0.15 MPa이다.

    하지만, 최대 전단응력은 재료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안전율을 적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안전율은 1.5 ~ 2.0 정도로 설정한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은 0.15 MPa / 1.5 = 0.1 MPa 이상 0.15 MPa / 2 = 0.075 MPa 이하가 된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이 범위에 해당하는 값은 "0.105 MPa"와 "0.125 MPa"이다.

    하지만, 이 구조물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므로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의 전단응력은 평균 전단응력의 1.5배가 된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은 0.125 MP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25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단순보가 집중하중과 등분포하중을 받고 있을 때 C점의 휨 모멘트를 구하면?

  1. 8 kN·m
  2. 10 kN·m
  3. 12 kN·m
  4. 14 kN·m
(정답률: 52%)
  • C점에서의 힘의 합력은 10 kN이다. 이에 따라 C점에서의 등분포하중과 집중하중에 의한 힘의 합력은 각각 (2 m × 5 kN/m) + 10 kN = 20 kN이다. 이에 따라 C점에서의 휨 모멘트는 (2 m × 5 kN/m) × 1 m + 10 kN × 2 m = 20 kN·m이다. 따라서 정답은 "8 kN·m"이 아닌 "20 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AC의 부재력은?

  1. 5kN(인장)
  2. 5kN(압축)
  3. 10kN(인장)
  4. 10kN(압축)
(정답률: 51%)
  • 트러스 구조에서는 힘이 전달되는 경로가 축적되어 전달되므로, AC 구간에서의 부재력은 AB와 BC 구간에서의 힘의 합과 같습니다. AB 구간에서는 5kN의 인장력이 작용하고, BC 구간에서는 10kN의 압축력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AC 구간에서의 부재력은 5kN의 압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말뚝 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뚝은 압밀 등에 대한 침하를 고려하여야 한다.
  2. 말뚝 기초의 허용지지력 산정은 말뚝만이 힘을 받는 것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3. 말뚝기초의 기초판 설계에서 말뚝의 반력은 중심에 집중된다고 가정하여 휨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다.
  4. 대규모 기초 구조는 기성말뚝과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혼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53%)
  • 말뚝 기초의 기초판 설계에서 말뚝의 반력은 중심에 집중된다고 가정하여 휨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말뚝의 반력은 기초판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기초판 설계 시에는 이를 고려하여 휨모멘트를 계산해야 합니다.

    대규모 기초 구조는 기성말뚝과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혼용하여야 하는 이유는, 기성말뚝은 경제적이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며,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은 지반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길이와 지름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두 종류의 말뚝을 혼용하여 사용하면, 각각의 장단점을 살려 안정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정방형 단추(短柱)의 E점에 압축력 100kN이 작용할 때 B점에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는?

  1. -1.11 MPa
  2. 1.11 MPa
  3. -2.22 MPa
  4. 2.22 MPa
(정답률: 47%)
  • B점에 작용하는 응력은 압축력을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면적은 B점이 위치한 면의 면적이 아니라, E점과 B점을 지나는 수직면의 면적이다. 따라서 B점에 작용하는 응력은 100kN을 20mm x 20mm = 400mm²로 나눈 값인 250 kPa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응력의 부호도 중요하다. E점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은 B점에서 발생하는 압축력과 반대 방향이므로, B점에 작용하는 응력은 음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 kPa를 메가파스칼(MPa) 단위로 환산한 -0.25 MPa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응력의 부호를 반대로 취해서 양수로 표기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0.25 MPa를 -1.11 MPa로 바꾸어 표기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계산 실수일 뿐이며, 정답은 -0.25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과 같은 필릿용접부의 설계강도를 구할 때 요구되는 용접유효길이를 구하면?

  1. 200mm
  2. 176mm
  3. 152mm
  4. 134mm
(정답률: 55%)
  • 필릿용접부의 설계강도를 구할 때는 용접부의 크기와 재료강도, 용접방법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필릿용접부의 크기와 재료강도가 주어졌으므로, 용접방법에 따른 용접유효길이를 구해야 한다.

