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식물보호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赤星病菌)의 중간기주는?

  1. 사과나무
  2. 소나무
  3. 향나무
  4. 참나무
(정답률: 84%)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의 중간기주는 향나무입니다. 이는 향나무가 배나무와 근연종이기 때문에, 두 종 간에 교차감염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향나무는 붉은별무늬병균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중간기주로 적합한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추 역병(疫病)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이어짓기, 가뭄
  2. 돌려짓기, 과습
  3. 이어짓기, 침수
  4. 돌려짓기, 침수
(정답률: 87%)
  • 고추 역병은 곰팡이가 원인이며,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어짓기와 침수와 관련이 깊습니다. 이어짓기는 땅이 건조하여 물을 공급받지 못하면서 공기 중 습기가 증가하는 상황을 말하며, 가뭄으로 인해 고추가 습기를 충분히 받지 못하면 곰팡이가 번식하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침수는 물이 과도하게 차서 뿌리가 썩어나가는 상황을 말하며, 고추가 물에 잠기면서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이어짓기와 침수는 고추 역병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의 전염 경로가 아닌 것은?

  1. 오염 토양
  2. 담배나방
  3. 담배 피우던 손
  4. 오염된 농구(農具)
(정답률: 62%)
  •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는 담배나방을 통해 전염되지 않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주로 오염된 담배나무 잎이나 담배를 피우던 손, 그리고 오염된 농구(農具)를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담배나방"은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의 전염 경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운동성을 가지고 있는 포자는?

  1. 유주자
  2. 분생포자
  3. 유성포자
  4. 난포자
(정답률: 70%)
  • 유주자는 미세한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서 물 속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운동성을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주자는 운동성을 가지고 있는 포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수계(통일계) 벼 품종이 도열병에 이병화된 원인으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변이균 발생
  2. 토양의 산성화
  3. 침수와 태풍
  4. 매개충 대발생
(정답률: 63%)
  • 다수계(통일계) 벼 품종이 도열병에 이병화된 원인으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변이균 발생"입니다. 변이균은 도열병의 원인균으로, 벼 식물에 감염되면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수확량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변이균 발생을 예방하고 통제하는 것이 도열병 예방에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독소와 기주 특이성과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모든 독소는 기주 특이성이 있다.
  2. 모든 독소는 기주 특이성이 없다.
  3. 독소와 기주 특이성과는 관계가 없다.
  4. 독소에 따라 기주 특이성이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정답률: 81%)
  • 독소에 따라 기주 특이성이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이는 독소의 성질과 기주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부 독소는 특정 종류의 기생충이나 세균에만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독소는 여러 종류의 기생충이나 세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독소와 기주 특이성은 서로 관련이 있지만, 모든 독소가 기주 특이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벼 도열병 방제를 위해서 가스가마이신·프탈라이드 수화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뿌리고자 한다. 물 1L에 수화제를 얼마나 타면 되는가?

  1. 0.1g
  2. 1g
  3. 0.1kg
  4. 1kg
(정답률: 72%)
  • 가스가마이신·프탈라이드 수화제를 1000배로 희석한다는 것은 1g의 수화제를 1000mL의 물에 타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답은 "1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순활물기생균으로 옳은 것은?

  1. 벼 도열병균
  2. 맥류 흰가루병균
  3. 고추 탄저병균
  4. 벼 흰잎마름병균
(정답률: 59%)
  • 순활물기생균은 맥류 흰가루병균의 다른 이름이다. 맥류 흰가루병균은 곡물 작물에서 발생하는 질병을 일으키는 균으로, 백색 가루 모양의 포자를 형성하여 작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 감염되어 병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맥류 흰가루병균이 순활물기생균이라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물병원균이 생성하는 특이적 독소에 해당되는 것은?

  1. AK-독소
  2. Fusaric acid
  3. Ophiobolins
  4. Tabtoxin
(정답률: 73%)
  • AK-독소는 Aspergillus flavus와 같은 식물병원균이 생성하는 독소로, 인간에게는 심각한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Fusaric acid는 Fusarium spp.가 생성하는 독소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의 병해성을 증가시킵니다. Ophiobolins는 Cochliobolus spp.가 생성하는 독소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의 병해성을 증가시킵니다. Tabtoxin은 Pseudomonas syringae가 생성하는 독소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의 병해성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AK-독소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험이 있으며, 다른 독소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코희의 원칙(Koch's postulate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obert Koch가 제안하였다.
  2. 4단계의 규칙으로 구성되었다.
  3. 모든 식물병원체에 적용할 수 있다.
  4. 식물병 뿐만 아니라, 동물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정답률: 75%)
  • "모든 식물병원체에 적용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코희의 원칙은 주로 동물병원체에 적용되며, 식물병원체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곤충에 의해서 전염되는 식물병은?

  1. 고추 탄저병
  2. 벼 흰잎마름병
  3.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4. 대추나무 빗자루병
(정답률: 73%)
  •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곤충에 의해 전염되는 식물병입니다. 이 병은 주로 나무를 공격하는 작은 벌레인 빗자루벌레에 의해 전파됩니다. 빗자루벌레는 대추나무의 잎과 가지를 먹고, 그 과정에서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대추나무의 잎과 가지가 노랗게 변하고, 결국 나무가 죽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물 병원 바이러스와 식물 병원 파이토플라스마의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

  1. 바이러스는 세포벽이 있으나 파이토플라스마는 세포벽이 없다.
  2. 바이러스는 RNA를 함유하고 있으나 파이토플라스마는 RNA가 없다.
  3. 바이러스는 매개충이 옮겨 주나 파이토플라스마는 매개충에 의하여 전파되지 않는다.
  4. 바이러스는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e)에 대하여 저항성이나 파이토플라스마는 감수성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바이러스는 세포벽이 있으나 파이토플라스마는 세포벽이 없다."이다.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 침입하여 세포 내부의 기계를 이용하여 복제되지만, 파이토플라스마는 세포 외부에서 세포 내부로 침입하여 복제된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세포벽을 뚫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세포벽을 가지고 있지만, 파이토플라스마는 세포벽이 없다. 또한 바이러스는 테트라싸이클린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지만, 파이토플라스마는 감수성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우스에 재배하는 채소에서 과습과 저온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은?

