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배나무 불마름병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가지과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의 방제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3. 소나무잎떨림병(엽진병)은 어떤 포자로 전염되는가?
4. 병원체에 대하여 완전면역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5.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서 발생하는 병은?
6. 다음 중 세균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은?
7. 식물병의 핵산 분석에 의한 진단 방법은?
8. 토마토 시설재배에서 자외선 차단 비닐을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병은?
9.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0. 느티나무흰별무늬병(백성병)의 외부병징과 표징은?
11. 다음 중 비기주작물로 1~3년간 윤작하여 방제할 수 있는 병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2. Trichoderma속 균에 의하여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병은?
13. 토마토시들음병과 풋마름병을 간이진단법으로 구별하고자 한다. 이 때의 단서가 되는 점은 다음의 어느 것인가?
14. 다음 바이러스 중 길이가 가장 긴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5. 식물 병원 바이러스와 식물 병원 파이토플라스마의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
16. 다음의 감자 병해 중 Streptomyces scabies에 의해 발생하는 병은?
17. 사과나무 줄기나 가지에만 발생하고, 병 무늬는 처음에는 갈색 또는 약간의 붉은색을 띤 수침상이며, 껍질을 벗기면 알코올 냄새가 난다. 자낭균에 속하는 이 병은?
18. 배추흰무늬병의 병징, 전염경로 및 방제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9. 다음 중 식물이 어떤 병에 잘 걸리는 성질은?
20. 다음 병중에서 병원균이 순활물기생균(純活物寄生菌)에 속하는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다음 중 해충의 이름과 학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22. 매미목 곤충의 형태적 특징 중 맞지 않는 것은?
23. 학명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는 어떤 해충인가?
24.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은 어느 것인가?
25. 곤충의 먹이 탐색에 이용되지 않는 것은?
26. 포식곤충 중 유충과 성충이 모두 포식성이 아닌 것은?
27. 기주 범위가 매우 넓어 침, 활엽수로 모두 가해하는 매미나방의 학명은?
28. 해충문제의 심각성이 커지는 이유가 될 수 없는 것은?
29. 곤충의 4시기 중에서 유충에서 번데기로 촉진작용을 하는 호르몬은 어떤 것인가?
30. 배나무방패벌레는 배나무를 비롯하여 많은 활엽정원수 앞뒷면에서 흡즙 가해한다. 이 해충의 분류학적 위치는?
31. 수확 후 포장관리법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32. 해충의 발생을 예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부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33. 해충 개체군 크기의 변동요인 중 밀도 의존적 요인이 아닌 것은?
34. 다음 해충 중 유충이 과일 속으로 뚫고 들어가 가해하는 해충은?
35. 톡톡이목의 특징이 아닌 것은?
36. 벼물바구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7. 곤충의 혈림프로 방출되는 탄수화물의 저장태는 무엇인가?
38. 곤충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지 않은 것은?
39. 애멸구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40. 다음 천적류 중 해충에 기생하는 천적이 아닌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작물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3요소는?
42. 잎의 뒷면에 광택화, 은회색, 청동색의 피해 증상을 나타내는 대기 오염물은?
43. 잡종강세를 이용한 1대 잡종종자로 이용되고 있지 않는 것은?
44. 종자량이 가장 많이 드는 파종 양식은?
45. 작물의 내동성을 증대시키는 생리적 조건으로 맞는 것은?
46. 토양 중의 유기물의 역할이 아닌 것은?
47. [(A×B)×B]×B와 같은 교잡에서 내병성을 A형질에서 B형질로 옮기려 할 때 쓰는 육종방법은?
48. 답리작 보리재배에서 과습으로 인하여 가장 먼저 나타나는 피해는?
49. 벼의 추락현상이 발생할 때 벼뿌리를 상하게 하는 주된 물질은?
50. 벼 심층시비의 가장 큰 잇점은?
51. 식물체가 물속에 잠겨 무기호흡이 진행될 때 체내에 많이 집적되는 물질은?