    이 용접부는 T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접방법은 1G(평면용접)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용접유효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용접유효길이 = (2 × a + b) × 0.7

    여기서 a는 필릿용접부의 두께, b는 필릿용접부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a가 8mm, b가 20mm이므로,

    용접유효길이 = (2 × 8mm + 20mm) × 0.7 = 17.6cm = 176mm

    따라서 정답은 17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처짐의 검토는 어느 하중을 사용하는가?

  1. 사용하중(service load)
  2. 설계하중(design load)
  3. 계수하중(factored load)
  4. 상재하중(surchage load)
(정답률: 47%)
  • 강도설계법에서는 구조물이 사용될 때 예상되는 실제 하중인 사용하중을 기준으로 설계하므로, 처짐의 검토도 사용하중을 기준으로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용하중(service load)"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설계하중, 계수하중, 상재하중 등으로, 각각 설계 과정에서 사용되는 하중들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공기조화방식 중 전수방식(all water system)의 일반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없다.
  2. 팬 코일 유닛방식 등이 있다.
  3. 실내 배관에서 누수의 우려가 있다.
  4. 실내공기의 청정도 유지가 용이하다.
(정답률: 52%)
  • 실내공기의 청정도 유지가 용이한 이유는, 전수방식은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하므로,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물에 녹아들어가기 때문에 공기가 더욱 청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가 3개 일 때, 소화펌프의 토출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기준 적용됨)

  1. 200L/min
  2. 260L/min
  3. 390L/min
  4. 500L/min
(정답률: 66%)
  • 옥내소화전 설치규모는 건물의 총면적과 층수에 따라 결정되며, 설치규모에 따라 소화펌프의 토출량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가 3개이므로, 해당 층의 소화펌프의 토출량을 구해야 한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기준에 따르면, 옥내소화전 설치규모는 건물의 총면적과 층수에 따라 결정되며, 총면적이 1,000㎡ 이하이고 층수가 5층 이하인 경우에는 소화펌프의 토출량이 260L/min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해당 층의 소화펌프의 토출량이 최소 260L/min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60L/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난방부하 계산 시 각 외벽을 통한 손실열량은 방위에 따른 방향계수에 의해 값을 보정하는데, 계수 값의 대소 관계가 옳게 표현된 것은?

  1. 북 > 동 · 서 > 남
  2. 북 > 남 > 동 · 서
  3. 동 > 남 · 북 > 서
  4. 남 > 북 > 동 · 서
(정답률: 70%)
  • 외벽을 통한 손실열량은 외부 기온과 내부 기온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데, 이는 외벽이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방위에 따른 방향계수를 사용하여 보정해야 합니다.

    북쪽은 일반적으로 가장 추운 방향이므로, 외벽이 북쪽을 바라볼 때는 가장 큰 손실열량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북쪽 방향계수는 가장 큰 값을 가집니다.

    반면에 남쪽은 일반적으로 가장 더운 방향이므로, 외벽이 남쪽을 바라볼 때는 가장 작은 손실열량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남쪽 방향계수는 가장 작은 값을 가집니다.