  1. 고추 탄저병
  2. 딸기 잿빛곰팡이병
  3. 토마토 풋마름병
  4. 오이 덩굴쪼김병
(정답률: 82%)
  • 과습과 저온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은 딸기 잿빛곰팡이병입니다. 이는 딸기 잎이나 열매에 흰색 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며, 열매가 부패하고 맛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공기순환을 잘 유지하고, 수분 관리를 철저히 하며, 병원균을 예방하기 위해 살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1. 천공
  2. 이상 비후
  3. 위조
  4. 도장
(정답률: 57%)
  •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이상 비후입니다. 이는 병원균에 의해 잎의 조직이 부패되고 검은색으로 변색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병원균이 잎의 조직을 파괴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병원균의 성장과 번식을 촉진시키는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종묘소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염원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2. 종자의 발아율을 좋게 하는 방법이다.
  3. 종자를 이물질이 없도록 정선하는 방법이다.
  4. 농약만을 사용하는 방법이므로 화학적 방제법이다.
(정답률: 69%)
  • 종묘소독은 종자나 묘목 등을 사용하기 전에 병원균이나 해충 등의 전염원을 제거하여 작물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염원을 제거하는 방법이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유전자 증폭에 의한 식물병의 진단과 가장 관련이 있는 용어는?

  1. TEM
  2. PCR
  3. IEM
  4. RFLP
(정답률: 81%)
  • PC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의 약자로, 유전자 증폭 기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유전자 증폭에 의한 식물병의 진단과 가장 관련이 있는 용어는 PCR입니다. PCR은 작은 양의 DNA를 증폭하여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기술로, 식물병원체의 DNA를 증폭하여 진단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질소 비료 과용
  2. 고습도 유지
  3. 밀식 방지
  4. 이병성 품종 재배
(정답률: 65%)
  •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방제 방법 중 옳은 것은 "밀식 방지"입니다. 이는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원인인 바이러스가 벼를 감염시키는 범위를 줄이기 위해 벼를 너무 밀집하게 심지 않고,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공기 순환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식물체 물관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증식하므로 발생하는 병은?

  1. 벼 도열병
  2. 토마토 풋마름병
  3. 맥류 녹병
  4. 사과 점무늬낙엽병
(정답률: 80%)
  • 식물체 물관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증식하면서 물과 영양분 공급이 차단되어 식물이 쇠퇴하고 죽는 병을 물관병이라고 합니다. 토마토 풋마름병은 토마토의 뿌리 부분에 있는 물관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증식하면서 발생하는 병으로, 식물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뿌리가 부패하고 식물이 죽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벼 오갈병 바이러스의 핵산은?

  1. 단일 쇄상의 RNA(ssRNA)
  2. 이중 쇄상의 RNA(dsRNA)
  3. 단일 쇄상의 DNA(ssDNA)
  4. 이중 쇄상의 DNA(dsDNA)
(정답률: 69%)
  • 벼 오갈병 바이러스는 이중 쇄상의 RNA(dsRNA)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으로, 이중 쇄상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RNA 복제 및 번역에 필요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 쇄상 구조는 RNA 복제 및 번역 과정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고, RNA 복제 시에도 오류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병징인 동시에 표징인 것은?

  1. 토마토의 시들음
  2. 뽕나무의 오갈
  3. 오이 잎의 흰가루
  4. 포도의 뿌리혹
(정답률: 60%)
  • 병징인 동시에 표징인 것은 "오이 잎의 흰가루"입니다. 이는 오이 잎에 생기는 병으로, 병원균이 잎의 표면에 흰가루 모양으로 생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병은 동시에 병원균의 존재를 표시하는 표징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우리나라에서 이화명나방의 년 발생기수는?

  1. 1~2회
  2. 4~5회
  3. 6~8회
  4. 9~10회
(정답률: 68%)
  • 이화명나방은 연간 1~2회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이화명나방의 번식 주기와 생태적 특성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화명나방은 봄과 가을에 발생하며, 애벌레가 발생하는 시기와 성충이 발생하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 빈도가 높지 않습니다. 또한 이화명나방의 발생은 기후 조건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간 발생 횟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고 매년 중국 남부로부터 비래해 오는 해충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률: 68%)
  • 정답은 "벼멸구"입니다. 벼멸구는 한국에서는 겨울에는 추위로 인해 살아남지 못하고 중국 남부에서 월동을 하다가 봄에 다시 한국으로 날아와 벼를 해충으로 공격합니다. 따라서 매년 중국에서 비래해와 함께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애멸구, 끝동매미충, 번개매미충은 모두 한국에서 월동하며 봄에 다시 활동을 시작하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생물불류의 기본단위인 종(species)의 학명(Scientific Name)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속명
  2. 종명
  3. 명명자
  4. 채집자
(정답률: 75%)
  • 채집자는 생물의 학명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학명은 속명과 종명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명명한 학자를 명명자라고 합니다. 채집자는 생물을 채집한 사람을 의미하는 용어로, 생물의 학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곤충의 방어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곤충의 방어물질을 총칭 카이로몬이라고 한다.
  2. 사회성 곤충에서는 독샘에서 분비하는 방어물질들이 대부분 효소들이다.
  3. 곤충의 방어샘에서 동정된 화합물로는 알칼로이드, 테르페노이드, 퀴논, 페놀 등이 있다.
  4. 비사회성 곤충에서는 방어물질 중에 개미들의 경보페로몬과 같거나 비슷한 구조의 화합물도 있다.
(정답률: 67%)
  • 정답은 "곤충의 방어물질을 총칭 카이로몬이라고 한다." 이다. 이유는 곤충의 방어물질은 다양한 종류와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총칭으로 통일되는 용어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생물적 방제를 목적으로 천적을 도입하고자 한다. 천적의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격력이 왕성한 것
  2. 번식력이 왕성한 것
  3. 단식성 내지 과식성인 것
  4. 주로 해충의 수컷을 공격하는 것
(정답률: 78%)
  • 생물적 방제를 목적으로 천적을 도입할 때, 천적은 대상 해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천적의 공격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높은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천적이 단식성이나 과식성인 경우에는 대상 해충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로 해충의 수컷을 공격하는 천적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선택됩니다. 이는 수컷 해충이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컷을 공격함으로써 해충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향나무하늘소의 주요 가해 부위는?

