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식물보호기사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의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기주-기생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된다.
  2. 병 저항성물질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3. 완두에는 Rishitin이 형성된다.
  4. Phytoalexin 물질의 종류는 식물의 종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66%)
  • 완두에는 Rishitin이 형성되지 않는다. Rishitin은 감귤류 등 일부 식물에서 형성된다.

    파이토알렉신은 기생체나 병원체와 같은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식물이 생산하는 병 저항성 물질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식물의 종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파이토알렉신은 기생체나 병원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키다리병에 걸린 벼의 키가 커지는 이유를 잘 설명한 것은?

  1. 병원균이 탄소 동화 작용을 촉진하기 때문에
  2. 병원균이 옥신을 분비하기 때문에
  3. 병원균이 싸이토카이닌을 분비하기 때문에
  4. 병원균이 지베렐린을 분비하기 때문에
(정답률: 92%)
  • 병원균이 지베렐린을 분비하면 벼의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이 촉진되어 벼의 키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뽕나무 오갈병균은 무엇인가?

  1. 바이러스
  2. 파이토플라스마
  3. 세균
  4. 곰팡이
(정답률: 86%)
  • 뽕나무 오갈병균은 식물의 잎과 줄기를 감염시키는 병원체로, 이 병원체는 세포 내에 침투하여 세포의 기능을 방해하고 파괴합니다. 이 병원체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파이토플라스마라는 종류의 미생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이토플라스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1. 끝동매미충
  2. 애멸구
  3. 번개매미충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률: 83%)
  • 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복숭아혹진딧물입니다. 이는 오이 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벡터로 작용하여 오이 작물을 감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추역병(疫病)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이어짓기 - 가뭄
  2. 돌려짓기 - 과습
  3. 이어짓기 - 침수
  4. 돌려짓기 - 침수
(정답률: 81%)
  • 고추역병은 곰팡이가 원인인 질병으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어짓기 - 침수가 가장 관계가 깊다. 침수된 땅은 물이 많아 습기가 높아지며, 이는 곰팡이의 번식과 생존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수된 땅에서는 고추역병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살균제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그 효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1. 기상의 변화
  2. 토양 조건의 변화
  3. 내성균의 발생
  4. 기주 식물의 변이
(정답률: 99%)
  • 살균제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내성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성균은 살균제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서 살균제의 효과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식물병 중 표징(sign)이 없는 병해는?

  1. 고추 괴저바이러스병
  2. 오이 흰가루병
  3. 보리 겉깜부기병
  4.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정답률: 82%)
  • 고추 괴저바이러스병은 표징이 없는 병해이다. 이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추는 생장이 저하되고 열매의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병원균이 기주식물의 내부에 침입한 다음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식물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확대저항성
  2. 침입저항성
  3. 감염전저항성
  4. 약제내성
(정답률: 51%)
  • "확대저항성"은 기주식물이 병원균의 침입에 저항하는 성질을 말한다. 이는 기주식물이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시켜, 병원균의 침입을 막거나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저항성은 병원균의 공격에 대한 기주식물의 방어 체계가 강화되어 발생하며, 이를 통해 기주식물은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확대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물체의 비정상적인 생장을 초래하는데 관여하는 식물 호르몬이 아닌 것은?

  1. Auxin
  2. Gibberellin
  3. Ethylene
  4. Suppressor
(정답률: 80%)
  • "Auxin", "Gibberellin", "Ethylene"은 모두 식물 호르몬으로, 식물체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Suppressor"는 식물체의 비정상적인 생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식물체의 비정상적인 생장을 초래하는데 관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천공성갈반병)의 병징과 표징은?

  1. 잎에 동심원형의 갈색반점이 나타나고 반점위에 분생자퇴와 자낭각이 나타난다.
  2. 가지에 원형의 병반이 나타나고 반점에 자좌가 나타난다.
  3. 잎에 동심원형의 갈색반점이 나타나고 균체는 나타나지 않는다.
  4. 잎에 부정형의 반점이 나타나고 균체는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68%)
  •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천공성갈반병)의 병징과 표징은 "잎에 동심원형의 갈색반점이 나타나고 반점위에 분생자퇴와 자낭각이 나타난다." 이다. 이는 잎에 나타나는 갈색반점이 동심원형이며, 그 위에는 분생자퇴와 자낭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물병원균이 생성하는 특이적 독소에 해당되는 것은?

  1. AK-독소
  2. Fusaric acid
  3. Ophiobolins
  4. Tabtoxin
(정답률: 73%)
  • AK-독소는 Aspergillus flavus와 같은 식물병원균이 생성하는 독소로, 인간에게는 심각한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Fusaric acid는 Fusarium spp.가 생성하는 독소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의 병해성을 증가시킵니다. Ophiobolins는 Cochliobolus spp.가 생성하는 독소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의 병해성을 증가시킵니다. Tabtoxin은 Pseudomonas syringae가 생성하는 독소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의 병해성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AK-독소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험이 있으며, 다른 독소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18 - 22℃)에서 발생이 많은 병해는?

  1. 무름병
  2. 탄저병
  3. 부패병
  4. 노균병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는 노균이 발생하기 쉬우며, 노균은 농작물의 잎이나 줄기를 부식시켜 병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노균병"이 낮은 온도에서 발생이 많은 병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병(TMV)의 방제법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한다.
  2. 농작업이나 비바람에 의한 식물간의 접촉을 피한다.
  3. 살충제로 매개곤충을 제거한다.
  4. 흡연자는 식물체를 만지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률: 62%)
  •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병은 매개곤충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매개곤충을 제거하는 것이 방제법 중 하나입니다. 살충제를 사용하여 매개곤충을 제거하면 바이러스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살충제로 매개곤충을 제거한다."가 가장 먼 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래 식물 병원체 중에서 그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1. 세균
  2. 곰팡이
  3. 바이로이드
  4. 바이러스
(정답률: 91%)
  • 정답은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내부에서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바이로이드는 바이러스와 유사하지만, 세포 내부에서만 존재하지 않고 세포 외부에서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보다 크기가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바이러스의 종자전염이 문제가 되는 식물은?

