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봄의 배롱나무 흰가루병의 전염원은?
2.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주는?
3. 식물병원 세균의 종 이하의 분류단위에서 pv.(pathovar)가 의미하는 것은?
4. 다음 중 주로 수공감염(水孔感染)하는 작물의 병은?
5. 곡물저장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병원균은?
6. 샤이고메터(shigome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 피이토알렉신(Phytoalexin)의 생성 기작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8.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은 분류학상 어디에 속하는 병원균인가?
9. 장마철 계속되는 강우 조건에서 발생하기 쉬운 맥류의 병은?
10. 오이 모자이크병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1. 식물병의 발생 예찰시 사용하지 않는 요인은?
12. 세균의 변이 가직이 아닌 것은?
13. 페니트로티온 유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100L로 살포하고자 할 경우 10a당 필요한 약량(mL)은? (단, 페니트로티온 유제의 비중은 1.25로 한다.)
14. 비생물성 병원이 아닌 것은?
15. 기주 특이적 독소(host-specific toxin)는?
16. 대부분의 병원균이나 병원세균은 발아 등에 최소한 얇은 막의 수분이 필요한데, 물 없이 식물체를 둘러싸고 있는 상대습도만 높아도 포자가 발아하고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은?
17. 밀 줄기녹병의 특징적인 표징은?
18. 사과ㆍ탄저병의 발병에 알맞은 기상 조건은?
19. 감자 더뎅이병을 일으키며, 균류와 같이 광범위한 분지성을 가지면서 그램양성균인 생물은?
20. Dienes 염색약은 어떤 식물병원에 의한 식물병의 진단에 사용되는 것인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 분류학상 딱정벌레목(目)에 속하지 않는 종은?
22.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는 비래 해충은?
23. 배추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4. 곤충생장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 : IGR)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5. 다음이 설명하는 조직은?
26. 제충국제의 주요 성분을 이루는 피레스린(pyrethr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같은 종내 개체간 교신을 위한 화학적 신호물질은?
28. 쥐똥밀깍지벌레의 암컷 성충의 형태는?
29. 곤충의 휴면(休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0. 곤충의 고시류와 신시류의 분류 기준으로 옳은 것은?
31. 씹는형의 입들을 갖지 않는 곤충은?
32. 곤충의 호흡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3. 점박이 응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곤충의 중추신경계에 속하지 않는 구조는?
35. 사과면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6. 곤충의 자웅 생식기관 구조에서 서로 대응되지 않는 것은?
37. 과변태하는 곤충은?
38. 작용기작에 따른 살충제 분류에서 신경정보전달 교란에 의한 저해제에 속하는 것은?
39. 등에는 어느 목에 속하는 곤충인가?
40. 곤충의 외부 기관 중 가슴(흉부)의 부속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우리나라는 토양의 평균 부식함량은 약 몇 % 인가?
42. 동질배수체의 특성이 아닌 것은?
43. 작물의 생육과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4. 열해(熱害)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5. 벼 품종의 특성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46. 작물의 내열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47. 다음 중 내염성이 가장 강한 작물은?
48. 작물의 유연관계를 밝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49. 연작의 해가 가장 심한 작물로 짝지워진 것은?
50. 밭에서 한발 경감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51. 신품종의 구비조건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52. 황산암모늄[(NH4)2SO4]의 질소함량은 약 얼마인가? (단, N=14, H=1, S=32, 0=16)
53. 논토양의 환원상태에서 원소별로 존재형태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54. 답압(踏壓)의 효과가 아닌 것은?
55. 토양의 통기성을 좋게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56. 토양에 의한 전반으로 발생되는 병해는?
57. 박과채소류 접목육묘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58. 종자의 수명과 발아에서 저장 중에 종자가 발아력을 상실하는 주원인은?
59. 유전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0. 토양 중의 유효수분범위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과목: 농약학
61. 다음 중 살균효과 이외에 잘록병 예방효과, 뜸묘방지, 뿌리의 생육촉진 등 식물의 생장조절 효과가 동시에 있는 약제는?
62. 어류에 대한 독성은 잉어를 사용하여 몇 시간 후에도 50%가 견뎌내는 약제의 농도(TLm)로 표시하는가?
63. 다음 카바메이트(Carbamate)계 살충제의 작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4. 다음 중 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65. 농약관리법에서 정한 어독성Ⅰ급의 독성구분은 LC50으로 얼마인가?
66. 다음 중 너도방동사니, 둘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제초제는?
67. 농약 관련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8. 다음 중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69.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는 주된 목적은?
70. 다음 중 농약제제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되는 약해가 아닌 것은?
71. 다음 수화제(WP)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2. 다음 중 농약혼용에 따른 장점이 아닌 것은?
73. 다음 제초제 중 디페닐에테르계 제초제는?
74. 유제를 1500배를 희석하여 액량 150mL로 살포하려 한다. 이 때 원액약량은 몇 mL가 필요한가?
75. 20% phosmet 분제 3kg을 0.5% 로 희석하는데 필요한 증량제의 양은 몇 kg 인가? (단, 비중은 1 이다.)
76. 다음 파라치온(parathi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7. 다음 구리(銅)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8. 비선택성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79. 농약의 살포방법 및 유제, 수화제, 수용제 등에서 조제한 살포액을 분무기를 사용하여 무기분무(airless spray)에 의하여 안개모양으로 살포하는 방법은?
80. 농약의 독성의 정도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토양내 다년생잡초의 지하경이 가장 깊은 부위에서 형성되는 잡초는?
82. 우리나라에서 다년생 잡초인 것은?
83. 유효성분함량이 2%인 유제 제초제 60mL를 20L 물에 희석하여 10a(300평)당 100L 살포하였다. 이때 처리된 제초제 성분량은 몇 g/10a 수준인가? (단, 유제의 비중은 1이다.)
84. 잡초와 작물의 생리ㆍ생태적 특성 차이에 근거하여 작물의 경합력이 높아지도록 재배관리함으로서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
85. 종내경합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86. 잡초의 학명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87. 광합성에 있어서 C4식물이 C3식물에 비하여 유리한 환경조건은?
88. 잡초의 밀도가 증가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되는데, 어느 밀도 이하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89.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90. 비선택성 제초제인 것은?
91. 종자의 산포를 공간적 산포와 시간적 산포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시간적 산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92. 다년생 잡초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3.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관여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닌 것은?
94. 잡초종자의 특징으로 휴면성이 있는데, 명아주과 종자가 가지는 휴면성의 가장 큰 원인은?
95. 물엘 잘 녹지 않는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인 후 물에 고루 분산되도록 유화제를 가한 제형은?
96. 다음 중 잡초군락의 변이 및 천이를 유발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
97. 2,4-D의 농도 1%는 몇 ppm인가?
98. 벼에 대한 광 경합이 가장 큰 식물 종은?
99. 식물의 형태 중 제초제의 선택성과 관계가 먼 것은?
100. 잡초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