  1. 줄기
  2. 뿌리
  3. 종자
(정답률: 79%)
  • 향나무하늘소는 주로 나무의 줄기를 먹기 때문에, 가해 부위는 "줄기"입니다. 이는 향나무하늘소가 나무의 높은 위치에서 먹이를 찾기 때문에 나무의 줄기를 타고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향나무하늘소의 주요 가해 부위는 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어떤 해충에 의한 피해인가?

  1. 응애류
  2. 방패벌레류
  3. 나무이류
  4. 멸구류
(정답률: 64%)
  • 이 그림은 나무에 생긴 구멍과 나무 껍질에 생긴 흠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방패벌레류의 피해로 인해 발생한 것입니다. 방패벌레류는 나무를 먹고 나무 껍질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서 나무를 파괴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여지는 피해는 방패벌레류에 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해충의 발생예찰 이론에서 피해허용밀도, 요방제 밀도, 피해허용한계는 어떤 항목의 판정기준에 해당하는가?

  1. 발생시기의 예찰
  2. 발생량의 예찰
  3. 피해량의 예찰
  4. 방제여부의 예찰
(정답률: 67%)
  • 피해허용밀도, 요방제 밀도, 피해허용한계는 모두 방제여부의 예찰을 판정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이는 해당 작물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방제를 시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제여부의 예찰"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탈피에 관여하는 호르몬 중 알라타체(corpusallatum)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1. 탈피호르몬(Ecdysone Hormone)
  2. 뇌호르몬(Brain Hormone)
  3.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ne)
  4. 이뇨호르몬(Diuretic hormone)
(정답률: 75%)
  • 알라타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 유일하게 탈피와 관련된 호르몬이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ne)이기 때문입니다. 이 호르몬은 어린 개체에서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며, 성체로 발달하면서 분비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탈피호르몬은 탈피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뇌호르몬은 성숙과 번식에 관여하고, 이뇨호르몬은 수분과 이온의 배출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흡즙성 해충의 증식을 촉진시킬 우려가 가장 높은 비료의 종류는?

  1. 질소질 비료
  2. 인산질 비료
  3. 칼륨질 비료
  4. 마그네슘질 비료
(정답률: 64%)
  • 질소질 비료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데 필요한 영양분 중 하나인 질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질소는 흡즙성 해충의 증식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흡즙성 해충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질소질 비료는 흡즙성 해충의 증식을 촉진시킬 우려가 가장 높은 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의 기관으로 맛감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윗입술
  2. 작은 턱수염
  3. 아랫입술 수염
  4. 큰턱
(정답률: 82%)
  • 큰턱은 주로 먹이를 잡거나 방어할 때 사용되는 기관으로, 맛감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윗입술, 작은 턱수염, 아랫입술 수염은 모두 맛감각과 관련된 기관으로, 먹이를 탐지하고 선택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생물적 방제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모든 해충에 적용되고 있다.
  2. 생물상이 평형을 되찾고 생태계가 안정된다.
  3. 효과발현이 늦지만 영구적으로 효과가 있다.
  4. 비용은 처음에만 필요하고 그 이후는 불필요하다.
(정답률: 69%)
  • "모든 해충에 적용되고 있다."는 거짓말이다. 생물적 방제는 특정한 해충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모든 해충에 대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곤충의 외분비물질 특히 암수 상호간의 종내 통신물질을 이용한 것으로 나비목 해충의 방제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물질은?

  1. 집합페로몬
  2. 경보페로몬
  3. 성페로몬
  4. 길잡이페로몬
(정답률: 86%)
  • 성페로몬은 암수 상호간의 종내 통신물질로서, 암컷이 방출하는 물질로 수컷을 유혹하거나 암컷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성페로몬은 나비목 해충의 방제에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곤충의 해당 분류군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먼지벌레 - 딱정벌레목
  2. 갈색여치 - 메뚜기목
  3. 솔수염하늘소 - 딱정벌레목
  4. 알락명주잠자리 - 잠자리목
(정답률: 49%)
  • 알락명주잠자리는 잠자리목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잠자리아목에 속합니다. 따라서 "알락명주잠자리 - 잠자리목"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곤충은?

  1. 칠성풀잠자리
  2. 조명나방
  3. 고자리파리
  4. 루비깍지벌레
(정답률: 50%)
  • 루비깍지벌레는 다른 세 개의 곤충과 달리 성인 개체가 되어도 완전변태를 하지 않습니다. 즉, 유충과 성충의 형태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곤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곤충 더듬이(antenna)의 마디 중, 수컷이 암컷의 날개 소리를 잘 듣도록 발달된 존스턴기관(Johnston's organ)이 있고, 비행 중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감각기들이 집중되어 있는 마디는?

  1. 기본마디
  2. 자루마디
  3. 팔굽마디
  4. 채찍마디
(정답률: 73%)
  • 팔굽마디에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감각기들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비행 중에 바람의 속도를 정확히 감지하여 비행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애멸구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틀린 것은?

  1. 날개는 진한 암갈색이다.
  2. 머리의 돌출부는 장방형에 가깝다.
  3. 수컷의 가운데 가슴 등면은 흑색이다.
  4. 암컷의 가운데 가슴 등면에는 황백색의 긴무늬가 있다.
(정답률: 50%)
  • "날개는 진한 암갈색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애멸구의 날개는 진한 암갈색이며, 이는 애멸구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머리의 돌출부는 장방형에 가깝고, 수컷의 가운데 가슴 등면은 흑색이며, 암컷의 가운데 가슴 등면에는 황백색의 긴무늬가 있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복숭아심식나방의 가해상태 및 피해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복숭아, 사과, 배 등의 과실을 가해한다.
  2. 과실이 피해를 입으면 표면에 굴곡이 생긴다.
  3. 피해과의 내부는 갯솜 모양으로 막혀 있고 점액이 고여 있으며, 과심(果心)부위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4. 사과에서는 먹어 들어간 곳에 즙액이 나와 말라 흰색의 덩어리가 생기는 수가 많다.
(정답률: 73%)
  • 복숭아심식나방은 과실의 표면을 먹어 침식시키는 것이 아니라 내부로 침입하여 갯솜 모양의 덩어리를 만들고 점액을 고여 시키며, 과심 부위까지는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따라서 과실의 외관은 굴곡이 생기지 않고, 표면상으로는 피해를 입은 것이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솔잎혹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벌목에 속한다.
  2. 1년에 1회 발생한다.
  3. 소나무외 밤나무에도 가해한다.
  4. 우리나라에서 1949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정답률: 60%)
  • 솔잎혹파리는 소나무를 비롯한 솔과 밤나무 등의 수목에 가해하는 해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49년에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 해충은 1년에 1회 발생하며, 주로 봄철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1년에 1회 발생한다."는 솔잎혹파리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곤충의 내부형태 중 소화기계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존스톤씨기관
  2. 기문
  3. 알라타체
  4. 말피기씨관
(정답률: 71%)
  • 말피기씨관은 곤충의 소화기계에서 식이섬유를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곤충의 내부형태와 관련된 다른 기관들을 나타내지만, 소화기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말피기씨관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작물의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

