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컬러리스트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1. 동일한 톤의 배색은 어떤 효과를 낼 수 있는가?

  1. 차분하고 정적이며 통일감의 효과를 낸다.
  2. 동적이고 화려하며 자극적인 효과를 낸다.
  3. 안정적이고 온화하며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4. 통일감과 더불어 변화와 활력있는 느낌을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한 톤의 배색은 색상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차분하고 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또한, 색상이 통일되어 있어서 통일감을 느끼게 하며, 고요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렌(Faber Birren)의 형태와 색의 연관 관계 중 틀린것은?

  1. 색의 온도감은 색의 속성 중 색상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2.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3. 한색계열의 저채도 색이 심리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준다.
  4. 중량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채도로, 채도의 차이가 무게감을 좌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량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채도로, 채도의 차이가 무게감을 좌우한다는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중량감은 색의 진하기와 밝기에 영향을 받으며, 채도는 색의 선명도와 진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중량감과 채도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중량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채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백화점의 현관이나 호텔의 로비와 같이 활동적인 장소의 색상으로 적합한 것은?

  1. 회색계
  2. 한색계
  3. 난색계
  4. 중성계
(정답률: 알수없음)
  • 활동적인 장소에서는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색감이 강하고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색상 계열은 난색계입니다. 난색계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 다양한 색상이 혼합되어 있어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화점의 현관이나 호텔의 로비와 같이 활동적인 장소에서는 난색계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서양 문화권에서 색채가 상징하는 역할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왕권 - 노랑
  2. 생명 - 녹색
  3. 순결 - 흰색
  4. 파랑 - 평화
(정답률: 알수없음)
  • 왕권과 노랑은 서양 문화권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왕권은 보라색이나 빨간색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노란색은 오히려 돈이나 부의 상징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제품 색채계획의 배색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색채 이미지는 단색보다는 배색시에 더욱 뚜렷하게 전달된다.
  2. 비콜로 배색, 트리콜로 배색은 강한 대비를 이용한 방법이다.
  3. 색채계획에서 제품과 시장,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배색이 중요하다.
  4. 주조색이 결정되고 배색을 할 대는 디자이너의 감성이 보다 중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색이 결정되고 배색을 할 대는 디자이너의 감성이 보다 중요하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올바르지 않은 정보이다. 배색은 제품과 시장,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디자이너의 감성 또한 중요하지만, 이는 보다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바탕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색채의 공감각에 대한 이론을 주장한 사람과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뉴턴 : 색채와 소리 - 빨강(도), 주황(레), 노랑(미), 녹색(파), 파랑(솔), 남색(라), 보라(시)
  2. 카스텔 : 음계와 색 - C는 청색, D는 녹색, E는 노랑, G는 빨강, A는 보라
  3. 비렌 : 색채와 모양 - 빨강은 뾰족하고 날카로운 느낌으로 삼각형 연상
  4. 이텐 : 색채와 모양 - 수직과 수평선의 특성이 있는 모든 모양은 사각형과 관련
(정답률: 알수없음)
  • 비렌은 색채와 모양 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빨강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느낌으로 삼각형을 연상시킨다는 이론을 주장했다. 이론과 관련된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아니므로 정답은 "비렌 : 색채와 모양 - 빨강은 뾰족하고 날카로운 느낌으로 삼각형 연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민족의 색채기호에 태양광선과 공기의 상태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1. 지리적 측면
  2. 사회문화적 측면
  3. 인구학적 측면
  4. 심리학적 측면
(정답률: 알수없음)
  • 민족의 색채기호는 지리적 측면에서 영향을 받는다. 지리적인 위치와 기후 조건에 따라 태양광선과 공기의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는 민족의 색채기호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태양이 강하게 비추는 지역에서는 밝은 색상이 선호되고, 습한 지역에서는 적색 계열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여러 나라의 전통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것은?

  1. 라틴 아메리카는 저체도의 색채를 선호한다.
  2. 중국에서는 빨강에 대한 선호도가 크다.
  3.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녹색을 신성시한다.
  4. 북유럽의 선호색채는 한색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북유럽의 선호색채는 한색계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북유럽 지역에서는 다양한 색채를 선호하며, 특히 밝고 선명한 색채를 선호한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저체도의 색채를 선호하는 이유는, 이 지역의 문화에서는 강렬하고 화려한 색채보다는 부드럽고 조화로운 색채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지역의 기후와 자연환경에서도 부드러운 색채가 더 어울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색채의 상징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올림픽 마크의 5색은 5대양주라는 상징성을 가진 컬러 심볼이다.
  2. 중국에서는 방위의 구분에 색을 사용하였는데, 청색은 동쪽의 색이다.
  3. 색의 상징으로 등급을 구분하거나나 방위, 분류 등을 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4. 조선시대에도 색으로 등급을 구분하였는데, 정1품에서 정3품까지 청색의 옷을 입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시대에도 색으로 등급을 구분하였는데, 정1품에서 정3품까지 청색의 옷을 입었다. (이 문장은 틀린 내용이 아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실내의 색채조절에 대한 설명 중 가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천장색의 경우 반사율이 높으면서 눈부시지 않은 무광택 재료로 시공해야 한다.
  2. 바닥의 경우 반사율이 낮은 색이 좋으며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은 것은 좋지 못하다.
  3. 천장, 바닥, 벽의 순으로 어둡게 하는 것이 안정감이 있다.
  4. 문의 양쪽 기둥이나 창틀은 벽의 색과 맞도록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천장, 바닥, 벽의 순으로 어둡게 하는 것이 안정감이 있다."는 오히려 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밝은 천장은 공간을 더 크게 느끼게 하고, 어두운 바닥은 안정감을 준다는 연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색채의 연상과 상징으로 틀린 것은?

  1. 동일문화의 경우 색채연상은 비슷하다.
  2. 색채연상은 지역적, 인종적 특색을 만들기도 한다.
  3. 색채는 고대건축에서는 장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중세에 이르러서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다
  4. 색채연상은 건축물 설계시 공감을 얻는 색채적용 방법의 하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는 고대건축에서는 장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중세에 이르러서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고대 건축에서는 색채가 건축물의 장식적인 요소로 사용되었지만, 중세에 이르러서는 색채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이는 종교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인 의미도 지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색채는 고대건축에서는 장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중세에 이르러서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잔상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잔상이란, 자극으로 색각이 생긴 뒤에 자극을 제거한 후에도 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2. 모든 잔상은 자극으로 생긴 색각의 반대되는 상이 나타난다.
  3. 영화, 수술실의 녹색옷, 셀 에니메이션등은 잔상의 원리 및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4. 계시대비는 잔상의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모든 잔상은 자극으로 생긴 색각의 반대되는 상이 나타난다." 이다. 모든 잔상이 자극으로 생긴 색각의 반대되는 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자극의 세기, 색상, 지속시간 등에 따라 다양한 잔상이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색채조절의 효과로 틀린 것은?