  1. 참깨
  2. 담배
(정답률: 56%)
  • 콩은 바이러스의 종자전염에 취약한 식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콩이 뿌리에서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벡터인 뿌리매미충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뿌리매미충은 콩의 뿌리를 먹고 이동하면서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콩은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나무의 재선충 방제 중 현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잎에 살충제를 살포한다.
  2. 피해목을 조기에 발견 벌채하여 훈증 및 소각한다.
  3. 항공살포로 매개충을 죽인다.
  4. 수간에 침투성 살충제를 수간주사하여 매개충을 죽인다.
(정답률: 65%)
  • 소나무의 재선충은 이미 발생한 나무에 대해서는 살충제를 살포해도 효과가 미미하며, 항공살포나 수간주사 역시 효과가 미미하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피해목을 조기에 발견하여 벌채하여 훈증 및 소각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매개충을 제거하고, 재선충의 번식을 막아 전염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과나무 뿌리혹병은?

  1. 토양 선충에 의한 병
  2. 생리적인 병
  3. 세균에 의한 병
  4. 사상균에 의한 병
(정답률: 72%)
  • 사과나무 뿌리혹병은 뿌리 부분에 세균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병이다. 따라서 정답은 "세균에 의한 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식물병의 경종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

  1. 재배시기를 조절한다.
  2. 접목을 이용한다.
  3. 병원균의 이동을 차단한다.
  4. 윤작을 한다.
(정답률: 75%)
  • "재배시기를 조절한다.", "접목을 이용한다.", "윤작을 한다." 모두는 식물병의 경종적 방제법으로, 식물의 생장 환경을 개선하여 식물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병원균의 이동을 차단한다."는 직접적으로 병원균의 전파를 막는 방법으로, 식물병의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병원균의 이동을 차단한다."가 경종적 방제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병든 가지나 줄기가 처음에는 황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하고 나중에 부풀어 터진 후 황색의 가루가 비산하는 병은?

  1. 향나무녹병
  2. 느름나무마름병
  3. 밤나무줄기마름병
  4. 잣나무털녹병
(정답률: 62%)
  • 잣나무털녹병은 가지나 줄기가 황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하고 나중에 부풀어 터진 후 황색의 가루가 비산다는 증상이 나타나는 병이다. 이 병은 잣나무에서 발생하며, 병원균으로는 Phytophthora cinnamomi가 알려져 있다. 이 병은 잣나무의 뿌리를 침입하여 뿌리를 부패시키고, 이로 인해 수분과 영양분 공급이 차단되어 나무가 죽게 된다. 따라서 이 병이 발생하면 적극적인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병 중 병원균이 그램 염색(Gram staining)에서 양성인 것은?

  1. 감자 둘레썩음병
  2. 감자 잎말림병
  3. 감자 X 바이러스병
  4. 감자 역병
(정답률: 81%)
  • 정답: 감자 둘레썩음병

    이유: 그램 염색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램 양성 세균은 세포벽이 약한 편이며, 그램 음성 세균은 세포벽이 강한 편이다. 따라서, 병원균 중 그램 양성 세균은 감자 둘레썩음병이다. 감자 둘레썩음병은 그램 양성 세균인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sepedonicus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병이다. 이 병은 감자의 뿌리와 줄기를 감염시켜 감자의 생육을 방해하며, 감자 산업에 큰 피해를 입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다음 곤충 중 진딧물이나 깍지벌레류의 포식충이 아닌것은?

  1. 무당벌레
  2. 꽃등애유충
  3. 수중다리좀벌
  4. 풀잠자리유충
(정답률: 62%)
  • 수중다리좀벌은 물 속에서 살며 물고기나 물고기의 알을 먹는 포식자입니다. 진딧물과 깍지벌레류의 포식충은 육지에서 살며, 주로 식물을 먹거나 다른 곤충을 먹습니다. 따라서 수중다리좀벌은 진딧물이나 깍지벌레류의 포식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살충제가 곤충의 체내로 침투하는 경로가 아닌 것은?

  1. 경구(經口)
  2. 경피(經皮)
  3. 경기문(經氣門)
  4. 돌기(突起)
(정답률: 87%)
  • 돌기(突起)는 곤충의 체내로 침투하는 경로가 아닙니다. 돌기는 곤충의 외부에 있는 부분으로, 살충제가 돌기를 통해 곤충의 체내로 침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경구, 경피, 경기문은 곤충의 체내로 침투하는 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곤충들은 구조적으로 다리가 잘 변형되어 적응하고 살아가는데 편리하게 되어 있다. 이와 거리가 먼 것은?

  1. 땅강아지
  2. 꿀벌
  3. 모기
  4. 사마귀
(정답률: 75%)
  • 모기는 다리가 구조적으로 변형되어 적응하고 살아가는데 편리하지 않다. 모기는 날개가 발달하여 비행능력이 높기 때문에 다리가 짧고 약하며, 또한 혈액을 빨아먹기 위해 미세한 구멍에 다리를 꽂아야 하기 때문에 다리 구조가 특별히 발달하지 않았다. 따라서 모기는 다리 구조적으로 적응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탈피후 표피층을 경화시키는 호르몬은?

  1. eclosion hormone
  2. bursicon
  3. proctolin
  4. diuretic hormone
(정답률: 70%)
  • 탈피 후에는 새로운 외피를 형성하기 위해 표피층이 경화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호르몬인 bursicon이 분비되어 표피층의 경화를 촉진시키고 외피의 강도를 높입니다. 따라서 bursicon이 탈피 후 표피층을 경화시키는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토양 해충이 아닌 것은?

  1. 고자리파리
  2. 조명나방
  3. 숯검은밤나방
  4. 거세미나방
(정답률: 57%)
  • 조명나방은 토양에서 발견되지 않고, 대신에 식물의 잎이나 꽃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토양 해충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류에 큰 피해를 주는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이다. 이 솔수염하늘소의 우화 최성기는 언제인가?

  1. 3월
  2. 6월
  3. 9월
  4. 12월
(정답률: 82%)
  • 솔수염하늘소의 우화 최성기는 6월이다. 이는 솔나무재선충이 5월에 발생하여 6월에 최대 발생량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솔수염하늘소도 이 때에 많이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미구와 산란구가 별개로 발달된 곤충류는?