  1. 녹색광
  2. 황색광
  3. 주황색광
  4. 적색광
(정답률: 88%)
  • 작물의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 적색광입니다. 이는 광합성에서 사용되는 엽록소의 흡수 스펙트럼이 적색광에서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색광은 작물의 광합성과 생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답전윤환재배시 지력과 잡초문제를 감안할 때 최소년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2~3년
  2. 4~5년
  3. 6~7년
  4. 8~9년
(정답률: 76%)
  • 답전윤환은 지력이 높은 작물로 잡초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2~3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충분히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할 것입니다. 또한, 너무 오랜 기간 동안 재배를 하면 토양의 영양분이 고갈되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2~3년 정도의 주기로 작물을 교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2~3년"이 가장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진정광합성량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외견상 광합성량 + 호흡에 의한 소모량
  2. 외견상 광합성량 - 호흡에 의한 소모량
  3. 포화 광합성량 + 호흡에 의한 소모량
  4. 포화 광합성량 - 호흡에 희한 소모량
(정답률: 39%)
  • 진정광합성량은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낸 총 탄소화합물의 양을 말합니다. 이 값은 "외견상 광합성량 + 호흡에 의한 소모량"으로 계산됩니다. 즉,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낸 탄소화합물에서 호흡에 의해 소모된 탄소화합물을 빼면 식물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탄소화합물의 양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간식물은 어떤 일장형의 식물인가?

  1. 화성이 일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특정한 일장에서만 화성이 유도된다.
  3. 초기 장일이었다가 후기에 단일상태로 되어야 화성이 유도된다.
  4.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대단히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화성이 유도된다.
(정답률: 57%)
  • 중간식물은 "특정한 일장에서만 화성이 유도된다." 일장형의 식물이다. 이는 중간식물의 화성이 일장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중간식물의 화성은 초기 장일이었다가 후기에 단일상태로 되어야 유도되며,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대단히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유도된다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닐하우스에서는 흔히 고온장해가 유발되는데 내열성이 가장 큰 식물체 부위는?

  1. 눈(芽)
  2. 미성엽(未成葉)
  3. 완성엽(完成葉)
  4. 중심주(中心柱)
(정답률: 72%)
  • 완성엽은 이미 성장이 완료된 잎으로, 더 이상 성장하지 않기 때문에 내열성이 가장 높습니다. 반면에 눈과 미성엽은 아직 성장 중이기 때문에 고온장해에 민감하며, 중심주는 식물의 생식기관으로 내열성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완성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작물 체내에서 전류이동(轉流移動)이 잘 이루어져 결핍될 경우 결핍증상이 오래된 잎에 먼저 나타나는 성분은?

  1. 질소(N)
  2. 철(Fe)
  3. 규소(Si)
  4. 칼슘(Ca)
(정답률: 67%)
  • 질소는 작물에서 가장 중요한 영양소 중 하나이며, 전류이동이 잘 이루어져 결핍될 경우 오래된 잎에 먼저 나타나는 결핍증상이다. 이는 작물이 질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질소가 부족해지면 오래된 잎에서 질소를 빼앗아 신규 잎에 공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질소(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벼의 병해 중 곤충의 매개로 발생하는 병은?

  1. 도열병
  2. 잎집무늬마름병
  3. 흰잎마름병
  4. 줄무늬잎마름병
(정답률: 69%)
  • 줄무늬잎마름병은 벼를 감염시키는 곤충인 벼노린재와 벼마름벌레 등의 매개로 전파되는 병입니다. 이 병은 잎의 중앙을 따라 검은 줄무늬가 생기고, 잎이 마르고 말라서 쉽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로 영양번식 하는 작물은?

  1. 옥수수
  2. 감자
  3. 토마토
(정답률: 82%)
  • 감자는 탄수화물과 비타민 C, 칼륨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여 영양분을 많이 공급해주기 때문에 주로 영양번식 하는 작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작물의 유전변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환경변이는 다음 세대에 유전한다.
  2. 연속변이를 하는 형질을 질적 형질이라고 한다
  3. 불연속변이를하는 형질을 양적형질이라고 한다
  4. 꽃 색깔이 붉은 것과 흰 것으로 구별되는 것은 불연속변이이다.
(정답률: 71%)
  • 불연속변이는 형질이 뚜렷하게 분리되어 나타나는 형질 변이를 말합니다. 즉, 꽃 색깔이 붉은 것과 흰 것으로 구별되는 것은 뚜렷하게 분리되어 나타나는 형질 변이이므로 불연속변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피자식물의 중복수정에서 염색체의 조성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배 n, 배유 n
  2. 배 n, 배유 2n
  3. 배 2n, 배유 2n
  4. 배 2n, 배유 3n
(정답률: 70%)
  • 피자식물은 배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배의 염색체 수는 2n이고, 배유의 염색체 수는 3n이다. 따라서 피자식물의 중복수정에서는 "배 2n, 배유 3n"이 옳은 조성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답전윤화의 주요 효과로 틀린 것은?