  1. 조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천장을 밝은 노랑으로 칠한다.
  2. 공장에서 사고를 줄이기 위해 경고를 나타내는 주황색으로 내부를 칠한다.
  3. 안전을 기하기 위해 자동차의 바깥부분을 난색계통으로 칠한다.
  4. 주거공간의 남향에 있는 방에는 한색계열의 색으로 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을 기하기 위해 자동차의 바깥부분을 난색계통으로 칠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공장에서 사고를 줄이기 위해 경고를 나타내는 주황색으로 내부를 칠하는 것은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천장을 밝은 노랑으로 칠하는 것은 조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주거공간의 남향에 있는 방에는 한색계열의 색으로 칠하는 것은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자동차의 바깥부분을 난색계통으로 칠하는 것은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색의 선호에 관한 일반적인 경향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서구화된 나라일수록 검정색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2. 연령이 낮을수록 장파장의 원색계열과 밝은 톤을 선호한다.
  3. 일반적으로 지식수준이 높고 두뇌를 많이 사용하는 집단에 있는 사람들은 빨간색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4. 성인이 될수록 장파장의 빨강과 노랑 등을 선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령이 낮을수록 장파장의 원색계열과 밝은 톤을 선호한다. - 이유: 어린 아이들은 색상에 대한 경험이 적고, 시각적 자극에 민감하기 때문에 밝고 선명한 색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색채의 시간성과 속도감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은?

  1. 장파장의 색상은 실제 시간의 흐름보다 시간이 많이 지난 것처럼 느껴진다.
  2. 속도감은 색상과 채도와의 연관보다 명도와의 연관이 있다.
  3. 단파장의 색은 실제의 시간이 흐른 것보다 길게 느껴진다.
  4. 단파장의 색은 속도감이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파장의 색상은 실제 시간의 흐름보다 시간이 많이 지난 것처럼 느껴진다." 이유는, 장파장의 파장이 길어서 빛이 전달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느린 속도감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시간이 더 많이 지난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교회 창문의 스테인글라스 기법에 많이 사용되는 효과는?

  1. 분리배색
  2. 연속배색
  3. 반복배색
  4. 강조배색
(정답률: 알수없음)
  • 분리배색은 서로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구성된 패턴이나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기법으로, 스테인글라스에서는 각각의 색상이 분리되어 빛을 투과하면서 다양한 색조와 빛의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이를 통해 창문에 자연스러운 색감과 깊이감을 부여하며, 예술적인 효과를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색채와 자연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형상에서 색의 톤과 이미지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
  2. 지역성을 중시하여 소재와 색채를 장식적인 것으로 한다.
  3. 그 지역의 기후, 풍투에 맞는 자연 소재가 기본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4. 기온과 일조량의 차이에 따라 톤의 이미지가 변하므로 나라마다 선호하는 색이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성을 중시하여 소재와 색채를 장식적인 것으로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지역성을 중시하여 자연 소재와 색채를 사용하여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즉,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색채와 소재를 선택하여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장 화려함을 느끼게 하는 색은?

  1. 고명도의 난색
  2. 고채도의 한색
  3. 고채도의 난색
  4. 저명도의 한색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화려함을 느끼게 하는 색은 "고채도의 난색"입니다. 이는 다양한 색상이 섞여 있어 눈에 띄는 화려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명도의 난색은 너무 선명해서 눈이 아프고, 고채도의 한색은 단조로워서 화려함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저명도의 한색은 색감이 흐려서 화려함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에 나타나는 반응은 어떤 색에 대한 신체적 반응인가?

  1. 노랑
  2. 녹색
  3. 주황
  4. 보라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반응은 주황색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다. 이는 색깔 심리학에서 주황색이 활기차고 열정적인 감정을 자극한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주황색은 신체적인 활동을 촉진시키고 식욕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채색 중 운동량이 활발하고 생명력이 뛰어나 역삼각형이 연상되는 색채는?

  1. 빨강
  2. 노랑
  3. 파랑
  4.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노랑은 밝고 활기차며, 태양과 같은 생명력을 상징하는 색상입니다. 또한 역삼각형 모양은 활동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합니다. 따라서 운동량이 활발하고 생명력이 뛰어난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노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기하학적 형태나 색채의 장력(長力)을 이용하여 시각적 착각을 다룬 추상미술은?

  1. 미니멀 아트(Minimal Art)
  2. 팝 아트(Pop Art)
  3. 옵 아트(Op Art)
  4. 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
(정답률: 알수없음)
  • 옵 아트(Op Art)는 기하학적 형태나 색채의 장력을 이용하여 시각적 착각을 다룬 추상미술이다. 이는 눈에 보이는 패턴이나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서 불안정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옵 아트는 시각적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관객의 눈과 뇌를 자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색채 시장조사과정에서 동종시장의 타제품과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전반적인 시장에서의 자사의 위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제품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마케팅 기법은?

  1. 제품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2. 스트리트 워칭(street watching)
  3. 표적 마케팅(market targeting)
  4. 제품 포지셔닝(product pisition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 포지셔닝은 동종시장의 타제품과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자사의 제품이 시장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기회를 발견할 수 있는 마케팅 기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품 포지셔닝과는 다른 마케팅 기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헤모글로빈, 멜라닌, 카로틴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1. 모발의 색
  2. 피부의 색
  3. 입술의 색
  4. 눈동자의 색
(정답률: 70%)
  • 헤모글로빈은 혈액의 산소 운반에 관여하며, 멜라닌은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카로틴은 식물에서 생산되는 색소로 인체에선 노란색을 띠는 색소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피부의 색은 멜라닌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색채계획시 디자인 대상에 액센트를 주어 신선한 느낌을 주는 색상으로 변화를 주기 위해 사용하는 색은?

  1. 주조색
  2. 보조색
  3. 강조색
  4. 유행색
(정답률: 알수없음)
  • 강조색은 디자인 대상에 액센트를 주어 눈에 띄게 만들어주는 색상입니다. 디자인에 적절히 사용하면 신선한 느낌을 주어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주조색은 전체적인 컬러 스키마를 결정하는 중요한 색상이며, 보조색은 주조색과 함께 사용되어 디자인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행색은 현재 트렌드에 맞는 색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채색의 선명함의 지각이 조명광의 조도레벨에 의존하여 변화하는 색채현상(효과)은?

  1. 푸르킨예현상
  2. 색음현상
  3. 헌트효과
  4. 브로커슐처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헌트효과는 조명의 조도레벨이 높아질수록 색상의 선명함이 더욱 강조되는 현상입니다. 즉, 밝은 조명 아래에서는 색상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밝기와 색상이 서로 다른 경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미지, 인상, 감정의 심리 효과를 측정하는 의미미분법 (SD법 : 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개발한 사람은?