  1. 나비목
  2. 파리목
  3. 딱정벌레목
  4. 집게벌레목
(정답률: 62%)
  • 나비목은 교미구와 산란구가 별개로 발달된 곤충류입니다. 교미구는 수컷의 생식기로, 산란구는 암컷의 생식기로, 이 두 구조가 분리되어 있어서 나비는 교미를 위해 날개를 이용해 수컷을 찾아다니고, 산란을 위해서는 다시 날개를 이용해 적절한 장소에 알을 낳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나비는 교미와 산란을 위해 날개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날개가 크고 아름다운 색상을 띠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곤충의 탈피와 변태는 탈피호르몬과 유약호르몬의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 영기의 유충으로 탈피하는 경우는?

  1. 유약호르몬의 함량이 높을 때
  2. 유약호르몬의 함량이 낮을 때
  3. 유약호르몬이 없을 때
  4. 탈피호르몬이 없을 때
(정답률: 64%)
  • 영기의 유충은 유약호르몬의 함량이 높을 때 탈피한다. 이는 유약호르몬이 탈피를 유도하는 호르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약호르몬의 함량이 높을 때 영기의 유충은 탈피를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물의 항충성의 본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피성
  2. 체중 감소
  3. 치사율 증가
  4. 생육기간 연장
(정답률: 31%)
  • 기피성은 작물이 해충이나 병원균 등의 외부적인 자극에 대해 방어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기피성은 작물의 항충성의 본질에 해당한다. "체중 감소", "치사율 증가", "생육기간 연장"은 항충성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작물의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향나무하늘소(측백나무하늘소)가 가해하는 부위는?

  1. 줄기
  2. 뿌리
  3. 종자
(정답률: 75%)
  • 향나무하늘소는 줄기에 붙어서 생활하며, 줄기를 먹고 성장합니다. 따라서 향나무하늘소가 가해하는 부위는 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 분류군별로 파리목의 형태적 특징인 것은?

  1. 정상적인 날개가 2쌍이다.
  2. 앞날개만 발달하여 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뒷날개는 퇴화되었다.
  3. 앞날개가 뒷날개보다 크며 날개는 비늘로 덮혀 있다.
  4. 앞날개는 두껍고 각질화되어 있으며 날개맥이 없다.
(정답률: 82%)
  • 파리목은 2쌍의 날개를 가지는 곤충이지만, 앞날개만 발달하여 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뒷날개는 퇴화되었습니다. 이는 파리목이 비행능력을 강화하고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진화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파리목의 형태적 특징 중 "앞날개만 발달하여 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뒷날개는 퇴화되었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암컷과 수컷의 차이가 크게 나는 해충은?

  1. 방패벌레
  2. 진딧물류
  3. 응애류
  4. 깍지벌레류
(정답률: 52%)
  • 깍지벌레류는 암컷과 수컷의 큰 차이가 있습니다. 수컷은 큰 턱을 가지고 있고, 암컷은 작은 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수컷은 암컷보다 몸이 크고 더욱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깍지벌레류는 암컷과 수컷이 명확하게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노린재목의 형태적 특징으로 틀리는 것은?

  1. 턱수염과 입술수염이 없다.
  2. 앞날개의 밑부분은 두터운 혁질이고 끝부분은 막질이다.
  3. 뒷날개는 전체적으로 막질이고 앞날개는 조금 짧다.
  4. 발마디는 1-5마디로서 대개 5마디이다.
(정답률: 66%)
  • "발마디는 1-5마디로서 대개 5마디이다."가 틀리지 않은 이유는, 노린재목은 발마디가 5마디인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발마디는 나무의 뿌리가 땅속에 파고들어서 나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노린재목은 발마디가 강하고 튼튼해야 한다. 따라서 발마디가 5마디인 것이 일반적인 형태적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뢰과에 속하는 곤충들은 어떠한 변태를 하는가?

  1. 완전변태
  2. 불완전변태
  3. 과변태
  4. 무변태(불변태)
(정답률: 82%)
  • 가뢰과에 속하는 곤충들은 과변태를 한다. 이는 애벌레가 나비로 변태할 때, 중간에 번데기라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태 과정에서 애벌레와 나비의 외형이 크게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마디 중 일반적으로 가슴의 부속지(다리)의 몸쪽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마디로 맞는 것은?

  1. 도래마디(trochanter)
  2. 종아리마디(tibia)
  3. 넓적다리마디(femur)
  4. 발목마디(tarsus)
(정답률: 87%)
  • 가슴의 부속지(다리)의 몸쪽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마디는 넓적다리마디(femur)입니다. 하지만, 넓적다리마디와 발목마디 사이에 위치한 도래마디(trochanter)는 대퇴골(femur)의 상단 부분에 위치하며, 대퇴골과 함께 엉덩이 근육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슴의 부속지(다리)의 몸쪽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마디는 도래마디(trochan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1. 오리나무잎벌레
  2. 미국흰불나방
  3. 솔잎혹파리
  4. 매미나방
(정답률: 72%)
  • 오리나무잎벌레는 성충과 유충 모두가 오리나무의 잎을 먹어서 해충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모두 부합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연생태계에 비교할 때 농생태계의 특징은?

  1. 영속성이 없다.
  2. 종의 다양도가 높다.
  3. 천이를 통해 변천한다.
  4. 식물군 간에 많은 경쟁이 일어난다.
(정답률: 78%)
  • 농생태계는 인간의 개입이 크기 때문에 자연생태계와 달리 영속성이 없습니다. 인간의 목적에 따라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기르는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태계의 구성이 자주 변화하고, 이에 따라 종의 생태적 역할도 변화합니다. 따라서 농생태계는 자연생태계보다 변화가 빈번하고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들 중 거리가 먼 것은?

  1. 야외조사 및 관찰 예찰법
  2. 통계적 예찰법
  3. 시뮬레이션 예찰법
  4. 피해사정법
(정답률: 87%)
  • 피해사정법은 이미 발생한 해충 피해를 조사하여 그 원인과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이므로,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예찰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반면, 야외조사 및 관찰 예찰법, 통계적 예찰법, 시뮬레이션 예찰법은 해충 발생을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매미목 곤충의 형태적 특징 중 맞지 않는 것은?