  1. 지력증강
  2. 기지의 회피
  3. 병충해 증가
  4. 잡초의 감소
(정답률: 82%)
  • 답전윤화의 주요 효과 중 "병충해 증가"는 틀린 것입니다. 답전윤화는 식물의 면역력을 강화시켜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병충해 증가가 아닌 병충해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품종 육성시 육종가가 변이를 직접 만드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집단육종법
  2. 계통분리법
  3. 계통육종법
  4. 잡초의 감소
(정답률: 46%)
  • 계통분리법은 품종 내에서 유전적으로 다양한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시키는 방법으로, 변이를 직접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개체를 활용하여 품종을 육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계통분리법이다. 집단육종법은 한 집단 내에서 교배를 반복하여 유전적으로 동질성을 유지시키는 방법, 계통육종법은 한 개체를 여러 번 교배하여 동일한 유전적 특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이다. 잡초의 감소는 품종 육성과는 관련이 없는 답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광과 식물생육과의 관계로 연결이 틀린것은?

  1. 적색광 - 엽록소 형성
  2. 청색광 - 굴광현상
  3. 적외선 - 안토시안 생성
  4. 자외선 - 신장억제
(정답률: 52%)
  • 적외선은 광합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안토시안 생성과도 관련이 없습니다. 적색광은 엽록소를 형성하고, 청색광은 굴광현상을 유발하며, 자외선은 신장을 억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열해(熱害)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산과다
  2. 철분의 침전
  3. 암모니아 축적
  4. 유기물의 과잉집적
(정답률: 59%)
  • 열해의 원인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유기물의 과잉집적"입니다. 이는 주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쓰레기 처리 시설의 부족이나 불량한 처리 방법 등으로 인해 유기물이 쌓이고 분해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열은 도시의 기온 상승과 열파로 이어져 열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감자의 휴면타파 기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0 ~ 2000ppm의 MH-30 수용액에 침지하여 파종한다.
  2. 2ppm의 지베렐린 수용액에 침지하여 파종한다.
  3. 0.5 ~ 1%의 과산화수용액에 침지하여 파종한다
  4. 100ppm의 에스텔 수용액에 침지하여 파종한다.
(정답률: 71%)
  • 감자는 지베렐린이라는 성장호르몬에 민감하며, 2ppm의 지베렐린 수용액에 침지하여 파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감자의 휴면타파와 함께 성장을 촉진시켜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감자에게 적합한 성장조건이 아니므로 선택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료의 3요소 중 칼리의 흡수비율이 가장 큰 작물은?

  1. 옥수수
  2. 고구마
  3. 맥류
(정답률: 58%)
  • 고구마는 다른 작물에 비해 칼리를 많이 필요로 하며, 뿌리 부분이 발달하면서 칼리의 흡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구마는 칼리가 많이 필요한 작물 중 하나로, 칼리의 흡수 비율이 가장 높은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종자의 수명이 5년 이상인 장명종자(長命種子)로만 묶인 것은?

  1. 가지, 수박
  2. 메밀, 고추
  3. 벼, 완두
  4. 쌀보리, 목화
(정답률: 68%)
  • 가지와 수박은 모두 종자의 수명이 5년 이상인 장명종자이기 때문에 묶인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렇지 않은 종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벼에서 염해가 우려되는 한계농도는?

  1. 0.1% NaCl
  2. 0.3% NaCl
  3. 0.5% NaCl
  4. 0.7% NaCl
(정답률: 71%)
  • 벼는 염해에 민감한 식물로, 염해가 발생하면 생육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벼에서 염해가 우려되는 한계농도는 낮아야 합니다. 0.1% NaCl은 다른 보기들보다 낮은 농도로, 벼에서 염해가 우려되는 한계농도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B)×B]×B 로 나타내는 육종법은?

  1. 다계교잡법
  2. 여교잡법
  3. 파생계통육종법
  4. 집단육종법
(정답률: 79%)
  • 여교잡법은 한 개체를 여러 개체와 교배시켜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드는 육종법입니다. 따라서 (A×B)×B로 나타내는 육종법은 A와 B를 교배시킨 후, 그 결과물을 다시 B와 교배시켜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가진 개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맥류의 내동성과 연관된 형태적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포복성인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2. 엽색이 짙은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3. 생장점이 낮게 위치한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4. 중경(중배축)이 신장되는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정답률: 68%)
  • 중경(중배축)이 신장되는 것이 내동성이 강한 이유는 중경이란 나무의 중심축을 의미하며, 이 부분이 더욱 단단하고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경이 더욱 발달한 나무는 내동성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농약의 약효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알맞은 농약의 선택
  2. 방제적기에 농약 살포
  3. 적정농도, 정량살포
  4. 동일 농약의 지속 사용
(정답률: 84%)
  • 동일 농약의 지속 사용은 농약 내에 있는 유해물질이 토양에 쌓이고, 작물에 흡수되어 농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농약 내에 내성균주가 발생하여 농약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약효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농약의 어류에 대한 독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어독성 시험은 주로 잉어를 사용한다.
  2. 어독성은 TLm(48시간)으로 표시한다.
  3. 알드린이나 디코폴제 등은 먹이 연쇄를 통해 어류에 축적된다.
  4. 일반적으로 어류는 알(卵)일 때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다.
(정답률: 70%)
  • 일반적으로 어류는 알(卵)일 때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어류의 생식기관이 발달하기 전에 농약에 노출될 경우 생식기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류의 알(卵) 단계에서 농약에 노출될 경우 생식기관 발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50% 의 비피유제(비중: 1) 100mL를 0.05% 액으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몇 L 인가?

  1. 49.95
  2. 99.9
  3. 499.5
  4. 999.9
(정답률: 68%)
  • 50%의 비피유제 100mL는 순도가 100%인 비피유제 50mL과 같은 양의 물 50m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것을 0.05% 액으로 희석하려면, 50mL의 비피유제에 99.95mL의 물을 더해야 합니다. 따라서 총 필요한 물의 양은 50mL + 99.95mL = 149.95mL 이며, 이를 L로 환산하면 0.14995L 이므로, 정답은 "99.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농약 저항성 해충의 가능한 저항성기작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약제를 살포한 곳의 기피를 위한 식별능력이 증가된다.
  2. 살충제의 피부투과성이 증대된다.
  3. 살충제의 충체 침투를 막기 위한 피부 두께가 증가한다.
  4. 체내에서 흡수된 살충제의 해독작용이증대된다
(정답률: 76%)
  • "살충제의 피부투과성이 증대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살충제의 피부투과성이 증대되면, 해충이 살충제를 더 쉽게 흡수할 수 있어서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농작물과 함께 사람이나 동물에게도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살충제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는 피부투과성이 증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농약 저항성 해충의 가능한 저항성 기작 특성으로는 "약제를 살포한 곳의 기피를 위한 식별 능력이 증가된다.", "살충제의 충체 침투를 막기 위한 피부 두께가 증가한다.", "체내에서 흡수된 살충제의 해독 작용이 증대된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식물체 내에서 베타산화(β-oxidation) 여부로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은?