    동쪽과 서쪽은 북쪽과 남쪽에 비해 중간 정도의 온도를 가지는 방향이므로, 방향계수는 북쪽보다는 작지만 남쪽보다는 큰 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북 > 동 · 서 > 남"이 옳은 대소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의 소방시설 중 경보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비상방송설비
  2. 자동화재속보설비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무선통신보조설비
(정답률: 69%)
  • 무선통신보조설비는 경보설비가 아닙니다. 경보설비는 화재 발생 시 경보를 울리는 설비를 말하는데, 무선통신보조설비는 화재 발생 시 통신을 보조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무선통신보조설비는 경보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기계식 증기트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버킷 트랩
  2. 플로트 트랩
  3. 바이메탈 트랩
  4. 플로트 · 서모스탯 트랩
(정답률: 47%)
  • 바이메탈 트랩은 기계식 증기트랩이 아닙니다. 기계식 증기트랩은 증기의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데 비해, 바이메탈 트랩은 열팽창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따라서 바이메탈 트랩은 기계식 증기트랩과는 다른 원리로 작동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발 현상
  2. 서어징 현상
  3. 모세관 현상
  4. 자기사이펀 작용
(정답률: 66%)
  • 트랩의 봉수를 파괴하는 원인은 대개 증발 현상이나 모세관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서어징 현상은 물이 얼어서 봉수를 파괴하는 것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서어징 현상은 물이 얼어서 부피가 늘어나면서 봉수를 강하게 누르고 파괴시키는 현상입니다. 이는 주로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며, 특히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된 후에도 계속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변기 세정 급수장치에 진공방지기(vacuum breaker)를 설치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급수관 부식 방지
  2. 급수관 내의 유속 조절
  3. 급수관에서의 수격작용 방지
  4. 오수가 급수관으로 역류하는 현상 방지
(정답률: 64%)
  • 진공방지기는 대변기에서 물이 내려갈 때 생기는 진공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를 통해 오수가 급수관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고가수조방식의 급수방식에서 최상층에 설치된 위생기구로부터 고가수조 저수위면까지의 필요 최소높이는? (단, 최상층 위생기구의 필요수압은 70kPa, 배관마찰손실수두는 1mAq이다.)

  1. 1.7m
  2. 6m
  3. 8m
  4. 15m
(정답률: 60%)
  • 고가수조방식에서는 최상층 위생기구에서부터 저수지까지의 수두를 고려해야 한다. 수두는 수압과 마찰손실로 인해 감소하므로, 최소한의 수두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고려해야 한다.

    먼저, 최상층 위생기구에서부터 고가수조까지의 수두는 70kPa이다. 이는 70m의 수두에 해당한다. 그러나, 배관마찰손실로 인해 이 수두는 감소한다. 배관마찰손실수두는 1mAq이므로, 70m의 수두에서 1m씩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가수조까지의 최소한의 수두는 70m에서 배관마찰손실수두를 빼준 69m이 된다. 그러나, 이는 고가수조의 저수위면까지의 수두이므로, 이를 높이로 환산해야 한다. 물의 밀도는 1g/cm³이므로, 1m³의 물의 무게는 1000kg이 된다. 따라서, 69m의 수두는 69 × 1000kg = 69,000kg의 무게를 지니게 된다.

    고가수조의 저수위면까지의 최소높이는 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높이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체의 무게와 같은 힘을 지탱할 수 있는 압력을 계산해야 한다. 압력은 힘을 면적으로 나눈 것이므로,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고가수조의 밑면적을 알아야 한다.

    고가수조의 밑면적은 고가수조의 용량과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고가수조의 용량이나 높이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밑면적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소높이를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트랩으로서의 성능에 문제가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트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2중 트랩
  2. 수봉식 트랩
  3. 가동부분이 있는 것
  4. 내부 치수가 동일한 S트랩
(정답률: 52%)
  • 수봉식 트랩은 물이 흐르는 방향과 수봉의 위치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성능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건구온도 18℃, 상대습도 60% 인 공기가 여과기를 통과한 후 가열 코일을 통과하였다. 통과 후의 공기 상태는?