  1. 더듬이는 대개 3-10마디이며 실 또는 털모양이다.
  2. 날개가 없는 경우는 홑눈도 없다.
  3. 턱수염(maxillary palps)과 입술수염(labial palps)이 있다.
  4. 앞날개와 뒷날개는 모두 막질이다.
(정답률: 44%)
  • 매미목 곤충은 입술수염과 턱수염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턱수염과 입술수염이 있다"는 보기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벼멸구와 애멸구의 형태적 차이점을 기술한 내용 중 맞는 것은?

  1. 벼멸구의 몸은 검정색이고 광택이 있다.
  2. 애멸구의 머리는 돌출부가 거의 장방형이다.
  3. 벼멸구의 날개는 황색이다.
  4. 애멸구의 날개는 갈색이다.
(정답률: 75%)
  • 애멸구의 머리는 벼멸구의 머리보다 더 돌출되어 있어서 거의 장방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품종의 퇴화(退化)를 방지하기 위하여 품종간에 격리(隔離)재배를 하는 이유는?

  1. 자연교잡을 방지하기 위하여
  2. 병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3. 혼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4. 환경변리를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82%)
  • 품종간에 격리재배를 하면 자연교잡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격리재배를 하지 않으면 서로 다른 품종끼리 교잡이 일어나 새로운 혼종이 생기게 되어 품종의 특성이 퇴화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어느 품종(A)의 특정형질을 다른 품종(B)에 옮기려고 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1. 단교잡법
  2. 여교잡법
  3. 3원교잡법
  4. 다계교잡법
(정답률: 78%)
  • 여교잡법은 한 품종의 특정형질을 다른 품종으로 옮기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두 품종을 교배하여 새로운 혼종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다양한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어 원하는 특성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번의 교배를 통해 원하는 특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교잡법은 효율적이고 빠른 유전자 개량을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잎의 해면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다.
  2. 뿌리가 깊게 뻗는다.
  3. 기공의 크기가 작고 수가 적다.
  4. 표면적/체적의 비율이 작다.
(정답률: 73%)
  • 잎의 해면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다는 것은 즉, 잎의 표면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닙니다. 내건성이 강한 작물은 뿌리가 깊게 뻗고, 기공의 크기가 작고 수가 적으며, 표면적/체적의 비율이 작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성토양에서 가장 강하면서 연작의 장해가 적은 작물은?

  1. 옥수수, 시금치
  2. 담배, 콩
  3. 양파, 자운영
  4. 벼, 귀리
(정답률: 75%)
  • 산성토양은 pH 값이 낮아서 대부분의 작물이 잘 자라지 않습니다. 그러나 벼와 귀리는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로, 또한 연작의 장해가 적어서 연작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옥수수나 시금치는 산성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고, 담배나 콩은 연작의 장해가 많아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양파와 자운영은 산성토양에서는 잘 자라지만 연작의 장해가 많아서 벼와 귀리보다는 적합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료 3요소인 질소, 인산, 칼륨의 흡수량 비율이 5:2:4 정도인 작물은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고구마
  2. 감자
(정답률: 63%)
  • 정답은 "벼"입니다.

    벼는 질소, 인산, 칼륨의 비율이 5:2:4로 맞춰져 있습니다. 이는 벼가 높은 생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벼는 많은 양의 질소를 필요로 하며, 인산과 칼륨도 적절한 비율로 필요합니다. 따라서 벼는 비료 3요소의 흡수량 비율이 5:2:4인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양유기물(有機物)의 주된 기능(機能)과 거리가 먼 조항은?

  1. 입단(粒團)의 형성조장
  2. 완충능(緩衝能)의 저하
  3. 보수(保水)및 보비력(保肥力)의 증대
  4. 미생물의 번식조장
(정답률: 95%)
  • 토양유기물의 주된 기능은 보수및 보비력의 증대와 미생물의 번식조장입니다. 하지만 완충능의 저하는 토양의 pH값이 불안정해지고, 영양분의 흡수와 이용이 어려워지며, 토양의 구조가 약화되어 작물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완충능의 저하는 토양유기물의 기능과 거리가 먼 조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배낭의 난세포 이외의 조(助)세포나 반족(反足)세포의 핵이 단독으로 발육하여 배를 형성하는 생식 방법은?

  1. 처녀생식
  2. 무배생식
  3. 무핵란생식
  4. 주심배생식
(정답률: 63%)
  • 무배생식은 배낭의 난세포 이외의 조세포나 반족세포의 핵이 단독으로 발육하여 배를 형성하는 생식 방법입니다. 이는 즉, 수컷과 암컷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단일한 세포로부터 새로운 개체가 발생하는 방식으로, 배양과 같은 원리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무"라는 단어가 붙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침수에 의한 청고(靑枯)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은?

  1. 고수온 - 정체수 - 탁수
  2. 고수온 - 유동수 - 청수
  3. 저수온 - 정체수 - 청수
  4. 저수온 - 유동수 - 탁수
(정답률: 88%)
  • 침수에 의한 청고현상은 고온, 정체수, 탁수의 조건이 모두 충족될 때 발생한다. 고온은 물의 증발을 촉진시켜 물의 양이 감소하고, 정체수는 물이 움직이지 않고 고온으로 인해 증발한 물이 증발한 곳에 남아있게 되어 농축된다. 이렇게 농축된 물이 탁수가 되어 청고현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고수온 - 정체수 - 탁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초지를 조성할 때 가장 알맞은 화본 : 콩과목초의 파종 비율은?

  1. 8 : 2
  2. 2 : 8
  3. 6 : 4
  4. 4 : 6
(정답률: 71%)
  • 초지를 조성할 때는 콩과목초와 같은 녹색 비료 작물을 함께 파종하여 토양의 영양분을 보충하고 토양 구조를 개선합니다. 이때 콩과목초와 파종 비율은 8 : 2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유는 콩과목초는 뿌리가 깊게 자라서 토양 구조를 개선하고 영양분을 보충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파는 빠르게 자라서 콩과목초와 함께 파종하면 콩과목초가 파를 가리면서 자라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파는 적당한 양만 함께 파종하여 콩과목초와 함께 자라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콩과목초와 파종 비율은 8 : 2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잡종강세가 현저하고 잡종 종자의 생산이 용이하여 1대 잡종을 주로 이용하는 작물은?