  1. 2,4-D
  2. 2,4-DES
  3. 2,4-DB
  4. UDPG
(정답률: 68%)
  • 베타산화는 지방산 분해 과정 중 하나로, 에너지 생산을 위해 지방산을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식물체 내에서 일어나며, 이를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2,4-DB는 베타산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식물체 내에서 이 물질이 존재할 경우 베타산화가 일어나지 않아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4-DB는 식물체 내에서 선택적인 제초제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물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트리아진계 토양처리용 제초제는?

  1. 다이뮤론
  2. 리뉴론
  3. 메소트리온
  4. 시마진
(정답률: 60%)
  • 정답은 "시마진"입니다. 시마진은 트리아진계 제초제로, 토양에 존재하는 잡초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는 시마진이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마진은 잔류성이 낮아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cyclodiene계 살충제로 분제와 유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는?

  1. 엔도설판(endosulfan)
  2. 피레스린(pyrethrin)
  3. 메소밀(methomyl)
  4.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정답률: 55%)
  • cyclodiene계 살충제로 분제와 유제로 사용되는 약제는 엔도설판(endosulfan)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피레스린(pyrethrin), 메소밀(methomyl),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와는 구조적으로 다르며, 엔도설판은 고성능 살충제로서 다양한 해충에 대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화제 제형은 농약분류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2.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
  3. 형태에 따른 분류
  4. 독성에 따른 분류
(정답률: 70%)
  • 수화제 제형은 "형태에 따른 분류"에 속합니다. 이는 제형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수화제는 액제형, 분말제형, 고체제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됩니다. 이와 같이 제형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입제의 제조법이 아닌 것은?

  1. 압출조립법
  2. 흡착법
  3. 피막법
  4. 파쇄법
(정답률: 69%)
  • 입제는 약물을 고체 형태로 만드는 제조법 중 하나이다. 압출조립법은 약물과 함께 배합제를 압축하여 고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며, 흡착법은 액체 상태의 약물을 고체 상태의 흡착제에 흡착시켜 고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다. 피막법은 액체 상태의 약물을 피막으로 감싸서 고체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다. 따라서 입제의 제조법이 아닌 것은 파쇄법이다. 파쇄법은 고체 상태의 약물을 작은 입자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구리제 살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접 살균제로서 유리된 구리 이온이 균사의 생육을 억제한다.
  2. 장기간 보관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3. 벼과 및 핵과류작물에 약해를 나타내지 않는다
  4. 석회황합제, 기계유유제 등 알칼리성 농약과 혼용할 수 없다.
(정답률: 58%)
  • 구리제 살균제는 직접 살균제로서 구리 이온이 균사의 생육을 억제하여 작물의 질병 예방에 사용된다. 이 제품은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벼과 및 핵과류 작물에 약해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석회황합제, 기계유유제 등 알칼리성 농약과 혼용할 수 없는 이유는 구리제 살균제가 산성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혼합 사용 시 효과가 떨어지거나 작물에 해를 끼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훈증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휘발성이 커야 한다.
  2. 인화성이 커야 한다.
  3. 침투성이 커야 한다.
  4. 농도가 균일하게 확산되어야 한다.
(정답률: 66%)
  • 인화성이 커야 한다는 조건은 오히려 훈증제로서 적합하지 않은 조건입니다. 인화성이 커다란 물질은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화성이 커야 한다."는 훈증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베노밀 수화제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살충제
  2. 항생제
  3. 유기인제
  4. 침투성 살균제
(정답률: 53%)
  • 베노밀 수화제는 침투성 살균제에 해당한다. 이는 베노밀 수화제가 세균, 곰팡이 등의 병원체를 살균하면서 동시에 침투력이 뛰어나 다양한 표면에 습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이다. 따라서 베노밀 수화제는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며, 특히 병원, 식품공장, 수영장 등에서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분제(粉劑)의 물리적 성질인 토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제를 살포하였을 때 광범위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흩어지는 성질을 말한다.
  2. 살분시 분제의 입자가 풍압에 의하여 목적 하는 장소까지 날아가는 성질을 말한다.
  3. 살분시 분제의 입자가 살분기의 분출구로 잘 미끄러져 가는 성질을 말한다.
  4. 분제농약의 저장시 주성분의 분해 및 응집 등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성질을 말한다.
(정답률: 72%)
  • 분제의 물리적 성질인 토분성은 살분시 분제의 입자가 살분기의 분출구로 잘 미끄러져 가는 성질을 말한다. 이는 분제를 살포하였을 때 균일하게 분포되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성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살비제(살응애제)의 작용점 및 작용기작과 같은 양상을 나타내는 농약은?

  1. 살균제
  2. 제초제
  3. 살선충제
  4. 살충제
(정답률: 69%)
  • 정답: 살충제

    살비제(살응애제)는 곤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죽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작용점과 작용기작을 가지는 농약은 살충제입니다. 살균제는 세균을 죽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고,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살선충제는 식물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일반적인 제초제와는 달리 광엽작물에 안전하고 주로 화본과 잡초에 매우 강한 살초작용을 나타내며 식물체내 지질합성효소인 ACCase를 저해하는 밭제초제 부류와 그 대표적 약제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Phenoxy계 - 엠시피비(MCPB)
  2. Acetanilide계 - 부타(butachlor)
  3. Phosphono amino acid계 - 근사미(glyphosate)
  4. Aryloxyphenoxypropionic계 - 플루아지호프피 부틸(fluazifop-P-butyl)
(정답률: 39%)
  • Aryloxyphenoxypropionic계는 식물체내 지질합성효소인 ACCase를 저해하여 살초작용을 나타내는데, 이 중 플루아지호프피 부틸은 광엽작물에 안전하면서도 화본과 잡초에 강한 살초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알맞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농약개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활성, 저투입 농약의 개발
  2. Xylene 이 주 용제로 사용되는 농약 개발
  3. 종자분의제의 개발
  4. 병해충 동시방제용 혼합제 개발
(정답률: 77%)
  • Xylene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며, 농작물에 적용 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농약개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동일 분자 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가진 화합물은?

