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오이 노균병균은 어떤 종류의 포자를 형성 하는가?
2. 산성토양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병은 ?
3. 식물병의 병징 중 비대병징은?
4. 고추 열매에 검은색의 작은 알갱이들이 동심윤문을 그리며 만들어지고, 습도가 높을 때 그 위에 분홍색 계통의 점액이 분비되는 병은?
5. 벼 흰잎마름병 방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 보리 겉깜부기병균이 기주식물로 침입하는 주요 부위는?
7. 유전자대 유전자설(gene for gene theory)을 제창한 학자는?
8. 다음 중 주로 풍매전반을 하는 병은?
9. 다음 중 항바이러스성 물질로 병든 식물체에 살포하거나 주입하면 병징이 억제되는 것은?
10. 진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1. 병원균이 점질물에 싸여있기 때문에 수매 전반을 주로 하는 식물병은?
12. 다음 중 저장 곡물에 Aflatoxin이라는 독소를 생성하는 균은?
13. 식물병의 진단법 중 지표식물을 이용하는 진단은?
14. 목재 썩음병에 관계하는 중요한 효소는?
15. 벼 오갈병의 주요 매개충은?
16. 다음 식물병 중 이병된 식물체를 가축이 먹으면 해로운 것은?
17. 잣나무 털녹병균의 중간 기주는?
18. 중간 기주인 향나무류를 제거하면 병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병은?
19. 병원체의 침입에 대한 식물의 과민성 반응과 관계가 깊은 것은?
20. 벼도열병 방제를 위해서 라브사이드 수화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뿌리고자 한다. 물 1L에 약을 얼마나 타면 되는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총채벌레의 형태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22. 국내에서 사과하늘소의 발생횟수는?
23. 다음 중 곤충의 배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4. 하우스 딸기의 종합적 해충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25. 대부분의 소화효소를 합성・방출하고 먹이성분들을 분해시켜 그 산물을 흡수하는 곤충의 기관은?
26. 벼멸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7. 어떤 곤충을 사육하였을 때 25℃에서 12일이 걸렸다. 이 곤충의 발육영점온도가 10℃이면 유효적산온도(유효발육적산온일도)는?
28. 벼총채벌레의 겹눈, 홑눈, 더듬이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29. 곤충의 선천적 행동이 아닌 것은?
30. 나비류에서 대롱 모양의 긴 주둥이는 무엇이 변형된 기관인가?
31. 곤충의 피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2. 다음 중 완전변태류에 속하는 목은?
33. 다음 중 과변태를 하는 곤충은?
34. 양어장 부근에서 미국흰불나방 방제에 사용되는 어독성이 적은 농약은?
35. 복숭아 심식나방의 발생예찰에 이용되는 페로몬은?
36. 풀잠자리 목(目)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7. 앞날개가 경화되어 시초로 변해있는 것은 ?
38. 다음 중 내충성 품종의 요건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39. 다음의 곤충 기관 중 소화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40.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고 매년 외국에서 날아와 피해를 주는 해충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어떤 형질을 발현하는 유전자가 성염색체에 있고, 그 형질이 특정한 한쪽 성에만 나타나는 것은?
42. 벼품종 IR-8을 육성한 기관의 이름은?
43. 작물의 수해(水害)를 크게 하는 조건은?
44. 메벼의 무망종을 선종할 때 알맞은 비중은?
45. 탈질현상을 경감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은 시비법은?
46. 교배 육종에 있어서 개화기의 조절을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47. 냉해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48. 최적엽면적지수가 클수록 어떻게 되는가?
49. 화학적・생리적 염기성 비료에 해당하는 것은?
50. 뿌리털이 땅속의 물을 흡수하는 능동적 흡수작용은?
51. 재배법에 의한 수광태세의 개선책으로서 옳은 것은?
52.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긴 것은?
53. 10a 당 질소(N)를 성분량으로 10kg을 주고자 한다. 요소로 줄 경우 요소의 적합한 양은?