  1. 보리
  2. 옥수수
(정답률: 71%)
  • 잡종강세는 여러 종자를 섞어서 재배할 때 생기는 현상으로, 작물의 생육을 좋게 만들어줍니다. 이러한 이유로 잡종 종자의 생산이 용이하고 1대 잡종을 주로 이용하는 작물은 옥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작물의 군락상태에서 건물생산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엽면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엽면적 지수
  2. 최소엽면적
  3. 최대엽면적
  4. 최적엽면적
(정답률: 50%)
  • 작물의 엽면적이 너무 적으면 생산량이 부족하고, 너무 많으면 비효율적인 자원소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물의 군락상태에서 건물생산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엽면적을 최적엽면적이라고 한다. 최적엽면적은 작물의 생산성과 자원소모를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크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기지현상의 발생이 크게 우려되는 작물은?

  1. 보리
  2. 담배
  3. 수박
(정답률: 77%)
  • 수박은 기지균에 감염되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기지현상의 발생이 크게 우려되는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질소성분 함량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비료는?

  1. 황산암모니아
  2. 요소
  3. 질산암모니아
  4. 석회질소
(정답률: 77%)
  • 정답은 "요소"입니다. 이유는 "요소"는 질소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질소 외에도 다른 화학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곡류에서 가뭄에 의한 피해가 가장 심한 생육단계는?

  1. 분얼기
  2. 수잉기
  3. 출수기
  4. 등숙기
(정답률: 78%)
  • 수잉기는 식물이 가장 많은 물을 필요로 하는 생육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뭄으로 인해 수분 공급이 부족해지면 식물이 쉽게 말라 죽을 수 있습니다. 분얼기와 출수기는 수분 공급이 적어도 생육이 가능한 단계이고, 등숙기는 이미 열매가 수확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가뭄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벼의 일생 중 냉해에 가장 약한 시기는?

  1. 유수형성기
  2. 감수분열기
  3. 출수개화기
  4. 유숙기
(정답률: 67%)
  • 감수분열기는 벼의 생애주기 중 냉해에 가장 약한 시기인 수경기에 해당합니다. 이때 벼는 뿌리가 약해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물 부족에 취약해지며, 또한 온도가 낮아져 광합성이 감소하여 생장력이 약해집니다. 따라서 냉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한데, 감수분열기는 이를 위해 벼가 물을 흡수하고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뿌리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내습성이 강한 작물의 일반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1. 뿌리의 피층세포가 사열로 배열되어 있다.
  2. 뿌리의 분포가 심근성이다.
  3. 뿌리조직의 목화(木化)가 잘 되어 있다.
  4. 뿌리의 발달이 직근계를 형성한다.
(정답률: 60%)
  • 내습성이 강한 작물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뿌리를 강화시키는데 집중합니다. 이에 따라 뿌리조직이 목화(木化)되어 강력하고 단단한 구조를 갖추게 됩니다. 따라서 "뿌리조직의 목화(木化)가 잘 되어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성(花成)유도의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1. 영양조건
  2. 광조건
  3. 온도조건
  4. 습도조건
(정답률: 73%)
  • 화성유도의 주요 요인은 영양조건, 광조건, 온도조건이며, 습도조건은 그 중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화성이 원래 건조한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성장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토양보호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 재배
  2. 합리적 작부체계
  3. 초지 조성
  4. 수직선 재배
(정답률: 85%)
  • 수직선 재배는 토양보호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경사면을 따라 수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토양침식을 유발하고 토양의 유익한 미생물을 파괴하여 토양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보호를 위해서는 수직선 재배 대신 등고선 재배, 합리적 작부체계, 초지 조성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물이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의 형태는?

  1. 중력수
  2. 모관수
  3. 흡습수
  4. 결합수
(정답률: 87%)
  • 모관수는 작물이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의 형태입니다. 이는 토양 내 작은 구멍인 모공을 통해 이동하는 물로, 작물 뿌리가 모공을 통해 물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관수는 작물의 성장과 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량 품종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균일성
  2. 우수성
  3. 영속성
  4. 조숙성
(정답률: 83%)
  • 우량 품종의 구비조건은 균일성, 우수성, 영속성이다. 조숙성은 품종의 특성 중 하나이지만, 구비조건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숙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파라치온 유제:50% 를 0.08% 로 희석하여 10a 당 100ℓ 를 살포하려고 할 때 소요 약량은 약 얼마인가?(단, 비중은 1.008이다.)

  1. 148.73 ㎖
  2. 158.73 ㎖
  3. 168.73 ㎖
  4. 178.73 ㎖
(정답률: 55%)
  • 먼저 유제 100L의 무게는 50kg이다. 이를 0.08%로 희석하면 50kg 중 0.04kg이 된다. 이를 다시 1.008의 비중으로 환산하면 0.04032L, 즉 40.32ml이 된다. 이것을 10a에 곱하면 403.2ml이 되므로, 약 158.73ml이 소요된다. 따라서 정답은 "158.7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농약의 독성의 정도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맹독성
  2. 잔류독성
  3. 고독성
  4. 저독성
(정답률: 83%)
  • 잔류독성은 농약이 사용된 이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작물이나 환경에서 남아있어서 인체나 동물에게 잠재적인 위험을 일으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농약의 독성의 정도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농약의 사용 후에 남아있는 정도에 따른 분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어떤 살충제에 대하여 한번도 사용한 적은 없으나 작용기작이 같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복합 저항성
  2. 교차 저항성
  3. 특이 저항성
  4. 교차 저항성+복합 저항성
(정답률: 83%)
  • 교차 저항성은 한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살충제에 대해서도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즉, 한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하면 그 작용기작이 유사한 다른 살충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교차 저항성"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약해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은?