52. 작물의 수발아 방지를 위해서 발아억제제의 최적살포시기는?
53. 작물체내에서 전류이동(轉流移動)이 가장 잘 이루어져서 결핍될 경우 하위 잎에 결핍증상이 나타나는 성분은?
54. 유전형질이 재배면에서 균일하고 영속적인 개체들의 집단을 가려내어 무엇이라고 하는가?
55. 작물의 요수량(要水量)을 잘 설명한 것은?
56. 연작의 해가 가장 작은 작물은?
57.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
58. 포도의 무핵과 형성에 이용되는 생장조절제는?
59. 장명종자(長命種子)에 속하는 것은?
60. 버어널리제이션에 관여하는 요인이 가장 큰 것은?
4과목: 농약학
61. 다음 중 살균제의 작용기작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62. 다음 중 농작물 또는 기타 저장물에 해충이 모이는 것을 막기 위해 쓰이는 기피제(Repellent)로 쓰이는 것은?
63. 리바이지드 유제 30%를 500배로 희석해서 10a당 8말을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리바이지드 유제 30%의 소요량은?
64. 제초제를 처리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65. 농약의 살포방법 중 유제, 수화제. 수용제 등에서 조제한 살포액을 분무기를 사용하여 무기분무(airless spray)에 의하여 안개모양으로 살포하는 방법은?
66. 수화제(wettable powder)를 물에 풀면 어떤 액이 되는가?
67. 급성독성의 강도를 비교하는 지표로서 공시품으로 주로 사용되는 실험동물은?
68.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69. 다음 중 농약의 보조제(supplement agent)에 해당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0. 석회보르도액은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71.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키지 않은 농산물에서 잔류허용량 이상의 잔류량이 검출되었을 때의 조치사항은?
72. 농약에 의한 약해 발생의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3. 농약 중독 사태 발생 시, 취해야 할 응급조치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74. 아바멕틴(1.8%)유제, 싸이헥사틴(25%)수화제의 농약으로 쉽게 방제할 수 있는 적용해충은?
75. 비선택성 제초제가 아닌 것은?
76. 농약의 분류 중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77. 다음 약제 중 화학불임제가 아닌 것은?
78. 농약의 독성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79. 유기유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0. 메타시스톡스(thiono제)의 구조식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다음 잡초방제 방법 중 초생재배 방법은 어느 것인가?
82. 경합우위성의 획득확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83. 다음 중 재배지별, 발생 잡초 종류, 생존연한에 따른 분류, 과명 등이 모두 바르게 연결된 것은?
84. 다음 경합의 유형을 설명한 것 중에서 맞는 것은?
85. 잡초종자의 휴면이 종피에 기인한 것이 아닌 것은?
86. 다음 다년생 잡초 중 지하경 형성 위치가 표토로부터 가장 깊은 잡초는?
87. 작물과 잡초의 경합요인 중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88. 다음 잡초들 중 유성번식(종자번식)과 영양번식 모두가 용이하여 방제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초종은 어느 것인가?
89. 제초제의 물리적 선택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90.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1. 다음 중 사초과(방동사니) 잡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92. 최근 우리나라에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생태형으로 출현한 것이 아닌 것은?
93. 다음의 잡초 중 외형상 초형이 가장 작은 잡초로 구성된 것은?
94. 환경친화형 제초제의 구비조건 중 해당되지 않은 것은?
95. 참깨 파종 전에 잡초를 없애기 위해 비선택성 제초제 그라목손을 밭 토양 전면에 골고루 살포 하였다. 바르게 설명한 것은?
96. 제초제는 잡초를 선택적으로 고사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들 중에서 적당하게 기술되지 않은 것은?
97. 최근 문제되고 있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방제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방법은?
98. 다음 중 식물의 분류체계에 맞는 것은?
99.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 시 상승(synergistic)효과란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
100. 논에 다년생 잡초인 올방개가 비교적 많이 발생되어 제초제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어떤류의 제초제가 효과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