  1. 퍼스
  2. 굿맨
  3. 소쉬르
  4. 오스굿
(정답률: 알수없음)
  • SD법을 개발한 사람은 오스카 오스굿(Osgood)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스굿"입니다. 이는 이미지, 인상, 감정 등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학적 평가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자인 역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구석기 시대에는 대개 주술적 또는 종교적 목적의 디자인이라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강조하지 않았다.
  2. 18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은 기계혁명이자 생산혁명인 동시에 디자인혁명이었다.
  3. 중세말 이탈리아에서 도시경제가 번영하게 되자 자연과 인간에 대한 사고방식이 바뀌었는데, 이를 고전문예의 부흥이라는 의미에서 르네상스라 불렀다.
  4. 중세 유럽문화는 크리스트교를 중심으로 하여 교회와 수도원이 그 중심에 있었고, 인간성에 대한 이해나 개성의 창조력이 뛰어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세 유럽문화는 크리스트교를 중심으로 하여 교회와 수도원이 그 중심에 있었고, 인간성에 대한 이해나 개성의 창조력이 뛰어났다. 이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중세 유럽문화는 교회와 수도원이 중심이었지만, 인간성에 대한 이해나 개성의 창조력은 제한되었고, 예술과 디자인에서도 교회의 규범과 제약이 강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자인 교육, 디자인 개발, 디자인 정책도 반드시 생태적 과정, 방법, 수단, 나아가 생태적 평가를 전제하여야 한다고 할 때 가장 필요한 요건은?

  1. 생화학성
  2. 경제성
  3. 질서성
  4. 친자연성
(정답률: 알수없음)
  • 디자인 교육, 개발, 정책에서 생태적 과정, 방법, 수단, 평가를 전제하기 위해서는 친자연성이 가장 필요하다. 이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디자인을 추구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함이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친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소극적인 면은 점의 확대, 선의 이동, 너비의 확대 등에 의해 성립된다.
  2. 소극적인 면은 종이나 판으로 입체화된 면이 만들어진다.
  3. 무정형의 면은 도형의 배후에 있어 도형을 올려놓은 큰 면, 즉 도형 대 바탕의 관계로서 무정형은 무형태를 뜻한다.
  4. 적극적인 면은 공간에 있어서 입체화된 점이나 선에 의해서 도 성립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정형의 면은 도형의 배후에 있어 도형을 올려놓은 큰 면, 즉 도형 대 바탕의 관계로서 무정형은 무형태를 뜻한다." 이것이 바른 설명이다. 이유는 무정형의 면은 도형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지며, 따라서 무형태를 뜻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좋은 디자인이 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기능성
  2. 심미성
  3. 창조성
  4. 윤리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윤리성은 디자인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지만, 디자인 자체의 품질을 결정하는 조건은 아닙니다. 따라서 윤리성은 좋은 디자인이 되기 위한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907년 결성된 독일공작연맹을 주도적으로 이끈 사람은?

  1. 헤르만 무테지우스
  2. 발터 그로피우스
  3. 헤르만 그레츠
  4. 오토 에크만
(정답률: 알수없음)
  • 1907년 결성된 독일공작연맹을 주도적으로 이끈 사람은 "헤르만 무테지우스"입니다. 그는 독일공작연맹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공작주들의 이익을 위해 노동자들을 억압하고 노동조합을 탄압하는 등 노동자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활동을 했습니다.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노동자들의 반감을 샀으며, 그의 활동은 독일 노동운동의 발전에 큰 장애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문자의 서체와 관련된 디자인 분야는?

  1. 패키지 디자인
  2. 에디토리얼 디자인
  3. 픽토그래프
  4. 타이포그래피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포그래피는 문자의 서체, 크기, 간격, 색상 등을 다루는 디자인 분야이다. 따라서 정답은 "타이포그래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패션 디자인의 유행색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국제유행색협회에서는 2년에 한 번 선정회의를 통해 유행색을 제시한다.
  2. 일반적으로 R, Y 색계열이 G, BG 색계열 보다 많이 사용된다.
  3. 계절적인 영향을 받아 봄·여름에는 밝고 연한 색, 가을·겨울에는 어둡고 짙은 색이 주로 사용된다.
  4. 인테리어 디자인 등 다른 디자인 분야보다 색영역이 다양하며, 유행이 빠르게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국제유행색협회에서는 2년에 한 번 선정회의를 통해 유행색을 제시한다." 이다. 실제로는 국제유행색협회에서는 매년 유행색을 선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마케팅의 구성요소 중 4P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품(Preduct)
  2. 촉진(Promotion)
  3. 가격(Price)
  4. 사람(People)
(정답률: 알수없음)
  • 사람(People)은 제품, 촉진, 가격과는 달리 마케팅의 대상이 아닌, 마케팅을 수행하는 인력이나 고객 등을 의미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4P 중에서는 사람(People)이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User Interface Design)의 궁극적인 목표는?

  1.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극대화
  2. 홍보효과의 극대화
  3. 개발기간의 최소화
  4. 새로운 수요의 창출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제품 또는 서비스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멀티미디어 디자인의 특성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사용자가 참여하는 사용자중심(user-centered-design) 으로 변화하고 있다.
  2. 상호작용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다.
  3.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 텍스트가 포함된다.
  4. 정보가 공급자 중심의 체계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가 공급자 중심의 체계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멀티미디어 디자인이 사용자의 요구와 관심사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과는 상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품색채계획단계 중 기획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장조사
  2. 소비자조사
  3. 색채분석 및 색채계획서 작성
  4. 제품 계열별 분류 및 체계화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 계열별 분류 및 체계화는 제품의 디자인 및 색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지만, 기획단계에서는 아직 제품의 디자인 및 색채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제품 계열별 분류 및 체계화"이다. 기획단계에서는 시장조사, 소비자조사, 색채분석 및 색채계획서 작성 등을 수행하여 제품의 기획 방향을 설정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디자인의 조형요소 중 형태의 분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유동 형태
  2. 순수 형태
  3. 자연 형태
  4. 인위적 형태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동 형태는 다른 형태들과 달리 고정된 형태가 없으며, 변화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형태의 분류 중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예를 들어, 물결이나 구름 등은 유동 형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선의 종류에 따른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기하직선형 : 질서가 있는 간결함, 확실, 명료, 강함
  2. 자유직선형 : 강력, 예민, 남성적, 명쾌, 대담
  3. 기하곡선형 : 유순, 수리적 질서, 자유, 확실, 고상함
  4. 자유곡선형 : 명확, 질서, 단정, 여성적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곡선형 : 명확, 질서, 단정, 여성적"은 올바른 연결입니다.