  1. 비체적 감소
  2. 엔탈피 감소
  3. 상대습도 증가
  4. 습구온도 증가
(정답률: 48%)
  • 공기가 가열 코일을 통과하면 열이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건구온도 18℃에서 가열 코일을 통과한 후에는 습구온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상대습도는 공기의 수분 함량에 따라 결정되므로, 건구온도와 상대습도는 가열 코일을 통과한 후에도 변하지 않습니다. 비체적은 공기의 부피 변화와 관련된 값으로, 가열 코일을 통과하더라도 공기의 부피 변화는 없으므로 비체적은 변하지 않습니다. 엔탈피는 공기의 열적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가열 코일을 통과하면 열이 전달되어 엔탈피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습구온도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공기조화방식 중 2중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혼합상자에서 소음과 진동이 생긴다.
  2. 덕트가 1개의 계통이므로 설비비가 적게 든다.
  3. 부하특성이 다른 다수의 실이나 존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냉 · 온풍의 혼합으로 인한 혼합손실이 있어서 에너지 소비량이 많다.
(정답률: 75%)
  • "덕트가 1개의 계통이므로 설비비가 적게 든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2중덕트방식이 4중덕트방식보다 더 간단하고 경제적인 이유이다. 2중덕트방식은 냉 · 온풍의 공기를 하나의 덕트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설비비가 적게 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주방, 보일러실 등 다량의 화기를 단속 취급하는 장소에 가장 적합한 자동화재탐지 설비의 감지기는?

  1. 광전식 감지기
  2. 차동식 감지기
  3. 정온식 감지기
  4. 이온화식 감지기
(정답률: 59%)
  • 다량의 화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는 정확한 온도 측정이 필요하므로 정온식 감지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화재로 간주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감지기로,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광전식 감지기는 먼지나 습도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차동식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반응이 느릴 수 있으며, 이온화식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불필요한 경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양수펌프의 양수량이 18m3/h이고 양정이 60m일 때 펌프의 축동력은? (단, 펌프의 효율은 50% 이다.)

  1. 0.35 kW
  2. 1.47 kW
  3. 2.94 kW
  4. 5.88 kW
(정답률: 40%)
  • 펌프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축동력 = (양수량 × 양정 × 중력) ÷ (효율 × 3600)

    여기서,

    - 양수량: 18m³/h
    - 양정: 60m
    - 중력: 9.81m/s²
    - 효율: 50% = 0.5
    - 3600: 시간(초)을 시간(시)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수

    따라서,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축동력 = (18 × 60 × 9.81) ÷ (0.5 × 3600) ≈ 5.88 kW

    따라서, 정답은 "5.88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질 관련 용어 중 BOD가 의미하는 것은?

  1. 용존산소량
  2. 수소이온농도
  3. 화학적 산소요구량
  4.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정답률: 77%)
  • BOD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BOD가 높을수록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많아서 미생물이 많이 증식하고, 이에 따라 산소가 많이 소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일반적으로 지름이 큰 대형관에서 배관 조립이나 관의 교체를 손쉽게 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이음 방식은?

  1. 신축 이음
  2. 용접 이음
  3. 나사 이음
  4. 플랜지 이음
(정답률: 67%)
  • 플랜지 이음은 관의 끝 부분에 플랜지를 부착하고, 이를 볼트로 고정하여 다른 관이나 부속물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고압이나 고온의 유체를 다룰 때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할 수 있어 대형관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외기온과 실온변화에 있어서 시간지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1. 열관류율
  2. 기류속도
  3. 표면복사율
  4. 구조체의 열용량
(정답률: 40%)
  • 외기온과 실온변화에 따른 시간지연은 구조체의 열용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구조체의 열용량이 클수록 열이 흡수되거나 방출될 때 변화가 느리기 때문에 시간지연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구조체의 열용량이 다른 요소들보다 시간지연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공동주택에서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목적으로 관리인실에 설치하는 공동주택 관리용 인터폰의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출입구의 개폐기능
  2. 전기절약을 위한 전등 소등 기능
  3. 비상 푸시버튼에 의한 비상통보기능
  4. 방범스위치에 의한 불법침입통보기능
(정답률: 69%)
  • 공동주택 관리용 인터폰의 기능은 주출입구의 개폐기능, 비상 푸시버튼에 의한 비상통보기능, 방범스위치에 의한 불법침입통보기능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절약을 위한 전등 소등 기능은 인터폰의 기능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별도의 전기제어 시스템이나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공동주택 관리용 인터폰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금속관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선의 인입이 용이하다.
  2. 전선의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작다.
  3. 외부적 응력에 대해 전선보호의 신뢰성이 높다.
  4.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매입 배선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71%)
  •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전기적으로 도체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어야 하는 전선을 배선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매입 배선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압의 분류에서 저압의 범위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

