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다음 중 식물병을 진단할 때 가장 확실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항은?
2. 다음 중에서 식물바이러스에서는 볼 수 없는 형태는?
3. Viroid 라는 병원체가 처음 밝혀지게 된 식물의 병은?
4. 잣나무 털녹병의 전염경로를 포자형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은?
5. 다음 중 불완전균류의 특징은?
6. 윤작이나 혼작을 이용한 경종적 방제로 틀린 것은?
7. 보리 흰가루병균에서 볼 수 있는 포자는?
8. 토양 속에서 식물과 함께 살고 있는 생물인 선충에 의해서 전염되는 바이러스는?
9. 다음 채소의 병 중 바이러스 병은?
10. 벼 알마름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은?
11. 세균이 식물에 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힌 사람은?
12. 식물병의 핵산 분석에 의한 진단 방법은?
13. 식물바이러스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화학 성분은?
14. 병해충의 종합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5. 병반 위에 분생포자에 의해 가루모양의 표징을 나타내는 병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잣나무 털녹병의 방제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7. 진딧물에 의해서 전염되는 것은?
18. 샤이고메터(shigome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 다음 중에서 담자균류에는 존재하지 않는 포자는?
20. 다음의 식물병 중 토양에 수분이 많고 pH가 5.0인 산성조건에서 많이 발생하고, 석회를 이용한 토양산도조절로 pH를 7.0이상으로 조절하여 방제하는 병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해충의 종합적 방제시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2. 다음 중 해충과 월동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23. 곤충의 성페로몬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24. 해충의 생물적방제로 이용되는 천적류는 포식성 천적과 기생성 천적이 있다. 포식성 천적이 아닌 것은?
25. 다음 중 불완전변태를 맞게 설명한 것은?
26. 다음에 열거한 곤충 중에서 그 유충이 줄기의 내부를 식해하여 피해를 주는 곤충은?
27. 다음 곤충의 소화계 배열에서 입 이후이 순서가 맞게 배열된 것은?
28. 신경계의 활동전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29. 곤충의 다리는 여러 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는데 밑마디와 넓적마디 사이에 있는 마디의 명칭은?
30.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31. 다음 중 계통분류학적으로 유연관계가 나머지 3종류와 가장 먼 해충은 무엇인가?
32. 다음 중 곤충의 호흡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33. 곤충의 선천적 행동이 아닌 것은?
34. 곤충생장조절제의 일종인 디플로벤주론(diflubenzuron)의 작용기작은?
35. 다음 중 방패벌레는 어디에 속하는가?
36. 애멸구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7. 곤충 면역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38. 과수 월동기에 거친 껍질 벗기기(조피 긁기) 작업을 통하여 초기 발생밀도를 낮추기 어려운 해충은?
39. 식물의 줄기 속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40. 곤충 입틀(구기)의 구성 요소 중 단독 구조로 발생되는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밭에서 한발 경감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42. 벼 기계이앙 상자육묘에서 파종량이 가장 많은 것은? (단, 마른 종자 1상자를 기준으로 한다.)
43. 수세미의 줄기를 절단하면 절구(切口)에서 수분이 솟아 나오는데, 무엇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인가?
44. 발아 최저온도가 가장 낮은 작물은?
45.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6. 춘화처리의 재배적(농업적) 이용이 아닌 것은?
47. 다음 중 무배유 종자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48.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
49. 우량품종의 구비조건으로 영속성(永續性)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50. 작물의 광합성 및 호흡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1. 다음 중 포장동화능력(圃場同化能力)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52. 고구마를 인위적으로 개화시키려고 할 경우 가장 알맞은 것은?
53. 기지(忌地)의 근본적이며, 종합적인 대책이 될 수 있는 방법은?
54. 다음 중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5. 화곡류에서 가뭄에 의한 피해가 가장 심한 생육단계는?
56. 토양미생물이 작물에 유익한 활동으로 균근이 형성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57. 덩이줄기로 번식하는 작물은?
58. 적설(積雪)과 지온(地溫)과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59. 다음 중 연작의 피해가 비교적 적은 작물은?
60. 토양 pH가 강알칼리성으로 될 때 가급도(加給度)가 감소하는 양분은?
4과목: 농약학
61. 농약의 생물농축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생물농축계수(BCF)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62. 제초제의 일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3. 분제 제조 시 벤토나이트나 탈크 분말을 사용할 때 가장 적당한 가비중은?
64. 농약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5. 다음 [보기]의 농약에 의해 방제되는 주요 적용 병해충은?
66. 다음 중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67. 발아전처리(pre-emergence)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68. 우리나라에서 농약 등록 시 농약안전성 평가 항목으로서 환경독성의 평가항목에 해당되는 것은?
69. 농약의 사용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0. 프로파닐(stam F-34)과 유기인제 또는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를 근접살포하면 프로파닐의 선택성이 없어져 약해를 일으키는 주된 이유는?
71. 다음 중 일반적으로 농작물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72. 농약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약해가 아닌 것은?
73. 인축에 대한 독성을 표시하는 기호로 사용하는 LD50 의 의미는?
74. 인화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고 곡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살선충제와 토양살균제로도 사용되는 제제는?
75. 다음 중 너도방동사니,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제초제는?
76. 농약의 제제 중 유제(乳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7. 작물의 뿌리혹선충을 방제하는데 가장 적합한 농약은?
78. 농약의 약해는 발생하는 기간과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만성적 약해로 분류되는 증상은?
79. DDVP 유제 50%를 500배로 희석하여 면적 10a당 4말(1말:18L)을 살포하고자 할 때의 소요약량은 약 몇 ㎖인가?
80. 약제탱크 및 양수기 부착으로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대규모 공동작업에 적합한 농약살포기는?
5과목: 잡초방제학
81. 경합우위성의 획득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82. 작물과 잡초 혹은 상이한 잡초 초종간의 경합을 이르는 말은?
83. 논에 다년생잡초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다면 다음 중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원인은?
84. 일년생 화본과 잡초로 벼에 피해가 큰 잡초는?
85. 우리나라 논에서 다년생 잡초가 우점하게 된 주된 요인이 아닌 것은?
86. 2,4-D 의 작용특성에 속하는 것은?
87. 식물 표면에서 제초제의 흡수 과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8. 잡초의 식물학적 분류에서 단자엽식물의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89. 잡초방제법의 예로 맞는 것은?
90. 종합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1. 우리나라 논에 발생하는 방동사니과(사초과) 잡초인 것은?
92. 방제 방법과 그 장점의 연결로 틀린 것은?
93. 주요 잡초종의 식물분류학적 분포로서 가장 많이 점유하는 과는?
94. 6%의 유효성분을 가진 제초제를 10a당 유효성분량으로 300㎎ 살포코자 할 때 1㏊ 당 필요한 제품량은?
95. 제초제의 작용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6. 잡초의 산파 방법 중 주로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는 잡초는?
97. 다음 중 종자은행(seed bank) 또는 seed pool로 비유되는 것은?
98. 다음 중 물리적 잡초방제법이 아닌 것은?
99. 잡초가 작물과의 경합에서 유리한 생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
100. 제초제의 선택성에 관여하는 생물적 요인이 아닌 것은?