54. 다음 중 포장동화능력(圃場同化能力)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55. 맥류의 전면전층파 재배에 이롭지 못한 방법은?
56. 양적변이(量的變異:quantitative variation)란?
57. 콩 2이랑에 옥수수 1이랑씩 서로 건너서 교호로 재배하는 방식은?
58. 최대용수량일 때의 pF(potential force)는?
59. 벼가 장해형 냉해에 가장 약한 시기는?
60. 다음 중 이형예(異型蘂) 현상을 보이는 대표적 작물은?
4과목: 농약학
61. 농약관리법상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2. 다음 보기의 농약에 의해 방제되는 주요 적용 병해충은?
63. 황산아트로핀은 어느 농약의 중독 치료에 사용하는가?
64. 농용항생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5. 다음 중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발암성유발 가능성에 대한 분류기준으로서 발암유해성(B1) 농약의 정의를 옳게 설명 한 것은?
66.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약제를 혼용하면 좋다. 다음 약제 중 혼용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67.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을 위해 사용되는 농약은?
68. 식물생장조정제 중 작물건조 기능을 하는 농약은?
69. 농약 독성의 발현속도(시기)에 따른 구분은?
70. 다수진(diazinon)살충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71. 분제의 물리적인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2. 식물체 내에서 베타산화(β- oxidation) 여부로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은?
73. 교차저항성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74. 잔류농약의 피해대책을 위하여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반감기 및 반치사농도(LC50)등에 따라 잔류성 농약을 구분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5. 파라치온은 인체의 조직과 혈액 중의 콜린에스테라제와 결합해서 어느 것이 축적되어 중독증상을 일으키는가?
76. 30% 메프(MEP)유지(비중 1.0) 100cc 로 0.05%의 살포액을 만들려고 한다. 이 때 소요되는 물의 양은?
77. 다음 중 신경독 살충제는?
78. 파라치온 유제 50%를 0.08%로 희석하여 10a 당 100L를 살포하려고 할 때 소요약량은 약 몇 mL 인가? (단, 비중은 1.008이다.)
79. 살균제의 작용기작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0. 농약의 토양 잔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작물과 잡초간의 주요 경합 대상이 아닌 것은?
82. 제초제가 작물에는 피해(약해)를 주지 않고 잡초만을 죽일 수 있는 특성은?
83. 다음 중 잔디밭에 발생하는 클로버를 방제하려고 할 때 가장 적합한 제초제는?
84. 화본과 잡초 중 다년생 잡초는?
85. 과수원에서 피복작물을 재배하여 잡초를 관리하고자 할 때 피복작물 선택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86. 어떤 잡초를 분류하고자 할 때 식물분류학적 분류 순서로 옳은 것은?
87. 다음 잡초 중 종자의 천립중이 가장 가벼운 것은?
88. 다음 중 잡초방제를 철저히 해 주어야 하는 잡초경합한계 기간은?
89.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계 제초제의 작용 기구는?
90. 8000ppm을 퍼센트 농도로 바꾸면?
91. 다음 잡초 중 광발아 잡초는?
92. 우리나라 논에 발생하는 주요 다년생 잡초의 종류로만 나열된 것은?
93. 다음 중 잡초종자의 발아에 필수적인 조건은?
94. 비선택적으로 식물을 전멸시키는 제초제는?
95. 잡초방제에서 제초제 사용의 특징이 아닌 것은?
96. 잡초를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97. 2,4-D 액제를 벼 유수형성기 전에 처리할 때, 벼에는 약해가 없으나 광엽잡초에는 약해가 발현하는 주된 이유는?
98. 잡초와 작물과의 경합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9. 잡초방제 측면에서 제초제 저항성 잡초종의 발생에 대한 대책이 아닌 것은?
100. 식물의 여러기관에서 특정 물질이 분비되거나 또는 유출되어 주변 식물의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 현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