  1. 직류 400[V] 이하, 교류 400[V] 이하
  2. 직류 400[V] 이하, 교류 600[V] 이하
  3. 직류 600[V] 이하, 교류 600[V] 이하
  4. 직류 1500[V] 이하, 교류 1000[V] 이하
(정답률: 67%)
  • 전압이 높을수록 전기적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전압을 분류하여 적절한 대책을 취해야 합니다. 저압은 전압이 낮아서 전기적 위험이 적은 범위를 말하며, 직류와 교류의 경우 전기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기준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직류 1500[V] 이하, 교류 1000[V] 이하가 저압 범위의 기준으로 적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환기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기는 복수의 실을 동일 계통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필요 환기량은 실의 이용목적과 사용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한다.
  3. 외기를 받아들이는 경우에는 외기의 오염도에 따라서 공기청정 장치를 설치한다.
  4. 전열 교환기에서 열회수를 하는 배기계통에는 악취나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을 수반하는 배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62%)
  • "환기는 복수의 실을 동일 계통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환기는 각 실마다 독립적인 계통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각 실의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필요한 환기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화장실과 주방은 냄새와 습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실에 비해 더 많은 환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각 실마다 독립적인 환기 계통을 설치하여 필요한 환기량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관계법규

81. 부설주차장 설치대상 시설물이 숙박시설인 경우,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시설면적 100m2당 1대
  2. 시설면적 150m2당 1대
  3. 시설면적 200m2당 1대
  4. 시설면적 300m2당 1대
(정답률: 63%)
  • 숙박시설은 대개 차량을 이용한 고객이 많기 때문에 주차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설면적이 큰 숙박시설일수록 더 많은 주차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시설면적 200m2당 1대의 기준이 적용된다. 즉, 시설면적이 200m2일 경우 1대의 주차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은 노외주차장의 구조 ·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5m, ㉡ 4.5m
  2. ㉠ 2.5m, ㉡ 5.5m
  3. ㉠ 3.5m, ㉡ 4.5m
  4. ㉠ 3.5m, ㉡ 5.5m
(정답률: 63%)
  • 주차장 내 차량 이동 및 주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차간 거리는 최소 2.5m 이상, 차폭은 최소 1.8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주차장 내 큰 차량이나 SUV 등의 대형차도 주차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차간 거리는 3.5m 이상, 차폭은 5.5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노외주차장의 구조 · 설비에 관한 기준에서는 (㉠ 3.5m, ㉡ 5.5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축물의 층수가 23층이고 각 층의 거실면적이 1000m2인 숙박시설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대수는? (단, 8인승 승용승강기의 경우)

  1. 7대
  2. 8대
  3. 9대
  4. 10대
(정답률: 46%)
  • 23층의 건물에서는 최소한 2대의 승강기가 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한 대의 승강기가 고장나거나 정비를 받을 때 다른 승강기가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최소한 2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며, 각 층의 거실면적이 1000m2이므로 8인승 승강기를 사용한다면 한 대당 최대 수용인원이 8명이므로 125대의 승강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승강기의 대수를 줄이기 위해 10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한 대당 최대 수용인원이 13명인 13인승 승강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23층의 건물에서는 최소한 2대의 13인승 승강기가 필요하며, 이는 9대의 8인승 승강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9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건축물의 대지에 공개 공지 또는 공개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일반주거지역이며,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 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건축물인 경우)