    설명:
    - 기하직선형: 간결하고 명료한 직선을 사용하여 질서와 강함을 나타냅니다.
    - 자유직선형: 자유롭고 예민한 직선을 사용하여 강력하고 남성적인 느낌을 나타냅니다.
    - 기하곡선형: 수학적인 질서와 고상한 느낌을 나타내는 곡선을 사용합니다.
    - 자유곡선형: 자유롭고 명확한 곡선을 사용하여 질서와 여성적인 느낌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패션 디자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의복의 균형은 디자인 요소들의 시각적 무게감에 의해 이루어진다.
  2. 재질(texture)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지각하는 디자인요소로서 개인의 기호, 개성, 심리에 반응하는 다양한 감정 효과를 지닌다.
  3. 패션디자인은 독창성과 개성을 디자인의 기본조건으로 하며 선, 재질, 색채 등을 고려하여 스타일을 디자인 한다.
  4. 색채이미지는 다양성과 개별성을 지니며 단색 이용시 더욱 뚜렷한 이미지를 전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의복의 균형은 디자인 요소들의 시각적 무게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의복의 디자인 요소들이 어떤 위치에 배치되어 있느냐에 따라 시각적으로 무게감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큰 꽃무늬 패턴이 있는 부분이 의복의 상단에 위치하면 상단이 무거워 보이고, 작은 꽃무늬 패턴이 있는 부분이 하단에 위치하면 하단이 무거워 보이게 된다. 이러한 시각적 무게감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구성하면 균형잡힌 의복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섹채관리

41. 정확한 색채 측정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필터식색채계는 백색기준물(white reference)의 색좌표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2. 분광식색채계는 백색기준물의 분광반사율을 기준으로 한다.
  3. 백색기준물의 분광반사율은 상대반사율척도로 교정되어 있다.
  4. 분광색채계의 측정방식이 0/d speculaar included 이면 백색기준물의 교정성적도 0/d speculaar included 방식 의 교정성적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색기준물의 분광반사율은 상대반사율척도로 교정되어 있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광원의 분광적인 특성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연색성(rendition)
  2. 눈부심(glare)
  3. 광원색(color)
  4. 색채순응(chromatic afapt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눈부심(glare)"입니다. 광원의 분광적인 특성과 연색성, 광원색, 색채순응은 모두 색상과 관련된 요소이지만, 눈부심은 광원의 밝기와 관련된 요소입니다. 눈부심은 과도한 광도나 반사로 인해 눈이 아픈 상황을 의미하며, 광원의 분광적인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비트맵 영상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래스터 영상이라고도 한다.
  2. 화면의 모든 화소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3. 화소 간의 관계식이 저장되어 있다.
  4. 화소들은 비트맵이라고 하는 격자상에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소 간의 관계식이 저장되어 있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비트맵 영상은 화면의 모든 화소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화소들은 비트맵이라는 격자상에 위치한다. 하지만 화소 간의 관계식은 저장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측색의 목적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색의 관리, 색의 커뮤니케이션, 조색
  2. 색의 관리, 색의 커뮤니케이션, 연색
  3. 색의 전달, 표색, 조색
  4. 색의 전달, 연색, 표색
(정답률: 알수없음)
  • 측색의 목적은 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색의 관리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조화롭게 조합하여 원하는 효과를 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색의 관리, 색의 커뮤니케이션, 조색"이 바르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잉크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시안, 마젠타, 그린, 블랙이 인쇄 잉크가 된다.
  2. 안료와 전색제를 혼합하여 인쇄 잉크로 사용한다.
  3. 인쇄 잉크는 인쇄 방식, 재료, 성분, 성질이 달라도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
  4. 특별한 색을 원할 때는 염료를 섞어서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는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액체로, 안료와 전색제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이는 안료가 색을 결정하고 전색제가 흐름성과 건조성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안, 마젠타, 그린, 블랙 등의 색상은 안료와 전색제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진다. 특별한 색상이 필요할 때는 염료를 추가하여 만들기도 한다. 인쇄 잉크는 인쇄 방식, 재료, 성분, 성질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비슷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염색물의 일광견뢰도란?

  1. 염색물이 태양광선 아래에서 얼마나 습도에 견디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2. 염색물이 자연광 아래에서 얼마나 변색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
  3. 염색물이 세탁에 의하여 얼마나 탈색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도
  4. 염색물이 습기와 온도에 의하여 얼마나 변색되는가를 평가하는 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염색물의 일광견뢰도는 염색물이 자연광 아래에서 얼마나 변색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즉, 염색물이 태양광선에 노출되었을 때 얼마나 빠르게 색이 바래지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스펙트럼의 재현, 분광된 색을 섞어 분광광도계에 의한 색 측정의 기본 사고를 제공한 사람은?

  1. 헬름홀쯔
  2. 토마스 영
  3. 뉴턴
  4. 맥스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뉴턴"입니다. 뉴턴은 프리즘을 사용하여 흰색 빛을 분광하고, 분광된 색을 다시 섞어서 원래의 흰색 빛을 재현하는 실험을 통해 스펙트럼의 재현과 분광된 색을 섞어 분광광도계에 의한 색 측정의 기본 사고를 제공했습니다. 이 실험은 뉴턴의 "광학"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색료의 투명도(transparenc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안료가 염료보다 투명도가 높다.
  2. 같은 조건이라면 입자가 큰 색료가 투명도가 높다.
  3. 색료와 수지의 굴절률의 차이가 작을수록 투명도가 높다.
  4. 빛을 많이 산란시키는 색료일수록 투명도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료와 수지의 굴절률의 차이가 작을수록 투명도가 높다. 이는 광선이 색료와 수지 경계면에서 굴절되는 정도가 적기 때문이다. 즉, 광선이 잘 통과하여 투명한 느낌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색료 데이터의 정보에 기술되지 않는 것은?

  1. 안료 및 염료의 화학적인 구조
  2. 활용 방법
  3. C. I. number에 따른 회사별 색료 차
  4. 제조사의 이름과 판매 업체
(정답률: 알수없음)
  • C. I. number는 색소의 화학적인 구조를 식별하는 번호이므로, 이 번호에 따른 회사별 색료 차이는 색소의 구조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이 정보는 색소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으며, 색소의 활용 방법, 제조사의 이름과 판매 업체와 같은 정보와는 별개로 취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세한 기복을 나타내며 연속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사인(sine) 곡선으로 표현되는 전자장비의 처리방식은?

  1. 디지털(digital)
  2. 아날로그(analogue)
  3. 비트(bit)
  4. 바이트(byte)
(정답률: 알수없음)
  • 아날로그 처리방식은 전기 신호를 연속적인 값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무한히 작은 단위로 쪼개어 처리합니다. 이에 비해 디지털 처리방식은 입력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한 후 처리합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처리방식은 입력 신호의 미세한 기복까지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디지털 처리방식보다 더 부드러운 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세한 기복을 나타내는 전자장비의 처리방식은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안료(顔料, pog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질에 잘 흡착되는 성질을 지닌 광물 색소이다.
  2. 물이나 대부분의 유기용제에 용해되는 분말상의 착색제이다.
  3. 가장 대표적인 색소에는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4. 동물의 생체활성작용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생체 색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질에 잘 흡착되는 성질을 지닌 광물 색소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안료가 물질에 잘 흡착되어 색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안료의 특징이 아니라 다른 색소들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의 마무리에 주로 쓰이는 도료는?