  1. 안정제
  2. 증량제
  3. 용제
  4. 계면활성제
(정답률: 74%)
  •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가진 화합물은 계면활성제입니다. 이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물과 기름 같은 두 개의 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질은 계면활성제가 물과 기름을 혼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수화제에 주로 사용되는 증량제는?

  1. toluene
  2. sulfamate
  3. bentonite
  4. methanol
(정답률: 74%)
  • 수화제는 액체를 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증량제가 필요합니다. Bentonite는 흙을 건조하게 하여 분말 형태로 만든 증량제로, 수화제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물에 잘 녹지 않고, 농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henoxy계 제초제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옥신 작용을 지니고 있다.
  2. 식물의 기본적인 생리활성의 교란현상에 의하여 제초활성을 나타낸다.
  3. 약량 과다 처리 시 기형뿌리발생, 분얼억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인축 및 어래류에 대한 독성이 높다.
(정답률: 73%)
  • "인축 및 어래류에 대한 독성이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henoxy계 제초제는 주로 넓은 잡초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옥신 작용을 지니고 있어 식물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약량 과다 처리 시 기형뿌리발생, 분얼억제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인축 및 어래류에 대한 독성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엔도설판(endosulfan)은 어느 계통의 농약인가?

  1. 유기인계
  2. 카바메이트계
  3. 유기염소계
  4. 피레스로이드계
(정답률: 47%)
  • 엔도설판은 유기염소계 농약으로, 화학 구조에 염소 원자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유기염소계 농약은 과거에는 많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환경오염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괴경과 종자로 번식하는 다년생 잡초는?

  1. 올미
  2. 씀바귀
  3. 서양민들레
  4. 알방동사니
(정답률: 71%)
  • 올미는 괴경과 종자로 번식하는 다년생 잡초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인 씀바귀, 서양민들레, 알방동사니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논에 발생하는 다년생잡초로만 묶인 것은?

  1. 벗풀, 가래, 너도방동사니, 쇠뜨기
  2. 가래, 너도방동사니, 쇠뜨기, 올방개
  3. 올미, 명아주, 올방개, 벗풀
  4. 올방개, 벗풀, 가래,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63%)
  • 다년생잡초로만 묶인 것은 "올방개, 벗풀, 가래, 너도방동사니" 입니다. 이유는 다년생잡초는 한해살이잡초와 달리 여러 해 동안 자라는 잡초를 말하는데, 이 중에서 "올방개, 벗풀, 가래, 너도방동사니"는 모두 다년생잡초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작물이 생육초기에는 잡초와의 경합에 매우 민감 하여 제초를 하지 않을 경우 작물에 현저한 수량 감소를 초래하는 기간을 경합한계기간이라고 한다. 작물 생육기간이 100일이면 일반적인 경합한계기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파종 및 이식 후부터 10~20일내
  2. 파종 및 이식 후부터 20~30일내
  3. 파종 및 이식 후부터 50~60일내
  4. 파종 및 이식 후부터 60~70일내
(정답률: 80%)
  • 작물이 생육초기에는 뿌리와 줄기가 약하고 작기 때문에, 경합하는 잡초와 비교하여 생육력이 약하다. 따라서 작물이 충분히 자라기 전에 잡초와의 경합에서 밀려 수량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이 충분히 자라기 전에 잡초를 제거하여 경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 및 이식 후부터 20~30일내는 작물이 생육초기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이 기간에 제초를 하면 작물의 생육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기간이 일반적인 경합한계기간으로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해(競合害)로 나타나는 작물의 증상은?

  1. 분열수가 많아진다.
  2. 작물의 엽면적이 커진다.
  3. 건물중(乾物重)은 많아진다.
  4. 광합성량(光合成量)이 줄어든다.
(정답률: 68%)
  • 잡초와 경쟁하면서 작물은 더 많은 자원을 얻기 위해 분열수를 늘리고 엽면적을 확대하며 건물중을 늘리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작물은 광합성에 필요한 엽록소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광합성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작물과 잡초의 경쟁은 작물의 생장과 광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계면활성제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친수성의 성질만 갖고 있다.
  2. 친유성의 성질만 갖고 있다.
  3. 표면장력을 크게 하는 물질이다.
  4. 표면활성제라고도 하며, 비누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률: 68%)
  •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과 친유성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으며, 표면장력을 크게 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물과 기름 같은 서로 다른 물질을 섞어주는 역할을 하며, 비누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제초제 1000ppm은 몇 %인가?

  1. 0.01%
  2. 0.1%
  3. 1%
  4. 10%
(정답률: 69%)
  • 1000ppm은 100만 분의 1이므로, 100%를 1백만으로 나누면 0.0001%가 됩니다. 이를 소수점으로 표현하면 0.0001이 됩니다. 이것을 100으로 곱하면 0.01이 됩니다. 따라서, 1000ppm은 0.1%가 아니라 0.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잡초의 예방적 방제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손제초
  2. 농기계의 청결
  3. 재배관리의 합리화
  4. 오염된 작물 종자의 수확관리
(정답률: 68%)
  • 손제초는 예방적 방제법이 아닌 직접적인 방제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예방적 방제법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농기계의 청결은 병원체나 해충의 전파를 막아 예방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재배관리의 합리화는 작물의 건강한 성장을 유지하여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염된 작물 종자의 수확관리는 병원체나 해충의 전파를 막아 예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작물 파종 후 잡초경합한계기간이 가장 긴 작물은?

  1. 양파
  2. 옥수수
  3. 들깨
(정답률: 59%)
  • 양파는 파종 후 잡초경합한계기간이 가장 긴 작물입니다. 이는 양파가 뿌리를 깊게 내리기 때문에 잡초와 경쟁하는 뿌리의 영토가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양파는 잡초와 경쟁하면서도 뿌리가 강해지는 특성이 있어서, 다른 작물들보다 잡초경합에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잡초 종자의 특징에 대한 연결로 틀린 것은?