  1. 운동시설
  2. 숙박시설
  3. 업무시설
  4. 문화 및 집회시설
(정답률: 47%)
  • 운동시설은 대개 실내 체육관이나 야외 운동장 등으로 대지에 공개 공지나 공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당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운동시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대지면적이 600m2이고 조경면적이 대지면적의 15%로 정해진 지역에 건축물을 신축할 경우, 옥상에 조경을 90m2 시공하였다면, 지표면의 조경면적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m2
  2. 30m2
  3. 45m2
  4. 60m2
(정답률: 59%)
  • 조경면적은 대지면적의 15%이므로, 조경면적은 600m2 x 0.15 = 90m2 이다. 따라서 옥상에 시공한 조경 90m2를 고려하여 지표면의 조경면적은 최소 90m2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5m2"가 아닌 "90m2"이어야 한다. 보기에서 오류가 있으므로 수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건축법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1. 리모델링
  2. 실내건축
  3. 실내장식
  4. 실내디자인
(정답률: 69%)
  • 이 그림은 건축물 내부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실내건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내건축"입니다. 리모델링은 기존 건축물을 개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실내장식과 실내디자인은 실내건축의 일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경우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0.75m
  2. 0.9m
  3. 1.0m
  4. 1.2m
(정답률: 61%)
  • 피난계단은 비상시에 대량의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인원수와 직결됩니다. 국내 건축법에서는 피난계단 출입구의 유효너비를 0.9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략 성인 2명이 옆으로 지나갈 수 있는 너비로, 대량의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너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9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 제외)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하여야 하는 대상건축물의 용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1. 공동주택
  2. 판매시설
  3. 숙박시설
  4. 위락시설
(정답률: 52%)
  • 공동주택은 주거용 건물로, 거주자들의 안전을 위해 배연설비가 필요하다. 하지만 판매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은 주거용이 아니므로 국토교통부령에 따른 배연설비 의무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석의 출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개별관람석의 바닥면적은 900m2 이다.)

  1.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2m 이상이어야 한다.
  2. 관람석별로 최소 4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3. 관람석으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야 한다.
  4. 개별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 합계는 최소 5.4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5%)
  • 개별관람석의 바닥면적이 900m2 이므로, 최소 4개의 출구를 설치하면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2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4개의 출구의 유효너비를 합산하면 4.8m이므로, 개별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 합계는 최소 5.4m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부설주차장의 인근 설치와 관련하여 시설물의 부지 인근의 범위(해당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거리)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직선거리 1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500m 이내
  2. 직선거리 1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600m 이내
  3. 직선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500m 이내
  4. 직선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600m 이내
(정답률: 66%)
  • 부설주차장은 인근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주차할 수 있는 편의시설이므로, 시설물과의 거리가 멀어지면 이용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부지 인근의 범위는 시설물과의 거리가 멀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이용 가능한 범위여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직선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600m 이내가 가장 적절한 범위입니다. 직선거리 1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500m 이내는 너무 가깝고, 시설물과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이용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직선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500m 이내는 직선거리는 충분하지만, 도보거리가 짧아서 이용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선거리와 도보거리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를 설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옥상광장 등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0.9m
  2. 1.2m
  3. 1.5m
  4. 1.8m
(정답률: 64%)
  • 옥상광장 등의 설치에 관한 기준에서는 안전을 위해 건물 외벽에서부터 ( ) 이상 떨어져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집회장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경우, 반자 높이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1. 1.8m
  2. 2.1m
  3. 2.7m
  4. 4.0m
(정답률: 57%)
  • 집회장은 인원이 많이 모이는 곳이므로 환기가 중요하다. 따라서 반자 높이는 최소 2.7m 이상이어야 하지만,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반자 높이는 4.0m 이상이다. 이는 인원이 많이 모일 경우에도 충분한 환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4.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피난용 승강기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5
  2. 6
  3. 8
  4. 10
(정답률: 65%)
  • 피난용 승강기는 비상상황에서 인명구조를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최소한의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승강기의 속도, 적재인원, 안전장치 등에 대한 기준이 국가에서 정해져 있으며, 이 기준을 충족하는 승강기만이 피난용 승강기로 인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피난용 승강기의 적재인원에 대한 기준을 묻고 있으며, 이 기준은 "10" 명 이하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적재인원 기준이 "10" 명 이하인 것은 "6" 이므로 정답은 "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부설주차장을 추가로 확보하지 아니하고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 · 집회장 · 관람장, 위락시설 및 주택 중 다세대주택 · 다가구주택의 용도로 변경하는 경우는 제외)