  1. 합성수지 도료
  2. 오르가노졸 도료
  3. 플라스틱 도료
  4. 수성 도료
(정답률: 40%)
  • 콘크리트는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마무리 과정에서는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어주는 도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합성수지 도료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물과 화학물질에 강하며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특징이 있어 콘크리트 마무리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CM(Computer Colr Matching system)의 성능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기준색에 대한 분광반사율 일치가 가능하다.
  2. 조건등색 현상은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3. 표준광원 C 조명 아래서 색채가 일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처방을 산출한다.
  4. 최소비용의 처방을 계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준색에 대한 분광반사율 일치가 가능하다."는 CCM의 성능에 대한 바른 설명입니다. CCM은 표준광원 C 조명 아래에서 색채가 일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처방을 산출하기 때문에, 기준색에 대한 분광반사율 일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조건등색 현상은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며, 최소비용의 처방을 계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사용 단위 기호가 다른 것은?

  1. 분포온도
  2. 색온도
  3. 상관색온도
  4. 역수색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역수색온도"입니다.

    "분포온도", "색온도", "상관색온도"는 모두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 기호입니다.

    하지만 "역수색온도"는 온도의 역수를 나타내는 단위 기호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와는 달리 온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온도의 역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 단위 기호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디지털 카메라나 스캐너 등 디지털 입력 장치의 이미지 센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하결합소자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1. CCD
  2. CCM
  3. CRT
  4. CIE
(정답률: 알수없음)
  •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전하결합소자라고도 불리며, 디지털 입력 장치의 이미지 센서로 사용된다. CCD는 빛을 전하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나 스캐너 등에서 사용되며, 이미지를 고화질로 캡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연색성을 이용하여 정육점의 조명을 설치하려고 할 때 적합한 것은?

  1. 백열등
  2. 적색광원
  3. 텅스텐 램프
  4. 온백색 형광등
(정답률: 알수없음)
  • 적색광원은 빨간색 계열의 빛을 내기 때문에 고기와 같은 붉은색을 띄는 식품들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어 연색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육점에서는 적색광원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분광 반사율이 다른 2개의 물체(시료)가 어떤 특정한 빛으로 조명하였을 때 같은 색으로 보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편색 판정
  2. 조건 등색
  3. 시험색
  4. 보정색
(정답률: 알수없음)
  • 분광 반사율이 다른 두 시료가 같은 색으로 보이는 것은 조건 등색이라고 한다. 이는 빛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시료들이 받는 빛의 양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시료들이 받는 빛의 양이 동일하므로, 시료들이 반사하는 빛의 성분이 다르더라도 같은 색으로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흑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흑체란 외부의 에너지를 모두 반사하는 이론적인 물체이다.
  2. 반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를 상징하여 흑체라고 한다.
  3. 흑체가 에너지를 흡수하면 물체는 뜨거워진다.
  4. 흑체는 비교적 저온에서는 붉은 색을 띤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흑체란 외부의 에너지를 모두 반사하는 이론적인 물체이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흑체란 외부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열로 방출하는 이론적인 물체이다."가 맞는 정의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흑체는 열 방출과 관련된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디지털 영상장치의 생산업체들이 모여 디지털 영상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준을 정하는 국제적인 단체는?

  1. CIE(국제조명위원회)
  2. ISO(국제표준기구)
  3. ICC(국제색채연맹)
  4. AIC(국제색채학회)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영상장치의 생산업체들이 모여 디지털 영상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준을 정하는 국제적인 단체는 ICC(국제색채연맹)입니다. ICC는 색채 관련 기술과 표준을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국제적인 단체로, 디지털 영상의 색상 표현과 관련된 표준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ICC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의 색상을 일관성 있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육안검색시 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관측 시야각
  2. 광원의 세기
  3. 광원의 연색지수
  4. 조명의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육안검색시 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광원의 연색지수입니다. 광원의 연색지수란 광원이 발하는 빛의 색상이 얼마나 실제 색상과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지수로, 높을수록 실제 색상과 유사하게 보입니다. 따라서 광원의 연색지수가 높을수록 육안으로 보는 색상이 실제 색상과 더 유사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의이해

61. 동시대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차가 클수록 대비 현상은 강해진다.
  2.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비 현상은 약해진다.
  3. 색자극의 크기가 작을수록 대비의 효과가 작아진다.
  4. 서로 인저하여 동시대비가 일어나는 경우 인접한 부분이 특별히 강하게 대비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자극의 크기가 작을수록 대비의 효과가 작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색자극의 크기가 작더라도 대비 효과는 크기와는 무관하게 일어납니다. 대신, 색차가 작을수록 대비 효과는 작아집니다. 이는 색차가 작을수록 두 색상의 구분이 어려워져 대비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진주조개나 전복껍질 또는 비누 물거품 등의 표면에 무지개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빛의 어떤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인가?

  1. 빛의 산란
  2. 빛의 간섭
  3. 빛의 반사
  4. 빛의 편광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의 간섭은 빛이 서로 만나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빛의 파장이 서로 합쳐지거나 서로 상쇄되어 무지개 현상이나 어떤 패턴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진주조개나 전복껍질 등의 표면에 무지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빛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무료하게 사람을 오래 기다려야 하는 병원이나 역의 대합실에는 어떤 색 계열을 사용하면 지루함을 줄일 수 있을까?

  1. 빨강계열
  2. 청색계열
  3. 회색계열
  4. 흰색계열
(정답률: 알수없음)
  • 청색계열은 진정한 색상으로 인식되어 뇌파를 안정시키고 집중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주어 지루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이나 역의 대합실에서는 청색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진출색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노란색이 파란색보다 진출해 보인다.
  2. 분홍색이 자주색보다 진출해 보인다.
  3. 밝은 노란색이 어두운 노란색보다 진출해 보인다.
  4. 어두운 회색이 초록보다 진출해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어두운 회색이 초록보다 진출해 보인다." 이다. 진출색은 색의 밝기와 채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초록색은 녹색과 노란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밝고 채도가 높은 색이므로 어두운 회색보다는 진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어두운 회색이 밝은 회색보다 진출해 보인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눈의 조절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체의 거리에 따라 수정체의 두께가 조절된다.
  2.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편평하게 조절된다.
  3. 수정체의 형태가 편평해지면 굴절이 더 작게 일어난다.
  4.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볼록하게 조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편평하게 조절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볼록하게 조절되어 굴절을 크게 일으키고 빛을 집중시켜 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합니다. 이는 눈이 먼 거리를 볼 때 빛을 모으기 위해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절 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눈의 시세포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색채시각과 관련된 광수용기는 간상체이다.
  2. 인간의 눈에는 약 600만개의 추상체와 1억2천만개의 간상체가 있다.
  3. 추상체는 간상체에 비하여 해상도가 떨어지지마 빛에 더 민감하다.
  4. 눈의 망막 중 중심와에는 간상체만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인간의 눈에는 약 600만개의 추상체와 1억2천만개의 간상체가 있다." 이다. 이유는 인간의 눈은 간상체와 추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상체는 밝기를 감지하고 추상체는 색상을 감지한다. 따라서 색채시각과 관련된 광수용기는 간상체이다. 추상체는 간상체에 비해 해상도가 떨어지지만 빛에 민감하다는 것은 맞지만, 눈의 망막 중심와에는 간상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형광현상을 잘 설명한 것은?

