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다음 세균 속(屬) 중 그램(Gram)음성 세균만을 모두 고른 것은?
2. 잎에 누렁 증상(황화)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 다음 중 병원성이 다른 레이스(race)가 가장 많이 알려진 병원균은?
4. 사과나무 배나무의 불마름병(화상병)의 효과적인 방제법이 아닌 것은?
5. 병 발생이 용이한 환경에서 병원력이 강한 병원균이 존재하는 토양에 저항성이 강한 작물을 재배하였을 때의 병 발생 정도는?
6. 벼 도열병에 저항성이었던 품종들이 재배를 시작한 지 몇 년 안에 도열병에 걸리게 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7.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전염원은?
9. 병원균이 1차로 토양 전염되고, 2차로 유주자낭에 의해 비바람에 의하여 전염되는 병은?
10. 코흐의 원칙(Koch’s postulates)은 다음 중 어느 때 적용해야 하는가?
11. Streptomyces scabies에 의해 발생하는 병은?
12. 다음 중 가장 작은 식물 병원은?
13. 세균의 분자생물학적 분류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4. 보리의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의 구분 점은?
15. 병원균이 Pyricularia oryzae(P.grisea)인 병은?
16. 산불 발생 직후에 특히 많이 발생되는 수목병해는?
17. Trichoderma 속 균에 의하여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병은?
18. 포장위생에 의한 방제방법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9. 병원균의 침입에 대응하여 식물체가 나타내는 저항성 기작이 아닌 것은?
20. 토양 서식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다리의 마디 순서로 옳은 것은?
22. 해충의 살충기작으로 신경기능 저해를 유발하는 계통의 농약이 아닌 것은?
23. 밀도의존적 치사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4. 야외에서 채집하여 실내에서 건조시킨 나방의 표본을 만들려고 한다. 다음 중 나방의 날개를 바르게 펴기 위해 사용하는 기자재가 아닌 것은?
25. 일반적인 곤충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26. 후장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현재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가장 피해를 심하게 주는 소나무재선충을 애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우화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우리나라 남부지방)
28. 1958년경 우리나라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1년에 2회 발생하고, 과수 및 뽕나무 등 활엽수를 갉아먹으며 가로수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은?
29. 곤충의 발육 및 성장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0. 벼메뚜기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1. 해충의 방제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32. 페로몬은 같은 종 내의 다른 개체간 통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페로몬을 이용목적에 따라 분류할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3. 벼에 줄무늬잎마름병, 검은줄오갈병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34. 우리나라 곤충이 속하는 지리적 위치는?
35. 곤충의 휴면(休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6. 최근 침입한 외래 해충으로 가로수인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에 대발생하여 잎을 황화 시키는 흡즙성 해충은?
37. 종합적 해충관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8. 유기인계 살충제의 주요 작용점으로 옳은 것은?
39. 다음 설명하는 해충은?
40.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식물체의 내건성을 증대시키는 식물호르몬은?
42. 사질토양에 점토함량이 많은 흙은 객토하였을 때의 효과로 틀린 것은?
43. 작물의 종류와 시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44. 멀칭(mulching)의 효과로 옳은 것은?
45. 작물의 침관수해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46. 추경(秋耕)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조건은?
47. 벼의 키다리병을 유발하는 물질로부터 밝혀진 식물호르몬은?
48. 장일성 식물(長日性 植物)만 나열한 것은?
49. 산성토양에 가장 강하면서 연작의 장해가 적은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50. 토양을 보호하여 침식을 막는 효과를 가진 작물은?
51. 벼의 도복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52. 벼 종자에 과산화석회를 분의하여 파종하는 주 목적은?
53. 접목의 이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54. 작물의 생육이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를 최저온도(最低溫度)라 하는데, 다음 중 최저온도가 가장 낮은 작물은?
55. 벼 생육단계에서 생육최저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56. 방사선동위원소의 이용을 옳게 설명한 것은?
57. 작물에 많이 이용되는 토양수분은?
58. 작물의 내동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옳게 설명한 것은?
59. 작물의 수분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0. 종자춘화형 식물이 아닌 것은?
4과목: 농약학
61. 유기인계 살충제에 의한 중독시 가장 적당한 제독제는?
62. 농약사용법에 의한 약해가 아닌 것은?
63. 식물의 병반이나 상처부위에 직접 발라서 병을 방제하는 방법은?
64. 농약의 제제형태는 주제와 증량제, 용제, 계면활성제 등으로 나뉜다. 이 중 계면활성제가 가지는 작용이 아닌 것은?
65. 디디티(DDT)와 유사한 화합물이지만 곤충에 대한 살충력은 없고 응애류에만 선택적 살비력을 나타내는 약제는?
66. 다음 중 2,4-D의 합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67. 다음 중 디티오카르바메이트기를 가지고 있는 농약은?
68. 백합의 신장억제 및 배추의 생장억제에 주로 사용되는 생장조정제는?
69. 다음 2,4-D 산, 또는 그의 염과 에스테르 중 물에 가장 잘 녹는 화합물은?
70. 유제를 1500배로 희석하여 액량 15L로 살포하려 한다. 이 때 원액약량은 몇 mL가 필요한가?
71. 다음 중 사과의 부란병 방제에 적합한 약제는?
72. 농약이 갖추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73. 보호살균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4. 해충의 콜린에스테라아제 효소활성을 저해시키는 약제는?
75. 다음은 malathion의 구조식 중 일부이다. 네모 안에 들어갈 원소는?
76. 사용목적에 따른 살충제 농약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7. 다음 ( )안에 들어갈 적당한 수치는?
78. 살균효과 이외에 잘록병 예방효과, 뜸묘방지, 뿌리 생육촉진 등 식물의 생장조절 효과가 동시에 있는 약제는?
79. 어떤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에 한번도 사용한 적은 없지만 작용기구가 같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80. 유기인계 살충제의 작용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2,4-D의 어떤 유형을 논에 산포하였는데 주위에 있는 콩밭에서 약해가 발생하였다. 어떤 유형의 2,4-D에서 가장 크게 약해가 유발될 수 있는가?
82. 부유성 수생잡초로서 다발생시 수온을 저하시켜 벼의 초기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83. 잡초의 예방적 방제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84. 일반적으로 경합 한계기간은 작물 전 생육기간 중 얼마를 차지하는가?
85. 제초제의 토양내 지속성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86. 방동사니류 잡초가 아닌 것은?
87. 광합성(光合性)을 억제하는 계열의 제초제가 아닌 것은?
88. 형태적 특성에 따라 잡초를 분류할 때 같은 잡초들끼리 나열한 것은?
89. 여름에 발생하는 화본과 밭잡초는?
90. 논의 수도작 재배에 사용하는 것이 부적당한 제초제는?
91. 환경친화형 제초제의 구비조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92. 논 제초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법 중에서 제초제 처리시기로 바람직하지 않는 것은?
93. 6% 유효성분 입제를 1ha당 30kg 논에 처리하였다. 논물 속에 함유된 약제의 농도는 몇 ppm인가? (단, 물의 깊이는 5cm)
94. 포장에서 벼와 광(光)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
95. 잡초의 군락천이를 유발시키는데 다음 중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요인은?
96.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에 비하여 화학적 방제법이 지닌 단점은?
97. 논 다년생잡초의 증가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8. 논 다년생잡초가 아닌 것은?
99. 작물과 잡초간에 일어난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00. 벼와 피의 주된 형태적 차이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