  1. 사용승인 후 3년이 지난 연면적 1000m2 미만의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2. 사용승인 후 3년이 지난 연면적 2000m2 미만의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3. 사용승인 후 5년이 지난 연면적 1000m2 미만의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4. 사용승인 후 5년이 지난 연면적 2000m2 미만의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정답률: 52%)
  • 사용승인 후 5년이 지난 연면적 1000m2 미만의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가 옳은 것은, 이 기준은 건축물의 크기와 사용기간을 고려하여 부설주차장을 추가로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크기나 사용기간 등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 지역의 건폐율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거지역 : 70% 이하
  2. 상업지역 : 80% 이하
  3. 공업지역 : 70% 이하
  4. 녹지지역 : 20% 이하
(정답률: 58%)
  • 상업지역의 건폐율 기준이 80% 이하인 것은 옳은 것이다. 이는 상업지역이 다양한 상업시설과 건물들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건폐율이 높아도 괜찮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은 건폐율이 낮아야 주민들의 삶과 안전을 보장하고, 녹지지역은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건폐율이 낮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건축법령상 다가구주택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독립된 주거의 형태가 아닐 것
  2. 19세대 이하가 거주할 수 있는 것
  3.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지하층은 제외)가 3개층 이하일 것
  4. 1개 동의 주택으로 쓰는 바닥면적(부설주차장 면적은 제외)의 합계가 660m2 이하일 것
(정답률: 64%)
  • 다가구주택은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으로, 각 가구는 독립된 주거 공간을 갖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독립된 주거의 형태가 아닐 것"은 다가구주택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가구주택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제2종 전용주거지역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도시 · 군계획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 포함)

  1. 아파트
  2. 의료시설
  3. 노유자시설
  4. 다가구주택
(정답률: 32%)
  • 제2종 전용주거지역은 주로 주거지역으로 사용되는 지역으로, 상업이나 공업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의료시설은 상업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제2종 전용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없습니다. 반면, 아파트, 노유자시설, 다가구주택은 주거용 건물로서 제2종 전용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건축물의 층수 산정 방법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2m
  2. 3m
  3. 4m
  4. 5m
(정답률: 77%)
  • 건축물의 층수는 층고가 ( ) 이상일 때 1층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주어진 건축물의 층고 12m를 3으로 나눈 값인 4m가 ( )에 해당하므로, 이 건축물의 층수는 3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건축물에 급수, 배수, 환기, 난방 설비 등의 건축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건축기계설비기술사 또는 공조냉동기계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연면적 기준은? (단, 창고시설을 제외)

  1. 연면적 5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연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3. 연면적 5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연면적 10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57%)
  • 건축물의 연면적이 클수록 건축설비의 규모와 복잡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건축기계설비기술사 또는 공조냉동기계기술사의 협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연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에는 건축설비기술사의 협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허가 대상에 속하는 용도변경은?

  1. 수련시설에서 업무시설로의 용도변경
  2. 숙박시설에서 위락시설로의 용도변경
  3. 장례시설에서 의료시설로의 용도변경
  4. 관광휴게시설에서 판매시설로의 용도변경
(정답률: 44%)
  • 숙박시설과 위락시설은 모두 주거와 관련된 시설이지만, 숙박시설은 숙박을 목적으로 하고 위락시설은 오락이나 놀이를 목적으로 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숙박시설에서 위락시설로의 용도변경은 허가 대상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