  1. 에너지 보전 법칙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이다.
  2. 긴 파장의 빛이 들어가서 그보다 짧은 파장의 빛이 나오는 현상이다.
  3. 형광염료의 발전으로 색료의 채도범위가 증가하게 되었다.
  4. 형광현상은 어두운 곳에서만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광염료의 발전으로 색료의 채도범위가 증가하게 되었다. - 형광염료의 발전으로 색상의 채도가 더욱 선명하고 다양해졌기 때문에 형광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색상 대비가 가장 잘 일어나는 경우는?

  1. 1차색끼리의 대비
  2. 2차색끼리의 대비
  3. 3차색끼리의 대비
  4. 2차색과 3차색의 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1차색끼리의 대비가 가장 잘 일어나는 이유는, 1차색이란 색상 중 가장 기본적인 색상으로, 빨강, 노랑, 파랑 등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1차색끼리의 대비는 눈에 가장 잘 들어오기 때문에 가장 잘 일어납니다. 반면에 2차색끼리의 대비나 3차색끼리의 대비는 색상이 복잡해져서 대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2차색과 3차색의 대비는 색상이 서로 다른 계열에 속하기 때문에 대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색료혼합에 있어서 보색관계의 두 색에 관한 이론적 설명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혼합하였을 때, 유채색이 되는 두 색
  2. 혼합하였을 때, 무채색이 되는 두 색
  3. 혼합하였을 때, 청(淸)색이 되는 두 색
  4. 혼합하였을 때, 명(明)색이 되는 두 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혼합하였을 때, 무채색이 되는 두 색"입니다. 이유는 두 색이 보색관계에 있을 때, 서로 상보적인 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상보적인 색을 혼합하면 서로 상쇄되어 무채색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은 보색관계에 있으며, 빨강과 초록을 혼합하면 각각의 색이 상쇄되어 회색(무채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동일한 크기의 보색끼리 대비를 이루어 발생한 눈부심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두 색 사이에 무채색을 넣는다.
  2. 두 색의 경계를 애매하게 만든다.
  3. 두 색 사이에 테두리를 두른다.
  4. 두 색 중 한 색의 크기를 줄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색끼리 대비를 이루면 눈에 띄는 차이로 인해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두 색의 대비를 줄이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두 색 중 한 색의 크기를 줄이면, 해당 색의 대비가 줄어들어 눈부심 효과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무채색을 넣거나 경계를 애매하게 만들어 대비를 줄이는 방법이지만, 두 색 중 한 색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직접적으로 대비를 줄이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영·헬름홀쯔의 색지각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빨강과 파랑의 시세포가 동시에 흥분하면 마젠타의 색각이 지각된다.
  2. 녹색과 빨강의 시세포가 동시에 흥분하면 노랑의 색각이 지각된다.
  3. 우리 눈의 망막 조직에는 빨강, 녹색, 파랑의 시세포가 있어 색지각을 할 수 있다.
  4. 색채의 흥분이 크면 어둡게, 색채의 흥분이 작으면 밝게, 색채의 흥분이 없어지면 흰색으로 지각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의 흥분이 크면 어둡게, 색채의 흥분이 작으면 밝게, 색채의 흥분이 없어지면 흰색으로 지각된다"라는 설명은 영·헬름홀쯔의 색지각설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영·헬름홀쯔의 색지각설과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색온도의 단위는?

  1. 나노미터(nm)
  2. 켈빈(K)
  3. 럭스(lx)
  4. 마이크로미터(㎛)
(정답률: 알수없음)
  • 색온도의 단위는 켈빈(K)이다. 이는 절대온도 척도로, 절대적인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이다. 다른 단위들은 길이나 조도 등과 관련된 단위이므로 색온도를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색을 직접 섞지 않고 색점을 섞어 배열함으로써 전체 색조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비렌효과
  2. 헬름홀쯔 효과
  3. 푸르킨예 효과
  4. 베졸드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베졸드 효과

    베졸드 효과는 색점을 섞어 배열함으로써 전체 색조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는 색상의 대비와 명도를 조절하여 색감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색채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채학에서 다른 개념들을 나타내며, 베졸드 효과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색상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상이 다른 두 색이 서로 대조가 되어 두 색간의 색상차가 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2. 색상환에서 거리가 가까운 색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대비현상이다.
  3. 두 색을 서로 대비시키면 반대방향으로 색상차가 크게 벌어져 보인다.
  4. 색상이 없는 무채색에서도 같은 현상을 느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색상이 없는 무채색에서도 같은 현상을 느낄 수 있다."이다. 색상대비는 색상간의 대조 현상을 말하는데, 무채색은 색상이 없기 때문에 대조할 색상이 없어 색상대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색의 동화효과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일정한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극을 느끼는 현상이다.
  2. 대비효과의 일종으로서 음성적 잔상으로 지각된다.
  3. 색의 경연감에 영향을 주는 지각 효과이다.
  4. 색의 전파효과 또는 혼색효과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의 전파효과 또는 혼색효과는 두 개 이상의 색이 함께 나타날 때, 각각의 색이 독립적으로 보이지 않고 서로 영향을 주어 색의 경험을 변화시키는 지각 효과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이 함께 나타날 때, 빨간색과 파란색이 섞인 보라색이 아니라, 빨간색과 파란색이 강화되어 더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색의 경연감에도 영향을 주며, 일정한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극을 느끼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빨간색에 대한 잔상이 녹색이고, 녹색에 대한 잔상은 빨간색이며 노란색과 파란색 사이에도 상응하는 결과가 관찰된다는 현상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색채지각의 이론을 제안한 사람은?

  1. 헤링
  2. 헬름홀쯔
  3. 드발로
  4. 먼셀
(정답률: 알수없음)
  • 헤링은 색채지각의 이론을 제안한 사람으로, 빨간색과 녹색, 노란색과 파란색 사이의 상응하는 결과를 관찰하여 색채지각에는 세 가지 기본적인 색상 체계가 있다는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이를 헤링의 색상 이론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인간은 자신이 대낮에 지각한 색으로 건물의 색을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1. 연속 대비
  2. 색 항상성
  3. 잔상 효과
  4. 색 상징주의
(정답률: 알수없음)
  • 색 항상성은 인간이 빛의 조건이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대상의 색을 일정하게 인식하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인간은 대낮에 건물을 보면서 인식한 색으로 건물의 색을 인식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색 항상성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색채지각반은효과에서 명시성(legibility)을 가장 크게 미치는 속성은?