  1. 장마철 보르도액의 살포
  2. 고온, 고광도시 석회황합제 사용
  3. 낙엽 후 기계유 유제의 살포
  4. 살포약제의 고농도 살포
(정답률: 78%)
  • 낙엽 후 기계유 유제의 살포는 약해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이다. 이는 낙엽이 떨어져 나무가 휴면 상태에 들어가면서 병원균이 번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기계유 유제는 나무에 분사되어 병원균의 침투를 막아주기 때문에 약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Zineb 제는 다음 중 어떤 화합물 인가?

  1. triphenyl 주석 화합물
  2. pentachloro - phenol 계 화합물
  3. phosphoro - thiolate 계 화합물
  4. alkylene - diamine 계 화합물
(정답률: 58%)
  • Zineb은 알킬렌-디아민 계 화합물입니다. 이는 두 개의 아미노기(-NH2)가 알킬렌(탄화수소) 사슬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멸구약 엠아이피씨 10% 분제 1.0㎏ 을 2.0% 분제로 만들려할 때 필요한 증량제 량은?

  1. 0.4㎏
  2. 4.0㎏
  3. 40㎏
  4. 400㎏
(정답률: 73%)
  • 농약의 농도는 농약의 양과 용매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농약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농약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용매의 양을 늘려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1.0㎏의 멸구약 엠아이피씨 10% 분제를 2.0% 분제로 만들려고 한다. 따라서 농약의 양인 1.0㎏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농약의 농도를 2.0%로 낮추기 위해서는 용매의 양을 얼마나 늘려야 하는지를 계산해야 한다.

    농약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농약의 농도 = 농약의 양 / 용매의 양

    농약의 농도를 10%에서 2%로 낮추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1.0㎏ / 용매의 양 = 2% / 10%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용매의 양 = 1.0㎏ × 10% / 2% = 5.0㎏

    따라서 필요한 증량제의 양은 5.0㎏ - 1.0㎏ =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농약의 분류상 맞지 않는 조합은?

  1. 보호용 살균제 - 석회 보르도액
  2. 소화중독제 - 비산연
  3. 직접살균제 - 구리분제
  4. 훈증제 - 메틸브로마이드
(정답률: 53%)
  • 직접살균제는 식물 질병을 직접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농약을 말하며, 구리분제는 대표적인 직접살균제입니다. 따라서 "직접살균제 - 구리분제"는 분류상 맞는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살선충제가 아닌 것은?

  1. D-D
  2. EDB
  3. DBCP
  4. NIP
(정답률: 54%)
  • 정답은 "NIP"입니다.

    "D-D", "EDB", "DBCP"는 모두 살선충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지만, "NIP"은 살선충제가 아닌 농약입니다. "NIP"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장조절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농약의 제제에 있어서는 수용제나 액제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제처방에 반드시 계면활성제가 첨가 되는데 계면활성제의 첨가 목적이 아닌 것은?

  1. 습윤작용(Wetting property)
  2. 분산작용(Floatability)
  3. 침투작용(Penetrating property)
  4. 분리작용(Separation property)
(정답률: 67%)
  • 농약의 제제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습윤작용, 분산작용, 침투작용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리작용은 계면활성제의 첨가 목적이 아닙니다. 분리작용은 물과 기름 같은 서로 다른 물질을 분리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농약 제제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분리작용(Separation proper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제조업자가 농약을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자 할 때에는 품목별로 누구에게 등록해야 하는가?

  1. 농림부장관
  2. 농촌진흥청장
  3. 국립농산물품질관리위장
  4.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정답률: 59%)
  • 제조업자가 농약을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농약의 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이 등록은 농림축산식품부(현 농촌진흥청)에서 담당하며, 따라서 정답은 "농촌진흥청장"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업무와 관련이 있지만, 농약 등록은 농촌진흥청에서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훈증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휘발성이 커야하고 농도가 균일하게 되어야 한다.
  2. 훈증할 목적물에 이화학적으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
  3. 비인화성이여야 한다.
  4. 침투성이 커서 약제가 쉽게 도달해야 한다.
(정답률: 76%)
  • "훈증할 목적물에 이화학적으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가 해당되지 않는 이유는 훈증제가 목적물에 화학적인 변화를 주는 것이 아니라, 목적물을 분리하거나 정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화학적인 변화를 주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살포장비에 의한 약해 중 가장 우려되는 원인은?

  1. 살포장비의 세척
  2. 살포장비의 종류
  3. 살포장비의 조작방법
  4. 살포장비의 구조
(정답률: 80%)
  • 살포장비의 세척은 살포한 농약이나 비료 등이 잔류하여 다음 작업 시에 농작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우려되는 원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우리나라에서 현재 콩나물에 사용되는 농약은?

  1. 인돌비액제
  2. 지베레린수용제
  3. 에세폰액제
  4. 루톤분제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액상 또는 점질액상으로서 물에 희석하였을 때 미세하게 유화되는 농약으로 정의되는 제제형태는?

  1. 유탁제
  2. 미탁제
  3. 수화성 미분제
  4. 미분제
(정답률: 39%)
  • 미탁제는 액상 또는 점질액상으로서 물에 희석하였을 때 미세하게 유화되는 농약으로, 물에 섞였을 때 물질이 떠오르지 않고 물 속에 미세하게 분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탁제는 농작물에 분사할 때 물에 섞여 분산되어 농작물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제제되어진 농약의 주성분에 대한 경시변화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온도변화
  2. 유동변화
  3. 가수분해
  4. 빛에 의한 변화
(정답률: 60%)
  • 유동변화는 제제되어진 농약의 주성분에 대한 경시변화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 아닙니다. 유동변화는 물질이 유동성을 가지고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농약의 주성분에 대한 경시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온도변화, 가수분해, 빛에 의한 변화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식물성 살충제로서 온혈동물(溫血動物)에는 독성이 없는 농약은?

  1. nicotine 제
  2. anabasine 제
  3. 송지합제
  4. pyrethrin 제
(정답률: 75%)
  • Pyrethrin은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살충제이며, 온혈동물에는 독성이 없습니다. 반면, nicotine과 anabasine은 담배에서 추출한 독성이 있는 성분이며, 송지합제는 식물성 살충제이지만 일부 온혈동물에게는 독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혈동물에게 독성이 없는 농약은 pyrethr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파라치온등 유기인계 살충제의 가장 큰 작용 특성은?