  1. 야생벼 - 탈립성
  2. 박주가리, 망초 - 낙하산 모양의 깃털
  3. 미국가막사리, 도꼬마리 - 낚시모양의 돌기
  4. 메귀리, 도깨비바늘 - 표면끈끈이
(정답률: 81%)
  • 메귀리와 도깨비바늘은 다른 잡초들과 달리 표면이 끈끈하게 묻어나온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다른 식물에 붙어서 번식하기 위한 적응형으로 발전한 것으로, 이러한 특징을 가진 잡초들은 인간이 제거하기 어렵고 번식력이 강해 더욱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귀리, 도깨비바늘 - 표면끈끈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다년생 잡초 중 지하경의 토양 내 형성부위가 일반 재배조건에서 가장 깊은 잡초는?

  1. 올미
  2. 너도방동사니
  3. 벗풀
  4. 가래
(정답률: 44%)
  • 가래는 다년생 잡초 중 지하경의 토양 내 형성부위가 일반 재배조건에서 가장 깊은 잡초입니다. 이는 가래의 뿌리가 깊게 침투하여 토양 속 깊은 곳에서 생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재배조건에서는 가래를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계 제초제의 작용 기구는?

  1. 광합성의 저해
  2. 호흡작용의 저해
  3. 지질 생합성의 저해
  4. 아미노산 생합성의 저해
(정답률: 69%)
  • 설포닐우레아 계 제초제는 식물의 ATP 감소를 유발하여, 이를 통해 아미노산 생합성을 저해합니다. 이로 인해 식물은 생장이 억제되고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잡초가 발아하여 지표면 위로 출현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요인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토양심도
  2. 토양수분
  3. 토양온도
  4. 토양구조
(정답률: 58%)
  • 잡초가 발아하여 지표면 위로 출현하는 과정은 토양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토양구조는 토양 내부의 입체적인 구조를 의미하며, 이 구조가 잡초의 발아와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토양구조가 잘 형성되어 있으면 뿌리가 깊게 침투하여 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고, 공기 순환도 원활해져서 잡초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구조는 잡초의 발아와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제초제의 휘산과 광분해를 막는데 가장 효과적인 처리 방법은?

  1. 토양표면처리
  2. 경엽처리
  3. 토양혼화처리
  4. 토양대상처리
(정답률: 68%)
  • 제초제의 휘산과 광분해를 막기 위해서는 토양과 제초제 사이의 상호작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토양혼화처리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토양혼화처리는 토양을 교반하여 토양 입자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제초제와 토양 입자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제초제의 분해를 늦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혼화처리는 제초제의 효과를 유지시키면서도 토양과 환경을 보호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잡초방제방법의 발달 순서로 옳은 것은?

  1. ① → ② → ③ → ④
  2. ① → ② → ④ → ③
  3. ① → ③ → ② → ④
  4. ② → ① → ③ → ④
(정답률: 83%)
  • 정답은 "① → ② → ③ → ④"이다.

    ①은 수작업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다.

    ②는 화학적 방법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인간의 노동력을 대신하여 효율적으로 잡초를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③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잡초와 식물 간의 경쟁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④는 기계적 방법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기계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잡초를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전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효율적인 방법으로 발전해온 순서로 "① → ② → ③ → ④"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잡초와의 경합력이 가장 큰 재배법은?

  1. 손이앙 재배
  2. 어린 모 기계이앙 재배
  3. 직파재배
  4. 무경운 재배
(정답률: 54%)
  • 손이앙 재배는 잡초와의 경합력이 가장 큰 재배법입니다. 이는 손으로 잡초를 제거하고, 작물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하여 작물이 더 많은 영양분과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재배법들보다 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작물의 생육을 최대한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잡초종자의 발아 습성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광전환성
  2. 발아주기성
  3. 발아의 계절 및 기회성
  4. 발아의 준동시성 및 연속성
(정답률: 54%)
  • 잡초종자의 발아 습성 중에서 광전환성은 빛에 반응하여 발아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다른 성질들은 발아의 시기나 기회, 발아의 속도 등과 관련된 것이지만, 광전환성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발아하는 특성으로서 다른 성질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전 세계적으로 문제 잡초가 가장 많이 속한 식물의 과(科)로 옳은 것은?

  1. 화본과, 석죽과
  2. 화본과, 국화과
  3. 십자화과, 국화과
  4. 국화과, 석죽과
(정답률: 82%)
  • 정답은 "화본과, 국화과"입니다. 이는 두 과 모두 잡초로 인식되는 식물들이 많이 속해 있기 때문입니다. 화본과는 대표적으로 미국잡초, 노루풀 등이 속해 있고, 국화과는 대표적으로 강아지풀, 노루풀, 담배풀 등이 속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일년생 잡초로만 바르게 묶인 것은?

  1. 개구리밥, 보풀
  2. 벗풀, 매자기
  3. 나도겨풀, 올방개
  4. 여뀌, 밭뚝외풀
(정답률: 51%)
  • 일년생 잡초는 한 해 동안 자라서 씨앗을 뿌리고 죽는 잡초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여뀌와 밭뚝외풀은 둘 다 일년생 잡초이며, 보풀, 벗풀, 매자기, 나도겨풀, 올방개는 다년생 잡초입니다. 따라서 일년생 잡초로만 바르게 묶인 것은 여뀌와 밭뚝외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우수한 제초제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제초효과가 우수해야 한다.
  2. 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야 한다.
  3. 값이 싸고 사용하기 편해야 한다.
  4. 토양 잔류기간이 길어야 한다.
(정답률: 80%)
  • 토양 잔류기간이 길어야 한다는 것은 제초제가 적용된 후에도 오랫동안 토양에 남아있어서 작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초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잡초의 식물학적 분류에서 단자엽 식물의 특성에 해당하는?

  1. 2매 자엽
  2. 개방유관속
  3. 위쪽에 생장점 위치
  4. 섬유근계
(정답률: 62%)
  • 단자엽 식물은 잎이 하나의 잎실만 가지고 있으며, 이 잎실 안에 있는 잎은 모두 같은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단자엽 식물은 섬유근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섬유근계는 뿌리가 얇고 길게 뻗어나가며, 뿌리 사이에 섬유처럼 얽혀있는 근육질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섬유근계는 뿌리를 효과적으로 고정시켜줌으로써 식물이 토양 속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