  1. 채도차이
  2. 명도차이
  3. 질감차이
  4. 상상차이
(정답률: 알수없음)
  • 명도차이는 색상의 밝고 어두운 정도의 차이를 의미하며, 색채지각반은효과에서 가장 중요한 속성입니다. 명도차이가 크면 색상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눈에 더 잘 들어오기 때문에 명시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색채지각반은효과에서 명도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가법혼색과 감법혼색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법혼색은 네거티브필름 제조, 젤라틴 필터를 이용한 빛의 예술 등레 활용된다.
  2. 색필터는 겹치면 겹칠수록 빛의 양은 가해지고, 명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법혼색이라 부른다.
  3. 감법혼색의 삼원색은 Yellow, Magenta, Cyan 이다.
  4. 감법혼색은 컬러 슬라이드, 컬러영화필름, 색채사진 등에 이용되어 색을 재현시키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법혼색의 삼원색은 Yellow, Magenta, Cyan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감법혼색의 삼원색은 Cyan, Magenta, Yellow입니다.

    가법혼색은 빨강, 초록, 파랑(RGB)의 삼원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TV나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색상은 RGB 삼원색을 이용하여 만들어집니다. 색필터는 겹치면 겹칠수록 빛의 양이 증가하고, 명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법혼색이라고 부릅니다.

    감법혼색은 Cyan, Magenta, Yellow(CMY)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색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색상은 CMY 삼원색을 이용하여 만들어집니다. 감법혼색은 컬러 슬라이드, 컬러 영화 필름, 색채 사진 등에 이용되어 색을 재현시키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연변대비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명도가 낮은 색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밝게 보인다.
  2. 명도가 높은 색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어둡게 보인다.
  3. 빨강과 자주의 경계 부근에서 빨강은 더욱 탁하게 보이고 자주는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4. 연변대비는 색상과 채도에서도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명도가 높은 색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어둡게 보인다." 이다. 올바른 설명은 "명도가 낮은 색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밝게 보인다." 이다. 연변대비는 색상의 경계 부근에서 색상의 차이가 더욱 강조되어 보이는 현상이다. 이 때, 빨강과 자주의 경계 부근에서 빨강은 더욱 탁하게 보이고 자주는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이는 빨강이 자주보다 명도가 높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의이해

81. CIELAB(L*a*b*) 색공간의 표기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는 명도를 나타낸다.
  2. +a*는 초록색 방향이다.
  3. +b*는 노란색 방향이다.
  4. a*와 b*는 색도좌표들을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a*는 초록색 방향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a*는 빨간색 방향이고, -a*는 초록색 방향이다. 이는 CIELAB 색공간에서 a* 축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2003년 12월 개정된 ksa0011 물체색의 색이름 중 기존의 10가지 기본색이름에서 추가된 유채색의 기본색이름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초록, 분홍
  2. 분홍, 갈색
  3. 하양, 갈색
  4. 하양,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유채색은 적색과 노란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색으로, 분홍은 적색과 하얀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색입니다. 따라서 유채색과 짝지어진 색으로는 분홍이 선택되었습니다. 갈색은 노란색과 검정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색으로, 유채색과 대비가 크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NCS표색계의 표기방법으로 맞는 것은?

  1. R40B -5030
  2. 40B50/30
  3. 60R50/30
  4. S5030 - R40B
(정답률: 알수없음)
  • NCS표색계에서는 색상을 표기할 때 "S"로 시작하는 색조(Saturation)와 "R"로 시작하는 색상(Hue)을 조합하여 표기합니다. "S5030"은 색조를 나타내며, "R40B"는 색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S5030 - R40B"가 올바른 표기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한국산업규격(KS) 색이름에 쓰이는 수식어가 아닌 것은?

  1. 밝은, 어두운, 진한
  2. 빨간, 노란, 파란
  3. 초록빛, 분홍빛, 자주빛
  4. 흐린, 탁한, 맑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빨간, 노란, 파란"입니다. 이유는 이들은 색상 자체를 나타내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흐린, 탁한, 맑은"은 색의 투명도나 선명도를 나타내는 수식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우리 나라 전통색명이 아닌 것은?

  1. 담황색
  2. 옥색
  3. 마룬색
  4. 선홍색
(정답률: 알수없음)
  • 마룬색은 우리나라 전통색명이 아닌 것입니다. 이는 마룬 나무의 색상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외국에서 수입된 의류나 가구 등에서 사용되는 색상입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한국의 색상으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오스트발트 색입체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상하 좌우 대칭의 복원추체이다.
  2. 중심축에 채도가 있다.
  3. 꼭지점에 백색, 순색, 회색을 배열한다.
  4. 새로운 색이 발견되면 변형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트발트 색입체는 상하 좌우 대칭의 복원추체이다. 이는 모든 면이 대칭을 이루고 있어 어떤 면을 뒤집어도 같은 모양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빛의 표준 3원색을 선택하여 그 조합에 의해 색을 나타내려는 것으로서 1931년 국제조명위원회가 정식으로 정한 표색계는?

  1. 먼셀표색계
  2. XYZ 표색계
  3. 오스트발트 표색계
  4. NCS 표색계
(정답률: 알수없음)
  • XYZ 표색계는 빛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표색계로,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표색계는 빨강, 초록, 파랑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색 공간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관용색명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옛날부터 전해 내려온 것으로 습관상으로 사용하는 색 하나하나의 고유색명을 말한다.
  2. 색의 표시방법이 매우 정량적이고 정확성을 가진 색명 체계이다.
  3. 색의 삼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를 표시하는 수식어를 특별히 정하여 표시하는 색명이다.
  4. 일반적으로 계통 색명(係統色名)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올바른 것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온 것으로 습관상으로 사용하는 색 하나하나의 고유색명을 말한다." 이다. 이는 관용색명의 정의이며, 다른 보기들은 계통 색명(係統色名)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그림에서 비렌의 색삼각형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위치와 조합이 올바른 것은?

  1. ① SHADE
  2. ② TINT
  3. ③ BLACK
  4. ④ TONE
(정답률: 알수없음)
  • 비렌의 색삼각형은 주황색, 초록색, 보라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TONE은 색상의 밝기와 진하기가 적당한 상태로 조화롭게 섞인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렌의 색삼각형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위치와 조합 중에서 TONE이 가장 적절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먼셀기호 7. 5BG 5/8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명도는 7. 5이다.
  2. 명도는 BG이다.
  3. 명도는 5이다.
  4. 명도는 8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기호 7.5BG 5/8은 색상을 나타내는 부분인 7.5BG와 밝기를 나타내는 부분인 5/8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밝기를 나타내는 5/8은 0부터 10까지의 범위에서 5에 해당하므로 "명도는 5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표기법으로 맞는 것은?

