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붕소가 부족하여 일어나는 사과의 병은?
2. 벼 잎집얼룩병의 발병 최성기는 언제인가?
3. 무 배추 무사마귀병(根瘤病)의 발병에 알맞은 토양 산도는?
4. 병반이 상처를 통해서 주로 침입하는 병은?
5. 토마토 풋마름병의 올바른 진단법으로서 가장 유의할 점은?
6. 식물병원균이 분비하는 물질로서 직접, 간접적으로 병원성에 관여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7. 바이러스의 종자전염이 가장 문제가 되는 식물은?
8. 보르도액의 성분으로 옳은 것은?
9. 2 ~ 3년생의 소나무 가지가 죽고, 죽은 가지 수피에 농갈색의 자낭반이 나오는 병은?
10.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병원(病源)은?
11. 식물체의 비정상적인 생장을 초래하는데 관여하는 식물 호르몬이 아닌 것은?
12. 향나무에 형성된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赤星病菌)의 포자 이름은?
13. 식물병의 혈청학적 진단법에 속하는 것은?
14. 다음 중 나머지 셋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15. 다음 병 중 병원체의 분류에 그람염색(Gram staining)을 이용하는 것은?
16. 사과 점무늬낙엽병균이 생성하는 독소명은?
17. 전형적인 벼 잎도열병의 병징은?
18.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기주식물이 생성하여 기생체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은?
19. 종자 소독으로 방제할 수 있는 벼의 병해는?
20. 세균이 식물에 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힌 사람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외국에서 천적을 도입하고자 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설명은?
22. 해충 방제시험에서 무처리의 생존율이 90% 이고, 처리구의 생존율이 22.5% 이면 보정 살충률은?
23. 훈증제는 주로 곤충의 어느 부분을 통하여 체내에 들어가서 곤충을 죽게 하는가?
24. 다음 중 가장 오래전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해충은?
25. 방제를 실시해야 되는 밀도수준은?
26. 곤충에 속하지 않는 것은?
27. 벼메뚜기의 형태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28. 유충으로 월동하지 않는 해충은?
29. 이화명나방의 암수 구별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30. 고자리파리의 월동충태는?
31. 다음 중 호흡계의 기문 수가 가장 적은 곤충은?
32. 곤충은 동종내에서 한 개체가 다른 개체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분비한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
33. 수정된 난핵(卵核)이 분열하여 각각의 개체로 발육하는 것으로 하나의 수정란에서 여러 개의 개체가 나오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4. 사과응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5. 곤충의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ne)을 분비하는 분비샘의 명칭은?
36.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37. 곤충의 외부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38. 카이로몬(Kairomone)에 해당되는 졍우는?
39. 개체군의 크기(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0.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이 아닌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냉수온탕침법 또는 온탕침법과 같은 종자의 온도처리로 방제되기 힘든 병은?
42. 다음 중 Rhizobium 세균과 공생함으로써 공기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작물은?
43. 최대용수량에 도달하고 있는 토양의 수분상태를 pF의 값으로 표시하면 약 얼마가 되는가?
44. 종묘의 병리적 퇴화방지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45. 감자의 휴면타파 기술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
46. 벼의 감수분열기에 꽃밥이나 화분의 이상발육을 초래하여 불임현상을 일으키는 가장 큰 재해는?
47. 벼재배에서 이삭거름의 사용적기는?
48. 침관수해(浸冠水害)에 가장 피해를 많이 받기 쉬운 조건은?
49. 자가불화합성을 보이는 작물은?
50. 식물의 수분포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1. 포도의 무핵과 형성에 이용되는 생장조절제는?
52. 피자식물의 중복수정 결과 배와 배유의 염색체 조성은?
53.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작은 작물은?
54. 논에서 저장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55. 종자의 저장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56. 잡종강세가 현저하고 잡종 종자의 생산이 용이하여 1 대잡종 및 단계 교잡을 주로 이용하는 작물은?
57. 한해(旱害)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8. 토양 pH가 강알칼리성이 되면 가급도(可給度)가 급격히 감소하여 작물 생육이 불리해 지는 식물 영양성분은?
59. 다음 중 산성 토양에 적응성이 가장 약한 식물은?
60. 작물의 동상해에 대한 응급대책이 아닌 것은?
4과목: 농약학
61. 농약으로 개발된 식물생장조절제 중 식물체 내에서 가스 상태로 존재하는 호르몬제는?
62. 분제의 입도를 측정하는 체의 크기로서 옳은 것은?
63. 물에 잘 팽윤되어 점착성을 띠며, 주로 수화제의 증량제로 사용되고, 비교적 무거운 점토광물로 흡유가가 천연의 증량제 중 가장 높은 것은?
64. 피레드린(Pyrethrin) 살충제는 충제의 어느 부분에 작용하여 효과를 내는가?
65. 다음 중 훈증제가 아닌 것은?
66. 농약의 액제 제형을 제조할 때 겨울에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은?
67. 향후 농약이 지향하여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8. 다음 중 제초제에 해당하는 것은?
69. 유제나 액제와 같은 액상농약을 제조할 때 투입되는 용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0. 파라티온(Parathion)은 다음 중 어느 계통의 농약으로 분류되는가?
71. 다음 중 1일 섭취 허용량(ADI)의 설정이 맞는 것은?
72. 다음 농약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73. 살포액의 조제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4. 다음 중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제형은?
75. 다음 중 침투성 살균제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76. 농약관리법에서 정한 농약의 어독성구분 중 Ⅱ급은 LC50으로 얼마(mg/L, 48시간)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가?
77. 다음 중 농약의 화학적 변화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78. 만코지 원제에 함유한 ETU(Ethylene thiourea)는 발암성이 높은 화합물로 지정되어 규제하고 있는 판정기준은?
79. 다음 중 살비제(살응애제)의 작용점 및 작용기작과 같은 양상을 나타내는 농약은?
80. 다음 중 디티오카바믹산(dithiocarbamic acid) 기를 가지고 있는 농약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작물과 잡초간의 가장 직접적인 경합요인은?
82.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논 다년생 잡초 중 출아기간이 길어 특히 방제가 어려운 잡초는?
83.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있어서 최대 경합기간은?
84. 계면활성제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85. 2,4 - D 1% 용액은 몇 ppm에 해당하는가?
86. 쌍자엽 잡초와 단자엽 잡초간 차이로 옳은 것은?
87. 다음 중 비선택성 제초제로 약제 처리 후 효과가 가장 빨리 나타나는 제초제는?
88. 타감작용(Alleopathy)을 옳게 설명한 것은?
89. 다음 중 논잡초로만 짝지워진 것은?
90. 논잡초 군락천이의 발생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1. 외래잡초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92. 벼 재배방법 중 잡초발생량이 가장 많은 것은?
93. 다음 중 잡초 종합방제를 위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4. 경엽에 처리한 흡수이행성 제초제가 주로 이동해 가는 경로는?
95. 잡초종자의 휴면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6. 제초제의 작용기작이 잘못 연결된 것은?
97. 작물과 잡초간 경합의 한계밀도(critical threshold level)
98. 잡초 종자의 휴면타파법 중 그 효과가 크게 기대되지 않는 것은?
99. 다음 중 부유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00. 토양 처리용 제초제에 있어서 물리적 선택성을 이용하기 위한 조건으로 부적당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