  1. 분해가 느리기 때문에 약효지속 기관이 길다.
  2. 살충력이 강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3. 인축에 대해 독성이 약한 편이다.
  4. 알카리성 물질에 분해가 더딘 편이다.
(정답률: 79%)
  • 파라치온 등 유기인계 살충제는 분해가 느리기 때문에 약효지속 기간이 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살충력이 강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즉, 작은 양으로도 오랜 기간 동안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다양한 해충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식물생장조정제 중 생장 억제제로 작용하는 것은?

  1. α - 나프탈렌 초산
  2. 지베렐린
  3. 아토닉
  4. MH제
(정답률: 78%)
  • MH제는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α-나프탈렌초산과 지베렐린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아토닉은 식물의 세포벽을 강화시켜 성장을 돕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독성 표시 기호 중 TLm 이란?

  1. 어종별로 48시간 이후에도 50%가 견뎌내는 약제 농도
  2. 물벌에 대하여 48시간 이후에도 50% 견뎌내는 약제농도
  3. 누에에 대하여 48시간 이후에도 50%가 견뎌내는 약제농도
  4. 동물의 50%가 죽는 농약의 량
(정답률: 86%)
  • TLm은 독성 표시 기호 중 하나로, 어종별로 48시간 이후에도 50%가 견뎌내는 약제 농도를 나타냅니다. 즉, 이 어종에 대해 해당 농도 이하로 노출되면 50% 이상의 생물은 생존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충의 콜린에스테라제 효소활성을 저해시키는 약제는?

  1. 석회보르도로액
  2. 부라에스유제
  3. 네오진액제
  4. 다이아지논유제
(정답률: 73%)
  • 해충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콜린에스테라제 효소를 저해시켜 해충의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약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다이아지논유제는 콜린에스테라제를 효과적으로 저해시켜 해충을 퇴치하는데 사용됩니다. 다이아지논유제는 해충의 신경전달을 방해하여 해충의 근육을 마비시키고, 결국에는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제초제의 물리적 선택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닌것은?

  1. 제초제 사용량
  2. 제초제 제형
  3. 제초제 처리방법
  4. 제초제 주성분함량
(정답률: 50%)
  • 제초제 주성분함량은 제초제의 화학적 성질과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물리적 선택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초제의 사용량, 제형, 처리방법 등 물리적인 요인들이므로 제초제의 물리적 선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줄기나 잎에 살포한 제초제가 잎에 흡수되는 과정을 좌우 하는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은?

  1. 잎의 크기와 배열
  2. 엽면의 왁스 및 털의 유무
  3. 강우, 온도 등의 환경요인
  4. 잎의 엽록소 함량
(정답률: 86%)
  • 잎의 엽록소 함량은 제초제가 잎에 흡수되는 과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 제초제는 잎의 표면에 존재하는 왁스나 털 등의 물리적 장벽을 통과하여 잎 내부로 흡수되는데, 이 과정은 잎의 크기와 배열, 강우, 온도 등의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벼이앙재배논에 일년생 잡초인 사마귀풀의 발생이 많은 논일 경우에는 어떤 사항을 고려해야 하는가?

  1. 도열병의 만연
  2. 기계수확 곤란
  3. 물관리 곤란
  4. 벼멸구 발생 심함
(정답률: 53%)
  • 사마귀풀은 높은 영양분을 요구하며, 농약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마귀풀이 많이 발생하는 논에서는 기계수확이 어렵습니다. 사마귀풀이 많으면 벼와 함께 수확되어 벼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우리나라 맥류포장의 우점 잡초의 하나로 일년생 화본과 잡초는?

  1. 벼룩나물
  2. 냉이
  3. 둑새풀
  4. 나도겨풀
(정답률: 66%)
  • 둑새풀은 일년생 화본과 잡초로, 맥류포장에서 우점을 이루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둑새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잡초 종합방제를 위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은?

  1. 잡초군락 조사
  2. 제초방법 선정
  3. 제초 필요성 검토
  4. 토양특성 파악
(정답률: 79%)
  • 잡초 종합방제를 위한 고려 사항 중에서 "토양특성 파악"은 제초 작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아닌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잡초군락 조사를 통해 어떤 잡초가 문제가 되는지 파악하고, 제초방법을 선정하여 필요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부유성 수생잡초는?

  1. 올미
  2. 가래
  3. 물달개비
  4. 개구리밥
(정답률: 82%)
  • 개구리밥은 부유성 수생잡초 중 하나로, 잎이 작고 둥글며 물 위에 떠다니는 모습이 개구리 밥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생물을 이용하여 잡초의 집합밀도를 감소시키는 제초방법은?

  1. 화학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생태적 방제법
  4. 종합적 방제법
(정답률: 84%)
  • 생물적 방제법은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생물을 이용하여 잡초의 집합밀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화학적 방제법과 달리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생태적 방제법과는 달리 특정 생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자연친화적이며, 종합적 방제법의 일환으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작물종과 방제 대상 잡초에 대한 적합한 선택성 제초제로 짝지워진 것은?

  1. 벼 - 돌피 - 벤타존(Bentazon)
  2. 보리 - 명아주 - 세톡시딤(Sethoxydim)
  3. 벼 - 강피 - 이사디(2,4-D)
  4. 벼 - 피 - 프로파닐(Propanil)
(정답률: 47%)
  • 벼는 잡초 방제에 효과적인 프로파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파닐은 벼와 같은 농작물에는 안전하면서도 피와 같은 잡초에는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돌피와 강피는 벼에 대한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명아주는 보리에 대한 선택성이 높기 때문에 벼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벼와 잡초와의 경합에서 가장 불리한 재배법은?

  1. 무경운 직파재배
  2. 어린모 기계이앙
  3. 중묘 기계이앙
  4. 무경운 기계이앙
(정답률: 79%)
  • 무경운 직파재배는 벼와 잡초와의 경쟁에서 가장 불리한 재배법이다. 이는 무경운이라는 작물을 직접 밭에 심어서 잡초와 경쟁하게 되는데, 이 경우 벼와 잡초의 성장 속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잡초와 경쟁에서 밀리게 된다. 또한, 기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일을 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벼와 잡초와의 경쟁에서는 기계를 사용하는 중묘나 어린모 기계이앙이 더 효율적인 재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콩이나 클로버와 같은 콩과 작물에 기생하여 수분이나 양분 등을 탈취하는 잡초는?