  1. 5R3/4
  2. S3040-R
  3. 2pa
  4. 36c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pa"입니다.

    오스트발트 표색계는 색상을 표기할 때 색상의 색조(hue), 채도(chroma), 밝기(value)를 조합하여 표기합니다.

    "5R3/4"는 색조가 5R이고 채도는 3, 밝기는 4를 나타냅니다.
    "S3040-R"은 색조가 S, 채도는 30, 밝기는 40, 그리고 빨간색 계열(red)을 나타내는 R을 나타냅니다.
    "2pa"는 색조가 2p이고 채도는 a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2pa"는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표기법으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P. C. C. S. (Practical Color Coordinate Sstem) 표색계의 구성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명도기호는 먼셀표색계의 명도에 맞추어 백색은 9. 5, 흑색은 1. 5로 하여 총 10단계로 구성
  2. 물체색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색료의 3원색을 기본으로 하여 색상환을 구성
  3. 채도는 9단계가 되도록 하여 모든 색상의 최고 채도를 9s로 표시
  4. R, Y, G, B, P의 5색상과 각 색의 심리보색을 대응시켜 10색상을 기본색상으로 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P.C.C.S.는 물체색을 대상으로 하여 색상환을 구성하고, 명도기호는 먼셀표색계의 명도에 맞추어 백색은 9.5, 흑색은 1.5로 하여 총 10단계로 구성합니다. 또한, 채도는 모든 색상의 최고 채도를 9단계로 표시하기 위해 9단계가 되도록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채도는 9단계가 되도록 하여 모든 색상의 최고 채도를 9s로 표시합니다. R, Y, G, B, P의 5색상과 각 색의 심리보색을 대응시켜 10색상을 기본색상으로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한국인의 생활색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과 더불어 담백한 색조가 지배적이었다.
  2. 단청 건축물은 부의 상징이었으며, 살림집은 신분을 상징하는 색으로 채색되었다.
  3. 흑, 백, 적색은 재앙을 막아주는 주술적인 의미로 색동옷 등에 상징적으로 쓰였다.
  4. 비색이라 불리는 청자의 색은 상징적인 색이며, 실제로는 단색으로 표현할 수 없는 회색에 가까운 자연의 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없습니다.

    단청 건축물은 부의 상징이었으며, 살림집은 신분을 상징하는 색으로 채색되었다는 것은 한국 전통 건축에서 일반적인 사실입니다.

    자연과 더불어 담백한 색조가 지배적이었고, 흑, 백, 적색은 재앙을 막아주는 주술적인 의미로 색동옷 등에 상징적으로 쓰였으며, 비색이라 불리는 청자의 색은 상징적인 색이며, 실제로는 단색으로 표현할 수 없는 회색에 가까운 자연의 색이라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색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색채 체계를 표색계라 한다.
  2. 표색계의 분류에는 한색계와 난색계가 있다.
  3. 표색계로 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는 없다.
  4. 색채표준은 전세계적으로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색채 체계를 표색계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체계를 사용하여 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표색계는 한색계와 난색계로 분류되며, 한색계는 하나의 색상만을 표시할 수 있고, 난색계는 여러 색상을 혼합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표색계로는 모든 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는 없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색채표준이 사용됩니다. 색채표준은 전세계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며, 색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먼셀 색입체를 수평으로 절단할 때 중심축의 회색 주위에 나타나는 모양은?

  1. 같은 명도의 여러 색상
  2. 같은 채도의 여러 색상
  3. 같은 색상의 채도 변화
  4. 같은 색상의 같은 채도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 색입체는 중심축을 따라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으로 절단하면 중심축을 따라 같은 거리에 위치한 부분들이 같은 색상과 명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수평으로 절단한 먼셀 색입체에서는 같은 명도의 여러 색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먼셀 표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먼셀 휴(Munsell Hue)의 기본 5색상은 빨강(R), 노랑(Y), 녹색(G), 파랑(B), 보라(P) 이다.
  2. 5R보다 7. 5R이 노란색을 많이 띤 빨간색이며, 2. 5R이 보라색을 많이 띤 빨간색이다.
  3. 명도의 단계는 1에서 9까지로 1은 이상적인 흰색을, 9는 이상적인 검정색을 의미하다.
  4. 채도는 무채색 축을 0으로 하고 수평방향으로 번호가 증가하며, 번호가 커질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명도의 단계는 1에서 9까지로 1은 이상적인 흰색을, 9는 이상적인 검정색을 의미하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0에서 10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0은 완전한 검은색을, 10은 완전한 흰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PCCS의 톤 분류가 아닌 것은?

  1. strong
  2. dark
  3. tint
  4. grayish
(정답률: 알수없음)
  • PCCS의 톤 분류에서 "tint"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PCCS에서는 색상의 밝기와 채도를 기준으로 분류하기 때문입니다. "Tint"는 색상에 흰색이 섞인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밝기와 채도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PCCS에서는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먼셀 색채조화론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중간 채도의 반대색 배색은 같은 넓이로 배합하면 조화롭다.
  2. 명도는 같지만 채도가 다른 반대색의 경우에는 약한 채도는 넓게 하고 강한 채도는 작은 면적을 준다.
  3. 짙은 색이나 약한 채도는 밝은 명도나 강한 채도의 것보다 그 넓이를 작게 한다.
  4. 채도가 같고 명도가 다른 반대색끼리는 회색척도에 관하여 정연한 간격으로 했을 때 조화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짙은 색이나 약한 채도는 밝은 명도나 강한 채도의 것보다 그 넓이를 작게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짙은 색이나 약한 채도는 밝은 명도나 강한 채도의 것보다 그 넓이를 크게 한다. 이는 색채조화론에서 "넓은 면적의 색은 작은 면적의 색보다 더 강하게 인식된다"는 원리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현색계의 장점은?

  1. 색채측정 환경을 임의로 설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2. 조색, 오차검사 등에 적합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
  3. 색편을 등간격으로 뽑아내어 축소된 색표집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색표계간에 정확한 변환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색계의 장점 중 하나는 "색편을 등간격으로 뽑아내어 축소된 색표집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색채측정 시 측정된 색상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색표집으로 만들 수 있어, 색상을 간단하게 표현하고 비교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색상을 다루는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오스트발트 색채조화론이 유채색과 무채색의 조화에 해당하는 등색상 삼각형은?

(정답률: 46%)
  • 오스트발트 색채조화론에서 유채색과 무채색의 조화에 해당하는 등색상 삼각형은 보색삼각형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세 꼭지점이 서로 보색 관계에 있는 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는 보색삼각형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