  1. 새삼
  2. 바랭이
  3. 강아지풀
  4. 중대가리풀
(정답률: 74%)
  • 정답은 "새삼"입니다. 새삼은 콩과 작물에 기생하여 수분과 양분을 탈취하는 잡초로, 다른 보기인 바랭이, 강아지풀, 중대가리풀은 새삼과는 다른 종류의 잡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무슨 잡초를 설명한 것인가?

  1. 올미
  2. 벗풀
  3. 가래
  4.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73%)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잡초는 가래이다. 가래는 높이 10~30cm 정도이며, 잎은 둥글고 작고, 줄기는 빨간색을 띠며 뾰족한 가시가 있다. 뿌리는 얇고 길며, 땅속에 깊게 파인다. 가래는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고, 인체에도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해충 방제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번식기관의 명칭이 옳은 것은?

  1. 인경 - 올미
  2. 구경 - 가래
  3. 지하경 - 띠
  4. 포복경 - 올방개
(정답률: 59%)
  • 번식기관은 생식기관의 일종으로, 정자나 난자를 생성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지하경은 남성의 생식기관 중 하나로, 고환에서 생성된 정자를 수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띠는 지하경의 일부분으로, 정자를 수송하는 동안 지하경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하경 - 띠가 옳은 명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종자의 휴면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수분, 온도, 광의 적당한 상태에 있어도 오랫동안 발아가 지연된다.
  2. 배(胚)의 생장이나 대사작용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3. 종자 뿐만아니라 괴경, 지하경 또는 목본식물의 눈에서도 볼 수 있다.
  4. 휴면은 종자에서만 발생한다.
(정답률: 74%)
  • "휴면은 종자에서만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휴면은 종자 뿐만 아니라 괴경, 지하경 또는 목본식물의 눈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휴면은 생존 환경이 불리한 경우에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분, 온도, 광 등의 조건이 적절하더라도 발아가 지연될 수 있으며, 배(胚)의 생장이나 대사작용이 일시적으로 정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단자엽 식물의 특징으로 알맞는 것은?

  1. 개방유관속의 줄기를 가지고 있다.
  2. 잎은 대개 익상맥이다.
  3. 뿌리는 직근계이다.
  4. 잎은 대개 평행맥이다.
(정답률: 81%)
  • 단자엽 식물은 하나의 씨앗에서 하나의 잎을 가지고 성장하는 식물로, 이 때 잎은 대개 평행맥이다. 이는 잎의 형태가 길쭉하고, 중앙을 따라 하나의 주요한 중심맥이 있고 그 주위에 작은 맥들이 평행하게 뻗어나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벼의 직파재배에서 잡초의 피해가 아닌 것은?

  1. 파종 후 초기경합으로 벼 입모율을 크게 감소시킨다.
  2. 분얼수와 수수도 잡초와의 경합에 의해 감소한다.
  3. 중기경합은 양분흡수의 억제로 수량에 영향을 준다.
  4. 후기경합으로 천립중이 감소한다.
(정답률: 33%)
  • "파종 후 초기경합으로 벼 입모율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이유는, 파종 후 잡초와 벼가 같은 시기에 자라기 시작하면서 양분과 물 등 자원을 경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경쟁으로 인해 벼의 입모율이 감소하게 되어 수확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잡초와의 경쟁으로 인해 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트리아진(Triazine)계 제초제가 살초력을 발휘하는 식물 체내의 작용점은?

  1. 엽록체
  2. 미토콘드리아
  3. 세포질
(정답률: 65%)
  • 트리아진 계 제초제는 엽록체 내에서 광합성 과정을 방해하여 살초력을 발휘합니다. 엽록체는 광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식물의 중요한 세포기관입니다. 따라서 엽록체를 방해함으로써 식물의 생존을 막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우리나라 논에 발생하는 주요 다년생 잡초의 종류로 맞는 것은?

  1. 피, 물달개비, 올미, 가래
  2. 올미, 올방개, 가래, 너도방동사니
  3. 마디꽃, 물달개비, 가래, 올챙이고랭이
  4. 벗풀, 보풀, 물달개비, 가래
(정답률: 75%)
  • 주요 다년생 잡초 중에서 올미, 올방개, 가래, 너도방동사니가 포함된 이유는 이들 잡초가 우리나라 논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에 포함된 잡초들도 논에서 발생하지만, 그 중에서도 이들 잡초들은 특히 농작물에 큰한 피해를 줄 수 있어 농업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제초제의 토양 중 지속성은 반감기(half life)로 나타낸다. 이 때 반감기란?

  1. 처리한 제초제의 1/2이 소실되는데 요하는 시간
  2. 처리한 제초제의 1/5이 소실되는데 요하는 시간
  3. 식물체의 1/2를 고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4. 식물체의 1/5을 고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정답률: 72%)
  • 반감기는 원래 양의 절반만 남아있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처리한 제초제의 1/2이 소실되는데 요하는 시간"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반감기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특정 물질이 분비되거나 또는 유출 되어 주변 식물의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합적 억제작용
  2. 생리적 억제작용
  3. 화학적 억제작용
  4. 상호대립 억제작용
(정답률: 71%)
  • 정답: 상호대립 억제작용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는 특정 물질이 분비되거나 유출되어 주변 식물의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을 상호대립 억제작용이라고 합니다. 이 작용은 주로 동일 종의 식물들 사이에서 경쟁이 발생할 때 나타나며, 경쟁에서 이긴 식물은 상대방의 생장을 억제하여 자신의 생장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집니다. 이러한 상호대립 억제작용은 식물의 생태학적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동일한 발생밀도 조건에서 벼와 경합력이 가장 큰논잡초는?

  1. 물달개비
  2. 마디꽃
  3. 올미
(정답률: 90%)
  • 벼와 경쟁력이 가장 큰 논잡초는 발생밀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생존력이 높은 종이기 때문에, 이 종들 중에서 가장 생존력이 높은 것이 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